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유산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가상박물관 활용방안 연구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해석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선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re are various meanings and values in heritage, and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and explain properly the various values of heritage in an equal position. The Ename Charter(2008),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ICOMOS), emphasized the need for all-round activities to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terms of heritage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of heritage using digital technology can more clearly convey the authenticity and value of heritage compared to analog data, and can be visually provided by integrating various value information of heritage. Digital capacity to deal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an essential competency of professionals to interpret and explain heritage, and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can function as a way to interpret and explain heritage and an essential factor to build capacity of heritage professionals. Heritage professionals are in a position to plan and provide content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of the value of heritage, and are in a social situation where digital capabilities must be exerci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ritage management, education and research. As such, the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y of heritage professionals is essential, and in particular, the role of practical professionals, including field managers, is important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heritage. As an effective method of building the capacity of professional manpower,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utilize content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In this study, utilization of virtual museum for building capacity is presented. The target to be applied to the virtual museum was limited to Jeju World Heritage in natural among World Heritage sites, and the target of capacity building using the virtual museum was set as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convey the contents of the study, "digital content for heritage interpretation, that is, created in digital form to increase the utility of interpretation" was named ‘interpretation content’.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 World Heritage capacity and Jeju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and Jeju field surveys, and research related to virtual museums was conducted together. After that,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building World Heritage capacity were derived.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is, a curriculum using virtual museum was planned for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and a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urriculum content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FGI to evaluate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need for digital capabilities of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and the signific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virtual museum proposed in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the evaluation result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content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re being proposed. In this situati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can function as an essential factor to practice building capacity.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virtual museums as an effective method of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 of heritage, and suggests ways to build the capabilities of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유산에는 다양한 의미와 가치가 존재하며, 유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를 동등한 위치에서 전달할 수 있는 올바른 해석과 설명이 중요하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ICOMOS)에서 채택한 에나메헌장(2008)에서는 유산 해석 측면의 대중적 이해도와 인식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산의 해석과 설명은 아날로그 자료와 비교했을 때 유산의 진정성 및 가치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유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 정보를 통합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다루기 위한 디지털 역량은 유산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전문인력의 필수적 역량이 될 수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유산의 해석과 설명을 위한 방안이자 유산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를 실천할 수 있는 필수적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유산 전문인력은 일반 대중에게 유산에 대한 가치를 알리기 위해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공하는 위치에 있으며, 유산의 관리부터 교육과 연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 사회적 상황에 놓여 있다. 이처럼 유산 전문인력의 디지털 활용 역량은 필수적이며, 특히 유산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는 현장관리자를 포함한 실무 전문인력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문인력 역량강화의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의 적절한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가상박물관에 적용할 대상은 세계유산 중에서도 제주 세계자연유산으로 한정하였고,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역량강화 대상은 세계유산 전문인력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유산 해석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즉 해석의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형태로 제작한 것”을 ‘해석콘텐츠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제주 현지조사를 통해 세계유산 역량강화 현황 및 제주 세계유산 해석콘텐츠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역량강화 방법으로 제안한 가상박물관 관련 연구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이후 세계유산 역량강화 실태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상박물관 활용 세계유산 전문인력 대상 역량강화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였으며, 교육 커리큘럼 내용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실제 세계유산 실무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FGI를 통한 교육 커리큘럼의 평가와 세계유산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으며, 평가 결과 분석 및 고찰을 통해 세계유산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필요성을 확인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상박물관의 유의미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다양한 콘텐츠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역량강화를 실천할 수 있는 필수적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 유산 해석과 설명 방법으로써 가상박물관의 활용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세계유산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안동지역 예술,교육, 생활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미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287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안동지역 예술·교육·생활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한국의 각 지역에 전승되는 전통문화자원을 문화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한 테마와 실천 활동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문화자원을 문화자산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상품을 개발해야 하고 개발된 문화상품을 통하여 지속적인 경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문화산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한국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전통문화자원을 보유한 안동지역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내용적 범위는 연구자가 직접 참여관찰이 가능한 예술·교육·생활문화 콘텐츠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문화자원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문화자원을 활용한 국내․외의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와 안동지역의 전통 문화자원에 대한 실태를 파악한 후, 지금까지 안동지역에서 개발된 세 가지 범주의 아홉 가지 사례에 대하여 기존의 지역문화콘텐츠를 스토리텔링과 해석학적 분석을 통하여 산출되는 지표를 가치사슬 구조에 대입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는 그 범위와 종류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이원태가 설정한 상징체계 분류기준에 따라 문화자원을 구분한 후 해석학적 시각에서 전통적 문화원형(文化原型)의 효율적인 전승 및 활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평가한 다음, Michael Porter의 가치사슬 구조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분석의 틀에 따라 새로운 콘텐츠 개발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역사 인물에 관한 스토리를 현대적인 예술 양식인 실경뮤지컬로 창작한 예술문화콘텐츠와 유아를 대상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문화콘텐츠, 그리고 지역에 전승되는 음식문화와 지역특산품을 활용한 생활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집중적으로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의 방법은 해석학적 평가와 스토리텔링기법 적용의 효율성, 그리고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 모형인 M. Porter의 가치사슬 이론과 심상민의 문화콘텐츠 가치사슬 이론을 접목하여 재구성한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가치사슬 구조 이론에 따라 분석하였고, 문화자원 개발 이론에서는 해석학과 스토리텔링 기법을 장소연계성 이론과 접목시켜 문화자원 개발론으로 발전시켰다. 이에 따르면 문화자원 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내부적 가치요인은 (1) 콘텐츠 제작의 질적 측면 (2) 기본적인 유통경로의 확보 (3) 마케팅의 방법 및 효율성이 지표 요소로 작용되고, 외부적 환경요인은 (4) 문화원형 발굴의 수월성 (5) 소비자 접근성 (6) 공공지원이 지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이 논문의 사례 분석 대상인 예술․교육․생활문화 콘텐츠의 모든 사례가 다소 차이점은 있지만, 안동지역의 문화자원은 해석학적 측면에서는 대체로 활용성이 매우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고, 스토리텔링 기법의 적용과 제작 및 문화원형 발굴 등에 있어서도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유통과 마케팅의 측면에서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았으며 공공지원은 대체로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논문의 사례 분석 대상인 안동의 기존 문화콘텐츠 개발의 성과는 콘텐츠 기획자 및 문화예술인들이 지역 전통 문화자원의 가치성 발굴과 활용도 제고 및 창의성을 발휘하여 비교적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지셔닝 맵 분석에 따르면 연령대별 분포도와 흥미유발 및 교육지향성 평가에서 표준분포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런 다양한 문화콘텐츠는 지역 전통문화자원의 가치구현과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민의 일자리 창출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 개발의 함의를 지역 밀착형 문화자원을 발굴하는 일에서 찾고 이를 통하여 안동지역에 적합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안동이 보유한 수많은 문화자원 중에서 복합문화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의 전통음식과 술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해 둔 대표적인 전통 조리서인 『온주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예술문화 콘텐츠와 교육문화 콘텐츠, 그리고 생활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도출한 몇 가지의 핵심적인 결론은 첫째, 안동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한 확인이다. 둘째로는 지역의 전통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그 특성상 오랜 시간과 엄밀한 검증을 요하는 작업이므로 하나의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긴 안목으로 접근하는 자세의 필요성이다. 셋째로는 지역의 문화콘텐츠는 지역문화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적극 발굴하여 지역민의 손으로 만들어야 해당 콘텐츠 속에 지역 문화의 정체성이 되살아난다는 점이다. 넷째로는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재원 확보가 관건이라는 점이다. 다섯째로는 지역사회에 적합한 콘텐츠의 규모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섯째로는 지역의 문화자원 중 종가나 문중과 관련된 자원들은 소유자들과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며 장소 선정에 유의해야 한다는 점이이다. 일곱째로는 성공적인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보유자의 적극성과 기획자의 창의성 그리고 관련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는 전달의 형식과 수단을 가질 때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고 개발된 콘텐츠가 산업적인 의미를 가질 때 문화콘텐츠산업은 발전할 수 있으므로, 이미 존재하고 있는 문화에 대해 적절하고 효율적인 전달방식과 수단의 확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국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문화의 본질적 특성상 오랜 시간과 세심한 검증을 요하는 작업이므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민간이 협력하여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기반이 되는 문화원형 발굴과 개발에 힘쓰고, 이를 상품화하여 새로운 지역문화산업의 핵심적인 선도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물론 개발된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성공 모델로 키워나갈 필요성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대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문화자원, 문화콘텐츠, 해석학, 가치사슬, 스토리텔링, OSMU, 온주법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 -Focused on Artistic, Educational and Living Culture in Andong Region- Jeon, Mee-kyung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Kwak, Tae-chun) This study has aimed in the analysis on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Andong region in the forms of artistic, educational and living culture and how those could be the means of re-creation of the regional culture in a most efficient way. Andong has been the core of Korean Confucious tradition from the early period and thus produced and inherited the vast amount of culture heritage as a birthplace of Korean culture of the Yangban (ruling class). From 1990’s, due to the diminishing aspect of growth engine of Korean economy,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have been seeking for the new way of industry promotion and the result was Andong’s appointing the traditional confucious culture as a core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Nonetheless, the public policy in industry promotion of central government of Korea mainly aims and focuses on Seoul metropolitan area only and the same one in local government is tend to focuses only on the achievement of immediate success. In this occasion, this study was contradicted by the defining the region of Andong as its core venue and focu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cultural content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Although there seems to be the various amount of cultural content based on traditional assets, this study was mainly for the 3 kinds of cultural content including 1) artistic content, 2) educational content and 3) living content, based on the prior study which categorizes the various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its symbolic presentation structure. For the analysis of artistic content, the researcher has referenced 3 major theoretical backgrounds, including, the hermeneutical analysis to access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ies in inheriting the original value of the culture, the way of storytelling to facilitate the cultural content and in addition, the basic model of ‘value chain’ created by Michael Porter, which has been adapted by Sangmin Sim fitted to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final analysis model has also been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aim of this study. 3 musical performances based on the historic figures in Andong region were selected, and for educational content another 3 performances mainly for the children for their deep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s, while for the living content 3 kinds of food inheritances in Yangban families. Literature survey on this topic has indicated that there are not a small amount of studies regarding the general aspects of cultural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studies of traditional culture, but the studies focused on Andong region has seldom been found. Thus, the analysis was done by the way of field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s regarding the whole scheme of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and production and the result. In addition, 6 major criteria were applied and those were, for internal production value chain, 1) artistic value of the production, 2) basic distribution and 3) marketing. For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support, another 3 criteria including 4) quality of original cultural sources, 5) consumer accessibility and 6) public financial support. For the artistic content,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ose could be assessed in a most positive way in the field of production and content sourcing, but to be enhanced are distribution and marketing. In a way of hermeneutics, all of them were marked as superb in inheriting the original value and the storytelling methods were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al content, it is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eem to have more rooms to be developed, while the production and sourcing were assessed in a most favorable way. When accessed in a way of hermeneutics, all of them were regarded to be remarkable and once again, storytelling methods were effective. For the living content, once again, the efficiency of inheritances specified as content sourcing and production itself were superb, but the need of marketing and public support for the sake of popularity and development were still needed. One concern it might have was in hermeneutic analysis, since one of them was combined with the other kind of content so to be worried due to its possible complexity.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es were as follows. It became clear that the popularity and further developments are badly in need for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learning content are needed. In addition, an integrated, professional and scientific marketing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re needed. The re-vitalizing and interpret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uses of mass media cannot be omitted. It is very clear that the culture can be transformed into the cultural content with its forms and means of transmission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ould be possible only with the industrial meaning. For the final conclusion, the need assessment indicates that there are needs of 1) deep understanding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Andong region, 2) a development based on long and accurate testing, 3) deep understanding on the regional culture and its industry, 4) to securing the financial sources for promoting the traditional culture, 5) frequen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Yangban families in Andong region and 7) active marketing efforts. *key word : cultural heritage,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OSMU, value chain, hermeneutical analysis, Andong region

      • 숲해설이란 무엇인가? : 자문화기술지에 의한 산림문화콘텐츠 해석

        유영초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15919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새로운 개념과 용어로 자리 잡은 ‘숲해설’에 대해 ‘문화콘텐츠’로서의 의미와 형성과정, 그리고 발전방안을 내 자전적 경험의 자문화기술지에 기초하여 밝힌 것이다. 자기의 체험을 바탕으로 자기와 사회를 연구하는 경향을 ‘자기연구’, ‘셀프스터디’, ‘자서전적 문화기술지’, ‘자문화기술지’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그러나 그 명칭이 무엇이든 간에 기본적으로 자기가 표현하고 주장하고자 하는 것을 위해 스스로의 체험과 자기의 역사를 질료로 삼는다는 점은 같다. 연구의 주체도 ‘나’고 연구의 대상도 ‘나’인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론을 선택한 것은, 연구주제의 역사와 내 개인의 생애사가 많은 부분이 중첩된다는 점, 문화콘텐츠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의 문제의식을 해결하기에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즉, 자문화기술지는 본 연구의 정합성, 확장성 그리고 주장의 내재적 당위성을 살리기 위한 연구방법론으로서 가장 잘 어울린다. 지난 20여년간 숲해설과 관계해 온 나로서는 늘 “숲이 나에게 무엇인가?”, “숲해설은 대체 뭐란 말인가?”, 또, “숲해설가는 누구인가?”와 같은 철학적인 질문들을 던지며 살아오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의식은 비단 내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며 나아가 국가의 정책적인 문제이자, 지구환경문제에 이르기까지 연결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연구주체로서의 ‘나’가 연구대상으로서 ‘나’를 사회문화적 맥락 안의 ‘나’로 대상화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는 자문화기술지는 본 연구에서 유용하고 효과적인 도구이다. ‘문화콘텐츠’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통해 생성된 가치물로서 행위자를 기반으로 하는 맥락적, 해석적 연구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자문화기술지의 방법론이 문화콘텐츠연구의 방법론으로서도 그 활용가치와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해설(interpretation)’이 한국적인 현상으로서 ‘숲해설’로 특화되고 다양한 해설의 영역과 지평이 확대되어 왔음을 살폈으며, 숲해설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산림문화콘텐츠’ 개념과 의의를 통해서 탐색하였다. 나는 ‘산림문화콘텐츠’는 산림이라는 공간적, 시간적, 생태적, 문화적, 지리적, 관념적 영토 내에서 인간이 맺는 모든 관계를 통해 생성하는 가치물이며, ‘숲해설’ 역시 산림문화가 담겨있는 가치물로서, 어떤 특정 공간과 시간에 어떤 사람이 말과 몸짓, 놀이, 매체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서 전달하는 무형의 문화콘텐츠로 정의했다. 또 숲해설은 해석학의 철학적 토대와 연결되어 있는 공간과 시간 그리고 인간이 소통하는 문화콘텐츠이며, 숲해설가는 해석을 통한 설명으로 문화콘텐츠를 생산, 유통, 담지하는 전문가로서의 문화적 정체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숲해설의 역사와 이론, 숲해설가의 법과 제도를 살피면서 숲해설가의 전문성과 전문가 정체성을 규명을 시도하였다. 특히 가(家)의 의미와 전문성의 고찰을 통해서 숲해설가가 ‘산림교육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서술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해설과 교육의 활동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들의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그것이 몸에 익혀지는 경험을 거치면서 비로소 전문가로서의 최소한의 전문성을 가질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나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해서 ‘숲해설’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해설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숲해설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정치적으로는 관련 행정 분야 확대에 기여했으며, 경제적으로는 단기적인 일자리 확장 등의 측면에서 기여했으며, 문화적으로는 생태, 관광, 등산의 여가 패턴과 유형에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으로는 여성의 사회활동에 기여한 바가 있고, 철학적으로는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이동, 즉 사물에서 사람으로의 시점을 이동시키고 있는데 기여한 바가 크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내 자신의 숲해설 경험과 발전과정에 대한 성찰적 분석을 통해 숲해설의 사회사적 맥락을 분석하고 산림문화콘텐츠 연구의 학문적, 실용적 가치기반을 제공하고자 한 점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산림문화콘텐츠라는 중심이슈를 발굴하여 하나의 이론으로 제기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숲해설’이 우리사회의 중요한 문화적 수하물(cultural baggage)임을 밝혔다. 특히 산림문화콘텐츠의 개념의 정의를 통해 문화콘텐츠로서의 숲해설의 의미를 제시했고, 해설의 철학적, 이념적 토대를 통해 해설의 본질적 의미와 역할을 밀도 있게 분석하여 좀 더 차원 높은 기능과 역할로 나아가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해설이 시간이 멈춰 있는 공간으로서의 박물관, 전시관, 수목원, 식물원에 비로소 시간을 부여하고 죽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서 인간 속에 다가가도록 촉매해 왔듯이, 숲해설 또한 숲과 문화에 숨을 불어넣어 생기를 돌게 하는 중요한 문화촉매 역할을 하는 문화콘텐츠임을 부각시켰다. 숲해설은 숲의 공간(空間)과 시간(時間) 그리고 인간(人間)이 생성하는 다차원의 문화콘텐츠이며 숲해설가는 특정 공간과 시간 속에서 어떤 구체적인 사물과 사건을 인간에게 매개하는 문화콘텐츠 전문가로서의 의미와 속성을 갖고 있음을 밝혔다. 해설은 인간의 유기체적 미디어(말, 소리, 몸짓)를 통해 소통되는 문화콘텐츠라는 점에서 사이버 공간과 시간에 갇혀 있는 디지털 콘텐츠나 로봇기술과 인공지능의 발전 속에서도 그 중요성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해설은 전시, 교육, 여가, 관광 등 제반영역에서 유력한 문화콘텐츠이며 발전전망이 있는, 혹은 발전시켜야할 문화산업임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적 단위 그리고 제도적 층위에서의 생태학적 발전방안이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맥락 속에서의 나 자신의 변화적인 자아의 형성과정을 성찰한 바, 숲은 나의 실존을 관통하는 분명한 실체로서 함께 해왔고, ‘밥하다’의 동사처럼 ‘숲하다’가 된 하나의 살아 움직이는 동사(動詞)로 함께 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숲해설이 나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며 숲체험, 숲태교, 숲해설가, 산림문화콘텐츠 등의 개념들은 내가 나를 분석하는 묵직하고 핵심적인 질료였음을 확인하였다. 자문화기술지의 궁극적 목표인 개인사를 통해 바라본 사회사의 맥락을 좀 더 밀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좀 더 내밀한 개인자료 등의 광범위한 분석과 더불어, 사회사의 흐름을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거시적 흐름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전망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reveals the meaning,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establishment of “forest interpretation” - a new concept and term in the Korean society as a cultural contents that is based on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This trend to do a study of one’s own experience and of one and society is referred to in various ways: “self-study”, “self-research”, “autoethnography”. In whatever ways it is referred to as, it is the same in that the basis is using self-experience and own history as a material to express and assert one’s opinion. The reasoning behind choosing myself as the study topic and subject is that it overlaps much of the history of the subject with my personal life. It can be presented as an important methodology in cultural contents research and mostly, that it is a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ology to resolve my problem awareness. Therefore, autoethnography is most appropriate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regards to improving the consistency, scalability and inherent justification of the study. As someone who has been a part of forest interpretation, I could not live without asking philosophical questions such as “What does the forest mean to me?” “What is forest interpretation?” and “Who is a forest interpreter?” However, this problem awareness is not only a personal problem to me but also a societal issue; furthermore, it is a country’s policy issue, and a world environmental issue. Therefore, autoethnography is a useful and effective tool in understanding myself as the subject and the topic of the study and myself within the society’s context. On the other hand, autoethnography is important in cultural contents study because “cultural contents” is a valuable object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arget, and rooted on the contextual and analytical research based on the actor. The validity and valu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autoethnography as a method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Through this study, I explored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forestry culture content and observed that ‘interpretation’ has been specialized as a Korean phenomenon, “forest interpretation” and has expanded the scope and horizon of various interpretations. I believe that “Forestry Culture Contents” is a value created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spatial, temporal, ecological, cultural, geographical and ideological territories of the forest and defined ‘forest interpret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contents in which a person delivers their words, gestures, play, and media in a specific space and time through various medium. In addition, I reveal that ‘forest interpretation’ is a cultural contents through which humans communicate with philosophical foundation of hermeneutics and ‘forest interpreter’ has a cultural identity as an expert i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upport of cultural contents. Additionally, I identify the expertise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forest interpretation through examination of history and theory of forest interpretation and law and system of the forest interpreter. In particular, in order for a forest interpreter to acquire expertise as a ‘forest education specialist’ (through examination of the meaning and expertise of family), I observe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in the activities of nar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explanation and education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the curriculum, and to have firsthand experience in order to have the minimum expertise as an expert. Hence, with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it wa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forestry education specialist’ as a novice of an introductory course. Therefore, I assert that rather than the title for the forest interpreter as ‘forestry education specialist’, the title ‘forestry education instructor’ is more true to the meaning of qualification and competence of an instructor. I try to analyze impact of ‘forest interpretation’ on the Korean society through autoethnography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The impact of ‘forest interpretation’ on our society has contributed politically to the expansion of related administrative fields, economically to short-term job expansion, culturally to the patterns of leisurely activities in ecology, tourism and hiking, socially to the social movements of women, and philosophically to the moving viewpoint of the world from an object to the person. The number of forest interpreters have grown steadily over the past two decades and the number of forest interpreters who were only about 10 people have expanded to be 10,000 people. Government jurisdictions have been newly established and expanded and forest education law and related laws were enacted and institutionalized. In addition, the forest interpretation promoted not only the forest interpretation itself but also a range of socially wide interpretation culture. This interpretation is not only about memorials, museums, centers, science museums, art galleries, exhibition halls, parks and forests, but also villages and historical sites, rocks and geology, rivers and tidal flats and even alleys and fences that were mere background sites that have been revitalized and are now dynamic. In particular, I analyze that the nature and cultural space centered on facilities and collection have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perception from ‘object centered’ to ‘people centered’, shifting the policy and focus to a “visitor centered” viewpoint through interpre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context of social history of forest interpretation and provi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value base of forestry culture contents research through a reflective analysis of my own experience of forest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is study, a central issue was discovered and presented as a theory and revealed that in the course of the study, ‘forest interpretation’ was an important cultural baggage of our society.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forest interpretation as a cultural contents is presented through the definition of forest cultural contents. Moreover, through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basis of interpretation, I intensively analyze the foundational meaning and role of the interpretation and try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more advanced functions and roles. The interpretation has given time to a time-lapse space of museums, exhibition halls,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and have given life to the dead history and tradition to become closer to the humans. The forest interpretation has also emphasized that they are cultural contents that act as an important cultural catalyst that breathes life into forests and culture. The forest interpretation is a multidimensional cultural contents created by the space, time, and human of the forest, and the forest interpreter is a cultural contents expert who has an attribute of mediating certain concrete objects/events and humans in a specific space and time. I also predict that interpretation will b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robot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re trapped in cyberspace and time, in that they are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communicated through organic media (words, sound, and gestures) of humans.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is presented as a cultural industry with development prospects or a cultural industry that should be developed as a powerful cultural cont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leisure, and tourism. For this purpose, I present ecological development plans on individual and social units and institutional levels. I present that from a personal perspective, in which creativity and character development are important for enhancing interpretation capacity; this creativity requires reaching the tacit understanding through firsth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enhancement. From a social perspective, I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 communication that say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and instead create social businesses such as village forest schools through a dense ecological network.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re is a need for fundamental paradigm shifts in politics,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short term, through educational innovation, the education system needs to establish a life cycle education system of nature and recognize nature such as forest and parks as a new educational platform in the AI era or technological innovation era and to build its system and infrastructure. In addition, the study reflects on the process of forming my own transformative self in a social context and confirms that the forest has been a clear entity that penetrated my existence and that it is an active verb of ‘forested’ like the verb ‘lived’. In particular, forest interpretation has contributed to the reconstruction of my identity. Concepts of forest experience, forest prenatal education, forest interpreters and forestry culture contents are substantial and important matters that I use in analyzing myself. Writing was a part of my healing process.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xt of social history in a more dense way through personal history -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autoethnography- ,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acro trends using the flow of social context, such as big data and to suggest future prospects and directions.

      • 자기해석 수준의 차이에 따른 가치 지향적 드라마 광고의 효과분석 : 가치 점화의 심리적 반응과정을 중심으로

        남철우 동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15919

        Advertising has been widely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for marketing and promoting drama cont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how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for drama contents is likely to determine viewer acceptance of drama contents. Here,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is an advertising message strategy that highlights core values via drama themes or characters. In this regard, four primary research objectives were specified. First, prior to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universal value dimensions particularly relevant to advertising context on the basis of an extensive review of the value literature. Secondly, in order to understand how an individual’s value influences the effect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this study focused on self construal level as a primary individual characteristic likely to possess certain value properties and investigated how self construal level relates to the effectiveness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unveil the psychological underpinnings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message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mary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wo value mediators as the key determinants of value-oriented message effect; that is,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Thus, the relationships among two value mediators and other related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were structurally analyzed. Finally, this study examined how an exposure to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would subsequently influence consumer responses to promotional messages for other media content usage in an indirect manner. Seven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five experiments (including pretests) were sequentially conducted in an attempt to verify (1) how self construal level and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affect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2) how the congruity between self construal level and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determines the message effectiveness (i.e,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s, viewing attitude, viewing intention), and (3) how an exposure to subsequent promotion message for media content usage is affected by congruity between self construal level and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The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alidated both the complementary and conflicting relationships among various value dimensions as conceptualized in Schwartz value system. In specificity, this study found conflicting relationships between “openness to change“ dimension and ”conservation“ dimension, and between ”self-enhancement“ dimension and ”self-transcendence“ dimension. Secondly, as a psychological mediator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value accessibility directly affected viewing attitude which in turn influenced viewing intention, whereas value importance indirectly affected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through its impact on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f value accessibility on advertising acceptance dissipated very quickly as a consequence of time elapse, whereas the impact of value importance on advertising acceptance persisted despite time elapse. Finally, self construal level which has been widely investigate in social science was found to largely account for the relative effect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and promotional messages for media content usage, respectively.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s how value-oriented drama advertising appeal and individual’s value characteristic interact toward the formation of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mainly through the mediation of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By uncover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ehind consumer responses to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useful guideline for implementing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as an alternative marketing and communication strategy.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콘텐츠의 마케팅·홍보수단의 일환으로 폭넓게 활용되어온 광고에 있어서 메시지 표현전략을 어떻게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고메시지 전략의 한 유형으로써 드라마의 주제나 등장인물 등을 통해 부각되는 중심적 가치를 연계한 가치지향적 광고(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방향은 크게 네 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전 단계로써, 개인의 가치체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광고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가치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가 개인적 가치체계의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소비자 행동영역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왔으며 가치적 속성이 밀접하게 연관된 개인적 특성으로써 자기해석 수준(Self-Construal Level)에 주목하였다. 셋째,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가 과연 어떠한 심리적 반응경로를 통하여 나타나게 되는지 그 심리적 매개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가치와 행위 간 관계를 매개하는 주요한 두 가지 가치적 특성인 가치의 접근성(value accessibility)과 가치의 중요도(value importance)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가치 접근성과 가치 중요도가 가치지향적 광고에 대한 수용과정을 어떻게 매개하는 지 구조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치지향적 드라마 광고에 노출된 경우 드라마에 대한 수용도와 별개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용의도 전반에 걸쳐서 간접적인 영향이 발생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1과 가설 2에서는 자기해석수준과 가치지향적 광고유형이 가치 접근성에 미치는 효과를 각각 가설화하였으며, 가설 3과 가설 4에서는 자기해석수준과 가치지향적 광고유형이 가치 중요도에 미치는 효과를 각각 가설화하였다. 다음으로 가설 5에서는 자기해석수준과 가치지향적 광고유형 간 부합성 정도에 따라서 메시지 수용도(등장인물과의 동일시, 시청태도, 시청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가설화하였다. 또 가설 6,7에서는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프로모션 효과가 자기해석수준과의 부합성 및 가치지향적 광고와의 부합성 정도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가설화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4단계의 사전조사와 본 실험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슈워츠의 가치체계에서 제시된 가치차원 간 대립적, 보완적 역학관계에 대한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Schwartz의 가치체계에서 제시된 개방성 차원과 보존성 차원이 대립적 관계에 있으며, 자기향상성 차원과 자기초월성 차원 역시 대립적 관계에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가치지향적 광고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응과정에 있어서, 가치 접근성은 주로 시청태도를 매개로 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치 중요도는 주로 등장인물과의 동일시를 매개로 시청태도 및 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간적 지체에 따라서 가치 접근성이 광고에 대한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는 빠르게 소멸하는 반면, 가치 중요도가 광고에 대한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는 비교적 지속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과학 영역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온 개인특성인 자기해석수준의 차이가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가치지향적 광고나 프로모션의 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개인적 특성에 부합하는 가치를 강조하는 광고메시지가 어떻게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심리적 매카니즘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면 향후 메시지 전략의 한 가지 접근방법으로써 가치지향적 메시지의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OTT 서비스 콘텐츠 추천 유형에 따른 소비자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고 무성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15917

        The global coronavirus pandemic has led to a rapid growth in the media industry and the entertainment industry, which has led to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economic profits of all OTT services since 2020 as people spend longer time working in limited spaces. In particular, as algorithm-based OTT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were provided to users, AI algorithm-based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played a key role in OTT-based platforms. Due to the rapid growth of AI algorithm-based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platform users can receive various recommendations such as customized content, latest content, and popular content similar to their tastes and tendencies. As a result, many researchers have been conducting research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ophisticated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but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according to individual users' personal preferences have been conducted very limi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users who use the video platform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and examined how users who received various algorithm-based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influence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latform, especially suggesting users' self-interpretation tendency as a factor to control it. We also looked at how users' perceived ease of use on algorithm-based innovative content recommendation platforms and users' resistance to innovative OTT content recommendation platforms that recommend videos to users affect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consumers using the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video platfor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video platform varies according to the consumer's tendency to self-interpretation level (interdependent vs. independent) using the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Specifically, users with an independent self-interpretation level showed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video platform than users with an interdependent self-interpretation level, and those with an interdependent self-interpretation level were more likely to continue using the video platform than those with an independent self-interpretation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er'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resistance role in the type of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ed on the platform, 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latest content recommendation, and popular content recommendation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user resistance. In other words, the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ed on the video platform is a result of showing that the user perceives that it is less inconvenient to use the video platform and the easier it is to watch it more skillfully. In addition, since all three types of content recommendations are innovative and new technologies, 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s and popular content recommendations have established appropriate standards in terms of accepting new technologi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user resistanc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erceived ease of OTT video platform users and user resista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ease of users while using the platfor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However, the resistance of us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lthough video platform users' resistance to innovative technologies has decreased a little as they use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still difficult to continue to accept in terms of continuous use of recommended algorithm-based recommendation services regardless of their own w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TT video platform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전 세계적인 코로나 펜데믹의 발생으로 인해 미디어 산업과 언터테인먼트 산업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2020년 이후 전 OTT 서비스의 경제 수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알고리즘 기반 OTT 콘텐츠 추천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면서 각종 영상 플랫폼에서 AI 알고리즘 기반의 콘텐츠 추천 서비스는 OTT기반 플랫폼의 핵심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AI 알고리즘 기반 콘텐츠 추천 서비스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플랫폼 이용자들은 자신의 취향과 성향에 유사한 맞춤형 콘텐츠, 최신 콘텐츠, 인기 콘텐츠 등 다양하게 추천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정교한 콘텐츠 추천 서비스가 가지는 긍정, 부정적인 측면에 관해서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를 세부적으로 이용자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서비스의 효용성을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통해 영상 플랫폼을 사용하게 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알고리즘 기반 다양한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받은 이용자들이 플랫폼 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살펴보았으며, 특히 이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이용자의 자기해석 성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알고리즘 기반의 혁신적 콘텐츠 추천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들의 지각된 용이성과 영상을 이용자들에게 추천해주는 혁신적인 OTT 콘텐츠 추천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저항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분석 결과 첫째, 영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모두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의 자기해석수준성향(상호의존적 vs 독립적)에 따라서 영상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독립적 자기해석수준성향인 사용자의 경우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받았을 때 영상 플랫폼의 지속사용의도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수준성향인 사용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수준성향인 사람은 최신 콘텐츠 추천, 인기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받았을 때 독립적 자기해석 수준성향인 사람보다 영상플랫폼 지속 사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플랫폼에 제공되는 콘텐츠 추천서비스 유형이 이용자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과 사용자 저항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콘텐츠 특성 중 맞춤형 콘텐츠 추천, 최신 콘텐츠 추천, 인기 콘텐츠 추천 모두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 저항에도 모두 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플랫폼 이용에 불편함이 적고 쉽고 능숙하게 시청할수록 용이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콘텐츠 추천 유형 세 가지 모두 혁신적 기술이면서 신기술이기 때문에 맞춤형 콘텐츠 추천, 최신 콘텐츠 추천 인기 콘텐츠 추천의 경우 사용자의 신기술 수용측면에서 적정기준을 확립하였고 사용자의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중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OTT 영상 플랫폼 사용자들의 지각된 용이성과 사용자 저항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지각된 사용자들의 용이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용자들의 저항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영상 플랫폼 사용자들이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혁신 기술에 대한 저항이 조금 줄어 들었다 고는 하나 자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추천되는 알고리즘 기반 추천 서비스의 지속이용 측면에서 아직까지 지속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OTT 영상 플랫폼 콘텐츠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2000년 이후 영화 콘텐츠에 나타난 수학적 요소 연구

        김영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15903

        이 논문은 2000년 이후의 영화 콘텐츠에 나타난 수학적 요소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는 스토리를 바탕으로 극적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는 서사물로, 대중적으로 확산해 왔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대중들의 시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졌다. 이에 따라 서사가 발달하게 되었으며, 전문 지식의 활용으로 영화의 핍진성을 높였다. 그중 수학적 요소의 활 용은 내러티브 전달의 효율성을 강화해왔다. 수학적 요소는 스토리텔링, 음악, 미술, 기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화에 적용되고 있어서 수준 높은 영화를 원하는 대중의 요구를 충족시키 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 영화 콘텐츠에서 수학적 상상력은 수학의 추상성, 상징성, 직관성을 토대로 텍스트가 함의 하는 원형적 패턴을 탐색하는 좋은 도구이다. 즉, 작품 제작에 이용된 다양한 수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2000년대에 들어 과학기술이 다양해지고 전문성 을 활용한 요소가 영화에 활용되어왔다. 영화는 이러한 요소를 통해 다양한 효과를 낸다. 그 중 수학이 있으며, 점차 그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영화 콘텐츠를 수학적 요소 로 고찰하는 방식은 기존에 시도된 바가 없다. 수학 이론 및 기타 수학적 지식을 알고 있다 고 하더라도 영화 속에서 그 요소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양한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영화 콘텐츠 또한 은유, 상징 등 함축적 의미를 형성할 때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구조화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요소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수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작품을 읽어내는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더 나아가서 그 의미를 구체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취지에서 연구자는 그간 수학적 상상력 연구를 이어왔으며 그 타당성, 학술성, 객관성 검증을 위해 학술지에 영화감상, 영화 분석 방법론을 게재하였다. 논문에서는 2000년 이후 수학적 요소를 적용하여 제작된 영화 콘텐츠 가운데 대중에게 높 은 평가를 얻은 작품 <벼랑 위의 포뇨>(2008),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2022), ‘MCU 페이즈 3’(2016-2019), <뷰티풀 마인드>(2002), <히든 피겨스>(2017), <이미테이션 게임>(2015) 등을 고찰하고, 각 요소의 내용, 방법, 의미를 분석한다. 영화 콘텐츠의 구조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수학적 요소는 기하학이다. 따라서 기하학을 알면 영화 이해의 스펙트럼이 확장된다. 기하학은 크게 유클리드 기하학, 기하학의 확장적 요소로 구분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도형의 성질을 다루는 기하학이다. 기하학의 확장적 요 소에서는 비유클리드 기하학, 위상기하학, 리만기하학, 해석기하학 등을 다룬다. 수학은 사회적으로 약속된 상징적 기호가 있어서 가시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비가시적인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기 적합하다. 또한 통합적 측면으로 대상의 구조를 체계화하는 특징이 있어서 우리는 기하학적 구조를 현실에 적용할 수 있다. 수학적 판단은 선험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기하학적 관점으로 영화 콘텐츠를 분석하는 시도는 영화에서 발견되는 구조적 다양 성을 이해하기에 유용하다. 영화는 서로 다른 예술 분야가 상호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조화를 이루어 종합적으 로 표현된다는 특징이 있다. 종합적 특성을 다각적 시선으로 탐색하기 위해서는 대상 작품이 지니는 기하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구조적 체계성을 개별적 예술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때 기하학은 구조를 명확히 드러내는 적절한 도구이다. 그러므로 영화 콘텐츠를 구성하는 이미지 원형의 구조체계는 기하학을 통해 그 상징과 의미가 더 확장되고 다양해질 수 있다. 본고는 영화에서 활용되는 수학적 요소가 서사에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고 영화를 완성하 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수학적 상상력으로 영화의 서사와 이미지를 다각적인 시선에서 고 찰한다. 영화의 구조를 체계화하고 수학적 요소를 접목하여 창의적으로 스토리텔링하는 방법 론 연구가 수학적 관점에서 영화 분석의 스펙트럼 확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수학적 상상력, 해석기하학, 영화 콘텐츠 감상, 수학적 요소, 공간 기하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