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경력 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학원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다경 국립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0719

        이 연구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을 통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중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저경력 특수교사의 경험을 풍성하고 상세하게 기록하며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경력 특수교사였던 나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전문성을 높이고 학문적 욕구를 충족하며 다양한 외재적 가치를 목적으로 하여 특수교육대학원 진학을 결심하였다. 둘째, 저경력 특수교사였던 나는 특수교육대학원에서 학습하며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을 쌓고 새로운 학습 방법을 터득하며 교육 공동체를 형성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저경력 특수교사였던 나는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통해 개인적 성장, 실제적 성장, 사회적 성장을 이루었다. 이 연구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유익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에서 학습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직 교사들이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and to interpret the proc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autoethnography was used to explore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The study set three research questions: ‘Why did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decide to attend a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What learning experiences did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have at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What lasting impacts did the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have on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entered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due to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Second, the researcher experienced deep knowledg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reflective learn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er achieved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growth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which enhanced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learning experiences in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초등학교 특수학급 운영 실태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

        정명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awareness of the principal and the vice-principal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v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ked. First, how are prospective special classes students selected? and what are methods to improve this? Second, how i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complied? Third, how is the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student managed? Fourth, what are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special classes? Fifth, what is the progres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To re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seventy-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in GongJu, Seocheon, Buyeo and Cheonan in the Chungcheongnam -do province.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ny researc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diagnosis and the discrimination of identifying prospective special classes students of each elementary school were quite appropriate. Also the reason why students' diagnosis is requested that they showed hig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through check-up. Integrated classes and special classes teachers, including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will have to monitor their students in depth to identify possibilities of prospective special classes students. Second, currently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is being managed by modifying the integrated class’s curriculum. Therefore, special classes teachers need to specialize more in the operation of special classes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set the integrated class size and assisted the teacher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al classes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nd to support the coopera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hatn the Ministry of Education supports, develops and distributes practical and efficient materials. Fourth, various textbooks and suitable teaching aids for the level and condition of each student are well prepared fo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special classes. However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grated class is need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curriculum. And it should be prepared to extend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th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fth, it is the soci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special classes educ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training of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should include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flexible educational authorities is needed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coopera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principal and the vice-principal in elementary school. In practice, the budget for special educ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attention and cooper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allocated and should utilize budgets to increase the practical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se results may help to stimulate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for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who manage the special education field. And this will help them achieve their own purpose ultimately. 본 논문에서 ‘초등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운영 실태와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영역은 특수학급 대상자 선정,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행ㆍ재정적 지원, 통합교육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관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특수학급 입급 대상 아동은 지역교육청의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심의 판정하고 있는데 적절하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또한 입급 대상자 의뢰는 특수학급 교사가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뢰 이유로는 정서 및 행동적인 문제 진단이 높게 나와 특수교사들이 학습적인 문제보다 행동적인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수학급 입급 아동의 정서 및 행동적인 문제는 학습참여도를 낮추고, 그로 인하여 기초 학습의 누적 등 다양한 학교 적응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긍정적행동지원을 하도록 규정한 바 있다(교육부, 2015). 둘째, 현재 특수학급 교육과정위원회에 특수학급의 참여도는 절반정도의 학교에서 참여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있는 경우는 학교여건(운영위원회 구성 인원의 제한) 때문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또한 특수학급 시간 편성은 국어․수학 교과만 수업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특수학급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방법은 특수학급 교사와 통학학급 교사가 절충하여 결정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은 공통교육과정을 수정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을 절충하여 편성․운영된다는 의견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특수학급에 대한 장학활동 실시 횟수는 1년에 1~2회 실시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장학활동이 도움이 되는가하는 질문에서는 연수이수자와 특수학급 설치교의 관리자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률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게 나왔다.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특수학급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관리자가 복식수업 운영으로 개별화교육의 어려움을 문제점이라고 한 반면 그렇지 않은 관리자는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간 절충의 어려움을 문제점으로 보았다. 이는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의 관리자와 그렇지 않은 관리자간의 경험의 차이에서 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앞에서 나왔듯이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복식수업 운영으로 개별화 교육이 어렵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개별화 교육을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학생 수 감축이 필요하고, 개별화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 ,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 방법에 대한 연수 등이 필요하다. 셋째, 특수학급의 행․재정적 지원에 대해서는 대체로 잘 되어 있다고 보았고 특수학급 시설 및 기자재 특수학급 시설 및 기자재를 확보할 때 특수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통합학급과의 협조체제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과 조건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교구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해 특수교육실무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그 이유로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가 주우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들에 대한 처우개선의 필요성이 없다고 하였으나 특수학급 교사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과 조건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교구가 잘 갖추어져 있으나 교육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합학급과의 이해와 협조,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관리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실무원제의 확대운영 등이 필요하다. 또한 특수학급 교육발전이 미흡한 이유는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문제라고 응답하였는데 그 대안으로 특수교육 연수에의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대다수 관리자가 연수에 참여의사를 보였다. 관리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연수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가장 많았고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고 그 결과로 학교경영자의 이해와 협조, 사회적 인식 전환과 함께 융통성 있는 교육행정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실제적으로 특수교육에 대한 예산은 매년 증가되고 있으나 특수학급 교육의 실제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예산이 적절하게 배정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자들의 높은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넷째, 일반학급 교사의 특수학급에 대한 이해도와 협조를 잘 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일반학급 교사들의 특수학급 학생의 이해정도도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특수학급 학생에게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책임소재에 대한 관리자들의 인식은 일반교사와 특수교가 둘 다에게 책임이 있다고 했다.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학급에 지원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통합학급 교사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장애이해 교육 횟수는 학기당 1회가 가장 많았는데 장애이해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일회적이고 행사적인 성격으로 지속적인 교육력이 없다고 보았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가장 우선 지원해야 할 사항은 일반학급 규모의 적정화와 보조교사제가 실시되어야 하나 교육부 차원의 뒷받침이 요구되며 일반학생에게 실시되는 장애이해교육의 문제가 일회적이고 행사적인 성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자료개발과 교육 자료의 보급 등이 필요하다.

      • 특수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내 자율장학의 개선방안 탐색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윤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특수교육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 활동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지원하는 교내 자율장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율장학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효율적인 교내 자율장학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로, 첫째, 특수학교(급)의 교내 자율장학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았고, 둘째로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효율적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및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19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결과는 성별, 근무지별, 설립별, 학교(급)별, 담당과정별, 교직경력별, 특수교육 전공 유·무별로 부호화 과정을 거친 후 SPSS/PC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 처리하였고, 백분율 (%)과 빈도를 산출하고, χ2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급) 교내 자율장학의 운영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내 자율장학은 수업장학의 형태(32.5%)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자기장학의 형태(29.6%)가 많았다. 둘째, 각 특수학교(급)들은 교내 자율장학을 연 2~3회 정도(41%) 실시하고 있었고, 그 중 사립의 경우는 1년에 6회 이상(20%) 실시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교내 자율장학 참여 정도는 보통(44.2%정도)이거나 다소 적극적으로 참여(37.6%정도)하고 있었다. 특히 남자들이 여자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넷째, 교내 자율장학 협의회는 주로 참관교사 중심의 협의 형태(42.4%)로 운영되고 있었고, 필요할 때마다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형태(24.3%)도 많았다. 단, 사립의 경우에는 전 교사가 참여하는 형태(48.9%)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내 자율장학의 결과를 수업에 다소 적용(72.2%)하고 있었다. 여섯째, 교사들은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위하여 동료장학(51%)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분위기 속에서 동료와 함께 부담감 없이 실행 가능한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특수학교(급)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내 자율장학이 약간은 필요하다(59.4%)고 인식하며 다소 긍정적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20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20년 미만의 교사들보다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다. 둘째, 교내 자율장학이 가장 필요한 영역은 수업 지도방법 및 기술적인 면(48.9%)이었다. 셋째, 교내 자율장학의 효율성 면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특수학급교사(35.5%)나 경력이 20년 미만인 교사(38.6%), 그리고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39.1%)들은 그저 그렇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내 자율장학이 수업의 질 면(46.6%)에서 향상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단, 사립(50%)과 특수학교 교사(46.2%), 또 경력이 5~20년 미만의 교사(41.9%와 51..3%)와 특수교육, 일반교육을 함께 전공한 교사(45.5%)들도 정보교환을 중요한 효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내 자율장학 담당자의 지도 자세에 대해 교수활동에 전문적 능력을 가지고 지도하고 있다라고 31.1%가 응답하였으나, 여교사(32.3%) 및 대전지역 근무교사(30.1%), 그리고 20년 미만(34.9%)의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31.9%)들은 장학 담당자가 특수교육 교내 자율장학에 관심이 적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을 함께 전공한 교사들은 장학 담당자가 주로 인간관계 중심으로 지도하고 있다고 생각(27.3%)하고 있었다. 여섯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내 자율장학 담당 적임자로 동료교사(62.7%)를 선호하고 있었다. 일곱째, 대부분의 교사는 교내 자율장학 담당자의 자질로 특수교육 및 교과지도에 대한 전문지식(각각 55.5%와 26.5%)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여덟째, 교사들은 형식적이고 관료적인 장학형태(33.6%)를 교내 자율장학의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수학교(급) 교내 자율장학의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효과적인 동료장학의 형태에 대해 교사들은 교과협의회 형태(50%)를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동료장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협동적인 분위기 조성(41.5%)이 가장 중요하면서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내 자율연수에 대해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과협의회별 운영 형태(50.8%)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교내 자율장학의 개선방안으로 장학지도를 하는 방법과 태도에 변화가 필요하다(33.4%)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앞으로의 교내 자율장학의 개선방향에 대해 대다수의 교사들은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사연수가 가장 중요하다(55.2%)고 인식하고 있었다. 장학의 본질적인 기능이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활동의 개선에 있다고 볼 때,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발달, 즉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자율성을 올바르게 행사할 수 있는 태도·의지·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장학의 성격과 방법도 교육활동이 지향해야 할 성격 및 방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교육활동에 종사하는 교직원들의 전문적인 자율성 그리고 단위 학교의 외부기관으로부터의 자율성도 최대한 존중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특수학교(급)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실시해온 교내 자율장학은 수업장학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나 앞으로는 모든 유형의 자율장학 방법이 각 학교의 상황과 요구에 맞게 고루 운영되어야 하며, 실시 횟수도 학교의 형편을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은 교내장학의 주체라고 생각하는 만큼 수업의 질을 개선·향상시키도록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교사 개인 또는 동료교사들과 수업을 위해 부단히 연구하고, 교수-학습지도에 관련된 다양하고 질 높은 연수를 지속적으로 받으며, 교내, 외의 다양한 협의회를 조직, 운영하여 교수-학습지도의 내용과 방법 등을 함께 협의하고 연구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은 장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 장학은 교사들에게 귀찮고 부담을 주는 지시·감독·통제 중심의 활동이 아니라 지도·조언·자율 위주의 활동이며, 교사들이 교직생활을 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성장·발달하도록 도와주는 가치로운 활동이다. 이제 장학의 본질적 기능의 회복 그리고 학교현장 중심의 자율적인 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시점에서 교사들 스스로가 장학이 본질적으로 교육발전, 학교발전, 그리고 교사 자신의 전문적·개인적 발달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것임을 충분히 인식하고, 장학에 대해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넷째, 교장(감) 및 장학관(사)들은 교사들이 이런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발전적이고 협동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주고, 획일적, 통제적인 행정 위주의 장학방식에서 탈피하여 교직의 선배이자 동료라는 생각을 가지고 지도· 조언해 주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장학활동의 전문가로서 특수교육과 교과학습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교육활동이 실제로 전개되고 있는 학교 현장의 독특한 상황과 조건 그리고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제반 교육환경을 위하여 다양한 행·재정적 지원책도 마련하여야 한다. 다섯째, 이와 더불어 교내 자율장학을 저해하고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교사들의 잡무를 최대한 경감시켜주어야 하고, 교육행정가들의 불필요한 업무 또한 줄여주어서 장학 본연의 목적과 기능에 집중할 수 있게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propose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pecial school and self-maintained cla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2. What are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autonomous supervision? 3. What are the effective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s. 195 of them were used as the materials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data was verified by Chi-square tes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most common type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was the Instructional Supervision. But, all the types and the frequency of autonomous supervision should be implemented by each school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needs or the specific conditions of school. Second, teachers need to do their best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the subject of the supervision. They have to make efforts to study and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for teaching. And they also have to take a in-service training of good quality variously. Third, teachers need to have 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supervision and participate actively. Supervision doesn't mean just the function of 'inspection' but that of 'advice' or 'encouragement' which gives teachers an opportunity to develope and promote their teaching skill in the classroom. That is, supervision has a great value of helping teachers for positive teacher improvement. Fourth, The supervisor have to make teachers study and cooperate hard. The supervisor need to play a cooperative role as an advisor, not a director, and they should be substantially helpful for educational activities, not for the sake of formality. The supervisor also should make efforts on having the professionalism including enough leadership, special ability on the part of practice or theory of special education and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 spot as an expert. They also need to meet teachers' needs or the specific conditions of school. On the other hand, huma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upervisor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s for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ifth,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paper work or overwork that hampers teaching effectiveness should be reduced to make them concentrate on thei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r supervision.

      •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근무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이민복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근무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전공 이민복 이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및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을 맡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행정적 지원, 교직태도, 인간관계, 보상,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에 대한 직무만족도를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근무지별, 보직별, 특수교육 전공 여부별로 비교·분석하여 특수교육교사들이 자기의 직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 및 정책 방향을 정립하는데 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행정적 지원, 교직태도, 인간관계, 보상,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7개 영역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근무지별, 보직별, 전공별 등으로 나누어 이들 사이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먼저 5개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25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육경력별에 따라 1-4년인 경우는 평균 3.08, 5-14년인 경우는 3.02, 15-24년인 경우는 평균 3.42, 25년 이상인 경우는 평균 3.54로 비교적 14년 이하인 경우에는 직무만족도가 낮았으나, 15년 이상인 경우에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교급에 따라 초등의 특수교사(평균 3.38)가 중등특수교사(평균 2.93)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근무지에 따라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평균 3.03)보다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평균 3.39)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보직에 따라서는 일반교사(평균 3.19)보다 보직교사(평균 3.36)의 직무만족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에 따라서는 특수교육 전공교사(평균 3.02)보다 일반교육 전공교사(평균 3.53)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7개의 하위요인별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인간관계(평균 3.50)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직태도(평균 3.47), 행정적 지원(평균 3.35), 교육과정 운영(평균 3.28), 지역사회와의 관계(평균 3.20), 전문성 신장(평균 3.13), 보상(평균 2.80)의 순으로 나타나 특히 보상에 대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매우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요인별 인식정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적 지원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수업자료 지원, 교장·교감의 관심, 행정직원의 업무지원, 교육자료 지원, 행정체제, 상급기관의 행·재정적 지원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는데 평균 3.35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25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4년 이하의 초임교사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지별로는 특수학급교사가 특수학교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직별로는 보직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특수교육 전공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태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교사만족 및 업무충실, 중요성 인지, 사회적 신분, 안정감, 긍지 등을 중심으로 조사해 보았는데 평균 3.47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근무지별, 보직별, 전공별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교장, 교감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업무능력, 파벌, 격려, 신뢰, 화목, 협동심 등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평균 3.50으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교육경력별로는 15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이 중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지별로는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이 높게 나타났다. 보직별로는 보직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특수교육 전공교사보다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보상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승진제도, 승진부가점 부여와 포상 및 급여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보상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평균 2.80으로 비교적 보통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보여 보상에 대해 불만스럽게 조사되었다. 교육경력별로는 14년 이하의 경력교사가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고, 학교급별 및 근무지별 모두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보직별로는 보직교사가,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전문성 신장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원연수 및 연구, 수업장학, 상위자격 취득이나 학위 취득에 대한 내용을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16으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냈다. 경력별로는 5-14년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초등이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인데 비해 중등은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근무지에 따라서는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다소 불만족함을 나타냈다. 보직별로는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전공에 따라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과 과중한 수업부담 및 업무부담, 교무분장, 통합교육 등의 내용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대체적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28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냈다. 교육경력별로는 15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14년 이하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이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인데 비해 중등은 보통이하의 낮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근무지에 따라서는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보직에 따라서는 보직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사에 대한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관심도 및 협력관계 등의 내용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20으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나 14년 이하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은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나 중등은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근무지별로는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난 반면에 특수학교 교사는 보통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보직별로는 보직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이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지역적인 편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표본 추출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하위변인을 행정적 지원, 교직태도, 인간관계, 보상,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7가지를 선정하여 설문 조사하였지만 타당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많은 변인에 대해 충분한 연구가 있어야겠다. 셋째, 전문성 신장에 대한 영역의 직무만족도 조사에서 교원들의 연수 부족에 대한 불만족스러움이 나타났다. 이에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원들의 연수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과 학교 현장에서 교장, 교감 등 관리자가 교원 연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사들이 부담 없이 연수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이 연구에서는 보상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보통이하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특수교육 전공자들이 승진가산점제도에 강한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어 이 제도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겠다. 다섯째, 초등교사보다 중등교사들이 통합교육에 대해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협조가 부족한 것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여기고 있다. 따라서 학부모 및 지역사회 주민들에 대해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겠다. ABSTRACT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Min-Bok Le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Won-Kyung Kim, Ph. D.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how much satisfied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re with their own work and to present theoretic materials informative in establishing policy measures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worked with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for the handicapped and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o determine the subjects' satisfaction as to administrative support, educational attitudes, human relationship, rewards, enhancement of expertis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by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work place, position and specialty in special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differences in work satisfaction in seven areas such as administrative support, educational attitudes, human relationship, rewards, enhancement of expertis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by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work place, position and specialty in special education. The survey on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seven subordinate factors shows that work satisfaction was highest in case of human relationship(M=3.50), which was followed by educational attitude(M=3.47), administrative support(M=3.35), operation of the curriculum(M= 3.28),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M=3.20), enhancement of expertise(M=3.13), and rewards(M=2.80) in the right order. This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least satisfied with rewards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finding of this study by factor. First, work satisfaction with administrative support stood at 3.35(a little high) on an average. The survey on teaching career shows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25-year teaching careers were most satisfied and that teacher with less than 4-year teaching careers were least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econd, work 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educational attitude stood at 3.47 on an average, and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work satisfaction by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work place, position and speciality. Third, work satisfaction in relation to human relationship stood at 3.50 (a little high) on an average 3.50.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more than 15-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Fourth, the subject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rewards stood at 2.80(a little lower) on an averag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dissatisfied with reward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less than 14-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work place, the teachers turned out to be lowly satisfied with their job.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Fifth,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work in relation to enhancement of expertise stood at 3.16(a little high) on an average. The survey on teaching career shows that teachers with 5 to 14-year teaching career were least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rea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so-so satisfied whereas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turned out to be rather dissatisfied. In case of pos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ixth, the subject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tood at 3.28 on an averag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a little highly satisfied.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more than 15-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14-year teaching careers.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rea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eventh, the subject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stood at 3.20 on an averag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a little highly satisfied.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he subjects as a whole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but teachers with less than 14-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rea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satisfied whereas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의 진로·직업교육 지원 방안 탐색

        노나미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을 연구 범위로 하여 진로·직업교육 지원에 대한 방향 및 실질적인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의 특수교사 21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 참여자 중 질적 연구 참여에 동의한 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혼합연구 방법의 설계는 설명적 순차 설계와 수렴적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연구 결과 도출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토대로 특수학급에서의 진로·직업교육 지원과 관련된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총체적인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유관기관과 특수학급이 사이에서 진로·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연계 시스템을 마련하여 각각의 지원들이 기관 특성에 맞게 제공되면서도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학생의 취업 가능성과 시대적 요구를 바탕으로 진로역량과 취업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특수학급 교사들이 학생의 진로·직업과 관련하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교육청에서 이뤄지는 연수와 연계된 내용의 실제적인 교사지원을 해야 한다. 다섯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위한 도교육청의 정보 체계 마련, 경력교사 배치, 중등교사의 진로·직업 업무 전담,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거점센터 역할 재정립 등의 기반을 마련하여 진로·직업교육 지원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특수학교 중등부 기술·가정 교과교육 실태조사

        김선경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특수학교 중등부 기술·가정 교과교육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전공 김선경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 기술·가정 교과 교육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추출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기술·가정 교과교육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구목적을 위해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영역의 특수학교 중등부에서 기술·가정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한 후 회수된 78부 중 77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χ2-검증, 독립표본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응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면, 교과의 통합이 학생들의 학습 감소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느끼고 있었고, 장애영역, 특수교육경력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실험·실습의 설비 부족으로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를 학습하는 주된 목적은 합리적인 기초생활 수행능력 향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기술·가정 교과교육의 중요성으로는 실생활에 필요한 기능 습득으로 나타났다. 기술·가정 담당교사로서의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경향이었고, 교사의 특성 중 자격증, 총교육경력 및 특수교육경력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 지도시 비교적 교과내용의 이론 지도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기(8차)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교과 개정에 대한 의견은 장애의 정도와 특성에 맞는 특수교육과정이 학교 수준으로까지 제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술·가정교과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 중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교사의 의도대로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은 50%정도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공여부, 장애영역, 특수교육경력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 교과의 운영 형태를 살펴보면, 한 명의 교사가 한 학급의 기술·가정교과를 전담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치교과(비전공 교과) 지도의 문제점으로는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상치교과(비전공 교과) 지도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전공대로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학교가 소규모인 경우는 순회 교사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장애영역, 특수교육경력, 설립 유형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 지도시 관련성이 있는 영역은 나와 가족의 이해,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기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는 제도의 기초, 재료의 이용, 기계의 이해 등 실습과 기계 등을 다루는 내용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 방법으로는 서술형을 가장 많이 적용하였고, 수행평가 비율은 30%정도였다. 셋째, 기술·가정교과 지도시 자주 사용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는 강의·문답식으로 나타났다. 실기수업은 분단(조별)실습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장애영역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실습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체 안전성으로 나타났다. 수업 준비시 교과서 외에 참고하는 자료로는 인터넷 자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기술·가정 교과 수업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학생들의 심한 개인차로 인한 수준별 지도로 나타났으며, 전공여부, 성별, 자격증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수업실시 후 느끼는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지도안의 체계적인 작성 측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효율적인 기술·가정 교과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시급히 해결할 요소로는 장애 특성에 맞는 교과 지도 방법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가정교과 수업자료 활용 실태 중 현재 제작하여 사용하는 수업매체는 인쇄자료를, 교과서 이외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매체로는 인터넷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및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의 이유로는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재 내용 구성으로 나타났다. 장애특성에 맞는 교재로는 일반학교용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학교에 비치된 수업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불만족한 경향이었다. 또한 다양한 개별 학습용 교재 또는 CD-ROM를 가장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기술·가정 담당 교사 연수의 문제점 및 개선점 중 직전 교육의 개선점으로는 장애 특성에 따른 구체적 교과교육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연수 기회가 많아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 임용 후 기술·가정 교과교육 관련 현직연수는 받은 경험이 없다는 교사의 수가 많았으며,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경우 자격연수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중 타 영역 지도와 관련된 현직 교사의 재교육에 대한 연수는 비전공영역에 대한 주제별 직무연수를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연수와 교과 지도간의 관련성은 비교적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수는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획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과 직무 연수시기는 방학중이 가장 적당하며, 연수 대상자를 희망에 의해 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었다. 연수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연수경비 지원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교과 직무연수를 담당했던 강사로는 교수가 가장 많았으며, 앞으로는 현장 경험이 많은 교사를 연수 담당 강사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 교과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실험·실습 설비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실습이 가능하도록 실습 시설 내에 안전시설의 확보 및 안전지도에 힘쓰고, 교사나 학부모 등의 도우미 활동이나 보조 교사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 교사의 역할 중 학습지도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로, 교수-학습지도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교사의 만족감과 교과교육의 질이 향상된다. 따라서 교사의 자신감의 향상과 효율적인 교과운영을 위해서, 전공에 따라 영역별로 분담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연수의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그리고 차기(8차)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의 정도와 특성에 맞는 특수교육과정이 교과별로 학교수준까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기술·가정교과 운영 형태는 한 명의 교사가 한 학급의 기술·가정교과를 전담 지도하고 있고, 기술이나 가정 어느 영역의 부전공자격도 없으면서 전담 지도하는 교사가 많아 심각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공대로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학교가 소규모인 경우는 순회 교사제를 실시하고, 부전공 연수나 직무연수 등 연수 기회를 확대 실시해야한다. 또한 근본적으로는 분담 지도 형태를 제도화하는 방향으로의 교과 운영 형태가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실기나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어, 실습 관련 내용을 용이하게 가르칠 수 있는 관련 학습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술·가정교과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문답식 수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학습 방법에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기술·가정교과의 특징이 일상생활에서 적용과 실천에 있고, 같은 내용이라도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그 결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의학습이나 실험·실습 등 체험적이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술·가정교과는 다른 교과와 달리 이론과 실기가 병행될 때 그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직접 체험해 볼 실습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해야 한다. 넷째, 기술·가정교과 수업매체로 인쇄자료를 가장 많이 제작하여 사용하며, 교과서 외에 인터넷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넷 컨텐츠의 개발과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교육 연구회 등의 연구활동 활성화와 연구 경비 지원 등 제도적 장치가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영역별 특성에 맞게 적합한 교재의 재구성과 재편집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학교에 비치되기를 원하는 수업자료는 개별 학습용 교재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 관련 자료를 구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예산지원과 관련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술·가정 담당교사 연수는 비전공 영역에 대한 주제별 직무연수를 실시하여 타영역 교과관련 전문 지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직연수가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기지도, 자료개발, 평가기준 작성 능력, 교육 재구성 능력, 자신감 향상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한다. 연수의 시기는 방학중에 실시하고, 연수대상자를 희망에 의해 선정하며, 연수 강사로는 학생들의 지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 많은 교사를 선정해야 한다. 연수의 문제점으로 연수 경비 지원 부족으로 나타나 행·재정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연수시 적정 인원의 배치, 연수전의 충분한 사전 안내, 충분한 연수 시간의 확보 등의 문제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에서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전반적인 운영 실태와 문제점 파악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과 효과적인 교과 운영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Current Situation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s a Subject Matter in a Special School Sun-Kyeong, Kim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yung-Un, Jeon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s a subject matter in a special school, to analyze the problems and finally to present the devices for improvement.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nt questionnaires to the teacher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a middle school course of a special school in fields of visually,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ly disabilities and then analyzed the withdrawn 77 questionnaires. We enforced frequency analysis, percent analysis, χ2-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ith collected data using a statistical program of SPSS(ver.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it was indicat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for managing the subjec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s that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 and actual training are not sufficient. So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 and actual training need to be secured. In addition, a special curriculum corresponding to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by subjects need to be presented to school level in the next curriculum. Second, the mode manag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is like following : one teacher takes full charge of teaching bo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a lesson ; many teachers who don't have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for teaching technology or home economics as a major or a minor assume full responsibility of teaching both subjects. It is a serious problem. Therefore, teachers must give separated lessons(either technology or home economics) to students by their own major and a circuit teacher system must be enforced in a small school. In addition, basically, the curriculum managing method must be improved to institutionalize the separated teaching form. Third, the major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used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lessons was a lecture-mode or interrogatory instruction.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lesson actively such as discussion, problem solving, etc. must be carried out. Besides, lots of opportunities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real experiment and actual training directly in various situation must be provided. Forth, this study said that printed materials were produced and used most frequently as a teaching material for teach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n internet was used frequently besides the textbook.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and construct various internet contents. In addition, we need to reorganize and reedit textbooks suitably coinciding to the characteristics by fields of disabilities. Fifth, the training for the teacher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hould be composed of the themes which can be helpful in practice for teaching students and the period and educator should be decided by teacher's desire. In addi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needed for a effective training such as support of training expenses. This study is a fundamental investigation to study on current situation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s a subject matter in a special school. Succeeding studies which can develop the quality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needed.

      •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조수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의 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분석하여 순회교육 운영의 내실화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와 처우 개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순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3차 코딩 과정을 거쳐 귀납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임교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부족한 전문성: 막막해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관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 부담스러워요.’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척박한 자기 계발의 길: 궁금해요.’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열악한 환경 및 행·재정적 지원: 지쳐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성공적인 순회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요구를 하였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성장하는 교사: 꽃을 피워요.’를 요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협력과 소통이 있는 학교: 같이 걸어가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효과적인 행·재정적 지원: 집중하고 싶어요.’에 대한 지원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순회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과 초임교사가 전문성 있는 순회교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during itinerant education to suggest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measures of itinerant education operation and also provide a basi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beginning teachers in itinerant education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teachers.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applied and snowball sampling was conducted to target 5 beginning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is study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to closely examine the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of itineran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relevant data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through the 3rd coding proces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beginning teachers confronted the following challenges.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nfronted 'a lack of expertise: not knowing what to do.'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xperienced 'psychological conflicts because of relationships: feel burdened.'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xpressed challenges because of 'the barren road for self-development: curiosity.' Fourth,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aced poor environments and weak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feel exhausted.' In addition, they had the following support needs to ensure successful itinerant education.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quired 'growing teachers: blooming flowers' for the growth in expertise.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quired a '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school: walk together.'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ad support needs about 'effectiv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 desire to concentrate.' The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the base data of policy support plan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lso examine the measures required for the beginning teachers to develop into itinerant teachers.

      • 유아특수교육기관의 활성화를 위한 부모의 요구 및 개선방안

        송여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유아특수교육기관의 활성화를 위한 부모의 요구 및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 전공 송여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유아에 대한 부모의 일반적인 자녀교육 실태, 유아특수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개선방안에 대한 부모의 의견을 대전광역시, 충남, 충북의 공·사립 유아특수교육기관 중 특수학교 유치부와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설치된 특수학급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크게 자녀교육의 일반적인 실태, 유아특수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개선방안에 대한 부모의견을 총 27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평정형은 사례수와 백분율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진술형은 사례별로 종합·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실태로는 자녀의 장애를 병·의원에서 3세 이전에 알게 되었으며 유아특수교육을 시작한 시기는 3세 이후로 나타났으나 특수교육 시작 시기를 응답자의 대다수가 늦었다고 생각하였다. 주 교육기관을 선택한 이유로는 교육 내용이 좋기 때문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러한 현상은 부모들이 무엇보다 교육내용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 교육기관에서는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타 교육기관에서는 월 평균 250,000원의 고액을 수업료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났는데 고액의 수업료를 부담하면서까지 주 교육기관 외에 방과 후 타 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이유로는 주 교육기관에서 미흡한 언어, 심리 등 각종 치료교육을 받도록 하기 위함이 가장 많았고 장 시간 보육을 맡아 주기 때문에 보낸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따라서 주 교육기관에서는 치료교육 서비스와 장 시간 보육의 문제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도 있다고 본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로는 교육과정 운영 및 방법, 진단·평가, 문제행동의 교정과 학습영역, 교육환경(편의시설), 통학버스, 급식 등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진로지도와 특기적성 신장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는 진로지도 및 특기적성 지도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본다. 셋째, 유아특수교육기관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유아특수교육의 적정시기를 장애가 의심되는 3세 이하로 확대하고 교사 1인당 적정 아동 수를 2~3명으로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그외 무상의 유아특수교육 기회 확대, 교사의 전문성 제고,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다양화, 치료교사 확대 배치, 병·의원등과 연계체계 확립, 관련 법규 및 제도 정비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대상을 특수유아 부모는 물론 특수교육 담당교사 및 행정 담당 장학사 등으로 확대하고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육 내용, 재정 문제, 시설문제, 인적자원 문제 등 다방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폭넓은 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둘째, 주 교육기관인 유아특수교육기관과 타 교육기관을 비교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심층 분석, 비교하여 연구를 수행한다면 유아특수교육기관의 활성화를 위한 보다 좋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이 연구는 대전·충남·충북지역 공·사립 특수학교의 유치부,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설치된 특수학급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바 일반화하는 데 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Parent's Demand for Activating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Song, Yeo-joon Major in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Whan Kim, Ph.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solution to family problems which are experienced by the parents and families of early child handicaps. It was also conducted to give a greater chance to take part in the important educational policy for parents because they don't have enough fundamental data for activat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 surveyed 131 parents who has the handicapped children in private or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in Deajon city,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as a process to find out better solution, parent's satisfaction and their demand for the institutions. The questionary structured 27 questions about actual special education conditions, parents' satisfaction and their demands. The following are results based on this questionary. First, normally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 recognize whether the children was delayed or not until they are three years old. Therefor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egins when they are three years old that's why answerer usually pointed out postponement for the education. The parents prefer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because of their qualified program and it indicates parents are interested in quality of education. As a result, we should consider not only education with treatment for language insufficiency and psychological delay but also education with full day care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to prevent them from going to private institute after school which should pay extra 250,000 won per month. Secondly, the parent's satisfaction and demands are related with guidance counseling and special aptitude education. The satisfaction percentage highly shows in curriculum management, evaluations, cure for the handicapped,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facilities, commute bus line, and school lunch program. Third, mainly the questionary shows tha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hould set about when the handicapped are three years old to give them treatments as an improvement program. And it also shows the pupil number should be decreased two or three per each instructor as a reasonable number. The other results present a enlargement of chance to be educated without any compensation, consideration for professional instructor, diversity on curricular and program, arrangement for more cure connection system with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consolidation of the related regulations, etc.

      • 통합학급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에 관한 질적연구 : 공립 유치원 통합학급을 중심으로

        류은옥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자는 공립유치원 통합학급에서 유아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밝혀봄으로써 협력교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의 방향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주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통합학급에서 유아교사의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통합학급에서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는 어떠한가? 이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유아교사와 특수교사에게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내용에 대한 논의 첫째, 유아교사와 특수교사는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협력교수의 실제적인 적용방법에 대한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둘째, 협력교수의 어려움으로 과중한 업무로 인한 협력교수를 위한 시간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와 특수교사는 통합학급에서 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가 서로에 대해서 인정하고 교육활동에 있어 양보하는 모습을 볼 때 협력교수의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협력교수를 위한 지원으로 통합학급의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 감축과 원장․원감연수의 필요성을 주요하게 언급하였다. 2. 유아교사와 특수교사에게서 차이점을 보인 내용에 대한 논의 첫째, 유아교사는 장애유아를 교육하는데 있어 실제적인 정보를 교류하기 위한 협력교수의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특수교사는 유치원 운영과 교육계획수립 등을 중요하게 언급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완전통합으로 인한 장시간의 교육적 지원과 담임교사로서 장애유아의 모든 교육적 책임으로 갖게 되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반면, 특수교사는 통합학급에서의 많은 시간들을 장애유아만을 지원하는 교사로서의 입장과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 대해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는 특수교사로부터 장애유아의 발달특성과 지원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 실제 수업에 필요한 교수자료의 지원과 장애유아의 행동을 적절하게 지원해주는 것에 대하여 동료교사로서의 고마움을 이야기 하였다. 한편 특수교사는 특수반에서 장애유아와 개별화 수업을 하거나 역통합 수업을 할 때 교사로서의 보람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통합교육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으로 통합교사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특수교사는 유아특수교사의 증원을 통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대한 희망을 갖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iliminary data of cooperative teaching and propose the way of cooperative teaching for successful inclusive class by researching the recognition and the reali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operative teaching in inclusive classroom of public kindergart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cognition and the realities of cooperative teaching with kindergarten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 Second, what are the recognition and the realities of cooperative teaching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 The argument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Agreement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gree with the need of cooperative teaching for inclusive education, but they admitted the difficulty of application in the concrete. Second, one of the difficulties of cooperative teaching was lack of time due to overworking. Third,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e cooperative teaching worthwhile when handicapped children and non-handicapped children understand each other and yield to the other. Fourth, the need for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need of training session for the president and vice-president of kindergartens were proposed.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have difficulty being in charge of long educational support in completely inclusive class and having educational responsibility of handicapped childre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appreciate that they can get information about development charcteristic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ways to support them. Kindergarten teachers also appreciate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are their teaching material and help kindergarten teachers caring the handicapped children.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el worthwhile as a teacher when they teach handicapped children indivisually, and when they teach in reverse inclusive classes.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administrative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above everything for inclusiv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nk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increased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 전문교과 교사의 특수학교에서의 교육경험과 의미

        유수리 국립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school for disabled students) from a new perspective by listen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is subject's teachers, and to examine how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have changed through educational experiences. To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ocational subject teachers with experience working at special schools,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 of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upper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I came to a special school', 'I changed after encountering a special school',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that I looked a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vocational subject teachers to work at special schools so that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can experience professional and diverse classes, not just basic classes. Second, for smooth integrated education, training on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guidance method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t school age, and education to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including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re necessary. Thir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a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 that individualized vocational education can be achie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explore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rom a new perspective by listening to the vocational subject teachers' special school education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