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경력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기자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서 학습을 경험한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에 대한 인식과 개인배경에 따른 각 주요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교육대학원생의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자기주도성과 경력개발역량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서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경력개발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 인식은 보통수준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생의 개인배경에 따른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각 변인의 인식 차이는 자기주도성의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솔선수범 및 독립성, 자기주도성 총점에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성의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솔선수범 및 독립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이고, 사회적 효능감은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이고, 자기조절 효능감은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솔선수범 및 독립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이 높다. 자기주도성과 경력개발역량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주도성은 경력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도 있고,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argets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who have studied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nd perceptions of each major variable based on personal backgrounds. In addi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as a medi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itiative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Based on these, it identifies ways to enhance self-initiative and self-efficacy of the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and enhance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ultimate purpose is to provide help to these students who strive to improve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nd acquire the expertise required for field work while balancing between work and study to cope with social changes. To achieve these goals,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a survey performed on 395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mbined. Then,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and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by the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are at the normal level. Self-initiative comes in order of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exemplariness and independence,”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and “self-identification as an effective learner,” and self-efficacy is in order of “self-control efficacy,” “academic learning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evels of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differences in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based on personal backgrounds of the students are as follow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major variables for different genders and occupations.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for age appear in the sub-factors of self-initiative including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exemplariness and independence, and the total self-initiative score. In all three factors, “51 to 60 years of age” shows higher results than “40 years of age or younger.”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each variable based on whether the students are currently enrolled in school are found in academic learning 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of self-efficacy.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cademic learning efficacy, is higher for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than for “others/students on leave of absence.” As fo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current students (A)” and “graduates (A)” have higher results than “others/ students on leave of absence (B).”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self-efficacy are as follows. Academic learning efficacy is higher as the age of the respondent is younger.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exemplariness and independence, and self-identification as an effective learner are self-concepts of self-initiative, while social efficacy is a self-concept of being an effective learner. Self-control efficacy shows strong self-concepts of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exemplariness and independence, and self-identification as an effective learner. Fourth,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re as follows. If you look at the research results of Model 1 analyzed by using personal backgroun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odel 2 analyzed by using self-initiative, personal background, and self-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f-concepts of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and self-identification as an effective learner have an impa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in Model 1. For Model 2, it is built by adding self-efficacy to Model 1 and shows a significant change in R2. In this model, the self-concepts of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and self-identification as an effective learner under self-initiative and social efficacy and self-control efficacy under self-efficacy have an impa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self-concepts that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re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and self-identification as an effective learner under self-initiative and social efficacy and self-control efficacy under self-efficacy. Fif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efficacy as a medi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itiative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show that self-initiative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hile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to improve self-initiative and self-efficacy of the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and to increase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First, a learning operation system integrated with work should be improved to advance learning effects and adapt to jobs or work environments to increase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continue to improve each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more concrete and proactive the student’s competence is, the higher the level of his or her perception change will be. Second, self-efficacy should be increas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life-long work and learning system for the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who work and study at the same time to acquir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ird, the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should identify measures to increase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in preparation for adapting to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Self-efficacy should be enhanced by utilizing opportunities such as seminar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that encourage professional differenti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fter all, increased self-efficacy leads to increased personal competence. Therefore, when self-initiative to proactively solve issues is preceded, the improvemen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ill become effective.

      • 大學 學事管理의 電算시스템 建築에 關한 硏究 : 特殊大學院을 中心으로

        김영진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는 정보고속화 시대에 살고 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발전은 하루가 다르게 눈부시게 발전하는 데 비해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미진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해 볼 때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대학행정의 업무는 반복적인 것이 많고 정확하고 신속한 업무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특별히 특수대학원의 업무는 극히 소수 인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원생들에 대한 써비스가 부실할 경우가 많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보완 및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컴퓨터로 운영될 수 있는 학사관리에 대한 전산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구에 조금이나마 부응하기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로 운영될 수 있는 학사업무 및 성적관리 위주의 시스템을 설계하게 되었다. 먼저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의 각 단계 즉, 계획과 분석과 설계와 구축과 유지보수에 대한 것을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James Wetherbe가 개발한 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으며,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의 각 단계를 따라서 특수 대학원에서의 학사관리와 성적관리에 응용하여 시스템이 설계되었다. We are in the age of the information highwa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is accelerating rapidly, but development and use of software are very slow. On this basis, software becomes very important. There is much repetition in the conduct of administrative business, and the processing of data requires accuracy, and speed. The results are not satisfactory considering the few academic affairs office workers employed in specialized graduate school. To solve this problem and better support the operation of academic affairs, a computer data processing system is needed. Therefore I designed this computerized operating system to satisfy the needs of academic affairs and data operations. First of all, I researched the time limits of each phase of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which are planning, analysis, programming, implementation, support and maintenance. Also, I studied the framework designed by James Wetherbe and adopted the best features useful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cademic affairs and the processing of data for each phase of the life cycle of the system developed for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 대학도서관 예산의 운용실태와 그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신규 지방 국립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배금표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요약 오늘날의 대학도서관은 도서관자료의 증가와 정보 전달수단의 전문화로 인하여, 그 기능이 과거보다 다양화되어 대학의 핵심기관으로서 전반적인 대학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도서관의 예산상의 제약, 출판물의 폭발적 증가, 물가상승, 연구관심분야의 급속한 변화등의 현실대문에 도서관 경영자는 도서관 내외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경영에 대한 요청을 받고 있다. 즉, 주어진 여건하에서 도서관 본래의 기능을 다하는 한편 보다 내실있게 성장하는 도서관 운영을 위한 모색이 기대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예산 운용실태를 검토 분석하고, 대학도서관 예산의 바람직한 편성 및 확보방안과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지방대학 도서관의 내실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예산편성 및 확보에 있어 그 실태를 알아보고, 둘째, 대학도서관 예산편성 및 운영에 있어 타당성과 적실성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며,셋째,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대학도서관 여건을 보완하여 연구 및 학술정보센타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한 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도서관 조직이나 규모를 고려 1990-91년 종합대학 승격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지원을 받아 발전해온 지방 국립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현황조사는 기존자료 정리분석과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조사결과 우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장서구성 현황은 단지 量的기준만을 설정해 놓은 대학설치 기준령에 도달하기 위하여 양적구성에 급급함으로써 대학의 학문적 성장과 요구에 기여하기에는 매우 빈약한 상태에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아니라 도서관 예산의 절대규모의 부족, 예산운용의 무계획성등 예산편성 및 운영의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의 현황을 볼 때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내실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인식되었다. 첫째, 대학도서관 예산편성시 현실성이 있어야 하며 면밀한 계획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도서관측은 타당성있는 예산내역을 미래발전 계획과 현실적 근거를 통해 요구하여야 하며,대학당국도 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도서관이 대학의 심장부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예산의 확대지원등의 전향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도서관 예산은 대학예산중 차지하는 비중을 높여야 함 교육부 대학 설치기준령의 기준, 입법이념등을 살려 이를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예산을 배정할 때 대학됴서관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여 배정해야 한다. 학술정보센타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자료의 주제별현황, 교육과정, 대학원유무, 자료의 이용빈도, 신설학과, 전공과목수, 교수와 학생수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예산을 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기적 노력 뿐만 아니라 급격히 다가오고 있는 미래 정보화시대에 도서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도서관의 정보체계화가 궁극적으로는 가장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의 길이라고 보여지며 이를 위한 대비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온라인 정보검색시스템의 도입이다. 둘째, 전산화에 대비 정보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셋째, 도서관자료의 마이크로 필름화이다. 넷째, 도서관의 근거리통신망(LAN)의 설치 및 지역별 상호협력을 통한 相互貸借제도이다. 한정된 예산으로 도서관을 운영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한정된 예산으로 도서관 경영의 합리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조속한 대학도서관의 정보 체계화가 시급함이 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The function of university libraries of today becomes more and more variou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methods. University libraries thus becoming the core institution which affect great influence on the overall aspects of university. However, library managers are facing strong request for efficient management from inside and outside of the library. This request come from the situation of bounded budget, explosive publications, inflation, and the drastic change of concerns in disciplines. Therefore, libraries of today are required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as well as to bring fruitful development. At this time poin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local university libraries’ budgeting and to search for the strategies for development to cope with information age. The content of this study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Second, this study tries to search for the effective away of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Third,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within given budge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focused on the libraries of the university which were supported equally from Ministry of Education since their development from college to university in 1990-1991. Present status of library budgeting was examined through two methods: document analysis and questionnaire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university libraries have tried to fultill mere the quantitave standards suggested in the “decree for college facility standards.” And the qualities of library resources are very poor. Furthermore, many defective practices in budgeting process such as short-sighted budgeting are discovered. As the result of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effective way of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First,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careful plan. Library should require resonable amount of budget along with future development plan and realistic supporting data. The university headquarter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brary and should make positive effort such as more allocation of university finance for library for the appropriate functioning of library as the heart of university. Second, the proportion of library budget to the whol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hightened and original purpose of the “decrees for college facility standards.” should be followed. Third, in the university budget making process, allocation for library budget should be made in the full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library in university.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as “the information center for discipline”,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in budget allocation: the number of resources in each subject: curriculum; the presence of graduate school; the level of resource utilization; the number of new department; and the number of faculties and students. In addition to these short-term effort, university libraries should prepare positively for forth-coming information age. It seems that information systematinization is the best way for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and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s the counter measures of the information systematization. First, university libraries should import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Secon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uild databases. Thir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import condensed micronized-data systems. Fourth, university libraries should install LAN system between main and branch libraries and mutual borrowing and lending system within a local network. It is not easy to manage a college library with limited budget. It is found that the information systematization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library management within the bounded amount of budget.

      • 보행자 추측 항법과 맵 매칭 및 무선 신호 기반의 복합 실내 측위 기법 연구

        최재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크게 실내·외로 구분되어 있다. 실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지만, 실내의 경우는 GPS 신호의 수신이 어렵기 때문에 센서 기반, RFID, UWB, Blueetooth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 폰, 임베디드 장비 등 다양한 장치를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 년 동안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 폰을 위한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고안했으며, 비용적인 측면이 고려된 실제 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을 고안하기 위해 스마트 폰 내부에 탑재 되어 있는 가속도, 자이로 센서 등을 활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추가적으로 Bluetooth 비콘을 활용했을 때의 시스템의 성능 보완 정도를 확인한다.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는 저가형으로 데이터의 품질이 매우 낮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칼만 필터, 센서 보정, 통계적 기법 등의 다양한 신호처리 기법들을 적용하였으며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 실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정확도 향상 기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해 국내 대형 몰 코엑스와 광운대학교 대학원 건물 내에서 5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를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외부 인프라를 추가했을 때의 성능 향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블루투스 비콘을 실내에 설치하여 센서 기반 측위와 무선 신호 기반 측위를 결합하여 실험을 진행함으로, 그 성능을 또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실내 길안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며 또한, 화재, 테러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최적 대피 경로 안내 등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Navigation is categorized into indoor and outdoor and outdoor navigation has been mainly researched by GPS technology.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t GPS signal in indoor, however, many technologies such as sensor-based, RFID, UWB, wireless signal have been studied for indoor navigation and there are many devices to apply these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system is operated on smartphone since it is most used recently and Considering realizable service in terms of cost, positioning tracking is implemented by using embedded accelerometer and gyro sensor in smartphone and by using Bluetooth beacon to supplement sensor-based system’s weak point. The embedded sensors in smartphone is very cheap and do not have high accuracy. Thus various methods such as kalman filter, sensor calibration,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re introduced for high sensor accuracy. Map matching method is also described to fix chronic accumulated error of sensor based positioning method. F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system, experiments for 5 test subjects was done in the COEX which is one of the biggest mall in korea and in Hwado building at KwangWoon University and the result approves the system performance. To test the performance under the condition that addi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Bluetooth beacon is installed, hybrid positioning system fused by sensor and wireless signal is also suggested and verified by some experiments. Based on this paper,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indoor guide service and to be applicable to optimal evacuation route guide system when a fire or terrors occur in the indoor

      • 대학 캠퍼스 재활성화 유형 및 패턴에 따른 연구 : 서울소재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이창문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1970년대 실험대학 운영과 1980년대에 발표한 졸업정원제와 대학입학정원 제 확대로 인해 각 대학에서는 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1970년도 학교당 학생 수는 2,062명에서 2009년 현재 11.209로 약 5.5배가 증가하였으나, 학생 1인당 교지면적은 161.1 에서 2008년 47.8 로 약 3.4배가 줄어들었고, 학생 1인당 건물면적은 14.3 에서 9.3 으로 약 1.5배가 줄어들었다. 이와 같이 학생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교육ㆍ연구공간이 부족하게 되었고, 복지시설과 공간에 대한 요구는 날로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대학은 본연의 기능인 학문ㆍ연구의 상아탑에서 지역사회의 중심이 되는 센터로서의 역할, 도심의 휴식을 제공하는 도시 광장으로서의 캠퍼스, 사회에 평생 교육 제공의 역할까지 그 기능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사회ㆍ경제적 변화에 따른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인구는 계속적으로 감소되고, 2018년에는 전문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정원이 지원자보다 초과되는 현실에서 대학 간의 경쟁은 날로 심화되어 대학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런 변화를 공간적으로 수용하여 대학들은 캠퍼스 재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학의 성장에 따른 공간 확충을 위해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다른 지역에 대학의 일부를 이전·확장하는 방법, 캠퍼스 주변부를 개발하여 대학의 일부를 확장하는 방법, 캠퍼스의 재개발로 지상을 고밀화하는 방법, 캠퍼스내의 지하공간을 이용하는 방법을 추구하고 있다. 이 중에서 도심지 대학 에서 협소한 부지, 효율적인 공간 활용, 환경의 질 향상, 에너지 절약들의 장점을 살려 공간의 입체적인 지하공간을 활발하게 이용하며, 지리적 위치 입지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공간 확충을 갖으며, 또한 사회에 평생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캠퍼스를 두고 있다. 협소한 부지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의 목적보다는 현장중심의 학문 연계와 평생교육의 제공확대, 지역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서울에 대학원을 두는 지방대학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문을 건물로 지어 대학에게 있어서 공간 확충, 지역사회와의 벽을 없애는 랜드마크적인 브랜드로 추구하며, 하나의 순수한 목적을 위한 공간보다는 다양한 목적의 복합화된 공간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공간을 통한 통합적인 이미지 브랜딩을 통해 대학의 이미지를 제고 하고 있다. The experimental operation of university in 1970s and the college graduation quota system and college admission quota system in 1980s caused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for each university. While the number of student per school was 2,062 in 1970 increased to 11,209, approximately 5.5 times in 2009, the campus area per student decreased from 161.1m to 47.8m in 2008, approximately 3.4 times, and the building area per student decreased from 14.3m to 9.3m , approximately 1.5 times. As the number of student increased rapidly, the space for education and research became insufficient and the demand for the welfare facility and space increased more and more.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university are changing from its original role as a center for study and research through the center for local community, the city square to provide resting area for the citizens to the center providing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society. As the school-age population keeps decreasing due to the low fertility rate for the social/economic changes and the admission quota for the high-education institutes including vocational college exceeds the number of applicants in 2018, the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becomes increasingly fierce and they are struggling to survive the competition. Responding to these changes spatially, the universities are actively involved in revitalization of their campus. As the methods to ensure the space for university's space expansion according to their growth, they are applying a number of methods including moving some parts of the campus into other region, developing the surrounding area for the campus expansion, redevelopment of the ground for high-density campus and using the underground space within the campus. Among these methods, the universities are trying the multiple utiliz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emphasizing narrow space, efficient space use, increased environmental quality and energy saving quality in the downtown university and annexed campu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geological location, to expand the campus space and to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society. There are also a few of universities that locate their graduate colleges in Seoul for field-oriented academic linkage, expanded opportunity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overcoming locational limitation rather than for the narrow land and efficient space use. Some universities construct the entrance gate as a building to pursue a land-mark brand by expanding the space and destroy the walls against the local community. Thus, they are seeking for multi-purpose complex space rather than single-purpose space. In addition, they are enhancing their images by integrative image brand making through the space.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발달 및 일상스트레스의 관계

        배현진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following summaries the study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mothers of under 35 ages showed more rejecting rearing attitudes than those of 36~40 while those of at least 40 showed less rejecting rearing attitudes than those of other age groups. As for the rearing attitudes based on jobs, those with professional jobs rated first to show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s. The second group was self-employed mothers, the third was mothers with jobs at companies and banks, and the fourth was house-keeping mothers. The last group was those of working in other categories. The jobs of those showing rejecting attitudes and controlling attitudes were in similar patterns: First, those of working in other categories, second, house-keeping mothers, third, working at companies and banks, fourth, self-employed mothers, and last mothers with professional jobs. As for the rearing attitudes based on education, affectionate attitudes were in the order of 2-year college education, high-school education, university (4-year college)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rejecting attitudes were in the order of 2-year colle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and high-school education, and controlling attitudes were in the order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2-year college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and high-school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of social development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showed that as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tend to be affectionate, infants showed higher results of social activities, sensitivity, uncooperativeness, and cooperativeness while they become more controlling, they showed lower results in stability.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results of Gilja Kim (2006) that affectionate attitudes among the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fantile social development.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study results of Hyunjoo Kim (2005) that affectionate attitudes of mothers help to reduce insecure behaviors on the part of infants. As uncooperativeness can be understood that higher scores with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s mean more cooperativeness, it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results of Dukhee Kim (2005) that mother's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s help to reduce infantile uncooperativeness. As shown above, mothers should participate in children rearing with more positive and democratic attitudes to help infants to grow up to be person with positive socialization. Third,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s are affectionate, infants receive less stress and experience less insecurity and frust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s are rejecting, infants receive more stress. Among the sub-fields, they receive more severe stress when they experience depreciating and attacking situations or experience insecurity and frustration. Also with controlling rearing attitudes, they receive more severe stress when they experience depreciating and attacking situations or experience insecurity and frustratio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results of Hyegyung Choi (2005) proposing that positive rearing attitudes by parents towards children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infantile stress levels. This study results imply parental rearing attitudes have grave influence on the daily stress levels for infants.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 levels of stress, infants become sensitive that they sometimes get angry over trivial things and show uncooperative attitudes making it difficult to share with people especially when they face depreciating and attacking situations such as when their friends deride at them or their fathers or mothers scold them. Experiences of insecurity and frustration such as being alone at home and stress from hurt pride such as being left alone from friends lead infants to show behaviors of less stable, more sensitive, and more uncooperative acts such as not being able to adapt to unfamiliar situations. The above study results show that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impact the social development for infants and their daily stress levels. While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are affectionate, infants tend to think positively upon themselves. It also impacts social development positively as well as helping infants to receive less daily stresses.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른 부모들의 양육태도를 조사하고, 그러한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유아의 일상스트레스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들의 긍정적인 발달에 도움을 주며 효율적인 부모교육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살피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사회성 발달, 유아의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1-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떠 한가? 1-2.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발달은 어떠 한가? 1-3.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일상스트레스는 어떠 한가? 2.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의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의 일상스트레스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유아의 일상스트레스와의 관계는 어떠한 가? 본 연구를 위해 성북구 소재의 B유치원에 150부, 용산구 소재의 B유치원에 100부, 영등포구 소재의 J유치원에100부, 서대문구 소재의 B유치원에 50부, 마포구소재의 O유치원에 50부를 유치원 선생님을 통해 부모님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는데, 신종플루로 인한 유치원 아동의 결석으로 총450부 중 218부가 회수되어 48%의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의 알아보기 위해 Schaefer(1965)의 Maternal Behavior R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이원영(1985)이 번안하고 수정한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는데 그 중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통제적 태도에 관한 문항을 선별하여 조사의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발적인 사회성 발달에 대한 부모평정을 위해 Cease(1979) 등의 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Preschool Form 중 어머니용 질문지(ISCSP)를 박범실(1987)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번안·수정하여 타당화 시킨 총 29개 문항의 질문지를 사용했으며, 유아의 일상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는 염현경(1998)이 제작한 ‘한국유아의 일상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KPDSS)’를 사용하였다. KPDSS는 유아의 일상스트레스 척도의 영역을 ‘비난· 공격적 상황에 접함’, ‘불안·좌절감 경험’, ‘자존감 상함’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발달, 유아의 일상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양육태도에서는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어머니의 연령으로는 35세 미만의 어머니들이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며 40세 이상의 어머니들이 다른 연령의 어머니들 보다 덜 거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양육태도를 알아본 결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어머니가 가장 애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영업, 회사원 및 은행원, 가정주부,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거부적인 양육태도에서는 가정주부가 가장 높게 나왔고, 회사원 및 은행원, 자영업, 전문직 순으로 나타났다. 통제적인 양육태도에서도 가정주부가 가장 통제적으로 나왔으며, 회사원 및 은행원, 자영업, 전문직에 종사하는 어머니 직업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학력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서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일 때 유아의 사회적 활동성이 가장 높으며, 대학원이상, 전문대졸, 고졸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정성에서는 고졸일 때 가장 높고, 대졸, 대학원 이상, 전문대졸 순으로 나타났다. 협조성에서는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이 가장 높으며, 대졸, 전문대졸, 고졸 순이며, 예민성은 고졸, 대학원이상, 대졸, 전문대졸 순이며, 마지막으로 비협조성에서는 대학원이상이 가장 높고, 대졸, 고졸, 전문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발달의 결과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사회적 활동성, 예민성, 비협조성, 협조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고, 통제적 태도를 보일수록 안정성에서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운데 애정적 태도가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김길자(2006)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고,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불안 행동은 낮아진다는 김현주(2005)의 결과와 일치한다, 비협조성은 애정적 양육태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협조적이라 볼 수 있어 이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 수록 유아의 비협조성은 낮아진다는 김덕희(2005)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처럼 유아가 긍정적인 사회성을 가진 유아로 성장하려면 어머니는 자녀양육에 보다 적극적이고 민주적인 태도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 수록 유아가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불안좌절감을 경험하는 정도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가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유아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하위영역 중 비난 공격적 상황이나 불안좌절감을 경험할 때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인 양육 태도에서도 비난 공격적 상황이나 불안좌절감을 경험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긍정적 양육태도로 자녀를 대하는 것이 유아의 일상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제시해 주는 최혜경(2005)의 연구와도 일치된 결과를 보이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넷째,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유아스트레스의 관계를 본 결과 친구가 놀리거나 엄마·아빠께 야단맞는 등의 비난 공격적 상황에 접할수록 유아는 사소한 일에도 화를 잘 내는 등의 예민성과 사람들과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등의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 혼자 있을 때와 같은 불안좌절감 경험과 친구들이 놀아주지 않을 때 등의 자존감 상함의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유아는 낯선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행동 등의 안정적이지 못하고, 예민하고 비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사회성발달과 유아일상스트레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 때 유아가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사회성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 때에 유아의 일상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XML기반의 인터넷 One-Stop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석만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07

        현재 대학에서는 학사행정서비스를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One-Stop 서비스센터를 HTML 기반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HTML 기반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고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는 언제든지 학사행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데이터와 프리젠테이션의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수정이나 데이터의 재사용을 쉽게 할 수 없으며 사용자에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을 보여 줄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인터넷 표준인 XML을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 One-Stop 서비스센터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XML 기반의 인터넷 One-Stop 서비스센터 시스템은 프로그램 코드와 프리젠테이션 코드를 완전하게 분리하였고 One-Stop 서비스센터를 위한 DTD를 정의하였으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클러스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다. 따라서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와의 데이터 교환 및 재사용이 가능하고, 프로그램의 수정 및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보여 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university of today is operating One-stop service center for the service of school affairs and administration by developing it Internet Application System based on HTML. While it need not any client program used exclusively and can run anytime if only internet is working, we can't amend a system, reuse data easily and show each user various design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ivide data and presentation. Thereupon, in this paper I implemented and designed Internet One-stop service center system based on XML, a new standard of internet. It designed DTD for One-stop service center system and is designed to cluster Application server. Therefore, it enable users to exchange and reuse data with the deferent kind of database, to amend and repair program easily, to show each user various pictures and to control an electrical load of Application server.

      • DTD 독립적인 저장 모델을 이용한 XML 문서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종설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07

        최근 전자 문서 사용의 증가에 따라 구조적이고 자기 설명적인 특징을 지닌 XML 문서가 전자상거래, 전자도서관 등의 영역에서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문서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XML 문서의 저장 방법은 검색 성능의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모델의 변환에 대한 연구는 시스템의 저장 및 검색 효율과 응용 프로그램의 지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의 효율적인 구조 검색을 위한 구조 정보 저장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XML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DTD로부터 구조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XML 문서의 엘리먼트와 애트리뷰트를 검색할 수 있다. XML 문서의 저장은 DTD 독립적인 스키마의 설계에 의해 생성되는 테이블의 수를 줄이고, 여러 개의 DTD를 포함하는 XML 문서에 대한 저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검색된 XML 문서의 복원시 유효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엔티티나 노테이션 등의 XML 구성요소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Recently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structured and self-described XML documents become the topics in Electronic Commerce, Digital Library, and etc. These topics have been studied for efficiently storing and managing the structured documents. The various storage methods of XML document is proposed to improve searching performance. Especially, the study about the translation of data model affects much storage and search efficiency in system and support of application program. This paper is suggests the structure information storage model for efficient structure retrieve of XML document. Structur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DTD that represents the structure of XML document and stored so that we can search Element and Attribute of XML document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Storage of XML document reduces number of table that is created by design of independent schema from DTD, and it can support storage of XML document including several DTD. Also, it designs and implements system that can store XML component of Entity or Notation etc. so that verification about validation of XML document may be available for reconstruction of searched XML document.

      • 비전수립 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장경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전수립 코칭 프로그램이 4년제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4년제 K대학교의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은 SPSS Window용 ver.21을 이용였으며, 각 문항의 신뢰도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을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추후에 대한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에서 각 종속변인에 대해 사전, 사후, 추후 검사에서의 차이검증을 위해 일원 반복측정 ANOVA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가설1.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평균점수는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 실시 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3개월 후 추후검사에서는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코칭프로그램 참여자가 총 10명으로 참여수가 적은 것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가정했을 때,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둘째,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정체감 평균점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보다는 증가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 실시 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칭프로그램 참여자가 총 10명으로 참여수가 적은 것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가정했을 때, 비전수립코칭프로그램을 통해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예측해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비전이 변경되거나 재수립해야하는 경우에도 개인이 어렵지 않게 단계와 방법에 맞춰 빠르게 수립할 수 있도록 코칭프로그램 내에 비전수립 방법과 단계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 진출을 앞둔 예비 사회인에 걸맞게 미래의 구체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지금당장’부터 실천해볼 수 있는 세부적인 실천 계획을 세우는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의의와 논의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effects of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e research subjects, 10 undergraduate students in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SPSS Windows ver.21 was used, a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for each question was conducted. For verify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nd for verifying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between pre-, post-, and follow-up tests, mixed ANOVA was conducted. Finally, for verifying differences of pre-, post-, and follow-up tests on each dependent variables in the experiment group,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was appl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and verified. Hypothesis 1: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undergraduate students’ Hypothesis 2: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will positive influences on career ident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however, averag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increased after the vision establish coaching program, and especially, the follow-up test after 3 months showed its higher rising. Therefore, with assumption that the small sample of total 10 participants of the coaching program affected insignificant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s on self-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n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will positive influences on career ident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even though it was not bigger in increase than averag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was increased after conducting the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Therefore, with assumption that the small sample of total 10 participants of the coaching program affected insignificant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ision establishment coaching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s on career identity. Finally, for the meanings of the study, first, even though vision should be changed or re-established, it made suggestions for how to establish visions and their stages for individuals to establish them according to stages and methods without difficulties. Second, it is the first domestic study on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e contents, considering preliminary workers in society who are facing to entry into society, it consisted of specific schemes in future, and detailed practical plans for 'right now', affecting directly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s and suggestions were mad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search tasks in future were also discussed.

      •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워터마킹에 관한 연구

        신명진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07

        디지털 워터마킹이란 영상이나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등의 저작물에 잘 식별되지 않는 표시를 삽입하여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소유권자의 동의 없이 저작물을 배포, 복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중 동영상에서 일어나는 저작권보호 문제와 불법복제의 방지를 위해 웨이블릿 기반의 RSA 공개키 암호시스템을 이용한 암호화된 워터마크 키 삽입 기술을 제안한다. 우선, 원 영상을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CbCr)로 나누고, 그 중 인간의 눈에 민감한 휘도신호를 이산 웨이블릿 변환으로 주파수를 분해한 후 암호화된 워터마크 키를 해당 RUN위치에 삽입시키고 비밀 키를 가지고 원 이미지를 복원한다. 여기서 RSA(Rivest, Shamir, Aldeman) 공개키(public key)의 암호화 대상을 VLC(Variable Length Coding) 파라메터의 RUN으로 하였다. 이웃하는 RUN파라메터 사이의 높은 연관성은 이미지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밀키(private key)를 소유하지 않은 비인가자의 불법적인 행위를 막을 수 있다. 실험 결과, DCT기반의 저주파 대역에 대한 직접적인 암호화 방식보다 더 적은 키를 삽입시키면서 오히려 더 높은 왜곡과 위치가 이동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