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문재(Suaeda glauca) 고사체 주변의 토양, 식생, 게 활동의 공간적 변이 :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사례로

        이한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염습지 생태계는 해수의 지배적인 영향, 빠른 물질 순환 주기 및 서식 생물들의 짧은 생활사 등이 특징인 생태계로, 다른 생태계에 비해 구성 요소들은 단순한 편이지만 그것들이 외부의 영향을 받아 변화를 겪는 빈도는 더 높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태계 경관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가운데에도 해당 생태계에 서식하는 식생이나 게 등의 생활사보다 오래 남아있는 어떤 구성 요소가 있다면 그로 인해 주변 경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 염습지 생태계에 자생하는 식물 종 중 나문재의 경우 다 자란 성체의 높이가 1.5m까지 자라기도 하며, 자라는 과정에서 줄기는 목질화되어 1년생 초본임에도 그것이 죽은 이후에 바로 분해되어 사라지지 않고 원래의 자리에 남아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고사체가 된 개체 중 일부는 수년간에 걸쳐 같은 자리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그 경우 주변 식생이나 게 등의 동물들의 생활사보다 긴 시간에 걸쳐 염습지 생태계에 있는 것이므로 존재하는 동안 주변의 생태계 경관에 어떤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나문재 개체가 죽기 이전에 그것과 영향을 주고받던 토양, 다른 식생, 게의 활동이 그것이 고사체가 된 이후에 그 주변에서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나문재 고사체가 존재하는 곳은 그 주변부에 비해 식생 피도가 낮고, 게 활동의 흔적은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여러 토양 성질 또한 고사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나문재 고사체가 생명으로서의 기능을 잃었더라도 물리적 영향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이 고사체가 존재하는 지점과 나지와의 생태적 경관의 차이로 이어진다는 원인이 된다고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향후 염습지 생태계 연구에 있어 식물 고사체가 높은 밀도로 존재할 경우 그 영향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나문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개발

        전소미 서울산업대학교 산업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에서는 나문재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세포보호작용, 미백작용을 측정한 뒤 활성성분을 분리하여 구조를 알아내었다. 또한 나문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나문재 추출물의 원료기준 및 시험법을 작성하였다. 먼저 Free radical 소거활성(F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층 추출물이 13.87 μg/mL,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당을 제거시킨 아글리콘 추출물이 7.80 μg/mL임을 측정하였다.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0.05 μg/mL, 당제거한 아글리콘 추출물은 0.03 μg/mL이었다. 이로써 ethylacetate 추출물 및 aglycon 분획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1O2으로 유도된 세포막 파괴에 대한 보호 활성에서 나문재의 100 %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 1 ~ 10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아글리콘 추출물의 경우는 50 μg/mL의 농도에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τ50, 310 min)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 활성억제는 나문재 추출물중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당 제거한 아글리콘 추출물이 40.5 μg/mL 로 나타나 비교 물질인 arbutin의 저해 활성(105 μg/mL)보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매우 커서 미백효과가 나타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나문재 추출물의 활성성분 분리는 에틸아세테이트 층 추출물을 TLC로 분리하였다. 그 결과, 6개의 띠(SA1 ~ SA6)로 분리되고 이중 SA2 ~ SA6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로써 극성이 비교적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SA3와 SA6는 isoquercitrin과 rutin으로 예상되고 에틸아세테이트 층 추출물을 당제거한 아글리콘 추출물은 TLC에서 5개의 띠(DSA1 ~ DSA5)로 분리되었다. 추출물 함유 크림을 12 주 동안 온도별 저장(0 ℃, 25 ℃, 37 ℃ 및 45 ℃)과 태양광선에의 노출 조건에서 4 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온도별 저장조건에서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군 크림은 상기 온도 조건에서 pH 변화가 거의 없었다. 추출물 함유 크림의 경우는 0 ℃ ∼ 37 ℃에서 pH가 2.24 % 감소하였고, 45℃ 저장과 태양광선 노출 시는 각각 7.85 % 및 10.15 % 감소하였다. 12 주 동안 0 ~ 37 ℃에서는 추출물 함유 제품의흡광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 반면에 45 ℃ 저장과 태양광선 노출시킨 경우는 흡광도가 각각 7.6 % 및 7.4 % 감소하였다. 크림으로부터 추출물을 용출시킨 에탄올 용액을 태양광선에 직접 노출시켰을 때 4 주 만에 흡광도가 50% 감소한 것에 비해서는 작은 감소를 나타낸다. 이는 추출물이 크림 내에서 비교적 안정화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온도별 저장 조건에서 12 주 후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은 초기 점도보다 평균1748 cP 증가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평균 951 cP 증가하였다. 태양광선 노출 조건에서 대조군은 12 주 후 오히려 점도가 4,022 cP나 큰 감소폭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동일 조건에서 추출물 함유 크림의 점도는 2,483 cP 증가하였다. 이는 나문재 추출물이 태양광선에 대항하는 보호제로 작용하여 크림의 점도를 유지시켜 제품을 안정화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첨부해서,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은 12주 동안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냄새나 색상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나문재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비교적 안정하지만 장기간 동안 보관 시에는 안정성에 문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제품 응용 시 나문재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고 제품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모든 결과들에 의해 나문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당제거한 아글리콘추출물은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ueada asparagoides extracts were investigated. And the stability of cream containing 0.3 % SA EtOAc extract (called extract below) was evalu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50) of extract/fractions of Sueada asparagoides was in the order: ethylacetate fraction 13.87,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 fraction 7.80.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50) of Sueada asparagoides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order of ROS scavenging activity of Sueada asparagoides extracts was ethylacetate fraction 0.05,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 fraction 0.03. Aglycon fraction showed the most prominent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Sueada asparagoides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ethanol extract (100 %) of Sueada asparagoide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1 ∼ 100 μg/ mL), particularly deglycosylated aglycon fraction exhibited the most prominent celluar protective effect (τ50, 310 min at 50 μg/mL). Deglycosylated aglycon fraction of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as 40.5 μg/mL. So it's supposed more efficient than arbutin as whitening agent. pH, viscosity and absorbance (363 nm) were measured under the 4 different temperatures (0 ℃, 25 ℃, 37 ℃ and 45 ℃) and under the sun light at the 4 week intervals during the 12 weeks in total. The controlled cream without containing the extract did not show pH change. The cream containing the extract did not show absorbance change at the temperature ranges of 0 to 37 ℃ for 12 weeks. After treating the cream for 12 weeks under the different temperatures, the viscosity was measured for the cream containing the extract and controlled cream. The result was the SA extract contributes to the stability of the emulsion product by protective effect to maintain the viscosity of the cream against sun light. Thus, it is concluded that it is still not clear in the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the extract when it is stored for the long time.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to the manufactures, who are seeking for the application of the extract to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tability of cosmetic products.

      • 나문재 종자의 Priming 처리가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성필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95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germinability of Suaeda glauca by seed priming. Before the priming treatments,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confirmed to test the primed seeds. This seed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at 20℃ in the range of 5~35℃. For priming, the sterilized seeds were immersed in the distilled water, KNO3 solution (50, 100, 150, 200mM), KH2PO4 solution (50, 100, 150, 200mM), and PEG 8000 solution (-0.3, -0.6, -0.9, -1.2MPa), depends on 3 temperatures (15, 20, 25℃) and 3 treatment durations (1, 3, 5 days). As a result, the priming method using -0.6 MPa PEG 8000 at 15℃ for 5 days was the most effective, in which the seeds germinated 92.7% enhanced by 25.4% compared to the raw seeds. Then, for the dehydration of the primed seed, the optimum temperature (under RH range of 20~44%) was tested in the range of 5~50℃ with 5℃ interval. As a result, dehydration at 10 to 15℃ (under RH 40~42%) was the best without diminishing physiological viability. Comprehensively, the primed seeds dehydrated at 10~15℃ showed 90.7% of germination, 89.3% of vigor, 2 days of MGT (mean germination time), 590 of PI (promptness index), and 46.6 of GPI (germination performance index), which enhanced 23.4% in germination, 32% in vigor, 262 in PI, 33.8 in GPI, and shorten 3.3 days in MGT compared to the raw seeds. Also, the primed seeds showed higher performance of germinability under various salinity conditions than the raw seeds. 본 연구는 종자 프라이밍을 통해 나문재의 발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라이밍 처리 조건을 시험하기 전에 나문재 종자의 적정 발아온도를 5~35℃ 범위에서 확인하였다. 온도에 따른 나문재 종자의 발아는 5℃에서 49%, 10℃에서 55%, 15℃에서 63%, 20℃에서 67%, 25℃에서 42%, 30℃에서 31%, 35℃에서 11%가 나타났으며, 20℃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프라이밍 처리는, 멸균된 나문재 종자를 증류수, KNO3 용액(50, 100, 150, 200 mM), KH2PO4 용액(50, 100, 150, 200mM), PEG 8000(-0.3, -0.6, -0.9, -1.2 MPa)에 처리기간(1, 3, 5 일)과 온도(15, 20, 25 ℃) 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하여 발아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15℃에서 5일동안 -0.6 MPa PEG 8000에 침지시킨 나문재 종자가 프라이밍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프라이밍 종자의 발아율은 92.7%로 무처리 종자보다 25.4%가 향상되었다. 이후 프라이밍 종자의 건조는 5~50℃ 온도범위(상대습도 20~44%)에서 5℃ 간격으로 건조하여 발아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프라이밍 종자는 10~15℃ (상대습도 40~42%)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생리적 활력의 감소가 거의 없이 가장 우수하였다. 종합해보면, -0.6 MPa PEG 8000용액에 15℃에서 5일 동안 프라이밍 한 종자를 10~15℃ (상대습도 40~42%)에서 건조 하였을 때 발아율은 90.7%, 발아세는 89.3%, 평균발아일수는 2일, 발아속도지수는 590, 발아균일지수는 46.6으로 무처리 종자와 비교하였을 때, 발아율은 23.4%, 발아세는 32%, 발아속도지수는 262, 발아균일지수는 33.8 향상되었고, 평균발아일수는 3.3일 단축되었다. 또한 프라이밍 종자는 다양한 염분 조건에서 무처리 종자보다 더 높은 발아능력이 나타났다.

      • 한반도자생 염생식물의 환경저항성 유전자 분석 : Exploration of Abiotic Stress Tolerance Genes from Transcriptome of the Korean Halophytes

        셀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62

        한반도자생 염생식물의 환경저항성 유전자 분석 Exploration of Abiotic Stress Tolerance Genes from Transcriptome of the Korean Halophytes 의생명과학과 셀 밤 지 도 교 수 이 재 헌 지난 몇 십 년 동안 지구온난화와 도시화에 의해 환경 매개 변수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 중 염분 스트레스는 세계적으로 식물 생장과 발달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러 극한생물(extremophytes)은 여러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기능에 관련된 유망 후보 유전자를 분리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해변에서 자생하는 두 염생식물(halophytes)인,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및 갯무 (Raphanus sativus)로부터 환경저항성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나문재에서 염분 저항성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염분을 처리한 잎 조직의 c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여, 총 1,056개 EST를 무작위로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932개 유전자를 얻을 수 있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538개 unigene을 찾았고, 각 유전자를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 등록하였다. 80개의 염분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들을 선발해 발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RT-PCR이나 Nor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23개 유전자가 높은 염분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유전자는 수송, 신호 전달, 전사 인자, 신진 대사 및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 그리고 기능을 알 수 없는 종류의 단백질 등으로 기능적으로 다양했다. 그 중에서 dehydrin (SaDhn)와 RNA 결합 단백질 (SaRBP1) 관련 유전자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에서 비생물적 스트레스 내성 기능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 한 결과, SaDhn과 SaRBP1 유전자를 과다발현하는 효모는 삼투, 냉동 및 고온 처리에 대하여 높은 스트레스 내성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는 나문재 SaRBP1와 SaDhn 유전자가 효모에서 여러 비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발휘하는 증거를 나타낸다. SaDhn1와 SaRBP1 유전자 외에 SaTIP1, SaBTF3-1, SaNDPK1, SaRING-H2, SaMHDP1, SaC2H2F1, SaMT1, SaBSP1 유전자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과다발현 형질전환 애기장대를 생산하였다. 또한 SaRBP1 유전자의 다양한 기능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조 식물에 비해 SaRBP1 과다발현에 의해 가뭄 및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지만, 발아가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갯무 c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해 스트레스 관련 RsMDP1 및 RsERF1 유전자 기능을 분석하였다. RsERF1 (R. sativus ethylene 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1) 유전자는 AP2 DNA 결합 도메인 (DBD)과 전사인자 (TF)를 암호화 한다. RsERF1 재조합 단백질은 GCC 또는 DRE cis-acting DNA elemen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였다. RsERF1을 GAL4 DBD과 융합했을 때 효모에서 전사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RsERF1는 특정 DNA 결합 친화력이 있으며 자가 전사활성 기능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TF)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과다발현 형질전환 식물에서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실험이 수행되었다. RsERF1 과다발현 형질전환 애기장대는 마니톨이나 염분이 첨가된 배지에서 대조 식물보다 성장이 좋았고, 염분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발아율이 높을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양 조건에서도 과다발현 애기장대는 염분 또는 가뭄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세계 최초로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인, 나문재와 갯무에서 환경저항성 유전자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크며, 나문재 및 갯무에서 분리된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 정보를 통하여 형질전환체를 생산 함으로써, 간척지, 사막, 쓰레기 매립지 등을 녹화 하거나 경작지로 사용하는데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이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Extremophytes,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갯무 (Raphanus sativus), dehydrin, RNA 결합 단백질 (SaRBP1), R. sativus ethylene 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1, Transcription Factor, 염분 스트레스, 비생물적 스트레스, 가뭄 스트레스에

      • 나문재의 구황식품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연구 : 성분과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춘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75 국내석사

        RANK : 247631

        (1) Wistar rats were fed with Namunjae to observation of their growing state by ad. libitum feeding for five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5 groups by the Namunjae feeding stuffs (roasted, boiled, roasted and boiled mixture, and other special mixed food groups-as Table Ⅰ) (2) Quantitative proximate components of Namunjae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value as substitute food. (3) Quantitative value of Namunjae protein amino acids were analyzed by amino acid auto-analyzer. (4) Constitutional pattern of Namunjae protein amino acid was less than compare with the provisional pattern. (5) Amount of Namunjae intakes by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6) Body weights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generally incresed until first and second weeks. But after that the body weights were observed no significant changes. (7) Weights of liver, kidney and spleen were observed no significance between each experimental groups.

      • 나문재(Suaeda glauca Bunge)의 무기원소 및 지방산 함량에 관한 연구

        김송전 명지대학교 대학원 1977 국내석사

        RANK : 24737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ue of Namunjae as substitute food and analyse the minerals and fatty acids. Namunjae samples was collected at, west sea side, pori, Kyunggi province, from May 1 to May 15, 197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the rat was fed on Namunjae supplemented with first limiting amino acid, methionine and cystine, the growth rate was higher than when it was fed on Namunjae alone. 2. When the rat was fed on Namunjae supplemented with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the growth rate was about the same as it was fed on Namunjae supplemented with amino acid. 3. Namunjae contains palmitic acid 38.84%, and essential fatty acid, linolenic acid 26.27% and linoleic acid 17.82%. 4. Namunjae contains minerals, Ca 269.4 mg%, Fe 93.5 mg%, p 89.5 mg%, Mn 9.42 mg%, Zn 2.28 mg%, Cu 0.94 m%.

      • Effects of Suaedaasparagoides(Miq.)Extract on the motility of rat gastric antrum : 랫드 위유문동 운동에 대한 나문재 추출물의 효능

        메하리 엔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356

        Suaeda asparagoides (Miq.) has been used as Korean folk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However, reports on its pharmacological activity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are scares.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uaeda asparagoides aqueous fraction of the extract (SAWF), on antral motility in vitro. Muscle strips from rat gastric antrum were set up in organ baths in circular orientation. SAWF concentration dependently (0.1-100 ?g/ml) inhibited the spontaneous contraction of antral circular muscle strips. The effects of SAWF (100 ?g/ml) were not affected by tetrodotoxin (1 ?M), atropine (1 ?M), L-NAME (100?M), ryanodine (10 ?M), 2-APB (10 ?M) and phentolamine (10?M). However, ODQ (10 ?M) significantly (P<0.05) attenuated the extract induced inhibition. SAWF evoked inhibition was also significantly (P<0.01) attenuated by CPA (10 ?M) and thapsigargin (10 ?M). Further more, ?-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propranolol (10?M) abolished (P<0.001) SAWF induced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WF may exert its activity on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 via adrenergic path ways that involve ?-adrenergic receptors and SR Ca2+ pump (Sarcoplasmic Endoplasmic Reticulum Ca2+ ATPase (SERCA)) involving mechanis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