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의 장편화 양상 연구

        김아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동장유가」는 계미통신사행의 삼방 서기인 퇴석(退石) 김인겸(金仁謙, 1707~1772)의 작품으로, 계미통신사행이 일본을 다녀온 약 11개월(338일) 동안의 사행 체험을 총 4121행이라는 방대한 분량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현전하는 가사 작품 중 분량이 가장 많은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일동장유가」는 많은 주목을 받으며 다채로운 성과를 일구어 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정작 「일동장유가」가 주목받게 된 일차적인 원인인 장편화 양상에 대한 논의가 소략했다. 이에 본 논문은 「일동장유가」의 문학적 특성을 장편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고자 한다. 장편 가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장편 가사의 범주를 명확히 설정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여러 명칭으로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기존의 논의에서 장편 가사를 선별하여 주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편 가사는 「일동장유가」를 선두로 하여 18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창작되었으며, 대체로 1000행 이상인 작품에서 주로 장편 가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장편 가사의 작자층은 이전 시기의 작자층보다 확대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 등이다. 또한 장편 가사는 이전 가사와는 달리 경험적 진술이 확대됨으로써 장면화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일화가 삽입됨에 따라 서사성이 확대되는 등의 서술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서술 특성으로 인해 작품의 길이가 길어져 가사의 장편화 양상에 기여하고 있다. 장편 가사의 서술 특성에 대한 분석을 선행한 후, 「일동장유가」의 서술 방식과 장편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동장유가」는 작품 전체에 일기체 형식이 관류하고 있으며, 일기체 형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함으로써 사행 여정을 다채롭게 형상화하였다. 단절되는 하루와 하루 사이의 상상력 확장, 강조와 환기의 효과 등으로 서사성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일동장유가」는 작품 전체에 걸쳐 노정기 형식이 나타나고 있으며, 노정을 통해 드러난 작자의 체험이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장면화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렇듯, 일기체 형식을 통한 서사성의 확대와 노정기 형식을 통한 경험적 진술의 확대는 가사가 장편화되는 요인이 된다. 「일동장유가」는 장편 가사 중 18세기 중반에 창작된 유일한 작품인 동시에 서얼 신분의 작가가 창작한 유일한 작품으로, 작가 의식을 통한 작품 분석은 필수적이다. 작가 의식은 기록 의식과 자의식, 두 방면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낯설고 새로운 경물을 자세히 묘사하는 방식, 일기체 형식을 통해 매일 매일을 기록하는 방식, 직접 경험하지 않은 것도 자세하게 기록하는 방식 등을 통해 작가의 투철한 기록의식이 작품에 면면히 투영되어 있다. 기록 의식이 투철할수록 작품의 서술은 풍요로워 지므로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에 큰 기여를 한 것이다. 다음으로, 김인겸은 서얼 출신이면서 조선 후기 대표적 노론 집안의 현손으로 신분적으로 특수한 상황에 속해 있다. 따라서 작품 내에 자신의 신분적·학문적 해소에 대한 해방감과 가문에 대한 자부심이 동시에 드러나게 된다. 자의식을 드러내는 대화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장편 가사의 범주를 설정하고, 그동안의 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에 대해 면밀히 살펴 작품 분석에 대한 다양한 분석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장편화 양상은 조선 후기 가사에 나타나는 주요한 양상인데, 「일동장유가」는 그 분기점에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 분석은 후기 가사의 장편화 양상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동장유가>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김륜희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although Ildongjangyuga (An exciting sightseeing tour of Japan) is a Korean classic wrote about two hundred and fifty years ago, it is full of useful information for present and is a literature capable of cultivating classical imagination and sensitivity, and playing a good role of understanding diverse lives life of huma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realize its educational values. Ildongjangyuga is a series of Japanese travel notes recording diverse experiences Inkyeum Kim had for eleven months of stay in Japan as Sambangseoki (a secretary status) of the Gyemi Tongshinsa (emissaries sent to Japan in 1763) over 4,600 ri (1,840 km) in the 39th year of King Yeongjo. Thus, it contains culturally valuable knowledge about distinctive Japanese custom and culture in the eighteenth century, so it serves to be an excellent information itself. Expressions of describing subjects in detail yet full of romantic appreciation for the arts are sufficient to stimulate literary imagination and sensitivity and are well suitable to be a text for cultural education. Moreover, Inkyeum Lee although he was having a firm self-esteem and pride as a Joseon intellect holding a superior historical or cultural position to Japan, he stood in admiration before the Japanese natural landscape and useful instruments and systems throughout his work. The relativist culture that sees things as they are in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has a very high educational value in the respect of serving as a turning point of cultivating an attitude for learners to see different cultures correctly in today's social environment entering a real multicultural society with frequent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ture' suggested in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its purpose in total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human in the literary work and enhancing literary imagination by finding and reading a literary work and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activity of producing a literary work. moreover, instead of one-way teaching and learning, two-way teaching and learning is being promoted, and as for assessment, self-assessment and mutual assessment between students are actively encouraged depending on the assessment content or con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Ildongjangyuga reflecting this characteristic of the revised curriculum, build an internaliz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actively. The importance of internalization was recognized in learning the travel Gasa literature and the general model of 'planning stage→diagnosis stage→instruction stage→internalization stage' proposed by Inhwan Gu was selected, and expecially the 'planning stage' was set up for the actual coursework of Ildongjangyuga to progress smoothly. And at instruction stage,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through 'learning together' to achieve leaner-centered coursework. Also, visual media were utilized to better understand literary works, and precedent learning, writing a report at internalization stage, and mutual assessment of student-to-student and student-to-teacher were sought by utilizing the internet blog function. Thus, I hope that Ildongjangyuga is more heavily covered for junior and senior highschool students, and anticipate invigoration of continuous studies on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actualize educational goals of Ildongjangyuga by actively reflecting the change of learning environment and meet the needs of leaners.

      • 일동장유가」를 대상으로 한 융합 수업 교수·학습 방안

        차재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동장유가」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국어과 융합수업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두었다. 현재 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국어과 수업의 목표를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데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고전문학을 소재로 교육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국어과 융합수업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통해 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인 비판적 사고력, 종합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도모하고자 했다. 우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품으로 장편기행가사 「일동장유가」를 선정하였다. 「일동장유가」는 1763년 일본으로 파견된 계미통신사에서 삼방서기(三房書記)로 활약했던 김인겸(金仁謙)이 지은 사행가사이다. 이 작품에는 조선의 선비가 18세기 일본의 낯선 문화를 경험하며 받은 인상과 생각, 느낌이 기술되어 있다. 특히 공식적인 사행기록으로서의 성격보다는 개인 문학으로서 성격이 강하며 흥미로운 내용이 많이 나온다. 또한 당시 일본의 음식, 기구(器具), 제도 등 구체적인 생활상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작품에서 많은 융합적 학습 요소를 찾을 수 있고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국어과는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교과로서 융합교육에 기본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과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말하기, 쓰기 등의 화법, 작문 영역에 치중하여 국어과가 중심이 되는 융합수업은 제대로 구현되고 있지 못하다. 융합 수업의 내용은 과학이나 사회 교과가 중심이 되고 국어과는 해당 수업을 진행할 때 글을 읽고 정리하며 토의를 하는 과정에만 주로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어 특히 문학을 중심으로 다른 교과 내용을 융합하는 국어과 중심의 융합수업 방안을 구현하고자 했다. 학생들이 가장 기피하는 국어과 영역 중 하나는 고전문학이다. 한자가 많이 나오고 내용 파악이 어려워 고전 문학 학습에서 흥미를 잃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이번 연구에서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co-op co-op모형)’을 적용했다. 융합 수업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수업 모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융합 수업의 중심은 학습자이다. 융합의 주체는 학습자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의식적 노력과 내적 궁리가 매우 중요하다. 자율적 협동학습은 이러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권장하는 모델이라고 본다. 기본적으로 자율적 협동학습은 학습 내용과 관련된 탐구 주제를 학생들 스스로 찾고 모둠을 구성하여 활발한 토의를 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과정이 단계별로 잘 정리되어 있어 교사가 학교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주제 선정에서부터 자료 수집, 보고서 작성, 발표 및 토의까지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게 된다. 특히 각 모둠의 탐구내용을 발표하고 공유함으로써 해당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융합 학습 요소를 전체 학급 구성원이 이해하고 습득하게 된다. 즉 자연스럽게 융합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학생들은 「일동장유가」를 감상한 후 역사, 지리, 미술 등 다양한 교과와 관련된 융합 학습요소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관심 분야가 비슷한 급우들과 모둠을 구성하여 활발한 토의를 하면서 사고력을 넓힐 수도 있다. 이 때 교사는 학생들이 참고할 만한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작품과 연관된 다른 분야의 학습 요소를 쉽게 찾도록 방법과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특히 학생들의 모둠 활동을 지켜보면서 수시로 개인 및 모둠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국어과 중심의 융합수업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 교사를 비롯한 학교 구성원들의 부담이 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융합교육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는 매우 크고 명확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융합수업 교수학습 방안이 더 많이 나올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 국어과를 중심으로 하는 융합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교수·학습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 일동장유가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이계용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일동장유가’는 退石 金仁謙이 1763년 三房書記로 선발되어 계미통신사의 일행으로 일본 체험을 기록한 장편가사이다. ‘일동장유가’의 작가 김인겸은 명문가의 후손이지만 서출이라는 신분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김인겸은 서출이라는 한계로 인해 명문가 후예임을 내세우고, 한편으로는 권력으로부터 소외되어 있기 때문에 도학자로서의 자긍심을 강조하는 인물이었다. 김인겸이 포함된 계미통신사는 조선후기 통신사가 재개된 이후 11번째 해당하는 것이다. 처음 3차에 걸친 사행이 포로교환을 위한 국교회복이 목적이었다면, 그 이후는 交隣外交를 중시하는 정례적인 사행이었다. 김인겸이 수행한 계미통신사는 안정된 국제정세 속에서 이루어진 사행이라 할 수 있다. 김인겸이 사행을 간 18세기 일본은 전란이 없는 평화시기였고, 시민문화인 조닌문화(町人文化)가 융성한 시기였다. 특히 이전에 천시하던 상업활동에 대한 인식과 해외무역의 이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였다. 당시 일본은 상업이 발전하면서 대도시가 발달하였다. 18세기 일본의 중심은 에도(江戶), 오사카(大阪), 교토(京都)의 대도시였는데, 에도(江戶)는 인구가 100만이 넘었고, 오사카(大阪), 교토(京都)는 30만이 넘었다. 이렇게 일본의 발전된 문물은 김인겸에게 충격을 주어 일본을 폄하하던 시각을 바꾸는 계기가 된다. 김인겸의 작가의식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조선선비로서의 자의식은 대단히 중요하다. 김인겸은 문인으로서 자부심이 대단한 인물이었고, 통신사에 선발된 것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통신사의 목적 중 하나는 문장으로서 국위를 선양하는 것이었는데, 김인겸은 그 점을 명확하게 인식하여 문필보국의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다. 김인겸은 평범한 향촌의 선비로 평생을 유교적 가치관에 의해 살아온 인물이다. 그리고 당대 일반적인 조선인들처럼 임진왜란을 통해 일본에 대해 피해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김인겸은 당대 일반적인 선비들처럼 중국 중심의 華夷觀으로 일본을 야만스러운 島夷라고 여겼고, 임진왜란의 상흔으로 인해 원수의 나라라는 의식을 갖고 있었다. 김인겸의 이러한 일본에 대한 태도는 한 개인의 성향이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조선의 일본에 대한 경시 풍조이다. 조선에게 일본은 노략질을 일삼는 왜구, 야만스러운 풍습의 섬 오랑캐, 문화의 나라를 침략한 적대자였다. 따라서 일본의 실체를 알려고 하기 보다는 일본에 대한 폄하가 우선시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김인겸은 조선과 다른 일본의 풍습을 보면 문화적 차이라고 이해하기 보다는 야만스러운 풍습이라 폄하하였다. 조선선비로서의 자의식이 강했던 김인겸은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함께 조선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김인겸은 차츰 일본을 경험하면서 일본에 대한 경시 풍조를 극복하고 객관적으로 일본을 관찰하게 된다. 그 계기 중 되는 것이 일본의 자연풍경이다. 김인겸은 일본의 자연풍경을 보면서 느낀 그대로, 또는 조선과 비교하여 적극적으로 예찬하였다. 그는 일본의 자연풍경을 처음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다가, 직접 접하고 나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인식이 잘못되었음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김인겸은 일본 문물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며 바라보았다. 그러나 김인겸은 일본이 번성하는 이유, 또는 그 내력을 탐구하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었다. 김인겸은 객관적인 관찰자의 입장에 머물러 있을 뿐이었다. 김인겸은 일본의 사회구성 내지 봉건문화가 전혀 이질적인 토대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막연히 감지하고는 있지만 이를 심도있게 탐구하지는 않은 것이다. 김인겸은 처음에는 계미통신사 일행으로 멀리 일본까지 가야만 하는 사실이 국가의 대의명분에 걸맞지 않아 부끄러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김인겸은 일본인들과 교류하며 그들을 ‘신실하고 간사하지 않은 사람’으로 인식한다. 특히 일본 문인들과의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일본 문인을 달리 평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직접적으로 일본인들과 교류하면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그들의 문장을 높이 평가하는 모습으로 바뀐 것이다. 이처럼 ‘일동장유가’에는 김인겸이 늦은 나이에 통신사의 일행으로 선발되어 사행을 하면서 느끼는 작가의 다양한 의식이 나타난다. 특기할만한 것은 향촌의 선비인 김인겸이 일본을 경험하면서 일본에 대한 의식이 변모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김인겸이 조선선비의 자의식만 강조한 인물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세계를 확장해 나가는 지식인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Ildongjangyuga is a long gasa written by Toiseok Kim In-gyeom to describe his experiences in Japan as a Sambang clerk for the Gyemi Tongshinsa in 1763.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in the work by first reviewing his life and historical backgrounds. Although he's born into a prestigious noble family, he's destined to have status limitations being a son of a concubine. His status limitations caused him to show that he's a descendent of a prestigious noble family and emphasize his pride as a moralist being alienated from power. The Gyemi Tongshinsa that he joined was the 11th dispatch of Tongshinsa to Japan since it's resumed in late Chosun. The first three dispatches were for the recovery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to exchange war prisoners, but the following ones became regular with an emphasis on good-neighbor diplomacy. The dispatch Kim accompanied in the Year of Gyemi(1763) took place under stable international conditions. Japan enjoyed peace with no wars in the 18th century when Kim visited it. Also prospering in that period was Jonin culture that's civil culture. In particular, the Japanese people grew more interested in commercial activities that used to be despised, profits from overseas trade, and foreign affairs. The business growth across the nation resulted in the birth of big cities, which include Edo, Osaka, and Kyoto that played pivotal roles in the 18th century. The population of Edo reached more than one million, while that of Osaka and Kyoto 300,000. Such developed civilization of Japan gave Kim a shock and made him change the way he belittled the country. It's critical to understand his self-consciousness as a common scholar of Chosun in the 18th century to figuring out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He had considerable pride as a literary man and took huge pride in being selected to join the Tongshinsa. One of the goals Tongshinsa pursued during those days was to promote the national prestige with beautiful writings, which he was clearly aware of and instilled a sense of mission to serve the country with literary art into him. As a scholar in a usual country village, Kim maintained his Confucius values throughout his lif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Chosun people developed a feeling of being victimized by Japan, and Kim was one of them. Like other scholars in that period, he considered Japan as a barbaric people based on Sin-centrism and regarded it as the nation's enemy because of the war's wounds left on Chosun. Such an attitude towards Japan of his didn't derive from his personal tendency but was in the line of Chosun's long-held trend of making little of Japan over many years. As far as Chosun was concerned, Japan was a barbaric people that went on plundering, observed uncivilized customs, and invaded a country of culture like Chosun. There is no wonder that the Chosun people didn't bother to understand what really lied in Japan being busy thinking little of the country. Thus Kim thought that the Japanese customs were barbaric and didn't try to consid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osun and Japan. Armed with strong self-consciousness as a Chosun scholar in the 18th century, Kim had negative perceptions of Japan and pride in the Chosun culture. Increasing his experiences of Japan gradually, however, he got to overcome his usual way of belittling Japan and adopt an objective viewpoint to observe it. One trigger was Japan's natural landscape. During his dispatch to Japan, he was active praising Japan's nature as he felt it and comparing it with Chosun's nature. Although his first perception of Japan's natural landscape was negative, his attitude changed into a positive one after having first-hand experiences with it. In the end, he confessed that he was wrong about his opinions of Japan's nature. Just like he developed a positive perception of Japan's natural landscape, he started to show huge interest in Japan's civilization, as well. But he had no intention to figure out why Japan began to prosper or delve into the processes behind its growth. He remained in the position of an objective observer. Even though he's aware that Japan's social structure or feudal culture was based on a totally different foundation from Chosun, he never wanted to look into the matters in-depth. At first, he's ashamed of the fact that he had to travel a long distance to Japan as part of the Gyemi Tongshinsa believing that it didn't fit Chosun's just and great cause. Having exchanges with Japanese people, however, he got to think that they were "sincere and not malicious." Once he developed human affections towards them through frequent exchanges with them, his judgments of them began to change. That is, his direct exchanges with them caused him shed off the old negative perceptions and think highly of their writings. Ildongjangyuga contains the diverse aspects of Kim In-gyeom's consciousness as a writer based on his impressions about Japan during his visit as part of the Tongshinsa in old age. What's noteworthy is that his perceptions of Japan changed after experiencing it as a scholar from Chosun's country village, which shows that he didn't just stress self-consciousness as a Chosun scholar in the 18th century but an intellect that knew to expand his world through experiences.

      • 日東壯遊歌 硏究

        김국소 명지대학교 대학원 1975 국내석사

        RANK : 248639

        A college of the ancient Korean diplomatic officer made a trip to Japan in 1763 and returned to Korea in July, 1764. It says the group comprised 500 persons approximately. One of these diplomatic officer wrote the travel journal about 11 month's trip to Japan. The travel journal consists of depicting the landscape, manners and customs, humaneness, etc, making comparisons his country with Japan. Being a long piece of work and having been written in his vernacular letters(Hangeul) are charcteristic of this work. At that time, most of literature work had been written in Chinese letters or mingling it in Hangeul in lieu of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light of that, the author had the very independent personality and seemed to have been interested in Korean literature in a faithful way, I would say. The work was composed in the verse style(Gaea, a Korean peculiar literature genre) and it follows that even the verse style can make its way in the long piece of work in lieu of prose style. They thought the prose style can matcb wits with the long piece of work, the verse style with the short piece of work. I am inclined to say that we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is author and his work which we ought to attribute his merits to Korean literature field and this point led me to study this dissertation. Yet the original volume did not made its appearances. Just availing of the renlica or the other copy, there was no other way. Luckily I could gst three other different copies and my way along with these copies making comparisons and collations. The research shows as follows : 1). Among these three copies, the most resonable and faithful one took I and showed my opinion. 2). About the author: Referring to "Andong Kim's pedigree", "Samabangmok" and "Manseong Daedongbo", I could have written about the author's life and career. Here I could have disclosed the author's deathday which was not yet known in the world. 3). About the work: As long as "Ildong Jangyuga" was composed in the verse style, I might as well fortify the conception of the general verse style and the travel verse style. I also referred to the other travel verse and made out "the collation table of the travel verse style" adding the itinerary that appears in the work to it. In a substantial criticism, I treated the author's anti-Japanism that appears in the work and his national pride as a Korean. 4). Mr. Jo Eom, as a same member of the group, he also wrote his own travel journal "Haecha Ilgi." I also referred to this work. 5). I collected and studied many other travel journal verses which was written in the more earlier days than this author's work to see how much he was affected to them. Reference books are : Kwangseo Byeolkok, Kwandong Byeolkok, Kwandong Sokbyeolkok, Seojeong Byeolkok. 6). According to tre above mentioned items, I concluded how much "Ildong Jangyuga" means to the Korean literature. Although it may be digressed from the Korean literature, we can see a thing or two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bout the civilization, institution, customs, etc. The Korean verse style literaturs are not enough in its quantity, but they are never inferior to any other country is in its quality.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h made an epoch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regular verse style literature works made its appearances after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h. Offanand speaking, one century after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h "Sangchunkok" opened the new era in the verse style literature and after this work, myriads of works came out. Especially the travel journal was written in the verse style. We call it "verse style travel journal" and the pathfinder in that genre was Paek, Kwang Hong. We are sure that "Ildong Jang Yuge" was mainly affected by him and his works.

      • 사행가사 연구 : 일동장유가와 연행가를 중심으로

        서정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986 국내석사

        RANK : 248622

        This thesis is a study on Sahaeng-Kasa (使行歌辭), a travel account of governmental delegation in the form of Kasa. This thesis tried to study of Ildongjangyuka (日東壯遊歌), Yeunhaengka (燕行歌) mainly, which have been said to be most famous: works of Sahaeng-Kasa. The followings are the synop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Kim In-Kyum (金仁謙), the author of Ildongjangyuka, came out of the nobility strain. The very fact, however, that he was an illegitimate unabled him to enjoy promotion, in spite of his outstanding literary talent. He was a very strict per son enough to make direct appeal to his superior in the face of unjustice. On the other hand, he was a man of humanity and had a great love for the nation as well. In his-work, Ildongjangyuka, such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many places easily. Hong Soon-Hack (洪學淳), the author of Yeunhaengka, was not impaired by his social status like Kim In-Kyum, even though he wasn't out of the nobility stock. He was as bright as to pass the state-run exam, Byunggwa (丙科 ),for civil servants at the age of 16. He advanced further in government hierarchy to be one of the three envoys at the age of 25 when he was appointed as a member of the delegation to China. His work, Yeunhaengka shows his youthful vitality and his emotional touch also. In describing the foreign natural feature, Kim In-Kyum resorted to some ideal and abstract style. On the contrary, Hong Soon-Hack gave it a minute amount using descriptive and realistic words. Especially, both authors' attention was largely drawn to the people and their cultures. That is belived to be most important part of Sahaeng-Kasa to attract reader's interst. Even in this matter, they presented a stricking contrast. While Kim In-Kyum expressed his strong subjectivity in his work, Hong Soon-Hack introduced the people and their culture as they were. upon the destination, the purpose, and each person's position. Especially, all member of delegation to Japan had to keep Korean's dignity. Among them, the secretary was so demending that he was supposed to write many poems everyday throughout the delegation's trip. Therefore, we can emagine that Ildongjangyuka was under such influence of circumstances. By contrast, Hong's duty in the delegation to China wasn't so demanding one as that of Kim. Without feeling any pressure from his daily duty he was able to make his work a detailed account of delegation's trip from the landscape to the culture. Sahaeng-Kasa is a part of travel sketch in the form of Kasa which has various characteristics. Like in Ildongjangyuka Yeunhaengka, the style of Sahaeng-Kasa was largely dependent upon the writer's character and also upon various conditions in terms of its quality and quantity. From this standpoint, Sahaeng-Kasa should be understood a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Literature of later Yi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