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GO 활동에 관한 임원·실무자간 인식 비교 : 흥사단 활동을 중심으로

        김전승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NGO by the executives and staffs in the members ofNGO,who are in charge of substantialdecision making and execution responsibility,forprescribing in the characteristicsofthe body and the contentsofitsactivities.In this thesis, a survey was executed to the executives and staffs of Heungsadan thatwasa service providing syntheticcivicgroup,and the objectivewastoattractpolicyimplication on thedirection ofthegroup activitiesby the difference from the recognition between the executives andstaffsshownfrom theresult. Questionnaire wasdesigned with the fieldsofactivity and interestsby NGO, the recognition of the role in NGO, the recognition of the criticism at NGO,and the degree ofsatisfaction by the executivesand staffs for the activities of Heungsadan,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which had been received from 41 executivesand 51 staffsof Heungsadaninthewholecountry. The analysis was made by suggesting and comparing the frequency table forthe fieldsofactivitiesand interestsin NGO by the executives and staffs, and the verification was executed to compar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by evaluating the recognition of the role in NGO,the criticism at NGO,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activitieswith5-markscale. Tosum up theresultfrom questionnaireanalysis, theexecutiveswere organized by male mostly with the age of fifty or over,with the academicbackground ofgraduateschoolgraduation and businesscareer of10 years or over,while staffs were organized by half-and-halfof maleand femalewith theacademicbackground ofuniversitygraduation orunderand lessthan 5yearsofbusinesscareer.Emphasizing fields ofactivitieswere education,juvenile problems,and civic education by theexecutivesandstaffsboth. On the comparison of recognition for the types of NGO role,the executivesconsidered thatHeungsadan had high function ofcriticism at the governmentorenterprise,while staffsconsidered thatthe strength was not high.The executives gave more weight to the consciousness reform and enlightenment activity,while staffs gave less weight on them.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criticism atNGO recently,the staffsconsidered thatthe externaldependency on finance washigher, while executivesconsidered itlowerrelatively.The executivesfeltthat the members'participation in Heungsadan wasnotinsufficient,while staffsfeltthatitwasinsufficient.Furthermore,the executivesfeltthat the communication with staffswasnotlack,while staffsfeltthatitwas notsufficient. On the degree ofsatisfaction ofthe activities by Heungsadan,the executives thought that decision making was democratic,while staffs evaluated the democratic decision making lower relatively. The executives considered that the position of Heungsadan in the civic groupswashigh,whilestaffsconsidereditlowerrelatively. In conclusion,the issues of recognition between the executives and staffsforNGO activity by Heungsadan showssignificantdifferencesin 10oraboutitems.The summary ofpolicy direction by Heungsadan to overcome such differencesand execute the role asa service providing synthetic NGO isstatedbelow: First,itisnecessary to develop the civilbusinessprogram reinforcing theparticipation bytheexecutives,staffs,and memberswhoarerelated to Heungsadan. Second, the identity of Heungsadan should be strengthened by training talentin the fieldsofjuvenile problemsand education and executing the civic education continuously.Third,Big 3 civicmovementby Heungsadan should bestrengthened toenhancethe capabilityofissuefindingand alternativesproposalby Heungsadan in the civilsociety.Fourth,publication capability and network should be reinforced and the stabilization offinance should be made.Last,the staffs'stable activitiesshould be guaranteed and theirexpertise should bestrengthened. NGO의 구성원 중에서 실질적인 의사결정과 집행 책임을 맡고 있는 임원과 실무자들이 NGO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단체의 성격과 활동의 내용을 규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서비스 제공형- 종합적 시민단체에 속한 흥사단의 임원과 실무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나타난 임원ㆍ실무자간 인식상의 차이로부터 단체 활동의 방향에 대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설문은 NGO 활동 분야 및 관심 영역, NGO의 역할에 관한 인식, 최근 NGO의 비판에 대한 인식, 임원 및 실무자의 흥사단 활동 대한 만족도 등으로 설계되었으며 전국 흥사단의 임원 41명과 실무자 51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임원과 실무자들의 NGO활동 분야 및 관심영역 대해서는 빈도표를 제시하여 비교하였으며 NGO의 역할 인식, NGO에 대한 비판,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은 5점 척도 상에서 평가하여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인구사회학적으로 임원은 대부분 남성, 50대 이상, 임원 경력 10년 이상, 대학원 졸업의 학력인데 비해 실무자는 남녀가 반반이며, 근무 경력 5년 미만, 대졸 이하의 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 활동 분야는 임원 실무자 모두 교육, 청소년 분야와 시민교육에 두고 있었다. NGO 역할 유형에 대한 인식 비교에서는 임원들은 흥사단이 정부나 기업에 대한 비판 기능이 높다고 본 반면 실무자들은 그 강도가 높지 않다고 보고 있으며 임원들은 의식 개혁과 계몽적 활동에 대해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 실무자들은 상대적으로 비중을 낮게 두고 있었다. 최근의 NGO에 대한 비판에 대한 설문에서는 실무자들은 재정의 외부의존도가 높다고 본 반면, 임원들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보고 있으며, 임원들은 흥사단이 회원 참여가 부족하지 않다고 느낀 반면 실무자들은 회원 또는 시민들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갖고 있었다. 또한 임원들은 실무자들과 의사소통이 부족하지 않다고 느끼는 반면에 실무자들은 소통이 잘 안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흥사단 활동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임원들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민주적이라고 생각한 반면 실무자들은 상대적으로 민주적 의사결정에 대해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흥사단의 시민사회 내에서 위상에 대해서는 임원들은 높다고 보는데 비해 실무자들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흥사단의 NGO 활동에 대한 임원과 실무자 사이의 인식상의 문제는 10여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서비스 제공- 종합적 NGO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흥사단의 정책 방향에 대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흥사단과 연관을 맺고 있는 임원, 실무자, 회원 등의 참여를 강화하는 시민사업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ㆍ교육 분야에서 인재 양성과 지속적인 시민교육을 실시하여 흥사단의 정체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흥사단이 시민사회에서 이슈발굴과 대안제시능력을 높여나가기 위해 흥사단의 3대 시민운동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홍보능력과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재정의 안정화를 이루어야 한다. 다섯째, 실무자들의 안정적 활동을 보장하고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흥사단 교육을 통한 평생교육의 실천적 함의 연구 : 시민참여교육을 중심으로

        조성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8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osan Ahn Chang-ho's educational thoughts and fi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by time and activity) through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activitie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historical document analysis based on Dosan Ahn Chang-ho's though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at goes beyond the nation and the state to the world.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emphasized education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that corresponded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rough changes in education by time. As modern society develops,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should also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Global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enables the community solidarity and the increase in a sense of belonging beyond the nation and the state by understanding universal values and cultures and improving community spirit. Also, through universal education, various economies, cultures, values, etc. of the world can be learned beyond a limited range. This is education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and it will lead to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goal achievement of the great cause through self-innovation and national enlightenment, which were valued by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And it will be an educational venue for realizing Dosan Ahn Chang-ho's educational thoughts, which include sincere learning, continuous practices, and progressive learning and study. Second, education that extends to participation through basic strengthening should be conducted.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through the character training, not the restoration of sovereignty and national revival through force, even in the crisis of the state's existence. Based on this, modern society should provide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for the right human formation and character training. Education for upright human formation will restore the original human character, and become an important asset for promo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the state. Also, by establishing basic educational values,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will be the basis for development. Third, education to enhance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should be conducted.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emphasized youth education as the starting points to develop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In order to resolve human loss caused by conflicts of ideological values and wars, education was used as a stepping stone for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long with laying the found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In the reality that youth education in modern society has only been reduced to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s and success,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ultivate mature adolescents and develop their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as democratic citizens. These activities, along with the efficiency enhanc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will be the basis for fostering the masters of a future state and leading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을 탐구해보고, 흥사단의 창립 배경 및 활동을 통해(시기별, 활동별) 시민참여교육의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산 안창호의 사상과 흥사단 교육활동을 바탕으로 역사문헌분석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과 국가를 넘어 세계로 향하는 시민참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은 시기별 교육 변화를 통해 시대적 상황과 부합하는 민족과 국가를 위한 교육을 중시하였다. 현대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시민참여교육도 시대 변화에 부합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계 시민참여교육은 보편적 가치관과 문화를 이해하고 공동체 의식 향상을 통한 민족과 국가를 넘어선 공동체적 연대와 소속감 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편적인 교육을 통해 한정된 범위를 벗어나 세계의 다양한 경제, 문화, 가치관 등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민족과 국가를 위하는 교육임과 동시에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이 중시했던 자아혁신과 민족계몽을 통한 대의적 목표달성에 부합하는 시민참여교육으로 이어질 것이며, 성실한 학습과 지속적인 실천, 진취적 학습과 배움 등의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을 실현하는 교육의 장이 될 것이다. 둘째, 기본다지기를 통해 참여로 확장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은 국가의 존폐위기 상황에서도 무력을 통한 주권회복과 민족부흥이 아닌 인격수양을 통한 계몽을 중시하였다. 현대사회는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인간형성과 인격수양을 위한 시민참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올바른 인간형성을 위한 교육은 본래의 인간상을 회복할 것이며, 민족과 국가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또한, 기본적인 교육 가치를 정립함으로 시민참여교육이 발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셋째, 민주시민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은 민주시민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시작점으로 청소년 교육을 강조하였다. 전쟁과 사상적 가치에 따른 분쟁으로 인한 인적손실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 발전의 기반을 다짐과 동시에 인재양성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던 것이다. 현대사회 청소년 교육이 입시와 성공을 위한 교육으로만 전락해버린 현실에서 시민참여교육을 통한 성숙한 청소년 양성과 민주시민으로써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내·외적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시민참여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미래 국가의 주인을 양성하고 주도적 시민참여를 이끌어내는 기반이 될 것이다.

      • 민주시민교육에서 시민단체와 시민활동가의 역할 : 전주흥사단 민주시민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임종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56

        시민운동에 있어서도 지방자치가 필요하다는 목표를 가지고 민주시민교육관련 선행연구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대한 문헌연구방법으로 2017년 이후 현재까지 전주와 인근 시군을 시·공간적 범위로 하여 연구보고서를 작성 하였다. 역사적 전환기에 놓여 있는 시민운동의 변화를 살펴보고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개념을 분석하여 연구자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개념정의를 도출하였다. 우리 민주시민교육에 영향을 미친 외국 민주시민교육의 이념적 경향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민주시민교육 기본 원칙을 정하였다. 우리나라 민주시민교육 현황에서는 선거연수원의 민주시민교육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중심으로 연구자가 정한 네 가지 기본원칙이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민주시민교육에 있어 시민단체와 시민활동가의 역할에 대해 연구자가 활동하고 있는 전주흥사단의 실제사례를 연구자의 경험을 통하여 분석하여 지역사회에서 지속가능한 시민운동의 방법을 전주흥사단의 민주시민교육사례에서 찾아보고자 전주흥사단의 민주시민교육사례 9건의 교육 배경 및 목표, 세부내용, 분석 및 평가를 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시민활동가와 상근활동가의 인터뷰를 더하여 활동가들의 활동 경험과 사례를 고찰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 독립운동관련기록의 통합서비스를 위한 조직화 방안 연구 : 興士團을 사례로

        황선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42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ur people had overcome it with the indomitable spirit of resistance as enduring countless sacrifices in order to achieve a fully self-governing state. Such as,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driving force to move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could be regarded as the identity of our people. The movement of our people at this time was very complex and diverse and such activities had affected significantly the formation of the today's "Korean society". Thus, the record of independence movement generated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would b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our modern era society, and it can regarded as an important record that has to be passed down since it contains the spirit and history of our people. However, the reality of record management in our country is that the provision and the relevant direction for management as to the historical records inheriting the cultural heritages have not been clearly suggested. Therefore, they are not being managed systematically enough for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our country. Furthermore, given the issues such as the history disputes of East Asia, the distorted awareness of the modern history of the people, etc., it should be regarded as a more urgent issue.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 is the subject that should be managed in considerati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of archival study and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re currently being widely dispersed and it is not easy for general users to access them since each institute has a different management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foundation of the integrated servi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records through reproduc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through the records and also seeking for the methods of archival arrangement, description and stating the records that are dispersed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users to access them. The approaching process for this is as follows. The second chapter derives the necessity of provision for the integrated service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 and also the institutes that are managi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collection strategy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records that are dispersed and derives the principal entity for the colle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records through the SWOT analysis. And it seeks for the methods of archival arrangement and description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Lastly, the fourth chapter aims to reveal that the archival study theory is a useful theory in reality that can be applied to concrete cases rather than something that exists only in theory through applying the record of the Young Korean Academy that was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The vertical type search tool, which reflects the properties of record accepts the principle of record management from the administrative perspective, can show both of the production context and structure of records to us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it and also the search tools for subjects that users want may be absent or the priority of technical writing may differ from users' requirement. It would be imperative to realize in a way that the records could be utilized through key word search for the integrated servi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records. Even though this study has not covered it, it would be required to prepare a dictionary for search words in order to allow for key word searc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This process should be created through a long term work in cooperation with historians and information experts. 일제치하의 시기, 우리 민족은 자주적 국가운영을 쟁취하기 위해 수많은 희생을 감수하는 등 불굴의 저항정신으로 극복해냈다. 이처럼 ‘독립운동’은 한국근대사를 움직인 동력원이었으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우리 민족의 움직임을 매우 복잡·다양하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지금의 ‘한국사회’를 형성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독립운동활동을 통해 생산된 독립운동기록은 현대 우리 사회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우리 민족의 정신과 역사가 담겨 있기 때문에 전승되어야 할 중요한 기록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현실은 문화유산을 전승하는 역사기록물에 대한 규정과 이에 대한 관리의 방향성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독립운동이 우리나라에 갖는 의미에 비해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더욱이 동아시아의 역사분쟁과 일부 청소년들의 왜곡된 역사인식 문제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음을 볼 때 시급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독립운동기록은 기록관리학의 일반적인 방법론과 독립운동이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관리되어야 할 대상이다. 그러나 현재 독립운동 관련 기록이 매우 분산되어 있으며, 기관마다 관리방식이 다르므로 일반이용자의 접근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을 통해 독립운동활동을 재현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접근을 쉽게 하고자 분산된 기록물을 수집하고 정리, 기술하는 방법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독립운동 관련 기록의 통합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에 대한 접근과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독립운동기록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분석하고 독립운동 관련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을 분석하여 통합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정리와 기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분산된 기록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수집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독립운동관련 기록의 수집을 주관하는 주체를 SWOT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독립운동단체 중 하나인 흥사단을 사례로 현황과 각 기관의 기술항목을 분석하였다. 독립운동기록을 위한 기술표준의 개발을 위해 참고할 만한 표준을 몇 가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기록물기술표준과 독립운동기록의 특성을 고려하여 독립운동기록 기술요소와 규칙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기술요소에 흥사단의 기록을 적용시켜봄으로써 기록관리학 이론이 이론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구체적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현실 유용한 이론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몇 건의 기록을 기술해 본 결과 적용에 있어 문제점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기록물의 기술요소와 규칙은 경험이 축적되며 계속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발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통합서비스를 구현할 때 이용자 검색에 대한 부분을 간과할 수는 없다. 관리의 측면에서 기록의 속성을 반영하고 기록관리의 원칙을 수용하는 수직형 검색도구는 이용자에게 기록의 생산 맥락과 구조를 함께 보여줄 수 있으나, 사용이 어려우며, 이용자가 원하는 주제의 검색도구가 부재하거나, 기술 작성의 우선순위가 이용자의 요구와 다를 수 있다. 독립운동 관련 기록의 통합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어 검색을 통해 기록을 이용할 수 있게 구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독립운동기록의 주제어 검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검색어 사전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과정은 역사가나 정보전문가 등이 협력하여 장기간 작업을 통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에 관한 실증 연구 : 도산 안창호의 융합성 통합적 리더십 연구

        최청평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707

        논 문 개 요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구한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맞서 대한 독립을 위해 전 생애를 투신한 독립 운동가였다. 소년기에 청일 전쟁을 목격하고 ‘힘’없는 나라의 말로를 탄하며 구국과 독립의 필요를 자각하고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를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래 전 생을 통하여 국내는 물론 미주, 중국 원동, 러시아 등 도처의 독립 운동가들을 규합하여 일본 식민통치에 대항하였다. 도산은 숱한 독립운동 행보 속에서 적지 않은 독립운동의 거인들과 단합하고 통일, 통합하기를 중시하여 노선과 사상의 갈등을 극복하며 상해임시정부를 지켜내는 등 초인적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도산은 절박한 독립투쟁의 험로에서도 모든 독립 운동가들과의 인격적인 신뢰를 쌓으며 폭넓고 두터운 존경을 받아왔으며 세심하게 준비된 독립운동 계획을 마련하고 몸서 실천하며 주도하였음은 물론 젊은 인재의 발굴과 육성에 특유의 지도력을 발휘하여 여타 독립운동가와는 다른 탁월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다. 도산은 그 험난한 독립투쟁과 독립 건국을 위하여 건전한 인격과 신성한 단체를 이루어 ‘힘’을 기르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주창하며 인재양성의 최고수준의 단체로 흥사단을 창립(1913년)한다. 흥사단을 통하여 배출된 탁월한 인재들이 당시의 독립운동의 중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흥사단우의 30% 이상이 국정에 전문 인력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은 도산의 인재 양성을 향한 탁월한 안목과 통찰력,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도산 안창호의 리더십의 특성’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제Ⅱ장 이론적 배경의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산의 독립운동의 현황과 그 운동 속에 융합되어있는 도산의 리더십을 리더십이론에 준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산은 모든 독립운동에서 리더십 유형들을 융합과 통합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발휘하였음이 분석되었다. 제Ⅲ장에서 이상의 정성적 결과를 실증하기 위한 정량적인 방법으로 ‘흥사단우의 도산 안창호 리더십 인식 조사“를 시행키로 하여 이 인식 연구를 위하여 설문 및 질의 조사를 1차,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인식 조사 분석의 결과, 흥사단우는 도산이 수많은 독립운동에서 여러 가지 다차원적인 리더십 유형을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하였음을 높고도 고르게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Ⅳ장에서는 제Ⅱ장의 이론적 배경의 문헌 연구와 제Ⅲ장의 실증적 인식조사를 통한 종합적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제Ⅴ장에서 본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산은 진정한 인격자였다. 도산은 독립을 쟁취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는 민족 개개인의 건강하고 강건하게 수련된 “인격의 힘”이며 이 힘을 바탕으로 한 “동맹의 힘”이라고 굳데 믿었고 평생 솔선수범하며 진정한 리더의 삶을 살았다. 도산의 위인다운 리더십은 도산의 인격 속에 녹아있었고 스스로는 의식함이 없이 숙성된 자연의 발로였다. 둘째, 도산의 리더십에 관한 그간의 선행 연구 문헌은 연구자의 전문분야에 따라 개념화 되어 있었고 그에 따라 몇 가지 리더십유형으로 편향되어있거나 축소 혹은 왜곡될 위험마저 있어보였다, 이는 그간의 도산의 리더십 연구가 도산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었던 결과로 보여진다. 셋째,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의 연구 결과, 도산 안창호는 그의 전 생애를 통한 독립운동에서 어느 특정한 리더십을 편향적으로 발휘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 유형들을 통합과 융합을 통해 상승효과를 이루어 총체적으로 발휘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도산 안창호 리더십에 관한 흥사단우의 1, 2차 인식조사 결과, 도산이 총체적으로 발휘한 다양한 리더십에 관하여 흥사단우가 ‘보편적이고 공통적이며, 높고 고르게 인식하고 있음’이 실증 되었다. 다섯째,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도산 안창호는 전 생애의 독립운동 행보에서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 유형”을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하였던 바. 이러한 도산 안창호의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의 특성을 일명,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이라 명시하고자 한다.

      • 興士團理念에 나타난 島山의 敎育思想

        백종문 全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695

        This thesis is a study of Do San, Chang-ho Ahn's thought on education revealed in the idea of Hung Sa Dan. He organized Hung Sa Dan in San Francisco in America on the 13th of May in 1913 and he believed the idea of Hung Sa Dan the basic idea for the movement of national reconstruction and he lived on this idea through his whole life. His thought was based on the thought of power and he thought that a nation should have power to get her entire independence and prosperity to be existed forever. The fauntainhead of Do San's peculiar philosophy based on the power resulted from the thought of confucianism he learned in a child and the thought of nationalism by Mr. pil Dae Eun and the thought of Christianism from the Goo Sae Hak Dang (a house for the salvation by Christ). He developed the philosophy of the power through these three kinds of thoughts and he mentioned the capitals of credit, knowledge and money a nation should save up. Finally all these capitals would be on us, mankind, and the power he believed would result from a great personality and strong national solidarity, he insisted to strenghen the power that we should train three important kinds of practices: mental training for the sound personality, for the sacred unity and for the democratic citizens, and he emphasized also four important ethoses, which the men of Hung Sa Dan should believe a moral to be kept in their mind as a religion, are the sur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Korean nature and are the short-cut to promote the national strength. Do San proposed that the men of Hung Sa Dan should train themselves all together, for the purpose of wholesome character, with the four spirits of uprightness, strenuous efforts, loyalty and bravery, and that they should lead to the conclusion through the conversation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and he insisted that they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following the ideas by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 power gained by the above methods meant the accumulated national power said he it was possible to accumulate national power by means of learning, and he founded and managed Jum Jin school, Dae Sung school and Dong Myung campus. These thoughts of Do San's were a civilized thought of society in a transitional period from 19c. to 20c. and the Enlightenment of latter civil society in which strenuous efforts were made to enlighten it. Do San kept a rationalism based on experience and he was a patriotic educator and thinker who devoted himself to enlightening the old feudalistic idea.

      • 興士團運動에 나타난 島山의 敎育思想

        김영자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following matters. First, the study reviews four spirits and three educational training included in the educational idea centering around Dosan's life. Second, innovational educational ideas and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the period of darkness of this nation are discussed. Then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this time is review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education in the future. Third, the study reviews the educational idea of Dosan in Heungsand movement, and attempts to determin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the idea on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Results obtained by reiewing the educational idea of Dosan in Heungsadan movement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four spiriti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included in the idea which was realized through the movement had the following influences. The educational idea of Dosan is an idea of power which seeks raising the basic power of the nation. Dosan created Heungsdan at the home of YoungseKang located in San Francisco on May 13, 1913. Then he devoted all his life to Heungsadan movement based on the idea of national rehabilitation. Dosan considered personal character as the most important things of factors of power he sought to promote. The four spirits are essential to the character. The four spirits is a theory about methods of change in personal character of the Korean people, meaning increase in the power of the nation. This can be possible through disciplines and changes, For this reason, Dosan cstalished schools of Chumjin and Daesung and the Institute of Dongmyung. He claimed that all of the nation have to form a sound national character through continuous self-innovation and human revolution. Second, the educational idea and activities of Dosan made throught Heungsadan movement had the following effects. The theory of national reorganization is the core of Dosan's educational idea.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pirit. According to him, setting a new country required a new people and a new spirit. National construction should start with human constructin, which should start with spiritual construction. Dosan emplasized the four spirits, or truth, action, loyalty and brevity as spiritual indicators of our people. He settled the ground of national prosperity by devoting himself to self-reconstruction and national reconstructin according to the spirits. And third, the educational idea of Dosan realized through Heungsadan movement are still influential and significant in the current situatin of education. Dosan wanted to train leaders through the movement. The term, Heungsan is referred to as raising gentlemen including literary men. Elites of modern society are those each of who is an expert in a different filed. They are workers who have specialized views and insights of their own fields, and take the initiative in providing better business directions and activity principles of the fields. Elites mentioned by Heungsadan are not limited to specialists in specific areas needing highly advanced knowledge and technology, but people having the capability of deeply understanding and completing any fields and areas. Loaders sought by Heungsadan are persons who make efforts to be honest themselves, abide by faith and practice bravely and serve others (see the text published by Heungsadan, 1996:10). How many leader of today are overruled by their self-interests and immoral? The educational idea of Dosan reflected in Heungsadan movement is the very best way of bringing up leaders having a real morality today. In doing so, our society will be a better place in the future. Moral training and well-rounded education for the whole man emphasized by Dosan in his idea are consistent with today's modern education. Raising competent characters having a combination of knowledge, virture and body under Dosan's educational idea complies with the purpose of training socially, emotionally, physically and morally smooth persons in modern education. The idea of sexual equality provided by Dosan is future-oriented toward the 21st century. The idea was represented by Chumjin school, Korean first educational institution and Heungsadan Article specifying collaboratin between the two loyal sexes, being identical to the view of democratic edcuation.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美領 의원 연구

        박소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1

        In 1919,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hich established a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for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established an election system and demarcated electoral districts. Also, they established a national constituency and the Korean American constituency, or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as an overseas constituency.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which stipulated a total of three representatives, were intended for Korean Americans to serve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fter Korean Provisional Congress‘s establishment,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e foremost organization of the Korean Americans at the time, decided to elect one representative each from the Americas, Mexico, and Hawaii for the the Members in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This led to the specification of two representatives from the Central and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and one representative from the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Hawaii. In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elections among Korean Americans were conducted directly according to election regulations established by the Assembly. From the mid-1920s onwards, due to difficulties in direct election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permitted indirect elections. Similarly, representatives for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were selected through indirect methods, focusing more on personal and political connections rather than regional ties. In the 1930s, amidst the unfolding of party politics, individuals with a political stance supportiv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ere appointed as representatives of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ulti-party "Council of Unity" in 1942, figures from parties support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ontinued to be elected as representatives of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based on resolutions from Korean Associations in U.S. organizations. Prominent figures who served as representatives of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included early members such as Jeong In-gwa, Hwang Jin-nam, Ahn Hyun-gyeong, and Jang Bung, who were leaders with ties to the Korean Americans in the Americas, represented by figures like Ahn Changho and Yi Seung-man. In the mid-term period, Song Byeong-jo and Yi Gang, affiliated with the Young Korean Academy, also served as the Members in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Additionally, Ahn Changho himself serv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In later years, under the resolutions of Korean Associations in U.S. organizations, figures from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such as Lee Dong-nyeong, Kim Gu, Cho Seong-hwan, Min Pil-ho, and Yu Jin-dong held seats and served as representatives of the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s the Members in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were representative of the forces that supported their political decisions. The continuous interest, solidarity, and suppor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owards the Korean Community in U.S., as well as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Korean Community in U.S. towards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re the origins of the election of the Members in Electoral Districts of U.S. territories i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1919년 국민의 주권이 발효되는 대의기관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선거제도를 확립하고 선거구를 획정했다. 그리고 국내 선거구와 함께 국외 선거구로 미주 교민 선거구, 즉 미령 선거구를 획정했다. 총 3인의 정수가 규정된 미령 선거구의 의원은 재미 한인의 국회의원이었다. 임시의정원 수립 직후 재미 한인사회의 최고기관이었던 대한인국민회는 미령 의원을 미주와 멕시코, 하와이 지역에서 각 1인씩 선출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에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와 북미지방총회에서 2인, 하와이지방총회에서 1인의 의원 정수가 규정되었다. 북미지방총회는 대의회를 통해 제정한 선거 세칙에 따라 재미 한인의 직접선거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임시의정원은 직접선거의 어려움 속에서 간접선거를 허용하였다. 미령 선거구 역시 간접선거의 방식으로 지역적 연고보다는 인적, 정치적 연고를 기반으로 하는 인물들이 의원으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1930년대 정당정치의 전개 속에서 미령 선거구에는 임시정부를 옹호하는 정치적 노선을 지닌 인물들이 의원으로 선임되었다. 1942년 다당체제의 ‘통일의회’가 구성되고 여러 정당의 인물들이 의원으로 선출되었을 때도, 미령 선거구에는 임시정부 지지 정당의 인사들이 미령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들의 선출에는 재미 한인단체의 결의가 바탕이 되었다. 미령 선거구에서는 초기 정인과, 황진남, 안현경, 장붕이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은 미주와 지역적 연고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는 재미 한인이자, 안창호와 이승만으로 대표되는 재미 한인사회의 지도자와 인적 연고를 가진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중기에는 흥사단 소속의 송병조와 이강이 미령 의원으로 재임하였다. 또한 안창호가 미령 의원으로 재임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후기에는 재미 한인단체의 결의 아래 한국독립당의 이동녕, 김구, 조성환, 민필호, 유진동이 미령 선거구에 자리를 잡고 의원직을 역임하였다. 임시의정원 미령 의원은 이들의 정치적 결정을 지지했던 세력에 의해 대표성을 가졌다. 재미 한인사회에 대한 임시정부의 끊임없는 관심과 연대, 그리고 임시정부를 향한 재미 한인사회의 지지와 책임감이 임시의정원 미령 의원 선출의 근원이었다.

      • 상해판 『독립신문』의 발간 주체와 성격

        이한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re-consideration of the main publication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Dokrip Sinmun(The Independence)』 published from August 1919 to November 1926. Because the 『Dokrip Sinmun』 had the activities wit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ith having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t', it frequently called as 'the Bulleti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when looking about the people who operated the 『Dokrip Sinmun』 and direction of an argument tone of the 『Dokrip Sinmun』, there is doubts on decisions of the 『Dokrip Sinmun』's characteristics. Unlike the previous study judged that the main publication subject of the 『Dokrip Sinmun』is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actual main publication subject that operated the company and published the newspaper was the 'the group of Chang Ho Ahn(安昌浩).' 'The groupd of Chang Ho Ahn' designates the people who gathered by Chang Ho Ahn, and theses people had the headquarter in the west-north regions and friendship with Chang Ho Ahn. And, it designates the member of the 'Hong Sa Dan' organized by Chang Ho Ahn and other related people. Also, it includes the people who had same political aims and activities like assembly of the public representative conferences with Chang Ho Ahn. In other words, it was the Chang Ho Ahn and his people who led the 『Dokrip Sinmun』. Not only the『Dokrip Sinmun』was not belong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it was not belong to any organization for the financial support, the 『Dokrip Sinmun』 suffered from the continuos financial difficulties. Thereupon, Chang Ho Ahn kept trying to mobilize all the his connections and abilities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 The reason that he asked Seoung Hak Kim(金承學) to operate the 『Dokrip Sinmun』 was the one way to strengthen the financial foundation. Because of these his efforts, the latter Dokrip Sinmun was able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s from the 'Tong Ui Bu' (the Korean army organized in 1922 for independence against Japan) and 'Jeong Ui Bu' (the united Korean militia organizations organized in 1925 against Japan, Jeong Ui Bu was organized when the Tong Ui Bu began to disorganized, both organizations had activities in the Manchu regions) of the Manchu. Like this, the 『Dokrip Sinmun』published under the leading by the group of Chang Ho Ahn showed the changes on its argument tones depend on the their situations and movements. Before the Unity Government established (1919.11), previous Provisional Government led by the Chang Ho Ahn substantially. Because of this, it was same to represent the Chang Ho Ahn's situation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s situation at that time on the 『Dokrip Sinmun』, but because the 『Dokrip Sinmun』was not the bulleti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t is hard to say that the 『Dokrip Sinmun』's points of the view were same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s after establishing the Unity Government. After establishing the Unity Government, 'the group of Chang Ho Ahn' tried to grope the relationship of the each group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at had formation of Chang Ho Ahn· Dong Hui Lee(李東輝)· Seoung Man Lee(李承晩), but in same time, the opinion differences of the each groups could be found. The opinions of 'the group of Chang Ho Ahn' regarding these issues was expressed on the Dokrip Sinmun directly. However, it is true that the 『Dokrip Sinmun』at that time had the positions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 friendly similar to the first time. Thus, i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of the 『Dokrip Sinmun』 had the friendly positions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from the times that Chang Ho Ahn left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asserted the summons of the public representative conferences (1921.5), the 『Dokrip Sinmun』 turned his positions to anti-Provisional Government with writing up the articles about the summon and opening of the public representative conferences. Like this, the 『Dokrip Sinmun』represented the group of Chang Ho Ahn who were the main publication subjects, and it changed the its characteristics depend on the their opinions and movements. 이 논문의 목적은 1919년 8월 상해에서 창간되어 1926년 11월까지 발행되었던 『독립신문(獨立新聞)』의 주도 세력과 『독립신문』의 성격을 재 고찰해 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독립신문』은 ‘독립’의 목적을 가지고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그 활동을 나란히 하였기 때문에 ‘임시정부의 기관지(機關紙)’라는 수식어가 흔히 따라다녔다. 그러나 사실상 독립신문사의 운영을 담당했던 인물들과 『독립신문』의 논조 방향을 살펴볼 때 이러한 성격 규정은 의심의 여지가 있다. 선행의 연구들에서 『독립신문』의 발간 주체를 임시정부로 판단했던 것과는 달리 실질적으로 독립신문사를 운영하고 『독립신문』을 발간했던 주체는 ‘안창호 그룹’이었다. ‘안창호 그룹’이란 안창호를 주축으로 모인 사람들을 지칭하며, 이들은 서북지방을 그 근거지로 하고, 안창호와 우호적인 친분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안창호가 조직한 흥사단의 단원 또는 그 관련인물 등을 지칭한다. 또한 국민대표회의 소집 등과 같이 안창호와 동일한 정치적 지향점을 가지고 행동을 함께 했던 인물들도 포함되었다. 즉 『독립신문』을 주도한 건 안창호와 그의 사람들이었다. 독립신문사는 임시정부의 속해있는 기관이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재정지원을 해줄 어떤 기관에도 속해있지 않았기 때문에 창간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재정난에 시달렸다. 안창호는 이에 자신의 인맥과 능력을 동원하여 독립신문사의 재정적 지원을 받기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만주의 독립단 대표로 활동하던 김승학에게 독립신문사의 경영을 부탁한 것도 재정적 기반을 다지기 위한 한 방법이었다. 때문에 후반기 『독립신문』이 만주의 통의부와 정의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던 것도 안창호의 노력에 의한 것이었다. 이렇듯 ‘안창호 그룹’의 주도 아래 발간되었던 『독립신문』은 그 논조에서도 그들의 입장과 행보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통합정부가 출범(1919.11)하기 이전 임시정부는 실질적으로 안창호 주도의 일인체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때문에 이 시기 『독립신문』은 안창호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임시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선전하는 것과 같았다. 그러나 사실상 『독립신문』은 임시정부의 기관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후 통합정부가 출범 후부터는 『독립신문』의 입장이 꼭 임시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통합정부 출범 이후 안창호․이동휘․이승만의 3인 체제가 확립된 임시정부 내에서 ‘안창호그룹’은 각 파와의 연대를 모색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동시에 이들 각 파와의 의견 차이도 드러내게 된다. ‘안창호 그룹’의 이러한 견해는 『독립신문』을 통해서 그대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독립신문』은 첫 번째 시기와 마찬가지로 친여지(親與紙)로서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이렇듯 1기와 2기의 『독립신문』은 친(親)임시정부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안창호가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국민대표회의 소집을 주장하게 된 시점(1921.5)부터 『독립신문』은 ‘안창호 그룹’의 행보에 따라 국민대표회의 소집과 개최에 대한 기사를 실으며 반(反)임시정부의 입장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이렇듯 『독립신문』은 그의 발간주체였던 ‘안창호 그룹’을 대변하며, 그들의 입장과 행보의 변화에 따라 그의 성격을 달리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