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내디자인관련 대학교 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 교과과정 개선안 연구

        이현주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83

        As people's views and interests have changed, interior design, which used to a part of constructional design, is considered an independent special field and more attention is drawn to activities of interior designers, and education and training of interior design keeps developing. Since 1995, as people's interest in interior design increased, many universities in Korea have had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And also at technical high schools,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was newly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6th amendment of curriculum in 1992. The original purpose of technical high schools was to help students equip themselves with practical skills needed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but as our society has changed, recently only 20~30% of students graduated from technical high schools want to get jobs and the rest 70∼80% go to college or university. Situation being so, it is necessary to make curriculum at technical high schools more focused on foundation for further study in college and university than on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at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will help students achieve their potentials in interior design and will also help students who want to go to university learn knowledge for further study, by analysing the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Methodologies of the study were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Theories of occupational education and curriculum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 analytical frame was set by studying data from Korea interior design Association. As for case study, method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curriculum were studied by information from each school's homepage and teaching plan.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and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is as follows. Universities and technical high schools that have interior design course are located mainly in Seoul, Incheon, Gyunggido, Busan, and Gyungsando, which shows the fact that demand for interior design is high in big cities. The notion that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and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are inherently different may result in lack of continuity and consistency in curriculums. As for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and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university curriculum evenly covers interior space design and other theories, but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focuses on interior space design, interior design theory and subjects related to digital design. A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which is in fact repetition of basic knowledge learned at universities. First,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should be organized as a preparatory one for higher course at university. And more consistent curriculum should be set for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And for development of creativeness, current required subject in the first year such as 'introduction to engineering' should be replaced with 'general design' and current recommended subjects in the second year such as ‘interior design’, ‘furniture design’, ‘display’ should be designated as required subjects. And in third year, on the basis of foundation knowledge learn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project-oriented class should be done for development of creativeness. And for students who want to get employed after gradu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learn practical skills such as CAD, 3D-MAX using after school class or discretionary activity. Second, nominally curriculum at technical high school is connected with that of technical college, but in fact, there is no practical connection between them. Therefore, curriculum at technical high school should b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it is efficiently connected with that of university by eliminating unnecessary or overlapping subjects. Third, currently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is considered a branch of architecture, so education of interior desig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s hard to be done. To remedy the situation, textbook of interior design with more practic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Fourth, most teachers at interior design depar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 majored in architecture and one teacher teaches average 24.1 students. If interior design course is designated as a special field and number of students a class is limited to 25,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will be 20. And opportunities of refreshment course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of interior design course. It is believed that if effort to improve is made according to the above 4 suggestions, many competent interior designers will be produced. 실내디자인은 사회 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건축 및 환경 설계의 한 분야에서 독립된 전문분야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인 관심의 증가로 인해 실내디자이너들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그에 따른 교육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우리나라에서 1995년 이후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많은 대학에서 교육을 하게 되었다.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학 및 전문계고등학교에서도 1992년 6차 교육과정의 개정과 함께 가사·실업계열의 교육과정에 실내디자인과를 신설하고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전문계고등학교는 졸업을 하고 취업을 위한 직무능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였지만 이후 산업구조의 변화 및 고학력화 추세로 인해 취업률은 20~30%로 낮아지고 진학률은 70∼80%사이로 높아졌다. 그렇다면 전문계고등학교에서도 교과과정을 지금의 취업위주의 교육이 아닌 대학교에 진행해서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과정으로 인식을 하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학생들은 일찍 진로를 선택해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으로 직업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있으므로 일반계고 학생들과는 다른 차별화되고 학생들의 숨은 잠재력을 끌어내어 실내디자인 문제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계속교육을 위해 대학교의 진학의 과정으로 입학해 교육을 받고자 할 때를 위한 대학교의 실내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및 교육현황을 분석해 전문계고등학교에서 필요한 교과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과 사례분석방법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문헌연구방법을 직업교육과 교과과정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의 전공 및 분야 분류표의 고찰을 통하여 분석의 틀을 추출하였다. 사례분석방법은 학교별 학교 계획서와 학교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자료를 가지고 교육방법, 교육목적, 교과과정등을 분석하였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현황을 분석의 틀에 맞추어 분석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실내디자인과는 주로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 지역과 부산, 경상권등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현황 파악되었으며 이것은 대도시에 실내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많음을 보여준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소속계열이 다르다는 것은 학교별 교과과정이 다를 수 있는 주요 이유가 되며 교과과정에 일관성이 없는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교 실내건축학과는 실내공간 설계와 이론 등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는 실내공간설계, 실내디자인이론, 디지털디자인과련 교과목에 치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에서는 대학교의 기초적인 답습이 아닌 창의적인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안 제언을 한다. 첫째, 전문계고등학교의 실내디자인과 교과과정에 대한 개선안이다.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이 계속교육의 단계로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교별로 교과과정이 다르다 보니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교육에 대한 일관성이 없으므로 일관성 있는 교과과정을 제안하다. 교과과정은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디자인의 기초적 원리학습과 실제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 되기 위해서 1학년때에는 계열필수과목을 이수하는데 ‘기초제도’, ‘정보기술기초’, ‘공업입문’이 있는데 ‘공업입문’보다는 ‘디자인일반’을 이수해 디자인의 기본적 지식을 이해하고 2학년부터는 실내디자인과 권장과목인 ‘실내디자인’, ‘가구디자인’, ‘디스플레이’같은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정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실내디자인을 배울 수 있는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선택하지 않은 학교들이 있기 때문에 필수과목으로 지정해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 1,2학년 때 기초적인 학습을 바탕으로 3학년때는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을 해야 한다. 그리고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재량활동시간과 방과 후 활동시간을 이용하여 CAD, 3D-MAX교육등 실무에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게 해 실무지식을 익힐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전문계고등학교에서는 2,3년제 대학과 연계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교과과정의 연계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계속교육으로 교과과정이 바뀌어지게 되면 대학교의 교과과정과 연계해 불필요한 교과과정을 없애고 다양한 교과내용으로 교육을 받을 수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지금의 전문계고등학교에서는 대학교와 중복되는 교육을 피하고 질적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지금의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는 건축관련교과에서 파생된 한 부분으로 실내디자인과를 운영하고 있어 독립적인 학문으로 실내디자인을 교육하기는 힘들고 실내디자인과의 교과서가 지금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많으므로 실내디자인과에 대한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냇째,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 교사 대부분이 건축을 전공했으며 교사1인당 학생수도 24.1명으로 많은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실내디자인과를 특성화분야로 만들어 학급당 학생정원을 25명으로 만들면 교사1인당 학생수를 20명이하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사들에게도 변화하는 사회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는 실내디자인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재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여건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네 가지의 개선안을 통해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간다면 역량있는 실내디자이너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Landscape-Podium개념을 적용한 H-University 건축대학 계획

        이용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논문은 건축학과가 국제적 조건에 맞게 5년제로의 전환이 진행 중인 사회적 요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건축의 순수 학문의 측면에서 본질을 반영한 교육의 실현을 위한 시설 조건의 구체화를 그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근 건축가들은 도시의 전체를 통합하기위한 전략으로, 주변 환경, 도시에서 발생하는 유동적인 흐름과 행위들의 관계에 주목하고, 복합성이라는 현대사회의 특징을 담고자하는 대안으로 랜드스케이프 건축을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 하에 대학시설이라는 정형화된 unit 사이에서 랜드스케이프 건축 개념을 통해, 통합된 건축교육과 event의 장으로서의 대학을 구현해 보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5년제 건축 대학으로의 전환에서 오는 학제 변동에 대해 문헌 고찰과, 국내외 대학의 건축(공)학과의 소요 공간, 특히 설계 스튜디오 소요 공간의 기초 data를 수립한다. 둘째, 위에서 정리된 각론적 data를 바탕으로 landscape 건축이 갖는 비움의 방식, 바닥판의 연속, 경계의 조절, 판의 조작 등의 특징을 정리해 보고, 이를 건축 계획안에 반영해, 이러한 특성을 적용한 건축대학 계획안을 모색한다. 현대 도시성은 도시 전체를 통합하는 방법으로 Landscape 건축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Landscape 건축을 구현하는데는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유형화된다. ①비움의 방식을 통한 유연한 공간에 의한 현대사회의 불확실성에 대응 ②바닥판의 연속을 통한 주변과의 관계통합을 통해 전체성 회복을 목적 ③판의 조작을 통해 연속성을 획득, 인공적 지형판의 구축으로 주변 환경과의 통합을 지향 이상과 같이 도출한 Landscape 건축특성들과 특성들과 구현 방식을 H대학교 건축대학을 계획하는데 적용되었다. 판의 조작과 확장, 보이드를 통한 계획안은 사용자들이 대학을 이용하고 즐기는 가운데, 정보를 습득하고, 우연성을 경험하는 event의 장으로써, Landscape-Podium은 규정된다. 이는 자연과 문화, 일상의 장소나 배경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개념이며, 불안전하고, 고정되지 않으며, 유동적인 불확정성의 현대 사회를 담는 틀로써 많은 가능성과 시사성을 가지고 있다. This dissertation stems from the social demand that an architecture course's system should convert in international condition: Five-year-course. On the side of pure study of architecture, it materializes the facility condi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education which reflects an essence in that first objective. In addition, the recent architects are concentrated on the flow and the action occurs from cities as a strategy to unify the whole city and try to express the complex-a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ey suppose the Landscape-Architecture as an counterproposal. In this point,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university as a field of architectural education and event through the landscape-architect among the typical units of university's facilities. This research is progressed by two steps. First, investigating sundry documents about the reorganization of architecture course to five-year-system and establishing basic data of requirable space for architectural study, especially for a design studio. Second, arr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architect (the way of empty, successive slabs, control of the boundary, the regulation of slab, etc.) from these datum and suggesting a proposal of an architect college with these items. The modern city's characteristics show the concept of Landscape-Architect as a way to unify the whole city. The ways to realize the Landscape-Architect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①To cope with the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through the flexible space which is made by empty. ②To recover totality by combining the relation of circumstances with the successive slabs. ③To secure successiveness by control slabs and, unification with circumstances by constructing artificial ground. These three items are applied to the H-University project. Landscape-Podium is defined as an field of event where students get information and, experience accidents during studying and enjoying their school lives through control and expansion of slabs, and void. This concept pursues the unification with nature, culture, daily places and circumstances, is not fixed, and contains several possibilities to control the uncertain modern society.

      • 리우쟈쿤(劉家琨)의 건축에서 나타난 서사성(敍事性)에 대한 연구

        진사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51

        Having suffered several external invasions and internal wars in its long history, China has been taking steps to make up for losses from aggression and war in economy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ince modern times. The stimulus of globalized capital prompted China to want to stand out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pursue more excessive economic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ese situations have contributed to frequent appearance of buildings that value only economic purposes and visual expressions in modern architecture. It is difficult for these buildings to meet the spiritual needs of modern people who values various aesthetic pursuits or emotional experiences since they mostly pursue only the efficiency of capital, functionality and visual expression at a material level. At the same time, modern architectural aesthetics are facing new challe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 It is difficult to judge modern architecture by conditions of classical western architecture such as proportionality and geometric shapes.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e architectural community has been looking for a new method of research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of other studies, and has been constantly thinking about new methods of architecture. Philosophy, semiotics, psychology, and literature began to be mentioned in the architectural world in the late 20th century, as well as the study of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This combined study of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can help regain the identity of architecture and improve the situation in the atmosphere of modern Chinese architecture. Narratology originated from literature and has many things in common with literature. Liu Jiakun, an architect representing Chinese modern architecture and gai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has the background of a novelist, and his architecture and literature are closely related. His architecture, influenced by the novelist background, is showing a strong architectural narrative. Through the study of architectural narrative about Liu Jiakun, the study of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can be achieved.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and the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u Jiakun’s architectural thoughts and the architectural narrative that emerged from his architecture. Next, this study divides Liu Jiakun’s architectural works into period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narrative in each architectural work to find out the way Liu Jiakun reveals architectural narrativ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om the viewpoint of the narrative, Liu Jiakun's architectural thoughts and tactics permeate his architecture, which makes his architectural works have the strong narrative. Looking at the narrative in his architectural works from three perspectives, narrative theme, content, and structure, Liu Jiakun gives architecture the consistent narrative with the themes of humanism, the obvious spatial structure as a novel, and architectural elements combined with domestic elements and traditional techniques. He initially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and gradually changed into narrative expression. His artist's workshop series was most influenced by the novelist background. Centered on the spatial structure, novel-like narrative structures were evident in architecture. In 1999, Liu Jiakun founded his own architectural firm. The early days of this time was the turning point for him because there was a change in his architectural narrative. His works of this time such as Luyeyuan Stone Carving Museum and the Clock Museum of Chinese Cultural Revolution still showed novel-like narrative structure, but the expression of the narrative content had become richer than that of the series of artist workshops. Since then, he has been more interested in content expression than narrative structure in architectural works. In particular, Liu Jiakun, who works as a local architect, had a major earthquake in his hometown of Sichuan, after which he paid more attention to architectural materials and narrative content expressions. From the whole flow, his focus of architectural narrative has changed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into the narrative content.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his study deals with only modern architecture which has organized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However, even before the particular terms were established, there had been architectures that revealed narratology in modern China or even ancient period.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chitecture, which has been boasted of by China, borrowed many literary works such as old poems and old advisors and used their expressions and the composition of sentences for the buildings of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chitecture. Subsequent complementary studies on this part are needed. 긴 역사에서 여러 외적인 침략과 내적인 전쟁을 겪었던 중국은 근대부터 침략과 전쟁으로 인한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경제와 기초시설 등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화 자본의 자극으로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싶었던 중국은 더 높은 수준의 경제발전과 상업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현대건축에서 경제적 목적과 시각적 표현만 중요시하는 건축물이 빈번히 나타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 건축물들은 대부분 물질적인 차원에서 자본의 효율성과 기능성, 그리고 시각적 표현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학적 추구나 감정적 체험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의 정신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렵다. 동시에 디지털 디자인의 발전으로 인해 현대건축의 미학은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서양 고전건축에서 나타나는 비례, 기하학적 행태 등의 틀 조건만으로는 현대건축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건축계에서는 다른 학문의 관점으로 새로운 연구방식을 찾아 왔으며, 새로운 건축 구현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해 왔다. 20세기 후반 철학, 기호학, 심리학, 문학 등이 건축계에 언급이 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건축학과 서사학의 연구도 시작되었다. 이러한 건축학과 서사학의 결합연구를 통해 중국 현대 건축의 분위기에서 건축의 정체성을 되찾고 이러한 현황을 호전시키고자 한다. 서사학은 문학에서 유래되었으므로 문학과 깊은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 현대 건축을 대표하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건축가 리우쟈쿤은 소설가의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건축과 문학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의 건축은 소설가라는 배경의 영향을 받아 강한 건축적 서사성을 나타내고 있다. 리우쟈쿤에 관한 건축적 서사성의 연구를 통해 건축학과 서사학의 연구를 이룰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축학과 서사학의 관계를 먼저 다루고, 이어서 리우쟈쿤의 건축사상과 그의 건축에서 나타난 건축적 서사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리우쟈쿤의 건축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리우쟈쿤의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건축 작품들을 시기별로 나누어 각 건축에서 서사성의 특징을 분석하며 리우쟈쿤이 건축에서 서사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알아보려고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사의 시점으로 살펴본 리우쟈쿤의 건축 사상과 책략은 그의 건축에 스며들어 있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건축에서 강한 서사성을 느낄 수 있다. 그의 건축 작품에서 나타난 서사성을 서사적 주제와 내용, 그리고 구조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살펴본 결과는 리우쟈쿤의 건축에서 인문성을 가진 주제를 수렴하여, 소설과 같은 뚜렷한 공간적 구조로 향토요소나 전통기법 등과 결합한 건축 요소를 조직하여 일관성이 있는 건축에 서사성을 부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시기별 건축 특징은, 초기에는 서사적 구조에 중심을 두었으며 점점 서사적 내용 표현으로 변화하였다. 그의 초기 예술가 공작실 시리즈 건축은 소설가 배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공간 구조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소설과 같은 서사적 구조가 건축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1999년에 리우쟈쿤은 개인 건축 사무소를 창립하였다. 창립 초기 그의 건축 작품은 서사성의 변화가 생겼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는 전환 시기에 해당한다. 전환 시기의 그의 건축 작품인 녹야원석각박물관(鹿野苑石刻博物館)과 문혁지종박물관(文革之鐘博物館)에는 여전히 소설과 같은 서사구조가 나타났지만 서사적 내용의 표현은 예술가공작실 시리즈 건축보다 더욱 풍부해졌다. 이 두 프로젝트가 끝난 2004년 이후의 건축 작품들에서는 리우쟈쿤은 서사적 구조보다 내용의 표현에 대해 관심이 더 많아졌다. 특히 지역건축가로서 활동하던 리우쟈쿤의 고향인 쓰촨에 대지진이 일어났고, 그 영향으로 건축 재료나 서사적 내용 표현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 그의 건축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 그의 건축적 서사성의 중심은 서사적 구조에서 서사적 내용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의 연구범위에 비교적 한계가 있다는 점은 본 논문의 아쉬운 점이다. 중국의 근대, 고대 건축부터 서사성이 드러난 건축을은 이미 존재하였다. 특히 중국이 자랑해왔던 중국 전통 원림건축에서는 조원(造園)할 때 많은 고시(古詩)와 고문(古文) 등 문학 작품을 차용하였으며, 그 작품들의 의사표현, 문장조식 등을 원림건축의 구성에 활용하였음으로써 서사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대건축 이전의 시기에는 건축에서 서사성이라는 용어가 정립되지 않았고, 1969년에야 비로소 서사성에 대한 정의가 되었으므로 본 논문의 연구범위에 비교적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속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 디지털 건축에서의 프로세스 비교분석을 통한 형태변이 인자에 관한 연구 :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 중심으로

        박근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51

        21세기가 도래함과 동시에 인간의 생활 방식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보다 편리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건축에서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써 정형화된 형태의 추구가 아니라, 인간의 의한 문화에 의한 그리고 자연에 의한 욕구를 수렴함으로써 공간의 경계가 불분명한 형태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비동질성을 가진 혼합된 공간을 탄생시키게 되었고 비정형적이고 유기적인 디지털 건축 형태를 생성하기에 이르렀다. 생성된 디지털 건축 형태가 복잡하고 혼합적인 형태로 대부분 표현이 되기 때문에 형태 생성 프로세스들은 디지털 건축의 특성과 수많은 기하학 관점을 통해 생성과 변이에 대해 논리적 설명으로 정의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 시점과 같이 디지털 건축의 형태생성에 있어 한 가지 논리적 이론의 기준을 정하여 디지털 건축 형태를 정의한다면 디지털이라는 무한한 유기체적 방법론을 제한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건축의 내재되어 있는 다양성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논리적 측면에서 형태 분석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건축에서 형태변이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을 본 논문의 비교분석 기준으로 정하였다. 기하학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작품의 형태생성 프로세스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 가지 특성만이 아닌 또 다른 기하학의 내재된 특성과 변이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디지털 건축 형태변이의 무한한 다양성을 가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두 기하학의 표현 특징과 디지털 건축 최종 형태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위상기하학의 표현 특징으로서는 다양성이 존재하는 복잡성과 형태 변화에 따른 일관성, 그리고 복합적 형태 내에 존재하는 비동질성이 나타나고 있고, 표현 특징을 기반한 디지털 건축 형태로서는 연속적 관계에 의한 유동적 건축형태와 면의 재구성을 통한 맥락적 건축형태, 복잡하고 통합된 관계적 건축형태로 구성되어 진다. 다음으로 프랙탈 기하학 표현 특징으로서는 자기유사성, 무작위성, 비선형성, 불규칙성 등이 있고, 기하학적 생성자와 위상학적 생성자를 기반한 자기유사, 반복과 스케일링, 비규칙적인 왜곡, 연속적인 반복에 의한 중첩 등 형태 생성알고리즘으로 건축 형태를 구축한다. 형태 생성알고리즘을 통한 디지털 건축형태는 연속적인 변형에 의한 비예측적 건축형태, 혼합에 의한 비대칭적 건축형태, 비선형에 의한 유기적 건축형태, 이질성에 의한 상호 반응적 건축형태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형태생성 프로세스에서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이 나타나는 작품을 각각 선정 하였다. 위상기하학 특성이 나타나는 작품으로는 Son-O-House, Guggenheim Virtual Museum, ephemeralMATTER, Nuragic and Contemporary Art Museum, adaptiveARCHIVE, Euroscraper를 선정하였고, 프랙탈 기하학 특성이 나타나는 작품으로는 Cardiff Bay Opera House, Paris Courthouse(TGI), marinabay, Para-city, Bezalel Academy of Art and Design, Pompidou Two를 선정을 하였으며, 디지털 건축 작품의 형태생성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 특성을 갖고 있는 디지털 건축 형태는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의해 또 다른 기하학 특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과, 두 기하학 특성을 통한 최종 건축형태 분석에 의해 형태변이의 공통된 원리와 인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된 공통된 원리와 인자들은 형태생성 구성요소로서 공간경계 융해에 의한 연속성, 순간적 연결 관계에 의한 활동성, 실시간 반응에 의한 유동성과 형태 형성과정 구성요소로서는 복잡한 구성에 의한 혼합성, 다양한 형태간의 상호반응성, 형태의 비예측적인 반복성, 형태결과 구성요소로서는 이질화 된 형태의 이행성, 비선형 형태 구성에 따른 유기성, 전개적인 혼합에 의한 형태의 일체성 등이 두 기하학의 공통변이 인자로 존재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비교분석은 새로운 건축 형태변이를 설명 가능하게 한 도구이면서 더 나아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더불어 건축 형태변이 인자로 인한 다양한 방법론이다. 따라서 무한한 형태변이로 인한 디지털 건축의 내재된 다양성의 표현은 건축 형태변이의 한계점 넘어선 인간이 원하는 디지털 건축형태가 될 것이다. As 21st century started, people have pursued more convenient life through their lifestyle getting digitalized. Likewise, by introducing digital process, architecture searches not for the standardized space but for ambiguously bounded one, reflecting people's needs for culture and nature. Accordingly, the space with inhomogeneity program has appeared, and it ends up with creating complex and organic architectural forms. The process making such forms should be defined by logical explanation in terms of the creation and modification because the created form of digital architecture is expressed in complex and compounded shapes. However, if the form is based on one defined criterion of logical theory, it cause to limit the probability of making such sha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uch forms in multilateral and profound aspects for the inherent diversity in digital architecture. Especially,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Topology and Fractal Geometry, which a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methodologies in digital architecture, as well as the standard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ticipate the infinite diversity of the digital architecture by deducing inherent attributes and variance factor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jects with this two geometric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se two geometries and the final forms, the followings are coming. First, Topology shows diversified complexity, consistency of the program, and inhomogeneity(keeping each inherent characteristics) in compounded forms. The forms reflecting such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the form being in flux by means of sequent relation, a coherent form via facet reconstruction(no barrier between floors, walls, and ceilings) and relational form, which is complex and integrated. Second, Fractal Geometry's attributes are self-resemblance, randomness, nonlinearity, irregularity, and it builds architectural form by formation algorism, such as self-similarity based on topological generator, repetition and scaling, irregular distortion, and duplication by continuous repetition. At last , digital architectural forms, which are created by formation algorism, are composed of predictable architectural forms by continuous transformation, asymmetric architectural forms by compounding, organic architectural forms by nonlinearity, and mutual responsive architectural forms by heterogene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architectural works are selected, which are reflecting features of Topology and Fractal Geometry in process. As the works with Topological features, Son-O-House, Guggenheim Virtual Museum, ephemeralMATTER, Nuragic and Contemporary Art Museum, adaptiveARCHIVE, and Euroscraper are chosen, while Cardiff Bay Opera House, Paris Courthouse(TGI), marinabay, Para-city, Bezalel Academy of Art and Design, Pompidou Two are selected for Fractal Geometric works. In conclusion, the digital architectural works expressing features of Topology and Fractal Geometry demonstrated that the works inhere another geometric distinctions by comparative analysis, and there were common principles and factors of formation due to the ultimate forms of architectur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ometric studies. The analyzed common principles and factors of two geometric theories proved continuity by dissolution of space boundary, activity due to instantaneous connection relation, and mobility due to instant reaction as formation factors; mixture by complex composition, inter-reactivity among various forms, unpredictable repetition of shapes existents the factors of formation process finally, heterogeneous transference, organic according to nonlinear formation, expansive and compounded unity were showed as the factors of formation result. This comparative analysis from diversified perspective made the explanation of the new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possible, and is various methodology due to factors of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expression of inherent diversity of digital architecture due to infinite transformation will be the digital architectural type,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 of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and becomes what human desires.

      • 위상기하학적 건축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남주 建國大學校 建築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35

        현대는 규격화, 획일화, 집중화, 중앙집권화등의 성격을 띄는 산업사회에서 벗어나 탈규격화, 개성화, 세분화, 분권화등의 다양화된 성격을 띄는 탈산업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가치관의 변화를 초래하며 가치관의 변화는 예술과 문화의 영역뿐만 아니라 건축의 영역까지 상당한 구조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인간은 의식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구조물'들을 만들어내었으며 건축디자인은 그 사회의 특성 및 움직임을 반영하였다. 현대에 있어서 건축의 구조적 변화는 정적, 결정론적 가치관에서 동적, 상대론적, 가치관으로 패러다임에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현대 건축물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은 구조적 다양성과 상이성을 추구하는 건축 및 실내건축의 시대적 요청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과학영역 전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불거져 나온 이론인 complexity theory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과거 기존 시스템 전체의 역학을 변형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또한 이런 시스템의 행동은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결국, 새로운 시스템과 패러다임이 적용된 현대건축물은 새로운 시스템의 해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에 이러한 불예측성과 분석불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기하학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현대적 해석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기하학인 위상기하학의 이해를 통하여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공간적 표현특성을 분석해보고, 분석결과 추출된 요소를 전시공간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그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하학의 전개에 따른 건축해석을 역사적 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그에 대한 새로운 기하학-위상기하학-의 접근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먼저 위상기하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위상적 성질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응용이론들을 통해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으로써 형태적 접근과 총체적 개념에 의한 접근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위상기하학의 성질로부터 나타나게 된 현대건축의 양상과 현대건축가들의 작품사례를 통한 현대건축공간의 기하학적 표현특성을 알아보았다. 현대건축의 양상으로는 '묘사적 다이어그램(descriptive diagram)'이 아닌 '생성력 있는 다이어그램(generative diagram)'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등장과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일련의 비계열적, 비결정적 추이를 존중하는 닫힌 세계에서 열린세계의 현상이 나타남을 볼 수 있었고, 본 연구의 주 연구대상으로서 현대 건축공간의 기하학적 표현특성으로는 램프의 공간화, 순환적 동선체계, 혼성적인 공간, 프로그램과 공간과의 탈연계성, 공간의 곡면화를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상기하학을 통한 디자인 적용방법론으로 총체적 개념의 접근 방법과 기하학적 표현특성을 도입하여 전시공간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상호 관련되고 상호 조절되는 새로운 범주의 위상기하학으로 거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다루고 이것들을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고, 프로그램의 상호간 영향에 따른 공간구성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발전 시켜나갈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In modern days our society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nt industrial society characterized by standardization concentration, centralization to ultra-industrial society characterized by anti-standardization characterization separation. This change of society gives rise to the change of sense of value and this brought about immense change of structure of not only autistic cultural they produced "various structures" which meet new need and construction design has bee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 of that society. In modern times, tire structural change of construction exclaims the transition of paradigm from stab]e, deterministic sense of value to dynamic, relativistic sense of value. The new paradigm followed by structural change of modern building suggests the timely call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and inner construction pursuing structural variety and difference. Recently, the new paradigm of the complexity theory generated from overall scientific region showed that entire former dynamic, can be deformed and the forecast of the behavior of this system becomes impossible. As a result, modern construction applied by new system and paradigm need analysis of new system. Nowadays, the attempts which is intended to suggest various modern probability of analysis by way of new approach of geometrical method arise. At this in this research, by the understanding of phase geometry which is new geometry, I want to analyze spac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which appears in modern construction, apply elements extracted from analysis to exhibition space. The summarized procedure is like follows : In chapter 1, I showed the background, aim, extent, method. In chapter 2, I examined construction analysis by historical examination as the development of geometry, and stated the need of appearance of new phase geometry and phase property and suggest shape appearance as a way to be applied to design by way of applied theory and approach by overall concept. In chapter 3, first I examined the comprehension of phase geometry and its phase property and suggested two approaches - formal approach and approach by overall concept - as ways to be applied to the design by way of applied theories following the phase geometry. In chapter 4, I examine the situation of modern construction followed by the properties by example of modern architect. As to the situation of modern construction, the appearance of new concept of new concept not descriptive diagram but generative diagram, the appearance of the phenomena of open world from closed world giving importance to a series of indeterministic procedure as time flows, and as to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geometric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odern construction space, I examined spacialization of lamps, the cyclic system of moving lines, unisexual space, separation of program and space, curvilization of space. In chapter 5, I want to apply to the exibition space by design application method by overall concept approach and geometric expression chapter. By above procedure, my research seek the method of treating complex information and visualizing of these by new phase geometry, and I can develope change of space composition followed by mutual interactions between programs.

      • 현대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현상학적 지각과 공간 경험에 관한 연구

        고광용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35

        Humans began life as they perceived light, and it may be said that the life is the successive time of experience through the perception of light. Humans accumulated experience as they interacted with the world through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their growth, and have developed themselves and society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Here, light, which is the basis of perception, was used to illuminate spaces or to represent religious symbols in the past, whereas it has offered new meanings to space as well as our lifestyle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methods for its expression are construed as having diverse meanings through the combination of aesthetic expression and functionalit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various presentation of light in architectural space creates emotional experiences via human perception. This light becomes the object of perception on its own as well as provides us with brightness for spatial perception. Moreover, light works as a physical medium that connects reason and sensibility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human as a visual expression medium, and plays the role of controlling human psychology. Each light designed for a certain purpose on this wise within space plays the role of expressing one organic space that has inevitable relationship as a whole. Like this, there is the element of light on the background of space; and component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ight change a perceiver's emotion as well as the atmosphere of space, and provide the space with vitality and energy. In addition, light creates changes in the user's emotion through spatial images provided, and has been used as a sensibility-controlling spatial component and an important element for designing architectural spac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In this context, light began to be perceived as a medium for phenomenological perception that influences senses of other body parts, not merely the visual medium. In particular, Richard Meier, Kuma Kengo, and Peter Zumthor as well as Steven Holl began to focus their design on spatial experience, which allows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space, using light as a medium in space. The reason for calling their architecture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is that they not only perceived light as the visual medium, but also perceived and designed light as the medium that vitalizes spatial experience by influencing other senses of the body in perceiving and expressing space phenomenologically,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study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e user of space does not simply perceive light, but experiences light with the body through physical intervention. Here, the physical intervention means spatial experience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ception, i.e., the sensation of all body parts, as well as visual sensation. Thu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light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as spatial elements and expression tools that vitalize the user's experience; and tries to analyze and synthesize spatial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 spaces that carefully used light among modern architects' cases of space.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talk about spatial experienc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diverse light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s. Here, the 'experience' carries a more or less abstract and comprehensive meaning, and is equivalent to our daily life in some ways, and so it is difficult to specify it logically. In addition, fundamental discussion is also needed about in what process spatial experience favorably spoken of is created. But as for experience in this paper, it needs research about which experience of a user is influenced in space by it, together with the perception of light, and how it is created in interaction with space. On this, the present study tried to arrang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s part of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and to investigate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in linkage to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how to interpret and apply the user's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e body, depth, movement, place, and time, which are the elements of spatial concept as well as the basis of perception suggested by Pont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a user's spatial experience were derived as 'perception based on movement,' 'perception based on experience and memory,' and 'perception based on changes in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light shown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were analyzed using the key words deriv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ight and space, the theme of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in which the user reads and feels space through phenomenological perception, were investigated. It may be said that this is a study to investigate how spatial components and images expand human sensation and vitalize spatial experience via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which is a non-material e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were investigated by dividing experience in terms of the body, place and temporality according to the inflow of light, which is the object of the study. Division was made into 'the vitalization of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erception of light on the side of the user, and 'spatial experience effects' from the standpoint of a space planner;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ffects were defined. This study ended with the conclusion that tries to find the future directions of space creation from the formation of space where reason and sensibility are merged, and the 'architecture of spatial experience made by light' through the expansion of sens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at effects the expression of light perceived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spatial concept and the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how phenomenological perception by means of light communicates with the meaning of spatial experience, thereby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light as a symbolic medium. Therefore,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provides human with a new experience through the spatial implementation of light and phenomenological sensory stimuli transcending material limitations. Thus, the user who participates in space can newly vitalize experience within space through phenomenological perception provided by light. 인간은 빛을 지각하면서 삶이 시작되었고 그 삶은 빛의 지각을 통한 경험의 연속적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성장과정에서 지각을 통해 세상과 상호교류하며 경험을 쌓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과 사회를 발전시켜왔다. 여기서 지각의 토대인 빛이 과거에는 공간을 밝히고 종교적 상징을 의미하는 용도였다면, 산업혁명 이후 우리 삶의 방식뿐만 아니라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표현 방법 또한 미적인 표현과 기능적인 부분과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건축공간에서 빛의 다양한 연출은 인간의 지각에 의해 감성적 경험을 생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빛은 우리에게 공간 지각을 위한 밝기를 제공할 뿐 아니라 빛 그 자체만으로도 인식의 대상이 된다. 더욱이 빛은 시각적 표현매체로서 인간과 상호작용하여 이성과 감성을 이어주는 물리적 매개체로 작용, 인간의 심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공간에서 일정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각각의 빛은 전체적으로 필연적인 관계를 가지는 하나의 유기체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공간의 바탕에는 빛이라는 요소가 있고 그 빛을 통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밀접한 연관성을 갖으면서 공간의 분위기와 지각자의 감정까지 변화시켜 공간에 생명력과 활기를 부여한다. 또한 제공되는 공간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일으켜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감성을 지배하는 공간구성 요소로 건축공간을 디자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근대건축 이후, 빛이란 요소도 단순히 시각적 것만이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분의 감각에 영향을 주는 현상학적 지각을 위한 매개체로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스티븐 홀을 비롯하여 리차드 마이어, 쿠마 켄고, 페터 춤토르 등은 공간에서 빛을 매개로 사용하여 공간을 현상학적으로 지각하게 하는 공간 경험에 디자인의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그들의 건축을 현상학적 건축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한 것처럼 빛을 시각적 매체로만 인식한 것이 아니라 빛이 신체의 다른 감각에도 영향을 주어서 공간을 현상학적으로 지각하고 표현하게 하여 공간 경험을 활성화 하는 매체로 인식, 디자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현대 건축공간에서 공간 사용자가 단순히 빛을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개입을 통해 빛을 몸으로 경험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신체의 개입이란 단순히 시각적 의미뿐만 아니라 온 신체 각 부분들의 감각이라는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 경험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 건축공간에서 빛의 현상학적인 지각과 표현이 공간 사용자의 경험을 활성화시키는 공간 요소이자 표현 도구로 인식, 현대 건축가들의 공간 사례 중 빛을 세심하게 사용한 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경험 특성을 분석, 종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건축공간에서 다양한 빛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여기서 ‘경험’이란 다소 추상적이고 포괄적 의미로 어찌 보면 우리의 일상에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구체화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좋다고 표현하는 공간경험이 어떠한 과정 속에서 생성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 또한 필요하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의 경험은 빛의 지각과 함께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경험에 영향을 미치며 공간과의 상호작용 속에 어떻게 생성되는가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빛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을 효과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통해 공간의 의미와 특징을 정리하고, 경험개념의 이론적 특성과 연계하여 빛의 현상학적 지각에 따른 공간경험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퐁티가 제시한 지각의 근거이자 공간개념 요소인 신체, 깊이, 움직임, 장소, 시간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시키는지 알아보고, 경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용자에 의한 공간 경험의 특성은 ‘움직임에 따른 지각’, ‘경험과 기억에 따른 지각’, ‘시간 변화에 따른 지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통해 현대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현상학적 지각과 표현에 의한 공간경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제인 자연광인 빛과 공간 관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현상학적인 지각을 통해 공간을 읽고 느끼는 공간 경험의 표현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비물질요소인 빛의 현상학적 지각에 의해 공간 구성요소 그리고 이미지들이 인간의 감각을 확장, 공간경험을 활성화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인 빛의 유입에 따라 신체, 장소, 시간성의 경험으로 나누어 빛의 현상학적인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는 사용자 측면의 빛 지각에 따른 ‘공간경험의 활성화’와 공간 계획자 입장의 ‘공간경험 효과’로 구분하여 그 특성과 효과를 정의하였다. 이처럼 빛은 이성과 감성이 융합된 공간형성, 그리고 감각 확장을 통한 ‘빛에 의한 공간경험의 건축’으로 앞으로 우리가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공간개념을 바탕으로 지각되는 빛의 표현과 빛에 의한 현상학적 지각에 의한 공간경험이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말하고 있다. 또한 빛에 의한 현상학적 지각이 공간경험의 의미와 어떻게 상통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여 상징적 매개체로서의 빛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따라서 빛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은 빛이 공간을 구현하며 물질적인 한계를 초월한 현상학적 감각 자극을 통해 인간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로서 공간에 참여한 사용자는 빛이 제공하는 현상학적 지각을 통하여 공간에서 새롭게 경험을 활성화 할 수 있다.

      • 건축구성원리의 정신분석학 적용 연구

        최효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35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methodology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and make a new architectural planning model by comparing the entire schools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and to offer a foundation for the exchange and fusion of broader architecture and psychoanalysis. The application of psychoanalysis to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serves four major goals; first, the archetype of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innat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well as the traditions of East and West can be explored by utilizing the universality of psychoanalysis; second, the nature of continuity of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based on the human mental structure can b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ird, new methodology can be established of applying contemporary psychoanalysis more advanced than the Freudian theory us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architecture; finally, a new contemporary architectural planning model can be built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based on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they are analyzed in the study. For those goals, the study found its basic background in one of the premises adopted by psychoanalysis, which says that the foundation of all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is the human mental structure.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that expand from a unit space to the entire space through the diffusion and combination process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nd the resulting formation and flow of circulation. Then I selected a group of architects and works to represent architecture of each period and made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In the study, Jung's analytical psychology, which values tradition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which inherited and developed a tradition of pursuing the place symbolism of land and harmony of buildings. And Freud's later theory, constructivist model and dynamic model were applied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emphasized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tradit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created by a building and the relativity and relations among constituents, along with the Neo-Freudian and Post-Freudian theory. Although the two schools developed in different directions, Jung accepted the descriptive method as it was and they have similar concepts regarding psychological conflicts. Eros and Thanatos, the concepts of the economic model, are similar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roles of Anima and Animus, the elements of collective unconscious. In the study, I tried to build an architectural planning model to connect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making use of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two schools. The findings presented such keywords as boundaries, a representative-like space, narrative of circulation, and hierarchy of compositi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that could be us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planning by the application of psychoanalysis led to eight conclusions, which diverge in two directions. The first direction concerns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through psychoanalysis and presents the four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valued each territory in combining internal spaces with external ones, reinforced the boundaries with mediating elements including space or walls. On the contrary, contemporary architecture sought after a trend of deconstructing boundaries placing importance on the communication of each space. Second, while traditional architecture focused on symbolism in organizing spaces,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functionality-oriented space composition principles. Third, there is a contrast between the narrative of circulation i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e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y created transference space, which reinforced the boundaries of each territo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horizontal circulation, and expressed single narrative symbolism. Meanwhil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y valued the functional connections between each space separated by floors and the central co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ertical circulation.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according to the functionality of the core, which was accumulated and reinforced along the vertical circulation, got to depend on the core. In the end, they were displaced by the agential nature of the core, which should supplement the functions of individual spaces. Thus the nature of each space was determined around the core. And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e hierarchy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post-hierarchy of modernism architecture, and the organic natur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Lacan's Significant and Signifi· can connect analytical psychology to Freud's psychoanalysis theory. While Signifi· is an external spatial element to represent conscious, Significant an internal spatial element to represent unconscious. When the connection is repeated by horizontal circulation, the hierarchy of the overall symbolism,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akes place. The phenomenon of post-hierarchy can be observed in modernism architecture overlapped by vertical circulation. Unlike modernism architecture, which pursued the conne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by visual expansion, digital and ecological architecture took the continuous circul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s the original in the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irculation, repeated and overlapped various processes of circulation development, and created spatial compositions of replications in natural and organic forms where different meanings and symbolism from the original spatial development were found. The second direction concerns new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of psychoanalysis that can be presented as a model of developing contemporary architectural planning.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Breeze Soleil, double spaces and reinforced external spaces were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many different problems derived from the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by the commun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in modernism architecture at the result of transference space set by boundaries. However, there emerged a possibility of the spaces turning into closed spaces hindering the commun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vision and circulation. In digital and ecological architecture, they gave up the visual expans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by restoring the structural wall functions and established space communication methodology of new dimension through the circulation flow i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Since the methodology is inclined towards functionality, it's likely that it will develop into more complet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by the addition of the individual functionality and symbolism of transference space.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will rise in connecting individual spaces to the core whose functionality is emphasized as the object of space combination in modernism architecture since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spaces can be fix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y maximize such functionality of the core and bestow symbolism onto it or deconstruct a representative-like space itself through the organic organiz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us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mbination of unit spaces being fixed. As the meaning of combination of unit spaces faded away, those approaches pose a huge risk of individual placeness and functionality being damaged by the entire organic organization. Thus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approaches of increasing the connection and completeness of the entire spaces found i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objectifying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nd changing their symbolism and functiona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each space combination.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of modernism architecture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sition principle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the substitu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irculation. But it can cause the post-hierarchy of space and affects the individual functions and symbolism of unit spaces. Therefore, what's suggested was the substitu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irculation by adopting the methodology of fus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irculation accompanied by the whole narrative symbolism and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architecture. Finally, there is the replication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In an attempt to make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modern, one should avoid the full-scale application of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inciples b pursuing similitude rather than resemblance and instead choose an approach of convergence to one symbolism overall by applying the replication method with diff·rance. That i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should introduce one of the approache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pursues diverse diff·rance in the combination of unit spac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us creates a huge single context through its repetition, in order to seek after unity in the overall flow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elp to narrow the gap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applying the theories of psychoanalysis, provide new methodology and models for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and will be used in analyzing the mass and shape of architecture in the application of psychoanalysis. Just like all social phenomena work in the basic principles inherent in the human mental structure, there is an architectural principle that the foundation to determine formativeness of architecture depends on space characteristics. 현대건축의 시작인 모더니즘 건축과 정신분석학은 그 성립시기에서부터 전통성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이후 발전과정에서 전통성의 재인식을 통해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는 시도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두 학문 간의 교류와 융합의 가능성을 처음부터 가지고 있었고,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에 프로이트 이후 정신분석학 이론에 기초한 해체주의와 포스트 구조주의 영향을 받은 여러 현대건축 사조들이 성립되었었다. 그러나 현재 시도되고 있는 현대건축과 정신분석학의 접목은 특정 이론, 또는 한 학파의 사상을 설계와 개념 등에 적용함으로 현대 정신분석학의 변화와 발전을 충분히 수용하지는 못하기에 결국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 정신분석학 이론들의 전체적인 비교를 통해 건축 구성원리의 분석과 새로운 건축계획 모델 도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동시에, 향후 보다 폭 넓은 건축과 정신분석학간의 교류와 융합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들을 진행하였다. 이에 건축구성원리에 정신분석학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는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정신분석학의 범용성을 활용하여, 동서양의 전통은 물론이고 현대건축에 내재되어 있는 건축구성원리의 원형(原型)에 대한 탐구이다. 두 번째로는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전통과 현대건축의 동질성과 차별성을 파악함으로써 인간 정신구조에 입각한 건축 구성원리가 가지는 연속성의 실체를 파악한다. 세 번째로는 현대 건축에 활용되고 있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이론의 한계를 넘어서 보다 발전된 현대 정신분석학 이론을 건축에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확립이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에서 분석된 전통과 현대건축의 건축구성원리를 기반으로 정신분석학적 차원의 새로운 현대건축 계획 모델을 도출한다. 상기의 연구목적이 달성될 경우, 정신분석학적 차원에서 전통건축과 현대건축간의 간극을 좁히고 건축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는 변혁적인 방법론과 계획모델을 획득함으로써, 향후 건축이 보편성과 함께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그 기대 효과로는 다음에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정신분석학 이론을 근거로 동·서양 건축을 비교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과거 단편적으로만 적용되던 정신분석학 이론을 건축에 보다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는 발전의 장(場)을 제공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건축계획에서 일반적인 건축역사적인 이론이나 사상 등을 개념으로 활용할 때에, 현대적인 시각과 융합할 수 있는 접점을 찾는 데에 유용한 연구방법의 해답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을 연계시킴으로써, 글로벌화 된 사회 속에서도 전통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21세기가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을 실현한다. 위의 연구 목적과 기대효과를 이루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와 사상, 예술등 에 내재되어 있는 무의식의 원천을 분석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구조를 파악해야한다는 정신분석학의 전제를 기본 배경으로 하여, 내외부 공간의 분화와 결합과정, 그리고 그로 발생되는 동선의 형성과 흐름들을 통해서, 단위공간에서 전체공간으로 확장되어 가는 건축 구성원리를 중점적으로 다루기 위해 각 시대의 건축 사조를 대표할 수 있는 작가 혹은 작품들을 선정하여 정신분석학 시각에서 통합적인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건축물의 형태, 그리고 매스, 스케일등이 가지는 상징성 보다는 공간 그 자체와 여러 공간의 결합을 통해서 발현되는 의미와 상징이 주요 연구대상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활용될 정신분석학 이론으로, 전통건축에서는 정신분석학의 초기 이론 중에 하나인 지형학적인 모델(Topographic Model)을, 모더니즘 건축 이후의 서양 현대건축이론은 구조적 모델(Constructivist Model)을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에게서 출발한 정신분석학 이론은 이후 지형학적 모델에 전통사상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칼 쿠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으로 발전하였고, 구조적 모델은 기호학(Semiotics)과 언어학(Ligustics)에 영향을 받은 신프로이트 학파(Neo Freudian)와 포스트 프로이트 학파(Post Freudian)로 변화해 갔다. 같은 근원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발전의 향상을 보인 두 학파 이론 중 가장 큰 차이점은 우선 융이 인간의 무의식(Unconscious)이 상징(象徵), 즉 Symbol로 이루었다고 주장한 반면, 프로이트와 그 후계자들은 언어로 이루어졌다고 주장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종교를 비롯한 전통문화에 대해 비관적이었던 프로이트와 달리 융은 전통성은 획득된 상징으로 인간 무의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지의 장소적 상징과 건축물의 조화를 추구하는 전통을 계승 발전해 온 전통건축 구성원리 분석에는 전통성을 중요시한 융의 분석심리학을, 그리고 건축물로 형성되는 내외부공간의 소통과 구성요소간의 상대성과 관계성을 중심으로 전통과의 차별성을 강조한 모더니즘과 그 이후의 현대건축의 구성원리 분석에는 프로이트 후기이론인 구조적 모델을 계승한 신 프로이트와 포스트 프로이트 학파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적용하였다. 비록 이들 두 학파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기는 했지만, 두 학파는 서술적 접근(Descriptive)의 방법을 융이 그대로 받아들였고, 심리적 갈등에 대한 개념들도 유사하며, 경제학적인 모델(Economic Model)의 개념인 삶의 본능(Eros)과 죽음의 본능(Thanatos)는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의 요소인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의 긍정적인 역할과 부정적인 역할과 유사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이론의 차이와 공통점을 활용하여,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의 상이점을 연계해줄 수 있는 건축계획 모델의 도출을 유도했다. 이에 본 연구의 진행체계는 우선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방법과 대상과 함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연구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해 놓았다. 2장에서는 정신분석학의 계보와 그 이론들을 정리해 놓고서, 인간 정신과 건축공간을 비교해보고, 3장에서는 첫 번째로는 서양과 한국 전통건축의 구성원리를 융 분석심리학의 중요 개념인 자기실현화 이론(Self-Realization), 그리고 퍼스낼러티 구성이론(Personality Theory)과 심리학적 유형론(Psychological Type)들을 적용하여 분석을 한다. 4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서양과 한국 전통건축의 정신분석학적 특성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비교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이트 이론인 욕동이론과 구조적 모델, 그리고 역동적 모델을 가지고 전통건축과 모더니즘 건축의 차이를 비교분석 해본다. 5장에서는 모더니즘 이후의 등장한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와 디지털 건축, 그리고 생태건축을 프로이트의 계승자들이 발전 수정시킨 이론을 통해 재해석 해보고, 6장에서는 먼저 5장까지의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을 비교분석을 토대로 융의 분석심리학과 프로이트와 그 후학들의 연구에서 핵심 키워드를 도출해낸다. 그것은 크게 경계성과 대리자적 공간, 그리고 동선의 내러티브와 구성의 위계성으로 나눠지며, 이를 근거로 하여 전통건축 구성원리의 현대적 모델로서 경계의 전이공간 설정, 공간결방의 대상성,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의 치환, 사본적 평면구성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분석심리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비교분석한 결과, 하나는 전통성을 중요시하고, 하나는 전통성을 부정하였지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들은 인간 무의식에 기초한 전통성에 내재된 정신의 지형학적 상징성보다는 기능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을 뿐이었다. 이는 프로이트 이후에 많은 그의 후계자들이 그의 이론을 발전·수정하는 과정에서 증명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상징성과 기능성이 결국은 같은 현상에 대한 다른 해석임을 주장하는 이론가들도 나오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전체적인 정신분석학의 흐름과 전통건축, 그리고 현대건축의 발전과정을 비교분석하면서, 건축 구성원리의 본질적인 형성과정과 건축에 활용할 수 있는 정신분석학 차원의 건축 구성원리 모델을 제안한다. 이에 정신분석학을 적용하여 현대건축계획에 활용 가능한 건축구성원리를 연구해 본 결론은 여덟 가지이며, 크게 2가지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정신분석학에 입각한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의 특성비교를 통해 도출된 두 건축의 기본적 구성원리 개념이며, 둘은 이를 기반으로 하여 현대건축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건축구성원리를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정신분석학에 의한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의 특성비교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내외부 공간의 결합에 있어서 각 영역성을 중시했던 전통건축은 중간대상이 되는 공간 혹은 벽과 같은 요소를 가지고 경계를 강화한 반면, 현대건축은 각 공간의 소통을 중요시하여 경계를 해체하는 경향을 추구했다는 것이다. 전통건축구성원리는 인간 정신을 지형학적인 측면이 반영되어, 각 영역에 적합한 상징성들을 내포하면서 그 영역의 경계에 그림자, 정박점과 같은 중간대상이 되는 전이공간이 존재하여, 그 경계성을 강화시켜 준다. 다만 한국 전통건축의 경우에서는 열주공간을 통해서 내외부공간이 대상성을 가지면서 변화하는 반면, 서양전통건축은 그리스 건축의 열주공간에 의한 내외부 공간의 상징적인 공간구성원리를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면서, 구조적인 벽의 상징성을 활용하여 경계성을 강화시켜왔다. 그에 비해 모더니즘 건축에서는 철과 유리, 콘크리트 라멘 구조가 등장하면서 커튼 월과 대형창 등을 적극 도입하여, 벽이 구조적인 기능을 잃게 되면서 내외부 소통이 주요한 건축공간 구성원리로 주목받게 된다. 두 번째는 공간구성의 중심에 있어서 고전건축은 상징성 위주로 전개된 반면, 현대건축은 기능성에 편향된 공간구성원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정신의 요소들이 의식과 무의식과 같은 정신적인 영역에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고 생각하였고, 프로이트 이론들은 대리자의 개념을 통해서 정신적 주체인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원본능(Id)등에서 파편화된 정신적 요소들은 다른 주체의 부족한 정신적 기능을 보완하는 것일 뿐, 그 속성은 유지된다고 보면서 그 관계성에 주목을 하였다. 이에 전통건축은 내외부 공간구성에 있어서 전체적인 상징성을 구현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현대건축은 각 공간들 간의 기능적 관계성을 구축하는 방법론들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는 기능성을 가지지 않는 상징적인 공간을 전체 공간에 중심에 두는 전통건축의 형식과, 수직동선과 설비를 포함한 기능적 성격이 강한 코어를 중심에 두는 현대건축의 평면구성의 비교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세 번째로는 동선에 있어서 전통건축의 내러티브와 현대건축의 전치적 특성에 대한 대비이다. 융은 정신의 영역을 의식과 무의식,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으로 나누면서 각 정신간의 요소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맥락을 중요시하는 자기실현이론을 주창하였고, 프로이트는 정신 요소간의 기능적 관계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서술적 접근이라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전체적인 시각보다는 각 요소간의 관계가 가지는 개별성에 더 관심을 두었다. 그래서 분석심리학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전통건축에서는 수평동선의 전개를 통해서 각 영역의 경계를 강화시키는 전이공간을 두어 내러티브적인 전일적(全一的) 상징성을 구현하고 있고, 프로이트 이론이 적용되는 현대건축에서는 수직동선의 전개에 따라 개별층으로 분리된 각 공간과 중심코어간의 기능적인 연계를 중시하지만, 수직동선에 따라 적층되어 강화된 코어의 기능성에 의해 각 공간이 가져야 할 특성들이 코어에 따라 결정되면서, 궁극에는 개별공간이 가지는 기능을 보완해야하는 코어의 대리자적인 성격과 전치(Displacement)를 이루어, 도리어 코어를 주체로 하여 각 공간의 성격이 결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네 번째로는 공간 구성의 특성에 있어서 전통건축의 위계성과 모더니즘 건축의 탈위계, 그리고 현대건축의 유기성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초기이론을 기초하여 발전된 라깡의 기표와 기의의 우연적 의미 구축화의 개념은 분석심리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의 연계점이 되어 줄 수 있는 주요한 정신분석학 이론으로 기의를 의식, 즉 외부에 속해져 있는 공간요소이며, 기표를 무의식 그러니까 내부의 공간요소로 가정하였을 때, 그 결합의 방식이 수평동선에 의해 반복되었을 때는 전통건축의 특성인 전체적 상징성의 위계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수직동선에 의해 중첩이 된 모더니즘 건축에서 탈위계의 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디지털 건축과 생태건축은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의 결합을 통해서, 시각적 확장을 통해 내외부 공간의 연계를 추구한 모더니즘 건축과 달리 내외부 공간의 연속적인 동선을 원본으로 하여, 다양한 동선적 전개의 과정들을 반복하고 중첩하여 원래의 공간전개와는 다른 의미와 상징성이 구축된 자연스러운 유기적 형태의 사본적인 공간구성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상이 정신분석학에 의해 분석된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의 기본적 구성원리이며, 이를 기반으로 현대 건축계획의 발달모델로서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정신분석학적 건축구성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경계의 전이공간 설정이다. 모더니즘 건축의 내외부 공간 소통에 의한 경계의 해체가 가져온 건축환경적인 문제와 심리적 불안감 등의 문제점을 발견한 르 꼬르뷔지에와 루이스 칸, 루이스 바라간 등은 차양과 이중공간, 외부공간의 강화 등을 통해서 이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이러한 접근은 시각은 물론이고 동선의 내외부 공간관입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서 자칫 패쇄적인 공간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그에 비해 디지털 건축과 생태건축에서는 구조적인 벽의 기능을 환원하면서 시각적인 내외부 공간의 확장을 포기하는 대신, 내외부 공간의 동선적인 흐름을 통해서 새로운 차원의 공간 소통방법론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론들은 기능성에 치중된 면이 있기에, 전통건축 구성원리에서 나타난 전이공간이 가지는 개별적 기능성과 상징성을 더하여 더 완성된 건축 구성원리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두 번째는 공간결합의 대상성이다. 모더니즘 건축에 있어서 기능성이 강조된 코어에 대해 개별적인 공간의 결합은 고착화되어 공간의 연계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루이스 칸은 Served Space와 Servant Space의 개념을 통해 공간 자체가 가지는 상징성을 강화하고 코어와 그에 따른 기능적 공간들과 조화로운 결합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현대건축은 도리어 코어의 기능성을 극대화하여 그에 상징성을 부여하기도 하고, 내외부 공간의 유기적인 구성을 통해 대리자적 공간 자체를 해체하는 방식으로 모더니즘 건축의 단위공간 결합의 고착화를 해결해 나갔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도리어 모더니즘 건축에서처럼 단위공간결합의 의미가 퇴색하면서 개별적인 장소성과 기능이 전체적인 유기적 구성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높기에, 전통건축에서 각 공간결합의 상황에 따라 내외부 공간이 대상화되어 그 상징성과 기능성을 변화시켜 전체적인 공간의 연계와 완성도를 높이는 방법들을 현대건축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는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의 치환이다. 모더니즘 건축의 수직동선은 현대건축의 대형화·복합화의 경향으로 인해 계속 가치를 가지는 주요한 구성원리 중에 하나이지만, 공간의 탈위계 현상을 일으키고 단위공간의 개별적인 기능과 상징성에 영향을 주기에 때문에 현대건축에서는 기능과 상징의 수직동선의 분리와 같이, 이를 보완하는 계획안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전통건축에서 내러티브적인 전일적 상징성과 기능성을 수반한 수평동선과 수직동선 융합의 방법론을 차용한,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의 치환을 제안한다. 이는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을 연계할 수 있는 전이공간을 두고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동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현대사회가 건축에 요구하는 기능성을 충족하면서도, 전체적인 건축공간의 전개에 있어서 유기적인 구성을 추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는 전통건축 구성원리의 사본적 적용이다. 전통건축 구성원리의 현대화에 있어서 유사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상사성을 추구함으로써 전통구성원리를 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차연을 두고 사본적인 방법으로 적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전일적인 상징성으로 수렴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는 전통건축이 오랜 시간을 두고서 단위공간의 결합에서 다양한 차연들을 추구하고, 그 반복을 통해서 하나의 커다란 콘텍스트(Context)를 형성해 나가는 방식을 현대건축의 발전과정에 도입함으로써 전체적인 현대건축의 흐름에서 통일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차후, 정신분석학을 적용하여 건축의 매스와 형태 등의 분석에서도 활용성이 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것은 인간 정신구조가 모든 사회현상의 내재된 기본원리라는 정신분석학의 전제와 건축의 조형성을 결정하는 근본이 공간의 특성에 좌우된다는 건축적인 원칙이 유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가 앞으로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공간구성, 매스, 형태, 장식 등의 다각적인 측면으로 건축을 탐구하는 데에 일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유럽 現代建築의 類型學的 表現特性에 관한 硏究

        이영찬 홍익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35

        Architecture is made to run, protect, and develop human life and has been accomplished developments with human history. Architectural history is to coexist with history of culture, and the culture which man creates is the step of mortal life in different areas of each age, and it is standing on its base. Which one experiences in that present age is that already made in the previous ages, and the things that the present age makes are made on the bases of the products from the previous ages. That is to say, creating a novelty referring to the ones from the previous ages is by experiencing the previous age and accepting it, to repeat new creation, and through it that age's creation is to be made and to be continued to the next generation. This kind of approach to the idea is basic point which should be set forth before progressing this study, and this is showing general thinking structure of typological architecture phenomena. The typological methods of architecture containing continuous intentions by cultural meaning originally based on the backgrounds of European historical cities. Therefore it is showing an architectural approach related to urban environment, it also presents architecture which has liaison between architecture and cities.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typological architecture, and will look into European areas as the central figure and representational architects who venture typological architecture as their objects. It is to study the original meaning from the typological phenomena which are operating in the environment of the European areas with typological architecture. Following the instruction, chapter 2 of this study is progressing general considerable contents of typology. The architectural phenomena which appear as methodology from all education are to clear the meaning of it in architecture. Also, the typological concept of architecture already has been formed in 18, 19th century and argued about and thos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typological concept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hase of typological architecture which appears from modern areas to today. And it also arr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ism and contextualism as a background theory which appears in modern typological architecture. These two theories can be defined as conceptual theories which can explain the phenomena of typological architecture. These two theories in common contain complementary duplication which is that architectural formal structure formed by basic formal elements extracted from formal structure patterns of a typological dimension is󰡐a part and the whole󰡑,󰡐the whole and a part󰡑. This is applied as a communicational concept of formal image related to structural linguistics of structuralism, also applied as a searching examination of the formal and cultural context related to structural anthropology. From this structural point of view, it contains a contextual characteristic which concur with contextualism, but to study the expression of typological architecture clearly, I studied the tendency of contextualism applied to typological acceptance of natural elements for a typological trial for adaptation to locational context and the recovery of regional meanings. This typological approach based on these two theories is to be recogniz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whole contained in type's meaning, the whole and the elements are judgemental and operating as a united meaning in the formal structure and sensible structural operation.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from modern typological architecture are divided in three. First, the projects which tried typological architecture are commonly referring to the typological thoughts appearing from rational approach about the origin and essence of architecture in 18th and 19th centuries' architecture and the history of those rational consideration streams. Secondly, to approach typological architecture more systematically, basic formal patterns of that formal structure should be induced in historical cities and experiences and memories of architecture. Also, we can recognize developmental possibility through formal structural operation by showing artistic originality composing new forms from extracted types. Third, typological architecture keeps the sectional or the total meaning which exists in the formal structure of the place by accepting the surrounding contexts to adapt to the physical formal order of a particular place. Also, by accepting the cultural natural elements partly, it pursues to recover the regional meaning. Through these arrangements about characteristics of typological architecture the direction for studying it's concrete expression was set in chapter 4. Chapter 4 is to study the expressions of typological architecture which appears in modern architecture, it si also divided in three. First, thinking operation which operates before the expression of typological architecture is arranged. The patterns of typological thought are divided into analogical thoughts and abstract thoughts and studied through related architectural projects. In analogical thoughts, the shape which operates in common memories was associated in formal composition and it is recognized that former historical examples of architecture are operated as a conceptual transition. Also, it is clear that abstract thoughts show formal structure induced through psychological mind operations. Secondly, by the expressional approach of typological architecture, it disintegrates historical cities and formal composition of architecture and induces basic formal composition patterns from them. It conspicuously appears in analytical, typological approach of Rob Krier, and it is clear that O.M.Ungers, James Stirling also recognized basic formal composition patterns of cities and expressed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Third, it is clear that typological architecture accepted surrounding context for adapting physical formal structure of particular places, and it is to reflect partial or total meanings contained in formal structure of the place. Also, it is clear that it is trying typological architecture by accepting the elements that indicate natural characteristics, which means, unusual building methods, traditional materials, spiritual meanings, etc. As an example for this, vernacular architecture of Mario Botta showing exact propositional outlines conspicuously indicates typological intentions. Chapter 5 is arranging the results of studying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ypological architecture as above. It is clear that conceptual thinking operation for type research, typological operation by basic formal patterns induced in the disintegrating process of cities and formal composition of architecture, and contextual adaptation of formal structure of places, and regional meaning recovery is occupying inner concept structure for expression of typological architectur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ypological architecture are operating in the relationships of typological elements which have historic continuancy in existing cities and architecture. Certainly in the side of reappearing operation of extracted elements in existing objects, it is judged that the degree of architectural progress is slow, but on the other hand, the trials such as modern median imaginary spacing program which shows as an experimental meaning estimating the future have the problem of how to express the moral emotions and that meaning. Therefore the meaning of historic recovery contained in typological architecture is to adjust the desirable settlement environment which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demand. 건축은 인간의 삶을 영위케 하고, 보호하며,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져 인간의 역사와 함께 진전을 이루어 왔다. 건축역사란 문화의 역사와 공존하고, 인간이 만들어내는 문화는 각 시대의 서로 다른 지역에 있어서 인간적 삶의 발자취이며, 그것의 기반 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 시대에 경험하는 것은 그 前 時代까지 만들어진 것이며, 그 시대가 만들어내는 것은 그 前 時代까지 만들어졌던 것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즉, 前 時代에 만들어진 것을 參照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것은 前 時代까지의 것을 경험하고 그것을 수용함으로써 새로운 창조가 반복되고, 이로 인하여 그 시대의 것이 만들어져 다음 세대로 끊임없이 계속 이어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사고의 접근은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전제되어야 할 기본적 시각으로서, 類型學的 建築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의 일반적 사고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건축의 類型學的 試圖는 본래 유럽지역의 역사적 도시를 배경으로 문화적 의미의 연속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환경과 관련된 건축적 접근을 보이고 있으며, 건축과 도시 상호간의 연계성을 가지는 건축을 표현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類型學的 建築의 표현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類型學的 建築을 시도하는 대표적 건축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類型學的 建築이 잉태된 유럽지역의 환경속에서 작용되고 있는 類型學的 諸 現狀속에서 그 본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建築類型學의 일반적 고찰내용을 진행하고 있다. 모든 학문에서 방법론으로 나타나는 類型學的 現狀은 건축에 있어서 그 바른 정의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 위함이다. 또한, 建築의 類型槪念은 이미 18,19세기에 그 본질적 개념이 형성되어 논의되었고, 그러한 類型의 정의와 의미가 근대를 거쳐 현대에서 나타나는 類型學的 建築의 위상을 확인하는 과정속에서 類型槪念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하고 있으며, 현대의 類型學的 建築에서 나타나는 배경이론으로서, 구조주의(Structuralism)와 컨텍스츄얼리즘(contextualism)과의 관계를 정리한다. 이 2가지 이론은 類型學的 建築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2가지 이론은 공통적으로 類型學的 次元에서 도시의 형태적 구조패턴 속에서 추출된 기본 형태요소에 의한 건축적 형태구성은󰡐부분과 전체󰡑,󰡐전체와 부분󰡑이라는 상보적 이중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구조주의의 구조언어학과 연관지어 형태 이미지의 전달수단 개념으로 적용되며, 또한 구조인류학과 연관지어 형태와 문화적 맥락의 관계규명으로 적용되어진다. 이러한 구조주의적 시각에서 類型學의 분석적 접근에도 컨텍스츄얼리즘(contextualism)과 일치하는 맥락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으나, 類型學的 建築의 표현을 보다 분명히 고찰하기 위해 컨텍스츄얼리즘(contextualism)의 성향은 장소적 문맥에 적응하기 위한 類型學的 試圖와 지역적 의미의 회복을 위해 풍토적 요소의 類型學的 收用에 적용하여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2가지 이론을 밑바탕으로 한 類型學的 接近은 그 형태구성과 의미적 구조작용에 있어서 類型의 의미에 내포된 요소와 전체, 전체와 요소간의 관계가 변별적이고 통합적인 의미로 작용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제3장에서는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類型學的 樣相들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살피고 있다. 첫째, 18,19세기의 건축에서 나타난 건축의 기원과 본질에 대한 합리적 접근에서 나타나는 類型學的 思考와 그러한 합리적 사고흐름의 역사를 참조하고 있다. 둘째, 類型學的인 건축을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역사적 도시와 건축의 경험과 기억속에서 그 형태구조의 기본 형태패턴을 유도한다. 또한, 추출된 類型으로 새로운 형태를 조직하여 건축형태의 예술적 독창성을 나타내어 형태 구성작용을 통한 발전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類型學的 建築은 특정장소의 물리적 형태질서에 적응하기 위해 주변문맥을 수용함으로써 장소의 형태구조속에 존재하는 부분적, 혹은 전체적 의미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문화적인 풍토적 요소를 類型學的으로 수용함으로써 지역적 의미를 회복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現代 類型學的 建築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표현특성을 크게 3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 類型學的 建築의 표현에 앞서서 형태적 재현의 사고작용이 선행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 類型學的 思考의 패턴은 크게 유추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의 2가지로 나뉘고, 관련된 건축작품을 통하여 입증하고 있다. 유추적 사고는 공통된 기억속에서 작용하는 형상이 형태조직 속에서 연상되고 있었으며 건축의 역사적 선례들이 개념적 추이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추상적 사고는 내면의 심리적 정신작용을 통해 유도된 기하학적 형태구성으로 類型學的 思考作用을 나타냄을 알수 있었다. 둘째, 類型學的 建築의 표현접근으로 역사적 도시와 건축의 형태조직을 분해하고, 거기에서 기본적인 형태조직패턴을 유도하고 있다. 이것은 롭 크리에의 분석적인 類型學的 接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웅거스, 제임스 스털링 등도 역시 도시의 기본적 형태조직 패턴을 인식하고 건축적 재구성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類型學的 建築은 특정장소의 물리적 형태구조에 적응하기 위하여 장소주변의 형태맥락을 수용하고 그것은 장소의 형태구조에 내포된 부분적, 혹은 전체적 의미를 반영코자하는 것임을 알수 있었다. 또한, 풍토적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들, 즉 지역의 색다른 건조방식, 토속적 재료, 정신적 의미 등을 수용하여 類型學的 建築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것의 실례로 명확한 고전적인 비례적 윤곽을 나타내는 마리오 보타의 지역적 건축에서 類型學的 意圖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제5장에서는 이상과 같이 연구된 類型學的 建築의 표현특성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유형탐구를 위한 개념적 사고작용, 도시와 건축의 형태조직에 대한 분해과정 속에서 유도된 기본 형태패턴에 의한 유형화 작용, 그리고 장소의 형태구조에 대한 맥락적 적응과 지역적 의미회복은 類型學的 建築의 표현을 위한 내부의 개념구조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現代 類型學的 建築에서 나타나는 표현특성은 기존의 도시와 건축에서 역사적 지속성을 갖는 類型的 要素들과의 관계속에서 작용하고 있다. 물론 기존의 대상속에서 추출된 요소의 재현작용이라는 측면에서 건축적 진화의 정도가 느리다고 판단될 수도 있으나, 미래를 예측하듯 실험적 의미로 나타나는 최근의 미디어적 가상공간구상과 같은 시도들은 인간적 정서와 그 의미를 어떻게 나타낼 것인가의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類型學的 建築에 내포된 역사회복의 의미는 인간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바람직한 정주환경을 조성코자하는 것이다.

      • 중국의 전통문화와 중국현대건축혁신의 연관 연구

        서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35

        현대건축의 반세기동안의 급속한 발전과정에 발로된 최대의 결함은 전통과의 격리에 있는바 세계의 문화가 다원화 내지 지역화추세가 강화되면서 각국의 건축사들은 모두 현대건축관념이 기술과 지역성 및 민족문화와 결부되어야 건축물이 영구적인 생명력을 부여받게 된다는것을 인식하고 있다. 전통건축문화의 승계와 현대건축의 혁신의 문제는 현대건축과 문화적 지역성, 민족성 및 다원화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하며 동시에 새로운 건축기술과 새로운 건축이념이 끊임없이 발전하는 전제하에서 어떻게 건축문화의 내재적 연속성을 확보할것인가 하는 등 다방면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건축사와 건축이론연구가들의 보편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상기문제에 대하여 많은 공동의 인식을 도출해내기는 했지만, 부동한 국가, 지역 그리고 개인사정에 따라 그 인식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보여지며 건축활동에서 취하는 방식이나 수단 또한 제각각임을 볼수 있다. 때문에 해당문제에 대한 연구와 토론은 우리나라 건축학계를 놓고 볼때 이론과 실천적인 면에서 모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건축의 혁신문제는 직업건축사들이 시시각각 예의주시하고 힘써 실천해야 하는 중차대한 문제로서, 건축물의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 그리고 정신적인것에서도 건축사들은 모든 설계안에서 새로운것의 창조에 힘을 기울여야 할바다. 이를 위하여 수천년간 인류는 끊임없는 노력을 하여왔으며 현시대에도 건축사들은 건축의 발전과 혁신을 위하여 여러측면으로 해당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일정한 성과를 취득하였는바 이러한 연구성과들은 우리들의 과제의 토대와 전제조건으로 되고 있다. 신합리주의(Neo-rationalism), 신네이티브파, 포스트 모더니즘, 해체주의, 하이테크파, 신모더니즘,간결파, 신표현주의(Neo-Expressionism), 유기주의 등 건축이념들이 있는데, 그중 일부는 전통문화승계에서 출발하여 현대의 혁신이라는 시각에서, 일부는 하이텍의 활용과 형식적인 혁신측면에서 건축을 다루는 등 여러측면으로 건축을 연구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문화의 세대의 격차를 경험하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라는 두가지 조화되지 못한 문화의 모순속에서 살아가고 있다.”우리나라의 많은 건축사들과 건축이론가들은 한편으로는 풍부한 건축문화전통을 보유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분 현대건축이론과 실천에 함몰되어 자기만의 독창적인 건축이론체계를 구축하지 못하였으며 “중국특색의”건축실천의 길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목전, 국내에서 해당 과제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혹자는 소개하는데에 그치고 혹자는 건축사, 심리학,철학 등 분야에 대한 연구에 기울어져 있으며 그 연구 또한 상대적으로 단편적이어서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고 전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중국의 건축학계는 반드시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교류와 비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이는 중국건축의 발전에 있어서 반드시 넘어야 할 단계이며 또한 세계적인 범위에서 보편적인 가치를 가지는 현실적인 사업이기도 하다

      • 은유로서의 분위기 : 분위기를 그리는 언어적 상상력과 은유

        이건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35

        분위기(atmosphere)는 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사이’ 혹은 ‘관계’들이 정서적인 형태로 체감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분위기의 경험은 주지적인 시선으로 미적 대상을 탐구하는 것에서 벗어나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종류의 주변적이며 정서적인 인지들을 포괄하는 탐구가 된다. 독일의 미학자 게르노트 뵈메(Gernot Böhme, 1937~)는 위와 같이 주장하며 그 예술론적 기획의 중심에 ‘분위기’라는 개념을 끌고 들어온다. 이때의 분위기는 대상의 내재된 본질이 아닌 ‘밖으로 드러나 있는바’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분위기는 ‘물질’이나 ‘사람’이나 ‘그것들 간의 관계’가 세계를 향해 나와있고, 우리의 신체가 그것과 함께함으로 경험되는 정서적 체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건축에 있어서 분위기라는 개념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인가? 뵈메는 이때 ‘무대 디자인’을 핵심적 패러다임으로 내세우며 오늘날의 디자인과 건축과 같은 작업이 무대화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에 건축은 그 속성들이 전달하는 정서적 효과들을 마치 연극의 무대를 만들 듯이 연출되어야 하는 것이 된다. 이 연출을 위해 그는 대상을 넘어서서 대상 밖으로 ‘나가서는 속성’들을 강조하는데, 이에는 오늘날의 무대와 같이 ‘빛과 소리’, ‘색과 재료’ 등이 주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그의 주장이 담고 있는 ‘신체감’의 강조와 그것을 다루기 위한 ‘재료성’, ‘빛과 소리’, ‘냄새’, ‘색’ 등의 방법적 연출의 문제가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임은 틀림없다. 그러나, 여기에는 형식주의적 함정이 숨어있음을 짚어낼 필요가 있다. 분위기를 그저 분위기적 요소로서 바라볼 때, 건축가는 종종 미학적 작업으로서 ‘분위기적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사고에 빠지기 쉬운 것이다. 알베르토 페레즈-고메즈는 이러한 분위기에 대한 미학적 이해들이 ‘그저 떠다니는 감각과 인상들’에 대한 논의에 그치며, 소위 건축이 수행해야하는 정서적 ‘조율’(attunement)의 역할을 가린다고 지적한다. 그는 특이하게도 ‘선반성적이며 즉각적인 신체감’의 영역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언어적 상상력’과 그 핵심인 ‘은유와 이야기’를 내세운다. 이에 본 논문은 언어를 배제하는 시도로 보이는 ‘분위기적 작업’과 페레즈 고메즈가 말하는 언어적 상상력을 통한 ‘조율로서의 분위기적 작업’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분위기에 대한 순수 감각적 이해가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건축을 포괄하는 사고에서 분위기 개념이 가지는 위치를 짚어내어, ‘분위기를 사고하는 건축’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위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와 은유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짚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분위기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이끈다고 할 수 있는 뵈메의 주장에서 분위기는 반성적이며, 작위적인 기호-언어가 아닌 즉각적인 신체감으로 이미 세계 내에 ‘나가서며’ 존재하는 것 자체일 뿐이다. 반면, 페레즈-고메즈는 옥타비오 파스, 모리스 메를로-퐁티, 폴 리쾨르 등과 최근의 인지언어학에서 등장한 언어의 체화됨을 주장하며, 언어를 언어학적 기호의 관계로 보는 것을 부정한다. 이때 그가 상정하는 언어는 반성적이며 논리적인 언어가 아니라 선반성적인 이미지 자체를 담고 있는 ‘시의 언어’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은유와 이야기’는 ‘시의 언어’를 만드는 창조적 상상력의 대표적 양상일 뿐만 아니라, 삶의 상황에 붙어있는 정서를 끌어낼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위의 뵈메와 페레즈-고메즈의 언어관에 대한 차이를 바탕으로 건축에서의 언어-은유-이야기의 이해의 차이를 유추해볼 수 있다. 실상, 뵈메가 비판하는 은유적 건축, 혹은 기표들 간의 의미 놀음은 개념적이거나 형상적인 은유의 수준에 그친다. 반면, 페레즈-고메즈가 폴 리쾨르와 인지언어학을 들어 서술하는 은유 이해는 은유 이전의 체화된 이야기들을 파헤치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관점에서의 은유 이해를 ‘이야기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은유’로 살피고, 이에 이야기를 내재하는 은유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인간의 행위를 위한 정서적 조율을 수행한 ‘루돌프 슈바르츠’의 ‘예배당’에 대한 서술을 예시로 들 수 있다. 그의 건축 작업은 은유적 상상력으로 한 공동체의 체화된 의미를 새롭게 연결함으로, 익숙한 ‘신성함’의 분위기가 아닌 ‘신성함’을 예배당을 향해 제시했다. 정리하자면, 페레즈-고메즈는 특정한 감각 이미지가 아닌 언어와 그 상상력의 핵심이 되는 은유와 이야기를 창조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생각에는 감각적 요소를 다룰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의 미학이 아닌, 건축 작업에서의 분위기적 사고가 가지는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함축 돼있다. 그가 말하는 분위기는 기분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사고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그 기분을 담는 행위를 포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곧, 그것이 무엇을 위한 공간이 되고자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 없이, 그저 ‘시크하거나, 편안하거나, 긴장되거나, 위엄 있는’ 느낌을 주는 감각적 요소들을 추구하는 태도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분위기는 삶의 행위들을 담을 수 있는 건축의 기본범주인 ‘시설’의 상상력과 연결된 사고일 때에 의미를 갖춘 형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형식이 형식 그 자체로 설 때 자폐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분위기를 분위기적 속성 자체로 이해하는 것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 아닐까? 페레즈-고메즈로부터 끌어낸 ‘분위기’ 밖에서의 ‘분위기’ 이해는 그 개념을 ‘미학적 범주에서 주변적으로 인지되는 정서감’의 수준을 넘어서 외연을 확장하는 이해이다. 신체감을 향한 분위기 자체를 만들기 위한 분위기 논의가 아닌 삶의 행위를 담는 배경적 건축을 위한 분위기 논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어떤 건축가는 ‘감각적 속성과 인상, 신체감, 공감각 등’을 사고하며, 재료를 실험하고 구축해 몸으로 살피는 것을 현상학적 건축이라 주장하며 이를 위한 탐구를 이어가는 태도를 가지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분위기로 하여금 은유와 이야기의 상상력을 끌어안을 것을 요구하는 것은 건축가로 하여금 즉각적 감각 탐구를 잠시 미뤄두고, 그 행위를 담는 무대를 만들고자 하는 공동체의 몸을, 그 몸이 발화하는 이야기들을 해석하는 태도를 갖도록 주장하는 것이다. Atmosphere is ‘between’ or ‘relational’ phenomenon of human surroundings, experienced as an emotional mode. This experience of the atmosphere deviates from exploring aesthetic objects with rational perspective and serves to encompass the different types of peripheral and emotional perceptions we experience in our daily lives. German philosopher Gernot Böhme (1937~), who asserts the above, draws the concept of "atmosphere" at the center of his aesthetic project. In this point of view, atmosphere is not about the intrinsic idea of the subject, rather it’s about the concept of what radiates out of things.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can be described as an emotional experience of a body inside 'object' or 'subject' or 'relationship between them'. So, what role can the concept of atmosphere play in the realm of architecture? Böhme claims ‘stage design’ as the main paradigm of his aesthetic concept and describes contemporary design and architecture by the staging features of theatric scenography. In this way, the architect should produce the architecture of emotional effects as if they were creating a stage for a play. For this ‘staging value’, he emphasizes ‘ecstasis’(quality that emanates from~ to outside), which includes ‘light and sound’ and ‘color and material’ like contemporary theatre. The emphasis on the ‘Corporeal Feeling’ that he claims and the problems of elementary approach such as ‘materiality, light and sound, smell and color’ must be the key factors creating the atmosphe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there is a formalistic trap, hidden here. Looking at the atmosphere as just an atmospheric elements, architects are prone to fall into creating so-called 'atmospheric artworks', as an aesthetic work. In this situation, Alberto Perez-Gomez(1949~) points out that the aesthetic understanding of atmosphere is only a discussion of ‘floating sensations and impressions’, and that it conceals the emotional ‘attunement’ that architecture should perform. In particular, he presents ‘verbal imagination’, that seems far from the realm of ‘pre-reflective and immediate physical feeling’, as a key vehicle which brings atmosphere to presence. For this reason, this paper tries to point out the limitation of a pure sensory-corporeal understanding of the atmosphere, through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work’, which excludes language for its reflective nature, and ‘atmospheric work as an attunement’, which embraces verbal imagination for its fundamental capacity of drawing our emotional existence. In the end, we should point out where the place of ‘atmospheric approach’ is, in the process of conceiving architecture, and find the meaning of ‘atmospheric thinking'. In order to proceed, it is essential to first point out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language and metaphor between two theorists. In Böhme's, who seems to lead common understandings, the atmosphere is not about the introspective nature of linguistics, but of the immediate physical sense in the world itself. Perez-Gomez, on the other hand, contends that the embodied language in recent cognitive science or theorist and philosophers such as Octavio Paz, Maurice Merleau Ponty, Paul Ricoeur, is the main vehicle of atmospheric approach, denying linguistic’s approach. At this time, the language he proposes is not an introspective and logical language, but a ‘poetic language’ that contains the image in itself. In this regard, metaphor and narratives are not only representative aspects of creative imagination that constitute 'the language of poetry' but also a means to elicit emotions attached to our life situations. Based on the difference above, we can extrapolate it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metaphor. In fact, Böhme's understanding of metaphorical architecture, or the play of meaning amongst the signifiers, is only a conceptual or formal level of metaphor. On the other hand, Perez-Gomez's understanding of metaphors, following Paul Ricoeur and cognitive science, opens the possibility to delve into narratives, pre-metaphor. An example of this could be Rudolph Schwarz's book, <The Church Incarnate>,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n emotional coordination for human behavior based on metaphorical imagination that resonates with embodied fictional narratives, described for each ceremony. Indeed, his work of fictional architecture renewed the embodied meaning of Christian community, presenting ‘sacred atmosphere’ to the chapel, not just a typical ‘sacredness’ of manipulating holy light from above. To sum up, Perez-Gomez rejects particular sensory images, but instead pursues ‘metaphor and narrative’ way, as the core of architectural imagination, and also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creative atmosphere. Furthermore, his contention connotates the consideration of where the location of atmospheric thinking is, in architectural process, not just an aesthetic ambiance that only requires corporeal feelings. The atmosphere he claims is about attuning one’s mood. For this, it’s impossible to deny or eliminate the situational action behind our moods. Indeed, without talking about ‘what it wants to be’, we can't just pursue sensory factors of ‘how’, which make you feel ‘chic, comfortable, tense, or dignified’.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can only be a meaningful form in a link with an imagination of ‘institution’, the architecture’s ‘basic category’ of narrative imagination, capturing our life activities. If it's true that the formalism in itself has autistic limits when it comes to form in itself, doesn't it have the same problem to understand the atmosphere as a mere atmospheric quality? An understanding of the 'atmosphere' outside the 'atmosphere' drawn from Perez-Gomez is extending the concept beyond the level of aesthetic 'corporeal feelings’. Of course, it would also be possible for an architect to fully dedicate himself on 'corporeal impressions and synesthetic effects' and to continue his quest, testing his own feelings on specific models. However, requiring an atmosphere to embrace the imagination of metaphor and narrative, asserts architects to have an attitude of hermeneutic mind, who wants to put off an immediate search for sensual richness and step back for interpretation on implied narratives of craving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