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황성신문』과『대한매일신보』의 의병 인식 비교

        조영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92

        이 논문에서는 계몽운동의 가장 중요한 대변지였던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義兵 인식을 중기의병과 후기의병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병 기사에 대한 연도별·지역별 및 주제별 분류에서는 기사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대한매일신보』의 의병 기사가 총 3,988건수로 641건의 『황성신문』보다 6.2배 정도가 많았다. 두 신문 모두 1907년 후반기의 의병 기사가 가장 많아 군대해산이 의병항쟁의 도화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역적 분류에서는 두 신문 모두 경기도의 기사량이 가장 많았으며 경남 지역이 가장 적었다. 주제별 분류에서는 『황성신문』이 『대한매일신보』에 비해 의병 진압 기사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두 신문의 집필진의 성격 차이에서 비롯된다. 『황성신문』의 참여자들은 실력양성의 입장에서 의병 활동의 무모성을 지적하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일관하였다. 그러나 『대한매일신보』의 집필진들은 신민회의 기관지로 전화하면서 대변지의 역할을 다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1907년 9월부터 별도의 고정란을 통해 의병의 활동을 상세히 보도하였다. 둘째,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보도 내용에서는 의병과 의병항쟁 인식에서 상당한 차이가 드러난다. 『황성신문』에서는 의병을 가리켜 ‘義徒(의도)’ 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썼고 ‘匪徒(비도)’, ‘暴徒(폭도)’, ‘義匪(의비)’, ‘賊漢(적한)’, ‘義兵(의병)’을 혼용하였다. 의병대장도 ‘義兵將(의병장)’보다 ‘匪徒魁首(비도괴수), ‘義兵魁首(의병괴수)’ 등으로 많이 불렀다. 내용에서는 의병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작폐를 일삼는 것을 문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다만, 비교적 의병장의 의기는 높게 평가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의병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 정부나 일본군의 의병 진압에 무게를 두어 서술하였다. 이와 달리 『대한매일신보』에서는 기본적으로 ‘의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의병대장을 가리켜 ‘의병장’이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義徒(의도)’, ‘匪徒(비도)’, ‘匪徒魁首(비도괴수)’, ‘義兵魁首(의병괴수)’ 등의 용어를 혼용하였다. 기사 내용에서도 『황성신문』과 마찬가지로 의병이 백성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것을 강도 높게 비판하였다. 그러나 백성에게 폐해가 없는 의병의 활동을 칭찬하였으며 의병의 성언이나 의병의 자신있는 모습도 적극적으로 게재하였다. 아울러 의병의 세력과 활동에 관심을 두었으며, 정부와 일본군의 무리한 의병 진압, 친일파의 악행을 직설적으로 비판하였다. 『황성신문』에 싣지 않은 만주와 연해주 의병에 대해 호의적으로 보도한 것은 『대한매일신보』가 의병 전쟁이 독립운동사에서 독립군의 기초가 되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기사화하여 반영한 것이다. 이는 두 신문의 현실인식 및 민족운동의 노선 차이에서 비롯된다. 점진적인 문명개화를 강조했던 『황성신문』의 자강개혁사상은 국권회복의 한 방법인 무력적인 대응 즉 의병을 인정하지 않았다. 『대한매일신보』역시 당시 계몽운동을 하던 신민회 회원 대부분이 필진으로 있으면서 무력항쟁보다는 실력양성에 중점을 두었던 점에서는 인식의 한계를 보인다. 그러나 군대해산을 계기로 점차 의병 활동을 인정하고 지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의병의 방법론에 대해 일부 긍정하고 그들의 행동을 ‘義擧(의거)’로 파악하였다. 이는 신민회의 방략 수정에 따른 것이었다. 신민회는 1908년경까지는 ‘선실력배양 후독립론’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가면서 ‘선독립 후실력양성론’의 입장으로 전환시켜갔다. 셋째, 논설에서도 『황성신문』에서는 의병에 대한 일관되게 부정적인 관점을, 『대한매일신보』에서는 계몽 운동의 관점에서 의병 운동의 방법론을 수용하는 태도 변화를 보였다. 『황성신문』은 의병이 일어난 동기와 애국의 정신을 인정하고 의병이라 칭하며 도적질하는 무리 때문에 의병이 폄하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러나 줄곧 의병이 백성을 해치며 국가를 멸망을 재촉하는 것이므로 활동의 중지를 요구하였다. 먼저 실력을 양성한 후에 국권회복을 성취할 것을 주장함으로써 의병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논조를 견지하였다. 이는 일제의 침략에도 현실을 정확하게 꿰뚫어보지 못하고 의병항쟁을 국권회복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지 못한 『황성신문』계열 계몽사상의 한계이다. 그러나 일본군의 의병진압에는 부정적이었다. 정부에 대해서도 폭동의 폐단을 제거하기 위해 효유와 선유를 우선시할 것을 주장하면서도 진압이 불가피하다고 하면서, 일본군에 의한 의병소탕에 이르지 않도록 누차 경고하였다. 일본군의 무자비한 의병진압에 대해서도 暴徒(폭도)의 진압이 아니고 도리어 소란을 일으키게 한다고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군대해산에 대해서는 일본의 침략 의도를 간파하기보다는 의병의 소란이 급하게 군대를 해산한 데 있음에 비판의 초점을 맞추면서 그 진압 방책을 강구할 것을 충고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군대해산 이전까지는 『황성신문』과 동일한 관점에서 의병운동을 비판하고 종용을 권하였는데 국권회복을 위해서는 실력을 양성하였다가 때를 기다려 신중하게 행동할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농민 의병에 대해 직업이 없는 무뢰배로 匪徒(비도)와 다를 바 없다고 하여, 일반 농민이 봉기한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1907년 8월 군대해산 이후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일제의 국권침탈이 가속화되는 현실을 직시하고 전국이 의병의 전쟁터화가 되는 현상을 목도하면서 의병에 대해 ‘독립당’이라고 두둔하였다. 아울러 일본의 고종의 강제 퇴위와 급속한 군대해산이 의병을 일으킨 원인이 되었다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그 참상을 누차 보도하였다. 또한 의병과 민간인을 구분하지 않는 일본의 야만적인 의병진압책이 오히려 의병을 증가시킴은 당연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에 무능력하게 대응하는 정부의 잘못을 성토하고 일본의 의병진압을 호도하는 『국민신보』와 의병진압에 앞장서는 일진회를 강도높게 비판하였다. 그러면서 의병을 종식시킬 방안으로 무고한 양민에게 전혀 피해를 입히지 말고 의병과 관련있는 자라도 지나친 처벌을 가하지 않을 것을 주장하였다. 정부 당국자에게는 자신보다 백성들의 평안을 먼저 생각하여 소요를 종식시킬 것을 당부하였다. 나아가 『대한매일신보』는 간접적으로나마 의병항쟁을 촉구하였다. 20세기가 군사력을 숭상하는 혹독한 시대정황을 설명하면서 우리도 무력 숭상 교육이 절실히 필요함을 역설하며 현실적인 무력 증강 준비를 주장하였다. 이는 애국계몽운동 계열인 『대한매일신보』가 국권회복의 방법으로써 실력양성의 틀을 벗어나 독립전쟁 준비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요컨대 『대한매일신보』는 신민회의 기관지로 전환된 이후 신민회의 목적과 노선을 충실히 대변하여 언론구국투쟁을 전개했다고 볼 수 있다. 『대한매일신보』의 의병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적극적 보도 태도는 신민회의 국권회복노선과 직결되었던 것이다.

      • 西間島 獨立運動과 新興武官學校

        양춘식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73

        Since Eul-sa Forced Treaty (乙巳勒約), a pyramid of groups with different inclinations participated in enlightenment movement to regain national sovereignty. Accordingly there were various and complicated opinions caused by social status differences, the disparities of reality recognition and the discrepanci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directions within the line of enlightenment movement. In 1910, they came to fac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n were divided into small groups to overcome current difficulties in those days. This trends led to two directions. One was to the national education and the inspir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the other was to the theory of armed struggle.The armed fighters stressed the national isolationism (國粹主義) and nationalism (民族主義), not a social evolutionary theory, and tried to regain their sovereignty with the help of peoples'' voluntary independence movement, not people ignorance in reality. They thought of the theory of armed struggle as a new strategy to fight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on the basis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at the end of Daehan (大韓帝國) and the spirit of the fighters against japanese invasions. The autonomous settlement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m overseas, nurtured the competence of independence fighters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the enhancement in ability, modern education, national education and the inspir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proceeded to drive ‘the movement of constructing a base in the independence fighters of West-Gando’.The drive for constructing the base in the independence fighters of West-Gando in Manchuria in China was started by the initiativ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inmin-Hoe (新民會) with different inclinations for the purpose of fighting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in 1910. The main body consisted of the participants of the confucian scholars around An-dong areas and Sangdong Young Men''s Association within Sinmin-Hoe. Sangdong Young Men''s Association, which was composed of lower and middle nobilities around Gyeonggi areas, fighters of the Dokryphyuphoe (獨立協會) and military officers, attempted overseas and domestic independence movement and constructed the base of the independence fighters after Eul-sa Forced Treaty (乙巳勒約) was concluded. And, confucian scholars and patriots in Andong were associated with Sinmin-Hoe through their activities in Hyeopdong school and Andong branch of Korean Association and took active par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reafter, a theory of independence fighting sprang within Sinmin-Hoe around 1908. In 1910, the confucian scholars(Lee Hoe Young, Lee Dong Ryeong, Kim Chang Hwan, Yeo Joon, Lee Kwan Shik, etc) around An-dong areas and Sangdong Young Men''s Association(Lee Shang Ryong, Kim Dong Sam, Ryu In Shik, etc) moved to Samwonpo in the West-Gando and continued to drive the movement of constructing a base in the independence fighters of West-Gando.The autonomous settlement institutions such as Confucian Classics (耕學社), Bumindan (扶民團), and Hanjokhoe (韓族會),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West-Gando, arranged for the foundation of independence fighters through activities such as e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 people, the enhancement in economic basis, the security of legal status of Korean people, through the negotiation with China on the national education and the inspir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Shin 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was an institution that was established to bring up independence fighters through the national education and military-officer education based on these autonomous institutions. Furthermore, the persons concerned in Shin 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proceeded to practice the theory of armed struggle by organizing Shin Heung schoolmate group and establishing Baekseonongjang (白西農庄).The Military Government (軍政府) and Soro-kunjongso (西路軍政署) organized in West-Gando adhered strictly to the position of the theory of armed struggle, thus it attempted to achieve the complete independence in Korea through the independence war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utonomous settlement groups and Shin 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in each period, which had been organized in Chugaga (鄒家街), Hapniha (哈泥河), and Gosanja (孤山子) of West-Gando, was in charge of the role of producing core competent people abroad throughout the 1910s and the early 1920s. And, independence fighters produced by this school, offered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group of independence fighters and for the anti-Japanes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proceeded to practise the theory of armed struggle, sinc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1905년 乙巳勒約의 체결 이후, 國權恢復의 목표 아래 전개된 啓蒙運動에는 이념을 달리하는 다양한 집단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계몽운동 노선 내부에서는 계급적 차이, 현실인식의 차이, 그리고 그로 매개된 운동론의 차이에 따른 차별적인 견해들이 복합적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이후, 1910년 일제의 한반도 강점이 현실화되자 계몽운동 노선 내의 이념을 달리하던 각 집단들은 다시 분화․자립할 수밖에 없었다. 이 분화와 자립은 크게 문명개화론적인 實力養成論의 발전과 武裝抗爭論의 대두의 두 방향으로 나타났다.무장항쟁론을 주창한 세력들은 이시기에 이르러 종래 계몽운동 노선의 愚民觀에서 벗어나 國權恢復運動의 주체로 民衆을 발견하고, 근대 지상주의적인 社會進化論 대신 民族主義와 國粹主義를 강조하고 있었다. 계몽운동 노선이 주도한 실력양성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동시에 인식하기 시작한 이들은 韓末의 계몽운동 계열과 義兵戰爭 계열의 운동 이념과 논리를 합일․발전시킨 獨立戰爭論을 국권회복운동의 새로운 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국외로 집단 이주한 후, 무력양성을 기본 목표로 삼아 경제력을 포함한 총체적인 실력양성과 근대교육, 의식개혁을 통해 독립운동의 기본역량과 토대를 조성하고 배양하는 ‘國外 獨立運動과 獨立軍 基地 建設 運動’을 전개하였다.1910년대 中國 滿洲 西間島에서 전개된 독립군 기지 건설 운동은 을사늑약 체결 이후 국권회복을 위해 新民會로 결집했던 다른 경향의 여러 집단들이 亡國을 전후해 다시 자립해 가는 과정에서, 畿湖지방의 중하류 양반층, 獨立協會의 일선 행동대, 무관학교 출신이 중심을 이룬 신민회 내의 尙洞靑年會 계열의 주도로 시작되었다. 이후, 1908년경부터 신민회 내부에서도 독립전쟁론이 대두되는 가운데, 1910년 망국의 사태에 이르게 되자 李會榮 李東寧 金昌煥 呂準 李觀稙 등 상동청년회 계열의 인사들과 신민회와의 연계 속에서 協東學校와 大韓協會 安東支會의 활동을 통해 排日 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던 李相龍 金東三 柳寅植 등 安東 지역의 儒林과 志士들은 1911년 중국 만주 奉天省 柳河縣 三源浦로 집단 망명·이주하여 적극적인 독립군 기지 건설 운동을 추진해 나갔다.서간도 독립운동 과정에서 설립된 耕學社 扶民團 韓族會 등의 民團的 자치기관들은 韓人의 이주와 정착, 경제기반의 향상, 對中 교섭을 통한 한인의 법적 지위 확보, 민족교육, 민족의식의 고취를 통해 국외 독립운동과 독립군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신흥무관학교는 이러한 자치기관을 기반으로 민족교육과 무관교육을 통한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었으며, 신흥무관학교 관계자와 졸업생들은 新興學友團과 白西農庄에서의 활동을 통해 무장 독립전쟁론을 실천하였다.서간도의 鄒家街 哈泥河 孤山子 등에 설립된 각 시기의 신흥무관학교와 여러 민단적 자치기관, 그리고 3․1운동 이후 설립된 軍政府 및 西路軍政署를 중심으로 전개된 서간도 독립운동은 1910년대 내내 그리고 1920년대 초까지 지속되었다. 그리고 서간도 독립운동은 국외 독립운동의 핵심적인 인재배출의 역할을 담당하였을 뿐 아니라, 1910년대와 3․1운동 이후의 여러 독립군 단체의 결성과 항일 무장 독립운동의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무장투쟁론의 입장을 견지하여 일제 강점기 무장 독립전쟁을 선도하였다.

      • 이동휘의 기독교 민족운동 연구 : 생애를 중심으로

        이중행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5

        이동휘는 서울에서 한성무관학교에 입학, 그 이듬해 졸업하였고, 중앙의 고위관직을 지내면서 청렴강직하고 충성스러운 무관으로 인정받았다. 이동휘는 군직에 있으면서 애국계몽운동에 적극 참여하였고, 개혁당에 가입하여 개화혁신의 정치활동을 펴기도 했다. 이후 이동휘는 강화진위대 대장으로 강화에 부임하여 교회지도자들과 교류하며 기독교에 입교하였으며, 서울에 왕래하며 민족운동 지도자들과 교류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동교회의 상동청년회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당시의 지식인들은 기독교를 쓰러져가는 나라와 민족을 구할 수 있는 힘의 종교로 여겼다. 일본의 무력적 침략에 효과적인 저항을 할 수 없는 나라의 한계를 느끼며 안타까워하던 이동휘는 나라를 구할 수 있는 방편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동휘의 기독교에 대한 각별한 믿음은 절대적이었으며, 강화도 주민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었던 이동휘의 기독교 입교는 많은 주민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동휘는 1905년 을사조약이 발표되자 민족지도자들과 비밀결사조직인 신민회를 조직하여 국권회복운동을 벌였으며, 서북학회 창립을 주도하여 본격적인 교육활동을 하였다. 이동휘의 교육활동은 그의 기독교 신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진행되었으며, 기독교를 서양문물의 전달자, 계몽운동의 수단, 구국운동의 방법으로 인식하였고 주로 서북지방을 중심으로 기독교를 통한 민중계몽운동에 주력하면서 기독교 선교와 항일 신교육 보급운동에 앞장섰다. 이동휘는 전도사의 직책을 갖고 각지를 순회하였는데, 북간도에서도 전도활동을 하였다. 북간도의 전도활동은 망명하여 항일운동의 비밀핵심 지도부의 역할을 할 광복단을 조직하게 되었다. 북간도와 노령 등지에서 항일투쟁운동을 벌이고, 김알렉산드라를 만남으로서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게 되었고, 후일에 상해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총리가 되었지만 바로 사임하고 고려공산당을 창당하여 나라를 독립시키는 항일투쟁의 방편으로 사회주의 운동을 택하였다. 이동휘는 이념보다는 민족의 이익을 앞세웠으며, 나라와 민족을 사랑한 그의 삶은 기독교 선교와 교육·계몽활동, 그리고 대한협동회·공진회·대한자강회·신민회·광복단·대한광복군정부 등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이러한 이동휘의 민족운동은 상동청년회와 관련된 것이었으며, 기독교를 개인과 나라를 위한 종교로 인식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Donghwi Lee entered Hansung Military school in Seoul, completed a course in the next year. He became a high government official. Many people recognized that he was an office of integrity. Donghwi Lee eagerly participated in a patriotic educational movement. He became a member of the Reform Party and engaged in politics for the civilizational renovation. After this, he worked in Ganghwa as a Ganghwa's garrison captain and became a Christian. And he finally was associated with church leaders. And he participated in the Sangdong Youth Fellowship of Sangdong Methodist church, worked with patriotic leaders in Seoul. In those days, intellectual thought the Christian religion was the power religion that could save Korea. Donghwi Lee who was nervous about a limit of weak Korea against Japan thought that the Christian religion could save Korea also. He had special and strong belief about the Christian religion. His entering the church influenced on the people in Ganghwa entering the church deeply. Because people who lived in Ganghwa respected him sincerely. After the Ulsa treaty announcement in 1905, Donghwi Lee organized Sinminhoi what was the system of the secret society with national leaders and started a recovery movement of national rights. And he leaded foundation of the Seobuk society and started educational activity in earnest. His educational activity was connected with his faith of the Christian religion closely. He thought that the Christian religion was a messenger of the West culture, means of an educational movement and a method of a save the nation movement. He made an effort an educational movement through the Christian religion in the northwest region mainly and he took the initiative in Christian missionary work and an anti-Japanese movement. Donghwi Lee gave priority to a national profit over a ideology. His life that loved Korea was connected to organize Daehan Hyupdohoi, Gongjinhoi, Daehan Jakanghoi, Sinminhoi, Kwangbokdan, Daehan Kwangbokgun Government, and to carry on the Christian missionary work, educ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 His national movement was related to the Sangdong Youth Fellowship and he recognized the Christian religion was the religion for not only a person but also a nation.

      • 근대 한국 기독교사회운동연구

        강종권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28

        본 논문은 근대 한국의 사회변동 현장에서 기독교가 어떻게 사회운동을 수행해 나갔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유교 핵심 교리인 효를 근간으로 유사가족 공동체를 지향했던 조선왕조는 임진-병자 양란을 치르면서 유교 사대사상의 폐해와 양반 지배계층의 문란한 당파 정치로 인해 국가의 위기를 자초했다. 특히 충성(효도)의 표시로 당연히 되돌려 받아야 할 보호마저 박탈당하고 오히려 이들의 포학과 폭정에 시달리던 피지배계층들에 의한 끊임없는 항쟁은 마침내 유교 조선의 사회체계를 결정적으로 붕괴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당파싸움에서 밀려난 남인계층과 신분의 차별로 지식의 나래를 펴지 못하던 중인층은 중국을 통해 서구의 신지식을 습득하여 조선에 은밀히 전파하고 개화 신지식층을 구성함으로써 유교 조선의 가치와 신념의 또 다른 한 쪽 기둥을 흔들어 대고 있었다. 결국 서구열강의 집요한 문호개방에 쇄국으로 맞섰던 조선에도 강화도조약 이후 서구의 물결이 밀려오고 개화의 바람이 일기 시작했다. 그러나 1884년 개화파의 혁명 실패는 조선에 반서양, 반기독교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러한 조선에 들어온 기독교는 병원과 학교를 조심스럽게 선교를 시작하고, 스며들어 조선 사회를 변화시켜 나갔다. 여기에 더 하여 혁명의 실패로 중국이나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기독교 사상으로 재무장하고 돌아온 윤치호와 서재필 등은 청일전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독립협회를 거점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을 펼쳐 흩어진 조선의 힘을 통합하고, 열강을 향해 자주 민권과 자주독립을 외치며 맞서 싸웠을 뿐만 아니라 무능한 정부를 향해 경종을 울렸다. 러일전쟁 승리 후 조선의 보호자로 자처했던 일본은 열강의 동의를 얻어 조선의 지배자가 되어 ‘민족차별적인 악법’을 제정하고, ‘천황의 충량한 신민’을 만든다는 구실로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여 조선을 식민지 노예로 만들어 나갔다. 그리고 민족교육의 장이었던 사립학교를 ‘불량선인의 소굴’로 규정하고 탄압했을 뿐만 아니라 조선인이 발행하는 모든 신문을 폐간하고 민족 자각을 일깨우는 출판물의 발행을 금지시켰으며, 종교적인 것을 제외한 일체의 정치적인 집회결사 통제하였다. 또한 ‘회사령’ 공포로 경제를 독점하고 ‘토지조사령’으로 조선의 토지를 탈취하여 식민회사에 헐값으로 팔아 넘겨 조선의 쌀을 안정되게 수탈하는 기틀을 다져나갔다. 이와 같은 강점과 상실의 시기에 기독교를 조선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보았던 조선인과 민족 지도자들은 기독교를 거점으로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해 나갔는데, 서북지방의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조직된 신민회는 실력양성을 목표로, 이전에 비기독교인으로서 독립협회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이상재도 기독교인이 되어 YMCA를 통해 시민교육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특히 1907년의 평양부흥운동은 기독교의 역동적인 집합성이 어떻게 발휘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순수한 종교적인 집회로만 보였던 이 사건은 일본 정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3・1운동이 기독교 중심의 민족 집합행동을 가능케 했던 기독교사회운동이었다. 신민회-105인 사건을 조작하여 폭력으로 기독교를 와해시키려 했던 일제는 3ㆍ1운동을 겪고 난 후 ‘문화정치’라는 기만적인 정책전환으로 기독교의 사회통합 기능을 분열시키고 시도했다. 이에 동조한 선교사들과 기독교지도자들의 기독교의 ‘순수종교화’, ‘비정치화’ 작업에 실망한 민족주의자들은 기독교를 떠나 새로운 민족운동의 거점을 찾게 되었다. 또한 기독교는 새로운 민족운동으로 부상한 사회주의자들로부터 집중적인 비난과 비판을 받으면서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리고 세계적인 경제공황에 직면한 일제는 문화정치 이면에 ‘산미증산계획’으로 조선 농촌은 절대 빈곤의 상태에 처했을 뿐만 아니라, 농촌을 떠나 도시에서 일용노동자로 살아가던 빈민들의 문제로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 사회는 심각한 공황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변동의 시기에 기독교는 사회주의자들의 비난을 극복하고 기독교사회주의를 수용하여 농촌과 도시빈민을 위해 기독교사회운동을 펼쳐나갔는데, 금주ㆍ금연ㆍ폐창의 절제운동은 기독교사회운동의 최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구세군의 극기운동과 자선냄비운동을 더한 기독교의 사회운동을 수행해 나갈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al movement had carried out its in the changing society of modern Korea. The Joseon dynasty of which doctrine was a family-like community that based on filial piety―one of the core doctrines of Confucianism―brought a national crisis upon itself through the evil practices of Confucian toadyism, the disorder of dominant class of yangban and factional politics in the wake of two wars of Imjin and Byeongja. In particular, endless contention of the subjugated class, which had been deprived of protection that they deserved in compensation for loyalty (filial piety) and rather suffered from dominant class' tyranny and atrocity, became a main cause of decisive collapse of Confucian social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Namin class which was ousted from factorial contention and the middle class which could not spread their wings of knowledge due to class distinction acquired European new knowledge through China, secretly spread it in Joseon society, and then became the civilized new intellectual class, thus shaking another pillar of Confucian Joseon's value and belief system. In the end, to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confronted with Western powers' tenacious requirement of door opening by means of a seclusion policy, the surge of Western powers rolled in and the wind of enlightenment became stronger after the Treaty of Ganghwado. However, the failure of revolution by the faction of enlightenment in 1884 heightened anti-Western and anti-Christian mood in the Joseon society. Therefore, Christianity in the Joseon society preached its gospel very carefully focusing on hospitals and schools and changed the Joseon society slowly. In addition, Yun Chi-ho and Seo Jae-pil, who had defected to China o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fter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rearmed with the thought of Christianity and returned to the Joseon society. They were active in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centering on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by going along with the chaotic social atmosphere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us trying to integrate the power of Joseon and announcing the independence of people's rights and nation against Western powers. Thus, they confronted with Western powers bravely and raised the alarm to the incompetent Joseon government. After winning the Russo-Japanese War, Japan, a self-proclaimed protector of Joseon, became the ruler of Joseon with the agreement of world powers, enacted 'racially discriminative bad laws', and promulgated 'the ordinance of Joseon education' under the cloak of creating 'people who were loyal and honest to the Japanese emperor, thus making Joseon a colonial slave. In addition, Japan suppressed the private schools―the pioneers of national education― as 'the den of delinquent Joseon people', stopped the publication of all the Joseon people's newspapers, prohibited all the publications which awaken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exercised control over all the political meetings and associations except religious ones. Furthermore, Japan controlled Joseon economy by means of proclaiming 'the Ordinance of Joseon Companies', took the land of Joseon by means of 'the Ordinance of Land Survey', and then sold the land to colonial companies at a giveaway price, thus laying the foundation of stably plundering rice in Joseon. In this period of occupation and loss, people and leaders alike regarded Christianity as the only hope for Joseon and then developed a Christianity-oriented national and social movement. At that time, Sinminhoe, which had been organized by Christians in the northwest district, carried out its activity from the aspect of cultivating capability. Lee Sang-jae, who ha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movement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s a non-Christian, converted into Christianity and then developed a Christian social movement focusing on YMCA-based citizen education. A typical incident at that time which showed the collective dynamics of Christianity was the Pyeongyang revival movement in 1907. This movement was initially regarded as a pure religious meeting but soon attracted the attention of Japanese political world. It was a Christian social movement which was able to develop a Christianity-centered 3ㆍ1 national collective behavior. The imperial Japan, which had fabricated Sinminhoe-105 people incident and then tried to violently disintegrate Christianity, converted its policy into the so-called deceptive 'cultural politics' after the 3ㆍ1 Movement, thus attempting the collapse of Christianity's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Nationalists, who were disappointed with the conversion of Christianity into 'a pure religion' and 'non-political entity' by missionaries and Christian leaders who sympathized with the cultural politics, departed Christianity and then tried to seek a new foothold of national movement. In addition, Christianity at that time was intensively criticized and blamed by socialists who emerged as new leaders of national movement, thus facing up with the crisis of identity. And confronting with a worldwide economic panic Japan established 'the plan of rice production increase campaign' under the cloak of cultural politics and thus made farming villages in Joseon degraded into absolute poverty. In addition, with the problem of poor day laborers in urban districts in 1920s~1930s made colonial Joseon society fall into a severe economic crisis. In this turbulent period of social changes, Christianity overcame socialists' blames, accepted Christian socialism, and carried out Christian social Movement for farming villages and urban regions. The peak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at this time seemed to be the temperance movement of abstaining from alcohol drinking, prohibiting smoking and abolishing licensed prostitution. In particular, Christian social movement including the Salvation Army's Self-Denial movement and Christmas Kett

      • 日帝下 基督敎 民族運動의 政治經濟思想 : 安昌浩·李承晩 계열을 중심으로

        장규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595

        본 연구는 韓國 近代民族主義의 사상이론을 계통적으로 해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던 基督敎 民族主義를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대한제국 말기 新民會와 皇城基督敎靑年會를 거점으로 대두한 기독교 민족운동은 관서지방의 신흥상공인층과 신지식층, 기호지방의 신지식층과 개혁관료층을 주축으로 하는 基督敎 政治社會勢力化의 한 매듭이었다. 이 시기 기독교 민족운동 세력은 독립협회 이래 漸進的 文明開化論의 연장선상에서 宗敎·敎育·殖産運動을 전개하면서, 기독교를 통해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실력양성의 기반이 되는 근대적 시민의식과 지식을 습득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韓日合倂’과 일제의 무단통치는 근대시민의 육성을 통한 자유문명국가, 실력양성을 통한 근대 자본주의국가의 건설이라는 그들의 당초 구상을 뿌리채 흔들어 놓았다. 그러한 가운데 ‘105人事件’을 거치며 새로운 청년 학생세대들에 의해 武裝鬪爭論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일제 무단통치를 정당화하는 社會進化論的 强權主義에 대한 이론적 극복이 시도되었는데, 그것은 共和主義와 人道主義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인도주의와 民族自決主義는 기독교세력이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에 이르는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한편 워싱턴軍縮會議를 전기로 민족자결주의가 퇴조하고 부르주아민족운동 내부에 실력양성 노선이 전면화하는 가운데, 기독교 민족운동의 개량주의적 재편이 기독교 선교의 양대 거점인 평양과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안창호 계열의 平壤YMCA·修養同友會·基督信友會 등과 이승만 계열의 中央YMCA·興業俱樂部·積極信仰團으로 대표되는 기독교계 개량주의적 민족운동의 진영이 형성되었다. 3·1운동 이후 기독교세력은 平和的인 방법으로, 世界改造의 새로운 기운에 부응하는 正義와 人道의 실현으로서 한국의 독립을 전망하고, 그 방략으로 外交論과 實力養成論을 제기하였다. 한편 1920년대 중반 대두한 사회주의자들의 反宗敎運動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세력 내부에 민족문제인식, 사회인식상의 일정한 편차가 나타났다. 그것은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사상적 결합과 민중적 기독교를 모색하는 基督敎社會主義, 近代主義에 입각한 社會福音主義로 대별되었다. 신간회의 출범 이후 기독교계의 사회참여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를 거치며 맑스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적 사회실천의 이론으로 ‘基督主義’가 등장하였다. 1929년 기독신우회의 ‘宣言’을 통해 공식 천명된 기독주의는 대공황기 반종교운동과 엇물리면서 反唯物論 이념투쟁으로 굴절되었는데, 그것은 이후 기독교계 내부에 冷戰意識이 자리잡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다. 한편 실력양성론과 더불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특징짓는 또 다른 논리는 宗敎→敎育→實業→政治로 이어지는 漸進主義였다. 기독교세력은 근대 시민의식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종교·문화운동을 모든 운동의 근본운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교육·경제적 실력양성과 정치적 방면의 민족적 합동을 이룸으로써 자주독립의 기초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한 선상에서 그들이 설정한 새로운 독립국가의 모델은 국가를 개인의 단체적 결합으로 파악하고, 國家에 대한 市民社會의 가치우위를 내세우는 自由主義 國家였다. 그런데 일제 침략으로 시민사회의 자율성 확보가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그같은 국가론의 기조는 동요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에 대한 非妥協의 원칙과 시민사회적 이해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 때 갈등의 소지가 된 문화운동과 정치운동 사이의 긴장관계를 일체의 정치색을 배제한 人格修養이라는 논리로 끊어버린 李光洙의 「民族改造論」은 당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동요하던 기독교계 민족부르조아지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이에 대해 신간회운동기 趙炳玉, 朱耀翰의 修養同友會 改造運動과 안창호의 大公主義는 민족해방을 최우선의 과제로 부각시키고, 신자유주의 국가관을 수용하여 사회전체의 공익을 위한 ‘사회적 국가’의 개입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사회의 사적 영역에 안주하려는 그같은 경향에 대응하려 한 경우였다. 이와 더불어 대공황기를 거치며 이승만 계열 일각에서는 申興雨와 그가 조직한 적극신앙단을 중심으로 파시즘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민족경제건설 노선은 평양과 서울을 양대 거점으로 하여 전개된 자본주의 경제운동과 농촌운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曺晩植을 구심점으로 物産奬勵運動·企業設立運動·節制運動 등의 방면에 걸쳐 전개된 관서 기독교계의 자본주의 경제운동은 ‘庶民型’ 中小資本家의 이해를 대변하는 가운데, 국가권력과 구별되는 시민사회의 자율성 논리에 기초하여 생산·유통·소비에 걸친 自作自給과 內資蓄積을 통한 自立的 近代化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기호 기독교계의 實業敎育運動은 근면성 성실성 책임감과 독립자영의 능력을 갖춘 基督敎的 市民層, 自立的 中産層의 양성에 촛점을 맞추었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 계열의 인사들은 外資導入論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독교계의 농촌운동은 YMCA연합회 농촌부와 장로회총회 농촌부를 양대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먼저 신홍우를 비롯한 이승만 계열 인사들에 의해 주도된 YMCA 農村事業은 産業化를 통한 농촌 과잉인구의 도시 흡수, 아일랜드를 모델로 한 유상매상·유상분배의 農地改革, 덴마크를 모델로 한 協同組合의 조직을 농촌재건의 밑그림으로 하는 近代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다음으로 안창호·조만식 계열에 의해 주도된 長老會 農村運動은 농촌의 경제적 파산과 문화적 낙오, 도덕적 타락을 한데 아울러 농촌피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교회를 중심으로 모범농촌을 건설함으로써 그같은 문제들을 풀어 나가려 한 福音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이와같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은 개인의 自我革新 곧 近代 市民意識의 형성을 운동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中産層의 육성과 中小資本 중심의 資本主義 近代化, 협동조합 등을 통한 自立的 小農體制의 확립으로 연결시키고, 나아가 시민사회의 輿論政治 원리에 입각한 민족적 대동단결과 자주독립을 전망하였던 민족개량주의운동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은 新興 中間階級의 이해를 대변하는, 自由主義 원리에 기초한 市民社會論的 民族主義였다. 그런데 이 시기 기독교세력은 양반 대지주 출신과 소빈농·노동자계급의 중간에서 市民革命論·絶對獨立論이 아닌 漸進的 文明開化論·民族改良主義 노선을 선택하면서 대지주·자본가와 계급적인 연합을 하였다. 그리고 反唯物論的 사상의식과 自由主義的 市民社會論의 이론적 정합성을 기초로 해방후 남한 자본주의국가의 체제이념과 자유민주주의 논리를 확립하는 데 열성적으로 참여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이 해방후 분단체제의 형성과 관련하여 갖는 역사적 함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아질 수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ristian nationalism on the basi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which we can systematically clarify the traditional ideas of modern nationalism of Korea. In the late Daehan Empire period,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hich was based on the Shinminhoe(New People's Society) and the Hwangseong(Seoul) YMCA, represented the politicalization and socialization of christian power. It prevailed into the independent middle class in Kwanseo(Northwest) area and into the reformist bureaucrats and the new educated class in Kiho(Central) area. In this period, the christian nationalists developed the new movement in religion and education, insisting on learning the modem citizenship & knowledge and on expanding the independent spirit through christianity. However, the forceful occupation and military rule of Japan made their early plans fruitless. Their plan was to establish a civilized nation and a modem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Korea. Meanwhile, a group of new younger students introduced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105 In Sageon (Incident of 105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tried to overcome the social-evolutionary authoritarianism theoretically, which resulted in acceptance of republicanism and humanism. The humanism an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had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le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ecayed and the idea of fostering real ability surged, the reorganization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olicy of gradual improvement developed in the two top christian centers of Seoul and Pyongyang.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christian nationalist camp along the line of gradual improvement formed, which included the groups following the lines of An Changho and Rhee Seungman respectively. After March lst Movement, christians anticipa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s a realization of justice and humanism and they raised diplomacy and fostering real ability as a strategy. In the middle of 1920s, there were two tendencies among christian nationalists in response to Anti-Religion Movement of socialists. They were christian socialism, which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socialism, and social gospel, which was based on the modernism. After the appearance of Shinganhoe(National United Front), a new christianism was introduced as a christian practical morality, which was raised through Jerusalem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distinguishing itself from marxism. The christianism interacted with Anti-Religion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ical fighting against materialism. This event had become a case of settling down of the cold war mentality in christian society. Another logic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gradual progressivism, which panned to take the steps of religion, education, industry, and politics successively. All the christian groups set the movement of religion and culture as a base of all kinds of social movements. With this idea, they were willing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self-independence of Korea by fostering real ability in education and economy and by making a national union in political aspects. In this situation, their new model of independent state was based on liberalism, which regarded a nation as a union of people and gave priority to the civil society over nation. However, under the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impossible to protect the self-autonomy of civil society and as a result liberalism could not take root. It was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principle of uncompromiz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interest of civil society. In this social situation, Lee Kwangsu introduced his idea of remodelling a national movement, which represented for the position of christian national bourgeoisie. His opinion is that the tension between cultural movement and political movement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without political color. Against this ideological tendency, Suyang Dongwoohoe(Mental Training Society) Reforming Movement under the leadership of Chu Yohan and Cho Byongok and Daegongism of An Changho were raised, which were based on the new liberalism. They hilighted national liberation as a primary task, and justifie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ffairs for the public interest. Meanwhile, along the line of Rhee Seungman, the movement of accepting fascism appeared centering around the Jeokkeuk Shinangdan(Positive Faith Team) under the leadership of Cynn Heungwoo. We can examine the ideas of national economic construction through capitalistic economic movement and rural movement, which centered in two central cities, Seoul and Pyongyang. Economic movement of Kwanseo(Northwest) area christians spoke for the small and medium capitalists, wa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of civil society distinguished from the government power, and pursued the independent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self-sufficiency and the national capital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vocational training movement of Kiho(Central) area christians focused on fostering christian civil class and independent middle class, who was qualified on diligence, sincerity, and spirit of independence. In this process, people following the line of Rhee Seungman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 The rural movement of christians expanded centering around the YMCA and the Presbyterian Church. First, the rural work of YMCA,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Rhee Seungman, was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the westernization theory. The idea centered on the creation of cooperatives following the model of Denmark, agricultural reforms based on the model of Ireland, and absorption of surplus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cit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rural movement of Presbyterian Church,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An Changho and Cho Mansik, was a movement based on the christianism. They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rural problems as economic bankruptcy, cultural degradation, and moral depravity. And they were willing to build the model rural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church. Christian nation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tarted as a policy gradual improvemen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self-reformation or creation of modem citizenship. It also pursue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arou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around rural reconstruction based on independent small-farm system such as cooperative. It anticipated national union and liberation, too,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pubic opinion of civi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political-economic idea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a nationalism of civil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and tried to protect the interest of a new middle class. In this period, the groups of christian nationalists tried to associate with the landlords and the capitalists, not tenants and laborers. And it was supported by the political line of gradual progressivism, not of the civil revolution and an absolute lib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y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ideas of capitalism and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in South Korea. It is in this point that we can relate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ith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 김진호의 기록물을 통한 생애 연구

        김주황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372

        국 문 초 록 김진호는 청풍김씨 24대손으로 1873년 경상북도 상주 함창에서 태어났다. 집안은 가난했지만 6세부터 서당을 다니며 한문 기초부터 시작하여 유교경전인 사서오경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조상들이 조선 당파싸움으로 많은 피해가 있어 자손들에게 유훈을 남겼다. “나의 자손은 명예와 이익을 추구하는 세상을 멀리하고 시골에 살며 마땅히 행할 도덕과 의리를 배우고 시와 예를 지켜 몸과 목숨을 유지하라.” 것이다. 즉 과거시험을 보지 말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말라는 것이었다. 그는 그 유훈을 따르다가 부모의 도움을 힘입어 한성에 올라가 과거시험을 치르기도 하였다. 1896년 부친이 별세하자 이때부터 새로운 서양학문을 접하기 시작하였다. 가장이 된 그는 가난한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1899년 봄에 한성으로 올라갔다. 이때 동향친구 김유를 만나 그 당시 유명한 허위와 이용태 판서를 찾아가 면담 후 허락을 받아 사랑방을 출입하게 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나라를 잃은 서글픔에 있다가 친구의 권유로 교회를 다니기 시작하였다. 1906년 경북 의성 세무주사에 합격하여 직무를 수행하였다. 그는 7개월 만에 누명을 쓰고 쫓겨났으나 그 일이 잘못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그는 전덕기 목사에게 세례를 받고 교회지도자의 길로 방향을 바꾸었다. 상동교회는 민족운동의 본산지이다. 전덕기 목사의 인도와 영향으로 그는 교회지도자의 길을 배워나갔다. 상동교회에서 운영하는 공옥학교와 청년학원 교사로 일했다. 이곳에 모인 애국지사들과 교류하며 신민회 활동을 했다. 배재학당 교사로 배재 학생들과 삼일운동을 하였다. 감옥에서 나온 후 인천내리교회에서 담임하며 임시정부와 교류했으며 다시 배재에 복직하여 학생들에게 나라사랑과 전도를 실천하게 하였다. 1935년 퇴직하고 빈약한 궁정동과 삼청동교회를 담임하였다. 1940년 정춘수 감독의 파송을 받아 분규가 있는 함북 청진교회 목회를 하며 5개 처에 교회를 개척 설립하였다. 청진에서 해방을 만났지만 소련군의 남하로 전쟁터가 되었다. 피난 갔다가 교회로 되돌아오니 주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국어와 역사를 가르쳐 달라는 청함 있었다. 이 일로 소련군에게 붙잡혀 감옥에 갇혔다 풀려난 후 해주를 통해 월남하였다. 서울에 도착한 그는 다시 궁정동교회를 담임하게 되었다. 이때 해방 후 감리교에서는 복흥파와 재건파의 갈등이 있었다. 그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힘쓰기도 하였다. 또한 주문진 지역 교회에 분규가 생겨 이 일을 해결하고자 파송 받아 가기도 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1·4후퇴 때 감리교목사 피난수용소인 부산 가덕도에서 은퇴를 하였다. 김진호는 신민회, 삼일운동의 업적을 인정받아 1998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또한 한말, 일제, 해방, 소련남하, 한국전쟁 등의 체험적 삶을 살아가며 발자취마다 글을 기록하였고 무화과 설교집 11권, 일기 9권, 한시집 빙어2권, 병중쇄록, 북선전도약사, 골동집3권, 국사요강2권, 임하춘추4권, 조선정음약해, 조선사초 등을 남겼다. 이 원문들 자료에서 그의 사상과 신학을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로 예수가 말하는 ‘둘로 하나를 만드사’ 개역개정 신약성경, 에베소서 2장 14절 라는 감이위일(減二爲一), 둘째로 ‘울지 말라’ 개역개정 신약성경, 누가복음 7장 13절 는 무달(無怛) 사상, 셋째로 전덕기의 ‘예수를 믿으면 참으로 믿고 나라를 사랑하면 참으로 사랑하자 함이오 또 신앙(信仰)은 국가(國家)를 떠난 신앙(信仰)은 죽은 믿음이다’라는 것이다. 이 사상과 신학이 그가 평생토록 행한 애국운동, 교육, 목회 등에 나타나는데 애국운동에 교육과 복음이 스며들어 있고, 교육에도 애국운동과 복음이 스며들어 있고, 목회에서도 애국운동과 교육이 그의 삶에 스며들어 끊임없이 조화롭게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그의 남긴 자료들이 우리의 삶뿐만 아니라 험난한 한국역사와 교회사에 남겨진 중요한 자료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이 자료를 통해 김진호의 생애와 기록물을 연구하고자 한다. Life research through Kim Jin-ho's Records Kim, Ju Whang Dept. of Graduate School Hyup 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uh, Young-Suk Jin-ho Kim was born in Hamchang of Sangju, Gyeongsangbuk-do with the 24th linage in the Cheongpung Kim Clan. HIs family was insufficient, but he went to Seodang from the age of 6 and began to study the basics of Chinese writing to the Confucian scriptures of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As the ancestors suffered a lot of damage from the Joseon partisan fight, they left a reign to their descendants. "My descendants should be away from the world that seeks honor and profit, live in the countryside, learn the morality and righteousness that they ought to do, keep the lifestyles of poetry and courtesy, and keep body and life safe will be." In other words, do not take the high level of state exams and do not go on the path. Jin-ho Kim followed such legacy, but with the help of his parents he went to Hanseong and tried the exams. Since his father died in 1896 he began to encounter new Western studies. Jin-ho Kim as the head of the house went up to Gyeongseong in the spring of 1899 to raise up his poor family. At the time he met his hometown friend Kim Yoo there and went to the high and famous officials Mr. Huh-wee and Mr. Lee Yong-tae at that time, and after the interview, he got the permission to enter the Sarangbang. Out of his deep grief for losing the national sovereignty due to the Eulsa Pact with Japan in 1905 he began attending church at the advise of a friend. In 1906, he passed the tax clerk exam and performed his duties in Uiseong, Gyeongbuk-do. He was falsely charged and expelled after six months, but it turned out that the incident was wrong. However, he was baptized by Pastor Deokki Jeon and changed his direction of life as a Christian leader. That Sangdong Church was the birthplace of the national movement and with the guidance and influence of the Rev. Jeon, Jin-ho Kim learned the way to become a church leader. He worked as a teacher at the Kongok School and Youth Academy run by that Church. There he interacted with the patriots gathered here and worked as a member of new society named by Shinmin-huye. As a teacher at Baejae Hakdang, he performed a three-day movement with his students. He was appointed at the Incheon Naeri Church after coming out of prison, exchanged some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returned to Baijae again to encourage students to practice love for the country and evangelism. After retiring in 1935 he was in charge of the weak Gungjeong-dong and Samcheong-dong churches. In 1940 he was appointed by the bishop Chung Chun-soo to do the ministry at Chungjin Church in Hambuk, where there was a conflict in the church. And he started and chartered churches in five places. Although he encountered the liberation in Chongjin, it became a battlefield under the Soviet army southward invasion. When he returned to the church after evacuating, there was a request from the surrounding schools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and history to the students. After being captured by the Soviets for this incident, imprisoned and released, finally he came down to South Korea through Haeju. After arriving in Seoul, Kim Jin-ho was in charge of Gungjeong-dong Church again. At this time,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Revivalists and the Reconstructionists in the Methodist Church after liberation. Kim Jin-ho also tried to resolve the conflict. In addition, disputes arose in the local church in Jumunjin, and he was sent to resolve this issue. In 1950,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people retreated out of Seoul in January 4th, 1951 again, he retired from his ministry at Gadeok Island, Busan, a refugee camp for Methodist pastors. Kim Jin-ho received the Aejok-Jang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in 1998, which was in recognition of the achievements of the Shin Min-huye and the Sam-il Movement. In addition he wrote about every step of the way and he left a lot quantity of writings. Those are his own experiences living in such as realities in the last chapter of Joseon Dynasty,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liberation, the Soviet Union's Southward Occupation of the Northern Korea, and the Korean War etc. And he left 11 books of his sermon manuscripts Muhwa-gwa, 9 books of his diaries, 2 books of the old classic Chinese poetry Bing-uh, Miscellanea On Sickbed, The Brief History of Evangelism in Northern Korea, 3 Books on The Curious Tales, 2 Books on The Outline of Korean History, 4 Books on The Years in the Countryside, A Brief Explanation of Pronouncing Korean, Manuscripts of the Joseon History ect. Thoughts and theology of Jin-ho Kim out of these original texts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sense 'making one with two' which Jesus speaks of. Secondly, 'do not cry' that is no grief. Thirdly, it is that Deok-ki Jeon said,'If you believe in Jesus, let's truly believe and if you love the country, let's truly love it.' Also the faith which leaves the country is dead faith. This ideology and theology of Jin-ho Kim were appeared in the patriotic movement, education, and ministry that he performed throughout his life. Education and the Gospel permeate his patriotic movement, the patriotic movement and the Gospel permeate his education, and the patriotic movement and education permeate his ministry throughout his life, it permeates and is constantly appearing in harmony. Therefore, the materials left by Kim Jin-ho are important not only in our lives but also in the Korean and Korean church history of the difficult times. So, the writer intends to study Kim Jin-ho's life and records through this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