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 비교 연구

        오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A country’s future is depends on its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first stage of one’s education experience. Pre-school teachers’ qualit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is apparently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Now there are much exchanges in much areas between Korea and China. It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hrough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and analysised undergraduate 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have been set up: 1.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1-1.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Korea? 1-2.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China? 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2-1.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2-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3. How is the subjects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3-1.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3-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Capital Normal University, Tianjin Normal University, Northeast Normal University, Shanxi Normal University, Northwest Normal University In China, and Ewha Womans University, Chongang University, Paichai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amples. The training objectives, training targets, curriculum structure and content in the universities of the two countries a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As for the training objectives, Universities in China focus on fostering excellent pre-school teacher, researchers and managers. But most Universities were reserched in Korea focus on fostering an excellent pre-school teacher first, and set up to fostering a specialist or a manager as a second focus. 2. As for training targets, Universities in China have different formulations. Similarly, they requirements students’ professional ability, research ability, management ability. Besides this, Universities in China require students’abilities in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political quality and professional. Universities in Korea have different targets accor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ideas. They are more focus on students’ abilities and expound them. 3. As for curriculum structure, it is similar between Korea and China’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just differents in names and proportion. 4. As for curriculum content, Universities of China offer similar subjects in common curriculum. Subjects of politics, moral,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take the most part and there are not many elective subjects. Universities of Korea offer various subjects in its liberal art course include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or other subjects as required subjects. Universities of China offer less elective subjects in other majors than universities of Korea. It takes less credits than universities of Korea. In specialized curriculum China pay much attention to theoretical subjects and artistic subjects. But Korea pay much attention to subjects that combinate theory and practice. In teaching practice, there is only one style. But in Korea there is also child care practice, beside teaching practice. 교육은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한다. 유아교육은 교육의 첫 단계로써 유아교육의 질은 물론 유아교사의 질에 달려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질은 유아교사의 양성 교육의 질에 달려있다. 한국과 중국은 각 영역에서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유아교육 영역에서도 양국 간의 교류를 통해서 교육의 발전을 더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4년제 대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 목적 및 목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한국과 중국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사 양성교육 목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 인가? 1-2.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목표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한국과 중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내용은 어떠한가? 2-1.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2.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국의 5개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중국의 5개 4년제 사범대학교의 학전교육의 교육과정을 조사했고 양국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목적에 있어서 중국 대학교는 우수한 유아교사, 연구원, 관리자의 세 가지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대부분의 대학교는 우수한 유아교사를 육성을 하는 것을 기초로 하고 나아가 전문가로써의 성장에 교육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 목표에 있어서 중국의 각 학교는 교육 목적에 따라 전문 능력에 대한 교육 목표를 다르게 진술하지만 공통적으로 교사로써의 전문능력, 연구자로써의 연구능력, 관리자로써의 관리능력을 요구한다. 그밖에 직업 도덕, 정치소양, 외국어와 컴퓨터 능력에 대한 요구에 대해서도 진술하고있다. 한국 대학교의 교육 목표는 각 대학교의 교육 이념에 따라 차이가 크다. 중국의 교육 목표에 비해서 전문 능력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 구조는 거의 비슷하고 명칭과 각 부분의 비중이 다르다. 또한 중국이 전공 과정을 세분화 하는 학교가 한국보다 많다. 셋째, 교육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중국 각 대학교의 공공(公共)과정은 한국 대학교의 교양과정의 역할과 비슷한데 각 대학교가 개설하는 교과목은 큰 차이가 없다. 정치·도덕, 외국어의 비중이 가장 크며 대부분은 필수과목이고 선택과목은 적다. 한국의 교양 과정은 중국보다 학점이 적고 비중도 작다. 선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많고 각 학교가 개설한 교양 과목의 차이가 크며 공통적으로 외국어와 컴퓨터를 개설한다. 중국의 타과(他科) 선수 과목은 학점이 적고 선택할 수 있는 과목도 많지 않은 반면 한국의 일반선택 과정은 선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많고 학점도 중국보다 많다. 중국 대학교의 전공과정은 한국 대학교의 전공과정보다 이론과 예능을 더 중요시하고 한국 대학교의 전공과정 중에 이론과 실천이 결합되는 교과목이 중국 대학교보다 더 많다. 중국은 교육 실습만 있으나 한국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 두 가지가 있다.

      • 중국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및 참여유형에 관한연구 : 배재대학교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이혜성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According to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 in South Korea is approaching 80 thousand. It's worth mentioning that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 has increased rapidly to more than 50 times over that of 1999 and up to 70%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Specially, it is quite usual to observe that more than 90% of the foreign students in provincial universities are Chinese students. However, adverse effects have been brought about by competing for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inese students. After reaching its peak in 2007, the rate of increase has been declining from 66.1% to 19.5% in the year of 2009 (Korea Joongang Daily, 2010). Kim (2010) argued that in order to provide a successful and wonderful overseas study experience on campus, person in charge in the university have to develop different programs and provide students-oriented service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foreign students. Even though,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by Kim (2009), the Chinese students, for example, were very dissatisfied with acculturation programs as well a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n campus.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many of the universities have adopted the approaches like scholarship for foreign student only, or the discount for dormitory charge, since it is just short-term tactic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t is quite necessary to seek and develop strategies on how to attract and retain foreign students, especially the Chinese students in a long run. Nevertheless, researches on this topic are very scarce and limited. Therefore, the current study has focused on the Chinese students who has taken up the greatest portion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and attempted to analysi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ir motivations as well as preferences for the campus festival programs, based on the demographic data.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inese students, the planners and practioners in the university are expected to develop various student-oriented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study and daily life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ttract and retain as many foreign students as they can on a long-term base. And this is exactly where the main objective of the current lies in. According to the results, 5 motivation types: "excitement", "sociality", "escape", "knowledge", "ability" and 6 festival program types: "cultural appreciation", "gourmet", "sports", "lecture", "festival", "competition" wer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es. When comparing the mean values of the distinct motivation factors,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that spur the Chinese student to participate into the campus festival program is "knowledge" (3.76), and then with "escape" and "sociality" as the second and third important motivations. In addition, "festival" (3.93)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program type, while "competition" and "cultural appreciation" were the second and third in order of preference by the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s and ANOV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ngth of stay" and "the standard of living" were found in different motivational factors. Besides, the preference of different types of campus festival programs will be varied significantly against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ngth of stay",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level of Korean". 교육과학기술부(2010)에 따르면 한국은 외국인 유학생이 "8만 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중에 중국 유학생의 수는 1999년 비해 50배 가까이로 급증했으며 전체 유학생중에 70%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지방대는 중국 유학생 비율이 90% 이상인 곳이 적지 않다. 그러나 양적 성장 위주의 중국 유학생 유치경쟁이 벌어지면서 각종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유학생의 증감률이 2007년 66.1%로 정점에 오른 뒤 2009년 19.5%로 크게 낮아졌다 (중앙일보, 2010). 김선아(2010)가 성공적인 유학경험을 제공해 주기 위해 학교에서는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중국유학생들의 교내 "문화적응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활동 참여 기회" 등에 대한 만족도가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김혜진, 2009). 따라서 국내대학들은 각종 장학금 혜택이나 기숙사 실비 제공 등 단기적인 유치 전략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 특히 중국 유학생을 유치 및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전략모색이 요구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이에 관련 논문이 아주 미흡한 상황이며 많은 연구자들의 시선을 못 이끌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당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교내 축제 프로그램에 참여할 동기 및 참여유형 선호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의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공부나 생활의 질을 높여주기 위해 다양한 교내 축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외국 유학생의 유치 전략을 모색하는 데 주 목적이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이 교내 축제 프로그램에 참여 동기는 "신기성", "사회성", "일탈성", "지식획득성" 및 "창의개발성"의 5개 동기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유형은 "문화체험 프로그램", "음식 프로그램", "스포츠 프로그램", "특강. 강연 프로그램", "명절. 모임 프로그램" 및 "경연대회 프로그램"의 6개 유형을 추출되었다. 요인별로 평균 비교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5개 동기요인 중에서 "지식획득성" 동기요인이 3.76의 제일 높은 평균점수로 1위, "일탈성" 동기요인 3.73로 2위, "사회성" 동기요인이 3.68로 3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6개 프로그램 유형요인 중에서 "명절. 모임" 프로그램이 3.93의 제일 높은 평균점수로 1위, "경연대회" 프로그램이 3.63로 2위, "문화체험" 프로그램이 3.61로 3위를 차지하였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 참여 동기의 차이검증 결과를 보면 성별, 학력, 유학경력 및 유학 생활수준에 대한 참여 동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 참여유형의 차이검증 결과를 보면 성별, 학력, 유학경력, 유학 생활수준 및 한국어 능력에 대한 참여유형 선호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배재대학교 재학생 대상으로

        황성연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is 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with regards to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on educational consumers (students) of Pai Chai University.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quality improvement. Below are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with regards to groups (gender, nationality, college and clas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convenience, promptness and accuracy, kindness (empathy), equity and responsiveness to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nationality, college, class) for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administrative services with respect to gender (male and female). Second, according to nationality,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Korean and foreign nationalities. The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provided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treated without discriminatio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dividing the respondents into colleges (Howard College, Seo Jae-pil, Appenzeler College, Kim So-wol Colle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s to conven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mean score appeared to be the highest. This result might be attributed to the closeness of the Korean language center’s administr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place where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provid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according to class, the convenience sco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nd lower grade students was high and it was lower as the upper grade. This was because the lower grade students had higher benefits of receiving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In conclusion, students had high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than average, bu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college and college. This implies that the education reality of Korea,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capacity requi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oriented are focusing on performance rather than interest in students. In order to survive in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if various programs, customized education and high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are provided to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onsumers, it will have mor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dministrativ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qual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at efforts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are established. 본 연구는 배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대학행정서비스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학행정서비스가 지향해야하는 점과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연구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배경변인(성별, 국적, 단과대학,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편리성, 신속성 및 정확성, 친절성(공감), 형평성, 대응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배경변인(성별, 국적, 단과대학, 학년)에 따라 전체 만족도 평가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성별에 차별없이 제공하였다. 둘째, 국적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자는 내국인으로, 대한민국 국적자를 제외한 자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여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차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셋째, 하워드대학, 서재필대학, 아펜젤러대학, 김소월대학, 한국어교육원으로 구분하여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편리성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았던 한국어교육원은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무실의 위치와 안내표시, 공부하는 분위기, 기본 교육시설의 위치에 대해 만족도 점수가 높았으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가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년에 따라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교육원과 저학년 학생들이 편리성 점수가 높았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낮았다. 이는 저학년일수록 대학행정서비스의 절차에 대한 홍보와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기본 교육시설 등에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보통이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가 높았지만, 단과대학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교육현실과 교육부에서 요구하는 교육역량강화, 성과중심 등을 중점적으로 학생들에게 흥미보다는 성과위주로 피로감을 쌓고 있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점점 더 치열한 대학 간 경쟁구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과 맞춤식 교육 및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대학교육행정서비스에 관한 인식과 만족도 그 이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대학행정서비스는 질적, 양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

      • 대학교 부속유치원 교사로 살아가기

        강주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경험과 그 경험이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직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 주는 보람된 요소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교사들의 근무환경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A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자별로 총 26주 동안 각2회씩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비 구조화된 면담과 반 구조화된 면담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면담, 연구 참여자의 저널, 연구자 저널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질문내용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로 살아가기 위해 겪는 경험을 교사의 어려움, 보람, 희망으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끝이 보이지 않는 유치원 업무에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의 기관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써,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역할과 동시에 ‘대학교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근무환경에 대한 이해와 개선을 목적으로 근무시간의 탄력적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늘 새로워야 하는 교실 환경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수업참관준비 및 외부 유치원 공개로 인한 창의적이고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교실환경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창의적인 미술활동을 연구하고 개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미술 교육 연수 지원 등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로 인해 야근을 반복적으로 할 수 밖에 없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부속 유치원의 특성상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해야 하는 수업준비 및 서류업무 외에도 언제 올지 모르는 참관을 대비한 교실환경개선과 교육활동연구로 인한 업무량이 늘어나는 데서 기인한다. 넷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언제나 열려있어야 하는 배움의 현장을 제공하기 위한 사명을 감당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이 예비유아교사 뿐 아니라 학회 또는 연수를 통해 오고가는 많은 유아교사들을 위해 언제나 열려있는, 준비된 곳이어야 하는 주위의 바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섯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길라잡이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을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이는 초임교사의 경우에는 현장참여 및 관찰 또는 참관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눈에 비추어질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 부족과 언제 실수할지 모르는 불안감으로 인한 것이었다. 여섯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연구의 몫을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을 감수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의 역할과 기능인 ‘연구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외부적인 요인에서 오는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은 ‘대학교 부속 유치원’에 대한 주위의 큰 기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무엇이든 완벽한 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기도 하며, 이는 어느 누군가에게 비추어질 교사로서의 외적인 모습과도 관련이 있다는 생각에 단정한 옷차림, 말투, 행동에까지 교사다운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에 대한 학부모들의 특별한 기대감으로 인해 학부모와의 관계형성의 어려움과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교사로 살아가면서 느끼는 보람으로 인해 교사 생활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힘을 얻기도 한다. 이러한 보람으로 첫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주위 사람들의 인정과 지지 속에서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자부심은 가족, 학부모, 동료교사 그리고 참관을 통해 오고가는 많은 사람들의 인정과 격려를 통해 느끼고 있었다. 둘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와 함께 변화하고 성장해 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연구 및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즐겁고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느끼고 교사 스스로도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는 데서 기인한다. 셋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에게 인정받는 교사가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생애사를 통해본 유아교육자의 삶

        김정화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과 어린이집 원장의 교직 생애를 통해 그들의 교육적 경험과 삶의 의미를 이해하며 한국 유아교육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길을 걸어왔는지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두 원장이 초임 교사부터 원장이 되기까지 어떠한 교직생애를 거쳐 왔는지를 알아보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두 원장은 원장으로서 삶의 경험과 유아교육에 관한 견해는 어떠한지를 연구 문제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현장 교육 경력이 20년 이상 되는 원장으로서 유아교육에 대한 소신과 열정을 가지고 살아온 공립 유치원 원장 1명과 직장 어린이집 원장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3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개인면담은 2시간∼4시간으로 각 8회, 집단면담 2회에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자료 이외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의 저널쓰기, 참여자의 이메일을 통한 저널쓰기, 전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참여자와 면담 후 내용을 전사하여 해석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도 교수와 박사 과정 선생님의 내용 분석과 해석을 검토하는 과정을 밟았다. 이후 연구 참여자로부터 결과 해석의 의미를 검토 받고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거쳤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원장의 생애과정 및 그 경험과 유아교육에 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원장 모두 책임감이 강하다는 점이다. 어려운 교육 환경 속에서도 원장으로서의 직무에 소홀함이 없었으며 책임감을 가지고 유아들의 교육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정원장은 19년 무결근 교사 생활을 하며 유아교육 환경 및 제도 개선, 학부모님을 비롯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통하여 유아교육자로서의 맡은 바 소명을 다했다. 황원장은 교사의 역할과 능력에 따라 책임을 함께 나누는 민주적 운영방식을 통하여 교사 스스로가 책임감을 가지고 소신껏 일 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었다 둘째, 두 원장 모두 배움에의 열의가 높았다는 점이다. 정원장은 전문가로서 자신의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더욱 배우고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대학원 진학을 하게 되었고 그런 배움에 대한 열정이 공립 단설 유치원의 원장으로 자리매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황원장은 유치원에 적응하기 힘든 초임교사 시기에 배움에 대한 목마름으로 대학원 진학을 하였다. 또한 보육정보센터장을 역임했을 당시 전문지식의 필요성을 느끼고 박사 과정에 도전했다. 두 분 원장의 배움에 대한 열의는 전문가로서 성장의 디딤돌 역할을 하였다. 셋째, 유아교육에 대한 두 원장의 견해를 살펴보면 정원장의 교육 철학은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존감이 높고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자라도록 하며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 피력하였다. 황원장의 교육 철학은 ‘인성에 바탕을 둔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황원장은 무엇보다 인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모든 바탕의 근본은 인성에서 나온다고 본다. 황원장과 정원장의 교육 철학은 ‘인성’이라는 큰 테두리에서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정원장이 생각하는 원장의 중요한 자질은 교사의 능력을 키워주고 교사의 수업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원장이다. 특히 황원장은 원장의 경영능력 즉, 경제적인 것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어린이집 원장으로서 예∙결산 등 회계의 중요성을 경험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넷째, 2016년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이하 유보통합)에 대한 견해는 두 원장 모두 찬성하고 긍정적이다. 유아교육의 큰 흐름은 이미 유보 통합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다만 어떠한 방식으로 내용을 담아내느냐가 관건이다. 유보 통합에 관한 생각이 정원장은 유치원 입장에서 황원장은 어린이집 입장에서 생각 하므로 관점의 차이가 있으나 담당기관이 교육부로 통합하는 것에는 일치를 하였다. 다섯째, 두 원장의 20여 년 간의 유아교육자로서 생의 과정은 삶은 다르면서 같았다. 정원장의 교직 입문은 어린이집에서 시작하여 초창기 병설 유치원의 출발과 함께 공립의 역사를 살아온 산 증인이다. 황원장은 초임 유치원 교사 3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현장을 지키며 보육인의 삶을 살아온 원장이다. 초임교사 시절 각기 다른 기관의 경험은 두 원장에게는 다른 한 쪽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언뜻 보면 다른 길을 걸어 온 두 원장이지만 그 삶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두 원장은 같은 유아교육의 길을 걸어왔다.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시대 상황에서 시작하여 변화무쌍한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의 격변기를 살아오면서 어렵고 힘든 좌절의 시간을 아이들에 대한 사랑과 교육에 대한 열정으로 버텨내며 오늘날 원장에 이르게 되었다. 두 원장은 20년 가까이 수행해온 유아교육자로서 삶의 태도와 유아교육에 대한 애정은 닮아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좋은 인성과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유아교육자의 삶을 살아온 두 원장은 다른 듯 닮아 있다. 공립 유치원과 직장 어린이집이라는 기관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큰 틀에서

      • 대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젠더감수성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법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선미경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of dating violence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the moderating effect of law consciousness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and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gender sensitivi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law awareness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through gender sensitivity targeting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448 colleg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t eight universities in Daejeon, Chungnam Chungbuk.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 Ver. 25 and SPSS PROCESS macro ver. 3.4. The applied statistical methods wer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t-test, ANOVA), mediating effect analysis, moderating effect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Bootstrap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family violence experience, gender sensitivity, dating violence, and law consciousness, differed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male students' gender sensi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Second, family violence experien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aw conscious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der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Law consciousness had a negative with gender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and gender sensitiv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ating violence. Third, gender sensitivit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Fourth, law consciousness played a role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Fifth, law consciousness played a role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Therefore,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mindfulness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As the level of law consciousness increased, the degree to which the static effect on dating violence was reduced decreased. Sixth, law consciousness acted as a moderator of mediating role of gender sensitivity i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Seventh,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law consciousness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through gender sensitivity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difficult to generalize somewhat because the results were derived by limiting the research subjects to only colleges located in Daejeon, Chungnam, and Chungbuk. Future study will need to improve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through nationwide sampling. Second, this study used law conscious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erience, gender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law consciousness. This analysis is somewhat limited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the major variables.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so as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such difference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s, gender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Third, in this study, the important role of law consciousness was identified.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that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lower the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by improving gender sensitivity and law awareness, a study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such as gender sensitivity and law consciousness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and applying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for various age groups.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 관계에서 젠더감수성의 매개효과, 가정폭력경험과 젠더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법의식의 조절효과,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과의 관계에서 법의식의 조절효과, 그리고 가 젠더감수성의 매개효과가 법의식에 의하여 조절되는 법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전, 충남, 충북권 소재한 8개 대학에서 임의표집하였다. 데이터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분석 설문지는 448부이었다.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PC+ Ver. 25와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차이분석(t-test, Anova),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 조절효과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가정폭력경험, 젠더감수성, 데이트폭력, 및 법의식은 조사대상인 대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남학생의 젠더감수성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경험은 법의식과 부적상관관계, 젠더감수성과 데이트폭력에 정적상관관계, 법의식은 젠더감수성 및 데이트폭력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젠더감수성은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넷째, 법의식은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였다. 법의식 수준이 증가할수록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정도가 낮아졌다. 다섯째, 법의식은 가정폭력경험과 젠더감수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법의식은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건부 직접효과가 검증되었다. 일곱째, 법의식은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과의 관계에서 젠더감수성의 매개역할을 조절하는 조절 매개역할 즉, 조건부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을 충청권 소재 대학만으로 제한하여 도출한 결과로 전국의 대학생으로 일반화한 데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화를 위하여 전국 단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조절변인으로 법의식을 사용하였으며, 법의식의 정도에 따른 가정폭력경험, 젠더감수성 및 데이트폭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 주요 변인들 간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다소 제한적이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후속 연구에서는 가정폭력경험, 젠더감수성 및 데이트폭력 등이 차이를 보이는 이유규명의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법의식의 주요한 영향을 규명하였다. 젠더감수성과 법의식을 향상시켜 대학생의 데이트폭력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를 통하여 젠더감수성과 법의식 등 관련 변인들의 실질적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그리고 다양한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을 적용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중국 대학의 중한 통역 교육내용 설계 연구

        김월휘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국의 문화 교류는 더욱 활성화되고 정치·경제·의료·교육 등 각 분야의 상호 협력은 지극히 당연하고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이에 따라 ‘통역’은 언어가 다른 사람들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부터 국제화상회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방식의 통역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확한 의미 전달과 함께 미세한 감정과 문화적 정서까지 옮겨줄 수 있는 통역은 국제 교류에 반드시 필요하다. 지난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를 맺은 이후 두 나라의 교류는 교육, 경제, 의료 관광, 과학기술, 농·축산,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회의를 담당하는 전문 통역사뿐만 아니라 일반 분야에서도 통역 능력을 갖춘 전공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학과 출신자에게 기대하는 실무적인 통역 능력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통역의 교육내용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를 연구 주제로 한다. 연구자는 통역 교육은 시대 변화에 따라 크게 정비되고 체계화되어야 한다고 보아,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대상으로 한 통역 교육내용 설계로 연구의 방향을 초점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통역의 개념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통역 능력의 하위 구성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중국 대학에서 중한 통역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현황과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요구 조사는 중국 내 21개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 재학생 180명과 중국 대학 내 한국어학과 소속 교수 및 강사 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산술통계로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은 중국 정부의 외국어교육 정책과 요구 분석 결과를 감안하여 한국어학과의 중한 통역 교육내용을 설계한 것이다. 연구자는 본론에서 통역 교육의 목표 및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통역 교육이 담보해야 할 통역 교재의 모형, 교수 기법, 통역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교실 평가 방안 등을 교육내용으로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통역 교육내용을 설계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피력하고 문제 제기를 위한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통역 교육내용을 설계하기 위한 이론 검토와 중국 4년제 대학 한국어교육에서 통역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시대 변화에 맞게 통역을 재개념화하고 통역의 유형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통역 이론을 세밀하게 살펴 통역 능력의 구성 요인을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중국 4년제 대학 한국어학과의 재학생과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통역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통역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통역 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중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통역 교재를 조사하여 대표적인 통역 교재 4종을 선정한 후, 이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Ⅲ장의 실태 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통역 교육의 목표를 재설정한 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성 있는 통역 교육의 원리를 마련하였으며 새로운 통역 교육내용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통역 교육의 원리는 ‘언어의 실제적 사용 능력 중심성’, ‘상호문화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제 구안’, ‘자동화 능력 증진’, ‘개방형 연습 활동의 강화’ 등이다. 이러한 통역 교육의 원리를 토대로 한국어학과 학생을 위한 통역 교재 모형, 구체적인 통역 교수 기법, 통역 능력 평가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역 교육내용의 설계 논의를 핵심적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가 지닌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그 연구 성과가 미흡한 통역 교육의 현황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것에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나아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통역 교육을 위하여 통역 능력의 구성 요인을 구안하여 통역 교육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와 통역 능력을 평가할 때 무엇이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지를 제안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가까운 미래에 요구가 급증할 통역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중국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 학생을 위한 통역 교재 모형 및 구체적인 통역 교수 기법들을 설계하여 체계적인 중한 통역 교육내용을 마련한 것에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cultural exchanges of each country became more active and mutual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medical care, and education. In particular, "interpretation" helps people with different languages communicate smoothly in various forms and ways. Although electronic technology makes communication developed, interpreters that can convey the exact meaning and cultural emotions are essential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Since Korea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in 1992, communic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en activ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economy, medical tourism, science and technology,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culture and arts. As a result, the demand for students with interpretation skills is soaring not only in the professional interpreter in charge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but also in the general field. Therefore, the practical interpretation skills expected from those who majored in Korean languag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design interpretation education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at Chinese universities. The researcher focused on ‘designing the contents of interpretation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major’ as this research that interpretation education should be greatly reorganized and systemiz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elected ‘sub-components of interpretation ability’ by examining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in various ways. In addition, it investigated how interpretation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Chinese universitie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80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nd 33 Korean language professors in China.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described in arithmetic statistics. The study designed interpretation training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other words, the purpose and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education, classroom evaluation measur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techniques, and interpretation skills were prepared and present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flow: Chapter I expre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to design the contents of the interpretation education and reviewed the relevant prior studies to raise the problem. Chapter II described the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education in the theoretical design of interpretation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interpretation ability were selected by looking at existing interpretation education methods. Chapter III conducted a survey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the Chinese universities on the overall status of interpretation education. The survey identified the interpretation contents and the needs of learners and professors for interpretation education. In addition, four types of interpretation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Chapter Ⅳ re-established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 education by referring to chapters II prepared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education, and designed new interpretation education contents.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education established in this study include “centrality of language’s practical ability to use”, "projects designed for enhancing mutual cultural capabilities", "improving automation capabilities" and "strengthening open practice activities". Based on thes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education, a model of interpretation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specific interpretation teaching techniqu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interpretation skills were presented. Finally, Chapter Ⅴ summarized the design discussion of the contents of the interpret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focusing on the core results of the research. It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research was of primary significance to the overall analysis of insufficient interpretation education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Furthermore,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interpretation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ce of proposing what interpretation education should aim for and what can be the evaluation standards of interpretation ability. In addition, it was important to propose systematic and important interpretation education contents by designing educational principle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extbook models, and specific interpretation teaching techniques for future Korean language students at Chinese universities.

      • 전통시장 경영현대화교육 만족도요인 연구

        김문석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의 점포 활성도를 제고하는 역량 있는 상인 육성을 목적으로 한 상인교육의 성공요인을 규명하여 전통시장 활성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고, 지원제도의 효과적 수행방안 도출을 통해 경쟁우위 기반을 확보하는 만족도요인 마련을 목표로 수행하였다. 교육사업 성공의 핵심요소는 크게 고객의 소비트렌드에 적절한 가치제안의 모색, 그리고 전통시장 특유의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기반한 전략 수립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비모수적 및 모수적 검정접근법에 따라 자료 내용의 연구가설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여 교육내용 이해도, 교육내용 유용성, 교육시설환경만족도의 효과들이 주는 영향력을 추정하고, 가장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success factors of merchant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and stores, and found the ways to achieve the goal of promoting traditional market and building the effective market support system. The key elements of success in education projects can be derived by seeking the value propositions appropriate to the customer's consumption trend and establishing the strategies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unique to traditional markets. Especially, we estimate the effects of understanding education contents, usefulness of education contents,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with the quantitative approach such as correlations and regression methods and derive the strategic decision making measures to maximize the effects of management modernization for the traditional market merchant communities.

      • 대학생의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서지능과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불확실성 불관용의 영향 연구

        박지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on the relationship of mediation. This paper sought diverse measures to improve the career construction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it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per the process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adaptive resources) and career adaptability (adaptivity read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intolerance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emotional intelligence(adaptability resources) affects career construction (adapting responses). Then the holistic effect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examined.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university and four-year-course university were sampled consider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gender,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major, grade, and age. To verify the model, the researcher adopted a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and verified it. For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intolerance uncertainty tool, and demographic question items were utilized. 560 answers were collected; after removing unfaithful responses and outliers, 530 answers, the remnant, were analyzed. For analytical methodology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ere used; through the statistical software, direct effects, mediating effects, moder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e summary of major research findings per the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fit indices between variables were appropri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predicted appropriately. Second, this research verified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as verified. Per the analysis results,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nstruction;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to present a more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examined i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mediate the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nstructio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ducted through bootstrap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proactive persona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career adapt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s well. Moreover, the two mediating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Fourth, this study set a latent moderated model and verifi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which intolerance uncertainty was add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construction,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e follow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constru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decreased as the intolerance uncertainty increased. Besi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decreased as the intolerance uncertainty increased. This paper presen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construc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raises the level of career constru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by itself; by verifying the mechanism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this paper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higher the intolerance uncertain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r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at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on career constru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hown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nstruction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was mitiga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analyses, intolerance uncertainty may negatively affect the career construc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fractionize the research subject and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fferences in groups regarding career construction. Second, conducting longitudinal and qualitative studies regarding the following is necessary: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Next, for the uti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 suggested. First, in developing career programs, additional research on significant variables per the process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is necessary. Second, in the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session,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career construction is necessary. Third, a more meticulous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garding anxiety, such as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co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구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와 이러한 매개관계에 대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학생의 진로구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며 구체적으로는 진로적응모형의 과정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서지능(적응자원)이 진로구성(적응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주도성(적응자원)과 진로적응력(적응준비)의 매개효과와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조절된 매개효과의 종합적인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성별, 대학소재지, 전공, 학년, 연령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이 연구의 종속변인인 진로구성 도구를 번안하여 타당화하였고,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진로구성, 불확실성 불관용 도구와 인구통계학적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56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한 뒤, 최종적으로 53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측정모형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어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진로구성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은 진로구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지능은 자기주도성에, 정서지능과 자기주도성은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본 연구는 보다 통합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서지능이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에 의한 추정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과 진로구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진로적응력도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두 가지 매개변인은 유의한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본 연구는 잠재조절 모형을 설정하여 진로구성과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진로적응력을 거쳐서 진로구성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불확실성 불관용이 높을수록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는 감소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을 거쳐서 진로구성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불확실성 불관용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는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구성에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이 그 자체로 대학생의 진로구성 수준을 높이기도 하지만,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정서지능과 진로구성과의 관계에 대한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진로적응력을 통해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정서지능이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을 통해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확실성 불관용이 대학생의 진로구성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을 세분화하고 진로구성의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진로구성의 종단연구와 질적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연구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진로적응모형 과정에 따른 유의미한 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 장면에서 진로구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정서지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불확실성 불관용과 같은 불안 관련 변인들과 진로구성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보다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