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풍납동 토성 일대 보존관리정책의 개선방안

        박지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에 자리한 서울 풍납동 토성(이하 풍납토성)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史蹟)으로 보존되고 있는 백제 한성기 왕성 문화재이다. 본래 성벽을 중심으로 문화재가 지정, 보존되어왔으나 1997년 풍납토성 내부에서 백제 문화층이 확인된 이후 성벽과 함께 토성 내부에 대한 보존정책이 이뤄져 왔다. 이에 따라 풍납토성 내부를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해 매입하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풍납동 일대에는 도시적 주거환경이 형성되어 있었기에 보존정책의 추진과정에서 주민 이주 및 보상 문제를 둘러싸고 행정과 주민 간 갈등이 일어 왔다. 더욱이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부지 매입과정이 지체되고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마저 제시되지 못하면서 풍납동의 정주 환경이 악화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안을 타개하기 위해 2015년부터는 문화재 보존 중심에서 문화재와 주민이 상생하는 방향으로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기조가 전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8년 수립된 <서울 풍납동 토성 종합정비계획>은 풍납토성의 발굴·정비와 더불어 주민지원 및 생활환경 개선에 관한 사안을 포괄하여 구성되었다. 이어 2019년에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이 도입되어 풍납토성의 역사성을 활용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풍납토성 보존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17418호, 2020. 6. 9. 제정)」과 「풍납토성 보존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1544호, 2021. 3. 23. 제정)」이 제정되어 보존관리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보존관리정책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풍납토성 보존관리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진행된 공청회와 설명회에서 드러난 현안을 살펴보면 보존 초기와 다름없이 풍납토성의 역사적 가치가 전달되지 못하거나 추진되는 사업에 대한 주민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구성되었다. 특히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어 온 정책 방향 및 제안 사업이 상당 부분 현행 정책에 반영되어 있음에도 정책 추진이 정체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기존 연구와 달리 정책 방향과 세부 사업의 제안이 아닌 정책의 운용적 측면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운용 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문화재 보존과 지역관리를 복합적으로 추구하는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특성에 따라 이를 역사문화환경 보존관리의 맥락에서 인지하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현황을 법률 및 계획, 핵심 운영사업, 주요 행위자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운용 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문제점은 제도, 운영사업, 주요 행위자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제도상으로는 보존관리에 포함되는 대상의 범위가 한정적인 점과 정책의 지속성 및 실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가 미비한 문제를 확인하였다. 운영사업 상으로는 생활환경이 고려되지 않은 채 매장문화재 분포 특성만을 바탕으로 하는 현행 권역 구분은 지역관리 차원의 정책에 적합하지 않으며, 특정 구역에 국한된 보존관리가 시행되면서 전체 지역을 포괄하는 보존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행위자 상의 문제로는 산발적으로 행정협력이 이루어지는 점과 풍납동 주민의 역량이 고려되지 못한 채 주민참여 방안이 시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역사문화환경에 기반하여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보존관리 대상 및 내용 범위를 확장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규정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풍납토성 보존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하여 보존관리정책의 지속성과 실효성을 보장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두 번째로 매장문화재 기반의 기존 권역 구분을 보완하는 생활환경 기반의 구역 구분을 도입하여 이를 도시재생사업 추진 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풍납토성 보존관리를 위한 민관 협력 기관을 설립해 민관의 통합적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주민과 더불어 민간의 정책 참여 범위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주민의 사업 운영 역량 또한 강화할 기회를 마련할 것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그동안 주요하게 논의되지 못했던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운용 측면에 관한 분석을 다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논의되지 않았던 운용적 측면에서 풍납토성 보존관리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찰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방안의 실질적 이행을 위해서는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Located in Pungnap-dong, Songpa-gu, Seoul, the Pungnap-dong Toseong Fortress (hereinafter “Pungnaptoseong”) is a cultural asset dating from Baekje’s Hanseong Period, and is registered as a designated national cultural heritage site. Originally, the ramparts of the fortress had been designated and preserved as cultural properties. Since 1997, when a soil stratum containing artefacts produced in Baekje was identified inside the fortress, policy measures devised to preserve not only the ramparts but also the inside the fortress have been implemented. Accordingly, the government began to purchase this land. However, since urban residential areas had already formed in the Pungnap-dong area, intense conflicts aros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esidents over the relocation of and compensation for the reside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fortress conservation policy. Moreover, the site purchase process was delayed due to difficulties in securing a budget and there was no long-ter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which meant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original settlement in Pungnap-dong worsened.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in 2015 the government started to shift the objective of the Pungnaptose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from the sole goal of preserving cultural assets to balancing the imperative to preserve cultural assets and to recognize the needs and prerogatives of residents. In this context, the Seoul Pungnap-dong Toseong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established in 2018, encompasses issues related to the excavation and maintenance of Pungnaptoseong, support for residents, and improvemen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ince 2019, on the basis of this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im has been to develop the Pungnaptoseong area by promoting the historicity of the fortress. In addition, with the recent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Pungnaptoseong (Act No. 17418, enacted on June 9, 2020)”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Presidential Decree No. 31544, enacted on March 23, 2021), the legal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has been put in place.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such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Recent public hearings and briefings have revealed tha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Pungnaptoseong fortress is still not delivering benefits to the public, and that there is no consensus among local residents on the proje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how to effectively enhance and promote the Pungnaptose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s being delayed even though its goals and the proposed projects that have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re largely reflected in the current policy, this study examines its operational aspects rather than suggesting policy goals and particular proj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ungnaptose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and to suggest measures which could improve it.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which simultaneously pursues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management of the locality for the benefit of residents, in the context of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ungnaptose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in terms of planning, legislation, core projects, and the major actors involved. It also examines the problems that have arise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olicy, which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bove factors. On this ba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scope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argets included in the relevant laws and plans has been limited and that the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have been lacking.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he current districts, which have been zoned based only on the distribution of buried cultural assets without consideration being given to the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are at odds with existing regional management policies. In additi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focuses only on specific areas. Lastly, in terms of the main actors involved, there is a lack of continuity in relation to administrative cooperation, and the current resident participation plan does not reflect the capacities of the residents of Pungnap-dong.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supplement the existing policy, taking accou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area. Firstly, the scope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argets specified in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Pungnaptoseong should be expanded, and the continuity and hence the enhance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hould be prioritiz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ful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of the existing districts, which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buried cultural assets, and to incorporate the newly zoned areas in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Lastly,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ystem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ungnaptoseong, and to expa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and roles of the residents and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al aspects of the Pungnaptose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which have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so far, and addresses related problems and the necessary supplementary measures that should be implemente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s on the operational aspects of the Pungnaptose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which have been largely neglected.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that additional review should be carried out before the supplementary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ctually implemented. Keywords: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Seoul; Pungnaptoseong Fortress; Pungnaptoseog;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cultural heritage policy;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 역사문화환경으로서 풍납토성 일대 변화과정의 도시형태학적 해석

        이난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ungnaptoseong fortress(kingdom fortress), which is the core area of Hanseong Baekje period's capital city, and the surrounding areas from late Joseon dynasty to current, and to morphologically interpret the process that the elements were formed and changed. For this, the spatial scale was divided into 'Pungnaptoseong metropolitan area(macroscopic spatial dimension)' and 'Pungnaptoseong zone(microscopic spatial dimensi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morphology elements around Pungnaptoseong area, and the process that each element was changed by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ociety-economic factors and interaction of each element was interpreted morphologically. The change process of Pungnaptoseong metropolitan area in macroscopic spatial dimension can be summarized by each morphological period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of forming annular road network system'(the 18th century ~ 1910), the annular road network system that connected Gwangjin-Pungnaptoseong-Mongchontoseong-Songpajin-Namhansanseong-Gwangjin was maintained for a long time. Especially main streets that passed Gwangji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could be confirmed to have existed on the extension of roads of national network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Bonghwadaero centered annular road network with Songpajin as a key location from the road traffic with Gwangjin as a key location was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annular road network system connected from far Hanyangdoseong to Hanseong and Namhansanseong of Hanseong Baekje period in the national road network level, so the historical meaning that the relevant areas were connected in time and space from Hanseong Baekje period to Joseon Dynasty could be comprehended. During 'the period that annular road network system was changed and collapsed'(1911~1967), the road system was changed by the 1st and the 2nd Road Planning and Vehicle Transport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raditional street network system was changed due to construction of newly constructed road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s this road network system was fixated after the independence, the road network system that organically connected the major strategic points within Pungnaptoseong metropolitan area was collapsed. During this period, the motorcar road centered street network system was newly established based on Cheonho-dong(Gokgyori). As motorcar roads such as Gwangjingyo and Cheonhogu Intersection near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were established, these situation changes became a primary cause that caused the beginning of future urban development and the damage of cultural relics. During 'the period of urban development and relics damage'(1968~1985), as Songpa River, which was the main stream of Hangang River, was reclaimed by Comprehensive Hangang River Development Project, and Shincheon became the main stream, the passage of Hangang River was changed. The street reorganization planning of Seoul Urban Planning(1971) was designed without consideration of cultural heritages of Hanseong Baekje Period, so streets were supposed to pass the cultural heritages. Most of the parts were implemented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As a result, the current straight and grid-type road network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central axis was moved from Cheonhugu Intersection(Cheonho) to Songpadaero(Jamsil). Most of old roads disappeared, but Songpadaero remained succeding to Bonghwadaero. The cultural heritages of Hanseong Baekje were ruined and fragmented by newly built or expanded roads, and were neglected by being surrounded by roads and houses while being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heritage centered conservation'(1985~present), as such projects as Comprehensive Restoration Maintenance Plan of Seoul Ancient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Baekje Cultural Area Heritage Maintenance Project were implemented,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started to be excavated, preserved and maintained. However, those heritage conservation projects were done focusing on phenomena distorted and ruined by urban development and sole heritages. In addition, other heritages than Mongchontoseong weren't conserved or managed properly until late 1990s without thorough character definition. Therefore, each heritage was still fragmented, and remains in the damaged and distorted form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With the disappearance of old road networks, organic connection of historical contexts between cultural heritages, and between Hangang River and cultural heritages was broken. The change process of Pungnaptoseong areas in microscopic spatial dimension is summarized by morphological period each as follows. 'Pungnaptoseong in late Joseon Dynasty'(before 1910) was located with close connection with rivers and canals, and Hangang River and Pungnaptoseong were integrated space with close connection. Among old roads, the inner center road that is closely related to Noryeong-ro with the topography of Hanseong Baekje reflected was studied. The most part of Pungnaptoseong west rampart itself was carried away, and at the remaining area of west rampart, residential area(pottery-making sites, village of craftsman) was formed. Therefore, Pungnaptoseong was major spot for residential area in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relatively prosperous village that had the function of pottery-making industry. The urban forms of Hanseong Baekje period and late Joseon Dynasty had high spatial contextual correlation, and the overall shape, lineage and moat of Pungnaptoseong rampart were estimated. During 'the period of Pungnaptoseong transformation'(before Hangang River's development: 1910~1967), the passage of Songpagang River was changed by the Great Flood of the Year of the Ox, and the connected part between north wall and west wall was swept away, forming puddle. As Gwangjin Bridge and Shinjak-ro for vehicles were newly constructed, there was structural change that increased the pressure of development in the areas of north wall and east wall of Pungnaptoseo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esignated north wall, east wall, south wall and some of remaining west wall as historical places, so some parts of west wall had forms with the severance of the whole areas. When land registration maps of 1911 and 1967 were compared, the division of the transformation of lots adjacent to the roads was distinct. As state-owned land and government-vested land were sold to individuals, the lots were fragmented. The land was increased, but the land use property was mostly farm fields and forest land until 1967. As some areas of Pungnap-dong were designated as semi-industrial district(1966), factories entered Pungnaptoseong area later. During 'the period of Pungnaptoseong demolition'(after Hangang River development: 1968~1992), as Songpagang River stop gate construction was implemented at west south wall of Pungnaptoseong, and the stream of Songpagang River was landfill by public waters reclamation construction, the topography of south wall area was greatly transformed. Later, as Hangang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became serious, Hangang River became completely artificial. The planned roads during this period were constructed as east and west walls were cut or damaged. As embankment roads were constructed, Pungnaptoseong and Hangang River were completely separated, and in the process that banks were built, west wall was ruined and the remaining west wall was fragmented. Since the embankment road was built between the disconnected west walls, the inside was misunderstood as the probability area of west wall. After partial teardown of rampant in 1969, it wa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in 1970, but due to designation of field oriented buffer-zone, considerable part of west rampant was automatically excluded or omitted from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When the land registration maps of 1967 and 1982 are compared, lots-subdivision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①The type of subdivision done by being adapted to the original urban form as areas of readjustment of town lots according to private lots-subdivision project. ② The type of completely new lots transplanted after the original urban form was collapsed as housing site preparation area according to public land readjustment project. ③ The housing site preparation type after combined lots by being adapted to planned streets(Pungseong-ro, Toseong-ro). Regarding the change of land use, most areas except rampart were developed as housing sites. Factories, schools and apartments were built forming large scale of lots. During 'the period of conserving Pungnaptoseong'(1993~present), most sections except west wall estimated area and east wall dismissed section were repaired focusing on rampart whose original form remains from 1993. From the end of 1990s, areawide conservation was done focusing on buried cultural heritages in the inside of Pungnaptoseong. At that time, as the policy of areawide conservation recognized Pungnaptoseong as a sole cultural heritage where rampart and buried assets were spread, sporadic designation and purchase were done, but recently, it was switched into selective and concentrated compensation methods that compensate core sites among palace estimated sites first. When the land registration maps of 1982 and 2016 are compared, house construction focusing on apartments regardless of the context of existing urban space was done by private initiative. However, there are still old streets of Hanseong Baekje period, old streets of Joseon Dynasty, alleys formed in 1960~70 and houses or blocks of rectangle farm field type(田) of late Joseon Dynasty around Gyeongdang District and its north areas.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 한성백제기 도성의 핵심지역인 풍납토성(왕성)과 그 주변지역을 역사문화환경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들이 형성되고 변화되는 과정을 도시형태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스케일을 ‘풍납토성 광역권’(거시적 공간차원)과 ‘풍납토성권’(미시적 공간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선후기 풍납토성 일대 도시형태 구성요소의 특성을 파악한 후, 형태적 시기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이 자연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또는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하는 과정을 도시형태학적으로 해석하였다. 거시적 공간차원의 풍납토성 광역권 변화과정을 각 형태학적 시기별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형 도로망 체계의 형성기’(18세기~1910년)에는 광진-풍납토성-몽촌토성-송파진-남한산성-광주고읍-광진을 연계하는 환형 도로망 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해왔다. 특히 광진을 통과하는 18~19세기 대로들은 한성백제기 국가망도로와 연속선상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기존의 광진을 거점으로 한 도로교통에서 송파진을 거점으로 하는 봉화대로 중심의 환형 도로망체계가 구축되어 있었음을 분석해내었다. 따라서 환형 도로망 체계는 멀리는 한양도성에서부터 한성백제기 한성과 남한산성을 국가망수준의 도로로 연계하고 있어 한성백제기부터 조선시대까지 해당지역이 시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환형 도로망 체계의 변형과 와해기’(1911~1967년)에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제1기 및 제2기 치도사업계획에 의해 도로체계가 변화되었다. 전통적 가로망체계가 일제강점기 신작로 건설로 인해 변형되었고, 해방 이후 이러한 도로망 체계가 고착화되면서 풍납토성 광역권내 주요 거점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도로망체계가 와해되었다. 이 시기에는 천호동(곡교리)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 중심 가로망체계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한성백제 문화재 인근으로 광진교 및 천호구사거리 등 자동차도로가 조성됨으로서 이러한 여건변화가 향후 도시개발 및 유적 훼손의 단초를 제공하는 일차적인 계기가 되었다. ‘도시개발과 유적 훼손기’(1968~1985년)에는 한강종합개발사업에 의해 한강의 본류였던 송파강이 메워지고 신천이 본류화되면서 한강유로가 변경되었다. 서울도시계획 가로재정비계획(1971년)은 한성백제기 문화재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이들을 관통하도록 계획되었다. 그리고 그 상당부분이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현재와 같은 직선형, 격자형의 도로망체계가 구축되었고, 도로의 중심축은 천호구사거리(천호)에서 송파대로(잠실)로 이동되었다. 대부분의 주요 옛길이 소멸되었으나 송파대로는 봉화대로를 계승하며 유지되었다. 한성백제 문화재가 무분별하게 계획되고 신설, 확장된 도로에 의해 훼손되었고, 파편화되었으며 도로와 주택들에 둘러싸여 고립된 채 방치되었다. ‘유적 중심 보존기’(1985년~현재)에는 서울 고도 민족문화유적 종합복원정비계획, 백제문화권 유적정비사업 등이 추진되면서 한성백제 문화재가 발굴, 보존,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유적 보존정비사업들은 도시개발에 의해 왜곡되고 훼손된 현상중심, 단일유적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또한 몽촌토성을 제외한 나머지 유적들은 1990년대 후반까지 철저한 성격규명 및 적절한 보존・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유적들이 여전히 파편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화 과정 속에서 훼손되고 왜곡된 형태로 남아있다. 옛길 네트워크가 소멸됨으로써 문화재와 문화재간, 한강과 문화재간 역사적 맥락에 의한 유기적 연계가 단절되어 있다. 미시적 공간차원의 풍납토성권 변화과정을 각 형태학적 시기별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후기 풍납토성'(1910년 이전)은 하천 및 구거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입지해 있으며, 한강과 풍납토성이 조선시대 옛길을 통해 긴밀히 연계된 통합된 공간이었다. 옛길 중 한성백제기의 지형을 반영한 노령로의 지선과 관련성이 높은 내부 중심도로를 밝혀냈다. 풍납토성 성벽자체는 서벽의 상당부분이 이미 유실되어 있었으며 서벽 잔존구간에 주거지(옹기점, 점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풍납토성은 조선후기 주거지로서 주요한 삶터였고, 옹기제조업의 기능을 갖춘 비교적 번성한 촌락이었다. 한성백제기 도시형태와 조선후기 도시형태는 공간 맥락적으로 상관성이 높았으며, 조선후기 풍납토성 성벽의 전체적인 형상, 문지, 해자를 추정하였다. '풍납토성 변형기'(한강개발 전 : 1910~1967년)에는 을축년 대홍수에 의해 송파강의 유로가 변경되었으며, 북벽과 서벽 연결부가 유실되어 그 자리에 물웅덩이가 형성되었다. 자동차중심의 광진교 및 신작로가 새롭게 개설되면서 풍납토성 북벽과 동벽 일대로 개발압력이 높아지는 구조적인 변화를 겪었다. 조선총독부의 현상중심 고적지정은 북벽, 동벽, 남벽과 잔존 서벽 일부만을 지정하여 서벽 일부구간들이 전체구간과 단절되는 형태를 갖게 하였다. 1911년과 1967년 지적도를 비교해보면, 필지변화는 도로에 접한 필지들의 분할이 두드러졌다. 국유지 및 귀속재산인 필지들이 개인에게 불하되면서 세분할되었다. 대지가 증가하였으나 1967년까지는 여전히 전, 임야가 대부분인 토지이용특성을 보였다. 풍납동 일부지역이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됨(1966년)에 따라 이후 풍납토성 일대로 공장이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풍납토성 해체기'(한강개발 후 : 1968~1992년)에는 풍납토성 서남벽 일대에서 송파강 물막이 공사가 시행되고 공유수면매립공사에 따라 송파강 하도가 매립되면서 남벽일대 지형이 크게 변모하였다. 이후 한강종합개발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한강은 완전히 인공화되었다. 이 시기 계획도로는 동벽과 서벽을 절단하거나 훼손하면서 개설되었다. 강변제방도로가 개설됨으로써 풍납토성과 한강은 완전히 분리되게 되었고, 제방이 축조되는 과정에서 서벽이 훼손되었고 잔존서벽이 파편화되었다. 강변제방도로가 단절된 서벽 사이로 관통하여 축조됨으로써 그 안쪽이 서성벽 추정지로 오인되어 왔다. 1969년 성벽 부분해제 이후 1970년 문화재보호구역이 지정되었으나 현상중심 완충구역 설정으로 서성벽 상당부분이 자동 제척되거나 문화재보호구역에서 누락되었다. 1967년과 1982년 지적도를 비교해보면, 필지분할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①민간의 필지별 분할사업에 따른 구획정리지역으로 원도시형태에 순응하여 분할된 형태. ②공공의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따른 택지조성지역으로 원도시형태 파괴 후 완전히 새로운 필지가 이식된 형태. ③계획가로(풍성로, 토성로)에 적응하여 필지합필 후 분필을 통한 택지조성 형태. 토지이용 변화는 성벽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지역들이 대지로 개발되었다. 대규모 필지를 형성하며 공장, 학교, 아파트 등이 유입되었다. '풍납토성 보존기'(1993년~현재)에는 1993년부터 원형이 남아있는 성벽을 중심으로 서벽 추정지 및 동벽 해제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복원・정비되었다. 2000년부터는 풍납토성 내부지역 매장문화재 중심의 면적보존이 이루어졌다. 당시 면적 보존방침이 풍납토성을 성벽과 매장문화재가 분포하는 단일문화재로 인식함에 따라 우선순위 없이 산발적 사정지정 및 매입이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왕궁 추정지 중 핵심지역을 대상으로 우선 보상하는 선택과 집중 보상방식으로 전환하였다. 1982년과 2016년 지적도를 비교해보면 민간주도로 기존의 도시공간 맥락을 무시한 아파트 중심의 주택건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경당지구 주변과 그 북측지역들은 한성백제기 계승 옛길, 조선시대 옛길, 1960~70년대 조성된 골목길, 조선후기 장방형의 밭(田) 형태의 가구 또는 블록이 유지되고 있다. 풍납토성 일대의 하천, 지형, 도로, 문화재(성벽), 필지 및 토지이용의 변화는 상호 연관되어 있어, 단순히 문화재 중심으로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을 도시형태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거시적, 미시적인 변화내용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한성백제기 도성권 일대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도시형태학적 접근이 요구된다.

      • 문화재의 조건부 시장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 풍납토성 사례

        김일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39

        Cultural properties are not private property belonging to some individuals, but they are public property that anyone can share. Accordingly, the principle of competitiveness and exclusion does not apply to cultural assets, and it is difficult to properly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assets by market price mechanisms. As a way of valuing such cultural assets, travel cost method, hedonic price method, an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an be used.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in detail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economic valuation of cultural assets. In addition, Pungnaptoseong, No. 11 historic site of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will be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valuation of cultural assets, and the economic value will be assessed in practice. It was widely believed that Pungnaptoseong was not a royal castle but a simple defensive fortress, but since 1997, excavations have been carried out inside the fortress, and large houses, roads, numerous relics and relics dating back to the early Baekje Period. Therefore, it became widely believed that it was the royal castle of the Baekje Kingdom for 500 years from 18 BC to 475 AD. However, even after the discovery of traces of Baekje's royal palace site in Pungnaptoseong, the exca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ite have been slow. This is because houses and factories are built around Pungnaptoseong due to reckless development, blocking excavation and maintenance projects. In order to purchase land within its readjustment zone, a huge amount of money is needed, residents are insisting on the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due to building regulations, and local residents are increasingly complaining about delays in relocation and compensation measures. In February 2017, Rep. Park In-sook and others proposed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Pungnaptoseong and Support for Residents』and the Act was enacted on June 9, 2020, and is scheduled to take effect from June 2021, a year after its promulgation. In order to help preserve and manage Pungnaptoseong's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law, this thesis will evaluate and analyze the economic value of Pungnaptoseong based on the CVM, and present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use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projects and policies. 문화재는 개인에게 귀속된 사유물이 아니라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재는 경쟁성의 원칙과 배제성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며, 시장 기구에 의해서는 문화재의 가치를 측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화재에 대한 가치추정 방법으로, 대리시장 정보를 이용한 여행비용법(Travel Cost Method), 헤도닉 가격모형(Hedonic Price Method), 조건부 시장가치 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등이 있다. 이하 본 논문에서는 문화재의 경제적 가치평가의 개념과 방법론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조건부 시장가치 평가의 사례로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11호인 풍납토성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할 것이다. 풍납토성은 종전에 백제의 왕성이 아니라 단순 방어성에 불과했다는 것이 정설이었으나, 초기 백제시대의 큰 집터와 도로, 수많은 유구와 유물 등이 발견되었고, 이에 따라 현재에는 BC 18년부터 AD 475년까지 무려 500여년간이나 한성 백제시대의 왕성이었다는 것이 정설이 되었다. 그러나, 풍납토성의 발굴과 정비, 복원 사업은 주변의 난개발과 주택, 공장이 들어서 있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토성의 정비구역 내의 토지를 매입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며, 주민들은 건축 규제로 인한 재산권 침해를 주장하고 이주 및 보상대책 지연으로 불만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2017년 2월 박인숙 의원 등이 『풍납토성 보존 및 주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하였고, 2020년 6월 9일 동법이 제정되었으며, 공포된 후 1년이 지나 2021년 6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본 논문은 동 특별법의 시행을 앞두고, 풍납토성의 역사문화 자산을 보존ㆍ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조건부 시장가치 평가법(CVM)을 중심으로 풍납토성의 경제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아울러, 향후 역사문화 유산 관련 정책의 수립과 관련 재정투자사업의 추진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문화재보호구역에서의 결합개발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송파구 풍납토성을 대상으로

        오영기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23

        최근 우리나라는 문화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문화재보호구역을 지정·관리하고 있지만, 문화재 보호구역의 지정은 문화재 보존을 위한 건축제한으로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에 제한을 두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많은 문제와 갈등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민들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 방안으로 개발권양도제 (TDR : Transfer of Development Right), 용적률거래제 등 여러 가지 대안들이 제안되었지만, 국내실정과 맞지 않아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2006년,「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서는 도시경관의 보호 및 원활한 재정비촉진사업의 추진을 위해 문화재 보호구역을 포함하는 구릉지정비구역과 개발이 용이한 역세권을 하나의 단지개념으로 결합하여 개발하는「결합개발제도(CRP : Conjoint Renewal Program)」를 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개발제도는 주거지 형의 재정비촉진지구 안에서 주택재개발사업간 결합개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과 보전을 병행할 수 있는 대안으로 문화재 보호와 거주민들의 재산권 행사 제한에 대한 해결책으로써 문화재보호구역에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화재 지정에 따른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 제한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서울시 송파구 풍납토성을 대상으로, 토성 내 주민 설문을 통한 거주민들의 사유재산권 제한에 관한 의견 및 결합개발제도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한 후, 주민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풍납토성을 대상으로 한 결합개발 도입의 필요성과 시행 가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풍납토성 내의 주민 재산권 보장과 문화재 보존 및 도시경관 보호를 위하여 지구단위계획, 택지개발사업, 재정비촉진사업 등 보다 다양한 사업방식 간의 결합과 주거지역 간의 결합뿐만 아닌,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간의 결합 등 폭 넓은 용도지역 간의 결합을 시뮬레이션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송출지역과 수용지역 간의 단계별 결합개발적용 실효성 분석, 수용지역 간 결합 유형별 비교 분석, 송출지역과 수용지역 간 인센티브 용적률 및 개발이익 분배, 결합개발과 단독개발의 비교 분석 등을 통하여 문화재보호구역에서의 실효적인 결합개발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비교 분석 결과, 수용지역에 부여되는 인센티브 용적률은 송출지역의 공시지가에 따라 비례하여 산정되기 때문에, 수용지역의 공시지가가 송출지역의 공시지가 보다 클수록 결합개발제도의 도입 및 적용이 가능해지며 그 실효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문화재보호구역에서의 실효적인 결합개발 사업의 추진을 위한 방향으로 다양한 결합개발 모델, 다양한 용도지역 및 사업지구 간의 결합개발, 마지막으로 지역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결합개발제도 운영의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Cultural properties in a city are not only essential to establish the identity as a historic city, but also as a valuable heritage that has the wisdom of ancestors. Korea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operties and tried to preserve them by zoning areas that have the cultural property as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s and managing it, which has been one of the many ways to preserve our cultural properties. However, the zoning has brought about continuously many problems and troubles because it has restricted property rights of residents. Though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e TDR and the TFAR to resolve the problems, such ways have limits to adaptation in Korea because Korea has different condition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which use the ways. To preserve an urban landscape and promote the urban renewal project, Korea has introduced the Conjoint Renewal Program(CRP) that have a concept to develop conjointly the hill redevelopment district and transit district that can be easily developed in a unit development district. Although the CRP has been limited to the conjoint development betwee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renewal promotion districts, we need to extend and apply it to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s in order to promot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simultaneously and preserve cultural properties and property rights of residents. Moreover, suggested in o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project ways of the CRP because it has many limitations on the criteria for the estimation,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e incentive Floor-Area-Ratio(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more extended CRP to protect property rights of residents and preserve the urban landscape and cultural properties in Poong-Nap earthen ramparts. To do so, we first reviewed a variety of project ways such as the district unit plan,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and renewal promotion projects. And then we tried to analyze potentials for the CRP in Poong-Nap earthen ramparts by conjoining various types of zones between the residential areas, between the residential and residential-centered commercial areas, and betwee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centered residential areas. The study area in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a sending area and the other is a receiving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zoning system, the sending area is Poong-Nap earthen ramparts in Songpagu, Seoul and the receiving area is the transit district in the middle of the development project district and the district unit plan area. Methodolog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P and review related previous researches and case studies. And then we select appropriate areas where can be develop with Poong-Nap earthen ramparts, the sending area based on the CRP. After selecting several proposed potential areas, we tried to find the most proper method of the CRP for Poong-Nap earthen ramparts by analyzing calculation and distribution of FAR in various potential areas. As results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that the CRP can be applied to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strict. However, extended conjoint developments among various zoning areas are necessary to protect the property right of residents who live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strict and to promote the CRP for preserving the urban landscape and cultural properties. If the CRP between the different renewal promotion districts and between various project districts such as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district and redevelopment district can be performed within the same local area, more effective and actual CRP can be realized successfully.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RP caused by difference of development types can be solved. Moreover, we identified that the CRP between various types of zoning districts are more effective rather than the CRP between the only residential areas when we develop conjointly betwee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 and transit district. Especially, we suggest that we can realize the compact development which is public transit oriented and energy-efficient more effectively, if we focus on the dense development in the commercial area rather than the residential area. Finally, we suggest that discriminative and systematic operation of the CRP and calculation and distribution criterion for incentive FAR are necessary to apply to ground area and many types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strict because the current CRP is limited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strict of the hilly area. It is expected that enough acquisition of incentive FAR through the CRP can contribute to solving the housing shortage problems for original residents and increasing financial resources for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of residents who live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strict.

      • 漢城 都邑期 百濟人의 美意識 考察 : 風納土城 出土 百濟土器를 中心으로

        이해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60

        美意識은 어떤 대상에 대상적 특성 혹은 의미를 부여하는 주체이며, 대상을 대하는 방식이자 태도이다. 美의 주된 성격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더욱 구체화될지언정 전혀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美意識을 통해서 시대의 변화상을 포괄하는 주된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美意識에 담긴 전통성을 강조하는 까닭은 靑磁나 白磁에 선행하는 백제 토기에서 이미 그 原型이 되는 美感이 싹텄을 것임을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단순·소박미로 귀결되는 한국의 美感을 조선의 도자가 대표하고 있지만, 그것은 백자에 이르러 비로소 비롯된 것도, 비단 백자에만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이미 백제의 토기를 통해 구현되고 있었던 것이다. 풍납토성 토기에 구현된 백제인의 미의식은 自然美的 立場과 規範美的 立場으로 고찰될 수 있다. 우선 전자의 입장으로는 器形의 적당한 이지러짐이 주는 경쾌한 율동미 내지는 음악성을, 부분에 있어 세밀하지 않지만 그것이 전체적으로 어우러져 어색하지 않아 보이는 순박함을 느낄 수 있다. 형태가 좌우대칭이 아니어서 오히려 자연스럽고 느긋하다. 완벽에의 강박에서 벗어나 그것으로부터 무심해짐으로써 획득한 차원 높은 멋스러움은 토기 제작 기술력의 한계 노정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백제인의 생활 속에 내재한 낙천성 내지 자연 순응성의 발로라 여겨진다. 백제 토기를 통해 드러나는 아름다움의 진수는 이렇듯 잔재주를 부리지 않고 마음을 비우는 데서 비롯된다. 이런 요소들에서 단순함, 소박함, 질박함 등의 自然美가 도출된다. 이에 반해 규범적인 입장으로 파악되어야 할 미의식도 분명히 존재한다. 풍납토성의 층위는 네 개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상층부로 가면서 고급화된 有蓋器種과 儀器들이 출현하면서 점진적으로 세련된 면모를 갖춰간다. 향상된 기술력은 재질을 견고히 하는 기능적인 역할 외에 제품을 정돈되고 품격 있어 보이게 하는 등의 심미적 요소가 작용한 것이다. 이런 기종들은 고위 계층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했을 것이니, 상층부로 갈수록 양질의 토기가 제작되는 것은 사회의 계층 분화와 유관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시간 경과에 따른 토기의 고급화 추세는 제작 기술력의 향상 이상을 뜻한다. 또한 발전된 기술이 기존의 전통을 단절시키지 않고 점진적·단계적인 양상을 보이는데, 이로 인해 ‘토기 문화의 연속성’의 맥락 내에서 技術과 審美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풍납토성에서 출토되는 고급화된 기종의 차별성은 단순함을 잃지 않은 가운데 격식을 갖춘 고전적인 꾸밈새로 정리된다. 기대나 고배 등에서 느껴지는 整齊美는 바로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形과 線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기서 형식성, 정제성, 현실성 등의 規範美的 要素가 추출된다. 풍납토성 토기의 미의식이 이렇듯 양면에서 고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토기가 완벽에 대한 강박 관념을 보이지 않는 탓에 핵심적인 정서에서는 자연성이나 규범성의 경향이 초월되면서 상통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풍납토성 토기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자연미’이지만 미학 체계와 정치 체제의 유기적 관련 속에서, 이미 규범미적 요소 또한 이후 전개되는 고전적이고 세련된 그릇 역사의 萌芽로 배태되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endeavored to describe the Paekje potteries in aesthetic point of view in order not to simple explain the style but also to containing hearts, gestures and expression of the Paekje people. The aesthetic of harmonious the Paekje that blend into nature; the beauty of potteries created by an unknown pottery maker; handicrafts where simple sense of beauty is manifested in every life that have filtered into the lives of the people-each volume containing their living. All the creations are made by the will to model on the nature. Potteries excavated from Pungnaptoseong were not exception to that point. They were another nature made by the Paekje. Potteries previously stated, have the unrestrained freedom-the simple, the artless, the plain. And it also have the dignity, the refinement, and the reality. It shows how to Paekje people have successfully cope well with their own beauty of art midst of correlation between natural beauty and physical beauty. But both of them came from natural beauty inherited in Paekje people. Principal current is a "natural beauty", but also physical beauty is in a germinal stage clearly. Both of the beauty of natural and physical of the people who get well over the difficulties of living and display their ability all the more at such times, and of the art of Paekje which preserve a sense of optimism. The design, the sense of space, the humor, and the elegance of the potteries were introduced because they represented the identity of the Pakje. The aesthetic and periodic taste of Paekje people at middle of the history of art fully showed the introducing and model on nature that had happened the magnanimity and the high spiritual state full of vital power; for example the full moon shape jar and the egg-shaped pottery. In this study described the essence of Paekje beauty as a "natural beauty", "a craft of non craft", which excluded one's self and minimizes artificial traces as much as possible, and tried to find where the characteristic came from. Nature; live with nature and fallow nature; might be one of the sources. It maintains that an optimistic view of life also had a great effect an Paekje art. Due to this respect of nature, a nature oriented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result, nature became the primary and building the secondary; potteries was used as it was, that is, untrimmed.

      • 토기 분류 기준의 자연과학적 연구 : 풍납토성 출토품을 중심으로

        강희준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28

        토기는 고고유적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는 유물로서 토기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토기의 형식분류를 통한 제작방법과 기술에 따른 추정은 해당 토기와 그 토기가 출토된 유적의 편년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특징 분류는 분류하는 학자마다 그 기준에 차이가 있어 객관적이고 통일화된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좀더 과학적이고 정학한 정보와 분류를 위하여 자연과학적 방법의 분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발굴현장에서 이용되는 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한 분류 기준은 경도이다. 그러나 그 분 류기준이 세분화되지 않고, 색상이나 질감 등에 대한 육안분류 기준 또한 모호하여 다양하고 대량으로 출토되는 토기 분류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토기분류에 주로 이용되어온 경도에 의한 분류기준(연질 및 경질의 구분)의 자연과학적 의미를 확인하고, 보다 세분화된 분류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고배와 호류를 대상으로 육안분류와 자연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질과 경질로 분류된 총 23점의 시료에 대하여 흡수율, 비중, 경도, 미세조직, 화학조성, 광물결정구조, 열적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한 자연과학적 근거에 기초하여 기존에 통상적으로 수행되었던 육안관찰에 의한 연질과 경질이라는 이분법적인 분류보다 세분화된 분류기준의 제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연질, 연경질, 경질로 세분류된 토기들에 대하여 각 분류별 공통적 육안 특징을 도출하여 육안을 통한 토기 분류의 세분화를 모색하였다. Earthenware is a relic mostly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remains and its weight in earthenware study can be considered great. So, the estimation of an earthenware through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kill by form classification has been vary important standard for the dating of the earthenware and the remains in where the earthenware has been excavated. But, such classification of earthenware depending on its external features is not objective and unified system because the scholars who classify them use different standards. Accordingly, a natural scientific analysis is necessary for more scientific and accurate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In general, hardness is used as classification standard for manufacturing method in excavation site. But, a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s not subdivided and that with the naked eyas is obscure, it's not properly applicable to the classification of earthenwares excavated in quantity and various in pattern. Hereupon, this study carried out classification with naked eyes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on the cup and pot excavated from Pungnaptoseong to confirm the natural scientific meaning of classification standard by hardness which has mainly used for existing earthenware classification and then to prepare more subdivided classification standard with naked eyes. The traits of total 23 samples divided into soft and hard ones were analyzed in their absorption rate, weight, hardness, microstructure, chemical composition, mineral crystal structure, thermal traits. In result, the release of a classification standard appeared to be possible which is more detailed than the one commonly conducted with naked eyes as oftness. hardness-dependent dichotomous classification. Besides, I looked into subdivision of classification with naked eyes by describing micro properties with more precise natural scientific proof onsubdivided classification standard, based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arthenware in subdividing softness, soft hardness, hardness.

      • 한성백제기 우물제사에 대한 고찰 : 풍납토성 206호 유구의 고고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한솔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438

        한성백제기(漢城百濟期)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風納土城) 경당지구(慶堂地區)에서 11m의 대형 유구가 발견 되었다. 206호로 명명 된 이 유구는 중앙에서 깊이 3m의 우물이 확인되고, 우물 바닥에 215점의 토기가 안치된 것이 확인되어 주목을 받았다. 우물은 물을 얻기 위해 만든 인공적인 집수시설이지만, 고대사회에서는 신성한 대상물로 여겨지며 제사의 장소로 활용되었다. 문헌 기록을 통해 우물을 신성하게 여겼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우물의 발굴을 통해 제사의 흔적을 찾아낼 수 있었다. 풍납토성 206호 우물에서도 제사 행위가 이루어졌을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206호 우물의 구조와 출토 유물을 분석하고, 백제의 다른 우물과 비교하여 206호 우물이 일반적인 우물이 아닌 제사용 우물임을 밝히고, 백제 문헌에 나타난 우물 기록을 확인하고 206호 우물과 우물제사의 위상을 유추해보고자 한다. 206호 유구는 풍납토성 경당지구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경당지구는 왕실의 주요 시설이 밀집된 장소로 추정되며, 206호 우물도 왕실 시설일 가능성이 높다. 206호 유구는 중앙의 우물과 짝을 이루는 성격으로 추정된다. 우물 바닥에서는 5단에 걸쳐 쌓은 토기가 출토되었는데, 호와 병이 주를 이루며 영산강 유역에서 출토되는 토기도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 출토 된 31기의 백제 우물을 살펴 본 결과 206호 우물이 구조적으로 대형 유구와 짝을 이루는 점, 바닥 출토 유물의 수량이 많은 점 등 다른 백제 우물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 문헌에서 우물 관련 기사는 4차례 나타난다. 그 중 3차례가 한성기의 기록으로, 왕도의 우물이라는 표현으로 볼 때 왕실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우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우물 축조 연대로 추정되는 5세기에는 고구려의 남진 정책을 막기 위해 백제 왕들은 세력을 규합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6호 우물의 축조 원인과 제사의 배경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6호 우물의 제사가 국가 권력의 주도에 의해, 국가의 안위를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면 206호 우물의 제사는 백제의 국가 제사로 볼 수 있다. A huge ancient place sized 11m was discovered in Gyeongdang district, Poong-Nap earthen wall, which is known as the king's palace of Hanseong Baekje Period. This ancient place, named as no.206, received attention, since there's a well with the depth of 3m from the center, and 215 earthen wares were placed in the bottom of the well. A well is an artificial water collective system to get water, however, it was regarded as a sacred object in the ancient times, and utilized as a place for worship.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l was regarded sacred, also, the trace of worship could be discover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well. In no.206 well in Poong-Nap earthen wall, also, it is estimated that the act of worship was performed. This paper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e of no.206 well and excavated relics, and comparing with other relics of Baekje to confirm that no.206 well was a well for worship, not the general well, also, confirming the record of well in Baekje literature, and inferring the status of no.206 well and well worship. No.206 relics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Poong-Nap earthen wall Gyeongdang district. Gyeongdang district is estimated as the place where major facilities of royal family were gathered, also, no.206 well has a high possibility to be a facility of royal family. No.206 relics are estimated to have the characteristic to be paired with the central well. Earthen wares piled up with five layers were excavated from the bottom of the well, the majority of them were pots and bottles, also, the earthen wares, which are excavated around the Youngsan river, were includ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Baekje relics of 31 units, which have been excavated until now, some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aekje relics, e.g. no.206 well is paired with the large relics structurally, lots of relics excavated from the bottom, etc. In Baekje literature, the articles related to well appear four times. Three of them were the record of Hanseong period, considering the expression of the capital of a kingdom regarding well,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 well which was considered important by the royal family. In the 5th century, estimated as the year of well construction, kings of Baekje gathered powers to block Koguryo's Southward Advance Policy, and exerted lots of efforts to reinforce royal authority. The reason of no.206 well construction and the background of worship may be comprehended in the same context. If the worship of no.206 well was performed by the lead of national authority,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security, the worship of no.206 well may be considered as the national worship of Baek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