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자 중심 강의객체 SCC를 이용한 학습객체의 구조화 방안 연구

        강정배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standard scheme (SCORM)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the learning objects of SCORM suggested at present are defined by focusing on the reuse in the aspects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If the share of learning objects is not possible in the aspect of learners as well as in the aspect of instructors, it may be impossible to give a significance of learning objects. The share in the aspect of learners is not only to learn the contents of a specific teacher, but to be able to approve a case of studying learning objects offered by other instructors at other organizations as studying the equal class subjects. In other words, it should be possible to take the same classes at plural organizations, and each organization needs the function of lecture pursuit to collect results of learners' studying at other organizations and approve it as their taking a singular class subject. In order to improve such a demerit of the existing learning objects through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the study conducte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bject components, the definition of SCO(Sharable Content Object) weighting suggested by SCORM, the definition of SCC(Sharable Content Collection) objectifying and linking the learning results of learners and the development of meta-data, the link between learning object components and SCC and the comparison between SCORM and SCORM + SCC. The system established with SCORM + SCC could be developed into new lectures through SCC, resulting in a further increase of learners' options. That is, SCC can organize learners' decentralized SCO class results into a singular lecture, increasing learners' lecture options by having them take quality classes regardless of lecturers and organization while establishing a foundation to develop quality lectures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e-Learning의 효율적인 운영과 개발을 위해 표준안(SCORM)이 마련되었으나, 현재 제시되고 있는 SCORM의 학습객체는 개발과 운영적 측면의 재사용성을 중심으로 정의되어 있다. 학습객체의 공유는 교수자 측면의 공유뿐만 아니라 학습자 측면의 공유가 가능하지 않는다면 학습객체의 진정한 의미를 부여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학습자 측면의 공유는 특정 교수자의 내용만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타기관의 타교수자가 제공하는 학습객체를 학습할 경우에도 동일 과목의 학습으로 인정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즉, 동일과목에 대해 다수의 기관에서 동시수강이 가능하며, 각 기관에서는 타 교육기관에서 학습한 결과를 수집하여 하나의 과목을 수강한 것으로 인정해 줄 수 있는 강의추적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존 학습객체의 단점을 학습자중심의 접근방법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학습객체 Component 개발, SCORM에서 제시한 SCO(Sharable Content Object) weighting 정의, 학습자의 학습결과를 객체화하여 연동하는 SCC(Sharable Content Collection) 정의 및 metadata 개발, 학습객체 Component와 SCC 연동, SCORM과 SCORM + SCC 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SCORM + SCC로 구축된 시스템은 SCC를 통해 새로운 강의로 창출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선택권을 한층 더 높여 주게 되었다. 즉, SCC는 분산되어 있는 학습자의 SCO 학급결과를 하나의 강의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강의자, 강의기관에 관계없이 양질의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강의 선택권을 높여주고, 무한 경쟁시대의 양질의 강의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 문법 교과서에서 탐구학습의 실현방안에 관한 연구

        황시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문법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탐구학습 과정에 비추어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 실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2장에서는 탐구학습의 개념과 과정을 정리하고, 탐구학습의 특성을 통해 탐구학습의 유형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과정 또는 가설이 있는 유형과 탐구 자료가 있는 유형,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참여만 유도하는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중, 첫 번째 유형을 탐구학습 과정으로 보았다. 3장에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2007 교육과정과 문법 과목의 2009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2007 교육과정에서 내용요소로 제시된 ‘탐구’와 2009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탐구학습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문법 과목에서 탐구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또한 현행 문법 교과서에서 탐구학습 과정이 반영된 활동을 문제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각 단계에서 문법 지식이 미리 제시되어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지 못하였다. 둘째, 실질적인 탐구 과정이 아닌 내용학습에 가까운 활동도 있었다. 셋째,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안내가 미흡하여 설명식 교수․학습으로 실시될 가능성이 높은 활동도 있었다. 4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탐구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탐구활동의 실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어와 앎’의 음운, 단어, 문장, 의미 영역과 ‘국어와 규범’에서 한글맞춤법 영역에서 제시하였다. 한글맞춤법을 통해 낱말 형성의 원리 및 표기에 대해 탐구하는 활동, ‘조사를 단어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탐구과정을 통해 토론하는 활동, 부사절을 안은 문장을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탐구하는 활동, 공시적인 구개음화와 통시적인 구개음화를 비교함으로써 구개음화를 탐구하는 활동,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검증기준으로 구별하고 차이점을 탐구하는 활동의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실현방안의 의의는 첫째, 현행 문법 교과서에서 낮은 비율로 제시된 탐구학습 과정이 반영된 활동의 실현방안을 제시하여 탐구학습 유형의 다양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자료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공통점을 도출하여 규칙을 생성하는 귀납적인 과정으로 활동을 구현하였다. 셋째, 학습자가 학교 문법 지식 및 규칙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질 수 있는 내용을 탐구 대상으로 선정한 것이다. 넷째, 공시적 문법 규칙의 탐구를 통시적 탐구로 확대한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실현방안은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본 것이 아니므로 한계를 갖는다. 본고의 한계점은 이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5장 결론에서는 문법 과목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서 다양한 탐구학습 유형이 제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탐구학습은 문법 과목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인식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이를 적용, 시행하는 일이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는 문법 지식을 탐구학습으로 만드는 데 교사의 노력과 시간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이고 전문성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탐구학습의 시행의 어려움을 덜고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탐구학습 과정이 반영된 활동의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탐구학습의 실현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실에서의 탐구학습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모바일 기반 외국어학습의 이론과 영어 학습 보조 장치에 관한 연구 : MALL 이론과 E-mentor의 설계를 중심으로

        정종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응용언어학과 석사학위 학위논문으로 작성된 것이며, 『모바일 기반 외국어학습의 이론과 영어 학습 보조 장치에 관한 연구 -MALL 이론과 E-Mentor의 설계를 중심으로-』를 각각 연구의 주제와 부제로 한다. 모바일 기반 외국어학습을 지칭하는 용어는 ‘m-learning’, ‘mobilearn’, ‘u-learning’ 등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Chinnery(2006)에 의해 언급된 이래로 관련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MALL(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을 차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주된 목적은 MALL의 정의(기술적 정의와 새로운 학습 방안 또는 교수법으로써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외국어학습 및 교수를 실현함 에 있어 MALL에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 2장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MALL의 정의와 특징을 정리하고, 기존의 외국어교수의 교육이론을 MALL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제 3장에서는 MALL의 연구발전 양상과 실제적인 도입 사례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드러나는 MALL의 교육효과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실질적인 사례연구와 더불어 국내 공교육 영어에 있어서 교육부의 주도하에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을 집중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본 논문의 두 번째 목표인 영어 학습의 보조도구 E-Mentor의 설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영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분류 및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개인형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E-Mentor 프로그램의 설계와 구현에 6가지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MALL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효과적인 MALL의 실현에 E-Mentor가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과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구현 양상에 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 모바일 기기 및 통신 기술의 기능적 보완과 교육 콘텐츠의 구성 및 내용면의 보완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效果的 社會科 學習을 위한 統合的 敎授-學習 方法의 適用 授業에 關한 硏究

        박종봉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효과적인 사회과 학습을 위하여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가 지식을 구성하거나, 지식을 실제 생활에 적용하는 것으로 보는 구성주의 관점을 수용하였다. 사회과목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1. 주제와 문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학생 자신에게 의미 있고 사회적으로 공유되며 풍부한 개념과 일반화가 도출될 수 있는 주제와 문제를 중심으로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도함으로써 의사 결정력, 문제 해결력, 그리고 개념화 능력을 길러 주도록 하였다. 또한, 주제나 문제에 적합하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이 고려된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질문, 조사, 토의, 관찰 및 면담, 견학, 역할 놀이,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을 활용하였다. 2.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을 강조하였다. 사회과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교과이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은 사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시켜야 한다. 사회과의 통합적 학습은 학문 또는 생활 영역간의 통합은 물론, 지식, 기능, 가치·태도가 상호 유기적 관계를 맺도록 함으로써 지식과 행동의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이를 위해 사회과 수업에서 지리, 국사, 세계사 분야를 연계하여 지도하였다. 3. 고차적 탐구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사회과 교육은 사회 현상과 문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조직·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고, 사회 생활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탐구 능력, 의사 결정 능력 및 사회 참여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학습으로 마인드 맵을 통한 학습, 토의식 학습, 인터넷 학습 등을 적용하였다. 4.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하였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그 동안에 이루어져 온 여러 교육 사조에서 중시하였던 학습자 중심의 정신과, 오늘날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구성주의 원리를 사회과의 교육 현실에 알맞게 적용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이 목적 의식을 가지고 교수·학습의 계획에서부터 목표, 내용, 학습 방법 등의 선택·결정, 평가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수업을 구성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5. 수준별 교육 과정 정신을 반영하였다. 학습자의 능력과 관심 및 요구의 차이를 고려한 학습의 개별화와 자기 주도적 학습력의 신장을 추구하도록 했다.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지도를 위해서, 기초학습지, 발전학습지 등의 학습지와, 진단 평가와 형성 평가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능력, 흥미, 요구에 대응하는 적절한 과제와 활동을 제공하고 그 수행을 도왔다. 6. 개별화 학습과 협동 학습을 적절히 이용하였다. 소집단 협동학습과 학급내 수준별 수업을 하였다. 협동 학습은 구성원들이 과제에 대한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 협력하면서 긍정적인 상호 의존성을 가지게 하며, 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서 인지적, 정의적 발달을 성취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시 자율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주었고, 협동 학습에 의한 과제 수행 후에는 평가를 통해서 개별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파악하고 수준별 지도를 제공하였다. 7.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회과 학습은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에 접근하며, 그 문제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문제 해결 방향과 연구 결과를 검토할 수 있는 기준을 선정한 후, 사회 과학적 연구 방법에 기초한 탐구 방법이나 그 밖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과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야외 관찰 및 현장 학습, 지도 이용 학습, 문헌 조사 학습, 인물 학습, 사료 학습, 상황 분석 학습, 등 사회 과학 연구 방법에 기초한 학습 방법들을 적용하였다. 8. 세계화·지역화 대응하는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사회과는 세계화와 지방화 시대에 걸맞은 시민 의식과 고차적 사고력을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한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참여 의식, 공동체 의식, 개방 의식 그리고 민주적 의사 결정 태도 등과 같은 시민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견학, 조사, 토론, 역할놀이, 컴퓨터 활용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9. 정보화에 대처하는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정보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정보 처리 능력과 고차적 사고력을 함양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정보와 지식의 수집 및 활용 능력과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에 기초한 문제 해결력, 의사 결정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신문 활용 교육, 인터넷 활용 교육 등을 적극 활용하였고, 데이터베이스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등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학습자들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며 새로운 정보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도왔고, 흥미 본위의 교수·학습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였으며, 컴퓨터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했다. 10. 시사 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사회과는 어느 교과보다도 시간 제한이나 그 영향을 많이 받는 교과이다. 시사 자료의 활용은 새롭게 나타나는 정보 및 사회 변동에 관한 자료를 지도함으로써, 사회 변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깊게 하고 미래 지향적 사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신문,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등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정선하고 검토한 다음, 학생들의 수준에 알맞도록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효과적 사회과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으로 학생들이 사회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개인과 사회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미래 사회주인공으로서 정보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추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더욱 개발 발전시키고, 교육현장에 적용시키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For a effective social subject learning, this study accepted the view of constructivism in which students should construct knowledge for themselves as well as apply the knowledge into their own life. To foster interest in sociology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ctivities and in the long term progress in scholastic abilities of the students, I have used these methods. 1. Re-constructuring contents by pivot of a subject and topic. Had input a decision ma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king conception ability by restructuring the text book's contents into a subject and topic which were publica1ly recognized and easily generalized. and also progress various learning activities which considered student's taste and interest. To achieve this policy, I have used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questioning, investigation, discussing, observation, interviewing, field studying, role play. and simulation game etc. 2. Emphasizing a integral teaching·learning methods. Sociology is essentially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So social phenomena should be understood integrally. This integral search methods make learning and real life to be combined as well as co-related the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attitude, so that students become considerate their knowledge and conduct to accomplish this policy we progressed our class in terms of closely connected subject; geography,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3. Encouraging a high level inquiry. Sociology's purpose is not only get ability of obtaining knowledge and organizing information and using in order to catch the social phenomena and issue, but also drill a investigation and decision-making skill so that students sufficiently cope with various real matter. In order to bring up the inquiry, applying mind mapping, discussing, and web searching were used. 4. Operating a learner-centered activity. A learner-centered activity which has been a main trend of thought is a string to raise student's self decision-making skill. By virtue of learner-centered activity, from setting a plan to object, contents, selecting a learning method, students becom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ir class, to plot their study for themselves and to take a leadership in investigation with a sense of purpose. 5. Reflecting the cause of level conditioning programme. Considering personal capacity, I pursuited individualized learning and self conduct ability, interest and ne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olicy. Also I furnished students with a proper task and activity per their level and give a second help in the case of they need. By taking, advantage of some kinds learning sheet, for example, basic sheet and development sheet. Meanwhile using diagnostic estimation, course estimation, I had achieved a leaner-centered individual instruction. 6. Apposite using a individual study and cooperative activity. I also operated small click's cooperative activity and exercised instruction per personal levels. Cooperative activity had students to cooperate to their common object and give them a mind of affirmative co-relationship. Eventually throughout this dynamic interaction students could obtain a cognative and emotional growth. To actualize this policy, I gave them a self-regulating mood, and after task accomplishment took a test in order to get a grip of personal learning situation and offered students with individual level instruction. 7.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eterials. At social subject search, using the preacquired knowledge students can adjacent to the topic and definite the issue's nature and set up a measurement what is enable student to catch a solve-point and work's production. Therefore exerci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so called, has a remarkable significance. To this policy, field investigation, spot survey, map using, 1itemture research character study, historical materials survey, situational analysis. And others had been applicated 8. Had students to fairly cope with the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Sociology's duty is bring up a mind of civic virtues and to encourage high-level consideration. Dur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 had applied many sor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ield work, survey, debate, role play, web search, in order to bring up student's civic virtues; participationship, community spirit, open heart and democratic decision making. 9. Inputting a proper instruction which get students handle information age. To handle information age, students should be armed with the ability of dealing information and high-level investigation. I had been endeavoring student's ability of dealing information. To accomplish this idea, NIE and web searching study were vividly used. Meanwhile database and simulation program played as an important role. As assist student's self-conduct activity I had cared not to be just pursuit for amusement and not to be extremely depend on a computer. Through this activity students came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emselves and could create new information. 10. Applying the source of current events brickly. Originally, Sociology is the most sensitive to the time than any other fields. Current event materials give students many chances of practices what make enable to think deeply and go future-age. So I selected fair materials among the newspaper, magazine, radio, TV, internet and applied it to student's interest and individual capacity. Throughout thes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students will be have an appreciative eye on the social phenomena and many sort of individual·social problems so that they will be sufficiently handle with now globalization, information age and open age. Here after, more advanc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which will be applied to our education systems are expectable tasks as well.

      • 중학교 사이버가정학습 강좌 사례 분석

        안동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이버교사로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과 관련해 강좌의 운영 과정과, 효과적인 운영 전략은 어떠한지 그리고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우수 사이버가정학습 강좌의 운영 과정은 어떠한가? 2. 우수 사이버가정학습 강좌의 효과적인 운영 전략은 무엇인가? 3.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D광역시 교육청에서 운영한 사이버가정학습 교수경험이 있는 중학교 교사 중에서 제4회 전국ICT활용교육연구 대구예선대회(사이버가정학습분과) 입상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회에 제출한 보고서와 사이버학급 사이트, 그리고 사이버학급의 운영 및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을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두 번째 연구문제인 사이버가정학습 강좌의 효과적인 운영 전략을 알아보면 교사, 학부모, 학생 등에게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개별 홍보를 실시하였고, 학습자의 기초 자료를 조사ㆍ분석하여 학급 운영에 반영하였고, 다양한 기능의 학급게시판을 운영하였다. 동영상 자료 등 각종 학습 보조 자료를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였으며, 쪽지, SMS 문자보내기, e-mail, 전화 등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간헐적인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사이버학급에 대한 유대감을 강화하였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살펴보면 콘텐츠의 장점으로 화려한 애니메이션 효과와 다양한 내용과 예제 학습이 가능하다고 하였고, 단점으로는 반복되는 같은 형태의 인터페이스와 애니메이션, 오류의 내포 등을 지적하였다. 콘텐츠의 개선점으로 수준별 콘텐츠의 개발, 오류의 제거,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설계,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설계 등을 제시하였다. 사이버학급을 운영하면서 육체적ㆍ정신적 스트레스, 학습 회피 학생에 대한 지도, 너무 많은 학급 당 학생 수 등을 힘들어하였다. 행정적 지원이나 각종 인센티브의 확대를 희망하였고,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을 위해 좋은 품질의 콘텐츠 개발, 시스템의 정비, 활발한 홍보 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eachers who served as cyber teachers i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and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find out their management process,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recognition and needs of teachers in cyber classes of middle school HLS. To accomplish th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How about the management process of superior cyber classes i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2. What're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superior cyber classes i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3. What's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cyber teachers i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For this research, 4 middle school cyber teachers were selected in D city. They were the prize-winners of the contest "the 4th ICT Application of Education". The reports submitted for the contest, the website of cyber class, and a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ir recognition and needs about the cyber class and cyber home learning service. The qualitative methods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management process in cyber class. The effective strategies were 1) the individual publicity activities to the teachers, parents of student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about cyber home learning service 2) using the learner's information in managing the cyber class 3) operating the cyber bulletin board which have various functions 4) making an offer the learning aid materials 5) utilizing cyber note, SMS massage, e-mail, and phone call for the instant feedback 6) occasional meeting for connectedness. Secondly, cyber teachers recognized cyber home learning service as follows: 1) the contents in the cyber learning have advantages in various animation effects and manifold exercises. 2) disadvantages are monotonous interfaces, repetitive animations and many errors in contents. They represented some reform measures such as develop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each student's level, removing the errors, and making the various forms of interfaces, and interactive interfaces. Cyber teachers have mental and physical difficulties in operating cyber class such as unwilling students, and too many students per class. They wanted some administrative supports, and extended incentives. They also suggested that high-quality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nd complete system equipped and active publicity activities made for more effective cyber home learning service.

      •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논증모델의 활용이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논증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유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 정보사회,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디지털 지대로의 진입과 더불어 그 양과 속도 면에서 하루가 다르게 배증하고 있는 정보를 흡수 관리 공유하는 능력과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내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유평준 권혁일, 2000) 하지만 이와 같은 지식기반사회에서 논리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를 통한 민주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국가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가장 중요한 경쟁력의 요인으로 일컬어지고 있지만,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뚜렷하게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학자들은 지적하고 있다(Halpern,1992) 그러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교육에 활용하여 시공을 초월한 학습을 구현하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등, 교육체제 전반에 걸쳐 일대 혁신이 일어나게 되면서(강인에, 1997, 정인성, 1995, Willis, 1993),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각기 다른 구성원의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는 온라인 토론 학습이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소집단 토론 학습에서 인지 과정에 대한 능동적인 점검이나 평가 등을 다양한 학습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토론 참여를 위해 영국의 철학자 Stephen E Toulmin(1958)이 제시한 논증모델(argumentation model)을 시각적 보조 도구로서의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로 활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처럼 논증모델을 활용하여 온라인 토론 학습에 참여할 때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해당하는 인지양식에 따라 논증기술과 토론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현장의 토론 지도와 온라인 토론 학습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전략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논증모델의 활용(시각적 보조도구)은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학습자 인지양식(총체형/계열형) 측면에서 논증의 양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1-1 인지양식은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의 양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1-2 논증모델의 활용은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의 양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1-3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인지양식과 논증모델의 활용은 논증의 양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2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논증모델의 활용(시각적 보조도구)은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학습자 인지양식(총체형/계열형) 측면에서 논증의 질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2-1 인지양식은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의 질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2-2 논증모텔의 활용은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의 질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2-3 토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인지양식과 논증모델의 활용은 논증의 질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실험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E 대학교 학부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학습자가 온라인 토론 학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Ford(1985)의 '학습선호도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인지양식을 측정하였으며, 7주 동안 총 3개 주제에 대한 토론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자에게 제공된 온라인 토론 학습과 논증모델 오리엔테이션은 교육공학 전문가 1인과 내용 전문가 1인에게서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사용된 것이다. 토론이 완료된 후, 연구자는 학습자 논증기술의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토론 매시지를 논증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사용된 방법은 고급통계인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이다. 그렇다면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의 횟수가 3회 반복됨에 따라 학습자의 인지 양식으로 인한 논증의 양은 주장(P=0.148, p=0.711>0.05), 근거(F=0.802, p=0.397>0.05), 추론규칙(F=0.791, p=0.400>0.05), 후원(F=0.015. p=0.906>0.05), 반론(F=0.036, p=0.854>0.05)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의 횟수가 3회 반복됨에 따라 논증모델의 활용으로 인한 논증의 양은 주장(F=5.679. p=0.044<0.05)과 추론규칙(F=5.657, p=0.045<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의 횟수가 3회 반복됨에 따라 학습자 인지양식과 논증모델의 활용이 논증의 양에 대하여 어떤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는가를 분석한 결과, 논증의 양은 주장(F=3.310, p=0.106>0.05), 근거(F=0.618, p=0.454>0.05), 추론규칙(P=1.592, p=0.243>0.05). 후원(F=0.015, p=0.906>0.05), 반론(P=1.990, p=1.196>0.05) 모두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의 횟수가 3회 반복됨에 따라 학습자의 인지양식으로 인한 논증의 질은 주장(F=0.032, p=0.863>0.05), 근거(F=0.292, p=0.604>0.05), 추론규칙(F=0.947, p=0.359>0.05), 후원(F=0.276, p=0.614>0.05), 반론(F=0.003, p=0.960>0.05)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의 횟수가 3회 반복됨에 따라 논증모델의 활용으로 인한 논증의 질은 추론규칙(F=5.857, p=0.042<0.05)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의 횟수가 3회 반복됨에 따라 학습자 인지양식과 논증모델의 활용이 논증의 질에 대하여 어떤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는가를 분석한 결과, 주장(F=2.632, p=0.143>0.05), 근거(F=0.135, p=0.723>0.05), 추론규칙(F=0.644, p=0.446>0.05), 후원(F=0.197, p=0.669>0.05), 반론(F=1.684, p=0.231>0.05) 모두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1-1과 2-1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처럼 인지양식이 논증의 양과 질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지양식에 적합한 교수 학습전략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인지양식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 원인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개인의 정보 조직화와 관련된 총체형 및 계열형 인지양식의 분류가 역동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많은 영향을 받는 논증활동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1-2와 2-2의 연구문제의 결과처럼 논증모델의 활용이 논증의 양적 측면에서는 주장(claim)과 추론규칙(warrant)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논증의 질적 측면에서는 추론규칙(warrant)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는 결론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즉 시각적 보조도구로서의 그래픽 조직자(graphic) 인 논증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논증모델의 일차적 요소에 해당되는 주장과 추론 규칙에 대한 진술량을 증가시키고 그 내용 수준을 높여줌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논증기술 향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질적으로 우수한 토론의 논증 활동은 논제를 해결하기까지 다양한 주장의 유형이 계속적으로 발견되고 논의되는 과정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Rieke와 Sillar(2001)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논증모델을 활용한 토론의 횟수를 3회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논증의 양은 주장(F=6.044, p=0.033<0.05), 근거(F=5.064, p=0.044<0.05), 추론규칙(F=8.467, p=0.044<0.05)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논증의 질은 주장(F=5.639, p=0.036<0.05), 근거(F=0.908, p=0.032<0.05), 추론 규칙(F=19.054, p=0.001<0.05)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논증모텔을 활용하여 온라인 토론 학습에 반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기본적인 논증활동의 양과 질을 증가시킨 것이고 볼 수 있다. 즉 자신의 주장을 그래픽 조직자인 논증모델로 표현하며 토론 활동에 반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의 논증기술 향상과 더불어 사회적 측면의 협력적 문제해결이라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총체형 및 계열형 인지 양식은 논증모델 활용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기술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자가 지금까지 논증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인의 정보 조직화와 관련된 인지양식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개인의 정보 조직화와 관련된 인지양식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인지양식과 논증모텔을 관련시킨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논증모델의 활용은 논증모델 활용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기술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논증모델은 토론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주어진 논제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협력적인 문제해결과 대안제시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지도구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온라인 토론 학습에 대한 연구가 학습자의 상호 작용의 양상을 밝히는 데서 그치지 않고, 보다 효과적인 토론과 논증활동 및 문제해결을 위한 학습전략의 연구로 다양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위한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지양식과 논증모델의 두 변인 사이에는 논증기술에 대해 어떠한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고 첫번째 연구문제의 결과 인지양식은 논증기술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으므로, 반복적인 논증모델의 활용만이 학습자의 논증기술을 향상시키는 효과 변인이라고 볼 수 있었다. 이 때 논증모델은 학습자의 논증을 개인적 정보처리 및 사고구조를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처럼 온라인 토론 학습 환경에서 개인의 논증활동 및 양상을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논증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공동체 구성원의 암묵적 동의를 이끌어 내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의 실체인 논증활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자는 인지양식이 어느 정도 안정된 수준에 이른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학습자의 논증기술과 인지적 발달 단계와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해서 고려해 볼 만하다. 즉, Piaget 가 상정한 인지 발달 단계가 논증기술에도 적용이 되는지,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을 때 자신의 주장을 개진하는 데 있어서 논증모델과 같은 형식적이고 도구적인 조작을 할 수는 없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논증 도식(argument scheme)에 대하여 학습자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게 함으로써, 현실적으로 한국과 같은 다인수 학급 속에서 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논증활동 및 토론학습의 수업 모형과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Toulmin(1958)의 논증모델은 서구 논리학에 기초하여 개발된 논증 도식이었다. 이를 한국의 토론 문화에 적용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언어 문화 가운데에는 전근대적 요인과 근대적 요인이 공존하면서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경어법의 사용, 권위에 호소하는 논증이 여전히 큰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논증모델의 활용을 보다 광범위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확대한다고 하면, 이처럼 관계 형성 우선의 한국적 문화를 교육적인 견지에서 분석한 새로운 논증모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즉 논증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논증모델을 활용할 때, 더욱 효과적인 토론 학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gumentation model and cognitive styles of learners on argumentation skills m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mall group debate setting in which four students made use of graphic organizer or self report as an argumentation support tool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ult of the study will show a practical strategy for the guidance of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how does the argumentation model affect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depending on cognitive styles of the learners? 1-1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 cognitive styles cause any different effect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1-2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es argumentation model cause any different effect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1-3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what kind of interrelationship lies between argumentation model and cognitive styles of the learners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2.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how does the argumentation model affect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depending on cognitive styles of the learners? 2-1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 cognitive styles cause any different effect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2-2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es argumentation model cause any different effect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2-3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what kind of interrelationship lies between argumentation model and cognitive styles of the learners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order to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forty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for a philosophy and history of education course participated 111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PQ of Ford(l985) to divide them into two kinds of cognitive styles(ho1ist or serialist) And then, they were re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students submitted their weekly reports using argumentation model as a graphic organizer and a comparative group in which students stated their views freely in weekly reports by 2×2 randomized factorial design Under the consideration of possible repetitive effect of discussion, the researcher adopte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first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1-1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depending on cognitive styles of the learners(c1aim F=0 148, p=0 711>0 05, ground F=0 802, p=0 397>0 05, warrant F=0 791, p=0 400>0 05, backing F=0 015, p=0 906>0 05, rebuttal F=0 036, p=0 854>0 05) 1-2.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differences of the quantity of claim(F=5 679, p=O 044<0 05) and of warrant (F=5 657, p=O 045<0 05) 1-3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interrelationship of the quantity of the argumentation between cognitive styles and argumentation model(claim, F=3 310, p=O 106,0 05, ground F=0 618, p=O 454>0 05, warrant F=l 592, p=O 243>0 05, backing F=0 015, p=O 906>0 05, rebuttal F=l 990, p=l 196>0 05) The results of second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2-1.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depending on cognitive styles of the learners(c1aim F=0 032, p=0 863>0 05, ground F=0 292, p-0 604>0 05, warrant F=0 947, p=O 359>0 05, backing F=O 276, p=0 614>0 05), rebuttal F=0 003, p=O 960>0 05) 2-2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differences of the quality of warrant (F=5 857, p=0 042<0 05) 2-3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inter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the argumentation between cognitive styles and argumentation model(c1aim F=2 632, p=0 143>0 05, ground F=0 135, p=0 723>0 05, warrant F=0 644, p=0 446>0 05, backing F=0 197,p=0 669>0 05, rebuttal F=l 684,p=0 23 1>0 05)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irst,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styles about the social interaction on argumentation skills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Second, more practical learn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discussion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should be investigated Third, we need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gumentation skills and developmental stages In other words, the diversification of argumentation schem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will lead us to an untraced instructional method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field Finally, the Korean-style argumentation model which is taking a serious view of relationship in community should be suggested Then, we need to apply an argumentation model reflected various cultural characters in on-he discussion learning

      •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담임교사의 지도성 및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 관계

        이아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습에 있어서의 주도성을 의미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평생학습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상에서, 입시에서, 심지어는 기업 입사에 이르기까지 자기주도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가장 가까운 곳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조력자인 부모와 교사에게 정작 어떤 역할을 부여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담임교사의 지도성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있다.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은 ‘자녀의 성적향상을 위한 지원활동’, ‘자녀교육을 위한 적극적 활동’, ‘ 자녀교육을 위한 감독활동’, ‘학교관련 지원활동’, ‘교육환경 조성활동’의 다섯 개 영역으로 나누었다. 담임교사의 지도성은 과업요인과 인화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중학교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및 담임교사의 지도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검토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담임교사의 지도성 하위 영역 중 어떠한 부분이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크게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의 주도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담임교사의 지도성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학생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또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중 자녀교육을 위한 적극적 지원활동이, 담임교사의 지도성 중 과업요인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즉, 부모가 교육적 지원을 할 때에는 학습의 결과에 지나치게 관심과 기대를 갖기 보다는 학습과정에서 필요한 학습분위기 조성이나 정보제공, 건강 챙기기, 생활 전반에 대한 애정과 관심 등의 조력을 주는 것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에 유효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담임교사 역시 학교에서 이루어야 할 과업, 책임, 의무 등을 명확히 상기시키고 기대하는 바와 그 목표치를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학습에 있어서도 자기주도성을 높이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는 연구이다.

      •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학습부진 발생 단계 분석 및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박계관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수학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습부진 발생 단계와 그 원인을 조사하고, 효율적인 학습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J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수학 학습부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학습 전략 검사’, ‘초등수학 숙지도 검사’, ‘수학 학습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22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지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수학 학습부진은 4-가 단계에서부터 급격히 발생하여, 중학교 1학년이 될 때까지 누적되면서 더욱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된 원인들로는 수학 수업시간에서의 학습소홀, 배운 내용에 대한 가정에서의 복습 부재, 학생의 수리적 지능 부족, 생각하는 것을 싫어하는 학생의 타고난 성격, 학생의 지능발달 단계보다 높은 수학 개념의 학습, 개인의 수준차를 고려하지 못한 학습 지도, 학습 결손에 대한 적시의 보충 부재 등이었다. 중학교 1학년 학습부진 학생들이 현재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학습 결손의 누적으로 인한 기초학력의 부진이며, 그로 인하여 초래된 수학에 대한 거부감 형성, 흥미와 자신감 상실이 수학 학습의 큰 걸림돌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의 기초 연산 능력을 배양하고 기본 개념을 익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지도가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 특별보충과정’을 충실하고 내실 있게 운영한다면, 수학 학습부진 학생들이 기초 연산 능력을 배양하고 기본 개념을 체계적으로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과정을 충실히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 결손 부분, 학습 습관, 수학적 성향 등을 우선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사용한 ‘초등수학 숙지도 검사지’와 ‘학생의 학습 관련 설문지’는 학생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예시가 될 수 있다. 이 검사들을 통하여 얻은 학생에 대한 정보와 특별보충과정에서의 학습 진행 상황은 ‘학습 기록 카드’에 기록되어, 학년 진급 후에도 담당 교사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졸업 때까지 연속적으로 관리되어야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용도로 쓸 수 있는 ‘학습 기록 카드’의 예시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및 분석 부분에 제시되어 있다.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통합형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숙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투입하는데 있어서 통합형 촉진전략과 분리형 촉진전략 간의 학습효과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통합형 촉진전략과 분리형 촉진전략이 학습자의 학습능력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I>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통합형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받은 집단과 분리형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받은 집단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에서 차이를 보여줄 것이다. [가설 I-1]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하위 요소인 통합형 메타인지 촉진전략을 받은 집단과 분리형 메타인지 촉진전략을 받은 집단은 메타인지능력에서 차이를 보여줄 것이다. [가설 I-2]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하위 요소인 통합형 인지 촉진전략을 받은 집단과 분리형 인지 촉진전략을 받은 집단은 인지 능력에서 차이를 보여 줄 것이다. [가설 I-3]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하위 요소인 통합형 동기촉진전략을 받은 집단과 분리형 동기촉진전략을 받은 집단은 동기능력에서 차이를 보여 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동질집단으로 밝혀진 6학년 2개반 6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통합형 촉진전략을, 비교집단을 투입한 분리형 촉진전략이 투입된 사회과 프로젝트 학습을 8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효과 검증은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전략은 기각(p<.05)되었다. 즉 통합형 촉진전략이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통합형 촉진전략과 분리형 촉진전략 모두 평균의 향상은 있었으나 메타인지 촉진전략은 학습자의 메타인지 향상에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형 메타인지 촉진전략과 분리형 메타인지 촉진전략은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둘째, 인지 전략(p<.001), 동기 전략은 긍정(p<.01) 되었다. 즉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통합형 촉진전략이 학습자의 인지 능력과 동기 능력을 향상키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통합형 동기 촉진전략과 통합형 인지전략은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세 가지 전략을 포함하고 있는 자기조절 학습능력 향상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시 말하면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투입시 분리형 촉진전략보다는 통합형 촉진전략이 학습자의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은 통합형 촉진전략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할 때 분리형 촉진전략보다는 통합형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능력의 격차를 좁힐 수 있는 통합형 촉진전략을 교수 학습에 투입한다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도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웹을 활용한 교수 학습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자발성과 적극성이 요구되므로 학습 과정 중에 투입되는 통합형 촉진전략은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고경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소재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30명인 한 학급은 실험집단에, 30명인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을 위하여 가정학습과제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 총 8회기(회기당 40분씩 주 1회)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김아영․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알맞게 번안하여 사용한 자기효능감척도와 학교에서 실시된 중간, 기말 학업성취도평가이며,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Window 10.0에서의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고,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 후에 프로그램 과정을 평가하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들이 작성한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 관찰 내용을 정리하여 질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 분석 결과에서 실험 참가자들이 전체 프로그램의 과정과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의 전략이나 방법이 가정학습과제 제시 전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향상 집단상담은 예방적․발달적 차원에서 학생들의 정의적․인지적 발달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셋째, 학습기술의 하위영역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구체적인 연구로서 학생들이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뿐만 아니라 교육현실에 맞는 학습 및 교수 방법의 개선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효과들을 후속연구들의 효과와 계속해서 비교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객관성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 하위 요인 중 과제난이도 선호,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하위 요인 중 국어와 과학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프로그램 내용과 실시방법을 수정〮하고 보완한 추후연구를 통하여 좀더 타당성 있는 효과 검정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대상의 개인적 특성에 맞게 구체화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추후검사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각각 대상 학년의 발달 단계에 맞는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중학년, 저학년에서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가정학습과제 해결기술 외의 일반적인 학습기술의 하위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들이 어떠한 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각각의 영역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