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온성 액체의 생분해성과 생태 독성효과

        Pham Thi Phuong Thuy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013

        이온성 액체는 휘발성 유기용매를 대체할 수 있는 청정용매로, 여러 공정에 이용할 수 있는 액체상태의 소금이다. 이온성 액체는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양이온과 음이온의 구성을 바꿈으로써 산업공정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화학적, 물리학적 특성을 변화 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합성된 이온성 액체가 지속 가능한 화학물질이 되기 위해서는 이온성 액체의 생물학적 행동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전세계적으로 데이터가 미흡한 이온성 액체의 생태독성과 생 분해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 하였다. 음이온으로 bromide 결합하고 각각 알킬 체인의 길이가 3, 4, 6, 8개인 양이온 1-alkyl-3-methylimidazolium, 1-alkyl-3-methylpyridinium, 1-alkyl-1-methylpyrrolidinium의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세 녹조류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를 선정하였다. 독성 측정방법으로는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와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참조된 성장반응 실험이 실시 되었으며, 조류의 광합성 특성을 기초로 고안된 독성 측정장치를 통해 이루어졌다. 실험결과 두 가지 실험 방법에서 양이온의 종류에 관계없이 알킬 체인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독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독성 평가 경우, imidazolium과 pyridinium이 pyrrolidinium보다 독성이 더 강하게 측정되어서 실험된 이온성 액체 중 pyrrolidinium이 가장 친환경적 화학구조를 가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폐수나 하수 처리공정에서 이온성 액체의 처리 가능성과 분해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 분해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활성오니는 전주시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하였으며 2 달간의 시간 동안 이온성 액체의 생 분해성 과정을 HPLC와 LC-MS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dialkylimidazolium과 dialkylpyridinium 염은 각기 다른 알킬 체인 부분의 산화 과정을 통해 생 분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midazolium염의 경우 1-(1-hydroxybutyl)-3-methylimidazolium, 1-(3-hydroxybutyl)-3-methylimidazolium, 1-butyl-3-hydroxymethyl imidazolium, 1-methyl-3-(3-oxobutyl)imidazolium, methylimidazole, butylimidazole의 중간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pyridinium의 경우 1-hydroxybutyl-3-methylpyridinium, 1-(2-hydroxybutal)-3-methylpyridinium, 1-(2-hydroxyethyl)-3-methylpyridinium and methylpyridine의 중간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Design and Synthesis of Unnatural C-CH2-C Linked Biflavones : 탄소-메틸렌-탄소 연결형태의 비천연 바이플라본 화합물의 설계 및 합성

        Phuong-Thuy, Thi Phan Kangwon National Univ. 2012 국내석사

        RANK : 231999

        Biflavonoids are naturally occurring compounds which are flavonoid dimer connected with a C-C or C-O-C bond and possess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Especially, biflavonoids were found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vivo and in vitro. Among them, several biflavonoids were found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animal models of acute/chronic inflammation comparable to nonsteroidal and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currently used. Ochnaflavone, a naturally occurring biflavonoid, is mainly found in the medicinal plant Lonicera japonica (Caprifoliaceae) that has a dual cyclooxygenase-2/5-lipoxygenase inhibitory activity. Furthermore, this compound strongly inhibited degranulation rea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refore, this compound might provide a basis for novel anti-inflammatory drugs. Recently, a series of C-C and C-O-C linked biflavonoids were synthesized and found to be PLA2 inhibitors and inhibitors of PGE2 by us. As a part continuing structural elaboration and searching more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s, a series of unnatural C-CH2-C linked basic biflavones possessing a different array of flavone-flavone linkage and an analog of C-CH2-C linked ochnaflavone were designed, synthesized and evaluate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바이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천연물로서 2개의 플라보노이드가 탄소-탄소 혹은 탄소-산소-탄소 형식으로 연결된 이량체 형태의 물질로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바이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시험관 및 생체시험에서 항염증작용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중에서도, 몇 개의 바이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동물을 사용한 급만성 염증시험에서 현재 사용 중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필적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보고되었다. 오크나플라본은 천연 바이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서 주로 약용식물인 인동초에서 얻어지며, COX-2와 5-LO효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졌다. 더욱이 이 화합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탈과립 반응을 강력히 억제한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신규 항염증제의 기본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사료된다. 최근, 일련의 탄소-탄소 및 탄소-산소-탄소 형태의 연결을 갖는 바이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합성하여 검색한 결과 PLA2 및 PGE2 효소억제제 작용이 밝혀졌다. 보다 강력한 항염증제 개발의 일환으로서 천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서로 다른 다양한 배열을 갖는 탄소-탄소-탄소 연결 형태의 바이플라보노이드 및 오크나플라본의 탄소-메틸렌-탄소 연결형태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 화합물들의 항염증 작용을 평가하였다.

      • (The) generation of semi-mature dendritic cells by inhibiting acetyl-CoA carboxylases

        Nguyen Phuong Thuy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1998

        Introduction: The adoptive transfer of tolerogenic dendritic cells has been employed as a promising tool for transplantation as well as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Some different tolerogenic dendritic cells share the feature of semi-mature state. Also curr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fatty-acid synthesis is important for dendritic cell activation while fatty-acid oxidation is necessary for maintaining immature state. Therefore, in this study, I focused on blocking acetyl-coA carboxylases which can inhibit fatty-acid synthesis and promote fatty-acid oxidation to generate the semi-mature dendritic cells which may have potential for immunotherapy. Methods: Bone marrow cells (BMs) were isolated from 8-week-old C57BL/6 female mice then have been cultured for 8 days (in RPMI complete media with 10 ng/ml GM-CSF and 1.5 ng/ml IL-4) to differentiate to dendritic cells (DCs). At day 8,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s) were pre-incubated for 30 minutes with CP-640186 (CP), an acetyl-CoA carboxylase (ACC) inhibitor, following by LPS treatment up to 24hours for maturation. BMDCs and BMDCs with LPS treatment only were used as control groups. The effect of CP on BMDC matur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DCs phenotypic and functional studies. Results: The effect of CP to block ACCs in DCs was confirmed. Next, the expression of MHC class II and co-stimulatory molecules (CD80, CD86 and CD40) on LPS-treated BMDCs were down-regulated by CP with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Consistently,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IFN-γ, IL-12p70) also decreased. Interestingly, the chemokine receptor, CCR5 was up-regulated while the homing receptor, CCR7 was down-regulated in CP treatment groups. Moreover, these groups also increased antigen uptake capacity. Finally, in the presence of CP, LPS-treated BMDCs failed to activate antigen-specific CD4+T cells proliferation. Conclusions: In summary, our data elucidates that DCs with semi-mature phenotype and characteristic of immature-like cells were generated by ACCs inhibi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etabolism based-approaches in DC-mediated immunotherapies. 연구배경: 준성숙 (semi-mature) 또는 미성숙 (immature) 단계의 수지상 세포는 항원-특이적 T 세포 면역관용을 유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면역관용 유도능이 있는 이러한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을 이용하여 이식거부반응의 억제나 자가면역질환 등의 치료에 응용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 대사과정 중 지방산 (fatty acid)의 합성 (synthesis)과 산화 (oxidation)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cetyl-CoA carboxylase (ACC)가 수지상세포의 성숙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acetyl-CoA carboxylase 가 억제된 상황에서 생성된 준성숙 수지상세포가 시험관내에서 (in vitro) 항원특이적 T 세포의 증식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재료 및 방법: 8주령의 C57BL/6 마우스 골수에서 분리한 골수세포를 GM-CSF (10 ng/ml)와 IL-4 (1.5 ng/ml)가 포함된RPMI 배지에서 8일간 배양 및 분화시켜 골수유래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획득하였다. 8일간 배양된 골수유래 미성숙 수지상세포는 24 시간동안LPS (Lipopolysaccharide) 자극을 줌으로서 성숙 수지상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Acetyl-CoA Carboxylase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해 CP-640186 이라는 Acetyl-CoA Carboxylase 활성 저해제를 사용하였다. 그 후 미성숙수지상세포, 성숙 수지상세포 그리고 acetyl-CoA carboxylase의 억제 화합물인 CP-640186를 처리한 수지상세포의 세포표면인자 발현량, 사이토카인 분비능, 항원섭취능력 (antigen-uptake capacity), 항원특이적 T 세포 증식능력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미성숙수지상세포에서는 LPS의 자극에 의해 성숙수지상세포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지방산의 합성이 증가되었다. 이에 반해 지방산 합성과 산화에 관여하는 acetyl-CoA carboxylase가 저해된 수지상세포에서는 성숙수지상세포에 비해 지방산 합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Acetyl-CoA carboxylase 저해제를 사용한 수지상 세포는 성숙 수지상세포에 비해 MHC-class II 와 보조자극분자 (co-stimulatory molecule)인 CD80, CD86, CD40의 발현량이 감소되었다. 동시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FN-γ, IL12p70의 발현 또한 CP-640186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흥미롭게도 케모카인 수용체 (chemokine receptors) 중, lymph node 귀소 수용체 (homing receptor)인 CCR7의 세포표면 발현은 acetyl-CoA carboxylase사용에 의해 감소되었지만 CCR5의 발현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Acetyl-CoA carboxylase의 억제에 의해 수지상세포의 항원섭취능은 증가되었다. 따라서 acetyl-CoA carboxylase의 억제에 의해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성숙과정에서 준성숙 수지상세포로 변화되었음이 세포표면인자, 항원 섭취능력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등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준성숙 수지상세포는 성숙 수지상세포에 비해ovalbumin-specific CD4+T 세포의 증식을 항원특이적으로 저해 하였다. 결론: 지방산의 합성과 산화에 중요한 acetyl-CoA carboxylase를 저해함으로써 준성숙 수지상세포를 만들수 있음을 이 실험을 통해 밝혔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준성숙 수지상세포는 수지상세포를 응용한 면역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응용하기 위한 셀룰로오스 코팅 키토산 중공비드

        Pham Thi Phuong Thuy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1997

        Chitosan is a biodegradable natural polymer with great potential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due to its biocompatibility, high charge density, low toxicity and mucoadhesion. It has been shown that it not only improves the dissolution of poorly soluble drugs but also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fat metabolism in the body. Chitosan can be readily processed into various forms of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delivery vesicles for drugs, dyes and inks, or as microcapsules of artificial cells. Whether in the form of microspheres, multilayer films or scaffolds, their polyelectrolytic and hydrophilic properties make them excellent protective matrices for small bioactive molecules such as bovine serum albumin, insulin or other growth factors as well as cells. Therefore, controlled processing of these polymeric materials is of great importance, aiming at fabrication of specifically designed surfaces or interior structures. Of particular interest are microspheres with hollow interiors, in part due to their low density, which facilitates floating property when they are applied as drug carriers. Hollow spheres could be obtained by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emulsion polymerization, the use of core-shell micelles made of block copolymers, noncovalently connected micelles, or a template method. Among these, template-assisted synthesis, which requires a template, such as colloids, surfactant vesicles or emulsion droplets, is most commonly used to prepare hollow particles. In this method, the target material is coated or polymerized on the surface of the template, following by selective removal of the template to form a cavity, leading to a hollow structure. However, this fabrication technique is laborious and involves the use of organic solvents under harsh reaction conditions,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biocompatibility of the microspheres. Accordingly, a novel synthesis technique for the preparation of chitosan hollow scaffolds is practically valuable. In this thesis, we present a simple single-step fabric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hitosan hollow scaffolds without the use of toxic covalent crosslinking agents and any sophisticate equipment. The ionic interactions between the positively charged amino groups of chitosan and negatively charged counterion, tripolyphosphate, were successfully used to prepare chitosan hollow spheres through either intermolecular or intramolecular linkages of the anionic counterions. Interestingly, the shell thickness of the prepared chitosan hollow microspheres was observed to be controlled by the degree of deacetylation of chitosan. This finding provides critical information for controllable preparation of hollow hydrogel-based devices in biomedical applications. In an attempt to improve material properties used for oral administration, which is restricted by fast dissolution in the stomach, chitosan hollow spheres were coated with cellulose dissolved in ionic liquid. Using insulin and metronidazole as model compounds, the properties of these cellulose-coated microparticle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drug were investigated. These microparticles were stable at low pH and thus, suitable for oral delivery without requiring any harmful cross-linkage treatment.

      • Studies on New Therapeutic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Tamoxifen- Resistant Breast Cancer :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에서 신규 치료 표적 연구

        Nguyen Thi Thuy Phuong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1997

        The frequent development of resistance has been being a serious problem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Hence, finding new therapeutic targets for reversal of chemo-resistance is of great interest. In the present studies, we have revealed several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treatment of tamoxifen-resistant breast cancer. Immunohistochemistry also showed that aromatase immunoreactivity in TAM-resistant human breast cancer tissues was higher than that in TAM-responsive human breast cancer tissues. Inhibit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 suppressed the transactivation of aromatase gene and its enzyme activity, and PI3K/Akt-dependent CREB activation was required for the enhanced expression of aromatase in TAMR-MCF-7 cells. Testosterone displays an inhibitory activity on cell growth of several breast cancer cell lines, however in TAMR-MCF-7 cells where express higher level of aromatase than MCF-7 cells, the inhibitory effect of testosterone on cell growth was less than that in MCF-7 cells. In addition, formestane, an aromatase inhibitor significantly potentiated 4-hydroxytamoxifen-mediated apoptosis in TAMR-MCF-7 cells. The finding suggest that aromatase enzyme and the PI3K/Akt-dependent CREB signaling pathway are promising targets of the treatment of endocrine resistant breast cancer. We were also interested in cytochrome P450 (CYP) epoxygenases converting arachidonic acid (AA) to epoxyeicosatrienoic acids (EETs) which closely correlate with breast cancer progression. CYP3A4 epoxygenase was dramatically up-regulated in TAMR-MCF-7 compared to control MCF-7 cells. Moreover, we also found that cellular 11,12-epoxyeicosatrienoic acid (11,12-EET) concentration in TAMR-MCF-7 cells was about 8 fold higher than MCF-7 cells. Either CYP3A4 inhibition by ketoconazole (a CYP3A inhibitor) or antaginism of EET activity by 14,15-epoxyeicosa-5(Z)-enoic acid (14,15-EEZE, a synthetic EET antagonist)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TAMR-MCF-7 cells to 4-hydroxytamoxifen (4-OH-TAM).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 demonstrated that the increased angiogenic intensity and tumor formation of TAMR-MCF-7 cells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ketoconazole or 14,15-EEZE treatment. Moreover, the greater migration of TAMR-MCF-7 cells was also attenuated by these chemicals. These data implicate a critical role of CYP3A4-mediated 11,12-EETs product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TAM-resistant breast cancer. Interestingly, ketoconazole or 14,15-EEZE treatment diminished the overexpression of PB/E2F1-dependent Pin 1 which is crucial for endocrine resistance and higher angiogenesis an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TAM-resistant breast cancer. We further found that exposure of MCF-7 cells to EETs enhanced Pin1 expression in MCF-7 cells. Pin 1 silencing also blocked cell proliferation, angiogenesis, and migration in TAMR-MCF-7 cells. The data suggest that the influences of CYP3A4-mediated EETs pathway may be partly mediated by Rb/E2F1-dependent Pin1 overexpression in TAMR-MCF-7 cells. Taken together, our studies have shown that aromatase overexpression and CYP3A4-mediated EET production are new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the reversal of endocrine resistance in breast cancer. 유방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난제중 하나는 항암제 저항성 생성이다. 따라서, 항암제 저항성 반전을 위한 새로운 치료표적을 찾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항암제저항성 유방암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신규 치료표적을 제시한다. 본 연구진은 에스트로겐 생합성의 핵심효소인 aromatase의 기저발현 및 활성이 대조유방암 (MCF-7) 세포에 비하여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 (TAMR-MCF-7) 세포에서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통한 타목시펜 저항성이 있는 사람의 유방암 (TAMR-MCF-7) 세포조직에서 aromatase 면역반응성을 알아본 결과, 타목시펜에 반응성이 있는 사람 유방암 (MCF-7) 세포조직에 비해 높은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TAMR-MCF-7 세포에서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의 억제는 aromatase 유전자 전사활성 및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고, PI3K/Akt-의존적 CREB의 활성화는 aromatase의 발현 증가에 관여함을 밝혔다. 테스토스테론은 에스트로겐 양성 및 음성유방암에서 세포성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져있다 (Chottanapund et al., 2013). 그러나 테스토스테론 처치시 MCF-7 세포에 비하여 높은 aromatase의 발현을 보이는 TAMR-MCF-7 세포에서는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aromatase 억제제인 formestane이 TAMR-MCF-7 세포에서 4-hydroxytamoxifen 매개에 의한 세포사멸을 증가시켰다. 본 발견은 aromatase 효소와 PI3K/Akt-의존적 CREB 신호전달경로가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의 치료에 있어서 유망한 타겟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진은 두번째로 유방암 진행에 있어서 시토크롬 P450 (CYP) epoxygenase을 통한 아라키돈산(AA)에서 epoxyeicosatrienoic acids (EETs)으로의 전환과정에 관심을 가졌다. 다른 CYP 효소와는 달리 CYP3A4 epoxygenase가 MCF-7 세포에 비하여 타목시펜 (TAM) 저항성 유방암 세포 (TAMR-MCF-7)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EET 산물들 중 11,12-epoxyeicosatrienoic acid (11,12-EET) 농도가 MCF-7 세포에서의 비해 TAMR-MCF-7 세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케토코나졸 (CYP3A4 억제제) 혹은 14,15-epoxyeicosa-5(Z)-enoic acid (14,15-EEZE, 합성 EET 길항제) 처치는 TAMR-MCF-7 세포에서 세포증식을 감소시키고 4-hydroxy tamoxifen (4-OH-TAM)에 대한 세포독성을 증가 시켰다. 병아리 융모 막 (CAM) 분석시 대조 MCF-7 세포 이식군에 비하여 증가된 TAMR-MCF-7 세포에서의 암 증식 및 혈관신생이 케토코나졸과 14,15-EEZE 처리에 의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또한, 세포이동능 평가에서도 TAMR-MCF-7 세포의 활발한 이동능은 상기 화합물 처치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이 결과들은 세포증식, 혈관형성 및 이동능을 포함하는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의 특징들에서 CYP3A4 epoxygense 과발현과 CYP3A4-매개 11,12-EET 합성의 중요한 역할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케토코나졸 또는 14,15- EEZE 처치는 본 연구진이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세포의 혈관신생 및 상피-간질세포 형질전환 현상의 원인으로 제시했던 E2F1-의존성 Pin 1발현을 억제하였다. 반대로 MCF-7 세포에서 EET 처치는 Pin 1 발현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aromatase 와 CYP3A4 매개성 EET 생성 과정이 유방암의 내분비 저항성을 해지시킬 수 있는 신규 치료 타겟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Geomorphologic nash model with variable width function

        Nguyen, Thi Phuong Thuy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1997

        지형학적 확산의 개념은 유역 내 흐름경로 또는 흐름길이의 이질성에서 기인하며, 오랜 기간에 걸쳐 수문학적 응답함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중 하나임이 입증되었다. 특히 지형학적 확산은 배수 구조의 이질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폭 함수를 기반으로 수많은 연구에서 적용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지수를 이용하여 유역의 포화도가 배수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Nash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순간단위도의 유도 과정에서 포화도를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개별적인 포화도 조건에 다른 지형학적 매개변수의 통계학적 모멘트를 DEM을 기반으로 산정하고 포화도에 따른 배수구조의 변동성을 평가한다. 또한, 다양한 포화도에 따른 유효강우량을 개별적으로 산정하여 Nash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이용하였다. 다수의 이벤트로부터 추출된 파라메터 n과 k의 평균 값을 활용하여 각 소유역의 IUH가 계산되었다. IUH의 확률적 모멘트와 수정된 폭함수 역시 서로를 비교하여 추정되었다. 이를 실제 호우사상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비교적 다수의 수문자료를 보유한 보청천 수계 내 5개 소유역에 적용하였다. 보청천의 5개의 소유역에 적용한 결과, 함수율은 폭함수와 IUH의 첨두값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 및 적용 결과는 강우-유출 현상의 본질적인 특징과 배수구조의 상관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 지형학적 매개변수의 추정을 위하여 흐름방향과 유역의 격자크기를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호르톤 식 또는 필립식 등을 이용하여 수문학적 분석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Geomorphologic dispersion due to the heterogeneity characteristics of flow paths in a basin has been demonstrated as a major factor affecting to the hydrologic response function of a catchment. This effect has considered by many previous studies taking into account flow path length factors, especially in the application of width function. Based upon the analysis of topographic index, another important geomorphologic factor extracted from DEM data, this work presents a new factor named basin saturation to evaluate its effects to the formation of the well-know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IUH) from Nash model and drainage structure in a river basin through width function. First, the geomorphologic parameters such as PDF of water flow length to the outlet point and their statistical mom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aturation conditions are computed from DEM data with the support of GIS software. Outcomes from this analysis a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asin saturation on drainage structure through the shape of width function. Then, effective rainfall regarding to each basin saturation degree and each given rainfall runoff event are found based on the given rainfall-runoff data. In the combination of hydrologic and geomorphologic data, the Nash parameters n and k are calculated using new equations derived by Choi et al. (2011). From the average values of parameter n and k in many rainfall runoff events, IUH of each sub-basin is calculated using Nash model’s governing equation. The statistical moments of IUH and rescaled width function are also estimated to compare with each other. Finally, the verification process with observed and simulated direct runoff data is conducted using Fortran programming,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and Root Mean Square Error. The whole processes are applied to five sub-basins in Bocheong catchment (485.21 km2) in Kore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basin saturation is sensitive to the peak values of IUH and width function in the five sub-basins of Bocheong catchment. Additionally, from the verification process, over 40% cases among given rainfall events in the five sub-basins presented the peak discharges corresponding to the lower 100% basin satur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basin saturation can be used as a suitable index to evaluate the peaks values of the IUH and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basin. For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s of DEM resolution of the basin and flow direction method on the estimation of the geomorphologic parameters. In addition, the hydrologic analysis also could give better results if more advanced approaches are used for calculating abstraction such as Horton’s equation and Philip’s equation.

      • 초국가적 다문화주의의 가능성 모색을 위한 월남 왕자 이용상 연구 : 생애사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을 통하여

        Do, Phuong Thuy 계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31982

        세계화 시대에 인류는 더 이상 영토에 종속적이지 않다. 이주는 공간으로부터 자유롭고 국경으로부터도 자유로워 사이버 공간마저 새로운 영토로 삼는다. 이는 근대적 의미의 국가나 사회가 개방적인 공동체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새로운 인류공동체의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한국은 다문화적인 변동사회를 이루어가고 있다. 이주노동자나 결혼이민자, 탈북 이주민 등으로 구성되는 이주민들이 그 어느 때보다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더 이상 이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어적 대책 수립만으로는 만족할 수는 없게 되었다. 이주민들 또한 새로운 의미의 자기 정체성 확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는 그 어느 때보다 풍요로운 문화적 재창조와 인류공영의 기회일 수 있다. 초국가적 다문화주의는 이런 문제들에 대한 대안의 제시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한 사회나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이주를 통해 연결된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을 전제로 한다. 또한 거기서 생겨나는 다양한 문화들이 상호 인정과 관용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가치의 창조를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주자의 모국과 거주국 간에 형성되는 쌍방향적이고 다층적인 사회․문화적 연결망이 전제되어야 한다. 오늘날 한국과 월남(越南)은 여러 면에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1992년 양국의 외교관계가 정식으로 수립되면서부터 상호문화교류는 매우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약 15만 명에 이르는 월남인들의 한국 이주민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들은 더 이상 단순한 하나의 이민자 집단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초국가적 다문화주의가 요구하는 21세기의 새로운 유목민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13세기에 고려로 망명한 월남 왕자 이용상의 생애사를 통해 초국가적 다문화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용상(李龍祥; Ly Long Tường, 1174-?)은 1009년 이공온(李公蘊)에 의해 건국된 월남 리(Ly)왕조의 왕자로, 1226년에 일어난 정변을 피해 고려로 망명한 인물이다. 그는 바닷길을 통해 대만을 거쳐 고려의 황해도 옹진군에 도착하였다. 고려왕으로부터 옹진군에 머무르는 것을 허락받은 이용상은 1253년 군대를 지휘하여 몽골의 침략을 물리쳤다. 이 공적으로 말미암아 이용상은 고려 고종 왕으로부터 화산군(花山君)으로 봉해졌다. 이러한 행적은 여러 문헌자료에 남아있다. 이를 근거로 그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화산 이씨 문중에서는 뿌리 찾기 작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밝혀지지 않은 많은 구술 자료들도 보태졌다. 그리고 이용상의 이야기는 단순히 한 역사적 인물로서만 조명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과 월남 간의 교류 문제를 새롭게 해주는 인물로도 읽혀지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소설과 영상 등으로 흥미로운 담론들이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인물 이용상에 관한 연구는 실증적 자료보다 설화적 자료에 더욱 의존해야 할 경우가 많다. 생애사 스토리텔링은 이를 위해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초국가적 다문화주의는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용상이라는 인물을 재구성하는 일은 그의 삶을 영웅화시키는 데 머무르지 않는다. 당대의 민족국가라는 시대적 가치가 간과해버린 다문화의 문제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조명해 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조명 작업은 월남과 한국 간에만 생겨나는 특수한 문제가 아니다. 이주민의 문제는 21세기 인류사회 전체가 맞닥뜨린 문제다. 이주 혹은 유목이 더 이상 정착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하나의 가치를 이루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국가적 다문화주의의 모색은 이주를 통해 새롭게 형성되는 인류 공동체의 과제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possibility of supranational multiculturalism by analyzing the life history of a Vietnamese prince who soght asylum in the Koryo Kingdom in the 13th century. Ly Long Tuong (李龍祥; 이용상, 1174-?) was a prince of the Ly dynasty who was forced to move to Koryo in 1226 due to a political upheaval in his own country. He was permitted to settle in Ungjin County and later commanded the Koryo army to protect the country from a Mongolian invasion. The Koryo king made him a Hwasangun (花山君) as a reward for his achievements. The story of Ly Long Tuong is recorded in literature. Investigation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by those who claim to be his descendants. In this process many new oral statements have been presented. Furthermore, the story of Ly Long Tuong is more than merely a story of a historic figure. He is often thought to be a person that has shed a new light on the contemporary relations of Korea and Vietnam. In addition, these new developments have lead to new interesting discourses in books, movies, etc. Thus, research on Ly Long Tuong ought to be conducted more on the basis of tales rather than relying only on empirical data. For this reason, life history storytelling is the right method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In the modern world people are no longer constrained by territory, country and society. The world is transforming into one single human community. However, in the process many problems related to migration or international marriage, have emerged. Supranational multiculturalism is believed to successfully answer them. Furthermore, it can also be effectively explained by life history storytelling. Thus, to reconstruct the figure of Ly Long Tuong is not only about heroizing his life. His story should shed a new light on the problem of multiculturalism in the modern context which was previously ignored under the contemporary nation-state centered view. Yet, such a light shedding process is not limited to Vietnam and Korea. The problem of migration is the problem of the whole humankind in the 21st century. Migration or nomadism are no longer only means of settlement but rather have a value of their own. For this reason, to seek supranational multiculturalism is a task for the new humankind community that has come into life through the migration.

      •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p300 CH1 and HIF-1α CTAD complex and screening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 inhibitors

        Nguyen Thi Phuong Thuy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1981

        The p300 CH1/HIF-1α CTAD interaction plays a key role in the transcription of hypoxia inducible genes and the inhibition of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can be a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therapeutics since HIF-1 allows tumor growth in hypoxic environments by promoting angiogenesis and metabolic adaptations to hypoxia. Both proteins were expressed in E. coli and purified. By using NMR spectroscopy, the conformational status of p300 CH1/HIF-1α CTAD complex was confirmed. The p300 CH1 and HIF-1α CTAD were unstructured or partially structured without their binding partners; however, their complex had well-defined folded structures. The p300 CH1 and HIF-1α CTAD were co-purified and subjected to the measurement of 1H-15N HSQC spectrum. The fragment compounds were titrated to the complex and 1H-15N HSQC spectra were measured. Several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spectra change upon the fragment titration. Thus, based on the NMR measurement inhibitors of p300 CH1/HIF-1α CTAD interaction can be screened and the selected fragment compounds can be utilized to generate the lead molecules for cancer therapeutics.

      • Microfluidic technique for the fabrication of hollow fibers and its biomedical application for in vitro endothelial blood brain barrier research

        NGUYEN THI PHUONG THUY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1981

        This study reports the advanced and effective approach employing a triple-flow polydimethylsiloxane (PDMS) microdevice to controllably generate the alginate-based hollow fibers which are applicable to become a friendly microcappililaries-like scaffold for supporting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development. The use of PDMS-based cyclindrical device could not only eliminate the limitations of complicated assembly by using a commercially plastic or steel-based microcapillary system, but also enhance the biocompatibility of cell supportive scaffolds. The two PDMS replicas with semi-cylindrical microchannel were successfully assembled to eventually obtain the completed microchannel with circular cross section which permitted the coaxial flows formation for a mild and continuous hollow fiber fabrication without channel clogging. The mineral oil introduced into the central flow that served as an inert space inside the Ca-alginate wall to ensure the formation of hollow fibers obtained a consistent hollow structure. The hollow fibers owning the robust mechanical strength and high permeability with reasonable biocompatibility were used as scaffolds for the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VECs to mimic brain microcappilaries. The hollow fibers covered with a full layer of HUVECs were further integrated in a neurovascular construction to co-culture with astrocytes for mimicking blood brain barrier. The use of introduced neurovascular model for drug testing exhibited a great prospective in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