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사회적 배제 경험이 여대생의 전위된 공격성의 표출에 미치는 기제 : 자기초점적 반추와 촉발사건의 영향

        황정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경우, 개인들은 친사회적 행동을 더욱 증가시켜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히려 무고한 대상으로 향하는 전위된 공격성을 증가시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사회적 배제 후에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은 진화론적으로 적응적인 행동이지만, 전위된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사회적 관계 회복에 걸림돌이 되는 부적응적 행동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의 표출에 미치는 기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개인적 특성으로서 자기초점적 반추와 상황적 요인으로서 촉발사건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89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적 배제 경험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실험 참가자들로 하여금 과거에 경험한 사회적 배제 경험을 회상하여 서술하도록 하였으며, 그 후 자기초점적 반추 혹은 주의전환 조건에 무선 배정하여 해당 조건을 조작하기 위한 글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글쓰기 과제가 완료된 후 실험 참가자들은 다시 촉발사건을 경험하는 조건과 촉발사건을 경험하지 않는 조건에 무선 배정되어 해당 조건에 맞추어 조작된 온라인 공 던지기 게임에 참여한 후, 마지막으로 매운 맛 조절 절차를 통해 전위된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모든 실험 절차가 완료된 후 조작확인을 위한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증과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경우 전위된 공격성의 수준이 자기초점적 반추 유무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며, 촉발사건의 유무에 따라서도 유의하게 달라짐이 밝혀졌다. 또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자기초점적 반추를 하는 경우, 촉발사건을 경험한 집단은 촉발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전위된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을 표출시키는 기제에서 자기초점적 반추와 촉발사건의 역할을 규명하였고, 더 나아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경우 전위된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개입에 있어 실질적인 방안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displaced aggression by social exclusion, expecial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focused rumination and triggering event. For this study, 89 college student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tested individually. First, social exclusion was manipulated with a writing task. Every participant wrote about their previous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for 5 minutes. Next, participants wrote any thoughts that came to mind on the paper as per given a phrase in two minutes automatically in the computer monitor screen for 20 minutes for manipulation of self-focused rumination. Then, participants played a game of Cyberball-an online ball tossing game-with two virtual confederates for manipulation of triggering event. Finally, displaced aggression was measured with a task in whi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an appropriate level of spiciness. A two-sample t-test and a two-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ipulation of self-focused rumination and triggering event on displaced aggression. The result of that, each main effects of self-focused rumination and triggering event were significant. An interaction effect of self-focused rumination and triggering event was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placed aggression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whether triggering event experience in distraction condition.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placed aggression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whether riggering event experience in self-focused rumination. Participants in the self-focused rumination expressed higher displaced aggression when they experience the triggering event. Thus, the relation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lf-focused rumination and triggering event. This study hopes to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successful intervention of displaced aggression due to social exclusion.

      • 창원시 성인 남성의 왁싱에 대한 인식 연구

        황정윤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far male perception on waxing has come and use the result to assess commercial potential of male waxing industry and as basic materials to facilitate active development of male waxing industry. The study used as sample male adults residing in Changwon city and examined their perception about waxing.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male adults in Changwon city for a month from April 16 to May 15 in 2014. The questionnaire sheet was directly distributed to male pedestrians in Sangnam-dong area of Seonsan-gu, the downtown area of Changwon city. A total of 200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mong them, 55 cases were excluded for incomplete response and 145 cases were used for the research. SPSS 19.0 was used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hen, in order to review validity of factors in each are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parameter was performed in order test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Next,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 in independent variab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o the question how much they knew about waxing, 91(63.19%) respondents said "Know Little"; 30(20.83%), "Don't Know"; 23(15.97%), "Know Well". In terms of how they learned about waxing, 39.13% of respondents said they learned about it from people they knew. Among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Knew Little" about waxing, 28.89% said they learned about it from movie or TV. Among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Don't Know", 72.73% learned about waxing from "Other Sources". About how they liked waxing, 61% of those who "Know Well" about waxing said that they are positive about waxing. A total of 127 respondents (87.59%) said they never had waxing while 18 (12.41%) said they had waxing before, so more people said they never had waxing before. In terms of place where they received waxing service, 9 respondents (47.37%) said they received waxing at home, the highest share; 4 respondents (21.05%), at skin clinic; 3 respondents (15.79%), waxing shop; 2 respondents (10.53%), hospital, dermatology department; 1 respondent (5.26%), nail shop. In terms of waxing area, 8 respondents (19.50%) said they received waxing for moustache/beard area and leg; 6 respondents (14.60%), eyebrows; 5 respondents (12.20%), armpit; 3 respondents (7.30%), hairline, forehead and arms. In terms of frequency of receiving waxing service, 5 respondents (31.25%) said they receive waxing once a month; 4 respondents (25%), once in 3~4 weeks; 3 respondents (18.75%), once a quarter; 2 respondents (12.50%), once in 1~2 weeks; 1 respondent (6.25%) for everyday and once in 2 months, each. In terms how they came to receiving waxing, 6 respondents (33.33%0 said they received waxing because their friends introduced them to it; 5 respondents (27.78%), through the Internet; 3 respondents (16.67%), through magazines or other sources; 1 respondent (5.56%), from movie or TV. In terms of overall satisfaction for waxing, 51% said they were satisfied; 6 respondents (33.33%) said they derived average satisfaction; and 1 (5.56%) respondent said he was not satisfied. When asked if they were willing to recommend waxing to other people, 7 respondents (38.89%) said they felt neutral; 3 respondent (33.33%), positive; 4 respondents (22.22%), very positive; 1 respondent (5.56%), very negative. As to reasons why they never had waxing, the highest share of people said it was because they never needed it, followed by lack of information, embarrassment, repulsion and shame, cost and pain, in that order. People who knew more about waxing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t waxing had an effect on all categories of enhancement of appearance, hygiene, sexual satisfaction and release of stress. As to area of body they want to receiving waxing on, 70 respondents (37.40%) said moustache/beard; 38 respondents (20.30%), arms and legs; 24 respondents (12.80%), hairline and forehead; 23 respondents (12.30%), armpit; 28 respondents (9.60%), brazilian; 14 respondents (7.50%), eyebrows. The results show that men still do not have good understanding of waxing. Also, the more they knew about waxing, the more positive they were about receiving one and the more satisfied after receiving waxing 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grow waxing market for males an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out waxing, it is necessary to promote waxing. Moreover, among those who received waxing, the highest share of them received waxing operation through introduction by friend or the Internet. Consequently, in order to grow waxing market, waxing clients must be managed well so that words of mouth can spread. Also, promotion using social commerce, blogs and Internet cafes are still much needed.

      •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황정윤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을 위한 애도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연구에서 애도 척도의 문항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최종적으로 개발된 애도 척도의 요인 및 문항의 구성과 신뢰도는 어떠한가? 셋째, 애도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넷째, 애도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발행된 애도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애도에 대한 개념 및 정의 등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학자별로 이루어진 애도의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애도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다음으로 문헌연구 및 기존 애도 관련 척도 분석과 사별자 면담 내용 분석을 통해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1차 내용타당도 검증으로 본 연구자와 상담심리 전공 교수 1명과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석․박사 2명이 함께 문항을 구성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163문항이 선정되었다. 그 다음은 2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1차 내용타당도 과정을 통해 선정된 121문항을 상담심리 전공 교수 1명과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박사과정 2명에게 의뢰하여 전문가들에게 미리 자료를 배포하고 점검을 부탁한 후 개인적 면담을 통해 각 문항의 이해도와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서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79문항이 선정되었다. 3차 내용타당도에서는 2차 내용타당도 과정을 통해 선정된 79문항의 문항이해도와 문항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담심리 전공 교수 1명과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박사과정 2명에게 의뢰하여 75문항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예비문항 선정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이 이루어졌다. 부산, 서울, 경기 지역에 사별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400부의 설문지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20부를 제외한 380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실의 혼란과 충격 9문항, 상실의 고통 12문항, 삶의 회복과 성장 10문항으로 구성된 총 31문항의 성인용 애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최종 선정된 애도 척도 31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s )는 다섯 하위요인은 모두 .885 ~ .917 사이로 높게 나왔으며, 전체 신뢰도는 .919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렇게 개발된 성인의 애도 척도의 구인타당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애도 척도로 부산, 서울, 경기, 울산, 대구 지역에 의미 있는 대상과 사별의 경험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외상 후 성장 척도, 우울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애도의 하위요인을 총 3요인으로 하여 TLI, CFI, RMR, RMSEA 등을 살펴보았을 때 모두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도 모형의 내적 구조에 의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에서도 삶의 회복과 성장 요인과 외상 후 성장 척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 척도에서는 애도의 하위요인인 삶의 회복과 성장 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용 애도 척도는 문헌연구 및 기존 애도 관련 척도 분석과 사별자 면담 분석 과정을 통해 예비문항이 제작되었고, 상담심리 전문가들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3요인(상실의 혼란과 충격, 상실의 고통, 삶의 회복과 성장)에 31문항을 갖춘 성인용 애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둘째, 성인용 애도 척도에 대해 구인타당도 검증(확인적 요인분석)과 공인 타당도(외상 후 성장 및 우울 척도)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검사도구가 성인의 애도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urning scale for adults and to verify it's validity. Four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constructs and the factors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second, what are the constructs, the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final questionnaire?, third, how is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finally, how is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Earlie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mourning were analyzed to form a definition of mourning. First,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mourning presented by the different researchers were investigated to form a definition. Next, this researcher 163 items were created the preliminary item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existing mourning scales and interviews with four people who were mourning. After tha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were checked by this researcher and Ph.D candidates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121 primary items were selected. Nex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elected items was checked. One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ors and two Ph.D candidates in Counseling Psychology checked the preliminary items and discussed the understandability and adequacy of each item. As a result, 79 secondary items were selected. The One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ors, the two Ph.D students in Counseling Psychology were asked to check the content validity of the 75 items. Finall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using the scales, which consist of the final preliminary questions, for mourning of adults. As a survey conducted on 380 people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and located in seven regions(Busan, Seoul and Gyeonggi-do), 31 questions were selected. As a result, scales for mourning,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ub-factors – Shock and confusion caused by the loss, Pain of loss, loss of residual and recovery and growth of life. Finally, scales for mourning, which consist of five factors and 31 question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test of reliability on 31 questions of finally selected scales for mourning,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showed good between .885 and .917 in three sub-factors and all the scales. In order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scales for mourning, 508 adults and located in Busan, Seoul, Kyungnam Ulsan, Kyungbuk Daegu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lated to a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a depression scale. The scales turned out good in every regar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 TLI and RMSEA were examined for sub-factors of scales for mourning, validity turned out good. In addition, the scale model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heck was good, respectively. In verification of the concurrent validity, there are a very close positive correlation the posttraumatic growth scale. In the depression scale,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ttraumatic growth, a sub-factor of scales for mourning scale. In this study, concrete questions were developed related to the mourning of adults. The validity of studies on scales for mourning of adults can be ensured by raising understanding of mourning of adults and providing scales to correctly measure them.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validity of continuing research efforts about the mourning of adul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the existing scales for mourning and analysis of interview data of a mourner. Three times of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were conducted by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ors, Ph.D candidates in Counseling Psychology. Scales for mourning of adults were developed, along with three factors(Shock and confusion caused by the loss, Pain of loss, loss of residual and recovery and growth of life.) and 31 questions.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verific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the posttraumatic scale, the depression scale) on scales for mourning. As a result, this testing tool was verified to be a valid tool to measure mourning of adults.

      • 국제노동협약 확산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개발도상국에서의 최저임금결정을 중심으로, 1950-2010

        황정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국제노동기구의 최저임금결정 협약 비준 행위를 기능주의와 제도주의라는 두 가지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국제노동기구는 최저임금결정과 관련한 협약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를 비준한 회원국은 최저임금제를 도입?시행할 의무가 발생하게 된다. 개별 국가의 협약 비준은 자발적인 행위임과 동시에 이론적?실증적으로 최저임금제의 존재나 효과에 대해 많은 비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90% 이상의 국가가 최저임금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미 12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관련 협약을 비준하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최저임금제의 급격한 도입 현상은 개별 국가가 관련 협약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비판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협약의 비준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능주의적 논의와 제도주의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즉, 기능주의에 따른 국가의 내적인 속성인 개별 국가의 경제적?사회적 발전 및 복지역량과, 제도주의에 따른 외부사회의 압력인 강압, 학습, 모방, 신생독립국의 주권국가 지위 획득에 따라 최저임금결정 협약이 전 세계로 확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최저임금결정 협약의 비준 행위에는 국가의 내부적 속성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환경인 국제사회의 압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국가의 내부적 속성 중에서는 개별 국가의 복지역량이, 외부적 요인 중에서는 정부 간 국제기구를 통한 학습과 다른 국가를 모방하는 행위, 신생독립국의 주권국가 지위 획득이 협약의 비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지역량이 높은 국가일수록, 국제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국가일수록, 다른 국가의 비준 사례가 증가할수록, 1945년 이후 주권국가의 지위를 획득한 신생독립국일수록 최저임금결정 협약을 비준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별 국가의 내적 요인과 동시에 외적 요인 모두가 협약의 비준에 영향을 미치며, 기능주의와 제도주의 모두 일정 부분 설득력을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시기와 역량의 구분에 따라 최저임금결정 협약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관련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에 따른 영향요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1980년을 기점으로 1950년-1980년 사이의 기간 동안에는 모방 행위와 신생독립국 여부가 협약의 비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달리, 1980년 이후에는 국가의 복지역량과 정부 간 국제기구 참여를 통한 학습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1970년대 중반 이후 최저임금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급증하면서 최저임금제를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사례가 늘어났는데, 이 때문에 정당성의 추구에서 비롯된 모방과 같은 행위보다는 역량이나 학습에 따른 기제가 더 중요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역량이 낮은 국가에서는 모방과 신생독립국 지위 획득이 협약의 비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복지역량이 높은 국가에서는 역량과 학습에 따른 기제가 훨씬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량이 높은 국가는 단순한 모방 행위보다는 높은 역량을 바탕으로 한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최저임금결정 협약의 비준을 기능주의와 제도주의 논의에서 살펴보고, 시기와 역량에 따른 차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복지정책을 설명하는 주류이론은 국가의 내적인 속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제도주의 논의를 통해 국가의 외부적 환경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개별 국가의 역량과 국제기구 참여가 협약의 비준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로마 원로원의 정치적 대립 : 변경 정책의 정치적 선전과 그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황정윤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필자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라인-다뉴브 강 유역 변경 정책이 어떻게 선전되었고 어떻게 평가받았으며, 그 기저에 어떠한 정치적 배경들이 자리 잡고 있었는가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당시 발렌티니아누스와 원로원의 정치적 대립이 어떤 형태로 표출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고위 관료들과 군대의 추대에 의해 제위에 오른 발렌티니아누스는 자신의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군인과 판노니아 출신 인사들을 측근으로 끌어들였으나, 그 과정에서 원로원 계층과 정치적 충돌을 빚게 되었다. 이에 발렌티니아누스는 군사적 업적을 통해 황제로서의 능력을 입증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제국 서부의 대외 상황은 만족과의 격렬한 전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만큼 위급하지 않았고, 현실적인 여건상 방어 전술과 외교에 의지하는 편이 황제에게는 보다 효율적이었다. 이를테면 황제는‘방어 전술을 추구하지만 공격적으로 보여야 하는’딜레마 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렌티니아누스는 변경 정책의 일환으로 라인 강 및 다뉴브 강 유역에서 만족들의 영토를 공격하고 변경 지역에 많은 요새와 감시탑을 건축했다. 이 정책들은 표면상으로는 매우 적극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실상 황제는 기존의 변경 지역에서 멀리 진출하지도, 새로운 영토를 제국에 합병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변경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일차적으로는 로마와 변경을 맞대고 있는 만족들을 감시하고 그들에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었으며, 이차적으로는 황제가 변경 지역에서 만족의 공격에 대항하여 성공적인 전투를 벌이고 있다는 사실을 내세우기 위한 것이었다. 다만 이를 보다‘공격적인 것처럼’보이게 하고자 했던 발렌티니아누스의 의도에 의해, 황제의 변경 정책들은 일련의 선전 과정을 통해 일차적인 목적보다는 이차적인 목적이 부각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황제의 변경 정책을 칭송하는 찬사문과 요새의 비문, 주화에 새겨진 도상과 문구 등은 신생 발렌티니아누스 황조 황제들의 뛰어난 위업과 만족의 복속 및 로마의 패권, 영토 정복이라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발렌티니아누스의 변경 정책이 일관적인 방향으로 대중들에게 선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가하는 원로원 계층과 당대 역사가들의 의견은 일관적이지 않았다. 역사서와 비문, 찬사문을 통해 나타난 그들의 의견은 대체적으로 372년을 기점으로 하여 긍정적인 방향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모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그들의 변경 정책 평가가 당대의 현실적인 대외 상황이나 황실의 정치적 선전과는 별개로, 국내 정치 상황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다. 360년 중반 정치적 마찰을 빚었던 발렌티니아누스와 원로원은 368년 심마쿠스의 트리어 방문을 계기로 일시적인 우호 관계를 맺었던 듯하다. 그러나 370-372년 벌어진 일련의 정치적 사건들을 통해, 황제와 원로원은 다시 적대적인 대립 관계로 돌아섰다. 이와 같은 정치적 상황의 변화는, 지식인층이 황제의 변경 정책에 대해 평가한 의견의 변화 방향과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지식인층은 단순히 황제에 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황제가 추진했던 변경 정책의 부정적인 면모와 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강조함으로써, 황제의 이미지를 왜곡하려 시도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를 통해서 그들이 얻고자 했던 것은, 결국 황제의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그와 대립했던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을 옹호하고 합리화하려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발렌티니아누스의 라인 - 다뉴브 강 유역 변경 정책은 대외 상황만큼이나 국내의 정치 상황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추진되었다. 변경 정책에 대한 기록과 평가 또한 국내 정치 상황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현실적인 사건의 경과나 지식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리적 관념 및 만족에 대한 인식 등은 무시되기도 했다. 요컨대, 발렌티니아누스 시대의 변경 정책은 그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자 한 황제와 원로원에 의해 추진, 기록, 왜곡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how the frontier policy of Valentinian I for Rhein-Danube area was propagated and how it was evaluated with finding out its political background. And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emperor and the Senate were expressed. Valentinian I, who came to the throne by senior officers and army, tried to establish solid support base by making people from Pannonia and generals as his advisors. However, he had to face a political conflict with the Senate in this process. Thus, he made a plan to prove his power as an emperor by revealing his military achievements. But the actual situation of Western Roman Empire was not seriously precarious which did not require to make consistent wars with Barbarians. And it was more effective to use some defensive tactics or diplomatic policies in the actual condition. Valentinian, so to speak, was trapped in a dilemma that he is‘not only required to use defensive tactics, but also to be in a militant posi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situation, Valentinian, as part of frontier policy, attacked barbarians in Rhein-Danube areas and built forts and watchtowers in their territory. These policies seemingly look very aggressive. However, in reality, he neither conquered the region distant from exisiting frontiers nor annexed a new territory to his empire. As a result, primary purpose of this policy was to watch and pressure barbarians near the boarder and secondary purpose was to represent that he have a dominant position in the war against barbarians in the frontier region. Because of the Valentinian's intention of making it look‘aggressive’, the secondary purpose was more embossed than the primary one through the process of propaganda. Panegyrics, inscriptions of forts and images printed on coinage all consistently emphasizes Valentinian dynasty's great achievements, supremacy of Roman Empire, submission of barbarians and conquest their territory.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Valentinian's frontier policy was publicized to people in a consistent direction, the Senate and some intellectuals in Rome evaluating this policy had different opinions. Their opinions described in history book, inscriptions and panegyrics had been changed from positive to negative since 372. One thing should be noted is that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change in evaluation on frontier policy was made by the influence of national political situations aside from actual foreign conditions or imperial propaganda. In the middle of 360s, there was a political conflict between Valentinian and the Senate, but it is assumed that they had a friendly relation for temporary on the visit of Symmachus in 368. However, the emperor and the Senate turned out being at enmity with each other through series of certain political events happened in 370 to 372. This kind of change in a political situation is similar to the change in evaluating opinions on the emperor's frontier policy. Furtherm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that the intellectuals not only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on the emperor but also distorted image of him by emphasizing negative aspects of the frontier policy. The intellectuals wanted to rationalize their own political position opposed to the emperor's one by forming the policies to negative perspective. In conclusion, Rhein-Danube frontier policy of Valentinian I was carried out as it was closely associated to the national political situation as much as international condition. Also, the evaluations on the frontier policy were influenced by national political situation. In this process, the course of realistic events, geographical notions or conceptions of barbarians that the intellectuals had used to be ignored. In short, it is suggested that the frontier policy in Valentinian's reign was promoted, reported and distorted by the emperor and the Senate who attempted to use the policy for political purpose.

      • 일본 여성복식의 양장화에 관한 고찰

        황정윤 경성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본 여성 복식의 양장화 경향을 시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시대별 복식의 특징과 두발, 의복, 신발 및 액세서리의 형태를 살펴보면 1) 明治 시대에는 예장의 형태였으며 상류계급에 한정된 것으로 일반화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두발 형태는 문명개화운동의 일종인 結髮개량운동으로 서양식 두발 형태를 하게 되었다. 束髮은 전통적인 日本髮과는 달리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면과 양장은 물론 和服과도 어울린다는 점에서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다고 본다. 의복 형태는 明治 시대 鹿鳴館에 출입하던 여성들이 양복을 입게 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의 양복은 서양의 유행을 받아들여 일본적 요소를 가미시킨 의복을 입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류계급의 예복이 위주였으며 기능적인 면에서 일반인들이 드레스 형태의 양복을 생활하기에는 불편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신발과 액세서리는 明治 시대의 상류계급의 예복에 맞추어 코디하였으며, 일반인들은 着物에 서양식 액세서리로 장식한 화양절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2) 大正·昭和 초기에는 직업여성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양장이 일반여성에게까지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동시대의 서양의 유행에 맞추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두발 형태는 大正 시대에 들어와서도 束髮이 유행하였으나 각 개인의 개성을 추구하게 되었다는 것이 明治 시대와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이은, 耳出 등의 형태에서 유행의 변화를 볼 수 있다. 昭和 시대에는 머리를 짧게 잘라 웨이브를 넣은 파마가 위생적이고 실용적인 면에서 일반여성들에게 수용되어 급속히 유행하게 되었다. 의복 형태는 大正·昭和 시대 초기부터 점차 교육의 보급과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 진출 및 서양 문화의 확산으로 서양의 유행 스타일이 일본에서도 그대로 유행하였다. 또한 관동 대지진, 白木屋 화재 사건 등으로 和服의 기능적이지 못한 점이 지적되면서 양장화가 더욱 촉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발 및 액세서리는 의복의 양장화의 진행과 함께 하이힐 등을 신게 되었으며 핸드백 등의 다른 액세서리도 감각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3)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시기에는 전쟁으로 양장과 치장이 금지되었다. 두발 형태는 국가비상시에 대응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파마가 금지되었고 웨이브를 넣지 않은 銃後髮이라는 형태가 유행하였다. 의복 형태에 있어서 물자 부족으로 표준복과 몸뻬 밖에 입을 수가 없었는데 이것은 국가 비상시에 대응하여 미적인 면보다는 기능성과 활동성을 중심으로 여성들의 의복 생활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신발 및 액세서리는 대용품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액세서리 공출이 강제되면서 일체의 치장이 금지되었다. 2. 일본 여성 복식의 양장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한국 여성 복식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 유학생들이 귀국하면서 도입된 庇髮(히사시가미)는 챙머리, 이은, 耳出는 S자 머리로 불리면서 한국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단발과 파마 또한 크게 유행하였다. 의복에 있어서는 신여성들이 일본에서 유행하였던 아르누보, 아르데코 스타일의 양복을 입었고, 전쟁 시기에는 몸뻬를 강제적으로 입게 되었으며 그 기능성 때문에 전쟁 이후에도 즐겨 입게 되었다. 編上靴가 목구두라는 명칭으로 유행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하이힐을 받아들여 신게 되었다. The analyzed consequence of Japanese women's costume and its ornamental tendency of being western-style classified by periods are below : 1. When we take a look at the features of each period's dress and its ornaments and styles of hair, clothing, footwear, and accessories ; 1) In Meiji times, there was ceremonial dress and it was limited to the upper classes. The styles of hair were westernized by the influence of the Keppatsu improvement movement. Sokuhatsu could be spread nationwide because it was economical, practical, and it went with western and Japanese traditional costumes. The styles of dress originated from career women who worked at Rokumeikan, during the Meiji period. At that time, people wore costumes which were western-style but had some Japanese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However, those were mainly ceremonial, for the upper classes, and because of the discomfortable aspects that hardly could be adapted for common people, this was not popular with common women. Footwear and accessories were coordinated harmoniously with the upper classes in Meiji period while commoners wore Kimonos decorated by western accessories. 2) In early times of Daisho & Showa, the western-style clothes were popularized among career women and students, keeping step with contemporary western vogue. On hair style, Sokuhatsu was still in fashion even during the Daisho times. Pursuing individuality could be the difference comparing with the Meiji times. We can tell the changes of fashion from the styles : Micmikakushi & Mimidashi. Furthermore in Showa times, it was adopted and popularized rapidly in sanitary and practical points to the common women that a perm with wave on whort hair. On clothing style, the western popular style was also in vogue in Japan from the early stage of the Daisho & Showa times, under the favor of the diffusion of education, women's activities, in society, and dissemination of western culture. Also, the westernization was accelerated by those cases : Kanto earthquake, Shirokiya conflagration, etc. which was pointed out as malfunctions of Japanese traditional costumes. On footwear & accessories, people wore high-heel shoes, keeping pace with the westernization of clothing and introduction of handbag and other accessories. 3) Wearing western-style cloths and perms were prohibited during those periods :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the Pacific war. On hair style, electric perm was forbidden for preparing against national emergencies and substituted for that, the style 'Jugomage' was in vogue which didn't use wave. On clothing, they only could wear the basic wears and Mompe owing to the shortage in goods. Perhaps clothing life of women focused on respects of function and activity more than those of beauty, preparing against national emergencies. In addition to that, people could only use the substitute for footwear & accessories in accordance with prohibition of offering accessories to forbid adornment. 2. I got to see the fact : Japan influenced Korean women's dress and its ornaments in the course of westernization. There were several hair styles which were introduced by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 those were 'Changmori'(originally 'Mimikakushi' or 'Mimidashi' in Japanese) and S-shaped hair style. Both of them were very popular among Korean women ; short hair & perm were also in vogue. On clothing, neo-women preferred the western clothing styles like Art nouveau, Art deco ; while they wore 'Mompe' compulsory after the war for its usefulness. Besides, it looks like 'Amiagegutsu' was in fashion by the name of 'Mokgudoo' and women introduced and wore high-heel shoes.

      • 열간 압출에 의한 n형 Bi-Te계 열전 소재의 성능 증대 연구

        황정윤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까지 Bi2Te3계 열전 소재 제조를 위해 일방향 응고, 가압소결, 열간 압출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이 개발되었다. 이 중, 열간 압출은 높은 결정 배향도의 다결정 소재 제조가 가능하여 일방향 응고 공정의 높은 열전성능과 가압소결 공정의 높은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공정기술이다. 그러나, 다른 공정기술과 마찬가지로 열전 소자 제조 시 여러 단계의 가공공정이 필요하여 소자제조 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영역에서 최대 열전 성능을 갖는 Bi-Te계 열전소재 중, n-type Bi-Te계 열전 소재의 성능과 재현성 문제, 열간 압출 공정을 통해 열전 모듈 제조 시. 제조 수율과 열전 소자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열전소자 제조 수율 증대를 위한 유사정형 열간압출 공정을 개발하였고, 개발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고성능의 n형 Bi2Te3계 열전소재를 제조하였다. 개발 유사정형 열간 압출 공정은 다른 제조 공정과 달리 열전소자 제조 시, dicing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자제조 수율을 80%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사정형 열간압출 공정 확립을 위해 몰드 형상을 최적한 상태에서 주요 공정인자인 압출 압력과 온도에 따른 결정배향도와 상대밀도를 측정하였다. 최적화된 열간압출 압력 및 온도 조건에서 Cu가 첨가된 Bi2Te2.7Se0.3를 제조하고 전기전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Cu가 반데르발스 결합 사이에 intercalation되는 경우에는 전기전도도가 증가한 반면, Cu가 Bi자리에 치환되는 경우에는 전기전도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u intercalation은 Te/Se 자리 결함형성을 억제하여 소재의 균일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하밀도 제어를 위한 Cu 첨가량 최적화에 의해 Cu0.03Bi2Te2.7Se0.3 조성에서 상온 4.31mW/mK2의 최대 파워펙터 값을 구현하였다. Thermoelectric effect is the direct conversion between heat and electrical energy through termperature gradient, which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Seebeck effect, Peltier effect, Thomson effect). Until now, various processing technologies such as zone melting, pressure-induced sintering and hot extrusion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roduction of Bi2Te3-based thermoelectric materials. Among them, hot extrusion is an effective process technology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ducing a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a zone melting proess and a high mechanical strength of a pressure-induced sintering process 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polycrystalline bulk having a high crystal orientation degree. However, as in other process technologies,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yiel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fabrication is low because a complex processing steps are required. In the present study, a near net shape (NNS) hot extrusion process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yield of thermoelectric element fabrication, and high-performance n-type Bi2Te3-based thermoelectric materials were prepared. Compared to other processing technologi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yiel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fabrication more than 80% because the dicing process is not required. To establish the NNS hot extrusion process, the crystal orientation degree and relative density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extrusion pressure and temperatrue which are the main processing parameters in the optimized mold shape. The Cu added Bi2Te2.7Se0.3 samples were prepared under optimized hot extrusion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ir electronic transport properties were evaluated. When Cu was intercalated into van der Waals bo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d, whereas when Cu was substituted with Bi,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ecreased. In addition, Cu intercal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electronic transport properties of the batch-to-batch samples by suppression of Te/Se site defect. The maximum power factor of 4.31 mW/mK2 at 300 K was obtaiend in Cu0.03Bi2Te2.7Se0.3 by contol of Cu addition for carrier concentration optim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