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2015년 호텔경영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측

        전희원 대구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2015년에 그들이 졸업하였을 때 호텔업계가 그들에게 요구하는 지식과 능력(적성)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하여 학부생들이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 할 수 있도록 정치·경제, 사회·문화 등의 영역에서의 변화하는 추세의 내용과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호텔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학부생들이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중요한 교과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예측의 도구로는 델파이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 18명 지배인 21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그 질문은 2015년에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현상, 문화적인 현상, 정치적인 현상, 경제적인 형상, 관광(호텔)업계의 현상, 호텔경영학과 학부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상을 파악하였다. 2015년도에 학부에 있어서 호텔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 기타 중요한 현상, 미래의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과 과정기초 및 경영일반 과목, 객실 관련 과목, 식음료 관련 과목, 호텔경영관련 과목, 외국어 과목, 리서치 과목, 전산관련 과목, 기타 특수과목에 대하여 1차 설문을 받았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된 1차 델파이 설문지는 구조·개방형 질의가 담겨져 있었다. 2, 3차 질의는 1차에서 응답한 것으로부터 설문문항이 개발되어 2015년부터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문화적 현상, 정치·경제적인 현상, 호텔경영학과 학부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상, 호텔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 2015년부터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기초 및 경영일반 교과 과정, 서비스 및 실무 과목 교과 과정, 호텔 경영 관리 및 분석과목 교과 과정, 외국어 교과 과정, 전산 관련 교과 과정, 기타 특수과목 교과 과정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2, 3차 조사의 결과는 체크되어 있는 점수를 모두 더하여 그것을 다시 문항수로 나눔으로서 평균을 구하였다. 이 평균은 변화 예상도 점수로서 제시하였고, 아울러 적합성지수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은 선행 연구들의 내용들과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거의 모든 부분 에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내용들이 4년제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 및 산업 인턴쉽을 통해서 가르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면, 교과 과정 계획과 수정은 환대 산업에서의 변화에 대하여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바뀔 수도 있으며, 새로운 환대 관리자가 환대 관리 작업장에 투입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미래의 국내대학에서의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에 반영 되어야할 내용으로는 전문적이고 윤리적 태도, 전문가다운 외양이나 포즈, 효과적인 구두나 문서를 통한 의사전달, 긍정적인 고객 관계, 그리고 긍정적인 직무 관계 등도 중요 하지만 재무, 마케팅, 법, 컴퓨터 기술 활용 능력 또한 중요한 차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람과 상호 작용하는 기술, 창조적인 사고 능력, 서비스 지향의 업무 혁신능력,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 기술, 고객-피드백 기술, 변화에 대한 대응, 협동을 이루어 내는 능력등도 중요한 차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인지적 능력, 아이디어를 생산적 활동으로 바꾸는 마케팅 능력으로서의 리더십, 타인과의 효율적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대인관계 능력 및 이를 뒷받침해주는 고객관계 구축 및 마케팅 활용능력, 사업을 위한 직원과 재무 관리측면에의 관리운영 능력 글로벌화 된 지구촌에서의 다국적 호텔경영능력등은 상당히 중요한 능력이 될 것이다. 오늘날 호텔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국제화의 증대, 글로벌 환경에서의 투자, 국제 자금조달 결합, 국제적 경쟁, 초국적 소유 문제, 문화 간 인적 자원 문제, 외국인 근로자 고용 문제, 브랜드의 국제 프랜차이징 문제, 그리고 다국적 개발과 관리 문제, 서유럽의 통화 통합 문제, 자유 무역 협정의 증가 문제, 세계 어디에나 여행할 수 있는 여행자의 증가에 따른 필요조건으로서 국제 마케팅, 국제 재무, 문화, 그리고 법적, 회계적 시스템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내용으로의 교과과정의 개편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들과 관련한 내용들이 교과과정에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대학의 호텔경영교과목 개발의 방향은 학부 호텔경영학과는 호텔경영학의 독자성과 차별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짐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교과과정 개발의 내용으로 학생들이 가진 잠재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광범위한 구조와 효율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일반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구체적 지식이 첨가된 비즈니스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기초 및 경영일반 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환대서비스론, 호텔 경영론, 인간관계론, 서비스 및 실무 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객실업무, 호텔연회관리, 호텔 경영 관리 및 분석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호텔 마케팅 분석, 고객관계경영, 다국적 호텔경영전략, 전산 관련 교과 과정의 경우 컴퓨터 활용, 전산실무, 장기현장실습(인턴쉽), 호텔서비스 사례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어 능력이 호텔 종사원에게 있어서 필수적 조건이 되므로 외국어 교육은 교과과정에 의해서만 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양적인 면보다는 실질적 활용 효과를 위한 교수법 개발, 시청각 기자재의 활용, 체계적인 프로그램 등의 개발에 정진해야 한다. 또한 현업실습에 있어서도 대학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학교와 업체와의 상호 협조 아래에서 시행되지 못함으로써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고, 실습 기간의 부족, 실습시설의 미비함 등의 개선으로 장기 업체 파견 실습이나 장기 체류 실습과 같은 인턴쉽 프로그램의 개발로 보다 효율적인 호텔 현장실습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실행이 필요하다. 외국의 교과과정을 국내와 비교하여 보면 기능적인 측면보다 사고능력 중시,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의 필요, 일반 경영학 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화, 서비스산업 경영에 필요한 폭넓은 교과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업계의 요구에 일치하는 대학 교육 강조, 마케팅적 시각에서의 교과목 편성의 중요성 제시, 일반 경영기술과 인간관계 기술이 중시, 인턴쉽의 활용, 경영정보 시스템(MIS)에 중점, 마케팅, 인사관리, 시장 타당성분석의 중요성인식, 국제화 사회에 적합한 재무 및 마케팅 능력의 향상 등 국내 대학들과는 다른 교과과정 선택의 중심축들을 중요시하고 있다. 국내 대학들도 호텔경영학 교육에 있어서 선진외국의 사례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참조하여 각 대학의 교육의 지향하는 바를 중심으로 국내 호텔경영학 교육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graduating students with hotel management degree in the year 2015 prepare knowledge and aptitude required in the hotel indust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ly, it identifies contents and direction of future trend in the area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 ever changing environment of the hotel industry as managers. Secondly, it identifies important aspects of future trends and changes in the hotel industry so that graduating students from the hotel school learn and adapt quickly and efficiently in their workplace. Thirdly, it suggests core requirement curriculum for students in hotel school to adapt in ever changing hotel industry as managers. Through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delphi technique is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forecast future curriculum. Panel of 18 professors and 21 hotel manag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each of them were contacted three times individually to be asked their opinions on followings; current situation in social, cultural, political, economical, educational and industrial matters as well as ideal course subjects in core electives and core requirement which possibly influences the curriculum of hotel management school in the year 2015. Findings from the delphi technique through panel survey imply that future curriculum of the hotel management school should include professional and ethical attitude, professional appearance and manner, effective verb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kill,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functional relationship as well as finance, marketing, related law, computer handling skill, interpersonal skill, creative thinking skill, innovative service oriented functional skill, problem recognition and solving skill, feedback handling skill, adaptability to change, initiative. What's important especially are leadership as a marketing skill which turns ideas into productive activity, interpersonal skill drawing efficient interrelationship with others and marketing application skill and customer relationship backing that up, staff members carrying out business, financial management skill and global hotel management skill. Also it was suggested from the research finding that following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mportant factors affecting hotel industry at present such as globalization, global investment environment, global fund raising, global competition, ownership issue beyond the boarder, human resources issue between cultures, foreign workers employment issue, global franchising issue of brand right, multinati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issue, currency integration issue of EC, expansion issue of free trade agreement as well as revision of current curriculum delivering more in depth knowledge in international marketing, international financing, cultural, legal and financial system. In conclusion, curriculum for the hotel management school in Korea needs to be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common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apply in real business situation and to help students bring forth their potential. The ideal direction of the future curriculum needs to be such that contains new aspe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provides extensive structure and efficient initiative. Core electives and business elective need to contain subjects such as the principle of hospitality service, hotel management and human relations. Core requirement in practical and service courses need to contain subjects such as the practical operation of front office, hotel banquet operation and hotel management operation. Core requirement in hotel operation analysis course needs to contain subjects such as hotel marketing analysi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ultinational hotel management strategy. Core requirement in computer related course needs to contain subjects such as computer operation practice, basic computer operation, internship and case study in hotel service. As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is a must for hotel staff, it is therefore advised to develop foreign language program more geared toward practical aspect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Cooperation with industry should be regarded in developing curriculum in terms of practical field experience both short and long term and internship program that will certainly help overcome the shortfall of inadequate lab environment and facilities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view of curriculums i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 compared to those in Korea in such ways that they emphasize on thought process, creative ideas in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business program, extensive course subjects necessary for service industry management, industry demand based curriculum structure,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structure in marketing perspective, internship, MIS, marketing, personal management, feasibility studies, financial management and marketing skill necessary in glob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in Korea need to take a giant leap to the next stage by thoroughly reviewing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findings from this study to offer a new and ideal curriculum model for the school of hotel management.

      •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조사

        송민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99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의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진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의 태권도학과 개설대학 중 6개 대학의 2,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회수된 사용된 설문지는 482부였다. 설문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항목 8개 문항,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관한항목 5개 문항, 졸업 후 진로에 관한항목 6개 문항으로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 조사된 자료는 통계기법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도출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자가 79.7%로 나타났고, 여자 20.3%로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41.9%, 3학년 40.5%, 4학년 17.6%로 나타났다. 태권도수련을 시작한 때는 초등1∼3학년이 37.8%로 가장 많았으며, 태권도 경력은 12∼15년이 41.3%로 가장 많았고, 보유한 단은 4단이 66.4%로 가장 많았고, 태권도 특기를 보면 겨루기가 34.4%, 시범 23.2%, 품새 23.0%, 기타 10.6%, 격파 8.7%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중 아르바이트 분야는 태권도장이 35.1%로 가장 많았고, 기타분야 30.5%, 아르바이트 경험이 없는 경우 20.3%, 스포츠시설 8.7%, 관련(경호 등)분야 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의식으로 태권도학과를 선택한 동기는 개인적성에 적합하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선택 만족도는 조금 만족한다가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남자보다 여자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학과선택 만족도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 갈수록 조금 불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중 태권도와 연계하여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도장경영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이 진로에 도움 정도는 조금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았는데, 조금 안된다의 경우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의식으로 진로방향 선택은 태권도장경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관련업, 체육교사,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직업의 인식은 체육교사 가장 높고, 태권도장경영, 스포츠관련업,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은 스스로가 비율이 가장 높고 스승, 부모, 선배, 친구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의 중요요인은 안정된 장래가 가장 높았고, 적성, 경제력, 보람 및 사회봉사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 시 장애요인은 외국어실력 부족, 진로정보 부족, 전공실력 부족, 학점 저조, 기타, 외모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 지역 선택은 전체적으로 해외, 서울, 상관없음, 경기, 지방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조사결과 태권도학과 학생들은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선택을 태권도장경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학문분야의 교과목을 확대하는 교육과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과 만족도를 높이려는 시도와 함께 학생들이 경쟁력 있는 태권도장 경영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needed for establishing curriculum which can help the students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o design their careers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ir career awareness after graduation.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juniors, sophomores, and seniors of 6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which have the Taekwondo department at the present time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482 sheet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consisted of 19 questions in total; 8 question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5 questions about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and 6 question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nd on the survey results,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and then a cross-tabulation was processed.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t showed that the male subjects were 79.7% and the female subjects were 20.3%. As their academic years, it was found that the juniors were 41.9%, and the sophomores were 40.5%, and the seniors were 17.6%. As the time when they started to learn Taekwondo, elementary 1st∼3rd grade was most as 37.8%, and as the Taekwondo career, 12∼15 years were most as 41.3%, and as acquired Dan(grade), 4th Dan was most as 66.4%. About the featured Taekwondo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Kyorugi was 34.4%, Sibeom was 23.2%, Poomsae was 23.0%, others 10.6%, and Kyukpa was 8.7%. As fields of their part-time jobs during being in university(college), Taekwondo halls were most as 35.1%, and other fields(30.5%), no experience of part-time job(20.3%), sport facilities(8.7%), the Taekwondo related field(bodyguard etc.)(5.4%) were followed. Second, for the percep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aekwondo department, as the motive for selecting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answer that it was proper for the aptitude of each of them showed high rate. As satisfaction about selection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rate of the answer with little satisfaction showed high, the female showed less satisfaction than the male, and the satisfac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show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about its selection, and the upper their academic years were, the more their little unsatisfaction rate showed. As their most interested field related to Taekwondo among the curriculum, Taekwondo hall management showed high. As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the Taekwondo curriculum for their careers,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helpful was most, while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unhelpful was highest in the seniors. Third, the awarenes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s the career direction, Taekwondo hall management was highest, and sports related busines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aekwondo team managers were followed. As persons influenced on their career decisions, themselves were highest, the teachers, parents, senior persons, and friends were followed. As main factors for selecting a job, stable future was highest, and the aptitude, economic power, rewarded feeling through the job, and welfare services were followed. As obstacles in preparing the career, lack of foreign language skill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lack of ability in the major, the low grade, others, and appearance were followed. As preferred region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overall, foreign countries, Seoul, to do not care, Gyeonggi-do area, and local areas were selected in ordered of high preference. In general, as the result of surveying,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Taekwondo preferred Taekwondo hall management as their after graduation careers, so subjects related to the scientific fields needed for Taekwondo hall management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existing curriculum, in addition, with the efforts for enhanc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about the department, one should provide the students substantial support unsparingly in order that they may grow into competent Taekwondo hall managers.

      • 호텔관광경영학과의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와 교육만족의 매개효과

        김미성 배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83

        The effec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in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i-Sung Kim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Tae Kim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tudents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on perceived valu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much the impact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was mediated by perceived valu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eventu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by suggesting measur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to increase the education quality from verified the level of education quality currently perceived by students. Also it is to induce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school after graduation by perceiving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department.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tal 800 to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The collected survey was 778 and used survey in the empirical analysis is 714. The other 64 are with the tendency of centralization or insincere response. The empirical analysis tool was used SPSS 18.0 Program and sobel-test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ed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education factor had no effects on factors of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dismissed.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the administrative service had positive (+) effects on symbol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However education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no effects on factors of symbol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Therefore dismissed.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education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dismissed. On the contrary,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all positive (+) effects on it. Fourth, the perceived value was indirectly affect partially mediated relation between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Lastly,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was supported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serving as a partial media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mpirically identified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students majoring in hotel tourism management. However, it has following limitations,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e complemented and controlled by researches in the future. First,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NCS based curriculum in department of Hotel Tourism Management was surveyed only in specific departments. In order to improve and expand the NCS based curriculum management of universities,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study of the overall NCS based curriculum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summarize specific details when reorganizing or operating the NCS based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has been verified through HEdPERF dimension for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Although HEdPERF was developed as a service quality measurement tool specialized in educational field, there is a limitation in measuring the perception level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Hotel Tourism Management. Therefore, reliability of the scale should be secured through similar studies. In addition, even if the present study is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process, so it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analysis. Third, there is a limit to the one-time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had a large share of freshman students, and the measurement period had to be diversified in order to measure multiple variables more accurately.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gap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service perceived by the studen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r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distributions of the various grades and the long-term aspects for more accurate analysis. Finally, the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quality is still new and not conceptually active yet. Therefore, there may be a leve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addition, most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freshman students, an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which may lead to differences i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commendation intention or loyalty to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Future research should reflect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본 연구는 호텔관광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인지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의 주요 변수들이 지각된 가치, 교육만족,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와 교육만족에 의하여 매개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증분석을 통해 현재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서비스품질차원을 확인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졸업 이후에도 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인지함으로써 호텔관광경영학과의 발전 및 개선에 기여하고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호텔관광경영 관련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80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778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중심화 경향을 보이거나 불성실한 응답지 64부는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71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서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 와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자발적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었지만, 교육 요인은 자발적 행동의도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둘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 요인은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교육 요인과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 요인은 교육만족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고, 반대로 행정서비스 요인과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교육만족에 모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과 자발적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과 자발적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은 매개효과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으며, 교육만족이 부분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호텔관광경영 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 통제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호텔관광경영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하여 조사한 부분이라 특정 학과에 국한되어 측정하였다는 것이 한계라 할 수 있다. 이에 향후 연구는 대학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개선하고 확산하기 위해 대학의 전반적인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편하거나 운영할 때, 구체적인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해 HEdPERF차원을 통해 검증하였다. HEdPERF는 교육분야의 서비스품질측정도구로 개발되어 호텔관광경영 관련학과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수준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연구들을 통하여 척도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긍정적이라 할지라도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은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위해 1회에 한 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이 한계가 있다고 본다. 설문응답자가 1학년 재학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여러 변수들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시기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즉, 학년의 변화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지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의 분포와 장기적인 측면에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은 아직은 새롭고 개념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해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연구의 응답자는 대부분이 1학년 재학생들이라 NCS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하여 NCS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한 추천의도나 충성도 등 자발적 행동의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에 향후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현재 연구의 한계점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연구해야할 것이다.

      • 무용계 활성화를 위한 예술경영교육도입 방안연구

        전선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67

        본 연구는 무용계의 활성화를 위해 예술경영교육도입을 통하여 아직체계를 잡지못한 무용계의 학문적인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준비되어진 무용전공 예술경영인이 필요하게 된 문화예술계의 현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능력의 무용전공자를 무용계는 양성해 내야 한다고 본다. 10년이 족히 넘는 긴 시간의 훈련으로 ‘무용’ 이라는 속성상 자발적이든 타의적이든 졸업과 동시에 진로를 찾지 못하는 전공자와 또 30대초의 이른 이에 조기은퇴를 해야 하는 상황을 전문무용수는 직면하게 된다. 이렇듯 어릴 적부터 오랜 훈련과 교육을 통해 무용에 깊은 열정을 가진, 공연을 통해 무대 경험과 단체 생활에 익숙해진 그들이 너무나 이른 나이에 사회로 나오게 된다. 긴 시간동안 무용을 전공한 이들은 무용예술과 관련된 일에 활동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실기위주의 수업으로 인하여 많은 다양한 문화 예술계의 길이 있음에도 그 길을 알지 못하고 졸업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무용계의 양·질 향상과 사회적 위상을 위해 직접적으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무용공연예술관련 업무가 상당히 많음을 설명하였다. 이젠 무용계에 예술경영교육과 무용경영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예술경영학은 이러한 폭증하는 문화예술과 소비자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정립하고 매개할 방법론을 총계 적으로 연구하는 신생학문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다. 무용경영학은 무용학과 경영학의 복합적 교과로서의 학문이 아니라, 무용학의 일부로서 무용이 보다 네트워크화 되어 가고 있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매개체적인 학문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술경영학은 시스템화한 일부 산업현장과 달리 '현장성, 노동집약적, 휴먼네트워크 중심, 비(非)자동화, 공익성, 창조성‘ 등 예술현장의 특성을 감안해 이런 전제조건들을 명확하게 교육하고 수용시킬 특화된 커리큘럼이 요구된다. 무용 경영학 역시 사회적 수요의 변화분석과 예측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며, 무용경영학에서 다루어야 할 대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류 및 분석연구에 이어 이를 실제 사회적 요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교과과정 분석 및 무용경영학 교과과정 제안 등 세부적인 선행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예술경영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한 영역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무용경영학의 연구방향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예술경영분야에서의 미국의 6개 대학의 커리큘럼과 예술경영교육 사례를 들었으며 우리나라의 교과과정과 함께 분석해 보았다. 또한 무용학 석사학위를 토대로 예술경영학 영역에 대한 논문을 중점으로 연구하여 예술경영과 무용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용학 분야의 예술경영학은 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로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다. 마케팅 이외에 예술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포함하는 ‘예술경영개관’, 예술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예술 정책 및 행정‘ 그리고 예술의 정보체계구축을 위한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공연을 위한 극장의 활성화와 운영에 대한 ’극장 경영‘, 예술단체의 운영방안에 대한 ’예술단체‘, 예술가의 인력관리관령 연구인 ’인적자원관리‘, 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이벤트/축제‘ 관련 연구 등 여러 분야의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져야 만이 앞으로 무용학의 예술경영학 분야의 발달이 이루어지며 또한 무용경영학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또한 생겨 날 것이다. 아울러 예술경영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용공연의 현황을 분석해 보고자하며, 현재 무용학과내 예술경영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곳의 교육 실태와 우리나라 무용학과내에 부재되어 있는 예술경영교육을 통해 무용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무용공연시스템의 개선점과 방안을 올바르게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research plan below proposes an academic-based approach to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of dance, which up to now has yet to be formalized in Arts Management education. Such an approach requires a closer look at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nd its actual demand for professional dancers, which in turn drives the need to cultivate more dancers who are qualified to meet those demands. From having majored in dance with over 10 years of training and still not being able to decide on a career path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 in dance, to having danced professionally but suddenly having to retire in one’s early 30s, these are some of the realities that dance professionals face today. Dance professionals develop a deep passion for dance through a long and arduous course of training and education that starts from a young age, and become accustomed to stage life and working in a team environment at an age much younger than most in other professional fields. Due to the fact that current approaches to dance education focuses solely on the practice and exercise of the art of dance, many of those who have trained in d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end up graduating without the knowledge that there are many other career options available to them in the field of D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with specificity the changes needed in Performing Arts and Danc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eld of Dance as well as its place and status in society today. Currently, there is a great need for Art and Dance Management education. Art Management Studies is a somewhat new but comprehensive field of study that researches methodologies to define and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surging cultural arts and its consumers. Dance Management Studies should be recognized as not simply a combination of Dance studies and Management studies, but rather as a truly interdisciplinary field of academic study that attempts to respond to the complex networking needs of the dance industry as it exists in today’s modern world. In Art Management Studies requires a specialized curriculum that understands and can clearly educate its students on the unique demands of the industry. For example, unlike the typical industrialized or corporate workplac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of art can be among others, "on-site, labor intensive, human network focused, un-automated, beneficial to the public, and creative.” There is also a dire need in Dance Management Studies to research and track changes in the social demands of the field and to make sensible projections based on newfound understandings in order to further categorize and identify what areas in Art Management are in need of study. In addition, a more active pursuit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prerequisite studie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as a possible career path are needed to better prepare students for a fulfilling a career upon grad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Art Management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has increased rapidly of late, and to provide a direction and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ance Management studies as a new and emerging field. To accomplish this, we will analyze and compare the curriculum in 6 Art Management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curricula that exists today in South Korea. We also used the Masters’ theses in the field of Art Management and Dance Studies to augment ou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trends in these fields. There is a tendency in Art Management studies related to the dance field to focus too much on researc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business of dance performance.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curriculum for Dance Management studies is needed which should include courses in a diverse range of topics including: "Art Management Fundamentals," which should teach Art Management as a structured curriculum excluding marketing;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which focuses on managing the business of performing arts; "Art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s," that teaches the structure of IS in the arts; "Theater Management" for managing theater performances and operations; "Art Groups" for operational plans of art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lated to the stud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artists; and "Events and Festivals," which touches on ways to promote performances. Additionally, based on the overall flow and theories of Art Management, we pla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outh Korea's performing arts. Furthermore, we plan to observe the education status of locations where Art Management studies courses are currently being offered, and consider ways to promote the field of dance as we provide improvement points and a plan to correct currently implemented systems.

      • 한국 관광학 연구의 동향 : 관광관련학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월계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research project of touris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 trend regarding tourism. As searching the complete enumeration without restriction over time and space from initial stage to present, trend research is analyzed by subject, year, degree, university and department. A data for research subject is conducted which the time period for the data is from 1980 to 2009 and 5,596 total theses were used for the data research which 4,535 theses was used for the master degree and other 1,061 theses were used for the doctorate which was extracted from National Library of Korea using 21 keywords related to the tourism. The reason to use the search function of the Library is that all theses published within Korea are obliged to present a specimen copy of them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Precedent researches were executed numerous times in domestic and overseas on the subject of research trend of tourism but those researches were restricted by period, region, and degre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mplement the complete enumeration targeting all theses published within Korea and is meaningful for analyzing the topics by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As an analytic method, first, a subject distribution of dissertation related to the tourism within KDC was examined and second, the topic analysis was retried by keywords based on the classified table in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as most of theses were leant too much towards a certain classification without categorizing by three section in tourism with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KDC. Third, a volume of publishing theses was examined by year and a status of thesis was analyzed classifying by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 as the unit of the years over from 1980 to 2009. Fourth, theses were analyzed the subject characteristics by degree. Fifth, a number of theses were searched by department per each university where has a post graduate school of tourism related and lastly, a recent trend of tourism research was understood as examining changeable aspects of dissertation by department related to tourism and of department name which were searched the status of theses by overall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2,771 theses of tourism (326.39) were mostly occupied in the overall thesis 5,596 and these of hotel (596.81) and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596.1) were the next rank about 2,102 these in a subject distribution on the academy classified table. Second, dissertations for hotel/restaurant industry management are 2,579 overwhelming and ones for marketing/product are 633 in keyword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able o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Third, a number of master’s and doctorate dissertation was the highest gain in status dissertation by year. Moreover, as classifying the issuing period of dissertation by a unit of 10 years, the first period from 1980 to 1990 was issued 438, the second period from 1991 to 2000 was issued 1,489 and the third period from 2001 to 2009 was issued 3,669 which showed remarkable volume increase in a recent period. Fourth, diversity of subject area were showed more in master’s thesis than doctorate one in the subject characteristic by degree. Fifth, Kyonggi University published 1,399, Sejong University issued 1,229 and Kyunghee University issued 1,992 overwhelming in dissertation status by each department of University. Sixth, tourism management school issued 2,652 dissertation, hotel tourism management issued 740, hotel management issued 609 and restaurant industry as a new department issued 26 in 2007 and tourism and scie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issued 3 these from 2008. Implications of results in this study are that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ourism has been getting highlighted on the total academic characteristics as tourism area has been recently diverse and identity controversy of tourism cam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academy. Despite of the quantitative growth of academic thesis in this study results, it is the problem that the controversy has been continuously mentioned. Research method and subject leant too much toward one side are the assignment for overcoming to researchers for differentiated tourism development with accumulating qualitative research kept pace with the quantitative one regarding tourism. The establishment for Research indicators is required for proper integrated professionalism and standardiz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hich the study of tourism intends leant to the non-business area as tourism demand has been recently increased by quality of life and by implementing the five-day work week and leisure time increase which causes demand increase regarding dine-out, cooking, culture, sports and leisure.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rse is required to university with four year course, two year course, industrial university, cyber university so on whether quantitative and practical study require putting before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tourism status or vice versa. 본 연구는 관광학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관광학의 발전적 연구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관광학의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시대적, 공간적 제한 없이 학위논문 전수를 조사하여 내용분석을 함으로써 주제별, 연도별, 학위별, 대학별, 학과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국내에서 발표되는 모든 학위논문을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의무적으로 납본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관광관련학과 명칭 21개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추출한 결과, 시기적 범위는 1980년부터 2009년까지였으며, 석사학위논문 4,535건, 박사학위논문 1,061건으로 총 5,59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동안 관광학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기간별, 지역별, 학위별로 제한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모든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한국십진분류법(KDC) 학문분류표에 의한 주제 분석을 시도한 데 의의가 있다. 분석방법은 첫째, 논문의 KDC 학문분류표 내에서 관광학 관련 학위논문의 주제 분포를 살펴보았고 둘째, KDC 분류표 내에서 관광학 분야가 세분류되어 있지 않아 대다수의 논문이 한 분류기호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연구재단 연구 분야 분류표에 근거한 키워드로 주제 분석을 재시도하였다. 셋째, 연도별로 학위논문 발표량의 추이를 살펴보았고 198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을 단위로 제1기, 제2기, 제3기로 구분하여 논문 현황을 분석했다. 넷째, 학위별로 주제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관광관련 학과 대학원이 개설된 각 대학의 학과별로 논문 편수를 조사했고, 마지막으로 전체 학과별 논문현황을 조사하면서 관광관련학과별 논문수의 변화양상, 학과 명칭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관광학 연구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첫째 KDC 학문분류표 상의 주제 분포는 관광학(326.39) 논문이 총 5,596편중 2,771편으로 가장 많았고 호텔(596.81) 및 공동주택관리(596.1) 분야가 2,102편이었다. 둘째,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분야 분류표에 의한 키워드 분석에서는 호텔/외식산업경영이 2,579편, 마케팅/상품이 633편으로 압도적이었다. 셋째, 연도별 논문현황에서는 석·박사 공통으로 2001년도에 큰 폭으로 증가 하였다. 또한 논문발표시기 전체를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보면 1기(1980-1990)에는 438편, 제2기(1991-2000)에는 1,489편, 제3기(2001-2009)에는 3,669편으로 최근으로 올수록 괄목할만한 양적 증가를 보였다. 넷째, 학위별 주제 특성은 박사학위논문보다 석사학위논문에서 주제 분야의 다양성을 보였다. 다섯째, 각 대학의 학과별 논문현황에서는 경기대가 1,399편, 세종대가 1,229편, 경희대가 1,192편으로 압도적이었다. 여섯째, 학과별 특성에서는 관광경영학과가 2,652편, 호텔관광경영학과가 740편, 호텔경영학과가 609편이었고, 신생학과로는 2007년부터 외식산업학과가 27편, 2008년부터 관광조경학과가 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시사점은 최근 관광학의 분야가 다양화됨에 따라 관광학의 학문적 특성인 종합학문적 특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관광학의 정체성 논란은 관광학이 종합학문의 성격이 가지는 데에 원인이 있는 것 같다. 연구결과물인 학위논문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학문의 정체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언급된다는 것은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관광학의 양적인 발전에 맞춰 질적 이론의 축적이나 한국만의 차별화된 관광학 발전을 위하여 연구방법이나 연구주제 편중문제는 연구자들이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또한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관광에 대한 욕구증대와 주5일 근무,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외식, 조리, 문화, 스포츠, 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광학 연구가 비사업분야 보다는 사업분야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론과 실용이 적절히 통합된 전문화, 표준화를 위한 연구지표 설정이 요구된다.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 계량적, 실용적 학문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관광 현상학적인 이론적 규명을 우선시해야 하는지의 문제인데 4년제와 2년제, 산업대학, 원격대학 등에 따라 교과과정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연구 : 의료경영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비교연구

        권오웅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51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연구 -의료경영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비교연구- 권오웅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지도교수 김양균 의료산업 중에서도 병원은 인적자원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따라서 인적자원의 효율성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국내병원들은 외국의 대형병원의 국내진출, 해외환자 유치와 같은 큰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이처럼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병원들은 내실경영이 필수적이 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가장 중요한 부분인 인적자원의 효율성 제고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병원내실경영에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의료경영”학과와 그 유사학과에 앞으로 병원경영 전문가 양성을 위해 해야 할 일과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통계프로그램과 AMOS 5.0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의료경영/병원행정 등 의료관련 전공자들이 비전공자들에 비해 조직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승진이며,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서적 몰입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의료경영/병원행정 등의 관련 학과에서는 졸업생들 졸업 후 실무에 나갔을 때 보다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몰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강화시켜 교육하여 학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병원의 인사 관련 업무 종사자들은 직원 채용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이직은 병원경영에 있어 막대한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입히게 되는 요소로서 이직을 줄이는 요소인 조직몰입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을 통해 병원경영의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중요요인 들을 유념하여 중점적으로 강화함으로서 병원 행정직원들이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몰입을 하여 이직의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Employees O Woong, Kwo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Yang Kyun, Kim Besides all healthcare industry, Hospital is labor intensive industry which human resource acts important part. Therefor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effects directly on management outcome. Recently, domestic hospitals are facing change of industry such as medical tourism and penetration of foreign hospitals. In such competition, it is crucial to manage company's human resource efficiency.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propose directions for efficient hospital management. Also,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directions to educate manage hospital management exper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0 randomly selected faculties in a general hospital in Kyungkido. The answers were analyzed through SPSS 11.0 package and AMOS 5.0. Results of analysis are shown as below: First of all, graduates of healthcare and hospital administration major showed. Moreover, job satisfaction does not effects turnover intention but job commitment effects turnover intention. Finally, promotion effects the most on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effects the most on job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of all, healthcare and hospital administration majors could use this study to impro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actual field to advance the major. Moreover, turnover is a factor that waste time and cost which demands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strengthening the factor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hospitals can decrease turnover rate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 국내 대학의 계약학과 제도에 관한 연구 : K대 실용무용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51

        The social demand customized curriculum is one of the changes in the human resources policy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future growth engine and the supply of high quality manpower due to the industrial demand and the mismatch of the college major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mismatching is urgent.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customized curriculum of social deman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tract departmen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It examines contents, background, system outline and progress of contract department system, examines related precedent research and comparative example, and concludes contract with industrial dancing industry The curriculum development case of 'contract condition of employment condition type' was combined with modularization of NCS.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cultivated creative talents through the study of modularized curriculum to cultivate K-culture talent for the rapidly changing contents market while cultivating job ability reflecting the demands of industry. In Chapter 1, we describ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the content and method of research, definition of terms, scope and limitations of research. In Chapter 2, we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ustomized curriculum. In Chapter 3, In Section 4, we developed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as a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be used to train professionals who are required by industry. The above curriculum can prepare for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by classifying and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job corresponding to the talents required by the industry, and educate them in a systematic and detailed manner for the talents required by the industry. In addition, we present the development cases of the curriculum to show how to effectively utilize the benefit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urriculum syste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specific discussions and curriculums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the specific goal setting stage of the department through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ocial demand for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y, I have studied the whole contents of the contract departm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industries and creativity are required as future growth engine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fostering innovative innovation talents by introducing a fusion major and major elective system so that universities can operate the bachelor's degree system This means that future value added industries are more complex and creative jobs than professional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how not only one special field but also a curriculum that combines various fields, while studying through domestic contract department system. Through this, we expect to activate the contract department system and steadily develop the customized curriculum in the future.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이란 산업계 수요와 대학 전공 불일치로 미래 성장 동력 및 고급인력 공급의 부족 등, 미래의 사회문제에 대비한 인력정책의 변화의 한 대목으로서 대학은 분야별 인력수급전망에 따른 인재양성, 미스매칭의 양적, 질적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대학의 계약학과 제도에 관한 연구로 계약학과 제도에 관한 내용 및 등장배경, 제도의 개요 및 추진 경과 등을 알아보고 관련 선행연구 및 비교사례를 살펴보며 실용무용분야 산업체와의 계약을 통한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의 교육과정 개발사례를 NCS의 모듈화와 접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직무능력을 함양함과 동시에 급변하는 콘텐츠 시장에 대비한 K-Culture 인재양성을 위해 모듈화 된 교육과정의 연구를 통하여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연구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용어의 정의,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에 대해 밝히고, 2장에서는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들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비교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4장에서는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한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실용무용과 교육과정을 개발 하였다. 본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은 실용무용 분야의 한 산업체를 대상으로 해당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전문 인재양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위 교육과정은 해당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에 해당하는 직무를 능력 단위화 시켜 해당내용을 분류, 모듈화 하여 급변하는 사회에 대비할 수 있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위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또 이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사례를 제시하여 실제로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지는 과정 및 계약학과제도에 대한 이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체와 교육기관 간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논의와 교육과정을 엿볼 수 있으며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양성을 위한 주변 환경 분석, 사회수요 조사 등을 통한 학과의 구체적인 목표수립 단계부터 중장기 발전전략 도출까지 계약학과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연구 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새로운 산업과 창의력이 요구되는 가운데 교육부는 대학이 학사제도를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융합전공, 전공선택제를 도입하여 창의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는 미래에 부가가치가 있는 산업이 전문적인 산업 보다는 보다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직업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계약학과 제도를 통한 연구와 동시에 한가지 전문분야 뿐만 아닌 다양한 분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을 보여주려 노력 하였다. 이를 통해 계약학과 제도의 활성화와 앞으로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의 꾸준한 개발을 기대한다.

      • 내부마케팅이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 동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35

        According to a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along with the improvement in the standard of living, a market scale in the beauty-related industry is growing year by year. This is being accompanied by the qualitative growth, as well as the quantitative growth, together with customers' enhancement in expectation level. Thus, even an academic system is being formed at a fast speed. However, a manpower shortage in beauty industry is still getting serious. And it is the real situation of failing to achieve a big achievement in a system of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which had expected the effectiveness as a countermeasure for this. For this problem,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being recently progressed an interest in and a research on the internal marketing in order to reduce employees' turnover rate in addition to a differentiated survival strategy from the rival businesses. Unlike the manufacturing business or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beauty service industry, which needs to rely considerably on human resources, is prospected to be likely emphasized further the importance of internal marketing in order to secure survival and competitiveness in organization and to point to employees'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crease a problem of turnover available for hindering the development in beauty industry, and to suggest a plan for the improvement in the working environment of employees in beauty industry by grasping which influence the internal marketing has up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who need to carry out work and learning side by side.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y figuring out a concept on beauty industry, contract-based department,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 turnover intention, and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 hypotheses that were established in this wa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at universities within Seoul and capital area for about 2 months starting from August 1, 2016.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finally using 269 copies out of 5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widely distribu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marketing factors(educational training, empowerment, management support, compensation system) targeting the students in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upon a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the empowerment and the compensation system were adopted. The educational training and the management support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tial relationship. Thus, the hypothesis was rejected. Second, in consequence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marketing factors targeting the students in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upon a balance in work and learning, the empowerment and the compensation system were adopted in the hypothesis. The educational training and the management support were dismiss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marketing factors targeting the students in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upon job satisfaction, it was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Thus, the hypothesis as saying that the internal-marketing factors targeting the students in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will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was all rejected. Fourth, in consequence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n the students of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upon turnover intention, it was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Thus, the corresponding hypothesis was adopted.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in the students of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marketing factors and the job satisfaction, it could be considered to be strongly mediated. Sixth, in consequence of grasping whether the balance in work and learning of the students for the beauty-related contract-based depart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marketing factors and the job satisfaction, it can be considered to be strongly mediated by the balance in work․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elicited. First, the members of carrying out work and learning side by side in order to satisfy a desire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can be predicted to likely have especially a strong desire of being recognized from others. Given considering a characteristic of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with lots of discontinuing due to a sense of burden for a task even if being not desired to give up schoolwork, the organization will need to arrange a plan available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a little more the internal-marketing elements such as empowerment and compensation system, which can become a motivation of performing a task. Second, to curtail turnover rate with drawing job satisfaction from the employees in the beauty industry, especially, the students of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who have a balance in work and learning as a variable, a mediating effect in other variables will need to be tested rather than the internal marketing that is generalized within organization. Third, to solve turnover rate in the beauty industry, a variable that employees can increase satisfaction in job will need to be researched and executed. Fourth, it can be known that a striving level for forming a balance with fulfilling responsibility for work and learning as for the students of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and a variable of a differentiated exchange relationship with a leader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 turnover rate. Accordingly, the leaders of having members in organization as the students of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who perform work and learning side by side, seem to likely need to strive for forming a differentiated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mental, emotional and empirical elements in each of members rather than the internal marketing and the universalized leadership, which are equally applied to all the employees.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aimed to be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an effort will be needed for realizing with having an interest in a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proper for the real situation of the beauty industry. Unlike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in other industries,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in beauty industry, which shows the small-scale aspect in the organizational size and the support policy, can be considered to have a merit as saying of being able to rather actualize the flexible and divers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s. An effort seems to be likely needed to be made for forming a differentiated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psychological, mental, emotional and empirical elements in each of members rather than the internal marketing and the generalized leadership, which are equally applied to all the employees. Second, a level of striving to form a balance with performing a duty for work and learning is judged to possibly reduce turnover rate. Hence, a positive institutional support within the organization will need to be arranged for the balance in a learning intention and a task of the employees related to beauty who have a characteristic of the balance in work and learning. Third, even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is operated with establishing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will need to be designed and operated a diversified customized-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in the practical ability to decrease turnover rate along with job satisfaction through a learning intention. The development in a differentiated customized-educational program within a university can be considered to be another factor available for having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rate reduction. Fourth, there should be a support and a supplementation for an institutional device. The contract-based department has the mainstream as the education of the enhancement in occupational ability for the prospective employers and the employed workers. Thus, the curriculum will need to be designed and operated so that the work and the learning can be carried out side by side. Flexibility seems to be likely needed to be given to the admission into a school, to the operation in curriculum, and to the fixed number of people compared to the existing regular course. 생활수준의 향상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용관련 산업의 시장규모는 해를 거듭할수록 성장하고 있다. 또한 고객들의 기대수준 향상과 함께 양적인 성장뿐 아니라 질적 성장이 동반되고 있어 학문적 체계 또한 빠른 속도로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미용산업의 인력난은 여전히 심각하고 이를 위한 대책으로 실효성을 기대했던 미용관련 계약학과제도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 미용서비스산업에서는 경쟁업체와의 차별화된 생존전략 모색과 종사자들의 이직률 감소를 위한 내부마케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조업이나 유통업과는 달리 인적자원에 상당부분 의존해야만 하는 미용서비스산업에서는 조직의 생존과 경쟁력 확보, 종업원들의 직무만족을 지향하기 위한 내부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과 학업을 병행해야 하는 미용관련 계약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미용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이직의 문제를 줄이고 또 미용업 종사자들의 업무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했다. 이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용산업, 계약학과,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가설의 검증을 위해 2016년 8월 1일부터 약 2개월간 서울 및 수도권 내 대학의 미용관련 계약학과에 재학 중인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500부의 설문지 중 최종 269부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부마케팅 요인(교육훈련, 권한위임, 경영층 지원, 보상시스템)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권한위임과 보상시스템은 채택되었고 교육훈련과 경영층지원은 영향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부마케팅 요인이 일․학업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권한위임과 보상시스템은 채택되었으나 교육훈련과 경영층지원은 기각되었다. 셋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부마케팅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영향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부마케팅의 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넷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내부마케팅요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강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의 일․학업의 균형이 내부마케팅요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일․학업 균형에 의해 강하게 매개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계속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구성원들은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특히 강할 수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학업을 포기하고 싶지는 않지만 업무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중도 포기가 많은 계약학과의 특성을 고려해 본다면 조직에서는 업무수행에 동기부여 될 수 있는 권한위임과 보상시스템 등의 내부마케팅 요소를 좀 더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과 학업의 균형을 변수로 가지고 있는 미용업 종사자들, 특히 계약학과 학생들에게 직무만족을 끌어내어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의 일반화되어 있는 내부마케팅보다는 다른 변수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해야 할 것이다. 셋째, 미용산업의 이직률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사자들이 직무에서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변수들을 연구하여 실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에게는 일과 학업에 대한 책무를 다하고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정도와 리더와의 차별화된 교환관계의 변수가 직무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미용관련 계약학과 학생들을 조직의 구성원으로 두고 있는 리더들은 모든 직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부마케팅과 보편화된 리더십보다는 구성원 각각의 심리적, 정신적, 감정적, 경험적인 요소들에 따라 차별화된 관계형성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산업의 실정에 적합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관심을 갖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다른 산업의 계약학과와는 다르게 조직의 규모와 지원책 등이 소규모 양상을 보이는 미용산업의 계약학과는 오히려 융통성 있고 다양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직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부마케팅과 보편화된 리더십보다는 구성원 각각의 심리적, 정신적, 감정적, 경험적인 요소들에 따라 차별화된 관계형성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일과 학업에 대한 책무를 다하고 균형을 이루려고 노력하는 정도가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일․학업의 균형의 특성을 갖고 있는 미용관련 종사자들의 학습의지와 업무균형을 위한 적극적인 조직 내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계약학과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교육기관에서도 학습의지를 통한 직무만족과 이직률 감소를 위해 실무능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화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이 설계․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 내의 차별화된 맞춤식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직무만족과 이직률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넷째, 제도적 장치의 지원 및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계약학과는 취업예정자 및 재직근로자들을 위한 직업능력향상 교육이 주가 되는 만큼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설계․운영되고 또 기존 정규과정에 비해 입학, 교육과정 운영 및 정원 등에서 융통성을 부여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觀光호텔敎育訓練과 大學의 호텔 및 관광經營學科敎科의 聯關性 比較에 관한 硏究 : 現場敎育訓練의 重要性을 中心으로

        김순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35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호텔이 사람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비즈니스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호텔을 이용 하게 되면서 일반적인 문화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더욱이 유럽과 아시아 30여 개국 정상들이 참여한 ASEM과 전 세계인의 축제인 2002년 월드컵을 개최하는 등 국제적인 행사를 함에 있어 서비스 사업인 호텔산업의 비중은 더욱 중요해졌다. 호텔산업은 어느 산업보다 인적 자원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고,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에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숙련되고 훈련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호텔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호텔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는 다시 말해 수준 높은 인적자원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교육은 호텔의 발전과 더불어 호텔 종사자들의 개인적인 발전에도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변화되고 있는 고객의 서비스 기대 수준에 부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호텔의 교육훈련프로그램은 새로운 학술,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을 통해 개인의 자가발전을 도모하고, 호텔 현업 종사원이라고 하면 호텔교육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적극적인 근무태도를 다짐하고 긍정적인 사고와 서비스 마인드를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현재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이 호텔 현업에 종사하기 전 관련 학교나 학과교과과정에서 호텔관련 교육프로그램이나 그와 유사한 내용을 미리 접 할 수 있다면 더욱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교육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으나 업계와 전공을 학습하는 대학의 교과과정이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가 하는 의문이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고, 호텔에서 훈련을 통해 습득 할 수 있는 사항들을 교과 과정에 미리 학습을 함으로써 좀 더 전문적이고 준비 된 모습으로 종사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의 개선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Hotel's first consideration was business. However, as life standard become higher, hotel has many kinds of purposes and it becomes one part of entertainment. Thus, hotel business offer many kinds of service and marketing. Hotel business has higher expectation for human resources than others. Human resource is very important property for hotel business. Thus, employment and positioning management is important consideration to improve hotel quality and quantity. It is important to make plan and manage to offer service properly, but the result has come out when contact with guest. So hotel can be a people business.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d by hotel business is make a direct effect to attitudes, mind of employees and hotel management training program will support self development and become opportunity for employees to achieve better working attitude and open service minds. This study will show about how relate university education and real business. Also, we will learn about how effect hotel study courses in university to hotel business. And this study will make employees work effectively by learning about the things which hotel requires to workers and what they can achieve by education program hotel and travel study course is consist with hotel management, travel management, food & beverage, hotel F&B management, hotel convention, travel resources, travel, and air service in university. This study will analysis about process of hotel management course and research relation between hotel training programme and hotel management course in university by analysing consciousness of hotel training programme and study course. the target of research was 240 staffs who worked 3 to 5 years because most of them who worked more than 5 years can not remember what they study before. Result was same as follow. 1st place of university course was hotel English/ English or Japanese/ Japanese communication. 2nd is sommelier / F&B practice/ cocktail practice and hotel travel service. 3rd is hotel business practice and management theory. And 1st place of hotel training programme is language education, 2nd guest service education, 3rd department education, dealing complain, 5th service education/ global manner education. According to research of Dittman(1997) which is done Cornel University emphasize importance of personal relation, financial analysis, and information technology. Like that, to make students, who will work as soon as graduate, know real hotel business, university should project and develop study course by borrowing hotel training programme (especially, personal relation training programme) to prepare work previously, they will become a specialized staff who hote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