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후 오키나와의 자기결정권 모색과 '반복귀론' : 아라카와 아키라를 중심으로

        남궁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이 글은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을 앞두고 등장한 ‘반복귀론(反復歸論)’을 미일 군사동맹과 전후 일본의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오키나와의 자기결정을 상상하기 위한 논의로 정리하고자 한다. 전후 오키나와의 귀속 문제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3조와 ‘잠재주권(潜在主権)’이라는 기묘한 논리를 통해 확정되었다. 오키나와는 일본의 주권공간 내에 속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미국의 군사기지로 자유롭게 사용되었다. 즉, 오키나와라는 공간에서 일본의 국가주권은 미국의 냉전 전략과 미일 군사동맹을 성립시키는 매개체나 다름없었고, 그 주권공간은 오키나와 주민의 의사를 반영시킬 정치적 장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주민의 의사를 제한하고 침해하는 장치에 가까웠다. 미일 군사동맹은 ‘잠재주권’의 회복이라는 픽션을 완성시킨 오키나와 반환에서는 물론, 탈냉전 이후를 맞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일본의 주권공간을 경유하여 오키나와를 일종의 공동 군사식민지로 삼는 관계에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후 오키나와를 대표하는 사회운동은 오키나와의 일본 반환을 요구하는 복귀운동으로, 점령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오키나와는 일본의 주권공간이며 오키나와인은 그 구성원인 ‘일본 국민’이라는 점에 호소했다. 그러나 강화조약 제3조의 철폐와 미일안보조약 폐기 그리고 미군기지 철거 등을 주장한 복귀운동은 사실상 미일 두 국가의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이었고, 반면 실제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은 주민의 의사를 무시한 채 미일 두 주권국가의 의사만이 반영된 것이었다. 여기서 ‘복귀’에 품은 주민의 소망과 실제 전후 일본의 주권공간 사이에 놓인 간격은 깊이 천착해야 할 지점이다. 오키나와의 요구를 전후 일본 국민국가(nation-state)의 주권공간으로 회수하지 않고 양자를 분별해내는 사유가 필요하며, 그 영역에 진입하여 주민의 자기결정을 위한 정치의 공간을 모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오키나와 주민의 요구를 정치화할 공간으로 전후 일본의 법 공간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라는 물음은 희소했다. ‘반복귀론’은 이 논점을 파고든 몇 안 되는 시도였다. 논자 중 한 명인 『오키나와 타임스(沖縄タイムス)』의 기자 아라카와 아키라는 1950년대 『류다이분가쿠(琉大文学)』에서 전후 오키나와 문학의 방향성을 놓고 논쟁적인 글을 써낸 인물이었다. 1960년대에 파견기자 생활을 거듭하며 오키나와 외부에서 시간을 보낸 그는 오키나와에서 벌어지던 복귀운동의 사고궤적과는 사뭇 다른 관점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는 오키나와를 도외시했던 1960년 안보투쟁을 목격한 것을 비롯해, 주변에 눈길을 돌려 일본의 획일성과 단일성을 재고하는 시마오 도시오(島尾敏雄)의 야포네시아론(ヤポネシア論)이 계기가 되었다. 또한, 최근 오키나와 사회운동의 독자적인 입장을 체현하는 인물로 주목받는 고쿠바 고타로(国場幸太郎)의 글 역시 그의 사고 전환에 자양분이 되었다. 아라카와의 ‘반복귀론’은 오키나와 주민의 ‘일본인 되기(becoming Japanese)’가 갖는 문제성을 근대 오키나와가 경험한 식민주의에서부터 사고했다. 피차별 상황을 탈출하기 위해 동등한 ‘일본 국민’이라는 자격을 손에 넣고자 할 때, 오키나와의 정치적 상상에는 일본 국가의 법 공간이 전제처럼 드리워져 있었다. 그는 전후의 복귀운동도 마찬가지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라카와는 항시적인 점령 상황을 이탈하려는 오키나와의 움직임이 미일안보체제의 유지 및 재편과 오키나와 군사기지화에 협력 중인 전후 일본의 주권공간에 회수되는 일을 피하려면, 부동의 전제가 되어버린 ‘일본 국민’을 이탈하여 자립적이고 비판적인 상상을 감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970년 전후 오키나와의 첫 국정참가선거를 비롯한 현안을 비평하거나 자하나 노보루(謝花昇)와 이하 후유(伊波普猷)라는 근대 오키나와의 두 인물을 재해석함으로써 이 논점을 문제화하려고 했다. ‘반복귀론’은 오키나와 반환 국면 당시에는 진의를 이해받지 못한 소수파의 논의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오키나와에서 국민국가의 문턱(liminality)이 탈식민적인(postcolonial) 과제와 중첩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한, 오늘날 ‘오키나와 문제(沖縄問題)’를 사고할 때에는 미일 군사동맹의 부담을 오키나와에 전가하는 대가로 보조금을 투하하는 뒤틀린 관계, 즉 미일 군사동맹과 일본 국가의 식민주의가 마련해 둔 문제 영역 자체를 거부할 필요가 있음을 일깨워준다. 1995년 미군 해병대의 소녀 성폭행 사건 이후 미군기지의 현 내 이설(県内移設) 반대 운동이 벌어지고 있는 오키나와에서 아라카와의 ‘반복귀론’이 다시 호출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문학적인 필치의 ‘반복귀론’은 체계화된 지식의 질서 속에 놓일 만한 사유는 아니었다. 그러나 오늘날 다시 읽히는 그의 글은 국가와 주권공간을 전제하는 한 예외로 처리될 오키나와의 움직임을 정치로 빚어내기 위한 사고를 촉발하고 있다. 식민주의적 상황을 타개하고 주민의 자기결정권을 모색하려는 비판적 상상은 현재 진행형이며, 이는 기존에 있던 개념으로 단숨에 설명해낼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수행적인 움직임 속에서 확보하고 개척해나가야 할 영역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Anti-reversionism(反復帰論)’ as a critic that stimulates seeking self-determination of Okinawa, resisting against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and postwar Japanese colonialism.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postwar Okinawa was confirmed by the article 3 of Treaty of San Francisco and an odd-shaped legal framework called ‘residual sovereignty(潜在主権).’ Postwar Okinawa was a de facto military colony utilized by U.S. armed forces, even though Japanese state sovereignty was formally maintained in Okinawa. In other words, the state sovereignty of Japan has functioned like a medium, which activated American Cold war strategy and U.S.-Japan alliance. Therefore, the space of Japanese sovereignty was not a political realm reflecting Okinawan appeal but an apparatus incarcerating their self-determination. Even today, by way of Okinawan reversion in the name of restoration of ‘residual sovereignty’ and reformation of U.S-Japan military cooperation in post-Cold War era, Okinawa is under joint U.S-Japanese colonial rule. Ironically, the most active social movement in postwar Okinawa was Reversion movement(復帰運動), which exclaimed reversion to Japan and leaned on legal rights of ‘Japanese nationals(日本国民)’ in order to escape occupation. However, Reversion movement opposed to both U.S. and Japan in that its requirements covered abolition of the article 3, breaking The Security Treaty Between U.S. and Japan, and removal of U.S. military bases from Okinawa. Meanwhile, the institutionalized Okinawa reversion was an unilateral decision by two sovereign states, U.S and Japan. It is important to problematize the unbridgeable gap between wishes embodied in Reversion movement and the real Japanese sovereign space where Okinawans desired to return. In this case, it is highly required to have critical thinking to capture postwar Okinawan appeal unbound from the frame of postwar Japanese nation-state, and to find the realm of politics where Okinawa’s self-determination could be realized. Critics pointed out this delicate problem, of course, was scarcely showed up. Before the Okinawa reversion, ‘Anti-reversionism’ was a rare attempt to delve deeper into the core. One of the disputant was Arakawa Akira(新川明), a journalist of Okinawa Times(沖縄タイムス). He started his controversial statement since 1950s, with regard to the aim of postwar Okinawan literature in the student-edited journal Ryūdaibungaku(琉大文学). During the time he spent at several branch offices of Okinawa Times, mostly in 1960s, it was remarkable that his perspective was quite different from prevalent Okinawan social movement. There were multiple opportunities fabricated Arakawa’s thought. For example, he was shocked when he witnessed Anti-Security Treaty Struggle(安保闘争) with disregard for Okinawa. Shimao Tosio(島尾敏雄)’s Theory of Yaponesia(ヤポネシア論), a discussion turned eyes to peripheries in order to reconsider uniformity and homogeneity of Japan, was also helpful for Arakawa to distance from Japanese state. Furthermore, Kokuba Kōtarō(国場幸太郎), a former senior official of Okinawa People’s Party(沖縄人民党) who has received attention as an iconic figure embodying a genealogy of Okinawa’s own perspective, affected Arakawa’s progressive thought. Arakawa’s ‘Anti-reversionism’ problematized ‘becoming Japanese’ in Okinawa from the experience of Japanese colonialism in modern history. When Okinawans struggling with discrimination tried to obtain qualification as ‘Japanese nationals’, the politics of Okinawa was always preoccupied with political arena of nation-state. His critic focused on criticising Reversion movement which repeated the same limitation, a perversion modern Okinawan had experienced. To break away from sinking into the deceptive power structure, what Arakawa emphasized was that Okinawa’s political imagination must look for a self-reliant meaning area disengaged from Japanese nation-state. He stressed similar question by criticising pending issues like the First National Election of Okinawan Diet Members, along with reinterpretation of modern Okinawan intellectuals Jahana Noboru(謝花昇) and Iha Fūyū(伊波普猷). ‘Anti-reversionism’ was an ignored minority opinion in those days, which did not obtain understanding of its real intention. However, it could let us know that, in terms of postwar Okinawa, the liminality of nation-state is connected to an ongoing postcolonial task. At the same time, it encourages a critical refusal, with respect to the delusive realism. So-called ‘Okinawa Problem(沖縄問題)’ is composed of subsidies and development fund in return of the relocation of U.S. military base inside Okinawa Prefecture(県内移設). Arakawa firmly has denied tamed subjectivity of Okinawa within the structure of U.S-Japanese joint colonialism. This is the reason why ‘Anti-reversionism’ was recalled after 1995, the year as a starting point of progressing anti-base activism. ‘Anti-reversionism’ is a literary work and it could not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systematic knowledge. However, it is obvious that Arakawa’s writing has unleashed imagination to politicize Okinawan’s activism which has been exceptionalized and silenced in the frame of nation-state and state sovereignty. These days, critical imagination is in progress to seek self-determination of Okinawa and to overcome perennial colonial situation. This politics, as yet unseen, is not an abstraction could be explained by pre-existing concept, but a substantive realm revealed with continuous and performative movement.

      • 전후소설에 나타난 ‘인간동물’ 양상 연구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와 손창섭의 작품을 중심으로-

        문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전후작가 손창섭과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의 작품에 부각된 인간의 몰락에 주목했다. 본고의 목적은 두 작가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동물적 상태에 처한 인간이 단순히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관에 그치지 않고 또 다른 출구의 가능성이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두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것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두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근대적 의미의 인간개념에 비추어 봤을 때 인간과 동물의 구분을 넘나드는 이들로 ‘인간동물’이라 부를 수 있다. 이때 인간동물이라는 명명은 인간이라는 속성을 선험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에 비판적인 현대철학의 오랜 전통을 참조한 것이다.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 두 작가에게 전쟁 체험은 근대의 환상이 더 이상 유효할 수 없음을 확인하는 계기였다. 두 작가의 전후작품의 의의는 전후현실을 현상적 차원에서 재현해내는 것이 아니라 근대라는 허망을 비판하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극복의 기회를 찾으려 했다는 데 있다.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 두 작가의 문제의식은 인물들의 태도에서 드러나는 것으로, 전쟁이 가져온 피폐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단순히 타협적인 삶을 살거나 삶을 유예할 수 있는 구실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등장인물의 도덕에 대한 상이한 태도에서 드러난다. 본고에서는 그레마스(A.J. Greimas)의 기호학적 구획을 활용하여 도덕과 인물이 관계맺는 방식을 속물, 광인, 백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작가의 작품이 전후현실을 현상적 차원에서 재현해내는 것이 아니라 전전의 가치를 부정하되 이중의 부정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음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2장에서는 사카구치 안고가 일본이 패전한 이후에 발표한 단편을 분석하였다. 「白痴」, 「戦争と一人の女」의 광인유형의 남성인물은 속물의 도덕이 우세한 현실세계를 부정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행동 역시 현실도덕에 속박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순을 보인다. 광인유형의 인물들이 보이는 현실도덕 앞에서의 한계들은 백치유형의 여성인물과 대조할 때 더욱 선명해진다. 「続戦争と一人の女」, 「青鬼の褌を洗う女」의 백치유형의 여성은 전쟁으로 인한 정신적·물질적 궁핍 속에서도 과거의 가치나 속물적 도덕에 구애됨 없이 현실에 충실하다. 백치유형의 여성에게서 보이는 에로티시즘의 충동은 어떤 도덕의 회복으로도 불가능한 절대적 긍정의 순간을 보여주는 것으로 남성적 도덕이 공고한 사회를 낙후시키는 원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카구치 안고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전후 피폐한 삶에 대해 단순히 낙관도 부정도 아닌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극복을 모색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몰락을 넘어서는 방식은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삶과 죽음이 함께하는 에로티시즘의 순간과 유사한바, 인간이라는 경계를 넘어서는 것이며 동시에 그 어떤 도덕의 회복으로도 불가능한 절대적 긍정의 순간이기도 하다. 3장에서는 손창섭이 1950년대에 발표한 전후소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손창섭의 작품에서 전쟁의 상흔은 직접적으로 표명되기보다는 정신적·육체적으로 불구가 된 인물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전후의 인간들이 겪는 불안은 전후소설에서 볼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의 하나이면서도, 한국전쟁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자기증명의 부담이 가중된 이중의 불안이기도 하다. 한국전쟁은 이데올로기전의 성격이 강했던 만큼 정의와 부정의 이분법적인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그 가운데 대다수의 사람들이 스스로 적과 나를 구분짓고 국민됨을 증명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따라서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사회에서 자기증명이라는 의무가 주는 중압감이 계속되는 가운데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하게 되었다. 「미해결의 장未解決의 場」의 지상의 가족들이 보이는 미국적 삶에 대한 동경은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전후사회를 지배하고 있었던 속물적 도덕의 한 부분을 보여준다. 반면, 「미해결의 장」의 지상志尙, 「공휴일公休日」의 도일道一과 같은 인물은 속물적 도덕으로 대표되는 현실도덕이나 상징계의 질서와 거리를 두는 광인유형의 인물이다. 광인유형은 속물적 도덕에 길들여지기를 거부하는데 이는 주로 아버지 되기를 유예하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광인유형이 보여주는 속물적 도덕에 대한 부정이 전후현실 비판의 한 유형이라면 또 다른 유형은 보다 근본적인 것으로 속물적 도덕에 대한 이중 부정의 순간이다. 이는 기왕에 가지고 있던 경계를 무너뜨리고 이질적인 타자들과 만나는 장면으로 「생활적生活的」과 「포말의 의지泡沫의 意志」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두 작가의 작품의 공통적 특성이랄 수 있는 ‘악당’유형의 부재에 대해 살펴보았다. 악당이 존재하는 세계가 선과 악이 분명한 도덕의 세계라면 악당의 부재는 도덕의 세계가 종결된 인간동물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의 전후소설에서 부재하는 악당은 두 작가의 작품이 어떤 목적론과도 거리가 멀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선험적인 도덕의 매개자가 되는 대신에 전후의 인간의 몰락을 가감없이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근대의 환상이 허망이었음을 드러내는 동시에 전후의 극복이 단순히 과거의 가치관을 회복하는 것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두 작가의 작품은 전후의 혼란에 대해 직접적 부정의 방식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부정의 형식을 띠고 있는 것이다. 또한 두 작가의 전후현실 인식과 작품에서 보여지는 윤리의 모색 방식은 두 작가가 작품 활동을 한 전후공간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손창섭에게는 결단이 불가능한 한국적 전후의 현실이, 사카구치 안고에게는 책임부재의 일본의 전후가 이들의 작품 활동에 중요한 배경으로 작동하였을 것이라 짐작되는 바이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두 전후작가의 작품에서 서구 실존주의 전통에서 찾아볼 수 있는 참여·실천·저항과 같은 구체적이라고 할 만한 전망이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 것에는 이들이 실감한 전후세계의 특수성이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두 작가의 전후소설이 전후를 읽어내는 방식은 정의와 부정의가 선명한 이분법적인 도덕에 기대지 않는 것이며 이를 통해 기존의 가치가 해체되고 재구축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근대에 대한 환상이 미망에 불과한 것임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위기를 위기로 인식하지 못하고 다시 쉽게 과거로 회귀하였던 두 나라의 전후현실을 상기해 볼 때 더욱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 이 두 전후작가의 작품에서 드러난 윤리의 모색의 방식은 전쟁 이후의 인간이라는 보다 보편적인 주제로 두 작가의 작품을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 전후 일본의 공적 기억과 재조일본인 2세 : 방어진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명수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is an endeavor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ost-war memory of the second-generation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Empire-building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colonial communities in colonial Korea by Japanese settlers. It also investigates how colonial Korea is remembered and reproduced by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s considering the macroscopic history of colonial rule and defeat and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 The third chapter is about the public memory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counter-memory of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s. The Japanese government foregrounded ideologies of peace and homogeneous national identity to rebuild the nation after lost of World War II (WWII). Due to memories of historical events being selectively chosen by the nation, the experience and memories of the second-generation Japanese settlers were excluded in post-war Japan.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creating a Bangeojinhoe that allows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s to escape the daily discrimination they face in Japan and share their memories of colonial Korea without paying attention to Japan's political and social views. Bangeojinhoe presents the special memor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s, which cannot be included in the macro discourse of Japan's "memory uniformization" after the war. The postwar memories of the Bangeojinhoe under the postwar Japan discourse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and reflection of the position as a "colonizer" are given. In this case,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Japanese who were born in colonial Korea and c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imperial-colonial structure. Second, “pain” is used as a significant memory device. In this case, they experienced internal conflict over the fact that they were citizens of an empire and were born in a colony. They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as the main body of colonial rule and that the Japanese second generation was a victim of war. Third is about remembering colonial Korea as a place of nostalgia. When they recalled colonial Korea, they recognized it as a place space that gave them beautiful childhood memories, rather than as a place of the colony where they were born and raised. The fifth chapter deals with the home-visiting projects to Korea and Korea-Japan exchange activities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since the 1990s. As historical materials and memories of Bangeojinhoe exhibited in both Korea and Japan, counter-memory of Bangeojinhoe revives officially in the local history. In this case, revived memories Japan's public memory after the war, nostalgia for colonial Korea intersect and build upon each other. In conclus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national images, emotional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of perception created in the process of reviving post-war Japan behind the formation of public memories typical of postwar Japan. Bangeojinheo's post-war memory is reconstructed anew in conjunction with the friction in history, political conflicts, and changes through the intervention in various subjects.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기 조선에서 태어나 자란 재조일본인 2세 단체 '방어진회'의 전후 기억 형성과 변천을 분석한다. 먼저 제 2장에서는, 식민 지배와 패전, 제국주의의 해체, 일본 귀환이라는 거시적인 역사와 현재로 이어진 한일관계사를 고려하면서, 재조일본인 2세에게 한국은 어떻게 기억되고 표상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구체적인 사례로 전후 일본의 공적 기억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주변화된 재조일본인 2세의 기억을 끌어내며 이들의 기억이 상호 충돌하고 타협하면서 구축되어 온 과정에 주목한다. 제 3장에서는 전후 일본이 식민지주의의 문제를 역사의 기억에서 집단으로 소거하거나 결여하며 평화주의로 위장, 국민 통합을 추구하는 과정을 다룬다. 일본 정부의 관점에서 식민지에 살던 재조일본인 2세는 전후 질서의 경계 밖에 있는 존재로 인식되었고, 이내 이들은 패전 후 일본의 국민 통합과 평화 담론에 빠르게 흡수되어야만 했다. 재조일본인 2세의 식민지 체험과 귀환 과정은 전쟁 희생자로서의 담론, 전쟁의 참혹함과 고난을 호소하는 하나의 귀환 서사로 재구성되며 전후 기억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전후 기억은 선량한 일본 국민, 전쟁의 희생자라는 형태로 정당화되었으며 결국 재조일본인 2세의 다양한 경험은 망각되었다. 제 4장에서는 재조일본인 2세가 일본 현지의 정치·사회적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조선에서의 기억을 공유할 수 있는 방어진회를 만드는 과정을 다룬다. 방어진회에서는 재조일본인 2세의 개별적인 기억이 등장하는데, 이 기억은 전후 일본의 ‘기억 획일화’라는 거시적 흐름에 포섭될 수 없는 개별 주체들의 의미화 과정을 예시해 준다. 그것은 획일적인 담론을 비집고 나오는 당사자들의 목소리이자 다양한 작은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전후 일본의 획일화된 담론 안에서 재조일본인 2세가 가진 개별적이고 특수한 전후 기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자’ 로서의 위치에 대한 인식과 성찰이 보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2세가 본인을 제국-식민지와 떨어질 수 없는 존재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재조일본인 2세로서 겪은 ‘고난’을 주된 기억의 장치로 삼는 경우이다. 이들은 전후를 묘사할 때 ‘단점은 있어도 장점은 없던 시대’로 선을 그으며 주로 부정적인 경험을 토로했다. 식민지에서 태어난 제국의 국민이었다는 사실에 내적 갈등을 느끼지만, 식민지 지배의 주체는 일본 정부이며 재조일본인 2세는 전쟁 희생자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조선을 그리운 망향의 공간으로 기억하는 경우이다. 이들은 조선을 상기할 때 태어나 자란 곳에서 식민자로서 존재했다는 사실보다 아름다운 유년기의 기억을 선사해 준 공간으로 인식한다. 제 5장에서는 1990년대 이후 지자체를 중심으로 고향방문사업과 한일 교류활동이 시작되며 재조일본인 2세의 역사가 공식적으로 재생되는 모습을 다룬다. 일본 지역사 자료관에 조선에서 태어난 일본인의 역사 자료가 등재되면서 귀환 과정과 귀환 후의 이야기가 알려지기 시작한다. 여기서 지역사와 국제교류에서 상징되는 방어진회의 기억의 요체는 ‘망향의 정서’이며 지역사로 포섭된 방어진회의 기억은 앞서 살펴본 전후 일본의 공식 기억과 조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후 일본에서 전형화된 공식 기억의 형성 배경에는 전후 일본을 부흥시키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국민상(像), 감정적 대립, 인식의 충돌이 존재해 왔다는 점을 다룬다. 이때 재조일본인 2세의 기억은 단지 개인적 기억의 총합이나 역사적 증거의 집합이 아니며 전후 일본 사회에서 배분되고 공유된 상징적 이미지에 의해 매개된다. 이 과정에서 재조일본인 2세의 기억은 다양한 주체가 개입하며 형성되며, 경합하는 담론을 통해 변화를 계속해 나간다. 주요어 : 재조일본인 2세(在朝日本人2世), 전후 일본, 기억, 고향, 식민지 조선 학 번 : 2018-25660

      • 戰後小說에 나타난 현실비판과 극복의식 : 金聲翰과 張龍鶴을 중심으로

        최용석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1919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학에서 한 획을 그은 1950년대 전후소설에 구현된현실 비판과 그 극복의식을 밝히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표현 방식에 의해 견인되는 전후소설의 의미 내용에 주목하여 그 대표적 작가로서 김성한과 장용학을 선정하였다. 그들은 이전의 작가와는 변별되게 새로운 문학 세계를 펼쳐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 폭넓은 인정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이들 두 작가의 지적 능력은 객관적 시각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전후 현실의 근원적인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전후 작가의 이러한 현실 인식 태도는 그 직·간접적 배경인 한국전쟁과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그것은 한국전쟁이 한민족의 어떤 참화보다도 비극적인 양상을 띰으로써 아이러니하게도 전후문학의 풍성한 자료적 원천으로기능한 사실에서 입증된다. 이들 두 작가의 현실 인식 태도 역시 이러한 전쟁의 비극적 상황의 연장선상에 있는 전후의 상처를 진단하고 그것을 치유하려는 방향에서 구현되었다. 다시 말해 그들은 당대의 지식인으로서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에 비해 지적 입장을 견지한 채 예리한 관찰력과 서사적 전략으로 전후현실의 부조리를 탐색했던 것이다. 두 작가 모두 문학을 통한 사회 참여를 주장하여 작가의 역사적 사명감을 강조한 사실 역시 작품의 성격을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가 된다. 이런 점에서 두 작가의 전후소설에 투사된 의도와 의의를 고찰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문학사회학을 적용하였다. 또한 두 작가들의 공통적 문학 기교인 알레고리, 풍자, 아이러니, 에펠레이션, 모티프 등도 주제형상화의 측면에서 살폈다. <제Ⅱ장>과 <제Ⅲ장>에서는 앞서 밝힌 본고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김성한과 장용학의 전후소설을 살폈다. 먼저, 새로운 ‘세계의 창조’라는 작가적 소명의식을 지닌 김성한의 현실 비판은 부도덕한 개인을 비롯한 부정부패가 만연된 전후 현실, 그리고 이들을 지배하는 기만적인 이념 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김성한이 주체성 상실에 따른 전통성이 부정되는 타락한현실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물질만능주의와 향락주의, 그리고 성 윤리의 타락 등으로 기존 가치가 붕괴된 부조리한 현실이었다. 그는 이러한 전후 현실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불안, 회의, 허무, 반항, 비꼼, 희화등의 정서를 우화와 설화 형식으로 다양하게 표출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이룩하였다. 다음으로 장용학의 전후 현실 비판은 이념과 현대 문명의 허구성을 고발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장용학의 전후소설은 전후 현실의 지배적 원리인 허구적 이념과 이를 지배적 원리로 삼는 현대 문명에 대한 고발과 그 폐기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구현되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전반에는 反理念및 反文明, 그리고 反社會的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의 전 작품에 걸쳐 사용된 알레고리는 주로 전쟁을 발발시킨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존재의 위기 상황을 보다 깊이 있게 전달하기 위한 의도에 따라 새로이 사용되었다. 장용학의 이러한 알레고리는 전통적인 그것과는 구별된다. 또한 그는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모티프를 통해서 작품 전체의 의미를 지배하도록 연출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주제의 형상화 측면에서 사건이나 배경보다도 주어진 상황을 매우 중요시하였다. 이런 점에서 김성한과 장용학 두 작가 모두 부조리한 현실과 이념 문제를 현상적 측면에서 접근하지 않고 인간의 본질적 문제로 천착하여 형상화함으로써 그들의 전후소설은 단순히 현실을 보고하거나 증언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보다 가까이 현실의 핵심에 다가설 수 있었다. 또, 김성한의 현실 비판을 통한 현실 극복의식은 한결같이 인간적 가치와 인간성의 복원에 있다. 그것은 이데올로기의 충돌이 첨예했던 혼란기에 무엇보다도 인간성 회복이 전후의 비극을 극복할 수 있는 급선무적인 과제로 인식하여 관심을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김성한의 현실 극복의식이 도덕성회복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면 장용학의 그것은 인간적 가치의 폐기를 통해 성취된다. 다시 말해, 김성한이 현실의 부조리 개선을 통해 그 극복의식을 드러내었다면 장용학은 기존의 모든 이념과 가치를 철저히 부정하는 존재론적 측면에 서 현실 극복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두 작가의 차별성을 찾을 수 있다. 장용학의 현실 비판에 따른 전후의 극복의식은 구체적으로 절대적 자유의 추구와 존재의 본래성 회복 및 자연 상태로의 회귀, 그리고 이상 세계 지향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두 작가의 전후소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현실 극복의식은 현대 문명의 원리에 억압당한 인간 존재의 본래성을 구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들은 인간 삶의 기본적 조건을 퇴영시킨 전후 현실의 여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해한 연후에, 세계와 인간의 진정한 본질적 가치는 물론 그 존재 방식도 동시에 탐색한 것이다. 다시 말해, 그들은 서사적 구조물을 통해 사회 모순을 초래하는 일체의 부조리한 가치 및 이념의 존재 가치를 분석하고 비판함으로써 개인과 사회를 위한 진정한 가치를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두 작가는 한국전쟁에 따른 전후 현실의 문제점들을 단순히 재현하고 증언하는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그들의 문학적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현실 비판은 물론 인간의 총체성이 실현된유토피아적 세계를 각자 독특한 서사적 상상력을 통해 추구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들의 작가 의식과 서사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구현된 현실 극복의식은 궁극적으로 초월적 세계로 귀결된다. <제Ⅳ장>에서는 두 작가의 문학적 위상과 한계에 대하여 살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다룬 두 작가 외에도 여타 전후 작가들의 문학적성과와 한계도 동시에 밝혔다. 김성한 전후소설의 문학적 한계로는 무엇보다도작가 의식의 과잉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일부 인물들이 작위성과 도식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작용하였고, 그것은 서사 구조의 결함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그리고 장용학의 문학적 한계는 그가 현실과 인간성을 철저히 부정한 사실과 연관성을 맺고 있다. 작가가 왜곡된 이데올로기 내지 이념 등을비판하기 위해 그 핵심인 인간성을 부정한 것은 논리적으로는 당연한 사실로 수용된다. 그러나 인간은 어떤 형태로든지 이러한 이념의 도움을 받아 존재할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그의 현실 극복 전망은 현실성이 절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더욱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자기실현의 방법으로 자살을 택한 사실에서는 작가적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부분적인 문학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작가는 작가적 사명감으로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를 통해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에 의문을 제기함으로 써 1950년대 문단에 신선한 충격과 자극제로 기능하였다. 이런 점에서 두 작가는 전후소설을 통한 끊임없는 자기 노력으로써 새로운 문학적 영역을 개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김성한과 장용학의 이런 창작 노력은 고유한 문학 영역을 확보하려는 후학들에게 교훈으로 남을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ality criticism and its recovery sense which are materialized in the postwar novels that hold the big part in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do execute the research in this study, as the representative writer, Kim Sung-han and Chang Yong-hak were selected after observing the content of the meaning of the postwar novels which are pulled by the various ways to express. The reason why they were selected is that they opened a new literature world which is distinct from the previous writers, and they are still being widely acknowledged in the contemporary time and also in these days. Most of all, their intellectual capability functioned them possibly to obtain the objective viewpoint, and consequently caused the postwar reality to be diagnosed fundamentally. These attitude of recognition on the reality of the postwar writer is closely related with the Korean War which is the direct and indirect background of it.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the Korean War was ironically functioned as the abundant material source of the postwar literature by showing the ever most tragic phases than any other disaster of one-race country. The attitude of recognition on the reality of these two writers also was materialized in the direction that the postwar injury is to be diagnosed and the injury is to be cured which is on the extended line of the tragic situation of the war. Namely, while they were maintaining the intellectual position rather than other contemporary writer as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they investigated and researched the absurdity of the postwar reality with the sharp observative ability and descriptive strategy. The fact that both the two writers insisted the participation into the society through the literature and insisted the historical sense of duty of the writer also become the major variables which can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hese regards, as the research methodology to consider the intention and significance which were reflected into the postwar novels of the two writers, the literature-sociology was applied. Additionally, the common literature skills of both the two writers such as allegory, satire, irony, ephelation, and motif were examined in the aspect of configurating the theme. In the chapter Ⅱ and chapter Ⅲ, in order to execu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as mentioned in the above, the postwar novels of Kim Sung-han and Chang Yong-hak were considered. Firstly, the criticism on the reality of Kim Sung-han which has the royal summon as a writer for the new 'Creation of World' was formed in the course that entirely denies the postwar reality in which the injustice and rottenness including the immoral individuals and the deceptive ideology which rules those people. Kim Sung-han showed the much more interest in the corrupt reality in which the tradition is denied owing to the loss of the independence. To be concrete, they are such as the 물질만능주의 and hedonism, and the depravity of the sexual ethics, and these are the absurd realities where the previous value was destroyed. By variously expressing the postwar realities and the emotions like the uneasiness, skepticism, nothingness, resistance, sarcasm, and 희화 which encircle us in the format of the fable and tale, he established his own unique world of the literature. At this operation, he did not approach those absurd realities and emotions in the phenomenological aspect, but he materialized them after inquiring into the basic issue of the human being, and therefore his postwar novel can go nearer to the core of the reality escaped from the just simple reporting or testimony. Kim Sung-han's sense for recovering the reality through the criticism on the reality is continuously and only to restore the human value and humanity. This is because in the chaotic period when the collision of ideologies was occurred often, he centered his interest and attention on the restoration of the humanity which he thought as the most urgent task which can overcome the postwar tragedy. In this regard, when we say that the sense on the reality of Kim Sung-han was focused upon the restoration of the human value, the sense on the reality of Chang Yong-hak is comparatively accomplished through the abolishment of the human value. In other words, when we say that Kim Sung-han showed the sense for overcoming the absurd rea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absurdity of the reality, Chang Yong-hak materialized the sense for overcoming the reality in the existential aspect which thoroughly denies all the previous ideologies and values, and in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writers. Next, the criticism on the postwar reality of Chang Yong-hank starts from the accusation of the fabrication on the ideology. Namely, the postwar novels of Chang Yong-hak are materialized mainly targeting the accusation of the fabricate ideology and its abandonment. Therefore, in his overall works the anti-civilizational and anti-social features are prominently expressed. The allegory used in his overall works was newly applied mainl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for more effectively delivering the fabrication of the ideology which resulted in the war and situation of the existential crisis. This allegory of Chang Yong-hak is discriminated from the traditional allegory. Additionally, through the repeatedly proposed motif, he produced it to rule the meaning of the entire work. Besides, he emphasized the given situation very much rather than the event or background in the aspect for materialization of the theme. This sense for overcoming the postwar situation of Chang Yong-hak can be concretely summarized as the pursuit of the absolute freedom,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the existence, recurrence back to the natural condition, and intention for the ideal world. According to the research which has been done so far, the sense for overcoming the reality which was commonly suggested in the postwar novel by the two writers is for rescuing the essence of the human existence which was suppressed by the principle of the modern civilization. For this operation, they had researched and studied the sincere and essential value of the world and human being as well as their existential pattern simultaneously afte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ostwar reality in which the basic condition of the human life was reflected. Namely,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by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 entire absurd value and existential value of the ideology which result in the social contradiction, they proposed the veritable value for the individual and society as the new alternative. In this regard, these two writers are evaluated that they sought the criticism on the reality as well as the utopia world in which the totality of the human being is realized through the respective unique narrative imagination by establishing the inquiring recognition on the reality as the start point for their literature, not just remained only to represent or produce the testimony for the problems of the postwar reality caused by the Korean War. The sense for overcoming thereality which was materialized on the basis of their recognition as a writer and narrative imagination results in the transcendent world in the end. In the chapter Ⅳ, the position and limit in the literature field of both writers were examined. Regarding this operation, the product and limit of the other postwar writers including the two writers who were mainly treated in this article were also examined. And, as the limit for the literature of the postwar novel of Kim Sung-han, the surplus of the recognition as a writer can firstly be pointed out. This fact caused that some figures in his works could not be escaped from the artificiality and diagramed format, and it used to be connected with the fault of the narrative structure. Additionally, the limit for the literature field of Chang Yong-hak is related with the fact that he thoroughly denied the reality and humanity. The fact that he denied the humanity which is the core conception in order that the writer can criticize the ideology or doctrine which are distorted can be admitted as the logically natural fact. However, in the point that the human being is the very existence who only exists with the helps of those ideologies in any pattern of them, his sense for overcoming the reality absolutely lacks the reality. Besides, the fact that the suicide was chosen as the way to realize the self for overcoming the reality can be told that it finally showed the limit as a writer. Even through these partial limits in the literature field, these two writers worked as the fresh impacts and stimulants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1950s by suggesting the inquiries on the basic problem of the human being through the new style of writing with the sense of duty as a writer. In this regard, we can acknowledge that these two writers developed the new literal field by endeavoring continuously for themselves through the postwar novels. Additionally, these efforts for the creation of these two writers can be remained as the lessen for the literary successors who try to secure the unique literary field.

      • 전후 ‘문학 세대’ 형성 연구 :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코쑤, 리디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19

        이 연구의 목적은 전후 ‘문학세대’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전후 세대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점을 해방공간에서부터 5.16군사정변 이전까지로 상정하였으며 칼 만하임의 세대론을 바탕으로 각 시기에 따른 ‘전후’ 세대의 형성을 살폈다. 그 과정에서『한국전후문제시집』이 ‘전후 세대’를 하나의 ‘문학 세대’로서 재규정하는 텍스트라는 사실을 밝혔다. 2장에서는 ‘전후 문학 세대’ 중에서도 ‘전후 시인’을 구성하는 매체였던『한국전후문제시집』의 구성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전후, 한국전쟁 전후, 4.19 전후로 시기를 나누어 새로운 시대를 구성해 나갈 역사적 주체가 ‘나라 만들기’의 역학 관계 안에서 ‘세대’로서 재구성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해방공간 ‘전후’의 학병들은 학병 수기와 학병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들, ‘학병 로망’ 서사를 통해 민족-국가의 주체로서 ‘학병 세대’로 호명되었다. 한국전쟁 이후에는 ‘전후’는 세대적 의미를 내포한 “전후에 등장한 방종한 청년 남녀”라는 일본적 문맥을 지닌 용어가 수입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아프레 청년’은 전쟁이 가져온 부정적 기표인 퇴폐, 허영, 무능, 이기주의적 특성으로 규정되었으며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동원령’을 내릴 수 없는 비주체로 정의되었다. 4.19 이후에 ‘전후 세대’는 <전후문학인협회> 발족과 『세계전후문제작품집』의 발간을 통해서 ‘문학 세대’ 로서의 방향성과 주체성을 구성하게 되었다. ‘전후 문학 세대’는 비트 제네레이션, 앵그리 영맨, 4.7그루페, 앙티-로망 작가들처럼 ‘세계전후문학인’과 동일시되었다. 이러한 정체성은 ‘제국’ 중심의 정전을 해체하며 한국문학과 미국문학을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 3장에서는 한국전쟁과 예술원 설립으로 고착화되었던 문단의 정치 유착을 비판하며 등장했던 <전후문학인협회>의 활동을 살펴보았으며 전집의 편집 주체인 이어령과 백철의 세대론을 통해 <전후문학인협회>와 『세계전후문제작품집』의 상보적 관계가 ‘4.19 이후’ 도래할 새로운 주체의 지성을 예비하기 위한 목적에서 구성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어령은 ‘전후 세대’를 생성하는 ‘선구자’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어 ‘전후 문학인’이라는 주체성을 추동하였다. 동시에 그는 60년대 중반 ‘제3세대 문학론’을 전개하면서 ‘전후 세대’를 스스로 청산했다. ‘전후 세대’는 ‘4.19 세대’라는 대타항을 통해 다시 ‘퇴폐적 청년’ ‘상이군인’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전후문제시집』에 실린 신동문, 박인환, 구상, 박봉우의 시를 통해 ‘전후 시’의 특징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박인환은 해방공간에서 선구적으로 ‘시민’의 표상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주목되어, ‘새로운 시대’ 와 ‘새로운 주체’를 표상하는 시인으로서 시집의 문제의식을 대표하고 있다. 이 논문은 박인환의「최후의 회화」를 “학생 주체”에 대한 애도의 시로 읽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편 구상의 「초토의 시」연작을 통해 “아프레 여성”의 극점에 놓여 있는 “양공주”와 “혼혈아”를 관찰하는 아이의 시선과 남성 주체의 수치심을 관찰하고 “섹슈얼리티의 프롤레타리아화”를 드러내는 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봉우가 한국 문학을 관류하는 전통적 이미지를 차용하여 재편성하는 시들을 살펴보고 실존적 글쓰기의 좌절이 4월 혁명의 유예로 더 이상 확장될 수 없었다는 절망감에 연유한다는 사실을 밝혀보았다. The presented thesis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Korean Post War ‘Literary Gener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time when the Post-War generation began to form from the end the of Second World War to the ‘5.16 Military Coup’. In examining the Post War ‘Literature Generation’, I take up Karl Mannheim’s generational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ain insight into the capability of “Korean Postwar Problematic Poem Anthology”(한국전후문제시집) as literary work that allowed the Post War generation to be reborn as a ‘Literary Generation.’ Since the Korean Peninsula experienced different Wars in a short timeframe, I examined the reconstruction of generations within the dynamics of country-making in each Post-War period. After the Pacific War, literary works as ‘Student Soldier Romance’ reconstructed ‘the generation of student soldiers’ as the primary agents of the nation-state. After the Korean War, the term "postwar" or "apre" was imported and used in the Japanese context of "wild youth and men who appeared after the war," which contained a generational meaning. ‘Apré youth’ were characterized as a decadent, deprived, conceited, incompetent and selfish generation. Since this generation represented all adverse effects brought by the war, they were considered as a generation who could not issue a mobilization in the face of a national crisis. After the ‘April Revolution’, the Post War ‘Literary Generation’ gained the identity of the main historical agent through the launch of ‘Post War Literary Association’ and the publication of the “The Complete Series of Problematic Post War World Literature”(세계전후문제작품집). “Korean Postwar Problematic Poem Anthology” was the eighth book of this series, and it included Korean Post War Generation Poets Who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from 1945 to 1960. The Post War ‘Literary Gener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transnational Beat Generation. This identity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unifying Korean literature and American literature by dismantling the ‘imperial’-oriented power outage. In Chapter 3 I offered further evidence of the ‘Post War Literary Association’ which appeared questioning political ties of the ‘Korean Literary Circles’ that had been entangled by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of Art. Yi ŏ Ryung was the member of the Association and editorial director of Anthology. He played the role as a pioneer in creating the Post War ‘Literary Generation’ and at the same time retreated to his own generation in the mid-60s to give place to the new young Literary Generation called the ‘4.19 Literary Generation’. Lastly, I reconsidered the interpretation of poems by Post War poets such as Shin Dong-moon, Park In-hwan, Gu Sang and Park Bong-woo contained in the “Korean Postwar Problematic Poem Anthology”. Regarding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Post-War poets that span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5.16 military coup’, I suggested the need to read Park In-hwan’s poem in line with the historical context. In contrast to Shin Dong-Moon’s poem that promote the revolutionary spirit of Post War Generation after ‘April Revolution’, Park In-hwan’s poem mourns Post War Generation degenerating after ‘5.16 military coup’. Meanwhile, I examined Ku Sang’s works that reveals an elaborate scene of the Cold War intertwined with sex, class, ethnicity, capital, state violence and power. His work shows the process of children taking part in the sex industry, understanding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after the War by gradually observing woman in the “Kijichon”(a formal prostitute in U.S military base). Finally I examined Park Bong-woo who fiercely explored the reconstitution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His strong desire for national reunification intersects the ‘existential writing’ of him that finally was frustrated by the failure of ‘April Revolution.’

      • 일본의 전후역사학에서의 近代女性史 : 여성운동, 가족, 국민국가를 중심으로

        유경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19

        본 논문의 목적은 근대여성사 연구를 검토하는 과정을 통하여 일본여성사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일본은 메이지유신(明治維新)과 패전의 과정을 통하여 급격하게 변하였다. 이 두 가지 과정은 사회, 경제적인 면만이 아니라, 개인의 삶에서도 중대한 전환점을 제공해주었다. 서구의 근대적 변화를 따르려는 일본은 여성들에게도 사회적으로 근대사회에 어울리는 여성의 역할을 요구하였다. 여성은 부국강병을 이루어 다른 국가들과 대등한 관계가 되고 싶어하는 일본의 잠재된 노동력이기도 하였다. 여성은 사회에서 필요한 노동력을 보충해주면서, 가족 안에서는 부인과 어머니로서 수행하여야 하는 임무가 있었다. 또한 근대일본을 구성하는 ‘국민’으로서 살아가야 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일본근대여성사 연구는 일본여성들의 변화하는 삶을 보여주는 거울이다. 일본에서 전후역사학이란 2차대전 후 민주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역사를 연구하고 서술하는 역사학을 가리킨다. 일본의 역사학계는 1970년대를 전후하여 전후 민주주의의 문제성에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다. 일본근대여성사 연구를 전후역사학의 시각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연구를 기존의 연구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다. 본 논문은 각각 분리되어있는 일본근대여성사 연구의 흐름을 여성운동, 가족, 국민국가로 나누고, 이를 전후역사학의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여성운동과 여성사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근대여성사는 1960년대 이후부터 민주적 개혁이 강조된 여성운동과 관련을 맺으며 연구되었다.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방대한 양을 이루고 있으며, 공창문제와 관련하여 매매춘 역사가 부각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이 사회 및 가족 내에서 새로운 노동력으로 재인식되어가는 과정에서도 여성운동과 여성사 연구는 깊은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된 근대가족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은 일본의 이에(家)제도와 근대의 가족제도를 비교하여 연구하면서 일본이 근대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국민통합’의 차원에서 가족을 관리하였다고 보았다. 이런 관련성에서 일본의 가족제도에 관한 연구들은 일본의 국민국가론과 결부되어 연구되었으며, 가족 내에서의 여성 차별에 대한 역사를 통하여 여성의 위치가 근대 국가에 의해서 재조정되는 과정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앞의 두 문제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국민국가론과 여성사 연구의 결합을 살펴보았다. 이는 근대 일본에서 국민으로 살아가야 하는 여성들에 대한 관점과 여전히 페미니즘과 양처현모주의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한 채 소비의 주체로서 자리매겨지고 있는 여성에 대한 문제점을 보여준다. 이 장에서는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여성사가 더 이상 추상적이거나 이상화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전개되는 여성의 인권 문제와 국가 권력에 유린당하는 여성을 전개했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일본근대여성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면서, 일본근대여성사 연구가 전후역사학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즉 일본여성사의 연구는 모든 문제가 국가와의 관련성을 통하여 분석, 연구되는 성향을 보여준다. 일본근대여성사 연구는 전후역사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이것은 바로 지역여성사 연구를 통하여 보이는 가능성이다. 또한 1990년대 들어 활발히 진행되는 여성학 학제간 연구들도 이러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전후역사학의 틀 속에서 일본근대여성사 연구를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되어야할 여성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tendency of the study about the Japanese women history through examining the study of the modern women history. Japan has been rapidly changed during Meiji Revolution(明治維新) and defeat in War. These two historical events have caused an important turning point not only in the social, economical respect but also a personal women's role being suitable to the modern society. Women were the potential labor of Japan to be a relationship as equal as other countries. With supplementing the labor the society had needed, women in Japan have had a duty as a wife and a mother. Additionally, they had to live as a citizen who has to construct Japan. The study of The Japanese modern women history is a mirror which has showed the changing life of Japanese women. The postwar history in Japan is the one which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democratic mi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By 1970s, the historical scholars in Japan have sharply criticized the problems of the postwar democracy. In existing researches, we could not find any studies analyzed and arranged in view of the postwar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flows of the study of Japanese modern women history are divided into women movement, family and a nation-state. In Chapter II, I try to made a study the relationship women movement with women history. The study of the modern women history has been researched linked up with women movement emphasized the democratic reform since 1960s. Theses on this part are numerous and they show the embossing process of the prostitution history related to the state regulated prostitution. Besides, in the process that women have had a new understanding as a new labor, there are deep relationship between women movement and women history. In Chapter Ⅲ, I examined the modern family system which has started the research actively since 1980s. Many researchers in this field researched the modern family system and compared it with Yi-e(家) system and they have proved that Japanese managed their family in terms of Nation Unification(國民統合) to be the modern society. In relevance with them, the studies on Japanese family system have been examined closely linked with the theory of nation-state. I found that there are the remarkable theses about the readjusting process in women situation with the history of women discrimination in family. In chapter Ⅳ, the above mentioned two subjects, the combination of women history and the theory of nation-state which have organic relationship, are examined. It shows the viewpoints about Japanese women who have to live as a citizen, the problems about women who can't make head of tail between feminism and a view of a wise mother and a good wife and are known as a chief object of consumption. This chapter shows that the study of women history is not any more abstract and idealistic through the studies of Comfort Woman(從軍慰安婦) and emphasizes human right of women who are infringed by the national power. In conclusion, while I was analyzing the flow of the study of Japanese modern women history, I have known the study of Japanese modern women history show the feature of postwar history. The study of Japanese women history just shows the trends researched and analyzed all subjects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he nation. The study of Japanese modern women history has a possibility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postwar history. It is the possibility that is showed by local women history. Moreover, studies on women's education system, which are actively researched since 1990s, also show the possibility.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the women history which was arranged in the framework through the study of modern women history in Japan,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women history which will be proceeded in the future.

      • 전후소설과 이데올로기의 상관성 연구

        이봉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1919

        본논문은 '50년대 전후소설과 이데올로기의 상관성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전후소설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소설과 이데올로기의 상관성에 주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데올로기는 사회적으로 민감한 영역이다. 특히 한국 전후사회는 한국전쟁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체험한 뒤라 이데올로기 문제에 있어 대단히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이러한 분위기는 전후 한국사회를 지배하여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89년 이후 소련의 붕괴와 동구권의 몰락으로 세계의 냉전이 종식된 현재, 우리는 한국전쟁의 결과로 형성된 이데올로기에 대한 경직된 사고를 제고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 이유는 냉전이란 사회주의와 자유민주주의라는 두 개의 이념 사이에 벌어진 세계적 규모의 대립으로 근대 계몽주의 이데올로기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이데올로기를 유연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실제 이데올로기는 사회를 움직이는 실체이다. 우리는 이 실체를 거부하지 말아야 하며, 또 거부할 수도 없다. Ⅰ장,「서론」에서 필자는 전후 소설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50년대 소설에 대한 명칭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모든 문학적 연구성과들을 비판적으로 수용, 전후 소설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어 세 가지 관점을 취했다. 민족의 자유를 둘러싼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적 관점, 자유민주주의 대 공산주의라는 이데올로기적 관점, 작가의 실존적 차원의 관점. Ⅱ장,「1.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의 소설적 표현」에서는 전후 장편소설 가운데 정치적 중립노선의 미학적 표현인 염상섭의『취우』(1952-3), 곽학송의『철로』(1955), 최인훈의『광장』(1960)을 통해 50년대 전후소설과 정치적 중간노선 이데올로기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세 편 가운데『취우』는 전시 소설이다. 그러나 '50년대 정치적 중간노선의 첫머리에 놓이는 작품이라 부득이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좌파가 없는 전후 사회의 이데올로기 지형도 속에서 정치적 중간노선은 일방통행적인 경직된 반공주의를 견제하는 사회적 역할을 하였다. 세 작품은 '50년대 혹은 전후사회의 소설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2.전쟁체험과 이데올로기의 소설적 대응 양상」에서는 피난체험과 포로체험을 통해 전쟁의 성격과 모습, 그리고 그 잔혹한 흔적들을 드러내는 작품들 속에 나타나는 이데올로기적 양상들을 파악하여 전후소설의 특징을 이해하였다. '50년대 전후소설의 연구를 통해, 필자가 파악한 전쟁의 잔혹성은 전쟁 자체의 메카니즘 때문에 발생한 것이지 이데올로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한국전쟁은 이제 과거의 사건이 되었다. 그러나 전쟁의 휴유증은 지금도 극복되지 않았다. 한국전쟁은 분명히 한국인들에 의해 시작된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세계사의 한 과정이었다. 해방 후 한국 사회가 세계사의 새로운 기류였던 냉전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고, 통일의 문제를 전쟁을 통해 해결하려 하였다는 데 한국현대사의 질곡이 놓여 있다. 우리는 민족의 통일을 위해 역사의 추동력인 이데올로기를 인정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우리에게 통일은 불가능하거나 전쟁이라는 대가를 또 한번 치러야 할 지도 모른다. 통일은 남·북이 서로의 이데올로기를 인정하고 민주적인 방법을 선택할 때 올 수 있다. 이제 '50년대 문학연구는 전시·전후 문학을 통합하여 연구해야 한다. 그리고 그 연구방향은 남한 문학만을 이해하는 종래의 입장을 지양하고, 북한 문학과의 비교를 통하여 서로의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문학연구가 문학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연구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연구의 영역을 넓혀야 한다. 결국 문학연구는 '인간의식의 역사에 관한 의식'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postwar novels of 1950's and ideology. Though many studies on postwar novels have been made, there are few researches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novels and ideology. Ideology is a subtle aspect of a society. Especially Korean society has taken a conservative attitude in ideology because it experienced national tragedy of Korean War. This conservative view has been dominating Korea even now since the war. The end of the cold war resulting from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after 1989 comes to make us reconsider the rigid thought on ideology formed after the Korean war. For cold war is the phenomenon stemming from modern Enlightenment ideology which means world wide conflict between socialism and democracy ideologies. We need to look at ideology in flexible way. Ideology is the reality that can move society. This reality mustn't or can't be rejected. In Chapter One (Introduction), I begin to tackle the term of 1950's novels to understand clearly the concept of postwar novel. I take three different standpoints, focusing on the ideological features of postwar novels. Three different standpoints are followings : the dialectic of the master and slave standpoint about national freedom,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f democracy and communism, and authorial ontological standpoint. In Chapter Two,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novel and political middle road line ideology taking Yom Sangsub's Squall (1952-3), Gwak Haksong's Railroad (1955) and Choi Inhoon's Open Space (1960) which express the political middle road line ideology aesthetically. But Squall is classified as a wartime novel. This novel cannot but be categorized as postwar novel in spite of wartime novel because it is at the head of political middle-of-the-road of 1950's. Political neutrality played social role in restraining the rigid anti-communism in postwar society without left wing. These novels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novel and ideology of 50's or postwar period. Section Two entitled "War Experience and Novelistic Corresponding Aspects of Ideology is to underst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ostwar novel. In order to know this, we need to grasp the ideological aspects revealed by novels which describe refuge experience, prison life experience, and the cruel traces of war. Studying postwar novels of 1950's, I come to conclusion that the cruelty of war results not from ideology i``tself but from war mechanism, that is, ideological circumstance. The Korean War broke out, passed away, and is in past event. But up to now an aftereffect of war has not been overcome. The Korean War not only is obviously started only by the Korean but also must be in one aspect of the process of the world history . Individual life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society has relation with the world.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 is also determined according to its role and level positioned in the process of world history. The extent of the maturity of subject realizing this fact can determine whether he can overcome the given historical circumstance or no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s in bonds in a sense that Korean society cannot understand the new streams of cold war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we seek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only through war. We accept the ideology driving history in order to unify two Koreas. Unless``` we do accept the ideology, we are unable to accomplish unification and pay the price of war. Unification can be reached only when South and North Korea accept ideology and choose the democratic way. To study 1950's literature, postwar and wartime literature must be integrated. The right direction of research is in rejecting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to understand only South Korea literature and in trying to find the solution that overcomes mutual ideologies through comparing North Korea literature. Given that literary study is not confined in literature, literary study should prove helpful to overcoming the war results after expanding its territory positively. Literary study is to make researches in 'history of the consciousness about history of consciousness in man.'

      • 미국의 외교정책이 전후처리에 미친 영향 연구 : 독일과 일본의 전범처리와 국가간 배상 사례를 중심으로

        최은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2차 대전 후, 독일과 일본은 패전국으로서 새롭게 재편된 국제질서로의 복귀라는 동일한 과제를 안고 전후를 맞이하였다. 동서냉전이 격화되는 가운데 양국은 각각 미국이 주도하는 전략적, 경제적, 지정학적 거점지역으로 재평가되면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재등장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반 하에서 독일과 일본은 군국주의적인 구체제를 타파하고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체제로의 이행을 수행하였고,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루며, 명실상부한 유럽과 아시아내의 중심국가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양국의 지역 내 위상과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독일은 과거 자국의 과오를 인정하고, 유럽 국가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계속되는 아시아 국가들과의 대립으로 주변국과 불편한 관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독일과 일본의 태도의 차이는, 유럽에서는 협력과 통합을, 아시아에서는 대립과 분쟁을 양산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독일과 일본의 전후인식과 책임의 차이가 2차 대전 후, 새로운 강자로 등장한 미국의 외교정책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양국의 전범처리와 전후배상처리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투입-산출 모델을 통해 미국 외교정책의 형성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외교정책의 결정이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행위자의 수와 연관되어질 때, 다자간 협조주의, 혹은 양자간 일방주의로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여 행위자 수와 정책목표의 상이성에 따른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틀이 양국의 전후처리 방침과 전범재판, 그리고 국가간 배상 사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고찰 해 보았다. 독일의 경우, 미국은 연합국들과의 합의를 통한 전후질서를 수립하고자 노력하였다. 연합국들의 대독일 정책은 상이하였지만, 전범처리와 배상에 관한 전후처리의 목표는 동일하였다. 따라서 미국과 연합국들은 독일의 전쟁 재도발 가능성을 막기 위해 전범을 철저하게 단죄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치체제를 근본적으로 해체하고 독일 사회를 민주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독일을 유럽질서에 재편입 시키기 위한 ‘지불 가능한 배상’ 정책을 수행하였다. 이에 독일은 주변국의 의혹을 씻고 다시 서구의 가치규범과 경제 질서 및 민주주의 체제로 복귀할 수 있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 미국은 간접적인 단독점령을 하였기 때문에 자국의 방침을 고수하며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의 전후질서를 구상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일본 점령에 효과적이라는 판단 하에 일본 천황에 대해서는 도쿄전범재판에서 죄를 묻지 않고, ‘인도에 대한 죄’, ‘화학전 및 생물전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 등 철저히 자국이해 중심적인 전후처리를 하였다. 더불어 주변국에 대한 배상의 문제에 있어서도, 배상의 직접적인 수혜국인 아시아 국가들을 위한 협정이 아닌, 냉전의 격화에 따른 일본의 경제성장과 자국의 경제에 해가 되지 않는 정도의 배상 수준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전후 배상은 ‘사죄’와 ‘반성’의 의미로써 잘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일본은 이를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게 되는 등 그 의미가 달라지게되었다. 이처럼 2차 대전 직후, 미국은 자국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유럽과 아시아 지역 내 질서를 다르게 형성하고, 다른 전후처리를 이행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양국의 과거 인식 및 책임, 나아가 지역 내 통합에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일본 외교와 전후 아시아주의 : 요시다 노선과 반요시다 노선을 중심으로

        김남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919

        In the 21st century the means and method of the Japanese diplomatic policy have been materializ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theory of the ordinary state, and especially Abe cabinet is accelerating the attempt to get out of the basic framework that regulates ‘the postwar regime’ like the constitution or the U.S.A-Japan Security Treaty. This study assumes that the approach of such postwar Japanese diplomatic policy decision maker is in aspiration for autonomous diplomacy in the framework of cooperation with the US, and has a purpose of reconsidering it as ‘the postwar Asianism. ‘The postwar Asianism’ means the aspiration of Japanese diplomacy that seeks its identity within Asia while making much of cooperation with the US, and ‘a member of Asia’ that ‘the postwar Asianism stands for means that Japan which is ’a member of Asia’ and at the same time ‘a member of advanced countries of the West’ should play a role of ‘a temporary bridge’. Like the above,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the postwar Asianism’ is in the double-sidedness whether its own country is “seen as a member of Asia or a member of the West” and this comes from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he Japanese diplomacy connotes, and the problem that Japan leads the Asia in defensive viewpoint or is to make it a footing for economic interest. Namely, the aporia of the unreasonableness that the classification which claims Asia and at the same time the West’ has is the fundamental problem that roots in the Japan’s method of existence. The important task of the postwar Japanese diplomacy is the pressure of the US, and the essence of the problem is whether the Japan’s choice for this is ‘cooperation’ or ‘autonomy’. Although these two tendencies do not always appear uniformly, out of these what took charge of the principal agent of the Japanese diplomacy is the ‘cooperation’ line and the spirit has been continued with the Yoshida line. In other words, this is ‘the 2nd leaving-Asia line’ and because of this the image that Japanese diplomacy is ‘passive’ and ‘adaptive’ to international environment is strong. On the other hand, the attempt to get out of such a line is the anti-Yoshida line, and they were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with the contention of autonomous diplomacy against the complete dependence upon the United States, autonomous constitution against the occupation constitution and the rearmament against the light arming. However, even though Yoshida line made much of ‘the cooperation’ with the US than anything, it is not that it lacked even the awareness of the attempt to get of the unequal relationship with the US. Namely, in the point that they were to get autonomy though it was just formality within the framework with the US, they have shown dual identity of ‘cooperation’ and ‘autonomy’, and such tendency appears in the anti-Yoshida line as well likewise. Namely, although the anti-Yoshida line opposed the Yoshida line’s diplomacy to cooperate with the US, it was not that it was to get out of the framework of ‘cooperation’ with the US, and although the cooperation with the US was natural, only, it had the purpose of seeking autonomous diplomacy that had some distance from the US. To sum up, the essence of the opposition between the Yoshida line and the anti-Yoshida line was forming the two sides of the same action rather than self-contradictory. Japan’s ‘aspiration for autonomous diplomacy within the framework of cooperation with the US’ reveals itself in the economic involvement in Asia as well. After San Francisco Peace Treaty, Japan has been seeking independent role in the region while it was claiming to advocate ‘Asia’s sole advanced country’ and the compensation diplomacy toward the Southeast Asia was its first practice. Namely, in the aspect that Japan raised in earnest the necessity o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Southeast Asia region making use of its economic power, the compensation diplomacy connotes ‘the autonomy’ of Japanese diplomacy. In addition, such a posture revealed itself well in the fact that Japan encouraged approach to China in private level at the time when it was joining the US for the Containment Policy against China. Namely, Japan was to show that Japanese diplomacy does not necessarily follow the Containment Policy against China by seeking gradual consolidation of relationship based on thought of the separation of economy and politics, and in other words it was ‘the second entry-to-Asia line’. However, Yoshida gave up normalization of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for early realization of the Peace Treaty, and Kishi as well who had revision of the U.S.A-Japan Security Treaty as core task cut off approach to China. Sato as well generalized the line of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in order to realize the return of Okinawa and emphasized the economic aid for Taiwan rather than approach to China. This is an example of completing with ‘cooperation’ with the US in the point that he gave up recovery of relation with China, and it can be seen as a part of ‘autonomous diplomacy’ in the point that he got what he wanted from that. Like the above, in Japanese diplomacy examples that ‘cooperation’ and ‘autonomy’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omplementary and form the two sides of the same action are often found, and change of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Furthermore, Abe’s diplomatic policy as well is self-contradictory in the point that it i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the ordinary stat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rporatism’ and ‘positive pacifism’. It is the thinking that Japan’s wielding leadership in the military and security is the very ‘politics of identity’ that lays a foundation of the country that can have confidence and pride, and it is to solidify the position of Japan within the structure of the US and Japan alliance. In addition, it is packed with the word ‘positive pacifism’. Like the above, Japanese diplomacy has dilemma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regard the opposition that look like alternative between ‘Asia and the West’ as it is, and rather to be a positive contributor that connects the two in the problem that looks like binary opposition is regarded as mission of Japan. 21世紀の日本の外交政策は普通国家論の枠の中において、その手段や方法を具体化してきた。本研究は、このような戦後日本の政策決定者のアプローチを「アメリカとの協調の枠の中での自主外交の希求」として規定しており、また、こうした試みを「戦後アジア主義」として再考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戦後アジア主義」とは、アメリカとの協調を重視しながら、一方でアジアにおける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追求しようとする日本外交の希求を意味している。なお「戦後アジア主義」が標榜する「アジアの一員」とは、「アジアの一員」でありながら「西欧先進国の一員」でもある日本が、「架け橋」的な役割を果たさ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も意味する。 このように「戦後アジア主義」の最も大きな特徴は、自国を「アジアの一員としてみなすべきか、それとも西欧の一員としてみなすべきか」という両面性を持っていることであり、これは日本の外交が抱えている構造的な問題、つまりアジアを防衛的観点から先導しようとすることやアジアを経済的利益を基盤にしようとする問題から由来する。即ち「アジアであることを主張すると同時に、西欧の一員であることをも主張する矛盾的区分」というアポリアは、日本の存在方法に根付いている根本的な問題である。 戦後日本の外交における最も重要は課題はアメリカの圧力に対する日本の選択が「協調」なのか、それとも「自主」なのかという問題である。この二つの傾向性がいつも整合的に現れるわけではないが、日本外交の主体を担ったのは「協調」路線であり、その精神は吉田路線として継承されてきた。これは言わば「第二の脱亜路線」である。日本外交が「消極的」であり、かつ国際環境に「順応的」であるというイメージが強いのもこのためである。一方、こうした路線から脱皮しようとしたのが反吉田路線であり、かれらは対米協調外交に対しては自主外交を、占領憲法に対しては自主憲法を、そして軽武装に対しては再軍備を主張することで自ら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構築しようとした。 しかしながら、吉田路線がアメリカの「協調」を何よりも重要視したとして、アメリカとの不平等な関係から脱皮しようとする認識すら欠如していたわけではない。つまり、かれはアメリカとの「協調」の枠の中で、たとえそれが「形式上の自主」であっても「自主」を獲得しようとする努力をしていた。そういう点で吉田路線は「協調」と「自主」の二重的アイデンティティー見せていた。そして、こうした二重的傾向性は反吉田路線においても同じく見える。即ち、反吉田路線が吉田路線の対米協調外交に反対したとしても、その反対がアメリカとの「協調」の枠がら脱皮しようとすることではなく、ただ、アメリカとある程度の距離を置く自主外交を模索することである。要するに、吉田路線と反吉田路線の対立の本質は矛盾的というより、同一行為の表裏関係であるといえる。 日本の「アメリカとの協調の枠の中での自主外交の希求」はアジアに対する経済的関与からも見える。サンフランシス協和条約以後、日本は「アジアの唯一の先進国」を標榜し、独自的な地域の役割を模索しており、東南アジアに対する賠償外交はその役割の実践であった。つまり、日本の経済力を利用し、東南アジア地域との経済開発協力の必要性を本格的に提起したという側面から見ると、賠償外交は日本外交の「自主性」を内包していることが分かる。なお、こうした姿勢は日本がアメリカの対中封鎖政策に加担していた時期に、民間レベルでの中国接近を奨励した事実からもよく見える。つまり、日本は「政経分離」的思考に基づく漸進的関係強化を模索することで、日本外交が必ずしも対中封鎖政策を追従することではないという姿勢をアピールしようとした。これは言わば「第二の入亜路線」と言える。 しかし、吉田は講和条約の早期実現のため、中国との国交正常化を断念し、また日米安保条約の改正が核心課題であった岸も対中接近を断絶した。佐藤も沖縄の返還を実現させるため、日米協調路線を前面化し、対中接近より台湾に対する経済援助を強調した。これは中国との関係回復を諦めたという結果からみると、アメリカに対する「協調」としてまとまった事例である。しかしながら、講和条約の早期実現と日米安保条約の改正、そして沖縄の返還など、中国との関係断絶により、日本がアメリカから外交的成果を得られた点においては「自主外交」として評価できる。このように、日本の外交において「協調」と「自主」が相互補完的で同一行為の表裏関係を成している事例は頻繁に見える。 安部の外交政策もまた「国際協調主義」や「積極的平和主義」に基づく「普通国家」論の拡大と発展という点で相互矛盾的である。これは日本が軍事や安保などにおいて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することこそ「自信とプライドが持てる国家」の基礎を作る「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政治」であり、また、日米同盟の構造の中においての日本の立地が強固できる方法だという発想からはじまる。このように日本の政策決定者は「アジアなのか、西欧なのか」という両者択一的な問題において、むしろ両者を繋ぐ「積極的貢献者」になるのが日本の使命であると考える。こうした特性を持つ「戦後アジア主義」は日本の外交路線に潜在している一つの「傾向性」であり、そして「自主」と「協調」の追求を包括する点にその特徴がある。 21세기 일본의 외교정책은 보통국가론의 테두리 내에서 그 수단과 방법이 구체화되어 왔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전후 일본의 외교정책결정자의 어프로치가 ‘미국과의 협조의 틀 안에서 자주외교의 희구’에 있으며, 그것을 ‘전후 아시아주의’로서 재고하고 있다. 즉 ‘전후 아시아주의’란 미국과의 협조를 중시하면서도, 아시아 내에서의 자기정체성을 추구하는 일본 외교정책결정자들의 희구를 뜻하며, ‘전후 아시아주의’가 표방하는 ‘아시아의 일원’이라는 것은 ‘아시아의 일원’이면서 ‘서구 선진국의 일원’이기도 한 일본이 ‘가교’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아시아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자국을 ‘아시아의 일원으로 볼 것인가, 서구의 일원으로 볼 것인가’라는 양면성에 있으며, 이는 일본 외교가 내포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 아시아를 방위적 관점에서 선도하거나, 경제적 이익의 발판으로 삼고자 하는 문제에서 기인한다. 이처럼 ‘아시아를 주장하는 동시에 서구를 주장하는 구분이 지닌 무리함’의 아포리아는 일본의 존재방식에 뿌리내린 근본적인 문제이다. 전후 일본 외교에서 중요한 과제는 미국의 압력이며, 이에 대한 일본의 선택이 ‘협조’인가 아니면 ‘자주’인가가 문제의 본질이다. 이 두 가지 경향성이 항상 정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중에서도 일본 외교의 주체를 담당한 것은 ‘협조’ 노선이며 그 정신은 요시다 노선으로 이어져왔다. 이는 말하자면 ‘제2의 탈아 노선’이며, 일본 외교가 ‘소극적’이고 국제환경에 ‘순응적’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반면 이러한 노선에서 탈피하고자 한 것이 반요시다 노선이며, 이들은 대미일변도에 대한 자주외교, 점령헌법에 대한 자주헌법, 경무장 노선에 대한 재군비 주장으로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요시다 노선이 미국과의 ‘협조’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해서, 미국과의 불평등한 관계에서 탈피하고자 한 인식마저 결여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즉 미국과의 틀 안에서 형식상의 자주라도 얻고자 했다는 점에서 이들은 ‘협조’와 ‘자주’의 이중적 아이덴티티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반요시다 노선에게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즉 반요시다 노선이 요시다 노선의 대미협조외교에 반대했다고 해서 그것이 미국과의 ‘협조’의 틀을 벗어나고자 한 것은 아니었으며, 다만 미국으로부터 다소 거리를 둔 자주외교를 모색하자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요컨대 요시다 노선과 반요시다 노선의 대립의 본질은 모순적이라기보다는 동일행위의 표리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본 외교의 ‘미국과의 협조의 틀 안에서 자주외교의 희구’는 아시아에 대한 경제적 관여에서도 드러난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이후 일본은 ‘아시아 유일의 선진국’을 표방하며 독자적 지역 역할을 모색해 왔으며, 동남아시아에 대한 배상외교는 그것을 위한 첫 번째 실천이었다. 즉 일본이 경제력을 활용하여 동남아시아 지역과의 경제개발협력의 필요성을 본격적으로 제기하였다는 측면에서 배상외교는 일본 외교의 ‘자주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자세는 미국의 대중봉쇄정책에 가담하고 있었던 시기에 민간 레벨에서의 중국접근을 장려한 사실에서도 잘 드러난다. 즉 일본은 ‘정경분리’적 사고에 입각한 점진적 관계강화를 모색함으로써 일본 외교가 반드시 대중봉쇄정책에 추종하는 것은 아님을 어필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말하자면 ‘제2의 입아 노선’이다. 그러나 요시다는 강화조약 조기실현을 위해서 중국과의 국교정상화를 포기했으며, 미일안보조약의 개정이 핵심과제였던 기시 또한 대중접근을 단절하였다. 사토도 오키나와 반환을 실현시키기 위해 미일협조 노선을 전면화하여 대중접근보다는 대만에 대한 경제 원조를 강조하였다. 이는 중국과의 관계회복을 포기했다는 점에서 미국과의 ‘협조’로 마무린 사례이며, 강화조약, 안보개정, 오키나와 반환 등 중국과의 관계단절로 인해 원하는 바를 얻었다는 점에서는 ‘자주외교’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본 외교에서 ‘협조’와 ‘자주’가 상호보완적이며 동일행위의 표리를 이루는 사례는 자주 발견되며, 헌법 제9조에 대한 해석변경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베의 외교정책 또한 ‘국제협조주의’와 ‘적극적 평화주의’에 바탕을 둔 보통국가론의 확대와 발전이라는 점에서 상호 모순적이다. 이는 일본이 군사와 안보 등에서 리더십을 행사하는 것이야말로 “자신감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국가”의 기초를 놓는 ‘정체성의 정치’이며, 미일동맹 구조 내에서 일본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것이라는 발상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일본 외교는 ‘아시아인가, 서구인가’라고 하는 양자택일적으로 보이는 대립에 있어서, 오히려 이 둘을 연결하는 ‘적극적 공헌자’가 되는 것을 일본의 사명이라고 간주한다. 이러한 속성을 지닌 ‘전후 아시아주의’는 일본 외교 노선에 잠재되어 있는 하나의 ‘경향성’이며, ‘자주’와 ‘협조’ 추구를 포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