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고 이미지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이은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We are exposed to hundreds of, thousands of advertising images and much affected by the visual images. There is much room for children accepting the images defenselessly without any critical consciousness. However, if they accept them only passively without any critical consciousness, they not only have difficulty in visual communication but also cannot but accept them blindly because they cannot well understand the messages conveyed by them. Thus, art education needs to educate children in advertising images so that they may become subjects by themselves in the Image Informationalized Age when they will live. This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direction in which an actual art guidance program using advertising images was developed and applied which can be applied to high graders in the field of a primary school from a semiotic viewpoint when active discussion about the interest in and necessity for visual culture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these days, and involved the following things. First, it discussed the background, concept and necessity of visual culture education as the expanded concept of art education. Appearing ideas and theoretical changes by the effect of a postmodernistic theory on various disciplines challenged the dichotomous concept of high art and pop art and demolished the wall between them. Such changes broadened the horizon of art education up to visual culture. Therefore, getting out of the frame of traditional school art educati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volves fashion photograph, advertising photograph, garden design, the popular and virtual images that can be seen in television, film and the Internet and the central objects in learners' daily aesthetic experiences like shopping mall and amusement park. Secondly,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the aspects of extending visual cognitive competence and increasing the power of critical thinking by analyzing advertising images from the semiotic viewpoint of Roland Barthes who semiotically analyzed various phenomena in modern society. Thirdly, it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an art guidance program in an actual aspect was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advertisement education based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t sought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for high graders by analyzi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7th sixth-grade curriculum and textbook. Fourthly, based on that, it developed and applied total three programs. It constructed the domains of 'reading visual images' and 'creative writing' with the programs such as <Exploring the Meanings of Colors>, <Reading and Writing Printed Advertisements> and <Reading Image Advertisements> and develop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36 sixth graders. And it analyzed and arranged the answers to their question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ograms to them and the resultants of their activities. Applying the programs showed that as a class was developed the students not only took high interest in the surrounding advertisements but also made positive inquiries about them and showed the attitude of trying to explore them thinking critically about them. And I could see the students try to understand the intentions hidden in the advertisements making various inquiries about them also after the class. On my judgement, they took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m not blindly but critically through the class of how an advertising image comes to implant a false idea in them in a different way from a lett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an actual art guidance program using advertising images was developed which was applicable in the field of a primary school and enable a more serious and real approach in developing the program which would be studied in a variety of ways for future art education. 우리는 수백, 수천 개의 광고 이미지에 노출되어 그 시각이미지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시각이미지들은 아동의 입장에서 아무런 비평의식 없이 무방비적으로 수용될 여지가 많다. 그러나 비평의식 없이 수동적으로만 받아들인다면, 시각이미지가 주는 메시지를 잘 이해하지 못하여 시각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맹목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미술 교육은 광고 이미지에 대한 교육을 통해 아동들이 살아갈 영상 정보화시대에서 스스로 주체가 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요즘, 기호학적 관점에서 고학년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광고 이미지를 활용한 실제적인 미술지도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연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의 확장된 개념으로서 시각 문화 교육의 배경과 개념,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이 다양한 학문분야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나타난 사상과 이론의 변화는 고급미술과 대중미술이라는 이분법적 개념에 도전장을 내밀며 둘 사이의 벽을 허물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미술교육의 지평을 시각문화로까지 넓히게 되었다. 따라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내용 범위는 전통적인 학교미술교육의 틀을 벗어나서 패션사진, 광고사진, 정원디자인, 텔레비전, 영화, 인터넷 등에서 볼 수 있는 대중적이고 가상적인 영상 이미지 쇼핑몰, 놀이동산과 같은 학습자의 일상적 미적체험의 중심을 이루는 대상들을 포함한다. 둘째, 현대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한 바르트의 기호학적 관점으로 광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을 시각적 인지 능력의 신장과 비판적 사고능력의 증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셋째,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바탕을 둔 광고 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적인 측면의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고학년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제7차 6학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총 3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보았는데 이는&#985168;시각 이미지 읽기',&#985168;창의적 쓰기'영역을 <색의 의미 탐구>와 <인쇄 광고 읽고 쓰기>, <영상 광고 읽기>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6학년 36명의 학생들에게 교수ㆍ학습 활동을 전개해 보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과 활동 결과물 등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수업이 진전됨에 따라 학생들은 주변의 광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일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면서 살펴보려는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수업 후에도 주변에서 본 광고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하면서 광고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려고 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광고 이미지가 어떻게 잘못된 생각을 심어주게 되는가에 대한 수업을 통해 맹목적 수용이 아닌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논고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광고 이미지를 활용한 실제적인 미술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미술교육을 위해 다양하게 연구될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보다 진지하고 현실적인 접근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 주요국의 노인교육 비교분석

        김선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노인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노인교육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고 자신의 삶을 실현해 갈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인교육 교육과정은 다양한 노인욕구를 충족시키기보다는 목적을 위한 부수적인 차원의 교육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노인의 능력을 창조적으로 개발하기보다는 노인의 지적 창조적 능력을 무시하고, 취미 오락 위주로 교육과 정을 구성·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보다 고령사회에 먼저 진입한 주요 선진국의 노인교육과 동향을 살펴보고 현행 우리나라의 노인교육과 어떠한 차이��공통점이 있는지,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해 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노인교육에 필요한 참고자료를 얻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비교 대상 국가는 일본, 독일, 미국이며, 그에 따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얻어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내 노인교육이 아닌 대학중심의 노인교육을 실시하여야 함에도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대학 내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원이나 노인대학은 있으나 대학중심의 노인교육은 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중심의 노인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양 오락, 건강 등의 프로그램과 더불어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서 노인들의 기본적인 학습욕구와 관련이 있는 것들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재편성이 요청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는 교양 오락, 위주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으므로 노인교육의 목표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교육지침과 교재에 있어서 노인 학교용 교과서 편찬으로 보다 더 체계적인 노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우리나라의 전문 강사진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조차 힘겨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노인들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전문 강사진의 확보 또는 양성에 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 교육시설과 교육방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시력을 위한 첨단조명이나, 청각을 위한 특수음향시설 등이며, 노인들은 강의 위주의 교육방법 보다는 토론회나 워크샵 또는 개별학습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여섯째, 우리나라에서는 노인교육의 실시만 이루어질 뿐 피드백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노인교육에 있어서 다음 수업설계에서 교육목표가 정확하게 방향을 결정하고 교육내용과 방법이 제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반드시 정확한 피드백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선진국과 노인교육 교육과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았으나 각 나라마다 역사적 배경과 전통, 문화가 다르고, 각기 특색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틀을 가지고 이들을 비교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므로 앞으로 문헌연구 뿐만 아니라 선진국을 직접 견학하여 선진국의 노인교육기관 과 형태, 정부의 지원상태등을 심층 분석하여 그에 따른 우리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하여 나감으로써 앞으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goal of the old education is to prepare for the field to be able to satisfy the education desire of the old and realize their own life. However, the curriculum of the old education of our country is failing to get out of the education category of incidental dimension for goal than satisfying the diverse desires of the old. That is, it is ignoring the intellectual and creative ability of the old and constituting and offering the curriculum centering around hobby and creation than developing the ability of the old creatively. Thu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try to obtain the reference data to be necessary for the old education of our country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trend of the old education of main advanced nations which advanced into advanced age society earlier than our country, comparing and analyzing which different and point of sameness from the current old education of our country and which point at issue there are centering around curriculum and extracting the suggestion points to be based on it. The nations of comparison subject for this are Japan, Germany and America, and the suggestion points obtain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o be based on it are as follows: First, the old education centering around university which is not the old education in university should be executed. But, though there ar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or the colleges for the old being managed in universities in our country, the old education centering around universities is not being made in comparison with advanced nations.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old education centering around universities should be executed so as to satisfy the diverse desires of the old. Second, it is required to reorganize the program centering the things to have relation with the basic study desire of the old in gear with the information oriented period with the programs such as culture, recreation and health etc. Third, there is the case to get out of the goal of the old education, as the program centering around culture and recreation is being executed in our country. So, it is necessary to enable more systematic education for the old to be made with the textbook compilation for the old school in education guideline and teaching materials. Fourth,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even the management of normal program is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 lecturer staffs of our country. So, the scheme about the security or training of professional lecturer staff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old well will have to contrived. Fifth,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ion method to consider the feature of the old will have to be made. That is, there should be the ultramodern illumination for sight or the special sound facilities for hearing etc., and forum or workshop or separate study should be executed than the education method centering around lecture. Sixth, in our country, only the execution of the old education is being made, but feed is not being made, In the old education, exact feedback should be executed, so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goal for next study design may be decided exactly and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may be progressed right.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compare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old education in main advanced nations, but historical background, tradition and culture are different and there is respectively different feature in every nation. So, it is not easy to compare these with one frame. Therefore,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point at issu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ut country by analyzing the institutions and form of the old education in advanced nations and the support state of government etc. deeply after the direct field trip around advanced nations as well the literature study will have to be able to br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old in the future.

      • 패러디(parody)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김혜원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the absolute and plain modernistic way of thinking has been replaced with the relative and three-dimensional one, the power of scientific technology is gradually on the wane, and culture and art are emerging as new sources of competitiveness. The advance in mass media and the Internet makes a contribution to stepping up information sharing, which lead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Now information is one of major industries in the world, and culture functions as a sort of product. The visual environments are increasingly being diversified, enlarged and dynamic, and one of the typical phenomena that stem from a combination or compromise of different forms of culture is a parody genre. Parody is a kind of reproduction that is built on a reinterpretation of the uniqueness and norms of original works produced in the past, and that is very significant by giving pleasure and appealing message to readers who appreciate i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arody and imitation. Parody is a technique that grants a new, unique meaning to a particular original work based on a perfect understanding of it and recreates another new work by taking advantage of creativity and the sense of sight. Lots of parodies appear in multiple fields of visual culture involving TV commercials, novels, movies, art and music. Lately, parody is often put to use in the area of advertising as well, since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ology makes it easier to create new things and to turn world-renowned art works, high-profile movies or popular comedies into specific forms of text or image. It seemed necessary to apply parody, which is one of the typical post-modern phenomena, into art education, which accepts contemporary art. Given the necessity of the application of parody, the concept and types of parody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modern art were discuss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and scope of parody in art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parody-applied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at boost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and their critical receptivity of massmedia, and that it is easily accessible to every student, lets them feel less rejective toward art and puts a less strain on them. Specifically, this study planned to take an easier approach to parody through the medium of 'a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al learner lif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art instruction. The concept of ad design and the components of printed ad design were analyzed to devise how to make an instructional design and provide education. And then the technical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art education were analyzed to make an instructional design, as it seemed possible to teach students to come up with ideas by utilizing parody. As art instruction might just be elusive for students, ad design instruction was designed to stir up the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learners to produce the best educational results by applying parody with which they were already familiar in daily routine lif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parody of pure art, though there were multiple genres to use parody. And only printed ad was selected from among various types of ad design, since it was not possible for learners to be exposed to all the ad media in high school art class. After ad design lesson plans were mapped out by utilizing parody of pure art in light of technical high school educational setting, learner interest and existing art education, students receiv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lesson plans, and they were engaged in appreciation and evaluation activities.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ir answer sheets and work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ight usually view art as what's difficult to learn and have little idea what to do in art class, and the parody-applied ad design instruction served to stimulate their interest and class participation, since they were already accustomed to parody in everyday life. Second, they got to be confident of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course of producing their works by reinterpreting and rearranging existing images. Third, they were able to have an eye for aesthetic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and to criticize messages conveyed by visual media from a creative standpoint in the middle of analyzing and appreciating works. Finally, that instruction made it possible to iron out some problems resulting from indiscreet copying practices or the inflow of improper popular culture that might have an adverse impact o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instruction was successful in guiding them in the right direction and teaching them to be discerning and have a critical mind.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teacher who conducted the instruction was able to help the learners to foster their own aesthetic consciousness on their own to think in a more three- dimensional and synthetic mann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ster the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절대적이고 평면적인 모더니즘 사고에서 상대적이고 입체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사고로 이행됨에 따라 과거의 물질ㆍ과학기술이 주도하던 시대는 지나게 되었고, 이제는 문화와 예술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대두되었으며, 대중매체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정보의 공유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대중문화가 급격히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우리는 과거와 달리 정보가 산업이 되고 문화가 상품이 되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역동적인 시각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문화의 형태가 혼합되고 절충되어 나타난 가장 대표적인 현상 중 하나가 패러디(parody)장르이다. 패러디는 과거 원작의 고유성과 규범들을 재해석하는 복제형식으로써, 그것을 감상하는 독자에게 즐거움과 동시에 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준다. 또한 원본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창의성과 시각을 통해 또 다른 새로운 작품을 재창조시키는 기법이라는 점에서 모방과는 차이가 있다. 오늘날 우리의 시각 문화 환경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패러디 현상은 텔레비전 광고, 소설, 영화,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고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매체와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창조가 가능하게 되면서 널리 알려진 유명한 미술작품이나 영화, 또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미디 등이 풍부한 텍스트나 이미지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패러디 현상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동시대의 미술을 수용하는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미술 교육에 있어 패러디의 활용 가능성과 범위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패러디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현대미술에 있어서 패러디 활용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패러디를 활용한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되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대중매체에 대한 비판적 수용 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미술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문화 현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패러디를 학습자의 실생활을 미술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대중매체로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고’라는 매개로 보다 쉽게 접근하여 미술 교과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광고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지면광고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과 탐색을 통해 이번 연구의 수업 설계와 지도를 위한 실제적인 참고 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패러디를 활용한 발상 교육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미술과(科)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을 위한 수업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어렵고 막연하게 느낄 수 있는 미술 수업에 주변에서 쉽고 다양한 영역으로 접할 수 있는 패러디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하여 미술 교과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패러디를 차용하고 있는 여러 장르 중에서 미술 작품과 연관시킬 수 있는 차원에서 순수미술 패러디로 그 범위로 제한하였고,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광고의 다양한 매체들을 모두 경험하는 것이 불가능한 점을 감안하여 광고디자인 중에서 지면광고로 제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맥락을 고려한 ‘순수미술 패러디를 활용한 광고디자인’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ㆍ적용한 후, 학생들의 감상 및 평가, 설문지 분석, 그리고 작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이 어렵고 막연하게 느낄 수 있는 미술 교과 수업에서, 주변에서 쉽고 다양한 영역으로 접할 수 있는 패러디를 활용한 광고디자인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미 등장한 이미지를 재해석,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표현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작품의 분석과 감상을 통해 미적 안목을 넓히고,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를 창의적인 시각에서 비평하고, 관찰할 수 있었다. 넷째,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무분별한 모방과 그릇된 대중문화의 유입에 대한 문제점을 학교 현장에서 보완해주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줌과 동시에, 비판적 안목과 분별력을 기를 수 있었다. 이상의 수업 결과를 통해 교사는 학습자에게 그들 스스로 주체적인 미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조력하여, 학습자가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를 지도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생들의 창의적인 발상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자 중심 미술 감상 교육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유영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importance of teaching art appreciation as well as expression in arts education is being gradually emphasized. Elliot W. Eisner, a prominent arts education expert, criticized that present arts education sways to producing of artworks and argued that expression is not the only method of fostering students' aesthetic sense. He also insisted that educating how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works is as important as to produce them because visual experience requires training of intellectuality as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studying the objects. In response to such trend in art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nounced the revised arts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It emphasized art appreciation which encourages students' self-direc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artworks by enhancing 'appreciation' of three education areas including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s the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is gradually emphasized, study of the curriculum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required. In this regards, the study will explore teaching methodology of learner-based art appreciation through which learners actively analyze and interpret the artworks.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concept, teaching-learning mechanism, and learning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arner-based art education. Constructivists view knowledge is derived from experience and something that learners should construct for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activities and selection of the objectives to appreciate. In this perspective, learner-based art education should instruct students to appreciate objectives from their own interest and desires. Based on such constructivist principles and knowledge, this study will try to identify the functions and methods required for art appreci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based education and analysis of the 2007 Middle School Art Education Revision, a direction for education of the learner-based art appreciation will be set up. The study will also examine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nd George Geahigan's Art Criticism Theory. PBL model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be employed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teaching context. Geahigan's Criticism Theory encourages students' active problem solving attitude, as well as expands their aesthetic maturity, depth of thinking, and critical views. Incorporating the two theories, a teaching-learning mechanism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and expected effects of the mechanism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ill obtain an active attitude for appreciation of art by using dialogues, discussions and cooperative study in the classroom. Second,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expression skills will be fostered through a combined lesson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t will improve learners' active and critical thought. In the education of learner-based art appreciation, which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learning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s. In the combined learning process, learners can discuss together about artworks to interpret them and then link their understanding to art making production. Also,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the appreciation objects, learners' interest and cap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It was observed that such learner-based teaching led th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work, and it helped the learners' self-direct thinking as well as improved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he efforts of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that enable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rtworks appreciation classes and eventually foster their aesthetic capabilities and attitudes. 미술교육에 있어 표현제작뿐 아니라 감상교육의 중요성이 과거에 비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화가이자 미술교육학자인 엘리엇 아이스너(Elliot, W. Eisner)는 현대 미술교육이 실기 위주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을 비판하면서 표현만이 미적 감각을 함양하는 수단이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또한 시각적 경험은 미술작품을 보고 인식하는 탐구과정으로써 지성의 훈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미술작품을 제작하는 것 못지않게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미술교육의 새로운 동향에 부응하여 2007년 우리나라 교육인적자원부가 고시한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에서도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세 가지 학습 영역 중에서 감상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미술작품의 표현특징을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도록 하여 보다 적극적인 감상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미술 감상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됨에 따라 감상교육에 대한 교과내용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고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현대 미술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미술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미술 감상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구성주의를 고찰하기 위해 우선 구성주의의 개념과 교수ㆍ학습의 원리, 학습원칙을 살펴볼 것이다. 구성주의에 따르면 지식은 경험을 통해 구성되므로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필요에 의하여 대상을 선정하고 학생 스스로의 활동을 통하여 구성된 지식만이 지식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은 미술작품을 학습자 자신의 흥미와 욕구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인지적, 정의적 감상의 원리와 지식을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미술 작품 감상에 필요한 기능과 방법들을 구성주의적 내용에서 찾고자 한다. 이 같은 배경 이론의 탐색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징과 성격을 살펴볼 것이며, 그에 따라 2007년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을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의 미술 감상교육의 방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맥락을 고려하여 중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모형과 학습자의 능동적 문제 탐구 자세를 함양하며 생활 속에서의 미적 성숙뿐만 아니라 사고의 폭을 넓히고 비판적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게히건(George Geahigan)의 비평적 탐구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두 모형을 상호 보완한 미술 감상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제시할 것이다. 본 지도안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교육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에서 대화와 토론, 협동학습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미적 체험을 하고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극적인 미술 감상 자세를 함양한다. 둘째, 표현과 감상의 통합 학습을 통해 비평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이로써 학습자의 주체적,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킨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감상교육은 학습의 결과보다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는 감상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토론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표현활동으로 연결시키는 일련의 통합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감상 작품의 선정에 있어 우선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이다. 이와 같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사고를 도울 뿐 아니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된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미술 감상활동에 참여하여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지도 방안 연구 노력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학교벽화가 초등학생의 성격요인과 정서지능 영역에 미치는 영향

        홍경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Students in Korea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ternet, flood of mass media, indifference in dual income households, violence and bullying in school are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reach emotional stability. Amidst such reality, schools are committed to personality and emotional education in various ways. One of such efforts is to use murals drawn on school walls to provide students positive mental and physical educational space. According to a research, “Factors which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innate and environmental. Recent studies from the field of psychology view environment as the more influential of these two.” And 5 factors of personality are recommended to use together as criteria in study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theories worth studying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 murals on school wall exert on character element and emotional realm of students on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tent of influence such murals exerted on the character ele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In another word, the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uch murals as an effective tool in emotion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 of 302 5th and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cross Seoul and Gyeonggi area. 150 of them were from 3 schools with murals (mural group) and 152 were from 3 schools without murals (control group). The study used 5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asuring tool and evaluated the influence of each subordinate element using average, correlation, regression, and channel analysis through SPSS ver32 program. In order to digitize and quantify abstract concept such as character and emotions, scores were assigned using research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mentioned abov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verage value of 5 character factors between mural and control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value of application 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r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f application ability is high, width of emotion gets enlarged and they show attitude to accept various conditions and standpoints of other people. Therefore we can expect the existence of mural can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and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rals can be possible. Second, as for emotional intelligence in mural group, empathy ability of female students shows higher mean value. Also empathy showed high interrelationship with character factor of trying to trusting in others, helping those who are in difficulty situation with warm heart and keeping convenient and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others, which is considered to imply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bility and character factor. Third, 5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degree of favoring murals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mostly. The higher was the interest in murals, the higher was congenial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related to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penness and sincerity. Also degree of favoring murals has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promote thinking in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can understand how to change its his or her own emotion to do its duty as well as empathy ability which can communicate with other’s emotion and behave according to i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mural as public art that we can encounter in everyday life of school has close correlation with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has the possibility to be educational tool which can be utilized to bring change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 hope that further study is necessary which includes expanded age and region and more detailed studies about how the detailed contents of murals affect emotion of students will be followed.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은 인터넷과 상업화된 매스미디어의 홍수, 맞벌이 가정에서의 무관심, 학교 성적에 대한 지나친 부담감, 학교 폭력과 집단 따돌림 등 정서적으로 안정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학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성교육과 정서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그 노력의 하나로 학교벽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물리적 교육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사람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의 영향과 유전적 기질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환경이 유전적 기질보다 성격 형성에 더 큰 영향 김영봉(2007).「교육심리학」. 서현사, p.98 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다수의 학자들은 정서지능도 선천적인 요소와 함께 후천적으로 학습이나 교육, 경험, 연습 등 다양한 환경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강윤선.(2007). 동시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p.13 성격이론의 몇 가지 하위요인들이 정서지능의 개념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고, 선천적 기질과 더불어 후천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두 개념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정서지능을 연구하는데 성격 5요인을 척도로 함께 활용하는 것을 권장 Wiggins, J.S., P. Trapnell, and N. Phillips,(1988.) Psychometric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 (IAS-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3(4): p. 517-530. 한다. 이러한 이론은 학생들의 물리적 환경이 되는 학교벽화가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성격 요인과 정서의 어떤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교벽화를 통한 정서 교육이 가능한지 연구의 필요성에 바탕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학교벽화가 학생들의 성격요인과 정서지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학교벽화가 정서교육의 도구로서 가치가 있는가를 가늠해 보려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로 벽화가 있는 3개 학교 150명(벽화군)과 벽화가 없는 3개 학교의 152명(대조군), 총 302명이다. 연구방법은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을 측정 도구로 하여 각 하위요인들의 영향력 관계를 SPSS ver.32 프로그램으로 평균, 분산, 상관분석을 하여 확인하였다. 성격, 정서 등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 크기로 수치화, 계량화하기 위해서 각각의 연구용 설문항을 이용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위의 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분산분석 결과 벽화군과 대조군 사이에 성격 5요인의 평균값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벽화군에서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평균값이 의미 있게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정서지식 활용능력이 높으면 감정의 폭이 넓어져서 타인의 다양한 상황과 입장을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것은 학교벽화가 교육도구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벽화군 내에서 남녀 정서지능은 여학생의 감정이입 능력이 더 높은 평균 수치를 보였다. 또 감정이입은 타인을 신뢰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주위에 어려운 이들을 돕고, 타인과 편안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는 성격요인의 친화성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성격요인에 따른 공감능력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것이라 추정된다. 셋째, 벽화선호도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은 대부분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신경증인 불안, 적대적 분노, 우울감이 낮았다. 또한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원만한 대인관계와 관련된 성격 특성인 친화성이 높았고, 개방성, 성실성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벽화선호도는 해야 할 일을 위해 자신의 감정을 바꿀 줄 아는 정서지능의 사고촉진 능력과 다른 사람의 감정과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는 감정이입 능력과도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공공미술로서의 학교벽화가 학생들의 성격요인, 정서지능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며, 긍정적 인성변화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대상의 학령과 지역이 더 확대된 추가연구가 필요하고, 벽화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제언한다.

      • 국내외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컴퓨터과학교육 고찰

        김조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역점을 둬야 할 분야가 바로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인력 양성이다. 이런 국가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인력을 양성하고 소프트웨어 중심의 산업체질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초·중·고등학교의 정보기술교육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단순한 컴퓨터 활용이 아닌 컴퓨터과학교육으로의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초·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실태와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해 여러 모델을 연구하여 시행하고 있는 미국의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을 비교&#8228;분석한 후 2007년에 발표된 개정교육과정을 점검하여 우리나라 컴퓨터교육이 컴퓨터과학교육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했다. (1) 국민공통 기본교과로 지정 초등학교부터 컴퓨터교육이 대부분 재량활동과 선택과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교와 개인 간 수준차가 크다. 각 학교 및 지역별로 수준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컴퓨터교과를 필수교과로 하여 모든 학생들이 적절한 수준에 올 수 있도록 배울 필요가 있다. (2) 수업 시수 확보 학교에 따라서 중학교에서 배우지 않고 고등학교에서 컴퓨터과목을 배우거나 아니면 자칫 컴퓨터과목을 한 번도 배우지 않고 초&#8228;중&#8228;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수업시수의 확보가 불분명하다면 건실한 정보교육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3) 충분한 교사 확보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정보통신기술 소양교육’이 담임의 재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문지식이 없는 교사들은 교수자료를 이용하여 수업을 하기 보다는 타자연습이나 게임 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진정한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기반으로는 먼저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전담교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4) 연계성과 다양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 단위학교별 여건이 다름에도 교과내용의 지나친 구체적 진술로 교육현장의 다양성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적발달수준을 고려한 포괄적 서술이라든지 연계성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방안이 필요하다. (5) 컴퓨터 교육 환경 개선 컴퓨터실의 운영과 컴퓨터보급은 어느 선진국에도 뒤떨어지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관리가 소홀하거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컴퓨터 교육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질 높은 교육내용, 방법 평가의 실현 가능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While we are taught simple computer applications in Korea, other developed countries focus on teaching computer systematically even in elementary schools. To stay competitive with other nations we have to emphasis on preparing people for the profess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have to develop an industry standard centered in software. For this, we need to look back at our educa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know the problems of it and make improvements to focus more on computer “science”. This research is on the computer “science” program in America which has a variety teaching models for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educ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compares our 2007 computer program revision with an American computer science program and how this comparison can improve our computer program to become a computer “science” program. 1) To have required computer science program for all schools There are different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s between students since the computer program is an elective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eliminate these drastic differences, we need a required computer science program so all students will have the same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2) To have enough class time Some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have a computer class in middle school and some did not have any sort of computer class from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It is hard to expect to have valid educational information if there is not been enough class time. 3) To have enough qualified teachers Since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termine the class struc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Literacy Training’, which most of them do not have a strong computer background, they only have their students spend class time practicing typing or playing games instead of teaching essential computer skills. To have a “real” computer science class foundation, we need to have specialized computer teacher. 4) To have improved related content and the variety of content in textbooks Even though each school has a different environment, the textbook has too many details so there is less opportunities to learn the entire content. Therefore, we need to have a variety of educational plans related to the educational levels of each student or an overall introduction to computer course. 5) To have improved computer class environment Even though managing computer lab and providing computers are better in Korea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 but there is a great neglect of taking care of computers and inefficient use of computers. There is a less possibility to achieve high educational methods if there is no improvement in computer educational environment.

      • 콜라주를 응용한 시각 디자인 수업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이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that foster creative people who could create unique visual images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where graphic design is one of the barometer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Design educational systems in technical high schools are aimed at nurturing professional designers who can become the mainstay of future industries, and how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o stir up their creative visual thinking process should be studied by the graphic design educators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collage, one of painting techniques, to graphic design classes in order to seek ways of helping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ideas and facilitating their design-related problem solving, as collage has been a source by which numerous artists and graphic designers have come up with new ideas and media.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of collages throughout the history from Picasso's papier colle works to today's digital collages.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llages were discussed to set the applicable range of using collage in graphic design instruction, and the history of collage was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the flow of modern art and the history of graphic design. As a result of exploring relevant theor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lage boiled down to three: diversity in media, being a composite form and its association with popular culture. Thes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ollage images can be used for inspiring students to develope creative ideas. Hence, the design curriculum of technical high schools and the contents of graphic design textbooks were analyz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lesson plans of collage-based design instruction program. In addition, the collage works made by high school students in graphic design classes whom this researcher taught in the past were analyzed in terms of materials, media, visualization of idea and layout so that the works could be utilized as references. And then, the lesson plans about collage-applied advertising campaign design in printed materials were laid out considering the teaching environments of technical high schools, student interest and instructional contexts. After the graphic design classes were held according to the lesson plan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instruction was checked by having a talk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that education program and by analyzing their work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able to come up with creative ideas for the advertising campaign in the course of trying visual thinking process using collage images, instead of trying only word association. Second, the collage-based design expression process served to instill confidence in those who had difficulties in realistic depiction of the drawing objects and were eventually reluctant to unveil their creative ideas. Third, the collage production process provided a chance for the students to learn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graphic design as well. Fourth, they were able to explore a variety of materials and media in the middle of creating ideas by applying collage. So there seems a limitless possibility to link collage to other kinds of graphic design instruction in the future. Fifth, making the advertising campaign in printed media using collage images allowed the students to think about social issues, and that contributes to open a new chapter for integrated learning between graphic design and other subjects. In conclus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visual thinking process using collage images encouraged the students to actively come up with new ideas for their graphic design works, and that it thereby enabled them to eventually become professionals in the design field.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help students studying graphic design to fully achieve their creative potentials. 디자인이 국가의 경쟁력이 되는 현대 사회에서 독창적인 시각 이미지를 창출해 내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산업의 주역이 되는 전문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시각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도울 수 있는 효율적인 디자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회화 기법의 하나인 콜라주를 시각 디자인 수업에 응용하여 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과 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콜라주는 피카소의 파피에 콜레에서부터 오늘날의 디지털 콜라주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예술가와 시각 디자이너에게 끊임없이 가장 새로운 아이디어와 매체 탐구의 원천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디자인 교육에 있어 콜라주의 활용 가능성과 범위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콜라주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역사를 현대 미술과 시각 디자인의 시대 흐름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배경 이론의 탐색을 통해 콜라주의 특징을 다양성, 결합성, 대중성으로 압축해 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도출된 콜라주의 발상 교육에 있어 여러 가지 가능성을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科) 교육과정과 시각 디자인 교과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을 위한 수업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 이전에 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한 시각 디자인 수업에서 학생들이 완성한 콜라주 작품 자료를 재료 및 매체, 아이디어의 시각화 방법, 레이아웃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여, 이번 연구의 수업 설계를 위한 실제적인 참고 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맥락을 고려한 '콜라주를 발상에 응용한 인쇄 공익광고 디자인'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수업 지도안을 적용한 후 학생들과의 대화, 그리고 작품 분석 결과,'콜라주를 발상에 응용한 인쇄 공익광고 디자인'수업에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단어 연상에 의한 발상 과정이 아닌 콜라주를 통한 이미지 중심의 발상만으로 광고를 위한 시각적 아이디어를 찾아낼 수 있었다. 둘째, 콜라주를 통한 디자인 표현 과정은 평소 드로잉 도구를 활용한 사실적인 묘사가 어려워 아이디어 표출을 꺼리던 학생들에게 표현의 자신감을 부여했다. 셋째, 콜라주 제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시각 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원리를 경험할 수 있었다. 넷째, 콜라주를 통한 발상 과정은 다양한 재료 경험과 매체의 탐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차후에 다른 시각 디자인 수업과 연계할 방법도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콜라주를 공익광고 수업과 연관하여 응용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사회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시각 디자인과 타 교과와의 통합 학습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수업 결과를 통해, 콜라주를 응용한 시각 디자인 수업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발상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사고를 돕고 졸업 후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를 창의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밑거름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콜라주를 통한 이미지 중심의 발상법에 대한 본 연구가 학생들의 창의적 잠재력을 계발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등과정을 대상으로 한 웹 기반 가상학교 설계 및 구현

        최주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방식 뿐 아니라 교육의 방법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 가장 커다란 변화는 기존 교육의 개념을 무너뜨리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학습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교육 시스템인 가상교육의 등장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가상교육의 개념을 도입한 가상대학 및 사이버대학들이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상교육에 관련한 이론을 고찰하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중등과정 가상학교를 설계, 구현하였고 사용한 언어는 HTML, PHP이며,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는 MS-SQL이다. 이 가상학교에서는 기존 학교의 주된 업무인 입학관리 및 학사관리, 졸업생 관리 등 모든 제반사항들이 가상공간인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 진행에 있어서는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기보다 과목에 맞는 학습 형태를 교수자가 직접 선택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이용해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학교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수강할 수 있고, 커뮤니티도 운영할 수 있다. 물론 가상 학교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러한 활동들이 학습자에게는 평생교육의 밑거름이 되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가상학교는 인터넷을 통하여 교실이라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교육의식의 한계와 학교라는 물리적 제도를 극복 하여 기존의 가상교육보다 효율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가상학교들이 학습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되고, 학위 인정 등 법적·제도적 문제점들이 해결된다면 좀 더 효율적인 가상학교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학습자들에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연장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is not only changing human life but also influencing methods of education a lot. In recent years, the most remarkable change is emergence of a new educational system, Virtual-Education, destroying a concept of existing education, having no limit of time and space, and presenting a possibility that is enable learners to satisfy their various desires for learning. Now, the virtual-universities and the cyber-universities that introduced the concept of Virtual-Education are greeting a jumping period in our country. With inquiring into the theories on the Virtual-Education, this study designs and embodies a virtual-school for the secondary course based on the Internet. The applied languages in this study are HTML and PHP. The database is MS-SQL. In the virtual-school, all major affairs of existing schools like management of admission, education matters, and graduates can be done on the Internet. Also the virtual-school lets teachers choos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without being tied to a typical form, and instruct with various multi-media materials. Further, learners can receive learner-focused lessons with making themselves free from the cramming education or instructor-focused lessons, and run any kind of communities. Through all the activities, learners would get a basis for the lifelong education. The virtual-school in this study has more efficiency than any existing virtual-education because it overcomes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Internet. Also it jumps over the physical institution, that is, a school, and the limit of education consciousness. From now on, if the virtual-schools are well known by positive public relations, and the kind of legal problems like authorization of a degree are solved, they will develop into more efficient virtual-schools and extend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learners.

      •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정보산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권영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의 실업교육은 그동안 피고용인으로서 갖춰야 할 지식과 기능을 강조한 교육으로서 전통적인 산업사회적 직업교육의 성격이 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직업교육인 단순 반복적인 실습을 통한 기술과 기능의 습득으로는 미래의 산업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력을 배출 할 수 없으며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과 특기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비즈니스 기회가 다양화됨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고용되기보다는 자기가 스스로를 고용하는 것이 하나의 새로운 진로선택의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좀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다양한 진로지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는 고등학교가 교육의 최종단계이므로 고등학교 단계부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창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실업 교육의 내실화와 더불어 청소년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비전을 심어줄 수 있는 창업교육의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체계화 방안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의 체계화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창업교육 내용은 강의식을 탈피하여 토론식 수업, 사례연구, 시청각 자료의 활용, 현장학습 등의 비중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 계발이 필요하다. 창업동아리 등을 창설·지원하고 모의 창업, 사업계획서 경진대회, 창업 인큐베이터 입수 기회제공, 학생 창업자금지원, 창업캠프 설치 및 Cyber 창업강좌를 개설하여 활성화 하여야 한다. 청소년 창업을 위하여 개발 중인 비즈쿨 프로그램, 시범학교(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실업계고교 5개 학교), 창업관련기관, 청소년 창업 희망그룹 등을 네트워크화 하여 서로의 관련 자료 및 지식을 공유하고 교류하여야 한다. 일선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교과 교육과 병행하여 창업 진로지도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며, C.A(계발활동)활동, 특기적성시간, 재량활동시간 등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이해시키고 체계화 하여야 한다. 아울러 창업교육은 실업계고교, 전문대학, 산업대학, 직업학교, 기능대학, 4년제 대학에까지 연계되어 좀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역 내 창업 성공인, 기업인 등의 지원을 받아 해당기업의 인턴제 활동 등 청소년들이 지역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내에서의 중소기업 등 실질적인 취업 및 창업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의 실업률도 줄어들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의 발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In our country the vocational-education, which emphasized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that the employees should have,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ntional, industrial and social vocational-education. Conventional vocational-education which acquire skills and techniques through only repeating practice could not produce human resource who is able to adapt to industrial society in the future, and it is a fact that a lot of students could not develop their abilities and talents. Besides, as the business chances become diverse, to employ oneself rather than to be employed becomes one of new way to decide one's course after graduation. So it is necessar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o do a variety of career counseling. Especially, because in the case of students in a vocational high school, high school is the final stage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is aimed not only at insuring substantiality by teaching start-up education as a wa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high school, but also at presenting a way of systematizing start-up education which is able to encourage the youth to have hopes and visions. This research performed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ary records and analysis of actual proofs making use of questions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and get information about systematic way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way of systematization and activation for start-up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The contents of start-up education should give much more weight on a class under discussion rather than lecture, case study and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is necessary. We should activate the start-up education through establishment and supporting start-up groups, simulated start-up, business planning contests, offering an opportunity of start-up incubating, providing start-up capitals, foundation start-up camp and establishing cyber start-up lecture. Bizcool(비즈쿨) program which is developing for the youth start-up, a model school (Korea Digital Media high school, five vocational schools), start-up related institution, the youth start-up desiring group and so on should be networked to hold mutual related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in common and to interchange. In vocational schools, career counseling education of start-up is necessary and we should make students understood the start-up education as well as systematize start-up education making use of C.A activities, the aptitude class and freely allowed class. In addition, start-up education should be done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in relati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professional schools, industrial schools and universities. Also, if the youth participate in local economy aggressively through the support of some figures who succeed in start-up or entrepreneurs such as internship, and substantial employment or start-up is achieved, the rate of youth unemployment will be decrease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business.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진로의식 조사 연구

        이승은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보화·세계화가 가속화되는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사회에서, 각 개인이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여 창조적이며 적극적인 직업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진로지도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요청이라 할 수 있다. 지식사회로의 진전은 국가경제발전을 위하여 여성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을 보면 이전에 비하여 여성의 사회진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사회적 지위와 낮은 경제활동 참가율을 나타낸다. 더욱이 IMF이후 악화된 경제사정으로 여성의 취업이 더욱 악화된 상태임을 고려할 때 남녀 고용평등을 위한 법적조치 및 사회 문화적 편견을 없애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지만 중·고등학교 및 대학에서의 여학생들의 향후 직업 활동에 대한 의식제고 및 직업능력향상작업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복잡 다양하게 급변하는 사회에서 진로를 결정해야 할 시기에 놓여 있는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진로의식에 대한 경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진로의식 실태와 학교급별, 부모의 학력 및 사회계층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 그리고 여학생들이 진로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학교, 가정, 사회로부터의 요구사항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시의 여자 중학교와 여자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르고 있는 경우’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소질과 적성을 알게 된 방법으로는 교과공부와 친구들과의 대화를 통해서라고 응답해 학교에서 실시되는 적성 검사 등이 진로지도에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사회계층이 높은 가정의 학생들일수록 진로를 일찍 파악하고 있었으며, 진로 결정시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성적관계를, 주로 대화하는 진로 상담자는 부모나 친구·선배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교육수준과 사회계층이 높은 가정의 학생들일수록 부모가 자신의 진로에 대해 관심이 많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런 가정일수록 자녀와의 대화의 기회도 자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졸업 후의 진로는 대부분 대학 진학을 희망하고 있었으며, 진학 이유로는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희망직업으로는 학생들 대부분이 ‘일반 전문·기술 및 관리직’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부모의 교육수준과 사회계층이 낮은 가정의 학생들은 ‘스포츠·연예인’을 희망직업으로 많이 선호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이런 가정의 부모가 자녀들에게 희망하는 직업과도 어느 정도 일치했다. 또한 직업 선택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꼽았다. 다섯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직업을 가지려는 이유를 자아실현을 위해서라고 응답했으며,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용과 성실성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장래에 희망하는 직업활동 형태로는 장소나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프리랜서’를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었는데, 가정환경이 어려운 낮은 사회계층의 학생들인 경우는 안정된 상태에서 수입을 얻는 ‘정규직업’ 형태를 선호하고 있었다. 여섯째, 여성의 직업활동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성도 남성처럼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졌으며, 직업활동 기간으로는 결혼·출산과 상관없이 계속 해야한다고 많은 학생들이 응답했다. 또한 여성 직업활동의 장애요인으로는 자녀출산 및 양육문제를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일곱째, 학생들이 진로결정을 하는데 있어서는 학교로부터는 ‘각종 진로 정보자료의 충분한 제공’과 ‘견학 및 현장 학습의 기회’를, 가정으로부터는 ‘진로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가족과의 대화’를, 사회로부터는 ‘인터넷 상에서의 각종 사이트의 생성’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진로지도에 대한 신용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는 바, 진로 정보 자료의 개발 및 활용 관계 기관 및 연구 기관에서 진로지도에 깊은 관심과 더불어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소양과 자질 향상에 노력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겠다. 둘째, 진로 적성 검사의 결과를 학생과 상담을 통해 진로지도가 실시되어야 하고, 각종 검사지 내용도 첨단 산업사회에 맞게 개선되어야겠다. 셋째,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계획할 때 도움 받는 대상을 학교보다는 학교 밖에서 찾고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학교 밖의 대상은 바람직한 진로지도를 할 수 있는 소양을 가진 사람이 드문 실정이므로, 학부모가 진로교육에 관심을 갖고 자기 자녀에게 올바른 진로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학교 또는 교육기관에서 도와주고, 학교에서는 적극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진로지도에 임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탐색을 하도록 도와주고, 다수의 의견을 참작한 평생교육으로 직업의 존엄성을 지도해야겠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여자 중학교와 여자 고등학교의 여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녀공학의 여학생은 연구대상에서 제외시켰으므로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증·고등학생들에게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여학생 뿐 아니라 남학생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 모든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를 폭넓게 실시해, 이를 통해 얻어진 객관화된 연구결과를 이용해 중·고등학생의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하나씩 쌓이면 장래의 진로를 결정해야 하순 시기에 놓여있는 중·고등학생들의 고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Career guidance is designed to help each individual to make a selection of jobs suitable for his or her talents and aptitude and to engage in his or her vocation in a creative and positive fashion in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where informatization and globalism are being accelerated.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is on the increase. This is a must for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for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advance of knowledge society, female manpower ought to be efficiently utilized for the cause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Despite the fact that women's entrance into the world as working members is on the steady rise, they are still exposed to low social status and engage less in economic activities. Now that women find it very hard to get a job due to IMF crisi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legal measure should be taken to realize equal employment, to say nothing of efforts to eradicate social and cultural prejudice, and that girls sh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future vocation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skil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and look into the trends of high and middle-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areer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y should determine their jobs in this fast-changing society.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jobs, the differences of knowledge on careers on the basis of class levels,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ir social status and finally, the needs of schools, families and society. I worked with a total of 500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in Seoul.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re equally divided over the awareness or ignorance of their talent and aptitude, responding that they came to know their talent and aptitude through the study of subject matters and their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This means that aptitude tests conducted at schools fail to be properly utilized in career guidance. Second, the higher thei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or social status are, the earlier the subjects determine their careers. The survey indicates that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related to careers is a school record. They turn out to converse with parents, friends and seniors for careers. Third, the highe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ocial status are, the more interested their parents are in the subjects' career in their eyes. Fourth, high school girls hope to go to college, saying that they want to be collegians so as to get a good job. Jobs preferred by the subjects turn out to be related to ordinary, specialized, technical and managerial areas. The subjects with parents whose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ocial status aren't very good prefer jobs related to 'sports or entertainment.' This coincides, to some degree, with what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do. And the subjects refer to their talent and aptitud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in choosing jobs. Fifth,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respond that they want to get a job for the benefit of self-realization. They regard trust and sincerity as what is the most important in leading a successful life as workers. The subjects prefer 'freelancers' for they don't want to be restricted by space or time. The underprivileged students want to get 'regular jobs' for they want security first. Sixth, the subjects say that women should get jobs like men, and a lot of subjects add that women should have to work regardless of wedding and delivery. They regard childbirth and parenting problems as impeding factors. Seventh, they want 'a variety of career information materials' and 'chances for field study' from school, 'parents' interest in their career' and 'conversation with their family members from home and 'creation of a lot of sites on the Internet' from societ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now that there is a low rating for the career guidance of schools, teach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talent in relation to career guidan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areer-information materials, and relevant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taking more interest in career guidance. Second, the findings of aptitude tests for careers should be closely linked with career guidance and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should be subjected to changes in line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his advanced industrial society. Third, the subjects turn out to depend on the outsiders of schools for career-planning assistance. Because the outsiders are often lacking in qualifications for career guidance, parents should take interest in desirable career guidance with the help of schools or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chools should carry out career education in an aggressive way. Fourth,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guidance should help students to find jobs which suit their aptitude and provide them with respect for life-long voc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opinions of the majority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