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한 동화 활용방안

        조윤경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model of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in using whole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teaching model I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story reading and telling. I showed that this story telling and reading-based teaching method to be a better way of English instruction since it increases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and makes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 more actively. The ai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to develop communicative abilities. Communicative abilities include not only listening, speaking, but also reading and writing skills. But present Englis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ith a national textbook focused on mainly listening and speaking causes imbalance of communicative abilities and drops students' interest.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whole language education through storybooks can be suggested in elementary schools. Whole language approach is a suitable way to improve communicative abilities in balancing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ith this strong belief in whole language education. this thesis shows lesson plans made up according to three reading steps for 3rd graders: pre-reading activities, while-reading activities and post-reading activities.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with storybooks can be as following : First, storybooks inspire students' interest and fun so that language users in the meaningful context is possible. Second, storybooks which are giv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understand western cultures can influence their emotions positively. Third,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activity-based lessons through storybooks Fourth, natural contacts with written language in storybooks make whole language of education possible, and compensate for the week points of current national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try to find better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ll the time. In conclusion, English teaching model using whole language education results in not only the ele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in English and their classroom participation but als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istening skills.

      • 테드 휴즈의 균형의 상상력

        조윤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20세기 영국 시인 테드 휴즈(Ted Hughes)의 초기 시부터 중기 시까지 작품 분석을 통해서 휴즈의 시적 상상력이 건강한 인간과 건전한 사회를 향한 균형을 추구하면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밝히려고 하였다. 후기 시에서도 그러한 균형을 향한 상상력은 우주적 차원으로 발전이 되고 있으나, 그 특성은 초기와 중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고 판단되어 여기서는 중기 시까지의 분석을 우선하기로 한다. 휴즈는 인류문명의 전개과정 속에서 인간의 근원적 생명이 억압받아 현대에 이르러서는 심각한 불균형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그는 그것을 바로잡는 것이 시인의 사명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의 시적 상상력은 초기 시에서는 자연에 내재한 본성으로서의 생명력을 탐구하기 위해 자연에 편재하고 있는 폭력적인 에너지를 가감 없이 노래한다. 휴즈의 첫 시집인『빗속의 매』에서 그러한 폭력성은 생명력이 자리 잡고 있는 본능과 무의식에 대한 강렬한 표현으로 드러난다. 폭력성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그가 현대문명 속에 사는 인간이 이성의 지나친 지배에 따라 생명력을 거의 말살당하고 자신의 의지나 본능과는 상관없는 삶을 살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었고 그 강한 표현은 바로 인간의 건전한 생명력의 회복을 위한 균형 잡기의 일환이었다. 과거의 정화와 풍요의 축제를 노래한『루퍼컬』과 새로운 자아의 탐색과정을 담은 『워드워』등 초기의 다른 시집들에서도 건강한 생명을 위해 균형을 추구하는 휴즈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중기 시집들에서 휴즈의 시에 나타나는 균형의 상상력은 개인을 넘어 인간 사회 전체로 확대된다. 휴즈는 이성과 규율이 중심이 되어 있는 현대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위해 중기 시에서 신화적 세계를 상정하여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중기의 첫 시집『까마귀』에서는 이성 중심의 관습적인 삶의 병폐와 기존 문명의 황폐성을 풍자하며 그러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살아남아야하는 개인의 생명력이 묘사되고, 더 나아가 사회 전체의 이성과 본능으로서의 생명력의 균형이 추구된다. 『고데트』에서는 사회 지도자의 균형 잡힌 생명력회복에 초점을 맞춰 사회 전체의 생명력의 회복 가능성이 점검된다. 또한 『동굴 새들』에서는 이성적 개인이 구성원들과의 평등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생명을 균형 잡고 부활하는 과정이 묘사된다. 휴즈의 시에는 인간이 인간본성을 어떻게 회복하고 건전한 사회를 이룰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탐색과정이 나타난다. 그는 황무지와 같은 현대사회에서 이성과 본능의 균형이 이루어졌을 때 진정한 인간성의 회복이 가능해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탐색과정에서 휴즈의 상상력은 건강한 개인과 건전한 사회를 모색하며 균형을 찾아가려는 특징을 보이므로 그의 시적 상상력은 균형의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illustrate how Ted Hughes's poetic imagination reaches toward a balance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among the whole three periods of his poetry world, and what meaning it has in this modern world. Through his poetic works, Ted Hughes tried to conjure up a balanced healthy spirit onto the world. Modern civilized society has been ruled by human reason, under the reign of which human life has lost its own original vitality. Such a situation is worsened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In his early poetry, Ted Hughes tries to summon the once sacred but now fragmented human life through his poetic imagination. He probes the natural and unconscious world where the instinct or vitality presides, and tries to invoke the power of life, even the energy of violence, into the world where we live. In The Hawk in the Rain, he describes that many natural beings commit acts of violence, which actually presupposes primordial energy. In Lupercal, he recognizes that, in order to restore sacred human spirit in this unbalanced civiliz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ort of ritual held for purification and evocation of fecund brute energies for society. So he tries to hold it through this book. In Wodwo he searches for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new healthy self, discarding an old negative self. In his middle period, Hughes's main concern moves from a human being to society. And his poetic imagination in this period concentrates on the mythical world. In Crow he shows that a crow as a trickster satirizes modern society as a wasteland in contrast to his powerful vitality and comes into the world as an enlightened subject. In Gaudete, he presents that a society's vitality can be resumed through the king's regaining his balanced spirit. In Cave Birds, he creates a fictional mythic hero and describes the process that the reason-oriented hero finally contacts his anima and resurrects himself as a balanced being. Ted Hughes focused his attention on human life in his poetry world. He wanted his work to have a healing energy for this modern civilized world. Owing to his poetic imagination, his work could be a key to solve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 수정된 쉬러그(shrug)운동이 어깨뼈아래돌림증후군이 있는 성인의 어깨 근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 경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깨손상 환자의 재 손상 방지와 기능증진을 위한 운동은 재활에 있어 필수적 인 요소이다. 어깨 통증과 기능이상의 조절을 위한 재활운동 프로그램 중 어깨뼈 안정화 운동으로 쉬러그운동이 시행되고 있다. 쉬러그운동은 등세모근의 활성을 위한 운동으로 어깨뼈 아래돌림증후군의 불충분한 위쪽돌림 및 근육 불균형의 안 정기 근육활성화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Moseley 등(1992)은 선행연 구에서 고전적 쉬러그운동이 등세모근보다 어깨올림근을 더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어깨뼈아래돌림증후군을 가진 성인의 어깨 안정화를 목적으로 수정된 쉬러그운동을 적용하여 어깨뼈의 위치와 어깨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깨관절 안정근에 미치는 영향의 유무도 확인 하고자 실시하였다. 어깨뼈 아래돌림증후군을 가진 1명을 실험대상으로 하루 30분씩 3주간 15회 중 재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 5회, 중재 중 3회, 중재 후 5회, 총13회 측정하였으 며, 실험은 총5주간 진행하였다.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방법으로 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과 어깨올림 근 그리고 앞톱니근, 가시아래근, 뒤어깨세모근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여, 운 동 전, 중, 후를 비교하였으며, 가시위근과 가시아래근의 근두께와 어깨뼈 아래돌림지수를 측정하여, 운동 전, 중, 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회귀기초선A'에서 기초선A보다 전반적인 근육의 근활성도가 증가 하 였으며, 근활성도 측정에서 어깨올림근 보다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측정 되었다. 또한 가시위근과 가시아래근의 유의한 두께증가를 보였고, 어깨뼈 아래돌 림지수도 기초선A에 비해 회귀기초선A'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수정된 쉬러그운동을 이용한 어깨뼈 안정화 운동이 어깨뼈 아래돌림증후군을 대상으로 어깨뼈의 위치 개선과 어깨 안정화근육, 그리 고 어깨관절 안정성에 작용하는 근육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운동으로 제 시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환경 불확실성이 제조기업의 SCM 도입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윤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의 제조 기업들은 세계 및 국내경기의 변동,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한 빠른 기술변화, 치열해진 글로벌 경쟁 및 세분화된 고객 요구의 변화 속에서 수요 불확실성, 공급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 및 경쟁 불확실성의 환경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불확실한 경제체제에서 제조 기업들은 공급사슬관리 및 제조활동의 최적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여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함으로써 내부통합 및 외부통합을 달성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업성과를 제고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공급사슬관리 적용비율은 2018년 기준으로 45.9%이며, 이는 1990년 말 대기업을 중심으로 국내에 도입된 공급사슬관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요 불확실성, 공급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 및 경쟁 불확실성의 환경 불확실성이 공급사슬관리 도입에 미치는 영향과 공급사슬관리의 내부통합 및 공급통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IBM SPSS 22.0과 IBM SPSS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수요 불확실성, 공급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 및 경쟁 불확실성 요인은 공급사슬관리 도입의 내부통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급통합 요인에는 공급 불확실성과 경쟁 불확실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요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공급사슬관리 내부통합과 공급통합은 기업성과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 기업은 환경 불확실성을 체감하고 있으며, 공급사슬관리 도입을 통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급사슬관리 도입에서 내부적으로는 업무의 표준화와 프로세스 정립 등의 시스템을 정비하면서 기능 간 통합을 강화하여 정보 및 목표공유를 통해 경쟁력 있는 조직을 구축하고, 외부적으로는 공급업체와 전략적 관계유지, 신뢰, 몰입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하여 환경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고객에게 지속적인 부가가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공급사슬관리 도입을 통해 기업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수요 불확실성, 공급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 및 경쟁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하고 내부통합을 실시하여야 한다. 단순히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간 기능장벽을 없애고 전자통신시스템을 통해 소통과 정보공유를 원활하게 하여 조직능력을 강화하고 표준화 등을 통해 업무의 간소화를 이루어 스마트 워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자원의존이론과 같이 제조 기업은 공급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필요한 자원을 공급받아 생산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또한 자원기반관점에서 공급업체가 제조 기업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수직적 관계에서 상호 의존적인 수평적 관계로 재정립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상생을 위한 동반자로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공급업체와 전자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주기적인 회의체를 구성하여 열린 소통을 통해 정보와 목표를 공유하고 서로의 발전을 위하여 함께 고민하고 연구하여 공동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제조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공급사슬 관련 기업의 경영자와 유기적인 협력적 관계구축을 통해 고객의 변화요구를 선행하여 획득하고 이를 기업내부조직에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사통합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ERP 및 전자통신시스템 구축 등에 투자하여 업무합리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그리고 조직원들이 신기술을 도입에 적극적이며, 자발적으로 경쟁기업의 동향을 파악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고객과 공급업체와의 협업적 관계를 구축하고 공격적인 마음가짐으로 기업의 생존을 위해 비용을 절감하고 단합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자세로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넷째, 공급사슬관리 도입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내부 및 외부통합의 기본요인은 목표공유, 정보공유 및 자원공유이다. 제조 기업 내부적으로는 조직이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함께 노력하고 소통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외부적으로는 공급업체와 신기술, 수요예측 및 재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여 성숙한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몰입과 신뢰를 통해 서로의 발전을 위하여 협력하고 노력함으로써 서로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동반자적 관계형성이 필요하다. 제조 기업이 겪는 환경 불확실성은 기업경영의 장애로 작용하지만, 이를 잘 극복하면 전화위복이 되어 위기 대응능력을 갖춘 건실한 기업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한 환경에서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하여 소통과 공유를 통해 내부적으로는 강하고 발전적인 조직을 구축하고, 외부적으로는 공급업체와 전략적 관계를 조성함으로써 기업성과를 개선하여 지속성장이 가능한 기업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제조 기업이 공급업체와는 공생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만들고 내실을 기하여 글로벌 경쟁을 이겨내고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서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하여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제조 기업의 전략적 경영으로 정착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좋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Today, manufacturing companies are faced with environmental uncertainties in terms of demand, supply, technology, and competition due to the global and domestic economic fluctuations, rapid technological changes, the increased global competition, and diverse customer demands. Under the environmental uncertainties, manufacturing companies try to keep competitive by reducing costs through supply chain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activities. The introduction rate of supply chain management of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is 45.9% in 2018, and it is shown that supply chain management, which was introduced in Korea at the end of 1990,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is study started with questions, ‘How much the environmental uncertainties of demand, supply, technology, and competition would affect on the introdu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SCM) of internal and external integra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What is the impact of the SCM introduction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22.0 and IBM SPSS AMOS 22.0, which are statistics programs. The research theory was verifi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d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demand uncertainty, supply uncertainty, technical uncertainty, and competition uncertainty are supported the internal integra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Supply uncertainty and competition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ply integration factors, but demand uncertainty and technical uncertainty did not. In addition,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l integration and supply integr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performance. Manufacturing companies are experienc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are trying to overcome this by introducing supply chain management. In particular, in the introdu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the system of standardization and process establishment is internally strengthened, strengthening integration between functions, building a robust organization through sharing information and goals, and maintaining strategic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externally. The manufacturing companies are committed to overcom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providing added value to their customers by building trust, commitment and partnerships. Therefore, by analyzing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suggest ways to enhance corporate performance by introducing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as follows. First, to overcome demand uncertainty, supply uncertainty, technical uncertainty, and competition uncertainty, supply chain management should be introduced and internal integration should be implemented. Rather than simply introducing supply chain management, we must remove functional barriers between organizations,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hrough electronic communication systems, strengthen organizational capacity, and streamline work through standardization to execute smart work. Second, like the resource dependency theory, manufacturing companies are engaged in production activities by supplying necessary resourc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suppliers, and derive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is. In addition, from a resource-based perspective, suppliers should reestablish their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from vertical to interdependent horizontal relationships and build strategic partnerships to grow together as partners for win-win growth.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lectronic communication system with suppliers or to form a regular meeting to share information and goals through open communication, and to consider and research together for mutual development and improve jointly. Third, the chief executive of a manufacturing company needs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acquire of a supply chain-related company, get it in advance of the customer's demand for change, and spread it to the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company.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 company-wide integrated system, investment in ERP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system construction should be made to rationalize business.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under the auspices of the CEO are active in introducing new technologies, voluntarily identify trends in competitors, establish countermeasures, buil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suppliers, and reduce costs and unite for the survival of the company with aggressive minds, they can work for a future-oriented. Fourth, the basic factors of internal and external integr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are goal shar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ource sharing. Internally within a manufacturing company, organizations can work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the same goals, and externally share new technology, demand forecasts and inventory information with suppliers to create a mature business environment and build commitment and trust. Through partnerships and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form a partnership that provides value to each other.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experienced by manufacturing companies is a hindrance to the company's management, but if it is overcome well, it can become a more robust company by overcoming blessings in disguise. In an environmental uncertainty, introdu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rough communication and sharing, a strong and developing organization can be built internally, and strategic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can be established externally to create a foundation to grow into a more developed company. It is hoped that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global competition and contribute to the national development by creating mutual dependence of suppliers and mutual benefits. To this end,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reasonable operation will be settled as strategic management of manufacturing companies.

      • 음악경험.음악성.학업성적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을 중심으로

        조윤경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음악경험 현황을 알아보고 음악경험과 음악성, 학업성적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음악경험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리고 나아가 음악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음악경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음악경험과 음악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음악경험과 학업성적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음악성과 학업성적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고등학교의 1학년 인문계 남학생 27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음악성 측정을 위한 현경실의 한국음악적성검사, 음악경험에 대한 설문지, 학생들의 1학기 성적을 사용하였다. SPSS 15.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한 후,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대상의 음악경험 현황은 낮은 수준이었다. 음악 사교육과 특별활동 모두 1가지 종류(60.5%, 71.2%)만 경험했다는 답변이 많았고, 경험기간은 음악 사교육은 2~3년 이하(40.1%), 특별활동은 1년 이하(47.0%)가 가장 많았다. 가정의 음악적 환경은 '음악프로그램 시청(청취) 정도'에 대한 문항만 유일하게 긍정의 답변(67.6%)이 더 많았다. 둘째, 음악 사교육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경험을 시작하는 학생의 수가 감소하였으나 특별활동은 반대로 증가하였다. 셋째, 특별활동을 경험한 학생들 중 가장 많은 학생들은 학교에서 개설한 특별활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53.3%) 넷째, 음악경험과 음악성?학업성적의 상관관계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낸 음악경험의 하위변인은 '시작시기'였다. (r=.234, .238 p<.01) 다섯째, 음악성과 음악경험?학업성적의 상관관계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낸 음악성의 하위변인은 '가락'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경험의 수준은 음악성 및 학업성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악경험은 어린 시기에 이루어질 때, 체계를 갖출 때,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와 부모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음악경험을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신뢰성 있고 타당한 결과를 위하여 다양한 음악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의 개선이 요구되며, 리듬과 가락 외의 다양한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음악성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더 넓은 지역으로 확대된 계속적인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The pr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sical experiences of Korean students as well as a correlation among the musical experiences, their musica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to prove the importance of and need for musical experi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make a case for music education. We established following questions to achieve study purpose. First, what about study subject's music experience? Second, what about interrelation between musical experience and musicality? Third, what about interrelation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Fourth, what about interrelation between musica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To answer these questions, 275 high school freshmen were set as study's subject and the Korean Music Aptitude Test(KMAT) made by Kyung Sil Hyun, a questionnaire about musical experience, and the grade report of their first semester were us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 SPSS 15.0 programs. First, subject's musical experience condition was low. Large par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experienced only 1 type of musical training either private music education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60.5%, 71.2%). As for the training period, 2 to 3 years of private tutoring(40.1%), and less than 1 year(47.0%) were most common. 'Degree of music program listening' was the only question that received more positive than negetive responds in the section of home musical environment. Seco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experienced private music education decreased as grade went up, but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creased in contrary. Thir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engage in are mostly offered by school. (53.3%) Fourth, it was the 'Beginning time' that display the biggest interrelation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musicality?school records in terms of music experience. (r=.234, .238 p<.01) Last, it was 'Tune' that display the big interrelation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musicality?school records in terms of musicality. We found ou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level of music experience and musicality?school records. Also, we notified that music experience is more effective when it is experienced when students are young. Therefore, school and parents should offer enough concerns to students for their proper music experience. It is recommended to modify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various music experience. For a measurement of various musical area except rhythm and tune, we need to develop a standardized musicality measure. At the conclusion, we propose a continuous study expanding to larger area for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 德川幕府期 조선인식의 변화연구 : 對馬島를 통한 通信使 외교의 실체를 중심으로

        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istory of Korea, diplomatically and publicly, is correlated with the history of Japan. As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has gone through the times of peace and conflict, the current state of the foreign relation seems peaceful externally, but distrust and conflict still exists internally. In other words, the Japanese national sentiment of superiority and contempt toward Korea, which was embedded deeply in the past, has been solidified on a national level as well as on an individual level, and it has eventually led to the present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purposeful distortion of the history in Japanese history textbooks and the legal dominium and rights of Dok Island. In this analysi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 of the unreasonably formed sense of superiority and negative attitude in Japanese national ideology became the source of the current, on-going, and subtl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Tokugawa Shogunate, Korea and Japan enjoyed the most peaceful era i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and this rel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major channel of communication called Tong Sin Sa, a diplomatic committee to Japan. However, Tong Sin Sa also had a negative side in this diplomatic relation the mutual skepticism and misunderstanding grew. Unfortunately, these led to a distorted Japanese perspective of Korea from the end of the Tokugawa Shogunate and to modern history. From this idea,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rce of the Japan's negative attitude toward Korea is propagated from the ideology of the Japanese Imperial Restoration perio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this, it is discussed that the reason for the anti-Korean sentiment and perspective during that period was the of political and diplomatic contradiction of Tong Sin Sa established through a medium of Dae Ma Island (Tsushima). Nowadays, the Korean people have formed a strong sense of suspicion and distrust against Japan from a victim's mentality and have expressed a great deal of discontentment toward Japan's diplomatic irrationalism and distortion of historical truths. However, the Korean people have failed to put Japan's unreasonable sentiment into a perspective with an open mind. Although conflicts and issues did not occur in the meantime, if the current state of peaceful rel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resulted from the Japan's national sentiment of superiority, it would not last long and the diplomatic relation would not be stabilized. Hence, Korea and Japan must mend a historical foreign relation stained with distrust and disdain from the past and should put great effort in understanding and discussing the difference in order to agree on a proper and clear historical view and to form a mutual respect for each other. It is my desire that this paper would be used as a small contribution to Korea and Japan's efforts toward thi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한국의 역사를 대외적 측면에서 일본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그 관계는 때로는 평화적이었고 때로는 총칼을 겨누는 극단적인 대립을 반복하며 지속되었는데, 현재의 양국은 비록 겉으로는 우호적 관계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 내면에는 여전히 서로에 대한 불신과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즉 고대로부터 일본인의 의식에 잠재되어 왔던 한국에 대한 멸시관과 우월의식이 끊임없이 이어져와 오늘날까지도 일본 역사교과서의 왜곡이나 독도영유권 분쟁과 같은 외교 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과 한국인을 업신여기는 일본인의 의식도 곳곳에서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이 무력적 행위로 표면화되지는 않았지만, 계속해서 미묘한 외교적 갈등이 발생되고 있는 한일관계의 배경을 일본에서 형성된 잘못된 우월감과 부정적 이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특히 근대 명치정부(明治政府) 때는 일본의 부정적 한국인식이 보다 확대되어 이후에는 침략적 · 멸시적 성격으로 흐르게 되었는데, 여기에서는 그 원인이 근세 덕천막부기(德川幕府期) 양국의 평화적인 외교 관계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보고, 양 시기의 극단적 인식 전환의 배경을 덕천막부기(期) 한일 외교의 모순에서 밝히고 있다. 이른바 덕천막부기(期) 한일 양국은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관계를 형성했던 시기로 상징되며, 그 중심에는 양국을 오가며 정치, 경제, 문화적인 교류를 담당했던 통신사(通信使)가 있었다. 그러나 통신사를 대표로 했던 관계는 긍정적인 면 이외에도 양국 간에 불신과 오해가 성립되도록 하는 부정적인 면도 상당히 존재했었고, 결국 막부말기(幕府末期)에서 근대초(近代初)에는 그것이 크게 확대되어 일본의 한국 인식이 왜곡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과거 역사에 대한 피해의식과 불신감에서 일본에 대해 강한 경계의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본의 이기적 외교 행위와 역사 왜곡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일본이 한국에 대한 멸시적 시각을 이어오고 있는지를 올바르게 직시하려는 자세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근세의 평화적인 한일관계도 뚜렷한 충돌이나 갈등 없이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일본의 우월의식에서 비롯되어 한국에 대한 멸시관으로 일방적으로 변한 것이라고 할 때, 그러한 인식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현재의 양국관계도 결코 안정적이다고는 말할 수 없다. 때문에 한일 양국은 과거로부터의 서로에 대한 불신과 선입관을 버리고, 올바른 역사관과 합리적인 상호인식이 성립되도록 진중한 고민과 이해를 함께 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진행된 본 연구는 현재까지 내려오는 일본의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근원이 근대 명치정부기(期)의 시각에서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명치정부 때에 멸시적인 한국관이 확장된 근원을 근세의 대마도(對馬島)라는 매개체를 통한 통신사 외교상의 모순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근세에서 근대로의 인식 변화가 일어나는 원인을 제공하는 모순된 한일관계의 형성 배경을 무로마치 막부 때에서 찾고, 실제 덕천막부 때에 이루어진 대마도를 통한 통신사 외교상의 모순에서 굳어진 조선인식에 대한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이것이 대마도에 의해 막부말기와 근대 명치정부에서는 보다 왜곡된 방향으로 악화되어 마침내는 평화적인 근세의 관계를 모두 부정하고 침략적인 사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근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는 근세 외교 관계가 지니고 있던 모순된 구조에서 악화되었고, 결국 그러한 부정적 이해가 현재의 일본인의 의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는 무작정 일본의 왜곡된 행위를 비난하기보다는 한국에 대한 우월의식이나 멸시적 인식이 형성된 배경과 원인을 밝히고 이를 바로잡고자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이어진다면 한국은 물론, 일본도 뚜렷한 근거 없이 편견을 지니고 왜곡된 의식을 형성했던 과거를 반성하고, 이전의 양국관계를 보다 올바르게 직시하여 한국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를 규명하고 도모하려는 자세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미흡하지만 한일 양국이 올바른 상호인식을 형성해 나가도록 노력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조운 시조의 현대성 연구

        조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민족 고유의 정형시로 한국 문학에서 오랜 역사의 흐름 속에 계승, 발전 되어오던 시조는 근대 문학 이행기에 접어들면서 시대적, 사회적 변화와 함께 다양한 변모를 거듭하면서 지금의 현대 시조로 거듭나게 되었다. 본고는 현대 시조의 길을 여는데 중요한 일익을 담당한 조운 시조의 현대성을 현대적인 자유시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의 작품이 현대 문학사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를 고찰하였다. 현대 시조의 개척기에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했던 시조 시인 조운은 월북 작가이다. 그는 근대 문학의 이행기에 탁월한 감수성과 참신한 문체 감각으로 민족 문학의 원류인 시조를 일정한 틀 안에서 최대한 자유로운 감각적 형상화 작업과 여러 이미지의 사용, 그리고 장별 분행 실험 등을 통해 현대적 자유시에 근접시킴으로써 한국 시조의 미학적 위상을 한층 끌어올렸다. 조운은 등단 초기에는 자유시를 주로 쓰다가 1926년을 전후하여 시조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것은 당시의 프로 문학에 도전하는 순수 민족 문학운동의 일환인 시조 부흥운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유 문학의 재정립을 위한 시대적 요청에 호응하는 시인 자신의 소명 의식의 표출로 보인다. 그는 감성적으로 자아를 표상하고 시조의 定型 속에서 음률을 자유롭게 구사하여 시각적 시형(배행)을 추구하는 등, 시조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고 현대 시조로의 길을 열었는데 그러한 요인들을 몇 가지 측면을 통해 살필 수 있었다. II장에서는 시조를 혁신하는데 앞장선 조운의 문학 활동 당시의 시대적 배경으로 시조 부흥운동 등을 살펴보았고, 당시 다른 시인들과 어떤 차별성을 갖는지를 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투철한 민족 의식을 소유한 그의 문학관을 탐색할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그의 시조의 어떤 면이 오늘날 문학에 현대성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작품의 여러 측면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 시조 율격의 변용을 개괄적으로 형식과 내용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이를 크게 분행 구성의 율격화와 의미 자질의 율격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두 번째, 그의 작품들을 좀 더 구체화하여 시적 대상의 형상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그의 다양한 이미지 중심의 장별 분행 시도를 살펴보았다. 조운은 당시 한국 시조 문학사의 흐름이 온통 율격 논의에 휩싸여 시조를 고정된 자수로만 평가하려는 잘못된 흐름을, 당시로서는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 다양한 변체를 가함으로써, 음보율 등 다른 식의 평가 방법으로 전환하게 만드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의 작품 전반에 드러나는 이러한 분행 시도는 자유시에서 시조로 전환한 시인답게 줄과 연의 배열이 자유시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전통 율격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시각적 조형미의 조성과 함께 율동에 긴장을 불러일으키며, 의미 전할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기여함으로써 현대 시조로의 시발점이 되었다. 다음으로 화자가 서민적인 평이한 일상어를 어떻게 개성적으로 이미지화하고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다시 말해서 그는 관념어의 사용을 지양하고 다양한 감각어와 의성·의태어의 활용 등 뛰어난 언어적 표현들을 이미지화하여 도출해 냄으로써 시조를 미학적으로 승화시키고 있었다. 이로써 본고는 이러한 요인들이 조운 시조가 개척한 현대성 중의 하나로 작용함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화자가 시조의 우의적 형상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상징화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그는 대상 사물에 화자의 마음을 투사시키는 우의를 기존 시조에서 드러나는 관념적이 아닌, 현대시의 상징성으로 도출해 내고 있었다. 이러한 우의적 적용은 그의 시조가 현대성을 갖도록 하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조 시형의 개성적 의미화로, 그는 앞서 언급한 형상화 방식 위에 다양한 변용을 가하고 있었다. 먼저 그의 유일한 사설시조 <구룡폭포>는 평시조의 율격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반복 열거 등을 통한 다양한 변체를 시도하였고, 당대 다른 시조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는 여러 이미지를 적절하게 배열함으로써, 화자의 체험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 같은 사설시조의 변용과 다양한 이미지 배열은 근대시로의 가장 큰 성과로 꼽힌다. 그리고 고시조에서 드러나는 선인들의 역사의식을, 기행시조 형식을 빌려서 현재 화자의 작품 세계로 끌어들임으로써, 화자의 역사성에 대한 자기 인식을 함축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역사적 사실을 현재의 상황에서 해석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그가 목적하는 민족정신과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이런 시도는 당대에 보기 드문 민족혼 전개로서의 시조 창작 정신을 재확인시키고 있었다. 또 당시 시조에서 볼 수 없었던 일기체와 회화체 형식이 그의 작품에서 시적으로 잘 운용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당시에 비 시어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던 서민 생활 속의 일상어나 대화를 작품 속에 끌어들임으로써, 청자로 하여금 화자와 더 가깝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었다. 네 번째, 시적 주체의 시조 정신에 드러나는 의식적 지향성을 해방을 기준으로 탐색하였다. 해방 전까지는, 작품의 전반에 화자의 사적(私的)공간인 일상적인 공간에서의 자아 확인으로, 대상물에 자아를 투영시킴으로써, 억압된 내면 의식을 표출해내는 시도를 전개하고 있었다. 해방 후에는, 화자의 지향 정신이 열린 세계인 사회적 공간으로 자아를 확장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으로 형상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조운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고 그의 작품 분석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보았다. 이로써 본고는 조운이 근대 문학 초창기에 시조 문학 전통의 지속이라는 바탕 위에서, 기존과는 다른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서 시조를 현대화시킨 가장 의미있는 시조 시인으로, 우리 문학사에서 크게 자리 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dern Korean Sijo comes from native sijo or unique fixed form of verse after many changes through societies and generation at the turning point of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tries to review modernism of Cho Un's sijo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modern Korean sijo into light in terms of free verse. it also argues his contribution to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Cho Un who went north over the border took his own way in the beginning of modern sijo. He brought up esthetic aspect of Korean sijo by using excellent sensibility and freshness of style at the turning point of modern literature. He first wrote free verse and turned to sijo 1926 on account of the revival of sijo and his own intention to reestablish native literature. Cho Un pursued poetic rhythm in the fixed framework of sijo and visual imagery in his work. That means he tried to begin new field of sijo. We can figure out it in a few aspects. Section II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Cho Un and other contemporary poets and reviews his views through his works. Section III argues his effects on modern literature also through reviews of his works. First of all, we can safely conclude that he broadened content of sijo when we study divisual sentence structure which was shocking in that it attempted to use various contemporary words to make form anon of sijo. When com pared with other contemporary works, his sijo shows free arrangement of line and verse, avoids monotonous verse form anon and express visual imagery and rhythm is movement. These factors have positive effects on expressing ideas. Of various sijo with this concept, GuRyong Fall which is his only sijo with unlimited length in the middle verse arranges of speaker's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This is the greatest achievement. Next, he tries to reconfirm an appetite of sijo-writing to develope national spirit by taking out ancestor's historic consciousness based on Old sijo through travel-sijo and making self-recognition to be expressed in sijo. Moreover, he introduces diary and dialogue style to his works in order for readers to feel closer to his work. Second, in terms of content, he seeks not to use ideal word but to turn various sensual words, onamatope and mimesis into layman's words to create esthetic sijo. This study shows that he tries not to write fixed form of sijo and uses simple words for creating humanity and bring visual image into realization. This is the most modern factor created by his sijo along with his intentional implication. Section IV review s his works in terms of modern literature history. In conclusion, Cho Un modernized sijo through m any experiences and trials with different established point of view in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e must be one of the greatest poets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 자하 하디드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

        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global changes in various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have brought about huge changes to culture and art. The acceleration of changes to the formative styles in art, in particular, has suggested new directions toward cultural trends of diverse expressions. In addition, the trends of various genres have competed against each other and grown together through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In this age, cultural art exists as an overall formative style being interconnected and maintains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s instead of coexisting with each other as individual and independent objects. Food, clothing, and shelter required to meet basic human needs serve more than the physiological needs of dressing, eating, and sleeping; they not only serve practical needs of better dressing, greater eating, and more beautiful living, but also have aesthetic values of their own. Clothes and architecture have long developed together as part of the products of human acts. Architecture and fashion especially share fundamental elements in that both of them set out to express three-dimensional formativity starting with such concepts as space, movement, and human body. Although they seem to exist in different styles on the outside, they affect each other, become an inspiration to each other, and have the common functi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ir elements in each area. Clothing is a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 to express infinite human imagination and emotions in an orderly manner with a tool of two-dimensional fabric, in which sense it shows visual formative styles, aesthetic subjects, or common meanings in arts in a certain period as well as architecture. Being called space art, architecture represents a construction process of dealing with certain situations and designing in general. In other words, it presents safe and pleasant spac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are part of the essence of architecture, and creative meanings that contain the artistic sense of the space itself by taking proper materials in the most rational fashion. There have been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similarity in form and structure between fashion and architecture. Just like fashion is worn on the human body, architecture is worn in a structure called space. In recent yea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fashion and architecture terminology have increasingly become blurry; while fashion criticisms often use such words as "structural" "formative" and "architectural," architects have begun to adopt such fashion terms as "folding," "draping," "layering," and "printing." In fashion, artistry does not just seek after beauty; it utilizes lines and forms in distinctive ways in addition to practicality to create unique styles. In architecture, they complete a building with a distinctive style as well as a space with great functions to complete its own form. Recent years has witnessed architects generate results through a creative process using diverse form techniques. Their works combine heterogeneous elements beyond the conventional order and discipline and show distorted forms, being characterized as being instable, asymmetrical, and non-rhythmical.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which presents non-geometric free curves and irregular forms as well as curves, demonstrates a new challenge to the conventional architectural thinking as a new approach. It is not that the styles are changing in the concept of architecture; architects are arousing people's attention to modern architecture in a revolutionary way by finding and substantiating truth hidden in the old prevalent styles and norms. Among those architects, Jaha Hadid, who is an Iraqi female architect who is known for her diverse new attempts such as structurally distorted and irregular lines, smooth curves, and bold surface segmentation,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lately. Her original and experimental designs have earned her great reputations and promoted her as an architect that is excessively beyond the boundaries of conventions. She has shown her unique exceptional, soft, and dynamic space aesthetic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she would design the Dongdaemun Design Plaza at Dongdaemun, one of Korea's fashion meccas. The news will direct further attention to her works. This study set out to theoretically examine Jaha Hadid and consider and apply her formative form aesthetics to modern fashion design. It first analyzed her background and works as part of a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architect; and secondly, it analyzed the formative beauty of her works by considering her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urther the cases of modern fashion design where the formative principles were applied as well as such architecture, industrial design, and latest collections. Those theoretical research effor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o show her formative characteristics: First, she created overlapping effects by repeating or overlapping the vertical structures made up of hexahedrons in piles, sizes of figures, surfaces, and lines in one space, thus presenting space forms in more diverse ways. Second, many of her works contain the formative beauty whose attributes include fluid continuity whose streamlined structure is exposed as a formative element with movement. Third, her works also have porous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design with a hole in the massive form. Finally, she transformed the old conventional images and forms and created elements that were not regular or bound to forms and included irregular formativity. An examination of her works created in those principles and elements provi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overlapping principle was adopted and applied to a work, which turned out to have more mass and volume to the silhouette. Secondly, the dynamic streamlined formative aesthetics found in Hadid's works was applied to a work, which had the surface segmented through piping and highlighted its controlled details and soft silhouette as much as possible. Thirdly, the cutout technique was applied to a work with porous nature as a formative element. As a result, the work turned out to show practical, modern, and distinctive beauty. Finally, creative ideas were generated by applying irregular and asymmetrical details based on irregular formative elements as motive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architecture and fashion, few dealt with demonstrationist architecture and fashion beyond the old conventional or traditional frameworks. Research efforts were especially lacking in the study of fashion and Jaha Hadid, who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by showing the most innovative and progressive design. This study will hopefully be followed by many more active researches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that applies structural silhouettes and formative patterns inspired by her works.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의 문화적인 예술 즉 건축, 패션, 음악, 무용 등은 하나의 개체로서 독립적인 존재로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 연계하여 통합적인 조형 양식으로 존재 하면서 상호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건축과 패션은 인간행위의 소산으로 오랜 역사 동안 발전하여 왔으며, 인간과 직접적으로 관계한다는 측면에서 상관성을 보이며, 인간의 신체, 공간과 운동의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처럼 건축과 패션은 매우 밀접한 유사성을 갖고 서로 영감의 근원이 되면서 표현되어 왔다. 최근 건축가들은 다양한 형태 기법으로 창의적인 과정을 통해서 결과물을 얻고 있다. 즉 기존의 질서와 규율에서 벗어나서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하고, 형태적으로 뒤틀려 있어 불안정함과 비대칭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그 중 구조적으로 비틀리고 불규칙한 라인뿐만 아니라 유연한 곡선, 과감한 면 분할을 다양하게 시도 하고 있는 이라크 출신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 가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녀는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디자인으로 관습을 넘고 있는 건축가로 알려지면서 특유의 파격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역동적인 공간 미학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자하 하디드 건축 작품에서 나타내는 조형적 특성을 형태, 재질, 색채로 분류하여 형태적인 측면에서 나타내는 조형적 특성을 현대 패션 디자인에 응용하여 아이디어가 독창적인 조형적인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과 학술연구지, 패션 전문지, 인터넷과 같은 이론적 연구를 통해 고찰하여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조형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의미는 첫째, 육면체의 형태를 쌓아 올린 수직적인 구조와 도형의 크기, 면과 선이 한 공간 속에서 반복되거나 겹침에 의해서 중첩 효과가 나타냄으로써 공간의 형태가 더욱 다양하게 보이는 중첩적인 조형적 특성이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동성을 지닌 조형적 요소로써 유선형의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유동적인 연속성을 지닌 형태미가 자하 하디드 의 건축물에서 많이 보여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양감 있는 형태 속에 구멍 뚫린 디자인으로 보여주는 다공적인 조형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기존의 관습적 이미지나 형태를 변형 시켜서 정형적이지 않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비정형적인 조형성을 지닌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제작된 작품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첩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작품에 적용한 결과, 디테일에 더욱 풍성한 부피감과 볼륨 감을 보여줄 수 있었다. 둘째, 자하 하디드의 작품에서 보여줬던 유동적인 유선형 형태미를 작품에 적용하여 파이핑 으로 면 분할 효과를 주어서 절제된 디테일과 유연한 실루엣을 최대한 살릴 수 있었다. 셋째, 다공 성이라는 조형적 요소를 영감으로 작품에 컷 아웃 된 기법을 적용하여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개성 미를 보여주는 작품을 표현 할 수 있었다. 넷째, 비정형적이라는 조형적 요소를 모티브로 불규칙하고 비대칭적인 디테일을 응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건축과 패션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기존의 관습이나 전통적인 틀에서 벗어난 해체주의 건축과 패션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면서 최근에 주목 받고 있는 건축가 자하 하디드와 패션에 관한 연구 실정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를 계기로 자하 하디드의 건축물에서 영감을 받은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 우리나라 미술관의 역사와 교육철학

        조윤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 여러 나라들이 국가 차원에서 많은 지원을 하고 있으며 그 나라를 대변하는 문화의 상징체로 여겨지고 있는 미술관이 그 나라의 사회․경제․정치적 변화와 함께 그 역할과 기능은 수없이 변하고 확장되어 왔다는 역사적 기록을 기반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미술관도 우리나라의 특수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시대별로 다른 의미를 지니고 발전해 왔다. 미술관의 역할과 교육철학도 사회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미술관의 개념은 초기 귀중한 가치 있는 미술품을 보관하는 창고의 개념에서 공공기관이자 사회교육기관으로 변화하였고, 대중을 위한 문화서비스와 교육의 역할을 요구 받고 있다. 이러한 미술관 개념의 변화에서 ‘미술관’이라는 의미와 ‘교육’이라는 개념이 결합된 ‘미술관 교육’이라는 새로운 차원의 학문영역이 대두되었다. 미술관은 작품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기관이라는 인식에서 사회 교육적 기관이라는 인식으로 전환되었고, 일반 대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확장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변화한 것이다. 21세기 현대 미술관 교육은 미술관의 공공성이 근본 철학이다. 미술관교육 철학의 주류인 경험주의․구성주의․다원주의․소통의 철학 등등의 공통분모는 공공성이다. 현대의 미술관들은 많은 관람객을 유입하고자 노력하고 연구한다. 현대 미술은 이해하기 어렵고 미술관은 딱딱하고 권위적이라는 느낌은 관람객을 끌어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변화하는 미술관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에듀케이터는 시대의 유행에 편승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에만 초점을 두어서는 안 된다. 미술관 교육철학이 정립되면 미술관의 조건과 환경에 적합한 비전을 정립하게 된다. 이 철학은 미술관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해야 하는 것이며 에듀케이터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실현시켜야 한다. 미술관의 에듀케이터의 교육철학 정립과 다른 사람들과의 공유는 미술관 관람객의 교육적 경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미술교육과 미술관 교육간의 다른 철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그 안에서 에듀케이터가 갖는 철학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나라 미술관 교육철학의 정립을 위해 세 가지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정부기관의 문화예술 정책 담당자들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두 번째는 에듀케이터의 교수방법에 대한 철학적 정립이 필요하다. 에듀케이터의 교육철학은 학습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미술관의 교육철학은 문화향유라는 미술관의 역할과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하면서 꾸준히 점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