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교육 방안연구 : 생활문화 활용 SEL기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사르도르 중부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생활문화 활용 한국어 교육 문화교육의 의미를 살펴보면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의 가장 바람직한 방향은 언어 능력향상을 위한 보조역할로는 언어사용과 관련하여 일상생 활 문화를 적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대한 생각을 뒷받침해 줄 근 거로 문화교육 내용의 범주화 작업이 필요하다. 광범위한 문화의 영역만큼 문화 내 용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한국 문화 내용을 범주에 따른 내용과 단계에 따른 내용 으로 나누어 기존 연구들을 살펴볼 것이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한자어의 의미 대조 연구

        곽박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모국어가 중국어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어와 한국어 한자어 연구를 하는 데 있다. 제2언어 학습에 있어서 발음, 어휘, 문법,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어휘이다. 특히, 한국어 어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자어의 학습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한자 문화권에 속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 한자어에 대한 친숙함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비한자 문화권의 학습자보다 더 빠르고 쉽게 한자어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한자 문화권이라도 중국의 한자와 한국의 한자어가 동일한 것이 아니다. 한국 한자어는 오래 전부터 한국어의 고유어처럼 사용되어 한국인의 언어 직관이 반영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는 그 형태와 의미가 같지 않다. 한국의 한자어는 한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유입된 삼국 시대부터 지금까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자국의 언어적 필요에 따라 의미와 형태, 사용 등 여러 면에서 변화가 생겼다. 따라서 현대 한국어의 한자 어휘는 중국어 한자와 그 형태와 의미, 그리고 사용 방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한편 중국에서는 1950년도 이후 대대적인 자형 간체화 운동이 일어나 한국의 한자어와 상당히 다르게 변화했다. 그래서 중국인 학습자가 같은 한자권 언어나 한국어 한자어를 별도로 학습할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약 52.11%로 차지고한다고 한다. 한국어의 어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면 외래어, 고유어, 한자어가 있다. 사전마다 비율이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략 50%~70% 이상으로 한자어가 존재한다.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인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를 혼동하기 쉽다. 학습자들이 한자어 학습 시 형태·의미상의 오류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통사상의 오류도 많이 나타난다. 어휘를 많이 알아야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또한 작문을 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어휘를 알아감으로써 의사소통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구조은 다음과 같이 따르기로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연구 연구목적과 그 필요성, 연구방법 및 구성을 소개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본 연구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자어의 역사에 대한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 주로 한자어의 역사 개관, 한자어 유입 경로, 체계 및 변천 원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한자어의 유입 체계 분류는 심재기의 관점에 따라서 다섯 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중국 고전에서 연유한 것이다. 둘째, 범어계 한자어에서 나온 것이다. 셋째, 중국의 구어체 언어, 즉 백화문에서 나온 것이다. 넷째, 일본식 한자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섯째,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한자어이다. 한국 한자어 변천원인은 주로 언어적·역사적·사회적·심리적 원인, 외래의 영향을 통해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국어 어휘의 특징과 한국어 한자어의 형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중국어 어휘는 아주 풍부하다. 어휘의 특징을 요약하면 대체 조어력이 풍부하고 이음 절화되는 추세이며 구사 법은 주로 복합 법을 하고 있는데 동소사가 풍부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 한자어는 형성과 특징을 보기 전에 먼저 한자어의 개념을 검토했다. 다음에 한국어 한자어의 형성은 중국 고전에서, 범어계 한자어에서, 일본식 한자어에서, 나온 것과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나누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익섭이 <한국어 문법>에서 언급한 한국어 한자어에 대한 내용, 그리고 심재기, 최금단 등에서 밝힌 한국어 한자어의 특징을 보았다. 제4장에서는 중국어 어휘와 한국어 한자어 대조 분석을 밝혔다. 그 과정에서 중한 한자어를 동형어와 이형어로 나누었는데, 동형어는 동형동의어와 동형이의어로 세분하였고, 그리고 동형이의어는 또다시 동형 완전이 이 의어와 동형 부부이의어로 나누어 보았다. 동시에 이 형어는 완전이형동의어, 부분이형동의어, 그리고 역순어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비교를 통하여 중국어 어휘를 유입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생긴 변화를 대표적으로 어의(詞義)의 변화, 품사의 변화 그리고 색채(色彩)의 변화를 나누어 정리한 것이다. 또한 이 형어와 동형어를 공부할 때 주의할 점을 미리 제시하였다. 핵심어: 중국어, 한국어, 한자어

      • 한국역사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한국사의 대표 인물 4인을 중심으로

        백주연 중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an education plan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by using ‘Korean great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ducation plan to satisfy Korean language learners by history class of Korean great men from the objec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is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to gentrify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by learning according sophistication and knowledge. Therefore systematic learning of leveled difficulty is necessary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comprehensive Korean culture understand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comprehensive aim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from this study are understandings of Korean culture, correct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intercultural identity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For customized education in accordance to aims of Korean language and history learning, levels are divided into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and master. This study composed education contents of leveled history and culture applying Korean great men topic to learning aims and contents. The beginner level covers Dangun,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Gojoseon, which used to be Korean first nation. The intermediate level is about Sopa Bang Jung-hwan, a children’s writer of Korean modern age. The advanced level is involved in the 19th Goguryeo King Gwanggaeto the great, known for Korean first chronological era. The master level covers Yun Dong-joo, Korean national poet. Lesson plans were designed applying leveled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by using Korean history. In addition, the lesson plan examples were suggested focusing on the beginner level of Dangun,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Gojoseon among 4 levels. There has been growing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using Korean history according to contemporary trend of globalization, but researches on this topic are not advanced enough yet. Therefore more in-depth studies should be needed on Korean culture and history education plan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 위인’을 활용하여 한국의 역사 문화와 한국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객관적 관점으로 한국 위인들의 역사적수업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충족하는 교육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한국 역사문화 교육을 통한 한국어 학습의 목적은 현대 한국 사회의 이해를 높이고 그에 맞는 교양과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한국어 의사소통을 고급화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한국어 학습의 능률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난이도별 학습이 이뤄져야 한다. 본고의 총괄적인 한국 역사문화 교육의 목표는 한국 문화의 이해, 올바른 한국사 정립, 문화 간 정체성 확립,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다. 한국어와 한국 역사를 어떤 목적으로 학습할 것인지에 따라 좀 더 세밀하게 교육하고자 난이도를 초급, 중급, 고급, 최고급 네 단계로 나누었다. 본고에서 설정한 학습 목표와 내용에 난이도별 위인을 적용하여 한국어교육에서 단계별 역사문화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초급에 한국 최초의 국가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 중급에 한국 근대의 아동문학가인 소파 방정환, 고급에 한국 최초의 연호를 사용한 고구려의 제 19대왕인 광개토태왕, 최고급에 민족시인 윤동주이다.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에 한국역사를 활용한 단계별 한국어 문화교육을 대입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고에서 설정한 네 단계 중 대표적으로 초급 ‘단군왕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한국사를 활용한 문화교육은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그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 역사문화 교육 방안과 그 흐름에 맞는 교재 개발이 심도 있게 연구되어야 한다.

      • 한국어 ‘명사+동사’ 구성의 교육방안 연구 : '술어명사+기능동사' 구성을 중심으로

        설채연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어휘교육이 단순히 단어를 가르치고 단어를 외우는 데 그치는 것으로 비추어졌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연어를 통해 자주 결합하는 구 구성을 중심으로 어휘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명사와 동사의 결합에 대하여서는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능동사와 술어명사의 결합에 대하여서는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기능동사와 술어명사의 정의에 대해 살펴본 뒤 한국어 문장의 기본 단위인 ‘명사+동사’형 명사구를 각각 선행과 후행으로 나누어 명사는 술어명사/비술어명사로, 동사는 본동사/기능동사로 교차 분류하여 TOPIK 어휘목록과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재는 ‘서울대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 연세 한국어, New 서강 한국어, 이화 한국어’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교재에서 관찰할 수 있는 ‘명사+동사’ 구성과 토픽어휘 목록을 토대로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룬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 학습자들에게 알려 주어야 하는 ‘술어명사+기능동사’ 구성은 ‘X을(를) 치다’, ‘X이(가) 나다’, ‘계획을 세우다’, ‘전화를 걸다’ 등이 있다. 둘째, ‘비술어명사+기능동사’ 구성에서는 초급 학습자들에게 기능동사 ‘돌리다, 나다, 걸리다’를 위주로 교육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셋째, 중급 학습자에게 알려 주어야 하는 ‘술어명사+기능동사’ 구성은 기능동사 ‘나다’와 ‘열다’, ‘세우다’, ‘걸다’, ‘나누다’, ‘드리다’ 등이 결합한 구성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중급 학습자들에게 ‘비술어명사+기능동사’ 구성에서는 기능동사 ‘세우다, 열다(열리다), 나다’를 위주로 가르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술어명사+본동사’ 구성은 초급과 중급 학습자 모두 의미에 주의해서 가르쳐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 중 ‘기능동사’와 ‘술어명사’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초급, 중급 ‘술어명사+기능동사’ 구성의 교육방안 중 일부를 가지고 교안을 작성하였다. 초급의 경우 ‘(스포츠)+치다’를 위한 교안을, 중급은 기능동사 ‘걸다, 나누다, 드리다’를 활용한 표현을 가르치는 교안을 작성하였다. So far, vocabulary education was limited to merely teaching and memorizing words, but recently, vocabulary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phrases that are frequently combined through collocation. Education related to the combinations of common nouns and verbs is sufficiently being provided, but it seems that education related to the combinations of support verbs and predicate nouns is not being sufficiently provided. Therefore, after investigating the definitions of support verbs and predicate nouns, this paper divides the ‘noun+verb’ type noun phrase, which is the basic unit of Korean sentences, into preceding and following, respectively. Also, nouns are cross-classified into predicate nouns/non-predicate nouns, and verbs are cross-classified into main verbs/support verbs. This paper analyzed TOPIK vocabulary and Korean teaching materials. We selected and use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Fun Fun Korean, Yonsei Korean, New Sogang Korean, Ewha Korean’. We proposed tha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wo parts that one is the construction of ‘nouns+verbs’ that can be observed 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other is TOPIK vocabulary. The main points that cover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of ‘predicate nouns+support verbs’ that should be informed to beginner learners is ‘X을(를) 치다’, ‘X이(가) 나다’, ‘계획을 세우다’, ‘전화를 걸다’. Second,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non-predicate nouns+support verbs’, we pointed out that it is reasonable to educate beginner learners focusing on the support verbs such as ‘돌리다, 나다, 걸리다’. Third, we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redicate nouns+support verbs’ that should be informed to intermediate learners is the construction that combined with support verbs such as ‘나다, 열다, 세우다, 걸다, 나누다, 드리다’. Fourth,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non-predicate nouns+support verbs’, we stressed that it is effective to educate intermediate learners focusing on the support verbs such as ‘세우다, 열다(열리다), 나다’. Fifth,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predicate nouns+main verbs’, we argued that we need to focus on meanings carefully when we teach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education methods focusing on ‘support verbs’ and ‘predicate nouns’. Therefore, we made a teaching plan by using some of the education methods tha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predicate nouns+support verb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s. In the case of beginners, we made a teaching plan that can use ‘(스포츠)+치다, and in the case of intermediates, we made a teaching plan that can use support verbs such as ‘걸다, 나누다, 드리다’.

      • 라오스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 구성 방안 연구

        폰짜른쏨마이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라오스어 모어 화자가 라오스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라오스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가 없어서 주로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교재들에 문법 설명이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한국어로 된 것이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된 교재라고 하기 어렵다. 또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는 라오스 현지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생활을 반영하지 못한 부분들이 있으면서도 라오스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이 논의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오스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라오스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2003년에 동독국립대학교에서 한국어과가 생기면서 시작하였고 그 이후에 한국어 교육이 점점 늘어났다. 2013년도에는 수파누봉국립대학교에서 세종학당이 설립 인가되었지만 2014년 세종학당 여름 학기에 120명의 라오스 현지 한국어 학습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라오스어 모어 화자에게 적절한 현지인들을 위한 교재가 따로 없을 뿐만 아니라 라오스 현지에서 한국어를 교육하고 있는 교사도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을 전문적으로 전공한 교사가 아니라는 큰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와 특징을 반영한 교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3장에서는 라오스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 않고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오스 현지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사용 교재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라오스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적, 문화적 특징에 반영하여 교재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라오스어의 자음이 33개가 있으며 자음의 체계 안에 소리의 높낮이가 있다. 모음은 28개의 모음이 존재하며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뉘어 있고 6개의 성조가 있는데 어떤 성조를 취하느냐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그리고 라오스어에는 개념적으로 이중모임이 존재하지 않지만 각각의 개별 자음과 모음으로 존재한다. 또한 라오스어의 어순은 SVO(주어-서술어-목적어)의 순서를 따르며 부사어는 문장 뒤에 나온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설문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라오스 현지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적-문화적인 특징에 반영하여 교재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였다.

      • 우즈베키스탄 문화의 역사적인 발전과 독립 후 한국과 문화 교류 현황 연구

        아브두슈쿠러브 올림존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foundation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Uzbekistan was laid on December 30, 1991, when the Republic of Korea among the first countries recognized Uzbekistan’s independence. Subsequently,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were established on January 29, 1992.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uth Korea and Uzbekistan have gained enormous experience of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n political, trade-economic, investment and cultural-humanitarian areas that serves as a solid foundation for the further implementation of long-term joint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in all these spheres. In general, over the 25 years of diplomatic relations a solid legal basis for bilateral cooperation has been laid which today encompasses more than 300 documents that streamline collaboration in different fields which further diversified Uzbek-Korean relations and filled them with practical content of strategic partnership. The Government of Uzbekistan is strongly committed to working closely with South Korea in further advancing this strategic partnership and widening the horizons of comprehensive cooperation. Today Korea is among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nd investment partners of Uzbekistan. Over the past 10 years the trade turnover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increased 4 fold while the total volume of the announced Korean investments into the economy of Uzbekistan exceeded $6 billion. So, we analyzed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Uzbekistan and South Korea comparing with development of economic and historical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In the second chapter, you can be informed about Uzbekistan history and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which gave a influence for Uzbek population. Third, we wrote about Uzbekistan and South Korean current relationship in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rea after the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We showed current situation statistical results in this area. We tried to discuss about how is it go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olicies nowadays in Uzbekistan. Because education system corporation of South Korea and Uzbekistan is fast growing sphere in the development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Fourth, we studied about cultural relations, influence of Korean film and dramas, Korean products, Korean music and songs, fairs, which we can see easily nowadays in Uzbekist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alyze cultural, educational development between South Korea and Uzbekistan. Uzbekistan successfully cooperate in the cultural-humanitarian field, and especially in expanding exchanges and interactions in the area of education, tourism and sport. One of the concrete results of such collaboration is the creation in the capital of Uzbekistan, Tashkent, of the Seoul Park that became another symbol of special relations between our countries. In the future we can hope development more active steps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sphere between Uzbekistan and South Korea.

      • 문화상호주의 기반 세종한국어 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

        강효식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세종학당은 2007년 한국어와 한국문화전파를 위해 정부 주도로 세워진 기관이다. 여기서는 주로 한국대중문화에 호기심을 갖고 있는 일반대중들이 초급과정에서 한국어 공부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어와 함께 한국문화에 대해 알고 싶어한다. 한국어 국외 언어보급 정책이 추구해야할 가장 적절한 개념은 문화상호주의라 할 수 있다. 문화상호주의 교육에서는 언어 교육과 함께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져야 하며, 목표문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자국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이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인류보편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공동의 유익을 도모하는 목표가 수립되어야 한다. 문화상호주의가 제대로 구현되어 있는지 여부를 볼 때, 『세종한국어』 문화내용은 현지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세종한국문화1』 는 문화유형 분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문화가 총체척이고 유기적인 산물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 해결책으로 『세종한국어』 문화 교육과정의 다양한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이 논문의 주제인 문화상호주의를 적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제 문화상호주의 구현을 위해 『세종한국어』 문화 교육과정에서는 해당 국가의 문화가 반영된 학습자 언어권별 교재 발간은 물론이고 개인별 문화차이와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맞춤형 문화 교육과정을 수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세종학당, 『세종한국어』, 『세종한국문화』, 문화 교육과정, 문화단원, 문화상호주의, 문화 교육, 한국 문화 독립형 The Sejong Institute was founded in 2007 by the government to spread Korean and Korean culture. Here, the general public, who are mainly curious about Korean popular culture, is studying Korean in the beginner course. They want to know about Korean culture along with Korean. The most appropriate concept that Korean language dissemination policy should pursue is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along with language education,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ulture, establishing identity for one's own country culturet, and establishing a goal to pursue universal values ​​of humanity and to promote common benefits. When I look at whether Interculturalism is properly implemented, the contents of Sejong Korean cultural content do not reflect the needs of foreign learners. Sejong Korea Culture 1 has problems with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types. I pointed out the common ploblem is that culture is a total and organic product but that fact is overlooked. As a solution, I analyzed various models of Sejong Korean 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esented a model applying Interculturalism which is the theme of this thesis. Now, in order to realize Interculturalis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can accommodate individual cultural differences and demands as well as publishing textbooks for each language of learners reflecting the culture of the country Key words: King Sejong Institute, Sejong Korean, Sejong Korea Culture, a curriculum of education, culture unit, Interculturalism, culture education, culture independence type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의 수준별 목록 선정 방법

        장정정 대불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 관용표현 교육에 대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목록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관용표현은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가지면 그 의미를 각 구성 요소 의미의 합으로 파악할 수 없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한 나라 사람들의 언어습관 및 사고, 생활양식, 전통문화 등을 반영하는 독특한 표현이기 때문에 한국어 관용표현을 교육할 때 학습자에게 단순한 언어 교육을 할 뿐만 아니란 상호 민족성, 생활환경, 습과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고려하면서 진해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아직까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관용표현 내용과 수목은 명확한 규칙이 없어서 혼란스럽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인 중국인 학습자로 한국어 교육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기준의 관용표현 교육 목록이 아닌 새로운 기준에 의한 관용표현 교육항목 선정 방법을 밝히고 있다. 1장서론 부분은 주로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연구 목적, 그 동안의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자마다 주장하고 있는 한국어 관용표현의 개념 범주,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관용표현을 구성한 소재에 따라서 그것의 투명성 및 추상성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실상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및 중국어의 관용표현이 지닌 특징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먼저 한. 중 양국의 관용표현이 지닌 표현 방식이 대체로 비슷하고, 소재면에서도 공통된 바 신체기관, 의식주, 자연환경 등과 관련된 것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국의 자연 환경 및 풍속 습관 등의 측면에 존재하는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관용표현의 형태면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도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차이로 한국어 및 중국어의 관용표현이 지닌 표현의 실상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었다. 우선, 의미와 형태가 모두 같은 것(동형동의), 다음에 의미는 같지만 형태 일부분이 다른 것(부분동형동의), 마지막으로 의미가 같지만 형태가 완전히 다른 관용표현(이형동의)로 분류하였으며. 이것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관용표현의 수준별 목록 선정을 탐구하는 기준 설정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4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해당하는 교재는 서강 대학교<사강 한국어1-4>, 이화여자대학교 <말이 트이는 한국어1-5>, 서울 대학교<한국어1-4>, 경희대학교 <한국어1-6>, 연세대 한국어학당<한국어1-6>이다. 5장은 4장에서 제시된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발전된 관용표현의 교수 및 학습을 위한 바 수준 단계별 설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관용표현과 국제 교육진홍원(2002) 제시된 <한국어 속담100 관용어 100>과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용 목록을 선정한 후에, 이 목록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초중고 단계별 난이도라는 큰 기준을 충족시키 수 있는 바 3가지의 작은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별 목록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예시를 하였다. 초중고급의 3단계에 소속되는 작은 기준이란 (1) 한.중 관용표현의 유사성 정도, (2)의미의 투명성 정도, (3) 의미 성격상의 분류에 따라 구분된 3가지 기준이 그것이다. 그래서 초급에는 유사성에서 동형동의형, 투명성에서 반투명, 성격상 비교적 구체성을 지닌 동작형과 심리형을 설정하였다. 중급에서는 유사성에서 부분동형동의형, 투명성에서 반불투명형, 성격상에는 심리형과 속성형을 설정하였다. 고급에서는 유사성에서 이형동의형, 투명성에서 불투명형, 성격상에는 추상성이 높은 속성형과 상황형을 설정하였다. 마지막 제6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the exploration of a more efficient and more systemized Idiomatic Expression Directory us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for the Korean-learning Chinese students. An idiomatic expression is a fixed phrase composed of three or more syllables, the meaning of which can not be concluded from one single syllable. It is because that this is a unique reflection of the language habits, ideology, the life styles and the traditional culture in a country. Therefore, the education of Korean is not a pure process of language educating; it will also make the Chinese students acquire the similarities and diversities in the nationalities, living environments and habits of the two countries. However, up to the present, the contents and directory of idiomatic expression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are in great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the definite stipulations. This thesis will take the Chinese students as the object and develop a better idiomatic expression directory under a new-set criterion. Chapter One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previous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s of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in Korea. Chapter Two introduces scholars’ understandings towards Korean customary manifestations, including the definition, scale, type, features, etc. Because of the different elements in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it is also different in terms of transparency and abstractness. Chapter Three analys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ation of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in the two countries is roughly the same. The source materials mainly include body organs, basic necessities of life, natural environment and so on. Due to the different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habits in Korea and China,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are also different. Chapter Four tell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existing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nalyses the textbooks used in Sogang University, Ewh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in details and lists the existing problems one by one.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confused situation of content selection, i.e. the idiomatic expression of educational purpose, we have selected in chapter 5 the idiomatic expression content of educational purpose according to a new standard. After the settled selection of that content,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based on the previous difficult analysis of idiomatic expression. The standard for this division is as follows: 1)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idiomatic expression; 2) degree of transparency in the mean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3) nature classification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According to the three points mentioned above, the primary stage should select and use the idiomatic expression of the same type and meaning, half transparency and less abstractive in the action and psychological way. The intermediate stage should use the expression of partially the same type and meaning, half opaqueness and less abstractive in the psychological and attributive way. The advanced stage should use the expression of different type within the same meaning, opaqueness and highly abstractive in the attributive and situational way. Owing to time constraints, apologies are made for the existence of some deficiencies in this article, such as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is not sufficient enough, leading to the relatively narrow sphere of the selected idiomatic expression as well as the incomplete standard for selection. We will make more efforts in the future, and study the Korean educational-purpose idiomatic expression in a more comprehensive, effective and systematic way, thus making contributions to the Korean study of Chinese students. 本论文的研究目的是为学习韩国语的中国学生探索更有效,更系统的韩国语教育用惯用表现目录。惯用表现是由个以上音节构成的固定词组,以其中单独一个音节的意思无法判断出它的意思。因为这是一种反映一个国家人民的语言习惯,思想,生活样式,传统文化等的独特的表现,所以不仅是单纯的语言教育,同时也可以了解到双方在民族性,生活环境,习惯上的共同性和差异性。但目前为止,韩国语教材中出现的惯用型表现的内容和目录因为没有明确的规定所以非常混乱。因此,本文将以中国学生为对象,以新的基准探索出更加完善的惯用表现教育目录。 第一章主要介绍了韩国惯用表现的研究目的,先行研究以及研究方法。 第二章介绍了各学者对于韩国惯用表现的见解,包括惯用表现的定义,范围,类型及特征等。根据惯用表现构成要素的不同,惯用表现的透明性和抽象性也有所不同。 第三章分析了韩国及中国惯用表现的共同点和差异点。分析结果首先,韩,中两国惯用表现的构成方式大体相同,构成素材方面主要包括身体器官,衣食住行,自然环境等。但是由于两国的自然环境及风俗习惯上存在的差异导致惯用表现间也存在差异。 第四章分析了现在韩国语教育的现状及存在的问题。具体分析了西江大学,梨花女子大学,首尔大学,庆熙大学,延师大学韩国语学堂所用的教材。然后一一列举了存在的问题。 为了解决目前教育用惯用表现目录选定混乱的状况,在第五章中以新的基准选定了惯用表现教育用目录。在选定教育用惯用表现目录后,根据之前分析的惯用表现的难易状况,分为,初,中,高三个阶段,这三个阶段的判定基本主要是1)韩中惯用表现的类型,2)韩国惯用表现的透明度,3)韩国惯用表现的性质分类。 根据这三点,初级阶段应选用同型同义,半透明,抽象性较低的动作型和心理型惯用表现;中级阶段可选用部分同型同义,抽象性较低的心理型和属性型惯用表现;高级阶段可以选择异型同义,不透明,抽象性较高的属性型和状况型惯用表现。 由于时间仓促,对本文中存在的一些不足表示歉意。比如,对教材的分析还不够充分,导致所选定的惯用表现范围相对有些狭小,惯用表现选定基准还不够全面。今后将更加努力更加全面有效系统的研究韩国语教育用惯用表现目录,为中国学生更好地学习韩语作出贡献。

      • 동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우혜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중국은 한국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한류와 한국과의 교류 확대로 인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에 때한 학습 욕구도 날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최근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여러 가지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외국인 초급 학습자는 동요를 배워서 쉽게 따라 할 수 있고 의사소통 능력도 배양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동요를 교육적으로 활용한 학습지도 방안 모형의 연구에 이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외국어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존의 문법 위주의 교육에서 포함해 실용성을 중시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내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 전달할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 이용해서 잘 지도할 수 있는지 본 연구자는 동요를 활용한 학습은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도와준 방법을 찾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요와 중국인 초급 학습자 의사소통 중심으로 동요의 교육적 활용한 학습지도 방안모형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동요의 특징과 교육적 의의, 동요를 활용한 학습 지도 방안을 살펴보고, 교육적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한국 동요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한 학기 15주의 동요에 관한 구체적인 지도안 모형을 작성하여 지도하도록 보았습니다.15주의 동요에 관한 지도안 연구를 통해 동요를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 형상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어 학습에서의 동요의 활용은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생들이 직접 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언어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안겨주고 그것은 바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연결된다. 둘째, 동요의 가사는 실제 언어생활의 자료가 될 수 있다.반복적이고 간단하고 쉽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초적인 발음 학습부터 시작하여 학습자들이 어휘와 문법 등 여러 가지 표현을 습득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앞으로 외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 더욱 다양한 교수법과 교과서 및 교구 제작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