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탄- 임진강유역 구석기공작의 제작과정 분석연구

        황소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탄-임진강 유역의 대표적 유적인 전곡리 구석기유적과 금파리 구석기유적의 석기비교연구를 통하여 이 지역 구석기공작의 성격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한탄-임진강 유역에는 전곡리 구석기유적과 금파리 구석기유적을 비롯하여 수십 여 곳의 구석기유적이 분포되어 있다. 1978년 전곡리 유적에서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의 발견은 1970년대 말까지 인도를 중심으로 구석기 문화권을 아프리카-유럽문화권(Hand-axe Culture)과 동아시아의 찍개문화권(Chopper & Chopping tool Culture)으로 2분 하던 모비우스(Movius H.JR)의 학설을 재고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이 지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한국 구석기고고학의 연구에 큰 발전의 계기가 마련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는 한탄-임진강 유역의 전곡리 구석기유적과 금파리 구석기유적에 대한 기존의 성형석기 위주의 연구방식에서 벗어나 석기제작과정상의 부산물인 박편과 석핵을 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박편과 석핵은 성형석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부산물 중 석기제작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되며, 성형석기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로 출토되어 비교연구의 풍부한 자료가 되고, 무엇보다도 타격에 의한 박리흔적이 잘 남아 있다. 박편과 석핵을 분류체계에 따라 계량적 쪾형태적 쪾 기술적 분석을 실시한 후 일정한 유형별로 형식분류를 하여 한탄-임진강유역의 일반적인 석기제작기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박편은 일반적으로 타격면의 가공이 없이 자연면이나 박리면의 평면을 이용하여 떼어낸 것이 상당수이다. 특히 타격면이 자연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면에 자연면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것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동일한 자연면을 타격면으로 이용하여 연속적인 타격을 베풀어 박편을 박리시켜 나가는 제작기법으로 한탄-임진강유역 구석기공작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석핵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집중적인 타격이 이루어진 원추형 석핵, 이중명칭을 부여할 수 있는 복합 석핵, 다각면 원구등도 상당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매우 즉흥적으로 일시적인 용도에 맞도록 비정형화된 간편한 제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위의 두 유적은 모두 일정한 수평면에 수 백점의 석기유물이 높은 밀도를 보이며 집중적으로 출토되는 공통점을 보인다. 이 중 하나의 개체로 접합복원되는 자료가 전곡리 유적에서는 9세트, 금파리 유적에서는 8세트로 관찰되었다. 이 석기접합자료 중에서도 원석의 형태를 알 수 있을 만큼 접합복원이 이루어지는 접합유물자료가 있어 주목된다. 이 석기유물의 접합복원을 통하여 석기의 제작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인 박편과 석핵 및 석기접합자료에서 보이는 한탄-임진강 유역의 구석기 공작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도구로서의 기능이 비교적 확실한 것, 즉 계획적으로 제작된 석기의 정형성은 관찰하기 어려웠으며, 대단히 우발적, 비계획적, 비정형적인 제작방식이 주로 관찰된다. 이는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떨어져 나가는 석재의 제약성과도 관련이 있겠지만 풍부한 석재와 함께 생계전략적으로 몇 가지 효율적인 기법만으로도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석기를 제작할 수 있었음을 추론 할 수 있다.

      • 한국어 교재의 감탄사 사용 양상 연구 : 교재 내 대화문, 듣기 지문 텍스트를 대상으로

        황소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nalyzed the usage of exclamations in Korean textbook’s dialogue and listening part to check the appropriate arrangement of exclamation for learner’s level and to check the use of exclamations in actual language life.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meaning of exclamation to identify the status of education on exclamation for each level. For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5 Korean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used. Regarding the definition of exclamation, this study referred to the definition set by Gishim Nam and Yeonggeun Go (1993). For the evidence of exclamation, this study checked the registration of the exclamation on Korean Dictionary of Standard Language. For analysis standard for exclamation level, this study referred to ‘Educational Exclamation Lis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cre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or analysis standard for exclamation type, this study referred to the exclamation suggested by Gishim Nam and Yeonggeun Go (1993) while dividing the exclamations into ‘Emotional Exclamation’, ‘Intentional Exclamation’, and “Formal Exclamation’. For analysis standard for meaning of exclamation, this study divided the meaning of ‘Yes’ into ‘agreement or surprise’ and meaning of “No’ into ‘denial or surprise’. Also, the meaning of ‘Okay’ was divided into ‘agreement or surprise’. The analysis results on the use of exclamations in Korean textbook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pattern of exclamation for each level showed that use of exclamation was the same in all levels. The exclamation appeared on the all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vocabulary. All levels, however, focused on few elementary level exclamations. The Korean textbooks hardly reflected the vocabularies from standard lists and the textbooks frequently used the exclamation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level. Secondly, analysis on exclamation type demonstrated that the exclamations appeared on the same pattern for all textbook levels in the order of ‘Emotional Exclamation’, ‘Intentional Exclamation’, and ‘Formal Exclamation’. Although ‘emotional exclamation’ took up large portion in corpus, ‘intentional exclamation’ was emphasized in the Korean textbooks. Furthermore, the analysis on the meaning of the exclamation showed that the meaning of exclamation concentrated on one meaning. So, it is unlikely to for the Korean textbook to include many intentional exclamations for providing the meanings in a balanced way.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xclamation by examining the dialogue of the Korean text books and it showed that some exclamations used in the text books were clearly different from actually used exclamations. Based on this study’s analysis on Korean textbook’s exclamations, further studies should provide more effective and useful exclamation education method to help i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가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소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코로나 19로 인하여 많은 소비자가 밖에 나가서 외식하는 행위에 대해서 많이 자제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많은 소비자층이 모바일을 활용하여서 하는 활동들이 많아지고, 또한 외식업계에서도 이러한 모바일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로 다른 경쟁업체들 사이에서 시장 우위를 하고, 이러한 서비스들로 고객들과의 장기적 유대관계에 형성하려는 많은 방법 중 특히 모바일 서비스 중 플랫폼 서비스의, 현재 외식산업뿐만 아니라 많은 우리 생활 전반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 확대되어 있다. 외식업체가 하는 모바일 서비스 중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와 모바일쿠폰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이러한 외식 모바일 서비스가 만족도에 대해서 얼마만큼 만족을 주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도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파악을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통계가 불가능하고 많은 중복 답변을 기재한 설문지를 기재한 30부 제외하고 350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ANOVA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특성(경제성, 편의성, 유용성, 상호작용성,안전성)의 모든 요인이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특성(경제성, 편의성, 유용성, 상호작용성,안전성)의 경제성, 편의성, 상호작용성에 따라서만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고객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한 내용으로 고객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고객만족도가 외식업체 플랫폼 서비스특성중 (경제성, 편의성, 유용성, 상호작용성,안전성)에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고객만족도가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특성들이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에 대해 기술 수용모델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IT 첨단기술 및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진행됐다. 본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을 적용하여서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관련된 다른 변수들과도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도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둘째, 주로 이용하는 외식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셜마켓(38.3%)다 그다음으로는 외식업체에서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로 (26.9%)로 고객들에게 조금 더 외식업체의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가 대중적으로 접근을 위해서는 외식업체 자체적으로 조금 더 소비자들에게 맞춰서 마케팅과 이벤트들에 대해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해본 연령대 중 가장 큰 만족을 하고 사용하는 연령대는 20대가 높았고 50대가 가장 고객만족도가 낮았다. 50대 이상의 분들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들에 대해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으므로 50대 이상 분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편한 사용 시스템과 이용방법들에 대해서 구축하여 서비스가 이어져서 이러한 고객들의 이탈을 줄이는 것이 더 중요 할 것이다. 본연구의 결과는 외식업체의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에서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외식업체에서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가 고객들에게 영향을 주고 또한 고객들의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증명을 하며, 이러한 외식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서 다른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외식 산업의 꾸준한 성장에 대한 자료와 앞으로의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 외식산업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서 업체들이 전략을 세우고 더욱더 외식업체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에 대하여 전략 수립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due to COVID-19, there has been a change where many consumers refrain from eating out. Also, many consumer groups are engaged in activities using mobile devices, and various services making use of mobile environment are being provided in the restaurant industry. Among many strategies to gain market dominance from other competitors and build long-term relationship with customers, platform services, especially on mobile condition, are expanding not only in the restaurant industry but also in all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out our lives. Influence of mobile platform services and mobile coupons provided by restaurant corporates on satisfaction level of consumers was investigated. Then, whether such satisfaction affects intention to revisit the service was also stud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of using restaurant's mobile platform services. 350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ept for 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duplicated answer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urvey result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each variabl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mobile platform (economic, convenience, utility, interaction, and safe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all of factors were adopted.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mobile platform (economical, convenience, useful, interaction, safety), economic, convenience, interaction traits were partially adopted as these featur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ird, it was verified that consu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intention of revisiting.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n intention of revisiting among restaurant platform service characteristics (economical, convenience, useful, interactive, and safety). Implications for mobile platform services provided by restaurants have been derived from research and are stated below. First, studies which utiliz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for mobile platform services were conducted on consumers who openly take advantage of IT high-tech and servic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ttributes to appliance of variables in research. Also, basic data for studying correlations with other related variables presented in this paper possess academic importance. Second, social market (38.3%) is the most frequently used restaurant mobile platform service, followed by platform services operated by restaurants (26.9%). For restaurant’s mobile platform service to publicly approach consumers, diversified marketing and events focused on consumer needs are thought to be necessary. Third, when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mobile platform services provided by restaurants were divided into age groups, those in 20s showed highest satisfaction while 50s group had least appreciation of the services. Considering that users aged over 50 have difficulty accepting new digital technologies, establishing simple system and decent accessibility should heighten satisfaction of older users and prevent loss of customer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on mobile platform services provided by restaurants, influence of such mobile services on consumers and intention of revisiting have been verified. This paper should provide interest to other researchers. Data for steady growth of dining industry and future direction of the industry have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In near future, corporates will be aided by this research i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mobile services in the domestic restaurant industry.

      • 염료화 감물의 염색성

        황소희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Persimmon juice was subject to alkaline hydrolysis to promote color formation. It was used when dyeing cotton and silk to review its dyeing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Color fastness to washing of fabrics subject to alkali conversion of persimmon Juice improved after the 60-minute steaming. Both for cotton and silk, as the density of alkali conversion of persimmon Juice thickened, the degree of dyeing increased while as the dyeing temperature rose, the degree of dyeing increased. However, the K/S increase was not re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the dependence on temperature was low. As for dyeing characteristics based on changes to the length of time for dye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K/S values regardless of length of time for dyeing cotton. However, as for silk, as the length of time of dyeing increased, the degree of dyeing increased. The degree of dyeing was highest at pH4 as for silk. As for the measurement of color fastness, color fastness to light and color fastness to washing for cotton subject to alkali conversion of persimmon Juice were Level 2-3 and Level 3-4, respectively while those for silk were Level 3 and Level 4, respectively. Also, both for cotton and silk, the flexibility was higher when they were dyed with alkali conversion of persimmon Juice than with dyed persimmon tannin. As the above description tells, deep shade was produced upon dyeing once based on color formation via alkaline hydrolysis of persimmon tannin. The usefulness of alkali conversion of persimmon Juice to supplement problems with color formation of persimmon juice was confirmed, which reveals great practical value of the study. These conditions shall be applied to mordants after dyeing based on more systemic attempts so that more various colors can be produced, which necessitates further studies.

      •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황소희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6 first and second,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on Adolescents’ depression Inventory(CES-D), School Adjustment Scal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applied with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PSS). Also, Sobel's(1982)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a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turned out that as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school adjustment sub-factor(school study, school friend, school teacher, school life). was decreased. Third, as the total score of school adjustment sub-factor(school study, school life)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decreased. Fourth, the total score of school adjustment sub-factor(school study, school lif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ve symptoms affects school stud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us leading to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3곳의 중학교 1, 2, 3학년 466명을 대상으로 우울증상 척도(CES-D), 학교생활적응 척도,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S-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우울증상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우울증상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우울증상이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우울증상이 학교생활적응의 각 하위요인(학교공부, 학교친구, 학교교사, 학교생활)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생활적응 4가지 하위요인(학교공부, 학교친구, 학교교사, 학교생활) 중 학교공부, 학교생활만이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학교공부, 학교생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방법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우울증상은 학교공부 및 학교생활을 부분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상과 학교생활적응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공부, 학교생활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루소의 입법자 개념과 헌법제정의 정당성

        황소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루소의 『사회계약론』에 등장하는 입법자(lawgiver) 개념은 주로 민주적 정초와 관련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적인 요소로 해석됨으로써, 루소의 정치철학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동시에 가장 모순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져 왔다. 그러나 루소가 인민주권론을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법적 입장을 표명하였다는 점에서, 루소의 입법자를 루소의 전반적인 철학과 일관된 방식으로 새롭게 해석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입법자가 관련하는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의 본질과 그 안에 내재하는 긴장관계에 주목함으로써 루소의 입법자가 『에밀』에서의 교사로 재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를 통해 『사회계약론』에서 제시된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가 입법자를 통해 해결되는 구체적인 과정과 그 결과들을 일관되게 설명해내고자 한다. 정치적 권력의 정당성의 문제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 헌법제정의 정당성의 문제는 ‘건국 당시 존재하는 인민의 의지가 어떻게 옳을 수 있는가’라는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법률 해석의 근간과 관련하여 사회적 사실과 도덕적 사실의 대립이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에 있어서도 인민의 의지에 근거한 민주적 정당성과 도덕적 옳음에 근거한 도덕적 정당성 간의 대립이 존재한다. 그로 인해 두 가지 정당성을 모두 확보하려는 노력 대신, 둘 중 한 쪽의 순수한 정당성만으로 헌법제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슈미트(C. Schmitt)의 순수한 민주주의 이론과 피니스(J. Finnis)의 신 자연법 이론이 제기되었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그러므로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에 내재하는 민주적 정당성과 도덕적 정당성 간의 긴장관계는 양립불가능한 모순관계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역설관계라고 할 수 있다. 루소의 『사회계약론』에서 헌법제정과 관련하여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루소의 입법자는 신과 같아야 하며, 인간의 본성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일체의 권력을 소지하지 않은 채 설득하는 권위를 가지며, 인민과 관계없는 외부인이어야 한다. 이러한 입법자에 대한 기존의 해석으로는, 호닉(B. Honig)의 외재성, 벤하비브(S. Benhabib)의 이상화된 합리성, 켈리(C. Kelly)의 롤모델, 탈몬(J. L. Talmon)의 교육자 등이 있지만, 이러한 해석들은 모두 입법자에 대한 일면적 해석에 그친다는 한계를 지닌다. 입법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 입법자 개념을 루소의 철학과 일관된 것으로 해석해내기 위해서는, 루소의 입법자를 『에밀』에서의 교사(tutor)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입법자는 곧 ‘인민에게 덕성을 가르치는 교사’라고 할 수 있다. 입법자를 통한 정당한 헌법제정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입법자가 작성한 법률에 대한 인민의 자발적이고도 주체적인 동의가 요구된다. 그를 위해 입법자는 ‘인간본성을 변화시키는 능력’인 설득을 통해 덕성을 지닌 시민을 만들어냄으로써 헌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 과정을 통해 양심의 목소리를 듣게 된 시민들의 의지는 언제나 정의를 담보한 옳은 의지이기에 입법자의 법률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이 동시에 확보된다. 덕성을 갖춘 시민이 의지하게 된 일반의지 안에서 헌법제정의 민주적 정당성과 도덕적 정당성이 화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며, 이러한 일반의지는 사실적인 동시에 도덕적이게 된다. 입법자를 통해 비로소 정당한 헌법이 만들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인민의 자유는 훼손되지 않는다. 입법자에 의해 시민으로 변모된 인민들은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하게 되고, 무오류적 일반의지를 의지하게 되는데, 이 둘은 시민적 덕성의 일환으로서 건국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가 된다. 자유의 보존과 관련된 감정적 유대와 공통의 신념은 정당한 정치체의 운영에 기여하며, 입법자의 부재를 대신하는 ‘수호자(guardian)’의 역할을 하는 시민종교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보된다. 그러나 『사회계약론』에서 제시된 이상사회는 역설을 완화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로서 제시되었을 뿐이며, 루소는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가 결코 완전히 해결될 수 없을 것이라 보았다. 역설 관계 속에서의 화해(reconciliation)에 주목했던 루소는 신적인(divine) 본능인 양심에 기반을 둔 도덕적 규범과 이익을 고려하는 인간적인(human) 인민의 의지가 서로 균형을 이룬 시민적인(civic) 덕성을 통해, 해소될 수 없는 긴장관계가 내재하는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시민적 덕성을 어떻게 함양시킬 것인가’라는 더 큰 물음으로 헌법제정의 정당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루소는 고대의 공화주의를 근대적으로 부활시킨 자유주의적 공화주의자이자, 인간 삶에 내재한 딜레마를 알고 있으면서도 나아감을 포기하지 않았던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였다.

      • 방과후 무용수업에서 지각된 교수행동, 정서 및 수업관여도 간의 관계

        황소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emotions, and class engagement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to test the levels of these variables across gender and grades. The results of three study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during dance class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high school students more perceived autonomy-supportive behaviors from dance teachers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much more controlled and psychological pressure from dance teacher in dance classe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ceived controlled teaching behaviors from dance teacher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but males received autonomy support from dance teachers compared with females and was higher in positive emotions and class engagement. Fourth, dance teachers’ autonomy-support teaching behaviors facilitated students’ positive emotions, in which enhanced the level of class engagements. But controlled teaching behaviors increased students’ negative emotions and decreased the level of class engagement. Key words: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emotions, class engagement, dance class, da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