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선로보수 장비 유압 작동유의 산가에 의한 교환주기 분석

        홍영선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는 선로보수 장비에 사용되는 유압 작동유의 산가에 의한 교환주기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선로보수 장비에 사용중인 유압 작동유는 정량적 품질기준 없이 시간기준에 의거 일체 교환한다. 교환시점에 장비별 유압 작동유의 상태를 비교해 보면 열화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의 교환기준 적용에 대한 정량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유압 작동유의 교환주기 산정 및 품질관리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압 하에 운행되고 있는 밸러스트 레귤레이터 장비를 대상으로 유압 작동유의 품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압 작동유의 성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전산가 측정에 의한 시험을 하였다. 시험을 위한 측정 방법을 선정하고, 정확한 시험을 위해 시료 채취 기준을 정립하였다. 품질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관리도에 의한 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범위 관리도와 지수 가중 이동평균 관리도 해석 결과는 관리상태에 있었으며, 평균 관리도 해석 결과는 1,400시간, 누적합 관리도 해석 결과는 1,600시간에서 관리이상 상태를 보였다. 따라서 밸러스트 레귤레이터에 사용중인 유압 작동유의 적정 교환주기는 보수적 유지보수 관점에서 평균 관리도에 의한 1,400시간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해 현재 기준 대비 약 17%의 교환주기 연장으로 전체 장비의 기대수명 동안 653백만원의 비용절감이 기대된다.

      •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홍영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블로그(blog)는 ‘참여,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의 대표적 도구로,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보다 강화되었다는 특징을 가진다. 블로그 사용자들은 자신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Hiler, 2003), 서로 자유롭게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쉽게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다(허희옥, 강의성, 2010). 이러한 블로그는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수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블로그는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분석적, 창의적, 직관적, 문제해결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블로그 공간이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로그를 활용하면 학습자 간 친밀한 협력적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학습 공동체 형성이 보다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블로그의 강한 상호작용적 특성은 블로그를 활용하여 웹 기반 협력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웹 기반 협력학습(WBCL: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은 웹 기반 학습환경에 상호 연결된 학습자가 공동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교환하는 협동적 과정으로, 학습자들은 블로그 공간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협력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만족도나 성취도 등 학습 결과를 높이는 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학습자들의 정보처리 과정이 온라인상의 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정교화되어 가고 이에 따라 점차 학습이해도가 높아져 높은 학업성취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김원경, 황성현, 곽승우, 2006). 최근 웹 기반 환경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 협력적인 학습 활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인으로서 ‘몰입(flow)’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김영희, 김영수, 2006; 유병민, 김수욱, 박성열, 박혜진, 2010; 박성익, 김연경, 2006).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하면, 몰입(flow)이란‘과제 해결이나 활동에 집중할 때 나타나는 최적의 심리현상’으로 정의된다.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몰입을 경험하면, 학습활동과 학습과정 자체에 즐거움을 느껴,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과 협력을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하게 된다(계보경, 김영수, 2008; 박성익, 김연경, 2006).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 상황에서도 학습자가 몰입할수록 웹에서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몰입은 만족도와 성취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영희, 김영수, 2006; 문철우, 김재현, 2011). 이처럼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몰입이나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한 요인임에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의 논의는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몰입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선행요인이 되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몰입과 만족도 혹은 몰입과 성취도를 매개하는 요인이 되는 모형에 대한 논의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몰입과 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가? 2.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본 연구는 2012학년 1학기에 경기도 소재 G대학교에서 개설된 ‘한국정부론’과목의 수강생 40명과, S대학교에서 개설된 ‘전자정부론’과목의 수강생 33명, 총 7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두 과목은 행정학 분야의 전공기초 과목으로서 다루어지는 내용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과목의 차이는 실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교수자 변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서 동일한 교수자가 두 개 과목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최종 결과분석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64명으로, 팀 발표 당일 결석으로 설문에 참여하지 않은 4명,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3명, 한국어 쓰기에 미숙하여 블로그 활동 참여가 어려웠던 외국인 2명을 제외하였다. 분석대상에 포함된 설문 응답자는 성별로는 남학생 31명, 여학생 33명, 학년별로는 4학년 31명, 3학년 33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팀별 협력학습을 위해 5~6명으로 팀을 구성하고, 각 팀은 해당 과목 교수자 블로그의 팀 활동방을 배정받아 활동하였다. 학습자들은 오프라인 수업에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학습하고, 동일한 블로그 환경에서 7주 간 각 팀별로 구성원 간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제는 각각 ‘지방정부의 갈등 해결’과 ‘구청 홈페이지 문제점 해결’에 대한 것으로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비구조화된 문제해결형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몰입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성취도 간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몰입, 내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은 만족도(r = .62, p < .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몰입과 내향 연결 중심도, 내향 연결 중심도와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몰입, 외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과 외향 연결 중심도(r = .28,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와 만족도(r = .30, p < .05)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몰입, 내향 연결 중심도, 성취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과 성취도(r = .26, p < .05), 내향 연결 중심도와 성취도(r = .21, p < .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몰입, 외향 연결 중심도, 성취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과 외향 연결 중심도(r = .28,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와 성취도(r = .36, p < .01)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몰입과 만족도, 몰입과 성취도 간 관계에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분석 방법에 따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매개 효과 검증 과정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과 만족도 간 관계에서 내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나(β = .62, p < .05), 2단계에서 몰입이 내향 연결 중심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12, p > .05). 따라서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내향 연결 중심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과 만족도 간 관계에서 외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β = .62, p < .05), 2단계에서 몰입은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 = .28, p < .05). 그러나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이 통제된 상태에서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가 종속 변인인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았으므로(β = .13,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는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과 성취도 간 관계에서 내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나(β = .26, p < .05), 2단계에서 몰입이 내향 연결 중심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12, p > .05). 따라서 몰입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내향 연결 중심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몰입과 성취도 간 관계에서 외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β = .26, p < .05), 2단계에서 몰입은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 역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 = .28, p < .05). 그러나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이 통제된 상태에서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가 종속 변인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았으므로(β = .20,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는 몰입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해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블로그를 활용하는 실험적 연구의 수행에 있어, 연구가 진행되기 전 블로그 활용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학습자들이 블로그 활용법에 대한 기본적 이해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숙지한 뒤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수자 혹은 연구자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영향을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은 처음 접하는 학습자로서는 생소한 환경이므로 교수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자를 관리하는지 여부에 따라 몰입이 성취도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대해 오프라인 모임, 모바일의 활용 등과 연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블로그의 팀 활동방에 게시된 자료만을 상호작용 데이터로 수량화하였지만 학습자들이 실제로는 블로그 활용에 익숙하지 않아 오프라인 모임이나 모바일을 활용한 상호작용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블로그를 활용하면서 오프라인 수업 시간에 면대면 모임 시간을 제공하거나 모바일 활용과도 병행하도록 하는 등 실시간 상호작용과 연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도 팀 리더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수행 시 팀별 리더를 인위적으로 선정하지 않았음에도 자연스럽게 팀 리더가 정해졌으며, 보다 책임감 있고 적극적인 팀 리더가 있는 팀은 그렇지 않은 팀에 비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나 만족도, 몰입도 등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 연구에서는 팀 리더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조화시킴으로써 보다 분명한 인과관계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팀 활동에 대한 개인 성찰 보고서나 팀 활동 종료 후 교수자와의 집단면접 혹은 일대일면접을 통해 실제 해당 요인이 팀 활동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몰입 상태의 측정은 팀 활동이 종료된 후 설문지에 의해 실시되었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몰입 측정시기와 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A blog could be an important tool for education in the era of web 2.0 which features participatory information sharing, interoperability, user-centered design, and collaboration. Especially, it focused on interaction between users. The blog users easily create new things by sharing their own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Huh & Kang, 2010). Learners can increase critical, analytical, creative, intuitive, and problem-solving their abilities through the blog and establish learning communities actively by interacting each other collaboratively in the blog. This interactive blog could help the learners perform the WBCL(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hich is defined as a collaborative process where interactively connected learners on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web discuss and exchange their ideas to solve common problems successfully. The learners could perform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re easily on the blogs. In the process of WBCL using blog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an be a critical success factor for desirable learning performances including learners’ satisfaction or achievement. Learners can process information precisely through the interaction. It leads to high understanding and high achievement(Kim, Hwang, & Kwak, 2006). Recently the flow experience is emerging as an key factor for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or collaborative learning(Kim and Kim, 2006; Ryu, Kim, Park, & Park, 2010; Park and Kim, 2006). Csikszentmihalyi(1975) defines it as “the holistic experience that people feel when they act with total involvement. If a learner experiences the flow in the learning process, he feels joyful for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process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through interacting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learners(Gye & Kim, 2008; Park & Kim, 2006). It could be applied to the blog WBCL. If a learner experience flow state, he can increase the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on the blog of web. It also can influence a leaner’s satisfaction or achievement(Kim and Kim, 2006; Moon & Kim, 2011). Although the flow experience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re critical factors in the blog WBCL, it is little discussed in the existing blog WBCL literatures, especially flow as an antecedent of interaction and interaction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or flow and achievement.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 structured relationship among flow experience of a learner,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WBCL using blogs and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low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s? 2.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the flow experience predicts variables of satisfaction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s? 3.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the flow experience predicts variables of achievement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40 students who took ‘Korean Government’ subject at the G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Korea and 33 students who took ‘e-Government’ subject at the S university located in the same province. The reason is that the two universities or two classes could offer enough number of observations for this experiment. The factor of university or class might not affect the experimental results because the both subjects were the same major courses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led by the same instructor. Although totally 7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blog WBCL, finally 6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ecause fou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esentation of team reports, three students who did not answered the questionnaire faithfully, and two students who were not good at Korean-writing as foreigners and participated little in the blog WBCL were excluded. They consisted of 31 men and 33 women by sex and 31 juniors and 34 seniors. 14 teams were formed and each team is composed of five to six team members autonomously or non-autonomously. A team activity room on the instructor’s blog is allocated to each team. The students learned theoretical issues in the off-line face-to-face class and performed team activities on the instructor’s blog through collaborative interaction between the other members during seven weeks. The subject of team assignments are ‘solving conflicts in local governments’ and ‘solving problems of websites of local governments’which are non-structured problem-solving type of assignm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in-degree centrality and satisfaction, the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r = .62, p < .01) but has the in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gree centrality. The in-degree centrality has the in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out-degree centrality and satisfaction, the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ut-degree centrality(r = .28, p < .05) and the out-degree centrality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r = .30, p < .05).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in-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the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r = .26, p < .05) and in-degree centrality has the significant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r = .21, p < .01).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out-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ut-degree centrality(r = .28, p < .05) and out-degree centrality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r = .36, p < .01). Second, findings from regression analysis on a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and flow and achievement by three steps of Baron & Kenny(1986)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β = .62, p < .05) but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in-degree centrality (β = .12, p > .05) on the second stage.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β = .62, p < .05) and on the second stage, the flow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out-degree centrality (β = .28, p < .05) but out-degree centrality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satisfaction (β = .13, p > .05) in control of flow.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β = .26, p < .05) but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in-degree centrality (β = .12, p > .05) on the second stage.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Four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β = .26, p < .05) and on the second stage, the flow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out-degree centrality (β = .28, p < .05), but out-degree centrality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satisfaction (β = .20, p > .05) in control of flow.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ortant that for enhancement of learners’ performances includ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learning environment where learners are able to experience the optimal flow and interact with other learners actively should be designed in the WBCL using blog. For that, an instructor should help the learners to take sufficient education for not only understanding blog but also using it freely and an instructor. Second, the next research can focus on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Because blog-based WBCL is unfamiliar for learners who experience blog newly, the instructor’s proper management might be a critical factor in order that flow leads to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ird, it recommends that connecting blog activities to off-line meeting or mobile devices be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as performed in not only blogs but also off-line meetings and mobile phones because the learners seemed not to be familiar to using blogs. If the instructor present some time of face-to-face meeting in the off-line class or encourage learners to use mobile phones in real-time, more precis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on learning performances could be measured. Fourth, a team leader’s role should be investigated in the WBCL using blog. In this study, a team leader emerged naturally in each team despite no intended selection. In addition, a team which has a more responsible and active leader resulted in high flow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Consequently, the next study is recommend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team leader. Lastl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ld be integrated to prove more evident causal relationship in the WBCL using blog. The reflection journal and group or one-to-one interview with learners may offer real factor which affect the performance they feel. Additionally, the measurement of flow experience was performed after team activities finished but the next research needs to diversify the measurement time and method.

      • 말라리아 발생에 대한 역학적 분석과 군인의 지식, 태도 및 행동 : 경기도 비무장지대 인근을 중심으로

        홍영선 삼육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 목적은 국내 말라리아 발생의 역학적 분석과 비무장 인근 군부대에 현역 군인들의 말라리아에 대한 교육 및 지식, 태도, 행동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말라리아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를 제공고자 한다. 2001~2014년까지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웹통계시스템(Infectious Disease Statistics System: IDSS)을 통해 신고 된 환자 자료를 이용하였고, 설문은 비무장지대 인근 군부대 현역군인들을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조사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ArcGIS 12.0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간분석 및 ANOVA, 카이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2014년까지 말라리아 환자 발생 양상은 2001년 2448명, 2002년 1763명으로 차츰 감소하다가 2006년(2,201명)과 2007년(2,192명)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이후 2010년(1,721명)을 기점으로 2011년도부터는 환자가 발생수가 1천명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지역적 분포는 경기, 강원, 인천, 서울지역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강화, 파주, 연천, 철원 지역의 환자 발생이 타 지역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 둘째, 말라리아 발생의 지리적 경향은 2001∼2014년까지는 강원 동해안 지역에서 많이 발생되었고, 2005년부터는 경기서북부와 인천 강화지역을 중심으로 환자 발생 분포가 높았다. 셋째, 말라리아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지식점수는 총11점 만점에 평균 5.7점(±2.643)이였다. 지식점수는 23세 이상(7.1점)과 4년제 이상(6.26점), 병장이상(6.59점)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입대전과 후의 말라리아 교육을 받은 경험은 23세 이상 78.6%, 2∼3년제 69.6%, 병장이상이 78.0%로 나타나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교육경험률이 높았다(p.<05). 넷째, 지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수준(β=.188, p<.001), 연령(β=.171, p<.004), 계급2(β=.145, p<.019)순 이었으며, 두 번째 모형에서는 낙인(β=-.236, p<.001), 교육수준(β=.170, p<.002), 연령(β=.157, p<.007), 계급2(β=.125, p<.041)순으로 나타났다. 태도 중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지식(β=-.265, p<.000)이었고,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도 지식(β=-.180, p<.003)으로 나타났다.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첫 번째 모형에서는 계급2(β=.162, p<.011), 과업(β=.146, p<.019), 계급1(β=.132, p<.042)순 이었으며, 두 번째 모형에서는 지식(β=.320, p<.000), 과업(β=.142, p<.017), 교육수준(β=-.120, p<.031)순 이었고, 세 번째 모형에서는 지식(β=.327, p<.000), 두려움(β=.151, p<.042), 과업(β=.138, p<.019), 교육수준(β=-.118, p<.033) 순으로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말라리아 발생은 비무장 인근지역에서 다발적으로 발생되었으며, 환자 발생의 45%가 군인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라리아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예방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말라리아 감염예방에 교육이 감염병 발생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임은 명백한 사실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말라리아 발생지역의 군부대와 민간인의 주기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고위험음주에 대한 선행세대의 영향분석

        홍영선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세대간 문제음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도구를 이용하여 세대별 문제 음주자 수를 추정함으로서 아버지와 할아버지 세대의 음주 형태가 자녀의 문제 음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이를 통하여 가족을 위한 건전음주 사업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효과적인 절주 프로그램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2009년 지역사회 건강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건강 설문 및 검진조사 내용 중 음주와 관련 있는 도구를 발췌하여 SPSS 18.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간 음주특성에서는 음주를 시작하는 연령이 20세 이하가 할아버지는 62.4%, 아버지 71.8%, 미혼자녀 남자 91.2%, 여자 91.0%로 청소년시기 및 성인 초년의 시기에 음주를 시작하는 것이 세대 간 흐름에 있어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인 아버지의 음주행태에 있어 ‘한 달에 2-4번 이상’의 음주빈도가 83.7%이고, ‘한 달에 1번 이상’의 고위험음주가 64.1%, 음주자제실패경험이 15.7%, 음주 후 일상생활지장경험이 9.6%, 음주 후 후회경험이 17.9%, 음주 후 기억장애경험이 10.2%이며, 가족․의사절주권고에서는 33.2%가 경험이 있고 다른 세대 보다 많이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음주유형에 따른 미혼자녀 음주행태 특성에서는 음주빈도, 1회음주량, 7잔 이상 마시는 횟수(남), 5잔 이상 마시는 횟수(여), 음주자재실패경험, 음주 후 후회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아버지 일반음주자군 자녀에 비해 고위험음주자군 미혼자녀가 요인별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코올 사용 장애 정도 AUDIT와 AUDIT-K에서도 아버지 고위험음주군 미혼자녀가 일반음주군의 미혼자녀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셋째, 할아버지 음주유형에 따른 미혼자녀 음주행태 특성은 1회음주량, 5잔 이상 마시는 횟수(여)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할아버지 일반음주군 미혼자녀가 고위험음주군 미혼자녀보다 음주행태 요인별 특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 음주유형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친 미혼자녀 음주행태변수는 일반음주자에 비해 고위험음주자의 음주빈도가 1.441배, 일회음주량 1.459배, 7잔 이상 마시는 횟수(남)가 1.661배, 5잔 이상 마시는 횟수(여)가 2.078배, 음주자제실패경험 2.377배, 음주 후 후회경험 1.577배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할아버지의 음주유형에서 영향의 미친 미혼자녀 음주행태 변수는 일회음주량이 3.642배, 5잔 이상마시는 횟수(여)가 4.091배로 나타났다. 다섯째, 세대 간 고위험음주의 관련성에 대한 결과 미혼자녀는 아버지가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 일반음주보다 고위험음주를 할 경우가 1.608배(p=0.002)이며, 할아버지가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 아버지는 일반음주보다 고위험음주를 할 경우가 3.705배(p=0.006)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조부모, 부모의 음주가 자녀의 음주에 영향을 끼치며 부모세대의 문제음주가 자녀의 문제음주를 유발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각 세대 간 음주연령 시작이 20세 이하가 높은 빈도를 나타났으므로 청소년 음주 및 대학생 음주와 관련된 체계적인 보건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세대별 음주행태요인이 아버지 세대의 고위험음주와 음주행태별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년 남성을 위한 절주 교육프로그램을 직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아버지의 고위험음주가 미혼자녀 고위험음주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가족단위의 건전음주사업을 예방과 치료의 접근방식으로 각 지역의 건강증진센타와 기타 협력기관 연계되어 음주자 가족단위의 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기혼직장여성의 가족건강성 예측모형

        홍영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edictive factors related family strength and develop a prediction model that explains family strength among married working women.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construct model was built of eight path way. Two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ego-resilience, family support. Three end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family stress, family strength.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0, 2013 to September. 30, 2013. Data was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from 319 married working women who are 30~40 aged and live in 2 cities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For analyzing data,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emographic variables of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he LISREL 8.52 program was used to find best fit model which assumes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rrelation among variables Ego-Resilience i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family support,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 Family support i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i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 Family stress i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family strength. 2. Hypothetical Model The overall fit of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suggested the necessity of model revision ; χ²=490.847(p<.001), GFI= .854, CFI= .886, NFI= .853, TLI(NNFI)= .863, RMSEA=.095 3. Modified Model For the validity and good fitness of the model,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with adding two path ways and removing one path way. The overall fit of modified model showed improving and a good fit to the data; (X2)=217.120(p<.001), GFI= .915, CFI= .948, NFI= .926, TLI(NNFI)= .931, RMSEA=.082. 4. Ego-resilience had a direct and total effect positively on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family stress had a direct and total effect positively on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family support had a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negatively on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Family support had a direct and total effect negatively on family stress. Family support had a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positively on family strength. Family stress had a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negatively on family strength.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had a direct and total effect positively on family strength.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prediction model on family strength of married working women was fit in the data and adequate. This study shows the most predicting factor of family strength was family support, family stress,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family strength explained 61.8% of model. Therefore, for improving family strength of married working women, this study suggest the nursing access and mediative program for improving family support and functional couple communication, and reducing family stress.

      • 폐경기 여성의 정신건강을 위한 문학을 활용한 REBT 프로그램의 효과

        홍영선 고려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Middle-aged women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situational crises related to aging, and many life events and changes in family system, and re-adaptation of roles. Menopause is a phenomenon in which menstruation is interrupted by a decreasing estrogen hormone in women of this period. It causes many changes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and requires proper management because can lead to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depression, anger, and aging anxiety.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REBT is effective for mental health. Among them, it is known that the program utilizing the literature is effective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reatment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literature through natural approaching to subjects and generating empath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on the self-esteem, ego-resilience, perceived stress, body image, depression, state anger, anger expression, and aging anxiety for the mental health of menopausal women.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and it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for mental health of menopausal women was conducted after passing the ethical review by K University IRB. Before real program, 4 menopausal women were selected for pilot study and 4sessions program was practiced,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ased on the result, the program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areas: introduction, work, integration, and new direction setting. It consists of recognizing of irrational emotion, converting to rational belief, purifying of negative feeling and emotion, and establishing of new direction. Reading, writing, presenting, discussing, sharing experiences, and lecturing were used to stimulating empathy of the participants.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for mental health of menopausal women was conducted in the public cultural center in C city, Chungnam, semiweekly, 90~120minutes per session, 10sessions during 5weeks, from February to April 2018. Subjects were 48 menopausal women aged 45 to 60 years old. 24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sampled intentionally. The major variables were self-esteem, ego-resilience, perceived stress, body image, depression, state anger, anger expression, and aging anxie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offer the material about information and management of menopau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χ2-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Hypothesis on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higher self-esteem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t=-3.39 p<.001). 2. Hypothesis tw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higher ego-resilienc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t=-2.50, p=.016). 3. Hypothesis thre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lower perceived stress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t=2.03, p=.048). 4. Hypothesis fou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lower body ima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t=2.75, p=.009). 5. Hypothesis fiv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lower depress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z=4.06, p<.000). 6. Hypothesis six,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lower state ang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z=3.77, p<.000). 7. Hypothesis sev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lower anger express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t=3.14, p=.003). 8. Hypothesis eigh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would have lower aging anxiety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upport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z=2.35, p=.019).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BT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for mental health of menopausal women improved the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of women, and was effective in reducing perceived stress, negative body image, depression, state anger, anger expression and aging anxiety.

      • 디지털 성범죄의 위장수사 쟁점과 과제

        홍영선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른바 ‘N번방’으로 불리는 성착취 사건은 그동안 외국의 SNS를 중심으로 누적되었던 우리나라의 반인륜적 성착취 실태의 종합체를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여성가족부에서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일부 개정 법률안을 상정하여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위장수사’라는 개념이 법안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위장수사’는 국가에 의한 기망의 요소가 행해지고, 이미 범의를 가진 자에게 단순히 범행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용이하게 하는 ‘기회 제공형’이라는 함정수사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또 헌법상의 권리 침해나 과잉수사로 인한 수사기관의 오용이나 남용에 대한 문제점도 우려된다. 기존의 연구들은 ‘위장수사’를 법제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행하는 ‘위장수사’ 특례에 관한 법 조항을 하나하나 해석하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 극복 방안과 위장수사를 지원할 수 있는 수사 환경을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위장수사’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위장수사관의 자격과 통제, 위장수사관의 교육, 실무적 지원을 위한 ‘위장수사’ 도구와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개정된 법에 포함되지 않은 ‘신분비공개수사’의 수사기간 연장과 ‘사후승인’ 제도, 신분증과 가상의 성착취물 제작, 민간인 신분의 정보원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을 제안하여,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실효적 수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동·식물성 1차 생산품의 HS 품목분류 체계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홍영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HS의 정식 명칭은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이를 약칭하여 "HS“라고 한다. 일명 HS 품목표는 순 관세 목적인 CCCN 분류체계와 통계목적인 SITC 분류체계를 모체로 하였고, 기타 다른 국제상품 분류체계를 참조로 하여, 관세ㆍ통계ㆍ운송ㆍ보험ㆍ운임 등 모든 분야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제정된 다목적 상품분류제도이다. HS 품목표가 50여년간에 걸쳐 세계의 유명한 학자 및 전문가 그룹들이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여 만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품목표 이지만, 유럽국가들을 중심으로 HS 품목표가 제정되었기 때문에 그 체제가 서양의 생활양식과 풍토에 맞게 구성되어 있고, 첨단 상품.신소재.복합다기능 제품 등의 출현으로 HS 품목분류의 통일화에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품이 서로 달리 분류된다면 국제통일 상품 분류제도는 본래의 의미가 퇴색되어 국제무역의 원활화를 저해시키고 국가간의 무역관리와 수출입 통계자료를 비교분석 하는데도 어려움이 나타난다. 특히 HS 품목분류 체계상 동.식물성 1차 생산품과 이들을 이용한 2차가공품의 분류체계가 우리의 생활양식 및 동서양의 음식문화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HS 품목표의 주(註)규정과 HS 해설서의 해설규정과의 차이로 인해 HS 품목표 전반에 가장 커다란 이슈가 되어 왔으며, 이에 본 연구는 HS 분류체계상 동.식물성 1차 생산품의 품목분류상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동.서양의 음식 문화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시켜야 한다. 각국의 전통 음식 문화를 존중하면서 그에 따른 품목분류를 할 수 있도록하여 HS 품목표를 더욱 통일화 시켜야 한다. 둘째, 법적인 구속력이 있고 HS 품목표의 3대 구성요소 중 하나인 주(註; legal notes)에서 조차 불확실하고 모호한 규정을 개정하여 명확한품목분류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애매한 규정 즉,“주요 특성이 있는 한”, “소량”, “극미량” 등의 막연하고 분류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용어를 지양하고 수량화.계량화되는 용어를 사용하여 품목분류의 명확한 기준이 확립되어야 한다. 넷째, HS 품목표와 HS 해설서 상에서의 주(註) 규정 및 해설내용이 상충되어서 품목분류의 혼란이 야기되는 부분에 대하여도 명확한 품목분류를 위해 수정 및 개정되어야 한다. 상기 HS 품목표 및 HS 해설서의 개선방안 외에도 HS 위원회의 경우 첫째, 현재 HS 개정주기가 4년으로 되어 있으나 이를 2년으로 줄여야하고 둘째, WTO산하에 있는 HS위원회의 권한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내의 HS품목분류 운용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HS 품목분류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며, 둘째, HS 분류체계 전담기구를 설립해야 하고, 셋째, WCO위원회 및 HS 위원회의 회의시 전문가를 파견하여 아국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설득 및 개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업계, 학계, 연구소 등과 연계하여 관련분야의 상품에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폭넓은 지식함양 및 지식 교류를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많은 산업계, 학계, 전문가 그룹 및 무역실무자 들이 현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미래에 예견되는 사항을 보완하여 세계적으로 다목적분류 제도인 HS품목분류제도가 본래의 취지대로 상품분류의 완전 통일화를 이루어 국제무역의 원활화와 활성화를 이루어야 하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실증적인 면이 부족하고, 문헌상 또는 필자의 전문지식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객관적인 분석이 미흡하였으며, 선행논문 등이 부족하여 연구자료의 대부분을 관세청과 한국관세연구소에 의존하였으며, 토의 및 상담 대상자들도 주로 관세행정 종사자들이었기 때문에 행정기관 편의 위주의 개선방안이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abbreviated to HS for Harmonized System, is formulated on the basis of the Customs Cooperation Counsil Nomenclature (CCCN), Standard of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SITC) and other many Nomenclatures for the purpose of a internationally- unified classification of all trade-related goods. So, HS could be said to be scientific and systematic for multipurpose I.E. freight, insurance, customs, statistics and transportation, etc. To attain these objectives, each country couldn't help adopting a common basis for the trade classification, that is, one and the same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ince HS was mainly made by European countries, it is the fact that the internationally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represented as HS was dependent on western life styles and European manners. Nowadays, HS has made it difficult for us to classify ultra-technical items, space and life-technological goods and innovation goods under a corresponding heading in the existing concept of goods. Accordingly, if any goods concerned is classifiable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country's inconsistent interpretation, the main objectives of the Harmonized System shall be confusing. In particular, the classification of the primary Animal and Vegetable products on HS is found to contain many problems because of each country's different traditional foodstuff and ambiguous rules on HS Nomenclature and HS Explanatory Not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ttl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 plans as follows. Firstly, Problems in foo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world should get solved. Every country's traditional food culture should be respected but at the same time HS Nomenclature should be more unified to be able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ountry's food culture. Secondly, although they are restrictive legally, uncertain and ambiguous rules even in legal notes of HS Nomenclature should be revised for clear classification. Thirdly, especially, ambiguous rules and confusing terms such as "provided the resulting mixtures retain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goods“, ”small quantities“, ”very small quantities“ shouldn't be used ,if possible, and measuring and quantity terms should be used for establishing clear standard of HS classification. Fourthly, confusing differences between HS Nomenclature rules and contents on HS Explanatory Notes should be also changed and revised for clear classification. As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on HS classification, first, the 4-year revising period on HS should be reduced every 2 years in case of HS committee and then the power of HS committee under WCO should be more strengthened. With the above plans, the improvement ones on Korea's HS classification utility are as follows. Firstly, for HS classification, th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experts concerned be trained. Secondly, an exclusive organization for HS class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while WCO committee and HS committee meetings being held, experts should be dispatched and they must persuade their counterparts and state our country's opinions continuously. Lastly, broader knowledge concerned must be cultivated and exchanged through deeper research and better development on the concerned goods linking with both industrial and academic world and the concerned institutes. Therefore, those engaged in industrial and academic world as well as expert groups and trade business men must try to improve the existing problems together and cope with issues that are anticipated in future. If so, HS classification system, as an international multipurpose one, will be able to go further as it's original purpose, and the classification of goods will be entirely unified and foreign trade will be harmonized and activated. Finally, not only because this study was not enough surveyed by evidence and was based only on books concerned and my professional knowledge, but also because precedent theses and studies were insufficient and the discussing and consulting subject of this study was mainly those engaged in customs administration and most of researching materials were based on the Korea Customs Service and Korean Customs Research Institute, it is a pity that this study can't be objective and the above improvement plans may get to be 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