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라 미술의 재해석을 통 공생사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마소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and the realm of culture expands, new cultural identities emerge. With the pursuit of multiculturalism, the importance of each country's cultural identity increases, as it is reflected in how each nation deals with their own culture. Therefore, establishing a new form of aesthetics by combining traditional aesthetics with new ideologies and forms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is crucial. Consequently, the researcher has chosen the theme of symbiotic expression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art of the Han Dynasty. The reason for choosing this theme i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creation through the artistic expression of cross-media, to demonstrate the relevance of the concept of modern art and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o explore the universal values of Chinese national philosophy in modern times, and to recognize its cultural contribution. By extensively applying and promoting the traditional art of Han Dynasty, it is possible to promote and optimiz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perspective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modern values.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considered a very meaningful endeavor.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how the excellent artistic traditions of the Han Dynasty are closely connected and mutually beneficial with contemporary art. Us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researcher conducted theoretical exploration based on Kisho Kurokawa's concept of symbiosis proposed in 1980, as well as the idea of symbiosis in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he study found that when the concept of "symbiosis" is applied as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in cultural studies, i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or form of mutual dependence and influence between two interdependent and interacting systems or entities. In this article, the symbiotic perspective places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Han Dynasty art and contemporary art on opposite sides of the same system, as a way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contemporary art and the tendency upheld in artistic practices, emphasizing coexistence in time. Between Han Dynasty art and contemporary art, "symbiosis" implies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civilizations, cultures, and technologies in the same space, representing the interaction and interplay between different forms of art, creating new artistic forms and values through fusion and cross-innovation. In the theoretical context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ymbiosis, the researcher examined contemporary artist Xu Bing's modern represen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ethnic symbols, demonstrating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modern forms in his anti-traditional artistic express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work of South Korean artist Kim Hwan-gi, whose monochrome abstract paintings combine traditional elements with abstraction, employing a technique of repetitive cycles. The examination of Carl Andre mainly focused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his works: the overlapping structures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as well as the interaction and symbiosis between materials and spatial environments. Based on this foundation, the works of these three pioneering artis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esearcher,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reative concepts and formal expressions. The researcher's works establish connections through the combination of Han Dynasty image symbols and material media, employing techniques of reconstruction and appropriation to express the coexistence of Han Dynasty art elements and contemporary art in synchrony. In the creative process, Han Dynasty art is conceived as visual elements in space, emphasized through the use of materials such as cloth, wood, and modern formal language, highlighting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spects to achieve a spirit of pluralistic symbiosis. Symbiosis does not imply uniformity but rather diversity. Ultimately, the works present these Han Dynasty image symbols in a new artistic language through the arrangement of structures and groups and the utilization of contemporary technology, showcasing the enduring spirit of Han Dynasty ar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life and nature. The works encompass the depth of culture, the power of technology, and the warmth of art, while also offering the public reflections on history and contemplation. The expression of ethnicity is not the meaning of the works; rather, the representation behind the images is the true intention of the creation. This study combines theoretical research with practical creation, breaking the spatial and temporal restrictions of traditional Han Dynasty art and integrating it with society, environment, and technology, thus proposing new paths for future artistic exploration and social engagement. The visual elements and aesthetic concepts of Han Dynasty art engage in dialogue and integration with contemporary art creation, not only innovating and revitalizing traditional art but also expanding the language and expression of contemporary art. The creative process involves the researcher's expression of the creation, transformation, and contemporary application of "Han Dynasty image symbols," involving deep reflections on the composition, cultural signific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s and nature. Additionally, through the works, the study contemplates the symbiosis between history and culture,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the East and the West, as well as between media and reality.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문화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문화 정체성이 나타나게 된다. 서로 다른 문화의 공생을 추구하는 다문화주의로 인해, 각국의 문화 정체성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여기에서 문화 정체성의 중요성은 자국의 문화에 대처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전통 미학을 새로운 시대와 이념 그리고 새로운 형식과 결합하여 새로운 미학 형태를 확립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에 영향을 받아 ‘한나라 미술의 재해석을 통한 공생사상 표현 연구’라는 주제를 정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크로스 미디어라는 예술적 표현 방식을 통해 전통문화와 현대적 창작 간에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여 현대 미술의 관념과 중국 전통사상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한나라 시대의 문화 사상이 현대에서 갖는 보편적 가치를 발굴하며 그 문화적 기여를 인정하기 위함이다. 한나라의 전통미술을 광범위하게 응용하고 보급함으로써 전통문화의 윤리관과 현대적 가치의 상호보완을 촉진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한나라(中國漢代)의 미술 자원이 어떻게 현재와 밀접하게 연결되고 상호 소통하여 공생할 수 있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구로카와 기쇼(Kisho Kurokawa)가 1980년에 제안한 공생사상과 중국 전통 철학의 공생 이념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상호보완적인 발전을 강조하는 방법론적 관점인 ‘공생사상’은 문화 연구 분야에서 상호 의존하며 상호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및 사물간의 관계 혹은 형태를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본 연구는 공생의 관점에서 한나라 전통 미술의 계승과 현대예술을 동일한 시스템의 양측에 두고 전통과 현대 양자의 관계, 예술 창작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사고함으로써 공존을 강조하였다. ‘공생’은 같은 공간의 서로 다른 문명, 문화, 과학 기술이 함께 어울리고 예술 형식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것으로, 융합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예술 형식과 가치를 만들어낸다. 연구자는 전통과 현대의 공생이라는 이론적 배경에서 구조주의, 해체주의, 기호학 등의 이론을 참고하여 현대미술가 서빙(徐冰)의 전통 기호에 관한 현대적 표현과 전환 방식, 반(反)전통적 예술 표현에서 전통과 현대적 표현의 공생을 연구하였다. 또한 한국의 예술가인 김환기를 연구하였다. 김환기의 단색 추상화는 전통 요소와 추상 예술의 상호 결합으로 반복 및 순환의 형식을 통해 완성되었다. 칼 안드레(Carl Andre)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작품의 예술적 표현 형식에서 비롯되었다. 즉,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중첩 구조, 재료와 공간 및 환경의 융합 방면에서 진행되었다. 상기 내용을 토대로 세 명의 선행작가 작품과 연구자의 작품을 비교하였고, 창작이념과 형식 표현에서 세 선행작가와 연구자 본인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한나라 시대의 이미지 속 기호와 물질적 매개체의 결합을 보여주었으며, 재구성 및 차용의 창작 방식을 통해 한나라 시대의 미술 요소와 현대 예술의 공존을 표현하였다. 연구자는 창작 과정에서 한나라 미술을 공간의 시각적 요소로 설정하고 천, 나무 등 물질적 재료와 현대적 형식의 조합을 통해 전통과 현대 두 측면을 강조하여 다원적 공생의 정신에 이르렀다. 공생은 ‘화이상동(和而相同)’이 아니라 오히려 ‘화이부동(和而不同)’에 가깝다. 결론적으로 연구자의 작품은 쌓고, 나열하고, 겹겹으로 포개는 구조 배치 방식과 현대 기술의 도움을 받아 한나라 시대의 이미지 기호를 새로운 유형의 예술 스타일로 나타내어, ‘생생불식’(生生不息)의 한나라 예술 정신과 생명, 자연에 대한 미적 의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은 문화적 깊이, 과학 기술의 힘, 예술의 온도를 담고 있으며 동시에 대중에게 역사를 되돌아보고 깊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창작의 의미는 민족적 정서를 표현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뒤에 감춰진 상징적 의미를 알아내도록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천적 창작을 결합한 방식을 통하여 한나라 전통 예술이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사회, 환경, 그리고 기술과 융합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미래의 예술적 탐구에 새로운 길을 제시하였다. 한나라 미술의 시각적 요소 및 미적 관념과 현대 예술 창작의 융합은 전통예술의 혁신이며 나아가 현대예술의 언어와 표현 방식의 확장이다. 본 연구자의 창작은 ‘한나라 이미지 기호’의 창조, 현대적 응용과 전환에 대한 연구자의 표현으로 기호와 관련한 구성 형태, 기호와 문화, 기호와 자연 간의 심층적인 사고와 관련이 있다. 동시에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역사와 문화,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그리고 이상과 현실 간의 공생을 연구하였다.

      • 중국 나라 복식을 응용 디자인 연구 : Punk 패션을 중심으로

        라산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6

        Clothing is not only a representation of a nation’s culture identity, but also a demonstration of an era. After the industrialization, the art of clothing became more diversified. Chinese civilization has a long history, the fine art of clothing is the center of attention. The research conducted in this paper aims at combining the clothing culture of Han dynasty and modern design in order to develop a new design with ethnic characters. First of all, the art of clothing in Han dynasty is highly developed, the popular style of shenyi and nuchun is both elegant and line fluent. And it is of great influence for the later design. This paper examined the shape, pattern, material and color of the clothes, and systematically summarized all the characters of the clothing art of Han dynasty. Secondly, the PUNK in 70s is an anti-tradition teenager culture. Mohicans head, smoke makeup, machine wagon jacket, broken stockings and jeans, metal pins and rivets represents a strong resist of tradition and it emphasis the self-existence and personality. This quickly became popular among young generations and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usic and clothes In the whole European society. It inspired the fashion design, even we can still observe the unique MIX style of Punk in today’s designer clothes conference. The new design of clothes, although has no pattern to track, brings more fresh ideas for the modern designing. Thirdly, Punk has been developed into 'CNPUNK' as a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Chinese ancient philosophy. In the recent decade, the popularity of Punk has not decreased. In general, Chinese Punk can be divided into Pure Punk, Cosplay Punk and Semi-Punk. Following the designing idea in Han dynasty, the first designed highlights the female waist, and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sleeve. The design uses leather, the popular material of Punk design, England lattice, Gauzeand Chinese brocade, and Grommet is used for accessories. The second design is inspired by the leather jacket and 曲裾深衣'Qu Jun Shen Yi', it applies the "Y" neckline which constantly appears in the design in Ham dynasty to the Punk style jacket. Using conventional embroidery, the design imitates and recreates the animal pattern used in Han dynasty and combines a lot of Stude decorations. The idea of third design comes from the 直裾深衣'Zhi Ju Shen Yi' from Han dynasty, It uses leather jacket as coat, however, unlike conventional leather jacket, the design uses the concept of Right lapel(右衽) and incorporates the design of 重缘‘Chong Yuan’. Overall, the design of skirt uses MIX style, combining leather, lattice and brocade. Irregular hem originates from quju style. It uses Punk style shackles as accessory. This research aiming at 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e identity with modern designing philosophy by combining traditional clothing design in Han dynasty of China with Punk elements. This paper emphasis the redesign of the structural and pattern characters of the traditional clothes in Handyn asty an ddeveloped three pieces of clothes each combined Punk elements and clothing designin Handynasty in different ways. 복식은 시대문화의 산물이자 민족의 정신문화를 보여준다. 현대 패션에서 디자이너들은 복식을 하나의 예술로 인식하며 새로운 미학을 추구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복식 문화를 현대 패션에 적용, 그 민족의 정체성을 담은 현대 패션을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한나라의 복식과 펑크(Punk) 패션의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적 복식 특성과 동양의 정서가 담긴 독창적이고 폭넓은 펑크 스타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중국 한나라 남녀 복식의 조형, 색상, 무늬, 소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 시기의 복식문화가 현대 디자인에 풍부한 소재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특히 기괴한 문양 장식, 자수, 심의 등의 독특한 요소를 현대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었다. 둘째, 1970년대 반역, 개방, 퇴폐와 청춘기의 강렬한 자존심, 자아 세계에 대한 해방을 표출하고자 등장한 펑크가 현대에 와서 새로운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이 결합하면서 그 모습이 고급화되고 절충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패션에서 다양한 믹스 표현기법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었다. 셋째, 펑크 스타일이 중국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중국적 정체성과 문화를 널리 알리고자 하는 'CnPunk'가 등장하였다. 중국 현대 패션에 나타난 펑크 스타일은 서양의 펑크 스타일을 그대로 모방하는 순수 펑크와 만화나 영화 등의 스타일을 따라하는 코스플레이(Cosplay) 펑크, 다른 스타일과의 혼합으로 편안하면서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세미(Semi) 펑크 스타일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정체성이 담긴 동양적인 펑크 스타일의 부재가 아쉬웠다. 이러한 연구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나라 복식과 펑크 스타일을 응용한 작품을 3벌 제작하였다. 작품 Ⅰ은 허리에 벨트로 사용하여 여성의 라인을 강조하는 한나라의 여성 예복에서 영감을 얻어 한나라 시대에 자주 사용했던 소재와 펑크 패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를 혼합하고 한나라의 대표 색상인 검정색과 빨강색을 사용하였다. 또한 한나라의 곡거형 의상 특징과 펑크적 장식도 활용하여 새로운 느낌의 펑크 의상을 디자인하였다. 작품 Ⅱ는 한나라 복식의 중연포와 펑크 패션의 가죽 자켓을 혼합하여 변형된 디자인의 자켓에 한나라의 곡거심의를 변형하여 비대칭적인 실루엣을 구성하고 여러 가지 색상의 망사와 가죽 등의 소재 사용한 스커트로, 한나라의 전통적 문양에 대량의 피어싱과 스터드 장식을 사용하는 등 전통적인 한나라 복식의 특징과 펑크 패션의 반전통적이 특징을 믹스(mix)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펑크적 이미지를 부각하고자 하였다. 작품 Ⅲ은 한나라의 기하학적 문양, 한나라의 중연과 직거 형태를 응용한 펑크 패션의 주요 아이템인 바이크 가죽 재킷을 제작하였다. 자켓 안에 착용한 원피스는 한나라의 곡거 형태를 표현하고자 하였고 펑크적 요소인 가죽과 체크 소재에 중국의 금단을 혼합, 지퍼와 사슬 등의 장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중국 한나라 복식을 응용한 디자인 연구는 중국의 사상과 전통적 특성이 담긴 펑크 스타일이라는 미적 가치를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중국 CnPunk에 영향을 끼쳐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스타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독창적이고 폭넓은 디자인 개발에 영감의 자료로 제시함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중국 나라 토용의 형태적 특성기반 무용창작연구 : 창작 작품 <용(俑)·인상>을 중심으로

        진맹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774

        The terracotta figures are collected in ancient China and used to replace the custom of martyrs. The terracotta figures not only contain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ideology, customs and other information of the Han Dynasty, but also contain a variety of information in sculpture, ceramics, art, dance, clothing and other artistic field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se the creation of cooperation between various genres or the conv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new media, and presents a future-oriented development trend. By contrast, the inherent cultural heritage is either put on the shelf or excluded from the public eye. In particular, the terracotta figures, as the ancient cultural relics bearing various cultural values, as a reasonable use of materials in the contemporary artistic creation is a subject worth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er i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Han Dynasty, and show the cultural style of Han Dynasty; [] use this theme to create modern ideas, observe how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ity of modern culture cooperate, and t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aesthetic clue oriented by integrated creation, in order to become an opportunity for self-criticism and self-analysis of Chinese dance circles. Chapter I discu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the method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clay figures in Chapter II describes the formation and type of the clay figures, which contributes to the basic understanding. Then analyze the application of the terracotta figures in other contemporary art, discu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racotta figures and contemporary art, and get its application value. Investigate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Han Dynasty, especially in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fields, combined with the photos of the Han Dynasty pottery figurines, comb the shape and system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dance cases of chapter III choreography using ideas and the form of terracotta figures, we can master the creative intention, choreography means and cultural expression of choreographers, laying a practical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earchers' dance creation in the later period. In Chapter IV <Terracotta Warriors · Impression>, from the overview of the work to the choreography intention, scene, music, space, movement, lighting and other composition are consider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rracotta Warriors · Impression> are analyzed, and its application in dance creation is described. I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Chapter V, the dance performance and creation according to the works "Terracotta Warriors · Impression>, especially the dance works of Chinese modern dance, using the" simple " form of the terracotta figures to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The dance works use the "simple" form characteristics of the terracotta figures to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the simplicity of the scale allows the audience to avoid the complicated and noisy real world and feel the tranquility of the primitive simplicity. Secondly, the simplicity avoids the sense of expansion caused by many stage staff and the visual fatigue caused by the superposition of space. Third, the simplicity of the movement avoids the upward sense of elegance and technical habits brought by the classical dance's pursuit of the "first reaction", and strives to restore the essential beauty of the body and the most real physical reaction. Fourth, the simplicity of the dress is easier to complete the dance movements, but emphasizes the attention to the body movements. Fifth, the simple performance of the music produces a quiet and stable effect, so that the audience can think and feel quietly. The effect of using the "curve" characteristics of the Han Dynasty terracotta figures in the dance works is as follows: Third, the curve of the action is generated by various motion tracks, such as momentum, gravity, propensity and torsion, which can develop the sense of flow of the body. Secondly, the curve of the space makes the works can form a collection, scattered, orderly, disorder and other picture composition. Third, the curve of the props, using the props to complete the picture segmentation and the symbol of cultural symbols.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feelings" characteristics of the Han Dynasty pottery figurines in the dance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mood reflects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nd the vitality of cultural thoughts, which helps to grasp the overall emotional tone of the work. Secondly, personal emotions can reflect the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of the dancer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plot. In th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 schem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in contemporary art cre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oper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ancient culture and modern art. In detail, researchers hope to open up a diversified and open road of visual experience with both historical awareness and modern perspectives. This study is an active attempt to inherit and develop, explore and innovate. It tries various possibilities through modern dance creation techniques, including form imitation, shape deformation, cohesion and reorganization, spatial segmentation, contact, improvisation and so on. 유물 토용은 고대 중국에서 수장하는 명기(冥器)로서, 사람을 순장하는 풍속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토용에는 한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 사상, 풍속 등 정보만 아니라 조각, 도자기, 미술, 무용, 복식 등 예술 분야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최근 중국의 현대무용 창작에는 다양한 장르 간의 협력이나 신기술, 신매체의 융합 등을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미래지향적인 발전 태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고유의 문화유산은 방치되거나 대중의 관심에서 소외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문화적인 가치를 담고 있는 고대 유물인 토용은 현대 예술 창작에서 소재로 합리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연구할 만한 과제이다. 본 연구자의 목적은 고대 조형 유물 토용은 구체적이고 추상적이지 않으며 실감을 나는 특성을 가지고 한나라 문화의 풍모를 보여주고, 이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 관념 창작을 하며, 전통문화의 전통성과 현대문화의 현대성이 어떻게 협력하고 있는지 관찰하고, 중국 무용계의 자아비평과 자아분석의 계기를 하기 위해 융합 창작을 지향하는 새로운 미학의 실마리를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제I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다뤘다. 제II장 토용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토용의 형성과 유형을 기술하여 기본적인 이해를 도왔다. 이어 다른 현대 예술에서 토용의 응용을 분석하고, 토용과 현대 예술의 연관성을 탐구해 그 응용가치를 도출한다. 한나라의 역사 자료, 특히 문화와 사상 분야를 고찰하고, 한나라 토용의 사진을 결합하여 형태적 특성을 정리한다. 제III장 안무가 사상 및 토용 형태를 활용한 무용 사례를 분석하여 안무가들의 창작 의도와 안무수단, 문화표현을 파악하여 연구자의 후기 무용창작을 위한 실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IV장 <용(俑)·인상>에서는 작품 개요부터 안무 의도, 장면, 음악, 공간, 동작, 조명 등 구성까지 고려하여 창작하였다. 그리고 <용(俑)·인상>에서 나타난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무용창작 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기술하였다. 제V장 결론과 제언에서는 작품 <용(俑)·인상>을 의하여 무용 공연과 창작, 특히 중국 현대무용의무용작품은 토용의 '소박'의 형태적 특성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내었다. 무용작품은 토용의 '소박'의 형태적 특성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내었다. 첫째, 규모의 소박성은 관객들으로 하여금 번잡하고 시끄러운 현실세계를 피해 고풍스러운 고요함을 느끼도록 한다. 둘째, 소박성은 무대 인원이 많은 데서 만든 팽창감과 공간이 겹친 후에 생긴 시각적 피로감을 피한다. 셋째, 동작의 소박성은 '제일 반응'에서 오는 위로 올라가고 찰랑찰랑한 느낌과 기술성을 추구하는 고전무용의 관습을 피하고, 신체의 본질적인 아름다움과 가장 진실한 신체 반응을 환원하고자 한다. 넷째, 복식의 소박성은 무용 동작을 더 쉽게 완성되 신체 동작에 대한 관심이 강조된다. 다섯째, 음악의 소박성은 고요하고 안정적인 효과를 만들어 관객들로 하여금 조용히 생각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무용작품에서 한나라 토용의 '곡선' 특성을 활용하는 효과는 아래와 같다. 셋째, 동작의 곡선성은 동세, 중력, 경향, 비틀림 등 다양한 운동 궤적이 만들어 내고 신체의 유동감을 개발할 수 있다. 둘째, 공간의 곡선성은 작품이 집합, 분산, 질서, 무질서 등 다양한 화면 구도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오브제의 곡선성은 오브제을 활용해 화면 분할과 문화 기호의 상징을 완성한다. 한나라 토용의 '정서' 특성을 무용작품에서 활용하는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집단 정서는 시대적 발전상과 문화사상의 역동성을 반영하고 작품의 전체적인 정서 기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개인 정서는 무용수의 심리 변화 과정을 반영하고, 줄거리를 추진할 수 있다. 발전에서 역사문화요소가 현대 예술 창작에서 활용되는 방안과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고대 문화와 현대 예술 간의 협력과 융합을 탐색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연구자는 옛날과 현재 사이에 역사의식과 현대의 시각을 동시에 갖춘 다양하고 개방적인 시각 체험의 길을 열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계승과 발전, 탐색과 혁신의 적극적인 시도로서 형태 모방, 형태 변형, 연결 재구성, 공간 분할, 접목 즉흥 등 현대무용의 창작 수법을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나 탐구를 통해 개인이 문화재의 소재를 현대 무용 분야에 활용하는 안무 사상이 제시되었다. 토용의 의미는 과거의 상징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우리를 표현하기에도 충분한 가치를 가진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 ·중 <공후인> [<공무도하가>] 연구사 비교 고찰

        진세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후인(箜篌引)>은 한국문학사 상 최초의 시가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이다. <공후인>은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라고도 부른다. 최초의 한중 문학 교류도 역시 <공후인>에서 시작되었다. 중국 한나라[汉代] 시기에 <공후인>이 중국 전역으로 전파된 후, 조선 시가인 <공후인>이 한악부(汉乐府) 시집(诗集)에 수록되었다. <공후인>이 처음으로 기록된 문헌은 중국 동한(東漢) 말기에 채옹(蔡邕)이 지은 『금조(琴操)』[A.D. 133-192년]로 보고 있다. 서진(西晉) 혜제[惠帝, 290-306]에 이르러 문인 최표[崔豹, A.D. 290-306년]의『고금주(古今注)』에 <공후인>이 더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공후인>은 불과 16글자 밖에 안 되는 서정시가이지만 이는 한국과 중국의 후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점은 양국의 학자가 모두 승인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시가의 발전과정은 중국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시가에 대한 양국의 ‘해석’이 다양한 쟁점을 안고 있는 점 역시 불가피하다. 본 연구자는 <공후인>을 둘러싼 한중 양국의 연구사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기존 연구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고찰하면서 <공후인>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냄과 동시에 향후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주로 <공후인>의 제목, 작자, 창작 연대, 지리적 위치와 국적, 배경 이야기의 구조,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성격과 제호의 의의,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신분 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양국의 연구 문헌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공후인>에 대한 한중 학계의 연구사를 정리한 결과, 현대 한국 학계의 연구는 중국 학계보다 약 30년 쯤 먼저 시작되었고, 연구 논문, 문헌 자료 등도 중국 학계보다 훨씬 많을 뿐만 아니라 연구 성과도 보다 상세함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 고대시가인 <공후인> 자체에 대한 중국 학계의 연구는 적었지만 후세의 조식(曹植), 이백(李白) 등 유명한 시인들에게 전해져 내려온 동명(同名) 시가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동명 시가에는 중점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주안점 및 방법 등을 소개한다. 제 2 장은 한중 양국의 <공후인> 연구 성과를 정리한 부분이다. 제 3 장은 제 2 장에 대한 분석과 비교이고, 한중 양국 연구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요약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추가 연구 방안을 제안함과 더불어 일부 학자들의 연구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제 5 장은 전체 내용을 요약한 결론 부분이다. 한중 양국 학자들은 연구 과정에서 보다 많은 역사적 자료를 발견하고 증거를 찾아냄과 동시에 새로운 연구 시각과 과제를 상호 교류한다면 양국의 문학 연구 성과를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국 학자 간의 학문 교류를 강화하고 학제 간 연구를 진행하여 새로운 학문의 길을 함께 개척해나가야 할 것이다. 《箜篌引》是韓國文學史上最早的詩歌,具有重要的意義。《箜篌引》也叫做《公無渡河歌》。最早的韓中兩國文學交流也是從《箜篌引》開始的。中國漢代時期,《箜篌引》傳入中國全境,隨後被收錄到漢樂府詩集。目前發現最早對《箜篌引》進行記錄的古籍為東漢蔡邕的《琴操》,後來西晉崔豹的《古今註》也對《箜篌引》進行了更詳細的介紹。 《箜篌引》全詩共四句,只有十六個字,是一首敘事詩歌,但是它對韓中兩國的文學發展產生了巨大的影響,這一點兩國學者也都表示肯定。但因爲韓國與中國自古就有領土紛爭等問題,在這種特殊的背景下,韓中兩國學者對《箜篌引》的‘解讀’難免出現爭議。 本文主要圍繞韓中兩國學者對《箜篌引》(《公無渡河歌》)的研究歷史與研究成果,通過比較找出其中的問題進行考察,並對今後《箜篌引》的研究方向與方法提出建議。本文主要對詩作的題目、作者、年代、地理位置、背景故事的構造,白首狂夫的人物分析與‘提壺’的意義,霍里字高等方面的研究情況進行了整理和考察分析。 通過對韓中兩國《箜篌引》研究史的比較,我們發現,步入現代,韓國學界對《箜篌引》的研究要比中國學界早了大约三十年左右,研究文獻,論文資料等都比中國學界豐富,研究成果也比中國學界更加詳細。中國學界對韓國詩歌《箜篌引》本身的研究並不多,而是對後世曹植、李白所做的同名作品《箜篌引》進行了更廣泛的研究。 本文的結構大致如下:第一章為緒論,介紹本文的研究目的及意義、研究方法等。第二章先後對韓中兩國有關《箜篌引》的研究情況進行詳盡的整理和介紹。第三章對第二章的資料進行分析和比較,找出韓中兩國學界對《箜篌引》研究的共同點和不同點。第四章在第三章的基礎上進一步提出當前研究存在的問題和解決方案。第五章為結論,對全文進行總結。 韓中兩國學者在研究過程中要繼續搜尋更多的歷史資料和考古證據等,同時要努力站在新的視角發現更多有價值的課題,從而豐富兩國的研究成果。為此未來需要兩國學者進行廣泛合作和多角度跨學科研究,開創新的研究方向。

      • 영남지역 일부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음식기호도와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 연구

        윤영옥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11

        영남지역 일부 초등학생 6학년 140명, 고등학생 1학년 154명을 대상으로 음식기호도와 영양소섭취 상태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남학생 153.0 cm, 45.3 kg, 여학생 153.4 cm, 44.6 kg이었고, 체질량지수에 의한 체형 분류는 저체중 45.7%, 표준 47.1%, 과체중 3.6%, 비만 3.6%였고, 고등학생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남학생 172.5 cm, 64.5 kg, 여학생 160.1 cm, 51.7 kg이었고, 체질량지수별 체형분류는 저체중 11.0%, 표준 70.8%, 과체중 13.0%, 비만 5.2%로 나타났다. 음식기호도에서 주식류의 기호도는 밥류 보다는 한 그릇 음식의 기호도가 높았고 잡곡밥은 고등학생이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류, 간식류, 튀김류, 김치류의 평균 기호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간식류와 튀김류는 고등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김치류는 초등학생이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조리법에 관계없이 김치류를 재료로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 채소류를 재료로한 무침류는 기호도가 가장 낮았고 육류를 재료로 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높게 나타났다.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과 칼슘, 철 등의 섭취율은 한국인의 영양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고, 단백질, 인, 비타민C의 섭취율은 권장량을 초과하였다.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초등학생 남학생 1997.3 kcal, 여학생 1829.2 kcal로 한국인의 영양권장량의 78.9%, 86.9%를 섭취하였고 고등학생은 남학생 2627.6 kcal, 여학생 2077. 2kcal로 한국인의 영양권장량의 98.0%, 98.3%를 섭취하였다. 에너지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구성비율은 초등학생 60.1% : 14.8% : 25.0,%, 고등학생 56.6% : 16.3% : 27.0%로 나타나 적정비율인 65% : 15% : 20%과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이 낮고, 당질과 지질의 섭취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의 적정섭취비율(NAR)과 평균적정섭취비율(MAR)에서 NAR은 전체 영양소에서 0.9 내외로 초등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높은 수준을 보였고 MAR도 고등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의 질적 지수(INQ)는 비타민A, 비타민E, 비타민C, 비타민B, 나이아신, 칼슘은 초등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음식에 대한 기호도와 영양소 섭취상태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영양소 섭취 상태는 초등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의 질적 지수는 초등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장발육이 왕성한 시기인 초등학생에게는 적절한 영양소섭취를 고등학생에 있어서는 질적으로 우수한 식품 선택을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is the analysis of the food preference and the nutrition intake status of 1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6th grade and 154 high school in their frist grade students in Youngnam Area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ere 153cm and 45.3kg for boys and 153.4cm and 44.6kg for girls and the body types depending on the body mass index were 45.7% for underweight, 47.1% for standard, 3.6% for overweight and 3.6% for obesity.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172.5cm and 64.5kg for boys and 160.1cm and 51.7kg for girls and the body types depending on the body mass index were 11.0% for underweight, 70.8% for standard, 13.0% for overweight and 5.2% for obesity. In their food preference, they preferred one-dish food to main dishes and rice with cereals was more popular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higher standard scores in fruit, snack, fried, and the dishes related to kimchi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 preference especially in snack and fries. The dishes related to kimchi were more popula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showed high scores in those dishes regardless of how they are cooked. There were the lowest preference in Korean salad with vegetables and the high one in food cooked with meat. With 24-hour recall method, average daily nutrition intake of energy, calcium, iron content and etc. was not enough for recommended amount for Koreans and the intake of protein, phosphorus and vitamin C exceeded the amount. Average daily energy intake was 1997.3kcal to boys and 1829.2kcal to girls in elementary schools and so they had 78.9% and 86.9% for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Koreans. In high school, boys had 2627.6kcal and girls 2077.2kcal and they had 98.0% and 98.3% for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Koreans. The composition rate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for energy intake was 60.1 : 14.8 : 25.0% with elementary and 56.6 : 16.3 : 27.0% with high schools and comparing with the reasonable rate, 65 : 15 : 20%, the study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carbohydrate intake was low and sugar and fat intake were high. Regarding NAR(Nutrition Adequacy Ratio) and MAR(Mean Adequacy Ratio),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better NAR within 0.9 of the whole nutrient and also they showed the better MAR significan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e better INQ(Index of Nutrient Quality) in Vitamin A, Vitamin E, Vitamin C, Vitamin B, niacin and Calcium significantly than high school students did in those.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nutrition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But INQ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bett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thriving growth period need proper nutrition intake and nutrition education for choosing the right food in quality is needed for high school students.

      • 요서지역 초기 철기시대 문화 연구 : 시대별 변화 양상 및 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김준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78

        현재 국내 학계에서는 전반적인 요서지역 초기 철기시대 문화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룬 선행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그 원인은 서기전 3세기 이후 해당지역에 토착계 청동기 문화가 와해되고 그 자리를 연 문화가 대체하게 됨에 따라 한국사와의 연계성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반도 초기 철기시대 연구와의 연계성, 동북아시아 편년 문제에 대한 균형적인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할 때 그 연구의 필요성이 결코 가볍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이 시기 철기문화 유입의 원인을 주로 연나라의 지배라는 정치·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요서지역 초기 철기문화의 변천 요인에 대해 정치·사회적 요인 뿐 아니라 실제로 그 문화를 받아들였을 해당지역 거주민의 성격 및 수요라는 관점 또한 함께 적용하여 접근하였다. 연구범위 내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 유적들의 편년을 구한 결과, 요서지역에 중원계 철기가 처음 유입된 시기는 서기전 3세기경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요서지역 철기문화 양상의 변화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정식으로 발표된 조사기, 간보, 종합보고 등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요서지역 내 서기전 3세기 초~서기전후로 편년되는 33개소의 유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부장도기 조합과 주요 철기 기종의 변화를 기준으로 요서지역 철기문화를 3개의 단계로 구분했다. 요서 철기문화 1기는 서기전 3세기 초~후엽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철기가 간헐적으로 유입된다. 그 원인은 당시 연나라 중심지에서도 철제 무기류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지 않았고 철제 농공구류 또한 주로 대형무덤에서 확인되는 등, 요서지역 토착민의 수요를 만족시킬만한 철기 기종이 본격화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요서 철기문화 2기는 서기전 3세기 후엽~서기전 2세기 후엽에 해당한다. 이 시기부터는 철기의 기종과 수량이 갑작스럽게 증가함에 따라 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원인은 당시 중원지역 내에서의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발생한 중원계 유민이 요서지역에 유입되면서 철제 기물과 철기 제작기술이 함께 유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이 시기부터는 대릉하 유역과 노합하 유역 간의 철기 출토 양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대릉하 유역에서 철기가 생활유적 뿐만 아니라 분묘유적에서도 확인되며 상대적으로 다양한 기종이 확인되는 반면, 노합하 유역에서는 주로 성지 등의 거점에서 확인되고 기종 또한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농공구류이다. 이는 각 권역별 거주민의 성격이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시기부터 요서지역을 포함한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북부에서 반월형철도 등의 토착민이 자체적으로 제작했을 것으로 보이는 기종이 일부 확인되는 등 일부 기종은 토착민의 필요에 의해 자체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요서 철기문화 3기는 서기전 2세기 후엽~서기전후에 해당한다. 이 시기부터는 이전 단계에 이어서 철기문화가 이미 완전히 보급된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철제 무기류의 기종과 수량이 농공구류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기 때문에 철제 무기류가 상용화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 주제 중심 독서에 기반 학기 권 읽기’ 수업 모형 연구

        장봉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5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한 학기 한 권 읽기’ 성취기준을 교실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하는 고민에서 비롯되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한 권의 책을 교과 시간에 온전히 읽고 생각을 나누며 독서의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이다. 주제 중심 독서가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취지에 부합된다. 동일한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는 활동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깊이 있는 독서를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일상적 주제 중심 수업은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상반된 관점을 견지하는 텍스트들의 관계인 경쟁적 텍스트에 초점을 맞춰 책을 선정하고 진행하였다. 반성적 고찰을 통해 주제 설정, 자기 선택적 책 선정 기회 부재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에 대한 세심한 고려 없는 주제 설정과 교사 중심의 책 선정은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떨어뜨리고, 부정적인 독서 태도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실험 수업은 일상적 주제 중심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설계가 이루어졌고 운영되었다. 일상적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주제를 제시하였지만, 실험 수업에서는 교사가 교육적 가치를 지닌 주제 7개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주제 중에는 흥미 위주의 주제, 협소한 주제, 주제 중심 독서에 적합하지 않는 주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대한 주제 개수를 확보해 학생들에게 자율성과 선택권을 부여하였다. 또 실험 수업에서는 주제 이해 활동, 주제 선정 토의 활동을 운영하였다. 실험 수업에서는 주제별 검색, 리뷰 등 서평, 도서 전문 사이트 ‘미리보기’ 기능을 활용하여 각 학생이 주제 관련 책을 선정하고 그 책을 모아 목록을 구성했다. 각자 선정한 책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북매치 전략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읽을 책을 결정했다. 한 권의 책을 읽고 나서 주제 관련 또 다른 책을 읽었다. 두 번째 책의 선정 방법은 첫째, 주제와 관련하여 읽고 싶은 책을 읽을 것, 둘째, 읽고 싶은 책이 북매치 전략을 활용한 책 선정 기준표에 있다면 그 책을 읽을 것, 그렇지 않으면 처음 읽을 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했던 방법을 활용해 읽을 책을 선정할 것이었다. 유의해야 할 점은 두 번째 책을 강요하지 않아야 한다. 학생의 능력과 상황에 맞게 책 읽기를 진행하였고, 단순 물량주의 독서는 지양해야 한다. 개개인이 책에 몰입해 독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수업 운영 규칙을 만들었으며 독서일지를 쓰며 책을 읽었다. 책을 읽고 난 후에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이해를 심화하는 활동으로 주제에 대한 관점을 드러내는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물을 공유하였다. 공유하기 활동은 주제에 대한 또 다른 글 읽기이자, 관점을 비교하고 넓힐 수 있는 활동이다. 또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도 책 완독 후 결과물을 나타낼 수 있는 흥미로운 활동으로 책 마케터 활동을 진행했다. 이와 같은 과정과 결과를 통해 주제 중심 독서에 기반한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에 대한 이해 확대이다. 학생들이 쓴 글을 통해 여러 글을 읽으며 주제를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과 관점이 넓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책 선정 시 구체적 전략의 필요성이다. 책 선정 시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읽을 책이 달라질 수 있다. 북매치 전략을 활용한 책 선정은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주요 활동이었다. 셋째, 긍정적인 태도 형성이다. 설문 조사를 통해 일련의 독서 활동에서 느끼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관점을 드러내는 글쓰기 부담감 문제이다. 글쓰기를 대부분의 학생들이 힘들었던 점으로 꼽았다. 자신의 관점으로 주제를 재구성한다는 점과 동료 학생들과 생각과 의견을 나눈다는 점에서 독서 후 글쓰기 활동을 빠질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주제 중심 독서가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운영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성찰과 환류가 더 나은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을 만들어가는 데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독서 교육의 방법적 개선과 지도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중 FTA 체결에 따른 문화산업 교역증대 방안에 관 연구

        차이쟈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51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문화산업은 다른 산업과는 달리 경제적 이익을 직접적으로 창출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의 시장 확대 및 국가 이미지와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중국은 문화산업을 국가 전략의 관점으로 두었다. 최근 몇 년간 선진국에 비해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이 큰 진전을 이뤘음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은 여전히 ​​약하다. 반면에 지난 20년 동안 한국은 문화산업에서 놀라운 성과를 달성했다. 한국과 중국은 같은 아시아지역에 있으며, 비슷한 문화 배경과 광범위한 문화교류를 가지고 있으며 친근한 이웃으로 상호 거래 파트너이다. 특히 2015년 한·중 양국 간 FTA를 체결 한 후, 경제·정치, 문화의 교류가 더 활발해지면서 가까워졌다. 양국 간 문화교류의 인원과 내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문화교류의 수준도 향상되었다. 한·중 문화산업 간의 협력은 이제 막 시작되었고 아직 발전 단계에 있지만, 한·중 정부와 기업은 양국의 장점을 이용하여 기술 도입, 경험 학습, 협력 포인트 찾기 등 향후 장기적인 협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중 문화산업 발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양국 간의 보다 긴밀한 교류를 촉진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깊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우선 한·중 간 문화산업 교역 현황을 분석하고, 한·중 문화산업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양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동시에, 문화산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양국의 문화산업 정책을 통해 그 중요성과 특징을 이해 한 후 한·중 문화산업 정책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과 중국이 서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한국과 중국은 문화 분야 특히 문화산업 분야의 교역과 협력의 지속적인 촉진과 심화를 통해 한·중이 전략적 파트너십의 전면적이고 건강하고 그리고 지속발전가능한 원동력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At present,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has received a widespread attention on a global scale.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al trade, cultural trade not only directly generates economic benefits, but also helps to expand the market for other industries, and enhances the national imag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China has upgraded its cultural industry and investment to the perspective of national strategy. In recent year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has made great progress, compared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its competitiveness is still weak. In the past 20 years, Korea has accomplish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cultural industry. Both South Korea and China are major countries in Asia. They have similar cultural backgrounds and far-reaching cultural exchanges. They are friendly neighbors and mutual trading partne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China FTA in 2015, a closer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trade has begun. The number and content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sides have continuously increased, the level and quality of cultural exchanges have also been continuously improved. Although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cultural industries has just begun and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the governments and enterprises of both South Korea and China are using their advantages, attracting technology, learning from experiences, finding cooperation points, and working hard for long-term cooperation in the future. Therefore,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with South Korea, it has great significance to promote closer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developm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and China, understands the differences in cultural industri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draws different point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same time, it starts from cultural policy,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on cultural industries. First it understands the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industry, then analyzes the problems from the cultural policy in both countries, compares th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n sorts out the plans for South Korea and China to improve each other. Therefore, the continuous promotion and deepening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cultural field, especially in the cultural industry, have provided a driving force for the comprehensive, robus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uth Korea-China strategic partn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