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랙탈 저작도구

        최선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논문에서는 프랙탈 공간을 공부하고 프랙탈을 이해할수 있는 여러 가지 수학적 이론들을 제시한다. 실제로 프랙탈을 표현하는 방법을 여러 가지로 생각해보고 이것을 직접 Boland-C를 이용하여 코흐곡선, 시어핀스킷 삼각형, 세쌍동이 등을 구현해본다. 최종적으로 Boland-C를 이용하여 프랙탈을 생성할수 있는 프랙탈 저작 프로그램을 만들어본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Space of fractals and suggest the varieties of mathematical theories. Virtually, we think the method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fractal and then visualized the Cantor Set, the triangle of the Sierphinsky, the curve of Koch with the Boland-C language. Finally, we make the tool of fractal design using Boland-C language.

      • 체육계열학과 수험생들의 대학지원배경, 진로, 선호경향을 통한 질적연구

        최선미 명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체육계열학과 수험생들의 대학지원배경, 진로, 선호경향을 통한 질적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최 선 미 이 연구는 체육계열학과로 지원하려는 수험생들의 진학과 관련된 특성을 구체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체육현장의 일선지도자들에게 진학상담 자료로 제공하고 체육계열학과의 입시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체육계열학과에 지원하는 수험생들의 지원배경 및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체육계열학과에 지원하는 수험생들의 진학계획 및 진로는 어떠한가? 셋째, 체육계열학과에 지원하는 수험생들의 선호경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했고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험생의 대부분은 선수경력이 없었고, 대학입시를 처음 치르는 고등학교 3학년들이 가장 많았으며 재시험을 준비하는 재수생, 삼수생도 포함되어 있었다. 진학한 선배들이나 체육계열학과로 진학을 준비하는 친구, 친척 또는 체육교사의 영향을 받아 체육계열학과로 지원결심을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계열학과로 지원하게 되는 동기는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여러 종목의 운동을 해 본 경험 때문이었다. 입시정보는 인터넷검색, 체육을 전공하는 학교선배․먼저 입시준비를 시작한 친구나 가족을 통해 얻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시준비는 대부분 체육계열학과입시학원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실기고사준비기간은 한 달부터 만2년까지로 다양했다. 수험생들은 의외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지 않았다. 진로를 체육교사로 정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의 안정성, 공무원의 혜택, 안정적인 보수들을 이유로 답했다. 진로에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는 거의 알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범대로 진학하는 길을 제외한 다른 진로는 자세히 알고 있지 못했다. 또한 대학입학 후 진로에 대한 준비보다는 대학생활을 즐기겠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은 대부분 서울에 위치한 대학으로써 사회적 인식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험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의 중요한 기준은 서울에 위치한 대학, 통학거리와 통학시간, 부모님의 선호경향, 대학입학 실기고사종목 등이었다. 그 외 국공립대학(저렴한 등록금), 중등 임용시험 합격률, 가족과 친구들과 관련된 학교, 선수들이 많은 학교, 학과점퍼 디자인 등의 이유도 있었다. 선호대학의 정보는 선배들, 인터넷 카페, 인터넷 질의응답 등을 통해 얻고 있었다. 수험생들은 선호하는 대학에 대해 대학이름 외에는 정보가 없는 특징을 보였다. 입시학원의 선배나 고등학교를 졸업한 선배들의 말, 인터넷 정보 등을 맹목적으로 반영하여 선호대학을 결정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수험생들은 전반적으로 입학실기시험의 만점기준이 높은 대학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합격 후 자부심이 클 것 같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모든 수험생들은 실기고사의 변별력이 높은 대학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오랫동안 실기고사 준비를 한 수험생일수록 그에 대한 생각이 더욱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SNS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싸이월드 미니홈피 특성을 중심으로

        최선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cultural description that critical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analyzes whether they have any relations w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NS users recognize its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different usage patterns and there are accordingly different effects on social capital formation. For the research survey, samples of people who are mainly users of mini homepag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chosen. Also included were people who use other SNSs, for analysis of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NSs. The researchers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mini homepage users, and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interview contents through the analysis of major SNS ca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issues: First, it examines whether Cyworld mini homepages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n SNS. It investigates whether the users of those homepages accept the characteristics of SNS produced through existing study results and make use of them as such, by describing their SNS activities in critical ways. Secon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SNS produced through research have any relation w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social contact, we meet many different kinds of people and form various relationships, but not all these numerous meetings and relations lead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that reason, this study looks into what conditions hav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form social capital and foresee the possibility of SNS growth in the future. There are som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relating to the above two subjects.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Cyworld mini homepage users have different approaches in using the homepages: checking and being active only when there is a notice for update; using limited part of the menus only to keep their records; closing one’s own mini homepages and exploring those of other users; actively using the mini homepages by forming various relations and making use of all the services, or pursuing various other activities of SNS rather than using mini homepages. Based on these different usage patterns, the users are divided in five different groups: users who are not active in their homepages but only being alert for updates or for certain interests; users who keep records in limited usage; users who have a closed attitude but enjoy taking a look at other people’s homepages; active users; and users keen to reach out to others. According to these different types of user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NS are marked. This diversification among different levels of groups can be important for corporations which are trying to develop an existing SNS or devise a new SNS. Second,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rather than forming relations with one SNS, users are becoming more active in forming complex relationships through multiple SNS and message systems. Also, in the mini homepages, as the center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formation of expressive social capital was stronger than instrumental social capital, and the users tend mainly to form close relations through emotional friendship. Third,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research objects, it was sensed that mini homepages have an element of ‘weakness in strong ties’, and in other sites as Naver cafe or other SNSs, an element of ‘strength in weak ties’ could be noticed. Fourth, it was ascertained that certain elements including the small pop-up windows, closed structure and weakness in the approach path in mini homepages can disturb the effective usage of SNS. The Korean domestic internet market is expanding rapid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NS are also changing rapidly according to the market change to follow the trend. This study emphasizes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NS according to the user type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has some meaning in that it has defined concretely the cultural possibility of better lives for SNS users in this information society. 이 논문은 SNS의 특성을 살펴보고 사회자본 형성과의 관련성이 있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한 문화기술지이다. SNS 사용자들은 이용 패턴에 따라 SNS특성을 각기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회자본의 형성에도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은 20~30대의 미니홈피 사용자들이다. 또한, 타 SNS를 병행하는 사용자들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켜 SNS간의 특성적인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34명의 미니홈피 사용자들과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주요 SNS 사례분석을 통해 대상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보완하는데 주력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주제에 대해 탐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싸이월드 미니홈피는 SNS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본다. 기존 연구를 통해 도출된 SNS 특성들을 과연 사용자들도 동일하게 받아들이고 활용하고 있는지, 그들의 SNS 활동을 비판적으로 기술하면서 분석한다. 둘째, 연구를 통해 도출된 SNS의 특성들은 사회자본의 형성과 관련성이 있는가에 주목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다양한 관계를 형성해가지만 이러한 무수한 만남과 관계가 곧바로 사회자본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사회자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SNS의 성장 가능성을 조망해본다. 위의 두 가지 주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 밝혀낸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싸이월드 미니홈피 사용자들은 업데이트 알림이 있을 때만 확인하는 활동, 자신의 기록보관을 위해 일부 메뉴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활동, 자신의 미니홈피는 폐쇄하고 다른 사용자의 미니홈피만을 탐색하는 활동, 미니홈피를 통해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고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활동, 미니홈피보다는 다른 SNS를 지향하는 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이용 패턴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용 패턴을 기준으로 사용자들은 총 다섯 가지 유형─방치적 눈팅형, 제한적 기록보관형, 폐쇄적 훔쳐보기형, 적극적 활용형, 외부적 지향형─으로 구분되었고, 각각의 사용자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SNS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사용자 계층 간 그룹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신규 SNS를 기획하거나 기존 SNS의 발전을 꾀하는 기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둘째, 단일의 SNS를 통한 관계의 형성보다도 메신저, 타 SNS 등을 통해 복합적으로 관계를 형성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중심이었던 미니홈피를 통해서는 도구적 사회자본보다도 표출적 사회자본의 형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정서적인 교류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주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자를 찾는 과정에서 미니홈피를 통해서는 ‘강한 연대의 약함’의 속성을 느낄 수 있었으며, 네이버 카페나 다른 SNS등을 통해서는 ‘약한 연대의 강함’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미니홈피의 작은 팝업 형태와 폐쇄적인 구조, 접근 경로의 취약 등은 SNS의 효율적인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인터넷 시장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시장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들을 만족하게 하기 위한 SNS의 특성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유형에 따라 SNS의 특성과 사회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강조하고, 정보화사회에서 SNS 사용자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한 문화적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비만관리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검사에 미치는 영향

        최선미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신체구성 (체중, BMI,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혈중지질성분 (glucose, T-C, HDL-C, TG)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비만도 감소와 비만으로 인한 질병발생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부산시 Y구에 거주하는 여성 중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BMI 25 이상인 30 ~ 60대 비만여성 60명과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건강관리만 받은 20대 여성 5명을 그룹으로 나누었다. 운동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과 weight machine을 이용한 근력운동을 1RM의 50 ~ 70% 강도로 주 3회, 90분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전·후로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성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구성은 실험군의 측정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대조군은 신체구성에서 수치의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체력은 실험군의 측정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대조군의 체력은 측정치 모두에서 수치의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혈중지질은 실험군의 경우 T-C, TG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그러나 glucose, HDL-C 은 수치의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대조군의 혈중지질은 T-C에서는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으나, HDL-C, TG, glucose는 수치의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1회성 (12주)이 아닌 장기간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과 근력 증진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면 비만인의 비만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어진다.

      • 블레오마이신 유도 폐섬유증 모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의 효과

        최선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is a rare and progressive fibrotic lung disease without a cure. Although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been reported to ameliorate lung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animal models of pulmonary fibrosis, studies on their mechanism of action are lacking. Therefore, we aimed to determine the change of various immune cells, especially macrophages and monocytes, involved in the effect of MSC treatment on pulmonary fibrosis. Methods: We collected and analyzed explanted lung tissue and blood from IPF patients who underwent lung transplantation. We established a pulmonary fibrosis model by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bleomycin (BLM) to 8-week-old mice. We administered human umbilical cord-derived MSCs intravenously or intratracheally on the 10th day, then analyzed the lungs on the 14th day. Flow cytometry was performed to analyze immune cell characteristics, and gene expression levels were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s. Results: In the histologic analysis of human explanted lung tissue, the fibrotic areas contained a larger number of macrophages and monocytes compared to the preserved area of the lungs. When human monocyte-derived macrophages (MoMs) were stimulated with interleukin (IL)-13 in vitro, expression of type 2 macrophage (M2) markers was more prominent in MoMs from the classical monocytes than those from the intermediate or non-classical monocytes. And MSCs suppressed M2 markers independent of MoM subsets. In the bleomyin-induced pulmonary fibrosis mouse model, the increased inflammatory cel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increased lung fibrosi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MSC treatment. The effects of MSC tended to be more significant with intravenous administration than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Both M1 and M2 MoMs were upregulated in the BLM-treated mice. M2c, a subset of M2 MoM,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MSC treatment. Among MoMs derived from Ly6C+ monocytes, M2 Ly6C+ Mo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MSCs rather than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Conclusions: Inflammatory classical monocytes may play a role in the lung fibrosis of human IPF and BLM-induced pulmonary fibrosis. Intravenous rather than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MSCs may ameliorate pulmonary fibrosis 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M2 MoMs. 서론: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은 아직까지 호전시키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난치성 질환이다. 폐섬유증 동물모델에서 폐의 염증과 섬유화를 개선시키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의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섬유증의 면역학적 변화를 단핵구 및 대식세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MSC 치료가 이러한 면역세포들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폐이식을 시행 받은 IPF 환자의 적출 폐 조직과 혈액을 수집하여 단핵구와 대식세포를 분석하였다. 생체실험(in vivo experiment)을 위해 블레오마이신(bleomycin, BLM)을 8주령 C57BL/6 마우스의 기관 내로 투여하여 폐섬유증 모델을 확립한 후 인간 제대혈 유래 MSC를 10일 째 정맥 또는 기관 내로 투여하고 14일째 비교 분석하였다. 면역세포에 대한 분석을 위해 유세포분석을 시행하였고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IPF 환자의 폐 조직에서 대식세포 및 단핵구, 특히 고전적 단핵구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IPF 환자의 단핵구에서 분화시킨 대식세포(monocyte-derived macrophage, MoM)들을 IL-13으로 자극하였을 때, 고전적 단핵구 유래 대식세포에서 2형 대식세포(type 2 macrophage, M2)의 유의한 활성화가 관찰되었고, 이 배양 상청액은 인간 폐 섬유아세포의 섬유화 특성을 유도하였으나 이 효과는 MSC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BLM 그룹에서 증가하였던 염증세포 및 섬유화 지표들 역시 MSC 투여 시 감소하였으며, 기도 내 투여보다 정맥 내 투여 시 좀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폐대식세포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BLM 투여 시 SiglecF-CD11b+CD11c-대식세포 즉 MoM에서 M1, M2 모두 그 비율이 증가하였는데, MSC 투여는 그 중 M2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M2 아형에 대한 분석 결과 MSC 정맥 투여 시 M2c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BLM 그룹에서 증가하였던 Ly6c+ MoM은 정맥 투여된 MSC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M2 Ly6c+ MoM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MSC 투여가 BLM 유도 폐섬유화를 감소시키는 기전에는 여러 면역세포들이 관여하며 특히 염증성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소시켰는데, 특히 M2, 그 중 M2c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MSC의 효과는 고전적 MoM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고, 기관 내 투여보다 정맥 투여 시 더 효과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