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립운동가의 상징적 이미지를 반영한 기계자수 가방디자인 개발

        임정하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현대 패션은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여러 가지 표현기법을 통해 끊임없이 소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의류보다 가방과 같이 소재 활용의 범위에서 제약이 적은 패션액세서리 분야에서 다양한 양상을 띄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은 일상에서 캐주얼 코디네이션을 선호하면서 개인의 자주성과 개성을 이전보다 더욱 중요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패션액세서리 상품군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가방 제품의 희소성과 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소재의 차별화와 고급화를 위해 섬유패션의 꽃이라 불리는 자수 텍스타일을 전개하였고, 이와 더불어 한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 제안 가능한 기계자수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각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상징적 이미지는 여러 가지 테마로 표현할 수 있지만, 여느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현재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인 구한말부터 피어오르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정점을 찍은 일제로부터의 독립운동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 독립운동 및 독립운동가들의 특색을 반영한 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독립운동 관련 기념관 방문자들의 만족시키는 새로운 감성의 하이 퀄리티 패션문화상품을 기계자수 가방디자인으로 제안하였다.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대한독립에 이르기까지 활동한 한국의 독립운동가 중 현재 개별적으로 기념관이 존재하고 있는 독립운동가의 기념관은 김구, 안중근, 안창호, 유관순, 윤봉길, 이회영과 같이 6인의 독립운동가 기념관이 기념회와 함께 존재하고 있었다. 이에 고부가가치의 가방 제품군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 범위는 독립적으로 기념관을 갖춘 독립운동가 6인으로 한정하고, 독립운동가 개개인을 부각시킬 수 있는 초상 이미지와 그들을 상징화 할 수 있는 특징적인 가방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자수 텍스타일 전개에서는 디자인을 표현하고자 하는 컴퓨터 기계자수 기법에 따라 자수CAD에서 너비, 높이, 축 비율, 스티치, 오브젯, 패스, 길이, 밀도, 패스, 순서 등의 설정이 자수 결과물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수가 놓일 바탕지 소재의 특성에 따라 심지의 종류와 그 겹수를 달리하여야 수가 놓이면서 원단의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각 모티프를 표현하는데 있어 자수실의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밀도감있는 고퀄리티 자수 텍스타일 도출을 위해서는 각 도안 이미지의 명암 차이 표현은 물론 도안의 세부 부위별로 한가지 색상 이상의 자수실로 소재의 깊이감이 느껴지도록 수를 놓아야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한국 독립운동가 기계자수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백범 김구 선생의 초상 모티프는 입체적이고 화려한 자수 소재를, 안중근 초상은 단정하게 겉옷을 갈아 입힌 반듯한 이미지의 인물 자수 텍스타일을, 안창호 초상은 정장 차림의 차분한 모습에 콧수염 부각시킨 유쾌한 자수를, 유관순 초상은 기품있지만 경쾌한 컬러의 자수 소재를, 윤봉길 초상은 무채색과 유채색이 대비로 인물의 포즈와 태극기 배경이 인상적인 자수 텍스타일을, 이회영 초상은 라인으로 단순화한 인물의 이미지를 연속 반복시킨 자수를 표현하였다. 또한 각 독립운동가를 상징적 요소를 반영한 기계자수 텍스타일은 자수CAD에서 각 모티프를 가장 잘 부각 시킬 수 있는 기법, 그리고 다양한 소재와 색상의 자수실을 활용하여 김구의 뿔태 안경, 안중근의 손도장, 안창호의 각반, 유관순의 옷고름, 윤봉길의 도시락과 수통, 이회영의 모자 자수 형태로 컴퓨터 기계자수 소잉머신에서 도출하였다. 둘째, 기계자수 가방디자인은 자수CAD와 컴퓨터 기계자수 소잉머신의 활용을 통해 개발된 기계자수 텍스타일 결과물로 제작하였는데, 이를 적용한 가방 스타일은 6가지 유형으로 토드백, 보스턴백, 해트박스백, 클러치백, 바스켓백, 쇼퍼백, 호보백으로 구성하였고, 일부 디자인을 제외한 나머지 가방은 앞서 전개한 자수 텍스타일 바탕지와 동알한 원단을 주된 소재로 활용하였다. 가방 소재의 색상은 윤봉길 초상과 이회영 초상, 김구 안경, 유관순 옷고름, 이회영 모자는 블랙을 기반으로 무채색을 사용하였고, 그 외 가방 디자인 소재는 블루, 레드, 옐로우 오커, 브라운, 복합 체크 색상을 활용하였다. 이로써 손쉽게 다루기 어려웠던 과거와 달리 오늘날 자수CAD 시스템과 컴퓨터 기계자수 소잉머신을 발달로 개인의 자수 제품 개발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해졌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패션액세서리에 적용가능한 자수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과 문화콘텐츠 패션상품으로 발전가능한 기계자수 가방 제품군 생산의 대중화를 이끌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역사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담은 문화상품에 있어 패션성과 다양성 부족에 대한 문제인식이 필요한 현 시점에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도록 국가를 위해 희생한 한국독립운동가의 상징적 이미지와 기계자수CAD 시스템을 활용한 컴퓨터 기계자수 텍스타일과 이를 활용한 가방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시대 변화를 반영하여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우리나라의 독립과 애국적 신념을 위하여 독립운동의 험난한 길을 걸어간 숭고한 정신이 고스란히 담긴 상품으로 개발되어 기념관의 꽃이라 할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으로 자리매김하여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의 외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내면의 세계를 탐구해보는 예숙적 매개체로서의 역할까지 할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아울러 일제의 암흑기에 우리민족의 독립정신을 고취시키고 조국의 해방을 위해 목슴울 아끼지 않았던 애국선열들의 업적과 숭고한 정신 및 희생정신을 되돌아보며, 동시에 이들의 열정 위에 기록된 역사를 영구보존하는 기념비적 의미를 갖는데 활용되기를 바란다.

      • '독립운동사' 서술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와 기파랑 '대안교과서'를 통하여

        손화성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Current textbook of 『Korean Modern History』 which started in December 1997 at the end of Kim Young-sam's term and spreaded in March 2003 was published according to revision of 7th educative course. It is first time to publish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by private institute after 1974. It has a big issue because it could help to contain various accomplishment of research and sight of history getting out of bias raised by nation. Besides, 7th educative course, comparing with 6th, is expected to helps students to study by oneself. In this point of view,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of current 『Korean Modern History』 was published to present people's various and positive act at that time over confrontation for racism. Therefore. independence movement of socialist is described in depth and the life style of the people in those days is presented. However it has limitation in terms of structure of ‘invasion and resistance' and ‘race paradigm'. This problem is caused from similar rule of editing with ‘Korean History Vol. 2', ‘one of 6th educative course'. ‘Text Forum' said, the identification of foundation of Korea is denied and description for North Korea is depicted in view of the leftist in the textbook 『Korean Modern History』. In “The Alternative Textbook”, beginning of the 19 century and the age of colony are described as process establishing capitalism and modernism with developed civilization. In addition the book criticizes current 『Korean Modern History』 due to emphasizing nationalism And they claimed that they are free from nationalism. However there is lack of explanation in terms of contents, graphics and facts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has limitation that Lee Seung-man's term and pro-Japanese politicians are applauded and recognized as an elite group. Criticizing dualistic view between ‘Invasion and Resistance' and ‘Independence movement and pro-Japanese acting' in the age of colony and encouraging editors in view of pluralism. However it is disputable recognition for Korean history that Japanese invasion is positively described based on ‘the Western Capitalism'. 현행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김영삼 정부말기인 1997년 12월 착수되어, 2003년 3월에 전국 일선 고등학교에 배포되었다. 국정제로 발행되던 역사 교과서가 검 ․ 인정체제로 전환된 것은 1974년 이후 처음 시행되는 일로, 역사 교과서가 국가가 주도하는 편향적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구 성과와 역사 인식을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과서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행 『한국 근․현대사』의 ‘독립운동사’는 독립운동의 다양한 활동상을 서술하고, 민족과 반민족의 대립을 넘어 당시 사람들의 활동상을 다각적으로 제시하자는 문제의식을 갖고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정 체제의 『국사』교과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사회주의계열의 독립운동사’가 자세하게 서술되었고, 식민지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탈과 저항’이라는 구도와 ‘민족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이러한 한계점은 제7차 교육과정의 편수지침이 제6차 교육과정 『국사(하)』편수지침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며, 이를 토대로 교과서가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교과서포럼은 『한국 근․현대사』교과서가 대한민국 건국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있으며, ‘좌편향적’인 성향에서 북한 위주의 서술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면서 자신들의 주장을 담은 “한국 근․현대사 대안교과서”를 2008년 3월 출간하였다. “대안교과서"의 서술은 19세기 전반과 식민지 시대를 이질적인 두 문명이 만나 미개한 문명이 발전한 문명에 의해 서구 자본주의 경제 질서와 근대화를 확립해 가는 과정으로 인식하는 측면을 보인다. 또한 기존의 『한국 근․현대사』교과서는 민족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한다고 비판하면서 기파랑의 식민지 시대 서술은 탈민족주의적인 내용으로 구성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대안교과서" ‘독립운동사’ 서술은 분량 ․ 본문 구성 ․ 삽화 구성 면에서 식민지 시대 독립운동의 다양한 양상을 균형적으로 설명하지 못하였고, 이승만을 민족독립운동부터 건국까지 이어지는 선구자로 영웅화하고 있으며, 친일 인사들을 근대 문화를 학습한 엘리트로 묘사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교과서포럼은 기존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서 식민지 시대를 침략과 저항, 독립운동과 친일행위 등으로 양분해서 바라보는 시각을 비판하고, 다원주의적 관점의 역사쓰기를 내세워 현행 교과서 집필에 자극을 주었다. 하지만 서구 자본주의가 절대적으로 옳다는 논리에 입각해 일제 침략을 ‘식민지 미화론’으로 서술하는 것은 비판의 여지가 있는 역사 인식이라 하겠다.

      • 광주학생독립운동과 여성의 역할

        김영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광주학생독립운동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이 간과되어 왔다는 전제하에 학생운동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을 광주여고보와 근우회의 활동내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시대 3대 민족운동의 하나로 일컬어져 온 광주학생독립운동은 광주와 나주 사이를 통학하던 한일 학생간의 사소한 충돌에서 비롯되었으나 근본적인 이유는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배로 인한 모순의 심화와 그에 대항하는 제반 민족운동의 성장때문이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이념적인 측면에서는 초기에 사회과학연구의 자유, 학생의 자치권 획득 등의 학내문제 해결과 조선인 본위의 교육제도 확립, 식민지 노예교육과 민족동화교육의 철폐뿐만 아니라 총독부 폭압정치 반대, 일본제국주의의 타도 등 일본식민지 지배권력과의 전면 충돌을 통한 민족의 독립획득을 주장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광주학생독립운동 당시 광주여고보생들은 독서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소녀회를 중심으로 하여 모두가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소녀회 말고도 대부분의 학생이 실질적으로는 이러한 비밀조직체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면서 민족의 자주권과 독립을 위한 항쟁에 참가했었다. 당시 광주여고보생들에게 있어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여성해방운동, 계급투쟁을 통한 노동자해방운동, 자유로운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애국심 고취등을 통해서 일제의 압제에서 해방되고자 한 저항운동의 성격을 포괄적으로 담은 것이었다. 한편, 여성단체인 근우회는 1929년 광주학생운동을 전후로 하여 구체적인 투쟁방법으로 여학생운동에 깊이 관여하면서 이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1930년에 일본경찰은 학생운동 관련 외에 근우회의 반일운동 성향에 맞서 강력한 탄압을 가했다. 근우회의 여학생운동에 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투쟁은 당시 근우회가 안고 있던 이론적 과제였던 민족해방운동이 학생운동이란 투쟁의 장을 통해 활성화된 것이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중소도시에서 읍·면지역까지 퍼져 나갔으며, 이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은 운동을 주도했던 남학생 및 사회단체의 활동과 비교해 전혀 부족하지 않는 것이었으며, 이후의 여성 항일 독립운동, 민중 계몽운동, 사회주의 의식화운동, 노동운동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졌다. In this thesis the role of the females in the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is studied and the focus of the study is centered on the role of the Kwangju Woman's High School and the Keunwoo-Hoi.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3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was started from a quarrel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commutes from Naju City by train, but the fundamental reason was because of the deep conflicts from the Japanese suppression and the growth of the nationalism against that suppression. At the early stage, the ideological opinions were centered on the freedom of the research of the social sciences, the right of self-governing of the stud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but soon the claims for the abolition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the emancipation from the Japanese tyrannical government and imperialism were emphasized. During that Movement the students of the Kwangju Woman's High School participated actively, and the reading circle Sonyo-Hoi led the participation. Almost all the female students had relationships with the secret societies, and struggled for the right of Korean self-governing and Independence. For the students of the Kwangju Woman's High school, that Movement was considered as a comprehensive one that contained the concepts of feminism, labor movement, socialism,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campaign for enlightenment. Keunwoo-Hoi, the female association, participated in that Movement actively with a concrete policy and supports. In 1930, Japanese Police suppressed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Keunwoo-Hoi from the reason of anti-Japan inclination and suspicion of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to the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and the struggle for the emancipation of the Keunwoo-Hoi was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that association.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spread out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role of the female students and societies in this Movement was an equal one to that of the male students and societies. And the spirit and ideology succeeded to the female activities of independence movement, enlightenment, and labor movement.

      • 1910年代의 獨立宣言書 硏究

        김소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고는 日帝가 韓國을 병탄한 1910년부터 3.1運動의 餘波가 이어지던 1919년 말까지 한국의 獨立運動이 어떠한 方略을 통해 전개되어 갔으며, 독립 이후 건설될 국가의 政體 또는 國體理念이 어떻게 변화하여 갔는가에 대하여 1910년대 獨立宣言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고는 1910년대 독립선언서를 시기별로는 1910년∼3·1운동직전까지와 3·1운동부터 1919년 말까지로 나누고, 다시 3·1운동이후의 선언서는 지역별·계층별로 구분하였다. 그리하여 3·1운동 직전까지 발표되었던 선언서의 거의 전부인 聲明會宣言書와 大同團結宣言·大韓獨立宣言書와 3·1운동과 관련되는 선언서로서 각지의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2·8獨立宣言書(日本 東京), 3·1獨立宣言書(國內), 朝鮮獨立宣言書(露領), 韓國議會宣言書(美洲) 외에 특정한 계층의 독립운동을 시사하는 獨立請願書(國內 儒林界), 老人同盟團宣言書와 대한독립녀자선언셔(露領 老人 및 女子),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國內 및 上海의 佛敎界) 등에 대하여 개별연구를 진행하였다. 1910년 소위 「한일합병」을 전후하여 국내에서 활동하던 위정척사계열의 의병과 개화계열의 애국계몽운동은 각각 독립전쟁을 위해 해외로 근거지를 옮겨갔다. 그 과정에서 의병은 주로 露領地域에 집결, 노령한인사회와 연대하여 1910년 이전까지 지속하여 왔던 對日武力抗爭의 연장선상에서 즉각적인 應戰態勢에 들어갔던 데 비하여 實力養成을 통한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독립전쟁론을 구상하고 있던 애국계몽운동은 간도지역에 신한촌을 건설하면서 교육사업에 주력하였다. 한편 국내에서는 일제의 무단 통치로 독립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었다. 1910년 합병 직후 노령 블라디보스톡에서 발표된 성명회선언서는 의병이 중심이 되어 朝鮮의 유지를 전제로 한 합방의 무효를 주장하고 독립을 위해 무장투쟁할 것을 공표한 최초의 선언서이다. 이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중국과 노령에서 독립운동은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일본의 세계대전 참전 이후 의병과 애국계몽운동계열이 연합하여 입헌군주제를 표방하고 전개하였던 신한혁명당의 운동이 독일의 패전으로 실패로 돌아가자 지속되는 독립운동계의 침체를 극복하고 새로운 이념의 제시를 위해 1917년 대동단결선언이 발표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헌법의 제정을 통하여 국민주권과 평등을 보장하는 민주주의 독립국가 건설의 초석으로써 임시정부를 수립할 것에 대한 제의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었다. 대동단결선언은 세계대전의 종결 이후 1919년 발표된 대한독립선언으로 구체화되었다. 대한독립선언은 장차 지향하는 독립이 근대적 민주주의 공화정체의 민족국가 수립과 직결되는 것임을 밝히고 무장투쟁에 의한 투쟁의 방식을 재확인하였다. 이는 이후 각지의 독립운동계에 자극을 주어 2·8, 3·1독립선언의 선구적 역할을 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임시정부 건국강령의 기본개념을 이루게 되었다. 3·1독립선언서는 국내외의 3·1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선언서이나 방략적인 면에서는 이전까지의 선언서와 달리 비폭력 원칙을 주장하고 있었으며, 독립 이후 건설할 국가에 대하여서도 서명자들의 개별 신문 내용 등에서는 민주공화정체에 입각한 근대 민주주의 국가를 지향하고 있었음이 나타나지만 선언서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지 않았다. 3·1운동의 확산과 함께 각지에서 선언서가 발표되었다. 그 가운데 노령의 대한국민의회가 발표한 조선독립선언서와 노인동맹단선언서, 대한독립녀자선언셔는 대한국민의회를 중심으로 하여 그 산하단체인 노인동맹단과 혼춘애국부인회가 각각 발표한 것으로 조직적인 노령지역의 항일무장투쟁을 시사한다. 한편 미주 한인의회선언서는 외교론에 입각하여 선전활동에 치중하였으며 국민주권을 실현하는 민주주의국가를 지향하고 있었다.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3·1운동 당시 불교계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던 승려들이 임시정부와 국내 불교계를 연결하여 승려들로 구성된 독자적인 독립운동조직을 결성하고자 작성한 선언서이다.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역시 공화주의에 입각한 이념을 가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외에 3·1독립선언서에 참여하지 못하였던 유림은 파리강화회의에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청원서를 통하여 유림은 국제사회에 한국의 문제를 제기하여 한국을 세계 가운데 一國으로 인식하며 각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세계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1910년에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기 직전까지는 선언서상에 준비론이나 외교론은 나타나지 않고 있었으며, 무장투쟁노선을 강경하게 주장하고 있었다. 1919년 3·1 독립선언서에서 비폭력주의가 제창된 이후 외교론이 우세하던 미주와 국내에서 외교론에 입각한 선언서가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청원서의 형식도 다수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외교론적·청원서적인 선언서는 일제의 문화통치로의 전환·파리강화회의 등에 영향받은 것이기도 하였다. 1910년대 독립선언서에 나타난 정치의 이념은 전제군주제의 보전을 주장하던 의병의 격문으로부터 민주주의적 공화정체에 입각한 신국가건설론으로 이행하고 있는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여기에는 중국의 신해혁명이나 제1차 세계대전, 윌슨주의 등 국제 정세의 변화 등이 수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민주공화정체를 지향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外因보다도 갑오개혁 이후 독립협회를 거쳐 신민회까지 이르는 동안 애국계몽 운동 계열안에서 발전하여온 내재적인 이념의 변화에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1910년대의 독립선언서는 방략적인 면에서는 의병계열의 무장투쟁노선을 직접적으로 계승하고, 정치이념의 면은 점진적으로 국제정세의 변화에 발맞추어 조선후기 애국계몽운동으로부터 이어지는 민주공화정체 이념을 지향하여 대동단결선언·대한독립선언서에서 무장투쟁과 주권재민의 이념과 방략을 합일화하기에 이른 것이다. 3·1독립선언서는 방략적인 면에서는 그 이전까지의 선언서와 대별된다고 할 수 있으나, 일제의 소위 무단통치하에 놓여있던 국내의 사정을 반영한 최선의 방책이었다. 그러므로 3·1독립운동을 하나의 분수령으로 볼 때 이후 여러 가지 이념의 분화로 말미암아 독립운동의 노선에도 여러 갈래가 형성된 것에 비한다면, 1910년에서 1918년까지의 독립운동은 단일한 민족주의 노선안에서 의병운동계열이나 애국계몽운동계열에 궁극적으로는 무장투쟁의 방략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합치되어 독립 이후의 정치이념에 대하여서도 점진적인 합일을 이루어낸 과정이라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ying stress on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rough what policy the Konean independence movement had developed form 1910 when Japan devoured Korea to the end of 1919 when the aftermat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continuing, to what direction the ideology of political and national systems to be founded after Independence were to change. This study divid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to periods from 1910 to just before Independence Movement, and into regions and classes after Independence Movement Thus, this study individually proceeded to study nearly all the declarations before the Independence Movement, Declarations of Sung Myong Hoi, Union and Korean Independence all region Independence movements representing declarations,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kyo, Japan),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omestic), Declaration of Che Sun Independence (Russia), Declaration of Korean National Assembly (America), the special class independence movement suggesting a Petition of Independence (Domestic Confucians' Society), Declaration of The Old Union, Declaration of Korean Women (The old and women in Russia) and Declaration of Korean Priest Association (Domestic and Shang Hai Buddistic Society) In 1910, before and after the so-call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domestic protection of justice and exclusion of injustice, loyal troops and civilization line, and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d their bases to overseas for the independence war. In that process, loyal troops mainly gathered in the Russian region jointly cooperated with the Korean society at Russia, immediately started to fight back on the extension line of armed resistance to Japan up to 1910, while independence war-planning the patriotism enlightenment movement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rough training force laid stress on educational projects constructing new a Korean village in the Kan Do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domestic independence movement was almost impossible because of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The loyal troops led the Declaration of Sung Myong Hoi which was announced in Vladivostok, Russia immediately after 1910 annexation. This is the first declaration that maintained the nullity of annexation assumed by Cho Sun's upkeep and armed fight for independence. Then, owing to the outbreak of World War I,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Russia faced a downward trend. The movement of the Shin Han Revolution Party developed a standing for constitutional monarchy through union of loyal troops and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line after Japan's participation in the World War ended in a failure because of Germany's defeat. On 1917, Union Declaration was announced to end the steady depress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line and suggest a new ideology. This aimed at sugg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provisional government as the founda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Constitution The Union Declaration was materialized by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in 1919 after the world war. Union Declaration clarified that future independenc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state with a modem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and reassured the fighting method by the armed resistance. This declaration stimulated all the independence movement lines, played a leading role of the 2.8, and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in addition, formed the basic concept of having general principle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the major declaration lead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3.1 movement, but in the respect of policy, maintained the nonviolent principle differently from those before, the intention for the state to be founded after independence be set up modern as a democratic state based on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was nor concretely mentioned. With the expansion of the 3.1 movement, declarations were pronounced throughout the country. Among them, the Declaration of Cho Sun Independence, Declaration of The Old Union, Declaration of Korean Women announced by the Korean National Convention, the Old Union and Hon Choon Patriotic Women Society, the contents of which suggest the systematic armed fight to Japan in Russia On the other hand, the Declaration of Korean Convention in America put value on propaganda activity based on diplomatic theory, and intended to set up a democratic state realizing national sovereignty.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Priest Association is the declaration written by priests lea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Buddhistic line to form by connecting provisional government and domestic Buddhistic society, the separat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consisting of priest. The Declaration of Korea Priest Association was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as well as having an ideology based on republicanism Besides, Confucians having not participated in 3.1 movement, submitted a petition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Confucians showed the change of outlook on the world by recognizing Korea as part of the world and by working towards having friendly relationships with all countries. From 1910 to just before the 3.1 movement in 1919, declarations did not show preparatory or diplomatic theories, but strongly maintained the armed resistance line. After the nonviolent principle in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proposed and diplomatic theory became predominant in America and at home, more declarations based on diplomatic theory began to came out, along with different forms of petition. These diplomatic and petition-based declarations were influenced by Japan's conversion to cultural government,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various other events. The political ideology appeared in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eflected the changing from the loyal troops' maintenance for absolute monarchy upkeep to a new state construction theory based on a republican government was accepted and resembled the change that took place during China's Shin Hae Revolution, World War I and Wilsonism. However, the intention for a real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is connected not so much with these external factors as to the change in internal ideology that resulted from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from the Kap Oh Reform though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to Shin Min Hoi. Thus,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followed by the loyal troops line spirit of armed resistance in respect of policy, and the change of intemational condition, changed toward the ideology supporting a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that developed from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end of Cho Sun, and after all unified the ideology and policy of armed resistance and national sovereignty as seen in the Declarations of Union and Korean Independence with respect to political ideology.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declarations with respect of policy, but it was the best plan reflecting the domestic condition caused from the so-called military government of Japan. Thus, when seeing 3.1 independence Movement as one of watershed and comparing it to the cour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formed because of a division of various ideologies,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m 1910 to 1918 was in accord with this declaration since the loyal troops movement line,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line ultimately selected the policy of armed resistance under an uniform nationalistic line,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declaration played a part in the gradual unification leading to the post-independence political ideology.

      • 디지털 인물 아카이브 구축 방안 - 광주학생독립운동가 장재성을 중심으로 -

        김문희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민간 기록물중 개인 기록물의 중요성은 최근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도 공공기록물의 영역을 넘어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개인기록에 대해 더욱 가치를 부여하고 보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인물로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역인 장재성을 선정, 그의 생애사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재성이 이끌었던 광주학생독립운동은 3·1운동,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 강점기의 3대 독립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사건이 갖는 역사적인 위상에 비해 관련 인물들의 연구는 사회·정치적 사유 등으로 인하여 등한시되었고, 상당수의 기록들이 보존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장재성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을 제안하며, 장재성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국가보훈처에서 장재성과 관련된 기록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한 가족 및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장재성에 대한 생애사를 분류하고 아카이브 구축 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재성 생애를 생애시기별 분류체계와 주제별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세분화하였다. 둘째, 장재성의 영역을 일대기, 조직·단체의 영역, 사건·운동의 3개 영역으로 분류한 후, 주제별 콘텐츠를 세분화하여 마련하였다. 셋째, 세분화한 주제별 콘텐츠(인물소개, 년도별 일대기, 독립운동의 영역, 관련 인물들, 관련장소 등)를 기록 콘텐츠와 주제별 맵핑을 통해 연계하는 방안으로 장재성 디지털 아카이브 전체 DB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재성 디지털 인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장재성의 홈페이지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장재성과 함께 활동하였던 독립운동가들의 후손들을 통해 장재성과 관련된 기록물을 수집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장재성을 비롯한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고 중요한 시점인 만큼 다양한 측면에서의 아카이브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넷째, 장재성의 디지털 인물 아카이브 구축 후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기대효과는 이용자들과 후손들에게 사건과 연관하여 깊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고, 역사적인 관점에서는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를 토대로 광주학생독립운동가들의 인물 아카이브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personal records among civil ones has become more emphasized these days, which, beyond the range of only public historical records, the main and local governments are also trying to put more value on. There is a well-known activist, Jang, Jae Sung who is one of the leading men of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is study will analyze his life which is undoubtedly recognized as a meaningful person in histor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well as, on the base of his life,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related to Jang, Jae Sung to suggest a plan to establish a digital person archive based on his life history.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Jang, Jae Sung with other greatest men is one of the three major movements in Japanese colonial era along with the March 1st Movement and June 10st Movement. However, compared to its historical value, the research of related figures has been neglected to search, re-evaluate and record due to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preserve many of the records. In some way of evaluation, it might be problems. So, to solve these problems and broaden the range of the archive studies, this study proposes a plan how to build a digital archive of Jang, Jae Sung and reflect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ang, Jae sung. For this study, the current records of Jang, Jae Sung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ere investigated to be analyzed. In addition, by the interview with his family members and experts, the life of Jang, Jae Sung was classified and analyzed to the areas that should b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of Jang, Jae Sung was divided b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 period and subjects. Second, the area of Jang, Jae Sung was arranged into three areas: biographies, areas of organizations or groups, and events and movements.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are distributed into subdivisions. Third, specified subjects are connected in one another by recorded contents and subject mapping to suggest how to establish the entire data base of digital archive Jang, Jae Sung : personnel introduction, year-by-year biographies, areas of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figures, related places, etc.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bove study and on the premise of establishing a digital archive. First, Jang, Jae Sung's website should be established to archive of digital. Second, it is necessary that the collection of records related to Jang, Jae Sung are considered with descendants of independence fighters who had worked with him. Third, including Jang, Jae Sung, research on the archive of figures from various aspects of independence activists in Gwangju is more important. Fourth, continuous promotion is critical after establishing Jang, Jae Sung's digital person archive. Through this establishment of archives, users and descendants can be provided much information with a deep understanding things which are related to events as well as can be improved in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it can be adapted for educational contents to provide diverse perspectives to learners.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an active discussion on the archive of figures of independence activists in Gwangju as well.

      • 崔昌植의 在中獨立運動과 민족통일전선 추구

        이한나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thesis presents the nationalist activities and socialist activities conducted in Shanghai and Korea, based on the deeds of Choi Chang-Sik (1892-1957),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who was active in 1910 to 1930. He initiated his involvemen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participating in raising military fund for establish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base in West Jiandao, with Kim Jwa-Jin in 1911. He taught history at Oseong School from 1912 to inspire students with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time of 3·1 movement, he was dispatched to the areas of Nanjing, Shanghai, and Beijing as a member of national delegation and conducted promotion activities to the Chinese Revolution Party members, with his colleagu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rom its establishment, serving as State Council Chief Secretary, Chairman of the interim National Assembly, and State Council Home Secretary. While serving for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e joined the Shanghai Korean Communist Party in May, 1920, and later became a member of Shanghai Irkutsk Group Koryo Communist Party, conflicting with Lee Dong-Hwi faction. He engaged in the socialist activities vigorously, serving as the executive director for the Shanghai Koryo Communist Young Men’s Association from June, 1921. In addition, when all the socialists withdrew from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Lee Dong-Hwi left the provisional government, Choi Chang-Sik remained as a socialist of Irkutsk Group Koryo Communist Party faction and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Choi Chang-Sik's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activities are comprised of 6·10 National Movement, establishing Independence movement promotion association, and Shanghai Choksenghae activities. He exerted efforts to realize the National Unified Front Mov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y improv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o that the National United Front would be built focused on the provisional government. Choi continued his efforts for the National United Front by running 3·1 printing office after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ended in failure by the December Thesis of Comintern in 1928. However, his socialist propaganda pamphlets were confiscated and he was convicted and sentenced to three-year for violating the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It was April of 1930 that he was sent to Korea from Shanghai. Choi Chang-Sik is the only independence activist who was progressively engaged in socialist activiti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His idea was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nts should be unified for a success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unifying the fronts. He devoted himself in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from the late 1920s in order to unite the nationalist camp and the socialist camp 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a nutshell, Choi Chang-Sik himself adopted socialism as a vehicle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 but he constantly pursued the unity of nationalism and socialism. 국문초록 이 논문은 1910년에서 1930년에 이르는 시기에 최창식(1892~1957)의 행적을 바탕으로 국내와 상해지역의 민족주의활동과 사회주의활동 과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는 1911년에 경성에서 김좌진과 함께 서간도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 모집에 관여한 것을 시작으로 1912년부터는 오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당시에는 3·1운동 국내대표단으로 남경·상해·북경에 파견되어 독립운동가들과 중국혁명당원들을 대상으로 선전활동도 했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도 참여하며, 국무원비서장·의정원의장·국무원내무장 등을 역임할 만큼 임정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임정 활동을 하면서 그는 1920년 5월 상해 한인공산당에 입당하여 사회주의자가 되었고, 이후 이동휘계열과 대립하면서 상해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원이 되었다. 1921년 6월부터는 고려공산청년단 상해회의 집행위원장을 맡는 등 사회주의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나갔다. 이뿐 아니라, 이동휘가 임시정부를 떠나면서 임시정부 내의 모든 사회주의세력이 탈퇴했을 때에도 최창식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계열의 사회주의자로서 임정에 남아 끝까지 민족통일전선을 위해 활동했다. 그의 민족통일전선운동은 크게 6·10만세운동과 독립운동촉진회의 설립, 홍진 내각의 결성,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의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그는 임시정부 중심의 민족통일전선운동에 중점을 두었는데, 임시정부를 개조하여 임시정부 안에서 통일전선운동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 해체 이후, 최창식은 三一印刷所를 개인적으로 인수하여 생계를 유지를 했으나,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세력 모두의 인쇄물 간행을 맡음으로써 민족통일전선을 위한 노력은 계속해 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는 사회주의 선전인쇄물을 압수당하면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3년 중역의 판결을 받고 1930년 4월 상해에서 국내로 송환되었다. 그는 임시정부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사회주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한 유일한 인물이다. 무엇보다도 최창식은 1920년대 후반 민족통일전선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로 분열된 독립운동을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통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다시 말해서 독립운동을 성공시키기 위해 독립전선을 통일해야 함을 주장했고, 독립전선을 통일하기 위해서는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창식은 독립을 위해 사회주의를 받아들였고 끊임없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통합을 추구한 인물이었다.

      • 독립운동관련기록의 통합서비스를 위한 조직화 방안 연구 : 興士團을 사례로

        황선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ur people had overcome it with the indomitable spirit of resistance as enduring countless sacrifices in order to achieve a fully self-governing state. Such as,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driving force to move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could be regarded as the identity of our people. The movement of our people at this time was very complex and diverse and such activities had affected significantly the formation of the today's "Korean society". Thus, the record of independence movement generated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would b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our modern era society, and it can regarded as an important record that has to be passed down since it contains the spirit and history of our people. However, the reality of record management in our country is that the provision and the relevant direction for management as to the historical records inheriting the cultural heritages have not been clearly suggested. Therefore, they are not being managed systematically enough for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our country. Furthermore, given the issues such as the history disputes of East Asia, the distorted awareness of the modern history of the people, etc., it should be regarded as a more urgent issue.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 is the subject that should be managed in considerati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of archival study and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re currently being widely dispersed and it is not easy for general users to access them since each institute has a different management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foundation of the integrated servi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records through reproduc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through the records and also seeking for the methods of archival arrangement, description and stating the records that are dispersed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users to access them. The approaching process for this is as follows. The second chapter derives the necessity of provision for the integrated service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 and also the institutes that are managi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collection strategy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records that are dispersed and derives the principal entity for the colle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records through the SWOT analysis. And it seeks for the methods of archival arrangement and description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Lastly, the fourth chapter aims to reveal that the archival study theory is a useful theory in reality that can be applied to concrete cases rather than something that exists only in theory through applying the record of the Young Korean Academy that was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The vertical type search tool, which reflects the properties of record accepts the principle of record management from the administrative perspective, can show both of the production context and structure of records to us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it and also the search tools for subjects that users want may be absent or the priority of technical writing may differ from users' requirement. It would be imperative to realize in a way that the records could be utilized through key word search for the integrated servi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records. Even though this study has not covered it, it would be required to prepare a dictionary for search words in order to allow for key word searc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This process should be created through a long term work in cooperation with historians and information experts. 일제치하의 시기, 우리 민족은 자주적 국가운영을 쟁취하기 위해 수많은 희생을 감수하는 등 불굴의 저항정신으로 극복해냈다. 이처럼 ‘독립운동’은 한국근대사를 움직인 동력원이었으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우리 민족의 움직임을 매우 복잡·다양하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지금의 ‘한국사회’를 형성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독립운동활동을 통해 생산된 독립운동기록은 현대 우리 사회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우리 민족의 정신과 역사가 담겨 있기 때문에 전승되어야 할 중요한 기록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현실은 문화유산을 전승하는 역사기록물에 대한 규정과 이에 대한 관리의 방향성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독립운동이 우리나라에 갖는 의미에 비해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더욱이 동아시아의 역사분쟁과 일부 청소년들의 왜곡된 역사인식 문제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음을 볼 때 시급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독립운동기록은 기록관리학의 일반적인 방법론과 독립운동이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관리되어야 할 대상이다. 그러나 현재 독립운동 관련 기록이 매우 분산되어 있으며, 기관마다 관리방식이 다르므로 일반이용자의 접근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을 통해 독립운동활동을 재현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접근을 쉽게 하고자 분산된 기록물을 수집하고 정리, 기술하는 방법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독립운동 관련 기록의 통합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에 대한 접근과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독립운동기록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분석하고 독립운동 관련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을 분석하여 통합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정리와 기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분산된 기록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수집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독립운동관련 기록의 수집을 주관하는 주체를 SWOT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독립운동단체 중 하나인 흥사단을 사례로 현황과 각 기관의 기술항목을 분석하였다. 독립운동기록을 위한 기술표준의 개발을 위해 참고할 만한 표준을 몇 가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기록물기술표준과 독립운동기록의 특성을 고려하여 독립운동기록 기술요소와 규칙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기술요소에 흥사단의 기록을 적용시켜봄으로써 기록관리학 이론이 이론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구체적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현실 유용한 이론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몇 건의 기록을 기술해 본 결과 적용에 있어 문제점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기록물의 기술요소와 규칙은 경험이 축적되며 계속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발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통합서비스를 구현할 때 이용자 검색에 대한 부분을 간과할 수는 없다. 관리의 측면에서 기록의 속성을 반영하고 기록관리의 원칙을 수용하는 수직형 검색도구는 이용자에게 기록의 생산 맥락과 구조를 함께 보여줄 수 있으나, 사용이 어려우며, 이용자가 원하는 주제의 검색도구가 부재하거나, 기술 작성의 우선순위가 이용자의 요구와 다를 수 있다. 독립운동 관련 기록의 통합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어 검색을 통해 기록을 이용할 수 있게 구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독립운동기록의 주제어 검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검색어 사전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과정은 역사가나 정보전문가 등이 협력하여 장기간 작업을 통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국 확산과 신간회

        김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1930년 3월까지 250여 개 학교에서 54,000여 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던 학생독립운동이다. 이 운동이 교외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힘만으로는 부족하였다. 당시 그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전국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었던 신간회였다. 이에 본고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신간회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광주지역 학생들은 성진회와 독서회라는 교내단체를 통해 활동하고 있었다. 성진회는 회원들 간의 사회주의 연구모임이었지만, 독서회는 사회주의 관련문서와 격문을 배포하는 등 대외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항일의식을 보급시키는 역할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독서회는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소비조합도 설치하는 등 성진회보다 치밀한 움직임을 보였다. 또한 광주학생운동 당시 성진회원들은 대부분 졸업생들이었기에 광주지역 만세시위에는 독서회원들이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독서회는 교내단체였기 때문에 광주지역 만세시위를 교외로 확산시키기 어려웠다. 당시 광주지역에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전남청년연맹과 신간회 광주지회였다. 1923년에 설립된 전남청년연맹은 창립 초기 때부터 전남지역 청년단체 통일운동에 힘썼으며, 일제가 집회를 방해하였음에도 끝까지 항의하는 등 민족운동 단체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1929년 4월에는 학생지도부도 설치하였다. 전남청년연맹은 학생지도부를 통해 독서회원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었다. 한편, 신간회 광주지회는 일제의 합법단체로 시작되었기에, 창립 초기부터 활동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1927년 10월의 창립대회는 일제의 통제로 이루어졌으며, 재만동포 권익옹호운동과 관북지방 수재민 지원활동을 시도하였지만 모두 일제의 방해로 좌절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간회 본부와의 갈등으로 1929년 9월 말에 신간회 광주지회는 停權을 당하였고, 주요간부들도 제명처분을 받았다. 신간회 본부와 광주지회의 갈등은 광주지역 만세시위가 일어난 후에도 해결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광주지회의 간부들은 신간회 본부의 명령으로 광주에서의 상황을 신간회 본부에 보고하였을 뿐, 그 이상의 활동은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광주지역 만세시위는 전남청년연맹원들의 주도적인 계획과 독서회원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남청년연맹은 전남을 벗어나 전국을 연결할 조직망이 없었다. 따라서 광주학생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당시 전국 조직망이었던 신간회와의 협력이 필요하였다.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인물은 전남청년연맹원이자 신간회원이었던 장석천이었다. 1929년 11월 9일 신간회 본부 조사단은 광주지역 만세시위를 전국적으로 확산하자는 장석천의 제안하였지만, 격문인쇄에 필요한 자금제공만을 약속할 뿐, 만세시위를 적극적으로 지도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상경한 이후에도 신간회 본부에서는 서울지역 학생들과 만세시위 계획을 하지 않고, 진상조사를 바탕으로 비판연설회를 하겠다는 논의만 하였다. 그 방법도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통해서였다. 이러한 신간회 본부의 모습은 장석천에게 실망을 안겨주었다. 그래서 장석천은 서울지역 1차 만세시위 계획을 신간회 본부가 아닌 중앙청년동맹원 차재정·이항발·황태성·곽현 등과 하였던 것이다. 장석천이 접촉하였던 중앙청년동맹원들도 대부분 서울지역 만세시위에 직접 나서는 것을 반대하였다. 그랬기에 학생들을 만나 만세시위를 권유하는 것은 장석천에게 맡겨졌다. 장석천이 접촉하였던 각 학교의 학생들도 만세시위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제2고보가 먼저 일어나면 각 학교의 사정에 따라 움직이겠다는 입장이었다. 따라서 1929년 12월 5~9일까지 서울지역 8개 중등학교에서 만세시위가 있었지만, 교외 만세시위에 성공한 학교는 2개교(경신학교·보성고보)뿐이었다. 이처럼 서울지역에서 학생들의 시위열기가 고조되면서 각 학교간의 연합시위로 발전하였음에도 신간회 본부는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하였다. 12월 10일에야 만세시위에 대한 대책으로 13일에 민중대회 개최를 시도하였지만 이미 대부분의 학생이 검거된 이후였다. 결국 12월 13일 개최예정이었던 민중대회도 무산되었고 주요간부들도 대거 검거되었다. 이 사건으로 신간회 본부의 활동은 마비상태에 가까웠다. 그래서 1930년 1월 15일의 2차 만세시위가 일어났지만 신간회 본부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서울에서의 좌절은 지방에서의 만세시위 양상과 신간회의 역할에 영향을 미쳤다. 신간회는 전국적으로 141개 지회가 있었는데, 만세시위가 있었던 곳은 서울과 광주, 그리고 15개 지역이었다. 이들 지역은 신간회가 주도적 역할을 했던 곳, 소극적 역할을 했던 곳, 역할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분류된다. 주도적 역할을 하였던 곳은 3개(김해·함흥·어주)였다. 이들 지역은 경남과 함경남북도 지역으로 전국적으로도 신간회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었다. 김해·함흥은 도지회연합회의 중심지였으며 어주는 함북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신간회 지회였다. 이러한 조건들은 3개 지역 신간회 지회들이 광주학생운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신간회 지회가 참여 내지 소극적 역할을 했던 곳은 6개(목포·나주·진주·원산·주을·회령)지회였다. 참여 내지 소극적 역할을 했던 지역들에는 주도적 역할을 했던 곳에 전남의 목포와 나주가 추가되었다. 목포지회와 나주지회가 소극적이나마 역할을 했던 것은 만세운동이 시작된 광주와 가까웠던 지리적인 요인 때문이었다. 특히 나주는 광주학생운동의 진원지였으며, 목포는 신간회원 김면수가 광주고보 독서회원 김보섭의 부친이었다는 점도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역의 신간회는 내분에 휩싸여 결집력에 상당한 한계를 보였기 때문에 적극적인 참여를 보여줄 수 없었다. 목포에서는 신간회 목포지회와 목포노동연맹의 갈등, 나주에서는 신간회 나주지회와 유림들의 갈등이 이에 해당되었다. 만세시위에 신간회 지회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 곳은 5개 지역(전주·청주·개성·평양·신의주)이었다. 이들의 신간회 조직비율을 보면 함북 경성을 제외하고 [전북(67%)·충북(50%)·경기(43%)·평남(19%)·평북(40%)] 대부분 신간회 활동이 부진했던 지역이었다. 이는 창립 이후 광주학생독립운동 기간까지의 각 지역 신간회 활동을 통해 확인된다. 또한 청주·신의주·개성지역의 만세시위에는 기소자들이 없었는데, 이를 볼 때 학생들의 역량이 부족하였고, 신간회지회도 만세시위를 지도할만한 여건을 갖추고 있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141개 신간회 지회가 있었던 지역 중 만세시위가 일어났던 15개 지역에서 3개 지역에서만 적극적인 활동을 하였다. 즉, 당시 최대 민족운동단체였던 신간회는 광주학생독립운동에 큰 역할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3·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이었지만 운동의 주도층이었던 학생들을 뛰어넘어 전민족적·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없었다.

      • 만주국 치안관계 법령과 조선독립운동

        최준파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この研究の目的は大きく3つある。第一に満州国治安関係法律である「暫行懲治叛徒法」の制定と運用実態、同法と朝鮮独立運動の関係を明らかにした。第二に、満州国が在満朝鮮人裁判権を取得した過程を究明した。第三に、満州国の朝鮮独立運動家たちが満州国でいつから、どのような満州国法律で処罰を受けたのかを確認し、満州国「治安維持法」と朝鮮独立運動の関係を分析した。 満州国建国以後、日本の立場で治安を安定させることが急務だった。日本は中華民国の司法体系に基づき、「暫行援用從前法令」を通じて満州国で司法運用を開始した。治安と密接な法律は1932年3月に頒布された暫行懲治叛徒法と「暫行懲治盜匪法」である。1941年12月に満州国はこの二つの法律を統合して日本治安維持法を参照し満州国治安維持法を頒布した。日本は1942年から司法体系で治安維持法を通じて満州国の治安を統制した。 暫行懲治叛徒法と暫行懲治盜匪法は外国人を処罰できるが、1937年12月以前に治外法権のため独立運動をした在満朝鮮人を処罰できなかった。日本は帰化するかどうかに関係なく、在満朝鮮人の国籍を日本だと主張した。治外法権撤廃後も独立運動と関連した在満朝鮮人を半島法で依然処罰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朝鮮独立運動は暫行懲治叛徒法の「満州国憲」ではなく、日本治安維持法の「日本国体」を否定した行為であるためだ。結局、当時に暫行懲治叛徒法では日本国体を乱す在満日本人と独立運動をした在満朝鮮人を審判できない弱点が存在した。 一方、満州国治安維持法第1条の国体変革は、満日一徳一心と満日不可分の基礎の上に満州国皇帝の統制権を乱す行為である。朝鮮独立運動は日本国体を否定するため、満一徳一心と満日不可分の基礎も乱す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これによって、朝鮮独立運動は満州国体も変革させることができる。日本は1942~1943年の満州国にある宗教団体を大々的に弾圧し、そのうち壬午教変という大倧教弾圧事件は満州国治安維持法が適用された朝鮮独立運動と関連した事件の一つだった。これで日本は満州国の司法体系を通じて満州国で朝鮮独立運動を弾圧し裁判できるようになった。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만주국 치안관계 법률인 '잠행징치반도법'(暫行懲治叛徒法, 이하 '반도법'으로 줄임)의 제정과 운용 실태, 이 법과 조선독립운동의 관계를 밝혔다. 둘째 만주국이 재만조선인 재판권을 취득한 과정을 규명하였다. 셋째 만주국의 조선독립운동가들이 만주국에서 언제부터, 어떠한 만주국 법률로 처벌을 받았는지를 확인하고 만주국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과 조선독립운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만주국 건국 이후 일본 정부는 만주국의 치안 안정을 우선 과제로 여겼다. 일본은 중화민국의 사법체계를 바탕으로 '잠행원용종전법령'(暫行援用從前法令)을 통하여 만주국에서 사법운용을 시작하였다. 치안과 밀접한 법률은 1932년 3월에 반포된 반도법과 '잠행징치도비법'(暫行懲治盜匪法, 이하 '도비법'으로 줄임)이다. 1941년 12월에 만주국은 일본의 치안유지법을 참조하고 앞의 두 법률을 통합하여 만주국 치안유지법을 반포하였다. 일본은 1942년부터 사법체계에서 치안유지법을 통해 만주국의 치안을 통제하였다. 반도법과 도비법은 외국인도 처벌할 수 있었지만 1937년 12월까지는 치외법권 때문에 독립운동을 한 재만조선인을 처벌할 수 없었다. 일본은 귀화여부에 관계없이 재만조선인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주장했다. 치외법권이 철폐되었는데도 독립운동과 관련된 재만조선인을 반도법으로 여전히 처벌할 수 없었다. 조선독립운동은 반도법의 '만주국 국헌'이 아니라 일본 치안유지법의 '일본 국체'를 부정한 행위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반도법으로는 재만일본인의 일본 국체를 문란과 재만조선인의 독립운동을 처벌할 수 없는 약점이 있었다. 1941년 12월의 만주국 치안유지법 제1조의 국체변혁은 만일일덕일심(滿日一德一心)과 만일불가분(滿日不可分)의 기초 위에 만주국 황제의 통제권을 문란시켜 만주국 주권을 변경시키는 행위였다. 조선독립운동은 일본 국체를 부정하기 때문에 만일일덕일심과 만일불가분의 기초도 문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독립운동은 만주국 국체도 변혁시킬 수 있다. 일본은 1942~1943년의 만주국에 있는 종교단체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하였고 그 중 '임오교변'으로 불리는 대종교 탄압사건은 만주국 치안유지법이 적용된 조선독립운동 사건 중의 하나였다. 이로써 일본은 만주국의 사법체계를 통해 만주국에서 조선독립운동을 탄압하고 재판할 수 있게 되었다. 本研究的目的可大致分为三个。首先探讨了作为伪满洲国治安关系法令的暂行惩治叛徒法的制定过程与运用实态,以此来揭晓暂行惩治叛徒法和朝鲜独立运动间的关系。其次,阐明了伪满洲国取得在满朝鲜人裁判权的过程。最后,确认了朝鲜独立运动家在伪满洲国从何时开始,并以何种法律受到了处罚。以此来分析了伪满洲国治安关系法令的的治安维持法与朝鲜独立运动的关系。 伪满洲国建国之后,在日本政府把稳定社会治安作为首要任务。日本以中华民国的司法体系为基础,通过颁布“暂行援用从前法令”开始了伪满洲国的司法运用。1932年3月颁布的暂行惩治叛徒法与暂行惩治盗匪法,1941年12月伪满洲国参照日本的治安维持法,统合了这两条法律,并颁布了伪满洲国治安维持法。日本从1942年开始通过伪满洲国治安维持法来统治满洲国的社会治安。 暂行惩治叛徒法与暂行惩治盗匪法可以处罚外国人,但是1937年12月以前因为治外法权的存在无法处罚从事独立运动的在满朝鲜人。日本主张在满朝鲜人无论归化与否,其国籍属于日本。即使在治外法权撤废以后,暂行惩治叛徒法依然无法处罚在满朝鲜人。这是因为朝鲜独立运动否定与变革的的并不是暂行惩治叛徒法第一条中的“伪满洲国的国宪”,而是日本治安维持法第一条中的“日本的国体”。因此,与治外法权的撤废无关,暂行惩治叛徒法无法审判从事独立运动的在满朝鲜人。 1941年12月的伪满洲国治安维持法第一条中的“国体变革”是指在“满日一德一心与满日不可分”的基础上,紊乱伪满洲国皇帝统治权来变更伪满洲国主权的行为。在日本立场上,朝鲜独立运动因为否定“万世一体”的日本国体,因此也就会紊乱“满日一德一心与满日不可分”的基础,故而朝鲜独立运动也会变革伪满洲国的国体。1942~1943年间日本对在伪满洲国内的宗教团体进行了大规模地检举,其中被称为“壬午教变”的大倧教检举事件是被伪满洲国治安维持法处罚的朝鲜独立运动相关事件之一。由此可知,日本通过伪满洲国的司法体系在伪满洲国内实现了对从事独立运动的在满朝鲜人的检举与审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