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NG인수기지에서 액화천연가스의 저온열원을 이용한 냉열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병진 전남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오염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해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사용의 비율을 높이는 과정에서 액화천연가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LNG 인수기지에서 액화천연가스의 송출과정에서 바다로 버려지는 냉열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에 냉열발전의 연구가 부정적으로 평가되어 이후에 LNG를 이용한 유기랭킨사이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나 이를 냉열발전으로 보고 LNG 인수기지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연구에서는 LNG 인수기지용 냉열발전으로 해수와 LNG를 이용하는 유기랭킨사이클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성능과 경제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냉열발전 시스템을 설계하고 LNG 인수기지의 해수온도를 반영했으며, PPA법을 이용하여 팽창기입구압력에 따른 시스템의 출력, 연간발전량, 냉열회수율을 확인하고 LMTD법을 이용하여 증발기와 응축기의 UA값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경제성평가를 위해 NPV를 이용하여 투자비 회수기간을 산출하였다. PPA법으로 해석한 결과, 정압운전이 변압운전보다 발전량은 감소하나 출력의 변동폭이 작았으며 LNG 인수기지마다 연간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팽창기입구압력을 도출하였다. 또한, 제시한 냉열효율로 평가한 냉열회수율부터 7~9%의 LNG 냉열을 전기로 회수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LMTD법으로 해석한 결과, 증발기와 응축기의 UA값이 증가함에 따라 냉열발전의 출력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경제성평가를 통해 냉열발전의 투자비 회수기간은 약 7년 정도이며, 냉열발전이 신재생에너지로 취급되면 REC를 통해 경제성이 증가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ue to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demand for liquefied natural gas is increasing to reduce the use for fossil fuels(oil and coal) and increase the ratio of clean energy. Research is underway to take advantage of the cold heat of liquefied natural gas that is lost into the sea during the LNG vaporization process in the LNG terminals. However, although research on organic Rankine cycle using LNG was mainly studied, it is regarded as a cold power generation, and studies to apply to LNG terminals are insufficient since studies of cold power generation were negatively assessed. This study proposes an organic Rankine cycle using seawater and LNG as a col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LNG terminals, and analyze its performance and economics. To this end, this paper designs a cold power generation system, reflected the seawater temperature at LNG terminals, and analyzes the net power, gross generations and ratio of cold heat recoveries of the system for the expander inlet pressure using PPA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UA values of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using LMTD method. The payback was calculated using NPV for economics 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by PPA method, the gross generations of CPO cycle were decreased than those of SPO cycle, but the fluctuations of net power were smaller. In addition, from the ratio of cold energy recovery estimated by the proposed cold thermal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7~9% of LNG cold energy can be recovered by electricity. As a result of analysis by LMTD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t power of cold power gener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UA value of evaporator and condenser. Through economics evaluation, the payback periods of cold power generation is about 7 years. If the cold energy of LNG is treated as renewable energy,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s may increase through REC.

      •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개선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병진 동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에서는 개별 보안시스템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유출에 대한 대응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보안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대용량의 로그 데이터로 인해 정보보안 담당자가 정확히 정보유출을 인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로그 데이터에 대한 판단은 정보보안 담당자의 개인역량에 의존한다. 효과적인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정보보안 담당자의 분석 업무 부하를 감소시켜야 하고, 정보유출 모니터링과 분석결과에 대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안 담당자가 효과적인 정보유출 감지와 분석결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개별 보안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대용량의 로그 데이터를 일자별, 개인별로 수치화하여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정보유출 징후 감지 시 악의적인 사용자에 대한 검사와 조치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Companies are responding to information leakage by building individual security systems and integrated monitoring systems. However, due to the large amount of log data generated by individual security systems, it is difficult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to accurately recognize information leakage. In th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the judgment of the log data depends on the personal competence of the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An effectiv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should reduce the work load of the analys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leakage monitoring and analysis res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log data so that the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can efficiently manage information leakage etection and analysis results. To do this, we study the method of transferring large log data generated by individual security systems to th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by digitizing by day and individual, and also studying malicious user's inspection and countermeasure method when detecting information leakage symptom.

      • 자연대류를 고려한 복합열전달의 수치해석

        전병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resent study, a variety of problems of conjugate heat transfer considering natural convection were analyzed. In chapter Ⅱ,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tudy on flow pattern in winter along connecting passageway of a composite building was conducted using a commercial CFD package. The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 coupled was solved by using SIMPLE algorithm in order to find steady solutions. It was shown that a upward flow is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in winter due to buoyancy effect and that the air inside connecting passageway flows form the shorter building to the taller one regardless of the slope of the passageway. Further,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air velocity inside connecting passageway increases, although the variation in the magnitude of fluid velocity is not substantial. Lastly, it was shown that the maximum air velocity inside connecting passageway is less than the allowable limit for all the cas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 chapter Ⅲ, a conjugate heat-transfer problem in indirect moxibustion was analyzed by solving the problem of unsteady convective heat transfer coupled with conductive heat transfer. The interaction of a combustion-heated paper disk of moxa with the body and surrounding fluid was revealed by examining the body's unsteady temperature distributions. From the grid- and time step-independent solutions to the present conjugate heat-transfer problem, the effective stimulation periods for four widths of paper disk, along with the depths of the effective stimulation zones, were obtained. Furthe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 stimulation zone becomes larger and lasts longer for the wider paper disks, whereas the depth of the effective stimulation zone is saturated beyond a certain size. Lastly, the streamline pattern and the history of the spatially averaged heat-transfer coefficient, which is related to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between the body and the surrounding fluid, were determined. In chapter Ⅳ, a conjugate heat transfer problem of heating disk was investigated by solving the steady convective heat transfer problem coupled with the conduction heat transfer. The interaction of the heating disk with the body and surrounding fluid was examined by solving the Pennes bioheat equation coupled with the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From the present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the effect of blood perfusion rate and temperature of heating disk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body was investigated. Lastly, the streamline pattern and the history of the spatially averaged heat-transfer coefficient, which is related to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between the body and the surrounding fluid, were determined. 본 연구에서는 자연대류를 고려한 복합 열전달의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선행 연구와 비교하고 정량적인 수치해석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Ⅱ장에서는 상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겨울철 복합 건축물 연결통로에서의 유동 형태에 대해 3차원 수치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상상태의 비압축성 유동장의 해석을 위한 알고리즘으로 SIMPLE을 사용하였다. buoyancy 효과에 의해 겨울철 건축물의 내부 유동은 위로 향하며, 연결통로의 경사에 상관없이 내부의 공기의 흐름은 낮은 건물에서 높은 건물로 형성된다. 유체의 속도 크기에 대한 변화는 적지만, 연결통로 내부 공기의 속도 크기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결통로 내부 공기의 최대 속도는 본 연구에서 고려된 모든 경우에 대해서 허용되는 제한 조건보다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전도와 대류가 결합된 비정상 복합 열전달 문제를 해석함으로써, 간접 뜸의 복합 열전달 문제를 해석하였다. 신체의 비정상 온도 분포를 조사하여 신체 위의 연소 중인 쑥뜸의 종이 디스크와 주변 유체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쑥뜸의 복합 열전달 문제에 대해 격자와 시간간격에 무관한 해로부터 유효 자극 범위의 깊이에 따라 4개의 종이 디스크 너비에 대한 유효 자극 기간을 얻었다. 추가적으로, 종이 디스크의 너비가 넓어질수록 유효 자극 범위가 커지고 지속시간이 길어지지만, 유효 자극 범위의 깊이는 특정 너비 이상에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체와 주변 유체사이의 대류 열전달과 관련된 유선 형태와 공간적으로 평균한 열전달 계수를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전도와 결합된 정상 대류 열전달을 해석하기 위해 가열된 디스크의 복합 열전달 문제를 해석하였다. 비압축성 Navier-Stokes가 결합된 Pennes bioheat 방정식을 사용하여 신체 위의 가열된 디스크와 주변 유체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문제의 복합 열전달 해석으로부터, 신체의 온도분포에 대한 혈액관류율과 디스크의 온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신체와 주변 유체사이의 대류 열전달과 관련된 유선 형태와 공간적으로 평균되어진 열전달 계수를 확인하였다.

      • 의료과오사건의 법률적 구성과 증명책임론

        전병진 원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헌법 제10조는 국민의 기본권의 하나로서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는 일환으로서 건강권을 포함한다. 현대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의료분야도 고도로 전문화되고 의료기술 또한 진보를 거듭하여 국민의 건강권을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건강에 대한 국민의 요구수준이 올라가고 보다 복잡하고 기술적인 진료행위가 이루어짐에 따라 의료과오의 발생가능성도 증가하였다. 의료과오로 인하여 개인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 손해배상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조정 또는 중재에도 실패하면 의료과오소송에 이르게 된다.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의 법적 구성방법으로는 불법행위와 채무불이행이 있다. 불법행위 책임적 법률구성에서는 의료행위에 있어 의사 측에게 불법행위의 귀책사유인 고의 또는 과실이 있다는 것, 불법행위와 손해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의 증명책임(burden of proof, Beweislast)은 환자 측에 있다. 반면, 계약(채무불이행)책임적 법률구성에서는 채무자인 피고(의사)가 진료채무의 이행을 증명할 책임을 진다. 그러나 의료채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과달성을 내용으로 하는 “결과채무”가 아니라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를 다하여 채무를 이행한다고 하는 “수단(배려)채무”이기 때문에 결국 의료채무의 불이행이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 채무불이행 중에서 객관적 주의의무를 위반한 불완전이행만이 문제된다. 따라서 환자 측이 의사의 의료과오 즉 객관적 주의의무위반을 증명해야 한다. 이렇듯 의료과오소송에서 의료과오의 청구원인을 불법행위로 구성하든 또는 채무불이행으로 구성하든 모두 원고인 환자가 증명책임의 부담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의료행위가 전문성, 밀실성과 자유재량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증거가 되는 의료정보 또한 의사 측에 편중되고 폐쇄되어 있으므로 일반인의 입장에서 의사의 과실여부, 인과관계에 대한 증명을 한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그러므로 피해자인 개인에게 일방적으로 증명책임을 부담시키는 것은 손해배상제도의 이상인 손해의 공평하고 타당한 부담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환자의 증명 책임을 완화하기 위하여 증명책임경감론, 증명책임전환론, 증명방해이론이 논의되고 있다. 우리 법원은 일응의 추정을 비롯한 증명책임경감론의 각 이론을 모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환자의 입장에서는 증명에 있어서의 문제가 만족할만하게 해결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보다 만족할만한 시도로 아예 입증책임을 전환시켜 버리는 증명책임의 전환의 입장이 독일 등에서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의사의 중대한 치료과오가 존재하고 이를 원인으로 손해가 발생하였다는 요건이 충족된다면 일정한 경우에 의료과오소송에서 인과관계에 관한 개연성고려와 공평한 손해분담의 측면을 근거로 하면서 판례에 의한 법원의 법형성작용을 통하여 의료과오소송의 증명책임전환을 인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증명방해론이란 증명책임을 부담하지 않는 당사자가 고의?과실에 의하여 증명책임을 부담하는 당사자의 증명을 현저히 곤란하게 하거나 불능케 한 경우에는 사실인정에 있어서 그와 같은 사정이 증명책임을 부담하는 당사자의 이익으로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의료과오소송의 특성을 감안하여 증명방해행위가 발생할 때에는 법관이 자유심증에 의하여 증명책임자의 주장을 진실로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더 나아가 예외적인 상황에서 상당한 개연성에 의하여 번복될 수 있는 증명책임전환을 동시에 인정하는 것이 공평타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환자측의 증명곤란에 대한 대책만 강조하다 보면 의사의 책임을 부당하게 확대하여 의사로 하여금 위축진료 내지 방어적 진료를 하게 만드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또한 당사자 간에 공평하게 증명책임을 분배하고자 하는 증명책임의 분배에 관한 기본이념을 근본적으로 훼손할 수 있다.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소송당사자인 의사와 환자 사이의 「무기평등의 원칙(Grundsatz der Waffengleichheit)」을 실현하기 위하여는 의사에게 부당한 피해가 생기지 않게 하는 범위에서 환자의 증명부담을 완화하여 손해배상청구가 용이하도록 하는 입법적 고려를 포함한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 Our Constitution Article 10, as one of the national basic rights, "all people have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hav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s defined. This, as part of realizing the dignity and worth as a human being, contains the right to live healthily. In modern times, depending on the dramatic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highly specialized in the medical field and the medical technology can also better realize the right to health of people through continual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However, the public demand levels for health has been raised and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medical malpractice has also been increased as medical treatment becomes more complex and technical. If an individual has damaged by medical malpractice, the problem of compensation for damages is issued. When the case also failed to adjust or arbitration does not reach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t leads to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In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legal constitu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in civil affairs is unlawful act and none-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According to the law configuration with burden of unlawful act in medical practice, patients are responsible for burden of proof (Beweislast) about doctors’ deliberate or negligence and about causality between unlawful act and patients’ damag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law configuration with the none-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defendant, a debtor (doctor) is responsible to prove the performance of medical debt. However, medical debt, except the special cases, is not "Results debt" which has to achieve the results but rather than is "means(Consideration) debt" that meets its obligations so none-fulfillment of Medical obligation actually only matters incomplete fulfillment within none-fulfillment of obligation. Therefore, the patient side must prove that doctors had medical malpractice that is the objective violations in duty of care. In this way, in the medical malpractice lawsuit, whether a claim cause of medical malpractice is constituted in unlawful-act or in un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the plaintiff's patient side becomes to have all the burden of proof. However, medical practice has properties of expertise, backroom and the free discretion. Also the evident medical information belongs to only doctors so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prove presence of doctor’s fault and causality. The ideal of liabilities of damages system is a fair and reasonable burden to all.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for patients victims to bear all the burden of proof. Therefore, in order to mitigate the burden of proof of the patient, theory of reduction burden of proof, theory of conversion burden of proof and the theory of proof interference are considered. Our court seems to apply all the theory of including Les ipsa loquitur(Things speak itself) but in the position of the patient, it is difficult to be satisfied with it. In an attempt to go more satisfactory, the position of the conversion of the burden of proof that would allowed to convert the burden of proof at all, has been developed in Germany. The conversion of the burden of proof 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robability on causality and aspects of equitable damages sharing. In our country, if there were big negligences of doctors treatment and satisfied condition that damage has occurred as a cause of this, it is necessary to permit to converse the burden of proof in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by legal formation based on action of the court by precedent. The theory of proof interference means that the plaintiff (the person to bear the burden of proof) has to get benefit in accepting asserted facts in case that the dependant(the other party of the parties to bear the burden of proof) make it significantly difficult or impossible to prove by intent or negligence. When a proof interference has occurred in Korea, it is considered that Judge can allow the claim of the plaintiff (the person to bear the burden of proof) to be true by the free impression of judge through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o be a fairly reasonable to admit to converse the burden of proof that can be overturned by a considerable probability in a more exceptional circumstances. However, when emphasizing only patients’ proving difficulty, doctors take unfairly enlarged responsibility. It can result in negative and defensive medical care of docto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damage the basic philosophy about the distribution of the burden of proof to try to fairly distribute the burden of proof between the parties. In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a "weapon equality principles (Grundsatz der Waffengleichheit)" has to be achieved between the doctors and patients. Therefore, within the range so as not to cause unfair damage to the doctor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proof that facilitates patients’ damages claims.

      •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요건과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전병진 창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to make out the clear and desirable map of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in Korea on the basis of school specialities. Though the system of school social worker was introduced in the advanced countries earlier, this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1993. And the system of school social worker has been settled down since 2000. However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are not clear and overlapped with those of counsellors or average teachers in school. Even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prescribed are too comprehensive to do all kinds of school roles. And in viewing of specialities of schooling, the existing qualifications of school social workers have to be reexamined.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general social workers in Korea. And we have examined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two works may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s. First, the qualifications of school social workers need to be prescribed more strictly in the light of school specialities. The followings may be the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qualifications: (ⅰ) the master degree of social welfare or social work, (ⅱ) the practice requirement of counseling or schooling, (ⅲ) the credit requirement of counseling, juvenile culture, adolescent development, etc. Second,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need to be prescribed more clearly and restrictedly because the prescriptio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re comprehensive enough to cover all the works of schooling. The following two may be the dominant roles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do their best to do: (ⅰ)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psychological or emotional problems, (ⅱ) the fitting economical supports.

      • Biodegradable porous microspheres with BMP-2 releasing nano-hydroxyapatit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전병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abrication of highly porous microspheres with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2-loaded surface-immobilized nano-hydroxyapatite (N-HAp) is formed for effective bone regeneration. The separate nano-phase of N-HAp on the pore surface of microspheres is accomplished using a surface-repellent stable colloidal N-HAp with surface phosphate anionic groups. The contents of immobilized N-HAp on the pore surface of microspheres are measured by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and the pronounced exposure of nano-level N-HAp is observed b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FE-SEM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support that immobilized N-HAp on surface of microspheres. BMP-2 is incorporated onto phosphate functionality of N-HAp surface and is controllably released from N-HAp immobilized microspheres for 1 month. The newly fabricated biodegradable porous microspheres with BMP-2 loaded N-HAp have osteoconductive function of N-HAp and osteoinductive role of BMP-2, which provide favorable environments for enhanced in vitro formation of bone tissue. Specific biomarkers of bone formation are confirmed by histochemistry and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oreover cell culture is performed by 3-dimensional rotary tissue culture system to effective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과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전병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lthough there have been a diversity of approaches to successful aging, they can fall into three categories: physical health, a personal psychological aspect and family and social relations. This paper takes a look at maintaining social activities, having positive interactions, acquiring social usefulness through voluntary service, and having harmonious relations with family and society. In order to lead a life with these elements well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allot life time to the four areas evenly and keep the balance. The existing studies in relation to this revealed that the balance between labor and leisure has a key importance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f an old person spends too much time on work, compared with time on leisure, or if it is the other way around, it causes occupational unbalance. The occupational unbalance worsens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like enough to cause harm or ill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balance of work through old people’s life time, verit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balanc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termining policies for old people’s health increase and public health. Since old people’s life time is social time, it is temporal quality that reveals a society’s important value system and that makes it possible to give a close-up view of mutual relations between important social activities and of the organizational forms. This social time bears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s’ work and can be classified into 4 kin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ime that is allotted to the human work. The first is a type of daily life: activities are conducted centering on daily life owing to narrow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The second is a type of excessive leisure: too much time is allotted to leisure. The third is a type of excessive work (labor): too much time is allotted to labor. The final is a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there is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each domain of the work. This paper uses these elements as dependent variables to find the causality that determine the type of work. This paper uses 2004 Life Time Survey by the Statistics Korea as the raw resource to classify the types of work done by old people and conduct a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types. This analysis, based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type of excessive leisure is more likely to be found in old people who are male, of older age and have religion and higher-education experience; it is less likely to be found in those who work on weekdays. Second, old people whose spouse work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 of excessive labor than the type of daily life, and this type is more likely to be found on weekdays; old people who are male and of older age are less likely to. Third, old people whose spouse works and who have religion, higher-education experience and works to do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those who are male and of older age are less likely to. The problem of old people, in an aging society, has become a nationally important issue. Recently, a variety of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posed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they have less practicality. This is because the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not on the basis of real life of old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fe-style redesign programs and policies on the basis of occupational balance.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이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3가지 차원으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는 물리적 건강상태이고, 둘째는 개인의 심리적인 측면이며, 셋째는 가족․사회적 관계 측면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활동을 유지하는 것, 타인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 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적 유용성을 획득하는 것, 원만한 가족 관계를 이루는 것에 대한 가족․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것들을 잘 유지하면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생활시간을 작업의 4영역에 골고루 배분하여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노동과 여가의 균형은 정신적 건강이나 신체적 건강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만약에 여가에 비해 일에만 과도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이거나 그 반대의 경우들은 작업적 불균형에 이르게 된다. 작업적 불균형에 이르게 되면 건강과 삶의 질적인 측면을 악화시켜 손상이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생활시간을 통한 작업균형을 확인하고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노인 건강증진이나 보건 의료적 정책을 결정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노인의 생활시간은 사회적 시간이기 때문에 그 사회의 중요한 가치체계를 드러내는 시간성이고 주요 사회활동의 상호관계와 조직 형태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사회적 시간은 인간의 작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각 인간 작업에 배분되어 있는 시간의 집중화 정도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사회적 참여와 관계가 협소하여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활동이 이루어지는 일상생활유형이다. 둘째는 작업의 시간이 여가에 과잉으로 배분되어 있는 여가과다유형이다. 셋째는 작업의 시간이 노동에 과잉으로 배분되어 있는 노동과다유형이다. 마지막 형태는 작업의 각 영역들이 적절하게 균형이 맞추어진 상태의 작업균형유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여 작업유형을 결정하는 인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통계청의 2004년 생활시간조사 원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의 작업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결정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는 남성이고 연령이 많고 종교가 있고 학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유형보다 여가과다유형의 생활시간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직업이 있고 요일이 주중일수록 그 가능성이 낮았다. 둘째는 배우자가 있고 직업이 있으며 요일이 주중일수록 일상생활유형보다 노동과다유형의 생활시간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남성이고 연령이 많을수록 그 가능성이 낮았다. 셋째는 배우자가 있고 종교가 있고 학력이 높고 직업이 있을수록 일상생활유형에 비해 작업균형유형의 생활시간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남성이고 연령이 많을수록 그 가능성이 낮았다.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문제는 국가 정책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최근에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노인의 실질적인 생활에 근거한 정책이 개발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균형에 근거를 둔 생애 재설계(Life-style Redesign) 프로그램과 실질적인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