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강 피드백을 사용한 체중부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고유감각과 균형,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보강 피드백을 적용한 체중부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고유감각과 균형,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대학원 통합의학과 물리치료전공 본 연구는 스마트 신발을 사용해 보강 피드백을 적용한 체중부하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시행하였을 때 고유감각, 균형,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유무를 알아보고, 보강 피드백을 사용한 체중부하 훈련이 임상적으로 환자들에게 신체적, 기능적, 심리적인 요소들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 24명을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훈련 중 실험군에서 1명, 대조군에서 2명이 탈락하여 총 21명이 본 실험에 참여를 완료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보강 피드백을 적용하기 위해 스마트 신발을 착용하고 훈련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보강 피드백은 제공받지 않은채 훈련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훈련은 6주 동안 주 3회, 1회 당 30분씩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고유감각을 알아보기 위해 위치감각에 대한 관절각도 재현방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균형측정 장비를 통해 COP 이동거리와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였다. 보행을 알아보기 위해 속도, 분속수, 걸음거리, 시-공간적 보행 대칭성 지수를 알아보았고, 삶의 질 평가도구를 통해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감각의 경우 엉덩관절 굽힘-폄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엉덩관절 벌림-모음에서 또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균형의 경우 눈 감고 선 자세의 정적균형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동적균형에서 또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보행의 경우 시-공간적 보행 대칭성 지수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의 경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스마트 신발을 사용해 보강 피드백을 적용하여 체중부하 훈련을 시행한 결과 엉덩관절 고유감각 증진과 동적 균형능력, 대칭적인 보행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강 피드백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 신발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임상적으로 환자들에게 신체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더 다양한 방식의 피드백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임상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실내 운동프로그램의 일환으로써 승마기구 훈련이 임상에서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20명 중 추적조사 전에 1명이 퇴원하여 총 19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작업치료, 운동치료를 하루에 1회씩 받았으며, 실험군은 하루에 1회씩의 작업치료, 운동치료 외에 승마기구 훈련을 받았다. 승마기구 훈련은 6주 동안 주 3회, 1회 당 30분씩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몸통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근전도를 측정하여 RMS값을 구하였고, 정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Romberg test를 시행하는 동안 움직인 COP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동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고 TUG test를 시행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기간 별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몸통근 활성도의 훈련 전·후 차이 값에 대한 집단 간 비교에서 승마기구 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배곧은근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1). 기간 별 비교에서 배곧은근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 및 훈련 종료 2주 후에 각각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척추세움근(p<.01)과 뭇갈래근(p<.05)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둘째, 정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COP 이동거리를 측정한 결과, 눈 감고 선 자세의 기간 별 비교에서 훈련 후가 훈련 전보다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5). 셋째, 동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성 한계를 측정한 결과, 기간 별 비교에서 훈련 후가 훈련 전보다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훈련 종료 2주 후에도 훈련 전보다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1). 또한 TUG test를 실시한 결과, 기간 별 비교에서 훈련 전과 비교해 훈련 후와 훈련 종료 2주 후에서 각각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에 유의한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승마기구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균형을 향상시키는 재활프로그램으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탄소 나노튜브, Nafion, 코발트 포르피린이 수식된 전극에서 산소의 전극촉매 환원 연구

        최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산성 수용액에서 비 수식 전극의 산소 환원 전위는 -0.5V ~ -0.6V에서 관찰된다. 코발트 포르피린들과 CNT와 Nafion을 작업전극(GCE, GE)에 수식한 후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회전 원판 전극법(Rotating Ring Disk Electrode, RDE)와 회전 고리-원판 전극법(Rotating Ring Disk Elcetrode, RRDE)을 사용하여 산성 용액 하에서 산소 환원의 전극촉매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여러 종류의 코발트 포르피린들을 합성하고, CNT를 구입했다. 모두 수용액에 소수성으로 전극에 수식 후 사용할 수 있다. 전극에 코발트 포르피린들을 수식할 경우 산소의 환원전위는 양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코발트 포르피린들과 Nafion과 CNT들을 함께 수식했을 때 큰 양의 환원 전위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사용한 다섯 개의 코발트 포르피린들과 CNT들 중 Co(Ⅲ)(TTMPP)와 SWCNT를 수식하였을 때 가장 큰 촉매효과( 0.16 V)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촉매들은 수용액 속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4전자 환원에 의해 물(H2O)로 환원시켰다.

      • 아른하임(R. Arnheim)의 '시각적 사고'로 본 글자책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최아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각교육은 감각경험에 의지하여 사고하는 유아에게 특히 효과적이며, 모든 학습의 준비기능인 시지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교육방법이다. 또한 시각교육은 교육내용을 가시적 형태로 바꾸어 유아에게 추상성과 일반적인 법칙을 가르치는 것을 돕고, 적절한 시각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유아에게 구체적인 경험을 주어 유아가 학습의 내용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아의 시각교육은 주로 그림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유아의 문자언어교육을 위한 그림책이 바로 글자책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글자책은 그림이 단순히 단어의 시각 보조물로 처리되어 있어, 유아의 글자학습에 시각교육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이 유아의 글자학습을 위한 시각자료로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은 글자를 적극적인 창작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감각적인 색채와 새로운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강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한다. 곧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은 시지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통해 유아에게 글자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단시간 내에 전달효과를 거둘 수 있는 효율적인 표현으로, 유아의 문자언어교육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단어에 대한 시각 보조물로 기능하는 기존 일러스트레이션보다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이 글자학습에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여, 교육용 시각자료로서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효과가 크다는 점을 제시하려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한 아른하임(Rudolf Arnheim: 1904-)의 &#985172;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 1969)&#985172;에 근거하여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할 기준을 설정하였고, 사례분석과 면접조사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은 시지각의 단순성과 항등성에서 벗어나게 하는 시각적 자극으로서, 글자에 대한 유아의 흥미를 불러일으켜, 유아의 자발적인 학습을 촉발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한편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은 추상개념의 형상화를 통해, 유아가 시지각 경험으로 언어 지식에 대한 개념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양식화된 표현으로 각 학습대상의 기능적 가치를 잘 전달하여 유아에게 학습 효과를 준다. 그러나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수준이 유아의 시지각 수준에 맞지 않아 오히려 학습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시지각 발달수준에 맞추어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이 표현되고, 또한 책읽기 상황에서 유아가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스스로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성인이 잘 지도해준다면, 유아는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이 표현하는 개념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은 유아의 문자언어교육에 분명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은 시각언어이다. 따라서 현재 안고 있는 문제점을 위와 같이 보완한다면,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은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다. Visual education is especially effective for a child, which depends on sensual experience and thinking, and is a necessary instructional method for improving multiple abilitie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all kind of studies. In addition while the "visual education"changes the contents of education to a virtual form it helps to teach abstraction and general rules to a child; it also helps a chil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contents easier and faster through presentation of useful visual data and by giving precise experiences to the child. The visual education of a child is accomplished through a picture book, and likewise for literal education of the child it is the textbook. But since in the common textbook pictures are treated as a visual substitute of simple words, the advantage of visual education for a child studying the literature is lost. Along this line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ypo illustration is effective as visual material for a child studying text. Typo illustration accomplishes stro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 by recognizing text as a positive creation and by expressing sensuous colors and new forms. Typo illustration through multiple strong impressions generates curiosity and interest forthe font studying child and, through efficient expressions that gather a delivery effect in a short time, it can be said that it has an effect on the writing language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e dissertation is to verify that typo illustration for letter studying is more efficient than current illustration, which functions as a visual support for words, and that the effect of typo illustration as visual tool for educational purposes presents a big poin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985172;Visual Thinking(1969)&#985173; of Rudolf Arnheim (1904- ) who paradoxically spoke of the importance of visual education and set a standard for analyz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typo illustration an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actual proof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result: Beside multiple simplicity and equality typo illustration gives visual incentives to generate curiosity for fonts and has a motivating effect on the voluntary studying of a child. On one side typo illustration delivers through the shape of an abstract concept, a child can form a concept through multiple experiences of its language knowledge, the functional value of a learning person through a formulated expression, and it gives a studying effect to the child. But if the expressional level of typo illustration doesn't match the multiple levels of a child the studying effect can rather decrease. Therefore typo illustration is expressed customized to each level of advancement of the child, where in the situation of reading a book in order for a child to be able to grasp a concept by itself through typo illustration, if the adult teaches well, the child can now grasp easily the typo illustration expressing concept. Typo illustration in the written language education of a child is a visual language which has clearly more strong points than weak points. If accordingly today's problems complement the above problems, the importance of typo illustration as an effective way of education for the child has to be more emphasized.

      • 도슨트 운영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아영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rt gallery is a place where meaning and historical value of art are discussed, and deal with visual images in aesthetic and educational aspects. It is not only a plac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 but also experience and getting educated in art. Basically, the space called art gallery is a place where numerous images exist. Simply look and appreciate these numerous images can be a wonderful experience. However, if one obtains accurate information on these images and understands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of them, the effect will be doubled.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appreciate modern art without explanation or education. Modern art, which is conceptual and also expresses the artists’ discussion on art or other wide variety of issues, requires explanations, reviews, and education. Therefore, many art galleries actively utilize Docent program to more efficiently educate and provide appropriate appreciation opportunities for visitors. Visitors also utilize Docent program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n art works. However, systems for Docent programs that are utilized by many visitors in today’s Korea art world are not well established. The reason is that Docent program has not been in the country for long enough to settle yet. Even though Docent programs educate visitors in close proximity,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ir importance. The current writing reviewed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Docent program, which is one of education function of art gallerie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it.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Docent program operation of Seou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Docent selection process and education programs in operation were closely reviewed.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lects Docents, then provides a ‘Docent Training Program’, and then provides education for each exhibition. Such education courses as above that are offered at the Seou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current on-site status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e review, improvement plans for the Docent oper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ere suggested. First, segmentation of Docent operation program: Currently, Docent operation program offers education through one course of training program, and it is designed for adult visitors. However, as the Seoul Gallery ope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different exhibition directions for Gwacheon, Seoul, and Deoksugung Gallery. Gwacheon Gallery focuses on senior and emerging artists, Seoul Gallery features contemporary art and on-sit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while Deoksugung Gallery focuses on modern art. As such, since the focus of exhibition is different, Docents should be trained by segmentalized education so that Docents specialized in specific area can be trained. At present, Docents are working with adults only. But, if Docents are enabled to work with children or the elderly, explanations that increase visitors’ understanding can be offered. second, strengthening of education: On-site Docent management experiences made the investigator aware of many things to be desired. Language-use competency is as important as knowledge in art history in Docent activities. However, even Docents with many years of activity, the ability to deliver information or meaning of art works to visitors in clear language was largely inadequate. It appears that sustained management and strengthening the education in linguistic competence or command of language and vocabulary are needed. Third, sustainability and expertise in Docent management is needed. Relationship with Doce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not gallery staff but volunteers. Because they are not gallery staff but volunteering personnel, their sense of belonging may be relatively weak unlike gallery staff. Therefore, for them to carry out their Docent activities as an important member of gallery, a series of devices that can instill pride and self-esteem is needed. Also, professionalis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continuing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n place so that they have in-depth understandings and art-history knowledge as well a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using correct language. Fourth, Improved treatment of Docents: Docents are people who carry out jobs that should be done by gallery employees without compensation. Supports for Docents by providing more benefits and trainings are needed so that they do higher level of activities. The present writing reported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for Docent operation program.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using a case of Seou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미술관이란 곳은 미술작품의 의미와 그 미술사적 가치를 논하며 심미성과 교육적 측면에서 시각 이미지를 다루는 곳이다. 미술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곳이자 경험하고 교육 받는 곳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미술관이란 공간은 수없이 많은 이미지들이 존재하는 곳이다. 이 많은 이미지들을 그저 바라보고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물론 훌륭한 체험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이미지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미술사적 의미와 가치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더욱 배가될 것이다. 특히나 현대미술은 설명이나 교육 없이 제대로 감상되기가 어렵다. 개념적이며 작가들의 미술에 대한 혹은 매우 다양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현대미술은 그만큼 작품에 대한 설명, 평론,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관람객들은 미술관 역시 보다 효과적으로 관람객들을 교육시키고 올바른 감상의 기회를 갖도록 도슨트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미술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관람객은 도슨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 미술계에서 수많은 관람객들이 이용하는 도슨트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는 온전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다고 본다. 그 이유는 아직 도슨트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 정착한 시간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관람객을 최접점에서 교육시키는 업무인 도슨트 프로그램이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 현황도 아직까지 그 연구는 활발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 글은 미술관의 교육기능 중 하나인 도슨트 프로그램의 현황과 실태,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조망하였다. 그 중에서도 국립현대미술관의 서울관의 도슨트 운영 프로그램 현황을 중심으로 도슨트 선발과정을 비롯, 진행되는 교육프로그램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은 도슨트를 선발한 후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이후 전시별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되는 위와 같은 교육 과정 및 실제 현장에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도슨트 운영 프로그램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도슨트 운영프로그램의 세분화다. 현재 도슨트 운영프로그램은 한 가지 과정의 양성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제공하며 성인관람객을 대상으로 활동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관이 개관하면서 국립현대미술관은 과천관과 서울관, 덕수궁관이 지향하는 전시방향이 다르다. 과천관은 원로와 신진작가, 서울관은 현대미술, 현장제작설치를 위주로 다루며 덕수궁관은 근대미술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렇듯 지향하는 전시방향이 다른만큼 세분화된 교육으로 분할하여 도슨트들을 교육시켜 한 분야의 전문가 도슨트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재 도슨트들은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활동을 하고 있는데 어린이나 어르신 등 분화된 도슨트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면 관람객의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해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교육의 강화이다. 현장에서 도슨트 관리를 하다 보니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도슨트 활동에 있어서는 미술사적인 지식 못지 않게 언어 사용능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다년간의 활동을 한 도슨트라 할지라도 관람객들에게 미술작품의 정보나 의미 등을 명확한 언어로 전달하는 능력들이 대부분 미흡했다. 지속적인 관리와 언어전달 능력 내지 언어와 어휘의 구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 세 번째, 도슨트의 관리의 지속성 및 전문성이 요구된다. 도슨트의 경우 미술관의 직원이 아니라 자원봉사자이므로 미술관과의 유대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술관의 정식 직원이 아니라 자원봉사를 하는 이들이기 때문에 직원들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소속감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미술관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도슨트 활동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자부심과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일련의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전문성을 키워야 할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전시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미술사적 지식, 그리고 이를 언어로 전달하는 소통능력 등을 정확히 해나가도록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한다. 네 번째, 도슨트의 처우개선이다. 도슨트는 미술관이 직원으로 채워야 할 업무를 거의 무상으로 제공하여 주는 존재이다. 이들을 위해 더 많은 혜택과 교육을 제공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도슨트 프로그램의 확대이다. 외국 미술관에서의 도슨트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타 기관에서 선행된 사례 중 훌륭한 내용의 것을 받아들이는 벤치마킹이 요구된다. 이 글은 도슨트 운영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 마이크로트랜드화된 소비환경에 따른 주거만족 개선방안 연구 : 공동주택 실내마감 및 선택품목을 중심으로

        최아영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construction consumption environment is changed into the consumer-based from the former supplier-based, the consumers in micro-trends of consumption environment came to prefer residential space in line with own lifestyle and characteristic. Accordingly, a supplier is introducing the customized apartment that consumers can directly select from the option of basic specification such as finishing material and storage space to the more developed floor plan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A supplier is developing diverse products according to a consumer-based customization strategy and is enforcing a plan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However, the limitation is being shown to consumer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utonomous selection of the interior finish and optional equipments owing to the restricted date of the completion approval of apartment. Due to this backgrou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recognized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interior finish and optional equipments of apartment.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micro-trends of consumption environment. The aim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this after surveying three types of cases and analyzing problems and causes. As a method of this study, it considered a prior research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micro-trends of consumption environment in a prior research, and inquired into document on a change in consumption environment of apartment. Also,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a system and the present status for the optional equipments of apartment, it surveyed a concept and a type of optional equipment system and analyzed it based on the present status of optional equipments in apartment at hom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n line with each individual of consumers. According to this, it established a survey with 3 divisions and 6 cases and carried out analysis of problems and causes. Summarizing the results of a case survey, they are as follows. First, it surveyed apartment by dividing general apartment, differentiated apartment, and customized apartment into three types and six cases, suggested improvement plan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analyzing problems and causes, and maintained objectivity by each case through direct counseling and expert opinion. Second, as for the drawn problems, the general apartment couldn't satisfy customers due to being blanket and restricted items in op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The differentiated apartment was restrictive to consumers' option for design item of the space proposed by supplier. The customized apartment focused on a change in structure in line with an individual with consumers' participation from the design stage, but has limitation as saying of selecting structure in line with oneself among many items proposed by supplier. A supplier establishes several plans and strategies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micro-trends of consumption environment, but could be found the limitation that cannot satisfy consumers' segmented needs. There was limitation in fully examining and reflecting customers' requirements in fact due to being realistic problem that a supplier needs to focus on the whole construction work period, namely, on the fixed date of completion in apartment. As for improvement plans for these problems, it suggested the need to have margin of the construction work period as for the deadline of the interior finish construction and optional equipments by specifying the absolute construction period of the major construction kinds except the interior finish construction and optional equipments, and to enforce the system of the minimum residential space completion and ownership transfer that can be satisfied mutually by supplier and consumer. This study is judged to be likely effective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cusing on consumers as a means available for maximizing consumers' residential satisfaction in micro-trends of consumption environment, and will effectively function in risk reduction as for finish construction and defect repair cost according to the early completion of construction work as for apartment supplier. Still, a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as future research task of suppliers as for the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on the ownership transfer and a completion period change before the interior finish construction, and a strategy of coping with micro-trends with causing competition of independent brand pattern on the finish construction in suppliers. 건설소비환경이 이전의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마이크로트랜드화된 소비환경에서 소비자는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특성에 맞는 주거공간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에 공급자는 소비자들의 주거만족을 위해서 마감재와 수납공간등 기본사양의 선택에서부터 더 발전된 평면설계까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공동주택을 도입하고 있다. 공급자는 소비자중심의 맞춤전략에 따른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주거만족을 위한 방안을 시행하고 있지만 공동주택의 사용승인의 제한된 기일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주거만족과 실내마감 및 선택품목의 자율적 선택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공동주택의 실내마감 및 선택품목을 통한 주거만족에 대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마이크로트랜드화 된 소비환경에 따른 주거만족을 위하여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세가지 유형의 사례에 대해서 조사하여 문제점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선행연구에서 마이크로트랜드화된 소비환경에 따른 주거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공동주택 소비환경의 변화에 관한 문헌을 고찰 하였다. 또한 공동주택 선택품목제도 및 현황에 관한 이론적고찰을 통하여 선택품목제도의 개념과 유형을 조사하고 소비자 개인에게 맞는 주거환경을 위하여 국내 공동주택의 선택품목 현황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3분류 6사례의 조사를 수립하여 문제점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는 바 사례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에서 일반형공동주택, 차별성공동주택, 맞춤형공동주택의 세가지 유형 및 여섯가지 사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문제점 및 원인분석을 통하여 주거만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직접상담 및 전문가 의견을 통한 각각의 사례별 객관성을 유지하였다. 둘째, 도출된 문제점으로는 일반형공동주택에서는 마감재 선택이 일괄적이고 제한된 품목으로 고객을 만족시킬 수 없었고 차별성공동주택은 공급자가 제시한 공간의 디자인 품목에 대해 소비자의 선택은 제한적이었으며 맞춤형공동주택은 설계단계부터 소비자의 참여로 개인에게 맞는 구조변경을 중심으로 했지만 공급자가 제시한 여러 개의 품목 중 자신에게 맞는 구조를 선택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공급자는 마이크로트랜드화된 소비환경에서 주거만족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과 전략을 세우지만 세분화 되는 소비자의 요구에 만족시킬 수 없는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전체적인 공사기간, 즉 공동주택 공급자의 준공기한 내에 맞춰야 하는 현실적 문제로 인하여 사실상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검토하고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실내 마감공사 및 선택품목을 제외한 주요공종의 절대공사기간을 특정하여 실내 마감공사 및 선택품목의 마감일에 대하여 공사기간의 여유를 두어야 하며 공급자와 소비자가 상호 만족할 수 있는 최소 주거공간 준공 및 소유권 이전제도 시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트랜드화된 소비환경에서 소비자의 주거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소비자 중심의 주거만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공동주택 공급자는 공사의 조기준공에 따른 마감공사 및 하자보수에 대한 리스크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다만 실내마감 공사이전 소유권 이전 및 준공시기 벼경에 관한 제도적 보완 및 공급자의 마감공사 매출 감소에 따른 사항은 공급자들의 마감공사에 관한 독자 브랜드화 경쟁을 유발하고 마이크로트랜드화 전략에 대처하는 전략은 공급자들의 향후 연구과제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동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분석을 기반으로

        최아영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inistry of justice provides the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with the opportun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Korea l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Various benefits are offered to the participants who complete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immigrants', 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program in the Korea l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The study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of immigrants in the program are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benefits during their stay in Korea. The research suggests the education methodology on the semantic differences of verb synonyms in order to provide the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eet their special purposes such as residence, permanent residence, naturalization in Korea after completing the Korea l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The Korea l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is designed to help the immigrants'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he intermediate second level and to support their adjustment to Korean society in the end. However, the immigrants have lots of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of synonyms in the use of verbs. Such a lack of distinction ability hinders them from having quality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ability of distinguishing subtle semantic differences in context leads to the extension of Korean vocabulary, which also help the immigrants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t is highly important to have the quality communication ability of telling the differences of synonyms in the context considering the special purpose of successfu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n this context the study of verb synony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Korea l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the immigrants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immigrants increase communication ability and adjust to Korean society by suggesting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verb synonyms and also extracting the relevant synonyms of verb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I have collected the verb synonyms in the intermediate text book for the immigrants' language program. I have conducted the survey of recognition for the participants. First, I have compared the verbs extracted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l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with the synonyms extracted through the text book. Second, I have selected the synonyms by the frequencies of usage then made up the evaluation sheet. Based on the result, I have suggested argument of noun, case frame, dictionary definition in the differences of meaning among verb synonyms. 법무부는 국내체류 모든 외국인을 위한 언어지원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사회통합프로그램 중에서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와 ‘한국사회이해’ 과정을 이수한 학습자들에게는 다양한 혜택들이 부여된다. 체류활동과 체류기간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이민자들의 참여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학습자들의 이수 후 주어지는 거주, 영주, 귀화라는 특수한 목적에 부합한 효율적인 한국어교육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사 유의어 의미차이에 대한 교육을 제시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은 이민자들이 중급 2단계까지 한국어 학습과정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발휘하며 주류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이민자들은 실생활에서 한국어의 동사 유의어 의미를 변별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변별 능력의 부족은 질적인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중요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동사 유의어의 문맥에 따른 섬세한 의미 차이를 구분하는 능력은 한국어어휘 능력의 확장으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장기체류에서의 성공적인 적응이라는 특수한 학습 목적을 고려할 때, 문맥에 따른 유의어 간의 의미차이를 변별하는 질적인 의사소통능력은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육의 동사 유의어 연구는 이민자들이 주류사회 진입하는 데에 꼭 필요한 학습과정으로 간과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민자들의 효율적인 한국어학습으로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동사 유의어 어휘를 추출하고 동사유의어의 의미차이에 대한 변별 방법을 제시하여 이민자들의 의사소통능력과 한국사회의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우선 국내체류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중급교재의 동사 유의어를 추출했다. 이를 국제통용한국어교육 표준모형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에서 추출한 동사 유의어와 비교한 후, 출현 빈도수에 따라 유의어를 선정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변별을 제시하기 위한 평가지로 구성한 후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동사 유의어의 의미 차이에서 변별로 명사 논항의 공기 관계 의미차이, 격틀구조의 의미차이, 정의의 유의관계 의미차이를 제시했다.

      • 일상공간을 은유적으로 표현 : 본인의 작품 중심으로

        최아영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work is expressed by an artist’s formative language through daily experiences, memories, and what he feels and thin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udiences. This researcher also expresses daily experiences as an everyday life space through an abstract vein. Everyday life space has a certain area, and it is a familiar space around us as a specific place with repeated experiences and habits. In addition, inside it, my own life process is melted. I try to express everyday life space by reflecting my thought that my life and work activity is not divided but closely related. In this study, a vein is a single leaf of a live plant that I contacts often, and I feel psychological comfort and familiarity as I get used to it by watering and talking. Given a view looking at a plant from the microscopic perspective, it looks similar to modern people’s network and I tried to express abstractly. So, I expressed my memories, experiences, and habits melted in everyday life space through a vein metaphorically. In short, a vein is a material that implies everyday life space.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space and the relations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s. Moreover, it grasps the position of a work by looking to metaphorical expression and logic of life shown in Oriental paintings. As an expression method in this work, a single leaf of vein which is a landscape of everyday life is chose as a material. For the observation method of looking at a vein, a microscope is used to magnify and look in backgrounds and elements of a vein, which is to express an accumulated process of time where a strange space is becoming an everyday life space in a regular and repeated way as well as daily life in a space. A point is created at the position which I put a dot on one by one, points are gathered to make a line, and lines are gathered to make a side and finally creates a space. A point expresses memories and experiences of daily life space abstractly, and points are gathered to make a daily life picture meaningful to me. During the process, I analyzed the construction of a point, a line, and a side by looking into a point, a line, and a side that are basic elements of paining. In addition, I defined a work in a different way from a meaning of blank in Oriental paintings by fulfilling blank on the canvas.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blank is expressed in a work and examine if my intention is shown effectively or not. This study aims to more develop another world of work about the everyday life space and things by using everyday life motif besides a vein through future works.

      • MZ세대를 위한 고객여정 기반 화장품매장의 서비스디자인 제안

        최아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기업과 오프라인 매장은 대면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은 온라인 비즈니스가 강화됨에 따라 물건을 구매하고 결재하는 행위 대신 고객에게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객의 구매 여정 전반에 걸친 변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기업은 고객의 구매 단계뿐만 아니라, 구매에 영향을 주는 고객 여정의 전 과정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새로운 고객의 욕구와 행동을 온⦁오프라인 매장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객이 물건을 탐색하고 구매한 후 사용하는 전체 구매 여정에서 각각의 단계마다 중요시하는 가치가 다르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단계에 대한 고찰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객 여정을 기반으로 화장품 산업을 분석하여, 오프라인 화장품매장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서비스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의 주 대상인 MZ세대가 중요시하는 소비가치를 파악하고, 화장품 구매 여정의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가치 및 개선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사례 조사를 통해 현재 오프라인 화장품매장의 화장품 소비가치별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이후 심층 인터뷰와 정량조사를 통하여 화장품 구매 전반에 걸친 고객 여정을 파악한 후 각 단계별 추구하는 가치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를 다시 진행하여 각 단계마다 지향하는 세부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전문가 및 사용자 검증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제 실용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MZ세대를 위한 고객 여정 기반 화장품매장의 서비스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 매장은 온라인에서 경험할 수 없는 지속적인 상담과 개인의 피부 상태와 퍼스널 컬러등을 기반으로 하며 전문 교육을 받은 직원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고객 스스로 화장품을 테스트해보고 그 결과를 친구들과 공유하고 소통하며, 온라인 검색한 제품을 빠르게 테스트 해볼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내가 사용하지 않은 새 제품을 새로운 가치로 창출시켜 스스로 새로움의 즐거움과 다양함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리셀 / 교환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비스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집중해서 변화해야 하는 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온라인 구매에서 불만족한 영역을 해소시켜 줄 수 있다. 실제로 여러 개의 서비스를 오프라인 매장에 반영하기 어려울 경우, 이 중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영역에 집중한다면, 비교적 빠르게 변화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전 세계의 오프라인 매장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과 도구, 그리고 디자인은 위협적인 질병으로부터 건강과 위생을 지켜줄 수 있고, 상호적 관계를 다시 이어줄 수 있다. 이에 현재의 오프라인 매장은, 당장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검증된 해결책이 필요하다. Many companies and offline stores are trying to make various changes for face-to-face services. As online businesses booming, offline stores are transforming into spaces that provide customers with experiences instead of purchasing and paying for goods. However, transformation throughout the customer's purchase journey are still insufficient. Companies should be able to analyze and understand not only the customer's purchasing phase, but also the entire customer journey that affects the purchase to reflect new customer needs and behaviors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Since each step has a different value in the overall purchase journey that customers use after exploring and purchasing goods, consideration of each step should be given priority to understand this.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s the cosmetics industry based on the customer journ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service design on how offline cosmetics stores should change. In this thesis, first, the consumption value that the MZ generation,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values and improvements required at each stage of the cosmetics purchase journey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rough a case study, the elements of each cosmetics consumption value in the current offline cosmetics store were examined. After that,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quantitative surveys, the customer journey throughout the purchase of cosmetics was identified, and the value pursued by each step was identified. Based on thi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gain to identify detailed requirements aimed at each step. Finally, experts and users' verification interviews on the service design proposed in the study were conducted to share opinions on actual practicality. As a result, the service design of the customer journey-based cosmetics store for the MZ gener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fline stores need continuous counseling that cannot be experienced online, and continuous customized services that can be received from professional-trained staffs based on personal skin conditions and personal colors. Second, online and offline autonomous services are needed to test cosmetics on their own, share the results with friends, communicate, and quickly test online searched products. Third, it need a re-sell / exchange service that allows customer to feel the joy of novelty and the joy of diversity by creating new products that I have not used with new values. The service proposed in this thesis deals with areas that need to be changed intensively in offline stores, and can resolve dissatisfied areas in online purchases. In fact, if it is difficult to reflect multiple services in offline stores, if you focus on the areas that can be used most efficiently, you will be able to provide changed services to customers relatively quickly. Offline stores around the world face a bigger challenge than ever before. However, new technologies, tools, and designs can protect health and hygiene from threatening diseases, and re-establish mutual relationships. Accordingly, the current offline store needs a proven solution that can be applied efficiently immediately.

      •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원을 매개효과로 -

        최아영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개인의 삶의 질과 조직의 효율적인 인적 관리를 통한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 향상과 치과위생사의 복리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2022년 6월 16부터 6월 21일까지 서울·경기, 대전·충청, 광주·전라 지역에 소재한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별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심리적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주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감정노동은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은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조직유효성의 하위 항목 중에서 직무만족도는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조직몰입은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근무기관, 직위, 근무시간,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심리적 자원의 하위 항목 중에서 자기효능감은 연령,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연령,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각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관관계 수준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상관이 가장 높았고,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조직몰입, 의사소통능력과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과 회복탄력성,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 순이었다(p<0.01). 조직유효성 하위 항목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회복탄력성(β=0.345, p<0.001), 의사소통능력(β=0.268, p<0.001), 자기효능감(β=0.222, p<0.001)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adj.R2=50.8%). 조직유효성 하위 항목의 조직몰입은 의사소통능력(β=0.364, p<0.001), 자기효능감(β=0.224, p<0.001)과 회복탄력성(β=0.162, p=0.001), 연령이 낮을수록(β=0.126, p=0.018) 조직몰입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위가 팀원일 경우(β=-0.170, p<0.002)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adj.R2=49.6%).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의사소통능력과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조직 차원의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