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後期 刀劍武藝 硏究

        곽낙현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0639

        This paper examines the actuality of the Sword martial arts and facts about dissemination of it in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three major issues including: First, acceptance and progress of the Sword martial arts after Imjinwaeran, Second, organization and actuality of the Sword martial arts after the 18th century, and Third, dissemination and actuality of the Sword martial arts after the 18th century. The brief rundown on each focus above is described by chapter as following. Chapter 1 focuses on acceptance and progress of the Sword martial arts after the Imjinwaeran. The pre-Imjinwaeran swords can be defined as use of Hwando. During the Imjinwaeran, such sorts of Sword martial arts as Jangdo and Deungpae were accepted through the 『Mooyejaebo』 after the introduction of Danbyungjeonsool written by Chuck Kye Kwang. For the post-Imjinwaeran era, another set of Sword martial arts scuh as Eonwoldo, Hyupdo, Waegum were added on the list via 『Mooyejaebobunyuksokjib』. These Sword martial arts were introduced via sources including Gyosa (that refers to the military officers of the Ming Dynasty), Hangwaein(that refers to the Japanese soldiers who surrendered) and Adongdae during the Imjinwaeran, while Kim che-geon introduced Waegum skills to military bases that he had mastered back in the Dongnae waegwan and Tongsinsa Contingent. Chapter 2 explores organization and actuality of the Sword martial arts after the 18th century. 『Mooyedobotongji』 written during the time when Jungjo ruled Joseon Dynasty showed 10 types of Sword martial arts for infantry such as Ssangsoodo, Yedo, Waegum, Waegumkyojeon, Jedokgum, Bongukgum, Ssanggum, Woldo, Hyupdo, Deungpae. The actual techniques of these Sword martial arts consisted of three steps systematically composed of Bo (that refers to each position of the Sword martial arts), Chongbo (that refers to the sequence of ‘Bo’s) and Chongdo (that refers to the whole picture of the Sword martial arts) so that soldiers can easily learn. This demonstrates soldiers were trained step by step back in the Joseon Dynasty. Concerning techniques of the Sword martial arts, all types of martial arts but Woldo and Hyupdo used a certain sort of sword called Yodo in aspect of the type of the sword. Regarding Dosik (that refers to the shape of the swords), China and Japan adopted Hwasik and Waesik respectively while and Joseon accepted Geumsik. Also, there were another set of category by functions: Cutting, Stabbing and Striking were called Gambeop, Jabeop and Gyeokbeop respectively. By Analyzing actual actions of the 10 main Sword martial arts mentioned above focusing on each of Bo, the actions could b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categories: attack, defense, and combination of them. The attack-oriented martial arts included Yedo, Toyu-ryu of Waegum, Woonkwang-ryu, Ryupee-ryu, Bongukgum, Woldo, Hyupdo and Deungpae while defense-oriented ones only included SsangSoodo and Ssanggum.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type where attack and defense take place at the same time encompassed Chunryu-ryu of Waegum, Waegumkyo jeon, and Jedokgum. One thing to note is that Waegumkyojeon was identified to be designed to be practical enough that soldiers can utilize what they have learned on-the-spot. Chapter 3 deals with dissemination and actuality of the Sword martial arts after the 18th century. Gwanmujae of 『Daejeontongpyeon』 designated 10 sorts of Sword martial arts such as Yonggum, Ssanggum, Jedokgum, Eonwoldo, Waegum, Waegumkyojeon, Bongukgum, Yedo, Deungpae and Hyupdo as official Sword martial arts for the national infantry. According to the Gumyean, however, instructed to choose one from following options: Woldo, Ssanggum, Jedokgum, Pyeonggum, and one type of martial arts belonging to Gwonbeop. The 『Mangiyoram』 shows a noticeable fact that according to the policies regarding the Sword martial arts examination of Jungsun, Soldier who had learned Waegumkyojeon could not take the examination for Yedo and Hyup do while those who had learned Yedo and Hyupdo could not take the one for Waegumkyojeon. This is considered a policy designed to help each and every soldier to specialize on a certain type of Sword martial arts instead of being a generalist by drilling them with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martial arts and practice program. The policies regarding the Sword martial arts examination of Gwanmujae is also the same with that of Jungsun. For next, information on the Sword martial arts described by the 『Eoyeong-cheongJungsundeungnok』 and the 『Jangyongyeong-gosa』 comes. Eoyeong-cheong explains various Sword martial arts including Yonggum, Pyeonggum, Jedokgum, Yedo, Hyupdo Deungpae, Ssanggum, Woldo, Eon woldo, Bongukgum, Singum, Waegum, Waegumkyojeon in Jungsun part. Bongukgum and Singum cone into the picture in 1788 and 1807 respectively. The Eonwoldo’s name was first mentioned after Sunjo ruled the Dynasty. It was referred as Woldo before him. Ssangsoodo’s name does not show up anywhere, but it was referred as Pyeonggum or Yonggum. ‘Waegumkyojeon’ were divided into the words: ‘Waegum’ and ‘Kyojeon’ after 1755. Those who had learned Yonggum and Pyeonggum were in high number until 1761. The number started decreasing after 1788, and as those who had learned Jedokgum generated a long list of successes at the examination, Jedokgum began to gradually occupy the Sword martial arts. Jangyongyeong has Ganse-Janggyo, the officers in charge of drill of trainees. They supervised their training and advised them to correct wrong positions. Each soldier who passed the examination, after the evaluation, received three different marks ranging from ‘High-High’ to ‘High-Low’ based on their performances. ‘High-High’ marks accompanies 3 rolls of linen and cotton while ‘High-Middle’ and ‘High-Low’ came with 2 rolls and 1 roll of it respectively. The successes who received ‘High-High’ were very few amongst all the successes at the Sword martial arts examination, which seems to show that the standards upon which the evaluation was based were extremely strict, taking into even little details of each positions and actions. This is, presumably, why the only a small number of elite Salsus, experts in one type of Sword martial arts could be fostered by filtering out unqualified soldiers but a few ‘High-High’ ones. This paper shows that the Sword martial arts were introduced and settled in military bases through the soldiers from the Eoyeong-cheong and the Jangyongyeong. This study provided probable cause to believe that this was possible thanks to the legislative policies regarding the examination to urge soldiers to specialize in one certain sort of Sword martial arts, and a martial arts manual called 『Mooyedobotongji』 that led soldiers to grasp the actual techniques quick.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Joseon Dynasty utilized an institution called Sijae under which the royal court rewarded prominent soldiers in order to incentivize them to voluntarily practice and evaluation their own performanc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s. The significant the Sword martial arts in late Joseon Dynasty possess is that it was transitioned from the exclusive military martial arts to the individual-level martial arts that even a bland folk can learn. 본 논문은 조선후기 刀劍武藝의 실제와 보급 실상에 대한 연구이며, 임진왜란 이후 刀劍武藝의 수용과 추이, 18세기 刀劍武藝의 정비와 실제, 18세기 이후 刀劍武藝의 보급과 실태의 측면으로 검토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을 각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은 임진왜란 이후 刀劍武藝의 수용과 추이이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環刀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중에 조선에 戚繼光의 短兵戰術이 도입되면서 『武藝諸譜』를 통한 長刀, 藤牌 등의 刀劍武藝가 수용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武藝諸譜飜譯續集』을 통한 偃月刀, 挾刀, 倭劍 등이 추가되었다. 이 刀劍武藝들은 임진왜란 중에는 明나라의 敎師, 降倭人, 兒童隊 등을 통해 전수되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金體乾이 東萊倭館과 通信使行을 통해 배워 온 倭劍 기법을 군영에 보급하였다. 2장은 18세기 刀劍武藝의 정비와 실제이다. 正祖代 편찬된 『武藝圖譜通志』에 실려 있는 步軍의 刀劍武藝는 雙手刀, 銳刀, 倭劍, 倭劍交戰, 提督劍, 本國劍, 雙劍, 月刀, 挾刀, 藤牌 등 10技였다. 이 刀劍武藝의 실제기법은 譜, 總譜, 總圖의 세 단계 절차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군사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군사들이 단계적으로 훈련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刀劍武藝의 기법을 살펴보면, 칼의 형태에 있어서는 月刀와 挾刀를 제외한 모든 刀劍武藝들이 시연에 사용한 칼은 腰刀라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었다. 圖式에서 明은 華式, 倭는 倭式, 朝鮮은 今式으로 표기하였다. 刀劍의 기능으로는 베기의 砍法, 찌르기의 刺法, 치기의 擊法의 세 가지가 있었다. 刀劍武藝 10技에 대한 실제 동작을 보를 중심으로 검토한 바, 공격과 방어 그리고 공방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공격 기법 위주는 銳刀, 倭劍의 土由流, 運光流, 柳彼流, 本國劍, 月刀, 挾刀, 藤牌 등이 있었다. 방어 기법 위주는 雙手刀와 雙劍이었다. 반면 공격과 방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방 기법 위주는 倭劍의 千柳流, 倭劍交戰, 提督劍 등이 있었다. 특히 倭劍交戰은 실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刀劍武藝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장은 18세기 이후 刀劍武藝 보급과 실태이다. 『大典通編』의 觀武才에서는 用劍, 雙劍, 提督劍, 偃月刀, 倭劍, 倭劍交戰, 本國劍, 銳刀, 藤牌, 挾刀 등 10技가 步軍의 刀劍武藝로 지정되었다. 中日에서는 劍藝 1技가 지정되었다. 그러나 劍藝안에는 月刀, 雙劍, 提督劍, 平劍과 拳法의 1技를 포함한 5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었다. 『萬機要覽』의 中旬 시취규정에서는 倭劍交戰手가 銳刀와 挾刀를 응시할 수 없고, 銳刀와 挾刀手가 倭劍交戰을 중복해서 응시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는 군사들이 여러 종류의 刀劍武藝를 전체적으로 훈련하기 보다는 1人 1技의 전문화 된 刀劍武藝 지식과 실기를 체계적으로 훈련하여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배려한 제도일 것이다. 觀武才의 刀劍武藝 시취규정도 中旬과 동일하였다. 다음은 『御營廳中旬謄錄』과 『壯勇營故事』에 나타난 刀劍武藝 내용이다. 御營廳에서는 用劍, 平劍, 提督劍, 銳刀, 挾刀 藤牌, 雙劍, 月刀, 偃月刀, 本國劍, 新劍, 倭劍, 倭劍交戰 등 다양한 刀劍武藝가 中旬 내용에 보이고 있었다. 本國劍은 1788년(正祖 12)에, 新劍은 1807년(純祖 7)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偃月刀의 명칭은 純祖 이후에 처음 쓰이며 그 이전에는 月刀로 표기되었다. 雙手刀의 명칭은 전혀 보이지 않고 平劍 또는 用劍이라는 용어로 호칭되었다. 倭劍交戰은 1755년(英祖 31)부터는 ‘倭劍’과 ‘交戰’으로 분리되어 등장하였다. 用劍과 平劍은 1761년(英祖 37)까지 군사들에게 비중이 높게 나타났지만, 1788년(正祖 12) 이후로는 축소되고 提督劍이 대신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면서 18세기 후반이후로 提督劍의 비중이 점차 높아졌다. 壯勇營에서는 刀劍武藝를 훈련할 때 동작과 자세의 바르고 그른 것을 세밀하게 살펴 올바르게 훈련을 담당하는 看勢將校가 있었다. 刀劍武藝를 평가하는 기준은 ‘上上’부터 ‘上下’까지 세 단계로 ‘上上’은 군사 1인당 木 3疋, ‘上中’은 木 2疋, ‘上下’는 木 1疋씩을 지급받았다. 또한 전체의 刀劍武藝 합격자를 놓고 ‘上上’ 합격자를 찾았을 경우는 매우 적었다. 이는 그만큼 다른 무예에 비하여 刀劍武藝를 평가하는 기준이 자세나 동작의 세밀한 부분까지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그렇기에 ‘上上’ 단계의 군사들이 많이 배출되지는 못했지만 한 가지의 刀劍武藝에 전문적으로 능통할 수 있는 殺手들을 양성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고 본다. 이처럼 조선후기 군영에서 군사들에게 자발적으로 평상시 개인기량을 연마하여 평가하고 자신의 무예실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군사들에게는 포상을 내리는 좋은 제도로 試才를 활용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후기 刀劍武藝가 갖는 의의는 군사무예에서 개인무예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御營廳과 壯勇營의 군사들을 통해서 시행한 刀劍武藝가 군영에 정착되었고 보급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은 1人 1技의 전문적인 刀劍武藝를 습득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으로 지정된 시취규정과 실제 기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된 『武藝圖譜通志』라는 무예교범서가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 조선시대 祿牌 연구

        임영현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39

        本論文では、朝鮮時代の禄牌制度と禄牌様式、そして頒禄籤紙を通じた禄俸制の 運用実態を通時的に研究した。禄牌は公文書として文武官員の禄俸受領資格を証明 する。また、禄俸を受領するときに証拠文書として活用され、禄俸を受領したとい う禄俸受領處証である頒禄籤紙が添付された複合的な性格の文書である。今日まで 禄牌研究は、禄牌様式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集中していた。しかしながら禄牌の大 きさについての検討と頒禄籤紙の研究は不十分である。また禄俸制研究者は頒禄籤 紙を参考せずに、文献史料だけで朝鮮時代の禄俸制を検討した結果、朝鮮時代の禄 俸制の運用実態を把握するには限界を見せた。したがって、本研究では、朝鮮時代 禄俸の発給対象と手順の解明と共に頒禄手順を調べた。そして禄牌様式の検討と時 代や役所にしたがって禄科表記·発給官員·印章·外面表記を調べた。あわせて、禄牌 が大きさを異にする基準について究明した。最後に、正3品堂上官以上の正3品堂下 官以下に分けて頒禄籤紙の大きさと作成方法を確認した後、頒禄籤紙の記録と禄俸 制の禄科を比較·検討した。 朝鮮時代の禄牌制度は高麗時代の制度を受け継いだ。禄牌発給先は、禄官に任命 された役人に限定される。発給役所は、三司→司評府→吏曹と変更しており、1466 年(世祖12年)に王の伝教があって以来、吏曹と兵曹が文官と武官の禄牌発給をそれ ぞれ担当した。頒禄手順は、頒禄日に持参する文書の種類に従って『大典通編』施 行前後に分けて考察した。禄官は『大典通編』施行前には敎旨·禄牌·給禄所志を持 参し、『大典通編』施行後は敎旨と禄牌だけで禄俸を受領することができた。 朝鮮初期に発給された禄牌様式は、高麗時代のことを襲用した。『経国大典』で 禄牌式が法制化される以前では、始面と禄科表記、印章で変化を確認することがで きる。そして『経国大典』で禄牌式が法制化された以降に発給された禄牌は、『経 国大典』の禄牌式に遵守した。しかし、禄科表記·印章·発給官員·外面表記で変化が あった。 官職の正3品堂上官以上と正3品堂下官以下の禄牌は大きさを変えて発給された。堂上官以上の禄牌は、縦×横の長さの平均がそれぞれ112.4×79.2cmであり、堂下 官はそれぞれ45.5×14.4cmである。二種の縦×横の平均は50cm以上の差があり、 朝鮮時代を通じて官職の正3品堂上官と堂下官を基準に大きさを変えて発給され た。 堂下官に限り、18世紀後半から木版式禄牌が発給されており、吏曹と兵曹で は版に刻まれている文字が一部異なっていた。 頒禄籤紙も禄牌と同じように官職の正3品堂上官と堂下官でことなった大きさの ものが発給されていた。前期頒禄は監察と宏興倉役人が引き受けていたので、“分 臺之印”が押された。しかしながら18世紀後半から監察が頒禄業務から退いたた め、それ以降は“廣興倉印”が押された。 堂下官禄牌が木版式に変わった後に堂下 官の頒禄記録は手記で該当月だけを表記する方式に変わった。1851年(哲宗2年)に 発給された黃銑の禄牌に始めて頒賜印が押された以降は、この様式が続いた。 頒禄籤紙の頒禄記録を通じて、朝鮮時代の禄俸制の運用実態を把握することがで きる。朝鮮時代の禄俸制は、一年に2回(1·7月)支給する六朔頒禄制、一年に四回(1· 4·7·10月)支給する四孟朔頒禄制(1439)、そして毎月支給する月俸制(1701)に変化 した。六朔頒禄制は考証することができないが、 禄科の基準がなかったというこ とが分かる。しかし、現在まで調査された禄牌の中では1414年(太宗14年)から 1463年(世祖9年)までは品階を基準に支給しており、1467年(世祖13年)からは官職 を基準に支給された。四孟朔頒禄制は、1439年(世宗21年)に初めて実施された。施 行初期には禄科に基づいて禄俸を支給したが、壬辰倭乱を経て、実際の禄科より少 ない量を支給した。四孟朔頒禄制時期には、1647年(仁祖25年)と1670年(顯宗11 年)に頒禄品目と数量を減らす方向に禄科が改正されたが、実際の頒禄量は禄科に及 ばなかった。 四孟朔頒禄制時期に一時的に月俸を支給したが、実質的に月俸制が 施行されたのは1701年(肅宗27年)であった。四孟朔頒禄制時期より頒禄品目と数量 はさらに減ったが、この時期はまた禄科に準ずる頒禄が行われなかった。そして、 1721年(景宗元年)の改正で量はさらに減り、これは『続大典』に掲載された。18世 紀初期まで『続大典』の禄科に基づいて頒禄が行われたが、19世紀後期の頒禄は 『続大典』の禄科に従わない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본 논문은 조선시대 祿牌 제도와 양식, 그리고 頒祿 籤紙를 통한 녹봉제의 운용 실태를 통시적으로 연구하였다. 녹패는 공문서로서 문무관원의 녹봉 수령 자격을 증명하며, 祿官이 녹봉을 수령할 때 證憑 문서로 활용된다. 그리고 녹봉을 수령하였다는 녹봉 수령증인 반록 첨지가 첨부된 복합적인 성격의 문서이다. 현재까지 녹패 연구는 녹패 양식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다. 그렇지만 녹패의 크기에 대한 검토와 반록 첨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며, 녹봉제 연구자들은 반록 첨지를 참고하지 않고 문헌 사료만으로 조선시대 녹봉제를 검토한 탓에 조선시대 녹봉제의 운용 실태를 파악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녹패의 발급 대상과 절차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반록 절차를 검토한 후, 녹패 양식 검토와 함께 시대 및 관청에 따라 달라지는 祿科 표기·발급 관원·인 장·외면 표기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녹패가 크기를 달리하는 기준에 대하여 규명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정3품 당상관 이상과 정3품 당하관 이하로 나누어 반록 첨지의 크기와 작성 방식을 검토한 후, 반록 첨지의 기록과 녹봉제의 녹과를 비교·검토하였다. 조선시대 녹패 발급 대상은 祿官에 임명된 관원으로 한정되며, 발급 기관은 三 司→司評府→吏曹로 변경되었는데 1466년(世祖 12) 전교 이후 吏曹와 兵曹에서 文官과 武官의 녹패 발급을 각각 담당하였다. 반록 절차는 반록 시 지참해야하는 문서에 따라 『大典通編』 시행 전후로 나누어 고찰해 볼 수 있다. 『大典通編』 시행 이전에 祿官이 녹봉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敎旨·祿牌·給祿所志를 지참했으며, 『大典通編』 시행 이후에는 교지와 녹패만으로 녹봉을 수령할 수 있었다. 조선 초기에 발급된 녹패 양식은 고려시대의 것을 따랐는데, 『經國大典』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되기 이전까지 始面·녹과 표기·인장에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經國大典』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된 이후 조선시대 녹패는 『經國大典』 녹패식을 준행하였으며, 법제화된 이후 녹과 표기·인장·발급 관원·外面 表記에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관직의 정3품 당상관 이상과 정3품 당하관 이하의 녹패는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되었다. 당상관 녹패는 세로×가로의 평균 길이가 112.4×79.2cm이며, 당하관 녹패는 45.5×14.4cm로, 세로×가로의 평균이 50cm 이상씩 차이가 났다. 그리고 종친을 제외하고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관직의 정3품 당상관과 당하관을 기준으로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된 것을 알 수 있다. 당하관 녹패에 한하여 18세기 후반부터 木版式 녹패가 등장하였으며, 이조와 병조는 版에 새기는 부분이 달랐다. 반록 첨지도 녹패와 마찬가지로 관직의 정3품 당상관과 당하관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조선 전기 반록에는 監察과 廣興倉 관원이 참여하였으며, 인장은 “分臺 之印”이 답인되었다. 그런데 18세기 후반부터 감찰이 반록 업무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廣興倉印”이 답인되었다. 당하관 녹패가 목판식으로 바뀐 이후, 당하관의 반록 기록은 해당 월만 手記로 작성하는 방식으로 변한 뒤, 조사된 녹패 가운데 1851년(哲宗 2) 黃銑 녹패부터 頒賜印으로 반록 기록을 표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녹봉제는 일 년에 두 차례(1·7월) 지급하는 六朔頒祿制, 일 년에 네차례(1·4·7·10월) 지급하는 四孟朔頒祿制(1439), 그리고 매월 지급하는 月俸制 (1701)로 변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녹패에 첨부된 반록 첨지의 반록 기록을 통해 조선시대 녹봉제의 운용 실태 고찰해 보았다. 육삭반록제 시기에는 녹과에 일정한 기준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조사된 조선 초기 녹패를 통해 1414년(太宗 14)부터 1463년(世祖 9)까지는 품계를 기준으로 반록하였고, 1467 년(世祖 13)부터는 관직을 기준으로 반록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439년(世宗 21)에 처음 시행된 사맹삭반록제는 시행 초기에는 녹과에 준하여 녹봉을 지급하였으나,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실제 녹과보다 적은 수량을 지급하였다. 국가 재정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1647년(仁祖 25)과 1670년(顯宗 11)에는 반록 품목과 수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녹과를 개정하였지만, 실제 반록 수량은 녹과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임시로 월봉을 지급하고, 반록 수량을 감하는 등의 조처를 하였다. 임시로 시행했던 월봉 지급은 1701년(肅宗 27)에 제도화되었다. 사맹삭반록제 시행 초기와 비교하면 반록 품목과 수량이 상당히 줄었고, 녹과에 준하는 반록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1721년(景宗 元年) 수량을 더 줄여 녹과를 개정하였고, 이는 『續大典』에 실렸다. 18세기 초반까지 『 續大典』 녹과가 준행된 것을 반록 첨지와 문헌 사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19세기 후반 반록은 『續大典』 녹과에 준하는 수량을 반록하지 못하였다.

      • 구비설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계가독형 서사기호체계 연구

        이재열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39

        People who use folk tale database for research expect to get information that is based on structure of the story itself above anything else. In order to satisfy such expectation, it is need to construct database system that is able to recognize narrative patterns and structures of stories. As a foundation of the system, I would suggest idea of machine readable narrative semiotic system. The summary of the my idea is as follows. First, a event in a story can be presented in symbols indicating relations among subjects, actions and the objects. And the main things that characterize a story are attributes of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in events of the story. Combinations of these attributes and relations create characteristics of a motif. Thus, machine readable narrative semiotic system have to be able to symbolize these elements in detail and precision. Second, Greimas's narrative semiotic model that defines meaning of actions as changes of junctions is suited for coding narrative patterns of folke tale for information processing. While Greimas's model use only one type of juncti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I subdivide this into four : junction of space, junction of relation, junction of carnality, junction of message. I showed it is possible to express most of discoursively meaningful actions by simply combining these four. Third, I exemplify that attributes of the actors(subjects and objects) could be translated into a machine recognizable pattern by setting up standardized categories of attributes over all types of folk tales, and combining these categories. Fourth, in a process of modeling this human oriented narrative semiotics into database system, loading real data, and manipulating queries to the system, I exemplify that the database system can retrieve narrative patterns of stories -which is even quite difficult to express in natural language- by using machine readable narrative semiotic system. 구비설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연구자들은 무엇보다도 이야기 자체의 구조를 기반으로 한 정보의 제공을 원한다. 이러한 연구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의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분류⋅검색⋅정보취합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기계가독형 서사기호체계를 제안하고자 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설화의 이야기는 행위주체와 행위 그리고 그 행위 대상과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행위주체와 대상의 독특한 속성들과 행위 자체가 결합되었을 때, 특징적인 모티프가 생겨난다. 따라서 기계가독형 서사기호체계는 이들 요소를 체계적으로 표기하고 이들 사이의 연관을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체계가 되어야 한다. 둘째, 행위를 전산처리 가능한 기호로 모델화하는 데 있어서는 모든 행위를 주체와 대상과의 관계변화 즉 접합의 변형으로 단순화한 그레마스의 서사기호를 기반으로 하였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이 모든 행위를 단순히 연접과 이접으로 표시하는데 비해 본고에서는 이를 세분화하여 공간의 접합, 인연의 접합, 성적 접합, 메시지의 접합, 존재의 접합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에 행위자 변형 행위와 의사소통 행위의 개념을 더하여, 이들의 조합만으로 대부분의 ‘담화적으로 의미있는 행위’ 들을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설화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의미범주를 설정하고 이러한 의미범주에 의해 발생한 의미소들을 조합함으로써, 행위자의 속성을 정보처리에 알맞은 패턴으로 기호화 할 수 있음을 예증했다. 13개의 의미범주를 행위자에게 적용했을 때, 여기서 파생되는 의미소들의 조합만으로도 담화적으로 유용한 대부분의 속성을 표기할 수 있었다. 넷째,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실제 설화를 분석하여 연구자 층위의 서사기호로 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모델링하고 실제 데이터를 적재하여 일반적인 SQL 쿼리로 조회했을 때, 일반적인 서술형 문장으로도 표시하기 힘든 복잡한 형태의 이야기 패턴을 서사기호의 조합을 통해 분석, 검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옥호빙심> 연구

        장곤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34303

        <Okho Bingsim>,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love story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title of the story was modeled after the naming method of JaejaGain novel of China which enumerated the names of the two main characters in the novel. The title of <Okho Bingsim> was derived from the names of 'Giokho' and 'Haebingsim', the two wives of Sagangback, the hero of the novel. Above case is very rare in Korean classic novels. There have been cases of adding "-jeon(story)" to the behind the main characters' names like <Janghwa Hongryeon jeon>, but there have been no stories with the title given only names. Currently, 3 different versions of <Okho Bingsim> are exist, one of which is owned by Gyujanggak Archiv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one is owned by Jang-seo-gak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one is owned by JoongAng University Library. The version at Gyujanggak Archives is four works consisting of the whole four volumes, and the versions at Jang-seo-gak and JoongAng University Library are missed in volumes. However, the two versions belong to the same division that they can complete a version with full volumes through integration. <Okho Bingsim> is characterized as dual structure of love story and historic story combined. The front part of this novel dealt with love story between Saggangback and Giokho. Haebingsim as the central narration, and rear part is the usurpation of King Yuan in the Ming Dynasty, which is called as Jeung nan chi byun as the central narration unlike the front part. Classic novels frequently borrowed the Ming Dynasty as their temporal background, but many of the novels restricted its role only to the temporal background. But, in <Okho Bingsim>, real historical incident is accepted with such temporal background being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context of the whole narration. Two female heroines are the central figures of the <Okho Bingsim>love story. It's a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marriage obstacle against the two heroines, Giokho and Haebingsim while their relationship are being formed, and their roles to take the lead in overcoming the difficulty through their wisdom. The work shows the actualities in the Chosun Dynasty such as the problems caused by authority, status system as well as traditional wedding system and the process that the two heroines are overcoming realistic problems and the in marriage obstacle. On the other hand, its historic story part shows the brief cause and effect of Jeung nan chi byun in where the male hero Sagangback is the central figure, followed by the showing of scholarly awareness of the usurpation of King Yuan in the Ming Dynasty through their concrete conversation and the decision on their attitudes. Such literary structure that the two heroines were the central figures in the love story and the hero was that in the historic story coincide with the tradition that the action range of female characters restricted to within the home while that of male characters restricted to outside home in the classic novels. Besides, the combination of love story and historic story enhances the readers' refinement toward history and captures the readers' interest. The historic story in <Okho Bingsim>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fting the readers' refinement toward history of course, but it seemed to have put emphasis on the writer's awareness in the manner of revealing the intellectuals' awareness of Jeung nan chi byun and making the readers know about it rather than presenting the aspect of Jeung nan chi byun. That is, the writer of <Okho Bingsim> shows what right choice is for the scholars by showing their three behavior patterns about the usurpation of King Yuan and its consequent finish of ups and downs. Like this, the writer's Confucian ideology that a faithful subject will not serve two kings is reflected on the work very persuasively, together with his attitude putting more weight on death to keep scholarly fidelity than living in hiding from the world. Another distinctiveness of <Okho Bingsim>is the insertion of Chinese poems which are two types, one of which is his works written previously and other is the works newly written for the book. Chinese poetry was the genre very much favored by intellectuals in the Middle Ages with upper class-Sadaebu included as a method of expressing themselves. A noticeable part here is the insertion of such Chinese poetry in the novels of Chosun Dynasty which were read mostly by women and 'by extension', it performs very important part in the narration progress. Especially, this work has reedited poems. The existence of reedited poems in <Okho Bingsim>presents a new way of consideration of Chinese poetry patterns inserted in other Korean classic novels. These Chinese poems play important roles in narration progress, along with other necessary functions in various ways such as character embodiment, incident sequence and the expansion of narration scenes. 本論文的研究對象《玉壺冰心》, 是朝鮮後期創作的愛情小說。此作品的題目是採取中國 才子佳人小說的題名方式,採用連綴人名的方式而命名。《玉壺冰心》的題名是由兩位女 主角“玉壺”和“冰心”的名字連綴而來。事實上,這種命名方式在韓國的古典小說中比較罕 見。即使是類似《薔花紅蓮傳》的情況,雖然也是採用了連綴主角人名的方式而命名,但 是卻在其後面加上“傳”一類的字眼,而不是單純的連綴了人名。從這裡即可以推測出《玉 壺冰心》在一定程度上, 是受到了中國才子佳人小說的影響。 《玉壺冰心》現存的異本共有三種,包括首爾大學奎章閣所藏本,韓國學中央研究院藏 書閣所藏本,以及中央大學中央圖書館所藏本。奎章閣本是4冊4卷的完帙本, 但是藏書閣本 和中央大本則是落帙本. 藏書閣本共有3册3卷, 但是由於第二卷的散失,現只剩2冊2卷.中央 大本同樣亦有3册3卷,但是卻散失了第一卷, 因此現只剩2 冊 2 卷. 雖然藏書閣本與中央大 本都為落帙本,但是通過詳盡的異本對比卻可以發現它們實屬於同一系列,並且可以還原 出一個完帙本。本論文即以還原出的此本為研究對象,並簡稱其為藏·中本。 《玉壺冰心》是以明朝太祖-惠帝-成祖-仁宗-宣宗時期為時代背景,以中國為空間背景 創作而成。《玉壺冰心》具有愛情談與歷史談相結合的二元結構。第一段主要講述了謝江 白與玉壺·冰心的愛情故事,而第二段則以靖難之變為主要內容進行敘述。韓國的古典小說 中以明朝為時代背景的作品屢見不鮮,但是在大部份小說中其作用卻只在于提供時間背 景。但是《玉壺冰心》卻不僅止於此,更加入了一些歷史事件,並使其在整體的敘事脈絡以 及情節上緊密結合,環環相扣。 《玉壺冰心》的愛情談以兩位女主角為中心進行敘述。兩位女主角冰雪聰明,在結緣的 過程中用智慧克服了各種各樣的障礙,起到主導的作用。權利,身份制度,傳統婚姻制度 等朝鮮時期的社會問題在作品中表現的淋漓盡致,同時,由這些問題引起的婚姻障礙,也通過 女主角的智慧得到了完美的解決。相反地,歷史談中則以男主角為中心,經過簡單的敘述 靖難之變的前因後果之後,通過臣下的對話及行動等,詳盡的敘述了針對燕王篡位這一歷 史事件臣下們的選擇。像這樣,愛情談以女主角為中心,而歷史談以男主角為中心的敘述 樣相,也正符合在既存小說中女性的活動的空間主要限制于家庭內,而男性則以家庭外的為主要活動空間的傳統。除此之外,歷史談與愛情談的交融,不僅增加了讀者的歷史知 識,也大大提高了作品的趣味性。 當然,《玉壺冰心》的歷史談在一定程度增加了讀者的歷史知識. 實際上,這部作品的重 點,與其說是在敘述靖難之變這一史實,倒不如說它是透過對各個臣下對靖難之變的態度的 描寫來體現作者的敘述意識。在《玉壺冰心》作品裏,詳盡的刻畫了對燕王篡位事件三種 不同臣下的行動樣相,並且通過由此引起的禍福來揭示那一種選擇才是正確的選擇。正如 此,作者所具有的‘一身不事兩君的’儒家觀念在作品中得到了充分的體現,同時, 比起“隱 居”,作者更傾向於終於氣節,視死如歸的態度在作品中也可以窺視的到。 除此之外,《玉壺冰心》另外一個值得注意的地方, 是作品中漢詩的插入。作品中插入的 漢詩大致可以分為活用了既存詩的詩,以及作者直接創作的詩兩種。漢詩是一種以上層士 大夫為中心的中世知識人所用的表達自己的體裁種類,但是卻出現在以女性為主要讀者群 的韓文小說裡,並且在敘事的過程中起著重要的作用,不得不引人注目。特別是在這個作 品中開篇詩詞的存在。開篇詩詞大致存在于章回小說中第一章回目的上方,其主要功能可 以是點明主題,概括全篇大意,也可以是造成意境,烘托特定的情緒,也可以是抒發感 歎,從下面或反面陪襯故事的內容。《玉壺冰心》裡開篇詩詞的存在為考察其他小說裡插 入詩的樣相時,提供了新的方法。同時,這些漢詩也為敘事的展開起到了重要的作用,人物 的刻畫,事件的展開,敘述場面的擴大等等方面有著不可比擬的作用。 본고의 연구대상인 <옥호빙심>은 조선후기에 창작된 애정소설이다. 작품의 제명은 남주인공 사강백의 두 부인인 ‘기옥호’와 ‘해빙심’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중국 재자가인소설의 작명방식을 본뜬 것이다. <옥호빙심>의 이본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소장본, 중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 등 세 종이 있다. 규장각본은 4권4책의 완질본이고, 장서각본은 3권3책 중 제2권이 낙질이며, 중앙대본은 3권3책이 중 제1권이 낙질이다. 그러나 장서각본과 중앙대본은 이본대비를 통하여 같은 계열에 속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을 통해 하나의 완질본을 구현할 수 있다. <옥호빙심>은 명나라 태조-혜제-성조-인종-선종에 이르기까지를 시대배경으로 애정담과 역사담이 결합되어 있는 이원적 구조를 띠고 있다. 이 작품의 앞부분은 사강백과 기옥호·해빙심의 애정담을 중심서사로 다루고 있으며, 뒷부분은 정난지변이라 불리는 명나라 燕王의 왕위찬탈사건을 중심서사로 다룬다. <옥호빙심>에서는 이러한 시대배경과 함께 수용된 실제 역사 사건이 서사 전체의 맥락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옥호빙심>의 애정담에는 여자주인공인 기옥호·해빙심이 결연과정에서 겪는 혼사 장애가 핍진하게 그려지며 이를 극복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두 여성의 모습을 담고 있다. 작품에는 권력, 신분제 등의 문제 뿐 아니라 전통 방식의 혼인제도 등 여러 가지 현실적 모습이 반영되어 있으며 여자주인공의 지혜를 통해 현실적인 문제들과 혼사장애를 극복하는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반면, 역사담은 주로 남주인공인 사강백을 중심으로, 정난지변의 前因後果를 간단히 제시한 후에 인물 간의 대화와 거취 등을 통해 왕위찬탈에 대한 선비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결국 애정담은 여자주인공을 중심으로, 역사담은 남자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이는 기존소설에서 여성 인물의 행동 범위가 가정 내적 공간으로 제약되고 남성 인물이 주로 가정 외적 공간에서 활동한 전통과 일치한 것이다. 또한 역사담과 애정담의 결합으로 독자로 하여금 역사적 교양을 높이는 동시에 작품의 흥미성을 확보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옥호빙심>의 역사담은 왕위찬탈에 대하여 선비들이 보여주는 세 가지의 행동 양상과 그로 인한 화복의 결말을 제시함으로써 같은 상황에서 선비들이 취해야 할 행동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작가는 “忠臣不事二君”의 유교 이념에 바탕을 두고 은거보다는 절사하는 것에 긍적적인 시선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옥호빙심>의 또 다른 특징으로 삽입 漢詩를 들 수 있다. 작품에 삽입된 한시는 기존의 작품을 활용한 것과 작가가 직접 창작한 것으로 나뉜다. 기존 작품을 활용한 것은 다시 전편의 활용과 일부의 차용으로 나눌 수 있다. 한시가 부녀자들이 주로 읽던 한글 소설에 삽입되고 나아가 서사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은 조선 후기 대장편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옥호빙심>에서 활용된 삽입 한시는 서사진행에 있어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인물의 형상화, 사건의 전개와 서술 장면의 확대 등 여러 방면에서 긴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開篇詩이다. 개편시는 대개 제1회 회장제목 위에 쓰여 있다. 개편시의 기능은 주제를 제시하면서 전편의 내용을 개괄하거나, 意境을 만들고 특정한 정서를 부각시키거나, 감정을 토로하고 여타 측면에서 스토리의 내용을 돋보이게 하는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 아카이브 운용 사례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중심으로

        하소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34303

        최근 디지털 환경을 토대로 하는 공공외교, 즉 ‘디지털 공공외교’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공공외교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이 엄밀히 구분되지 못하고 있고,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공공기관의 역할에 주목한 사례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중심으로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 요건과 공공기관의 역할을 고찰했다. 서론인 제1장에서는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 현상을 고찰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제2장은 ‘공공외교’에 대한 정의와, 공공외교 활동이 온라인에서 시스템화 되어 이뤄지는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 개념을 검토했다. 제3장에서는 공공외교를 담당하는 여러 공공기관 중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를 살핀다.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디지털 전환은 온톨로지 설계, 데이터 아카이빙 두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온톨로지와 아카이빙 데이터를 분석하고,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이 아카이브의 확장과 공유를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 사례의 시사점을 토대로 공공기관이 디지털 아카이빙을 병행하는 업무 수행을 통해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면서 고객과 공중의 참여를 촉진하여 공공외교의 주체와 활동을 다양화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In “public diplomacy,”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s diplomacy, “digital public diplomacy," which is based on the recent digital environmen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Nonetheless, the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are not strictly distinguished, and there are hardly any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digital public diplomacy, by analyzing the Understanding Korea Project carried out by the CEFIA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Chapter 1, which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reviewed research studies examin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phenomenon of public diplomacy, and showed that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digital transformation contributes to a nation's innovation growth, as well as attempts to conceptualize such a phenomenon. Chapter 2 looked at the definition of “public diplomacy” proposed by the Edward Murrow Center for Public Diplomacy, and the concept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which activities of public diplomacy are systematized and conducted online. After dealing with the roles of many different public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public diplomacy, Chapter 3 analyzed the ontology of the Understanding Korea Project conducted by the CEFIA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ublic diplomacy on metaverse through Mozilla Hub, which emerged recently. On the basis of such analyses, Chapter 4 suggested that public institutions can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information on diplomacy,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content and diversifying the agents and aspects of public diplomacy. This study is theoret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kind of 'road map'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with public institutions assumed as its practitioner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limitations in that this study jus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detailed stud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ub-elements of public diplomacy, namely cultural public diplomacy, knowledge diplomacy, and policy public diplomacy. However, this study is evaluated to be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specific roles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 조선에 전래된 武英殿聚珍版書의 서지적 분석

        苗凱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4303

        武英殿建於明朝樂年間(1403-1424),曾為政治權利的中心地。清朝康熙年間 (1662-1722)設立武英殿書局。康熙四十年(1701)以後,武英殿開始大量發行書籍。1772年將《永樂大典》的佚書,各省的採集本,武英殿刊本,匯為《四庫全書》。由於工程 量浩大久費時日,便從較為稀缺的宋元版本和《永樂大典》的佚書開始撰修。1773~1803 年共刊印了138種書籍,其中木版本4種,木活字本134種。這138種書稱為《武英殿聚珍 版書》。《武英殿聚珍版書》是清內府規模最大的一次木活字印刷活動。在中國木活字印 刷史和典籍史上具有重要意義。武英殿聚珍版書刊印完成後被發往東南五省并允許地方 翻刻,翻刻本為木版本。翻刻本與殿本在樣式上非常相似,也稱為《武英殿聚珍版書》。 由於時代的動蕩與變遷,現存的《武英殿聚珍版書》多為散本。國內足本該叢書有多少 部,並沒有具體的統計。此外,韓國,日本,美國等國家也有不同數量的相關書本。 本論文的主要研究對象為韓國現存的《武英殿聚珍版書》,研究目的在於調查韓國現 存該叢書的數量及內容,分析相關目錄,了解叢書的購買時期和東傳的過程,以及明確該叢書對韓國產生的影響和意義。 韓國該叢書的收藏機構主要集中在韓國學中央研究院藏書閣,首爾大學奎章閣韓國 學研究院,韓國國立中央圖書館,東亞大學圖書館,全南大學圖書館,高麗大學圖書 館。韓國的現存本按版本分為聚珍版和翻刻木版本,其中以木版本居多,聚珍本主要藏於首爾大學奎章閣韓國學研究院。從內容來看,集部書比經史子各部的書數量上略少,並且現存本多為頁數相對較少的著作,袖珍本也較多。這主要受印刷效率,製作成本, 便攜性等方面的影響。此外,韓國還藏有兩本相關目錄,用途分別為購書清單和點檢用。 韓國現存本的購入時間上限為1774~1781之間。18世紀的朝鮮重視文化,這無疑 是該叢書購入過程中的的催化劑。1773年朝鮮使臣嚴璹與中國文人關於《四庫全書》筆 談記錄可視為《武英殿聚珍版書》話題的開始。朝鮮對《四庫全書》一直具有濃厚的興趣, 正祖曾下令購買《四庫全書》,此後林濟遠, 李鼎運, 沈能翼等人不斷向朝鮮報告《四庫全書》的消息。此外,李德懋也向中國文人潘庭筠尋求過《武英殿聚珍版書》的目錄。 《武英殿聚珍版書》流傳到朝鮮后產生了重要影響。正祖下曾令按《武英殿聚珍版程 式》中的木活字製作方法製作生生字和整理字。此外,還有私人製作的金陵聚珍字等。與此同時韓國現存的兩本目錄也具有重要的意義,並且得益于該叢書的朝鮮東傳韓國的 藏書也更加豐富。 武英殿은 明代 永樂年間(1403-1424)에 설립되어 한 때 정치권력의 중심이 되었던 기관이다. 清代 康熙年間(1662-1722)에 武英殿書局이 설립되어 문헌 간행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康熙四十年(1701)이후, 무영전에서 대량의 도서를 간인하기 시작 하였다. 乾隆三十七年(1772)에 『永樂大典』의 佚書, 각 省의 採集本, 무영전 간본을 수집하여 『四庫全書』를 편찬했다. 『사고전서』는 양이 방대해서 모두 撰修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판본이 드문 판본과 『영락대전』의 일서부터 먼저 간인하였다. 간인 작업은 乾隆三十八年(1773)에 시작하여 嘉慶八年(1803)까지 138종의 책(목판본 4종, 목활자본 134종)을 인출하게 되었다. 이 138종 책을 『무영전취진판서』라고 한다. 『무영전취진판서』는 淸內府에서 시행한 목활자 인쇄 중 규모가 제일 큰 인쇄활동의 결과물이다. 중국 목활자 인쇄사와 典籍 보존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후 중국 일부 지방의 출판사에서도 번각하였으며, 모두 목판으로 인쇄했다. 번각본 총서와 무영전본 총서의 양식이 많이 닮아서 내부의 인쇄분이 內聚珍本, 번각인쇄본은 外聚珍本이라고 한다. 하지만 淸代의 멸망과 사회의 변동 때문에 『무영전취진판서』가 많이 흩어졌다. 지금까지 완질의 총서가 얼마나 현존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무영전취진판서』는 중국 외에도 한국, 미국, 일본 등 몇 몇 나라에서 확인된다. 본 연구는 한국에 현존하는 『무영전취진판서』를 대상으로 삼았다. 現存本의 내용과 수량 및 판본을 조사하고, 『무영전취진판서』 관련 서목의 역할과 총서의 구입 시기 및 전래 경로를 규명하며, 이 총서가 한국에 끼친 영향과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 『무영전취진판서』의 주요 소장처로 확인된 곳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동아대학교 한림도서관,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이다. 현존본을 판본으로 분류하면 취진본과 목판본으로 나뉜다. 또 취진본은 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經·史·子·集部의 책은 다 있고, 集部 책의 수량은 經·史· 子 각 部의 책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또 現存本은 모두 冊數가 상대적으로 적은 책이고, 奎璧本도 많이 있다. 이유는 인쇄의 효율성, 제작비용, 편의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는 『무영전취진판서』 관련 서목이 두 종 있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두 서목의 역할은 각각 購書單子와 點檢用이다. 한국에 현존하고 있는 『무영전취진판서』의 구입 시기 상한은 1774~1781 사이이 다. 18세기, 문화를 중시하는 사회배경은 『무영전취진판서』 구입하는 데의 촉매 역할을 했다. 1773년, 조선 사신 嚴璹가 중국문인과 한 『사고전서』 관련 筆談 기록은 조선 『무영전취진판서』 얘기의 시작으로 이후에도 조선은 『사고전서』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정조는 명을 내려 『사고전서』를 사게 했고, 林濟遠, 李鼎運, 沈能翼 등이 계속 『사고전서』의 편찬 소식을 전했다. 李德懋도 중국 문인 潘庭筠에게 해당 서목을 구한 적이 있었다. 『무영전취진판서』의 조선 전래 후에 『武英殿聚珍版程式』의 활자제작방식이 生生 字와 整理字의 제작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개인이 활자를 제작할때 취진이라는 용어가 수용되기도 하였다. 또 장서각에 소장된 서목은 구서단자로써그 당시에 수입책의 가격을 파악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규장각 장본은 총서본의 판본, 완질인지 낙장본이지 확인하는 데에 가치가 있다. 그리고 『무영전취진판서』 의구입으로 인해 한국의 중국저술의 장서가 풍부하게 되었다.

      • 門中古文書 디지털 아카이브 구현 연구

        김하영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looked at the historical document and knowledge information approaches and utilization plans in order to enhance the use of digitalized historical document materials and accelerate th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association of various konwledge elements. The ‘historical document,’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data investigated and collected from the families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for about thirty years by Jangseogak (藏書閣) Archiv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s the lives of kinsfolk are recorded in these documents, members of the kinsfolk are the subject in producing the documents and also has status as the object. In the first place, I analyzed th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ical Document Center(韓國學資料센터)’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is our representative digital archive of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present new approaches to historical document studies that might be used to reach the truth of the life of kinsfolk by unfold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document more clearly. Based on this, this study set individual kinsfolk as unit of service model for presenting the correlation between members of kinsfolk and historical document data. For the purpose of studey, I chose ‘Bunjaegi(Property Records or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 which is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of pedigree among various genres of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 kinsfolk as primary data of this study. An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t the historical document from the 'Ocheon family'(烏川家) of ‘Gwangsan Kim Clan'(光山金氏) which occupied the most in Bunjaegi documents. I made an intensive analysis of 27 documents from Kim Mu(金務) to Kim Gwanggye(金光繼), grandson of Kim Hyoro(金孝盧) - eight generations - and drew database design plans for linking the information of members of kinsfolk with historical documents. As a result, the ontology consisted of six classes such as person, official institutes, historical document, inheritance, slave, and land -content factors appearing in historical document. And as semantic elements that are the connecting nodes of semantic relation network, five node data - person, official institutes, historical document, inheritance, and slave, - were set and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individual nodes, for example, between persons, between documents, and between slaves was expressed with previously defined rela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 between document-person, between person-inheritance, between inheritance-document, between slave-inheritance, and between slave-person were also defined depending on the rule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appropriate database for implementing semantic web. And then,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s, relation network database was implemented using the graph database management software (Neo4j). The visualization data presented as a result of a series of the database compilation suggests that the knowledge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can be linked and expanded, revealing new meaning in the data relation network without limiting to media in which it was originally contained. 이 연구는 문중 소장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발전적인 모델을 보이기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고문서의 디지털 사본을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고문서의 외형을 보일 뿐 아니라, 그 내용을 분석하고 새로운 지식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 정보 아카이브의 실험적인 모델이다. 연구의 대상자료인 ‘고문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이 30여 년에 걸쳐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 門中으로부터 조사·수집해 온 자료들로, 고문서 안에 문중의 삶이 기록되는 과정에서 문중 구성원들은 고문서 생산의 주체이자 객체의 지위를 갖게 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고문서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문중의 삶의 실체에 도달할 수 있는 고문서 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먼저 대표적인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고문서자료관’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료로는 다양한 장르의 문중 고문서 중에서도 가장 밀도 있게 가계(家系)의 인적 정보와 결부되어 있는 문서인 ‘분재기류’를 선정였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문중 고문서 가운데 분재기류의 비중이 큰 ‘광산 김씨 오천가’의 고문서와 그 문중 가계 정보의 기록인 ‘光山金氏族譜’를 연구 대상으로 하되, 분재기류 문서 중 김무(金務)로부터 김효로의 손자 김광계(金光繼)대까지 8대에 걸친 27편의 문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문중 구성원의 가계 정보와 고문서의 연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인물, 관부, 문서, 재산, 노비, 토지로 구분된 6개의 클래스(Class)와 그 클래스에 속하는 개체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할 수 있는 관계(Relation) 서술어, 개별 개체의 성격을 보이기 위한 데이터 속성(Attribute), 관계성의 성격을 보충해서 설명하는 데 필요한 관계 속성(Relation Attribute) 등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설계된 문중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톨로지에 따라 광산 김씨 오천가 고문서와 족보의 내용을 디지털 지식 정보 데이터로 편찬하고, 이를 통해 이 데이터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문중 고문서 온톨로지는 광산 김씨 오천가 문중 고문서뿐 아니라 유사한 성격의 문중 고문서를 정보화 할 때에도 데이터 모델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계화된 데이터는 시각화 기능을 지원하는 소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로 전환될 수 있고, 그러한 방법으로 데이터 관계망 속에 담긴 의미를 더욱 용이하게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고문서를 중심으로 전통시대 문화 연구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正祖의 御製統治文書 硏究

        문보미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34287

        본고에서는 정조가 국왕의 자리에 올라 統治를 목적으로 御製한 문서와 公文書 制度 개편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정조가 재위 기간 중 국정 운영을 위해 지배의 장치로서 문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국왕이 지향한 국정 운영 이념이나 의지는 그 뜻을 담은 문서가 연쇄적으로 생성되고 전달됨으로써 조선 사회에 실현될 수 있었다. 국왕의 통치와 문서 사이 긴요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조선시대 국왕 통치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국왕의 문서에 대해 본격적으로 조명되지 않았다. 이에 정조가 국정 운영에 활용한 綸音, 傳敎, 諭書, 敦諭, 封書, 批答, 判付 7종 류의 御製文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Ⅱ장은 정조가 구축한 문서 체제에 대한 이해의 장이다. 조선시대 公文書 운영의 흐름에서 정조의 독특한 문서 운영 양상을 포착하였다. 조선의 공문서 운영 제도는 『經國大典』에 문서 행정과 문서 서식의 두 분야로 나뉘어 규정되었다. 조선의 국왕들은 이 문서 운영의 대원칙을 대체로 유지하였다. 정조대 편찬한 『大典通編』과 『典律通補』에서 문서 행정 규정이 추가되고 서식을 규정한 문서 종류도 두 배로 증가하였으나, 대부분 정조 이전의 역대 국왕 때 발생한 변화를 정조가 종합적으로 법전에 명시한 결과이다. 주목할 것은 정조가 추가한 문서 행정 관련 법조항이다. 자신이 신설한 奎 章閣에서 중앙과 지방 기관에 보내거나 받는 문서 종류를 규장각 아문 급보다 높여 특정하였다. 이미 정조는 지방에 대한 규장각의 직접적인 문서 운영이 가능하도록 명한 바 있어 규장각을 통해 기존 공문서 운영 체계에 변화를 도모하려한 정조의 의지가 반영된 조항으로 풀이된다. 정조는 문서에 관한 법제도 차원의 정비보다 수시로 지침을 내려 문서 체제 조정에 개입하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節目과 같은 시행 세칙 마련을 주문 하고 기관의 문서 운영 원칙을 官署志에 수록하여 제도화하는 작업이 잦았다. 또한 단호한 처벌을 통해서라도 국왕의 명령이 관원들에 의해 적합한 격식을 갖춘 문서로서 차질 없이 구현될 수 있는 문서 체제를 기대하였다. 정조는 국왕을 정점으로 한 체계적인 문서 행정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국가의 체모와 기강을 바로잡는 길이라 여겼다. Ⅲ장에서는 정조가 문서 제도를 새로운 방식으로 구축해 가는 한편, 통치를 위해 각 수취자에게 지어 보낸 적합한 격의 御製文書에 대해 살펴보았 다. 관료 기관에 대해 직접적인 행정 행위를 유발시킨 문서로 傳敎와 判付 가 있다. 傳敎는 정조가 해당 수취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명령·지시·고지·선포 등의 내용이 이행되도록 행정 조직의 수장으로서 명할 때 사용하였으며 判 付는 기관에서 올린 보고 문서에 대한 허가 여부를 승인할 때 사용하였다. 이들 문서에는 국왕의 명령 이후 제대로 문서화하여 발급하지 않을 경우 처벌되는 행정 강제력이 있었다. 한편 기관이 아닌 개별 신료나 백성에게 보낸 문서들은 국정 운영의 동반 자로서 신료를 우대하거나 백성의 의사까지도 수용하려는 君父로서 정조의 면모를 보여준다. 사직하려는 신하를 만류하기 위해 특별히 御製하여 보낸 諭書, 敦諭, 批答은 자신을 보필할 신하를 설득하기 위해 정성을 기울이는 군주의 모습을 보여준다. 綸音은 정조의 정책 방향이나 국정 운영 의지를 자신의 언어로 지어 해당 신료나 전국에 공표하는 데 사용하였다. 封書는 자신을 대신하여 각 지방의 백성들을 찾아가 慰撫하고 민정을 살피도록 御史에게 내린 문서이다. 기관의 보고 문서에 대한 응답을 判付로 하였듯 신료가 의견을 진달한 문서에 대해서는 批答으로 응하였는데 단순 가부를 승인하는 것이 아니라 신료 의견에 대한 국왕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알려 주는 데 사용하였다. 정조가 백성에게는 특히 諺解綸音이나 문서 형태의 綸音을 대량으로 간행 하고 배포하여 민생에 대한 정책과 열의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국정에 대한 지방민의 의견을 구하기도 하였다. 이에 부응하여 지방에서는 上疏로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였고 정조는 그들에게 批答을 御製하여 보냈다. 관료 조직, 신료와 백성까지 각 구성원들과 직접적인 소통매체로서 御製文書를 적극 활용한 것이다. 신료나 백성에게 보낸 御製文書는 기관에 내린 문서와 달리 수취자가 국왕의 의지대로 시행해야 할 의무는 없었다. 정조의 의사에 반하여 신료가 사직 의사를 재차 피력하거나 수취자가 문서로 호응하지 않더라도 처벌이 따르지는 않았다. 일방적 명령이 아닌 설득용이나 포고용 성격을 가진 행정 강제력이 약한 이러한 문서를 정조가 골몰하여 직접 짓고 지속적으로 보낸 것은 신료를 禮로써 존중하고 국정 운영에 백성을 배제하지 않는 포용적인 정책 방향을 전한 메시지로서 이해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정조가 御製文書를 활용하기 위한 핵심 기구로서 운영한 奎章 閣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규장각은 문화교육기관으로서 주로 주목받아 왔는데, 규장각 업무 중에는 상시적으로 정조의 御製를 정리하는 일도 포함 되었다. 閣臣들은 諭書나 祭文 등을 代撰하였고, 綸音을 편찬하고 간행한뒤 ‘奎章之寶’를 날인하여 지방까지 반포하고 그 결과를 보고 받아 御製의 생산과 사후 관리에 규장각이 거점 기관으로서 작동하였다. 그 배경은 閣臣이 중앙의 고위 기관에서 직접 국왕에게 아뢰는 啓辭를 포함한 중앙기관에서 사용하는 행정 보고 문서는 물론 지방을 관할하는 監司 가 사용하는 狀啓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규장각의 閣臣은 告身과 敎書의 문서 서식을 섞어 정조가 새롭게 만든 閣臣敎旨를 받아 임명 되었고, 정조의 각종 우대를 받으며 주요 국책 사업을 주도적으로 맡아 수행 하였다. 閣僚들은 정조의 御製文書를 받아 각 지역으로 慰諭使나 暗行御史 로 파견되어 활동하였다. 정조는 抄啓文臣도 직접 선발하여 양성하였는데, 국왕의 국정 운영 방향을 숙지한 그들도 御製文書를 받아 御史로 파견되어 정조의 국정 의지를 실질적으로 구현시켰다. Ⅴ장에서는 정조가 신설한 군사 조직 壯勇營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어제문 서에 대해 살펴보았다. 1793년 壯勇內營과 壯勇外營으로 분리하고 水原府를 留守府로 승격시켰으며 같은 날 外營을 水原留守府에 주둔시켰다. 壯勇外使 는 水原留守가 겸임하게 하여 전혀 다른 성격의 두 조직이 한 사람에 의해 통솔되도록 하였다. 정조는 이후 傳敎를 내리고 관련 節目을 제정하게 하여 留守 임명 절차, 水原留守와 壯勇外使가 문서에 사용하는 인장, 壯勇內營과 外營이 주고받는 문서, 水原留守府와 대내외 부처 간 사용 문서, 水原留守가 중앙에 대해 보고할 때 사용하는 문서 등을 규정하였다. 내용에 따르면 수원부에서는 중앙에 狀啓로 보고하도록 하여 문서 체계상 지방의 監司 급에 해당하는 문서 행정을 할 수 있었다. 동시에 수원유수의 품계에 따라 중앙과 지방의 문서 체계 지형에서 壯勇外營의 위상에 변동이 가능할 수도 있었다. 壯勇外使를 임명할 때 정조가 직접 手決을 하고 ‘施命之寶’라는 御寶를 날인한 傳令을 사용하였다. 전례 없이 독특한 양식의 任命傳令으로서 閣臣 敎旨처럼 정조의 특별한 관심에서 생성된 임명 문서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수원유수는 수원부의 행정 조직 장관이자 行宮整理使와 壯勇外使를 겸임하 였고, 지방 조직의 수장인 京畿道觀察使와 중앙의 핵심 아문인 備邊司 堂上 을 겸하여 京官職 업무도 수행하였다. 이러한 막강한 지위에 정조대부터 고종대까지도 규장각 閣臣을 역임한 인물을 상당수 임명하였다. 수원유수로서 정조에게 아뢰는 경우 巡營을 거치지 않고 狀啓를 올릴 수있는 권한이 있었고 국왕의 지시는 有旨로 발급받았다. 규정과 운영상 수원 유수의 문서 활동은 정조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京官職이 아닌 外官職이 사용하는 문서였다. 반면 壯勇外使로서는 중앙 아문에서 사용하는 啓辭와 草 記와 같은 문서로 아뢰었고 정조는 諭書를 내렸는데 두 경우 모두 別諭로서 시행하도록 명하기도 하였다. 지금까지 정조의 국정운영 방식은 주로 朋黨政治, 蕩平政治 혹은 문예군 주나 학자군주 면모를 강조한 學問政治, 文化政治와 같은 개념에서 추상적 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왕의 통치에서 문서의 중요성이 환기되고 문서의 다양한 효력과 기능을 조명하는 연구가 지속되어 문서 자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국왕의 국정 운영 방식과 실질적인 양상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바란다. This paper studies Eoje(御製) written by King Jeongjo(正祖) of Joseon Dynasty. Despite the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s rule and the documents, the king’s documents has not been analyzed in earnest. Thus, I focus on seven types of King’s Writing Imperial written by Jeongjo himself : Yuneum(綸音), Jeongyo(傳敎), Yuseo(諭書), Donyu(敦諭), Bongseo(封書), Bidap(批答), Panbu(判付). First, I look at the document system that Jeong-jo had maintained. Jeongjo generally abided by the offical document regulations in the code used until the previous King. However, only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ffical document used by the Kyujanggak(奎章閣) newly established by Jeongjo changed in the code. Based on the new document system, Jeongjo actively used King’s writing Imperial(御製文書) to operate the state. He sent Jeongyo and Panbu to the bureaucracy to show the king’s strictness as the head of administration. He also sent Yuneum, Yuseo, Donyu, Bongseo, and Bidap to the individual vassals and people. Jeongjo actively used Kyujanggak to utilize King’s writing Imperial. When Jeongjo informed his idea to Kyujanggak, Kyujanggak made King’s writing Imperial and informed it to the public institution and local people. Jeongjo created a military organization called Jangyongyoung(壯勇營) in Suwon(水原). Jeongjo allowed Jangyong -young to use the documents which used by senior officials to report to him. Eventually, Jeongjo ruled the kingdom based on the official document system and sent King’s writing Imperial to the bureaucracy, the vassal, and the people. This study shows that Jeongjo had sufficiently informed his opinions and accepted opinions of various members of society by using King’s writing Imperial. This is Jeongjo’s unique style of governance.

      • 발해 지역 호무스의 유래와 역사적 의의

        파히리든 키,쿠트비디노바 모히라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논문은 발해 지역에서 출토된 호무스의 유래와 활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해 유적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 과정에서 호무스의 발견은 이미 언론과 학계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다. 이는 호무스가 그 자체로 서역과 중앙아시아의 사이에 많은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단서를 가진 유물로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호무스가 어떠한 악기인지 잘 알지 못하고, 이것이 왜 서역과 유라시아 지역의 교류를 추정하는 단서가 되는지도 피상적으로만 접하고 있을 뿐이다. 해당 악기 유물은 서역부터 유라시아 나아가 발해 지역까지 분포해 있을 정도로 유명하고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이름이나 기원에 대해서는 무수한 견해가 혼재한다. 또한, 문화유산을 찾아 호무스에 대해 탐구할 때에도 참조 자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기록 자료조차 적다. 유럽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호무스에 대해서 알고 있고 검색을 통해 쉽게 호무스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왜 한국에서는 호무스가 발굴된 사례가 적고 이 악기의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일까? 이에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호무스에 대한 정보를 한국학계에 제공하고, 나아가 발해 유적으로서의 호무스에 대한 의의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바는, 호무스를 탐구한 일반적인 역사자료나 고고학 자료를 가지고는 찾을 수 없다고 사료된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연구된 호무스 관련 유럽, 아시아 한국 논문들을 통해 호무스 명칭 및 분포를 파악하고 호무스 종류와 활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무스가 어느 나라에서 발견되었고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어느 시기 호무스인지 꼼꼼히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발해 지역의 호무스 현황과 특징 및 발해 지역 호무스 전파 경로와 사용 집단을 검토하고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추론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힌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자는 향후 한국학계에 호무스에 관한 연구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 한국학계의 통용되고 있는 ‘바르간’이라는 명칭을 ‘호무스’로의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많은 명칭 중에서도 호무스가 가장 일반적이며 보편적인 명칭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제목에서 바르간이 아니라 호무스라 칭한 것 또한 이런 연유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호무스는 북방 유목민들의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파 루트도 주로 북방유목민을 통해서 발해까지 도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우선 유럽에서 발견된 최초의 호무스가 북유럽 스웨덴 웁살라에서 발굴된 호무스라는 점, 호무스와 관련된 전설의 주인공과 배경이 곰, 숲과 같이 북방유목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셋째, 호무스가 악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고난 극복에 도움을 주는 종교적인 물품이었으며, 제사와도 관련된 사실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호무스 관련 전설의 주요 내용과 야쿠티아와 중앙아시아에서 활용되는 호무스의 용도임을 밝혔다. 넷째, 발해 지역에서 나온 호무스는 유목민들이 사용했던 호무스와 모양 면에서 유사하고, 호무스 발굴지역도 한결같이 발해의 도성 지역이 아니라 북부의 외각 지역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발해의 호무스가 중국(당)을 통하여 들어와 전파된 것이 아니라 담비의 길을 통해서 발해 지역에 도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담비의 길을 통해 호무스를 발해까지 전파하고 활용했던 집단이 소그드 집단이라는 추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한 정황을 추가했다. 호무스가 집터에서 발굴된 점, 그에 반해 그 수량이 매우 적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는 발해 지역에서 호무스를 사용한 소그드인은 발해와의 교역을 위해 일정 기간 발해에 거주했고, 이때 소그드인들이 발해 지역에 호무스를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 호무스는 소그드인들의 먼 여행길의 두려움과 향수를 달래 주는 역할을 하는 물건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관련 기록과 자료가 너무 부족해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논증하지 못하고, 많은 부분이 추정으로 구성된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origin and utilization of homus excavated in Balhae region. In the process of excavating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Balhae ruins, Homus's discovery has already been mentioned constantly in the media and academia. It shows Homus itself is drawing attention as a relic with major clues that show that there has been appreciably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Central Asia. However, many people in Korea still do not know what homus is, and they only have a superficial knowledge of why it is a clue to the exchange between West and Eurasia. The musical instrument relics in question are well-known enough for decades to be distributed from West Station to Eurasia and Balhae;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views on their names and origins. In addition, there is not only a lack of reference but there is also a lack of official archives when exploring homus in search of cultural heritage. In Europe, most people know about Homus and they quite easily access its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why are there few cases in Korea about the excavating of homuses and most people are not aware of its existence? In respons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omus to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and further clarify the significance of Homus as Balhae ruins. However, This study realized the situation that it is not able to find with general historical or archaeological data that explored Homus. In response, it identified the name and distribution of homus through the European and Asian Korean papers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and confirmed the type and utilization of homus. It also scrutinized in which countries, for what purposes and when it was utilized. Based on these, the status, characteristics, route and use of homus in Balhae region were reviewed, also the historical significance was inferred. The main conclusions exp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reduce the confusion of research on homus in the future, I proposed changing the name 'Bargan', which is widely used in Korean academia, to 'Homus'. It is since Homus is the most commonly used name among other academia. The title of this study, not Bargan, but Homus, also stems from this reason. Second, in this study, homus is the meaningful part of the culture of northern nomads, and the road through which it spread and reached Balhae was also mainly through Northern nomads. The rationale for this claim is that the first homus found in Europe was in Uppsala, Sweden, northern Europe, and the protagonist and background of the legend related to homus, such as bears and forests, are related to Northern nomads. Third, Homus was a religious item that helped overcome hardships by its function as an instrument, and it is also related to ancestral rites. Based on these, it revealed the main contents of Homus-related legends and the use of Homus in Yakutia and Central Asia. Fourth, homus from the Balhae area is similar in shape to homus used by nomads, and the homus excavation area is not a capital area of Balhae but an outer area of the north. It indicates that the Homus of Balhae did not enter through China (Dang) nor spread neither, but reached the Balhae area through the path of Dambi. Fifth, more detailed circumstances added to the assumption that the group that spread and utilized homus to Balhae through Dambi's path was the Sogd group. It took into account that Homus was excavated from the site of the house, while the quantity was inconsiderable. This study finally assumes that the Sogdians left homus in Balhae as, at that time, they lived there for a while for trading purposes with the local people of Balhae. Additionally, it regards homus as a soothing object for the Sogd people's fears and nostalgia of a long journey. Despite this study's academic effort, this paper reveals that the lack of related records and data is too insufficient to argue based on accurate evidence moreover its many parts are still particularly limited in that they consist of estimation.

      • 중앙아시아와 한반도의 유목적 트랜스문화주의 역사적 고찰

        샤무라토바 구잘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4 국내박사

        RANK : 234287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each hav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but both regions have been influenced by nomadic transcultur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exchanges and changes formed through histor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nomadic peoples of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Central Asia formed a complex cultural ident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civilizations due to the mobility and multicultural fusion of nomadic peoples. These trans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vident in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along the Silk Road. The Korean Peninsula also experienced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rough interactions with nomadic peoples. In particular, ancient states such as Gojoseon, Goguryeo, and Balhae were influenc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rade, technology, and ideology through interactions with Central Asia.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nomadic transculturalism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two regions, and through this, reexamin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diversity and interaction in modern society. It suggests that the historical cases of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can serve as examples of cultural fusion and interaction in today’s globalized world.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context of nomadic transculturalism in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Central Asia is a region that has experienced diverse cultural fusion due to the mobility and exchange of nomadic peoples for a long time. It has also actively interacted with various civilizations through the Silk Road. Such cultural exchang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complex identity of Central Asia. Meanwhile,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fluenced through contact with Central Asian nomadic peoples since ancient times. Ancient Korean states such as Gojoseon, Goguryeo, and Balhae achieved economic,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rade and cultural exchange with Central Asia.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nomadic transculturalism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It examines what implications such interactions have for cultural diversity in modern society and cultural fusion in a globalized worl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significant as important case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interaction today. 최근 기후 변화와 팬데믹으로 자연이 만들어 낸 영토나 사회가 만들어 놓은 일상이 변화하면서 디지털 노마드라는 새로운 일상이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노마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집에서 근무를 하면서도 중앙아시아 유목민처럼 국경을 넘나들면서 유목생활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특히 우즈벡 카라칼팍스탄 자치공화국과 고구려 후손인 한국이 공유하는 유목문명을 유목적 트랜스문화주의라는 이론틀로 분석한 연구이다. 양 국가는 오랜 세월 검은 머리 말갈(黑首靺鞨, 粟特靺鞨)족으로 불리며 말들이 달리는 초원의 길을 중심으로 한겨레로 이어진 국가이다. 또한 부하라 사마르칸트 일대에서 세계에 알려 진 소고드 상인들은 11-19세기 송도상인의 등장 이전인 7-8세기 해동 성국 발해를 통하여 일본으로 들어가 일본내의 기업가 문화(Sogdian Entrepreneurship)를 개척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고대 국가 건립과 행정 도시 그리고 국가 지도자 옹립에서 서로 유사한 스토리를 공유한다. 또한 우랄 알타이 어족으로 소리글자를 사용하는 양 국가는 19세기 근대 국민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에 언어, 정치, 경제, 문화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해온 소중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19세기 유라시안 대륙 세력과 영국, 네덜란드, 일본 등 해양 세력이 충돌하면서 유라시안 유목민족들이 개발해온 경제 문화의 교류 유산이 제국주의 시대와 냉전시대를 통해 사라졌다. 이로 인하여 유라시안 대륙 내에서 인접 국가에 대한 통합보다는 갈등이 조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20세기 중 후반부터 발굴된 소그드 고문서와 주전 화폐를 중심으로 우즈베키스탄의 영토가 중앙 아시아 역사상 최초의 도시 비즈니스 문화와 국가 전통에 의해 형성된 지역이라는 사실과 고려 중세 시대 개성상인들의 국제 교역 자료를 연결시켜서 중세 경제 혁명의 주체가 중국 송나라가 아니라 유목민의 후예인 중앙아시아와 한반도에서 일어난 경제 혁명인 것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