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간에 의해 소모되어 원형을 잃어가는 사물의 회화적 표현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임지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explains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work based on my experience of moving my attention to objects and landscapes in the everyday life and expresses minds about the object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work. As expression techniques, permeating, overlapping and moving of the brush are used to express the texture and to organize the delivery effects of the part of my focus. Time is clearly not something that can be seen by the eyes. Therefore, we recognize time with objective index such as date and time and it is changed and becomes extinct by flow and we can feel the resulting product distorted by physical force. In the <<Flowing and Stagnant Water>> series, focus is made on the subjects which change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oneself is linked to the subject and the time is the resulting product which recognizes internal time. In this thesis, the backgrounds for capturing such subjects and the method and process of transferring them to painting are stated. In the work, the green candle which is easily burned by fire, the teddy bear which is kept from childhood, the tangerine which are rotten and pressed due to long neglect, the neon sign of barbeque restaurant which has the form of pig family, the slippery soap, the balloon which lost half of its air and the flower (lily magnolia), etc. are subjects and observed for their changes and a pictorial approach was attempted. These are subjects which could be seen anywhere in the ordinary live. Be placing these subjects i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heart rendering and regrettable emotions which are felt from the subjects are calmly expressed. As techniques of expression, after taking photos of the subjects using the cropping method, they are expanded, and pictorial work is done. While they are transferred through pictorial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omitting elements which are thought to be unnecessary, contrasts of colors were made, subjects were emphasized through expansion, omission and contrasts of colors and paints and pigments with high chroma were used on cloth. Depending on the texture of the subjects, by differing the amount of water and brush movements, sensual characteristics felt from the subjects were visually expressed. Also, by listing subjects having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at they are objects which are expended and become extinct by time is emphasized. 이 논문은 본인의 일상에서 사물과 풍경에 시선을 옮기게 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작업의 제작배경을 설명하고, 작업의 소재가 되는 사물에 대한 심상을 표현한다. 표현기법으로는 스밈과 중첩, 붓의 움직임을 통해 재질감 표현과 본인이 강조하는 부분의 전달 효과를 정리하면서 서술한다. 시간은 눈앞에 분명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일시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로 시간을 인식하며, 흐름에 의해 변질되고 소멸하며, 물리적인 힘으로 왜곡되는 결과물로 우리는 시간을 느낄 수 있다. 《흐르는, 고인 물》 연작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에 주목하여 본인과 대상을 결부시키고 내적 시간을 인식하는 결과물이다. 이 논문에서 이러한 대상들을 포착하게 된 계기와 회화로 옮기는 방식과 과정을 서술한다. 작업에는 불에 쉽게 녹아 들어가는 초록색 향초, 어린 시절부터 간직 하고 있는 곰 인형, 오랜 기간 방치하여 썩어 눌러버린 귤, 돼지 가족을 형상하고 있는 고깃집의 네온사인, 미끈거리는 비누, 절반쯤 공기가 빠져있는 풍선, 꽃(자목련) 등을 소재로 하여 변화상태를 관찰하고 회화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너무나 당연하게 일상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대상들이다. 이러한 대상들을 화면의 정중앙에 배치함으로써 대상에게서 느꼈던 애달픔과 안타까움 등의 감정을 담담하게 표현한다. 표현방식에서는, 대상을 크롭핑(Cropping)방식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한 후, 이를 대상을 확대하여 회화작업으로 진행한다. 회화작업으로 옮기면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를 생략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의 대비가 만들어지며, 확대와 생략, 색채의 대비를 통해 대상을 강조하며, 천 위에 채도가 높은 물감과 안료를 사용한다. 대상의 질감에 따라 물의 양과 붓의 움직임을 달리함으로써, 대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적인 특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변형이라는 성질을 가진 대상들을 나열함으로써 시간에 의해 소모되고 소멸하는 사물임을 강조한다.

      • 에이미 텐의 『조이럭 클럽』에 나타난 모녀관계 연구

        임지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변화가능하고 역동적인 중국계 미국 여성의 정체성의 출현에 초점을 맞추어 에이미 텐의 『조이럭 클럽』(1989)에 나타난 모녀관계를 검토한다. 징메이는 어머니가 주신 옥목걸이의 변화무쌍한 특성에서 오는 메시지를 깨닫고 두 문화권에 걸친 어머니의 유산인 조이럭 클럽에 가입함으로써 어머니의 꿈을 이해하게 된다. 웨이벌리는 그녀의 " 교묘하면서도 영리한 " “tricky”라는 특질이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았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자신의 "이중적으로 보이는 얼굴"에서 획득가능한 정체성이 백인들의 중국계 미국인들에 대한 문화적 고정 관념을 깨뜨릴 수 있음을 제시한다. 한편으로 로즈는 어머니의 도움으로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고 남편과의 문제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마지막으로 리나는 가부장적인 성 고정 관념을 거부하는 어머니의 "호랑이 정신"을 포용한다. 『조이럭 클럽』에서, 어머니들은 고통스러운 과거를 기억하고 딸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딸들에게 그들만의 정체성을 창조하는 일을 장려함으로써 역동적인 정체성의 창조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in Amy Tan's The Joy Luck Club(1989),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changeable and dynamic Chinese American female identities. Jing-mei comes to understand her mother's dream for her by realizing the changeable nature of the jade necklace and joining Joy Luck Club both of which are the mother's legacies ranging across two cultures. Wayverly suggests that her "two-faced" identity disrupts cultural stereotypes of Chinese Americans, discovering that her "tricky" identity has been handed down from her mother. On the other hand, Rose come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peaking out with the help of her mother. Finally, Lena embraces her mother's "tiger spirit" that defies patriarchal gender stereotypes. In The Joy Luck Club, the mothers facilitate the daughters' inventions of dynamic identity by remembering the painful past, sharing their stories, and entrusting the daughters with the task to create their own identities.

      • 경찰수사관의 증거유형별 신뢰도에 관한 실증연구 : 수사 오류 원인 중심으로

        임지현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검찰에게 집중된 권력을 분산시키고자 하는 국민의 열망이 높은 가운데 공정하고 엄정한 경찰 수사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심으로 무죄가 선고된 사건에서 경찰 수사에 대한 비판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오류의 원인을 제도적 관점에서 찾는 데 그치고 있다. 국내·외에서 판사, 검사, 배심원의 내적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가 이미 진행된 것에 비해 경찰 단계의 수사에 관한 연구는 적법한 수사절차와 수사제도, 수사기법에 한정되어 온 것이다. 이에 따라 경찰 수사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원인으로 예단수사를 방지하기 위해 예단을 유도하는 수사관의 직감과 속단을 유도하는 정황증거, 증거유형별 편향성 등에 관한 실증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경찰수사관은 수집된 증거를 분석하여 수사 방향을 설정하고 추가로 증거를 수집하며 추론을 거쳐 사건을 재구성한다. 따라서 증거에 대한 맹목적이거나 주관적 인식이 추론과 판단에 영향을 미쳐 오류를 무시하거나 증명력을 주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력은 경찰 수사단계의 오류뿐만이 아니라 검찰의 수사를 거쳐 재판까지 미치게 된다. 경찰 수사단계에서 수집된 증거가 객관적이고 편견 없이 평가되기 위해서 먼저 증거의 일반적인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를 선행하고 이로 인한 문제점과 보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오판의 원인으로 꼽히는 목격자 오인식별, 허위자백, 법과학 증거의 오류를 수사절차에서 경찰수사관이 접하는 진술증거(목격자 진술, 용의자의 허위자백), 법과학증거(DNA, 지문, 미세증거)로 분류하였고 심리증거(범죄자 프로파일링, 거짓말탐지기)를 추가하여 유형화해서 위 증거들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연구목적은 첫째, 증거 유형에 따른 경찰수사관의 일반적인 신뢰도를 알아보고, 둘째, 이러한 신뢰도가 수사예단, 즉 유·무죄에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본 후에 셋째,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증거의 맹점 제시가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경찰수사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은 선행연구의 시나리오를 재구성하여 설문을 구성하여 증거의 신뢰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비교 편의상 평균으로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신뢰도는 빈도분석과 평균을 그래프로 비교하였고,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신뢰도와 유·무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증거별 맹점의 제시 후 신뢰도의 변화 여부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찰수사관은 DNA, 지문, 용의자 자백, 미세증거, 목격자 진술, 거짓말탐지기, 범죄자프로파일링 순으로 신뢰하고 있었다. 둘째, 각 증거별 신뢰도는 유·무죄 판단에 주로 영향을 미쳐 신뢰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유죄로 판단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각 증거의 맹점을 제시했을 때 신뢰도는 하락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표본의 한계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경찰수사관을 대상으로 증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인식이 수사예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증거의 맹점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blic is eager to decentralize power concentrated in the prosecution by adjusting the investigative powers of the prosecution and police. So, expectations are also rising for a fair and strict police investigation. However, despite growing criticism of the police investigation in a recent case where a retrial was acquitted, it has stopped short of finding the cause of the error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While research on the internal decision-making process of judges, prosecutors and jurors has already been conducted , the police investigation has been limited to legitimate investigation procedures, investigation systems and investigative techniqu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mpirical research on the intuition of investigators leading to foresight, circumstantial evidence leading to rapid judgment, and bias by type of evidence to prevent any errors occurring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stage. Police investigators analyze the collected evidence to set the direction of the investigation, collect additional evidence, and reconstruct the case after inference. Thus, a blind or subjective perception of evidence may affect reasoning and judgment, thus ignoring errors or interpreting evidence as subjective. Such influence will not only lead to errors in the police investigation stage but also lead to a trial. In order for the evidence gathered at the police investigation stage to be objective and unbiased, I would like to present a study of general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evidence, and to present the problems and ways to supplement them. Mistaken Witness ID, false confession, and errors in forensic science evidence,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misjudgment, were classified as statement evidence (witness statement, suspect's false confession), forensic science evidence (DNA, fingerprint, micro-evidence) that police investigators encounter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psycho-evidence (criminal profiling, lie detector) were added to evaluate the evidence based on the abo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general confidence of police investiga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evidence, and second, to see if such confidence affects investigation prediction, (i.e. guilt, and not guilt), to make up for it, whether presenting weakness of each evidence works. The study consisted of a literature study and a survey of police investigators. The questionnaire was reconstructed from the scenario of the preceding study and constructed the survey to measure the confidence of the evidence on a 5-point scale and to use the average for comparison convenience. The general confidence was compar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means by grap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and a verdict (i.e. guilt, and not guilt) by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change in confidence after presentation of weakness by evidence was analyzed by the paired sample t-test. Analysis, first, the police investigators believed in DNA, fingerprints, confessions of suspects, micro-evidence, witness statement, lie detectors and criminal profiling. Second, the confidence of each evidence mainly affected the judgment of the guilty and the more reliable, the more likely it was to be judged guilty. Third, when presenting the weakness for each evidence, the reliability was reduc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ample.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police investigators are asked to look into general perceptions of evidence and suggest that such perceptions can affect investigation predictions and that they need to recognize the weakness of evidence to compensate for it.

      •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이 우울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임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학업적응, 또래관계, 교사관계) 발달양상과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의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2차~6차 년도(초5~중3)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본 연구목적에 맞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의 검증을 통해 선형변화모형이 자료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우울, 또래관계, 교사관계는 증가하고, 학업적응과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이 우울과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본 결과, 우울과 또래관계는 모든 시점에서 동시 및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적응의 경우, 중학교 3학년 시점의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점의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른 학년에서는 동시효과가 나타났다. 지연효과는 초등학교 5학년 시점의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은 초등학교 6학년 시점의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른 시점에서는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교사관계의 경우, 중학교 3학년 시점의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점의 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른 학년에서는 동시효과가 나타났다. 지연효과는 중학교 2학년 시점의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점의 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른 시점에서는 지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우울, 학업적응, 또래관계, 교사관계,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도 유의하게 변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이 당해(동시효과) 뿐만 아니라 그다음 해(지연효과)의 우울과 학업적응, 또래관계, 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다문화 청소년이 아닌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울, 학업적응,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변화에 미치는 시간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과 다문화 청소년의 교사관계 발달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 다문화청소년의 적응을 위한 개입 시기를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to examine the current effect and lag effect of peer victimization on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udy used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data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from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9th grade (3rd grade in middle school).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e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LGM) are as follows; first, linear models were found to be more suitable than non-linear models. It means that depression,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creased and academic adjustment and peer victimization decreased from childhood to adolescents. Second, de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current effect and lag effect at all times. The peer victimization in 5th grade to 8th grade reduced the academic adjustment at that time. And the lag effect was shown in 6th grade to 8th grade. The peer victimization in 5th grade to 8th grade reduce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t that time. And the lag effect was shown only in the 8th grade. The study confirms that depression, academic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victimization significantly changed as increasing age. And it confirms the current effect and lag effect of peer victimization on depression, academic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time effect of peer victimization on depression, academic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lso the study has found out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these results, I suggest the timing of intervention for the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eer victimization.

      • 창의적 손바느질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임지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1세기 교육목적인 ‘지식의 창의적 선택과 활용’을 실현하는 문화예술교육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창의적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주입식 교육과정에 있는 아이들에게 손바느질을 활용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예술교육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학생들의 수준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손바느질을 통해 직접 체험하는 활동 중심으로 주제와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는 ‘지구를 생각하는 커피콩 캐릭터 만들기’, ‘볼록볼록 우리 동네 지도 만들기’, ‘한 땀 한 땀 메모판 만들기’이었다. 각 주제별로 창의성의 요소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각 주제별로 문제점이나 주제에 대해 인식하고, 문제점이나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준비 및 발상→방법 구상 및 시각화→손작업 및 표현→적용→감상 및 평가로 실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각 주제별로 아이디어 구상 및 손바느질 실습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주제에 대해 10차시, 8차시, 4차시로 계획하여 총22차시를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전후 창의적 손바느질에 대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중 관찰한 내용과 수업 결과물, 수업 관련 활동지 작성 내용, 수업 태도를 통하여 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각의 변화와 창의성의 변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손바느질을 활용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창의성이 수업 전에 비해 수업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창의성 요소별로 보면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남녀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손바느질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관찰 결과에 의해서도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학습 인성 과정을 통해 손바느질 작품을 구상하고 만드는 동안 창의성 요소인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각 주제별 학생들의 활동지 작성 내용과 수업 태도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성, 협동성, 인권의식이 나타났고,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 연구에서 개발한 손바느질을 적용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는 창의적인 교육이면서, 전통적 손바느질을 문화예술교육에 접목시킨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한국 성인의 식이 필수아미노산 섭취 수준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임지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30세 이상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RNI을 이용하여 필수아미노산의 충족 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점수화하여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급원 식품에 따른 필수아미노산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필수아미노산의 RNI 충족 수준에 따른 대상자들의 특성 9종의 필수아미노산 중 메티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의 섭취가 RNI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식이 필수아미노산의 RNI 충족 수준이 높을수록 영양소 중 탄수화물의 섭취가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 중 중성지방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낮아지는 선형성을 보였다. 2. 필수아미노산 섭취 수준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연령, 성별, 음주 섭취, 흡연 상태, 교육 수준, 가구소득 수준, 체질량지수, 신체활동 수준, 그리고 총 에너지 섭취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체 필수아미노산의 섭취가 RNI에 도달할 때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필수아미노산 섭취 수준과 대사증후군의 위험 인자인 고혈압과 고중성지방혈증 간의 연관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3. 급원 식품 별 필수아미노산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필수아미노산 섭취 주요 급원 식품을 살펴본 결과, 라이신을 제외한 8종의 필수아미노산을 주로 곡류 및 곡류 식품으로 섭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물성 식품과 비동물성 식품으로 나누어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확인해본 결과, 동물성 급원으로부터 섭취하는 필수아미노산이 많을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으나, 비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필수아미노산과 대사증후군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동물성 급원 식품 중 특히 육류로부터 섭취하는 필수아미노산이 많을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식이 필수아미노산의 섭취가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든 필수아미노산을 RNI에 도달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섭취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비동물성 식품보다는 동물성 식품으로 필수아미노산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국내 대규모 역학 자료와 연결된 아미노산 데이터베이스의 미비로 식이 필수아미노산과 대사증후군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에 있어 필수아미노산 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과학적 기초 근거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추후 식이 필수아미노산의 적정 섭취 수준 및 급원 식품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있어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 및 임상시험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각된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임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Deci와 Ryan(1986, 2000)의 자기 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입각하여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생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가 학생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인인지 알아보고, 학생의 자기 조절 동기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업 성취를 매개하는 효과를 가지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 것이다. 둘째,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 것이다. 셋째,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생의 학업 성취를 매개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5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Grolnick, Ryan & Deci (1991)가 개발한 부모에 대한 지각 척도(Perceptions of Parents Scales; POPS),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Williams & Deci (1996)이 개발한 학습풍토 질문지(The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 LCQ)를 사용하였고, 학생의 자기조절동기를 측정을 위해서는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 조절 설문지 (Korean-Self-Regulation Questionnaire-Academic; K-SRQ-A), 학업적 자기 효능감 측정을 위해서는 김아영·박인영(2001)이 개발 및 타당화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Academic Self-Efficacy: ASE)를 사용하였다.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 학생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 간의 Pearson 상관 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SPSS 11.0을 사용하였고, 이론적·논리적 근거 위에 설정된 학생의 자기 조절 동기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업 성취를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경우에는 자율성 지지 환경이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아버지와 교사의 경우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아버지의 경우를 제외하고,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환경에 대한 지각은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동기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 성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나, 자기조절동기는 학업 성취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와 교사의 경우에는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과 학업 성취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아버지의 경우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의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 성취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과 학업 성취 수준을 매개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the students' self-regul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tudent achievement of learning.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Deci &Ryan' Self-Determination Theory(1986, 2000). Research participants were 599 middle schcool students in Buchun, Kyung-gi do.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of parents Scales(1991), The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1996), Korean-Self-Regulation-Scale-Academic(2002), Academic Self-Efficacy Scale(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nomy support of mothers has a positive meaningful effect on the student achievement of learning, while that of fathers and teachers has a negative meaningful effect on it. Besides,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motivation is shown in the study, except that of the fathers' on them. Second,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nfluences the student achievement of learning in a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self-regulation motivation influences that in a negative.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the student achievement of the learning is mediated by the students'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at of fathers' on it, by contrast, is not correlated by them.

      •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임지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ab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er relations and social skills &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with the subject of fifth- and sixth grades children of a elementary schools. And to give a help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improve social skills to enhance children's school life adaptation and maintain friendly peer relations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total of 544 children composed of 284 boys and 260 girls of 4 elementary schools in the Jeju region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cale of peer relations, the scale of social skill evaluation and the scale of school life adaptation were used as a measuring tool. And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er relations and social skills &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children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se relationships. The major analysi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flict among 5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But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lp, exclusiveness, recognition and self-expression. It means that girls positively interact with other persons in peer relations than boys and has high recognition attitude and a high reception degree between each other. And, if the difference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i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xpression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It means that sixth grade children have a higher self-expression degree than fifth grade children. If the difference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have or have not a multicultural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Namely, it means that children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have high recognition and a high reception degree between each other in peer relations. The difference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se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lp, recognition and conflict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close friends have a higher help degree between peers, admit/accept better and a lower conflict degree tha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 close friend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control among 4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vity, assertation and sympathy. Namely, it means that girls have higher social skills, which give a help, assert thinking and opinion of their own and understand & sympathize with other people, than boys . But if the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have or have not a multicultural friends, it appea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Nam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cooperate better between each other, assert his or her thinking better, has a higher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on of other people and control their own feelings better than children without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The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se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close friends have a higher help degree and assertation between peers, sympathize feeling & emotion of other people better and have a higher self-control degree under the conflict circumstances tha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 close frien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aptation to school study among 4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but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to a classroom teacher, adaptation to school friends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to school study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among of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It can be known that fifth-year children of a primary school have higher adoptability to school study and rules than sixth-year children.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ulticultural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to school friends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Children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have better relations with school friends, higher adaptation to friends and better adaptation to school rules than children without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se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close friends have better relations with a classroom teacher and school friends, have better class attitude or learning degree, observe school rules better and adapt better tha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 close friends. Fourth, the correlation of between peer relations, social skill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l showed static correl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having good social skills well interact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ir own, form smooth relations with other people and adapt to school life well.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about peer relations, social skills and school life adaptation with the subject of fifth and sixth graders of a primary school, it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ther. Children need proper social skills that can react to various circumstance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ffectively so a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s a member of the society, and this would become an important key point for forming peer relations. 본 연구는 또래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라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고 우호적인 또래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지역 4개 초등학교 남자아동 284명, 여자아동 260명 충 5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또래관계 척도,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른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의 5개의 하위영역 중 갈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움, 배타성, 인정 그리고 자기표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또래관계에서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상호간의 인정 태도 및 수용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자기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에서 6학년 아동들이 5학년 아동들보다 자기표현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다문화의 친구 유무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인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친구가 있는 아동이 또래관계에서 상호간 인정 및 수용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도움, 인정, 갈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또래 간 도움정도가 높고 인정하고 수용을 잘하며 갈등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기술의 4개의 하위영역 중 자기통제는 차이가 없었으나 협동성, 주장성 그리고 공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또래집단 안에서 도움을 주고 자기의 생각과 의견을 주장하며 타인에 대한 이해 및 공감하는 사회적 기술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영역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의 친구 유무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들이 그렇지 않는 아동들보다 상호간 협동이 잘 이루어지고 자기의 생각을 잘 주장하며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정도가 높고 자기감정 통제가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또래 간 도움 정도가 높고 주장성 및 타인의 느낌과 감정을 공감하고 갈등 상황에서의 자기통제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4개의 하위영역 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그리고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과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타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이 6학년 아동들보다 학교공부와 학교 규칙에 대한 적응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의 친구의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과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학교친구와의 관계가 좋으며 친구와의 적응력이 높고 학교규칙에 적응을 잘 적응함을 알 수 있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담임교사, 학교친구와의 관계가 좋으며 수업태도나 학습정도가 높으며 학교규칙을 준수하고 잘 적응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기술이 좋은 아동이 자신의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며 또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해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아동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이나 주변 환경에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적절한 사회적 기술이 필요하며 이는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의 교육 수준 인식에 따른 고객만족도

        임지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Beauty service industry has rapidly become professionalized, segmented, high-quality and developed. In this aspect, it is necessary to let its employees receiv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as well as service values and skills as a way of improving services for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given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curre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eauty service providers’ educational level according to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d how the perception of their educational level and the existence of the perception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thus, the study set up suitable beauty service strategies and offered informative and academic data which will satisfy the increasingly sophisticated level of customers. For research method,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used and it was subdivided into four stag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mmary of beauty service usage, summary of customers’ recognition of the education level of beauty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 satisfaction. First, as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rvey responden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ratio of females was highest in their 30's and 40's and there were more married people than singles. As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many respondents told that they were either in the middle of enrollment or graduating from universities. Meanwhile, professional employees had the high ratio and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ranged from 2 million and 3 million won. Second, after investigating the summary of consumers' using beauty services, it has been found that 84.4% of them had the beauty shops that they frequently used. As for the locations of such preferred beauty shops, those near their house were the highest. The period of using their preferred beauty shops turned out to be from more than 6 months to less than a year. A high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used them once a month, spent 50,000 to 100,000 and 10,000 to 30,000 on the average and tended to visit their beauty shops on foot. Skills were considered as one of the crucial criteria of choosing their beauty shops and the cut was the mainly used beauty services. Third, with regard to the summary of customers’ recognition of education level of beauty service employees, the study investigate it by dividing the level and type of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presence of recognition, recognition routes, recognition desire and beauty service employees. It has been found that even a higher rate of beauty service users have not recognized their education level. The recognition routes for those who recognized their education level were asked and a large number of them recognized it through the internet. The researcher of study also asked those who did not recognize their education level about their recognition desire for education level. As a result,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a larger number of respondents who 'were very anxious to know’ and 'more or less wanted to know.’ After asking beauty service consumers about the appropriate education level and type of beauty service employees, 88.1% of them said that appropriate education would be a college or university degree in beauty major and a large number of them said that the appropriate education type would also be a college or university degree in beauty major. Fourth, Fourth, as a result of discovering the current perception of beauty service providers’ educational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only in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level. Then, the study looked int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route of the educational level targeting a group who responded that they perceive the educational level of beauty service providers, and any difference in the desire for perceiving the educational level targeting a group that answered they didn’t perceive the educational level of beauty service providers. As a result, regarding the perception route of the educational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As a result of considering any difference in the desire for perceiving the educational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covered only in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a post-hoc test with regard to age, marital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As a result of finding ou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appropriate education and educational type for beauty service providers,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only. As to appropriate educational type for beauty service provid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Fifth,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ustomer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education level of beauty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recognition of education level, the study conducted a factor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dimension of customer satisfaction.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Each of the extracted factor 1, 2 and 3 was named ‘usefulness,’ 'customer reception' and 'skills,' respectively. After check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ustomer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customers’ recognition of beauty service employees,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ustomer reception and skills among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From the said results, it has been noted that service expectations and desire have improved as beauty service customers have lived stably and their educational level has been increased. The stu 미용서비스산업은 급속도로 전문화, 세분화, 고급화가 되어가며 날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미용서비스산업에서의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미용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서비스 가치 및 기술뿐만 아니라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미용서비스산업 개선에서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 인식 현황 차이를 분석하고, 교육수준 인식과 인식여부에 따라 고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그에 걸맞은 미용서비스 전략을 수립하여 높아지는 고객의 눈높이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정보 및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으며, 인구통계적 특성, 미용서비스 이용현황,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 인식현황, 인구통계적특성에 따른 교육수준 인식현황, 고객만족도로 총 4단계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첫째, 조상대상의 인구 통계적 특성의 결과는 성별은 여자의 비율이 연령은 30대와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최종 학력은 대학교의 재학 중이거나 대학교를 졸업한 응답자 수가 많았고, 직업은 전문직 종사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한 달 평균 수입의 경우 200만원에서 3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서비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미용서비스 이용 현황을 알아본 결과 주로 이용하는 미용실이 84.4%가 있다고 답하였고, 주이용 미용실의 위치를 알아본 결과 집근처가 높게 나타났고, 주이용 미용실을 이용한 기간을 알아 본 결과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 미용실이용 주기의 경우 1개월에 1회 이용, 월평균 비용은 5만원에서 10만원, 1만원 이상에서 3만원 미만, 교통수단의 경우 도보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을 선택하는 기준과 주로 이용하는 미용서비스를 알아본 결과 미용실 선택하는 기준은 기술력이 가장 높았으며, 주로 이용하는 미용서비스는 커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 인식현황은 인식여부, 인식경로, 인식욕구, 미용서비스 종사자에게 적절한 교육의 수준과 종류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미용서비스 이용자들이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을 인식한다는 집단을 대상으로 인식하게 된 경로를 알아본 결과, 인터넷으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을 인식하지 못한 집단을 대상으로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에 대한 인식 욕구를 알아 본 결과 ‘매우 알고 싶다’와 ‘알고 싶은 편’이라고 응답한 응답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서비스 소비자에게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의 적절한 교육수준과 교육 종류를 알아 본 결과,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적절한 교육은 미용전공 대학이나 대학교라는 응답이 전체의 88.1%로 나타났으며, 미용서비스 종사자에게 적절한 교육의 종류 역시 미용전공 대학이나 대학교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 인식현황을 알아본 결과, 교육수준 인식 여부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을 인식하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수준 인식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을 인식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수준 인식 욕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교육수준 인식 경로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교육수준 인식 욕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교육수준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 결혼여부, 직업, 월평균 수입의 경우 사후검정 결과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용서비스 종사자에게 적절한 교육의 수준과 교육의 종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연령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용서비스 종사자에게 적절한 교육 종류의 경우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고객만족도의 차이와 교육수준 인식에 따라 고객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 실시하여 고객만족도의 차원을 알아보았다. 요인분석을 한 결과 세 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1은 ‘효용’, 요인2는 ‘고객응대’, 요인3은 ‘기술’로 명명하였다.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인식에 따라 고객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고객만족도 요인 중 고객응대 요인과 기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해 볼 때, 미용서비스 소비자들의 생활이 안정되고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서비스의 기대와 욕구도 향상되고, 이에 미용서비스산업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서비스에 만족하고 서비스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는 미용서비스로써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의 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