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류 점포에서의 소비자 서비스 공정성 지각과 고객 참여행동이 관계품질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오경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의 출범에 따른 급속한 환경 변화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세계는 글로벌화되었고 이는 시장 경쟁, 제품 수명주기의 단축, 소비자의 급격한 구매패턴 변화를 야기해 업체 간 경쟁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총체적인 시장 환경의 변화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높은 기대수준을 양산하게 되었고 소비자가 기업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기업은 지속적인 이윤 획득을 위한 소비자와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최대의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생산과 전달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소비자의 서비스 공정성 지각과 고객 참여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류매장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공정성과 고객 참여행동이 관계품질과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의류매장 유형(백화점 의류매장,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에 따른 서비스 공정성과 고객 참여행동, 관계품질과 관계성과 각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류매장에서의 서비스 공정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를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백화점 의류매장과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에서 의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대 남녀이며, 표집 방법은 성별, 연령, 지역을 중심으로 할당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적 조사를 위한 면접법과 계량적 조사를 위한 설문지 응답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백화점 의류매장 설문지 213부,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 설문지 211부인 총 42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다중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매장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공정성(과정, 결과)은 관계 품질(만족,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결과 공정성은 만족과 신뢰에 더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과정 공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류매장에서의 고객 참여행동(감정, 정보, 물리)은 관계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참여와 물리참여는 만족과 신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정보참여가 만족과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참여는 만족에만 영향을 미쳤고 신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류매장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공정성은 관계성과(재구매 의도, 긍정적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 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과정 공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류매장에서의 고객 참여행동은 관계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보참여는 재구매 의도와 긍정적 구전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참여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긍정적 구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물리참여는 긍정적 구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재구매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류매장에서의 관계품질은 관계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 만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서비스 공정성은 백화점 의류매장과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서비스 공정성의 과정 공정성, 결과 공정성 모두 백화점 의류매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고객 참여행동은 백화점 의류매장과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객 참여행동의 감정참여, 정보참여, 물리참여 모두 백화점 의류매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관계품질은 백화점 의류매장과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계품질의 만족과 신뢰 모두 백화점 의류매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관계성과는 백화점 의류매장과 동대문 패션타운 의류매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계성과의 재구매 의도, 긍정적 구전 모두 백화점 의류매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의류 기업과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한 관계 구축과 강화에 도움을 주고,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고객 만족과 의류 기업의 장기적인 이익 실현을 위한 관계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rapid change of circumstance due to the departure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and the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technique led to the publication of internet and the globalization, which caused the dramatic change of purchasing behavior and strengthen the competition among firms. Those whole change of market condition make consumers to have various desire and high expectation, and as the consumers are perceived as an important asset for firms, the firms attempt constantly to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for continuous pursuit of profit. To maximize the gains of the both service consumer and its provider,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study on the consumer's service fairness perception and consumer's participation behavior which are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rvice production and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s service fairnes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on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n clothing stor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ach differences in service fairness, consumer's participation behavior,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clothing stores(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and Dongdaemun fashion tow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a scale proper to measure the service fairness in clothing sto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umers from their twenties to their thirties who resided in Seoul or Gyeonggi-do and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retail products i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or Dongdaemun fashion town. The sampling method was the quota sampling based on gender, age, and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 for the qualitativ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quantitative one; questionnaires included in analysis finally were a total of 424 (213 for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and 211 for clothing stores in Dongdaemun fashion town, respectively).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fairness(procedural and outcome one) perceived by consumers in clothing stor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quality(satisfaction, trust), and especially the outcome fairness had mor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trust compared to the procedural fair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s participation behaviour(emotional, information and physical one) in clothing stor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quality. The information participation and physical on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oth one the satisfaction and trust, where the information one had higher effects, while the emotional particip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satisfaction, not on the trus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fairness perceived by consumers in clothing stor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elationship performance(repurchase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where the outcome fairness had more effects compared to the procedure fair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s' participation behavior in clothing stor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especially that the information participation had strongest effects both on repurchasing intention and positive word-of-mouth. It was also found that the emotional particip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ly on the repurchasing intention, not on the positive word-of-mouth, while the physical particip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ly on the positive word-of-mouth, not on the repurchasing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in clothing stor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where the trust was effected more than the satisfac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vice fairness betwee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and Dongdaemun fashion town, where both the procedural fairness and outcome one i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were higher than them in clothing stores in Dongdaemun fashion town.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ustomer's participation behavior betwee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and Dongdaemoon fashion town, where emotional, information and physical participation i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were higher than them in clothing stores in Dongdaemun fashion town. Eigh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and Dongdaemun fashion town, where both satisfaction and trust i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were higher than them in clothing stores in Dongdaemun fashion town. Nin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betwee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and Dongdaemun fashion town, where both repurchasing intention and positive word-of-mouth in clothing stores in department store were higher than them in clothing stores in Dongdaemun fashion town. Thos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ful in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firms and their consumers by continuous cooperation between them, an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long-term realization of profit as well as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in fashion firms.

      • 국내 의류업체의 공급망관리(SCM)를 위한 정보공유모델에 관한 연구

        허지혜 연세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19

        As apparel manufacturers have increased their outsourcing garment making to cope with the rapid changing market, the information sharing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pply Chain Management(SCM) in the Korean apparel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perties of th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apparel manufacturers and the contractors, an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o suggest the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model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A total of 86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were surveyed about the present state and needs of the information sharing in the Korean apparel industry. And two apparel manufactures which actually used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s were case-studied for the properties and effects of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Results of 86 surveys : The information sharing level on manufacturing capacity, manufacturing processing condition, and product quality were higher than other survey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haring needs by online system about such information were also greater than other information. Especially, the manufacturers, which made fashion products and pursued quality differentiation or quick response(QR) strategy, had much more needs of such information than others. 2. Results of 2 case studies : The manufacturers and the contractors were sharing the information and documents mostly about orders, delivery and payment by online systems. Especially, the manufacturer, which had much partnership and pursed quality differentiation and quick response(QR) strategy, shared not only basic transaction information but also product quality and sales information. Their systems made the studied companies to shorten the transaction time by more than 60 percent. In addition, their systems helped to improve delivery management and quality management function. 3.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built up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documents about orders, delivery and payment between the apparel manufacturers and the contractors. In addition, in pursuing this model, step-by-step strategy was suggested, considering the company properties and computerization level. 1) The first step was suggested to share basic transaction information, and it could be much effective for the companies of low maturity, low capability and cost comparative strategy. 2) The second step was suggested to share basic transa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quality information, and it could be much effective for the companies of low maturity, high capability and quality differentiation strategy. 3) The final step was suggested to share all the manufacturing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 plan, manufacturing process condition, sales, etc., and it could be much effective for the companies of high maturity, high capability and quick response strategy. 급변하는 국내외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의류업계에서 하나의 해결 전략으로 공급사슬내 관련기업과 효율적인 정보공유를 통해 통합적인 공급망관리(SCM)를 구축하려는 전략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류제조업체와 협력업체간 정보공유 특성과 실제 정보공유 시스템 활용기업의 시스템 특성 및 활용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 의류제조업체의 특성에 적합한 정보공유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의류제조업체 86개사를 대상으로 정보공유 현황 및 니즈를 설문조사하였고, 실제로 정보공유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2개사를 대상으로 시스템의 특성과 활용효과를 사례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국내 의류제조업체의 정보공유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의류제조업체의 재고수준이나 판매실적에 대한 정보공유수준은 낮은 데에 비해 협력업체의 생산능력(CAPA)이나 생산공정상황, 품질수준정보에 대한 정보공유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시에도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류제조업체의 경쟁력이라 할 수 있는 납기 준수를 위한 생산공정상황정보와 품질 관리를 위한 품질정보공유에 대한 업체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특히 제품의 수요예측이 어렵고 수명주기가 짧은 패션 제품을 생산하고, 품질차별화 전략이나 신속대응(QR)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일수록 이러한 정보에 대한 니즈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실제 정보공유 시스템 활용기업을 사례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은 온라인상에서 협력업체와 발주 및 입출고정보, 대금지급정보 등을 공유하고, 이와 관련된 문서를 전자문서 형태로 교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협력업체와의 파트너십 수준이 비교적 높고, 품질차별화와 신속대응(QR)에 주력하는 업체의 경우에는 품질정보와 일부 판매정보까지 온라인상에서 공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시스템 활용을 통해 기존의 직접 방문이나 전화, 팩스를 활용한 업무처리 때에 비해 60% 이상 업무처리시간이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납품내역을 온라인상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산업무 소요시간이 80% 정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생산진행상황정보와 품질검사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간접적으로 납기문제와 제품의 사전 품질관리 기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국내 의류산업의 특성에 맞는 정보공유모델로서, 의류제조업체와 협력업체(자재업체, 생산업체, 검사업체)간에 발주정보, 입출고정보, 대금정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공유하고, 이와 관련된 문서를 전자문서 형태로 교환하는 정보공유모델을 수립하였다. 또한 실제 시스템 구축사례를 살펴본 결과, 파트너십 정도나 협력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감안하여 단계별로 정보공유수준을 높여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연구에서도 기업 수준에 맞는 단계별 정보화 추진이 효율적이라고 하였으므로, 앞서 제안한 정보공유모델을 추진함에 있어서 기업의 정보화 수준과 특성에 따른 단계별 추진방안을 추가 제안하였다. 즉 1단계 정보공유모델은 의류제조업체와 자재, 생산업체간에 기본 거래정보를 공유하는 S사의 시스템을 토대로 한 것으로서 기업의 성숙도와 역량이 낮고 비용우위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에 효율적인 모델, 2단계 정보공유모델은 정보공유구간을 검사업체에까지 확장한 J사의 시스템을 토대로 한 모델로서 성숙도는 낮지만 역량은 높고 품질차별화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에 효율적인 모델, 3단계 정보공유모델은 공유되는 정보의 수준을 높여서 생산계획정보, 생산공정상황정보, 판매실적정보까지 공유하는 공급망관리(SCM) 모델로서, 성숙도와 역량이 높고, 신속대응(QR)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에 효율적인 모델이라고 제안하였다.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국내 의류산업의 정보공유모델에 대한 타당성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업계 측면에서는 실질적으로 정보공유모델을 추진하는 데에 참조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온ㆍ오프라인 의류 점포 통합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김지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요즘 급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를 의류 마케팅에 접목시켜 오프라인 점포 판매와 온라인 점포 판매의 통합을 통한 의류 판매를 위한 마케팅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초점은 구매자의 선호 점포 형태에 따른 소비자 특성과 점포선택행동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10대-40대의 남녀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류 점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47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패션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특성, 구매행동,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위험 지각, 브랜드 확장을 통한 효과, 점포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특성 비교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구성하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거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는 소비자의 의류구매행동, 온라인 점포에서의 구매성향, 점포선택행동, 소비자특성을 묻는 5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 Win 프로그램 1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분산분석, t-test, 교차분석, Duncan 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오프라인 의류 점포와 온라인 의류 점포에서의 의류 구매행동 분석 및 비교를 한 결과 연령, 성별, 직업에 따른 구매 아이템으로 티셔츠류와 정장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0대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점포 양방향에서 티셔츠류를 가장 많이 구입하는 아이템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점포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아이템으로는 정장류로 ‘온라인 점포에서는 구입하지 않는다’가 큰 비율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연령대에서 구매·선호 브랜드 스타일로 캐주얼웨어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10대는 온라인 상의 정보탐색에 비해 구매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점포에서의 비구매 이유로는 ‘신뢰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선호 점포 형태별 집단의 온라인·오프라인 의류 점포에서의 구매행동과 점포선택행동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선호 오프라인 점포 형태에서 가장 많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점포형태로는 백화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화점 선호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에서 소득수준이 네 집단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월등히 높았고 기혼보다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고개 집단의 오프라인 의류 점포에서의 구매행동에서는 점포에 대한 불만사항, 벌당 평균가격대, 연평균 의류 구매 비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불만사항으로 백화점 선호 집단은 개폐점 시간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점 선호 집단은 제품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벌당 평균가격대로는 네 집단 모두 5-2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평균 의류 구매 비용은 백화점 선호 집단이 100만원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용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집단의 구매 의복 아이템에서는 네 집단 모두 오프라인 점포에서 정장류를 구입하나 온라인 점포에서는 구입하지 않는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청바지·면바지류는 백화점, 전문점 선호 집단이 오프라인 점포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셔츠류의 경우는 오프라인 점포에서 보다 온라인 점포에서 구입한다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집단의 온라인 점포에서의 의류 구매행동에서는 결제수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결제 수단으로 신용 카드 결제가 월등히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온라인에서의 구매 의류 아이템으로는 스커트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온라인 점포에서 스커트류를 구입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의류 점포의 보완점으로는 백화점, 할인점 선호 집단에서 ‘정확한 정보 제공’이, 전문점, 보세매장 선호 집단에서는 ‘구매 후 처리’가 높게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점포선택행동에서는 ‘점포이미지’와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점포를 선택하는데 있어 점포이미지와 서비스에 대해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를 통해 오프라인과 온라인 의류 점포의 통합 마케팅 전략에 적용할 만한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이 분야의 마케팅 관리자들은 소비자들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점포에서의 소비자 행동과 점포선택행동을 분석·이해하고 이에 맞는 처세와 전략을 전개해 나가는데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way to activate marketing of the clothing business that provides on-line/off-line total services by combining electronic commerce, which is developing rapidly these days, with marketing of the clothing busines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sumer choice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store and in consumers’ properties, and if there were differences, what they were. Four hundred and seventy people in their teenage, twenties, thirties, and forties who had ever purchased clothing through on-line and off-line stores were sampl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related to properties of consumers purchasing fashion goods, their purchasing behaviors, the perception on the danger of Internet shopping malls, the influence caused by brand extensions, and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choice to purchase goods according to types of sto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ifty-four questions that were asking consumers’ behavior to purchase clothing, their purchasing trend in online stores, their choice behavior between online and traditional stores, and their propertie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a professiona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 analysis of variance, t-test, crosstabulation, Duncan test, and ANOVA with SPSS WIN 1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lated to consumers’ behavior to purchase clothing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based on the properties of statistics in population, T-shirts and suits as items to be purchas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ender, and job. It was found that people in their twenties purchases T-shirts most in both online and offline stores. The item showing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s in both stores was suits, and most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swered ‘I don’t purchase suits in online stores.’ Casual wear look was the most preferred brand style and items related to it were purchased most by subjects in all ages in general. In addi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eenagers purchased items in online stores more than they searched the net to get information of the items. The greatest number of subjects answered that, if they had not bought goods in online stores, it would have been because they could not have relied on ‘Reliability’ of online store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lated to consumers’ purchasing and choice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stores with regard to types of stores, it was found that department stores was chosen as the most preferred type of offline stores. People who preferred department stores to purchase goods showed following properties of statistics in population; firstly the level of their household income was the highest among four groups. Secondly, women showed much higher rate of purchasing at department stores than men. Finally, single people bought items there more than married people. Regarding to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aints about stores, average price per suit, and an annual average expense for purchasing clothing. The most distinct complaint about stores that the group of people preferring department stores had was their business hours, and that of the group preferring specialty stores was lack of diversity of items. The average price per suit was revealed fifty thousands to two hundred thousands won in all four groups. It was also found that the annual average expense for purchasing clothing of the group of people preferring department stores was the highest, over one million w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most people of the four groups had ever purchased suits in offline stores, they had never done or had not any intention to purchase suits in online stores. Jeans and trousers were the items purchased most in traditional stores by the group of people preferring department stores and specialty stores, and people bought T-shirts more in online stores than offline stor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way to pay with regard to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n online stores according to types of groups, and most people paid for with credit cards. Clothing items purchased in online sto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rts, and subjects answered they had often bought skirts in online stores. The subjects required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to provide with correct information,’ and specialty stores and retail stores ‘to provide with after service.’ Consumers’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sto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of store’ and ‘service,’ an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placed significance on the two variables when choosing a store for purchasing good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t findings were acquired from this study for strategies to integrate marketing of online and offline clothing stores. Therefore, marketing administrators in this field should analyze and make out consumers’ purchasing and choice behavior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so that they can develop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s.

      • 의류봉제업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생산시스템을 중심으로

        어미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내수 전문 숙녀복 봉제업체를 대상으로 의류봉제업체의 실태와 제품 품질수준을 조사하여 현재 의류봉제업계의 문제점과 품질수준을 진단·파악하고 개성화, 고급화, 차별화되어 가는 패션산업에 부응하기 위한 해결책과 품질·기술력 향상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31개 의류봉제업체를 방문하여 대표자와의 면접법에 의해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행하였다. 1. 조사 대상업체의 일반사항을 검토한 결과 숙녀복 봉제업체는 자본금 1억원 이하의 업체가 58%, 연간 매출액 10억원 이하 업체는 77.4%, 평균 고용 인원은 35.2명으로 나타났고 공장규모에 대한 조사 결과로는 50평 이하의 공장에서 작업하는 업체가 32.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업체의 87%는 건물내의 상가나 사무실을 월세로 임대하여 공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의류봉제업체가 자본금 규모면이나 종업원·공장 규모면에서 있어서 점차 소형화·영세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의류봉제업체의 고용인원은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추세를 보여 조사 대상업체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는 의류제조업을 3D업종으로 여기는 사회의 일반적인 통념속에서 근로자들의 제조업 기피현상과 근로조건이 유리한 서비스직으로의 이직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며 의류봉제업의 생산성 저하와 경쟁력 약화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부족인력에 대한 대체노동력으로 고학력 활용, 고기능화, 고임금화로의 전환정책에 의해 고졸이상의 여성근로자와 유휴주부 노동력을 적극 활용하여 인력난을 해소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3. 우리나라 의류제조업체는 국제분업 관계변화와 국내 생산여건의 약화, 다품종 소량소비로 인한 생산환경의 변화 등으로 의류제조업체는 자가생산은 줄어들고 하청생산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95년도에 하청업체수는 83.7%를 차지하여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하청업체중 등록공장은 74.2%로 아직도 25.8%에 해당되는 공장이 무등록 상태에서 생산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많은 무등록 공장들이 양성화되고 봉제업체가 소규모기업으로서 각종 세제지원을 받아 자유롭게 생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관련단체의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히 요망된다. 4. 조사 대상업체의 생산시스템을 조사한 결과 Straight line system으로 운영하고 있는 업체는 19.4%이었고 Straight line system과 Synchronized line system, 또는 Bundle system을 병행해서 작업하고 있는 업체는 32.3%, Pair system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업체는 48.4%로 나타나 현재 다품종 소량생산과 함께 단싸이클을 요구하는 생산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의류봉제업체는 과거의 단품종 대량생산시스템인 라인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소규모업체일수록 자동화설비 투자에 대한 부담없이 소자본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에 대처할 수 있는 Pair system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air system 업체는 Line system 업체보다 생산규모면이나 생산환경 전반에 걸쳐 더 영세하고 열악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5. 의류봉제업체의 자동화설비 실태조사 결과 77.4%의 봉제업체가 자동화율이 매우 낮아 40.0%이하로 나타났으며 자동화설비가 미흡한 이유로는 자금부족, 채산성 없음, 현재 설비로 충분함, 자동화에 관한 기술적·인적 능력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이면서 재료 특성상 부분적인 자동화만이 가능한 숙녀복 봉제업체임을 감안하더라도 조사 결과와 같이 자동화율이 저조한 것은 자금부족 이외에도 봉제업체 경영자의 자동화설비 투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자구노력이 부족한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6. 의류봉제업체의 품질수준과 제품 불량 발생요인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한 결과 1차 검사시 발생하는 제품의 불량율은 평균 12.7%, 원청사 입고시 발생하는 불량율은 평균 1.52%로 Line system 업체가 Pair system 업체보다 2배 정도의 높은 불량율을 나타내어 품질의 고급화측면에 있어서는 Pair system의 작업형태가 유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항목별 불량율은 원·부자재불량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봉제불량, 완성불량, 오염에 의한 기타불량, 재단불량 순으로 나타났으며 불량 발생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작업자 의식부족이었고 원단불량, 작업시스템 표준화 미비, 신소재에 대한 기술부족, 작업자 숙련도부족 순으로 파악되었다. 불량발생 방지방안으로는 작업자 기능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작업자 목표의식 부여, 자동화설비 투자, 작업의 표준화 순으로 분석되었다. 7. 21세기 의류봉제업계의 전망에 대한 조사결과로는 긍정적인 반응이 41.9%인데 비해 부정적인 반응은 25.8%로 의류봉제산업을 사양산업으로 보는 일반적인 견해와는 달리 업계내에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local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and their quality levels and thereby address their quality problems and suggest the solutions to help our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adapt themselves well to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being individualized, high profiled and differentiated and thus help them produce competitive quality commodities through quality wis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For this purpose, local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located in Seoul and Kyongkido areas and specialized in the production of women's apparels for domestic consumers were sampled. The questionnaire for this survey was designed by interviewing the representatives of 31 local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whil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AS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58% of the businesses surveyed had less than 100 million Won capital, while 77.4% of them recorded one billion Won annual sales or less. The number of their employees on average was 35.2 persons. 32.2% of the businesses had less than 150 square meter workplace. All in all, it was found that our local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are of smaller scale or petty in terms of capital, number of employees or scale of factory. 2. The number of the employees has decreased every year, which is posed as most serious problem of the surveyed businesses. Such a decrease of employees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are regarded as one of 3D businesses and therefore that their employees leave their workspace for more rewarding service businesses. All in all, the high separation rate causes lower productivity and weaker competitiveness of the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multifaceted measures should be urgently taken; In order to fill the vacancies due to high separation rate, highly educated labor force or high school graduate women or housewives should be recruited through a high pay system, while the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be restructured. 3. It was found that our local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rely more on recontracts than self productions. In 1995, 83.7% of their production were out of recontracts, and this rate increases. Meanwhile, 25.8% of the businesses are engaged in the production unregistered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Therefore, these unregistered factories should be permitted to be exempt from the penalty for a belated registration, while the petty businesses should be supported or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be more competitive. 4. It was found that 51.7% of the businesses surveyed operate some or other types of line system, while the remaining 48.3% adopt a pair system.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majority of our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cannot afford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single item mass production' line system despite the changed production environment requiring for 'multi item small production system'. 5. It was found that 77.4% of our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have a lower automation rate or less than 40%, due to poor financial capacity, weak profitability, little need for automation or poor technological and human resources. 6.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quality levels and their cause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defects checked through the first round of inspection was 12.7% on average, while the ratio of defects checked out during the acception of the raw yarn was 1.52% on average. In particular, those line system businesses had the defect ratios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ose pair system businesses, which suggests that the latter are more favorably conditioned for the quality improvement. 7.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perspective of our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into the 21st century, 41.9% of them were optimistic, while 25.8% were pessimistic about their future. Such a result may not agree to the general perception that the industry is declining.

      • 국내 의류제품 유통경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민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오늘날 패션 산업의 성장에 따라 의류제품의 유통 경로는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유통경로는 다른 마케팅 믹스와는 다르게 쉽게 변화를 주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유통 전략을 세울 때에는 신중하고 장기적인 대응 방안이 요구되어지며 이를 위하여서는 각 시장에 따른 의류제품의 유통 형태 및 그 경로를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국내 의류제품 유통경로에 대해 선행연구와 업계 전문지등을 중심으로 하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패션 브랜드 마케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의류 브랜드별로 유통 현황 및 흐름을 파악하여 정리함으로써 현재 국내 시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의류제품 유통경로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장단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한국섬유패션연감과 업계 전문지에 나타난 매출과 마케팅력,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상위 20위 안에 선정된 브랜드 중에 편의 추출하여 면접 대상 브랜드로 선정하였다. 편의 추출한 27개 브랜드의 담당자를 직접 방문하여 30~60분간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접대상자는 의류브랜드의 영업에 관하여 파악하고 있는 업계에 종사한지 3년차 이상 경력자를 면접 대상으로 하였다. 면접 내용은 복종별 브랜드 유통의 현황 파악을 위하여 자사 브랜드의 유통경로 선택이유와 그에 따른 차별화된 유통방법이나 전략, 매장관리 방법, 유통경로별 지역분포 정도와 지역별 매출 정도, 업태별 매출 차이, 재고관리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질문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의류제품 유통의 대표적 유통경로로써 대부분의 브랜드가 백화점 유통을 중심으로 브랜드가 운영되고 있으며 매출 또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국내 의류 브랜드가 대표적으로 백화점 유통을 선택하는 이유는 백화점의 이미지를 통하여 상품 판매에 효과를 보기 위함이다. 셋째, 의류제품 유통에 있어서 복종별 유통 형태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여성복과 남성복의 고가의 브랜드인 경우 이미지 샵으로 백화점의 유통을 의존하고, 그 다음으로 가두점을 운영하고 있다. 캐주얼 업체들의 경우도 백화점 유통경로에 많은 비중을 두지만, 캐주얼 업체들에게 볼륨확장을 위한 유통으로 가두점이 선택되어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공통적인 유통 전략으로 남성복과 캐주얼은 실질적으로는 가두점에 중심을 두고 유통 경로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여성복은 백화점 중심의 유통 전개이며 노후된 브랜드의 경우는 가격대를 하향 조정하고 상설점과 아웃렛 몰, 온라인 판매, 홈쇼핑에서의 판매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넷째, 많은 의류제품의 유통이 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소매상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이유는 다른 제품에 비해 의류제품의 주기가 짧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의류유통이 일반유통과 다른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 원인은 의류 시장에서의 유통이 일반 제품의 유통과 다르게 사회의 변화와 경제에 매우 민감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의류제품은 6개월 단위로 그 시장성이 변화하며 제품의 가치 또한 저하된다. 이와 같이 국내 의류제품 유통경로는 일반 유통과 차이를 보이고, 의류제품에 있어서도 복종별, 업태별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어떤 시장 환경이 존재하느냐와 그에 따른 유통형태는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In these days, as fashion industry grows, the distribution channel of clothing product becomes complicated and various. The distribution channel is very difficult to be changed compared to the other marketing mix. For this reason, planning a prudent and long-term strategy for confronting the situation is crucial in building a circulation strategy. For building the competitive strategy,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circulation form of each market and the course of the clothing product. In this research, the distribution channel of the domestic clothing product was studied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industry. Moreover, this research includ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which is currently used in domestic marketing fiel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affs in fashion brand marketing field about the distribution and flowing conditions. The brands for the interview are selected by the standard that are belong to the 20th place in a ranking list, considering the Korean fiber fashion almanac, fashion magazine, sale and marketing power, and consumers' favorit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actitioners in 27 different companies. All of the selected interviewees have 3 year-working experiences in the clothing field and understand the sales of the clothing bran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distribution condition of each brand, the interview questions are regarding the reason of selecting a distribution channel of one's brand, a distinct strategy of the distribution in their own company, a way of managing the shop, an area distribution chart, honor method of each area, and the brand and the stock civil official.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a department store by the main form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of the domestic representative clothing product is still the most important distribution channel, and most of the brands are managed by department store circulation. Moreover, the sales are tended to be depended much upon a department store. Second, the reason why a domestic clothing company selects a department store as a distribution channel is that the company wants to gain advertisement effects through the high-class image of a department store. Third, when we observe the different point of circulation form of clothes type from clothing product circulation, brands for women's clothing and men's clothes and casual clothes is to choose an agency as a distribution channel. Women's clothes mainly depend on a department store for distribution. In the case of an old-fashioned brand, the company regulates the price unit downward and the sales through the distribution channel of an outlet mall or online shopping or TV home shopping increase. Fourth, many clothing products are sold to consumers directly through retailers not mediated by whosalers. The reasona for that are short season length and diverse consumer needs. Fifth, differences between clothing distribution and general product distribution are made by clothing market characteristics that are very fast moving and sensitive to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e value of clothing is radically reduced 6 months after season begins. In conclusion, differences between distribution channels of clothing and general products were found according to clothing categories and retail venues. Therefore, market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channels are closely related and affected each other in the clothing market.

      •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 판매원 만족, 고객관리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혜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시장지향성은 고객을 중시하는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기업이 고객을 위한 가치를 창조해 가는 노력을 뜻한다(김지현, 1997). 패션 의류업체도 IMF와 유통개방 등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경쟁우위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장의 요구에 경쟁자보다 더 잘 대응해야 하고 시장요구의 변화를 예측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기업의 노력은 사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을 파악하고 최종소비자와 접하는 판매원의 만족도 그리고 고객관리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적인 조사연구방법이 사용되었고, 연구대상은 서울과 분당에 위치한 'L'백화점의 여성복 의류매장에 근무하고 있는 샵마스터(Shopmaster)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의류업체에 맞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가 사용되었고, 최종 분석된 설문지는 547부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우선, 시장지향성과 판매원 만족, 그리고 고객관리를 요인분석 한 결과 시장지향성은 시장정보의 획득, 시장정보의 확산, 시장정보에 대한 반응의 세 요인으로, 판매원 만족은 직무자체 만족, 인간관계만족 그리고 보수만족의 세 요인으로 각각 나눌 수 있었으며, 이들 변인들과 사업성과(매출, 고객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이 높으면 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출보다는 고객만족도에서 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사업성과를 매출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이 높으면 판매원의 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 노력이 매장의 판매원에게 제대로 전달 되어야함을 의미하는데, 자신이 속한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을 인지한 판매원은 회사에 대한 강한 신뢰감을 느껴 만족감을 느끼게 되고 이것이 바로 사업성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시장지향성이 높으면 고객관리도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이 활성화되면 그 노력이 고정고객의 확보와 관리에도 영향을 미쳐서 사업성과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판매원의 만족이 높으면 사업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류판매와 같은 서비스 산업에서는 고객과 판매원의 직접접촉이 필수적이며 고객만족과 매출향상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판매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의류업체의 고객만족 중시의 경영활동은 판매원의 직무만족을 통하여 활성화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섯째, 고객관리가 잘 되면 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의류업체와 판매원 모두 고정고객의 관리에 힘을 기울일 때 판매성과가 높아짐을 인지하고 고정고객관리에 대한 적절한 대책과 노력을 강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판매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능력은 판매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류업체에서는 젊고 의욕적이며 능력있는 판매원을 육성하거나 영입하는데 힘써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독립변인들-시장지향성, 판매원 만족, 인구통계적 특성, 능력, 고객관리-이 종속변인인 성과에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차원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의류업체가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장지향성을 높임과 동시에 인구통계적 특성을 고려한 판매원을 채용하고 더불어 이들의 만족을 충족켜야 하며 고정고객관리에도 힘써야 한다. 위 분석결과의 요약으로 미루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이 높으면 판매원의 만족도 높아지고, 고객관리도 잘 이루어지며 사업성과도 높아진다. 이것은 의류업체가 시장정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정보획득과 정보확산에 힘쓰며 얻어진 정보에 대한 반응을 잘 할 때 기업의 성과도 높아지고 판매원의 만족도 높아지며, 고객관리도 잘 이루어지게 되므로, 의류업체에 있어서 시장지향성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한다. 둘째, 판매원의 만족이 높을수록, 고객관리가 잘 이루어질수록 사업성과도 높아진다. 이것은 시장지향성과 사업성과 사이에서 이들 두 매개변수의 역할이 중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의류업체가 시장지향적인 노력과 더불어 판매사원의 만족을 충족시키는 방안과, 고정고객을 확보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함께 병행한다면 더욱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판매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능력은 판매원 만족에 영향을 준다. 이것은 의류업체에서 젊고 의욕적이며 능력있는 판매원을 육성하고 영입하는데 힘써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백화점의 여성의류 매장에서 근무하는 샵마스터를 대상으로 하여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과 판매원의 만족, 고객관리 그리고 성과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의류유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적요소이며 유통업계의 샛별로 부상한 샵마스터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함으로써 유능한 샵마스터의 양성과 영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 동안 '성과영향요인'과 '판매원'에 대한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의류업계에 있어서의 시장지향성과 판매원만족 그리고 성과간의 실증적인 연구는 드문 현실이다. 또한 성과영향요인에 '고정고객관리'라는 관계마케팅의 핵심 요인을 설정하여 그 상관관계를 밝힌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Market Orientation refers to the efforts made by a firm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Market orientation is based on customer-centered marketing strategy (Kim Ji-hyun, 1997). In addition, the fashion and apparel maker must survive in the economic climate and meet the needs of today's sophisticated consumer. The fashion and apparel maker also needs to be knowledgeable about the domestic distribution market. In order to be competitive, they must be able to adapt to the market conditions faster than their competitors. A company's efforts are reflective in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market orientation that apparel makers have, how satisfied a salesperson is in providing their services for customers, and how customer management influences the business performanc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ix hundred shop-masters working at women's clothing stores of 'L'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Bundang. The questionnaires had been designed for an apparel maker followed by pre-research work. Five hundred forty seven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PC+ 8.0 for Windows: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primary factor analysis, confidence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itially, market orientation, a salespersons's satisfaction, and customer management were examined to see their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Obtaining, distributing, and responding to market information play key roles in market orientation. The workpla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alary are three major factors of a salespersons'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sales, customer satisfaction) were analyzed and results are discussed below. 1. Higher market orientation of the apparel maker correlated with higher business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ffected business performance more than the other factors. Thus, business performance cannot be attributed to sales alone. 2. Improved market orientation by the apparel maker was proportional to salespersons' satisfaction. Hence, if a salesperson understands and appreciates her company's efforts for market orientation, she will increase the business performance. 3. Advanced market orientation showed greater customer management. Active market orientation, due to its greater customer management helped the apparel maker secure regular customers--this resulted in enhanced business performance. 4.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salesperson employee corresponded to better business performance: It is essential that customers and salespeople interact in a service oriented industry such as clothing. Salespeople play an imperative role responding to customer demands and in increasing sales. This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oriented management by the apparel maker will be more active if sales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5. Better customer management increased business performance. This tells us that when both the apparel maker and their salesperson employees make an effort to provide elevated customer management, sales performance increases. As a result, the apparel maker should improve management policies for regular customers. 6. The demographics and capabilities of salespeople have profound effects in their own satisfaction. From this study it can be recommended that companies educate or recruit those who are young, active, and talented. 7. Independent variables (market orientation, salespersons' satisfaction, a salespers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and customer management) correlate positively with the dependent variable (business performance). This shows that business performance is affected by many variables. The apparel maker should concentrate their energies on improving market orientation, recruiting salespeople based on demographics and capabilities, satisfying salespeople, and frequent customer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better market orientation by the apparel maker encourages more satisfied salespeople, superior customer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n other words, when companies focus on securing, distributing, and responding to market forces, business performance and their satisfaction increase and customer management improves. Therefore, market orientation is a major factor in business performance. Secondly, more satisfied salespeople results in both better customer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parameters are cruc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performance. When the apparel maker concentrates on market orientation, salespersons' satisfaction, securing regular customers through better management, performance is clearly better. Thirdly, the demographics and capabilities of the salesperson greatly affects job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the apparel maker should train or hire those who are young, active, and talent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hop-masters working at women's clothing stores of 'L' Department Stores. It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market orientation, salespersons' satisfaction, customer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ethods for better business performance. In today's market, the shop-master's role is more important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than e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pparel maker train or recruit talented shop-masters using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 number of studies on 'Factor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Salespersons'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However, focusing in on the relation amongst market orientation, salespersons'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lothing industry is a new area of study. This research assumed that 'regular customer management' would be one of major factor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this was successfully shown.

      •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가 중국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왕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가 중국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와 의류제품평가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둘째,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와 의류제품평가가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셋째, 중국소비자의 주이용 SPA브랜드에 따른 매장VMD, 의류제품평가, 구매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 의류제품평가, 구매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선행 연구 검토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2010년 7월 15일부터 7월31일까지 중국베이징에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0대∼30대 소비자 중 SPA브랜드에서 패션제품을 한번이라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97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PA브랜드의 매장VMD는 공간구성, 매장분위기, 매장연출, 심미성, 정보성으로 구분되었고, 이중 조명효과, 쇼윈도, 소도구의 활용이 상품의 가치를 높여 준다고 생각하는 매장연출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SPA브랜드의 의류제품평가는 기능적 제품평가, 심미적 제품평가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심미적 제품평가의 설명력이 기능적 제품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SPA 브랜드는 트랜디한 패션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기능적 제품평가보다는 심미적 제품평가를 좀 더 중시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글로벌 SPA매장의 VMD의 구성요소와 의류제품평가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MD구성요소 중 VMD만족도에 심미성이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품만족도에는 매장분위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중국 의류매장 VMD 의 발전을 아직 초급단계이기 때문에 VMD 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분이서 본 연구결과는 중국 의류산업이나 의류매장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주이용 SPA매장에 따른 차이분석결과를 보면 VMD구성요소에서는 매장연출과 공간구성만이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구매만족도에서는 상품만족도만이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에서는 성별, 결혼여부, 연령에 따라 이들이 인지하는 VMD구성요소, 의류제품평가, 구매만족도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경우 SPA 브랜드의 매장VMD가 고객의 구매만족도와 관련이 있고, 의류제품평가는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장의 VMD와 의류제품평가를 통해 VMD만족도와 상품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lobal SPA's VMD apparel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chinese consumerthe Concretely, first, Chinese-customer-perceived storeVMD and evaluative features of the SPAbrands. Second, what features of store VMD and appare product evaluation of the SPAbrands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Third, storeVMD, apparel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the SPAbrands mainly used by Chinese customers. Lastly, storeVMD, appare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Chinese statistical popula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from July 15st to 31th, 2010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ged on 20s~30s who have shopping experience fashion merchandise in SPA brands store in Beijing, China. a total of 49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ing SPSS 15.0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onents of the SPA'VMD were revealed; formation, store ambient, esthetic appreciation, information.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factors were lightening, display, and small pieces. Second, components of the SPA' apparel product evaluation were functional evaluation, esthetic appreciation and the latter one had more effect than the former. The reason is because the SPA' are specialized in trendy fashion. Third, apparel product evaluation of SPA' affects purchase satisfac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stores' VMD does so. esthetic appreciation was the most powerful feature among the VMD components and, for product satisfaction, store ambient was so. Since the VMD of Chinese fashion store is on its early stage, it still lacks customer perception, requiring further efforts of Chinese fashion industry. Fourth, the differences among most-used SPA' showed up in store design and formation. For purchase satisfaction, only product satisfaction had relevance. Fifth, the differences by statistical population groups showed there are differenceof customer-perceived VMD components, apparel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sex, social status, and age. In conclusion, apparel product evaluation affects purchase satisfaction and SPA'VMD has relevance with customers' purchase satisfaction in China. It is necessary to improve VMD satisfac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by evaluation of storeVMD and fashion products.

      • 의류상품 이미지에 의한 의복 선택 모형 연구

        장은영 숙명여자대학교 1994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지각하는 의류상품과 관련된 모든 단서들(상표, 점포, 제품, 가격)에 대해 이미지를 형성하며, 그 형성된 이미지가 의류상품 선호 및 구매의사에 연결된다는 연구설계하에서, 소비자들이 의복 구매시 지각하는 의류 상품속성 가운데 이미지 형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을 밝히고, 형성된 이미지가 의복구매에 이르는 과정에서 기존의 상표 이미지, 자아 이미지, 가격 요인 등과 같은 외재 변인들과 어떻게 관련되면서 구매에 이르는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의류학계의 학문적 발전과 의류관련업체의 이미지 전략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이론적 연구를 통한 의류상품 이미지에 의한 의복선택모형을 제시한다. 둘째, 소비자가 지각하는 의류상품 이미지의 차원을 밝힌다. 셋째, 의류상품 속성, 소비자 속성, 기존의 상표 이미지 가운데 의류 상품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밝힌다. 넷째, 의류상품 이미지·자아이미지와의 일치도·가격 요인이 상품 선호도 및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기 위하여 소비자 행동 및 이미지 관련 이론과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의복 이미지 형성요인과 형성된 이미지에서 의복 선택 행동에 이르기까지의 영향과정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본 연구실험에 적합한 여성의류 상표를 선정하기 위해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6개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각 브랜드측의 1개 상표와 1개 점포, 2개 제품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상표에 대해서는 카다로그와 로고를, 점포는 점포내부를, 의류상품은 '93 S/S 신상품 가운데 정장류 수트 상품을 사진촬영하여 각 3개의 사진을 조합하여 사진 자극물로 사용하였으며 조합된 자극물은 총 32장이다. 연구모형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본 조사는 서울과 수도권지역의 20대에서 50대의 성인여성 460명을 표집대상으로 설문지와 함께 1인당 16장의 사진자극물을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요인분석, 변량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상품 이미지 차원은 제 1요인으로는 '혁신/보수 이미지', 제 2요인으로는 신체매력성 이미지, 제 3요인으로는 '캐쥬얼/포멀 이미지', 제 4요인으로는 '남성/여성 이미지'로 밝혀졌다. 둘째, 의류상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상표, 점포, 제품 이미지가 함께 결합된 복합 이미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류상품 이미지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은 소비자 속성보다는 의류상품 속성이었으며, 의류상품속성 가운데에서는 제품의 본질적 속성보다는 상표나 점포가 갖는 상징적인 속성이 더 영향력이 컸다. 외재변수로 예측된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기존의 상표 이미지평가 역시 영향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연령별로 볼 때 낮은 연령층의 소비자일수록 의류상품과 관련된 여러 단서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반면 높은 연령층의 소비자들은 여러 단서들 가운데 결정적인 몇개의 단서들만을 이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소비자들은 의류상품에 관련된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신체적 매력을 증진시키는 이미지, 혁신적 이미지, 캐쥬얼한 이미지를 형성할수록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의복 이미지가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 이미지를 중시하는 경향을 엿볼 수 있으며 20대초반은 캐쥬얼한 이미지, 20대후반에서 40대까지는 신체매력성 이미지, 50대는 품위있고 여성적인 이미지가 상품 선호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로 밝혀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재변수로 예측된 자아 이미지는 의류상품 이미지가 자아 이미지와 일치할수록 상품 선호도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20, 30대는 이상적 자아 이미지와, 40, 50대는 현실적 자아 이미지와 의류상품 이미지가 일치할수록 상품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가격 요인은 상품 선호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 단계로 상품 선호도가 상품 구매의사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침으로써 의류상품 이미지는 결국 상품 구매결정에까지 연결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단 이 과정에서 가격 요인이 영향력 있는 외재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써 소비자들은 의류상품에 대한 상표, 점포, 제품에 대한 시각적 단서를 통해 이미지를 형성하고 그 형성된 이미지는 각각 상품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최종적으로 상품 선택의 구매의사결정에 이르는 모형과정을 따른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This dissertation was aimed to present a model of a selection process that consumers go through to decide which clothes to buy through an empirical study. Presenting such a model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establishment of image strategies in the clothing industry. It was assumed that a consumer forms images of all the factors related to clothing merchandise such as trademarks, stores, products and prices that he/she perceives in the market and those images determing his/her preference for a particular piece of clothes and intention of purchase. Under this assumption,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important factors of clothes that help a consumer form an image of the clothes, among other attributes of the merchandise, and how this image is related to the existing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the trademark image, the consumer's self image, the price, etc. in leading the consumer to purchase the particular clothes in the end.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 model of a clothing selection process based on images of product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Second,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kinds of images that a consumer perceives from clothing merchandise. Third,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a consmuer when he/she forms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among product attributes, consumer attributes, and existing trademark images. Fourth,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correspondence level between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and consumers'self images and the prices influence consumers' preference for certain products and their intentions of purchase.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theoretical and empirical part. In the theoretical research, this researcher examined theoris and studies on consumer behaviors and image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and presented a theoretical frame for a selection process in which a consumer formed images and was eventually led to select clothes by the formed images. In the empirical research,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brands of womenswear that were suitable for this study and as the result, 16 brands were chosen. Then one trademark, one store and two products from each of the 16 brands were selected. With these materials, 32 stimulus sheets were prepared, and each of them was composed of 3 photos of a brand's catalog and logo, the interior of a selected store that carried products of the brand, and formal suits selected from each brand's spring/summer 1993 collections. Subjects were 460 women in the age groups of 20-50s who live in Seoul Metropolitan area. Each of the subjects was provided with a survey questionnaire and 16 stimulus sheets. Factor Analysis,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ful Regression and M.D.S. were used to analyze the gathered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were contemporary/ conservative images, physically attractive images, casual/formal images, and male/female images. Second, a consumer's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were complex ones based on the images of trademarks, stores, and products. The important factors in forming images of clothes were merchandise attributes rather than consumer attributes. And of merchandise attributes, symbolic attributes presented by trademarks or stores influence a consumer in forming images more than intrinsic attributes. A consumer's evaluation of the existing trademark image which had been projected to be a extraneous variable, was also a factor that deeply influenced the consumer. The younger the consumers were, the more factors they used to create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However, older consumers used only a few decisive factors when they formed the images. Third, overall consumers preferred the products that created images enhancing their physical attractiveness and reflected innovative and casual images. The younger the consumedrs were, the more influence the images of clothes had on their preference for certain clothes; therefore, rather young consumers appeared to value images more. Among many other images, the casual image turned out to be most influential to the preference of women in their 20s for certain products; the physically attractive image appeared to influence the women in their late 20-40s most; the tasteful female image appeared to influence the women in their 50s most. The consumers appeared to prefer clothes whose images corresponded with their self images, which had been projected to be extraneous variables; The women in their 20-30s appeared to prefer clothes whose images corresponded with their ideal self images and those in their 40-50s appeared to prefer clothes whose images corresponded with their real self images. The price hardly seemed to affect the women's preference for certain products. As the last step of the selection process, the preference for certain clothes turned out to have a great effect on a consumer's intention of purchase, showing that the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eventually led a consumer to a decision whether to purchase the products. And on this last stage the price turned out to be an influential extraneous variable. Those findings prove that consumers follow a certain selection process model when they purcha'se clothes: consumers, first, form images of merchandise based on the trademarks, stores, and products and those formed images work as medium variables and in the end they help the consumers decide whether to buy the products.

      • 쇼핑가치와 강박구매성향이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권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오늘날 패션유통업체는 여러 신업태의 등장과 더불어 매우 다각화되고 있으며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로 인해 무한경쟁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소매업태들은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쇼핑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극대화 시키고자 노력하고 있고, 다양한 쇼핑가치의 강조는 전반적으로 쇼핑을 더 많이 하게 하는 자극제가 됨으로써 강박구매를 촉진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 패션시장에는 소비자들은 동시적 혹은 순차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의존적인 소비 및 비 의존적인 소비를 하고, 점포에 대한 감성적인 점포 및 이성적인 점포에서의 소비도 하며, 가격에 대한 고가격대의 소비 및 저가격대의 소비를 하는 양극화 소비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의류제품 쇼핑 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쇼핑 가치를 알아본 후, 쇼핑 가치를 유형화 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쇼핑가치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며, 쇼핑가치 집단에 따른 소비자의 점포선택 기준의 차이, 의류제품 유형별 지불가격 수준의 차이, 패션점포유형별 방문정도의 차이, 의류제품 유형별 양면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쇼핑가치 집단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의류쇼핑에 있어서 강박구매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며, 양면적 소비행동 집단의 강박구매 성향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0~40대 남․여를 대상으로 서울․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진행하였고 총 427부가 실증적 연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SPSS 17.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군집분석, 카이제곱 분석, 기술 통계분석, 분산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쇼핑가치의 소비자 집단화를 위해 쇼핑가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쾌락적 쇼핑가치, 정보적 쇼핑가치, 신뢰적 쇼핑가치로 분류 되었다. 이를 가지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적극적 쇼핑가치 집단, 신뢰적 쇼핑가치 집단, 쾌락적·정보적 쇼핑가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소비자들은 구매와 상관없이 옷의 쇼핑을 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을 느끼고, 옷 쇼핑을 통하여 기분전환이 되기도 하며, 유행정보에 뒤떨어지지 않고, 사고 싶은 옷의 가격이나 정보를 얻고,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신뢰를 얻기도 한다. 둘째, 쇼핑가치 집단에 따른 점포선택기준의 차이, 의류제품유형별 지불가격수준의 차이, 패션점포 방문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쇼핑 가치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의류제품 구입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포선택기준은 제품구색, 점포분위기, 서비스, 판매원, 입지편의성, 가격, 점포자체 브랜드 속성 중에서 제품구색과 서비스 속성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쇼핑가치 집단에 따른 의류제품유형별 지불가격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쇼핑가치 집단에 따른 패션점포 방문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백화점, 대형의류쇼핑몰, 보세점, SPA형 점포, 가두점, 아울렛, 인터넷 쇼핑몰, TV 홈쇼핑, 재래시장, 멀티샵/편집샵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소비자의 양면적 소비행동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류제품유형별로 각 요소에 대해 상반되는 소비성향을 측정하였다. 브랜드, 점포, 가격 요소별로 모두 양면적 소비행동집단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쇼핑가치 집단과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강박구매 성향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이, 기혼보다 미혼이, 고학력집단보다 저학력집단이 강박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30대, 40대의 순으로 강박구매 성향이 높았으며, 직업에 따른 강박구매 성향은 대학(원)생, 전업주부, 자영업, 공무원/교육직, 사무직/경영 관리직, 전문직/연구원, 영업/판매/서비스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월 평균 수입에 따라서는 강박구매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한 달 평균 의복 지출비가 높을수록 강박구매 성향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쇼핑가치 집단에 따라 의류쇼핑에 있어서 강박구매성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집단 간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고, 소비자의 강박구매 성향은 적극적 쇼핑가치 집단, 쾌락적·정보적 쇼핑가치 집단, 신뢰적 쇼핑가치 집단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쇼핑가치 집단에 따라 의류제품유형별 브랜드, 점포, 가격 등의 양면적 소비행동이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양면적 소비행동 집단에 따른 강박구매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강박구매의 평균값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장류, 캐주얼류, 잡화류 구매 시 가격 양면적 소비행동집단의 강박구매 평균값이 가장 높았으며, 신발류 구매 시 브랜드 양면적 소비행동집단의 강박구매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소비자들은 의류제품 구입 시 다양한 쇼핑가치를 지각하며, 쇼핑가치 집단에 따라 점포선택기준의 차이, 의류제품유형별 지불가격수준의 차이, 패션점포 방문정도의 차이, 의류제품유형별 양면적 소비행동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쇼핑가치 집단과 의류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의류쇼핑에 있어서 강박구매성향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양면적 소비행동 집단에 따른 강박구매 성향은 의류제품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기업과 마케터는 쇼핑가치 집단에 속한 고객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초점을 맞춘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세부적인 고객정보를 분석하고, 고객의 욕구를 면밀하게 추적할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 날로 다각화되는 유통점에 대하여 신중하게 표적시장을 선정하고, 강력한 포지션을 구축하며, 쇼핑가치 집단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구색하고,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구매 상황에 따라 고가의 제품과 저가격대의 제품을 동시적 혹은 순차적으로 구입 할 때 다양한 상품을 개발 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특성화고등학교 의상학과 학생들의 진로 선택 및 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 : 경인지역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김남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코로나 펜데믹 이후 2021~2023년 주요 키워드로 브이노믹스(Coming of V-nomics), 나노 사회, 평균 실종 등 다양한 개념의 등장과 함께 학생의 진로선택은 더욱 중요해졌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변화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특성화고 의상관련 학과의 경우 진학률이 취업률에 비하여 높고 진로선택에 따른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이러한 요인들을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학생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경인지역 의상학과의 대다수가 이러한 교육과정 변화에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를 저하시켜 학생의 진로선택 및 진로준비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의상학과에서는 학생의 진로선택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실행 하여 학교만족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인지역인 서울, 인천, 경기도에 위치한 12개 특성화고 의상학과 교사와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특성화고 의상관련 학과 학생의 진로선택 동기 및 의상관련 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알아보고 학생 진로선택 동기와 교육과정 평가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경인지역 특성화고 학생의 희망진로는 의상관련 학과진학, 의상과 관련이 없는 학과진학, 의상관련 업체취업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진로선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진로를 취업으로 결정하는 동기에 대하여 취업내적성취동기, 취업사회적동기, 취업회피동기로 구분하였으며 진로를 대학진학으로 결정하는 동기에 대해서는 진학성취동기, 진학회피동기로 분석하였다. 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측면에서는 학생이 교사보다 전공수업이 대학진학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의 실습능력 및 전공자신감을 갖게 해 주는 부분은 교사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공수업의 구성 요소 중 교사는 교육과정 및 수업내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학생은 선생님의 수업방식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학교의 인력양성유형에 맞춘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서 고교학점제 수업은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생과 학부모의 취업마인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선택 동기가 교육과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진학성취동기와 취업내적성취동기가 높을수록 교육과정 만족도는 높았으며, 진학회피동기가 높을수록 교육과정 만족도는 낮게 분석되었다. 또한, 취업내적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준비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과 교육과정 만족도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은 진학성취동기와 취업내적성취동기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소질과 적성을 찾아 특성화고 의상학과에 진학한 학생들이 의상관련 진로를 결정 할 수 있도록 진로준비도 향상과 함께 취업내적성취동기, 진학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향에서의 교육과정 설계가 중요하다.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concepts such as 'Coming of V-nomics', 'Nano society' and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as major keywords from 2021 to 2023 after the COVID-19 pandemic, students' career decision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the demand for changes in the school curriculum that support them have been grow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lothing related departm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rate of admission is higher than the employment rate, and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depending the career dec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se factors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actively support students' career paths. However, most of the clothing departments in the Gyeongin area surveyed in this study are insufficient in this curriculum change. This lowers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and becomes a cause that negatively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Therefore, it is time for changes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curriculum based on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to lead to school satisfaction in the clothing 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for career decis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 clothing related department student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curriculum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n career decision, the motivation of career decision for employment was divided into employment intrinsic achievement motivation, employment social motivation, and employment avoidance motivation. And motivation of career decision for college admission was analyzed as college admiss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llege admission avoidance motiva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curriculum,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major classes were more helpful for college entrance than teachers and It was analyzed that teachers recognized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about students practice ability and confidence in their major. Teachers thought that the curriculum and class contents were the most important in the components of major classes, while students thought that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was the most important. In addition, in terms of curriculum operation tailored to the school's manpower training type,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d employment mindset education for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on curriculu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ollege admiss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employment intrinsic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college admission avoidance motivation, the lower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employment intrinsic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career prepara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career readiness,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achievement in employment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common.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curriculum in various directions that can enhance career preparation, employment intrins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llege admission achievement motivation. Then it will be more students who have entered the clothing department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arch of talent and aptitude decide on a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