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비용 항공사의 위험지각,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재 구매 의도의 관계 연구

        최진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저비용 항공사의 위험지각,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재 구매 의도의 관계 연구 최진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호텔경영학과 본 연구는 2011년 현재 국내선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저비용 항공사의 위험지각,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재 구매 의도의 관계를 밝혀내고 5개의 저비용 항공사별로 각각의 요인들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증하여 항공 산업에서 저비용 항공사가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국내 상황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이루어졌다. 위험지각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내 서비스에 대한 위험지각이 서비스 품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대형 항공사의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는 소비자들이 저비용 항공사의 기내 서비스에 대해 위험지각을 높게 가지고 있을수록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를 낮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재 구매의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인적 서비스가 고객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흥미롭게도 이러한 인적 서비스 요인이 재 구매 의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히려 예약/발권 서비스가 재 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비용 항공사를 이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이 저렴한 요금으로 항공 여행을 하고자 함이므로 무형의 인적 서비스보다는 적절한 요금, 다양한 할인제도 등이 저비용 항공사를 다시 선택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항공사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주항공의 고객들이 위험지각은 낮게 가지고 있고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제주항공이 국내 저비용 항공사들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이에 따른 경험 및 노하우 축적, 다양하고 참신한 서비스를 통해 대표적인 국내 저비용 항공사로 인식되어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저비용 항공사들은 국내 항공 시장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항공 운임을 낮추기 위해 무조건 기내 서비스를 축소한다거나, 반대로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대형 항공사에 버금가는 Full Service를 제공하려고 하기보다는 각 항공사의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고 더불어 홍보의 기회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저렴한 항공 요금 대비 높은 효율성을 올리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저비용 항공사, 위험지각,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재 구매 의도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Risk,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Low Cost Carriers Jin-Ju Choi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On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ossible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risk,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low-cost carriers whose market share sums up to more than 40% of current domestic air service market in South Korea as of Year 2011.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potential differences in awareness about respective relevant factors among 5 low-cost carriers in South Korea, so that it could help those carriers to develop customized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South Korean air transport conditions in the interest of their higher competitive advantages in domestic airline industry of South Korea. According to analysis about potential effects of perceived risk on service quality, it was found that perceived risk on in-flight services had negative (-) effects on service quality. This finding implies that consumer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a variety of quality in-flight services available from major airline companies tend to undervalue the quality of in-flight services available from the low-cost carriers, as far as those consumers have high perceived risks on the in-flight services. Next,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possible correlations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sonal service had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it was interesting to note that this personal service had no significant effect upon repurchase intention, but reservation / ticketing service had most significant effects upon repurchase intention. This finding reflects a fact that as the ultimate goal of using low-cost carriers is to go to air travel even at affordable air f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motivating our consumers to re-select low-cost carriers are represented by affordable air fare, various discount benefits and more, rather than intangible personal services. Finally, according to analysis on potential differences in awareness on each airline, it was found that Jeju Air's customers had low perceived risk but had high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possibly because Jeju Air has the longest history of air service among all domestic low-cost carriers in South Korea, so it accumulates a pile of experiences and know-how corresponding to such a history, and is already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one of domestic low-cost carriers among South Korean consumers owing to its diverse and new services. Therefore, it is advisable that low-cost carriers should carefully consider speci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 service market and thereby develop a variety of services that can well reveal any original features of each airline and give a good chance of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blindly reduce the coverage of in-flight service with a view to cutting their air fare or try to provide a full service equivalent to that of major airlines with a view to improving their service quality. Ultimately, it is required that low-cost carrier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cost efficiency of their air services even at affordable air fare.

      • 종단연구를 통한 언어이전 시기의 의사소통적 몸짓 사용이 이후 24개월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진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d: The toddlers communicate with others by using gestures, vocalization, and eye gaze rather than language in the prelinguistic period. Attention to a toddler’s gestural repertoire will help to locate him or her on this later developmental continuum. Gestures have considered important diagnostic criteria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Capone & Mcgregor, 2004). Many overseas research have repor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ype of gestures and language milestone, and early gestures can be variable to predict the future of language communication ability. Studies of gestures and language development were also done in Korea, but have compared the gestures of toddlers with disability groups and typical development groups or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gestures with age. Although there has been longitudinal study, it was difficult to explore the overall language ability by reporting only the relationship with vocabulary. Thus, it would be meaningfu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estures and the later language development beyo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stures and language development at a specific time. The aim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gestures during prelinguistic stage on the future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with vocabulary. Methods: This research are 42 toddlers who were participated in K-CSBS DP standardized study aged 12 to 18 months using mainly nonverbal communication means not verbal, and agreed to study tracking the language development for 24 months of age. Early primary data used behavior samples obtained from standardized study, secondary data were obtained by using SELSI and K M-B CDI in this study. Communicative gestures were measured with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the type of gestures, the frequency of gestures by sub-category, and the frequency by specific gestures in behavior samples through the CSBS-DP, free play and book reading, and language scores analyzed language development age (receptive language ag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expressive vocabulary. Statistical analysis us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was correlation for RLA, ELA, EV and type of gestur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LA. When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and type of gestures was inputed in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tal frequency of gestures explained 29.6% of RLA, 25.9% of ELA and 11.1% of EV.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itself rather than number of acquired types explains future overall language ability and vocabulary. Second, in terms of gesture category, deictic gestures were correlation for RLA, ELA, EV and conventional gestures was correlation for RLA. When this was put into multiple regressive analysis, deictic gestures predicted 17.2% of RLA, 15.3% of ELA, 15.9% of EV and conventional gesture additionally explained 13.6% of RLA. This means that identifying the category of gestures as well as frequency of total frequency of gestures suggests careful observation because it predicts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rd, in the frequency of specific gestures, pointing was correlation for RLA, ELA and EV at 24 months of age. When this was put into simple regressive analysis, frequency of pointing explained 24.7% of RLA, 19.2% of ELA and 28.5% of EV. Thi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pointing in specific gestures predicts the overall later language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enerally gestures use explained vocabulary as well as RLA and ELA. This suggests that examining gestures use in multiple dimensions during prelinguistic stage can be used as a procedure to confirm language development in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clinically to focus not only on teaching a language to toddlers, but also on understanding subtly and extending their gestures. Toddler, Communicative gestures, Gesture type, Deictic gestures, Conventional gestures, Representational gestures, Pointing 언어이전 시기에는 언어보다는 몸짓, 발성, 시선 등을 사용하여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한다. 영유아 시기의 주된 의사소통 수단 중 하나인 몸짓은 발달적인 연속체 안에서 이후 영유아의 발달적 위치를 찾아내는 데 도움을 주며, 언어발달지연의 진단 기준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왔다(Capone & McGregor, 2004). 많은 국외연구들에서는 몸짓의 다양한 유형들과 언어지표 간의 유의한 관계를 보고하며 초기의 몸짓이 언어발달을 예측해준다고 보고되어왔다. 국내에서도 몸짓과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장애집단과 일반 영유아 집단간의 몸짓 사용을 비교하거나 월령에 따른 몸짓과 언어발달간의 발달적 경향과 관련된 연구들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었다. 종단적으로 따라간 연구가 있으나 어휘력과의 관계만을 보고하여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살피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특정 시기에서 몸짓과 언어발달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에 나아가 일반 영유아를 대상으로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 사용과 이후 전반적인 언어발달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보다는 주로 비언어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언어이전 시기의 우리나라 영유아를 대상으로 몸짓 사용이 어휘력에 더 나아가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판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평가척도(K-CSBS DP) 표준화 연구에 참여하고, 주된 의사소통수단이 언어가 아닌 비언어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12~18개월의 영유아 중에서 , 이후 24개월의 언어발달을 추적하는 연구에 동의한 42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초기 1차 자료는 표준화연구에서 얻어진 행동샘플을 사용하였고, 2차 자료는 본 연구에서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와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를 실시하여 얻었다. 자료분석은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발달척도(CSBS DP)와 자유놀이 및 책 보기 절차를 통해 얻어진 행동표본에서 전체 의사소통적 몸짓 사용 빈도, 유형수, 몸짓 범주별(지시적, 관습적, 표상적) 사용 빈도, 각 범주에 따른 세부 몸짓별 빈도를 분석하였고, 24개월의 언어점수는 언어발달연령(수용 및 표현언어연령)과 표현어휘 수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통계 분석은 Pearson 상관분석과 중다 또는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의사소통적 몸짓 사용 빈도는 24개월의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어휘 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유형수는 수용언어연령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상관을 보인 전체 몸짓 빈도와 유형수를 단계적으로 회귀분석에 투입하였을 때, 전체 의사소통적 몸짓 빈도가 수용언어능력을 29.6%, 표현언어능력을 25.9%, 표현어휘 수를 11.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습득한 유형의 수보다 의사소통적인 몸짓을 표현하는 빈도 자체가 이후의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표현어휘 능력을 설명해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하위 범주별 사용 빈도에서는, 지시적 몸짓이 24개월의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어휘 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관습적 몸짓은 수용언어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단계적으로 회귀분석에 투입하였을 때, 지시적 몸짓은 수용언어연령을 17.2%, 표현언어연령을 15.3%, 표현어휘 수를 15.9% 설명하였으며 관습적 몸짓은 지시적 몸짓과 더불어 수용언어연령을 추가적으로 13.6%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몸짓의 빈도뿐 아니라 어떤 범주의 몸짓을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이후 언어발달의 정도를 예측해주므로 언어이전 시기에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세부 몸짓 사용 빈도에서는, 가리키기가 24개월의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어휘 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단순회귀분석에 투입하였을 때, 24개월의 수용언어연령을 24.7%, 표현언어연령을 19.2%, 표현어휘 수를 28.5%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몸짓중에서 세부적으로는 가리키기의 사용력을 관찰하는 것이 이후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예측해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 사용을 수준에 따라 나누어 이후 언어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측정치는 다르나 전체적으로 몸짓 사용이 이후의 어휘력은 물론 수용언어능력과 표현언어능력을 설명해주었다. 이를 통하여 언어이전 시기의 평가 시에 몸짓을 다각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이후의 언어발달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단순히 언어를 가르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의 몸짓을 민감하게 이해하고 이를 확장시켜주는 것도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임을 시사해준다

      •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오픈 액세스(Open Access) 공공성 강화 서비스 분석 연구

        최진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The Smithsonian Institution)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의 오픈 액세스 서비스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 강화의 측면에서 그 성과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공식 웹사이트에서 운영하고 있는 오픈 액세스 서비스의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박물관·미술관 분야에 오픈 액세스 서비스가 어떤 형태로 도입되어 있는지 파악하였으며, 박물관·미술관 내 오픈 액세스 서비스 성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오픈 액세스 서비스 개념과 특징,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오픈 액세스(Open Access)는 인문사회 분야의 학술논문・연구보고서 등의 디지털 자료에 대한 지식 생산 및 활용의 공공적 가치 증진을 위한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박물관·미술관에서는 약 10여 년 전부터 오픈 액세스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본 논문에서 연구한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은 2020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2017년부터 오픈 액세스 서비스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3장에서는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의 오픈 액세스 서비스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두 가지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운영 사례에는 ‘검색 세분화형 아카이빙 시스템 구축’, ‘스미스소니언 러닝 랩’ 운영이 있으며,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공공성 강화 성과는 ‘온라인 자료 검색 효율성 증대’,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활동 패러다임 변화’이다. 4장에서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오픈 액세스 서비스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미술관의 공공적 역할 강화라는 측면에서 두 가지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운영 사례에는 ‘하이라이트 제시형 아카이빙 시스템 구축’, ‘Met 출판물’ 공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도출한 두 가지의 성과는 ‘일반대중의 검색 접근성 향상’, ‘문화예술 지식 증대 및 연구 활동 촉진’이다.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오픈 액세스 서비스 운영은 박물관・미술관 공식 웹사이트 온라인 콘텐츠의 양적・질적 향상을 가져왔으며, 오픈 액세스 서비스 응용 플랫폼 운영을 통해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활동 패러다임 확장, 문화예술 지식 증대 및 연구 활동 촉진 등의 성과를 도출해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박물관・미술관 공식 웹사이트의 활용도 높은 온라인 콘텐츠 조성의 필요성을 시사하고자 하며, 향후 국내 박물관・미술관 오픈 액세스 서비스 개발과 장기적인 운영 방안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전시 안내 앱북 개발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실을 중심으로

        최진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혁명(Smart Revolution)은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의 급속한 발전과 무선 통신 기술의 눈부신 기술 향상이 거듭되면서 일상생활을 포함한 사회 전체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혁명이라는 변화에 발맞추어 뮤지엄에서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로는 뮤지엄을 안내하는 모바일 웹이나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다른 뮤지엄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설전시, 기획전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있다.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함께 뮤지엄에서 새롭게 관심을 두고 개발하고 있는 분야는 전자책이다. 과거 전자책은 일반 PC나 전용단말기를 통해 실행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태블릿 PC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전자책이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어플리케이션 북(Application Book) 혹은 앱북(App Book)으로 지칭하고 있다. 뮤지엄이 제공하는 앱북은 기존의 텍스트와 사진 위주의 소책자(brochure)의 역할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에서 사용 가능한 인터렉션 기술과 멀티미디어(사진, 오디오, 비디오)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내용 전달한다. 이런 점에서 앱북은 이용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고 앞으로 앱북 형태의 발간물이 제작되는 사례도 늘어날 것이다. 이용자 중심의 뮤지엄은 스마트 혁명 흐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과 앱북 개발을 통해 뮤지엄의 사회적 기능을 확대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려 한다. 특히 미국의 뮤지엄을 중심으로 해외의 주요 뮤지엄에서는 어플리케이션과 앱북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개발에 투자호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뮤지엄의 사회적 기능의 가치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해외 뮤지엄 어플리케이션과 앱북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의 백자실의 유물을 후퍼 그린힐(Eilean Hooper Greenhill)의 7개 요소별 통합적 접근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 안내 앱북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미국박물관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AAM)를 구성하는 상임 전문 위원회(Standing Professional Committees, SPCs)의 미디어 및 기술 위원회(The Media and Technology Standing Professional Committee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M&T)가 수여하는 Muse Awards의 어플리케이션 부문 수상작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해외 뮤지엄 어플리케이션은 페이퍼 형식의 도록, 전시안내 소책자, 워크북의 기능을 넘어서고 있었다. 그리고 모바일 웹사이트, 뮤지엄 가이드, 전시작품 안내, 워크북, 게임, 소셜 미디어, 사진 프로그램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되고 있었다. 또한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원핑거 인터랙션(one-finger interaction), 투핑거 인터랙션(two-finger interaction)을 기반으로 하는 터치 기능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다양한 터치 기능들이 적절히 반영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반응을 끊임없이 끌어내어 흥미와 집중력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능 구현은 사용자로 하여금 뮤지엄과 전시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하도록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아울러 어플리케이션과 앱북이 갖는 콘텐츠는 전시공간과 전시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실 파노라마 뷰를 보여주거나 전시물을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감상하는 기능, AR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포함하고 있어 보다 진보된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체제적 앱북 개발 절차를 적용한 전시 안내 앱북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로 후퍼 그린힐의 7개 요소별 통합적 접근 방법에 따라 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유물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iPad2에 대한 하드웨어적 분석과 앱북의 포맷 및 저작툴에 대한 소프트웨어적 분석을 하였다. 둘째, 설계 단계로 설계의 방향을 수립한 후 실제 기술적 요인을 접목하여 계획을 세웠다. 셋째, 개발 단계로 저작툴의 선정, 주제 및 목표 설정, 워크플로 및 스토리보드 구성, 실재화 순의 절차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어도비 디지털 매거진 출판 스위트(Adobe Digital Magazine Publishing Suite)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넷째, 적용 및 실행 단계는 태블릿 PC에 앱북을 설치하고 여러 가지를 파일럿 테스트를 하였다. 다섯째, 평가 및 수정 단계는 개발된 앱북에 대한 휴리스틱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의 결과를 기초하여 수정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의 뮤지엄 어플리케이션 및 앱북 사례에서 시사점을 얻어 다양한 인터랙션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실 전시 안내 앱북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뮤지엄 어플리케이션과 앱북이 지향하는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스마트 혁명으로 인한 기술적, 환경적 변화가 뮤지엄이 제공하는 전시 안내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주요어 : 전시 안내, 앱북, 어플리케이션, 백자실, 태블릿 PC Smart Revolution has incited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useums are offering a new service, keeping pace with changes. They develop applications for the permanent exhibition and exhibitions to provide services unlike other museums. It is E-book that they develop with interest recently. Past E-book could be run through PC. But E-books are developed to run through tablet PC. They are called Application books or App books. App books they play the role of the brochure. And they provide abundant contents to include multimedia(photos, sound materials, video) and interaction skills to use in tablet P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utilize exhibition guide App book. The principl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analyzes current situation and examples in foreign museum applicat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Second, it analyzes relics on White porcelain gallery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th integrated approaches to learning objects by 7 factors of Eilean Hooper. Third, based on this, it deducts implications and develop exhibition guide App book. Based on this discussion, Chapter 2 examines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ablet PC, E-book, and learning to understand relics. Chapter 3 analyzes current situation and examples in foreign museum application and App book. In chapter 4, it develops exhibition guide App book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guide App book to develop. Main discussion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foreign museum applications went beyond function of brochure, workbook. And they developed various types like mobile website, museum guide, games, social media etc. Second, application interacted with users through touch sensing features to use in tablet PC. Application with touch sensing features help visitors interested in museum exhibition, because they lead the user's response ever. Also they are applying advanced technology with AR.(Augmented Reality) Third, it developed exhibition guide App book by applying a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First step was Analysis. In this step, it analyzed relics on White porcelain gallery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th integrated approaches to learning objects by 7 factors. And it accomplished hardware analysis about iPad 2 and software analysis about format and authoring tool. Second step was Design. In this step, it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design and planed App book with technical factors. Third step was Development. In this step, It developed App book with Adobe Digital Magazine Publishing Suite. Forth was Application. In this step, it installed App book in the tablet PC and conducted pilot test. Fifth was Evaluation. In this step, it conducted self-assessment and heuristic assessment. Based on this evaluation results, it amended App book.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base data to develop App book about museum exhibition. It looks forward to developing high quality programs about museum exhibi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and technical changes because of Smart revolution. Keywords : Exhibition guide, Application, White porcelain gallery, Tablet PC

      • 동치미를 응용한 무피클 가공품 개발 및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최진주 세종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인 동치미를 응용하여 동치미의 발효 균일화 및 저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국 fresh pack 피클 가공기술을 동치미에 응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무피클을 개발하였다. 제품 개발을 위한 품질기준 설정 방법으로는 시판제품(동치미 10종, fresh pack 5종)을 분석을 하였으며, 동치미의 가공과정 중 품질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재료를 동치미형태(un-sliced)와 나박김치형태(sliced)로 잘라 발효양상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무피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치미를 응용하여 발효조미액을 제조 하였으며, 가공 산업 현장에 적용하고자 젖산균 스타터를 이용하여 단기간 발효를 진행하였다. 젖산균 스타터 선택방법으로 무즙배지에 스타터를 접종하여 개발 제품의 적합한 스타터를 선발 하였다. 무피클의 보존료로 천연 항균 재료인 홉(Hop)추출물과 allyl isothiocyanate(AITC)를 이용하여 제품의 저장성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개발제품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방법으로 이화학적 분석(pH, 적정산도, 염도, 가용성 고형분)과 texture, 당과 알코올 함량, 유기산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분석 및 hop의 젖산균 억제시험, 미생물 균총 측정 및 관능 기호도 검사를 통해 상품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개발제품의 품질기준 설정을 위해 시판제품(동치미, fresh pack)의 분석결과 적숙기 시판동치미 평균 pH는 4.15, 적정산도는 0.21%,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 4.46 。Brix%, 염도는 1.85%를 나타냈으며, fresh pack 제품 평균은 pH 3.56, 적정산도 0.66%,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4.48 。Brix%, 염도는 2.42% 나타냈다. 당과 알코올 함량은 시판 동치미에서 주로 glucose(avg. 0.75%), fructose(avg. 0.49%), mannitol(avg. 0.25%)이 분석되었으며, fresh pack 피클에서는 glucose(avg. 0.15%), fructose(avg.0.25%), ethyl alcohol(avg. 0.03%)이 분석 되었다. 동치미 재료 가공 형태에 따른 온도별(4, 10, 20℃)저장기간에 따라 pH, 산도를 측정한 결과 무를 통째로 사용하는 것 보다 무를 슬라이스 하여 이용하는 것이 발효양상을 가속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여 개발제품에 적용하였으며, 발효보관 온도를 10℃이상에서 진행하는 것이 발효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여 25℃에서 발효를 진행하였다. 무피클 가공기술 개발 방법으로 염도와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통해 무 절임시간을 18시간을 선택하여 개발제품에 적용하였다. 젖산균 6종(표준균주 2종, 김치에서 분리한 보관균주 4종)을 무즙액에 접종한 결과 24시간 배양 시 생육도, 발효산물 생성력 등을 통해 스타터 균주 CLE 2(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 DM1), CWE3(Weissella cibaria  strain 2012-Le12) 선택하였으며, 상온에서 24시간 발효를 통해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무피클에 유기산 첨가 시 발효 저해력, 조직감을 유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천연 보존료인 홉 추출물을 이용하여 0.035% 이상 농도에서 젖산균 생육 억제 가능하였으며, 홉 종류별 호프추출물 0.07% 첨가 시 pH 3.5에서 실험한 젖산균이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남에 따라 호프 추출물 0.07%를 개발제품에 적용하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해 발효액을 개발하였으며, 발효액에 유기산 및 천연보존제인 호프(Hop)추출물, AITC를 첨가함에 따라 상온(25℃)에서 저장 8주차까지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개발제품 관능 기호도 평가결과 pickle 2(acetic acid첨가)샘플에서 색, 향, 맛, 조직감과 전체적인 기호도에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치미를 응용하여 개발된 발효조미액을 다양한 채소류에 적용하여 다양한 상품 연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미혼 커플의 성인애착이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최진주 광운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성교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혼남녀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만18세 이상의 미혼 커플 223쌍, 총 446명의 현재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성인애착(회피,불안)과 이성관계만족도,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인 간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PIM(Actor -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분석방법으로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정서 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기타 통계 검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자기 자신의 관계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방효과에 있어서는 여성의 성인애착과 남성의 관계만족 간에만 유의미한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자기효과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자기자신의 정서표현양가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방 효과에 있어서 남성의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은 상대방 여성의 정서표현양 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의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상대방 남성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양가성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자기 자신이 지각한 관계만족은 낮았다. 상대방효과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상대방이 지각한 관계만족이 높았다. 네 번째, 성인애착과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할 때, 자기효과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회피애착 및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지고, 그러므로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관계만족도를 낮게 지각하였다. 상대방효과에 있어서 남성의 정서표현양가성은 여성의 회피애착과 남성의 관계만족도를 완전매개했으며, 여성의 불안애착과 남성의 관계만족도를 부분매개 했다. 상대방효과에 있어서 여성의 정서표현양가성은 여성의 회피애착과 남성의 관계 만족도를 완전매개 했으며, 여성의 불안애착과 남성의 관계 만족도를 부분매개 했다. 즉, 여성의 회피애착은 남성의 관계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기보다 남성과 여성의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관련이 있으며, 남성의 관계만족은 여성의 불안애착과 함께 남성과 여성의 정서표현양가성과도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서 논의하였다.

      •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연결감과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주 세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항공 산업은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긍정적 이미지가 고객의 태도 및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항공 운송업의 특성 상 지역 간 교류는 물론 국가 경제 발전 및 문화 교류의 역할을 하는 공익성 강한 산업이다. 이러한 이유로 항공사는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발적 활동에 대해 더욱 더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해야 나가야 하며 항공사의 이러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고객의 인식이 항공사에 대한 사회적 연결감 및 항공사 브랜드 선호도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공사의 고관여 집단이자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의 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항공사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사회적 책임활동, 사회적 연결감, 브랜드 선호도의 영향관계 및 각 변수들에 대한 고객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개인의 윤리적 소비성향에 따라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연결감과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각 요인별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책임활동에 속하는 하위요인 중 법률적·윤리적 책임활동과 자발적 책임활동에 대해서는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으며, 경제적 책임활동에 대해서는 대한항공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연결감과 브랜드 선호도 모두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회적 연결감, 브랜드 선호도의 영향관계를 알아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활동 중 법률적·윤리적 책임활동과 자발적 책임활동이 항공사에 대한 사회적 연결감 및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사는 임직원이 기업 윤리를 엄격히 준수 및 실천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항공사의 자발적 책임활동을 다하기 위해 기존의 단순한 모금 및 후원활동에서 벗어나 사회, 경제,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활동으로 사회와 더불어 조화롭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연결감은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브랜드 선호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사는 자사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고객의 사회적 연결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고객 참여형 온-오프라인 이벤트 및 각종 사회 공헌활동을 진행하고 항공사 체험교실, 항공사 견학, 항공사 임직원이 직접 참여하는 행사를 통해 상호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항공사, 사회적 책임활동, 사회적 연결감, 브랜드 선호도, 윤리적 소비성향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진주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and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11, 2019 to March 26, 2019 and 209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were used for the study were Communication Competence, Problem Solving Skills,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ean valu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58.65±6.73 out of 75, problem solving skills was 163.32±17.63 out of 225,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was 231.83±29.19 out of 33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erms of health condition(F=20.16, p<.001) and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F=13.28, p<.00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r=.60,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roblem solving skills(r=.34,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roblem recognition(r=.25,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nalytic ability(r=.24,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widespread thinking(r=.21, p=.003);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decision making(r=.26,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lanning ability(r=.21, p=.003);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cting and taking risks skills(r=.36,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evaluation skills(r=.17, p=.016);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feedback skills(r=.36, p<.001).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communication competence(β=.41, p<.001), satisfaction about the major(β=.31, p<.001), health condition(β=.24, p<.001), feedback skills(β=.16, p=.019), acting and taking risks skills(β=.15, p=.038), and evaluation skills(β=-.14, p=.034), explaining 46.8% of the variance in the regression model.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health condition, feedback skills, acting and taking risks skills of nursing students manifested the lower the evalu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and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is regard, in order to enhance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required to provid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and their health statu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feedback skills and acting and taking risk skills to enhance the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develop th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 11일부터 2019년 3월 26일까지 D시에 위치한 2개 대학 1,2,3,4학년 간호대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제공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은 총점 75점에 평균 58.65±6.73점, 문제해결능력은 총점 225점에 평균 163.32±17.63점, 대학생활적응은 총점 335점에 평균 231.83±29.19점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건강상태(F=20.16, p<.001), 전공만족도(F=13.2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의사소통능력(r=.60, p<.001), 문제해결능력(r=.34, p<.001),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문제인식(r=.25, p<.001), 분석능력(r=.24, p<.001), 확산적사고(r=.21, p=.003), 의사결정(r=.26, p<.001), 기획력(r=.21, p=.003), 실행과 모험 감수(r=.36, p<.001), 평가(r=.17, p=.016), 피드백(r=.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β=.41, p<.001), 전공만족도(β=.31, p<.001), 건강상태(β=.24, p<.001), 피드백(β=.16, p=.019), 실행과 모험 감수(β=.15, p=.038), 평가(β=-.14, p=.034)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46.8%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전공만족도, 건강상태,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중 피드백, 실행과 모험 감수 능력이 높을수록, 평가 능력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 전공만족도,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중 중 피드백, 실행과 모험 감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며 학생 평가 방식의 개선과 다양화가 필요하다.

      • 발달장애인 동생을 둔 비장애인 언니의 돌봄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최진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족과 사회 안에서 소외되어 있는 비장애인 언니의 장애인 동생에 대한 돌봄경험을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비장애인 형제들과 가족들에게 도움을 주고, 사회정의 상담에서 상담자들의 장애와 돌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비장애인 언니의 장애인 형제 돌봄 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했으며, 연구 참여자를‘나’로 설정하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돌봄경험을 내부자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기억자료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일기자료, 메시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은 종단코딩으로 발생, 누적, 전환, 특이함 범주를 사용해, <언니가 본 동생의 발달장애>, <어렵고 힘들었던 돌봄>, <스스로 선택 한 돌봄, 동생과 마주보다>, <비장애인 언니의 사회적 옹호>라는 4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과 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는 비장애인 형제의 현실을 보여주었다. 둘째, 장애인 동생의 언니라는 역할은 인생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돌봄 경험은 비장애인 형제에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비장애인 형제의 장애인 형제 돌봄 경험은 장애와 돌봄에 대한 사회적 옹호를 불러일으켰다. 넷째, 장애와 돌봄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의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인 형제의 심리적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부모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지금의 가족지원이 아닌 가족 구성원 전체를 위한 가족지원의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둘 째, 비장애인 형제와 장애인 형제의 긍정적인 영향을 개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형제관계에서 서로에게 주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의 관점에서 장애인 취업에 관한 지원과, 발달장애의 큰 범주에서 진단에 관한 의료적 지원은 장애와 돌봄에 대해 사회부정의를 감소시켜 보다 정의로운 사회가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돌봄의 공적화에 대한 사회적 시선의 개선과 장애인이라는 호칭에 대한 변화로 사회적 분위기와 체제수준에서 변화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