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중근의사기념관 체험학습 효과

        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tical leaders in Japan including Prime Minister Shinjo Abe and Chief Cabinet Secretary Yoshihide Suga have denied the past colonial crimes of Japan and made statements defining Martyr An Jung-geun’s patriotic deed as a terrorism act and labeling him as a criminal. While spreading in the society directly and indirectly, their perspective will be most likely reflected in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the secondary schools in Japan and make the conflict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even worse. In order to solve the sensitive problems between two countries, I consider education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because the problems are rooted in their difference of history awareness and education can resolve such a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Since I reviewed the reference about An Jung-geun, I found that a lot of research on the Korean patriot had been done in various branches. However, the researches and their achievements did not seem to be connected to history education in Korean secondary schools. For instance, insufficient and concise contents as well as little coverage can be pointed out in the An Jung-geun parts in Korean History, the Korean high school textbook. Thus, I accentu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sson plans which can lead students to learn history in appropriate and in-depth ways. I expected An Jung-geun Memorial Hall re-opened on October 26th, 2010 would be a great place for an educational field trip. Especially, the memorial hall was built in front of the past site of Joseon Shinto Shrine, a symbol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is would impress students who visit the square to explore history. Accordingly, I designed and practiced a series of lessons including a field study in An Jung-geun Memorial Hall and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increased their interest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Korean modern history after the field study learning ab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Mt. Namsan where the memorial hall perched. Their raised interest can be attributed to the lesson supported by a variety of visual materials about the independence activist. I infer this result out of some students’ comment that they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historical facts regarding An Jung-geun and they would like to study other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as well. Secondly, the students at first had only simple, superficial knowledge about An Jung-geun that he was a patriot who killed Ito Hirobumi before the field study but their understanding has expanded in many respects such as his life and philosophy and the process of guerilla wars. In short, this kind of field study helps students learn history in multi-dimensional ways. Thirdly, students became able to cope with the history distortion and they could give a logical answer to some Japanese statements that An Jung-geun was a murderer or a terrorist. Therefore, the An Jung-geun lessons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s or fac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at they would help students get right awareness of history and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ourthly, the students became able to precisely recall and utter the fact that Joseon Shinto Shrine was in Mt. Namsan which the memorial hall perched on and it was a place for deifying the Emperor of Japan and its progenitor. Also, the students reviewed that An Jung-geun’s act and his thoughts would be appropriate in regaining the spirit of Korean people. From this feedback, I can infer the students extended their historical awareness beyond recalling past events. Fifthly, this kind of field study is helpful in the circumstances that all the textbook contents cannot be covered during the limited class time under the present curriculum. Field trips to certain significant places in Korean history will be a chance for individual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learning and keep interested in history permanently. Finally, the memorial hall displays a variety of visual materials such as the diorama of the reenacted Harbin Railway Station Scene. I appreciate those visuals in that they impress students and increase the effects of learning. However, there were some negative feedback from students saying they were sorry to find articles on exhibition were only fake and to move busily because of too many students during the field study. Some students made a comment that they should have visited the memorial hall before and pointed out its lack of advertisement. Therefore, I suggest a field study or an experience program be proceeded with less students in order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Also, it is recommendable that teachers and students together select historical places to visit and go on a field trip regularly. 최근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를 비롯해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 장관 등 고위 정치가와 각료들이 일제의 식민 범죄를 부인하고 안중근의 의거를 테러로 규정하며 안중근을 범죄자로 보는 발언을 내놓았다. 이들의 견해가 직간접적으로 사회에 퍼지면서 일본 중등학교의 검인정교과서에도 표출될 가능성이 있어 한·일간 갈등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역사 왜곡같이 상대국과 역사인식의 차이에서 발생한 문제에 맞서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교육이다. 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해 본 결과 다양한 방면에서 안중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성과가 학교 역사교육으로는 이어지지 못 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 기술된 안중근 의사 관련 내용은 매우 단편적이고 소략하여 부족한 점이 많았다. 안중근 의사 관련 입체적인 역사 교육을 하기 위한 수업안 모색이 시급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10년 10월 26일 재개관한 「안중근의사기념관」이 좋은 공간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기념관 앞 광장은 일제 강점기 식민지배의 상징과도 같은 조선신궁 터가 있던 곳으로 역사 체험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안중근의사기념관」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 수업안을 개발하고 실행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념관이 있는 남산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학습과 안중근 의사 관련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해 생생한 체험을 한 후 일제 강점기를 비롯한 근현대 역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중근 의사 관련 역사적 사실에 대한 관심 증가뿐 아니라 다른 독립운동가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고 싶다는 소감을 통해 이러한 효과를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체험학습 실시 전 학생들은 안중근 의사에 관해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인물이라는 단편적인 역사 지식만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체험학습 실시 후 생애와 사상, 의병 전쟁 과정 등 다양한 측면으로 안중근 의사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는 체험학습이 입체적 역사교육을 가능하게 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안중근 의사를 살인자, 범법자라고 하는 일부 일본인의 주장에 논리적으로 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역사왜곡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역사적 사실에 입각한 안중근 의사 관련 역사 교육은 우리 역사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본과 역사화해를 이루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기념관이 있는 남산에 조선신궁이 있었다는 사실을 정확히 알고 대답할 수 있게 되었고, 조선신궁은 일본 시조와 천황을 모신 곳이었음도 알게 되었다. 또한 우리의 얼을 되찾는데 안중근 의사의 사상과 의거가 적합하다는 데까지 사고의 확장이 이루어졌음도 유추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교과 과정과 수업시간의 제한으로 모든 내용을 깊이 다룰 수 없는 상황에서 주요한 사건이나 인물과 관련 있는 장소를 찾아 현장학습을 함으로써 향후 학생 개인이 역사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기념관 안에는 디오라마로 재현된 하얼빈역 의거 장면과 불법 재판 과정 등 다양한 시각 자료가 전시되어 있어 역사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의거와 관련이 있는 실물 자료를 보고 싶었으나 복제품이 많아 아쉬웠고 참여한 체험학습 인원이 많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기념관 자체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서 그동안 와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는 소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험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적은 인원으로 구성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역사 지식의 확장을 위해 아이들과 함께 장소를 선정하여 일회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답사해나가면 좋을 것 같다.

      • 걷기 운동 시 심박수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VO2max 간접측정법 개발

        정은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빠르게 걷기 및 일정페이스 걷기 시 심박수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경제성이 높은 VO2max 간접측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총 107명(남성: 55명, 여성: 52명)의 연구대상자는 신체구성 측정 후 운동부하테스트와 두 번의 1,600m 걷기(빠르게 걷기, 일정페이스 걷기)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연령과 신체적 특성, 그리고 걷기 시 측정된 시간, heart rate(HR), 또는 HR과 activity count per minute(ACM)의 비율(HR/ACM)을 변인으로 단계 선택방법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VO2max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추정식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직접법에 의한 VO2max와 추정식에 의한 VO2max의 상관관계분석과 예측잔차합제곱(predicted residual sum of squares: PRESS)를 시행하였다. 또한, 직접법에 의한 VO2max와 추정식에 의한 VO2max가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Bland-Altman plotting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전 테스트 결과, 140bpm으로 1,600m 걸었을 때에 Rockport 1마일 걷기와 시간 및 HR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구간(400m, 800m, 1,200m, 1,600m)에서 빠르게 걷기보다 일정페이스 걷기가 HR과 ACM이 낮게 나타났다. 빠르게 걷기 또는 일정페이스 걷기 시 측정된 구간별 HR, HR/ACM, 걷기시간이 직접법에 의한 VO2max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총 16개의 추정식이 개발되었으며, 그중 10개의 추정식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Åstrand-Rhyming 자전거 에르고미터 테스트, Rockport 1마일 걷기테스트와 다중상관계수(R)와 표준추정오차(SEE)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HR을 추정변인으로 할 경우 일정페이스 걷기 시 800m 걷기만으로 VO2max추정이 가능하였으며 추정식은 아래와 같으며 이때 R2은 0.684, %SEE는 10.3으로 나타났다. VO2max=132.818+5.471×Gender-0.987×Age-5.382×Time-0.200×HR (Gender, 0=female, 1=male: Time, hundredth of a minute: HR, heart rate) HR/ACM을 추정변인으로 할 경우 일정페이스 걷기 시 400m 걷기만으로 VO2max추정이 가능하였다. 추정식은 아래와 같으며 이때 R2은 0.675, %SEE는 10.7로 나타났다. VO2max=121.659+6.656×Gender-0.865×Age-9.540×Time-2460.952×HR/ACM (Gender, 0=female, 1=male: Time, hundredth of a minute: HR, heart rate: ACM, activity count per minute)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추정식들은 보다 짧은 거리 또는 보다 낮은 강도의 걷기를 통해 20대 성인의 VO2max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에는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추정식의 개발과 다양한 bpm 설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타임랩스 촬영 기법을 통한 배추흰나비(Pieris rapae) 애벌레의 한살이 특성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정은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추흰나비(Pieris rapae)는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 동물의 한살이 관찰을 위한 모델 동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되고 있는 배추흰나비 한살이 정보는 매우 단편적인 수준으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는 배추흰나비가 초등 과학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 비해 생물학적 연구 가치가 낮아 생리·생태학적, 또는 행동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차례의 교육과정 개편에도 불구하고 배추흰나비의 한살이 과정에 대한 소개와 관찰 실험 활동 내용은 개선되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초등 교사들은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 지도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이 가진 오개념 역시 배추흰나비 한살이 관찰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가 가지고 있는 배추흰나비 한살이 관련 경험과 지식을 파악하고, 탐구 지도 과정 중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기 위해 현직 초등 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와 별개로 배추흰나비 애벌레의 한살이 특성을 타임랩스 촬영기법으로 녹화하였으며 애벌레의 행동 특성, 령기, 허물 벗기 등을 분석하였다. 초등 교사의 배추흰나비 한살이 관련 경험을 설문한 결과, 수업 지도 경험을 제외하고 교사가 따로 배추흰나비 한살이를 관찰하거나 현장 연수를 받은 비율은 27.0%, 알을 직접 채집한 경험의 비율은 14.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배추흰나비 한살이와 관련하여 초등 교사가 가지는 경험이 부족하였고, 이는 학교 현장에서 한살이 탐구 지도 시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배추흰나비 한살이와 관련하여 초등 교사의 지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애벌레의 모습과 완전탈바꿈 여부를 정확히 숙지한 교사는 많았으나 허물 벗기 및 령의 횟수를 아는 교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 지도 시 겪는 어려움은 단계별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우화, 탈피, 용화와 같은 주요 변화 순간을 포착하기 어렵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인 관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화의 순간이 주로 밤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오히려 교사와 학생들이 배추흰나비 한살이에서 주로 관찰하는 장면은 주요 변화의 순간이 아닌 섭식, 이동, 휴식과 같은 애벌레의 일상적인 행동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에서의 관찰 초점을 재고려할 필요가 있다. 타임랩스 분석 결과, 배추흰나비 애벌레는 섭식 전 이동, 섭식, 휴식 전 이동, 휴식의 행동 순서를 순환적으로 보이며 동일하거나 근접한 섭식 및 휴식 위치가 반복되었다. 행동별 시간 비율에 대해서는 령에 상관없이 휴식, 섭식, 섭식 전 이동, 휴식 전 이동 순으로 높았으며 휴식과 섭식 시간의 비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배추흰나비 애벌레의 4령기에 비해 5령기가 긴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배추흰나비 애벌레는 다음 령으로 탈피하기 전 섭식을 멈추고 장시간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휴식하였다. 탈피를 위한 휴식은 장시간 소요되는데 교사와 학생들이 포착하기 쉬우므로 애벌레의 령 구분 기준으로 제시하는 것을 제언한다. 배추흰나비 애벌레가 탈피를 위한 휴식 전 머리 방향을 바꿔가며 휴식 위치 근처에서 반복하여 움직이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탈피 직후 애벌레가 허물을 먹는 모습을 포착함으로써 애벌레의 성장을 위한 탈피 단계에서 허물을 관찰하기 어려웠던 이유로 허물 섭식을 추정할 수 있다.

      • 다국적기업의 입지선택과 지역별 산업집적도 : 대구·경북지역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정은지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when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choose their location for plant? Recent studies on multinational enterprise’s location emphasize competence-based view. For a long time many economists who study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had concentrated on firms’s proprietary asset such as technology, capabilities, skills and entrepreneurship. However, Hymer(1960), Bain(1956), Vernon(1966) could not explain how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survive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why they choose a specific region. Since the publication of Paul Krugman’s ‘Geography and Trade’(1991), the studies on multinational enterprises have developed in a comprehensive view. Recent multinational enterprise’s theoretical reviews consider macrofoundations such as space, distance and regional specifications. The New Economics Geography(NEG) explained location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by typ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other words, market- oriented firms choose their location in an urban area because of the market size and cost of transportation. On the other hand, efficiency-oriented firms choose their location in a sub urban area because they seek the efficiency of a global value chain. This study is an empirical assessment on NEG’s multinational enterprises theoretical review. The spatial scope of the empirical assessment is 31 Daegu and Kyungpook cities, counties and wards. This empirical assessment uses location quotient(LQ) for local industry agglomeration and develops the index called the local industry share for distribution of FDI. To sum up the empirical assessment: while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and automotive industry are located in urban, the other manufacturing industry are located in sub-urban in Daegu and Kyungpook.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empirical study on economic geography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when local government analyzes their local types of FDI and plans investment policy, policy-makers can utilize the local industry share index.

      • Mobile GCS를 활용한 고정밀도 드론 경계 복원 측량 방식 제안

        정은지 군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2012 to 2030, the government is reorganizing the land under the name of the cadastral re-investigation project.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of cadastral inconsistency and the problem of poor accuracy of cadastral information due to outdated techn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Due to the cadastral re-investigation project, as the Korean survey standard is changed to the GRS-80 ellipsoid used in the world geodetic system instead of the Bessel ellipsoid suitable fo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paper proposes a boundary restoration survey method using the world geodetic standard drone. The ‘drone photogrammetry’ method using the existing drone is a method of processing high-resolution image files taken with a drone and using the results in the form of orthographic images, DSM, and numerical maps for surveying. Since this method requires post-processing, the results cannot be viewed immediately, and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proper results cannot be obtained if there is a place covered by shadows. In addition, the electronic flat plate method used for existing boundary restoration surveys had problems due to pain and heavy surveying equipment. Considering these shortcomings, we built a Mobile GCS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one and performs surveying by clicking the mobile screen, and a survey drone that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GCS was produc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urvey drone, RTK GPS and a gimbal that controls the shaking of the laser that displays the boundary point coordinates were attached, and the effect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Accuracy was tested based on a public point located within Kunsan University (latitude: 35.9427195389, longitude: 126.680261950).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easurement values ​​is presumed to have occurred because the user did not measure the exact point indicated by the laser, or the user did not measure at the same height and tilted to either side. However, this is a value within an error of 8 cm officially recognized in cadastral surveying, and it is judged to be a sufficiently acceptable value.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the error range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seems to be controllable through stabilization of the aircraft. 정부에서는 2012년부터 2030년까지 지적재조사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국토를 재정비하고 있다. 지적불부합지 문제와 일제 강점기 시대의 낙후된 기술로 측량되어 지적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지적재조사 사업으로 우리나라 측량 기준이 일제에 적합한 Bessel 타원체가 아닌, 세계측지계에 사용되는 GRS-80 타원체로 변경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세계측지계 기준 드론을 이용한 경계복원 측량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드론을 이용한 ‘드론 사진측량’ 방식은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 파일들을 이미지 처리하여 정사 영상, DSM, 수치 지도 형태의 결과물을 측량에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후처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측량 즉시 결과를 볼 수 없으며, 그림자에 가리는 곳이 존재하면 제대로 된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경계복원 측량에 사용하는 전자평판 방식은 시통 문제와 무거운 측량 장비로 인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단점들을 고려하여 드론의 조종에 관한 제어를 담당하고 모바일 화면을 클릭하여 측량을 수행하는 Mobile GCS를 구축하고, Mobile GCS와 통신하는 측량용 드론을 제작하였다. 측량용 드론은 정확도 향상을 위해 RTK GPS와 경계점 좌표를 표시하는 레이저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짐벌을 부착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군산대학교 내에 위치한 공공점(위도:35.9427195389, 경도:126.680261950)을 기준으로 하여 정확도를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 평균 실측 오차값은 2.91cm, 실제 GPS 데이터와 공공점 좌표 간 평균 오차값은 1.45cm를 보였다. 이 두 측정값의 차이는 사용자가 레이저가 표시하는 정확한 지점을 측정하지 못하였거나, 측정 시 동일한 높이로 측정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는 지적측량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8cm 오차 이내의 값으로,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는 값으로 판단된다. 바람의 영향으로 오차범위가 커지는 현상은 기체의 안정화를 통해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20대 여성의 불안정 분투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내면화와 외모비교의 매개효과 : BMI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정은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른 나라들에 비해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마른 몸을 이상화하며 이상섭식행동에 이를 정도로 체중감소에 대한 치열한 노력을 하는 것은 한국의 경쟁적인 사회분위기의 영향을 떼어놓고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여성이 경험하는 경쟁에 대한 불안이 여성의 외모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불안정 분투가 이상섭식행동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내면화와 외모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BMI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29세 성인 초기 여성 2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통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후, BMI에 따른 다집단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여성의 불안정 분투는 이상섭식행동을 직·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20대 여성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내면화와 외모비교는 불안정 분투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다. 셋째, 20대 여성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내면화와 외모비교는 불안정 분투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넷째, BMI에 따라 20대 여성의 불안정 분투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 결과 20대 여성의 불안정 분투가 이상섭식행동을 직접 예측하면서도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내면화와 외모비교를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더 나아가 BMI 수준에 따라서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열등감 또는 거절을 피하기 위해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 신념인 불안정 분투를 통해 우리나라 20대 여성들의 불안이 어떠한 방식과 태도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20대 여성의 이상섭식행동 유발 과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이해를 제공하여 섭식 관련된 문제를 호소하는 여성들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Compared to other countries, young Korean women idealize thin-body images and strive to lose weight to the extent that can lead to disordered eating. This phenomenon cannot be explained without considering the impact of Korea's competitive social atmosphere.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identify how fear of inferiority experienced by adult women in their 20s affects women's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in the influence of insecure striving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is relationship according to BMI statu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67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adulthood aged 18 to 29.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models an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Mplus 7.0, and multi-group verification by BMI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ecure striving of women in their 20s significantly predicted disordered eating behavior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women in their 20s’s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aris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strivi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respectively. Third, women in their 20s’s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aris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strivi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strivi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 according to BMI.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secure striving positively predicts disordered eating behavior and indirectly predicts it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arison.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according to BMI level.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enables us to examine how women in their 20s’ anxiety are externalized or shown as attitudes through insecure striving.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inducing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women in their 20s, who have a high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is will be a great help to understand women complaining about eating-related problems in various ways.

      •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정은지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트는 명아주과에 속해있는 천연발색제 중 하나이며, 원산지는 동부 지중해 연안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비트는 betalain계 물질로 적색의 betacyanin과 황색의 betaxanthin으로 구성되어 있고(Ha SR, 2015), betacyanin은 산업적으로 적자색 컬러를 내는데 이용되어 왔으며 기능성 천연 식품소재로 토마토 페이스트나 소스, 디저트류, 잼, 젤리, 아이스크림, 캔디류, 시리얼 등의 색과 향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되어왔다(Grebben GJH & Denton OA 2004). 비트는 비타민 B1, B2, B3와 비타민 C 및 유기산, 옥살산, 포도산, 엽산, 카로티노이드, Fe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항산화 작용을 하며, 다당류인 galactans, pectin, asparagine, glutamine의 아미노산과 유기산, 올리고당 등의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Douglas & Macdougall, 2002), 섬유소 함량이 많아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의 탄력을 도와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고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에 효과가있다(Kim & Kim 2009). 젤리는 수분함량을 20% 내외로 함유한 당류 기호식품으로서,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펙틴젤리, 한천젤리, 젤라틴젤리 등으로 구분되며(Kim IC 1999), 첨가되는 겔화제에 따라 다양한 조직감이 나타날 수 있다. 펙틴, 한천젤리는 씹힘성은 있으나 잘 끊어지며, 젤라틴젤리는 펙틴젤리보다 씹힘성과 질감은 있으나 입안에서의 부드러움은 떨어진다(Lee TW 등 1991). 최근 기능성식품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젤리를 선호하는 추세에 있으며 기능성식품을 이용한 젤리에 관한 연구는 복분자분말(Yu OK 등 2008), 산수유 퓨레(Jeong JS 등 2017), 블랙커런트(Lee WG 2018)을 활용한 젤리 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비트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비트를 이용하여 젤리를 제조하였고, 품질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뮤지컬 교육의 전인적 효과에 대한 연구 : 청소년 교육을 중심으로

        정은지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Musical, the representative genre of composite art, has now developed into a pop culture for everyone, not just for a particular social class. It is the product of performing arts that include numerous contents and diverse genres, and it can be enjoyed by people of all ages and gender. Furthermore, musical has also shown a possibility of its various use in education, since more and more people are trying to find inspir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not by watching the performance alone. Therefore, musical education does not focus on training experts only, but also on showing its applicability in numerous forms, such as development of a human emotion and advancement of learning ability in terms of sociability and intellectual growth, as well as in self-development study. Such education is advisable for teenagers who are especially sensitive and are in need of development and self-improvement. Although it is true that sectorial professionalism is important to a human as a member of a modern society where wealth and power are accumulated around the industrial structure that is l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But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the basic attributes that make up the core part of human's rights to happiness is also needed. In other words, education in modern society should not aim on just passing on the knowledge, but also on fostering integrated human beings with emotional capacity. It should also focus on nurturing talented people who could make contributions to the society, lead organizations, and embrace and guide other social members, as well as on gaining personal fame and achieving economic success. Only when people grow in a balanced way in all aspects of life, such as knowledge, culture and art, they could live as people of true talents in a societ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on music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holistic effects of musical education on teenagers as followed. First of all, the artistic elements experienced through musical education develops the 'emotion' aspect among many attributes of human. It helps people to develop emotional, artistic, and creative capability.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developing emotions into elegant sentiment because people do not stop at feeling, analyzing experiences, and classifying emotions. Secondly, musical education bring changes to the students’ passive attitudes by providing voluntary and independent learning atmosphere, leading to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presenting vivid experiences. Furthermore, musical edu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ultimate potentials of teenagers within educational system and raising them into voluntary learners, and not promoting the intellectual growth only through cramm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studies showing tha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ncluding musicals affects the cognitive domain of brain functions. Thirdly, the musical, a typical performing arts based on cooperation work, has educational effects in terms of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and raising the communal spirit. This develops universal emotions that are required by a member of an organizational society and increases the empathic ability and sociability. Thus, it is safe to say that musical education can be easily incorporated as one of the curricula for the sociability development that aims to develop harmonious human beings. These educational effects are worth paying attention in terms of drawing out the true holistic effect on teenagers because such effects occur interactively, not individually or fragmentarily. I hope that there will be a more in-depth study on the direction and the formation of musical education of higher quality an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eaching methods for musical education which coincide with the well-rounded education, so we can provide musical education of a higher quality to the teenagers. 종합예술의 대표 장르라 할 수 있는 뮤지컬은 이제 특수 계층이 아닌 누구나 즐기는 대중문화로 자리 잡았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수많은 콘텐츠와 장르가 있는 공연예술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뮤지컬은 단지 공연 관람만이 아닌 직접 배우고 체험하는 것에서 더욱 큰 감흥과 만족을 찾고자 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교육에서도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내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뮤지컬 교육이 비단 전문 인력의 양성에만 치우치지 않고 인간의 감성 발달과 사회성, 지적 성장 의미에서 학습능력 향상, 자기계발학습 등의 형태로 활용 가능성을 내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은 특히 감수성이 예민하고 발달 및 계발이 필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형태로 교육 될 수 있다. 과학 기술의 급격한 발달이 주도하는 산업구조를 축으로 부와 권력을 축적하는 현대 사회 구조에서 하나의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에게는 분야별 전문성이 중요하겠지만, 그 인간 자체의 행복 추구 권리의 핵을 이루는 기본 소양에 대한 중요성도 요구되고 있다. 즉 현대 사회의 교육은 지식의 전달만이 아닌 감성적 수용능력을 고루 갖춘 통합적인 인간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은 개인의 명성과 경제적 성공뿐 아니라 사회에 공헌하고 조직을 이끌고 사회 구성원을 포용하며 리드 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는 것에 그 초점을 두어야 한다. 지식과 문화, 예술의 모든 면에서 고른 성장을 한 인간이 사회에서 진정한 인재로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을 학습함으로 나타나는 교육적 측면의 장점들에 대한 고찰과 뮤지컬 교육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뮤지컬 교육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전인적 효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뮤지컬 교육을 통해 경험하는 예술 요소들로 인하여 인간의 중요한 소양중 하나인 정서가 발달한다. 개인의 감성적, 미적, 창의적 역량을 계발하도록 도와주며 감정을 느끼고 경험으로 분석하고 분류하는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품격 있는 정서를 키워주는 감성적인 영역의 발달 효과가 있다. 둘째, 뮤지컬 교육은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학습 분위기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참여 유도와 생동감 있는 경험을 선사하여 학생들의 수동적인 태도에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뮤지컬을 포함한 문화예술교육이 인지적 영역을 담당하는 뇌 기능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교육 제도권 안에 있는 청소년들의 궁극적인 잠재성의 개발은 물론, 일방적으로 주입되는 지적 성장이 아닌 자발적 학습자로서 성장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협동 작업의 대표적 공연예술이라 할 수 있는 뮤지컬은 교육과정에서 소통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길러주는 등의 교육 효과가 있다. 이는 조직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보편적 정서가 발달하며 공감능력과 사회성이 성장하는 효과를 내어 조화로운 인간 발달을 지향하는 사회성 계발 교육과정의 하나로서 손색이 없다. 이러한 교육효과들은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에 상호작용하여 일어남으로써 청소년의 진정한 전인적 성장을 이끌어내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청소년들의 삶에 좀 더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뮤지컬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인교육적 측면에 부합하는 뮤지컬 교육의 전문적인 교수법이 더욱 적극적으로 고안되고, 양질의 교육 제공 방향, 그리고 형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