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기업 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장수경 건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Beauty industry workers are emotional laborers who directly interact with customers. In addition, they are required to have elaborate skills because they touch and treat a customer’s body. Therefore, they suffer from considerable fatigue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Such burden makes beauty industry employees not happy with their lives, and frequent job turnover and low quality of service are found among these unhappy workers, which may hinder the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For this, this study performed a quantitative analysis against a total of 600 employees from ‘J Company’ in Seoul, Gyeonggi, Busan, Daejeon and Pohang for 1 month, starting August 28, 2017. Then, an in-depth interview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gainst 10 employees of ‘J Company’ for 2 weeks from March 16, 2018. After that,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nd cognitive and emotional happiness were investigated against the employees of cosmetology businesse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the sub-elem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In social support, while supervisory support and family support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resilience, peer support showed no effec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resil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happiness. Second, in terms of differences by resilie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high among those with a high job title or high income. In differences by emotional intelligence, self-emotion appraisal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two decades while others’ emotion appraisal was the highest among those aged 40 or over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1 year. In terms of differences by social support, supervisory support and peer support were the highest among those aged 40 or over, those whose employment period is less than 1 year, branch office managers and those with less than KRW 1 million of average monthly wages. In addition, cognitive and emotional happiness was the highest among those aged 40 or over, those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2 decades, presidents/vice presidents of the beauty salon and those with KRW 5 million or more of average monthly wages.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re as follows: all interviewees responded that resilience can improve self-satisfaction, self-fulfillment, job satisfaction &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as well as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happiness. This study investigated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and happiness in hairstyling industry workers and unveiled that resilience which helps them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effectively is crucial for th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gain mental stability. 뷰티산업 종사자들은 고객과 직접적으로 대면 및 접촉하는 감정노동자이자 고객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지극히 세심한 기술을 요하는 직업적 특성으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상당한 피로를 느낀다. 종사자들의 피로감은 그들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데 일조하며 행복하지 않은 종사자는 잦은 이직과 낮은 서비스 질을 보이므로 뷰티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접점에 있는 헤어기업 종사자들의 행복은 헤어기업 및 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부산, 대전, 포항에 있는 대표적인 헤어기업 ‘J기업’의 계열사 4곳에서 근무하는 종사자 6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28일부터 1달간 설문지법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을 하고, 동일 기업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16일부터 2주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여 헤어기업 종사자들의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쳐 그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복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능의 하위개념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 감성활용 등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개념 중 상사지지와 가족지지는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동료지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헤어기업 종사자들의 회복탄력성은 그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복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에 의한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오랫동안 일하고, 높은 직책에 있으며, 소득이 높은 종사자들이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에서의 차이는 근속기간 20년 이상 근무한 종사자들이 자기감성이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0세 이상 종사자들, 근속기 간 1년 미만인 종사자들이 타인감성이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40세 이상 종사자들, 근속기간 1년 미만인 종사자들, 지점장 및 부지점장, 월 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인 종사자들에서 상사지지와 동료지지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인지적, 정서적 행복의 차이는 40세 이상 종사자들, 기혼, 20년 이상 근무한 종사자들, 원장 및 부원장, 500만원 이상의 월 평균 소득을 보유한 종사자들에서 인지적, 정서적 행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층인터뷰를 통한 정성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여성 인턴들은 목표성취에 대한 욕구가 강해 스트레스 상황을 적절하게 관리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다른 직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복탄력성 수준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뷰를 한 20대 여성과 30대 남성 디자이너들은 현재 고객들을 직접적으로 상대하고 있어 스트레스 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회복탄력성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가족의 지지가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20대 실장, 30대 점장, 40대 부원장인 관리자 직책 종사자들은 새로운 변화에 도전적이고, 목표의식이 뚜렷하여 스트레스를 빠르게 대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40대 여성 및 남성, 그리고 50대 남성 원장 직책의 종사자들은 새로운 변화를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목표의식이 명확하며,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상당히 높은 수준의 회복탄력성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터뷰를 진행한 모든 헤어기업 종사자들은 회복탄력성이 그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복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자아만족, 자아성취, 직무만족 및 몰입, 조직몰입, 성과보상 등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헤어 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종사자들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기 위해서는 어려운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그들의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힘으로써 종사자 행복과 관련된 연구를 더욱 확장시키고 헤어기업의 보다 체계적인 인재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겠다.

      • 사서교사의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 실태와 발전방안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장수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librarians' discretionary teaching was appreciated and method for improvement were looked for. The study was achieved by references and questionnaire aimed at librarians who work in Daegu and Kyungbuk.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three problems in discretionary creative teaching of librarians; educational aspect, human resource aspect, facility aspect. First, Educational asp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difficulties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 encourage students' interest. Second, librarians could rarely have an opportunity to training for creative teaching because they felt it was burdensome. Third, there are not enough materials to support the librarian's discretionary teachings. Furthermore, there is unused space in the library that should be satisfied. From these results, I will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creative teaching, thereby achieving a higher sense of the term. First, we must obtain new teaching materials for creative class and a variety of new programs in order to grab the students' interest. Next, library training for creative teaching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Lastly, we need to obtain materials for librarian's discretionary teaching and establish an information system such as a CD-NET, an original text system, and bibliography information. To achieve this, support from the educations administration is necessary. 본 논문에서는 사서교사의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대구·경북지역에서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을 하는 사서교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의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은 교육적 측면, 인력적 측면, 시설적 측면과 같이 세가지 유형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교육적 측면으로는 다양한 수업 방법개발과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과 산만한 수업 분위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교사는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에 대해 부담을 많이 느끼고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과 관련된 연수를 거의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적 측면으로는 학교도서관에 구비된 자료들 중에 교사와 학생의 교수 학습에 참고가 되는 자료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도서관 내에 설치된 공간 운영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이 원활히 진행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을 알차게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에 대한 직무연수나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에 학생들이 다양하고 흥미있는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의 교수 학습에 참고가 되는 자료와 학교도서관에 구비된 자료가 충분히 배치될 수 있게 서지정보의 제공은 물론 CD-NET 시스템, 원문정보 시스템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학교측의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AHP를 활용한 사립대학교 운영리스크 분석 및 관리 방안 연구 : 중국 안휘성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장수경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my country’s private universities hav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Especially in recent years, under the guidance of the policy of "active encouragement, strong support, correct guidance, and strengthened management", my country’s private higher education has shown a good momentum of development. . However, we must be soberly aware that behind the rapid development of private universities in our country, there are also risks that cannot be ignored. Among these risks, there are currently five major risks that have a greater impact and are worthy of attention. They are policy and legal risks, management decision-making risks, financial risks, teaching quality risks, and market risks (including student source risks and employment risks). These five types of risks do not exist in isolation. They are intertwined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risk portfolio. One risk may affect another risk or occur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time, various risks are in constant movement and change. Once a small probability event occurs, it may cause huge losses to private universities, and even cause the school to close down or shut down. Compared with the operational risks of enterprises, the operational risks of private universitie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general risks, such as the objectivity, variability, uncertainty, duality, and potential of risks. However, as a non-profit higher education organization, private universities have mor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corporate risks, such as more serious harm, urgency, complexity, social sensitivity, and group nature. Unlike public universities, a private university is a self-financing, self-financing, self-sponsored customer (student source) supportiv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t presents the self-financing of school funding, the investment of running the school, and the quasi-marketization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autonomy in running a school and flexible school running mechanism. This completely different development path and special survival mode from public universities determines that private universities are more susceptible to greater operational risks in the process of running schools at this stage. Once the operation is poor, there may be insolvency and even forced to stop running schools. This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rrent upward trend in the number of closures of private universities in my country. This article combine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other research methods, from the two levels of theory and practice, to the current reality of the oper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in China, development models and strategies, and various types of Preliminary theoretical analysis and empirical description of risks. On this basis, using the AHP fuzzy evaluation method, the policy and legal risk, financial risk, management decision risk, teaching quality risk, and market risk are used as the main indicator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isk probability of 10 private universities in Anhui and propose solutions based on this. plan.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operational risks of Chinese private universities. Among them, the unscientific concept of running a school, irregular internal management, and unsmooth financing channels are the main internal causes: imperfect policies and laws, imperfect management system,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re the main external causes. Judging from the current practice of running private universities, whether operational risks can be effectively avoided and prevented, the key lies in the coordination of internal conditions and system elements of private universities. These internal condition systems include various aspects such as the choice of private universities' own value, the optimization of school resources, and the configuration of internal management systems. The degree of coordination and balance between these element systems is the foundation for private universities in our country to prevent and evade operational risks. As an urgent matter, private universities should do a good job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In terms of laws and regulations, private universities should not only play the macro-control function of government planning, play the function of policy and legal system, but also play the function of government supervision and service. In terms of financial risks, private universities must establish an effective financial risk prevention mechanism. In terms of management decision-making, private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scientific decision-making procedures and construct a "third-party"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teaching quality, private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scientific and reasonable evaluation index system, establish a complete salary and welfare system and a reasonable incentive mechanism. In terms of market, private universities should carry out word-of-mouth marketing, promote school-enterprise cooperation, and establish and improve social information feedback mechanisms.

      • 보육 교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수경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육서비스의 양적 성장과 함께 최근 보육서비스의 질 관리에 관한 논 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보육교사는 보육서비스를 전달하는 주체 인 동시에 보육서비스 대상인 영유아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육교사의 이직 및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업선택 동 기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보육교사의 내재적?외재적 직무만족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내재적?외재적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등을 분석하고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제2장은 보육교사 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 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 였다. 제3장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 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은 실증분석으로 보육교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5장은 결론 및 함의부분으로 연구결 과를 요약하고,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향상 및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정 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선택 동기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직업선택 동기 요인인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사회적 동기, 존경 동기, 자아실현 동기와 내재적 직무만족 간에는 모두 p<0.001 수준에서 유의미 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선택 동기 요인 중 자아실현 동기와 내재적 직무만족 간의 상관계수가 0.586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나타났으며, 안전 동기(r=0.335, p<0.001), 사회적 동기(r=0.303, p<0.001), 존경 동기(r=0.264, p<0.001), 경제적 동기 (r=0.206, p<0.001)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직업선택 동기 요인과 보육교사의 외재적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 계 분석결과, 내재적 직무만족과 동일하게 직업선택 동기 모든 요인과 외재적 직무만족과 p<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자아실현 동기와 외재 적 직무만족 간의 상관계수가 0.493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다음으로 안전 동기(r=0.368, p<0.001), 사회적 동 기(r=0.285, p<0.001), 경제적 동기(r=0.279, p<0.001), 존경 동기((r=0.227, p<0.001)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요인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 면, 직무만족 요인인 내재적 직무만족, 외재적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에 는 모두 p<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성을 가지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보육교사의 내재적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계수(r=-0.496)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외재적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계수(r=-0.464)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업선택 동기가 보육교사의 내재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그리고 자아 실현 동기가 보육교사의 내재적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자아실현 동기가 내재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1-1>, <가설 1-1-2>, <가설 1-1-5>는 채택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동 기 및 존경 동기와 보육교사의 내재적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동기, 존경 동기가 내재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1-3>과 <가설 1-1-4>는 기 각되었다. 다섯째, 직업선택 동기가 보육교사의 외재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존경 동기, 그리고 자아실현 동 기가 보육교사의 외재적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존경 동 기, 자아실현 동기가 외재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2-1>, <가설 1-2-2>, <가설 1-2-4>, <가설 1-2-5>는 채택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동기는 보육교사의 외재적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동기가 외재적 직무만 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2-3>은 기각되었다. 여섯째, 직업선택 동기가 보육교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존경 동기는 보육교사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존경 동기가 보육교사 이직의도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4>는 채택되었다. 자아실현 동기는 보육교사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자아실현 동기가 보육교사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5>는 채택되었다. 하지만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그 리고 사회적 동기는 보육교사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동기, 안전 동기, 사회적 동기가 보육 교사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1>, <가설 2-2>, <가설 2-3>은 기각되었다. 일곱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내 재적 직무만족과 외재적 직무만족 모두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내재적 직무만족, 외재적 직무만 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1>과 <가설 3-2>는 채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보육교사 자격 취득시 보육교사 적성 진단 시스템 마 련, 둘째, 보육교사 양성과정시 인성 및 적성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 발?운영, 셋째, 보수교육시 보육교사의 동기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넷째, 보육교사의 신분보장 강화 및 개선방안 모색, 다섯째, 보육교사가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 여섯째, 보육교사의 처우 및 보수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 With a great deal of quantitative growth in the Child Care Service area,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Service has been being discussed broadly. Considering that a Child Care Teacher is not only the subject of delivering the child care service but also the person playing a role in interacting directly with infants, who are the objects of the child care service,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ry to reduce their intention to quit their jobs and the actual turnover rate. Thus,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correla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and their job satisfaction with their intention of turnover. This study, specifically, tried to analyze how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affect their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how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also affect their intention of turnover, how their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has an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to quit their jobs, and how much influence they have onto each other. Then,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few implications in theory and policy.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5 chapters. The 1st chapter, which is a preface, introduces the purpose of the study as well as its range and method. The 2nd chapter consolidatively went over th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turnover their jobs and also reviewed the theoretical evidences supporting their correlatio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examination of preceding studies, the 3rd chapter set up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of the influence of the child care teachers’job choice motivation onto their intention of turnover as well as their job satisfaction while describing the methodology of measurement and analysis. The 4th chapter shows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hild care teachers’job choice motivation onto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turnover. The 5th chapter, which is for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summariz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nd also made a few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to improve the child 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and how the studies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For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please refer to th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the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such as motive of economy, safety, social, esteem, and self-realization, and their internal job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are 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m with p<0.001. Among the elements for their job choice motivation, particularly with the motive of self-actualization,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comparatively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0.586 as a correlation coefficient. Then, the rest of them follow in the order of motive of safety(r=0.335, p<0.001), social motive(r=0.303, p<0.001), motive of esteem(r=0.264, p<0.001), and motive of economy(r=0.206, p<0.001). Second,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hoice motivation and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by the child care teachers, I found out that all the elements related to job choice motivation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p<0.001. Among the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e of self-actualization and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shows 0.493 as a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is comparatively high. Then, the others followed in the order of motive of safety(r=0.368, p<0.001), social motive(r=0.285, p<0.001), economy(r=0.279, p<0.001), and esteem(r=0.227, p<0.001). Third, if we look into the 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related to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of turnover, there are all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s at the level of p<0.001 between their intention of turnover and their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child care teachers’ internal job satisfaction with the intention of turnover shows r=-0.496 and their external job satisfaction with the intention of turnover shows r=-0.464. Four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prove the influence of the job choice motivation onto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shows that motive of economy, safety, and self-actualization all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 care teachers’ internal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hypothesis#1-1-1>, <hypothesis#1-1-2>, and <hypothesis#1-1-5>, which were set up to support the idea that motive of economy, safety, and self-actualization would influence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were all accepted. However, it turned out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social motive and motive of esteem would affect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and <hypothesis#1-1-3> and <hypothesis#1-1-4>, which predicted that social and esteem motives would affect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were rejected. Fifth, the analysis done to find out whether the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has an influence on their external job satisfaction shows that their external job satisfaction get affected by motive of economy, safety, esteem, and self-actualization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Thus, <hypothesis#1-2-1> <hypothesis#1-2-2>, <hypothesis#1-2-4>, and <hypothesis#1-2-5>, which mentioned that motive of economy, safety, esteem, and self-actualization would affect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were all accepted. But, motive of sociality show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ild care teacher’s external job satisfaction, which leads to the rejection of <hypothesis#1-2-3> that predicted that motive of sociality would affect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Sixth, based on the analysis done for the influence of the child care teacher’s job choice motivation onto the intention of turnover, motive of respect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ntion of turnover and the <hypothesis#2-4>, which was set up to prove that motive of respect would influence the intention of turnover, was accepted. Also, <hypothesis#2-5>, which stated that motive of self-actualization would affect intention of turnover significantly, was accepted because motive of self-actualization was prov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However, motive of economy, esteem, and social motive all fail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hild care teacher’s intention of turnover and the hypotheses such as <hypothesis#2-1>, <hypothesis#2-2>, and <hypothesis#2-3> were all rejected. Seventh, the analysis made to prove the influence of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to the intention of turnover shows that both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to the intention of turnover and made <hypothesis#3-1>, and <hypothesis#3-2>, which stated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would affect the intention of turnover negatively, accepted. Based on all these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to examine the aptitude required for a child care teacher at the time of obtaining the certificate as a child care teacher. Second, educational programs for personality and aptitude need to be developed and run while training child care teachers. Third, a curriculum to improve the job motivation must be developed for the sess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continuing education. Fourth, we have to find out ways to secure and improve the child care teachers’ status more strongly. Fifth, we have to prepar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child care teachers so that they can dedicate themselves to the work itself. Sixth,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support for the child care teachers’ treatment and salaries.

      • 유기산 처리에 의한 메밀싹의 저장 효과

        장수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능성식품으로 연구된 메밀싹의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식품 저장 시에 많이 사용되는 유기산인 ascorb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기산용액과 염소수에 세척한 후 PE포장하여 5℃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0일, 2일, 4일, 6일)에 따라 미생물생육억제효과 및 품질변화(수분함량, 당도, 색도, 관능검사)를 살펴보았다. 1. 유기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의 미생물 검사 결과는 총균수와 대장균군수의 측정 결과 acetic acid 0.05%와 ascorbic acid 1%의 단독 및 병용 처리와 염소수 처리가 초기 미생물 균수 제어에 효과적이었고 저장 기간동안에도 다른 처리구에 비해 미생물 균수 제어에 효과적이었다. 모든 처리군이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생물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2. 유기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의 수분 함량은 초기 메밀싹에서 96.36%의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었고, 처리구별로 약간의 증감 변화가 있었다. 3. 유기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의 당도 변화는 저장 기간 동안 세척직후인 0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p<0.05) 초기치 대조구의 당도는 1.9 Brix%를 나타내었고, ascorbic acid 단독 처리구는 2.4 Brix%, citric acid 단독 처리구는 2.2 Brix%, ascorbic acid와 citric acid의 병용 처리구는 2.4 Brix%를 나타내어 ascorbic acid, citric acid 유기산이 일시적으로 시료의 당도를 증가시킴을 보여주었다. 4. 유기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의 색도 변화는 L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a값의 경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저장 기간 중 특히 citric acid 단독 처리구에서 a값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acetic acid 단독 처리구와 citric acid와 acetic acid 병용 처리구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비하여 ascorbic acid 단독 처리구의 색도 변화가 가장 적었다. 5. 유기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의 관능검사결과 저장 기간의 경과함에 따라 외관의 색깔(싹, 줄기, 뿌리), 시듦, 종합적 기호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ascorbic acid 단독 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citric acid 단독 처리구와 citric acid와 acetic acid의 병용처리구가 낮은 값을 나타내어 ascorbic acid 처리를 한 처리구가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 유기산 처리가 메밀싹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생물, 당도, 색도, 관능적 품질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ascorbic acid의 단독 및 병용 처리한 처리구의 저장 품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ascorbic acid처리가 메밀싹 저장에 좋은 처리물질로 생각되어진다.

      •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및 양육참여와 유아의 놀이성간의 관계

        장수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및 양육참여와 유아의 놀이성간의 경향과 관계를 분석하여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을 부각 시키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양육참여, 유아의 놀이성 경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양육참여, 유아의 놀이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지역의 만3~5세 유아를 둔 아버지와 그 유아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 부부공동양육을 알아보기 위해 Van Egeren과 Hawkins(2004)가 개발한‘Coparenting Scale'을 기초하여 Merrifield(2009)의 부부공동양육척도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박잎새(2011)가 번안했으며, 그 척도를 이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영환, 조복희, 이진숙(1999)의 아버지의 양육참여 하위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놀이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Liberman(1965)의 정의에 기초하여 Barnett(1991)이 제작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은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및 양육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f 검증(Anova)을 사용하였고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및 양육참여와 유아의 놀이성은 어떠한 관계가 나타나는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 성별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는데, 즉 남아가 여아보다 신체적 자발성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녀 연령에 따라 부부공동양육 전체 값과 지지적 부부공동양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만3세 유아와 만5세 유아들의 부모가 지지적 부부공동양육태도를 더 보였다. 셋째,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지지적 부부공동양육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아버지의 연령이 낮을수록 덜 지지적인 부부공동양육태도를 보였다. 넷째, 아버지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유아의 놀이성 전체와 즐거움의 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교 졸업이상에서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유아와 다양한 의사소통과 놀이참여로 친밀한 관계를 맺어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이 잘 나타나 보였다. 다섯째,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 비난적 부부공동양육과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판매, 서비스직의 아버지들이 가장 비난적인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국가공무원이 가장 덜 비난적이고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타나났습니다. 그러나 유아의 놀이성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섯째, 맞벌이 여부에 따른 차이는 자녀돌보기 및 지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맞벌이 일수록 오히려 미안함과 죄책감에 대한 보상으로 맞벌이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일곱째,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서는 유아의 놀이성 하위변인 즐거움의 표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가정월수입이 많을수록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 값이 높았다. 이 연구결과에서는 유아의 놀이성과 양육참여의 발달적 지지에서만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을 뿐 아버지의 부부공동양육 및 양육참여와 유아의 놀이성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들이 부부공동양육과 양육참여를 함으로써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로 보여지므로 이를 바탕으로 아버지의 지지적인 부부공동양육과 양육참여를 독려하여 자녀의 놀이성 발달을 가져오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효율적인 부모 교육프로그램 계획과 운영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highlighting father’s roles as a rearer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father’s co-parenting, childcare involvement and infant’s playfulness. Research issues of the study are same as follows. First, how father’s co-parenting, childcare involvement, and infant’s playful tendencies appears according to fat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cond, which relations are existed among father’s co-parenting, child care involvement, and infant’s playfulness? Regarding to research objects, this study selected fathers who had full 3~5-year-old infants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here the infants attended to. In order to look into father’s co-parenting, the study used the scale to which Park Ip-sae (2011) applied on revised and supplemented parent’s joint parenting of Merrifield (2009) based on ‘Coparenting Scale’ developed by Van Egeren and Hawkins (2004). For measuring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this study utilized sub-scales of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s by Lee Young-hwan, Cho Bok-hee, and Lee Jin-sook (1999), and used the applied edition by Yoo Ae-yeal (1994) on Children’s Playfulness Scale made by Barnett (1991) based on definitions of Liberman (1965). In relation with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the study analyzed the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Concerning research methods, the study used t-Test and Anova in order to investigate about tendencies of infant’s playfulness together with father’s coparenting and childcare involvement, and executed the moment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relations between father’s coparenting, childcare involvement and infant’s playfulness. In brief,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the physical spontaneity, sub-scopes of infant’s playful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 gender, that is, a fact could be known that boys displayed higher spontaneity than girl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from total values of coparenting and supportive coparenting according to children’s ages, and parents of full 3-year-old and 5-year-old infants showed supportive coparenting attitudes more. Third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played from the supportive coparenting according to father’s ages, and less supportive coparenting attitudes looked as much as father’s ages were low. Fourth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from total infant’s playfulness and expressions of pleasure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al degrees. As the highest average were come out from over university graduates, expressions of infant’s pleasure were displayed well because father made intimate relations with infants by various communication and play involvements as much as the father’s scholarship was high. Fifth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from critical coparenting and activities along with children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s. Fathers having sales and service jobs showed the most critical average scores, and state officials put themselves forward to activities along with children positively while being less critical.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ce in the infant’s playfulness. Sixthly, significant results were come out from childcare and instructions in relation with differences according to existence of double-income. This meant that childcare attitudes of double-income parents were affectionate because they rather felt sorry to their children and wanted to compensate for the sense of guilty. Seventhly, significant results came out from expressions of pleasure as sub-variables of infant’s playfulness according to household’s incomes. Expression values of pleasure were high as much as monthly incomes of households were large. In this research result, nega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from infant’s playfulness and developmental supports of childcare involvements, but there were not relations between father’s coparenting, childcare involvement and infant’s playfulness. Also, fathers did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such like participating in coparenting and childcare involvement affected to infant’s playfulness resultantly, so this study could provide a fundamental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operating effective parent educational programs that were able to attract positive participations and interests so as to bring playful developments of children by encouraging father’s supportive coparenting and childcare involvements accordingly.

      • 식용꽃 이용동기에 따른 활용가치가 음식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장수경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식용꽃 이용동기에 따른 활용가치가 음식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외식업 종사자와 외식 관련 학과 재학생 또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150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신받아 통계분석을 하였다. 식용꽃 이용동기는 웰빙 이용동기, 기호 이용동기, 편의 이용동기의 3가지 요인으로, 활용가치는 유용적, 정서적 2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식용꽃 이용동기가 활용가치 및 음식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가설을 설정하였다. 기본 가설 검증 결과, 웰빙 이용동기와 편의 이용동기는 유용적 활용가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웰빙 이용동기, 기호 이용동기, 편의 이용동기는 정서적 활용가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용적 활용가치, 정서적 활용가치 모두 음식효율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웰빙 이용동기와 음식효율성 간에 유용적 활용가치의 매개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 이용동기와 유용적 음식 효율성 간에 유용적 활용가치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웰빙 이용동기, 기호 이용동기, 편의 이용동기와 음식효율성 간에 정서적 활용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용꽃 이용동기와 활용가치, 음식효율성 관계에서 월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월 소득이 높을수록 편의 이용동기는 유용적 활용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월 소득 300만원 미만의 경우 웰빙 이용동기는 유용적, 정서적 활용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활용가치는 음식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월 소득 300만 원 이상의 경우에는 웰빙, 편의 이용동기는 유용적 활용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웰빙, 기호, 편의 이용동기 모두는 정서적 활용가치에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용적, 정서적 활용가치 모두 음식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용적이며 효용성이 높은 식용꽃의 활용가치의 연구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소비양상에 맞춘 정서적이고 감성적인 활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식용꽃 연구의 필요성 인식과 식용꽃 이용 주체자에게 실질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음식효율성 증대와 더불어 식용꽃을 이용한 메뉴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understand how motivation for using edible flowers influences the flowers’ values, and in turn food efficiency,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d 150 valid survey responses from Koreans who work in the restaurant industry, or have graduated with, or are studying, relevant majors. The motivations for using edible flowers were classified into well-being, personal preference, and convenience, and the values of edible flowers were classified into utilitarian and emotional values. The hypothesis was propos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motivations on the flowers’ values and food efficiency.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dicated that well-being and convenience motiva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utilitarian value, and that well-being, personal preference, and convenience motiva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emotional value. Furthermore, both the utilitarian and emotional value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food efficiency. On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 of the flowers’ values, it was found that the utilitarian value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well-being motivation and food efficiency, and between convenience motivation and food efficiency. Furthermore, the emotional valu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well-being, personal preference, and convenience motivations and food efficiency. When the moderator effect of monthly inco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value, and food efficiency was investigated, a higher monthly income was observed to lead to a larger effect of convenience motivation on utilitarian value. For those with monthly incomes below 3 million won, well-being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utilitarian and emotional values, and the emotional value influenced food efficiency. For those with monthly incomes of or above 3 million won, well-being and convenience motiv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utilitarian value, while all three types of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motional value. Furthermore, both the utilitarian and emotional values significantly influenced foo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values of edible flowers with high utility and practical use, and emotion-based uses of edible flowers that suit modern consumption patterns sh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food efficiency and serve as the basis for developing dishes that utilize edible flowers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edible flowers and providing users of the flowers with practical data.

      • 기존 및 대체 과불화화합물의 제브라피쉬 시각독성평가

        장수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불화화합물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은 내수성, 내유성, 내화학성과 같은 뛰어난 물성으로 인해 1950년대부터 다양한 산업계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매우 넓은 범위의 건강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는 물질이다. 이에 과불화옥탄술폰산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PFOS) 그리고 과불화옥탄산 (Perfluorooctanoic acid, PFOA)과 같은 기존 과불화화합물은 강력히 규제되었고, 과불화부탄술폰산 (Perfluorobutanesulfonic acid, PFBS) 그리고 과불화부탄산 (Perfluorobutyric acid, PFBA)과 같은 유사 구조의 과불화화합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기존 및 대체 과불화화합물 모두 환경 중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대체물질 사용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최근 한 역학 연구를 통해 사람의 혈액 중 과불화화합물 농도와 안구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실험적 근거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해 기존 및 대체 과불화화합물의 노출에 따른 시각독성학적 영향을 평가해 보았다. 기존 과불화화합물 PFOS 그리고 PFOA와 대체 과불화화합물 PFBS 그리고 PFBA 1, 10, 100, 1000 μg/L를 제브라피쉬 배아에 5 일간 노출시킨 뒤 phototactic behavior assay와 C-OMR assay를 통해 시각 행동 반응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과불화화합물 노출로 인한 시각 기능 손상의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시각 시스템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Phototactic behavior assay 수행 결과, PFOS 10, 100, 1000 μg/L 그리고 PFOA 100 mg/L에 노출된 제브라피쉬 치어에서 빛 자극에 대한 행동성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PFBS와 PFBA 노출은 시각 행동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OMR assay 수행 결과, PFOS 1000 μg/L 노출에 의해 제브라피쉬 치어의 시각적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유전자 발현량 분석을 통해 1000 μg/L PFOS 노출에 의한 crx, cnga1b, arr3b와 같은 광수용체 및 광변환 과정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과불화화합물 노출이 광수용체 자체의 변성이나 광변환 과정 그리고 Ca2+ 흐름에 손상을 유발하여 시각 매개 행동 저해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및 대체 과불화화합물의 시각독성 유발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제브라피쉬 모델이 시각 기능 및 독성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since the 1950s and have the potential for inducing a broad range of adverse health effects. Thereafter, legacy PFAS (i.e. PFOS and PFOA) were strongly regulated and replaced with short-chained alternative PFAS (i.e. PFBS and PFBA), but both have been detected in environmental matrices and the safety of these alternatives is unknown. In particular, although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FAS exposure and eye diseases in human have been reported recently, the experimental evidence to support them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zebrafish embryos were exposed to legacy and alternative PFAS at concentrations of 1, 10, 100 and 1000 μg/L to evaluate ocular toxicity. After 5 days of exposure, phototactic behavior assay and C-OMR assay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n visual behavior. Changes in gene expression were also investigated to consider the mechanism of visual impairment caused by PFAS exposure. Results of the phototactic behavior assay showed that there was 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esponse to light stimulation in PFOS-exposed groups at 10, 100 and 1000 μg/L. In the PFOA exposure groups, a reduction was detected at 100 mg/L, whereas exposure to PFBS and PFBA showed no effect on phototactic behavior. The C-OMR assay revealed that PFOS exposure induced significant decrease in optomotor responses at 1000 μg/L. In addition, PFOS affected gene expression related to visual systems such as crx, cnga1b, and arr3b at 1000 μg/L. Collectively, PFAS can lead to photoreceptor degeneration, disruption of the phototransduction pathway and abnormal Ca2+ current accompanied by impairment of visually-mediated behavior. Based on our findings, PFOS is highly potent for ocular toxicity, followed by PFOA. We confirmed that ocular toxicity could be induced by PFAS exposure experimentally, and demonstrated that zebrafish are an applicable model to carry out toxicological research of visual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