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겸직업무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고미화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사회복지 환경은 사례관리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지역사회복지관은 그 환경에 맞게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지만 이런 노력에도 인력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사례관리 전담팀을 구성하였으나 타 업무를 같이 수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례관리 전담직원이 아닌 겸직 사례관리자가 여타 업무를 진행하면서 사례관리업무를 동시에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체계적인 사례관리가 되지 않을 것으로 추측이 된다. 이에 사례관리자들이 현장에서 겸직을 맡으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들여다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추진되고 있는 겸직업무 사례관리자들의 실천경험들이 어떠한지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통해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실천경험의 본질을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써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고, 경험 주체의 생생한 체험과 인식을 통하여 현실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의미의 발견을 위한 과정은 글쓰기를 통해서 개념을 추출하는 과정이며, 첫째, 반복적으로 읽기, 둘째, 성찰하기, 셋째, 의미 있는 구절 찾기, 넷째, 의미 단위로 묶기, 다섯째, 개념 추출하기, 여섯째, 문장화하기 순으로 하였다. 이러한 순환적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언어로 의미를 도출하였으며,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의 구조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겸직업무 사례관리자의 경험의 구조는 92개의 의미단위, 26개의 드러난 주제, 8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사례관리업무 집중의 곤란”, “업무의 과부하”, “전문사례관리자로서의 성장이 정체됨”, “과무과다로 심신의 곤란”, “나를 버티게 하는 동력”, “겸직의 강점”, “전담 시 경험과의 비교”, “ 업무효율화를 위한 갈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문성향상을 위해 현실적인 인력기준이 필요하며, 최소한의 인력기준으로 규정하기 보다는 전담인력기준 사례관리인원으로 기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모든 직원들에게 의무적인 사례관리 교육을 통하여 사례관리 관점과 실천이 일치가 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례관리자가 해야 할 업무의 목적과 내용, 방법과 순서 등을 명확히 제시해 줄 수 있도록 업무의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 넷째, 사례관리서식 간소화를 통한 사례관리실천과정에 실적 중심이 아닌 실천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복지관 이 주도적인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조직체계의 재논의가 있어야 한다. 여섯째, 겸직사례관리자들의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기관차원, 사회복지사협회와 정책차원에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만 질적 조사가 이어졌고, 사례관리를 하는 다양한 기관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지역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표본을 크기를 크게 하여 진행한다면 본 연구의 한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As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continues to requi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s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environment, but the labor community is suffering from lack of manpowe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formed a team of managing practices, but it is the reality that it is doing other tasks together. It is assumed that the case manager will not be managing case management as a case manater in case of a case manager, rather than managing case management tasks, but managing case management is unlikely to lead to systematic case management. In this case, we need to look at how case managers look at case management and other tasks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to expose the experience practices of concurrent managers working on cases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asks, " What is the experience of the practice of concurrent work manager?" and aims to demonstrate the nature of the practice of managing the practice or managing the case manager. The research method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human experien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o reveal the essence of reality through vivid experience and awareness of human experience. The process of identifying semantic meaning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concepts through writing, first, repeated reading, second, insight, third, find a meaningful phrase, fourth, bound in semantic unit, sixth, sentence writing. Through this recursive process, the language was derived from the language of the researchers and transla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practice of managing the practice cases by converting to scholarly terms. The structure of the concurrent case manager has been derived from 92 semantic units, 26 revealing topics, and 8 essential thematic topics. The derived essence emerged as the " difficult of manage case management tasks", "too much work", "growing growth as a professinal case manager", a lot of work is physically demanding"," the strength of my support", "the advantages of plural offices", "comparison of experience when dedicated", "work efficient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given First, staffing standards are need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local community, and staffing standards should be definded as staffing standards, rather than staffing standards. Second, training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case management perspective is harmonized with practice management through compulsory case management training for all employees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ir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case manager, the case manager requires a clear set of rules to clarify the purpose, content, and order of the tasks to be done by the case manager. Fourth, the practice of managing case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simplification of case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practice rather than focusing on performance center. Fifth, it should be discussed again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to lead the community to lead the initiative. Sixtgm efforts are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level,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policy level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the concurrent case manager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cusing exclusively 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re are regional limitations that cover the case and are limited in regional studies. Further research will reduce the limit of this study if the size of the sample is greatly reduc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 사회복지 프로그램 공모사업 수행경험이 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현서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사회복지기관에서 공모사업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 재원을 확보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공모사업은 프로그램의 계획 및 평가의 체계성과 실행의 책임성을 더해주는 측면에서 구조화, 객관화, 전문화를 유도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모사업이 사회복지기관 차원에서의 단순한 프로그램 운영 재원 확보를 넘어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지역 내 사회복지 이용시설 74개 기관에 근무하는 22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회복지 공모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수행경험이 없는 사회복지사들보다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 공모사업 수행경험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 공모사업 수행경험은 사회복지사의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 공모사업 수행경험이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 보다는, 임파워먼트를 통해 조직효과성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공모사업 수행경험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사회복지 프로그램 공모사업 수행의 기회를 고루 부여하여, 공모사업 수행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 인식 수준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각 기관에서는 공모사업 수행 시에 담당 사회복지사가 해당 공모사업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조직적이고 환경적인 배려가 선행된다면 공모사업 수행이 업무과중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함께 조직 내 긍정적인 기여까지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모사업 수행이 사회복지사들에게 업무과중으로 작용하여 소진을 겪지 않도록, 조직차원의 관리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 개인 차원의 관리가 병행되어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기관의 효과적인 휴먼서비스를 위해서는 기관 운영을 위한 다양한 재정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공모사업에만 의존하지 않는 기관 운영의 재정적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Effect of experience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on a social work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test business has effect on inducements of structuralization and objectification and specialization to add organization of program's plan & evaluation and responsibility of implement. In this sense, followings are the effect research of contest business on not only program operation finance secureness but a social work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research, a survey of 220 social workers at 74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Busan has been conducted. Bellows a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realiz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re highly than those who do not have it. Second, experience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has effect on social worker' empowerment positively. Third, social worker' empowerment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The fourth, experience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has effect on social work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The fifth,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is much more effecti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ment. Bellows are practical proposals in order for a social work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o has experience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to be affected positively. First, social welfare institution gives every social worker an equal opportunity of a social welfare program contest business, so that they should be given an equal opportunity in order for knowledge level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can have experience of contest business to be improved. Second, if each institution precedes systematic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 which a social worker in charge of contest business can focus on when carrying out, it expects not only work performance of contest business but positive contribution to organization with strengthening of ability of a social worker. Third, in order for contest business not to be regarded as heavy duty to a social worker, go abreast not only organization management but individual management for a social worker to prevent the exhaustion of a social worker. Lastly,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effective human service, it should remain each institution's financial independent not depending on only contest business by securing various finance resources for management of institution.

      • 중등교사의 학교사회복지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부산지역 학교사회복지 시범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노상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understanding, attitude and role expectation of school social work of middle school teachers those who work in two type of school, a model of school social work and no model of school social work. And to search for a plan of improvement and of practice for activation, settle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social work. To collect data, I distributed 320 of questionnaires, I withdrew 276 of questionnaires on the object of teachers in the four school which carrying out school social work and teachers in the four school which not carrying out school work with similar circumstances.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of data, I used 272 of questionnaires(teachers of a model of school social work/136, teachers of no model of school social work/136) as final data of analysis except 4 questionnaires of insufficient answer. The result proves that firstly, teachers who already experienced school social work showed more affirmative understanding and attitude for school social work than other teachers who did not experienced school social work. Secondly, two type of teachers those who teachers of model of school social 내가 and teachers of no model of school social work, they both showe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school social work, they both showe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school social work. Thirdly, two type of teachers both seemed to feel desperately needs of outside specialist of solve various problems of student and teacher. Two type of teachers both showed conservative attitudes shunning an outsider who no graduate of teacher's college. Fourthly, the younger, the shorter careered teachers tended to feel higher need of school social work. In th fifth, commonly the most expected role of school social worker proved clinical social work service for student. Let me propose a plan for activ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social work on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Firstly, well-prepared school social worker should be trained. Secondly, an approach model by type of school should be developed. Thirdly, discriminative intervention by character of teacher should be accomplished. Fourthly, development of discriminative service specializing school social work should be accomplished. Finally, exhibition work of school social work should be carried out expandedly.

      •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이 노인 요양시설 종사자의 소진해소에 미치는 영향

        김길곤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the recent time,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are in Korea compare with other countries. This phenomena is rare in the world. This increasement could occur various social problems. According to many specialists of the sociology, the country could not avoid the crisis, if the social problems by the increasement of the population of the seniors would not be well controled. To solve those problems efficiently, the various approaches of social welfare for the seniors are being established. The government, aware of the gravity of the problems, tries to make certain plans for the various services for the well-being of the seniors, such as introducing the system of the "insurance Care Program for the Aged" from the month of July at 2008, and to realize these services trough the centers for the seniors. In a word,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s for the seniors should be remarked. There are a lot of the various factors for this efficacy, among which the senior care centers-workers are very important to appoint the efficacy. They should satisfy simultaneously the demands of the clients and those of the agency. That makes them be stressed. Such experience could influence directly to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s. Therefore, Putting the theory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TA) to the practical use is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empowerment and for the contribution of the conception of the Ego. As a matter of fact, the group-program by the TA has been developed, giving the point to the change of the conception of the Ego, promotion of the human relationship, alteration of the life-style for the positivity, etc. Besides, this program is famous for his efficacy at the moment of the change of the organism, like industries, army and general group, and of the development for their cohesion. In our study, we are aim to know how change the degree of the reduction and the self-efficacy of the centers-workers at the center the seniors, when the group program based upon the TA is applied. The theory of program was Claude Steiner(2005)'s 5 conceptual clusters which are the storkes cluster, OK cluster, the script and games cluster, the ego states and transaction cluster, the transactional theory of change cluster. The program was practiced one a week for 9weeks . and each session lasted for 2 hours.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25 personnels who had a need to increase their self-efficacy. 25 personnels were analysed. Among the 25 participants, 13 of them were arra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of them were included to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at the point of pre-test, post-test were analysed and compared through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I had gotten these results: First, the program had an efficacy at the cure of the sentimental exhaustion and the depersonalization toward the client which burnout to the subordinate area. And it had developed significantly the self-efficacy. We have observed also at the post-test tha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 group has more develop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ost score of 9 persons among the experiment group of 13 persons was higher than the pre-test. It means that the program was very efficient. In the sens, we have remarked that the group program according to the TA help not only to give the centers-workers the empowerment, but also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 of the social welfare. Finally, our study helped us to see the possibility of the various application of the TA.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노령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세계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많은 전문가들은 노령인구의 급증에 따른 사회문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국가가 위기에 처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노인복지시설은 급증하는 노인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그 형태는 다양하다. 정부 역시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008년도부터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노인복지서비스를 구상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노인요양보호 서비스가 노인복지시설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고, 현재 노인복지시설의 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 효율성 및 운영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율성에는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는데, 그 중 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종사자는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보고 되고 있듯이 사회복지시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보다 효율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인 종사자들의 근로동기를 향상시키고 정신건강의 함양을 도모하는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는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자아개념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또, 클라이언트의 요구와 조직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직무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며, 이는 서비스의 효과성 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대인원조직 종사자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와 자아개념 향상을 도모하는데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적극 추천된다. 왜냐하면 교류분석이론에 의해서 발전된 집단프로그램은 자아개념의 변화, 인간관계증진, 긍정적인 생활자세로의 변화 등에 초점을 두고 발전하여 왔으며, 산업체, 군대, 그리고 일반조직의 변혁과 응집력을 향상하는데 뛰어난 효과를 지닌 이론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인간 및 조직계발 이론으로서 그 효과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는 교류분석이론을 중심으로 소진되거나 무기력감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개념의 향상을 측정하는 연구는 자아개념을 의도적으로 변화시켜 노인복지시설의 종사자를 임파워먼트 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로 집단을 구성하고 그들에게 집단사회사업의 일환으로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하는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했을 경우 노인요양시설종사자들의 소진정도와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 연구방법과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계획하였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의 실천현장인 부산의 모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시설종사자를 대상으로 소진 및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개입프로그램인 교류분석을 통해서 그 효과성을 연구하였다. 즉 종속변수엔 소진과 하위변수인 정서탈진, 개인성취감감소, 클라이언트에대한 비인격화와 자기효능감을 설정하고 각변수들과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소진요인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대안을 갖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부산 모노인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홍보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석하기를 희망한 지원자중에서 선착순으로 선정하였고, 선착순으로 지원한 13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2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의 진행은 2008년3월초순부터 2008년 5월 중순까지 9회에 걸쳐 자기효능감증진 및 소진감소 집단프로그램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로 인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진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탈진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그리고 자기효능감 변수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소진의 하위영역인 개인적 성취감 감소영역에서는 통계적 유의미성이 검증되지 않았고,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과 비교시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속한 개별 대상자들의 사후점수가 사전검사보다 향상된 자들이 13명 가운데 9명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프로그램이 이 영역에서 실천적 효과성을 나타내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또, 소진의 하위영역인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보였고 목표 달성도를 보면 총점 10점 척도 평균 7-8점 조사 되었다.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효과성을 공고히 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둘째, 프로그램이 특정시설 한 곳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효과성을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집단구성원 선정을 선착순으로 배정하여 두 집단 간 동기 수준의 차이 등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인이 개입될 소지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다. 제언으로 이 프로그램을 다른 지역사회 및 다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효과성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고, 본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강화로 인한 소진문제를 모두 포괄 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므로 본 프로그램이 추가되어 보다 세부적인 행동변화를 초점으로 하는 후속 프로그램과 연계를 가지고 운용된다면 유용할 것이다. 또 9주 교육이 종료된 후에도 자조집단 성격의 소그룹을 형성하고 원조하여 정기적으로 집단원들이 만나 교육내용의 심화 및 재훈련, 상호멘토링의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류분석 이론을 적용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소진감소 집단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시설종사자를 임파워시키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사회복지실천의 유용한 도구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령화시대 노인복지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

        최연옥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87

        Every human wants to live for a long time, leading a happy and healthy life. Now, our interest in health has been increased thanks to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sanitation and increase of living level by high national income according to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in Korea. Thereby, our average span of life has rapidly increased from about the age 63 in 1970 to 65 in 1980, 72 in 1995 and 80.1 for women and 72.8 for men as of 2004 (Park, Hye-Hyun, 2004: Chosun-ilbo). The ratio of the aged in our whole population has relatively been raised like that. The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aged may cause another problem in terms of composition of the whole popul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It means that the increase in number of the aged with various desire brings the burden of social welfare, diminishing the ratio of productive population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aged harmoniously, long-term and various social intervention is required. It becomes harder and harder for the members of the families to take exclusive care of the aged because of their busy schedule of active industrial society. Considering this, we should increase the institutions for the aged where old people can stay and lead a healthy life and day care centers where they can lead a healthy life under the protection of their supporters. There ar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nd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the institutions for the aged, and there are recreational day care center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aged staying at their home as day care centers. On the basis of such facilities, the way to improve, solving the problems the institutions ha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problems that the institutions have; ① The use of elderly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s so restricted to those of low income as to be avoided by a lot of aged people who are supposed to use them or the facilities are wornout due to poor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② Another problem is the dimensions of the nursing home. The aged patients want the service to be changed into small-sized one to be more domestic and humane. Still, the area of living rooms is not large enough, compared with that of advanced countries. ③ There is also a problem in arranging staffs. All kinds of nursing homes for the aged need great help of nurses and daily assistants. Nevertheless, even technical nursing homes are cutting down the number of nurses and daily assistants. Second, as a matter of day care centers, the users of senior citizen centers which is the most popular one in Korea have been decreased continuously, as they are not doing their function. The interest in senior classrooms has been heightened, but it is still within the bound of education which is the secondary level for the goal, not satisfying various desires. Third, as a matter of institution, in case of a good many of the aged people of low income who need the protection of the facilities, it is actual circumstance that they are not protected because of strict qualification requirement. Fourth, it is shortage of welfare facilities. As most of the facilities including social welfare centers are for the use of leisure time, it is urgent to expand facilities for public support of life which is important ones. To bring out the problem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successively, we can say in short that they are those of institutions, day care centers and protection of facilities and shortage of welfare facilities. Considering such problems,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should be studied in the way as follows; First, the facilities of the institutions should be improved. That is, for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 method to get active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should be examined, along with elderly pension and housing subsidy,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aged person. As to standard of living rooms in terms of dimension of the facilities, there should be a single-room regulation even in free facilities, considering realities of serious old patients of low income. Also, regarding staff arrangement standard, as it is a matter of budget, decision of central or local government is required. Second, the way to improve day care centers should be studied. To run senior citizen centers to the full, among recreational day care centers, it should be decided first whether they belong to convenience facilities for residents or recreational day care centers. The senior classrooms are operated extemporaneously and unsystematically, as they are programmed by the private. Considering this, positive governmental intervention is required. And development of synthetic and systematic program should be supported by institutional system. Third, the qualification for the institution should be loosened so that the aged people who need protection of the facilities could get the protection easily. Finally, as a matter of volunteers for the aged staying at their home, they should be reflected in the budget and financially supported at the minimum so that they could carry out their given role smoothly. For unexpected accidents the volunteers might have during their service, an insurance system for the volunteers at the governmental level should be introduced. 인간은 누구나 보다 나은 행복과 삶을 영위하며 건강하게 오래 살고자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이젠 우리나라도 경제성장과 근대화에 따른 국민소득 증가로 생활수준의 향상, 의학의 발달과 보건위생의 개선으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었다. 이로 인한 평균수명의 또렷한 증가를 살펴보면 1970년에는 63세 정도이던 평균수명이 1980년에는 65세, 1995년에는 72세, 2004 현재 여성 80.1세 남성 72.8세(박혜현, 2004:조선일보)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처럼 우리사회도 전체 인구 중 고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증가는 전체 인구의 구성이나 사회 경제적 영향 등의 관점에서 이해할 때에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된다. 즉 다양한 욕구를 가진 노인의 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전체 인구에 있어서는 생산 인구 비율을 감소시켜 사회 보장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것이다. 노인 인구증가로 인한 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장기적이고 다양한 사회적 개입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사회는 산업 활동층들의 바쁜 일정으로 노인들을 가정에서 가족들에 의해서만 보호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국가나 지역 사회에 의해 노인이 거주하면서 건전한 생활을 보장 받고자하는 입소시설, 부양자의 보호 하에 가정생활을 하면서 건전한 생활을 보장받고자하는 이용시설이 많이 육성되어야 한다. 입소시설에는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등이 있으며 이용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을 토대로 노인복지시설의 문제들을 원활히 해결하면서 입소시설의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입소시설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① 노인주거복지시설을 사용해야할 당사자인 다수의 노인들이 기피할 만큼 이용대상이 저 소득층으로 제한되어 있거나, 정부의 재정지원 빈약으로 시설이 낙후되어 있다. ② 요양시설의 시설규모 문제이다. 노인환자들은 요양서비스가 소규모로 전환되어 더욱 가정적이고 인간적으로 변모하길 바라고 있다. 아직도 거실면적 등은 선진외국에 비해 부족함이 많다. ③ 직원배치기준 문제를 들 수 있다. 모든 종의 노인요양시설에 생활보조원과 간호사의 손길이 많이 필요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요양시설마저 생활보조원과 간호사를 감원하는 실정이다. 둘째는 이용시설의 문제에서 여가복지시설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경로당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관계로 계속 이용자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교실은 점차 관심이 고조 되고 있으나 아직도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목적을 위한 부수적 차원의 교육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실정이다. 셋째는 시설보호의 문제로 시설보호가 필요한 상당수의 저소득층 노인의 경우 엄격한 입소자격 여건 등으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넷째는 복지시설의 부족현상이다. 노인 회관을 비롯한 대부분 시설들이 여가활용을 위한 시설들이므로 중요한 복지시설인 생활보호 등의 시설 확충이 시급한 문제이다. 이처럼 노인복지시설의 문제점을 성공적으로 끌어내기 위해 간략하게 정리하여 보면 입소시설, 이용시설, 시설보호의 문제점과 복지시설의 부족 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참작하여 노인복지시설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한다. 첫째, 입소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 즉 노인주거 복지시설에서는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입소자의 능력에 따라서 노령연금과 주택보조금에서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해야한다. 요양시설의 시설규모에서 거실기준은 저소득층 중증 노인환자들의 실태를 감안하여 무료시설에도 1인실의 규정을 두어야한다. 직원배치기준에도 그 결과는 예산집행의 의지 문제이므로 중앙 또는 지방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둘째, 이용시설의 개선이 강구되어야 한다. 노인 여가 복지시설 중 경로당을 알차게 운영하기위해서는 경로당이 주민의 편의시설과 여가복지시설 중 어디에 속하는지 법적인 개념부터 정리되어야 한다. 노인교실은 그 프로그램개발이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즉흥적이고 비체계적으로 운영된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로 한다. 또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은 제도적 장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셋째, 시설보호가 필요한 노인들이 보호를 원활히 받기위해서는 입소자격의 여건을 완화 하여야 된다. 끝으로 재가노인 자원봉사자들의 문제로 자원봉사자들이 주어진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반영하여 최소한의 경제지원은 있어야한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상에 일어나는 만약의 사고를 대비하여 정부차원의 자원봉사자 보험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 현행 노인복지법의 규범적 타당성 관점에서의 비판적 분석

        강이근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In this study, the present welfare law for the aged was cri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norm validity to see how normative it is when judging from the Constitutional ideas of Korea. An improvement plan to consider the norm validity of the present welfare law for the aged is expected to be found, with use of a frame of reference called content systematization among systems of social welfare law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by analyzing and discussing realization of rights as a fundamental social right, recognition of a subject of rights, and the nature of rights to clarify them; qualifications and limits of people who are eligible to receive senior welfare; requirements, types, and levels of senior welfare remuneration; principles of a nation's responsibilities-mandatory and non-mandatory provisions and a financial burden; scope and scales of legal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e aged; etc.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from this study. Firs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rights-the fundamental social rights-it is considered that the welfare law for the aged, as a social welfare service law, should be legally bound to give shape to the ideology and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s a law subordinate to the constitution and secure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of obligations and the right of the people, and the old who will benefit from the welfare law for the aged should be recognized as a subject of rights and the individual rights should be clearly defined to fully ensure the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that secures the rights of the people. Second, with regard to qualifications and scope of people who can benefit from the senior welfare, the criterion of the aged which is indirectly defined in the present welfare law for the aged needs to be defined in the provisions, and a discussion should be followed on whether the age of 65 is a valid criterion to decide the old,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it has turned into an aging society and is changing into a super aged society. Although it may not be easily discussed because this criterion is in connection with the age criterion for pensioners defined in other laws, now is the time to socially make it into public opinion. Third, the senior welfare wage needs to be diversified to make up for the increased average life span and the aging society together with the wage increase to truly secure their lives, and, especially, governmental preparation for policies and strengthening of systems as well as individual preparation is required to secure the old age income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old will have more trouble in earning money. Fourth, non-mandatory provisions that read 'may', 'should make an effort to(encourage)', and others should be changed into a mandatory provision that reads 'must'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nciple of the financial burden' which will oblige the n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to bear expenses should be secured. Fifth, the human rights for the aged should be legally secured. Declarations, plans, principles, and goals alone may not be sufficient enough to achieve an actual goal. Although people need to change the way they understand the human rights of the aged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pecified legal human right that secures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for the human rights of the aged and the human right provision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본 연구는 현행 노인복지법이 우리나라 헌법의 이념에 비추어 어느 정도의 규범성을 담보하고 있는가에 관하여 규범적 타당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한 사회복지법제 체계 중 내용적 체계화라는 준거 틀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권리실현과 권리주체 인정 및 권리의 명확화를 위한 권리성, 노인복지대상자의 자격요건과 범위, 노인복지 급여의 요건․종류 및 수준, 국가의 책임성인 임의규정․강행규정 및 재정부담 원칙, 노인인권의 법적 보장의 범위와 척도 등에 관한 분석과 논의를 통하여 현행 노인복지법의 규범적 타당성을 제고하는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권리성에 관하여는 사회복지서비스법인 노인복지법은 헌법의 하위법률로서 헌법의 이념과 정신을 구체화해야 하고 국가의 의무이행과 국민의 권리를 보장해야 할 법적 의무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하며 노인복지법에서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권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법의 대상자인 노인들을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고 개인의 권리를 명확하게 규정하여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헌법의 이념을 보다 충실하게 담보하여야 한다. 둘째, 노인복지 대상자의 자격요건과 범위는 현행 노인복지법에 간접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노인의 기준을 조문에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초 고령사회로 치닫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비추어 65세라는 연령이 노인의 기준으로서 과연 타당한 것인가에 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물론 이 문제는 타 법령에 규정된 연금 수급에 관한 연령기준과 맞물려 있음으로 해서 쉽게 논할 사안은 아니지만, 이젠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한 시점에 왔다고 본다. 셋째, 노인복지 급여에 관하여는, 고령화 사회의 진행과 함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급여종류의 다양화와 함께 실질적인 보장을 위한 급여수준의 향상을 필요로 하며, 특히 노년기 소득마련의 어려움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개인적 준비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정책마련과 제도강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국가의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할 수 있다’ ‘노력(조장)하여야 한다’ 등으로 되어 있는 임의규정 조항을 ‘하여야 한다’는 강행규정으로 전환하여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부담한다는 ‘재정부담 원칙’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섯째, 노인인권의 보장은 무엇보다도 법적인 보장이 담보되어야 한다. 선언이나 계획, 원칙, 강령만으로는 실효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노인인권에 관한 인식의 전환이 우선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고령자의 인권보장을 위한 국제적인 원칙과 우리나라 헌법에 보장된 인권조항을 담보하는 구체화 된 법적인 인권보장의 측면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노정주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87

        Today people have started spurting up their desir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n our country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spreading rapidly. Among them, 365 social welfare centers are operated nationwide as of May, 2004.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centers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the centers can provide various groups of people such as children, adolescents,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beneficiaries with the integrated social welfare services. However, operation of th social welfare centers is being criticized and their accountability problems are being revealed seriously as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centers is not accompanied with their quality of services, supremacy. In general, the accountability and effect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depend on the capability and quality of social workers who work at the centers. That's the reason why their working attitude and ability to carry out the program decide the degree of service quality provided too a client groups. Thus, the manag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seek various plans to encourage the social workers' desire and morale for their work. Among them, recently the most important concept is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utilized as an indicator to display the attitude and achievement of members of administrative of public organizations but the study for it is lacking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organizational theories and models tend to emphasize on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limate.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limate is that the individual perception for an organizational behavior. The study intend to verify empirically what effect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ocial welfare centers with accountability and effect problems has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their attitude for the organization. The questionnaire for which a pilot survey has been carried out to verify their feasibility had been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who work at 365 social welfare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In the study,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limate is subcategorized into autonomy, structure, reward level and their seniors' concern. 16 question, which there were 4 questions for each factor, were evaluated with 5-point Likert scal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climate to maximize th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o allow the social workers a right to carry out their services autonomously and to make a decision. Additionally, another way is a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ree communication between supervisors and staffs. In the appropriate reward system, it is also important to give them the wages equal to their efforts and the opportunities to be promoted.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needs to be human and thoughtful.

      • 자기 효능감, 부모와의 유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에 있는 인도네시아 유학생을 중심으로

        안드리아니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자기 효능감, 부모와의 유대, 사회적 지지 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에 있는 인도네시아 대학생으로, 총 318명, 155명의 남성과 163명의 여성이다. 조사도구는 학교적응 척도, 자아 효능감 척도, 친구지지 척도, 학교지지 척도, 부모와 자녀의 유대감 척도, 가족 지지 척도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다중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의 평균값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령, 학위, 학점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학점, 총 부모수입 요인에 따라 자기 효능감에 차이도 있었다. 전공, 학위, 부모의 결혼여부에 따라 부모자녀의 유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점, 부모의 결혼 상태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효능감, 부모와의 유대, 사회적 지지 요인 및 인구 사회학적 변인이 학교적응과 상관이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 효능감, 부모와의 유대, 사회적 지지요인은 모두 학교적응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두 세트의 모델이 생성되었다. 첫 번째 세트에서는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가 고려되었다. 한편, 두 번째 세트에서 각 독립 변수 및 종속 변수의 차원을 평가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세트에서는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1위로 나타났다. 학점, 사회지지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2위, 3윌로 차지했다. 반면에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부모와의 유대, 연령, 언어능력, 체류기간, 총부모수입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 두 번째 세트에서는 일반자기효능감 및 사회자기효능감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1위로 나타났다. 학점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2위로 차지했다. 한국친구지지와 학교지지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3위로 나타났다. 어머니와의 유대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4위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아버지와의 유대, 가족지지, 인도네시아친구지지, 연령, 언어능력, 체류기간, 총 부모수입요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 향후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네시아와 한국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행동은 양국의 문화적 특성을 비교하면서 연구되어야 한다. 둘째, 두 문화를 이해하게 되면 인도네시아 학생에게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하고 공부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 학생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bonding with parents, and social supports on school adjustment of the Indonesian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318 students which consists of 155 male students and 163 female students. The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using Adjustment to College Scale (ACS).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using Self-efficacy Scale. Bonding with parents was measured by using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 Supports from family, friends and school were measured by using Perceived Social Support (PS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al analysis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depending on demographic information were discovered through ANOVA. Age, education and GPA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Also, age, education and total parents' income per month caus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ding with parents found depending on students' major, education, and parents' marital status. Besid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social supports found depending on GPA and parents' marital status. Second, correlations among school adjustment, self-efficacy, bonding with parents, social support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ere measur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elf-efficacy, bonding with parents, and social suppor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 school adjustment. Third, in order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e factor which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Indonesian students were self-efficacy. The second and third importance factors were GPA and social supports. But, bonding with parents, age, English language ability, Korean language ability, length of stay in Korea, and the parents' income per month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Meanwhile,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subscales of dependent variables in independent variables were: First,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of Indonesian students. Second, GPA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ing school adjustment levels of Indonesian students. Third, social supports from Korean friends and school also affected school adjustment. Fourth, bonding with mother wa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with the least effect. Last, bonding with father, social supports from family and Indonesian friends, age, English language ability, Korean language ability, length of stay in Korea, and the total of parents' income per month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Som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irst, Indonesian and Korean students had different behavior in their university life so further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for cultural difference. Second, understanding both cultures may help to understand how to provide better supports for Indonesian students and even improve the studying environment to bett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 부산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박석환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Out-of-school adolescents are very likely to be excluded from institutional benefits or support because they are outside the institutional zone. In addition, socially, the prejudice of the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against out-of-school adolescents leads to the stigma of out-of-school adolescents. It is also a part of our society that recognizes the need for interest in adolescents who are suspended from school and emphasizes the role of the right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youth and their support system. I surveyed out-of-school youth on their needs and satisfaction for the support systems for them. I also conducted group interview with the heads and workers of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I reviewed the ordinance of other cities to compare the support systems for out-of-school youth.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upport system centered on out-of-school youth. When an out-of-school teenager visits the center, there is a burde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Efforts also are needed to create a space where teenagers outside of school can relax, even if they don't do anything when they visit the center, and a space where they feel comfortable coming here. In the case of a dedicated space for out-of-school youth, it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an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rovision of customized services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ut-of-school youth will be activated.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operation support system, it is necessary to independently operate an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and 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ntrusted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out-of-school youth support services can be differentiated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results and results, and out-of-school youth support delivery system of only Busan should be created. Second, in order to find efficient out-of-school you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Busan City and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e early stages of school suspension, it is not easy to induce teenagers to visit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on their own because they are temporarily immersed in a sense of freedom from school and study. In the end, due to the lack of smooth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for out-of-school youth, out-of-school youth will be out of the management system, which will lead to a high risk of failing to grow and develop normally and resulting in maladaptive results.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target, the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provide current inform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many of them are found in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hall, and the education office and schools need to strengthen network, communication, and business cooperation by signing a business agreement between Busan City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hird, a policy is needed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teenagers and workers outside of school. Worker rights education and business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ithou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teenagers outside of school and center workers. Out-of-school youth should be able to cope with unfair treatment at work sites, and center workers also should strengthen education for their right. To be respected and protected from labor rights from boss, seniors, and colleagues, and policies to prevent human rights against violations are urgently needed. Busan also needs a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rough business agreements between the Busan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Office or the Busan Human Rights Center and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workers at the youth support center outside of school. Out-of-school adolescents, who often have complex crisis factors, have many experiences of failing relationships. Although it takes a lot of time to build a trust relationship,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to teenagers are working under very unstable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it is said that teenagers place great importance on their relationship with workers. Recogniz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labor costs for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in Busan, treatment improvement should be made to boost workers' morale and train professional employees with job stability.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omote activities in Busan. Recently, it is said that teenagers who stop studying sometimes quit school for many reasons like their own life goals. Compared to the past,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percep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s changed positively in many ways. However, it is true that the cold view of society, which still sees teenagers outside of school as problematic children or delinquent teenagers, is still putting a considerable psychological burden on them. In Busan,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from something small to improve youth awareness outside of school. Sixth, legal grounds (Ordinance) are needed to prevent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even among adolescents of the same age group related to the payment of educational disaster support funds.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health and family environment, out-of-school teenagers who do not attend school were excluded from the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sparking controvers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right to study, stabilize life, and overcome educational problems not only for students in the institutional sphere but also for teenagers outside of school from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the COVID-19 situation. Since there is no legal basis for the ordinance, juvenile discrimination factors within and outside the system should be eliminated.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needs to enact a new ordinance or revise the current ordinance so that it can provide educational disaster support funds within budget for major disasters that may occur at any time in the future. 학교 밖 청소년은 제도적 혜택이나 지원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학교 밖 청소년에게 낙인을 경험하게 한다. 우리 사회는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올바른 사회의 역할을 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및 이들을 위한 지원체계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부산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사업이 학교 밖 청소년에게 제대로 지원되고 있는지 또한 이들에게 더 필요한 지원정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추진중에 있는 정책지원 사업에 대한 욕구 및 만족도 설문조사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센터장 및 종사자들과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고 다른 시·도에서 추진중에 있는 다양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 사업과 이러한 사업들이 추진하는데 근거가 되는 조례를 비교·분석하여 부산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요약하면 첫째, 학교 밖 청소년 중심의 독립적인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학교 밖 청소년이 센터를 방문하면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이 센터를 방문했을 때 아무것도 하지 않더라도 편히 쉴 수 있는 공간, 여기에 오니 마음이 편해지는 공간 이러한 공간들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전용공간의 경우가 그 대안으로 볼 수 있는데, 학교 밖 청소년들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되는 기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지원 시스템체계 마련을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독립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위탁을 받은 기관이나 단체의 특성에 따라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가 차별화 되어 다양한 형태의 결과와 성과물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며 부산형 학교 밖 청소년지원 전달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효율적인 학교 밖 청소년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간 소통과 협업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업중단 초기에는 청소년들이 일시적으로 학교와 공부에서 해방감에 젖어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청소년들 스스로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일이 쉽지 않다. 결국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한 기관 간 연계가 원활하지 못함으로 인해 학교 밖 청소년은 관리체계 밖으로 나가게 되어 정상적으로 성장·발달하지 못하고 부적응적인 결과를 가져올 위험이 많을 것이다. 따라서 대상자 발굴을 위해서 교육청에서는 초등·중등·고등학생의 현행화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교 밖 청소년 발굴에 있어서 검정고시 고사장에서 많이 발굴되고 있는데 교육청과 학교에서는 검정고시 고사장 내에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홍보활동을 허용하게 하는 등 부산시와 교육청간의 업무협약 체결 등으로 네트워크 및 소통, 업무 협업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과 종사자의 인권 존중의 환경조성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근로권 교육과 기관간의 업무협력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밖 청소년과 센터 종사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 없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이 근로현장에서 부당한 대우 등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고, 센터 종사자는 상사·선배·동료로부터의 갑질·괴롭힘 등으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노동인권이 존중되고 보호될 수 있는 근로권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들의 인권침해 예방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이나 부산시인권센터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간의 업무협약을 통한 인권침해 방지 및 예방에 부산시에서도 적극적으로 행·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종사자의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복합적인 위기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 학교 밖 청소년들은 관계를 실패한 경험을 가진 이들도 많다. 한번 신뢰 관계를 쌓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은 매우 불안정한 업무 여건 속에 근무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청소년들이 종사자들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고 한다. 부산시에서는 사회복지시설과 청소년수련시설,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종사자 인건비 비교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하여 종사자들의 사기 진작 및 고용의 안정성으로 전문성 있는 직원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에게 걸맞는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과 부산시 차원의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학업을 중단하는 청소년들이 자기 스스로 자신의 인생 목표를 위해서 학교를 그만두기도 한다고 한다. 과거에 비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현재의 인식은 많은 부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 밖 청소년들을 문제아이로 보거나 비행 청소년으로 보는 사회의 차가운 시선은 여전하며 이들에게는 상당한 심리적 부담을 주고 있는 게 사실이다. 부산시에서는 사소하고 작은 것부터 학교 밖 청소년 인식 개선을 위한 방향으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육재난지원금 지급과 관련 동일 연령대 청소년임에도 소외와 차별을 방지를 위한 법적근거(조례)가 필요하다. 건강과 가정환경 등 여러 가지 사유에 따라 학교에 다니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은 교육청의 지원에서 제외돼 논란이 제기됐었다. 향후 코로나19 상황과 같은 사회·자연 재난으로부터 제도권내 학생뿐만 아니라 학교 밖 청소년의 학습권 보장과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교육재난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조례의 법적근거가 없는 관계로 제도권내와 밖의 청소년 차별요인을 없애야 한다. 부산시는 앞으로 언제 발생할지 모를 중대한 재난 등에 대비한 교육재난지원금을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조례를 제정하거나 현재의 조례를 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혜영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자살문제가 학업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족, 친구,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이러한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청소년들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속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로 인한 청소년 자살생각을 예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하여 유의표집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지 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625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 있는 변수를 상관관계 분석으로 살펴 본 결과, 성별, 성적, 경제수준, 성적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공부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등의 변수가 자살생각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다시 말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며, 성적이 낮을수록,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성적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시험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공부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며, 부모지지가 낮을수록, 교사지지가 낮을수록, 친구지지가 낮을수록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부모지지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성적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성별, 학년, 성적, 경제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부모지지와 학년은 부적 영향관계를 가졌으며, 성적스트레스와 수업스트레스, 성별 변인은 정적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다시 말해 부모지지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며, 성적과 수업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그리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살생각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제언이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