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유 교육 연구 : 박지원의 호질을 중심으로

        이지선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76

        이 연구는 은유 이론을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은유 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연구이다. 문학적 은유의 교육적 가치는 시학적 수사인 동시에 텍스트 수용자의 인식 지평을 확장하는 사유 도구라는 점에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해 텍스트 생산・수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은유의 기능적・작용적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서구의 은유 이론과 동양 시학의 관점을 함께 살펴 은유 교육의 가치・성격・목표에 관한 다층적인 시사점을 찾았다. 또한 「호질」을 분석해 은유의 인식적 기능을 예증하고 실제 교수-학습 가능태를 예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은유 현상이 ‘기표의 축자적 기의와 실제 기의가 다른 현상’이며, 이러한 기의의 이중성은 단어・문장・담화 텍스트 차원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전제한다. 이는 기존 교육이 은유를 표현법의 문제로 축소시켜 온 것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은유 현상에는 문학적 은유를 포함하여 문학적이지 않은 은유 등 다양한 층위의 기호가 포함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문학적 은유’라고 인식되는, 장식적 수사만을 논의 대상으로 한정하기 위해 문학적 은유의 조건이 ‘수용자가 생산자가 기의의 이중성을 의도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텍스트’임을 밝히는 작업도 같이 진행하였다. 텍스트 생산 측면에서 문학적 은유는 인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텍스트 생성 기제다. 은유는 인식을 외화하고, 장식적 기능은 수용자들을 표현에 주목시킨다. 우언과 전거 수사는 은유의 인식적 기능에 따른 은유 원리가 담화 수준의 생성 문법으로 장르 양식화한 것이다. 텍스트 수용 측면에서 은유는 사상(事象)을 구조화하여 인식하게 하는 도식의 역할을 한다. 이때 유사성과 이질성이라는 은유의 원리에 따라 수용자의 사고 양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유사성에 의해 텍스트를 해석할 경우에는 vehicle은 tenor의 의미 탐색의 전제가 된다. tenor와 vehicle 사이의 이질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제3의 의미가 귀납적으로 생성된다. 각 과정을 통해 수용자의 인식 지평은 확장된다. 은유 교육을 설계하는 논의인 3장에서는 2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 내재・외재적 목표를 고려하여 은유 교육의 성격과 목표를 재정립하였다. 은유 교육의 성격은 ①수사 교육, ②사고 교육, ③원리 교육이다. 수사 교육은 교육의 외재적 목표와, 사고 교육은 교육의 내재적 목표와의 연계성이 강한 성격이며, 원리 교육은 두 목표 측면을 모두 포괄한다. 이를 통해 ‘은유라는 수사에 대해 교육’하는 외재적 목표와, ‘은유적 사고 능력의 지속적인 발달 교육’이라는 내재적 목표의 조화를 꾀했다. 또한 은유 교육의 성격에 따라 은유 교육의 내용 요소의 범위와 위계를 밝혀 설계 준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수사적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이 비평 능력을 지녀야 한다는 점에서 내용 요소를 선정했다. 은유의 원리에 따른 학습자 사고 특성에 따라서는 유사성에 의해 vehicle에서 tenor로 ‘넘어가기’와 이질성에 의해 제 3의 의미를 ‘찾아내기’로 대별된다. 수준별로 위계화한 것은 원리 교육을 근거로 한 것이며, 교재・지식의 성격・학습자의 활동 양상을 변인으로 하여 교육 내용은 위계화하는 준거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호질」의 분석을 통해 은유의 인식적 가치와 교육 필요성을 예증하고자 한다. 「호질」은 인식적・장식적 목적을 모두 내재한 동양의 의론(議論)류 산문 텍스트이자, 은유가 텍스트 문법으로 작용하는 우언 양식이며, 한편으로 해석이 분분한 텍스트로서 유사성이나 이질성에 주목했을 때 그 해석 결과가 달라짐을 밝힐 수 있는 텍스트다. 「호질」은 유사성에 기반했을 때 청(淸) 혹은 조선의 현실을 은유한 것으로 해석되고, 이질성에 의해서는 인물성동론의 주장이 도출된다. 이 연구는 동・서양 시학의 은유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은유의 개념과 원리를 교육적으로 재해석한 연구이다. 특히 전통 이론과 새로운 이론을 양립하여 은유 교육이 학습자의 인식 확장과 전환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교육적 가치를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양반전>과 <호질>의 풍자 구조 연구

        김태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487

        이 논문에서는 한국 문학의 巨峰이라 일컬어지는 연암 박지원의 문학 작품 중에서, 작품 속에 담겨 있는 사상뿐만 아니라 풍자의 구조나 기법 면에서 大家의 작품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는 <양반전>과 <호질> 두 작품을 택하여, 각 작품이 가지고 있는 풍자의 구조를 밝히고 두 작품의 풍자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그러한 풍자의 구조가 당시의 시대 상황 속에서 작가의 의식을 어떤 식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호질>에서 풍자의 주체로 작품 속에 등장하는 범은 ‘비현실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국외자’인 동시에 ‘객관적 관찰자’, 그리고 ‘인간과 사물의 본질을 포착할 수 있는 절대자’인 동시에 ‘심판자’로서,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인간과 사회의 감추어진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절대적 투시안을 지닌 존재이다. 반면에 <양반전>에서 풍자의 주체는 표면적으로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군수로서, 양반을 팔고 사는 부도덕한 행위를 고도의 트릭을 사용하여 저지하면서 풍자하는 냉철한 인물이다. 두 작품의 풍자의 주체인 범과 군수는 내포 작가의 가치와 의식을 대변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풍자 주체가 현실 세계에 등장하면서도 그 정체를 끝까지 숨김으로써 독자들에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는 숨은 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양반전>과, 풍자 주체를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절대적인 존재로 알레고리화함으로써 현실 세계의 구석구석을 투명하게 비추며 매섭게 질타하고 있는 <호질>은, 서로 상반된 양상으로 풍자의 주체를 작품 속에 등장시키고 있다. 구조면에서 보면 <양반전>은 내포 독자들에게까지 풍자의 주체와 풍자의 대상을 감춤으로써 이 작품의 주제를 포함한 의미에 대하여 다양한 층위의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는 숨은 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의 풍자 구조는 군수가 양반 매매의 사실을 확인한 후 보여주는 사건 전체가 반어적 트릭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에, 겉으로 드러나는 풍자와 안에 감추어져 있는 이면적인 풍자의 이중적 풍자 - 다시 말해 겹풍자 -의 구조를 파악하게 되면서 가능해지게 된다. 반면 <호질>은 <양반전>에서의 내포 작가에 의한 의도 감춤과 그에 따른 숨은 구조와는 다른, 액자식의 중층적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내포 작가는 1장에서 2장으로 다시 2장에서 3장으로 옮겨가면서 동일한 풍자 대상을 서술 방식을 달리 하면서 반복적으로 풍자하고 있는데 여기서 작품 공간의 상이성은 일반과 특수, 보편과 개별이라는 차이점을 발생시키면서 동일한 내용의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구조의 중층화를 통한 풍자의 점층적인 심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암은 사상적으로 전통 관념의 붕괴와 근대의 기점으로 볼 수 있는 시기, 즉 민중의 자각과 실학이 대두될 즈음에 생존했기 때문에 이러한 시대적 교체기의 사상적 갈등은 작품의 풍자 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양반전>의 숨은 풍자 구조와 <호질>의 전, 후지를 포함한 중층적인 풍자 구조는 연암이 자신이 속한 士 계층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도 그 계층을 전면적으로 부정할 수 없었던 작가 자신의 고뇌가 만들어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암의 <양반전>과 <호질>은 주제뿐만 아니라 작품의 구조가 시대 상황이나 작가의 의식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among the works of Yeon-Am Park Jee-Won, reputed to be a peak of Korean Literature, I chose two, <Yangbanjeon> and <Hojil>, which, in the respect of not only thoughts included in the literary work, but also the satiric structure or technique, show the features of a distinguished writer's works in full extent. I clarified the satiric structure in each work, and compa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sides, I examined how such satiric structures reflect the writer's thoughts in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Hojil> Bum, the subject of the satire, is the one who appears as an outsider existing in the unrealistic world and atthe same time an objective observer, and a judge as well as the Omniscient who can grasp the meaning of the essence of humans and matters. He is unique in this literary work in the way that he possesses a clairvoyant power, understanding the hidden essence of humans and the society. The subject of the satire in <Yangbanjeon>, on the other hand, is the magistrate not revealed on the surface specifically, but who is a hard-headed person obstructing and satirizing aristocrats' immoral conduct-selling and buying the social status of aristocrats-with powerful tricks. The subject of the satires in each literary work, Bum and the magistrate, share the common features in thatthey represent the writer's value and thoughts.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y, each literary work displays the subject of thesatire in the opposite way; in <Yangbanjeon>, the subject of the satire appears in the real world, though it never reveals itself throughout the story. Thus, by assuming the hidden structure, <Yangbanjeon> explores the possibility for readers to interpretthe subject of the satire variously. On the other hand, in <Hojil>, the subject of the satire shows clearly and scolds severely every corner of the real world as an allegorized, absolute being who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Regarding structures, <Yangbanjeon> covers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satire even to readers , thus through the hidden structure broadening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in various levels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satire. The satiric structure of this literary work is not fulfilled until the last moment when the magistrate realizes that the overall eventis an ironic trick after he finds out the selling and buying the status of aristocrats and understands both the outward structure and inside structure- that is twofold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Hojil> shows a picture-framed,layered structure, different from <Yangbanjeon> where theintention of writer is covered and accordingly the story takes the hidden structure. writer, while he moves on from chapter 1 to chapter 2 and again to chapter 3, satirizes repeatedly the same object of the satire just changing the way it describes. Here,different places in the story produc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particular, universal and separate, and they can be regarded to have contributed in great deal to successive deepening in satire through layered structure, not just by repeating thesame story. Because Yeonam lived at the time when in the respect of ideology traditional thoughts collapsed and modern age started -that is when people's consciousness and practical science were just about to appear-, value conflict in the change of era influenced the satiric structures of the literary work and it in turn can be thought to have offered the fundamental cause to bring about the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In other words, the hidden structure in <Yangbanjeon> and layered satiric structure in <Hojil>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author's distress that while he criticized problems of the upper class where he belonged, he could not completely denied it. Therefore Yeonam's <Yangbanjeon> and <Hojil> are all the more meaningful literary works in that not only the themes but also the structures show how vividly they are closely co-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authors' lifetimes or to his thoughts.

      • 협동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호질>의 교육 방안 연구

        엄주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439

        This paper has analyz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combining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rough cooperative writing in <Hojil> study, where based on <Hojil>, the subject for criticism was selected among the incongruous appearance of modern society or hypocritical appearance of ruling class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attitude on the writing of students by examining the entire process of completion through the cooperative writing of a piece of the story using a variety of expressions such as anthropomorphism and satire. This study has propos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rough cooperative writing of <Hojil> which was screened by the author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rough cooperative writing of Taek Hwan Oh and has introduced its features in detail. It consisted of 1 period for presentation, assessment, modification and submission, 1 period for original text study on <Hojil> for the introduction of writing, 1 period for designing the transformation text for deployment phase of writing, 1 period for fundamental and deepening phase of transformation text and the transformation text was completed as the last phase. It has aimed the calculation of transformation text as its goal after studying the <Hojil> and configured by expecting a significant growth in entire process of calculation. When the entire process of completing the modern-day version of <Hojil> is progressed by selecting the similar theme as <Hojil> and by using a variety of expressional methods shown in <Hojil> through cooperative writing, many ideas will be radiated. In addition, due to the cooperative writing activities with colleagues, it is expected to eliminate the difficulties of the students on the classical literature thereby providing more easiness and interests. When looking at the results after progressing the actual study, combining the <Hojil> with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rough cooperative writing is thought to be an effective model for increasing the learning comprehension on classical literature which forms a positive attitude on writing, and it can be seen as a suitable model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n the original text study along with growth of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Although there are some insufficient points in objective assessment parts, but the study should be made on continuous basis so that classical literature can be more interesting and informative to the students.

      • 연암소설의 풍자성 연구 : 「양반전」,「호질」,「허생」을 중심으로

        정주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391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학에서 풍자의 대부라 일컬어지는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 중에서도, 작품의 구조나 기법 면에서 풍자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 「양반전」, 「호질」, 「허생」 세 작품을 선택하여,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풍자의 구조를 밝히고, 세 작품의 풍자 구조 속에 반영된 작가의식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연암소설의 풍자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먼저 문학과 관련된 풍자의 일반적인 성격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암소설의 풍자양상을 풍자의 구조와 더불어서 풍자의 대상과 주체, 풍자의 방법, 풍자의 목적 등의 영역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연암의 작자의식을 고찰하였다. 연암소설의 풍자대상은 개인적 차원의 심판대상과 사회적 차원의 고발대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개인적 차원에서는 「호질」을 통해 인간의 위선과 허식을 주된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는 「허생」을 통해 지배 계층의 무능으로 인한 빈곤과 낙후된 경제구조, 「양반전」을 통해 신선과 같은 허황된 관념이나 운운하는 양반계층의 허식적인 사고방식 등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풍자기법의 양상은 (1) 하층문화적 언어 사용 (2) 비유적 표현의 구사 (3) 아이러니 기법의 사용 (4) 희화화된 인물의 설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연암의 소설은 일상어와 비속어를 사용함으로써 양반의 위선과 허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비유적 표현과 아이러니, 희화화를 사용함으로써 당대 사회의 부정한 모습을 우회적으로 공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암의 소설에서는 대상을 비판하고 처벌함으로써 부정한 모습을 고발하고자 하는 파괴적인 풍자목적과 대상을 비판하고 고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정과 개량의 대상으로 형상화 시키려는 건설적인 풍자목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연암이 양반의 신분으로서 전적으로 당대 사회의 모순을 처벌하고 비판하는 것을 풍자목적으로 했다고는 볼 수 없다. 그렇다면 연암소설에 나타나는 파괴적인 풍자목적도 당대 양반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연암의 소설들은 풍자를 통하여 인간과 사회의 부정을 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교정하려 함으로써 인간사회를 보다 나은 상태로 개혁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thesis, among the works of Yeon-Am Park Jee-Won, reputed to be a peak of Korean Literature, I chose three, <Yangbanjeon>, <Hojil> and <Housaing-Jon>, which, in the respect of not only thoughts included in the literary work, but also the satiric structure or technique, show the features of a distinguished writer's works in full extent. I clarified the satiric structure in each work and I examined how such satiric structures reflect the writer's thoughts in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order to study his satiricality, first of all, I sketched out what general satire is. I, also, analyzed the satirical patterns in his novels into three dimensions : subject, method, and purpose. The subject of his satire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personal and social aspect. In personal aspect in <Hojil>, hypocrisy and affectation are the major subjects. In social aspect in <Housaing-Jon> and <Yangbanjeon>, the subject are poverty and underdeveloped economic system due to capability of the rulers, the social atmosphere replete with deceitful thoughts, the unjust employing system based on lineage, embellished fidelity of wife, and so on. There are four kinds of method in his satirical pattern: (a) common and slang expressions, (b) figure of speech, (c) irony (d) a ridiculous figure. It means that by using the common and slang expressions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he uncovered the hypocrisy and facade of the upper class, and by using figure of speech and irony he attacked the social dishonesty in an indirect way. The purposes of his satire are divided into two kinds: the purpose of accusation of corruptness by giving relentless criticism and punishment to the subjects, and the purpose of not just criticizing and accusing the subjects, but making them corrected and improved. The former has a destructive purpose but the latter a constructive one. It is not necessarily true, however, that his purpose was criticize and find fault with the discrepancy of his times. Therefore, the destructive purpose should be considered as on of the ways of revealing the aristocratic hypocrisies. In conclusion, by the satire in his novels we can see the attempt to blame unclean human and society and the ultimate purpose of making the better society by correcting it.

      • 燕巖小說의 諷刺的 樣相 硏究 : <良班傳>·<虎叱>·<穢德先生傳>을 中心으로

        심정흠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388

        연암 소설작품 중 <兩班傳>·<虎叱>·<穢德先生傳>을 중심으로 연암소설의 풍자적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兩班傳>에서 연암은 양반의 신분으로서 당연히 배운 지식을 통해 어리석은 백성을 구제하고 이끌어가야 하거늘 도리어 양반이라는 신분적 권리를 악용하여 백성들을 속이고 재물을 탐내는 양반들의 사기성을 부각시키고, 이런 부류의 양반들의 부도덕한 사기행각은 양반정신을 상실한 채 살아가는 그들의 삶 자체가 일언의 가치가 없음을 강조하여 '상놈만도 못한 양반'임을 풍자하고 있다. <虎叱>에서는 북곽선생과 같은 집권계층이 동리자처럼 가정과 가족이 함께 하지 않는 결손가정을 사회적으로 구제하지 않고 외면한 채 파벌과 당쟁을 일삼고, 오히려 그 가족제도의 틀 안에 있지 못한 사람들을 향하여 양반 스스로는 제도를 무시한 채 욕심을 부려 당시 가정제도 속의 윤리를 범하는 비도덕적인 행위를 일삼는 것을 통해 가정과 가족제도의 모순을 풍자하고 있으며, 호랑이를 영물로 치켜세우는 반면 상투를 한 양반을 毒物로 격하시켜서 '짐승만도 못한 양반'임을 풍자하고 있다. <穢德先生傳>에서는 최하층 인물인 엄행수가 똥을 쳐서 먹고 사는 건실한 생활태도를 그림으로써 당시 양반들의 無爲徒食하는 생활을 비판하고, 노동은 신분과 직위를 막론하고 귀중한 것이며, 노동을 함에 있어서는 그 어떤 貴賤의 차별이 있을 수 없음을 풍자하고 있다. 결국 연암에게 비친 그들은 '똥을 쳐서 먹고사는 천인보다 못한 양반'이었던 것이다. I have reviewed and studied on modality of the satires reflected upon Yeon Am's novels, specifically centering around <Yangbanjeon>, <Hojil> and <Yedeokseonsaegjeon>. Following is recapitulation of my study. Yeon Am, in his novel <Yangbanjeon>, reflects fraudulent practices of Yangban (the aristocrat) who are greedy only for money and for acquiring more than what they need and deserve by means of deceiving populace taking advantages of their social status, nevertheless they should have to help and lead those ordinary people in lower class with their knowledge and advanced learning. He also put emphasis on such aspects as that fraudulent behaviors by those aristocrats, who already have lost spiritual grounds as Yangban, are not worth a while to think about even once, and attacked their vice or folly satirizing an aristocrat who is much inferior in quality to a simple fellow in lower class. In his novel, <Hojil>, Yeon Am criticizes the ruling class such as Teacher Bukgwak for he is only interested in his faction giving up to party squabbles without having paid any attention to broken families like Dongnijas and provided any supports and rendered any remedial services for such families with misfortunes. He rather becomes excessively desirous of acquiring his personal riches disregarding social institution and decorum victimizing those who are not in a frame of regular family system. Yeon Am attacks such ruling class and criticizes the family and the family system by means of satire in that the aristocrats ruin the ethics of family system of those days through repeated unmoral behaviors. Depicting and respecting tiger as a sacred being, while degrading Yangban as a hazardous object, Yeon Am attacks the ruling class by describing them as creatures that are no more worthy than greedy animals. In the novel, titled, <Yedeokseonsaengjeon>, Yeon Am describes a character who belongs to the lowest social class but having sound attitude in making his living by means of collecting night soil in that he criticizes the aristocrats of those days who are doing nothing but carry idle lives, and also he emphasizes through this satire that labor is valuable despite social status and class, and there are no higher or lower rank, and all are equally honorable in doing labors. In consequence, those figures belonging to ruling class at that time, in Yeon Am's eyes, are just Yangban who are much inferior in quality even to the man in lower class who makes living by collecting night soil.

      • 燕巖「虎叱」의 諷刺性 硏究

        김두례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374

        Among Yeonam Bakjiwon's literary works, The satirical aspect of Yeonam's novel is displayed laying stress on Hojil showing without a pity ability of great scholar. The summarize of the effect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Hojil is work that satirize the hypocritical virtuous gentleman's double human nature through tiger's reproof at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it is work that inherit tradition of Gajeon, in a way that target of satire that appear to Hojil is teacher Bukgwak, Seokdeokjiyu, and subject of satire is tiger, an animal. Teacher Bukgwak in Hojil was person who becomes the model of moral principle as is having a lot of scientific achievements in surface, but he was hypocritical person who come in and out widow's door at night, and is person who indulged doctrinarianisrn than practical study, and rationalizes human inequality by asserting the theory of Inmulseongsanginon. He retained moralist's state in Gojilhwa that he indulges consistently flattery and does not take off mask of hypocrisy in front of tiger which reprove own mistake. The reason that this work looks better in a satiric work is that an animal, tiger is to twists, despises, and scolds a person- confucianist that is control class at that time, and there is in value conduction to expose sharply and criticize severely his hypocrisy argutely to a person that is dignified phenomenally and is first great scholar at that time. Tiger which appear within work to subject of satire here, is the outsider and simultaneously the Objective observer who exist In the unreal world, and is the human and absolute and simultaneously Simpanja who can catch essence of human and things. And it is existence that retain the absolute clairvoyant power that can grasp the hidden essence of human and society uniquely in this work. Tiger lightens limpidly and scold acrimoniously every places of the real world by doing Alregorihwa the satiric subject by a absolute existence that do not exist in the real world. In a single word, Hojil indulges public interest idle talk through the scold of tiger as it appears to the title, and fall in vanity and does and wished to show hypocritical real image of the Yangban classes that flatter to the power classes. Especially about the hypocritical confuclanists, it is to expose their unsure and deceptive acts by jest and satire. Finally, the consciousness of these subject appeared in that the social phenomenon of that time is projected in literature, and the cool-headed writer's consciousness to try to realize the prosecution and criticism for the actuality of that time at the same time is filled in 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Yeonam's novel accomplished a brilliantly bright pyramid in Korean History of Arts, and that made a new origin of satiric novel and became a big coordinate of Korean History of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