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최슬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능성 위장장애는 일차의료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소화장애 증상들이 스트레스 및 정서적 장애 등 심리적인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는 많으나, 건강습관을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저자는 이들 환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건강습관의 실천정도를 알아보고 삶의 질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9년 5월부터 6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검진센터와 가정의학과 외래 및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와 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설문조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여 진단된 69명의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들과 69명의 정상 대조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소화장애 증상의 정도와 Breslow의 7가지 건강습관 및 식이습관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스트레스양의 측정은 한국어판 BEPSI 설문서(BEPSI-K)와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을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 평가에는 COOP/WONCA Charts를 이용하였다.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성별, 결혼상태, 직업, 교육수준, 소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에 있어 환자군의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은 운동과 아침식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좋지 않은 습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커피를 더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군은 BEPSI-K양과 GARS scale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고, 삶의 질에서는 운동영역 외 감정, 일상생활, 사회적 활동, 건강상태, 통증 영역에서 삶의 질이 떨어져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좋지 않은 건강습관을 가지고 스트레스양이 많으며 삶의 질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에게서 좋은 건강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Dyspepsia is a common symptom in primary practice. It is well-known that dyspeptic symptoms in functional dyspepsia(FD) are related to psychologic factor such as stress and mood disorder. But few studies about health habits and quality of life in FD are pres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health habits,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FD. From May 1st to July 30th 1999, visitors to a health screening center and a family practice center were studied. The subjects responded to questionnaire including severity of dyspepsia, health habits, BEPSI-K, GARS scale and COOP/WONCA charts and then interviewed with a physician. Among eligible subjects, sixty nin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functional dyspepsia by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sixty nine persons were included as normal control group. Patients with FD had Poor health habits of exercise and breakfast, and drank more coffee and than control group.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found between FD and control groups. Health habits and stress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FD, and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FD than control group. Author assumes that good health habits and stress control ar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FD.

      •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최슬기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실시 중인 동물보호교육의 문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대안이 될 수 있는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의 교재 및 동물보호교육 강사로서의 연구자의 경험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방법, 운영방법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였다. 개선대안 프로그램으로 동물보호소에서 진행되는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P시의 동물보호소에서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는 주제별로 분류하고 주요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방법, 운영방법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내용 측면에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교재에는 동물복지, 공감, 책임의 내용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내용이 균형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교육방법 중 동물복지가 고려되지 않고 동물보호교육의 목적에 상충하는 직접체험방식으로 교육의 일부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프로그램 운영방법에서는 교육이 초등학생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학생들의 능동적인 로그램 참여가 어려우며 동물보호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태도와 행동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기에는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의 시간과 자원이 부족하였다. 둘째, 파악된 문제의 개선대안으로 동물보호소의 봉사활동을 활용한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각 회기는 마음 열기, 일반봉사활동, 특별활동, 강의와 토론, 마무리 단계로 구성되어 4시간 동안 진행된다. 마음 열기는 한 회기의 활동 일정과 활동 목표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일반봉사활동은 견사 청소나 동물에게 밥과 물주기 등 동물보호소의 일상적 업무에 도움을 주는 활동이다. 특별활동은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동물을 돌보고 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동물보호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활동이다. 강의와 토론은 동물복지문제와 인간의 윤리적 의무, 생명존중에 대한 주제들을 배우고 의견을 나누는 과정이다. 마무리는 활동일지 작성을 통해 배운 점과 느낀점들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셋째, 개발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들은 동물보호 이슈와 동물 돌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였고, 동물복지를 위한 선택을 하려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유기동물을 돌보는 활동에 참여하면서 보람과 즐거움을 느꼈고, 동물의 감정과 동물이 처한 상황에 공감하였다.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능동적인 동물보호교육 참여 기회가 되었고 참여자의 점진적인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지원하였다.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 및 적용된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은 국내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문제점의 대안으로서 실현 가능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며, 동물보호교육의 목적을 충족하며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구현의 시작단계로서 차후 프로그램의 현장 실현을 위해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교사의 양성, 프로그램 홍보, 학교나 청소년 센터 등 다양한 교육기관과의 협력 진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as an improved alternative to an ongoing animal welfare education an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developed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through field appl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areas that need improvements among contexts of the program, education methods, and operation methods based upon teaching materials of domestic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and an experience as animal welfare education instructor. As for the improved alternative program, adolescents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which has been utilized at an animal shelter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ix adolescents in an animal shelter of P city. The outcome of the application was sorted by topic, and major cas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teaching material of the ongoing domestic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had evenly distributed the content of animal welfare, empathy, and responsibility, the program did not value them equally on a practical educational field. Among educational methods, those ‘direct experience methods’ that solely focus on arousing interest without concerning animal welfare had to be replaced with ‘indirect experience method’ due to its discrepancy in purpose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mong operation methods, targets for the education was focused on capital area, students were passive through the process, and there were insufficient time and resources from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to bring practical changes on students’ attitude and behavior. Second, 8-session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ich contains a general service like cleaning animal shelter, specialized service such as taking care of animals and completing ‘loving animal project’ and lessons which adolescents can learn and share their opinions about animal welfare was developed. Third, the result analysis of the program application show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provided adolescents an opportun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imal welfare activities, and it became an unique experience to acquire knowledge on animal welfare issue and care, cultivate ethical citizenship, and feel empathy for other creature as well as joy and satisfaction. In conclusion,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contributed to an advance of adolescent’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animal, and ha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o problems of existing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Being an initiative stage of implementing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it is recommended to have a follow up study incorporating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practices and reflections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슬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 말하기 학습은 영어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이다. 많은 학생들이 단순히 주요 표현을 반복해서 따라 말하고, 질문과 대답을 기계적으로 하면서 그것이 영어 말하기 학습이라고 생각하고 지루하게 여긴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스마트폰과 애니메이션 제작 앱을 활용하여 영어 말하기 수업을 했을 때, 영어 말하기 능력과 수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했다.

      • 초연결사회 감염서사에 드러난 정동정치와 돌봄윤리

        최슬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감염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생명권력이 신체에 작동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개별·집단 신체의 정동, 그리고 기존 질서를 재편하고자 하는 대안으로서 돌봄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팬데믹 국면에서 ‘감염’이라는 재난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비가시화 영역’의 바이러스 확산 상황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의 ‘몸’이 이미 물질과 비물질로 인해 수 없이 연결되어 있음을 주지시킨다. 감염서사에서 신체는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열린-계(系)이자 권력(potentia)과 역능(potestas)이 끊임없이 통과하는 장(場)이다.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일상을 배경으로 한 2010년대 이후 감염서사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초연결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미시-권력이 신체에 작동하는 방식과 이에 대응하는 개별·집단 신체의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우선,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바탕으로 오늘날 통제사회에서 생명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감염 신체의 분리 양상에 따라 분석한다.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생명권력은 개별 신체에 대한 규율권력, 집단 신체에 대한 안전권력, 나아가 인종주의를 통해 복원된 주권 권력의 형태로 작동한다. 통제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감염서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결합하면서 일상 깊숙이 파고드는 생명관리권력의 형태를 텍스트를 통해 전면화한다. 다음으로 정동 이론을 참고하여 통제사회의 생명관리권력을 유지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작동방식과 감염이라는 재난 상황에 놓인 개별·집단 신체 외부와 내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다. 감염서사에서 ‘정동’은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감염 신체를 다루는 생명권력에 포섭되어 통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정동이다. 감염 신체에 대한 혐오적 정동을 생성함으로써 통치 권력은 ‘권력의 내면화’를 달성하고, 신체를 둘러싼 환경을 이용하여 정동을 조작함으로써 ‘환경의 최적화’를 수행한다. 두 번째는 생명권력에 대항하는 신체들 사이에서 촉발하고 촉발되는 정동이다. 신체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정동은 신체들의 모여듦과 마주함을 통해 서로를 공명하고 증폭시키면서 신체 역량을 증대한다. 증가한 신체적 역량은 통치 권력의 구조를 비틀고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반-경향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감염서사에 드러난 집단감염과 통제사회로 이행에서 파편화된 개인에 의해 통치 권력의 수동적 대상이 되는 ‘공동체’에 대한 실재적 대안 체제를 사유하기 위해, 헬드와 트론토의 정치·철학적 관점의 ‘돌봄’을 참고한다. 감염서사는 현실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돌봄 불평등’과 ‘돌봄 결핍’의 문제를 궁극적인 재난 상황을 통해 전면화하고, ‘함께 돌봄’에서 이어진 ‘돌봄 민주주의’의 실현을 그려내면서, 존재의 역량을 증대시키는 정동적 연결의 신체성 구축의 한 방식으로 돌봄을 제시한다. 연결된 자신과 타자의 취약성 인지를 바탕으로 상호공유하는 관계성은 감염 재난이 초래한 우울증을 타자에 대한 배려로 전환하고 그러한 배려의 형태는 인간을 넘어 동물과 환경으로 확대된 타자-되기로 발현한다. 감염서사는 이렇듯 인간의 ‘몸’이 다른 ‘몸’ 또는 사물-에너지와 결합하면서 권력에 의해 굴절되거나 저항적 신체로 확장되는 과정을 가시화한다. 감염서사가 가시화한 감염의 정치적 메커니즘을 미시물리·미시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팬데믹을 맞이한 현시점에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할 사회적 방향성을 사유토록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상급종합병원 경증질환 진료에 대한 보상정책 변화의 효과 분석 : 고혈압 및 당뇨 외래 재진 환자의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최슬기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외래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의 지속적인 증가 상황에서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 억제는 보건의료제도 변화에 있어 핵심적인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전달체계 구조의 기능 약화에 따라 상급종합병원의 진료가 용이하여 외래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 상승을 초래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외래 진료 시 본인부담률 조정 등 진료비의 지출구조 개선 및 건강보험 재정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합리적 의료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10월부터 시행된 상급종합병원 경증질환 진료에 대한 보상정책 변화가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해당 정책은 정부가 의료전달체계 기능 정립을 위해 경증질환으로 상급종합병원 외래 재진 진료를 받은 환자에게는 본인부담률을 60%에서 100%로 조정하고 이를 진료한 병원에는 의료질평가지원금과 종별가산율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다빈도 경증질환인 고혈압 및 당뇨를 주상병으로 한 환자였으며 2019년 10월부터 2021년 9월까지 보상정책 변화 전·후 각 1년간의 건강보험 진료 건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B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고혈압 환자 10,288명, 당뇨 환자 3,97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1인당 외래방문 횟수는 고혈압의 경우 시행 전 2.19회, 시행 후 1.69회로 감소하였으며, 당뇨에서도 시행 전 2.37회에서 시행 후에 1.76회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책 개입이 기대하는 외래방문 횟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방문당 평균 본인부담금은 고혈압의 경우 시행 전 26,216원에서 시행 후 27,801원으로 증가하였고, 당뇨에서도 시행 전 34,262원에서 시행 후 40,123원으로 증가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방문당 평균 진료비는 고혈압의 경우 시행 전 33,984원에서 시행 후 27,824원으로 감소하였고, 당뇨에서도 시행 전 47,291원에서 시행 후 40,164원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환자 특성 및 의료기관 특성을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 보상정책 변화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향후 연구대상 경증질환을 확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본 연구 결과가 상급종합병원 경증질환자들의 의료이용을 일차의료기관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효율적인 시조창 지도방안 연구 : 코다이 손기호를 중심으로

        최슬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시조창 지도방안을 모색하여 중학교 1학년 음악수업 현장에서 음악교사들이 효율적인 시조창 지도방법을 적용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조창은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 전반을 거쳐 한국 전통 성악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장르로 세계 음악교육의 기초를 이루어낸 음악학자인 코다이가 주장하는 교육철학에 매우 적합하다. 그의 손기호를 적용한 시조창 지도방안은 악보와 음악적 표현과의 거리감을 좁혀주는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고는 시조창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하여 코다이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그의 손기호를 적용한 음높이 훈련과 시김새 훈련을 제시하였다. 음높이 훈련은 시조창의 기본 가락을 익히기 위한 훈련이다. 평시조에서 등장하는 3음 음계의 3가지 음정에 따른 손기호를 이해하고 표현해보면서 기본 가락을 익히는 것이다. 평시조는 황(黃)·중(仲)·임(林)의 세 가지 음정이 주로 사용되는데 꾸밈음이나 시김새에 따라 태(太)·남(南)·무(無)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 6가지의 손기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암기한 후에 평시조 악보에 손기호를 적용시켜 기본 가락을 익히도록 하였다. 시김새 훈련은 기본가락 위에 세부적인 시김새를 입혀 시조창의 맛을 살리기 위한 훈련이다. 평시조에는 6가지 시김새가 등장하는데 황(黃)은 평이하게 떨어주는 요성으로 가락의 흐름에 따라 굵게 떨어주기도 한다. 중(仲)은 임(林)으로 치켜 떨어주는 요성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시김새이다. 반대로 임(林)은 중(仲)으로 흘러내리는 퇴성을 사용한다. 황(黃)·중(仲)·임(林) 외에 태(太)·남(南)·무(無)도 사용되는데 주로 황(黃)·중(仲)·임(林)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가성을 사용하는 황(潢)은 태(汰)·황(潢)·태(汰)·황(潢)으로 꾸며지기도 하고 중(仲)은 무(無)·남(南)·임(林)·중(仲)으로 꾸며진다. 이러한 시김새를 음높이 훈련에서 익힌 손기호를 바탕으로 요성의 역할에 따라 손으로 움직임을 표현한다. 각 음정의 역할을 이해하고 시김새를 노래하듯이 손동작으로 표현하면서 불러보고 충분히 이해된 후에는 손기호 없이 부르도록 하였다. 본고에서 제시된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효율적인 시조창 지도방안 연구는 음악교육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방법론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어 음악 교육학계, 국악계에 많은 발전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직무분석

        최슬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hat was conducted for a job analysis of a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 (WOC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2 nurses working in the field of wound ostomy continence, centered on executives from 23 medical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published on the website of the KAWOC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March 7 to April 30, 2021.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tool developed by Kim Minyoung et al. (2018) to analyze the frequency of work performance of professional support personn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total of seven experts. The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53 items asking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job areas of a WOC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and post hoc analysis using the Scheffe test, Bonferroni correction were used to describe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were 72 38.29±8.38 years old and most of them were female (90.3%). As for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university graduates with 62 bachelor's degree was the most at 55.6%, and master's and doctoral degree was 43.1%. The average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14.57±8.32 years,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as a WOCN was 4.95±4.56 years. 69.4% of participants completed wound ostomy incontinence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2. The average importance of the job area of a WOCN was 2.46±0.36/3 points, and‘education and counseling’scored the highest (2.50±0.44/3 points). The average difficulty level for each job area was 2.25±0.34/3 and‘Research’was the highest (2.55±0.64/3 points). The average performance frequency by job area was 8.34±9.81 times/week out of the maximum of 52.32 times/week, and‘Advanced work’was the highest (16.19±18.22 times/week). 3. As for the importance of the job area of a WOCN,‘patient/guardian education’(2.96±0.26/3 point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scored the highest, and ‘participation in medical rounds’in advanced practice(1.85±0.82/3 points) scored the lowest. As for the difficulty of each tas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orking standards' (2.71±0.52/3 points) and 'participation in policy development' (2.71±0.52/3 points) in the leadership area were the highest, and 'stitch out' (1.65±0.70/3 points) in the advanced work area was the lowest. As for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by task,‘compulsory record preparation’ (55.56±73.93 times/week) in the advanced practice area was the highest, and ‘research results presentation’(0.03±0.17 times/week) in the research area was the lowest. 4.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by area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he upper-level work are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d at the current working institu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63 participants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less than 700 bed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higher-level work higher than those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than 700 be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areas, the importance of the leadership area, and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in the research area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level. In other words, subjects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perceived the education, counseling and leadership areas as more important than those with a bachelor's degree or lower, and accordingly the frequency of research was higher.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area that WOCNs perceived most important was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job area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advanced practice. In addition, the job area that WOCNs had the most difficulty but performed the least frequently was research and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standardized educational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job competency of WOCNs.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에서 활동 중인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역할 규명을 위해 직무분석을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전국 23개 의료기관 소속 임원을 중심으로 상처장루실금 분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7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3월 7일부터 4월 30일까지 편의추출을 통해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김민영 등(2018)이 전문지원인력의 업무수행빈도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수행 가능한 업무로 수정‧보완하여 총 7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직무 영역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측정하는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서 총 53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총 72명으로 여성이 90.3%이었고, 평균 연령은 38.29±8.38세이었으며,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이 55.6%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 졸업은 43.1%로 나타났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4.57±8.32년이었고, 상처장루실금 분야 근무 경력은 평균 4.95±4.56년이었다. 상처장루실금 전문교육과정은 69.4%가 이수하였다. 2.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직무 영역별 중요도 평균은 최대값 3점 중 2.46±0.36점이었고,‘교육과 상담’(2.50±0.44점)이 가장 높았다. 직무 영역별 난이도 평균은 최대값 3점 중 2.25±0.34점이었고,‘연구’(2.55±0.64점)가 가장 높았다. 직무 영역별 수행빈도 평균은 최대값 52.32회/주 중 8.34±9.81회/주였고,‘상급실무’(16.19±18.22회/주)가 가장 높았다. 3.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작업별 중요도는 교육과 상담 영역에서‘환자/보호자 교육’(2.96±0.26점)이 가장 높았고, 상급실무 영역에서‘진료과 회진 참여’(1.85±0.82점)가 가장 낮았다. 작업별 난이도는 리더십 영역에서‘실무표준의 개발과 적용’(2.71±0.52점)과‘정책개발 참여’(2.71±0.52점)가 가장 높았고, 상급실무 영역에서 ‘발사’(1.65±0.70점)가 가장 낮았다. 작업별 수행빈도는 상급실무 영역에서 ‘의무기록 작성’(55.56±73.93회/주)이 가장 높았고, 연구 영역에서‘연구결과 발표’(0.03±0.17회/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급실무 영역의 중요도와 난이도는 현 근무기관의 병상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700병상 미만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대상자가 700병상 이상인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대상자보다 상급실무에 대한 중요도와 난이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상담 영역의 중요도와 리더십 영역의 중요도 및 연구 영역의 수행빈도는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석사 졸업 이상인 대상자가 학사 졸업 이하인 대상자보다 교육과 상담 영역 및 리더십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연구 수행빈도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상처장루실금간호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직무 영역은 교육과 상담이며, 수행빈도가 가장 높은 직무 영역은 상급실무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처장루실금간호사가 가장 난이도가 높다고 인지하며 수행빈도가 낮은 직무 영역은 연구와 리더십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상처장루실금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처장루실금간호사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의 강화가 요구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청탁금지법 결정요인 분석 : 정책아이디어와 행위자 선호, 전략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슬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what are the k ey variables that affect public policy decisions and how they affect the dec isions through what channels. It concentrates on the cas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the anti-graft law) which demonstrates a policymaking process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ith existing approaches bas ed on the conception of self interested behaviour. Although the anti-graft l aw was a public policy that regulate the lawmakers themselves, the anti-g raft law was passe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with the approval of an absolute majority of lawmakers. This study noted that public sentiments can affect public policy decisions by changing specific pr ogram ideas that reflect the preferences, strategies, preferences and strategi es of individual or group actors involved in policy-making. In the beginning, contrary to public support for the anti-graft law, lawm akers had a strategy to delay legislation of the law, which would regulate their actions. Even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resultant Guanpia fr ame became popular in 2014, the delay and avoidance was maintained and the government and legislators only used the anti-graft legislation as a pol itical rhetoric. However, with the release of Lee Wan-koo's transcript, publ ic sentiment turned into a frame that links the objection to the anti-graft l aw to corrupt acts seeking private interests, which was perceived as a poli tical threat to the next election.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shift ed their strategy to quickly legislate the anti-graft law through a negotiati on between the leader, and in the process, issues of content were ignored or decided in a way that can avoid immediate responsibility. Opposition from media companies and private schools was expressed,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m to practically oppose the law, since they could not form a coalition with policy-makers in the system due to the overwhel ming public sentiment that emphasizes publicness and fairness. As a result, the conflict over the issues of the anti-graft law, which required social dis cussion and agreement, was also settled only temporarily. 본 논문은 공공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가 무엇이며,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청탁금지법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 아이디어로서 공공의 정서와 주요 행위자들의 선호, 아이디어가 상호작용하고 변화하는 양상과 정책 프로그램 아이디어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공공정책 결정의 핵심 변수로서 공공의 정서의 역할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입법 과정과 법 내용과 체계 등에 대해 졸속 입법, 과잉입법이라는 비판이 만연했던 것에 비해 실제 청탁금지법의 입법 과정에서 절차적 합법성이나 정치적 합리성을 저해하는 국정 파행 없이 국회의원 다수의 찬성으로 국회본회의에서 가결되었다. 본 연구는 청탁금지법 입법 과정에서 정책 아이디어로서 공공의 정서가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개인 또는 집단 행위자들의 선호와 전략과 상호작용하며, 선호와 전략을 반영하고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수정변화시킴으로써 공공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공공의정서를 포함한 정책 아이디어들은 담론화되어 행위자들에게 인지되는데 정책을 둘러싼 담론은 언론 보도를 통해 대중에 전달되고, 정책결정 참여자들 또한 공공의 정서와 여론을 인지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언론매체가 매개 역할을 하게 된다. 정부와 국회의 공식 문건, 언론 매체 보도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직사회 부패를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엄격한 처벌과 감시의 도입을 골자로 하는 반부패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는 공공의 정서를 반영한 프로그램 아이디어로 청탁금지법이 제시되었으나 폐쇄적인 한국 입법 제도 내에서 프로그램 아이디어의 수정과 채택, 결정에 실질적인 권한이 집중된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행위를 규제하게 될 해당법의 입법을 지연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2014년 세월호 사건의 책임론과 관피아 프레임이 확산될 때까지도 청탁금지법 입법을 여론을 인식한 정치적 수사로서만 활용하는 지연과 회피 전략은 유지되었다. 이완구 총리후보의 녹취록 공개를 계기로 공공의 정서는 입법 지연의 고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청탁금지법 입법을 반대하는 정치인은 사익을 추구하는 부패 정치인이라는 프레임으로 변화하고 나서야 차기 선거 낙선과 정당 지지도 상실의 잠재적 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선호한 여당과 야당 모두 합의를 지도부 합의를 통해 입법을 강행하는 전략을 추구하게 되었다. 공공성, 공정성의 가치를 강조한 압도적인 공공의 정서가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압도하면서 법 적용 대상으로 포함된 직능집단들의 반발과 비판들은 수용되지 못했고, 제도 내 정책결정자들과 연합을 형성하지 못하여 조직적인 반대도 불가능해지면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했던 법안의 쟁점들도 봉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정책, 특히 물질적 이익이 연관되지 않은 규제적 성격의 공공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규범적 프레임의 공공의 정서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결정과정에서 대중의 정책 아이디어와 정책결정자들의 아이디어, 선호의 상호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사적 이익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되던 정당성, 규범성 등 가치 변수의 영향을 재고할 수 있었다.

      • IPA를 활용한 해양도시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통영 · 여수지역을 대상으로

        최슬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소개한 야간관광 100선에 선정된 야간관광지 중 경상남도 통영과 전라남도 여수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 관광객의 야간관광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지역들을 포함한 국내 해양도시의 야간문화관광 현황과 수요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상품과 야간프로그램에 관한 개발방안을 제시하여 야간문화의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의 전환, 이미지 제고, 삶의 질 개선, 관광객 유치 등 야간관광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영시 또는 여수시의 야간관광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30일부터 2020년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236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SPSS 2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편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양도시(통영과 여수) 야간관광객 유치를 위해 두 지역을 같이 분석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야간관광 선택속성으로는 야간경관의 쾌적함 청결, 분위기, 다양한 음식점, 안전성속성으로 나타났다. 통영은 야간자연경관의 쾌적함 청결, 분위기, 다양한 음식점, 인터넷 정보 속성이 나타났으며, 여수는 지역의 특색, 야간경관조명시설, 분위기, 야간 투어, 다양한 음식점으로 나타났음을 3가지 IPA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지역 모두 해양도시로써 야간경관이 아름답고 먹을거리 또한 다양하여 앞서 언급한 선택속성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더욱 많은 야간관광객 유치와 재방문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개선되어야 하는 야간관광 선택속성은 통영과 여수지역 모두 3가지 IPA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난 속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야간관광 인프라 요인은 Martilla&James(1977)의 전통적 IPA와 Deng(2007)의 수정된 IPA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속성별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두 지역을 같이 분석하였을 때 다양한 교통수단 속성만이 3가지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났다. 통영의 경우에는 야간축제 및 이벤트, 야간교통이용의 편리, 다양한 교통수단, 숙박비용 속성들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여수는 야간교통이용의 편리, 관광 정보시설, 주차장시설, 숙박비용, 입장료비용 등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통영은 여수의 해양공원에 위치한 포차거리나 버스킹 등의 야간축제 및 이벤트문화가 몰려있는 ‘핫플레이스’가 없어 다양한 연령대의 관광객 유치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공간을 많은 숙박시설이 가깝게 위치한 지역에 조성하여 야간교통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여수는 넓은 해양공원과 근처에 위치한 식당, 카페 등의 각종 시설물로 관광 정보시설 설치가 필요하며, 주말의 경우 무료로 개방되어있는 해양공원 주차장으로 인해 일명 ‘알박기주차’로 많은 관광객이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두 지역 모두 유명 관광지 특성상 교통문제와 숙박비용으로 특정 요일 관광객 몰림 현상으로 교통문제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높은 숙박비용으로 인해 관광객 유치 기간이 짧아(평균 1박) 시에서 운영하는 숙박시설을 관광코스에 포함하여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등 다양한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를 활용하여 방법론적인 비교연구를 하였으며, 관광객 입장에서의 야간관광 선택속성 평가를 통해 향후 해당 지역 또는 여러 해양도시의 야간관광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사전 분석 기법

        최슬기 순천향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사이버 범죄에 활용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모바일 포렌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포렌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는 모바일 포렌식 도구와 모바일 포렌식에 관한 연구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고 데이터에 대한 복원 기술과 필터링 기술, 검색 기술들을 통하여 범죄를 입증할 수 있는 디지털 증거를 찾는 ‘정보 추출 포렌식’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디지털 매체의 저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매체의 저장 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모든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지털 증거를 찾아내는 이미지 추출 방법보다는 사건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데이터만 선정하여 분석하는 기법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전 분석을 통해 디바이스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사전 분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기법은 디지털 포렌식 분석 시에 해당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 대한 사전 분석을 통해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정밀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의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을 실제로 구현하고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