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상조동사의 의사소통 기능 별 쓰임 분석 : 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다미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의 여러 문법적 요소 중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으로서의 영어 양상조동사에 관한 것이다. 현 7차 교육과정의 목표이자, 제 2언어 학습에서 가장 중시되는 것이 바로 목표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 및 확대이다. 영어 양상조동사는 이러한 언어의 기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데, 의사소통의 여러 가지 기능이 양상조동사의 쓰임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본 연구의 논의가 이를 잘 뒷받침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양상조동사의 제 정의와 기능 별 쓰임을 살펴보고 제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에서 이를 얼마나 적절하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양상조동사의 교과서 내 사용 빈도와 분포를 살펴보는 양적 연구뿐만 아니라, 교과서에 제시된 여러 활동에서 활용된 양상조동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질적 연구 까지 모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2학년 3종 교과를 분석해 본 결과, 능력, 요청, 그리고 허가를 나타내는 'can'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이 'should', 'must'였으며, 나머지의 양상조동사들의 빈도는 3% 이내로 저조하였다. 이는 교과서 내에서 양상조동사들이 균형있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2) 교과서 내에서 제시된 예문을 분석한 결과, 예문의 오류가 매우 적어 비교적 교과서에서 올바르게 양상조동사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각 교과의 연습활동과 양상조동사의 쓰임을 살펴보면, 기계적인 활동들이 주가 되어 학습자들이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구현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교과서라는 매체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몇몇 부분에서는 의미있는 활동을 담고 있었다는 점과, 교사의 역량에 따라 충분히 의사소통적으로 변화 가능한 활동들이 제시되어 있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 하다. The mastery of the English modal auxiliarie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best methods to achiev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form of language. Since the second language instruction as well as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aims at enhancing students’communicative competence in learning English, the study of the English modal auxiliaries has priority over the studies of other language elements of English. The English modal auxiliaries can effectively deliver communicative functions such as requesting, asking for permissions or giving obligations. Hence, through careful deliberation on the English modal auxiliaries, this study can suggest students’ optimal use of English in various contexts of communications such as in the classroom and in the real wor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meanings and uses of the English modal auxiliaries and to investigate how appropriately they are employed in the 2n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conducted. As for the former, the frequencies of the selected modal auxiliaries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and whether the distribution of the modal auxiliaries is biased or unbiased was verified. For the latter, the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the language activities was conducted to see if they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put the use of the modal auxiliaries into pract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hown as below: (1) The frequencies of modal auxiliary usages are as follows; the ability function(17.94%), request function(29.65%), and permission function(12.82%) of ‘can’ had high frequencies. What followed was the advice function of ‘should’and the obligation function of ‘must.’ However, the rest of the modal auxiliaries put together occur at a low rate of less than 3% altogether. It means that each communicative function was distributed out of balance. (2) The analysis of sentences including the modal auxiliaries in the textbooks is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modal auxiliary, ‘can,’ displayed the most number of inappropriate usages within sentences. The permission function, request function, and possibility function takes up 29.5%, 25.1% and 25% respectively. Since the rest were scarcely fou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ere not much misleading in delivering the proper meaning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modal auxiliaries in the textbooks. (3)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shows, mechanical drilling was frequently used while very little communicative or meaningful drilling were used. However, there are implications for teachers that the current limitations can soon be overcome with the activities carefully designed by them.

      • 국가계약법상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의 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최다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계약에 있어 경쟁의 공정한 집행 또는 계약의 적정한 이행을 해칠 염려가 있거나 그밖에 입찰에 참가시키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일정기간 동안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하는 제도가 국가계약법상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이다. 위 제도의 입법취지는 부정당업자를 일정기간 동안 입찰참가에서 배제시킴으로써 국가가 체결하는 계약의 공정성과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고 국가가 입게 될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국가계약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조치는 처분성을 갖는다고 보는 것이 우리나라의 확립된 판례의 입장이며 통설인데, 위 제한조치는 해당 기업에 대하여 침익적 효력을 발생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업의 존폐를 좌우하는 치명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위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제도를 둘러싸고 제도의 헌법적·행정법적 문제점 및 처분의 적법성에 대한 법적 논쟁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이상에서는 위 제도와 관련한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입장 및 학계의 논의, 나아가 행정실무상 논의를 정리하여 그 법적 쟁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그 고찰 내용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가계약법상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제도의 위헌성 여부와 관련하여서는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 평등의 원칙 위배 여부, 위임입법의 한계 위배 여부, 무죄추정의 원칙 위배 여부, 일사부재리 원칙 위배 여부가 문제된다.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 평등의 원칙 위배 여부, 위임입법의 한계 위배 여부 침해 여부에 관하여 헌법재판소는 국가계약의 공정성 확보와 충실한 이행의 담보라는 목적의 정당성에 비추어 볼 때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거나 합리적 차별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 하기 어렵고, 다만 제한기간의 상한은 법률로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에 대하여는 직업의 자유에 관한 독일식의 단계이론에 근거하여 위 제도는 헌법적 정당성을 상실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며, 위임입법의 한계와 관련하여서도 “경쟁의 공정한 집행 또는 계약의 적정한 이행을 해칠 염려”, “기타 입찰에 참가시키는 것이 부적합한”이라는 표현들은 여전히 위임입법의 구체성, 명확성 측면에서 위헌의 소지가 있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무죄추정의 원칙 위배 여부와 관련하여 법원은 관련 형사판결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행정청의 처분이 가능하다는 입장인데.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의 목적이 공익 확보를 위한 계약상대방 선정에 있다는 점에서 법원의 입장이 타당하고, 오히려 이와 관련하여서는 행정청의 독자적인 입증 자료가 어느 정도 필요한지의 문제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일사부재리 원칙 위배 여부와 관련해서는 형사처벌과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제도의 목적이 다르므로, 이러한 논의는 의미가 적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처분성 여부 논의와 관련하여서는 국가계약법상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조치는 처분성을 갖는다고 보는 것이 확립된 판례의 입장과 통설인바, 처분성 여부 자체에 대한 논의보다는 침익적 행정처분이라는 점에서 행정절차의 적법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과 처분으로 보는 이상 이에 관한 불복절차는 행정소송에 의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할 것이다. 구체적인 법적 쟁점으로 들어가 보자면, 제재적 처분기준을 대통령령과 부령 형식에 의해 정해놓은 것과 관련한 법규성 문제와 제한사유, 제한시기, 시효, 제한기간 산정방법, 제한처분의 효력 및 불복방법과 관련한 법적 문제가 논의 대상이 된다. 우선, 대통령령과 부령의 형식으로 정한 제재적 처분기준에 판례의 입장은 기본적으로 대통령령에 의한 것은 법규명령으로, 부령에 의한 것은 행정규칙으로 보는 것이지만, 이러한 판례의 입장은 학설의 비판을 받아왔고 최근에는 학설의 비판을 수용하는 새로운 경향의 판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의 경우도 국가계약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제재적 처분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위와 같은 법규성 논의가 그대로 적용되며, 이는 제한사유와 제한기준을 열거적 규정으로 보아야 하는지의 문제와 특정인에 대하여 규정과 다르게 처분할 수 있는지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는, 법령상 제한사유와 제한기준의 해석 및 적용을 둘러싸고 논의되고 있는 쟁점들을 방위사업청의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문제점은 규정의 불분명성인바 이에 대한 입법론을 제시하였고, 보다 근본적인 문제점은 현행 국가계약법상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 규정이 강행규정으로 되어 있어 행정청에게 재량의 여지가 없다는 점인바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과징금 제도와 비례의 원칙 적용 활성화 방안, 그리고 입법론으로서 행정청의 재량 부여 및 제한사유의 재정비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효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적절한 시효기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처분 시기와 관련하여 관련 소송의 진행 중 처분이 가능한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제한기간 산정의 문제로서 가중사유 적용 기준 시점에 관한 논의와 수개의 제한사유가 경합하는 경우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수개의 제한사유에 관한 규정 및 가중사유에 관한 규정에 대한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제한의 효력과 관련하여 참여가 제한되는 입찰의 범위, 수의계약 체결 가부, 낙찰자 결정을 받은 경우 계약 체결의 가부, 입찰 등록 후 낙찰자 결정 전에 처분을 받았다가 제한기간이 종료한 경우 낙찰자 결정의 가부 등의 문제를 살펴보고, 효력 확장의 문제로서 처분을 받은 자가 법인인 경우 및 효력 승계 여부과 관련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한처분의 불복 문제와 관련하여 효력정지 또는 집행정지 제도로 인한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제도의 형해화라는 현실적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대안 방안으로서 미국의 임시발주제한 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제한처분 취소소송에 있어 소의 이익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 평생학습사회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 청주시를 중심으로

        최다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학습활동을 스스로 선택하고 요구하여 언제 어디서나 배울 수 있도록 돕는 열린 교육제도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 이것이 평생학습사회이다. 전 세계적인 발전방향에서 평생학습이 핵심 주제로 등장하며 이에 대한 노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평생학습도시 지정, 대학 사회교육원과 지자체 평생학습관 설립 등을 활성화 하고, ‘100세 시대 국가평생학습 체제 구축’을 국정과제로 선정하는 등 평생학습사회로 도약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평생학습사회로의 흐름 속에서 본 연구자는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평생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삶의 질 향상’이란 점과 평생교육의 영역에 문화예술교육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문화예술교육이 평생교육의 이념을 기본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평생교육의 영역에서 문화예술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두 교육 영역의 관계에 주목하는 연구가 많지 않다는 데에서 이 연구는 비롯되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교육 중에서도 미술교육은 인간의 감성적 체험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각 체험과 표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고, 문화예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중 하나이자 대표 예술영역으로서 중요하기에 평생학습사회로의 흐름에 따라 미술교육이 새롭게 인식되고, 보다 넓은 관점에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지난 2004년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청주시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의 맥락을 통해 지역에 공급되고 있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국민이 나이, 성별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고”있는지 살펴보고, 평생학습사회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청주시 129개 평생교육기관의 미술교육 프로그램 조사결과 프로그램은 양적으로 많았지만 그에 비해 내용의 다양성, 전문성 등에서는 차별화된 특징이나 변별력을 보이는 프로그램이 많지 않았고, 시설유형에 따른 질적 편차도 존재했다. 프로그램 대상에 있어 성인연령 편중현상이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연속성이나 연계성, 체계성 부분에서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대상을 다양화 할 것과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각 대상의 생애주기 및 상황에 맞게 접근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는 평생교육의 평등성 이념에 부합되는 것이기도 하며, 각 생애단계와 특수한 상황적 국면에 놓인 이들이 현실의 문제해결과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을 통해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다양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의 확대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 주민자치센터를 거점으로 하는 미술 학습동아리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 경쟁과 개인주의로 인해 사라져가는 공동체를 미술교육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복해 보기 위함이며, 무엇보다 학습공동체는 평생학습도시를 이룩하는데 중요한 지향점이자 가치이기 때문이다. 셋째, 주중과 오전 위주로 편성된 수업시간을 주말 및 저녁으로 확대하고, 프로그램이 심화과정이나 전문가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기간 간 연계성을 가질 것을 제안하였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은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며 공감하는 데까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프로그램이 연속성을 가지고 운영되거나 프로그램 간 연계성을 갖는 것은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기관들 간 네트워킹과 파트너십을 강화 할 것과 학교를 중심으로 평생교육과의 연계를 시도했던 개념을 이제 평생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다. 학교를 제외한 평생학습기관만 가지고서 진정한 평생학습사회로 도약할 수 없기에,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와 같이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두 영역을 연결해 줄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이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평생교육과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이 ‘모두’, ‘누구나’를 위한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발전방향이 이상적이고 실현 불가능한 것처럼 들릴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에서 드러난 평생교육에서의 미술교육의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부정적 요인들을 검토하여 최소화 시키고, 부처 간, 기관 간 협력하여 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미술을 통해 삶의 행복감을 높이고 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생애에 걸쳐 계속해서 배워나가는 평생학습사회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 수원화성 경관 아카이빙의 필요성과 방안

        최다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s leave their traces in the landscape and records the traces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in a constantly changing sense. Why do landscapes change over time and with people? Why does the landscape of the past and the landscape of the present be visually indistinguishable, and why are human perceptions and actions formed differently in the landscape? The answer will eventually be human. Humans form identity in the landscape, leave traces and records to prove and honor the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landscape archives of Suwon Hwaseong based on humans. So firstly, this study indicates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lso the historical theories on landscape archiving, lanscape users, place theory. Secondly, this study indicates the theory of conceptual archives and landscape record as a conceptual construct for Suwon Hwaseong. Thirdly, this course will explore the historic archival meaning of Suwon Hwaseong's original ancient documents and photographic records, and analyze for today's landscape archiving, landscape records of Suwon Hwaseong. Fourthly, this study explore the necessity and strategy of landscape archiving suitable for the current Suwon Hwaseong. and in the case of the landscape archiving plan is make the meaning of the Suwon Hwaseong Scenic Record, establish the Suwon Hwaseong Scenic Record Network, and cultural activities through the scenery record contents of Suwon Hwaseong. We will also look at the expected effects and their significance in various aspects. Lastly, briefly summarizes the concepts and solutions of Suwon Hwaseong Landscape Archiving, and hopes for the diversity of archiving methods as the age and the existence of various archiving methods, not fixed archiving methods. We want to finish off. In conclusion, this studies presents the importance of the human cognitive system that constitutes the Suwon Hwaseong landscape,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generated records in the Suwon Hwaseong landscape, and Focusing on 'Use,' we discussed how to utilize Suwon Hwaseong Scenic Archiving.

      • 민간위탁 지역 공공문화시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 수원시 수원미술전시관을 중심으로

        최다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후반에 찾아온 경제위기로 공공기관들의 효율성이 재점검됨에 따라 정부는 비효율적인 조직에 민간시장의 경쟁원리를 도입하면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된다는 민간위탁의 논리를 받아들여 공공기능의 민간위탁을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문화시설은 신규시설이 많이 건립 되고 있는 상황 속에 공무원 총 정원제도로 인한 시설 운영인력 확보의 어려움, 경비절감, 신규업무 인력 수요 분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서비스를 손쉽게 민간위탁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유혹 등으로 점차 확대되어 갔으나 단순편의에 의해 비계획적으로 추진되다보니 위탁의 제반 과정들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고 이는 위탁기관의 관리․감독 문제, 독점적 계약, 부정적 거래 등의 문제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들은 문화시설 민간위탁 전환에의 논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지자체의 열악한 재정여건 속에서 크게 차지하는 문화예산의 부담이나 전문성 등의 이유로 앞으로 민간위탁이 더 확산된다고 보았을 때, 기존 민간위탁 문화시설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통해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민간위탁 문화시설의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세 개의 쟁점을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쟁점인 공공문화시설의 운영에 있어서 과연 민간위탁이 알맞은 대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결론은 문화시설의 운영에 있어서 민간위탁이 알맞다, 맞지 않다의 찬반논리 보다는 문화예술의 특수성을 고려한 신중한 검토에 따라 민간위탁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 이었으며, 민간위탁이 최저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가라는 두 번째 쟁점의 결론은 문화예술시설의 민간위탁은 인력감축 등의 비용절감 면을 강조하기보다 문화예술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먼저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위탁자(지자체)의 위탁운영대상 선정 및 계약체결의 투명성과 책임감 있는 관리감독, 수탁자(민간단체)의 전문성 및 행정사무의 투명성 확보, 법․제도적 통제장치 마련과 조례 및 규칙의 정비가 이루어진다면 침체되어 있는 민간위탁 지역 공공문화시설 운영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economic crisis in late 1990's, the efficiency of public agencies was reconsidered, and the government accordingly accepted the idea of contracting-out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competitiveness into private markets w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business. As a result, the public function of contracting-out facility has been promoted. Especially as to cultural facility,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securing facility operating workforce due to the fixed number of public officials, reducing the expenses, and meeting the demands of new human resources as many new cultural facilities are built up. Thus, the use of contracting-out facility instead of public services has seemed to be very attractive. In spite of the positive aspect of contracting-out facility that the quality and specialty of service would be enhanced through competition among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expenses reduced, the projects regarding contracting out facility were facilitated with no systematic plan because of such difficulties as lack of human resources, and thus the process including the way of entrusting, selecting the group to be entrusted, managing the group, and re-agreement and evaluation of such groups is not thoroughly considered, which results in problems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entrusted agencies, exclusive agreement, injustice transaction, unstable relation between the management and labor. Although such realistic problems of contracting-out facility are stated as the basis for the opposition, it is expected that local communities continue to discuss the use of contracting-out cultural facility, and it will be expanded for such reasons as the heavy budget for cultural activity and specialty in the poor financial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problems of existing contracting-out cultural facilities and present measures to solve them.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way of operating contracting-out cultural facilities effectively by improving subjects(truster, trustee, law/system, etc) in consideration of whether contracting-out cultural facilities are playing the role of public facilities which are supposed to take the lead of the cultural activity of the locals as well as local cultural development. Particular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ase of 6 entrusted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Suwon City focusing on Suwon Art Center run with contracting-out facilities. This study includes the issue of public cultural facility and contracting-out facility, which involves the following questions: would contract-out systems be able to replace local public cultural facility properly? Would this system be able to secur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which is the positive logic of contracting-out facility(maximized effect with the minimized expense)? Would contracting-out facility facilitate the active operation of local dull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conclusion, vital is a rational approach to adopting the contract-out system in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such facility and the specialty of culture and art, rather than the argument regarding if contracting-out facility is proper or not. As to the use of contracting-out facility when it comes to 'arts and cultural' facility, the improvement of culture service in terms of qual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rather than such aspects as cost-saving through reducing work force. In additi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local contracting-out facilities, on behalf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will be achieved as long as secured are the transparency in selecting entities to be entrusted by trusters(local government), responsible management and supervision, specialty of the trustee(private organization), transparency of administrative work, arrangement of legislative and systematic control devices, and through examination of regulations and rules.

      • 광양만 해역의 수질에 관한 계절 및 연간 변동

        최다미 全南大學校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양만 북부해역의 6개 정점에서 1997년부터 2004년까지 수질의 계절 및 연간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DO, COD, DIN, DIP, SS, Chl-α의 농도는 계절변동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p<0.05), 이러한 계절적인 변화는 섬진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유입량의 계절적인 변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온, COD, Chl-α는 8월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염분과 DO는 8월에 가장 낮았다. 정점 1(묘도 서남방)의 수질은 섬진강과 수어천과 동천의 유입에 따른 낮은 염분과 높은 영양염의 특성을 보였다. 질소계 영양염류의 주된 공급원은 섬진강과 수어천과 동천으로부터의 담수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인은 광양만 유역의 산업폐수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were observed at six stations in nothern area of Gwangyang Bay from 1997 to 2004. Water temperature, salinity, DO, COD, DIN, DIP, SS, and chl-α concentrations clearly varied with seasons (P<0.05), and these seasonal trend reflects seasonal changes in fresh water discharge from Seomjin River. Water temperature, COD, and Chl-α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ugust than other seasons, while salinity and DO reached minimum values at August. In the station 1(southwestern area of Myodo), water with low salinity are subject to high nutrient input from the Seomjin River and Sueo River and Dong River. The main source of nitrogenous nutrients seemed to be the freshwater runoff from the Seomjin River and Sueo River and Dong River. However, that of phosphorus seemed to be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in Gwangyang Bay.

      • Edvard Grieg의 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a minor Op.36 에 대한 분석 및 연구

        최다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리그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시대전환기에 활동한 음악가이다. 이 시기에는 후기 낭만주의를 비롯하여 민족주의 음악적 경향이 나타났는데 그리그는 독일 낭만주의 음악적 특징과 노르웨이의 민속 음악을 적절히 접목시켜 노르웨이의 민족주의 음악을 이끈 대표적인 민족주의 작곡가이다. 1882년부터 1883년에 작곡된 <Cello Sonata in a minor Op.36>는 그리그가 작곡한 유일한 첼로 소나타로 평소 첼로 애호가였던 그의 형에게 헌정되었다. 이 작품은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 1악장은 소나타 형식, 제 2악장은 복합3부분 형식, 제 3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전형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을 가지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피아노와 첼로 두 악기간의 적절한 균형과 조화가 돋보인다. 짧고 단순한 선율이 어느 한 악기에 치우치지 않고 동등한 입장에서 전개되며, 이러한 선율은 음형의 축소 또는 확대, 옥타브의 변화 등 다양한 모방, 변형기법을 통해 발전된다. 그리고 각 악장마다 대조되는 2개의 주제를 제시하여 서로 대립, 반복, 반음계적 진행, 전조 등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This thesis concerns itself with analytical study of <Cello Sonata in a minor Op.36> of Edward Grieg(1943-1907). Edward Grieg, born in Norway, is a musician who engaged in his musical activities during the changeover period of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Musical trend during this changeover period manifested itself with post-romanticism and nationalism. Edward Grieg is the typical musician who pioneered and established Norwegian Nationalism in Music with his musical works of compositions by ingeniously engrafting musical distinctions of German Romanticism onto the Norwegian National Music. <Cello Sonata in a minor Op.36> composed during the period of 1982 to 1983 is the only one 'Cello Sonata of E. Grieg, which he dedicated to his brother who at that time was a devotee of 'cello music. This 'Cello Sonata comprises three(3) movements including: 1st movement of sonata form, 2nd movement which consists of combined third part formation, and 3rd movement of sonata form showing typical classic sonata form. It is a distinctive feature of this work that the piano and the 'cello display exquisite balance and harmony one another. Given equal ponderance to the piano and the 'cello, short and simple passages are nicely balanced between the two instruments, without being biased to any one of them, and those passages are progressed by means of derivative and transformative variations involving shrinkage or enlargement of the passage patterns, shift over the octaves and etc.. Contrapuntal passage of two confronting themes appearing at every movement keeps changing its passages in each movement undergoing variations taking different forms of confrontation, repetition, progressing in a chromatic scale, and modulations.

      • 무혈청배지 내 2가와 3가 양이온이 Mouse Fibroblast 3T3의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

        최다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우스 섬유아세포 (mouse fibroblast)는 세포치료제 개발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human embryonic stem cell; hES)의 영양세포층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마우스 섬유아세포는 혈청배지에서 배양되는데 이러한 배양 방식은 동물 유래 성분이 포함된 혈청을 사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의 잠재적 감염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청 사용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우스 섬유아세포용 무혈청배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마우스 섬유아세포는 무혈청 환경에서 무기염류에 가장 민감하였다. 실제 DMEM/F12에 포함된 무기염류의 양을 80%, 60%로 감소시킬수록 세포의 성장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포가 성장하기 위한 적정 수준의 무기염류만 필요하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마우스 섬유아세포의 무혈청배양을 위한 최적화된 무기염류가 아니므로 각 성분에 대한 세부적 농도 조절이 필요하였다. 삼투압 유지 및 pH 변화에 완충작용을 하는 무기염류를 제외한 총 7종의 무기염류에 대해 농도 조절을 한 결과, 무기염류 중에서도 2가와 3가 양이온이 마우스 섬유아세포의 세포성장을 저해하는 인자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배지 내에 2가와 3가 양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는 ferrous sulfate (Fe^(2+)), ferric nitrate (Fe^(3+)), zinc sulfate (Zn^(2+)), cupric sulfate (Cu^(2+))와 같은 염들이 마우스 섬유아세포의 세포성장을 저해하는 성분이었다. 최종적으로 마우스 섬유아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2가와 3가 양이온을 조절하여 개발된 무혈청배지의 최고세포농도는 3.0E+04cells/㎠, 혈청배지의 최고세포농도는 3.4E+04cells/㎠로써 혈청배지의 약 88% 수준의 무혈청배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우스 섬유아세포용 무혈청배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기염류 중에서도 세포에 독성이 있는 2가와 3가 양이온의 농도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Mouse fibroblast has been widely used for cell therapy development and as a human embryonic stem cell and hES’s feeder layer cell. The mouse fibroblast is cultured with other cell lines in the serum media. However, that culture method is exposed to latent danger of infection by virus-like pathogens because it uses the serum including animal-origin components. For the reason,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serum-free media for mouse fibrobla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oming from the use of seru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organic salts among medium components made the most difference in cell’s growth.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inorganic composite that was most influential on the cell line used in this study, the cell growth of 3T3 was compared. As a result, in proportion to being more reduced at 80% and 60% than the amount of inorganic salts included in DMEM/F12, the cell’s growth was found to increase more. It can be inferred from such result that there may be an optimum level of inorganic salts’concentration required for a cell to grow.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re was inorganic salts’ optimum concentration for the growth of 3T3, and carried the experiment of regulating concentration with a total of 7 species inorganic salts except the inorganic salts that worked the buffer capacity of pH and osmolality maintenance. Through respective concentration control experiments of inorganic salts, divalent and trivalent cations were revealed to be the factor that inhibits the cell growth of 3T3. That is to say, such substances as ferrous sulfate (Fe2+), ferric nitrate (Fe3+),zinc sulfate (Zn2+) and cupric sulfate (Cu2+) that exist in the form of bivalent and trivalent cations in the medium are the toxic materials that inhibit the cell growth of 3T3. By regul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valent and trivalent cations influential toxically on the cell, the final serum-free medium with inorganic salts adjusted was manufactured. The maximum cell density of the serum-free medium that was finally developed in this study was 3.0×104cells/cm2, and the maximum cell density of serum medium was 3.4×104cells/cm2, in which the serum-free medium at about 88% level of serum medium was able to be secured.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serum-free media for 3T3, the concentration of divalent and trivalent cations toxically influential among inorganic salts should be considered.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 간접 화행 연구

        최다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부정 의문문 제시 양상을 파악하여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부정 의문문 간접 화행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교육 방안 마련과 관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데 비해 실제 교육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자체에 관심을 두고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여러 논의를 바탕으로 부정 의문문과 간접 화행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고 실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부정 의문문의 다양한 유형과 간접 화행 기능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부정 의문문 유형 여섯 가지(안+용언, 못+용언, 용언의 어간+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지 않아?, 용언의 어간+ -는 것 아니야?, 명사+ -아니야?)와 간접 화행 기능 여섯 가지(추측, 확인, 동의 요구, 강조, 제안 및 요청, 명령)를 구성하고 교재 선정 기준에 따라 3종의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였다. 또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분석을 위한 기준과 분석 방법을 밝혔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유형과 간접 화행 기능을 분석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는 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 한국어 교재별 특징,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종의 한국어 교재에서 총 330회의 부정 의문문이 출현하였다. 그 중 ‘용언의 어간+ -지 않아?’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재 3종에서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유형과 화행 기능이 교재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별로 살펴본 결과 ‘추측’기능이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고 ‘명령’기능은 낮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한계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부정 의문문과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한국어 교재별·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별로 분석 결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기를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다양한 교육 자료와 교육 방안이 개발되어 한국어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학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ay out ways in which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presented in Korean learning materials in hopes to help develop basic teaching materials on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negative interrogatives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do so,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on-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s were analyzed. The description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the need of the study, as well as relevant findings from empirical researc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re already is a plethora of discussion on effective ways of teaching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to learner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based on th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actually utilized in practice. Chapter 2 discusses relevant theories on negative interrogatives and indirect speech acts from previous research, an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The chapter also presents a variety of forms in which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used and their intended speech act functions in those contexts. In Chapter 3, six forms of negative interrogatives(안+용언, 못+용언, 용언의 어간+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지 않아?, 용언의 어간+ -는 것 아니야?, 명사+ -아니야?) and their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are constructed,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re presented. The criteria and methods of analyses used for examining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also laid out. Chapter 4 pres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and their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as presented in the learning materials.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are presented in three categories: the expected proficiency in Korean of the learner for whom a given learning material is inten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materials; the specific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A total of 330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ppeared in the three different learning materials analyzed. This chapter elaborates on the most frequently used negative interrogativ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noticeable disparities between the learning materials in term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which they contain and their intended speech act functions. Lastl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of the speech act functions the negative interrogatives are expected to serve, the 'suspecting' function appeared to be most frequent, while the 'commanding' function is least frequently presented in the materials. Lastly,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s well as its limitations. By examining a number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in terms of disparities in negative interrogatives and their intended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across different characteristics, expected proficiencies of the intended learners, as well as intended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the current study hopes to have some utility in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to facilitate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the Korean languag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negative interrog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