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동활성화/억제체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이선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폭식행동의 발생 및 유지요인으로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 체계, 정서조절 곤란을 제시하며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각각이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섭식장애에 취약한 집단인 청소년 후기의 여고생 525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BAS/BIS)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을 사용하여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폭식 행동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정서조절곤란은 폭식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행동활성화체계와 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매개를 하며, 이런 결과는 행동활성화체계가 폭식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억제체계와 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완전매개를 하는데, 이는 행동억제체계가 폭식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식행동에 행동활성화 및 억제체계, 그리고 정서조절곤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use of the Binge Eating Behavior and the followings; the effect of Behavioral Activation/Inhabitation and the Emotional Dysregulation. Moreover, it is to question and prove that each of these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System is the driving forces to cause the Binge Eating Behavior by having the Emotional Dysregulation. The total of 525 late adolescences, especially the ones who are exposed to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scale(K-DERS), and Bulimia Test Revised(BULIT-R). Following result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study. First, it i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system of Behavioral Activation/Inhabitati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e Binge Eating Behavior. Second, the system of Behavioral Activation/Inhabit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explained clearly on the Binge Eating Behavior. Lastly, the Emotional Dysregulation partially medi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the Binge Eating Behavior. The outcome of this study tells the system of Behavioral Activation directly affects the Binge Eating Behavior and also it affects indirectly through Emotion Regulation. The system of Behavioral Inhabitation and the Emotional Dysregulation fully mediate each other because the system of Behavioral Inhabitation rather indirectly affects the Binge Eating Behavior through the Emotional Regulation than directly affected. The outcome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system of Behavioral Activation/Inhabitation and the Emotional Dysregulation greatly affects the Binge Eating Behavior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s and some points of restrictions of this study.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교육에 대한 운영실태 및 인식

        이선미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실태와 아버지교육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교육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아버지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아버지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양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영·유아 자녀를 둔 120명(유치원 60명, 어린이집 60명)의 아버지들과 동일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00명(유치원 50명, 어린이집 50명)이다. 아버지용 질문지 구성 영역 및 문항 구성은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인 기초자료 사항, 아버지교육에 대한 인식, 아버지교육에 대한 요구, 아버지교육의 내용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사용 질문지 영역 및 문항 구성은 교사의 일반적 특성인 기초자료 사항, 아버지교육 실시 경험에 대한 내용, 아버지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버지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 아버지교육에 대한 요구, 아버지교육 내용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은 일반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교육에 대한 실태를 조사해 본 결과, 아버지교육에 참여한 아버지보다 참여하지 않은 아버지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의 시간 부족이 큰 이유였으며 참여한 경우 자녀교육에 관해 알기 위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들이 아버지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아버지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도 필요하다. 교사의 경우는 아버지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가 55.6%에 불과했고, 현재 재직중인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버지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41.1%)보다 실시하지 않고 있는 기관(58.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하고 있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은 년 1~2회성의 행사에 가까운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아버지교육에 대한 아버지들의 인식은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자녀와의 좀 더 밀접한 관계 형성을 위해 아버지교육에 참여를 하겠다는 아버지가 많았다. 하지만 시간 부족으로 인해 참여가 어려울 것 같다는 응답도 있으므로 시간의 확보와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는 아버지와 자녀의 좀 더 밀접한 관계 형성을 위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연계성 있는 자녀 교육을 위해 아버지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아버지들의 시간 부족, 교사의 과중한 업무로 인해 아버지교육의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의 시간 부조가, 교사의 과중한 업무 등을 고려하여 실시하기 쉬운 아버지교육의 운영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father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awareness of fathers and teachers about father edu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managerial state of fat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2. What is awareness of father education? 2-1. What is the awareness of fathers about that? 2-2. What is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 fathers and 100 teachers in the region of Anyang, Gyeonggi Province. Out of the fathers, 60 fathers had infants or preschoolers who att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region, and 60 fathers sent their infants or preschoolers to daycare centers. The teachers work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the same region, and included 50 kindergarten teachers and 50 daycare center teachers. As to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for fathers consisted of four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father education, needs for that and the content of father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for teachers were composed of six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s of providing father education, awareness of father education, presence or absence of father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needs for father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i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7.0 program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percentage to find 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tate of father education, the fathers who received father education were outnumbered by the others who didn't, and the greatest reason was time constraints. Many of those who received that education wanted to learn about child education from it. Therefore fathers should take time to receive father education, and how to boost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should carefully be devised. As for the teachers, just 55.6 percent had ever provided father education, and the institutions that offered father education(44.1%) were exceeded in number by the others that didn't(58.9%). In addition, existing father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just once or twice a year, nearly for form's sake. Second, in relation to awareness of father education, most of the fathers felt the need for that, and many intended to receive father education to have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But some couldn't afford to receive that education since they were pressed for time, and it's required to help fathers take time and to bolster publicity activities. Third, the teachers wer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father education, as that could allow fathers to get closer to their children and educate them in collabor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ut the teachers faced difficulties in offering father education because of the time constraints of fathers and their own heavy workload. It suggested that fath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flexible way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constraints of fathers and the heavy workload of teachers.

      •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중학교 과학 학습 부진아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판구조론과 지각변동] 단원 중심

        이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구조의 대안으로 고안된 협동학습의 여러 모형 중에서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과학 학습 부진아들의 정의적, 인지적 영역에서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중학교 1학년 4개의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판구조론과 지각변동]단원을 중심으로 12차시 동안 수업처치를 하였다. 연구의 검사 도구는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동기 그리고 학업성취도 평가지를 사용하다. 사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과학에 대한 태도와 일반적인 과학 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처치 후 과학에 대한 태도와 일반적인 과학 학습동기 및 상황・특수적인 과학 학습동기 그리고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한 집단이 전통적인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중학교 과학 학습부진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본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 과학에 대한 관심,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의 사회적 의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전통적 학습보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한 집단이 전통적인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일반적인 과학 학습동기와 상황・특수적인 과학 학습동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본 결과 일반적인 과학 학습동기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상황・특수적인 과학 학습동기의 하위영역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전통적 학습보다 과학 학습동기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한 집단이 전통적인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본 결과 과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전통적 학습보다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수업활동 속에서 Kagan의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과학 학습 부진아의 정의적, 인지적 영역에서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연구대상과 기간 및 적용 교과에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 실험집단과 기간을 확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 누구나 쉽게 교실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려면 새로운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구조들을 개발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Igor Stravinsky의 Symphony of Psalms에 관한 연구

        이선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트라빈스키(I. Stravinsky, 1882-1971)는 드뷔시(C. Debussy, 1862-1918), 쇤베르크(A. Schoenberg, 1874-1951)와 함께 20세기를 대표하는 작곡가중 한 사람이다. 그의 작곡경향은 초기의 원시주의(Primitivism)와 이후의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마지막으로 음열주의(Serialism)에 이르는 다양한 양식의 작곡 활동을 하여 현대 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20세기초의 시대적 배경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그의 신고전주의 시기에서 그 특징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고전주의가 나타난 배경 및 음악적 특징과 그 시기에 활동한 작곡가들에 대해 연구하였고 스트라빈스키의 신고전주의 시기의 작곡경향과 작품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의 신고전주의시기의 대표작품인 '시편 교향곡(Symphony of Psalms, 1930)' 의 개괄적인 내용을 밝히고 각 악장마다 악보와 함께 분석하였다. I. Stravinsky (1882-1971) joins the ranks of C. Debussy (1862-1918) and A. Schonberg (1874-1951) as one of the leading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Stravinsky's music stretches to include a variety of afferent forms, including Primitivism, Neo-Classicism and Serialism,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modern music. Stravinsky's music was largely affected by the rapid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is influence is particularly evident in his Neo-Classic style.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and the compose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period and at Stravinsky's composing trend during the period of Neo-Classicism and the pieces he composed during this period.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attempt to summarize one of Stravinsky's leading Neo-Classic pieces, Symphony of Psalms, reveal the general message behind this piece and closely analyze the music of each movement.

      • 중ㆍ고등학교 학교급식 대표메뉴 표준조리법 개발

        李善美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llustrate standard menu items available in the school foodservice industry, and to establish higher nutritional standards in this industry We reviewed menu items from 125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the Seoul area for three months. These menus were then classified into 12 representative menu items, as follows: beef seeweed soup, egg soup, sliced rice rod soup, spaghetti, sauted squid with hot sauce, fish cutlet, simmered pork-egg in soy sauce, sweet and sour meat, sauted pork, acorn starch jelly salad, cucumber salad. And standard recipes of these 12 representative menu items were established, based on a survey from 150 dietitians who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97 ques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89% of the dietitians answered positively(‘yes’) abou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tandard recipes for the school foodservice industry. 69% of the dietitians were educated standard recipes for the school foodservice, 91% will use standard recipes for the school foodservice Moreover, we discovered there was a consensus on what type of menu items should be included on the menus; demographic factors only affected a small range of recommended items. In order to confirm real application of resulted standard recipe, it is corrected into the second standard recipe and 12 representative menus were cooked for 10 persons being tasted of them, they were estimated and the standard recipe was corr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taste again. The corrected recipe was changed to the recipe for 100 persons. These modified standardized menu items were provided to 100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students evaluated the 12 representative menu item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ltiness, food quality, consistency, smell, spiciness and overall taste. Based on these results, these 12 standardized menu items were adopted by th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However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implementing higher nutritional standards throughout Korea for the school industry, and further study on such, is still needed.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분석하여 대표메뉴를 선정하고, 대표메뉴의 표준레시피를 확립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학교급식에 적합한 표준화된 조리법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중.고등학교 식단으로 제공되는 대표메뉴 선정 및 표준조리법의 이론적 확립을 위해 서울지역 125개교에서 2003년 9월부터 11월까지 급식된 메뉴를 제공받아 밥류, 면류, 국류, 찬류, 후식류, 소스·드레싱의 6부분으로 나누는 대분류 과정을 거쳐 이를 다시 39개의 소분류로 분류하였다. 학교급식의 메뉴구성이 1식 3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찬의 빈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찬류인 경우, 소분류 중 빈도수가 높게 나타난 4가지인 볶음류, 생채류, 튀김류, 조림류에 속하는 메뉴와 국류, 면류에 속하는 메뉴 중 최고의 빈도를 나타내는 2가지씩의 메뉴를 선택, 총 12가지 메뉴(쇠고기미역국, 계란국, 떡국, 스파게티, 오징어볶음, 알감자조림, 생선커틀릿, 돈육계란장조림, 탕수육, 제육볶음, 도토리묵무침, 오이무침)를 대표메뉴로 선정했다. 대표메뉴로 선정한 12개 메뉴에 관한 자료를 수거하여, 분석한 후 단체급식 레시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식재료를 선택하고 적합한 분량을 책정하였으며, 다량조리의 시설·설비에 적합하게 만드는 방법을 제시하여 표준조리법을 책정하였다. 대표메뉴 표준조리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실제 학교급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영양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7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영양사 및 근무지의 일반사항과 표준조리법에 대한 기초질문, 대표메뉴로 선정한 12개 메뉴의 표준조리법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반사항과 표준조리법에 관한 기초질문 사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영양사 근무경력, 중·고교 영양사 근무경력, 메뉴운영형태, 급식규모, 급식형태 등의 독립변수에 따른 표준레시피의 조사결과를 분석하고자 카이스퀘어검정을 실시하였다. 영양사 근무경력은 25~48개월 이하 41.0%, 중·고교 영양사 근무경력은 36개월이하 68.0%로 나타났고, 메뉴운영형태는 본사의 통합적 메뉴운영과 급식소별 메뉴운영 병행 58.0%, 급식규모는 1,000명~1,500명 49.0%, 급식형태는 교실배식 61.0%로 나타났다. 다량조리에 적합한 학교급식 표준조리법의 필요성에 있어서 89.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표준조리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영양사가 69.0%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표준조리법 개발시 급식에 적용하겠다가 91.0%로 나타났으며 식재료 사용시 육류 및 생선의 경우 전처리 상태로 사용한다가 68.0%로 높게 나타났다. 독립변수에 따른 표준레시피의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영양사근무경력에 따른 떡국, 스파게티, 오징어볶음, 알감자조림, 생선커틀릿, 제육볶음, 도토리묵무침의 일부항목에서 유의성이 나타났고(p〈0.05), 중·고등학교 급식경력에 따른 계란국, 스파게티, 오징어볶음, 알감자, 탕수육의 일부항목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p〈0.05) 메뉴운영형태에서는 떡국, 스파게티, 오징어볶음, 알감자조림, 생선커틀릿, 탕수육, 오이무침의 일부항목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p〈0.05), 급식학생수에 따른 미역국, 스파게티, 오징어볶음, 생선커틀릿, 돈육장조림의 일부항목에서 유의성이 나타났고(p〈0.05), 급식형태에 따fms 떡국, 생선커틀릿, 탕수육, 도토리묵무침의 일부항목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표준조리법의 실제 적용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영양사들에게 의뢰하여 수거된 설문지를 통해 작성된 레시피를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 2차 레시피로 수정 한 후 12개 대표메뉴를 10인분으로 조리하여 시식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관능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다시 레시피를 수정하여 조정된 조리법으로 식재료를 100인분으로 환산하였고, 만드는 방법도 일부 수정하여 학교급식에 적합한 100인분 레시피로 작성하였다. 이것으로 서울시 소재의 남자 중학교 1개교, 남자 고등학교 1개교, 여자 고등학교 1개교를 선정하여 현장에서 다량조리를 실시하고 학생들에게 급식 메뉴로 제공하였으며 적용 대상 학생들에게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항목은 5점 기호 척도법으로 12개 대표메뉴 별로 음식의 특성에 맞게 건더기분량, 짠맛, 질감, 농도, 냄새, 매운맛, 전체적인 맛 등의 항목을 질문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결과를 구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중·고등학교에서 대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12개 메뉴의 100인분 표준 레시피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학교급식의 체계화 된 다량조리법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학교급식에서 활용성 있는 다양한 메뉴 개발과 충분한 영양소 공급, 균형 있는 식품 구성과 학생들의 기호도에 맞는 질적으로 우수한 식단이 제공되어야 하며, 또한 앞으로도 학교급식에서 활용 있는 표준화된 조리법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선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연구의 동향을 연구시기, 연구주제별로 살펴봄으로써 차후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2015년부터 2020년 2월까지 발표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관련 국내 연구물(석박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총 25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는 검사 도구를 활용해 자아존중감의 정도를 측정하거나 시기별, 연령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연구가 많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시기별 동향은 논문 유형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양한 도구로 측정되고 있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주제로 발달의 경우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중독과 학교 밖 청소년과 같이 사회적 요인도 함께 연구되었으며,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그에 따른 위험 행동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넷째, 부모와 가족의 경우에는 부모와 또래와 맺는 애착 관계, 부모의 양육 태도가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가족의 형태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변화 양상,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섯 째, 집단미술치료, 음악치료, 글쓰기 치료 등 다양한 치료와 명상과 같은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가 수행 되었다. 여섯 째, SNS와 사회 적응 등과 같은 요소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