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내벽면녹화 식물 색채 유지를 위한 생육환경 관리방안 : 서울시청 에코프라자 벽면녹화를 중심으로

        최스란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도시녹화의 한 종류인 벽면녹화의 식물 생육 환경인 온도, 습도, 광 변화에 따른 식물 엽색의 변화를 분석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식물 색채 변화를 예상하고 이에 적합한 관리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시 신청사 에코프라자 벽면녹화를 중심으로 건물 내부의 온·습도, 벽면녹화 식재면에 근접한 온·습도를 높이에 따라 1층과 5층, 총 두 구역을 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이와 유사한 환경을 삼육대학교 제2과학관에 벽면녹화를 재현하여 설치 후 좀 더 세밀하게 온·습도에 따른 식물의 엽색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서울시청 에코프라자 중앙통제실에서 조절하는 내부 온·습도와 벽면녹화 식재면에 근접한 온·습도와의 차이를 보면 내부 온도 22.4℃와 5층 식재면의 온도는 유사하고 1층과는 차이가 있었지만 관엽식물이 생육하기에 무리가 없는 온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습도는 겨울(12-2월) 내부 습도 21.6%와 1층 식재면의 차이가 컸는데 내부, 1층 식재면 두 군데 모두 저습하고 여름(6-8월) 습도는 내부 습도 76%와 5층의 차이가 컸는데 내부, 1층, 5층 평균 습도가 67%로 고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서울시청 에코프라자 벽면녹화는 열대·아열대 식물이 생육하기에 겨울(12-2월)엔 저습하고 여름(6-8월)엔 고습하여 식물 생육상태 및 엽색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삼육대학교 제2과학관 제2과학관 벽면녹화 식재면 온·습도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청 에코프라자에서 측정한 온·습도보다 연 평균 온도 22.9℃로 는 약 1℃ 높았다. 그러나 연 평균 습도는 46.2%로 에코프라자 내부보다 2.2% 낮았고 1층 식재면 보다 16.8% 낮았고 5층 식재면 보다 2.1% 높았다. 따라서 삼육대학교 제2과학관 제2과학관 벽면녹화 식재환경은 열대·아열대 식물이 생육하기에 적당한 환경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육대학교 제2과학관 벽면녹화 생육환경에 따른 엽색을 분석한 결과, 테이블야자(Collinia elegans Liebm.)는 광도가 낮은 환경에서 엽색의 명도가 낮아졌고 평균 온도가 15℃이하가 되면 엽색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호수(Ardisia pusilla)는 18℃ 환경에서 엽색의 선명도가 떨어지며 명도가 낮아졌고, 아이비(Hedera helix L)는 평균 온도 33℃가 넘는 고온 환경에서 일부 식물이 고사하고 생육이 불량해지고 선명도가 떨어졌다.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는 광도가 낮은 환경에서 잎 무늬의 선명도가 떨어졌지만 전체적으로 생육상태가 좋았고, 아글라오네마(Aglaonema ‘Siam Aurora’)는 저온건조한 환경에서 식물 생육상태가 불량해지며 바탕색과 무늬색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토니아(Fittonia albivenis ‘Pink Star')는 평균 온도 31℃, 습도 62%인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생육상태가 불량해지며 엽색의 선명도가 떨어지고 프테리스(Pteris cretica ’Albolineata')는 온도가 23℃인 환경에서 엽색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Nakai)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생육상태가 불량해지고 일부 고사하며 무늬색의 선명도가 떨어졌다. 베고니아(Begonia rex)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100% 고사율을 보였고, 스킨답서스 라임(Epipremnum aureum ‘Lime')은 온도가 낮고 건조한 환경에서 엽색의 명도가 낮아졌고 전체적으로 엽색의 변화가 컸다. 서울시 신청사 에코플라자와 삼육대학교 제2과학관 벽면녹화 분석결과, 벽면녹화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들은 미묘한 온도와 습도의 변화로 식물의 생육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엽색의 선명도가 떨어지거나 결실이 불량하고 개화가 되지 않아 기대한 식물 색채가 발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같은 온도, 습도, 광도에서도 식물에 따라 생리적 반응이 다르고 엽색의 변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엽색 변화에는 각각의 식물에 따른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므로 좀 더 많은 식물을 대상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신앙과 자아 정체감 관계에 관한 연구

        복혜린 삼육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앙과 자아 정체감 관계를 심리학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자아 정체감이란 주체성,자기 정의,자기 존재 규명이란 뜻이다. 특히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 교회가 운영하는 삼육대학교,즉 특정 종교 환경내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신앙적 요인과 자아 정체감 발달과의 관계,그 밖의 요인들과 자아 정체감 발달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삼육대학교와 삼육의명대학 학생들 403명을 단순임의표집(simplerandom sampling)하여 자아 정체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서봉연이 번안(飜案)한 Dignan의 자아 정체감 척도를 신뢰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고,장래전망은 서봉연이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아 정체감은 각 요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자아 정체감은 기독교 신앙 집단과 비기독교 신앙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기독교 신앙집단이 비기독교 신앙집단과 명확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적극적인 기독교 환경으로 기인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2.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자아 정체감은 하위척도에서 주일 성수집단과 안식일 성수집단,비성일준수 집단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주일성수집단의 독특성,자기 수용,자기 주장이 높았다.이는 안식일 성수를 그 핵심적 교리로 갖는 교단이 설립한 삼육대학교라는 특정 종교 환경 내에서, 이와는 다른 종교적 신념을 가진 학생들의 자기 정체 보존 심리의 발현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3.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자아 정체감은 삼육고교와 비삼육고교로 나누었을 때,출신고교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자아 정체감은 성별요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자아 정체감은 하위척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독특성에서 높았다. 5.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자아 정체감은 연령별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 정체감 하위척도 모든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높은 집단이 낮은 자아 정체감 점수를 나타냈다. 6. 삼육대학교 재학생의 장래전망을 진학,직업,가정,사회 등의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가정전망과 사회전망에서 자아 정체감과 전망지수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전망에서는 전망지수가 높을수록 즉,전망이 밝을수록 자아 정체감이 높았고,사회전망에서는 전망이 어두울수록 자아 정체감이 높았다.

      • 삼육대학교 신학과 신학교육 발전에 관한 연구

        김선호 삼육대학교 신학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917년부터 시작된 삼육대학교 신학과의 발전과정을 제1장에서는 문제의 진술, 연구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삼육대학교의 신학 교육을 별설기, 독립기, 재건기, 발전기, 그리고 학장기로 분류하여 각 시대별 교육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첫번째 병설기(1917년-1930년)는 한국 재림교회가 개척지에서 개척지 합회로 승격되던 해인 1917년에 생긴 최초의 고등교육 과정으로서 이는 당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시기의 학교의 모습은 교수나 시설면, 학생의 수준 등이 덜 갖추어진 신학 교육의 초창기라 할 수 있다. 둘째로 독립기(1931년-1942년)년에는 1931년 학교를 서울로 이전함과 아울러 선교사 가운데 고등교육을 감당할 만한 학문적, 목회적 자질을 갖춘 이시화 목사를 책임자로 세움으로써 좀 더 발전한 모습을 보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의 여러가지 상황이교육을 안정시키기에는 어려운 시기였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신학 교육은 일제의 강압으로 1942년에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셋째로 재건기(1947년-1950년)는 광복 이후 신학 교육을 재개하면서부터 6.25전쟁이 일어나는 때까지의 기간이다. 이시기에는 교육의 장소를 마련함으로써 장차 한국 재림교회의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역사의 중요한 한 획을 긋게 되었다. 다섯번째 발전기(1951년-1969년)는 2년제의 삼육신학원이 4년제로 각종 학교를 거쳐(1954년), 4년제 정식 대학으로 성장하게 된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에 한국인들이 학교의 행정 책임을 선교사들로부터 건네 받음으로써 교육으 토착화가 이루어진 시기라는 점도 간과할 수 없겠다. 여섯번째 확장기(1981년-1995년)는 교육 여건(교수진, 시설)이 급속하게 개선됨을 통해 교육이 정상 궤도에 오르게 되는 시기였다. 제3장은 삼육대학교 신학 교육의 발전상을 부분별로 살펴보았다. 첫째 교육환경의 세 요소인 교수진, 시설, 그리고 교육제도를 고찰했다 재정적인 어려움과 건설 규제에 관한 까다로운 법으로 인해 쉽지 않은 문제 였지만 꾸준한 노력과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교수진의 학위 취득을 통한 자격을 갖추는 것과 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여러가지 시설들의 마련이 이루어진 것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교육의 핵심이 교과 과정의분석을 통해 4년제 정식 신학교육이 이루어진 1961년 이래 지난 35년간 세 갈래로 구분디는 교과 과정(교양, 전공, 일반 선택)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는지를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는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모습 속에서 삼육의 이념이 어떤 모습으로 구체화되었는가를 전도 및 봉사활동과 병역문제를 통해 조명해 보았다. 이러한 내동들을 살펴볼 때, 지난 78년의 세월 동안에 삼육 신학교육은 교회와 민족의 역사를 공유하는 가운데 삼육 교육으 이념 구현을 위해 매진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이 대학을 위해 헌신한 일꾼들의 수고 위에 기초아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여기까지 삼육의 신학 교육을 인도하신 하나님의 거룩한 손길을 잊어 버리는 것 외에는 다가오는 21세기에 대하여 어떤 두려움도 가질 필요가 없는 선지자의 교훈을 실천할 때가 있다면 바로 지금이다.

      • 삼육대학교 신학과 일학년과 사학년의 믿음의 유형비교

        심숙영 삼육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삼육대학교 신학과 1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믿음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이것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의 지도자적인 위치와 복음적 사명을 뛴 예비 목회자들의 믿음의 유형을 알아봄으로 신학 교육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삼육대학교 신학과는 1학년이 60명, 4학년이 5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지는 통해 조사하였다. 다음의 연구 질문들에 대답되는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신학과 1학년과 4학년의 믿음의 유형을 비교하여 현 삼육 신학 교육의 위치와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래의 연구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삼육대학교의 신학과 1학년과 4학년의 믿음의 유형의 차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질문들: 1.삼육대학교의 신학과 1학년과 4학년들의 수직적 믿음의 유형에 관한 차이는 무엇인가? 2.삼육대학교의 신학과 1학년과 4학년들의 수평적 믿음의 유형에 관한 차이는 무엇인가? 3.삼육대학교의 신학과 1학년과 4학년들의 성장하는 믿음의 유형에 관한 차이는 무엇인가? 4.신앙의 시기, 신앙의 동기,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믿음의 유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5.수직적 믿음, 수평적 믿음, 성장하는 믿음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신학과 1학년과 4학년의 수직적 믿음의 유형의 차이에서 차이가 전혀 없음이 나타났다. 2.신학과 1학년과 4학년의 수평적 믿음의 유형의 차이에서 차이가 전혀 없음이 나타났다. 3.신학과 1학년과 4학년의 성장하는 믿음의 유형의 차이에서 차이가 전혀 없음이 나타났다. 4.일반적인 사항과 믿음의 유형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신앙을 시작한 시기에 대한 믿음의 유형과의 관계에서 믿음의 유형과 신앙을 시작한 시기와는 별 상관이 없음이 나타났다. 2)신앙을 시작한 동기와 믿음의 유형과의 관계에서 믿음의 유형과 신앙을 시작한 동기와는 상관이 없음이 나타났다. 3)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믿음의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수직적 믿음에서 전공에 대해 아주 불만족일 경우 평균치가 31.50이 나왔고 아주 만족일 경우 50.18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직적 믿음이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수평적 믿음에서는 전공의 만족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성장하는 믿음에서는 아주 불만족이 56.00으로 나타났고 불만족이 59.20으로 나타났으며 만족에서는 64.40으로 나타났고 아주 만족에서는 70.81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공에 대한 만족이 성장하는 믿음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수직적, 수평적 성장하는 믿음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직적 믿음이 수평적 믿음과 성장하는 믿음사이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수직적 믿음이 높을 수록 수평적 믿음이 더 적극적인 양상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직적 믿음이 높을 수록 성장하는 믿음은 대단히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보아 수직적 믿음이 수평적 믿음과 성장하는 믿음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나타고 있다. 즉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이 우선적으로 되어야만 인간과의 관계도 원만하게 되고 믿음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을 띄게 된다.

      • 삼육대학 1학년과 4학년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단에 대한 인식도 비교연구

        이재균 삼육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단에 대한 삼육대학생들의 인식도차이를 조사하여 현재 삼육교육의 위치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삼육대학 입학생의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2. 삼육대학 입학생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신앙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3. 삼육대학 입학생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4. 삼육대학 입학생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5. 삼육대학 학생들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단에 대한 통계상인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제한된 표본에 기초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삼육교육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 인식도차이는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삼육대학 신입생이 갖고 있는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보다 졸업생의 인식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특히 세부적인 문항에서 학교교육에 대한 질문에서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큰 차이를 나타났는데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학교 교과과정과 학교 교수진에 대한 질문에서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났다. 특별히 학교 교수진에 대한 인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2. 신앙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신앙에 대한 인식도차이는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삼육대학 입학생이 갖고있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신앙에 대한 인식보다 졸업생의 인식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특별히 세부적인 문항에서 재림신앙이 개인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는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재림신앙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서는 *P<0.05 유의수준 모든문항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신앙에 대한 질문에 따른 하위질문에 있어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1학년과 4학년의 인식에 있어서 하위질문 중에서 재림신앙의 교리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긍정적인 일이다. 3. 교인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 인식도차이는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있어서 그의미는 재림교인과 재림신앙을 하고 있지 않는 학생들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관련된 활동이 없다는 의미이고 또한 개인적인 접촉이 있었따 하더라도 그들의 인식이 교인과의 만남이 깊은 관계가 없음을 말해주고 있으며 그들의 삶에 영향을 주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삼육대학 신입생이 갖고 있는 교인에 대한 인식보다 졸업생의 인식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4. 교회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신앙에 대한 인식도 차이는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큰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삼육대학 입학생이 갖고있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대한 인식보다 졸업생의 인식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 특별히 세부적인 문항에서 교회에 대한 문항중 교회의 인식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는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큰차일르 나타내고 있으며 교회의 사회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1학년과 4학년의 인식에 있어서 하위질문중에서 교회에 대한 질문중에 교단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교회의 사회성으로 교회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은것으로 나타나고 있따. 5. 하위질문에 따른 통계상 인식도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있어서 인식도차인느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해서 성별 차이가 없다는 의미이다. 둘째, 종교별 인식도차인느 모든 문항에서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신앙에 대한 인식은 종교에 관계없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교육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SDA 일수록 모든 문항에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으며 무속신앙인 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별 인식도차이에 있어서 교회에 대한 질문을 제외한 문항에서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에 대한 인식이 학과에 상관없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학과별로 차이를 본다면 모든 문항에 있어서 C학과가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으며 A학과가 가장 낮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입학동기별 인식도차이에 있어서 모든 문항에서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신앙에 대한 인식이 동기에 상관없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특별히 자신의 선택으로 들어온 학생일수록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으며 동기없이 들어온 학생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갈등별 인식도차이에 있어서 삼육교육에 대한 질문은 *P<0.05 유의수준에서 그밖의 질문에서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신앙에 대한 인식이 갈등에 상관없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 문제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집단이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앙교육에 대한 갈등을 일으키는 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여섯째, 교육목표별 인식도차이에 있어서 모든 문항에서 *P<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상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신앙에 대한 인식이 목표에 상관없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특별히 지.덕.체. 균형진 교육으로 교육목표를 인식한 응답자 일수록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고 인재양서이라고 인식한 응답자 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1. 삼육대학 신입생의 삼육교육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에 차이가 없다. 2. 삼육대학 신입생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신앙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 3. 삼육대학 신입생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에 차이가 없다. 4. 삼육대학 신입생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대한 인식과 졸업생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 5. 삼육대학 학생들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단에 대한 통계상인식에 차이가 있다.

      • 삼육대학 생활에 관한 신앙인과 비신앙인의 태도 및 습관 연구

        이계열 삼육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의 목적은 앞날의 교회 지도자 또는 사회 각층의 지도자로서 교육을 받고 있는 삼육대학교의 학생들이 어떠한 신앙상태와 심리적 상태에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보다 현실에 타당한 신앙 지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의 교육이념, 특히 성서에 기초한 대학 본래의 교육적 사명을 제고하고 앞날의 견실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재림교회 신앙자와 비신앙 학생들의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보다 적극적인 기독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삼육대학교와 교수들 그리고 학생들을 돕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종교활동에 대한 행동과 태도, 학교의 수업활동에 대한 행동과 태도, 교수-학생간의 유대관계,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도 속에서 비교 대조된다. 이 연구는 이 두 부류의 심리적 특성을 설문지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 연구 질문에 답변하는 것이다. 삼육대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중 선택된 몇 가지 행동 특성에 있어서 재림교회 신앙인과 비신앙인간의 차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하위 질문은: 1. 종교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 학년별 차이는 있는가? 2. 학교의 수업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 학년별 차이는 있는가? 3. 교수-학생간의 유대관계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 학년별 차이는 있는가? 4. 학교생활 적응도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 학년별 차이는 있는가? 5. 종교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 학교의 수업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 교수-학생간의 유대관계, 학교생활 적응도에 있어서 종교별 차이는 있는가? 제한된 표본에 기초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결론을 유도한다. 1. 종교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을 보면 모두 3점 이하로 부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남학생(M=2.46)이 여학생(M=2.13)보다 높으며, 신앙인(M=2.76)가 비신앙인(M=1.61)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학년별 비교에서는 3학년 (M=2.31), 1학년 (M=2.25), 4학년 (M=2.27), 2학년 (M=2.1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유의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교의 수업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M)을 보면 대체로 3점에 가까운 보통이며, 성별 비교에서는 남자 (M=3.05),여자 (M=2.92)가 더 높으며, 신앙인-비신앙인의 비교에서는 신앙인(M=3.06), 비신앙인 (M=2.92)가, 학년별 비교에서는 1학년 (M=2.98)과 3학년 (M=2.98)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3학년(M=2.97), 2학년 (M=2.88)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교수-학생간의 유대관계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M)을 보면 남학생(M=2.84)이 여학생 (M=2.7)보다 더 긍정적이며 신앙인(M=2.82)가 비신앙인(M=2.64)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별 비교에서는 1학년 (M=2.82), 2학년 (M=2.77), 4학년 (M=2.70), 3학년(M=2.65) 순으로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나 차이에 있어서 유의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생활 적응도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평균 (M)에 있어서는 여학생 (M==2.8)보다는 남학생 (M=3)이 비신앙인 (M=2.73) 보다는 신앙인(M=2.97)이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4학년 (M=2.92), 3학년 (M=2.91), 1학년 (M=2.88), 2학년 (M=2.77)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종교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 학교의 수업활동에 대한 태도 및 습관, 교수-학생간의 유대관계, 학교생활 적응도에 있어서 종교별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 중 모든 항목에 있어서 성별, 종교별간에는 유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별 비교에 있어서 유의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따. 학년별 비교에서 차이가 없다는 말은 삼육교육이 제대로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뜻도 되며, 설문조상 따르면 침례는 받았으나 재림교인은 아니라고 표시하는 학생들도 나타났다.

      • 삼육 고등학교에서의 개인 신앙상담이 믿음 성장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연구 : 서울 삼육과 한국 삼육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미성 삼육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삼육고등학교 학생들의 개인 신앙 상담에 대한 필요와 그 상담이 학생?蜚㈏? 믿음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그들의 필요에 따른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상담교육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믿음의유형에는 수직적 믿음과 수평적 믿음, 성장하는 믿음으로 세가지 유형이 있다. 고등학교는 한국 삼육고등학교와 서울 삼육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곳의 2학년학생들 196명에게 설문지 조사를 하여 자료를 얻고자 한다. 다음의 연구질문들에 대답되는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삼육교육에 있어서의 상담의 현실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래 연구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삼육 고등학교에서의 개인 신앙 상담이 믿음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본 연구를 위한 질문들: 1. 개인 신앙 상담을 통하여 학생들은 어떤 믿음성장의유형에 도움을 얻고 있는가? 2. 개인 상담을 원하는 학생들의 상담 내용은 무엇인가? 3. 개인 상담은 누구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가? 4. 학생들은 개인 신앙 상담의필요성을 가지고 있는가? 5. 남녀 학생들사이의개인 신앙 상담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에 ?옅?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 신앙 상담의 영향은 수평적인 믿음과 가장 관계가 깊으며, 다음 믿음의 유형과도 관계가 있다. 학생들의 개인 신앙 상담은 성장하는 믿음의 유형과 가장 관계가 적게 보인다. 2. 개인 상담을 원하는 학생들의 상담 내용은 주로 진학에 대하여 가장 크게 원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신앙에 대하여 개인 상담을 원하고 이썽ㅆ다. 3. 개인 신앙 상담은 주로 친구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선생님이나 목사님과는 거의이류어지지 않고 있음이 나타났다. 4. 학생들은 개인 신앙 상담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5. 남녀 학생들 사이의 개인 상담 내용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삼육중.고등학생들의 음악적 취향과 종교심과의 관계 연구

        서상호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다양한 매스컴의 혜택으로 폭넓은 음악적 취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음악적 영향은 청소년들의 성격형성과 정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리스토델레스는 "음악은 영혼을 감동시키고 리듬과 멜로디는 분노와 온화, 용기와 절제, 이것들과 상반되는 모든 성질의 모방을 공급한다. 따라서 그것들을 들으면 영혼의 변화가 오게된다. 리듬은 저급한 동작과 고상한 동작을 가져온다. 음악에는 성격을 형성하는 힘이 있음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젊은이의 교육에 도입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인간은 좋은 음악과 관계를 맺음으로서 보다 행복을 추구할 수 있고, 나아가 긍정적 인격형성에 이르는 내면적 관계와 긍정적인 종교심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삼육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적 취향이 종교심과의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삼육중. 고등학생의 대중음악에 대한 취향과 종교심과는 관계가 있는가? 2. 삼육중. 고등학생들의 순수음악에 대한 취향과 종교심과는 관계가 있는가? 3. 삼육중. 고등학생들의 종교음악에 대한 취향과 종교심과는 관계가 있는가? 4. 삼육중. 고등학생들의 음악적 취향과 종교심과의 관계에 있어서 성별, 학년별, 출신학교와 신앙년수와는 빈도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삼육중, 고등학생들의 음악적 취향과 종교심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삼육중. 고등학교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 하였으며 회수된 질문지는 모두 부호와 과정(Coding)을 거쳐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분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종교심과 음악적 취향에 따른 분산분석, t-검증, F-검증,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중음악적 취향을 가진 학생들은 종교심에 있어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심에 따른 대중음악적 취향의 차이는 종교심이 부정적인 학생일수록 대중음악을 더 선호하고 좋아하며 즐겨 듣고, 종교심이 긍정적인 학생들일수록 대중 음악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순수음악적 취향을 가진 학생들은 종교심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 음악의 취향을 가진 학생들이 종교심에 있어서 긍정적인 견해를 보일것이라는 가정하에 연구 하였으나, 순수음악은 종교심과 관계없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음악은 누구나 들으면 정사가 안정되고 인간의 마음을 순화 시켜주는 기능과 역활을 하며, 음악 자체가 선하고 아름답기 때문에 신앙과 상관없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종교음악적 취향을 가진 학생들을 종교심에 있어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심에 따른 종교음악적 취향의 차이는 종교심이 긍정적인 학생 일수록 종교음악을 더 자주 들으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그리스도를 개인의 구주로 받아들인 학생들이 감사와 기쁨으로 성령 충만한 신앙생활을 하며, 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찬양으로 구원의 확신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성별, 출신학교와 신앙년수별 종교심과 음악적 취향과는 차이가 없으며, 학년별 종교심과 음악적 취향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 출신학교와 신앙년수별 종교심과 음악적 취향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별 종교심과 음악적 취향의 차이는 대중음악, 순수음악, 종교음악을 모두 중학생들이 교등학생들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중학생들이 시간적 여유가 많고 학업부담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적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중학생들은 음악적 취향에 있어서 음악수업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경험한다. 중학생들의 음악수없은 매주 2시간씩인 반면 고등학생들은 대학 진학이란 이유로 1학년 까지만 수없을 한다. 중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음악감상, 악곡표현 및 실제적으로 음악을 활용을 하지만 고등학생들은 학업에만 전념할뿐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학생들이 올바른 종교심과 신앙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악교육을 통하여 순수음악과 종교음악의 지도가 병행 실시 되야 하겠다. 또한 특별 써클 활동을 통해서 종교심 향상을 위한 종교음악에 대한 자연스러운 학생들의 접근과 한편으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음악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학생들의 종교심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대중음악은 교육을 배제 할 수 있도록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학생들에게는 음악과 수업, 음악감상과 악곡들을 통해 음악의 영향을 강조하여 순수음악과 종교음악에 관심을 갖도록 방향을 바로 잡아 주어야 하겠다.

      • 삼육 외국어 학원의 선교에 관한 일 연구

        정태봉 삼육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의 목적은 삼육 외국어학원의 선교에 관한 것을 살펴보는데 있다. 1969년 9월 22일 한국연합회 선교부에 의하여 세워진 삼육 외국어학원은 지식층과 도시인들을 위하여 복음전파의 목적으로 세워졌다.처음부터 1997년까지 3명의 외국인 원장,2명의 한국인 원장이 봉사하였으며 그 이름은 Dean Hubbard, M. T. Bascom, D. L. Scofield, 한상우, 강예식 목사였다. 학원의 토요일 종교적 모임은 1971년 2월 13일에 시작되었으며,교회는 1972년 5월 22일에 처음으로 조직되었다. 학원의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면 1997년 말 150명의 외국인 교사들이 수고하고 있으며,당해 년도 매 학기 등록생수 약 1만 5천 명이 전국에 흩어져 있는 22개의 분원에서 외국어를 공부하며 복음에 접하고 있다.수업은 1주일에 5일 수업이며 아침 반과 저녁 반으로 나누어 진행된다.6단계의 영어 코스로 나누어 지는데 매 단계는 2개월의 시간을 요구하며,이는 1년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교수재료는 반복된 구두훈련과 어학실습실을 통한 연습으로 이루어진다.교과서는 You Too Can Speak English와 발음을 위한 부교재인 PronunciationBook과 반복연습을 위한arts and Pictures Book을 사용한다. Bibleclass,MissionWeek& ChapelDay와 성경통신과목,개인성경교수,선교적인 출판물,주말 특별활동,예배를 선교의 도구로 사용하며 구도자들은 성경반과 전도회를 통한 결심자와 청년회 혹은 개인적인 접촉으로 교회에 들어온 사람이다.구도자들은 목회자들과 교사들과의 성경교수를 통하여 신실한 재림교인으로 남는다.1990년부터 1997년 10월말까지 2,061명이 삼육 외국어학원을 통하여 침례를 받았다.이처럼 현재 삼육 외국어학원의 지도자들은 학원을 지도하고 분원들이 잘 성장하도록 돕는다.또한 학원은 안정적인 재원과 많은 학생과 좋은 명성을 가지고 있다.그리고 최근에는 주니어 영어학원 개설로 어린이 영어 학원의 아이들뿐만 아니라 자모들도 복음의 대상으로 삼고 다양한 회화 프로그램 준비와 취미반의 개설로 영혼 구원까지 이끌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삼육 외국어학원은 어려움도 안고 있는데,먼저 학원 목회자의 의무는 매우 무거우며 목양과 행정의 이중적인 의무들을 부담해야 하는 과도한 부담과 학원수의 증가로 인한 교사 수급문제와 우수한 교사의 확보 그리고 시설의 초현대화와 선교방법에 있어 문화적 차이의 극복이 대두되고 있다. 선교적인 문제로는 교사들의 소명의식의 저하와 성경교수 능력의 부족,그리고 기성교인들이 교회의 선교사업에 거의 활동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에게 좀더 적극적인 선교의 자세를 요구하며 다양한 복음의 방법을 함께 추구해 나갈 것을 요구한다.또한 분원장인 목사의 직무가 행정과 목회의 균형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는 매우 과중하므로 행정과 목회의 분업화도 이루어야될 숙제이며 이는 모든 학원에 행정적인 사무장제도를 두어 분원장과 목회자가 목양과 양육 그리고 선교에 더욱 역점을 둘 수 있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원선교에 대한 몇 가지 긍정적 요인과 문제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삼육외국어 학원의 행정과 운영은 본원에 의하여 주도되며 잘 정착된 행정 구조의 의하여 분원은 운영되므로 안정된 재정과 충분한 학생수,그리고 좋은 평판을 유지한다. 2)삼육외국의 학원의 반복훈련에 의한 교수 방법은 한국인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다. 3)성경교수 재료로 사용되는 성경통신 과목들은 학생들에게 너무 교리적이라는 평판을 들으나 개인 성경교수에 효과적인 재료이다. 4)원목들의 임무가 매우 무겁다.그들은 개인 혹은 그룹의 성경교수 이외에 통역,교인관리,행적적 의무를 감당한다. 5)삼육외국어 학원이 직면한 또 다른 문제점들은 우수한 교사의 수급과 교사들의 선교적 열성의 결여와 문화적 격차이다. 6)교인들이 일반적으로 교회의 선교사업에 동참하지 못하고 있다.

      • 스쿨 팜 교육활동이 교육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삼육대학교 원예노작교육을 중심으로

        노경란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Sahmyook University’s laborius works education has been providing education for a long time in order to increase contribution to society through the importance of character at the end of entering society. However, research on this was insufficient, so a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gender, age, and residence, etc. were classified, but the sample was inevitably limited. Accordingly, Sahmyook University provides character and community education centered on rural experiential education as the last education before entering society. School farms have a long history, but are mostly focused on infants and lower grades and are being studied as part of urban agriculture. Looking at the sample composition, the 405 respondents were mostly college students, except for the urban farmers, so most were in their 20s. The majority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which appears to well reflect the inclination toward some aspects of urban agriculture, and had various academic and occupational background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various areas such as laborius works farm, ecology and environment, personality, community, and quality of life. These analyzes showed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for most factors, a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3 out of 45 facto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ge, and residence did not confirm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ge, and residence. Differences in various areas according to age group and residence were evaluated, and these results showed that in most a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age group, and residenc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laborius works farm, ecology and environment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community, and quality of life. It is believed that the reason why ecology and environment do not have an effect on personality can be found in the limitations of the sample. The sample that responded to the survey was in their 20s and lived in the city, so they had little experience of direct impacts o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Although they could encounter indirect impacts, it was something that could be found in textbooks, so School Farm can be explained through experience-based education theory. Education is the continuous growth of experience, and education is by experience, for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experience, and has no other purpose than the growth of experience through continuous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This is the purpose of Sahmyook University’s laborius works horticulture education and It seems the same.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by gender, age, and residence showed that women students showed an overall high level of satisfaction. This is generally thought to indicate that women students tend to be more positive and compliant than men students. The higher the age group,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in certain residential areas. appeared high.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labor training environment, out of 5 items out of 5, instructor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32, the next highest item was practical training satisfaction at 4.20, and satisfaction with lecture content was 4.13.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acilities and classroom facilities was 3.88, showing the lowest score among the five items of labor education environment. Currently, Sahmyook University’s labor education center is a greenbelt, which poses various limitations in facility installation, while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was 3.88. indicated as high. Among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labor education environment, the highest score was for teenagers’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which was 4.48 points, and the lowest scores were for teenagers’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acilities and classroom facilities, which were 3.52 points. Regarding satisfaction with ecology and environment, out of 8 items out of 5, satisfaction with ecological life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11, and satisfaction with water quality environment improvement showed the lowest score among ecology and environment items at 3.86. In the students’ opinion, it was revealed that they believed that laborious farming does not improv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Among the satisfaction with ecology and environment, the highest score was satisfaction with improve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residence and other areas, which showed 4.35 points, and the lowest score was male students’ satisfaction with reduction of fine dust, which showed 3.74 points. For personality satisfaction, out of 12 items out of 5, the overall score for consideration and help was the highest at 4.35, and for self-esteem help was 3.82, the lowest score among the personality items. Responding students said that while taking classes together, I felt that consideration for colleagues was important, and I did not think it would help my self-esteem. Among personality satisfaction, the highest score was 4.59 for arousing curiosity among those in their 30s or older, and the lowest score was 3.65 for cognitive ability development among teenagers. In terms of community satisfaction, out of 5 items out of 5, the overall score for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was the highest at 4.30, while help with school adaptation and help with social adaptation showed the lowest score among the community items at 4.07. The community showed 4.0 or higher in all items,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satisfac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result was achieved because the nature of labor education is to work together rather than individually. Among community satisfaction scores, the highest score was 4.67 for male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lowest score was 4.00 for help with teenagers’ social adaptation. For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out of 10 items out of 5, happiness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22, and employment assistance showed the lowest score among the community items at 3.71, and students believed that labor education was helpful for employment. I didn’t think it would be of much help. Among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the highest score was for depression relief among those in their 30s or older, which was 4.44, and the lowest score was for male students’ employment assistance, which was 3.49. We believe that these results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demographic factors and multiple domains of character and community for the School Farm program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student experiences in experiential education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