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宋代 士大夫의 家庭敎育 硏究

        정혁진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6

        本稿는 宋代 士大夫 家庭에서 진행된 家庭敎育의 內容과 實體를 살펴 보고, 이것이 士大夫 社會의 形成과 發展에 어떠한 役割을 하였는지를 밝혀 보고자 試圖되었다. 이와 함께, 宋代 文臣官僚 體制 構築을 위한 文治主義가 士大夫 社會 成立의 출발점이라면, 士大夫 社會를 유지시키고 발전시켜준 原動力은 士大夫 階層에 대한 敎育, 특히 家庭에서의 敎育에서 비롯되었다는 前提下에, 硏究의 중심내용을 전개하였다. 陳橋驛 政變으로 宋을 建國한 太祖(趙匡胤)集團의 가장 시급한 當面 課題는, 唐末 이래로 계속되어온 軍閥(節度使)의 專橫을 정리하고, 새로운 社會秩序를 여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地方 分權的인 節度使 體制를 終熄시키고, 中央 集權的인 皇帝支配 體制를 확립하는 작업이 急先務였다. 이에, 武人 대신 文人을 登用하여 이들을 中央 및 地方官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宋代의 文臣官僚 體制는 五代의 武人支配 體制를 대신하는 새로운 社會秩序로서, 그 歷史的 중요성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되 었고, 여기에 唐의 貴族社會는 唐末·五代의 節度使 體制의 混亂時代를 거쳐, 宋代의 士大夫 庶民社會로 전환되는 唐·宋의 變革時代가 전개되었다. 宋代의 士大夫는 知識과 敎養을 갖추고, 宋代의 文臣官僚 體制가 전개되면서 科擧를 통하여 官人으로 出仕하여 지배계층이 된 社會集團이다 그러므로, 宋代 士大夫는 科擧試驗 준비를 하는 讀書人과 科擧에 합격하여 官人이 된 官僚階層, 그리고 科擧試驗 준비를 하는 讀書人을 뒷받침하고 있는 地主層 등을 網羅한 社會階層이다. 宋代 士大表 階層의 형성은 讀書人層의 擴大를 가져오게 되었고, 讀書人層의 社會 支配階層으로의 進入은, 知識과 敎養을 중시하는 社會氣風이 振作되면서, 송대 士大夫 社會 全般에 걸친 早期敎育의 熱風이 일어 나게 되었다. 그 위에, 出身成分을 가리지 않는 庶民社會의 出現과 科擧制度의 開放으로, 庶民들에게까지 科擧考試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讀書와 學問이 奬勵되었으며, 科擧制度의 개방은 현실적으로 知識과 敎養을 지닌 庶民階層이 出現하게 되면서, 庶民들에게 地位向上과 敎育機會의 擴大라는 새로운 宋代社會의 분위기를 제공해 주었다. 또한 經濟發展에 따른 生活水準의 향상은, 士大夫 階層을 중심으로 讀書를 통해 官界로 진출하려는 刺戟劑가 되었고, 文化的 成長과 科學技術의 發達은, 송대 士大夫 階層의 意識水準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어, 學問을 통한 出仕의 길은, 個人은 물룬 家門의 功名을 세우기 위한 최대의 目標가 되었다. 宋朝의 統治體制는 士大夫에 의한 文臣官僚 體制로 정착되었지만, 士大夫 社會를 뒷받침하기 위한 敎育制度의 실행은 쉽게 마련되지 못하였다. 실제로 宋의 敎育機關, 특히 官學이 그 기능을 제대로 遂行해 나가기까지에는 상당한 시일을 要하였다. 宋의 건국 후, 80여 년이 지난 仁宗 慶曆年間(1041∼1048)의 興學運動이 일어나면서 官學의 完備를 가져오게 된 것은, 이를 立證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宋代 士大夫 家庭에서의 子弟敎育은 士大夫 社曾의 形成에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왜냐 하면, 官學이 아직 整備되지 못한 宋初의 子第敎育의 대부분이 家庭에서 遂行되었고, 이러한 家庭敎育을 敎育의 基礎過程으로 거친 다음에야 비로소, 制度的 敎育機關으로서의 進入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宋代 士大夫家의 家庭敎育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唐末·五代의 社會的 混亂으로 교육기관이 疲弊한 상태에서, 宋의 文治主義와 士大夫 社會의 形成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이 바로 士大夫 社會內의 家庭敎育이라는 점에서이다. 부언하면, 唐의 貴族社會가 唐末·五代에서 무너져 宋代 士大夫 庶民社會로 이행되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士大夫 社會를 유지시켜 나갈 讀書人層과 官僚 供給源이 될 수 있는 人材養成의 기반이 士大夫家에서 행해진 敎育으로부터 形成되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이와 함께, 唐의 貴族社會가 崩壞되고 개인의 能力을 중요시하는 宋代 庶民社會에 있어서, 讀書人層이나 官僚曆, 그리고 地主層(形勢戶)이 다 같이 子弟를 교육시켜 社會의 支配階層(文臣官僚)으로 올라갈 수 있는 據徑은, 바로 철저한 家庭敎育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는 宋代社會의 전반적인 文化主義 傾向과 밀접한 聯關性이 있었음을 주시해야 한다. 宋初 文治主義 정책에 따른 知識과 敎養을 갖춘 讀書人과 文臣官僚에 대한 優待風潮는, 독서인의 급속한 증가와 敎育의 早期化에 一助를 하였다. 宋代에 있어서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는 다수의 士大夫 敎育 理論家들이 早期敎育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認識하게 되는 契機로써 그 意味를 지닌다. 士大夫의 早期敎育 理論은 胎敎論으로부터 출발한다. 宋代의 胎敎論은 傳統的인 胎敎理論에 醫學的·科學的 요쇼가 가미되어, 이후 중국의 胎敎思想에 영향을 미치는데, 陳自明의 胎敎論이 대표적이다. 胎敎論으로부터 시작된 宋代 早期敎育의 중요성은, 대표적인 士大夫 敎育·思想家들에 의해 具體化되었다. 張載·邵雍·程顥·정신·司馬光·袁采 등에 의해 제기된 早期敎育 理論은, 공통적으로 '子弟에 대한 家庭에서의 교육은 幼稚時節부터 이루어져야 함'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定型化된 早期敎育 機關이 不在하였던 관계로, 이들에 대한 교육의 場은 주로 家庭이 될 수밖에 없었다. 宋代 士大夫家에서의 敎育은 內容上 다양하며, 士大夫 子弟들의 成長 過程에 미치는 교육적 영항은 매우 컸다. 당시 士大夫로서 家庭敎育에 관심이 깊었던 대표적인 人物로는 賈昌朝·范仲淹·邵雍·司馬光·陸游·袁采·呂祖謙·陸九淵 등이 있었다. 이들 士大夫家에서 진행된 家庭敎育의 내용은 道德·學習·遊戱·科學接術 등이 주를 이루었다. 性理學의 形成과 發展 및 주변민족과의 對立問題는, 가정교육에도 영향을 주어 忠孝思想과 親範敎育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出仕 후, 官德과 交遊 차원에서 淸廉·愼言·儉朴 등에 관한 교육도 함께 진행되고 있었다. 學習敎育은 자녀의 학문과 讀書能力이 出仕와 直結되었던 관계로 매우 중시되었다. 일반적으로 兒童이 6∼9세가 되면 『孝經』·『論語』·『春秋』 및 諸史 등을 학습하도록 하였는데, 學習敎育은 그 내용상, 목적상 학문을 통한 人格陶冶의 취지도 있지만, 文臣官僚로서의 出仕와도 깊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인식된다. 宋代에는 智力, 忍耐心, 探究力 향상을 위한 遊戱가 士大夫家에서 유행하고 있었다. 圍棋類와 燕幾圖, 色子戱 등이 대표적인 遊戱인데, 반면에 賭博性이 짙거나 好戰的인 遊戱 즉, 博이나 鬪鷄 등은 宋代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었다. 講史나 傀儡戱, 影戱 등의 兒童劇 역시, 일상 가정생활 속의 遊戱로 反映되어 아동들의 文化生活에 크게 작용하였다. 宋代에 있어서의 遊戱는 부모가 교육적으로 그 作用과 價値를 인정하는 선에서 이루어진 일종의 文化敎育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科學技術 敎育은 興學運動의 결과 科技專門 敎育機關인 醫學·算學·書學·畵學 등이 설립되어 活性化되지만, 家學이나 家業, 父業을 통한 가정에서의 科技敎育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醫學이나 數學分野는 家庭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學問을 이루는 경우가 많았다. 神童에 대한 관심은, 어느 시대 어느 국가 건, 이들의 優秀性을 持續시켜 국가의 人材로 養成코자 하는 차원에서 대단히 켰음은 主旨의 사실이다. 宋代의 神童들은 대개 2∼3세 때 글자를 배워 讀書를 시작하였으며, 5∼6세부터는 經書와 歷史書를 주로 읽었다. 入仕途를 보면 이들은 童子科 보다는 進士科를 選好하고 있는데, 이는 人事上에서 進士科 출신이 優待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宋代 士大夫 家庭에서의 女性敎育은 대개 文學과 禮節敎育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傳統的인 倫理觀念과 性理學적인 입장에서, 守節과 貞節을 중시하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再嫁반대나 守節勸告가, 당시 사회에 絶對的인 通念으로 작용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반면, 士大夫家에서 교육을 통하여 성장한 여성들이 文學이나 기타 방면에서 활동한 점이나, 가정에서의 여성들의 敎育的 역할 등은, 宋代 여성들의 社會的 位置上, 意味賦與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士大夫 家庭에서의 敎育 受敎者들은, 대부분 學問과 敎養을 바탕으로 蔭補와 進士及第를 통하여 官界로 進出하고 있었으며, 사회의 中心人物로 成長하였다. 그리고, 宋代 童子科는 자녀에 대한 期待感과 함께 家庭과 家門에서의 교육적 관심이 집중되었던 制度로서, 文臣登用 政策과 敎育의 早期化 경향과의 相關性이라는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결국, 宋代 政治·經濟·學術·思想界를 주도했던 인물들은, 대부분 家庭으로부터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出仕와 學問의 길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들 또한 子孫들에게 철저한 가정교육을 시키고 있다. 가정교육의 내용도, 士大夫 社會의 形成과 發展이라는 측면과 相通하고 있다. 즉, 유교적 素養을 갖춘 知識人을 기른다는 시대적 요구와, 文武를 겸비한 人材의 養成이라는 國家政策의 一環으로 시행된 科擧의 試驗科目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다. 이는 士大夫 社會를 유지시켜 나갈 讀書人層과 官僚 供給源이 될 수 있는 人材養成의 기반이, 士大夫 家庭의 敎育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立證하는 것이다. 宋代의 敎育이 文治主義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宋代 士大夫 社會의 形成과 發展에 어떠한 作用을 하였는가를 밝히는 作業은 意味가 크다. 이에 대한 先行作業은 士大夫 家庭에서 이루어진 敎育의 性格과 內容 등, 그 實體를 명확하게 糾明하는 일이다. The foundation of the Sung Dynasty(宋大) in China brought in the civil service bureaucracy system by the Shi-da-fu(士大夫) class who put an end to the military regimes of the Tang(唐) and the Wu-Tai(五代) periods. The aristocratic society of Tang gave way to the society of common people, or the Shi-da-fu, in which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matters more than anything else. The establishment of the Shi-da-fu class in the Sung Dynasty contributed to expansion of reading population, and the arrival of the society of common people along with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strengthened the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 of commoners, providing them more opportunities to be educated. As the Sung Dynasty began to implement policies to support literati circles and the civil service, there followed efforts to establish education systems to produce desired results from the policies. This trend of regarding highly of literati and the civil service who have knowledge and cultural discipline greatly contributed to a rapid increase of these social groups, creating a move towards early learning. In this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many Shi-da-fu scholars began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ouring out a wide range of education theories. One of the Shi-da-fus major concerns at the time in terms of education was the theory of antenatal training. The theories of antenatal training developed in the Sung Dynasty were largely based on earlier thoughts on the same topic, although some newly found medical and scientific elements were added later. Among these theories, which were to leave a lasting influence on the later eras of China, Chen Tzumings(陳自明) idea is particularly famous. Shi-da-fu educationists and philosophers in the Sung Dynasty, including Zhang Zai(張載), Shao Yong(邵雍), Cheng Hao(程顥), Cheng Yi(정신), Sima Guang(司馬光) and Yuan Cai(袁采), further refined the theories on early education started with the belief in the importance of antenatal training. A common element of their ideas was that childrens education at home should be carried out as early as when they were in infancy. As it was the time where no public education system for young children existed, this task of teaching children had to be performed mostly at home. Teachers for the childrens education . at Shi-da-fu homes in Sung taught on diverse topics, and their influence on the children was great when they grew older. The major Shi-da-fu scholars who taught children at home at the time include Jia Changzhao(賈昌朝), Fan Zhongyan(范仲淹), Shao Yong(邵雍), Sima Guang(司馬光), Lu You(陸游), Yuan Cai(袁采), Hu Zuqian(呂祖謙), and Lu Jiuyuan(陸九淵). The subjects they taught are, among others, Ethics, Confucian Classics, Entertainments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e doctrines of Chu-tze(朱子學) and the Sungs conflict with the northern tribes also lef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ns education at the time, and accordingly a greater emphasis wa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ones loyalty to the state, filial piety, and observance of social norms. Skills to establish human relationships and virtues of a civil servant such as personal integrity and simple life were also among major topics for childrens education during the Sung era. Education of Confucian Classics was particularly important largely because it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childrens ability to read and write as well as finding chances to succeed in life.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四書三經』) as well as some major history texts were among the essentials for 6 to 9 year-olds. The education of such classical works was aimed for cultivation of childrens characters although some regard it more necessary for their success in later life when they try to enter the elite group of civil servants. In the Shi-da-fu families of Sung, teaching a variety of entertainments was also considered important as they believed that it helps children cultivate their intelligence, patience and the spirit of inquiry. The games such as Weigi(圍棋), Yanchitu(燕幾圖) and Shaitzuhsi(色子戱)remained popular as ever although gambling and belligerent games such as Po(博), Tou Chi(鬪鷄) were beginning to lose their charm. These entertainments were widely recommended to learn as long as the parents considered them suitable for their children for cultural education.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actively conducted in the Sung society as a whole backed by the trend of reviving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s, and teaching a variety of skills at home was also considered important, for example, to succeed a family tradition. Medical and math education was usually given at home. Like people in any society in any era, Sung Shi-da-fus interest in infant geniuses was very great in anticipation that they might one day be a huge resource for the state. The geniuses of the Sung were taught how to read and write as early as when they were just two or three years old. For older children, from 5 to 6 year olds, a few selected classics were taught including histories. The normal course for these child prodigies was to get into the civil service via the state examination such as Tongzike(童子科) or Jinshike.(進士科) Education for women in the Shi-da-fu families during the Sung Dynasty was focused on teaching etiquettes and literature. That women should show marital fidel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the teachings of Chu Hsi(朱憙) was one of the key factors in this education, although the ideology was not always well received in real lif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many Sung women enjoyed opportunities of having education at home like their male counterparts, and allowed to play an active role in many areas of the society, including literature and art. The system of educating children at home exerted, in fact, a great influence on improving womens position in the Sung society. A normal course for those who were educated at Shi-da-fu homes in Sung was to become a civil servant via the state examination such as Yinbu(蔭補) and Jinshike(進士科). They were eventually to form the most influential class of the society. Tongzike(童子科) was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trend of early learning, and more and more Shi-da-fu families became enthusiastic about giving their children opportunities for early education at home with high hopes for their future. The contents of childrens education at the Shi-da-fu homes in Sung were deeply related with the arrival of the Shi-da-fu class at the time. In many cases, the education started as early as when a child was two or three years old, and selected literary works including the Confucian Classics(經書) were introduced to them before they were nine years old. The tradition coincided with Sungs state policy of producing young talents equipped with literary and military knowledge and skills, gaining further impetus by the state examination that dealt with the same subjects. In conclusion, the politics, economy and academy of Sung was dominated by the Shi-da-bu class that was formed by those who were educated at home when they were very young and continued the tradition for the later generation. The contents of the early education were focused on upbringing intellectuals equipped with knowledge and cultural discipline that the dynasty wanted, which was greatly boosted by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hat is significant is that the Shi-da-fu society was formed and supported by literati and the bureaucracy who were from the families that provided their children early education at home. Home education is the foundation of our society whose tradition has continued to exist since long ago when mankind began to form a family unit for their living. This type of education performed with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way that the elders teach their younger ones has distinctive qualities that are hard to be provided by public education systems. The experience of the Chinese people about early education, left to us in numerous documents, is precious cultural heritage in its own right, and there are elements that w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not ignore. Home education is a subject that requires a careful approach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effects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and other social education systems.

      • 高麗 禑王代 士大夫의 成長과 分岐

        최봉준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고려말 사대부는 원간섭기 이래 꾸준하게 성장하여 恭愍王16年(1367) 成均館 重營을 계기로 政治勢力化하였다. 그들이 이렇게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요건으로는 과거합격자와 고시관의 관계인 座主門生關係와 그들 사이 또는 權門勢族과의 婚姻關係를 들 수 있겠으며, 흔히 이들 관계는 중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사대부는 성리학을 수용한 계층이므로 闢異端을 통해 이단과 자신을 구분하고 道學을 숭상하는 同類意識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들이 의식적으로 결집하게 되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사대부는 공민왕이 죽고 무장세력인 李仁任이 집권하자 정치적인 입지에 위협을 받기 시작하였다. 우왕 원년(1375) 사대부는 이인임 세력이 北元의 사신을 맞아들이고 그와 외교관계를 재개하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였다. 특히 鄭道傳은 侍中인 慶復興과 太后에게까지 가서 불가함을 역설하였으며, 심지어 李詹과 全伯英은 집권자인 李仁任과 池奫을 극형에 처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집권자 측은 이들을 정계에서 축출하였으며 사대부의 정치적인 입지는 상당히 축소되었다. 하지만, 이는 그들 세력에 대명 사대외교에 적극적인 인물과 그렇지 못한 인물이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사대부는 이후 우왕 3년(1377)을 전후로 하여 정계에 복귀하였다. 그 중 李崇仁과 鄭夢周 등은 개혁안의 제기와 외교활동 등을 통해 정치적인 입지회복과 성장을 모색할 수 있었다. 그들은 政房을 혁파하고 君主修身을 통하여 정상적이고 성리학적인 정치체제를 구현하고, 一田一主의 원칙에 따라 토지제도를 재확립하고자하였다. 그들의 이러한 개혁안은 ‘先王之制’에 따른 구제의 회복이었지만, 부득이한 경우 현실적인 조건에 따른 제도적 變容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들의 개혁안은 우왕 3년부터 간헐적으로 정책에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우왕 9년과 12년 鄕吏의 과거응시 제한과 經學위주의 제도로의 복귀는 그들 세력의 확대 재생산 기반을 마련하여 준 것으로 매우 큰 의의가 있는 것이었지만, 이는 그들과 교유하던 李成林과 廉興邦의 정권참여와 관계가 있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鄭道傳을 비롯하여 趙浚·尹紹宗·李詹등은 오랜 유배생활과 재야 생활 또는 지방관 생활을 하면서 民의 실상을 목격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들의 현실인식과 개혁론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들은 우왕대 중반에 들어 제각기 결집하고 있었는데, 정도전은 유배지인 나주와 삼각산·김포 등지에서 길러낸 제자들과, 그리고 조준과 윤소종 등은 사제관계와 교유관계로 연결되고 있었다. 이들 각각의 결집은 우왕 9년(1383) 정도전이 李成桂와 결합하게 되면서 비로소 하나로 결집할 수 있었는데, 이때 조준은 정도전의 영향으로 4년간 은거하면서 개혁안을 구체화하였으며, 우왕 11년에 이르러서는 개혁안을 실제 적용시켜 볼 수있었다. 한편, 하나의 세력에 속하였지만 우왕 원년 이후 각기 다른 길을 걷고 있었던 사대부들은 우왕 14년(1388) 威化島回軍과 昌王옹립을 계기로 분기하게 되었다. 위화도회군으로 崔瑩정권이 무너지고 우왕이 물러나자 회군의 주체와 사대부는 정권을 장악하고 우왕의 후계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李穡과 曹敏修는 우왕의 아들인 昌을 옹립하려고 하였으나, 李成桂와 鄭道傳은 傍系의 종친을 옹립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두 집단은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며, 결국 사대부는 이색을 중심으로 하는 李穡 系列과 정도전을 중심으로 하는 鄭道傳 系列로 분기하였다. 이처럼 사대부가 분기하게 되는 직접적인 계기는 昌王옹립이었으나, 그 단초는 공민왕대 辛旽 집권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치세력화 단계에서 사대부는 이색을 중심으로 신돈 정권에 참여하는 인물들이 있었는가 하면, 그에 비판적인 이들도 있었다. 정도전도 신돈 정권에 비판적인 인물들과 정치적인 의견을 같이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정치세력화 단계에서 동일한 정치의식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사회경제적인 지위에서도 일치하지 않았다. 이색을 비롯하여 李崇仁·金九容·權近 등은 비교적 좋은 가문 출신으로 경제적으로 윤택한 생활과 순탄한 관직생활을 해온 반면, 鄭道傳·尹紹宗·趙浚·李詹 등은 그렇지 못하였다. 게다가 그들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왕 원년 이후의 정치적 경험에서도 큰 차이를 드러내었는데, 이는 그들의 현실인식과 개혁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국 사대부의 분기는 직접적으로 창왕의 옹립을 통해 드러나고 있었지만, 그 단초는 이미 공민왕대에 이미 형성되고 있었으며 우왕대 그들의 성장과정에서 점차 심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Sadaebu(士大夫: Literati Class) at the end of Koryo Dynasty(高麗) gained political power in the 16th year of King Gongmin(1367) as a result of its steady growth after the end of Yuan's intervention period(元干涉期). The primary factor of their growth was connection between official examiners of the state examination and successful candidates(座主門生關係), marital relations(婚姻關係) between them or between them and influential families and their consciousness of kind(同類意識) that ostracized heterodoxy and established their identity through Neo-Confucianism(性理學). After King Gongmin died and Lee In-im(李仁任), the military power, came into power, their ground began to be threatened. In the first year of King Wu(1375), Sadaebu stood against Lee In-im's power that wanted to re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northern Yuan(北元), emphasizing its impossibility; especially Jeong Do-Jeon(鄭道傳), Lee Cheom(李詹), Jeon Baek-Ryeong(全伯英) proactive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serve Ming(明). They went so far as to insist upon killing Lee In-Im and Ji Yun(池奫) who were in power. Hence those in power expelled them from the politics. This incident shows that some were active in submissive diplomacy toward Ming and some were not in their inner circles. Sadaebu was reinstated to the politics in around the third year of King Wu(1377). Lee Sung-In(李崇仁) and Jeong Mong-Ju(鄭夢周), etc especially searched ways to act by continuously addressing reform and through diplomatic activities. They attempted to abolish Jeongbang(政房: a private political institution that dealt with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embody a normal political system based upon Neo-Confucianism through moral training of kings(君主聖學), however it is construed as reform to adapt the obsolete system to realistic conditions. Their reform proposal began to be reflected in government policies intermittently from the third year of King Wu(禑王), and especially their bill to reform the state examination between the ninth year and the twelfth year of King Wu had great significance because it prepared the foundation to expand and regenerate their power. On the other hand, Jo Jun(趙浚), Yun So-Jong(尹紹宗), Lee Cheom including Jeong Do-Jeon could witness the reality of people's life because they spend a long time out of office,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ir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ir reform theory. In the ninth year of King Wu(1383), they could especially consolidate their power due to Jeong Do-Jeon's being leagued with Lee Seong-Gye(李成桂). Accordingly, Jo Jun embodied the reform proposal during his 4 year seclusion under Jeong Do-Jeon's influence and the proposal had a chance to be put into practice in the eleventh year of King Wu. On the other hand, Sadaebu, a politically influential group, diverged in the fourteenth year of King Wu(1388) upon the withdrawal of the army troops in Wihwado(威化島回軍) and enthroning of King Chang(昌王). Choi Yeong(崔瑩)'s regime was subverted due to the troop withdrawal in Wihwado and King Wu was overthrown. Then those who led the troop withdrawal and Sadaebu seized power and began to discuss who would succeed King Wu. Lee Saek(李穡) and Jo Min-Su(曹敏修), who attempted to enthrone Chang(昌), King Wu's son, and Lee Seong-Gye and Jeong Do-Jeon who insisted on bringing a person from a collateral royal family to the throne, were tensely confronted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Sadaebu diverged into two lines: one was centered on Lee Saek (李穡系列), the other was centered on Jeong Do-Jeon(鄭道傳系列). Thus, thedirect factor of Sadaebu's divergence turned out to be over whether to enthrone King Chang, however, its beginning goes back to the period when Sindon( 辛旽) was in power during King Gongmin(恭愍王)'s reign. At that time, Sadaeb was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was those who participated in Sindon's regime in pursuit of their growth and the other was opposed to Sindon. Jeong Do-Jeon belonged to the second group that criticized Sindon's regime. These two groups were also different in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Lee Sung-In, Kim Gu-Yong(金九容), Gwon Geon(權近) including Lee Seak were from a good family and led an affluent and their life in government positions had been smooth, unlike Jeong Do-Jeon Yun So-Jong, Jo Jun and Lee Cheom. Furthermore, they also revealed great difference in political experience after the first year of King Wu as mentioned above, which was having great influence on their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 direction of reform. After all, the divergence of Sadaebu was being exposed through the enthroning of King Chang, but its beginning was already being built up during King Gongmin's reign, deepening gradually in the course of their growth during King Wu's reign.

      • 조선시대 사대부 園林으로서 洞에 관한 연구

        유가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study aims to find of Korean garden's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mountains. The concept of Wonlim園林 in Joseon Dynasty(1392~1910) was a subject that can be explained not only with an act of making landscape造景, but also through rambling in it遊景. The rambling places for scholars were various mountains in the country. Mountains were significant in that it hid materialized ideal place and it is the nature on the other side of the capital city. The space in the mountain perceived as a 'garden' is a section of pure nature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The East Asian culture, where people use Chinese characters, uses '園' for garden. In general, garden is written as '園林' or '庭園'. However, there are not many classical gardens in the country that are left with names such as '-園'. Instead, they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landscapes or villas centering around structures such as -Jung亭, -Dang堂, -Jungsa精舍, -Lu樓, Hun-軒 and -Sanbang山房. The mental border against the landscape around the structure marks the territory of a garden. This mental border is formed by the appreciator's rambling. This ramble also accompanies the scholar's inward eyes as an intellectual. The artificial mountain假山, flowers and trees, and stones in the yard, and garden ponds in personal gardens were not seen as reproduced nature as the way they appear, but rather appreciated with each individual's ideal in their minds. Scholar's rambling was also carried out by the act of going into the mountains. Mountains are places for the scholar's seclusion and for shelters of recluses who left the secular world. It is also a hidden utopia like an immortal world and has characteristics of another world異界. But in fact, it is an untouched pure nature and a wild place where beasts and insects prevail. Mountains where ordinary person could not access freely, were perceived as a sacred space. People staying in these spaces were revered as they were considered immortal beings like shinsuns. Deep mountains where shinsuns lived, represented utopia and Fudi福地. It also had meanings of sacred mountain and note one where classical scholar, ascetics and chushi處士, who left unsacred society, lived in reclusion. And for the scholars of that time, it was also perceived as a place to 'withdraw and stay' by the concept of calling and reclusion according to the confucianist principle of entering or withdrawing himself in politics出處之義. From this, mountains were given the meaning of Sanlim山林 where scholar‑officials lived their lives away from the capital city.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t utopia where one reached the stage of shinsun神仙. The methods and aspects of realizing mountains as a utopia were looked at in order to analyze the rambling place in the mountains as scholar‑officials Wonlim. The hope to embody ideal stage理想境 in utopia created various cultural forms and some of them were shaped into scholar's garden culture. First of all, aspects of utopia embodiment were examined based on scholars' appellation of pen names雅號 and rambling on mountain遊山. Some of the pen names were combination of landscapes, such as a mountain, river, valley and stream, and meaning of seclusion隱逸 or reclusion隱遯. An old fisherman海翁, an old recluse遯翁, a valley with cloud雲谷, a valley with pine forest松谷, a recluse as a fisherman漁隱 and a recluse as a woodcutter樵隱 are some of the examples, and many of them used words that meant a valley. These are examples of embodying an ideal stage of seclusion in the mountains by calling people by those names. Also, rambling on mountains is a practical attitude of an appreciator's embodiment of an ideal stage by actually going into the mountains. In addition, methods of making shape of the mountain or representing landscape in the living space were studied. Placing miniature model mountains in ponds or yards is called jisan假山. Among these realization methods, embodiment of an ideal stage by rambling on mountain and reproducing mountains and landscapes were formed into different types of Wonlim. This Wonlim signifies a space for meditation or a place for aesthetic embodiment of the world in a gourd bottle壺. It is also a nature perceived as a concept of garden. This study looks into the artificial mountain, the garden - reproduction of an ideal stage, and the imagery garden - realized in free imagination. In addition, the scholar's practical attitude of perceiving one section of the pure nature as a 'garden' was carefully examined. As an example, meaning of Wonlim as an ideal place in the mountain was also studied. Dong洞 is an attempt to realize the unusual stage through an appreciator's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of the scenary, appellation and dwelling. This includes the process of experience when one recognizes the reality discovered in the mountains as an ideal stage, and it shows how one identifies reality with ideal. Moreover, one makes the space he discovered during rambling into a personal place, Wonlim, through mental border. Hence, dong was regarded as a subject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Wonlim', ‘mountain' and 'utopia'. Dong usually means a 'village', but its meaning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was given after 1910 when integration of Dong洞, Ri里 and Chon村, and change of names and boundaries were proclaimed. Dong was originally used as an elegant name for village units such as Ri and Chon, and it can be found in the documents of Goryeo Dynasty(918~1392). This paper identifies dong as Wonlim, the space found in the mountains equivalent to utopia that has been recorded and handed dow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rather than the meaning of 'village'. dong as Wonlim is also used as traveling on mountain which holds valid meaning in the modern times as well. Mujukucho'n-dong in Mt. Teogyu and Sunyoo-dong in Goisan are well known examples of this, and these places are settled as an ideal of modern people where they can get away from their ordinary life and get in touch with the pure nature. Based on the explorations in the scholar's traveling writings, dong's meaning as a Wonlim was studied. The writings contain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ains and surroundings. Repetitive explanations included 'rambled along the stream', 'the trails were narrow and contracted', 'stone gate appeared', 'there is a wide and spacious place inside the gate' and 'inside is vacant'. Also, more explanations were followed such as 'mountains are composed of rocks', 'high and deep', 'steep', etc. In addition, there were words like dong gate, stone gate, Dongbu洞府 and Dongcheon洞天. In short, dong is the vacant space in the valley of high, deep, steep and rocky mountains. And there is a gate to another level. This study considers this Dong in the mountains to have a meaning of an earthly utopia. The activities in dong in the mountains are continued to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of space by stepping into the gate, unlimited rambling, 'discovery' and 'imagination' of landscape, 'observation' and 'appellation' of nature and 'embodiment' of ideal stage. These can be the process of scholar-officials' seclusion and a mountain excursion. During this process, they left numerous space appellations and inscriptions. These were chanted as Gugok and expressed complex ideals of combinations of Confucianism and Immortalism. Rock inscriptions included names of places, rambling people and poetry.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dong as a Wonlim as follows. First, space is given an appellation. Dong is a certain section of a mountain without boundaries, but has a special appellation as a selected and recognized place. It either has been called by the same name by many people for a long time or the first person who discovered the place gave it a name. It was related to landscape-characters, special meaning, and Taoism such as Sunyoo-dong仙遊洞, Ohsun-dong五仙洞, Chilsun-dong七仙洞, Eunsun-dong隱仙洞. Second, landscape is enjoyed and interpreted through exploration. The place is like a circuit style garden where on can freely ramble around in the mountains. In a place comprised of natural objects such as a waterfall, marsh, stream, rocks and cliff, one rambles, rests, give names and inscribes names into the rocks. Third, there were some pavilions亭, ponds, and planted trees. It is like a gardening. Scholar-officials wanted to make their secret garden in the deep mountains. Forth, it has a characteristic of a theme park, where the process of discovery, appreciation, experience and imagination with a theme of Shinsun神仙 world is accompanied. Dong is located at an unfrequented area, deep in the mountains. This place can either be reached by an unintended discovery or one has to travel over the rivers and mountains to get to a famous place. One also has to go through steep and narrow mountain trails. The dong either discovered or reached is a distant space away from the secular world and creates aura as another level. The appreciators are intoxicated with the immortal land inside. This is a place with special joy that scholar-officials cannot find in their ordinary lives. This dong's physical basis is the 'mountains' and mental orientation is the 'immortal world'. Fifth, there is no physical boundary such as a fence or wall, but it is a psychological 'area' recognizing a selected place in the natural mountains as a 'single' space. And there is a gate to transform the space and it has its inner area. In the scholar-officials' travel writings, this area is defined as places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a space', 'an area', 'different world', 'immortal world', 'a space created by God', 'a space like a gourd bottle', 'distinctive space from the human world', 'Buddhist utopia', 'Daoistic utopia', 'hyundo', 'space beyond human power' and 'grotto as a phantom house'. Sixth, it has characteristics of Wonlim as an unusual space in that it accompanies acquisition of the ideal stage by physical movement and inward eyes, and it is a discovery of a new place for an individual. The performers rambling in the dong are scholar-officials, the Literati of the era. Texts they had access to ranges for Confucianism to Buddhism and Dao. Among different types of texts, inward eyes were creat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preference. This is appeared in scholar-officials' space appellations. In dong, Confucian ideals were expressed through Gugok九曲, but sometimes they appeared as complex ideal concepts that combined peach blossom land, the world in a gourd bottle and immortal world. Dong is a place of embodiment where these ideals are found, discovered and enjoyed. 이 연구에서는 전통시대 한국정원의 속성을 산과의 관계를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당시의 원림 개념은 경관을 만드는 행위造景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노닐고 경험하는 과정遊景을 통해서도 설명되어질 수 있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이때 사대부들의 유遊의 장소는 국내에 산재하는 산이었다. 산은 현실화된 이상향을 감춘 공간이자 성시城市의 반대항에 있는 자연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정원으로’ 인식된 산속의 공간은 인위적 조작이 없는 천연의 자연 속 한 구역이다. 한자를 사용하는 동아시아문화에서는 정원을 의미하는 용어로 ‘園’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園林’ 혹은 ‘庭園’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현재 보존되어 온 국내의 전통정원은 ‘-園’의 명칭으로 남아있는 사례가 적다. 대신에 ‘-亭’, ‘-堂’, ‘-精舍’, ‘-樓’, ‘-軒’, ‘-山房’ 등 건조물을 중심으로 주변의 영역을 이루는 산수정원 혹은 별서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건조물의 점경点景을 중심으로 주변경관에 대한 심적인 경계를 이루는 정원이다. 이 심리적인 경계는 감상자의 유遊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유’에는 지식인으로서 사대부의 심안이 동반되었다. 뜰庭에 놓인 석가산, 꽃과 나무, 개인의 정원에 만든 원지園池는 모두 재현된 자연을 눈앞에 보이는 그대로 목도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마음속 이상과의 교융을 통해 감상되었다. 사대부의 유遊는 산으로 ‘들어가는’ 행위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산은 선비가 은일하는 공간이며 세속을 등진 은둔자가 머무는 공간이었다. 또한 신선세계와 같은 이상향이 숨겨진 공간으로 이계異界로서의 성격을 지녔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듬어지지 않은 천연의 자연으로 맹수와 해충이 창궐하는 야생의 공간이다. 범인이 함부로 드나들 수 없는 산은 신성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공간에 머무는 인물은 신선과 같은 불멸의 존재로서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신선이 산다고 믿어진 깊은 산은 낙토와 복지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혹은 영산靈山과 명산名山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불온한 사회를 등진 고고한 선비, 도사나 처사가 은둔하는 장소가 되었다. 그리고 당시 사대부들에게는 출처지의出處之義의 소명과 은둔의 관념에 의해 ‘물러나 거하는’ 피세의 장소로 각인되기도 하였다. 더불어 산은 사대부로서 성시를 이탈한 삶이 이루어지는 산림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동시에 신선의 경지가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의미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산속에서 노닐고 경험한 장소를 사대부의 원림으로 해석하기 위해 이상향으로서 산의 경지를 구현하는 방식과 양상에 관해 살폈다. 이상향을 구현하기 위한 소망은 다양한 문화형태를 양산하였고 그 중 일부는 사대부의 원림문화를 형성하였다. 먼저, 사대부의 아호雅號 명명과 유산遊山을 바탕으로 이상경을 체현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사대부의 아호 중에는 산, 강, 골짜기, 계곡 등의 자연경관에 은일 혹은 은둔의 의미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이름이 있다. 해옹海翁, 둔옹遯翁, 운곡雲谷, 송곡松谷, 어은漁隱, 초은樵隱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골짜기를 뜻하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사례들은 산악에서 은일하는 이상적 삶을 인물의 이름으로 부름으로써 그 자체를 체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유산遊山은 산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이상적인 경지를 체현하는 감상자의 실천적 태도이다. 이밖에도 산형山形을 만들거나 생활공간 안에 경관을 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축소된 산의 형상을 만들어서 연못이나 뜰에 둔 것을 가산假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구현의 방식 중 유산을 통해 산악의 경지를 체현하는 것과, 산형과 경관을 재현하는 것은 원림의 한 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림은 심성수양을 위한 공간이거나 호중천지壺中天地의 미학을 체현하는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 더불어 정원의 개념으로 인식된 자연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사대부 정원을 점경点景에 해당하는 가산, 이상적 산림경지를 재현한 원園, 자유로운 상상 속에서 구현한 의원意園, 원림으로 인식된 자연에 대한 4가지 범주 안에서 다루었다. 이중 자연 속 한 구역을 원림으로 인식하는 사대부의 실천적 태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사례로는 동洞이라 명칭된 산속의 공간을 다루었다. 동은 비일상적인 경지를 주체자의 적극적인 탐승, 명명, 거주 등의 행위를 통해 현실화 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산악에서 발견한 현실을 이상향의 경지로 인식하는 체험의 과정이 포함된 것으로 현실과 이상을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심적 경계를 통해 산속의 한 공간을 개인적 유오遊娛의 장소로 삼기도 하는데, 이는 원림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동洞을 ‘원림園林’과 ‘산山’, ‘이상향理想鄕’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았다. 동은 일반적으로 ‘마을’의 의미를 갖고 있으나, 행정구역상 의미로 명명된 것은 1910년 도령으로 기존의 동, 리, 촌의 폐분합치와 명칭 및 경계변경에 관한 내용이 공표된 이후의 일이다. 본래 동은 리, 촌 등과 같은 촌락단위에 대한 아칭雅稱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명칭은 고려시대 문헌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동은 일반적 마을, 청학동이나 우복동과 같이 이상향과 현실 속 마을이 결합된 것, 삶의 공간이 아닌 개인의 유遊를 위한 장소의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동을 일반적 ‘마을’의 의미보다는 산속에서 발견한 이상향과 같은 차원의 공간으로서 개인의 경험에 의해 기록되고 전승된 원림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원림으로서의 동은 현대에서도 그 의미가 유효한 유遊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선유동계곡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은 지금도 일상을 벗어나 천연의 자연을 마주할 수 있는 현대인의 이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원림으로서 동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사대부의 동 답사 기록洞記에 나타난 내용을 파악하였다. 기록된 내용상에는 산세와 주변경관에 관한 내용이 매우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반복적으로 설명되는 내용은 ‘시내를 따라 소요하였다’, ‘산길이 좁고 협착하였다’, ‘석문이 나타났다’, ‘문으로 들어가면 넓고 광활한 공간이 있다’, ‘내부는 비어있다’ 등이다. 또한 ‘산이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높고 깊다’, ‘험준하다’ 등의 설명이 뒤따른다. 이와 함께 동문洞門, 석문石門, 동부洞府, 동천洞天 등의 용어가 나타난다. 요컨대 동은 높고 깊은 험준한 바위산 골짜기 가운데 비어있는 한 공간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이계異界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산속의 동이 현실화된 이상향으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산속의 동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문門을 들어섬을 통한 공간전환의 ‘경험’, 경계를 설정하지 않은 ‘유’, 경관의 ‘발견’, ‘상상’, 자연물에 대한 ‘관찰’과 ‘명명’, 이상적 경지의 ‘체현’ 등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은일과 산놀이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그 과정에서 수많은 공간명명과 각자刻字를 남겼다. 이것은 구곡九曲으로 읊어지기도 했고 유가적인 이상과 신선관념이 결합된 복합적인 이상을 표현한 것이기도 했다. 바위글씨의 내용 가운데는 공간의 명칭, 노닐었던 사람들, 시구 등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이 갖는 원림으로서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첫째, 공간의 명칭을 갖는다. 산속의 한 구역으로 일정한 경계가 없으나 선별되고 인식된 장소로서 ‘별칭’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사람에 의해 같은 이름으로 불리거나 최초 발견한 사람이 명칭을 부여하였다. 선유동仙遊洞, 오선동五仙洞, 칠선동七仙洞, 은선동隱仙洞 등 신선관념과 관련된 명칭, 경관특성에 의한 명칭, 발견한 사람의 감흥이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명칭 등으로 다양하였다. 둘째, 탐승행위를 통해 해석되고 감상되는 공간이다. 산중의 동은 자유로운 경로로 소요하며 노닐 수 있는 공간으로 회유식回遊式 정원의 성격을 지닌다. 폭포와 소沼, 계류, 바위, 절벽 등의 자연물에 의해 구성된 공간에서 노닐고, 쉬며, 명명하고, 바위에 이름을 새기는 등刻字의 행위가 이루어진다. 셋째, 정자건축∙연못조성∙식재 등 조영행위가 이루어졌다. 경관해석 및 감상활동과 함께 장소 안에 거함을 통해 공간을 소유하고자 하는 구체적 행위가 동반되었다. 이것은 사대부 주택과 별서 등에 조성했던 원림을 산중 공간에 이루고자 한 것이다. 넷째, 신선세계라는 주제를 통해 발견하고, 감상하고, 경험하며 상상하는 일련의 과정이 동반되는 주제정원적 성격을 갖는다. 일상적 생활공간을 벗어난 산속은 신선세계라는 이계에 보다 가까운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은 이 같은 산 가운데 인적이 드문 곳에 있었다. 이곳은 의도하지 않은 발견에 의해 도달할 수 있거나, 다다르기 위해 물을 건너고 산을 넘는 먼 길을 가야 했다. 또한 험준하고 비좁은 산길을 거쳐야만 나타났다. 이렇게 도달하거나 발견한 동은 인간세상에서 멀어진 공간으로 이계로서의 아우라를 형성한다. 감상자들은 그 안에서의 신선경에 도취된다. 이곳은 사대부로서의 일상적 삶에서 찾을 수 없는 특별한 즐거움이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동’의 물리적 기반은 ‘산’이며 정신적 지향은 ‘선계’이다. 다섯째, 울타리나 담장의 물리적 경계는 없으나 감상자의 심리적 경계에 의한 영역을 갖는다. 이 영역洞은 산수자연 속 선별된 장소로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은 문門을 통해 공간의 전환을 맞이하고, 내부의 영역을 갖는다. 또한 사대부의 답사 기록 속에서 일국一局, 일구一區, 별세계, 선경, 조물자가 조성한 공간, 호리병 속과 같은 공간, 인간세계와 구별되는 곳, 낭원閬苑과 현도玄都, 인력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곳, 귀선鬼仙의 동굴 같은 곳, 신선구역의 복지 등 세속과는 구별되는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설명은 공통적으로 인간세계가 아닌 곳, 세상과 격리된 곳, 초월적 세계로서의 공간성격을 나타낸다. 다섯째, 이상향과 같은 공간 속에서 초월적 경지의 획득이 동반된다. 개인에게 새로운 장소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비일상적 공간성격을 갖는다. 동에서 노니는 행위자들은 사대부로서 그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에 해당한다. 이들은 일상을 벗어난 산속 공간에서 그들이 지향하였던 경관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 이상적 경지를 실현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때 사대부들이 인식하였던 텍스트경관은 유가儒家적인 것에서부터 불佛․도道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공간명명으로 나타난다. 유가적 이상은 동에서의 구곡을 통해 나타났으나, 도화원, 호중천, 선계 등이 혼합된 복합적 이상향 관념으로 드러나기도 하였다. 동은 이 같은 이상을 발견하고 누리는 체현의 장소이다. 또한 ‘산’이라고 하는 자연 속 한 구역을 이상향과 같은 경지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개개인이 마음으로 소유하고자 했던 장소이다. 더불어 공간의 발견, 감상, 경험, 상상, 조영, 거주 등의 행위에 의해 이상향과 같은 장소에서 바라마지 않는 이상적 경지를 체현하고자 하였던 산속의 원림이다.

      • 조선시대 사대부 풍속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김소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art education program titled “Gyehoedo Appreciation for Understanding of Literati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designed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ppreciation of Gyehoedos (paintings of literati gatherings) that portray literati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to enable students to study th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of Gyehoedos. The 2015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specifies the importance of identity development through the enhanced ability to understand art and culture and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However, the current education on traditional paintings is limited to genre and folk paintings; therefore, new ways of educating traditional paintings need to be identified. New materials contrasting with usual ones will increase learners’ interest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broaden their thinking. To this end,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oncept of Gyehoedo and the rationale for Gyehoedo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literati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A review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literati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in middle school education. Gyehoedos are paintings that document literati gatherings in the Joseon Dynasty and vary i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ime and purpose of paintings and gathering organizer. The results reveal that middle school education on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focuses on genre and folk paintings, lacking in diversity in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 of Chapter 2, Chapter 3 describes three following Gyehoedo appreciation programs for understanding of literati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First, the Gyehoedo appreci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of leisure culture was based on the response-based learning method as a teaching model and designed to increase understanding in the changes in Gyehoedos and the leisure culture of different periods. Second, the Gyehoedo appreci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of literary culture was based on the comparative appreciation learning method as a teaching model, and designed to increase understanding in components of Gyehoedos and literary culture. Third, the Gyehoedo appreciation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of life culture was based on the inductive learning method as a teaching model and designed to increase understanding in types of Gyehoedos and life culture. The program implementation suggests that Gyehoedos, which are an unfamiliar subject to learners, were materials that induce interest in traditional paintings in students. Moreover, the programs enhanced students’ understanding of leisure, literary, and life cultures of literati in the Joseon Dynasty. Chapter 4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follow-up survey with learners to determine changes in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Gyehoedos and literati culture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and explores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programs. The educational effects are as follows: (1) increased familiarity with Joseon Dynasty paintings, (2) increased understat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Gyehoedos, and (3) discovery of literati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educational effects, there are many challenges associated with educat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ulture due to the lack of class periods for traditional paintings. Therefore, the proposed strategies to promote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grams with Korean history, (2) programs linked with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traditional paintings, and (3) increased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museum visits. In modern society where new cultures are constantly created and subsequently vanish, we must understand the pluralistic value of the world based on our cultural identity. To this end, we must recognize, inherit and develop the superiority and originality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urthermore, education should foster a student’s ability and confidence in analyzing artwork and acquiring new knowledge by him/herself through various traditional painting classes. Therefore, research on learning traditional paintings should continue to explore new materials, and encourage learners to have an interest in traditional paintings and voluntarily engage in learning.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의 풍속문화를 담은 계회도 감상을 통해 다양한 전통문화에 대해 친근감을 형성하고, 계회도의 역사적·미술적 가치를 탐구할 수 있는 ‘조선시대 사대부 풍속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 문화 이해 능력 함양과 다양한 전통문화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전통회화 교육은 풍속화와 민화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벗어난 새로운 전통회화 교육이 필요하다. 기존과 다른 소재의 학습은 전통문화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을 고취해 자발적 참여와 사고의 확장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계회도의 개념 이해와 조선시대 사대부의 풍속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현재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조선시대 사대부 풍속문화의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자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과 설문을 실시하였다. 계회도란 조선시대 사대부의 계모임을 기록한 것으로, 제작 시기와 목적, 계회 주체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현재 미술교육에서 다뤄지는 조선시대 회화 영역은 조선 후기 풍속화와 민화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한 방향의 전통 미술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내용을 토대로 조선시대 사대부의 풍속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 프로그램을 3가지 개발하였다. 첫째, 풍류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 프로그램은 반응 중심 학습법을 수업모형으로 설정하고 시대별 계회도의 변천 과정과 풍류문화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둘째, 학예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 프로그램은 비교 감상 학습법을 수업모형으로 설정하여 계회도의 구성방식과 학예문화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셋째, 생활문화 이해를 위한 계회도 감상 프로그램은 귀납적 학습법을 수업모형으로 설정하고 계회도의 종류와 생활문화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에게 생소한 계회도는 전통회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사대부의 풍류문화, 학예문화, 생활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학습자에게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계회도 및 사대부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의 변화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와 향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회화에 대한 친밀감이 상승하였다. 둘째, 계회도의 특징 및 회화사적 의미 이해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사대부의 풍속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전통회화의 수업 시수 부족으로 다양한 전통문화의 감상교육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사와의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좋을 것이다. 둘째, 전통회화의 감상과 표현의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좋을 것이다. 셋째, 박물관 견학을 통한 체험 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새로운 문화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사라지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는 자문화의 정체성을 토대로 세계의 다원적 가치를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전통문화의 우월성과 독창성을 인식하고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전통회화 학습을 통해 생소한 작품을 접하더라도, 스스로 작품을 분석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을 길러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통회화 학습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소재를 지속해서 탐구하고, 학습자가 전통회화에 흥미를 느끼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 朝鮮時代 宮中과 士大夫의 婚禮 節次와 婚禮服 硏究 : 女子服飾을 中心으로

        노주연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조선시대 궁중과 사대부의 혼례 절차와 혼례복을 여자 복식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조선시대 궁중과 사대부의 혼례 절차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분에 따라 어떠한 양식의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에 착용하는 여성의 혼례복을 통해 복식의 상하 흐름을 유추해 보고자하였다. 국혼(國婚)과 사대부가의 혼례는 여러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혼례가 이루어지기 전에 혼례 준비 단계가 모두 있다. 그러나 국혼에서의 간택(揀擇)은 혼례에 적합한 사람을 선발한다라는 궁중의 일방적인 절차이고, 사대부 가에서의 의혼(議婚)은 양가의 의견을 알아보고 혼례에 합의한다는 의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간택에서 입었던 당의(唐衣)와 비빈(妃嬪)으로 정해진 처자가 별궁으로 갈 때와 공·옹주의 대례복이였던 초록원삼(草綠圓衫涉)은 일반인들의 혼례복으로 착용이 허용되었다. 둘째, 공식적으로 혼인을 청하는 의식인 납채(納采)는 궁중과 사대부가에서 모두 행하여지는 절차이나, 사대부가의 혼례에서는 신랑의 사주(四柱)를 신부집에 보내는 의미로 전환되었다. 넷째, 혼인이 이루어지게 된 증표로 혼서(婚書)와 혼수(婚需)를 보내는 의식은 가례에서는 납징(納徵)으로, 길례와 사대부의 혼례에서는 납폐(納幣)로 다르게 부르지만, 예물을 보낸다는 의미는 같았다. 넷째, 가례일을 정하여 왕비나 세자빈의 집에 알려주는 고기(告期)와 특정 신분으로 규정되어지는 책비(冊妃)와 책빈(冊嬪)은 가례에서만 있는 절차이다. 길례와 사대부의 혼례에서는 혼례일을 알려주는 의식을 따로 하지 않았으며, 비빈으로 책봉받는 의식은 왕비나 세자빈의 신분에서만 가능한 의식이었으므로, 길례나 사대부의 혼례에서는 절차가 존재하지 않았다. 책비·책빈시에 왕비는 대홍(大經)색 적의를, 세자빈은 아청(鴉靑)색 적의에 수식을 하고 의식을 행하였다. 다섯째, 친영(親迎)은 국혼과 사대부의 혼례에서 모두 행하는 의식으로 혼례에서 가장 중요한 의식이다. 하지만 가례에서는 비빈을 맞아들이는 의식의 의미만으로 친영이 행하여 졌고, 친영 후 절을 하고 술과 찬을 나누는 동뢰(同牢)가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길례와 사대부의 혼례에서는 친영 절차가 가례에서 분리되어 있는 동뢰를 포함하여 예를 행하였다. 이 때 혼례 당사자들은 혼례복을 착용하고 예를 진행하는데, 비빈은 법복(法服)인 적의를 입고, 대군부인(大君夫人)과 공주(公主)는 노의·활옷·원삼 등의 대례복을 갖추며, 사대부의 신부 또한 염의·활옷·원삼·당의 등을 혼례복으로 착용하였다. 혼례의 모든 절차들은 남자 집에서는 보내는 의식으로, 여자 집에서 받는 의식으로 진행되고, 마지막 절차에서 신부를 신랑집으로 데리고 와서 진행되었다. 또한 신분에 따른 혼례절차는 신분이 높아짐에 따라, 의식의 절차가 늘어나고 규모가 커지는 차이이며, 혼례 본질 자체의 차이가 아닌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자 혼례복은 왕비와 세자빈은 명에서 사여받은 관복제인 대삼 배자제의 복식에서 국속화된 적의를 가례시에 착용하였고, 대군부인과 공·옹주는 길례시 대례복으로 노의, 활옷, 원삼을 착용하였으며, 사대부가에서의 신부예복은 염의, 홍장삼, 활옷, 초록원삼, 당의 등 여러 가지 복식이 나타났다. 궁중에서의 혼례복은 궁중 혼례 규정을 토대로 하였으므로, 사대부의 혼례복처럼 그들의 가풍(家風)이나 집안 형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조선시대 혼례복에서 여자복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왕실의 최고 신분인 왕비와 세자빈의 복식인 적의는 왕실 고유의 복식으로 다른 신분에서의 착용은 금하였다. 둘째, 대군부인과 공주의 혼례복은 사대부의 혼례에서 허용되었는데, 의차(衣次)나 직금(織金), 부금(附金), 문양(紋樣) 등의 규제를 두어, 계급간의 차이를 두었다. 셋째, 비빈의 간택시 입었던 당의와 초록원삼 등 왕실에서의 대례복, 소례복을 사대부가 혼례에서는 예복으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식의 규제가 엄격했던 조선시대에서 예외적으로 복식 금제가 적용되지 않았던 혼례식에서는 궁중의 복식을 왕족이 아닌 신분에게도 착용 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의차, 직금, 부금, 문양 등의 세부적인 사항에서 규제를 두어 계급의 차이를 둔 것을 알 수 있었다. Nuptial System and custom, alterative by the change of times, became as a unique social system after official recognition by the law, followed by custom recognition. Marriage perceived as a matter of grave concern, therefore rituals followed as a pious and poignant system. Though exact date can not been known by current documents, Kukjoohryeyeui(國朝五禮儀) contributed to systematize procedures by nuptial custom, where Saraepieonram (四禮便覽) contrived a guideline for wedding. Procedures of nuptials became more emphasized for exchanging proprieties between two families at the period of Lee dynasty when flourish ment of Songlihak(性理學) helped confucianism to establish itself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 society to set a high value on rituals and procedures. Custom dress weared at wedding ceremony was called wedding dress. It was a wedding day when dresses and ornaments for royals were allowed to the public with differences by social standing. This study analogize upper classes dressing to lower classes dressing by women wedding dresses weared at nuptials, by examining differences of dressing due to social ranks, and by comparing nuptial procedures of royals and people of high births. There are differences and commonness between national nuptials and that for people of high births. First, though nuptial preparation procedure could be found in both, however, Kantaek(揀擇) in national nuptials was an unilateral selecting procedure of finding the adequate person, where Yeuihon(議婚) for people of high births was a mutual agreement procedure between two families. Dangyeui(唐衣) weared at Kanteak and . Chorock-Wonsam(草綠圓衫) weared when crown princess forwarded to the detached palace were allowed for wedding dresses to the public. Second, Napchae(納采) in national nuptials varied its' meaning into sending a bridegroom's fortune teller to the bride's household on nuptials for people of high births. Third, difference in appellation , that is naming Napjing(納徵) for Garie(嘉禮), and naming Nappie(納幣) for nuptials for people of high births, did not make significant dissimilarities on the procedure for forwarding wedding presents. Fourth, Gogi(告期), informing queen or crown princess's household of the date of wedding day, and Chackbi(冊妃) or Chackbin(冊殯) only existed on Garie. Gilrie(吉禮) and nuptials for people of high births could not have that procedure, as it was only allowed to the queen and crown princesses. Queen weared Chuckyeui(翟衣) and crown princesses weared Chuckyeui with an embellishment respectively to participate ceremony. Fifth, Chinyoung(親迎) the most important ceremony on nuptials, was both performed in national nuptials and nuptials for people of high births. Garie varied its' meaning into inviting queen of crown princess. Then Dongreui(同牢) which includes obeisance and sharing dinner with drinks, followed by Chinyoung, was a separated procedure. However, in Gilrie and nuptials for people of high births Dongreui was performed together with Chinyoung. On this occasion, newlyweds wore wedding dresses to participate ceremonies. Queen and crown princess wore a robe Chuckyeui, royal queens and princess wore Daeraebok(大禮服), such as Noyeui(露衣), Hoalwot(花衣), Wonsam(圓衫), or Dangyeui. All the procedures had a pattern. When bridegroom's household sends, bride's household receives, and last procedure was performed after inviting bride to bridegroom's household. Though nuptials procedure tended to increase it's scale and number of procedures on the higher rank, essentials in nuptial ceremony did not differ. Queen and crown princess wore Juckyeui which was introduced from Myoung's National custom Daesam-Baejajie(大衫-背子制), on a Garie day. Royal queen and princess or princess by a concubine wore Daeraebok, such as Noyeui, Hoalwot, or Wonsam. Women's wedding dress for people of high births varied differently, such as Yeomyeui(염의), Hongjangsarn(紅長衫), Hoalwot, ChorockWonsam, Dangyeui, etc. Royal dresses did not differ much as they strictly followed national nuptial regulations. Dresses for people of high births, however, differed depending on family's wealth or custom. On nuptial ceremonies, women dresses had certain characteristics. First, Juckyeui, privileged only to the highest rank, namely queen and crown princess, was prohibited by other ranks. Second, the wedding dresses for crown queen and princess were allowed for people of high births. Regulations of textile, gold leaf, and pattern still applied. Third, Dangyeui or ChorockWonsam, which queen or crown princess wore at Gantaek, could be worn as a wedding dress at nuptials for people of high births. As clarified, a special circumstance, namely the wedding ceremony enabled for the specific social position to wear national custom. However there were regulations on some specifications such as textile, gold leaf, patterns to differentiate social ranks.

      • 麗末鮮初 士大夫의 佛敎認識과 승려와의 交遊

        정채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麗末鮮初 격동기 상황 속에서 士大夫가 가진 佛敎에 대한 認識과 승려와의 교유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려에서 불교는 정치·경제·사회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고려 말의 사대부들도 자연스럽게 불교에 익숙한 삶을 살고 있었다. 이전까지 불교의 긍정적인 역할로 인해 불교의 폐단이 문제시되지 않았으나, 고려 말에 이르러 불교의 폐단이 심각해지자 사회적·정치적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사대부들은 불교에 대해 우호적으로 인식하며 불교의 사회적 폐단만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유학이 강화되고 성리학 사회가 정착되자 불교의 교리조차 비판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런데도 불교의 교리를 완전히 적대시하지 않았다. 그저 불교의 도와 유교의 도가 다르다고 인식했을 뿐이었다. 이에 사대부들은 불교의 교리를 비판하면서도 승려와의 교유를 이어나가고 있었다. 사대부가 승려와 교유할 때 사대부들의 기준에 부합한 승려를 가려 교유했기 때문에 교유를 이어나갈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불교의 교리를 완전히 적대시하며 벽불을 주장한 사대부도 있었다. 이렇듯 고려 말 사대부들의 불교 인식은 복합적이고 여러 측면이 공존하고 있었다. 사대부들은 이러한 다양한 인식 속에서 승려들과 교유하고 있었다. 사대부는 인연을 맺은 승려와 사찰에서 교유했는데, 이는 사찰이 사대부에게 학문 공부를 위한 공간, 휴식을 취하는 공간, 치료를 위한 공간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사대부는 승려와 사찰에서 교유하며 자연스럽게 불교 지식을 습득하였다. 사대부는 사찰을 가는 것 외에도 승려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를 이어나갔다. 사대부는 시문을 통해 승려를 전송하고 승려가 보내준 선물에 감사했으며, 불경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사대부가 불교에 비우호적인 인식을 하면서도 승려와 교유한 것은 사대부에게 승려가 그저 자연에서 수행하는 벗이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이 건국된 이후 사대부들은 불교에 우호적인 인식을 드러낼 수 없었다. 조선 초의 사대부들은 이전에 불교를 이단으로 설정한 것에서 더 나아가 유교의 입장에서 불교의 교리를 반박하며 비판적으로 인식했다. 조선 초 사대부들이 불교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사대부는 승려와 교유를 지속하고 있었다. 사대부와 승려의 교유 양상은 고려와 비슷하게 이루어졌으나, 달라진 점이 있다면 자녀를 승려에게 맡겨 사찰에서 교육받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시문의 내용도 불법과 불경에 대한 내용보다 승려가 유람가는 곳의 풍경을 써주었다. 특히 권근은 태종대 핵심 인사로 불교를 혁파하기 위해 힘썼지만, 승려와의 교유는 계속 이어나갔다. 이는 더는 불교가 유교를 위협할만한 존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성리학 사회가 정착되면서 사대부들이나 백성에게 불교보다 성리학이 더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불교는 신앙으로만 그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즉, 사대부는 승려를 종교인이 아닌 지식인으로 교유한 것이다. 또한 불교가 더는 정치적으로 간섭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대부는 승려를 지식으로써 계속 만남을 이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선 초 사대부와 승려의 교우는 고려 말보다 축소되었다. 이처럼 고려 말 사대부의 불교 인식은 불교에 우호적이지만 사회적 폐단은 비판하는 인식, 불교의 교리를 비판하지만 적대시하지 않는 인식, 불교 교리를 부정하는 인식으로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사대부는 승려와 여러 방식으로 교유하였다. 조선이 개국 된 이후 사대부의 불교 인식은 비판적이었으며, 승려와의 교유도 지속하였지만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Buddhism and association with Buddhist priests in the turbulent situation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In Goryeo, Buddhism had an overall influence o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ccordingly, the sadaebu(士大夫) of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naturally living a life familiar with Buddhism. Previously, Buddhism's evil was not a problem due to its positive role, but when Buddhism's evil became seriou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t emerged as a social and political problem. The sadaebu perceived Buddhism favorably and criticized only the social evils of Buddhism. However, as Confucianism was strengthened and Neo-Confucianism society was established, even Buddhist doctrines began to be critically recognized. Nevertheless, it did not completely antagonize Buddhist doctrines. It was just recognized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different. Accordingly, the sadaebu criticized the doctrine of Buddhism but continued their Association with Buddhist priests. When the sadaebu socialized with Buddhist priests, the sadaebu was able to continue the relationship because he was able to identify the Buddhist Priests who met the standards of the sadaebu. In addition, there was also sadaebu who completely hostile to Buddhist doctrines and insisted on rejecting Buddhism. As such, the Buddhist perceptions of the sadaebu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ere complex and coexisted in various aspects. The sadaebu were socializing with Buddhist priests in these various perceptions. The sadaebu interacted with Buddhist priests at the temple because the temple served as a space for academic study, a space for relaxation, and a space for treatment. The sadaebu naturally acquired Buddhist knowledge by interacting with the Buddhist priests at the temple. In addition to going to the temple, the sadaebu continued his friendship by exchanging poems with Buddhist priests. Through poetry, the sadaebu said goodbye to the Buddhist priest, thanked the Buddhist priest for the gift, and talked about Buddhist scriptures. The reason why the sadaebu interacted with the Buddhist priest while recognizing Buddhism unfavorably was that the Buddhist priest was just a friend stay in nature for the sadaebu.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the sadaebu have been able to reveal a favorable perception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oblemen went beyond setting Buddhism as heresy and critically recognized Buddhism's doctrine from the standpoint of Confucian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adaebu recognized Buddhism critically, but the sadaebu continued to socialize with the Buddhist priest. The pattern of fellowship between the sadaebu and the Buddhist priest was similar to that of Goryeo, but what changed is that they did not entrust their children to Buddhist priests for education at the templ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poem were more about illegality and Buddhist scriptures, and the scenery of the place where the Buddhist priest went on a tour was written. In particular, Gwon Geun(權近) worked hard to break down Buddhism as a key figure in Taejongdae, but his relationship with Buddhist priests continued. This is because Buddhism was no longer a threat to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Neo-Confucianism was more influential than Buddhism to the sadaebu and the people as the Neo-Confucianism society was established, and Buddhism played its role only with faith. In other words, the sadaebu associated the Buddhist priest with an intellectual, not a religious person. In addition, since Buddhism no longer interfered politically, the sadaebu was able to continue meeting with the Buddhist priest. Howev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daebu and Buddhist priest was reduced compared to the late Goryeo. As such, the Buddhist perceptions of the sadaebu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exis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erception that is favorable to Buddhism but criticizes social evils, a perception that criticizes but does not antagonize Buddhist doctrines and recognition that denies Buddhist doctrines. In this perception, the sadaebu socialized with the Buddhist priest in various ways.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the Buddhist perception of the sadaebu has been critical,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Buddhist priest has been reduced.

      • 朝鮮前期 士大夫 時調의 景情論的 硏究

        박세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6

        고려말에 발생한 시조는 다양한 작가층의 수많은 작가들에 의해 창작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꾸준히 창작되고 있는 시가 장르이다. 이러한 시조의 연구는 주로 시조의 기원·발생·외면적 형식·장르·시조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에 관한 연구로 일관되어 왔다. 이 시점에서 그간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전래의 용어나 개념을 적용하여 논의를 진행하는 것은 긴요한 작업이라 여겨진다. 본 고는 시의 분석에 있어 자주 거론되면서도 시조와 연관지어서는 접근되지 않은 '景情'의 이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는 이 이론에 의해 조선전기 사대부 시조를 景中情詩, 情中景詩, 情詩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여 고찰하고자 마련되었다. II장은 경정론적 관점에서 조선전기 사대부 시조를 분석함에 있어, 예비적 고찰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景情 용어의 유래와 용례를 중국의 문헌과 한국의 문현 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이론적인 재구성을 통하여 나름의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시조가 지니는 창작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어떠한 방법이든 그 저변에는 반드시 경과 정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이분법적 사고틀이 창작에도 방법론으로 작용한다. 경이 정을 촉발하기도 하고 정이 경을 포착하기도 한다. 작품에 구체적으로 실현된 경과 정의 상호관계에서 볼 때 경이 위주가 되는 시도 존재하고 정이 위주가 되는 시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III장에서는 경정론적 관점에서 조선전기 사대부 사조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전기 사대부 시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첫째, 경을 쫓아서 정이 일어나는 형상화의 양상을 갖춘 경중정시이다. 경중정 시의 작품들은 경치에다 자신의 정을 나타내는 방식의 시이다. 경치에 대한 느낌이나 경치가 지니는 의미 등을 따져서 덧보태는 방식으로 자신의 정감을 더한다. 이 부류의 작품들은 다시 선경후정형과 경정밀착형으로 나누어진다. 선경후정형의 시들은 초장과 중장에서 경을 보고 난 후 종장에서 작자의 마음을 드러내는 방식의 작품군이다. 경정밀착형의 시는 다시 경과 정의 主從관계에 의해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진다. 경이 主가 되는 경우와 정이 主가 되는 경우가 그것이다. 경이 주가 되는 경우의 시들은 시인의 감정을 배제한 채 경치만을 옮은 시이다. 경치만으로도 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이 주가 되는 시는 경의 묘사와 더불어 작자의 심정을 문면에 제시하여 주는 유형이다. 둘째, 정중경시이다. 정중경시는 자신의 정감을 표면에 제시하고 경치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유형의 시조들이다. 주로 비유나 상징에 의한 표현으로 경을 드러내어 자신의 감정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둔다. 셋째, 정시이다. 정시는 작자의 정감만을 노래한 것으로 주제가 명확하게 드러나고 오로지 뜻을 중시할 뿐 경치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 시조들이다. 분석을 종합해 본 결과 이 네 가지 유형 중 경중정의 시조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전기 사대부 시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내용상 사대부의 시는 자연에의 합일 지향의지와 충·효 사상의 강조라는 이념적 특징을 지닌다. 조선전기 사대부들은 자연과 현실생활을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연이 자신들의 정서와 정신을 대변한다고 생각했다. 유가적 사상, 즉 성리학을 이데올로기로 삼았던 조선전기 사회의 사대부들에게 현실과 동떨어진 생활은 생각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당시 사회의 지배층이자 문학 담당층인 사대부들은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위해 시조를 철저히 고전화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다. 忠이나 孝 등 유교적 질서 이념을 주제로 삼아 직접적으로 표출한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된 것은 경정론적 관점으로 작품 분석을 위주로 한 조선전기 사대부 시조의 특징에 관한 것이었다. 앞으로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논의의 확장 가능성이 타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rom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Si-jo is Si-ga genre that has been continuously created by many authors of various writer classes. These studies of Si-jo have been mainly gone through with origin, generation, external form, genre of Si-jo, social situation around Si-jo and cultural need. At this point of time, it is very important discussion that is being progressed by appling traditional term and concept on the base of existing stud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work for approaching to character of Si-jo in the first term Dynasty.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take notice of kyoung-jeong(景情) theory that has been frequently made it a subject of discussion but it has never been accessed to relate Si-jo. According to this theory, Si-jo is devided into, kyoung-jung-joeng(景中情詩), jeong-jung-kyoung(情中景詩), jeong(情詩), three types. On the base of base of this analytical result, I tried to inquire into characteristic of Sadaebu's Si-jo at the first half term of Cho-sun Dynasty. In Chapter II, as the preliminary inquiry of kyoung-jeong theory(景情論) light of Sadaebu Si-jo at the first half term of Cho-sun Dynasty. I reconstructed kyoung-jeong theory(景情論) by considering kyoung-jeong(景情) terms and examples. In Chapter Ill, on the foundation of theory exhibited in II, Sadaebu's Si-jo of the first half term of Cho-sun Dynasty was analyzed in the point of kyoung-jeong theory(景情論). As a result of examing, we realized that it was classifed in, 景中情詩, 情中情詩, 情詩, three types. The first, 景中情詩 was not only cluster of work to add writer's feeling, as the way to attach by inquiring into feeling of scene or meaning of scene, but also it was type that writer's emotion was to harmonize with scene. The third, 情中情詩 was that writer's emotion was presented on surface and harmonized with scene. The forth, 情詩 was Si-jo that theme was clearly showed and valued only scene but scene was never revealed. In result of analysis, we found out that 景中情詩 was the most common type of three types. In Chapter IV, we found out character of Sadaebu Si-jo at the first half term of Cho-sun Dynasty on the foundation of results to analyze Si-jo of two hundred seventy seventies. Sadaebu thought that poem should be based on comprehensible real world, though it might be recited subjective feeling or romantic and mysterious world. I tried to apprach by analyzing structurally Sadaebu Si-jo at the first half term of Cho-sun Dynasty in this thesis. In results, we found possibility that was able to discuss the early Si-jo as well as whole Si-jo, kyoung-jeong theory(景情論) was evaluated very adequate concept of agency. The essay was written by a method of this trying, but I think that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and feature of transmission is need more and more through the aesthetics of Sijo. And I think we need to works in oder to understand of the first half term of Cho-sun Sadaebu's Si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