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음주의와 한국교회의 반응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김정회 서울장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1920-30년대 일제하의 한국사회는 총독부의 정책적 전환으로 인한 정치, 사회, 경제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문화정치로 대표되는 이 시기의 총독부의 정책은 새로운 언론 매체가 나올 수 있는 길을 완화시켜 주었고, 새로운 정치사상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회주의가 한국사회로 들어오는 시기도 이때 였다. 또한 산미증식계획의 여파는 농촌의 현실을 극도로 악화시켰다. 당시 한국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농민들이었다는 사실은 문제의 심각성을 가늠케해준다. 농촌의 문제는 농촌에 근거하고 있던 대부분의 한국교회의 위기이기도 했다. 농촌경제의 궁핍화는 자연스럽게 사회주의 세력의 확장을 가능하게 해주었고, 반 종교 노선을 가지고 있었던 이들의 확산을 교회가 대응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적인 요청이 있었다. 그러나 1907년 이후에 한국교회의 신앙구조는 비정치화의 신앙구형을 이루고 있었다. 교회의 사회참여를 초월적인 신앙에 대한 외연의 표현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국교회는 농촌 현실의 문제와 사회주의의 확산에 따른 문제를 신학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사회복음주의가 한국교회사에 나타났던 것은 사회복음주의가 가지고 있었던 사회구원의 사상이 당시의 시대적인 배경 속에서 신학적 대응으로써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1920-30년대 한국교회사 안에서 사회복음주의는 YMCA, 감리교의 교리적 선언, 그리고 장로교 목사였던 배민수의 농촌운동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YMCA의 농촌사업을 주도했던 인물은 신흥우였다. 그는 감리교인으로써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왔다. Y의 총무로서 활동했다. 그는 1928년의 예루살렘 국제선교협의회의 준비와 참가과정에서 사회복음주의 신학의 배경을 가지게 되었고 Y의 농촌사업을 주도하였다. Y의 농촌사업이 농촌문제의 현실을 해결하려는 실천적인 활동이었다면 1932년에 그가 중심이 되어 조직한 적극 신앙단은 그의 사회복음주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려했던 운동이었다. 특히 그들이 발표한 신앙선언에서 신사회건설을 위해서 개인의 취득욕을 버리고 사회를 위한 공헌욕을 가져야 한다고 표현함으로써 사회복음주의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주고 있었다. 신흥우에게서 드러나는 사회복음주의의 형태는 제도권 교회를 매개로 하는 신앙운동이 아니라 교파를 초월하는 사회구원운동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감리교의 교리적 선언이 가지는 한국교회사적인 의의는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었던 보수적 복음주의 신학에서 사회복음주의 신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한 개인의 신학적 입장을 벗어나서 한 교단의 합동원리로서 사회복음주의가 받아들여졌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감리교의 교리적 선언은 한국 감리교회의 주류교회들을 신학적으로 바꾸어 놓지는 못했다. 그것은 교리적 선언을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음주의 신학의 실천적인 활동들이 감리교회 안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감리교에 나타난 사회복음주의는 실천적인 모습은 드러나지 않고 신학적인 선언의 형태로만 나타났다. 장로교의 농촌운동은 본래 정인과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하지만 그가 전개한 농촌운동은 실제적이지 못했고,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배민수가 농촌운동을 주도하기 시작하면서 농촌운동이 활기를 띄게 되었다.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배민수가 농촌운동에 헌신하게 되었던 것은 그가 가지고 있었던 사회복음주의 신학의 영향이었다. 그가 주도한 농촌운동은 정인과의 농촌운동과는 구별되었다. 그의 농촌운동은 실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것과 함께 복음운동의 성격이 동시에 강조되었다. 그것은 복음으로 개인의 구원이 이루어진 뒤에야 복음의 정신으로 농촌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그의 사상 때문이었다.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라는 그의 신학적 목표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제도권 교회 안에서 이러한 운동을 펼쳐나간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그의 신학적 형태는 사회복음주의의 신학적 이해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었다. 배민수에게서 나타나고 있는 사회복음주의의 형태는 한국교회의 복음주의 전통에 바탕을 두고 그 안에서 사회복음주의의 이상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한국교회가 신학적으로 사회복음주의를 대응했던 것은 신흥우의 적극 신앙단의 신앙선언을 문제삼아 이단으로 정죄했고, 배민수의 농촌운동을 비판했던 한국장로교회 내부에서 일어났다. 김인서를 중심으로 한 보수적 복음주의 입장에서 배민수의 농촌운동은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인 복음전도를 포기하는 것으로 이해했고 사회주의와 유사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이해는 배민수의 신학사상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결과였다. 배민수의 농촌운동이 가지고 있었던 복음적인 활동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의 주류에서 나오는 비판은 농촌운동을 좌절시키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감리교의 경우도 그 실천적인 활동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이유도 바로 주류교회의 이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사회복음주의는 1920년대 한국사회와 교회를 주도했던 사상적인 흐름에서 독특한 위치를 가지고 있었다. 당시의 주요한 흐름 중의 하나였던 사회주의와 이의 영향을 받았던 기독교 사회주의, 그리고 한국교회의 복음주의와 관계 속에 놓여있었다. 사회주의와 기독교사회주의에서는 사회복음주의와 복음주의를 동일한 것으로 이해했고, 복음주의의 입장에서는 사회복음주의가 사회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했다. 한국교회가 처한 상황에서 신학적이 대안으로서 등장했지만 한국교회의 복음주의 전통과 사회복음주의에 대한 신학적 이해의 부족은 그들이 신학사상을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사회복음주의 운동의 실패는 정치적인 이유보다 신학적인 이유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 경제 문제에 대한 사회복음윤리 분석 : 월터 라우쉔부쉬(W. Rauschenbush) 이론을 중심으로

        강호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가 겪고 있는 경제 전반의 문제들과 경제, 윤리, 신앙의 관계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복음윤리의 기수였던 월터 라우쉔부쉬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사회복음윤리가 당시 사회의 경제 문제에 어떻게 대응했는가의 문제도 다루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라우쉔부쉬의 사회복음윤리를 델타방법으로 분석하여 규범적 가치체계인 정의, 사랑, 평화, 자유를 검출하였다. 하지만 이는 나눔의 가치와 됨의 가치는 설명할 수 있으나 궁극의 가치인 섬김의 가치를 완전히 설명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사회복음윤리에 담겨진 섬김의 가치를 추적해 봄은 의의가 있다 하겠다. 라우쉔부쉬의 『사회 질서의 기독교화』(Christianizing the Social Order, 1912)라는 책은 경제 분야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라우쉔부쉬는 당시 미국 사회의 교육, 정치, 가족 제도는 대부분 기독교화되어 있지만, 아직 경제 제도만은 산업 자본주의의 원칙 아래 놓여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경제 질서를 기독교화함으로써 빈부 격차를 없애고 분배의 질서를 세울 수 있다고 믿었다. 라우쉔부쉬의 사회복음은 현대의 미국 기독교 신학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을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상(Idea)이라고 정의하고, 하나님의 나라가 실현되었을 때 우리의 삶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날 것인가를 설정하여 그러한 삶을 살 수 있는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곧 하나님 나라의 구현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의지에 의해서 조직된 인간성(humanity)’이며, '사회 질서의 기독교적 변형(Transfiguration)'이라고 봄으로써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을 다같이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현대의 사회적 위기 속에서 기독교사 해야 할 과업은 개인주의적이고, 내세적인 신앙의 강조가 아니라 인간성의 전적인 변화와 사회 구조의 변혁으로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기독교는 항상 운동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핵심 요소는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상이었다.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신앙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역사를 통치하시며 교회를 하나님 나라의 모형이라 봄으로써 그리스도인의 공동체적 삶과 역사적 사회의식을 고취시켜 왔다. 물론 라우쉔부쉬의 이런 기독교화는 어떤 의미에서 인간과 세계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라는 비판을 받을 만하다. 그러나 그가 사회를 하나의 변혁 세력으로 파악하고, 하나님 나라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교회와 기독교인이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오늘날 우리가 겪는 경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기독교인의 본분을 망각하고, 사회 자본주의의 병폐를 그대로 답습하고, 병들어 있는 경제, 사회의 상황은 라우쉔부쉬의 시대만큼이나 위기적이다. 그러므로 라우쉔부쉬가 미국 사회를 비판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윤리적 가르침으로 정향된 사회복음을 강력하게 주장한 것처럼, 우리도 경제 구조적으로 부패한 이 사회와 교회의 성장 지향적이고 물질주의적 폐단을 마땅히 거부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라우쉔부쉬의 사회복음과 그의 교회적 사명에 대한 성찰은 우리에게 기독교 사회윤리를 위한 하나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conomy, ethics, and Christian faith as well as the economic issues per se. Based on this examination, I examined Walter Rauschenbusch, who was the herald of social gospel ethic, in order to explore how he confronted economic issues in his time. Although I could identify justice, love, peace and freedom to be normative value systems in Rauschenbusch's social-gospel ethic, there were still some weaknesses in his social gospel ethic. While his concepts of justice, love, peace and freedom could be valuable to sharing and becoming, they could not lead to the absolute value of service to others. For this reason, it would be worth further studying and thus pursuing the meaning of service in social gospel ethic. Walter Rauschenbusch's book Christianizing the Social Order (1912) is directly related to the economic issues of his time. In this book, he asserted that only the economic systems were still under the principles of the industrial capitalistic system in America while most education, politics and the family systems were heavily under Christian influence. Rauschenbusch thus believed that Christianizing the economic order would reduc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us set up a proper order of redistribution. This claim triggered Donovan E. Smucker to evaluate Raushenbusch to be the strongest critic of the economic system in the total history of Christian ethics. The social gospel of Raushenbusch caused fervent debates in the contemporary North American Christian theology. Rauschenbusch defined the core of Christian faith as "Idea" for the kingdom of God proclaimed by Jesus. He thus believed that the actu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was to establish the ideal society here and now by imagining what would be our lives if the kingdom of God were to be realized. He perceived the kingdom of God to be "humanity constructed by the will of God" and "Christian transfiguration of social order." In so doing, he was inclusive of both personal and social redemption. He contended that Christianity should not be narrowly focused on individualistic and otherworldly faith. Christianity should urgently concentrate on the holistic transformation of humanity and the holistic transfiguration of social structures, and thus need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here and now. In fact, Christianity has been presented a form of social movements since Jesus' time and the core of Christianity as a movement has always been the longing for the kingdom of God. Christian faith in the kingdom of God is to perceive the kingdom of God as God's reign in our history and to see the church as the model for the kingdom of God. This faith has inspired Christians with the communal life and the historical social consciousness. Rauschenbusch has often been criticized to be too optimistic about human nature and society. His claim that Christians should be more active in bringing about social justice and thus approximating the kingdom of God, however,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economic crisis. Christians today often forget about their call to transform the society; Christians abide by the injustice of capitalistic social systems instead of live up to the ethical teaching of Jesus Christ.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any better than the time of Rauschenbusch. Just like Rauschenbusch criticized the American society and called for approximating the kingdom of God, so should we condemn by the materialistic tendency of the church. Consequently, the social gospel of Rauschenbusch and his reflection on the mission of the church can be an important milestone for the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

      • 내한 미국감리교회 선교사들의 사회복지사업 연구, 1885-1960

        황미숙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3

        This study aims to show the missions that have been performed by Christian missionaries ever since its start in Korea in 1885 while no social welfare project in the national level considering the safety and welfare of Koreans hasn’t been provided are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having tru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meanings for Korean people.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s by selecting the overall social welfar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missionaries in Korea as the theme among Christian social welfare project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theme by limiting the domination to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s that the church is considered to have performed missionary works with more interests in the direct mission methods, the educational, medical and other types of social welfare projects. Especi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roles of '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conducted their activities for ‘women and children’ from the early missionary period. The initial social welfare projects of woman medical missionarie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ere the women medical service and the blind children’s education. At that time, Korean women, due to frequent child births, children, due to unclean sanitation environments and lacks of nutrition, were exposed to various diseases. The missionaries made efforts for women and children treatments by establishing the Po Ku Nyo Kwan, the East Gate Women's Hospital and the Pyeng yang Women's Dispensary of Extended Grace and led the education for socially abandoned blind and deaf children. Also, since the medical activities of women missionaries covered the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works and home cares, they made efforts to train doctors and nurses to serve for their activities. As turning to 1920s, while the medical missionary projects were reduced and the social gospel was induced, 'the social service committee of United Methodist’s Global Ministry'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establishment, the women missionaries started works for the public health and sanitary and the babies’ welfare as new missionary projects by organizing the social welfare committee and the clinic management committee. The projects covered everything regarding babies’ health and life including the babies’ clique, the pre-birth work, the home visit, the school health diagnosis, the sanitation lecturing, the mothers' meeting, the free bath service, the milk-station, the health academy for nurses, the vaccination, the home birth, the nurse training on the mother craft and the yearly baby week. In 1930s, the projects extended to the nationwide beyond the Methodists to other denominations. Especially, the babies welfare projects developed more so that childcare training institution to grow teachers for kindergartens and baby care centers. As the budget for the social welfare missionary works led by missionaries for several years started to decrease due to the impact of the Great Depression, the missionary works were transferred to Koreans in 1930s. Korean professional women to take over the works were formed through their educations in overseas following the missionaries’ recommendations or at various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The finance independency for various projects was the issue. And, for such issue, the leaderships of Korean churches organized support committees and searched for financial indecency measures while organizing committees to continue social welfare the social welfare works. Although missionaries returned to homes in 1940s due to the transfer of social welfare work to Koreans, Christian church’s social welfare works could be performed with no significant problem. Therefore, ‘the Age of social welfare works performed by Koreans for Koreans’ opened. After the liber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recognized the role of missionaries for the sudden increase of people requiring aids so that missionaries came back to Korea and started to reconstruct the missionary works. Due to Korean War occurred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missionary work, missionary works or Christian social welfare projects were converted to aid projects in large scale. Large scaled aids started by internation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started. Methodist Church’s recovery and relief activity aids were performed by the Church World Service and the Methodist Committee for Overseas Relief(MCOR). The most serious issues among the war damages were on the war orphans and widows. Methodist Church converted the aids activities during the war to the reconstruction projects with the support of MCOR and operated facilities such as orphanages, street children facilities, mothers and children centers and tuberculosis patient nursing homes. From 1957, the church organized ‘The Children’s Care Community’ and pursued independent administration that had been dependent to foreign organizations. Christian social welfare projects stated by women missionaries in the early period mission has improved the health, the sanitation and the measures against diseases and significantly reduced the baby’s death rate while contributing to protections for disabled and others. The social welfare projects have becom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comforts for weaker class abandoned in Korea. And people have accepted the gospel naturally through such activities. Especially, Methodist Church’s social welfare activities have filled the parts that have been impossible in the government level. Also, doctors, nurses, nursing teachers and other professional personnel trained by recommendations or efforts of missionaries made the fundamental to continue social welfare activities with the Christian values. And, after the middle of 1950s, the accumulated experience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ctivities became the start points to establish social welfare programs in various colleges a 이 논문은 1885년 한국선교가 시작된 이래 한국인의 안위와 복지를 고려한 국가적 차원의 사회복지사업이 부재한 가운데 선교사들이 벌인 사업이 한국 민중에게 육적, 정신적, 영적으로 진정한 의미의 사회복지사업이었다는 인식을 가지고 그것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독교사회복지사업, 그 중에서도 내한 미국감리교회 선교사들의 전반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주제로 설정하여 서술하였다. 미국감리교회로 교파를 한정하여 주제를 설정한 것은, 선교사업을 벌이는데 있어서 간접선교 방식인 교육과 의료를 비롯한 사회복지사업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선교활동을 벌였다는 생각에서였다. 특히 선교초기부터 ‘여성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사업을 벌인 감리회 해외여성선교회 선교사들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북감리회 여성 의료선교사들의 초기 사회복지사업은 여성진료 사업과 맹아교육사업이었다. 당시 한국여성들은 잦은 출산으로, 어린이들은 불결한 위생환경과 영양부족으로 갖은 질병에 노출되어 있었는데, 선교사들은 보구여관, 동대문부인 병원, 평양 광혜여원을 설립하여 여성과 어린이진료에 힘썼으며, 사회적으로 소위되었던 맹농아 교육사업에도 앞장섰다. 또한 여선교사들의 의료 활동은 공중보건위생사업과 가정간호를 포함하는 활동이었으므로 이에 종사할 의사와 간호원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1920년대 들어서면서 의료선교 사업의 위축과 사회복음의 유입되는 가운데 연합선교부 사회복지위원회가 결성되었으며 이에 발맞추어 여성선교사들도 사회복지위원회와 진료소관리위원회를 조직하여 새로운 선교 사업으로 공중보건 위생사업과 유아복지 사업을 벌였다. 사업의 내용은 아기 진료소, 산전사역, 가정방문, 학교건강검진, 위생강연, 자모회, 무료목욕소, 우유-음식소, 간호원들을 위한 건강학원, 예방접종, 가정 분만, 육아법에 관한 간호와 교육, 1년에 한번 베이비 주일 등 유아의 건강과 생명에 관한 모든 것을 망라한 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1930년대에 이르러 감리교 뿐 아니라 교파를 초월하여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유아복지사업은 더욱 발전하여 유치원과 탁아소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보육교육기관도 세워졌다. 수년간 선교사들이 주축이 되어 펼쳤던 사회복지선교사업이 대공황의 여파로 선교비가 축소되기 시작하자, 1930년대 들어서면서 선교사업의 한국인 이관이라는 지각 변동이 일어났다. 사업을 이관 받을 한국인 전문여성 인력은 선교사들의 권유로 유학이나 국내 각종 교육기관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었다. 문제는 각종 사업을 위한 재정 자립이었는데, 한국교회 지도자들은 후원회를 조직하는 등 재정 자립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사회복지사업을 계속 이어가기 위한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사회복지사업의 한국인 이관으로 1940년대 선교사들의 귀국했음에도 기독교사회복지사업은 별다른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이로써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들을 위한 사회복지사업의 시대’가 열리기 시작하였다. 해방 후 미군정은 요구호자의 급증으로 선교사들의 역할을 주목하여 선교사들을 내한하도록 하였고 다시 들어온 선교사들은 선교사업을 재건해 나갔다. 선교사업 재건 중에 일어난 한국전쟁은 그동안 진행되었던 선교사업 내지 기독교사회복지사업이 대규모의 구호사업으로 전환되었다. 외국 정부와 민간단체의 대규모 원조가 시작되었는데, 감리교의 복구 및 구호활동 원조는 기독교세계봉사회(The Church World Service)와 미국감리교 해외구제위원회(The Methodist Committee for Overseas Relief, 이하 MCOR)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전쟁 피해로 가장 심각하게 노정된 것은 전쟁고아와 미망인 문제였다. 감리교회는 전쟁기의 구호사업을 MCOR의 지원을 받아 재건사업으로 전환하여 고아원, 부랑아시설, 모자원, 결핵요양원 등의 시설을 운영하였다. 1957년부터는 ‘아동양호위원회’를 구성하여 외원단체에 의존하던 시설사업에 대한 자립 경영을 꾀하였다. 선교초기 여성선교사들로부터 시작된 기독교사회복지사업은 한국인의 건강 및 위생상태와 질병 대처를 개선시켰고, 유아사망률을 현저하게 낮추었으며, 장애인에 대한 보호 등에 기여하였다. 한국사회의 소외된 약자의 육신, 정신, 영혼의 위안이 되었으며, 민중들은 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복음을 받아 들였다. 특히 감리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은 민간이 벌인 사회복지사업으로 국가차원에서 진행할 수 없었던 부분을 채우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선교사들의 권유나 노력으로 양성된 의사, 간호원, 보육교사 등 전문인력은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사회복지사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되었으며, 1950년대 중반 이후에는 그동안 쌓아온 기독교사회복지사업의 경험은 각급 대학에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시대를 향한 발 돋음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日帝下 基督敎 民族運動의 政治經濟思想 : 安昌浩·李承晩 계열을 중심으로

        장규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652

        본 연구는 韓國 近代民族主義의 사상이론을 계통적으로 해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던 基督敎 民族主義를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대한제국 말기 新民會와 皇城基督敎靑年會를 거점으로 대두한 기독교 민족운동은 관서지방의 신흥상공인층과 신지식층, 기호지방의 신지식층과 개혁관료층을 주축으로 하는 基督敎 政治社會勢力化의 한 매듭이었다. 이 시기 기독교 민족운동 세력은 독립협회 이래 漸進的 文明開化論의 연장선상에서 宗敎·敎育·殖産運動을 전개하면서, 기독교를 통해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실력양성의 기반이 되는 근대적 시민의식과 지식을 습득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韓日合倂’과 일제의 무단통치는 근대시민의 육성을 통한 자유문명국가, 실력양성을 통한 근대 자본주의국가의 건설이라는 그들의 당초 구상을 뿌리채 흔들어 놓았다. 그러한 가운데 ‘105人事件’을 거치며 새로운 청년 학생세대들에 의해 武裝鬪爭論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일제 무단통치를 정당화하는 社會進化論的 强權主義에 대한 이론적 극복이 시도되었는데, 그것은 共和主義와 人道主義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인도주의와 民族自決主義는 기독교세력이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에 이르는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한편 워싱턴軍縮會議를 전기로 민족자결주의가 퇴조하고 부르주아민족운동 내부에 실력양성 노선이 전면화하는 가운데, 기독교 민족운동의 개량주의적 재편이 기독교 선교의 양대 거점인 평양과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안창호 계열의 平壤YMCA·修養同友會·基督信友會 등과 이승만 계열의 中央YMCA·興業俱樂部·積極信仰團으로 대표되는 기독교계 개량주의적 민족운동의 진영이 형성되었다. 3·1운동 이후 기독교세력은 平和的인 방법으로, 世界改造의 새로운 기운에 부응하는 正義와 人道의 실현으로서 한국의 독립을 전망하고, 그 방략으로 外交論과 實力養成論을 제기하였다. 한편 1920년대 중반 대두한 사회주의자들의 反宗敎運動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세력 내부에 민족문제인식, 사회인식상의 일정한 편차가 나타났다. 그것은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사상적 결합과 민중적 기독교를 모색하는 基督敎社會主義, 近代主義에 입각한 社會福音主義로 대별되었다. 신간회의 출범 이후 기독교계의 사회참여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를 거치며 맑스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적 사회실천의 이론으로 ‘基督主義’가 등장하였다. 1929년 기독신우회의 ‘宣言’을 통해 공식 천명된 기독주의는 대공황기 반종교운동과 엇물리면서 反唯物論 이념투쟁으로 굴절되었는데, 그것은 이후 기독교계 내부에 冷戰意識이 자리잡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다. 한편 실력양성론과 더불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특징짓는 또 다른 논리는 宗敎→敎育→實業→政治로 이어지는 漸進主義였다. 기독교세력은 근대 시민의식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종교·문화운동을 모든 운동의 근본운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교육·경제적 실력양성과 정치적 방면의 민족적 합동을 이룸으로써 자주독립의 기초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한 선상에서 그들이 설정한 새로운 독립국가의 모델은 국가를 개인의 단체적 결합으로 파악하고, 國家에 대한 市民社會의 가치우위를 내세우는 自由主義 國家였다. 그런데 일제 침략으로 시민사회의 자율성 확보가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그같은 국가론의 기조는 동요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에 대한 非妥協의 원칙과 시민사회적 이해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 때 갈등의 소지가 된 문화운동과 정치운동 사이의 긴장관계를 일체의 정치색을 배제한 人格修養이라는 논리로 끊어버린 李光洙의 「民族改造論」은 당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동요하던 기독교계 민족부르조아지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이에 대해 신간회운동기 趙炳玉, 朱耀翰의 修養同友會 改造運動과 안창호의 大公主義는 민족해방을 최우선의 과제로 부각시키고, 신자유주의 국가관을 수용하여 사회전체의 공익을 위한 ‘사회적 국가’의 개입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사회의 사적 영역에 안주하려는 그같은 경향에 대응하려 한 경우였다. 이와 더불어 대공황기를 거치며 이승만 계열 일각에서는 申興雨와 그가 조직한 적극신앙단을 중심으로 파시즘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민족경제건설 노선은 평양과 서울을 양대 거점으로 하여 전개된 자본주의 경제운동과 농촌운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曺晩植을 구심점으로 物産奬勵運動·企業設立運動·節制運動 등의 방면에 걸쳐 전개된 관서 기독교계의 자본주의 경제운동은 ‘庶民型’ 中小資本家의 이해를 대변하는 가운데, 국가권력과 구별되는 시민사회의 자율성 논리에 기초하여 생산·유통·소비에 걸친 自作自給과 內資蓄積을 통한 自立的 近代化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기호 기독교계의 實業敎育運動은 근면성 성실성 책임감과 독립자영의 능력을 갖춘 基督敎的 市民層, 自立的 中産層의 양성에 촛점을 맞추었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 계열의 인사들은 外資導入論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독교계의 농촌운동은 YMCA연합회 농촌부와 장로회총회 농촌부를 양대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먼저 신홍우를 비롯한 이승만 계열 인사들에 의해 주도된 YMCA 農村事業은 産業化를 통한 농촌 과잉인구의 도시 흡수, 아일랜드를 모델로 한 유상매상·유상분배의 農地改革, 덴마크를 모델로 한 協同組合의 조직을 농촌재건의 밑그림으로 하는 近代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다음으로 안창호·조만식 계열에 의해 주도된 長老會 農村運動은 농촌의 경제적 파산과 문화적 낙오, 도덕적 타락을 한데 아울러 농촌피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교회를 중심으로 모범농촌을 건설함으로써 그같은 문제들을 풀어 나가려 한 福音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이와같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은 개인의 自我革新 곧 近代 市民意識의 형성을 운동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中産層의 육성과 中小資本 중심의 資本主義 近代化, 협동조합 등을 통한 自立的 小農體制의 확립으로 연결시키고, 나아가 시민사회의 輿論政治 원리에 입각한 민족적 대동단결과 자주독립을 전망하였던 민족개량주의운동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은 新興 中間階級의 이해를 대변하는, 自由主義 원리에 기초한 市民社會論的 民族主義였다. 그런데 이 시기 기독교세력은 양반 대지주 출신과 소빈농·노동자계급의 중간에서 市民革命論·絶對獨立論이 아닌 漸進的 文明開化論·民族改良主義 노선을 선택하면서 대지주·자본가와 계급적인 연합을 하였다. 그리고 反唯物論的 사상의식과 自由主義的 市民社會論의 이론적 정합성을 기초로 해방후 남한 자본주의국가의 체제이념과 자유민주주의 논리를 확립하는 데 열성적으로 참여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이 해방후 분단체제의 형성과 관련하여 갖는 역사적 함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아질 수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ristian nationalism on the basi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which we can systematically clarify the traditional ideas of modern nationalism of Korea. In the late Daehan Empire period,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hich was based on the Shinminhoe(New People's Society) and the Hwangseong(Seoul) YMCA, represented the politicalization and socialization of christian power. It prevailed into the independent middle class in Kwanseo(Northwest) area and into the reformist bureaucrats and the new educated class in Kiho(Central) area. In this period, the christian nationalists developed the new movement in religion and education, insisting on learning the modem citizenship & knowledge and on expanding the independent spirit through christianity. However, the forceful occupation and military rule of Japan made their early plans fruitless. Their plan was to establish a civilized nation and a modem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Korea. Meanwhile, a group of new younger students introduced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105 In Sageon (Incident of 105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tried to overcome the social-evolutionary authoritarianism theoretically, which resulted in acceptance of republicanism and humanism. The humanism an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had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le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ecayed and the idea of fostering real ability surged, the reorganization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olicy of gradual improvement developed in the two top christian centers of Seoul and Pyongyang.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christian nationalist camp along the line of gradual improvement formed, which included the groups following the lines of An Changho and Rhee Seungman respectively. After March lst Movement, christians anticipa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s a realization of justice and humanism and they raised diplomacy and fostering real ability as a strategy. In the middle of 1920s, there were two tendencies among christian nationalists in response to Anti-Religion Movement of socialists. They were christian socialism, which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socialism, and social gospel, which was based on the modernism. After the appearance of Shinganhoe(National United Front), a new christianism was introduced as a christian practical morality, which was raised through Jerusalem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distinguishing itself from marxism. The christianism interacted with Anti-Religion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ical fighting against materialism. This event had become a case of settling down of the cold war mentality in christian society. Another logic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gradual progressivism, which panned to take the steps of religion, education, industry, and politics successively. All the christian groups set the movement of religion and culture as a base of all kinds of social movements. With this idea, they were willing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self-independence of Korea by fostering real ability in education and economy and by making a national union in political aspects. In this situation, their new model of independent state was based on liberalism, which regarded a nation as a union of people and gave priority to the civil society over nation. However, under the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impossible to protect the self-autonomy of civil society and as a result liberalism could not take root. It was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principle of uncompromiz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interest of civil society. In this social situation, Lee Kwangsu introduced his idea of remodelling a national movement, which represented for the position of christian national bourgeoisie. His opinion is that the tension between cultural movement and political movement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without political color. Against this ideological tendency, Suyang Dongwoohoe(Mental Training Society) Reforming Movement under the leadership of Chu Yohan and Cho Byongok and Daegongism of An Changho were raised, which were based on the new liberalism. They hilighted national liberation as a primary task, and justifie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ffairs for the public interest. Meanwhile, along the line of Rhee Seungman, the movement of accepting fascism appeared centering around the Jeokkeuk Shinangdan(Positive Faith Team) under the leadership of Cynn Heungwoo. We can examine the ideas of national economic construction through capitalistic economic movement and rural movement, which centered in two central cities, Seoul and Pyongyang. Economic movement of Kwanseo(Northwest) area christians spoke for the small and medium capitalists, wa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of civil society distinguished from the government power, and pursued the independent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self-sufficiency and the national capital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vocational training movement of Kiho(Central) area christians focused on fostering christian civil class and independent middle class, who was qualified on diligence, sincerity, and spirit of independence. In this process, people following the line of Rhee Seungman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 The rural movement of christians expanded centering around the YMCA and the Presbyterian Church. First, the rural work of YMCA,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Rhee Seungman, was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the westernization theory. The idea centered on the creation of cooperatives following the model of Denmark, agricultural reforms based on the model of Ireland, and absorption of surplus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cit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rural movement of Presbyterian Church,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An Changho and Cho Mansik, was a movement based on the christianism. They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rural problems as economic bankruptcy, cultural degradation, and moral depravity. And they were willing to build the model rural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church. Christian nation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tarted as a policy gradual improvemen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self-reformation or creation of modem citizenship. It also pursue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arou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around rural reconstruction based on independent small-farm system such as cooperative. It anticipated national union and liberation, too,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pubic opinion of civi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political-economic idea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a nationalism of civil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and tried to protect the interest of a new middle class. In this period, the groups of christian nationalists tried to associate with the landlords and the capitalists, not tenants and laborers. And it was supported by the political line of gradual progressivism, not of the civil revolution and an absolute lib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y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ideas of capitalism and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in South Korea. It is in this point that we can relate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ith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 누가복음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상에 대한 연구

        정중헌 칼빈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in the Gospel of Luke and to offer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he biblical social care for the modern church. The Gospel of Luke contains a lot of records for Jesus' healing ministry and concerns for women, tax collectors, Samaritans, Gentiles that had been treated discriminatingly within Luke's community. Most of New Testament scholars consent that the Gospel of Luke not only contains authentic confessions of the primitive church on Jesus Christ, but also provides theological answers for the problems in modern social welfare. Thus, first of all, this study sets about analyzing related terms, specially “πτωχός(the poor),” and numbers of parables which show Luke's social concerns for the needy. In chapter 1, the history of study related to this project is examin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general social welfare and the concept of biblical social welfare are comparatively surveyed.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he understanding of Jesus' teachings and ministries in the Gospel of Luke on the view of modern social welfare. In chapter 3, Luke's perspectives on the problems of social welfare such as poverty, social discrimination, and diseases is studied. The exegetical analysis of biblical texts related these issues shows that the term of “the poor(πτωχός)” ha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social, econom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term, as I believe, is probably best grasped if such multi-dimensional implications of the term are properly recognized in the context of the Luke passages. For Luke described “the poor” as an existential situation under which one is suffering from sin and condemnation. Research efforts is given on how to show the fact that the Gospel of Luke emphasizes disciples' responsibility for the poor, the sick and the people who suffered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all kinds by the Luke's community members. An exegetical analysis of Lk 10:25-37 shows that the Parables of Good Samaritans is the prototype of the biblical social welfare practices. In chapter 4,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in the Gospel of Luk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uke emphasized that Jesus demanded all kinds of social services as a mode of discipleship that the followers of the Lord must show. (2) through the Parables of Good Samaritans Luke tried to demonstrate that Jesus taught his disciples to show an unconditional love to people, such as those who were fell into “the hands of robbers”(Lk 10:36) and who are in life-threatening crisis situation because of physical disease, poverty, and discrimination. The Parables of Good Samaritans suggests, for the today's church, that she must make herself responsible for making a safety net available for those who are in need because of age, sickness, or other circumstances. Moreover the Parables of Good Samaritans is surely a standard model for Christian social care and compassion, to which the today's church ought to conform as closely as possible. Based on this study, several questions such as WHY, WHO(WHOM) and HOW TO are asked. These questions would be helpful for the church to practice social care work in modern metropolitan society. WHY does the church assume the responsibilities of social welfare? The reason is that it is to Christ, present within his Church, that the poor should turn in times of need. Thus, it is incumbent upon the faithful, both the laity and the clergy as the followers of Jesus Christ, to provide the needs of the poor. In the Gospel of Luke, social care work is inseparable from our salvation(Lk 10:25; 18:18). WHO should practice social care work for WHOM? All the christians who have the faith in Jesus our Lord and Savior must become the neighbors to “the poor(πτωχός),” those who fell into “the hands of robbers”(Lk 10:36). These are, as shown in the Gospel of Luke, sufferers under inhumane economic, soci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situations. Therefore, the church has to play a major role to meet the needs of social welfare in local community where the church locates. HOW should the church then practice social care work? (1) The church must function as a life-saving institutions to care for the marginalized and needy, when civil society and the government do not properly perform the corporeal works of mercy. (2) the church, as directed in the Parable of Good Samaritan(Lk 10:25-37), should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and the system to care for those who are unable to care for themselves.

      • 현대 사회 속에서의 복음적 가난에 대한 영성신학적 이해 : 신자유주의의 도전과 교황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변상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02

        Modern society can be said to be a inactive societ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lead to a high degree of civilization which has advanced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in modern society. But on the otherhand, due to this civilization people are living helplessly without a direction in life. Pursuing to get a better occupation and goods has been a primary meaning in life. Furthermore, the tragic and growing problem of poverty has become a "mere spectacle" without finding a fundamental solution. In this way, the true values of human existence, such as love, community, sharing, and humility, are gradually being forgotten in modern society. Moreover the joy that flows from the way human exists is fading. In the face of these realities, the contemporary Christian is fac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o submit to the materialism of a consumer society, where human value is measured by the capacity to produce or consume, or to break free from its tyranny and reject it. Focusing on the teachings of Pope Francis, this dissertation will examine the meanings of ‘Evangelical Poverty’ and its benefits towards Christians living in the midst of the challenges of contemporary Neo-Liberalis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Pope Francis emphasized a ‘poor church for the poor’ as a sign of the times. In order to make this concrete, this dissertation will priorly examine the meaning of poverty which becomes a virtue of Gospel. In addition it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structural problems of Neo-Liberalism through the teachings of Pope Francis and will point out the cultural challenges that are shaped by this structure. Finally, will identify the spiritual challenges that these problems cause. Thus, Evangelical poverty will then be interpreted in a contemporary way, in line with Pope Francis' insight that it is the poverty of Jesus Christ and, in particular,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based on mercy. It will be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moreover, that it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Spiritual Theological view of theological virtue. As a result, Evangelical Poverty, as a proclamation of the Gospel through the practice of sharing, humility, and love, is shown to be an outstanding virtue for contemporary Christians to discover Christ and follow God's values in order to overcome the dominance of modern neoliberal society, which is centered on selfish possessions. 현대 사회는 무기력함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이 가져다준 고도의 문명은 현대 사회인들의 삶의 질을 진보시킨 측면이 있지만, 사람들은 삶의 방향성을 잡지 못한 채, 무기력하게 살아가고 있다. 더 좋은 집, 더 좋은 직장, 더 좋은 물건을 취하는 것이 삶의 원의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전히 더욱 비극적으로 늘어나는 빈곤의 문제는 그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단순 구경 거리’로 전락하였다. 이렇듯, 현대 사회에서는 사랑, 공동체, 나눔, 겸손과 같은 인간 존재의 참다운 가치는 점차 잊혀지고, 인간 존재 방식에서 흘러나오는 기쁨이 퇴색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현대 그리스도인은 ‘인간의 가치가 생산 능력 혹은 소비 능력으로 평가되는 소비 사회, 물질 만능주의에 몸을 맡길 것이냐, 아니면 그 횡포에서 벗어나 그것을 거부할 것인가’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 논문은 교황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현대 신자유주의 시대의 도전 속에서 복음적 가난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데 어떤 유익이 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왜냐하면 교황 프란치스코는 시대 징표로서 ‘가난한 이를 위한 가난한 교회’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본 논문은 청빈이라는 복음의 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우선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교황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통하여 신자유주의의 구조적 문제를 확인하고, 그 구조 안에서 형성되는 문화적 도전들을 지적하며, 나아가 이러한 문제들이 영성적으로 어떤 도전을 야기하는지를 찾고자 시도한다. 그리하여 복음적 가난은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이며, 특히 자비를 바탕으로 둔,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라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통찰과 함께, 현대적으로 해석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며, 나아가 영성 신학적으로 향주덕과 깊은 연관을 맺는다는 점이 밝혀진다. 결과적으로 이기적 소유로 집약되는 현대 신자유주의 사회의 지배를 극복하고자, 나눔과 겸손, 사랑의 실천을 통한 복음 선포로써, 복음적 가난은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를 발견하고 하느님의 가치를 따르는데 탁월한 덕목으로 드러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