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최미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Hope, Peer Relation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교육학과 최미숙 지도교수 김종운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 희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또래관계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은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여섯째, 자아탄력성은 희망, 또래관계기술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속 교육지원청 산하 총 5개의 중학교에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문제행동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06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에 직접효과가 있다. 이는 건강한 가족 환경에서 성장하는 청소년일수록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어려움을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에 직접효과가 있다. 이는 급변하는 성장과정에 있는 청소년이 도움 받을 수 있는 사회적지지원을 지각하고 있을 때 새로운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이는 건강한 가족생활 경험을 토대로 한 개인적 특성들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완화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이는 대인관계에서 문제행동을 완화시키는데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희망과 또래관계기술은 문제행동에 직접효과가 있다. 그러나 자아탄력성은 문제행동에 직접효과가 없다. 이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과 감소에 높은 희망수준과 또래와의 조화로운 상호작용기술이 요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자아탄력성은 희망, 또래관계기술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이는 자아탄력적인 청소년은 문제행동 예방과 감소에 높은 수준의 희망과 또래관계기술을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에 가정과 사회 환경이 주는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청소년이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적용하면서 상황에 대처하는 것도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중요한 역할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해서는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가 기본적으로 요구되지만 자아탄력성과 희망의 수준을 강화하고 또래관계기술을 발달시킴으로써 청소년 자신이 주체가 되는 자율적인 적응을 돕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주요어 : 구조방정식모델,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 관계기술, 문제행동

      • 원불교 상시훈련법 기반 교화단장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

        최미숙 원광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상시훈련법 기반 교화단장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탐색한다. 둘째, 원불교 상시훈련법 기반 교화단장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양적·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그 효과를 검증한다. 이와같은 연구내용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원불교 상시훈련법과 교화단에 관한 저서 및 논문 등 여러 문헌을 고찰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고 기존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1단계 문헌연구를 통해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였다. 2단계 요구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3단계 상시훈련법과 교화단 훈련에 관련된 기존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4단계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후 그 효과 검증을 토대로 전문가 검토를 통한 예비 프로그램 타당화 과정을 실시하였다. 5단계 예비 프로그램 효과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전 회기 전 과정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및 보완 과정이 이루어졌다. 6단계 최종 프로그램 개발을 확정하였다. 7단계 최종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I시 소재지 교화단 단장 1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11년 1월부터 10월까지 매월 1회 3시간씩 총 10회 30시간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하여 양적·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배정우(2007)가 개발한 리더십 측정도구와 사춘자(2001)가 개발한 단장의 업무수행능력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처리는 SPSS 17.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질적 연구조사지는 자유기술형 문답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문답지 내용을 정리하여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갈등해결능력, 시간관리능력 등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 그 빈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문헌고찰, 요구사정, 기존프로그램 분석, 예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최종 프로그램 개발, 최종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검증의 총 7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원불교 상시훈련법 기반 교화단장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결과 일선교화현장에서 단장의 리더십을 증진시키는데 적합한 훈련 프로그램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결과 리더십과 단장의 업무수행 능력 하위요인에 있어서 리더십 중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갈등해결능력, 시간관리능력은 상시훈련법 중 상시응용주의사항으로 향상되며, 의사결정능력은 교당내왕시주의사항으로 향상되었다. 특히, 의사소통능력은 교화단활동을 통해서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원불교 상시훈련법 기반 교화단장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은 리더십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the heads of edification based on the daily Won-Buddhism training and then verify it's effect. In order to address this objective, the research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it examines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t develops a head of edification leadership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daily Won-Buddhism training; thirdly, the developed programs are then applied and it's effects are verified from a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perspective. In order to properly address this type of research,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s were used. Firs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books, articles, and various other literature about daily Won-Buddhism training and edification teams.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examined existing programs, and prepared a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the heads of edification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leadership program for the heads of edification, the first step was to examine literature and search for composition factors of leadership through these studies. The second step was to examine the course of requirement assessment and extract leadership composition factors through these analyses. The third step was to analyze existing programs and relate them to daily training and edification team training. The fourth step was to investigate prerequisite programs and based on their outcome, create an appropriate program. The fifth step was to fix and create all sessions for an all-course activity program aided by experts, focusing on reserve programeffects. The sixth step was to finalize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The seventh step was applying the program and assessing it's effect. In total, this study was composed of seven program development courses. Furthermore,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13 edification team leaders were selected in "I cit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from bot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ce. The program was applied on site from January to October 2011 and was performed for 30 hours for a total of ten times, 3 hours each time. This study applied a leadership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Bae Jung U (2007) based on the human relationship scale outlined by Wittenbergs and Reis (1988) and a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Sa Chun Ja (2001) and this author. This study dealt with SPSS 17.0 material and also used qualitative study questionnaire surveys. This study analyzed the materials by arranging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dividing the survey into five major areas including communication ability,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time management 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is composed of 7 steps such as literature examination, requirement assessment, existing program analysis,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gram fixing and upgrad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d the last program of verific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is daily Won-Buddhism training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the heads of edification. Second, this study applied the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and performed a quantitative analysis as well as a qualitative analysis, and found that it was a training program suitable for promoting the heads of edification at each respective site. Third, the a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showan improvement in leadership in the areas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ve competence, conflict resolution, and time manage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an especially high advanc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As such, this study was able to exemplify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the heads of edification based on the daily Won-Buddhism training advances overall leadership.

      • 몬테소리 일상영역 활동을 적용한 누리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최미숙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어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 between a control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Montessori practical life related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1.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self-concept? 1-1.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physical Ability? 1-2.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relation with Friend? 1-3.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relation with Parents? 1-4.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verbal? 1-5.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math? 2.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social skill? 2-1.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personal emotion control? 2-2.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interpersonal skill? 2-3. How is the effect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the preschoolers' ability of adapt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set objects of two different groups. One as a experimental group group consist of 30 children at the age of 5 at R school in B city. the other as a control group consist of 30 children at the age of 5 at A school in the same city B.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Mar 11, 2013 to May 31, 2013, twice a week.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otal 24 sessions and the session had 40 minutes running time total 960 minutes.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in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object of a national Nuri Curriculum and 4 elements of Montessori practical life. And it’s components and contents of activities were verified by 20 people who are specialist in Montessori education. To measure the children’s self-concept ,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elf-concept Inventory’, research tool which was developed by Marsh, Schavelson(1985)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a hierarchical structure model by Kyung Hwa Lee, Jin Young Ko(2003). And to measure the children’s social skill, the author used the research tool which was used by Lee Won Young, Park Chan Ok, No Young Hee (1993) to study program on development of preschoolers' social skill. To verify the effects, set practice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f-concept(physical Ability, relation with Friend, relation with Parents, verbal, math) and social skill(personal emotion control, interpersonal skill, ability of adapt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re-test as the covariate and self-concept(physical Ability, relation with Friend, relation with Parents, verbal, math) and social skill(personal emotion control, interpersonal skill and ability of adapt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ost-test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MANCOVA and ANCOVA in this experiment. And the statistic significance was verified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0.05. The SPSS/WIN 18.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ed: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the score for self-concept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when compared to the score for self-concept of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found 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Relation with Friend and Math which are the subordinate categories of self-concept, but there weren't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Ability, Verbal and Relation with Parent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on children's social skill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more improvement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hange in personal emotion control, interpersonal skills and ability of adapt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are the thre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sk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mor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Eventually, it 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uri curriculum related with the Montessori practical life is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chooler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 in this study. Though physical ability, verbal and relation with parents which are the three subordinate categories of self-concept, has no significant improve but it would be effective if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program apply. Additionally, to support development of children’s basic life habits, upright character(holistic human development), that is, multilateral studies which are suitable for children and systematic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for supporting the balance of metal and physical ability.

      • 가족기능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기능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족기능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의사결정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가족기능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시 소재의 A고등학교(인문계) 6개 학급과 B고등학교(전문계) 6개 학급 및 C고등학교(전문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4부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28부를 제외하고 368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가족기능 검사, 자아정체감 검사, 진로의사결정유형 검사를 사용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의사결정간의 상관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가족기능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합리적 유형에는 가족응집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직관적 유형에는 가족적응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의사결정의 하위변인인 의존적 유형에는 가족기능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셋째, 자아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합리적 유형에는 목표지향성, 대인관계역할인지, 자기주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직관적 유형에는 자기주장, 자기수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의존적 유형에는 자기수용, 대인관계역할인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기능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가족기능에 대한 만족도와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으로 진로의사결정시 고등학생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방법적인 면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and ego identity on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8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Using a questionnaire from July 6 to July 13, 2009. A total of 4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of which 396 copies were returned. 28 copies whose answers were not sincere, were excepted. 36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measurement scales were use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Ⅲ(FACESⅢ), and Ego Identity, and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family fun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family cohesion and rational style had a static correlation. intuitional style and a family adaptability had, too. But the dependent style and family function had not. Second, to affect of the family func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the family cohesion had an effect on rational style and the family adaptability impacted intuitional style. But the family function didn't influence dependent style which was a subordinate in career decision-making. Three, to effect of ego-identity on career decision-making, target directivity, cognitive role of personnel relationship and self-assertion in rational style were important variables. Self-assertion and self-acception in intuitional style were important variables. Self-acception and cognitive role of personnel relationship in dependent styl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all,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reasonable decision-making on their career include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ego identity. Namely, it means that family function and ego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To help adolescents make reasonable career decision-making, enhancing the family function is important. Using the theoretical suggestion as basic data, it is to obtain practical suggestions that would be helpful for reasonable career decision-making.

      • 항공사 객실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최미숙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외의 급격한 마케팅 환경변화에 의해 국내항공업계는 실제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경영수단으로 각 항공사들은 경쟁항공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등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필요하다. 일부 대형 항공사에서 저가항공사(value based airline) 즉 기내서비스를 줄이고 일반항공료에 비하여 저렴한 항공요금으로 승부하는 항공사가 미주와 유럽에서 국내선 구간을 중심으로 확대1)시키고 있다. 그러나, 경쟁항공사와의 차별화 마케팅으로 가장 부각되고 있는 것이 객실서비스품질의 차별화이다. 즉,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력 향상이나 마케팅활동 등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항공산업의 최일선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능한 인적자원의 확보문제는 이에 못지 않은 중요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인적서비스 그 자체가 하나의 상품가치로서 중요한 영업 요체가 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직업의식이 투철하며, 훌륭한 종사원의 확보와 훈련이 무엇보다 중요시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객실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항공사 경쟁력 회복에 기여하고 고객에게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키 위한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서비스품질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하여 연구의 준거로 삼는다. 둘째, 항공사 객실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이 재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분석한다 셋째,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객실서비스의 품질향상 요인을 도출하여 항공사의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를 살펴보면, 제1장은 본 연구의 서론 부분으로서 문제의 제기,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2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항공사의 객실 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객실 서비스품질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선행연구 동향을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조사설계부분으로서 이론적 고찰로부터 얻어진 객실 서비스품질 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각 구성개념의 변수로 사용될 측정문항과 척도를 개발한다. 그리고 실증분석하기 위한 조사목적, 표본추출방법, 조사시기 등을 포함한 조사방법의 체계를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에 대한 구체적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분석결과와 논의 부분으로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고, 개별변수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기대와 만족 변수들간의 차이정도와 객실 서비스품질 요인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검증한다. 끝으로 분석결과에 대한 종합적 논의와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결론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진행과정과 흐름을 다시 한번 기술하고, 연구 목적의 세부적 연구목표에 따라 연구결과를 요약·설명한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상의 제한점을 밝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과 문제해결을 위하여 표본대상은 국제선을 이용하는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의 내국인으로 한정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시기는 2002년 12월부터 2003월 1월까지 2개월 간 국제선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총 2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에서 214부가 회수(회수율: 86%)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내용이 부실한 48부가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166부가 유효표본으로서 본 조사에 이용되었다. 요인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요인으로 묶였는데, 첫 번째 요인은 "물적 서비스", 두 번째 요인은 "인적 서비스", 세 번째 요인은 "식음료 서비스", 네 번째 요인은 "정보제공", 다섯 번께 요인은 "청결성"이라 명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 행태별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외국항공사를 이용한 관광객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식음료 서비스', '정보제공', '청결성'의 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결성'의 요인에서는 상용/업무의 여행목적을 가진 집단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행횟수에 있어서, 처음 항공여행을 하는 관광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물적 서비스', '인적서비스', '청결성'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반자 유형에서는 '인적 서비스'요인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혼자 항공여행을 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보원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항공여행 정보를 인터넷으로 구하는 관광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식음료 서비스'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인적 서비스' 요인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있어서, 40대 관광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인적 서비스', '청결성'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수준에 있어서는 4년제 졸 관광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물적 서비스'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보제공'요인의 경우 고졸 집단에서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평균 소득이 201-300만원인 관광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인적 서비스'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301-400만원인 관광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청결성'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객실서비스 품질요인은 청결성, 인적 서비스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객실 서비스 품질요인은 인적 서비스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지각-기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객실서비스 품질속성에서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속성으로는 적절한 의자공간, 다양한 기내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몇 년 전부터 나타났던 3등석 증후군에 대한 항공사의 좌석공간의 확정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는 객실서비스 품질속성으로는 좌석안내, 단정한 용모복장에 대하여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객실승무원의 인적 서비스요소에 대하여 항공사에서 좀더 직원교육 및 훈련을 보강하여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식음료 서비스, 정보제공, 청결성의 요인에서 외국항공사를 이용한 관광객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국내항공사의 경우 내국인의 다양한 기호와 입맛을 고려한 식음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연구결과 객실서비스 품질에 있어서 인적 서비스는 고객만족과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승무원의 능력향상과 친절을 제공하고, 약속한 서비스를 철저히 수행하는 신뢰성을 강화해야 한다. 청결성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내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청결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매번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넷째, 항공사 객실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은 인적 서비스 중심인 기존의 PZB의 5개 차원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인적 서비스 외에 물적 서비스를 추가하여 항공사 객실서비스 품질 구성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조사 대상자를 내국인만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외국인도 조사대상자로 설정하여 보다 폭넓은 범위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를 항공여행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기대속성과 지각속성의 괴리를 가져오기 때문에 후속 연군에서는 객실에 승차했을 때 기대속성에 대하여 설문을 조사하고 서비스가 종료된 후 지각에 대한 설문이 이루어질 때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Rapidly changed market competition situation has forced to take the challenge with other international airline service, and our country's airline service has to develop customer relations with more sustainability and more loyalty. This study has purpos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in-flight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presumably leads to repeat purchases and favorable word-of-mouth. Therefore airlines have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environment change flexibly and progress their priority in order to obtain customers. Service quality in airlines has been recognized that it is prior to price. In addition to, service quality is the way to come true concept. of marketing.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First, 5 factors were obtain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① the physical service ② the personal service ③ the food &: beverage service ④ the offer information ⑤ the cleanliness Second, characteristics on travel type affect cabin service quality. Articles of type of airlines have an influence upon the cab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Especially, foreign airlines emphasize ''food and beverage service", ''offer information" and "cleanliness" more than domestic airlines do so. Third, it is shown that personal service quality has an influence upon visitor's satisfaction evaluation and repurchase. What kind of cabin service factors are more important to visitor's satisfaction are as follows: cleanliness and personal service. As customer's needs are more diverse and competition between airline companies are sharper, airlines came to concentrate on service with physical sources as well as the one with personnel sources service. However, the result may suggest us assumption that strengthened personnel sources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airlines. That is, specialized service with personnel sources may draw customer's attention unlikely standardized cabin service of other companies.

      •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 경험

        최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결혼이주의 흐름이 보편화되면서 우리나라와 역사적, 지리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결혼이주 일본여성은, 일제강점기의 ‘내선 결혼’을 통해 한국사회에 가장 먼저 들어온 이주여성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져 오면서 또 다른 가족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선진화된 노인 의료복지 서비스에 대해 익숙해진 일본여성들이 결혼을 통해 ‘정(情)과 효(孝)’를 중시하는 한국의 가족문화 속에서 만성질환 시부모를 보살피고 돌보는 일에 다양한 문제점과 어려움이 발생하리라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보편적이면서 본질적인 측면을 밝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주 일본여성이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에 대한 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J도내에 거주하는 자로 연구자의 질문(한국어)을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한국어로 표현이 가능한 결혼이주 일본여성 13명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5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면대면 개별 면담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면담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이들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반성적 사고를 통해 세분법에 따라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돌볼 수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림’, ‘홀로 돌보기가 힘겨움’, ‘낯선 돌봄 문화에 당혹스러움’, ‘한·일 역사와 맞물려 돌봄이 더 고달파짐’, ‘돌봄에 얽매이는 것을 거부함’, ‘돌보고 싶은 마음이 생김’, ‘주변의 돌봄에 휩쓸리지 않고 나만의 돌봄을 시행함’, ‘돌봄으로 인하여 성숙해짐’등 이었다. 참여자들은 만성질환 시부모의 돌봄을 떠맡게 되면서 마음이 앞서기보다 의무적인 며느리로서의 역할을 시도해보지만 끝날 것 같지 않은 긴 병 앞에서 무력감과 버거움을 경험하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의 고통스런 역사를 겪은 시아버지의 눈에 비추어진 참여자는 며느리가 아닌 일본인으로 인식되어 괴로움과 마음의 고생을 더하였다. 참여자들이 경험한 한국적인 며느리로서의 역할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별하여 시부모의 요구를 때로는 ‘거절’하고 때로는 ‘수용’하여야 했다. 또한 노인 돌봄에 대해 일본에서 습득한 것과 주변인들의 방식에 휩쓸리지 않으면서 참여자 나름대로 돌봄 방법을 체득해 나갔다. 참여자들은 만성질환이 있는 시부모의 돌봄을 의무로 여기고 해야 할 도리로만 여겨왔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노부모에 대한 처지를 이해하게 되고, 만성질환으로 힘들어 하는 시부모의 삶 전체를 마음으로 수용하면서 돌봄을 통해 고부지간의 관계형성이 새롭게 구축되었다. 특히 남편과 시집식구로부터 지금까지의 시부모 돌봄에 대한 신뢰와 인정을 받게 되면서 참여자들은 비로소 한국인 며느리로서의 존재 가치를 느끼고, 돌봄의 의미를 마음으로 깨닫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 일본여성들이 만성질환 시부모를 돌보면서 일본 문화와 한국 문화를 접목한 돌봄을 위한 전략적 개발을 제공하였고, 아울러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시부모 돌봄의 사회·문화적인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first group of marriage-immigrants in Korea were Japanese women marriage-immigrants through “Nae-Sun Marriage" during the Japanese Occuation Period, and from then, there have been continuous stream of women marriage-immigrants from Japan as the marriage-immigration became more common. These Japanese women marriage-immigrants have established another form of family culture in Korea. Since these Japanese women marriage-immigrants are accustomed to the advanced Japanese medical welfare system for elderly, they might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Korea where they would have to take care of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at home under the Korean family culture that emphasizes "Jung and Hyo". Therefore, this research employs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ich reveals the universal and fundamental aspect of human, to understand the Japanese marriage-immigrants' experiences in taking care of their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from their perspective an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ose experiences. We selected 13 Japanese marriage-immigrants who are all J Province residents and are able to understand and express in Korean for this research. The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May 2011 to October 2011 and the method used for data collecting was indepth personal interviews.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recorded with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we derived fundamental topics and meanings from their experience through reflective reasoning and categorization.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from the Japanese marriage-immigrants experience of taking care of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are as follows: 'stuck in a situation in which I am obligated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hard to be the only person responsible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unaccustomed to the Korean filial duty culture', 'the adverse effect of Korean-Japan history on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refusing to let the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to be a shackle of my life', 'starting to be willing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following through with my own way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without being swayed by what others say', 'growing in the process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As the participants are given the role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they first assume the role only with a sense of obligation as a daugher-in-law rather than with a willingness to take care their parent-in-law, and they experienced helplessness and were overwhelmed with the role.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father-in-laws viewed the participants not as daughter-in-laws and a member of the family but as a outsider from Japan which inflicted much pain to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worsened the situation for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to categorize what was expected from them into 'what I can do' and 'what I cannot do', and accept or refuse requests from parents-in-law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developed their own ways of taking care of their parent-in-laws based on their previous knowledge of the role while not being influenced by practices of people around them.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was simply a duty and an obligation for the participants at first but, as the time passed, they started to understand their parent-in-law's situation and empathize with the life of their parent-in-law which was plagued by the chronic diseas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new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in-law. Furthermore, as their husbands and family-in-law started to give them respect for their dedication to parent-in-law, they were able to establish self esteem as a daughter-in-law for a Korean family and to understand the true worth of fulfilling filial du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broadened the ground on which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Japanese marriage-immigrants on taking care of parent-in-law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also provided the chance of strategic development for a way of taking care of parent-in-law with methods derived from both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