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분석 및 융복합 교육 방향성 연구

        강민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 대학 무용학과를 비롯한 타 학과들은 심각한 정원 미달 사태를 겪고 있으며 지방대를 중심으로 신입생 정원 축소, 학과 통폐합, 폐과 등 대학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기에 직면한 국내 대학들은 변화하는 시대를 인지하고 대학 교육혁신을 선언하며 앞으로의 교육환경에서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융복합 교육으로 학사제도를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21세기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의 사회 진출을 할 수 있도록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무용학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전국 31개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과과정 심층 분석을 위해 그 중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총 11개교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한의학 트랙, 전공트랙제도, 전공인정과목(연극뮤지컬전공), 진로개발로드맵 CDR, 자기설계융합전공, 기술-예술 융합예술학, 융합문화예술대학, 융·복합전문인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현재 국내 대학 무용학과는 기존의 교육방식과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융복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각 대학의 특성에 맞춰 무용과 타 분야를 융합한 여러 교과목들이 개설되어있지만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융복합 교과목 수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국내 대학 무용학과가 직면한 문제들을 융복합 교육을 통해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예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예술영역 자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첫째, 무용 전공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전공자들이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교과목을 세분화해야 한다. 이는 전공자들이 다양한 영역으로 개인 활동 창출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재구조화하여 무용의 특수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4차산업의 기술발전과 학제 간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무용학과와 과학기술 관련 학과와의 협동을 통해 전공 간의 학문 지식을 공유 및 연계하여 과학기술의 기초적 활용법과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무용은 내부감각 및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예술적 즉흥성, 창의적 표현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학문이다. 예술의 창의적 표현(무용)과 과학적 특성(과학), 심리적 접근(심리학)을 통합하여 정신건강과 치료를 돕는 학과 간, 학문 간의 융복합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예술이 치료의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는 교과과정 개발을 통해 무용이 의·과학적으로 시야를 확장해야 한다. 넷째, 현재의 문화예술영역은 순수 창작활동의 범주를 넘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문화산업의 콘텐츠이다. 예술적 교류 및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산업 영역, 문화예술경영으로서의 무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연구

        김현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김현주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8종의 교과서 중 창작영역에 관한 내용을 교육과정 창작영역의 내용과 비교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8종 교과서 수록 내용을 분석한 결과 그 백분율은 가창 34.13%, 감상 25%, 이해 20.13%, 기악 8.38%, 창작 8.25% 순이었는데 이는 가창, 감상, 이해 부분의 내용과 기악, 창작 내용의 비율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각 영역의 균등한 교수-학습 구성에 적합하지 않은 비율이라 하겠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학습요소인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여러 유형으로 변주하기, 형식에 맞춰 가락 짓기, 음색을 선택하여 표현하기, 지은 곡을 듣고 평하기의 내용이 각각 교과서마다 대체로 고르게 수용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교과서가 있었고, 특히 음색을 선택하여 표현하기는 세광출판사와 현대출판사를 제외한 6개의 교과서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그리고 각 교과서마다 ‘여러 유형으로 변주하기’는 전통음악 변형장단 만들기의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즉흥적으로 표현하기’는 ‘메기는 소리를 즉흥적으로 표현하기’의 내용이 주를 이루어서 이 두 영역은 다양한 학습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학습요소 이외의 내용들이 수록되었는데 특히 ‘편곡하기’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수록되어 있고, 이는 창작영역 학습의 접근 방법으로 좋은 효과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넷째, 창작영역의 활동이 다른 영역의 통합적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구 교육과정 교과서와 다른 점이었다. 특히 두산 판에는 ‘통합 학습’과 ‘영역별 학습’의 두 항목으로 나누어 편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8종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내용 및 특징을 대체로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로 평가되나 일부 교과서들은 몇 개의 학습요소들이 제외되었는가 하면, 수록 내용도 타 영역보다 미흡함이 있어 현직교사로 하여금 보완하고 재구성하여 교수-학습 안을 구성하는 후속 조처가 요구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mposition of Music Presented in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Dept.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University Kim, Hyoun-ju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in the field of the composition of Music presented in 8 High School Textbooks and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make us reach this conclusion: First, the percentage of the contents in 8 High School textbooks are 'singing songs 43.1%, appreciation 25%, comprehension 20.13%, instrumental music 8.38% and composition 8.25%. This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field of singing, appreciation and comprehension, and that of instrumental music and composition. And this also shows an inadequate percentage in the sense of synthetic music education. Second, 'extempore expression', 'change of rhythm in various style', 'making melody according to regular rules', 'selecting tone to express', 'listening music composition and valuation', which are presented in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re evenly accepted in most textbooks, but not all. In particular, the field of 'selecting tone to express' is not presented in 6 textbooks except two publishing companies, Sekwang and Hyundai. And in all textbooks, 'change rhythm in various style' is mainly filled with the contents of 'change Korean traditional rhythm'. And 'extempore expression' is mainly filled with extempore expression of lead song, and these two fields don't present various ways of learning. Third, an arrangement, the conten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7th Edition is presented in most textbooks, which is helpful to study the field of composition. Fourth, in many cases, composition is presented as a synthetic music activity, and this is different from former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s. In particular, 'Dusan's textbooks divide the content into synthetic study and spherical study. The study of 8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7th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that most textbooks reflect the right path of reform and characteristic of the 7th Edition, but a few don't reflect all the studying points, and the contents of some textbooks are not satisfactory. So it is recommended for the teachers to rearrang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parts.

      •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10학년을 중심으로

        이재국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10학년을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이재국 10학년「도덕」교과서 분석에 있어서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 학습 단원에 있어서 동일 인물이 편성되고,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똑같이 편성되어 현재 고1, 중3 학생들은 똑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접하게 된다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입안과 추진에 있어서 장기적인 안목에 의하여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의 본문의 용어들이 학생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고 추상적이며, 지적 용어들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집필과 심의에 있어서 현장 교사들의 참여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주당 1시간의 수업 분량에 비해 너무 많은 양이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제6차 교과서에서는 수업 1시간 분량이 평균 4.1페이지인 반면, 제7차에서는 5.8페이지이고 판형이 확대됨에 따라 양이 많아 졌으며, 심화 보충학습 자료로 어려운 용어가 무분별하게 제시되어 있다. 고등학교의 현실 상 입시 위주의 교과서 중심이 되고 있으므로 학생 수준에 맞는 교과서 보급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 성공적인 도덕 교육을 위해서는 앞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도덕 교과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도덕과 교과서를 도덕과 교육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서, 도덕적 사고와 판단을 훈련하는 교과서로서, 도덕적 정서를 유발하는 교과서로서, 도덕적 행동을 실천하는 교과서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게 될 미래 사회는 지금껏 우리가 살아왔던 시대보다도 더 변화가 가속화되고, 다원화된 가치 속에서 대립과 갈등을 나타내는 경향이 짙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의 개선은 꼭 필요한 것이지만 정책 입안자들의 도덕 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일선 현장 도덕 교사들의 신념에 찬 열성적인 노력이 다양한 교수 매체로 전달될 때 살아 있는 교과로 제 기능을 발휘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seventh curriculum and text in Ethics Lee Jae Kuk Department of eth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Curriculum is an educational plan and contents in order to attain educational goals though plan of school. And It is changing to require social, political factors and realistic needs. For this reason, Curriculum has revised to seven times since liberation. The curriculum of Ethics also has revised to the Seventh Curriculum in Ethics according to the need out of and in the course of it, revising the general principles. As a plan to guide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 text is the best material that is intended to present basic idea and to appreciate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venth and sixth curriculum based on the tenth grade text of Ethics. As a result, the following was found: First, it was reflected curriculum's content of the times' change well, second it was presented the various material of search, third it was progressed to accord the needs with new generation in the external change. But, this problem was presented to the deficiency of condition and an exceptional possibility in an optional course of organization and unplanned selection of the content. usage of difficulty word and an increase in a learning quantity. Though the faithful efforts the teachers of ethnics education, and solving the problems to have the ethnics education, ther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ethnic education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 in thesedays.

      • 實業界 高校와 專門大學間 컴퓨터 敎科 關聯 連繫敎育의 運營實態 및 改善 方案에 關한 敎員들의 認識 硏究

        윤여춘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實業界 高校와 專門大學間 컴퓨터 敎科 關聯 連繫敎育의 運營實態 및 改善 方案에 關한 敎員들의 認識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컴퓨터敎育專攻 尹汝春 본 연구는 학교간 컴퓨터 교과 관련 연계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계교육 운영과정, 교육과정, 컴퓨터 관련학과의 진학, 연계교육의 프로그램 등. 연계교육의 필요성, 현재실태, 문제점 및 연계교육 과정의 개선방안 등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계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요소에 대한 컴퓨터 교과 관련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사이에 교원별, 지역별, 교육경력별로 인식파악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계교육에 참여여부에 관련 없이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전국 각 지역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전문대학의 교수들이다. 교원별, 지역별, 교육경력에 중점을 두었으며,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전국 각 지역의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 회수 현황과 같이 질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253부, 전문대학의 교수 223부였고 총 476부중에서 불성실하거나 처리하기 곤란한 질문지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1부, 전문대학의 교수 6부를 제외하고, 실제 사용한 질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242부, 전문대학의 교수 217부 총 459부를 자료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계교육에 관련한 이론적 근거로 제시한 직업교육과정 자율운영, 연계교육을 위한 운영 체제, 직업교육의 방향설정을 참고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구안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현행 연계교육에 참여 여부에 관련 없이 컴퓨터 교과에 관련된 연계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내용,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 컴퓨터 관련학과에 진학과 재학에 관한 내용, 컴퓨터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 연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내용, 등 컴퓨터 교과를 지도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용과 질문지와 전문대학 교수용으로 총 각각 37 문항으로 되어 있다. 본 연구의 질문지 문항에 대한 응답의 결과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전체 및 집단간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교원별, 소재지별, 교육경력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 t-검증, ANOVA-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간 컴퓨터 관련 연계교육 운영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연계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교육경력 연수와 교원별 모두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특히 교육 경력이 많은 10년 이상 된 교원들이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요하다’는 항목에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242명 중 156명으로 64.5%와, 대학교수 총217명 중 136명으로 62.7%를 차지하여 교사들이 교수들보다 연계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높게 나타났다. 연계교육의 필요 분야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75명 중 ‘교육과정 연계운영’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07명으로 61.1%이고, 교수들 164명 중 105명으로 64.0%와 차지하여 교원간 ‘교육과정 연계운영’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242명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 항목 응답에 126명으로 52.1%와, ‘직업 기초교육 강화’ 항목 응답에 32명으로 13.2%로 나타났으며, 교수 전체 217명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 항목 응답에 97명으로 44.7%와 ‘직업 기초교육 강화’에 43명으로 19.8%를 응답하여 교수들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과 ‘직업 기초교육 강화’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간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은 질 높은 심층교육에 있다는 견해가 48.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 기초 교육 강화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13.6%는 전문대학에서 신입생 정원확보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연계교육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들 중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전체 242명 중 ‘교육과정의 개발’ 항목 응답에 111명으로 45.9%로 나타나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인적자원의 교류’에 있다고 나타나 교육 경력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전체 217명 중 ‘재정확보’에 70명으로 32.3%를 차지하여 교사와 대학 교수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교사들 전체 242명 중 ‘활성화 정책 부재’ 항목에 105명으로 43.4%이고 ‘프로그램 개발 부족’항목 응답에 93명으로 38.4%로 나타나 연계교육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활성화 정책 부재’와 ‘프로그램 개발 부족’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전체 217명 중 ‘활성화 정책 부재’ 항목에 75명으로 34.6%이고 ‘프로그램 개발 부족’ 항목 응답에 63명으로 29.0%로 나타나 교원별, 근무소재지별, 연계교육 ‘활성화 정책 부재’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교간 컴퓨터 관련 연계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컴퓨터 관련 교과 내용 중 중복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자수 총242명 중 대도시는 99명이고, 대도시 교사들 중 ‘많이 중복된다’에 응답한 교사들 중 45명으로 45.5%이고, ‘일부 중복된다’에 응답한 교사들 중 30명으로 30.3%로 전체의 75.5%로 나타났다. 한편 중소도시 교사들 중에는 ‘일부 중복된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이 84명으로 58.7%이고 ‘많이 중복된다’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26명으로 18.2%로 차지한 비율은 전체의 76.9%로 나타났으며, 교수들 중 ‘일부 중복된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이 168명으로 전체의 77.4%로 나타나 교원 모두 ‘일부 중복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많이 중복된다’에 71명으로 전체의 29.3%이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전체의 5명으로 2.3%에 불과하여 교원간 견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교육 경력별 연계교육의 교과내용의 중복 정도에 대하여 분산분석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유의 확률은 .001과 전문대학 교수들의 유의 확률은 .002로써 집단간 평균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관련 어느 교과가 중복되는가에 대하여 교원들의 인식조사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워드프로세서, 엑셀, 비주얼 베이직, 전자계산일반, 인터넷 기초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워드프로세서, 엑셀, 인터넷기초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컴퓨터 관련 연계교과목으로 적합한가에 대하여 교원들의 인식조사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웹디자인, 전자계산일반, 컴퓨터그래픽, C 언어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전산학개론, 비주얼 베이직, 인터넷 기초 및 활용, 컴퓨터그래픽, 데이터베이스 순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을 하게 될 경우의 문제점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학생간 기초실력 격차’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96명으로 39.7%이고 ‘실업계와 인문계 고교생간 적응도 격차’에 응답한 교사들 중 86명으로 전체의 35.5%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교수들 중 ‘학생간 기초실력 격차’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은 115명으로 53.0%와 ‘실업계와 인문계 고교생간 적응도 격차’에 응답한 교사들 중 78명으로 전체의 35.9%로 나타나 교원간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컴퓨터 관련학과 진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전문대학 컴퓨터 관련학과에 현재 재학률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 응답자수 총217명 중 재학률 ‘41~60%’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은 144명으로 차지한 비율은 66.4%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진학률은 ‘21~40%’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04명으로 차지한 비율은 43.0%로 나타나 재학률과 진학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교수들 중 학생선발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연계교육 체결학생 우선 전형’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151명으로 69.9%이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동일계 특별전형 입학제도’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19명으로 전체의 49.2%로 나타나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에서 학생선발 시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동일계 특별전형 학생 기피’와 ‘연계교육 체결학생 우선 전형 기피’에 있다는 교원간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업계열 추가에 대한 연계교육의 영향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전체 총217명 중 ‘영향을 줄 것이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12명으로 51.6%로 나타났고, 교사들 또한 ‘영향을 줄 것이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28명으로 52.9%로 조사되었다. 교원별 인식에 대한 t-검증 결과, t값은 -7.777이고 p값은 .000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두 집단간의 평균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평균은 1.8719이고, 전문대학 교수들의 평균은 2.6083으로써 실업계 교사들이 전문대 교수들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실업계열을 추가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계교육에 영향정도가 높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컴퓨터 실습 환경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기종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자수 전체 교사들 중 ‘Pentium Ⅲ’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48명으로 61.2%이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Pentium Ⅲ’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51명으로 69.6%과 ‘Pentium Ⅳ’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56명으로 25.8%로 조사되어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보다 전문대학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별 연계교육을 위한 컴퓨터 교육시설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적합하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68명으로 77.4%로 조사되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보통이다’ 항목에 124명으로 51.2%로 나타나 전문대학보다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시설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교육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기자재 관리 및 유지보수비 부족’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38명으로 57.0%이고 ‘소프트웨어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58명으로 24.0%로 전체의 82.0%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소프트웨어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110명으로 50.7%과 ‘기자재 관리 및 유지보수비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96명으로 44.2%로 조사되어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계교육의 프로그램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교원 상호간 정보교류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시간 부족’ 항목에 124명으로 51.2%로 조사되었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교류기회의 제공 부족’ 항목에 응답한 교수는 96명으로 44.2%와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시간 부족’ 항목에 응답한 54명으로 24.9%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연계교육을 전문대학으로부터 연계교육 지도를 받고 있는가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받지 않는다’ 항목에 167명으로 69.0%와 ‘지도 받고 있다’ 항목에 45명으로 18.6%로 조사되었고, 연계교육을 실업계 고등학교에 지도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지도하지 않는다’ 항목에 응답한 125명으로 57.6%와 ‘지도하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74명으로 34.1%로 나타나 학교간 연계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 중 연수교육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전문대학 교수들 전체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19명으로 54.8%이고 ‘실시하고 있다’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82명으로 37.8%로 나타났고, 교사의 전체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91명으로 78.9%와 ‘실시하고 있다’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41명으로 16.9%로 조사되어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 중 연수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중 연수교육 후 반응에 대하여 응답한 전문대 교수들 전체 93명 중 ‘반응이 좋았다’ 항목에 58명으로 62.4%이고, 응답한 실업계 교사 전체 41명 중 ‘반응이 좋았다’ 항목에 8명으로 19.5%로 응답하여 교사를 위하여 방학중 연수교육 후 반응은 교원간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컴퓨터 기자재 공동활용 여부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중 ‘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218명으로 90.1%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전체 중 ‘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64명으로 75.6%로 조사되어 학교간 컴퓨터 기자재 공동활용은 다수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 관련 연계하고 있는 교과목을 조사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인터넷기초 및 활용, 자료구조, 컴퓨터그래픽, 비주얼 베이직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전산학개론, 인터넷기초 및 활용, 비주얼 베이직, 자료구조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6) 연계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연계교육의 여러 프로그램 중 가장 중점적인 필요 요소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의 응답자수 총217명 중 ‘방학 중 특강’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38명으로 63.6%로 나타났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전체 242명 중 ‘연계된 교육과정 실시’ 항목에 응답한 173명으로 71.5%이고, ‘방학 중 특강’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33명으로 13.6%로 조사되어 연계교육 프로그램 중 어느 요소 중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에 대하여 교사들 중 ‘연계된 교육과정 실시’를 선호하였으며, 대학 교수들 중 ‘방학 중 특강’을 선호하여 두 집단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방향으로는 실업계 고교의 육성정책 강화와 컴퓨터 교육 제정 투자확대와 중복교과목 배제 및 심층적인 교육을 위한 연계교육의 제도적 지원정책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urrent Status between the Computer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d Its Improvement Yoon, Yeo Choon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T industry, the education related to computer needs sincerely to change the system and the method of education in order to educate experienced people. With the publication of legal support of professional educational training promotional rule and high educational enforcement's rule and ‘Educational reformation plan for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system (Ⅱ)’, associated actions between a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re being conducted together. But there have rarely been researches which operate successfully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oposed to improve the associated actions of the two school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of large cities or small towns participated in articulation program or not. A questionnaire as a survey instrument was transmitted and collected to the teaching population by visiting, mail or e-mail. After the data screening process, 459 responses including 242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217 teachers at technical colleges, were used for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using χ2-test, t-test, ANOVA-test statistics with the SPSSWIN 10.0 software program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t 95% Confidence interval as a significant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regardless of their position, place of residence or teaching history considered that the articulation program is needed. They recognized connec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is needed, but they thought the articulation program has not been practiced well insufficient of strategie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2.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an overlapping of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3. About forty-one to sixty percent of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of technical colleges were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preferred the special selection admission of same department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selecting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rticulation program for admission. 4. A matter of interest for the articulation program of the teachers was mostly mediocre, some of them were negative. 5. The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pu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actice environment. But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ne through a deficit of computer maintenance fee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have faced difficulties of insufficiency of software. 6.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adding vocational department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ill influence to the articulation program.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d more considering of the influence than those of technical colleg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1.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articulation progra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so it is needed to develop a successful articulation program with the teachers of both sides. 2.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an overlapping of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so it is needed to exclude overlapping subjects and to support a policy for profound articulation program. 3.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effort for computer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for the variation of consciousness in order to improve in the quality through the articulation program. 4. As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ne through a deficit of computer maintenance fee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have faced difficulties of insufficiency of software, it is needed for financial support. 5. In order to operate successfully the articulation program related to computer curriculum, we have to make efforts to systematize the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s to form the computer related subjects self-regulation. 6.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adding vocational department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ill influence to the articulation program. Therefore an activating policy for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not to turn the vocational education in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7. In conclusion, an administrative and a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for profound education and activating articulation progra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bove all. 8. The further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 deans of technical colleges regarding articulation program, as the final decision makers. The perceptions of them a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responses.

      • 자폐아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김화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자폐아 교육을 위해 부모가 자녀의 자폐 특성과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부모의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로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첫째, 자폐아 부모의 자폐 특성에 대한 인식은 자폐아 부모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폐아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은 자폐아 부모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폐아 부모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자폐 특성 7문항, 자녀교육 12문항 총 19문항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아 부모의 자녀 자폐 특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 및 시사점들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녀양육에서는 언어발달 지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의산만, 불러도 무반응이 그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의 부모와 중졸 및 자영업을 하는 부모가 언어발달 지체가 가장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자녀의 보유 특성에서는 동일성 고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집착에서 보는 기묘한 행동, 기계적 기억력, 동일성 고집 등의 모든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의견이 나타났는 데 이는 서경숙(2001)의 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 연령별로는 35세 이하가,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이, 직업에서는 회사원의 부모가 동일성 고집이 보유특성이라고 인식했다. 자녀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해서는 낮은 편이라고 인식하는 부모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에서 별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별로는 전문대졸이, 직업별로는 주부가 자녀의 인지능력 수준이 낮다고 했다. 자녀의 사회성 발달의 수준 및 발달에 대한 기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30세 미만 학력별로는 중졸이 직업별로는 주부가 잘 모른다고 인식하였다. 자폐아 특성 중의 일부인 장기 기억, 시어 망각, 애착 무반응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서 부모들은 연령별, 학력별, 직업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이를 자폐아 고유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폐아 부모들은 언어지체, 주의산만, 동일성 고집, 인지능력 수준, 장기 기억, 시어 망각, 애착 무반응 등을 일반적으로 자폐아 특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특정한 장소나 행동을 장기간 기억하는 것을 두고 가장 많은 부모들이 이를 자폐 특성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간혹은 특별한 능력이거나 높은 지능으로 인식하는 부모들도 있었다. 이는 어머니들이 자폐 유아가 간혹 어떤 일을 잘할 때 지능이 높다고 생각한다는 Wing(1974)의 주장이나, 자폐 유아가 특별한 재능이나 능력이 있으며, 표준화 검사에 나타난 결과보다 지적 능력을 더 많이 갖고 있다고 믿는다는 한홍석(1990)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자녀의 사회성 발달의 수준 및 발달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 상당수의 부모는 자녀의 사회성 발달의 수준 및 발달 가능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폐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부족 및 이해가 부족하다는 이상복(1998)의 연구와는 다르며, 따라서 자폐아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폐아의 사회성 발달은 자녀가 다른 사람과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향후 자폐아 부모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반드시 자폐아 사회성 발달에 대한 내용이 지속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자폐아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 및 시사점들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녀의 교육에 대한 인식에 언어·인지 발달에 관한 지식, 상호작용 방법, 놀이의 중요성, 문제행동 지도 방법, 다양한 서비스 제공, 식습관 지도 방법 등에 대하여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는 잘 알고 있지는 못하나 어느 정도까지는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이 낮거나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자폐아 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교육 방법에 대해 막연하게나마 어느 정도는 알고는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알고 있지 못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가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35세 미만의 기타 직업의 부모들은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한 반면 36세~40세의 자영업자 부모는 잘 모른다는 의견이 높았다. 이것은 학력이 낮은 36세~40세의 자영업자의 부모에게 더 많은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인지발달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는 반복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부모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가 하고자 하는 반응을 보일 때 지도해야 된다고 응답한 부모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이, 학력별로는 전문대졸 이상이, 직업별로는 자영업이 반복지도하는 것이 좋은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인지 발달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는 특수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40세 이상, 학력별로는 고졸, 직업별로는 자영업이 특수기관과의 연계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자폐아 부모들은 자녀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과 자녀의 놀이에 대한 이해와 방법, 문제 행동 지도방법, 식습관 및 음식섭취 거부 지도 방법 등에 대해 어느 정도 이상은 알고 있다고 하였다. 자녀 놀이 지도 방법으로는 형제, 자매 및 어머니가 함께 놀아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40세, 학력별로는 고졸이, 직업별로는 회사원이 가족과의 놀이가 지도방법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자폐아 부모의 자녀 행동문제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에 대해 찬성과 반대 입장이 거의 반반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세 이하가 약물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에 그 외의 연령에서는 필요하다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동일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학력에 관계없이 필요하다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동일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별로는 자영업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직업에서는 필요하다와 필요하지 않다가 동일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교육받기에 적합한 학교로는 특수학교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일반학교의 통합교실로, 자폐아 부모의 대부분이 특수학교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31~35세가, 학력별로는 전문대졸과 중졸이, 직업별로는 회사원 부모가 특수학교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자폐아의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적합한 기관으로 특수학교를 더욱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부모들이 아직까지 일반학교나 통합교실 보다는 특수학교를 자폐아 교육의 전문기관으로 더 나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즉, 대부분의 자폐아 부모들은 통합 교육이 자폐아 자녀의 사회성과 정서를 발달시키고 나중에 지역 사회에 적응하는 경험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점과, 또 통합된 환경이 자신의 자녀에게 교육적으로 효과를 줄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향후 자폐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커다란 걸림돌이 될 것이며 따라서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자녀가 장래에 어떤 직장형태에 종사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알아 본 결과, 보호 작업장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Holroyd & McArthur(1988)이 자폐아 부모들은 그들 자신의 삶을 독립적으로 살 수 있을 것에 대해 빈약한 예후를 가진다는 보고와 서소희(1994)의 연구에서 나타난, 자녀의 앞으로의 예후에 대한 불확실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결과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연령별로는 35세 이하가,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이, 직업별로는 회사원이 보호작업장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보호작업장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자녀의 특성상 경쟁 고용 직장에 종사 할 수 없음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부모가 자녀에 대한 지나친 보호 의식은 도리어 자녀교육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므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자폐 아동의 장래에 선택할 직장의 형태에 대해 부모들이 보호작업장을 우선적으로 선호하고 있음은 자녀의 능력을 과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향후 자폐아 부모에 대한 교육을 통해 자폐아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자폐아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은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에 상관없이 모든 부모들이 구체적으로는 알지 못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는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부모가 특수교육의 전문가가 아니면서도 교육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를 가진 부모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앞으로는 교사, 전문가, 행정가 등 다양한 대상으로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설문지 내용만으로는 자폐아의 특성이나 교육 문제를 폭넓게 조사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설문의 내용을 더 추가하거나 정선하여 보다 심도 있는 후속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셋째, 자폐아 특성과 교육문제를 연령, 학력, 직업별로 그 의견을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향후 부모와 교사, 관리자 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등 그 연구 대상자를 보다 더 확대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recognize about autistic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by their ages, academic backgrounds, and occup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first, what differences of recognition that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have about aut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ages, academic backgrounds, and occupations; second, how different the recognition of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is about children'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ges, academic backgrounds, and occupations. 172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used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7 questions about autistic characteristics and 12 questions about children's education out of a total of 19 questions, and then analyzed.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s regarding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characteristics that they have, stubbornness about identity was remarkable. Parents younger than 35 years old who were university graduates or office workers recognized that stubbornness about identity was the characteristics their children. As for the level of children's recognition 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ges. College graduates and homemakers said the level of their children' recognition ability was low. Long-term memory, forgetfulness of initiating words, and no responses about affection, which were parts of autistic features, were perceived on the same level as the features of autistic children by parents without regard to their ages, academic backgrounds, and occupations. The level of sociality development and expectation about development of children were recognized very poorly by parents younger than 30, middle school graduates, and homemakers. The low recognition of parents could be point out as a problem for children' education in the future. Therefore, the contents about sociality development of autistic children should be essentially included in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s. Second, as for the recognition about children's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language, knowledge about recognition development, ways of interaction, problematic behaviors, and instruction method of eating behavior, revealed that parents younger than 30, those who received higher than university education, and parents who were office workers or self-employees had a lot of opinions that they knew about them in some degrees or they don't know well. As a method of playing instruction for children, parents who were under the age of 40, high school graduates, and office workers perceived that playing with family was important as a instruc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parents under the age of 30 thought medicinal treatment was necessary regarding the treatment method fo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y had both the opinion that it was necessary and another opinion that it was not equally without regard to academic backgrounds, but self-employees among other occupations responded it was not necessary. As for the school suitabl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special schools were recognized proper for education by parents who were at the age of 31~35, college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and office worker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form of children's future work places, protective work places were most highly preferred. Parents under the age of 35, university graduates, and office workers preferred protective work places most. The low expectation level of parents about their children wouldn't be a big help for children's education, so it should be corrected.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학생의 가창학습에서 남녀학생의 차이

        노인화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학생의 가창학습에서 남녀학생의 차이 노인화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가창은 음악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 중의 하나이다. 전통적인 가창교육은 교사의 반주에 맞추어 따라 부르기 형태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학생들의 흥미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가 어렵다. 7차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가창을 창의성을 기르는 중요한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다양성 있는 가창교육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멀티미디어는 소리, 비디오,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교육 매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를 통해 부르기, 지휘, 듣고 평하기 등과 같은 가창 교육의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가창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을 했을 때 가창 능력과 가창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된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도 조사하였다.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는 가창에 대한 학습 안내자료, 가창에 필요한 음악파일 자료, 학습자 의견 제시 자료 등으로 구성하였다. 학습 안내 자료는 악곡의 특성, 가창 방법 등에 대한 자료이며 파워포인트로 작성하였다. 가창에 필요한 음악파일 자료는 wav, rm, mp3 등으로 구성된 사운드 자료이다. 학습자 의견 제시 자료는 웹을 통해 학습자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웹게시판이나 웹자료실 형태이다. 이들 자료는 CD Player, VTR, PC 등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시되도록 하였다. 가창 능력에 대한 검사를 멀티미디어 수업전과 후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수업 후에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해 수업을 한 후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창 능력 변화를 비교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습효과가 컸다. 가창에 대한 흥미도에 대한 검사를 멀티미디어 수업전과 후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가창에 대한 흥미도가 수업 후에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흥미도 변화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별로 없었다. ABSTRACT The Gender Effect on the Vocalism Learning with Multimedia Program in the Middle School Nho, Ihn Wha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Lee Joo Keyoung The vocalism is one of the major part in the music education. The pattern of the traditional vocalism education was sing along style. But this education method could not induce the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The goal of the 7th curriculum is improvement of the musical talent and the originality and making the musical emotion plentiful by musical activity with various piece of music. In this curriculum, the vocalism was adopted important method for improving the originality and the education method using the multimedia was encouraged for the variety of vocalism education. The multimedia can be regarded as educational complex media because it can present various element like as sound, video and image.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the students' ability and interest on the vocalism before the class on the vocalism with after the clas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effect on the vocalism.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were composed with learning guide on the vocalism, midi file and internet bulletin board for students' idea presentation. The learning guide was formed with character of musical piece and vocalism and its making program tool was powerpoint. The midi files were formed with sound files like as wav, rm, mp3. The internet bulletin board were prepared for students' idea presentation and files' upload.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could be present to the student by CD player, VTR and PC. The results are follow as; The students' vocalism ability after the class showed better than before the class. Also, it was proved that the females' learning effects after the multimedia class on the vocalism were better than males'.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rest on the vocalism was increased meaningfully after the class. But the gender effect on the vocal interest could not be found.

      • 공립유치원 자율장학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임향숙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공립유치원 자율장학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행정전공 임향숙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자질이 우선되어야 하며, 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전개되었다. 이에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원내 자율장학 활동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현황을 파악하여,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수업현장에 부합하는 자율장학에 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활성화하여 실질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첫째, 병설유치원 원내 자율장학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병설유치원 교사들의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병설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원내 자율장학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위한 문헌연구와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자율장학 유형에 따른 운영실태와 문제점, 자율장학 활성화에 관한 문항으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로 하였고, 표집방법은 연령별, 근무지별, 교육경력별, 학력별 등의 변인을 고려하여 유층화하여 무선표집(random sampling)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표집 인원은 282명이었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63명의 질문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10.0을 사용하여 Chi-Square(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 수행을 통해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율장학의 전반적인 실태에 관한 인식 첫째, 공립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이해정도와 필요성, 또 자율장학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도시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긍정적이고 인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윤석가(2001)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로 1학급이 대부분이고 관리자가 비전공자이므로 전문적인 지도를 받지 못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고학력 교사일수록 장학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둘째, 자율장학의 효과영역에 있어서는 교수방법 개선과 교실환경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황정선(2000)의 연구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임용고시를 거쳐 재직하므로 안정된 위치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전문성 신장을 추구한다는 맥락에서 이와 같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또 장학담당자의 중요한 자질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지식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여 공립유치원 현장에서 초등학교 겸임 원장, 원감의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지식과 장학능력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율장학의 저해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인한 장학의욕 부족을 저해요인으로 인식하였고, 공립유치원에 적합한 자율장학의 유형으로는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력이 높아 가는 추세에 교지경력이 증가할수록 동료장학, 자기장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Akinniyi(1987)의 주장과 유사하며 선행연구 (김군희,2000; 박형심,1997; 이정순,2000; 이정희,2001)에서 공립 유치원교사들이 자기장학을 가장 선호한다는 것과도 일치한다. 2. 자율장학 유형별 실태에 관한 인식 첫째, 수업장학은 약 53%가 한 학기에 1-2회 정도 실시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바람직한 이유로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을 문제점으로는 약 38%의 교사가 교사의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김군희(2000), 김신영(1997), 장승화(2000)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공립유치원의 경우 교수활동이외에도 직무와 관련된 행정적 업무, 장학자료 집필 등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적 소모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둘째, 동료장학 유형의 실시정도는 33.0%가 ‘전혀 안 한다’고 나타나 70%이상이 1학급인 공립유치원에서의 동료장학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음을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동료장학이 바람직한 이유는 ‘교사의 적은 심적 부담감(32.8%), 훈련 없이 장학효과 높임(28.6%)순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동료장학이 적용될 때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상호 수업 참관 시간 부족(48.1%)이 가장 높았다. 이는 교사들간에 수업관찰을 위한 시간을 내기가 어려운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었던 것(이정순, 2000)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셋째, 자기장학 유형의 실시횟수는 주 1-2회 정도 실시(32.3%), 월 1-2회 정도(22.4%)로 나타나 자기장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기장학이 바람직한 이유에 대해서는 ‘외부간섭 통제 없어 자유롭다(44.5%)와’ ‘심적 부담이 적다(24.7%)’는 응답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간섭없이 스스로 진행함으로 자유롭고 부담감이 적다는 이정순(2000)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넷째, 약식장학은 한 학기에 1-2회 실시한다(44.5%)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약식장학의 바람직한 이유에 대해서는 교사의 변인에 관계없이 짧은 시간에 교수방법 개선을 위한 조언이 가능하다(45.8%)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약식장학 유형을 적용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약 45.4%의 교사가 ‘확인 감독의 느낌’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약식장학이 수시 조언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도움이 되지만, 장학을 위한 분위기보다 감독하는 느낌으로 부담스럽게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자체연수는 도시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와 학력이 높은 교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또 자체연수가 융통성이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수업부담이나 업무부담으로 형식적이기 쉽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는 김봉옥(1998)의 연구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강습이나 원내 관리자 연수·전달연수에는 적극적이나 전문인사 강연과 현지답사·견학연수에서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소극적이다라는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3.공립유치원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인식 첫째, 공립유치원에서 자율장학 유형 중 교육활동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장학의 형태로는 동료장학을 선호한다고 하였다. 이는 박선희(2001)의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둘째, 자율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는 ‘환경개선, 재정적 후원 등 적절한 여건조성’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육의 강화’를 원하고 있었다. 근무지별로 도시지역은 여건조성을, 읍·면과 리·벽지는 현직교육의 강화를, 또 고학력교사는 여건조성을, 10년이상의 경력자는 현직교육에 있어서 높게 반응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환경이 초등학교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초등교사에게 국한되어 있어 여건조성을 원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현직교육의 강화로 장학의 기회를 확대하여 교사의 특성에 맞는 장학을 선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원내자율장학 풍토로 전환해야 함을 시사해주었다. 셋째, 자율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행정기관의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자료정보센터 및 교원센터 설치운영’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장학관련 자료 및 교육정보 제공에 높게 반응함으로써 유치원 교사들이 이용할 수 있는 자료정보센터와 교원센터의 설치운영, 그리고 유아교육 정보화를 위한 정보실, 홈페이지 운영을 통한 자료제공 및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제공 등이 시급한 과제임을 시사해 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자율장학의 개념과 유형 및 효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의 약 70%정도가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었고, 자율장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10년 이상의 교사와 대학원 이상의 교사가 자율장학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자율장학의 효과는 ‘교수방법 개선과 교실환경 개선’면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장학담당자의 자질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물이라고 지적하였다. 셋째, 자율장학의 저해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인한 장학의욕의 부족을, 공립유치원에 적합한 자율장학 유형은 자기장학을 가장 효과적인 장학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자율장학의 유형별 실시 횟수와 각 유형별 바람직한 이유 및 문제점에 대해 알라본 결과, 수업장학의 실시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 실시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고 바람직한 이유로는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과중한 업무부담’이라는 반응이었다. 동료장학의 실시는 전혀 안 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고 바람직한 이유로는 ‘교사의 심적 부담이 적다’를, 예상되는 문제점으로는 ‘상호 수업참관 시간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자기장학의 유형은 주 1-2회 정도 실시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바람직한 이유로는 ‘외부 간섭통제 없어 자유롭다’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신뢰로운 자기 반성 곤란’이라는 반응이었다. 또 약식장학은 한 학기에 1-2회 정도를 실시하였고 바람직한 이유는 ‘짧은 시간에 교수방법 개선 조언’을, 문제점으로는 ‘확인 감독 느낌’이라는 반응이었다. 마지막으로 자체연수의 실시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를, 바람직한 이유로는 ‘융통성’을, 문제점으로 ‘형식적이다’는 반응이었다. 다섯째, 공립유치원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장학의 유형을 알아본 결과는 동료장학이었으며 요구되는 사항으로는 ‘환경개선, 재정적 후원 등 적절한 여건 조성’이, 교육행정기관의 지원방안에서는 ‘자료정보센터 및 교원센터 설치 운영’이 가장 요구되는 사항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첫째,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것으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공립유치원 자율장학의 다양하고 효율적인 형태의 장학제도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15개 시·군을 조사한 것으로 우리나라 전 지역의 공립유치원 자율장학 실태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공립과 사립 유치원의 장학 실시 여건이 상이하므로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를 분리하여 자율장학에 대한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n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s on Autonomous Supervision of Public Kindergarten by Lim, Hyang-sook,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eacher quality is the prerequisit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at autonomous supervision of the kindergarten should be activated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teach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autonomous supervision and considers the teacher perceptions and present conditions of their autonomous supervis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th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autonomous supervision that fits to the educational scenes in the kindergartens established as an annex to an elementary school, and it also seeks to activate autonomous supervision in a way that brings practical effec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ed in the annexed kindergartens (to an elementary school)? Second, how proper is the perception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the teachers of the annexed kindergartens? Third, what is the problems in the autonomous supervision perceived by the teachers in the annexed kindergartens? What would be the plans for its activation? To deal with these questions, the author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e items on the teacher perceptions and present condition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s, its operations and problems by the type of autonomous supervision, and its activation. It wa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some modifications were applied. The subjects are the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nexed to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Considering the variables of age, work site, educational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The sample was composed of 282 individuals. A total of 263 surveys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the sheets with inconsistent respons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DOWS 10.0 by means of Chi-square () test.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bout 70%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re well aware of the concepts, patterns, and effects of kindergarten autonomous supervision.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autonomous supervision was higher in the teachers with an experience of 10 years or longer and those having a master's degree or higher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think that autonomous supervision would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environments, and the quality required of the supervision personnel is the expertise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 the teachers point out excessive workload as an inhibitive factor for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y perceive self-supervision to be the most effective pattern in public kindergartens.

      • 정신지체 장애인생활시설의 학령기 장애아동 교육실태 조사연구

        신종화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정신지체 장애인생활시설의 학령기 장애아동 교육실태 조사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신종화 본 연구는 정신지체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령기아동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서비스(교육의 일반적 현황, 교육유형 및 교육내용)에 대한 성격과 교육서비스의 만족도 및 요구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정신지체 장애인생활시설의 인가시설 41개소와 미인가 42개소로 총 83개소를 선정하여 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82명의 생활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장애인생활시설에 생활하는 학령기 장애아동 교육의 일반적 현황은 다음과 같다. 시설에 있는 학령기 장애아동들이 주로 교육서비스를 받고 있는 교육기관 배치에 대하여 특수학교(55.1%), 시설 내 자체프로그램(50.0%)을 이용한 교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재택·순회교육(26.9%)을 통한 교육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설의 교육유형 및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86.3%가 교육기관 외 시설 자체 교육프로그램으로 교육하는데, 인가시설은 95.9%가 시설 자체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데 비해, 미인가 시설은 71.0%가 시설 내 교육프로그램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시설 내 교육프로그램은 시설 자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고 미인가 시설은 특별한 계획 없이 임의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도 높게 나타나 교육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학령기 아동에게 이루어지는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등은 다음과 같다. 재택·순회교육의 교육방법 및 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71.4%가 보통에 그쳐 시설에서는 재택·순회교육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 교육의 요구를 절실히 필요로 하는 반면 현재 이루어지는 재택·순회교육의 만족도는 낮아 좀 더 재택·순회교육의 체계적이고 수준높은 교육을 요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박혜정(1999)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시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만족도는 보통이었고, 만족하지 않은 이유로는 교사의 부족, 교사 전문성의 부족, 교육 재정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시설에서 중점 교육내용의 요구로는 현재 이루어지는 교육내용과 변함없이 사회적응훈련, 일상생활훈련을 요구하고 있었다. 시설에서 생활하는 학령기장애아동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98.8%가 필요함을 말해주었고 그에 반해 시설에서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51.9%, 부모가 교육에 대한 만족도 역시 보통이하가 85.3%로 부모 대신의 역할을 하는 시설의 생활교사의 요구와 시설장의 견해는 시설의 학령기장애아동들의 교육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본다. 현재 시설에서 교육에 관한 가장 큰 문제, 어려움으로 교육시설 및 교재(28.9%)·교사(26.3%)·교육재정(22.4%)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미인가 시설의 경우는 현실적으로 국가의 지원 없이 비고정적인 지원에 의한 운영으로 인해 교육서비스에 관한 재정의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이에 시설에서 교육의 개선에 관하여 우선적으로 정부의 시설에 대한 지원을 손꼽고 그 지원 하에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요구하였고, 미인가 시설의 경우는 재택·순회교육의 지원에 높은 반응을 보여 재택·순회교육의 충분한 지원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강영택(1995)의 연구와 일치하며, 김미숙 외(2001), 김규수 외(2001)의 연구에서 장애인사회복지시설의 한계점으로 재정 조달의 어려움으로 시설설비의 미흡, 전문인력 확충의 어려움, 프로그램 실행의 곤란을 말해준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본 연구의 계획, 진행과정에 있어서 수반되는 제한점으로는 전국의 정신지체 장애인생활시설로 인가시설과 미인가 시설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미인가 시설의 경우는 정신지체아동 외 다른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들이 생활하는 곳이 많아 모두 포함하였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김미숙·조연숙·정무성·정희정(2001)의 연구를 보면, 혼합시설에서는 단일 종류의 보호대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어려울 것이고, 시설의 관리와 운영이 더 어려울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 부분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생활지도 교사를 조사대상으로 하는데 있어서 업무과다 등으로 응답을 거절하는 곳이 많아 1-2명으로 제한하였으며 미인가 시설의 경우는 명확히 생활지도교사가 없는 곳이 많아 교육을 담당하는 분이면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ABSTRACT A Status of Educational Service Provision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Residenti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in , Jong-hwa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Advisor Prof. Eunhee, Paik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ype of educational services were provided to institutionalized school-age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and what their need for education wa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First, in which way are institutionalized school-aged children with disability educated? Second, what type of education is offered to institutionalized school-aged children with disability? Third, what was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ir satisfaction degree and requiring needs in education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2 teachers in charge of guidance from 83 selected institutes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nationwide, which included 41 authorized institutes and 42 unauthorized on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cquired: First, regarding the general trend in education for the institutionalized school-age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y were mostly educated by special schools or the institution, or received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And social workers were mainly in charge of education. The most widely equipped educational facility was television set and VCR. Second, most of the institutes prepared their own programs to educate the children, and many of the unauthorized institutes conducted education voluntarily, with no special plan. The authorized institutes focused on social adjustment training, and the unauthorized institutes gave more weight to daily-living skills. Teacher student ratio was one to four or five students. Teachers considered appropriate ratio as one to three children or less. The institutes implemented education programs three times or more a week, and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was offered twice or more a week, one hour each. The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concentrated on daily-living training and academic education, and therapeutic and vocational education was provided just a little. Third, th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ith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and its teaching method was on the average. The in-house education also was found to be moderately satisfactory, and those who weren't satisfied with were teacher shortage, poor teacher expertise and insufficient finance as the reasons. They found it most necessary to provide social adjustment training and daily-living training. Also, they keenly felt the need for education for institutionalized school-aged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biggest problem the institutes currently encountered was the lack of teaching facilities, materials, teacher and finance. In particular, the unauthorized institutes faced more financial pressure since they just relied on irregular financial backing with no aid from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give more support to these institutes to enhance their educational services.

      • 장애유아 중재전략에 관한 유아특수교육 추천실제의 실행수준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자가평가

        노성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장애유아 중재전략에 관한 유아특수교육 추천실제의 실행수준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자가평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노성미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특수교육 추천실제 중 장애유아의 중재전략 추천실제의 주요 영역에 있어 그 실행 수준은 어느 정도 되는지 교사의 자가평가 결과에 따라 알아보고 각 영역의 수준은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육경력, 연수유무에 따라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전국에 소재 한 장애유아 조기교육실 교사 45명, 유치원 통합학급의 교사 52명, 특수학교 유치원의 교사 61명 등 총 158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DEC 추천 실제의 평가 척도로 환경의 구조화를 통한 활동참여 및 신장, 지속적 자료수집을 통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및 수정, 아동의 학습 및 참여의 신장을 위한 체계적 교수절차의 사용, 영역에서 총 27문항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장애유아들을 위한 유아특수교육 추천실제의 전반적 실행수준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보면 지속적 자료 수집을 통한 개별화교육의 운영 및 수정에서 가장 높게 이어, 유아의 학습 및 참여의 신장을 위한 체계적 교수절차의 사용, 환경의 구조화를 통한 활동참여 및 신장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의 구조화를 통한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 및 신장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3년 이상의 교육경력이 있는 교사들은 3년 미만의 교사들에 비해 활동 참여 및 신장의 운영 수준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속적 자료수집을 통한 개별화교육의 운영 및 수정의 실행 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교 유치부의 교사들은 조기교육실이나 통합유치원의 교사들에 비해 또한 연수배경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배경이 없는 교사들에 비해 지속적 자료수집을 통한 개별화교육의 운영 및 수정의 실행 수준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학습 및 참여의 신장을 위한 체계적 교수절차 사용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 영역 또한 특수학교 유치부의 교사들이 조기교육실의 교사들에 비해 장애유아의 학습 및 참여의 신장을 위한 체계적 교수절차 사용의 수준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eacher Evaluation of the Child-Focused Recommended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Sung-Mee, No Major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dvisor: Prof. Kwang-Sun Cho,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recommended child-focused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 survey approach was employed for this research, using a self-rating scale. The survey involved 158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cross the n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27 questions in three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groups.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ypes of programs, and in-service backgrou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implementation levels of recommended child-focused practices among participating teachers were found to be above the mean. In particular, the level of individualized and adaptive practices for each child, based on ongoing data to meet the children's changing need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areas.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ir in-service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design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i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were found to have higher implementation levels of the practices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Third,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individualizing and adapting practices for each child based on ongoing data were found be above the mean.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program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eachers of special kindergarten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mplementation than teachers of other programs. Teachers with in-service experience were also found to have higher implementation levels of the practices than teachers without this experience. Fourth,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using systematic procedures within and across environments, activities, and routines were found to be generally above the mean.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program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eachers of special kindergarten program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mplementation than teachers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s.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