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운드스케이프를 적용한 대학캠퍼스의 공간 분석연구

        이용천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대학 캠퍼스는 특수한 복합 공간 형태로 다양한 공간 기능을 담고 있으며 각기 , 다른 기능 구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 캠퍼스와 캠퍼스의 환경은 캠퍼스 문화. , 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가장 중요한 장소로 자리매김하 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 생활에서 학생들은 학업과 대인관계 자기개발에 대한 압박. , 으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쾌적하고 조용하며 녹지가 잘 조성된 . , 캠퍼스 환경이 있다면 학생들에게 휴식과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를 경감시, 키며 심리적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건강하고 안전하며 위생. , 적인 캠퍼스 환경은 학생들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여 학습 효과와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캠퍼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고려하고 개선해야 하 , 는 이유는 첫째 캠퍼스 문화는 대학의 정신과 가치관을 캠퍼스 내에서 반영하고 학교, 의 전통과 특색을 나타내고며 둘째 학생들의 학교 문화에 대한 적응과 융화 정도에 , ,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쾌적하고 활기차며 개성적인 캠퍼스 환. , 경은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열정과 창의력을 자극하여 학교 문화에 대한 이해 및 학교 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캠퍼스 야외 환경의 건설에서는 건물의 스타일 양식 및 배치가 전체 캠퍼스에 영 , 향을 끼치므로 건물의 설계와 배치는 캠퍼스의 전체 분위기에 맞춰 기능과 조화를 이 루어야 하는데 미적이고 쾌적한 건축 환경은 학생들의 학습 및 생활 경험을 향상시킬 ,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학 캠퍼스의 사운드스케이프 조성도 전체 캠퍼스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는 단순히 환경 소음의 물리적 속성에만 .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인식 차원에 초점을 맞춘 다차원 연구로 확장되고 있으 며 이는 대학 캠퍼스와 사운드스케이프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 , 연구범위 역시 단일 독립공간에 대한 연구에서 전체 학생들의 거주 환경에 대한 연구 까지 대학 내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연구는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학 캠퍼스의 계획 및 설계에 중 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합리적인 계획과 설계를 통해 인문적 배려와 지속 가능성이 높, 은 캠퍼스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캠퍼스 계획에서 녹지대와 방. , 음벽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소음 전파를 줄임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및 생활의 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소리가 학생들의 행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적절, , 한 관리 및 개입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는 단일 물리적 . , 속성에서 환경 소음 문제에 대한 연구로 시작하여 다차원 연구로 확장되었으며 인본주, 의적 인식 차원에 초점을 맞춘 종합 연구의 요소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운드스케이프를 적용하여 대학 캠퍼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하며 비교대상으로는 관련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한국의 동신대학교와 중국의 광동공상직업기술대학교를 선택하였다 각각의 대학 캠퍼스에 존재하는 생 활 공간 경관 녹지 공간 운동장 공간 교육 공간 인문 건축 공간 보행 도로 공간 등의 개의 구역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소리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학 캠퍼스와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 차이 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대학 캠퍼스 설계 및 재개발 과정에서 사운드스케이프 , 를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학습 환경의 조성으로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다른 공공 공간의 사운드스케이프 분석 연구에도 응, 용되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키워드: 사운드스케이프 , 소리인식 , 캠퍼스공간 , 동신대학교 , 광동공상직업기술대학교

      •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구성선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 구 성 선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수학습 전공 (지도교수 권 성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가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 도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역량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 준 인식에 대한 다면적 분석을 통해 교육실습의 질 제고와 음악교과의 교수역량 신 장을 위한 현직 단계에서의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은 개인특성(성 별, 학위별, 교직경력별, 실습지도경력별) 및 재직학교의 특성(학교설립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의 절차는 크게 다음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과 음악교과 교수자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 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역량을 잠정 도출하였다. 둘째, 잠정 도출된 역량

      • 중국 지방 대학교 교수자의 직무자원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류양평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5 국내박사

        RANK : 248623

        중국 지방 대학교 교수자의 직무자원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류양평 교육의 질문제는 전 세계 대학 교육에서 중요한 현실적인 문제로 대학교 교수자는 교육의 주체로서 그들의 교육 상황과 수준이 대학 교육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며, 인재 양성의 질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방 대학교 교수자의 직무 자원, 교수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교수몰입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고, 성별, 연령, 학 력, 직급, 교직 경력, 전공 유형, 결혼 여부, 자녀 수, 경제적 수입 등 각 변인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교 교수자의 교수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대학 교 교수자의 교수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책 제안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수효능감을 매개 변인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 변인으로 하여 직무자원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 모델과 가 설을 설립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지린성 지방 대학교 교수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실증 분석을 통해 이론적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 다. 첫째 직무자원은 교수자의 교육 경력과 자녀 수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다. 경력 이 6~10년인 교수자의 직무자원이 21년 이상의 교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없는 교수자의 직무자원이 자녀가 세명인 교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지도자의 지원에서도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교수자가 여성 교수자보다 지도자의 지원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동료의 지 원에서는 학사 및 석사 학위를 가진 교수자가 박사 학위를 가진 교수자보다 동료의 지원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은 연령과 직급에 따라 현저한 차 이가 나타났으며, 나이가 많은 교수자가 나이가 적은 교수자보다 교수효능감이 높았 고, 강사 직급의 교수자가 부교수 직급의 교수자보다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인지 투입은 연령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가 많은 교수자가 나 이가 적은 교수자보다 인지몰입이 높았다. 사회몰입-학생에서는 학력과 자녀 수에 따 라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사 학위를 가진 교수자가 박사 학위를 가진 교수자 보다 학생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몰입은 연령, 직급, 결혼 여부에 따라 현 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가 많은 교수자가 나이가 어린 교수자보다 감정몰입이 높았고, 강사 직급의 교수자가 부교수 직급의 교수자보다 감정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미혼인 교수자의 감정몰입이 기혼인 교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의 구성 요소인 조직지원, 지도자지원, 동료지원이 교수효능감과 교수 몰입의 구성 요소인 인지몰입, 사회몰입-동료, 사회몰입-학생, 감정몰입에 현저한 영 향을 미쳤다. 교수효능감은 인지몰입, 사회몰입-동료, 사회몰입-학생, 감정몰입에 현 저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수효능감은 조직지원, 지도자지원, 동료지원이 인지 투입, 사회몰입-동료, 사회몰입-학생, 감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발휘하였다. 교수 효능감은 조직지원, 지도자지원, 동료지원이 인지 투입, 사회몰입-동료, 사회몰입-학 생, 감정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하였다. 넷째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지원, 지도자지원, 동료지원이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켰으며, 조직지원과 동료지원이 사회몰입-학생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과 지 도자지원이 감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조절효과를 발휘하였다. 조 직지원, 지도자지원, 동료지원이 사회몰입-동료에 미치는 영향과, 지도자지원이 사회 몰입-학생에 미치는 영향, 동료지원이 감정몰입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는 조절효과 가 현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교 교수자의 교수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음과 같은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쳇째 젊은 교수자의 발전과 양성에 관심을 가지며, 젊은 교수자가 처음에 직장에 들어올 때 교수효능감과 교육 인지가 아직 미숙하고 탐색 단계에 있으므로, 젊은 교 수자의 업무 상태를 주의하고 지원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자아실현과 성취 욕구를 존 중하여 젊은 교수자의 긍정적인 감정과 업무 몰입을 촉진시켜야 한다고 본다. 또한, 여성 교수자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하며, 교직 체계에서 여성 교수자의 비율이 남성 교수자보다 높지만, 여성 교수자는 전통적 요인, 가정적 요인, 자녀 교육 요인으로 인 해 에너지와 시간이 제한되어 교수몰입에 제약을 받으므로 자원 배분에서도 다른 정 도의 영향을 받게 된다. 둘째 교수몰입을 지원하는 직무자원 환경을 풍부하고 완전하게 구축하여, 교육 조 직이 교육 업무에서 도구적 지원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고, 교수자에게 풍부한 자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문적인 연수 기회, 교육 연구 프로젝트, 전방위적인 행정 지원, 학생 피드백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 교수자의 교수몰입에 대한 감정적 지원에 주목하며, 학교측면에서 상과 공개적인 표창을 통해 교수자의 교수몰입을 격려하고, 지도자는 교수자와 정기적으로 소통하며, 적절한 피드 백과 지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교수자 간의 협력과 공유를 장려하고, 팀워크와 경험 공유를 통해 동료 간의 지원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교수몰입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좋은 학교, 사회, 가정 등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대학 교수자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 키고, 교원의 정신 건강 상태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업무 스트레스를 줄이 수도 있다. 또한 교원의 집단 효능감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개인은 집단 효능감, 공동 이해, 집단 의지, 격려 체계 및 집단 행동을 통해 자기의 행동의 유의미성을 판 단하기 때문이다.

      • 한국대학의 골프 학과 교육과정 연구

        가멀러브 파루후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한국 대학의 골프교육도 새롭고 선진적인 방 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교육은 학생들의 인성과 재능을 키우고, 각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며, 나아가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육 성하여 국가를 선도할 수 있는 교육이다.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골프교육도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다음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원칙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이다. 최신 기술 및 트랜드 반영에서 골프는 기술과 트랜드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분야이 다.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최신 기술 및 트랜드를 반영하여 학생들이 현업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한 전공 및 융합 교육에는 골 프 산업은 클럽 운영, 경영, 기술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이뤄져 있다. 교육은 이러한 다양성을 반영하고, 학생들이 전문화된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융합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실무 경험 강화 교육에는 이론 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이 부여되어야 한다. 산업체와의 협력,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실제 업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 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벌시장에 대한 역할에서의 골프는 국제적인 산업이기 때문 에 학생들이 글로벌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국제적인 시각을 갖춘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인성 및 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서의 골프 교육은 인성과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에도 주력해야 한다. 골프는 개인 기술뿐만 아니라 스 트레스 관리, 팀워크, 리더십 등 다양한 미래의 리더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자막으로 연구 및 혁신을 통한 발전 방향에서의 대학은 연구와 혁신을 통해 골프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기 술을 개발해야 한다. 학생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문제에 대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별 골프 학과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골프 교육을 발전시키고, 이들 대학의 골프교육을 개선할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는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용인대학교, 호서대학교, 중앙 대학교, 중부대학교가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교과목을 개선하기 위해 각 대학의 교육 목표와 프로그램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 의 골프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각 대학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상세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골프교육은 더욱 전문적이고 구체적이 될 수 있 다. 둘째, 골프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은 각 학과와 대학 간의 연계가 있어야 한다. 연 계성을 갖춘 골프교육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이어진다. 셋째, 학교와 국내외 골프 산업을 연결하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골프교육 분야를 확대해야 한다. 이는 졸업 후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조치는 미래에 고급 골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차별화된 전 문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분야의 인재 양성이 가능해지며, 이는 골프교육이 한층 더 발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 20-30대 남성의 두피, 모발관리실의 이용실태와 고객만족도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 서초, 송파구의 직장남성을 중심으로

        김준경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우리나라 수도인 서울의 강남에 위치한 3개 구청은 우리나라 유행의 트렌드와 경제의 흐름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발전모델이 되고 있다. 이들 3개 구청에는 유행을 대표하는 백화점거리와 우리나라의 실리콘 밸리라고 일컫는 테헤란로 등 많은 젊은이들이 근무하는 회사들이 밀집해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위치한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 구성원들의 미용관리 실태를 연구하면 현재의 우리나라의 미용관리 경향과 실태를 잘 파악할 수가 있을 것이 예상된다. 빠른 발전을 구가하고 있는 강남의 대표적인 100대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남성들은 주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건강에 많은 악영향을 받고 있다. 미용학계에서는 최근 들어 이들 직장 남성들 중 환경적인 영향에 의한 전반적인 미용건강의 변화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특히 환경적인 영향 중 전자파를 발생하는 각종 사무자동화 기기와 휴대전화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악영향,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인스턴트식품의 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에 의해 손상된 두피, 모발관리 실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남성의 두피, 모발관리 실태는 선행연구와 언론보도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병원을 찾는 탈모 질환자 가운데 20-30대의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피부 부속기의 장애'로 분류되는 탈모 질환자는 18만 1천명으로 2005년(14만 5천명)에 비해 24.8% 늘었다. 연령대별 환자 수를 보면 20대(4만 1천 914명)와 30대(4만 6천 90명) 젊은 층 환자가 무려 8만 8천 4명으로 전체의 48.4%나 됐다. 성별로는 남성 탈모환자(9만 3천명)가 여성(8만 8천명)에 비해 약간 많았으며, 20-30대에서는 남성 진료환자가 많지만 40대 이상은 여성 비중이 더 높았다. 탈모 유형별로는 원형 탈모증(13만7 천명)이 가장 많았고, 흉터성 탈모증(2만 2천명), 안드로젠성 탈모증(1만 2천명) 등 순이었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와 함께, 20-30대 젊은 직장남성들을 중심으로 외모가 사회생활의 경쟁력을 추구하는 하나의 방편이라는 것을 인식하여 관리실이나 성형외과를 찾기 시작하게 되었고, 이미 업계, 관리실, 병원에서도 남성용 전문화장품을 출시하는 등, 치료, 관리하는 시스템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서울시 강남의 3개 구청(강남, 서초, 송파)의 사업체에 다니는 20-30대 직장 남성들을 대상으로 두피, 모발관리실의 이용실태와 고객만족도에 대해 조사 연구하여 우리나라 직장남성들의 두피, 모발관리의 표본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강남 3구의 20-30대 직장남성의 두피, 모발관리실의 이용실태와 고객만족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을 통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연령은 20대가 38.9%, 30대가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44%, 대학원 재학이 33%, 대학교 재학, 전문대학 졸업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67%, 기혼이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하는 직업은 전문직이 32%, 학생이 29%를 차지했다. 월평균 소득은 200만원대 41%, 400만원 이상이 24%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분석을 통한 자가 진단한 두피, 모발 및 건강상태의 특성은, 모발타입은 20대의 77%가 지루성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30대 이상이 되면 민감성 피부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별 모발의 굵기는 20대는 '굵은 모발'이 77%, 30대는 '보통 모발'이 69.4%로 가장 많아서 나이가 들면 모발이 가늘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대별 두피청결 상태는 20대는 '보통'이 77%이었으나, 30대는 58%로 줄어들어서 나이가 많아지면 두피청결 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대별 탈모여부는 30대가 될수록 탈모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연령대별 스트레스의 정도는 20대는 5%만 '매우 많이 받는다'이며, 30대는 83%가 '매우 많이 받는다'고 응답해서 20대보다 30대가 더 많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차분석을 통한 두피, 모발 관리실의 이용실태의 특성은, 두피, 모발관리에 관한 정보를 얻는 곳은 20대는 인터넷을 통해서, 30대는 전문가나 주변사람들을 통해서 모발관리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 곳은 20대는 피부 관리실을 통해서가 77.2%, 30대는 전문 두피 관리센터를 통해서가 4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 이유는 20대는 지루성 개선이 77%, 30대는 탈모개선이 96.8%로 가장 큰 이유라고 나타났다. 이를 통해 20대에서 30대로 나이가 들면서 두피가 지루성에서 탈모로 변화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을 때 주로 받는 관리는 20대는 '두피 마사지'가 64%, '두피스케일링'이 35.4%순으로 나타났으며, 30대는 '두피 마사지'가 58%, '두피스케일링'이 36.3%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20대나 30대 모두 두피마사지와 스케일링 순으로 관리의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0대의 77%가 1시간 미만, 30대의 33%가 1시간 30분 미만으로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데 지불한 1회비용은 20대의 46% 이상이 5만원 미만, 30대의 60% 이상이 5만원 미만으로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 평균 이용횟수에 대한 질문에서는 20대의 77%, 30대의 60%가 주 1-2회를 평균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은 기간은 20대의 77.2%가 3개월 미만, 30대의 39.5%가 1년 미만의 관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은 효과는 20대의 77.2%가 1개월 정도에, 30대는 71%가 2-3개월 정도가 지나서 효과를 보았다고 응답했다. 넷째, 빈도분석을 통한 두피, 모발 관리실을 이용할 때의 만족도에 대한 특성은, 두피, 모발 전문가나 관리사들의 고객응대와 서비스에 대해서는 100%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관리를 받기 전, 두피, 모발 전문가나 관리사들로부터 시술전후 상태와 주의사항, 부작용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은 여부는 두피 모발관리를 받기 전 두피 모발 전문가나 관리사들로부터 시술전후 상태와 주의사항, 부작용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를 받을 때 두피, 모발관리실의 위생 상태는 78%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는 보통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관리 후 두피와 모발상태는 두피, 모발관리 후 두피와 모발상태에 만족하는 사람들이 99%로 나타났으며, 보통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1%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 후 개선하고자 했던 증상들이 개선에 대한 질문에서는 두피 모발 관리 후 개선 하고자 했던 증상들이 개선됐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87%, 보통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12%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 후 개선효과로 인해 자신감 극복 등의 향상에 대한 질문에서 두피, 모발관리 후 개선 효과로 인해 자신감 극복 등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68%인 것으로 나타났다. 32%는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두피, 모발 관리실에서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한 질문에서는 두피, 모발 관리실에서 최우선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1순

      • 보건·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의 의료관광 인식·태도·지식의 차이 분석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안정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이 연구는 고부가가치 신 성장산업으로 성장하는 의료관광에 대하여 인적자원의 초석이 될 대전·충남 지역의 보건계열학과와 관광계열학과 남녀 대학생들의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태도·지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의료관광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결과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의료관광에 대해 더 높은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 태도수준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4개 영역에서 관심도 및 발전가능성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직·간접 체험과 실무지식습득 부분에서는 두 계열 학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로 의료관광 지식수준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두 계열학과 대학생들이 평균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이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의료관광에 대한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에서 의료관광에 대하여 인식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높지 않은 학생들보다 지식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4개 영역에 대하여 관심도 및 발전가능성에 해당되는 지식문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많으며 직·간접체험 및 실무지식습득에 해당되는 문제에서는 정답률이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에서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은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수준에 있어서는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지식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의료관광에 대한 태도수준에서는 두 계열학과 학생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산업인 의료관광산업에 대하여 국가적인 지원과 관심으로 보건계열과 관광계열 대학생들의 학과 교육과정에 의료관광 과목이 필수과목 또는 비교과과정 운영 등을 통해 이 분야의 전문인 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교육에서는 해당 전공 대학생들의 실습의 장을 만들어 실무 참여의 기회를 늘리고 보다 수준 높은 어학교육에도 중점을 두어 의료관광산업의 전문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대학생들의 참여 독려를 위한 다양한 홍보방안과 체계적인 커리큘럼 등을 모색하여 맞춤형 인재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통합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In this study, for medical tourism which is growing as a new high value-added growth power industry, I analysed the department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medical tourism about Daejeon and Chungnam region. Also, analysed awareness, attitudes, knowledge level. Therefore, medical tourism of high-value industry and national support need that attention need to required course department of tourism and health university students training of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compulsory course or non-subject course about medical tourism. Especially, in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practice participate in making a place for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of the department. And, the must is to create an environment such that it is capable of emphasis was also placed on language quality education,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lso, it is in desperate need of efforts that have been integrated to construction personne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customized to exploring and systematic curriculum with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도시하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신정수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분석에 대해 실시하였다. 하천 유출량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위 관측소를 중심으로 유량측정 지점을 선정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유량측정결과로 하천의 홍수 전·후의 단면형태와 단면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산출된 유량을 활용한 Rating Curve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Rating Curve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위 변화량의 유출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Hydrograph를 작성하였다. 유량측정 시 수질측정도 함께 병행하였으며, 측정된 시료는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명과학연구센터에 수질검사를 의뢰하였다. 수질분석결과는 Rating Curve를 활용하여 부하량개념의 EMC를 산정 하였으며, 수질분석결과와 유출량으로 Hydro - Polluto Graph를 작성하였다. 작성을 통하여 판암교 지점에서 높은 농도 나타낸 수질항목으로 BOD, SS, DO, T-N, T-P, NH3-N 항목이며, 철갑교 지점에서는 COD수질항목으로 조사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판암교 지점과 철갑교 지점의 수질항목별 상관분석 및 수질검토를 통하여 도시하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non-pollution source for urban river basins was also carried out. Discharge measurement points were selected centering from th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status of rivers. With discharge measurement results, the sectional profiles and changes amount of section before and after flood were analyzed. The Rating Curve was drawn using the estimated discharge at each section. Also, hydrograph was prepared to figure out the discharge mode of water level changes at real time with the help of prepared Rating Curve. Water quality measurement was also simultaneously carried out during discharge measurements. The measured samples were sent for the water quality analysis to the Life Science Analysis Research Cente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Joongbu University. The EMC of pollutant load concept was estimated using the rating curve with water quality results. Hydro - Polluto Graph was prepared using the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s and discharges. Hydro-Polluto Graph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indicators with higher concentrations were BOD, SS, DO, T-N, T-P, and NH3-N at Pan Am Bridge point. While water quality indicator COD was found high at Cheol Gap Bridg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water quality analysis between Pan Am Bridge and Cheol Gap Bridge could provide the ideas about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of urban river basin.

      • 대학 골프학전공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대한 장벽과 개선방안

        류은지 중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인에게 알맞은 진로를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이나 환경, 적성 등을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하며 진로 선택이나 결정은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일이지만 불투명하고 불확실한 취업전망 등으로 인해 사람들은 쉽게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다. 우리나라의 골프선수들이 보여주고 있는 좋은 경기력과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골프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면서 골프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고자 골프 학과나 골프와 관련된 전공의 개설이 늘어나고 있으면서 골프산업과 관련분야의 수요도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의 골프라는 특수성 때문에 골프 전문인력은 많이 부족하다. 이에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취업 준비 및 진로 탐색 시 지각하는 진로장벽에 대한 원인 규명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골프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 및 특성과 그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대학 골프학전공 학생들이 진로 선택 과정에서 겪는 장벽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의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으로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J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골프 전공 3, 4학년 학생들 9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담을 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선행논문을 검토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신뢰도 및 윤리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및 해석한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골프를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는 골프라는 종목을 선택하게 된 계기는 주변 권유 등의 이유지만 전공 선택에 있어서는 주변에서의 권유, 골프에 대해서 지속하고자 하는 생각 등이 있었지만 대부분 본인의 흥미와 적성이 큰 영향을 미쳤고, 대학 진학 후 전공만족도 또한 만족했다고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꼈던 것에는 크게 목표설정에 있어서의 장벽, 교육과정의 문제, 진로‧취업 정보의 부재 등이 있었다. 셋째, 이러한 진로선택의 어려움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교육과정 개편, 멘토링 시스템, 스터디 및 동아리 활성화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골프학전공 학생들의 경험을 통한 면담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다른 체육계열 전공 학생들과 골프학과 재학 학생들의 진로장벽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취업난이 심각한 현 상황에서 대학 골프학전공 학생들이 진로선택에 대한 장벽을 파악하여 조금 더 극복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자 논의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lthough career is a very important thing in your life, it is not easy to choose a career because of opaque and uncertain job prospects and you need to consider many things such as environments or aptitude to choose the right career for you.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golf due to the good performance of Korean players and the popularization of golf in Korea, many colleges open golf related studies, and the demand of the golf industry and related fields is increasing. However, human resources related to golf industry are not enough becaus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olf in Korea.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identify the causes perceived career barriers when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career exploration so that they can get realistic and reasonable help from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career selection of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golf in colleg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uch career decision, to analyze the barriers that golf major college students have in their career selection process, and to provide countermeasures. The research method selected for this research was purposeful sampling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were nine juniors and seniors who are majoring in golf in J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They were in-depth interviewed in 1:1 method.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previous literature and related papers. During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the credibility and ethics of the research were confirm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chose golf as their major mainly because of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ey started golf due to the recommendation from people around them and when they select a major it was true that there were solicitations from around and they had intention to continue. They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Second, the participant's difficulties in deciding careers were largely the barrier to goal setting, the problem of curriculum, and the absence of career and employment information. Third, they advised to reform curriculum to embrace various and broader areas, to enforce mentoring system, and to activate study and club activities as the method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in career choice.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golf in the university and could draw similar conclusions as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areer barriers of sports majoring students including golf majoring students. This study tried to discuss problems and present improvement implications by identifying career barriers that golf major students hav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jobs are in seriously short of.

      •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복순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이복순 지도교수: 김대길 본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직의도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 및 직무만족 하위변인과 각각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 크기는 급여 만족, 직업 만족, 보상 만족, 관계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 만족 하위요인 중 관계 만족과 직업 만족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영향 크기는 관계 만족, 직업 만족, 보상 만족, 급여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은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를 부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가 있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경로에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및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 하위변인 중 관계 만족 과 직업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폭력피해 예방 정책 입안 시 우선순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가 폭력피해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또한 직무만족을 덜 약화시킨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방문요양보호사는 이용자 가정이 근로 장소인 관계로 폭력피해 발생 시 대처가 쉽지 않다.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별, 지역별로 구분 하여 폭력피해 예방, 대응, 사후관리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 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폭력피해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를 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인권을 보호 하고, 사회적 지지 연계로 직무만족을 느끼며 계속 근로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가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직하지 않고 돌봄 직종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예방과 대처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의 사후관리를 위한 상담 및 치료 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폭력피해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 실태 파악 및 지원 을 함으로써 장기요양요원으로 계속 근로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여섯째,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연 계를 위한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일곱째, 폭력성향이 있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맞춤형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폭언, 폭행, 성희롱 등의 예방 및 대처가 가능한 특화된 요양보호사를 양 성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 로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에도 불구하고 방문요양보호사에 대한 확률표집이 아 닌 비확률표집의 연구결과 도출에 대한 일반화라는 연구의 한계를 제시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확률표집의 연구 및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혼용형태를 제안 한다. 주제어: 방문요양보호사, 폭력피해 경험, 직무만족,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고가 중국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유신양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지식 기반 경제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의 교육은 인재 양성의 다양화와 혁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은 학문 경쟁과 복잡한 사회 환경에 대처해야 하며, 종합 소양과 창의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간 중심의 혁신적 사고방식에 주목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 는 디자인적 사고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리하고, 각 구성요소별로 문화콘텐츠 기 반 디자인적 사고가 중국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고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방식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132부 의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고의 하위 요인인 공감, 낙관주의, 실험 주의가 학습몰입의 하위 요인인 학습과제 몰두, 학습과정 통합, 학습행동사고 통합, 자의식 상실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콘 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고가 학생들이 학습에 더 깊이 참여하고, 학습 활동을 탐구 적이고 창의적으로 접근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문화콘텐츠 기반 디 자인적 사고의 하위 요인 가운데 통합적 사고는 학습과제 몰두, 학습과정 통합, 학 습행동사고 통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의식 상실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이는 학생들이 복잡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학습에 대한 집중력 을 방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자에게 학생들의 인지적 능력과 학습 단계에 맞는 적절한 교육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는 긍정적 지각과 부정적 지각 모두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 인적 사고와 학습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긍정적인 도전으로 인식할 때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 고가 학습몰입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고의 긍정적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콘텐츠 기반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학습 전략의 중요성과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학습몰입을 촉진 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 높은 수준의 학습 성취 를 이루어낼 수 있으며,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 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이 1학년 신입생에게 편중되었고 심리적 매개변수를 고려 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또한, 횡단연구로 인해 장기적인 변화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년의 대학생들을 포함하고 심리적 요 인을 고려하여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