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천경자의 예술세계 연구

        이윤숙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예술가는 다양한 세계 속에서 자신만의 가치관을 통해 대상에 대한 객관적 외형과 본질을 파악하고 표현해야 하며 인간의 내적욕구 그 이상의 무언가를 채워주는 예술세계를 펼쳐 나가야 한다. 작가 천경자는 예술가로서 한 여인의 삶과 정신을 관통해 흐르는 예술혼이 1950년대 초기부터 형식적 전통주의와 통속적인 관습을 거부하고 끊임없이 보여준 독특한 채색화의 소재와 주체성 및 자유로운 수백의 일관된 창조 작업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뱀의 화가', '꽃의 화가, '환상과 색채의 화가', '이국적인 여인과 풍경의 화가', '한과 고독의 화가' 등으로 흔히 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 유학으로 인하여 초기에 보이던 일본화 화풍에 머무르지 않고 화려하고 감성을 자극하는 독자적인 양식의 채색화를 추구함으로써 하성 후 왜색풍의 비판과 서양의 어리 사조의 유행의 풍토를 극복하여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꽃과 여인을 중심적 소재로 하여 다양하고 이색적인 화풍으로 펼치고 있는 천경자의 예술세계를 연구 분석하여 그의 작품이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의 예술정신과 조형 세계의 특징을 연구하고 예술적 가치와 그 의미를 조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천경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을 작품에 상징적 언어로 표현하였으며, 어떠한 형식에도 구애받지 아니하고 많은 해외여행을 통한 서양의 화가들에게서 받은 영향을 자신의 감성에 맞게 사용하고 재구성하여 완전히 자기의 것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천경자의 작품은 자전적 이라는 평과 함께 독자적인 화풍으로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화가로서 꾸준히 노력한 그의 문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을 바탕으로 표현된 채색기법은 현대 책색화만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 紫霞 申緯의 藝術世界

        강미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紫霞 申緯(1769-1847)는 朝鮮 後期에 활동한 詩書畵 三絶의 예술가로 『警修堂全藁』를 남긴 詩人이면서 畵家이기도 하였고, 傳統의 書法을 계승한 書藝家이기도 하였다 . 그는 시에 뛰어 났으며, 그림에서는 특히 墨竹을 잘 그렸고, 書는 미불과 董其昌을 힘써 배운 후 나름대로 一家를 이루어 실로 조선이 낳은 위대한 예술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 그의 詩書畵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척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신위의 예술 세계를 詩書畵 一致라는 관점에서 분석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그 문제의 고찰을 『警修堂全藁』 에 수록된 시를 통해서 그의 서화사상과 文人書論을 추출해 내어 그의 書畵作品에 어떻게 표현되었나를 밝혀내고, 이러한 藝術觀이 어떻게 詩書畵 一致라는 모습으로 그의 예술세계가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았다. 신위는 名門世家로 이름난 平山 申氏 家門에서 태어나 높은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국내적으로는 朋黨을 초월하고 국외적으로는 국경을 초월한 交遊를 하였는데, 국내의 人士로는 書畵에 영향을 미친 스승 姜世晃, 그리고 신위 보다 연하지만 朝鮮末期의 藝壇을 이끌고 간 金正喜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국외 人士로는 翁方綱 父子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1812년 그가 書狀官의 자격으로 중국을 다녀온 사실은 그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생각된다. 그가 燕行하여 당시 대학자 翁方綱과 師弟관계를 맺게 된 것은 신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기록될 만한 일로 보아지며, 翁方綱을 비롯 翁樹昆, 吳嵩梁, 汪汝澣등과 같은 당시 중국 예술계의 거두들과 지적인 交遊관계를 맺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위의 회화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회화 형성과정, 회화사상, 그리고 墨竹書와 山水畵에 대한 고찰 등 회화 전반에 걸친 문제 분석이 시도되었다. 그는 畵譜와 중국의 여러 회화 작품을 臨摹하면서 자신의 화풍을 이루어 나갔으며 특히 강세황의 회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신위의 전형적인 墨竹畵風의 특징은 묵의 농담의 변화, 여유로운 필치, 그리고 다양한 구도의 시도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고고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준다. 한편 이 시기의 산수화는 이전의 여러 倣作의 과정을 지나서 간일하고 禪적인 경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신위의 화풍은 이후 그의 아들들(申命準, 申命衍, 申明), 그리고 許鍊, 趙熙龍, 田琦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신위의 書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書風의 形成過程과 諸書藝家들의 영향, 서예사상과 작품을 살펴보았다. 신위는 王義之體를 이상으로 여기며 『淳化閣帖』 『蘭亭帖』 등의 서첩을 臨書하면서 그의 書風을 형성하였다. 그는 왕희지 외에도 미불, 董其昌, 翁方綱의 서예의 영향을 받았다. 고리고 外形的인 美보다 人品과 內在美를 중시하였다. 申緯의 전형적인 書風은 行書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획은 모두 回鋒을 취하였고 하나의 字體안에서도 획의 肥瘦의 차이가 있으며, 파임은 부드러워서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文氣가 있다. 이러한 그의 서풍은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그의 서예사상의 요점은 文字香과 문인정신에 바탕을 둔 脫俗美의 重視觀, 법에 구속되지 아니하는 본심의 書法觀, 內在美의 추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繪畵思想은 詩畵一律思想, 不求形似觀, 文氣重視觀을 말할 수 있으며, 신위의 題畵詩를 통하여 蘇戟의 畵論을 이용하여 나타낸 文人畵論을 살펴보면, 詩書書 一致思想과 不求形似의 繪畵觀과 정신세계를 중시하는 神似의 繪畵觀을 말할 수 있다. 신위는 실로 詩書畵에 능한 조선의 文人書家였으며 일관된 詩書畵觀을 실제의 書畵작품에 잘 투영시켰고 회화와 서예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하여 깊이 숙고한 예술가였다. 결국 신위의 詩書畵 예술세계는 一致 一貫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조선 후기 詩書畵 三絶로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신위의 예술세계를 재조명함으로서 후인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Ja Ha Shin Wi(1769-1847)was a poet left <Kyung Soo Dang Jun KO>, who had led a life as a painter and calligrapher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calligraphy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later period, Jin Kyung landscape painting, a genre picture and a unique style of calligraphy appeared and in the last period, the effect of Chu Sa Kim Jung Hee prevailed. Though Shin Wi had lived through both the ages and he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the synthetic study in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s not showed progress yet. This essay has been aimed to examine the Shin Wi's life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of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vestigating this issue, I have looked into the whole situation of the world of art as well as his life of art including his artistic thought, his works and many artistic figures based on <Kyung So0 Dang Jun KO>. The 2nd chapter has looked into his life, studied background of his times and looked into the whole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life at the same time. This was indispensable because it was the basic work to know the background how his artistic thought had been formed. I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his artistic thought in reaction with many artistic figures at home and abroad who had affected his thought and life. In 1812,his trip to China(Yun) as a chief clerk is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event of his life. I think his formation of teacher and disciple relation with the great scholar of Ong Bang Kang during his visit shall be most remarkable event of his life. So, after his visit to Yun , his general artistic thought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changed much. In this chaper, I studied the artistic contact with Kang Se Hwang, Kim Jung Hee and their effect as well. In the 3rd chapter, first, I tried out the general analysis of his painting the progress of the formation of Shin Wi's painting, the thought of painting, a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and a landscape painting. He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painting through some pictorial magazines and Chinese painting works. Especially, he was affected by Kang Se Hwang's pictures. Shin Wi's traditional style of the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has some distinctive features, the is the change of the shading of Chinese ink, the latitude of the style of brushmanship and the attempt of diverse composition in painting. Also, this gives an impression of proud loneliness and elegance. In this chapter, second, I have arranged about Shin Wi's calligraphic thought and his works. The Art of Shin Wi was mainly based by the traditional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of Wang Hee Ji in which he had pursed the beauty of spiritual world more than the external beauty. His main point of writing thought is excluding fast writing when we wrote letters, puting importance to high quality personality of the writer. and the writing of the real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nature and pursues the inside beauty. And his main pictorial thought(painting thought) is the uniformed thought of poetry and painting and bamboo image deep in the heart preceding the act of painting. Also, it is the view of the thought of longing for the internal image not the external one which expresses internal world of spirit of the picture and the view of putting importance to the writing soul. Thus, I concluded the study of the world of the Art of Shin Wi who had ruled a certain age of the past with the three absolute greatnes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later days of Cho Sun Dynasty.

      • 이상 예술세계에 나타난 병리현상

        김소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硏究는 李箱의 藝術世界에 나타난 病理現象에 관해 考察해 본 것이다. 그의 創作 動因이 되었던 ‘不安’이란 病理가 어디서 起因되었고, 作品 속에서 어떻게 形象化되어 그의 藝術世界를 表現하였는지 推論하였다. 또한 作家의 ‘不安’과 ‘疏外’에 대한 心理的 根據를 抽出하는 데 그 目的을 두고 있다. 李箱 文學은 ‘처음부터 끝까지 不安의 所産物’이며, 近代 작품 속에서 不完全한 自意識에 대한 危機感을 던져주고 있다. 이 危機感의 原因은 作家 個人의 傳記的 삶, 植民地의 狀況, 近代化에 대한 自斃的 意識이 상호 맞물려 있다고 본다. 李箱은 단순한 個人의 身邊的 體驗의 反映을 넘어서서 社會現實에서도 不安과 疏外라는 病理를 지닌 人物들을 作品속에 投影시켜 表出하였다. 또한 現實에서 孤立되고 막연한 生存 不安을 經驗함에 따라 精神的 疏外感까지 作品속에 形象化하였다. 이것은 李箱 藝術世界에 대한 病理現象으로, 作品에 대한 理解와 作家라는 한 個人의 心理的現象을 살펴 人間類型의 한 단면을 考察 해보고자 하는데 이 硏究의 必然性이 存在한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精神分析과 心理分析的인 方法을 使用하여 病理의 基底와 精神 病理의 表出樣相, 脫出慾望에 대해 考察해 보고자 한다. 우선 李箱은 養子콤플렉스에서 오는 不安과 疏外에서 精神 病理의 基底를 찾을 수 있다. 李箱의 成長過程에서 親父가 아닌 伯父의 집에서 養育되었으며 커서도 本家와 養家를 責任져야하는 環境을 갖고 성장하였다. 李箱은 精神的 抵當을 伯父에게 잡혀 그의 成長過程 동안 늘 不安에 시달렸다. 이런 극도의 不安 症勢는 咯血을 體驗하는 結核으로 인해 한층 더 고조되었다. 또한 李箱은 知識人으로서 植民近代의 體驗을 敏感하게 받아들였다. 無差別的인 植民都市의 近代化로 인해 19세기의 價値觀과 20세기의 近代化사이에서 時代的 不安을 겪기도 했다. 그의 精神病理 基底에는 個人의 心理的 不安과 社會的 不安이 맞물려 分裂症狀까지 聯關을 갖게 한다. 不安으로 인한 疏外와 孤立에서 온 表現樣相들을 살펴보면 性倒錯症的인 病理와 分裂症的인 몇 가지 病理 要素를 찾을 수 있다. 먼저 어린 시절 養育에 의한 不安定한 狀況은 幼兒的 退行을 보이게 했으며 加虐과 被虐의 틀에 묶어 自我分裂로 文學的 形象을 만들었다. 또한 不安은 自斃的 空間인 ‘방’에서 倦怠的 게으름의 시간인 ‘잠’으로 보내게 하였다. 고립된 ‘방’에서의 소모하는 ‘잠’은 ‘돈’이라는 權力의 흐름에 의해 만들어진 時間과 空間이다. 이것은 自我分裂症的인 現象을 낳게 하였다. 또한 李箱 文學에서 나타난 不完全한 自意識의 病理現象, 즉 存在論的 意識에 의한 文學 表出은 主體消滅과 脫出慾望이라는 藝術世界로 펼쳐졌다. 죽음에 대한 不安은 現實世界를 逃避하고자 하는 꿈을 갖게 하였으며 自嘲的이고 절름발이라는 近代的 人間이 不安을 克服하고자 하는 理想的 藝術世界를 그리게 한다. 不完全한 自意識은 自己疏外나 自己閉鎖를 갖게 하여 囹圄된 삶을 살게 하였다. 또한, 囹圄된 삶은 절름발이 사랑의 美的體驗으로 이어졌다. 이런 二律背反的인 問題를 마지막으로 不安을 解消하고자 죽음慾望을 선택하게 된다. 죽음慾望은 不安이라는 精神 病理에서 脫出하고자 하는 그의 理想鄕이다. 이 理想鄕은 李箱이 꿈꾸는 새로운 삶에 대한 挑戰이며 살고자 하는 慾望을 나타낸 것이라 본다. 本稿에서 논의한 李箱 文學에서의 病理는 단순한 身體病理뿐만 아니라 그의 精神 病理的인 部分까지 다루고 있어 人間이 가진 存在에 대한 不安과 疏外感은 社會的 不安을 동반하여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李箱 藝術世界에 나타난 近代의 不合理性과 病的인 現象들은 現代社會의 人間이 겪는 不安과 疎外現象을 再 照明해보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 그 意義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hology found in the art world of Lee Sang. This paper reasoned where the pathology called "anxiety" which drove him to write came from and how it was shaped in his works and expressed in his art world.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lay in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basis of his "anxiety" and "sense of alienation." In particular, his literary works were regarded as "the product of anxiety from beginning to end and this cast the sense of crisis at incomplete self-consciousness in modern literary works. The cause of such sense of crisis seems to be interconnected with his life, Korea's situations as a colony, and autistic elements towards modernization. Going beyond projecting simple personal experiences, Lee Sang expressed anxiety and sense of alienation in his works mirroring characters with such pathology in the society. On top of this, he also embodied a sense of alienation based on his experiences where he felt alienated, vague anxiety about survival. This is the pathology in Lee Sang's art world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lies in looking into one aspect of human types by understanding his literary works and examining psychological phenomenon of an individual, the writ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basis of pathology, expressions of pathology and desire for escape using mind analysis and psychoanalysis methods. First of all, there were sense of alienation and anxiety resulting from complex feelings about adoption beneath his pathology. He was raised by his father's elder brother not by his biological father and grown up in an environment where he needed to take care of both families. Lee Sang was mentally mortgaged to his uncle and afflicted with anxiety throughout growing up. The extreme symptoms of anxiety was aggravated by tuberculosis accompanied by hemoptysis. As an intellectual, he also perceived the experience of colony life in a modern society very sensitively. Indiscriminate modernization of the colonized nation made him suffer from the anxiety of the time between the values of the 19th century and 20th'. Personal psychological anxiety and social anxiety were interlinked underlying his pathology, leading to schizophrenia. Several pathological factors of sexual deviation and schizophrenia can be found in expressions resulting from isolation and alienation from anxiety. Unstable conditions in his childhood led to regression and literary expressions bound by sadism and masochism. In addition, "anxiety" caused schizophrenic symptoms in an autistic space and time. Besides, the pathology of incomplete self-consciousness in his works, in other words, literary expressions from ontological consciousness were described as extinction of a subject and desire for escape. Anxiety about death led to a desire to escape from the real world and to imagine a ideal world where a self-scorning, crippled modern human being tried to overcome anxiety. The incomplete self-consciousness made him live a life confined in self-alienation and self-enclosure and this life lead to a aesthetic experience of lame love. Lastly with this antinomic issue, he chose desire for death to relieve anxiety. Desire for death was utopia of Lee Sang trying to escape from the pathology-anxiety. This utopia was a challenge toward a new life of his dream and expressed his desire to live. As the pathology in Lee Sang's works examined in this study covered not only physical but also his mental problem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sense of alienation and anxiety about existence of human beings are accompanied by social anxiety. In other words, modern irrationalism and pathological phenomenon shown in Lee Sang's literary world can find its meaning in giving an opportunity to revisit the anxiety and sense of alienation of people in a modern society.

      •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세계 연구 : 배경을 중심으로

        이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0

        구스타프 클림트는 시대흐름에 의하여 다양한 예술을 접하고 자신만의 세계관을 창조시켜 현대 예술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장식적이고 감각적인 클림트만의 예술세계로 세상을 매료시켜 그의 흥미로운 삶과 작가의 특징적인 경계가 없는 화법에 사람들은 아직도 빠져들고 있다. 그러나 작품의 특징적인 화려함으로 인해 작가의 이야기보다는 시각적 아름다움에 사로잡혀 외려 작품에 대한 이해는 경시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클림트 캔버스 속에 실존했던 많은 인물들과의 얽힌 이야기에 집중되어 많은 경우 이야기와 화려함에 매료된 결과 나머지 그림의 배경의 역할을 놓치게 된다. 이는 클림트 그림을 감상하는 이들이 보통 화면 안에서 배경과 인물을 구분지어 놓고 인물을 주인공으로 먼저 보기 때문인 것이다. 중년기에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은 클림트는 기본적인 18세기 계몽주의 틀에서 벗어나 곡선사용과 장식적이고 이국적인 문양을 착용하여 환상적인 작업들을 남긴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 속 클림트가 사용한 기술과 그의 생애를 통해, 그는 작품 속 화면 안의 인물과 배경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작가의 철학이 담긴 배경문양만으로도 그림 자체가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전달한다. 배경은 인물을 받쳐주는 역할이 아니라 캔버스 안에서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전체 내용을 품고 의미를 간접적으로 설명하며 화려함으로 말을 아낀다. 특징적인 색감과 선이 주는 안정성, 인물과 배경의 조화로서 자아내는 몽환적인 느낌, 반복적인 상징적 문양사용은 클림트만의 예술성이다. 아르누보의 시작과 함께 그림 속 배경이 의미를 갖게 되며 그는 화면 안에 단순히 그림뿐만이 아닌 더 많은 개념을 담으려고 하였다. 클림트의 작품 배경과 인물을 감싸는 이미지 문양들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 안에 의미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확고하게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배경이 돋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클림트가 살았던 시대 속 그의 생애를 살펴보며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클림트 그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배경문양과 상징을 해석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유로운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클림트는 당시 시대의 이성적인 틀을 깨고 감성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예술을 발전시켜 화려한 자신만의 황금시대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화법으로 재해석한 명작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황금의 클림트'로만 흔히 여겨지고는 한다. 클림트 생애를 중심으로 시대의 영향과 예술세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로서 고정되는 그의 세계관과 배경의 중요성을 확인해보았다. 스쳐지나갈 수 있는 작품 속 작은 것 하나에도 상징을 부여하고 배경과 인물의 정해진 역할의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것을 살펴볼 수 있는 시대를 앞서나가는 작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림트의 작품이 단순한 시각적 아름다움으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다양한 미적 가치를 담아 재해석됨을 증명하고 작품 속 배경의 중요성에 대해 중심을 두고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Gustav Klimt met a variety of arts along through the times creating his own art world, which influenced the modern art. Klimt captivated the world with his decorative and sensuous artistic world, and people are still falling in love with his interesting life story and the characteristic borderless style of painting. However, due to the splendor itself, deep understanding of the work is neglected because people are captivated by the visual beauty rather than the story of the artist. In addition, it is focused on the intertwined stories with many people who existed in Klimt's canvas. As a result of being fascinated by the relation story and sparkling, the role of the background of the rest of the painting is lost. This is because those who appreciate the painting usually distinguish the background from the person on the screen and decides the person as the main character first. Klimt, who was influenced by Art Nouveau in his middle age, departed from the basic framework of the 18th century Enlightenment and started to work by using curved lines, decorative and exotic patterns. Through the techniques used by Klimt and his life in this trend of the times, he conveys that the characters and the background in the work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nd that the painting itself can be completed only with the background pattern containing the artist's philosophy. The background does not only support the character, but it also embraces the entire content that the artist wants to communicate within the canvas, explaining the meaning indirectly, saving words with beauty. The stability of distinguished colors and lines, the dreamy feeling created from the harmony of the character and the background, and the repetition of symbolic patterns are Klimt's own artistry. With the beginning of Art Nouveau, the background in the painting obtained meaning, and he tried to include more concepts than just painting. The background of Klimt's work and the image patterns surrounding the figure appeared repetitively, making the meaning of the background stand out because the artist's content wanting to express was already firmly established.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ed by examining Klimt's life in the era which he lived, understanding the art world he wanted to pursue and interpreting the background symbol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Klimt's paintings. As it can be seen from his free works, Klimt broke the rational frame in the time he lived and reached his own splendid golden age by developing his own art in an emotional and experimental way. However, despite the many masterpieces reinterpreted in various painting techniques, he is often regarded only as the 'Golden Klimt.' Focusing on Klimt's life, the influence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in the art world we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his world view and the importance of the painting's background. Klimt was an artist ahead of his living time who add meaningful symbol to even smallest things in his works that can be overlooked and break the stereotypes of the fixed roles of background and character.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prove Klimt's art work not only to be valued as a simple visual beauty, but reinterpreting them carrying the artist's various aesthetic values and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importance of the background.

      • 조택원의 예술세계에 나타난 민족적 성향에 대한 연구

        임희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0

        이 땅에서 무용은 1926년 이시이바꾸(石井漠)의 신무용 공연을 기점으로 그 이전 봉건적이고 유교적 이념으로 인해 천시 여겨지던 무용이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잡고 인식되어졌다. 신무용은 이전에 춤 자체를 중시했던 것과 달리 창작자 개인의 창조성과 예술성이 중요시되는 무대 위의 춤으로 정착되는데 조택원은 최승희와 더불어 석정막의 문하생이 되면서 신무용의 한국 토착화를 가속화시키고 활발한 활동으로 신무용을 한국 근대춤의 전형으로 만든 인물 중 한 사람이다. 본 논문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일본에 의해 수동적이고, 일반적으로 행해질 수 밖에 없는 활동조건 속에서도 춤의 주체적인 정립이라는 측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했던 조택원의 예술관과 작품에 나타난 민족적 성향에 대한 가치부여를 배가시키고자 하며 근대춤에서의 조택원의 존재와 민족적 의의를 조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이론적 배경으로 그 당시 사회, 문화적 상황 및 민족성의 개념을 살펴봄으로서 근대춤에서의 조택원의 활동과 예술관, 대표작품에 나타난 민족적 성향을 추론해 나갔다. 그 결과 조택원의 예술세계는 첫째, 개화기의 급속한 외래문화의 유입에 '춤'이라는 보편성으로 공감할 수 있는 민족성을 띈 전통적 소재와 내용의 특수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택원의 활동은 과도기적인 춤양식인 신무용을 급작스럽게 유입된 서구적인 형식과 전통 형식의 결합이라는 민족적 성향과 세계화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국춤의 현대적 발전을 이루었다. 셋째, 신무용기 조택원은 전문 무용가로서 무대 위에서 정립된 동작과 관객을 위한 양식의 고착화를 이루고 예술적 세련미와 '순간적으로 포착되는 시적 이미지'라는 인상주의적 강한 표현력을 높이는 창작 활동으로 개인의 창조성과 예술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이러한 그의 예술세계는 당시 각광받는 것으로 신무용이 서구적 기법과 한국적 기법을 적당히 맞물리는 등의 의식 없는 혼용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창작작업에 있어 그가 추구했던 신무용의 내적 표현과 인상주의적 표현력은 영감과 예민한 감수성의 표현이라는 창작의도를 잘 나타내어 주는 역할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본질적으로 창작을 위주로 하는 예술로서의 신무용이, 미치는 결과에 관계없이 창작하는 개인의 가치관이나 판단에 의한 자율권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조택원의 민족적 성향을 조명함으로써 역사적 참여와 문화적 창조가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는 예술 활동으로의 무용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되길 바란다. With Ishihi-baku's Shinmuyong (new dance) performances in 1926 as the starting point, dance, on this land, which had been looked down upon as being vulgar due to feudalistic and confucianistic ideologies, gets established and recognized as one field of art. Differently from prior laying of importance on dance itself, shinmuyong gets settled down as a dance, on stage, of which the creativity and the artisticality of the creator are regarded as important. Cho, Taek-won, together with Choi, Seung-hee, became a pupil of Ishihi-baku(Seok, Jeong-mak), and accelerated the settling down of shinmuyong in Korea. He is one of the figures who made shinmuyong a model of Korean modern dance. This thesis intends to double the value endowment regarding the ethnic group inclination as they appeared in Cho, Taek-won's art view and works of art. It has as its objective the illumination of Cho, Taek-won's existence and the ethnic meaning. Under the conditions of activity in which they could not but be passive and general due to Japan, in the situation of the time in which it was the forcible rule by the Japanese Empire, he had been engaged in lively activities in the aspect of the independent standing of dances. As such,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taking a look at the society, cultural situation, traditions, and the concept of ethnicality of the time, Cho, Taek-won's activities and art view in modem dance and ethnic inclinations as they appear in the representative works of art are reasoned out. As a result, Cho, Taek-won's art world, first, showed traditional subject matters which have the ethnicality that could be felt together with the universality of what is called 'dance' in the rapid influx of foreign culture during the flowering time and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contents. Secondly, Cho, Taek-won's activities achieved the modern developments of Korean dance with the ethnic inclination of combining the suddenly flowed in Western forms and traditional forms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activities from the transient dance mode shinmuyong. Third, the shinmuyong dancer Cho, Taek-won, as a professional dancer, showed his personal creativity and artisticality in his creative activities. Dance actualized protruding actions and the adherence of the modes for the audience. There were the artistic sophisticatedness and the 'instantly capture images'. And, thereby a positive succession by tradition was achieved, in which the impressionist strong ability to express was heightened. Fourthly, his art world was recognized at the time. Despite the criticism that shinmuyong comes from such unwitting mixture as vaguely attaching Western techniques and Korean techniques, in the creative activities of today, the internal expressions and the impressionist ability to express of shinmuyong which he pursued play the role of showing well the creative intentions such as the expression of inspirations and the sensitivities. Regardless of the results influenced by shinmuyong, as an art which is essentially creation-centered, in the aspect that the right to freedom regarding the system of values and the judgments of the creating person are possessed, and by illuminating the ethnic inclinations of Cho, Taek-won, dances, as artistic activities, this thesis is hoped to be utilized as a basis for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of dances, as artistic activities that achieve harmonious balances of historical participation and cultural creations.

      • 蒼巖 李三晩의 藝術世界에 관한 硏究

        이점숙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논문은 조선후기 서예가인 창암 이삼만의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이다. 창암 이삼만은 조선후기, 민족자존의식과 고유색 현양의 대표 서맥인 동국진체 말기를 살았던 인물로서 영조 46년(1770년)에 전주 자만동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윤원, 호는 창암 또는 강암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그가 태어난 영조 46년은 조선후기의 문예부흥시대로 불릴만큼 문예중흥의 기운이 날로 성해가던 시기로 가사문학의 등장과 판소리, 회화에서는 우리땅, 우리의 산하를 그리는 진경산수, 그리고 서예에서는 '동국진체'라는 새로운 서체가 활발하게 대중속에 뿌리내리는 시기였다. 인조반정으로 율곡학파가 정권을 장악한 이후 조선성리학의 학문적 심화와 토착화가 이루어 졌고, 석봉체의 토대위에 안진경체를 접목한 서체였던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의 서풍인 양송체가 등장했다. 18세기 초는 한국서예사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시대로 평가받고 있는데 이는 민족 정서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한 동국진체의 출현을 그 대표로 들 수 있다. 민족의 진정한 서체로 일컬어지는 동국진체는 중국서예와의 차별성을 학보하기 위하여 한국적 조형정신을 구현하는데 큰비중을 두고 있다 . 동국진체(東國眞體)는 공제의 영향 아래 옥동이 한국 서예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했으며 그것을 완성하고 대중화시킨 사람은 원교 이광사였다. 그리고 이광사의 서맥을 이어받아 동국진체를 계승한 사람이 창암 이삼만이었고 그 외에도 해남윤문계의 서맥,아암 혜장선사나 다산 정약용등의 서맥으로도 동국진체가 호남의 서맥의 흐름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암은 항상 자연과 벗하면서 널리 유람하는 삶을 살았으며 자연주의적인 요소를 예술로 승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창암은 대자연을 느끼면서 서예를 예술로 승화시켰고 독특한 자가풍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조선의 장지나 우리의 붓, 벼루 등 토속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자연론에 입각한 행운유수체를 독자적으로 개척하였다. 창암의 생애에서 또 한가지 우리 후학들이 본받아야 할 점은 부나 권력에 쏠리지 않고 노력에 노력을 거듭하여 열개의 벼루를 구멍내고 천자루의 몽당붓(磨穿硯 凡盡千毫)을 남겼다는 것은 그의 인내와 예술혼, 그리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세를 잘 보여주고 있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비록 내일의 절망과 가난이 엄습해 올지라도 항상 임서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는 일일 것이다. 오랫동안 서구적 교육을 받고 서구방식에 익숙해진 우리 젊은이들은 모든 정통예술에 낯설다. 오랜 세월을 거쳐서야 고려청자의 비색(翡色)을 감지할 수 있게 되듯이, 서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독서와 오랜 실습이 필요하다. 또한 자신을 성급하게 나타내려는 조급함을 눌러 참는 오랜 인내가 필요하다. 조선성리학의 태동과 민족정신의 고취 우리것을 찾기 위한 선조들의 노력, 그리고 벼슬이나 인욕에 휩쓸리지 않고 부단한 노력과 인내로 우리 서예를 찾기 위해 정진했던 창암 이삼만의 예술 정신에서, 우리는 다가오는 미래에 진정으로 준비해야할 작가정신을 찾아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서예는 아직 과학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자연예술이며, 인간성, 인간미, 인간의 체온을 가장 잘 반영하는 예술이다. 왜냐하면 「서여기인(書加其人)」 즉, 서예는 바로 그 사람을 완전하게 반영하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것이 기계화 되는 21세기에는 기계속에 사는 인간들이 잃어버린 인간미에 대해 강한 향수를 느끼게 될 것이고, 인간의 손으로 만든 예술에 대한 강한 애착을 느끼게 될 것이다. 즉 서예는 그 향수에 대한 충족물로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21세기를 대표하는 예술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an investigation into the artistic world of Changam Lee Sam-man, the master calligraph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Changam Lee Sam-man lived the period when the popular calligraphic style was Donggukjin style, which wa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reflecting the self-esteem of Korean people and the unique Korean features. Born in Jamman-dong, Jeonju in the 4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70), he had a pen name of Changam or Gangam in addition to his real name of Yunwon. The year he was born was part of the revival period of literary ar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saw the lively trend increasingly gain power every day. There appeared the new literary genre called Gasa, which was an old form of Korean verse, and Jingyeong landscapes in which the artists depicted the land, mountains, and rivers of Korea not China. In the field of calligraphy, the new style called 'Donggukjin' began to take its roots down among the public. The school of Yulgok took over the government following the restoration action for King Injo, which prompted the Neo-Confucianism of Chosun to grow intense academically and gain the native colors of Korea. Wooam Song Shi-yeol and Dongchundang Song Jun-geol created a new calligraphic style called Yangsong, which integrated the Seokbong style with the Ahn Jin-gyeong one. The early 18th century is considered to have witnessed the most fascinating achievements in the calligraphic history of Korea of all time. One prime example of those achievements is the Donggukjin style, which took the affection of Korean people more actively into the works. Being called the true Korean calligraphic style, the Donggukjin style placed a great emphasis on realizing the Korean formative feature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Chinese calligraphic styles. One of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Changam's artistic world identified during the investigation was the fact he sublimated naturalistic elements into artistic expressions leading a life and wandering around in nature throughout his life. In the process of feeling Mother Nature with all of his body and soul and turning it into his own artistic works, he finally found his own unique style. Another aspect of his that today's generations seem to need to imitate is the way he worked and worked without being tempted by wealth or power. 1,000 stubby writing brushes and ten ink stones that he wore down till there was a hole prove how hard and consistently he worked for his arts based on his patience and artistic spirit. It's a really touching episode that he never failed to practice Lin Shu even though he knew there would be despair and poverty for him the next day. Today's young generation feels unfamiliar with every genre of traditional Korean arts being accustomed to the Western ways after receiving Western education for long. Just as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for one to appreciate the light blue colors of Goryeo celadons, one needs to see and practice lots of calligraphic works to understand calligraphy. What one needs most of all, however, is patience to defeat a hasty urge to express oneself. Looking at the ancestors' efforts to admire and promote what's Korean after the rise of Chosun's Neo-Confucianism and Changam Lee Sam-man's artistic spirit full of ceaseless hard work and patience toward what's Korean calligraphy and wanting in personal desire for offices or money, we will be able to find a true spirit of an artist for the upcoming future. Calligraphy is a pure natural art not stained with science yet and best reflects humanity, human touch and human warmth. In the 21st century when everything will be mechanized and people will have a strong nostalgia for the lost human touch being surrounded by machinery, there will appear an intense affection for the arts made by human hands. Calligraphy will grow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s in the 21st century meeting the nostalgic needs and being adored by many people.

      • 김계옥의 예술세계와 「아리진도」 음악분석

        정민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0

        This study looked into the world of music by Kim Gye-ok(金桂玉) and the music piece titled "Arijindo." In a bid to properly understand pieces by Kim Gye-ok, this paper looked into the life and the world of music by Kim Gye-ok, and this paper aims to pursue the ways to more effectively perform "Arijindo." The scope of study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to the life and the world of art by Kim Gye-ok, in order to understand Kim's pieces. The first is the life of Kim Gye-ok, which was again divided into the parts of Kim Gye-ok's childhood days, the time when the artist went to an art school in Yanbian(延邊), the time when the artist belonged to the singing and dancing troupe of Yanbian and the time of the artist at the ChungAng university's colle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econd part about the artist's world of music was looked into the parts about the art activities, education activities, original creation of gayageum performance pieces and the analysis into "Arijindo." Kim Gye-ok was born on March 20 in 1957, and Kim Gye-ok in the childhood was so fond of music that he liked to toy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From the days of going to the Andohyeon elementary school, Kim started to play music from playing viola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music teacher, and, from then on, in 1973, Kim entered the art school in Yanbian by playing the accordion, but soon changed his mind and started to learn gayageum, after learning to the An Gi-ok sanjo(安基玉 散調), or the solo performance. From then on Kim Gye-ok started to pursue gayageum, and found Kim Jin of the singing and dancing troupe of Yanbian and started to study the An Gi-ok gayageum sanjo. Upon graduating from the Yanbian art school, Kim Gye-ok was the solo performer for the Yanbian singing and dancing troupe for five years. In the troupe, Kim also played other percussion instruments and marimba. The time with the troupe had Kim think that gayageum is an old-fashioned instrument and Kim started to pursue original ways of performances or to write original pieces. From then on, Kim Gye-ok started to study for self-development, and made efforts to finally become the second grader recognized by the state in China. After that, Kim Jin staged an An Gi-ok sanjo performance in Korea, and that made a chance for Kim Gye-ok to get an offer from ChungAng University to become the professor for the colle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then on, Kim started to do a number of education-related and art-related activities. In Korea, Kim also started to pursue performances, together with the education activities as a professor. The art activities in Korea meant an opening of a whole chapter of life for Kim Gye-ok. Things were different from the times in China. Kim started to have disciples and taught them with passion and love. Kim considered it important to have firm foundation, and had the studentsmake practice of basic skills for one hour every morning. Kim was together with the students every morning. In order to widen the scope of gayageum performances, Kim started to teach the original pieces like "Arirang" and other pieces to the students. Kim Gye-sok's pieces were written based on the folk songs of Korea mostly, and "Arijindo" among them was born by a variation of melodies of the folk song "Jindo Arirang"in the rhythms and melodies. The piece made a debut by the artist Kim on June 10 in 2004 in the concert of the "25-string gayageum by Kim Gye-ok." "Arijindo"is one of the 11 creative works by Kim Gye-ok, and they have variation styles using different rhythms called semachi, eotmori and hwimori. In playing "Arijindo,"several techniques are required, from playing the strings continuously, playing many strings together, harmonics, tremolo, arpeggio, beating down the strings, ostinato and beating the strings. These techniques were found to have characteristics of playing the string instrument of gayageum to have effects of a percussion instru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uide to understand and play the music style of Kim Gye-ok and by analyzing the "Arijindo"techniques, this study hopes to be a chance to be a foundation of further application to other 25-string gayageum performances. Also,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give an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styles and techniques of Kim Gye-ok. 본 논문은 김계옥의 음악세계를 알아 보고 「아리진도」를 작품분석 하였다. 본 논문은 김계옥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 김계옥(金桂玉)의 음악적 생애와 예술세계에 대해 살펴보고 「아리진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에는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 김계옥의 생애와 예술세계로 크게 2장으로 항목화 하였다. 첫 번째로는 김계옥의 생애로 김계옥의 유년시기, 연변예술학교시기, 연변가무단시기, 중앙대학교 국악대학시기로 연구하였고 김계옥의 예술세계는 예술활동과 교육활동, 김계옥의 가야금 창작품, 「아리진도」 작품 분석으로 연구하였다. 김계옥은 1957년 3월20일에 태어났으며, 어릴적 김계옥은 음악을 아주 좋아 하여 악기를 장난감 삼아 놀기를 좋아했다. 안도현 소학교 시절 음악 선생님을 통해서 비올라를 시작으로 음악을 시작하게 되었고. 그 뒤 1973년 김계옥은 연변예술학교를 아코디언으로 입학하였지만 안기옥 산조(安基玉 散調)를 듣고 가야금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후 가야금을 하게된 김계옥은 연변가무단의 김진을 찾아가 안기옥 가야금산조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김계옥은 5년간 연변예술학원을 졸업한 직후 연변가무단독주 연주자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연변가무단 안에서도 가야금과 더불어 타악기 마림바 등 다른 악기들도 연주 하였다. 연변 가무단 시절이 김계옥은 가야금이 많이 뒤처지고 옛날 것 이라는 생각에 본인의 독창적인 연주방법이나 작곡을 하게 되었다. 그 후로 김계옥은 자기 발전을 위해서 탐구하고 스스로 찾아다니면서 공부를 하게 되고, 중국에서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하여 국가 2급 연주자로 승급 하였다. 그후 김진이 한국에서 안기옥 산조 발표회를 가지게 되었는데 그를 계기로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로 제의를 받아 한국에 오게 되었고 그 후 한국에서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로 온 김계옥은 많은 교육활동과 예술활동을 하게 되었다. 김계옥은 한국와서 교수로서 교육활동과 더불어 연주활동도 함께 하게된다. 한국에서의 예술 활동은 김계옥에게 중국 에서와는 또 다른 삶이시작 되었다. 제자들이 생기면서 제자들에게 열정과 사랑을 쏟는다. 학생들의 기초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아침마다 학생들과 함께 기초연습을 한 시간씩 연습하였다. 김계옥은 보다 많은 가야금 연주곡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자신이 작곡한 아리랑과 여러곡들을 제자들에게 가르치게 된다. 김계옥의 작품은 대부분 우리나라 민요를 중심으로 작곡되어 있으며 그중 김계옥의「아리진도」는 민요「진도아리랑」의 선율을 장단의 변화와 선율 변주로 이용하여 만든곡으로 2004년 6월 10일 개최된 “김계옥 25현 가야금 발표회” 에서 작곡자 김계옥 자신에 의해서 초연되었다. 「아리진도」는 김계옥의 창작품 11곡 중 한 작품으로 장단에 따라 세마치장단, 엇모리장단, 휘모리장단으로 변주된 형식으로 되어 있다. 「아리진도」의 연주 기법으로는 이어뜨기, 여러줄훑기, 하모닉스, 트레몰로, 아르페지오, 내려치기, 오스티나토, 때리기주법등이 있고 특히 새로운 연주 기법인 내려치기와 때리기주법을 통해 가야금을 통해서 타악기적 효과을 낸것이 특징인 작품으로 확인 된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김계옥의 음악양식을 이해하고 연주하는데 지침이 되었다고 보고 「아리진도」 주법분석을 통해서 다른 25현가야금 연주곡에 다양하게 주법을 응용할 수 있고 또 김계옥의 음악양식과 주법등을 이해하는데 계기가 되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