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광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룹게임이 유아교육 기관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그룹게임 적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그룹게임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H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H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3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실험처치, 그리고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2018년 10월 30일부터 12월 20일까지 매주 2회씩 8주 동안 16회의 실험처치를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대집단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는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우수경(2002)이 제작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교사용)’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황해익, 최혜진(2007)이 개발한 ‘유아 그림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게임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게임의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하위변인인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둘째, 그룹게임은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게임의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수학적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하위변인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와같이 그룹게임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의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도덕적 발달과 수학적 능력의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y for Young Children’s Social and Mathematical Competence Kwang Mi, Koh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y for young children’s social and mathematical competence. Thereupon, this research could offer some implications about the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y so that it could be applied at childhood education field effectively. The research issues a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cooperative group activity fo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1. What is the effect of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y for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mpetence? For the experiment, 38 of five- year- old preschoolers were observed in kindergarten S and H in City H, Gyunggi area.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group game, the processes of the research were designed in this order;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otal 16 times of treatment, twice a week, were done from Oct. 3, 2018 to Dec. 20, 2018 and the comparative group has done large group activity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n this researc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ype Tes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signed by Woo(2002)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ictorial Math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Hwang & Choi (2007) was used for the influences of mathematical competence. SPSS 22.0 was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t –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found consistently in sub-variables such as initiative, cooperation and socialit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mathematical competence through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ies. The differences were considerab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hown coherently in sub-variables such as algebra,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In conclusion, the cooperative group game activities giv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mathematical competence.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 cooperate group game activities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c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and mathematical competence.

      •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이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예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motor ability on their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otor 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motor ability on their prosocial behavior?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motor ability on their social competence? For the study, 250 children aged 4 to 5 years at 6 preschools in Busan were selected to measure their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otor 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and, finally 233 of them were included i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questions.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otor 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akes the greatest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followed by language ability and motor ability. Other-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overall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verbal expression, sub-factor of language ability affect prosocial behavior. Also, endurance, balance and quickness, sub-factors of motor ability, affect prosocial behavior. Thir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akes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e, followed by language ability and motor ability. Other-regulation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verbal expression and vocabulary of language ability, and endurance, quickness, balance of motor ability, affect social competence. In conclusi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are influenced by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motor ability. Therefore, to boost social ability such as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languag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otor abi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이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 친사회적 행동,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6곳에 재원 중인 만 4∼5세 유아 250명을 대상으로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 친사회적 행동,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 친사회적 행동, 사회적 능력 간에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정서조절능력, 언어능력, 운동능력 순으로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정서조절능력은 하위요인인 타인조절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모두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언어능력은 하위요인인 언어표현력만 영향을 미친다. 운동능력은 하위요인 중 지구력, 평형성, 순발력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정서조절능력, 언어능력, 운동능력 순으로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정서조절능력은 하위요인 중 타인조절능력만이 영향을 미치지만 언어능력은 하위요인 중 언어표현력과 어휘력이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운동능력은 하위요인 중 지구력, 순발력, 평형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언어능력, 정서조절능력, 운동능력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친사회적 행동이나 사회적 능력과 같은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고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며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어나갈 수 있도록 유아 놀이 활동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형제·자매 관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현정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여아이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높다. 둘째, 형제·자매가 있으면서 형제·자매 수가 많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더 높다. 셋째, 형제관계와 남매관계에서는 형, 남동생과 오빠가, 자매관계에서는 언니의 사회적 능력이 더 높다. 또한 자매관계에서의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다. 넷째, 첫째아의 사회적 능력이 둘째아 이하보다 더 높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서 추후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자매관계에 있어서 가정의 물리적·인적 환경 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태도 등과 관련하여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한 단순한 상황적 요인 외에 유아의 인지적, 언어적 발달과정이 함께 고려되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살펴봄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 평정에 의하여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관찰과 면접 뿐만 아니라 부모들에 의한 평정 등의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선정된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사의 지도방법이나 교육철학, 교사의 교육경력 등도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때문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들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다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개인 내적인 요인, 가정환경 요인, 사회적 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변수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 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평균이 3.42로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 역시 각각 3.00과 3.91로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부모화 경험 점수는 2.41로 대학생들의 부모화 경험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따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26세 이상 집단이 그 이하 연령 집단보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 번째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과 경제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존감 중에서는 성별과 종교 유무, 자존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존감, 성장기 부모화 경험 중에서는 두 번째 모델과 동일하게 성별과 종교 유무, 자존감이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존감, 성장기 부모화 경험, 사회적 지지 중에서는 성별과 종교 유무, 자존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만나는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들의 문제해결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trapersonal factor, family environmental factor and social relationship factor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perform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for current college students in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areas. Total 200 survey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following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in parameters overall trends.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spect variance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demographic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Final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had high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an average 3.42.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 was also slightly high, respectively 3.00 and 3.91. The level of parentification was 2.41 that showed a lot of college students has no parentific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ale than female and over 26 years than less have higher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problem solving skill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in the first model, gender and economic level among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second model, gender and religious affili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third model, gender and religious affili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like the second model. However, the impact of the growing parentific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last model, gender and religious affili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ignificantly.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lients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How does small group art activity affect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1-1. How does small group art activity affect young children's initiative of social competence? 1-2. How does small group art activity affect young children's cooperation of social competence? 1-3. How does small group art activity affect young children's sociability of social competenc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attached to S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5 children(13 boys, 12 girl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5 children(12 boys, 13 girls). The instrument fo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the Young Children's Socal Competence Instrument (Woo. 2002). Experimental group treatments had been conducted 15 times for 8 weeks from Oct. 23th to Dec. 13th, 2007.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wo groups'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of social competence scores were calculated, and then t-tests were conducted to test group differenc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found (p < .05). The small group art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initiative was found (p < .05). The small group art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on young children's initiative. Third,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cooperation was found (p < .05). The small group art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on young children's cooperation. Fourth,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sociability was found (p < .05). The small group art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on young children's sociability. 본 연구는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구성요인 중 주도성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구성요인 중 협조성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구성요인 중 사교성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50명으로 실험집단 25명(남 13명, 여 12명), 통제집단 25명(남 12명, 여 1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 측정을 위하여 우수경(2002)이 제작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소집단 조형 활동을 2007년 10월 23일(화)부터 2007년 12월 13일(화)까지, 8주간 총 15회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적 능력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이는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구성요인 중 주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이는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구성요인 중 협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이는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협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소집단 조형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구성요인 중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이는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사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92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30일에서 6월 19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회복탄력성은 Reivich와 Shatté (2003)가 개발하고 김주환 (2011)이 번역, 수정 개발한 한국형 회복탄력성지수(KRQ-53)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D’Zurilla와 Nezu (1990)가 개발한 것을 Maydeu- Olivares와 D’Zurilla (1996)가 성인대상으로 수정하고 최이순 (2002)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이 개발하고 장은숙 (1995)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43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자기조절능력 3.31점, 대인관계능력 3.53점, 긍정성은 4.51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4점 만점에 2.59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문제해결지향 2.47점, 문제해결기술 2.67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진은 5점 만점에 2.78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정서적 탈진 2.98점, 비인격화 2.73점, 개인적 성취감 결여 2.63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연령, 결혼상태, 간호직 선택 동기, 밤 근무 개수, 근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결혼상태, 밤 근무 개수, 근무형태, 매일 돌보는 환자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간호직 선택 동기, 밤 근무 개수, 근무형태, 희망부서 배치 여부, 매일 돌보는 환자 수, 병원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회복탄력성과 소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445), 병원크기(β=.210), 사회적 문제해결능력(β=-.173), 희망부서 배치(β=-.132)순서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3.1%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소진을 조절하고 더 나아가 이직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tudy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effec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on burnout of clinical nurses.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May 30th and June 19th, 2013 by surveying 192 clinical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medical center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resilience, the Korean Resilience Quotient (KRQ-53)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é (2003)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Joo Hwan Kim (2011) was used. For measuring subject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 (1990), revised by Maydeu-Olivares and D’Zurilla (1996) for adult subjects,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Yi Soon Choe (2002) was used. To measure subjects’ burnout,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 Sook Jang (1995)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resilience test, subjects scored 3.43 on average on a 5.00 scale. In subcategories, subjects scored 3.31 for self-control, 3.53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4.51 for positivity. I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esting, subjects scored 2.59 on a 4.00 scale. In subcategories, subjects scored 2.47 in problem solving motivation and 2.67 in problem solving skill. For subjects’ burnout testing, the subjects’ average score was 2.78 out of 5.00 and in subcategories, subjects scored 2.98 for emotional exhaustion, 2.73 for depersonalization, and 2.63 for lack of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reason for choosing a nursing career, frequency of night work, and work patterns. For subject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frequency of night work, work patterns, and number of patients cared for daily. When the category of burnout was analyzed by general features, depending on reason for choosing a nursing career, frequency of night work, work patterns, placement in a desired department, number of patients cared for daily, and size of hospit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resilience and burnout and also between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burnout. Also, between subjec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4.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burnout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resilience (β=-.445), size of hospital (β=.210),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β=-.173), and placement in a desired department (β=-.13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3.1%.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decrease clinical nurses burnout, their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have to be enhanced. Thus, to find intervention to control clinical nurses burnout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of clinical nurses, various strategies that will strengthen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will have to be explored.

      •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및 자아개념과의 관계

        김은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놀이성과 자아개념과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사회성을 기르고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진 유아로 육성하는데 놀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남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여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남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여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6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121명(남 54명, 여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들을 살펴보면 놀이성 측정도구로는 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Barnett(1991)이 제작한 유아용 놀이성 측정 도구(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용 놀이성 평정도구는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 등 5가지 하위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se가 개발한 ISCS(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를 번역 수정한 송나리(1992)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ISCS는 본래 모두 34개의 문항으로 사회적 활동성(social activator), 과민성(hypersensitive), 안정성(teassurance), 비협조성(uncooperative), 협조성(cooperatibve)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송나리는 이중 비협조성 요인을 제거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의 유아에게 적절한 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자아개념 검사는 Bently와 Yeatts(1974)가 공동 제작한 [나는 이렇게 느껴요(Ifeel......Me feel)]라는 자아개념 그림 검사를 임춘금(1995)이 번안, 수정한 자아개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자아개념을 인지, 정서, 사회, 신체적 측면에 대한 유아의 생각, 관념, 태도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검사도구는 인지적인 면, 정서적인 면, 사회적인 면, 신체적인 면의 네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마다 10개 문항씩 총 40문항으로 되어있다. 검사도구는 40장의 그림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그림은 가로 12.5cm, 세로 20cm 크기의 흰색 카드에 특정 상황의 그림으로 그려서 나타낸 것이다. 수집된 자료처리를 위해 사용된 통계분석 기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놀이성, 사회적 능력, 자아개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놀이성 전체와 지도력, 유능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며, 놀이성 전체와 과민성, 불안정성과는 부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여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간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놀이성과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아, 정서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의 4가지 요인 모두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아개념과 놀이성 하위 요인 간에는 인지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에서만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여아의 놀이성과 자아개념의 경우 신체적 자아개념에서만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家庭 및 學級의 心理的 環境과 中學生의 社會的 能力과의 關係硏究

        朴民植 충남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환경 변인 및 학급 사회의 심리적 환경변인과 사회적 능력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중학생을 대상으로 구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 가정환경 변인과 사회적 능력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2) 학급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능력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대상은 충남 논산시에 위치한 3개 중학교의 2학년 330명(남학생 160명, 여학생 170명)이었다. 가정환경은 민영순 검사로 측정되었고, 학급의 심리적 환경은 정원식의 학급사회환경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사회적 능력은 보완된 김영지의 교사평정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사회적 능력은 보완된 김영지의 교사평정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단순상관과 중다희귀분석이 계산되었다. 연구문제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가정환경의 사회경제적 지위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가정환경변인 중 가족 분위기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발견되었다. 즉 가족분위기가 긍정적일수록 중학생의 사회적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능력 중 유능성은 높아지며, 간섭과 염려도 높아지고 있다. 둘째, 학급사회 환경과 사회적 능력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능력 중 지도력과 교사에 대한 애정은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염려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급환경 중 교사지원은 사회적 능력의 지도력, 교사에 대한 애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간섭과는 부적 상중관을 보였다. 그리고 하급환경 중 친밀도와 참여도는 지도력과 교사에 대한 애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과는 달리 중학생은 가정의 심리적 환경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또한 학급사회의 심리적 환경에서도 초등학생은 또래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생들은 사회적 능력 발달에 교사변인이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would b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s, classroom climate and social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examined were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s and social competence? 2) Are th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social competence? There junior high schools located at Nonsan City were selected. Eight classes were selected from the schools. Thus, 330 (boy 160, girl 17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ome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Home Environment Scale made by Min(1995). Students' socio-economic status was measured based on parents' job, income, and their academic background. Classroom climates were measured us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Scale by Chung. The scale consisted of 3 dimensions, such as interrelational dimension, goal oriented dimension, and system supportive dimension. The interrelational dimension was used in this study. The dimension consisted of 3 subscales. They are participation scale, intimacy scale, and teacher support scale.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Teacher Rating Scale made by Kim(1994). Several correlations were computed. The main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Non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ES and social competences (leadership, competence, affection toward a teacher, interruption, worriness). Bu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home atmosphere and social competences, such as competence, interruption, and worriness. 2.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lassroom climates(participation, intimacy, teacher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s(leadership, competence, affection toward a teacher, interruption, worriness). Leadershi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significantly with participation, intimacy, and teacher support, respectively, Competenc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significantly with intimacy. Affection toward a teache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significantly with participation, intimacy, and teacher support, respectively. However, worrines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significantly with intimacy. Interrup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significantly with teacher support. It was concluded that a nonsignificant relationship is found between stud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ocial competence where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s found between home atmosphere and social competenc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social competence is found.

      •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상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lso, it figured out the effects of mothers’ role satisfaction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surveyed 302 couples of mothers and their 3-5 year-old children in attendance at 7 nurse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of Hyun and Cho(1994).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No(2004)’s modifi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19.0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residential areas, ages, job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s, incom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s and incom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pouse supports’ which was the sub-factor of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incom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erms of sex and birth orders. Third,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pecifically,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general satisfac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spouse supports, those were sub-factors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However parental role conflic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th,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d influences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pecially, spouse support, sub-factor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fluenced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conclusion,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can be an influential factor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refore, mothers need information for the parental roles.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the basic information of parental education that influence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7기관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2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현온강과 조복희(1994)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노신민(2004)이 수정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에 관한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구하고, 각 변인들간의 상관과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거주지역, 연령, 취업유무, 학력, 소득수준)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학력과 소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과 소득수준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는 하위요인인 배우자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출생순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역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일반만족, 부모-자녀관계, 배우자 지지는 긍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역할갈등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역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배우자 지지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부모로서의 역할을 보다 긍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가 유아를 양육함에 있어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김현진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2곳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교 1학년에 다니는 유아 210명과 유아를 가르치는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8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 측정도구는 일상생활에서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에 얼마나 참여하는지를 조사하는 도구로서, 최경순(1993)이 제작한 검사도구를 한은규(2003)가 유아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Pease와 그의 동료(1979)들이 개발한 ISCS(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Preschool Form)를 바탕으로 최경순(1992)이 우리나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작한 내용을 수정 보안한 송나리(1992)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여가활동참여, 생활지도참여, 가사활동참여, 학습지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지도력, 유능성, 선생님에 대한 애정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해성과 불안정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여가활동참여와 학습지도를 많이 할수록 유아의 지도력, 유능성, 선생님에 대한 애정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여가활동참여, 생활지도참여, 가사활동참여, 그리고 학습지도를 많이 할수록 유아의 방해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생활지도참여, 가사활동참여, 그리고 학습지도를 많이 할수록 유아의 불안정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hall set goals of research as following. Research goal 1, What correlations are there between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Research goal 2, How does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affect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For this study, 2 schools located in S city are arbitrarily selected and 210 children and their teachers are selected. Among them, 180 people excepting people who gave insufficient responses are finally selected. Measuring tool for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is a tool to measure how much fathers participate for raising their children in their daily life. This tool was produced in by Choi Kyeoung Soon (1993), and it was modified by Han Eun Gyu (2003) for children’s tool. In order to evaluate children’s social abilities, this paper uses questionnaire of Song Na Ri (1992) which modified questionnaire of Choi Kyeoung Soon (1992) for measuring children’s social abilities based on 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Preschool Form(ISCS) developed by Pease and his colleagues. A Program, SPSS 14.0 is used to analyze collected materials,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efficient of correlation is calculated to clarify 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and Multiple Regression is used in order to check how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affects their children’s social ab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hecking 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it is appeared that attending leisure activities, teaching daily life, attending household activities and teaching learning by father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adership, competency and love for teachers which are lower areas of children’s social abilities, and that they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aspect of barriers and instability. Second, it is appeared that the more fathers attend leisure activities and teach learning, the higher children’s leadership, competency and lover for teachers become, and the more fathers attend leisure activities, teaching life style, household activitie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less children have aspect of barriers. It is also appeared that the more fathers attend teaching activities for life style, household activitie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less children are ins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