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트라우마가 반영된 장신구 연구 : 본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송유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f Trauma Reflection on Jewelry Desig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Song, Yoo Kyung (Supervisor Cho, Yu Jin) Dept. of Metal Art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ople remember what they have experienced. Among them, trauma reflected experiences form a memory and save again that finally leaves behind as a sca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ried to express the trauma that he experienced into a piece of work. The start of this type of work began because experiences from childhood adhered, and the psychological aspect was shown that the work was done in order to overcome the fright and fear. By trying to understand the hu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researcher, the purpose of the study became to be pursuing positive changes of self-recovery. Trauma means that people with related experience will suffer from serious psychological stress. Everyone has indications of trauma, and it doesn't mean that it gets forgotten and become freed by locking it up in unconscious. In today's modern society, mindfu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re getting out of one's limited complaint and becoming a social issue, and diverse ways for its treatment are being searched. In this context, Judith Herman insisted that trauma can be cured when psychological confidence is found, through the regret of remembering past experience, an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nd present is restored. At then, the creative behavior shown during the regretting process is a way of indicating the trauma that it shows a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 pain not linguistically. In examples of preceeding authors, Frida Kahlo and Jean-Michel Othniel, the relationships can be found from their work. Their traumas came out to be a purpose of psychological motives of producing the work by facing their painful memories, and it seems to be for healing themselves or their act of directly expressing pain. The researcher also tried to express freely reflecting the recovering ways and trauma on personal ornaments through self-examination, an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it was known that the desire to heal emotional pain from trauma functioned as psychological motive topic that makes the artists produce work. Second, the work process recalls the childhood situation when trauma memory was made, and calmness and composure were found through repetitive work.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inducing absorption to the act of producing work, it was a period for inner self-examination. Third, It showed that the freedom in inner creativity and idea showed the possibility for doing a broader project. If modeling expressions are developed and applied, then it was known that field of personal ornaments can be extended. The researcher's work had an intention of getting freed from fear-like feelings and experience psychological safety by approaching the inner world. Also, by making the state of unconsciousness a never ending work activity's origin, and by expressing the heart-deepened inner consciousness, it created an opportunity for curing the hurt feelings. Hereafter, through continuous study, we will supplement its contents and expect to expand succeedingly. 요 약 제 목 : 트라우마가 반영된 장신구 연구 -본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인간은 자신이 경험했던 다양한 일들을 기억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외상의 경험은 기억을 형성하고 또 저장되어 상처로 남게 된다. 본 연구자는 자신이 겪었던 외상 즉, 트라우마를 작품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작품은 유년시절 경험이 발단으로 작용했으며, 어릴적 육교에서 겪었던 사고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측면이 작품으로 드러났다. 이는 연구자 본인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상처를 이해함으로써 예술 작품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자기치유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이 되었다. ‘트라우마(Trauma)’란 외상을 겪은 사람들이 이후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고통 받는 것을 말한다. 트라우마의 흔적은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고통의 기억을 무의식 속에 가둬둔다고 해서 망각되고 자유로워지는 것은 아니다. 최근 현대 사회에서도 정신적, 심리적으로 발생되는 문제들이 개인에 한정된 하나의 질환을 벗어나 심각한 사회문제화가 되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디스 허먼은 트라우마는 심리적인 안정을 확보하고 과거의 체험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애도의 과정을 거쳐 외상체험 이전의 과거와 현재간의 관계를 복구해낼 때 치유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때 애도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조적 행위는 트라우마를 드러내는 수단으로써 내면의 고통을 비언어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선행 작가의 예로 프리다 칼로와 장 미셸 오토니엘의 작품에서도 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그들이 갖고 있던 트라우마는 과거의 아픈 기억과 정면으로 맞서 작업을 생산하게 하는 심리적 동기로 작용했으며, 직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거나 상처받은 자아를 위로하기 위한 하나의 예술적 행위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 역시 자아 성찰을 통한 자기치유적 방법으로 트라우마를 장신구에 투영하여 자유롭게 표출하려고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으로 인한 감정의 고통을 자가 치유하려는 욕구는 예술가 주체들에게 작업을 생산하게 하는 심리적 동기 주제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작업과정은 트라우마의 기억을 갖게 된 유년기의 상황에 대해 떠올리게 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통하여 마음의 진정과 여유를 찾게 되었다. 이것은 작품을 제작하는 행위자체에 몰입을 유도하는 과정에 따르는 내면 자아 성찰의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셋째, 연구자 내면의 창조성과 발상의 자유로움은 보다 폭 넓은 작품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조형적 표현을 발전시키고 응용한다면 장신구 영역의 다양성은 더욱 더 확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의 작품은 본인의 내면세계로 접근하여 트라우마를 일으키는 과거의 두려움, 공포, 불안과 같은 감정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감을 경험하고자 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또한 무의식의 상태를 끊임없는 작품 활동의 원천으로 삼아 마음 속 깊은 곳에 내재되어 있는 의식을 표출함으로써 상처받은 감정을 치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내용을 보완하고, 후속적으로 전개되길 기대한다.

      • 트라우마 치유요가가 복합외상 경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혼합연구

        윤온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각종 언론 매체에서는 아동학대, 따돌림, 가정폭력, 성폭력과 관련한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피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다양하여, 다각적인 면에서 치료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반영하듯이 복합적인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와 회복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트라우마 치료 분야에서는 신체 기반 심리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주목받는 추세이다. 그중에서 요가는 서구의 보완·대체의학, 통합의학 분야에서 심신 중재법으로 인정받고 보완적 치료로 널리 사용되면서 임상적 검증이 축적되어왔다. 해외에서는 트라우마 치료 분야에서도 복합외상 치유를 위한 요가 기법이 개발되어 임상결과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는 본격적으로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요가 중재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대상 및 방법론을 다각화한 혼합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관점으로 복합외상 치유에서 트라우마 치유요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사전 검사에서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점수(총 6개의 진단준거 중 3개이상 해당)를 보인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연구 방법은 혼합연구 방법으로 연구1은 복합외상 경험자인 성인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한국판 정서조절 곤란, 한국판 다차원 신체 자각,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를 가지고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 참여한 17명의 참여자가 통제 집단에 참여한 16명의 참여자에 비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감소하였다. 정서 조절 곤란도 완화가 되었음이 통계적으로 드러났다. 신체자각에서도 의미 있는 증가가 도출되었다. 외상후 성장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2는 실험집단에 참여한 5인의 트 라우마 치유요가의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Giorgi 현상학적 방법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2의 트라우마 치유요가 참여자 경험은 ‘트라우마가 자리 잡은 삶을 살아옴’, ‘그라운딩 감각을 기반으로 불편한 감각을 마주함’, ‘트라우마 기반 감각이 몸 감각 알아차림으로 전환됨’, ‘몸과 마음이 연결되면서 새로운 희망을 만남’이라는 총 4개의 범주와 14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참여자들은 ‘복합외상 경험자를 위한 트라우마 치유요가’의 전체 과정에서 신체자각력이 증진되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정서조절, 외상 후 성장 등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참여자들이 트라우마 치유요가 집단 프로그램 참여를 하는 가운데 트라우마 기반 감각이 몸 알아차림 감각 기반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복합외상 경험자인 참여자들은 오랫동안 가지고 있었던 심신의 긴장이 해소되어, 긍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몸과 마음이 연결되는 안전함을 느끼게 되었다. 나아가 새로운 삶의 전환과 성장으로 나아가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트라우마 치유요가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에게 현재의 신체감각을 기반으로 점진적이고 안전하게 접근하는 프로그램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복합외상에 대한 적절한 개입 방법을 마련하는 데 있어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트라우마 이해와 성경적 내적치유 연구

        허상빈 총신대학교 선대교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트라우마 이해와 성경적 내적치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생소한 분야는 아니지만 논문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다. 내적치유는 목회상담을 통하여 오래전에 접했고, 치유사역전공을 통하여 좀더 깊게 연구하였으며, 치유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더깊어졌다. 또한 트라우마에 대한 고찰을 하면서사건과 사고로부터 고통당하는 사람들의 고통을 생각하고 상처가 많은 자로서 또 다른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자들을 도와야 겠다.는 깊은 성찰과 책임감을 통감 한다. 지속적인 연구와 적용을 계속해야 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며 고통당하는 우리의 이웃들을 예수님의 마음으로 치유케 하는 일에 동참하거 사역을 통하여 예수님의 치유처럼 쓰임 받기를 원한다. 트라우마는 사람이 사는 한 계속 된 다는 것을 인식하고, 국가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본다. 잦은 사건과 사고로 나라가 혼란스럽고 당사자들은 물론 온국민이 집단적으로 트랑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적으로 역량을 발휘해서 상담가들을 양성하고 그 인재들을 적재적소에 사용 하는 것이 옳겠다고 본다. 국가가 국민의 안녕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본다. 인간 생명을 귀중하게 생각하며 적극 대처하는 것이 옳겟다. 하지만 그 한계가 있으로 민간 차원과 범 종교적 공조가 필요하다 특히 기독교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 인것 같다. 주님 오실 때까지 트라우마는 계속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국민들을 치유하는데에 집중해야 한다 육체적 건강검진은 받지만 정신적 영적 건강진단이 필요하고 치유회복케 하는 일에 더 신경을 써야 겠다. 본 논문은 내용면 으로 형편없지만 트라우마와 성경적 내적치유을 연구하는 데 어떤 동기가 되면 좋겟다.

      •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목회상담 : 페어베언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변찬녕 선학UP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에는 정서적 안녕이 침해되어 심리적인 고통을 받는 개인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고통 중 하나가 트라우마이다. 트라우마는 정신의학자나 심리학자들이 다루는 영역이다. 그러나 종교단체 또한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개인들을 도와 정서적 안녕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기독교를 비롯한 많은 종교단체서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심리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의 요청에 대한 종교단체들의 응답이라 볼 수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도 종교로서 그 요청에 응답하여 심리적 외상을 겪어 고통받는 개인들을 도와야 한다.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은 심리적 외상 경험으로 현실과 관계맺는 중심적 자아가 기능하지 못한다.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이 치유되기 위해서는 중심적 자아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중심적 자아가 성장하게 함으로써 그 기능이 잘 이루어지면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이론을 활용한 상담은 내담자가 어떤 과정으로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대상관계이론을 활용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목회상담은 트라우마 극복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목회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페어베언에 의하면 주 양육자 관계 재경험이 중심적 자아를 확장시키고, 이것은 트라우마 해결에 도움을 준다. 기독교는 이러한 이론을 목회상담에 활용하고 있다. 대상관계이론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3단계의 단계적 성장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초기-중기-종결의 3단계로 구성되는 목회상담 과정을 거친다. 목회상담에서 성숙한 의존과 인간의 성장 과정의 완성기에 도달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목회상담에서는 목회상담자가 트라우마 생존자가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다. 생존자가 상황에 맞게 대상의식과 주체의식을 발휘할 수 있도록 훈련함으로써 연체의식의 발달을 돕는다. 목회상담자가 생존자 스스로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회상담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된 개체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트라우마 목회상담은 초기-중기-종결 및 피드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Nowadays, an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s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pain due to the violation of their emotional health. One of these pains is trauma. Trauma is the area of psychiatrists and psychologists. But religious organizations should also help individuals suffering from trauma. Religious organizations help individuals them to achieve emotional health. Many religious organizations, including Christianity, have conducted many studies to overcome trauma. This the response of religious organizations to the request of peopl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pain. As a religious organization,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should respond to that request and help individual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trauma. Central ego of Trauma survivers that relates to reality can not function properly makes people suffer due to psychological trauma. For a traumatized person to heal, it is necessary to help the trauma survivor to central self can function properly. According to the object relation theory, trauma can be overcome when the function of the central ego is restored through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unseling using the object relation theory looked into what kind of process the client had to go through to overcome the trauma. Second, How the pastoral counseling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using the object relationship theory can help overcome trauma. Third, I suggested how the pastoral counseling program for overcoming the trauma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is thesis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Fairbairn, re-experiencing the primary parent relationship expands the central self, which helps in resolving the trauma. Christianity uses this theory in pastoral counseling. In order to develop pastoral counseling program for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and meet the object relationship theory use three stages. : initial stage, middle stage, and final stage. In pastoral counseling, a method to provide help to reach the maturity stage of dependence and human growth process was proposed. Pastoral counselors help trauma survivors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God in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t helps the development of delinquency by training survivors to exercise object consciousness and subject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Pastoral counselors help survivor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God on their own as independent individuals without depending on pastoral counselors. Trauma pastoral counseling in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should consist of the initial stage, the middle stage, the end stage, and feedback.

      •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자 체험 연구

        이정명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트라우마 생존자들을 위한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자들의 관련 체험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트라우마 생존자들의 몸적 특성과 움직임 교육 간의 관계에 대한 논리적 근거 형성, 미국 타말파연구소의 움직임 도구를 통해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 개발된 프로그램 참여자 체험 분석 등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첫째, 이론적 배경을 형성하기 위한 문헌연구와 현장 체험 및 관찰을 바탕으로 트라우마 생존자들의 몸적 특성과 움직임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둘째, 써스만의 프로그램 개발 도구와 미국 타말파연구소의 움직임 작업 도구를 선정하고, 움직임과 트라우마 전문가들의 자문과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주제, 구조, 단위 회기 내용, 작업 도구의 수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전체 구조와 회기별 주제와의 적절성, 회기별 주제와 회기별 핵심 움직임 활동과의 적절성, 이 두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타당성이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검증되었다. 이후 두 차례의 예비실험을 통해 드러난 피드백에 의해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보완 및 확정하였다. 셋째, 2014년 6월에서 7월까지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표집에 근거해 참여자를 구성하고, 질적연구 방법 중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바탕으로 체험의 자료를 명확한 의미, 주제, 중심 의미 등으로 범주화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트라우마의 특성은 화학물질과 호르몬, 뇌의 편도체와 해마의 기능 차단으로 일어나는 신경생리계의 사건으로 확인 되었으며, 따라서 생존자들에게 활성화와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의 부재, 느껴진 감각을 경험하는 능력의 감소, 높은 수준의 경직, 그리고 응축, 고정, 편향, 비효율성을 포함하는 신체의 왜곡 등의 특성을 형성한다. 따라서 몸심리학적 개입, 즉 움직임, 호흡, 고유수용감각각성, 1자적 체험 등의 방식 등을 통해 트라우마로 무장된 실체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트라우마 회복은 안정화, 기억하고 애도하기, 연결의 복구 등 삼단계로 이루어지며 회복 프로그램들은 대개 12단계 내외로 형성된다. 회복을 위한 개입에는 감각과 체감 회복, 적정과 조절, 긍정적 상상의 체화, 유동성, 경험의 유연한 수용, 연결감 경험의 여섯 가지 관점이 요구되었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12개의 핵심 주제는 안전한 작업 공간의 형성, 경계선 만들기, 자원으로서의 호흡, 근육무장의 탐색, 몸적 왜곡을 재통합하기, 유기적인 움직임의 회복, 상처의 창조적 탐색, 감정의 은유적 표현, 수용과 조절을 배우기, 주체성, 연결감, 수확하기 등이다. 작업의 핵심 신체 부위는 몸의 뒷면, 목, 어깨, 견갑골, 흉곽, 척추, 얼굴 및 머리, 발과 다리, 골반 등이다. 단기 회기 활동은 첵크인, 주제 배경 이론 소개, 핵심 움직임 활동, 그림그리기, 글쓰기, 나누기로 구성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은 회복을 위한 자원 만들기, 수용과 애도체험, 그리고 세상과 만나기의 세 가지 중심 의미로 나눌 수 있었다. 회복을 위한 자원 만들기에는 몸을 회복의 자원으로 만들고 몸과 은유적 관계를 맺기가 주제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각, 수용 받는 느낌, 유능감, 몸을 삶의 은유로 바라봄, 몸과 은유적 대화를 시작함, 움직임에 이미지를 은유적으로 활용하기 등이 명확한 의미로 포함되어 있다. 수용과 애도체험의 범주는 트라우마 사건의 몸적 이해, 과도한 반응의 조절을 주제로 트라우마 상황에서의 움직임과 자세, 구체적인 신체부분에 거주하는 트라우마 양상의 파악, 과잉반응 시 몸과 감정과의 관계 알아차림, 조절 방법을 터득함, 몸으로 돌아오기 등의 의미들이 포함되고 있다. 세상과 만나기의 범주에서는 창조적 변형과 관계에 있어서 주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주제로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한 변형 체험 및 관계의 안정성, 실질적인 문제 해결, 관계의 상호성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m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trauma survivors and to research the lived experiences of program participants.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develop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traits of trauma survivors and movement education; to develop a m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trauma survivors by applying the Tamalpa Institute’s tools of movement; to analyze the lived experiences of program participants. For the three research methodologies us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traits of trauma survivors and movement was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the available literature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Second, an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using Sussman’s program development tools and the Tamalpa Institute’s tools of movement. Based on consultations with movement experts and trauma specialists, the program was then modified in terms of theme, structure, content of unit sessions, and the tools of movement. For relevance betwee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ogram and the theme of each unit session, and relevance between the theme of a unit session and its core movement practic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were made use of 5 specialists in related fields. After obtaining the program’s validity from the specialist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wice to modify, supplement and consolidate the program finally. Third, for the study’s objective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here. From June to July 2014, voluntary participants were organized, an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ata from their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apparent meaning, themes, main meanings, etc. and the meaning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a trauma causes a functional cutoff of bodily chemicals and hormones in the neuro-pathological system, also affecting the amygdala and hippocampus. As a consequence, trauma survivors lack the ability to control or stimulate their emotions, as well as the capacity to experience their feelings. These survivors also display higher levels of stiffness and physical impairment, including mental condensation, fixation, lopsidedness and ineffectiveness. Consequently it was necessary to approach the reality hidden under the cover of trauma by using somatic psychological intervention such as movement, breathing, proprioceptive sense stimulation and first-person experiences. Recovery from trauma consists of three stages: stabilization, remembering and mourning and restoration of connections. Recovery programs usually consist of about 12 stages. Interventions for recovery required six perspectives: the restoration of emotional and physical senses, modification and adjustment, embodiment of positive imagination, fluidity, flexible embracement of experiences and experience of the sense of connectedness. Second, the twelve essential themes of a movement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 are: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creation of boundaries, breath as the resources, relationship between muscular armour and personality armour, reintegration of somatic distortion, restoration of organic movement, creative exploration of wounds, metaphorical expression of emotion, learning acceptance and regulation, and autonomy. Major body parts to be worked on are the back side of the body: the neck, shoulders, shoulder blades, rib cage, backbone, head, feet, legs and pelvis, including the face. Activities for a unit session include check-in, introduction to the background theories of the theme, core movement practice, drawing, writing and the sharing of experiences. Third, the experiences of the program’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esource preparation for recovery, experience of acceptance and mourning, and encounters with the world. The category of recovery experience has two core themes; making the body a resource for recovery and making metaphorical relationships with the body. Recovery experiences includes: experiencing positive sensations, feeling they are embraced, feeling they are competent, regarding the body as a metaphor for life, starting a metaphorical conversation with the body, and metaphorically applying images to bodily movements. The category of experiencing acceptance and mourning has two core themes; bodily understanding of traumatic events and the control of excessive reactions. It includes movements and postures brought about by trauma and understanding trauma patterns dwelling in specific parts of the body. The category also includes to b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emotion in cases of excessive reactions, to discover how to control them, and to return to the body. The category of encountering the world includes creative transformation, restoration of autonomy in relationships, and active engagement in various art activities and means of expression.

      • 트라우마가 표현된 20세기 이후 인체형상연구 : 본인작품과 표본작품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원재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예술가는 작업을 구상하고 설명 할 때 흔히 ‘과거의 경험’이 바탕이 된다. 이것은 곧 작업의 개념적 성립과 연결되며 예술가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이념뿐만 아니라 사유작용에 연관이 있다. 이는 곧 삶 속의 경험을 통해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정신적인 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트라우마’는 예술가에게 작품을 생산하게 하는 심리적 시발점으로 작용하며 주제화되기도 한다. 트라우마란 전쟁, 화재, 신체적 폭행, 어떠한 사고에 의해 생명을 위협하는 경험을 한 후에 나타나는 정신적 충격을 말한다. 이러한 충격 이후 지속적인 영향으로 회상, 악몽, 분노의 폭발, 지나친 경계, 우울 등의 심한 성격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트라우마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트라우마의 특징과 영향을 참고하여 논지를 이끌었다. 1차 대전 이후 세계는 기존의 전통·질서에 대한 반항과 비합리·비윤리적인 방향으로 흘러갔다. 이로 인해 다다이즘, 초현실주의와 같은 사조가 만들어졌으며 이후 이성과 감성에 초점을 두었던 과거와는 다른 무의식적 관점을 갖게 된다. 무의식에 대한 연구는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자크 라캉(Jacques Lacan),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등에 의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표면화 되었다. 특히 초현실주의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예술, 문학에 이르기까지 발전하게 된다. 비현실세계를 지향하는 초현실주의에서는 아상블라주(Assemblage), 프로타쥬(Frottage), 데칼코마니(Decalcomania)와 같은 표현 방식이 나타났으며 추상표현주의 양식으로까지 이어졌다. 본 연구자는 이런 시대적, 정신적 충격에 의한 외상적 변화가 동시대 어떤 미술적 형상으로 나타나는지 방법적으로 이미지화 하는 것에 대한 연구다. 따라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은 초현실주의에서 보여준 표현양식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가 주장한 세 개의 인성 체제 이드, 자아, 초자아를 통해 인간본능과 그것을 억제하고 억압하는 시스템을 예술과의 연결점으로 연구 하였다. 또한 전쟁과 폭력으로 인한 불안정한 상태를 부정하고 변화시키고자 한 초현실주의를 고찰해 봄으로써 인간의 욕망과 트라우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들은 주로 2장에서 논의되고 연구되었다. 현시대에 이르기까지 무의식에서 나온 형상 이미지가 어떻게 변해 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미학을 응용하여 서술하였다. 더불어 초현실주의에서 인체의 변형을 통해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낸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인간심리의 어두운 면을 통해 공포와 쾌락의 양면성을 표현한 제이크 &디노스 채프만 형제(Jake & Dinos Chapman), 동성애에 대한 사회의 시선과 공포를 작품으로 보여준 로버트 고버(Robert Gober), 유년기 가족들과의 삶속에서 느꼈던 성적 충격을 치유의 과정으로 표현한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를 선정하여 그들의 표현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3장은 앞의 작가들과 본 연구자의 표현 방식을 통해 무의식에서 예술로 표출된 인간 내면의 심리에 대해 서술하였다. 인체의 해체와 변형을 통해 드러나는 개인의 사유에서 과거 전쟁과 폭력에서 나타난 트라우마적 현상을 동시대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개인심리적으로 다가온 정신적인 충격에 의한 호소와 해소의 방법을 연구자의 작업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본 연구를 심도 있게 진행 할 수 있었다. When an artist designs and explains a work, ‘experience from the past’ usually serves as its foundation. This is soon linked with conceptual establishment of work and related with not only ideology but thinking the artist intends to express through the work, which means they can be found in experiences of one’s life. One of those experiences, ‘trauma’ which constantly affects one’s mentality functions as a psychological starting point to make an artist create a work and it sometimes become a theme itself. Trauma means mental shock coming after life-threatening experience such as a war, a fire, physical violence and an accident. Dramatic changes in personality including retrospection, nightmare, eruption of rage, excessive alert and depression can be regarded as results from trauma with continuous influence after those shocks. This thesis draws an argument by referring to thes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trauma. Since the World War I, the world has become disobedient to existing traditions and orders, and irrational and immoral. For this, trends such as Dadaism and surrealism were formed and, after that, people came to have a perspective based on unconsciousness which was different from an old one focusing on reason and emotion. With Freud at its center, study on unconsciousness came to the surface by Jacques Lacan and Carl Gustav Jung etc in a concrete and systematic way. Surrealism, in particular, developed even in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based on Freudian psychoanalysis. Surrealism which sought unreal world involved expressional methods such as assemblage, frottage and decalcomania and they extended to the form of abstract expressionism. I, the author, study how traumatic changes for these temporal and mental shocks are expressed and made into images in artistic shapes upon contemporary art so expressional forms and functions shown in surrealism influenced by Freudian psychoanalysis are investigated. This thesis studies human instinct and a system suppressing and containing it as the connection with art through three-personality system which is of the id, the ego and the superego that Freud argu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desire and trauma is analyzed through examining surrealism that intended to deny and change the instability caused by war and violence. These contents are discussed and studied mainly in Chapter 2. To describe how shape images from unconsciousness have been changed so far, aesthetics of Gilles Deleuze is applied. Addedly, this study selects artists including Francis Bacon who made a new form through transformation of human body in surrealism, Jake & Dinos Chapman brothers who expressed two sides of fear and pleasure through dark side of human psychology, Robert Gober who demonstrated social eyes and terror against homosexuality in works and Louise Bourgeois who expressed sexual shock from her childhood as the process of healing and then researches on their expressional methods. Chapter 3, in particular, describes one’s inner psychology which is expressed as art out of unconsciousness through expressional methods of aforementioned artists’ and mine. Personal thinking revealed through decomposition and transformation of human body and traumatic phenomena appearing in past war and violence a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neity. As a result, this study can be conducted in depth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appeal by mental shocks on social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level and its resolving methods with my own works.

      • 트라우마를 주제로 한 도자 조형 연구 : -균열과 깨짐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영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피할 수 없는 인생의 여러 트라우마는 때로는 인간에게 너무나 큰 아픔을 주고, 앞으로 나아갈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회피하지 않고 직시하여 제대로 인식하고, 표출해야 한다. 트라우마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극복을 위한 필수적 단계이기 때문이다. 또한 예술을 통해 트라우마를 표현하는 것은 트라우마에 대한 진정한 마주함과 인식을 가능하게 하며, 트라우마 표출의 창구로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균열과 깨짐이라는 물성을 활용한 도자 조형 예술로서 표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의 정의와 증상, 치료방법을 찾고 도자기의 균열과 깨짐, 트라우마와의 유사성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자 물성을 활용한 미적 결과물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품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트라우마의 특성과 종류, 치료 방법을 조사하고 이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예술의 영역에서 표현된 트라우마의 의미와 사례를 연구한다. 둘째, 도자기의 균열과 깨짐의 원인과 미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도자 조형의 표현 방식으로서 작품에 활용하는 것의 가능성과 그 사례를 연구한다. 셋째, 도자기의 균열과 깨짐, 트라우마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며 재료의 물성적 특성을 ‘트라우마’라는 작품의 주제와 밀접하게 연결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사례를 조사하여 연구의 당위성을 높인다. 이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라우마의 특성과 치료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예술의 방식으로 풀어내었다. 둘째, 기술적 결함으로 여겨지던 도자기의 균열과 깨짐을 트라우마라는 주제와 연결시켜 재료의 물성을 의미적으로 적극 사용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였다. Unavoidable life traumas that cannot be avoided sometimes leave a huge pain, and make it so that one cannot go forward in one’s life. In order to overcome these traumas a person must confront them, recognizing them in the correct way and expressing oneself rather than avoiding the problems. This is because correctly recognizing them is a necessary stage to overcome the traumas. Specifically, expressing traumas through art allows one to sincerely confront and recognize them. And therefore art takes on the meaning of a doorway to express traumas. In this thesis this is explained by a property of materials called cracks and breaks through the art of ceramic. In the process the thesis attempts to determine a definition, the symptoms, and the therapy methods for traumas and to realize the similarity between traumas and cracks and breaks in ceramics. As a result, an aesthetic outcome using ceramics material is deduced. A study of the work progresses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characteristics, kinds, and the therapy methods are researched. In order to express them visually the meaning and examples of traumas expressed in art are studied. Second, the cause and aesthetic meaning of cracks and breaks in ceramics a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and examples of, using them for expression in a ceramic art are studied. Third, the connection between traumas and cracks and breaks in ceramics are analyzed in order to study how to connec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with the subject of the work - traumas, while the examples are selected to establish the requirement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raumas and the methods of therapy are understood to be the need to express them through art. Second, cracks and breaks in ceramics - often considered as a technical fault - are connected to the subject, so these properties of the material can be actively used to create meaning so that it can be interpreted in a positive way.

      • 루이즈 부르주아의 예술작품에 나타난 트라우마의 반복과 치유에 관한 연구

        장선아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Edith Kramer, who claims ‘art as a therapy’, focuses on the sublimat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repetitive creative activities in the therapeutic effect of art acts. In the healing process of art, ‘repetition’ repeatedly regenerates memories that contribute to trauma and shows self-healing characteristics. Freud's ‘repetition compulsion’ is a return of the repressed, referring to the compulsive repetition of trauma in the unconscious mind. Also, by repeating the painful experience, you become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and control the trauma symbolically. Freud especially noted art, explaining the process of turning an individual's desires into social value, driven by death instinct. When trauma occurs due to an unusual event that is faced in an unprepared state, the experience is repressed unconsciously. However, having an occasion to recall traumatic events will allow painful memories of the past to dominate the individual after a long time. The memory of trauma is continually recreated through ordinary moments or the form of dreams. This clinging to trauma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artists can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obsessively repeating certain subjects or materials. In addition, the act of repeating traumatic experiences through repetition compulsion and dispersing emotions is an expression of self-recovering instinct. In this regard, we can see that the creation of traumatic artists is an attempt and process to heal the trauma. Symptoms of trauma presented by Judith Herman, excessive awakening, intrusion of trauma that gover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constriction are revealed in direct and indirect form in the work of artists that repeat a particular subject. Herman did not directly analyze the creation of art works and their relationship to trauma. However,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riting through the process of memory and mourning and considered visual imagery to be valid when languageization is difficult. In this respect, her argument can be combined with art as an expression. Herman's Trauma Theory, which presents a healing process with symptoms of trauma, can be applied to interpreting works by artists who are stuck in childhood psychological trauma and repeatedly deal with the subject. Also, the nature of the trauma, which is not forgotten until fully understood and accepted, provides a basis for explaining why artists fit into past memories in the creation of art. Their art is an expression of their instinct to ultimately recover and heal, as it is a symptom of repressed trauma. An analysis of the content and formality of an obsessively repeated piece can infer the meaning of the work. Ironically, there is an answer to the trauma's painful face-to-face and repetition. The self-healing, repetitive art-creation forms of Louise Bourgeois can be described in three major parts—sculpture, sewing work, drawing work. In the sculpture, installation techniques using cold, hard objects gave off repressed emotions and re-aware past memories. The subsequent sewing process connected his broken heart with a piece of cloth and connected it to her broken parents. In other words, it is the work of forgiveness and healing, recovery. Through her sewing, she found a way to accept emotions that she had not been psychologically accepted, to find stability and order, and to handle herself. Finally, drawing is the most basic step in shaping the artist's thoughts and logic. Drawing through sensibility is a natural expression of the artist's life and nature, and it serves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self and the external self. It is now a gesture of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oneself and reality, not as a tool for shaping something, but rather to reveal and reintegrate your feelings to prepare for the end. Through drawing, Bourgeois expresses his reconciliatory feelings toward his father, healing past wounds and forgiving the world. The trauma of the Bourgeois was caused by the family, and the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of the family was a healing force for the bourgeois. “Art is a guarantee of spiritual integrity. Art is either an experience of trauma or a reexamination”, Bourgeois's words mean that her art represents mental trauma and repetitive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relieving and sublimating the pain of psychological wounds. In her lifetime of creation, Bourgeois did not follow a single flow of art or the trend of the times, but only based on her own experiences and memories. This creative process naturally reflected his traumatic experiences. She attempted insight into internal objectification by expressing mental trauma through creative activities due to her father's infidelity, her mother's acquiescence, and the domestic environment that was promiscuous and negligent about sex. The process of transforming painful memories into works, projecting and sublimating internal emotions, building power to reinterpret unresolved emotions into works, reconstructing childhood trauma, and actually recre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and integrating them through recreation, showed the process of gradually turning into a self-healing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objectification of emo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ealing process of trauma, and this expression of emo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 creation, called diffusion, played a major role in healing the trauma of Bourgeois. Thus, Bourgeoi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s of trauma were overcome through creative act—internal healing through art.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healing stages of trauma that Herman claims to be.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면한 비일상적 사건으로 트라우마가 발생하게 되면, 그 체험에 대해서 무의식 속에 억압하게 된다. 그러나 외상사건을 연상시키는 계기가 있으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이 개인을 지배하게 된다. 외상에 고착되는 이러한 현상은 예술가들이 특정한 주제나 소재를 강박적으로 반복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아울러 외상체험을 반복강박을 통해 재연하고 감정을 소산시키는 행위가 자기회복 본능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외상에 고착된 예술가들의 창조행위가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한 시도이자 과정이다. 또한 완전히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전에는 망각되지도 않고 반복되는 트라우마의 속성은 예술창작에 있어서 왜 예술가들이 과거의 기억에 천착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강박적으로 반복되는 내용적 형식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그들의 예술은 억압된 트라우마의 증상이면서 궁극적으로는 회복하고 치유하려는 본능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부르주아의 외상은 가족에 의한 것이었으며 가족의 재해석과 재창조는 부르주아에게 있어 외상을 치유한 힘이었다. 자신의 예술이 정신적 외상을 나타내고 반복적인 창작활동은 심리적 상처의 고통을 완화시키고 승화시키는 원동력이었다. 부르주아는 창작과정에서 자신의 정신적 외상경험이 자연스럽게 반영되었다. 유년기에 겪었던 아버지의 외도, 어머니의 묵인, 그리고 성에 대해 문란하고 방임적이었던 가정환경으로 인한 정신적 외상을 창작활동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내면의 객관화에 의한 통찰을 시도하였다. 고통스러웠던 기억들을 작품으로 형상화하며 내적 감정을 투사하고 승화시킴으로서 트라우마와 대면하고, 미해결된 감정들을 작품으로 재해석하며 유년기의 트라우마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힘을 배양했고, 실제로 창작과정에서 재창조를 통한 통합에 도달하면서, 점차 자기치유적 경험으로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트라우마의 치유과정에서 감정의 객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정의 표현과 발산이라는 미술창작의 특성은 부르주아의 외상을 치유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부르주아는 트라우마가 주는 영향을 창작행위—미술을 통한 내적 치유—를 통해 극복할 수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역설적이게도 트라우마의 치유는 그 트라우마의 고통스러운 대면과 반복 속에 답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