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近世における西洋畵の導入について : 個體ヘの寫實 から眺望ヘの寫實ヘ

        이중희 東京藝術大學 1991 해외박사

        RANK : 247631

        東洋畵壇에 있어서 近世는 이전에 없었던 커다란 지각변동을 맞이하게 된다. 이시기에 고조되는 實證主義的인 思孝에서 東洋畵 내부에서의 寫實的 경향이농후하게 되고, 그 기운에 동반되어 이줘ㅵ혔�法이 가미된다. 近世에서는近代이후 西洋畵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양상과 달리 어디까지뇐�내부에서의 변화에 규명의 촛점이 놓이게 된다. 實學의 實事求是 정신과經世治用의 실용적 사객遊�필연적으로 주변 産物에 대한 실증적 연구. 즉 약초를 비롯한 고기. 곤충. 광물등을 세밀하건求�과학적 태도를보인다. 이리하여 사물의 모습을 정확하게 묘사(기록)하려는 의지에서 個浮에집중되는 「個浮로 향한 寫實 (Focussed Realism)」이라는 특이한Realism이 탄생하게 된다. 한편사회에서 증대되는 시민의식으로 자신들의생활상이나 주변경관을 현실감있게 묘사하려는 욕망도 다. 이에 이미형성된 「Focussed Realism」적 묘사력을 바탕으로 하여 점차 시야를 확대해서자연넓은 공간감을 표출하게 된다. 이는 「眺望으로 향한 寫實(Extensive Realism)」로써 그 초기단갸볕�「Focussed Realism」에서직접 발전되고 있음을 규명했다. 그런데, 종국에 가서 달성된 이 nsineRealism」이 다름아니라 동양전통의 山水畵와는 다른 風景畵라는 새로운 장르로발전된 모습롭다. 즉 전통의 山水畵에서 직접 風景畵로 연결되고 있지않다는 사실이다. 그 까닭은 간단히 언다. 북송말 郭熙의 「早春圖」에서도 선명히 나타나듯이, 전통산수화에서는 道家的 사상을 배경임賜뮌�全客을 총체적으로 나타내려 했기 때문에 視点은 언제나 浮動되고개개사물의 독립성을 처허용되지 못한체 유기적 힘으로 混淆되고일체화되고 있다. 그러나 近世의 風景畵的화풍에서는 대단 세속적인간생활 주변으로 바뀌고 그 생활적 공간위의 여러 사물들이 散在되어 있는모습을 담갤㏏��경관을 바라보는 시점은 현실적이어야 하고 각각의대상은 대상으로서의 독립된 가치가 최상받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의 風景畵的 화풍은 <현실적 공간 + 독립된 個浮들>을瓚막�변화되고 있다.

      • Methicillin함유 배지에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 양상

        이중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onform the paradoxic effect of methicillin on th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ous(MRSA)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Four strains of MRSA and one strain of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ous(MRSA) were compared with their growth patterns in the Muller-Hinton(MH) and 50% serum broth containing 0.5x, 1x, 2x, 4x, and 8x minimum inhibitory concentrarion(MIC) of methicillin. The MICs of each strain were determined in MH broth with methicillin concentration ranged 0.125 to 4096mcg/ml. The growth patterns of these strains were evaluated a continuously monitored turbidimetred turbudimetric method with Temperature Gradient Biophotorecorder TN-112D in MH and 50% serum broth. The MIC of methicillin against the HRSA was lmcg/ml, and the growth patterns of this strain in MH and 50% serum broth containing 0.5xMIC of Methicilli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hat of 1xMIC of them at 12 and 18 hour after incubation. The HIC of methicillin against the MRSA 01 strain was 512mcg/ml, and the growth patterns of this strain in MH broth containing 0.5xMIC of methicilli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han that of 1xMIC of methicillin, in the 50% serum broth, however, the growth patterns of this strain did not observed any differences each other. The MIC of the methicillin against the MRSA 02 strain was 64mcg/ml, and the growth patterns of this strain in MH and 50% serum broth containing 0.5 xMIC of methicilli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han that of 1-4xMIC of thee. The MIC of the methicillin against the HRSA 03 strain was 512mcg/ml and the growth patterns of this strain in MH broth containing 0.5xMIC of methicillin were slightly inhibited than that of 1xMIC of them, in the 50% serum broth, however, this phenomenon did not observed. The MIC of methicillin against. the MRSA 04 strain was 12&mcg/ml, and the growth patterus of this strain in MH and 50% serum broth containing 0.5xMIC of methicilli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han that of 1-4x MIC of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stains of NRSA show paradoxic effect from 0.5xMIC to IxMIC of methicillin, but this effect will be neuralized with 50% serum in some strains of HRSA

      •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결정 요인 및 전공만족과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중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decision-making factors on major, satisfaction of major, and stress in the employment-seeking process,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applicabl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and to henceforth relieve the degree of stress in the employment-seeking process for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633 students in sophomore through senior years, except freshman, who were attending eight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in 2013, affiliated to a total six universities made up of 4 four-year universities and 2 two-year colleges located in B metro-city and G province. Collected data of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of this study by using the SPSS/PC Window V18.0 program, both factor analysis 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questionnaires, and a frequency analysis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Next, a cross analysis test was implemented to analyze student’s decision-making factors in major and then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omputed. In order to verify the distinction of both satisfaction of major and the degree of stress in the employment-seeking process among the group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 student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for a post verification test, the Scheffe method was implemented.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irst, for decision-making factors on major amongst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gender or grades, but there was difference (p<.05) in major type. Second, for satisfaction of major amongst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within all subordinate factors of perception satisfaction (p<.001), general satisfaction (p<.001), curriculum satisfaction (p<.001), and relation satisfaction (p<.001). Male students demonstrated a higher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grad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major types within all subordinate factors of perception satisfaction (p<.001), general satisfaction (p<.001), curriculum satisfaction (p<.001), and relation satisfaction (p<.001). Following with a post verification test, students of the PE department of teaching showed a higher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than students of the general PE department or students of the special PE department within all subordinate factors of perception satisfaction, general satisfaction, and curriculum satisfaction. Within subordinate factors of relation satisfaction, both students of the PE department of teaching and students of the general PE department displayed higher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than students of the special PE department. Third, within the stress in the employment-seeking process for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 students, the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grade, so with the result of the post verification test, students in their junior year showed a higher level of stress in the employment-seeking process than students in their sophomore ye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major type. So, with the result of the post verification test, both students of the general PE department and students of the special PE department showed a higher degree of stress in the employment-seeking process than the students of the PE department of teaching.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결정 요인 및 전공만족과 취업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파악하여 현재 체육계열학과의 정체성확립과 향후 체육계열 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줄어 들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13년 B광역시와 G도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종합대학과 2개의 단과대학, 총 6개의 대학에서 8개 체육계열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 중 1학년을 제외한 2, 3, 4학년을 총 6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한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SPSS/PC Window V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만족과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maples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은 성별과 학년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의 차이를 본 결과, 성별에서는 하위요인인 인식만족(p<.001), 일반만족(p<.001), 교과만족(p<.001), 관계만족(p<.001)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공만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유형에서는 하위요인인 인식만족(p<.001), 일반만족(p<.001), 교과만족(p<.001), 관계만족(p<.001)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후검정을 한 결과, 인식만족, 일반만족, 교과만족에서는 사범 체육계열 대학생이 비사범 체육계열 대학생과 전문 체육계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관계만족에서는 사범 체육계열 대학생과 비사범 체육계열 대학생이 전문 체육계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의 차이를 본 결과,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05) 사후검정을 한 결과, 3학년이 2학년보다 취업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유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001) 사후검정을 한 결과, 비사범 체육계열 대학생과 전문 체육계열 대학생이 사범 체육계열 대학생보다 취업 스트레스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청년목회 활성화를 위한 소그룹 양육 모델 연구 : 휘경교회 청년부를 중심으로

        이중희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교회 청년부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소그룹 양육 모델을 연구하였다. 신앙공동체의 양육이론에 나타난 소그룹 양육 모델을 오늘날 청년 신앙공동체에 적용하였고 구체적인 사례로 휘경교회 청년부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통해 한국교회 청년부가 소그룹 양육 모델을 통해 건강하고 활성화 되어 한국교회 전체의 미래에 소망이 되리라 기대한다.

      • 불어의 결합가 연구

        이중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불어 문장의 핵심 구성 성분인 동사뿐만 아니라 명사 및 형용사의 결합가 분석을 통하여 보어의 구조를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결합가란 20세기 중반 프랑스의 언어학자 Lucien Tesniere(1893-1954)에 의 해 정립된 의존 문법의 주요 개념 중의 하나로 문의 중심인 동사가 지배하는 필수 구성 성분인 행위사의 수를 말한다. 그런데 Tesniere가 제시한 행위사 개념은 주어, 직접 목적 보어, 그리고 간접 목적 보어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이 세 범주에 속하지는 않지만 문장에 필수 불가결한 다른 문장 구성 성분들을 분석에서 배제하는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이렇게 제한 된 행위사 개념으로 인해 배제된 문장 구성 성분들까지도 분석 대상에 포함시 키기 위해, 독일의 결합가 이론들을 수용하고 불어의 특성을 감안하여 Tesnitre가 제시한 행위사의 개념을 확장한 확대 결합가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확대 결합가란 주어, 직접 목적 보어, 그리고 간접 목적 보어 뿐만 아니라 부정사 구문 및 보어 절까지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더 나아가, 우리는 주로 동사의 결합가에만 치중되어 온 불어쪽의 결합가 연구를 연구에서 벗어나 형용사 및 명사에까지 결합가 개념을 적용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제 2 장에서는 결합가 이론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결합가 이론의 선구자로는 Biilhler(1934), Tesniere(1953, 1959)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독일의 언어학자들은 Tesniere의 행위사 개념을 기존의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문장 구성 성분에도 확대 적용한 확대 결합가 개념을 정립하여 문장 분석은 물론이고 결합가 사전 편찬에까지 이를 적용하였다. 또한 결합가 이론을 영어에 적용한 연구들로는 Fillmore(1968), Anderson(1971), Robinson(1970), Emons(1974, 1978)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Fillmore(1968)의 격이론에서는 결합가라는 용어를 수용하여 동사의 격틀을 심층구조의 결합가로 본 점이 특이하다. 80년대에'들어서는, 불어의 결합가에 대한 연구가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제 3 장에서는 결합가 이론의 원리와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Tesniere는 문장의 중심인 동사의 지배를 받는 문장 구성 성분들 가운데 주어, 직접 목적 보어 및 간접 목적 보어를 필수 성분인 행위사로, 그 나머지를 부속 성분인 상 황사로 나누고, 동사가 가질 수 있는 행위사의 수에 따라 동사의 결합가를 산정하였다. 최근에는 부사적 동사 보어까지도 문의 필수 구성 성분이라는 점에서 행위사에 포함시키는 학자들도 있다. 결합가는 통사적 층위, 논리·의미론적 층위 그리고 화용론격 층위에서 논의 된 바 있는데, 60년대에는 주로 통사론적 결합가 중심의 연구가 되었고, 70년대 에는 논리·의미론적 결합가가, 그리고 80년대에는 Ruzicka를 필두로 하는 소통적, 화용론적 결합가도 연구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 Helbig 같은 학자는 이러한 이론적 확장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가를 통사적 결합가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우리는 의존 문법 자체 내에 이미 의미론적 측면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한 언어 성분의 결합가를 통사적 층위는 물론 이고 의미적 층위에서도 연구하여야 한다고 본다. 화용적 결합가는 특수한 문 맥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므로, 이를 체계화하는데는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본다. 또한 우리는 독일의 결합가 연구들을 통해 동사 이외의 주요 자립어들인 형용사, 명사, 부사도 결합가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형용사도 동사처럼 독립적인 결합가를 가질 수 있는데, 결합가 분석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 라 의견이 다르다. 우리는 형용사도 이론적으로 0가에서 3가까지 결합가를 가질 수 있지만 불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보어를 갖는 경우는 드물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떤 학자들은 명사 모두가 결합가를 가질 수 있다고 하지만 우리는 동사나 형용사에 온 파생명사만이 결합가를 갖는다고 본다. 특히, 명사의 결합가 분석에서는 행위사와 상황사 모두가 전치사를 통해 핵명사 에 걸리므로 이들을 판별할 때에 의미론적 판단이 필요했으며, 수식 층위가 많아질 경우 명사 보어의 기능 판별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끝으로, 부 사도 형용사처럼 논리 관계적 관점으로 볼 때 결합가를 가질 수 있지만, 불어에서는 극히 소수의 몇몇 부사만이 결합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 장에서는 결합가 이론의 핵심 논점인 보어의 필수성, 의무성 그리고 수 의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는 필수성이란 주어진 보어가 문장에 필수 구 성 성분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의무성과 수의성으로 하위 구분되며, 보어 판별에 기준이 되는 의무성과 수의성도 문맥에 따라 결정되는 상대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판별 기준의 상대적 속성으로 인해 어떤 판별 기준으로도 완벽하게 보어와 부가어를 구분할 수 없었는데, 이는 보어에도 다 분히 동사와의 결속도 차이가 있고, 문장 성분은 보어와 부가어의 두 가지 성 질을 다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동사와의 결속도에 따라 보어들을 필수적이면서 직접 지배를 받는 보어와 단지 지배만 받는 수의적 보어 그 리고 직접 지배는 받지 않지만 필수적이고 확장가능한 보어인 부가 행위사로 세분하여야 한다고 본다. 제 5 장에서는 결합가 개념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0가동사와 비인칭 구문 문제는 통사론적 변형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았고, 속 사 문제는 Helbig, Happ와 Blanche-Benveniste의 견해를 받아들여 목적 보어와의 유사성과 형용사의 결합가 등을 고려하고 결합가 보어로 보았다. 절대적 용법에 대해서는 완전 타동사적 표현을 기본 결합가로 하고 문맥 의존적 결합 가 감소 현상은 화용적 결합가로 보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내적 목적 보어를 가지는 동사는 자동사를 기본 결합가 보유어로 보고 내적 목적 보어가 추가될 때 1가가 증가 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대칭 동사는 동일 어휘가 갖는 다가 결 합가 보유어로 보았다. 제 6 장에서는 비록 시안에. 지나지 않지만 불어의 기본 문장의 결합가 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제 5 장에서 도출된 확대 결합가 개념을 불어 동사 구 조에 적용하여 비인칭 0가, 1가, 2가 문형4개와 인칭구문 1가, 2가, 3가문형 33 개를 도출하여 총37개의 불어문장 패턴을 구했다. 이어 복합 명사 통합체로 구성된 자료체들을 발췌하여 결합가 구조를 분석해 봄으로써 전치사적 확장으로 된 불어 명사 통합체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으며, 동사문의 행위사적 변형과 형용사 보어의 통사적 변형 관계 등을 통해 올바른 문장과 비문을 보다 명백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Tesniere의 결합가 개념은 행위사를 지나칠 정도로 제 한하여 문의 필수 구성 성분인 동사에 부속된 전치사, 부사적 동사 보어 등이 제외되는 결함을 드러냈으며, 필수 성분의 분포에 있어서도 일관되지 못한 면이 있었고, 속사를 계사 동사의 일부분으로 처리한 점과 모든 상황사를 다같이 이 동사의 직접 지배하에 둔 것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Tesniere 결합가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결합가 개념을 확대 적용한 독일의 결합가 이론들을 수용하고 불어의 특성을·고려하여 확대 결합가 개념을 도출하였다. 확대 결합가 개념은 Tesniere의 행위사는 물론이고 문장 구성에 반드시 필요한 모든 성분을 '필수 보어 complement nbcessaire'로, 그 나머지 수의적 성분을 '부가어 adjoint'로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확대 결합 가 개념에 따르면 필수 보어에는 Tesniere의 제1, 2, 3 행위사인 주어, 직접 목 적 보어, 간접 목적 보어는 물론이고, 부속사 Adjet의 하나인 속사, Hers1und, Van Hout, Allerton 등이 제시한 장소 보어, 시간 보어 등과 같은 부속사 뿐만 m 아니라 Tesniere의 E.s.s.에서 결합가 분석에서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던 부정사 구문과 보어절도 포함된다. 이상에서 우리는 앞에서 필수 보어에 포함시킨 부속사들도 다음 도식에서 보 듯 동사와의 결속도에 따라 나름대로의 위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직 미흡하기는 하지만 결합가 이론의 한계로 지적된 어순 문제, 즉 어말 도치 의문문의 어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 본다. actant ----------l-----------circonstant s > o > adjet:0Ineu > 0Iloc datif libre > OIloc complement scenique de temps et de lieu (adjet=0Ineu/dat/loc: 상황사적 행위사, datif libre: 행위사적 상황사) 위에서 살펴 본 바에 따라, 우리는 불어 문장에서 동사와 결합가 보어들의 결속 정도를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정리해 보았다. Comp. du verbe = Sujet + COD + Adjet Adjet - COl(Adat+Aneu+Aattribution) + Asuj + Aobj + Aloc CI C2 C3 C4 C5 C6 Adjoint -----------------------> S COD COI Asuj Aobj Aloc Cadv (coi datif, C. d'attribution, objet prCpositionnel neutre 포함) V-----S(1)----COD(2)----COI(3)----Asuj(4)----Cadv CODI(2i) COIi(3i) Aobj(5) CODqi(2qi) Aloc(6) CODqs(2qs) 동사 보어의 결속도 (1가, 2가, 3가 구조) Notre e'tude s'inscrit dans le carde de la the'orie de de'pendance, fondee' et e'labore'e par Lucien Tesnie're(1893-1954). Elle vise a' e'tablir les fondements the'oriques pour mieux discerner les phrases agrammaticales et les expressions correctes du franc¸ais pal la compre'hension claire et exacte de la construction des comple'ments valenciels des verbes, des noms et des sdjectifs, qui font partie du noyau de la phrase. Nous e'largissons la notion de l'actant restrictif de Tesnie're et en tirons un concept plus e'tendu de la valence, qui comprend les comple'ments ne'ccessaires valenciels de la phrase, c'est-a'-dire le sujet, l'objet direct et l'adjet. Sur ce concept, nous examinons le mode'le de la phrase franc¸aise comprenant me^me la construction de l'infinitif et la proposition comple'tive. Notre inte're^t consiste a' e'lucider non seulement la valence du verbe, mais aussi celle de l'adjectif, du nom et de l'adverbe. Pour cela, dans le 2^e^me chapitre, nous avons passe' en revue l'e'volution historique de la the'orie de valence. La the'orie de valence s'est forme'e dans le cadre de la grammaire structurale dans les anne'es soixante. Les pre'curseurs de la the'orie sont Bu¨hler(1934), Kaznelson(1948) et Tesnie're(1953, 1959). Cette the'orie part du ro^le central que joue verbe dans la phrase. La the'orie part du ro^le central que joue verbe dans la phrase. La the'orie du cas de Fillmore(1968) aussi acce'le're le de'veloppement de la the'orie de valence, en acceptant le terme de valence et en conside'rant la matrice du cas des verbes comme la valence de la structure profonde. La notion de valence de Tesnie're a d'abord e'te' accueilli par les linguistes allemands. Ils ont de'veloppe' la the'orie et ont e'te' parvenus a' re'diger des dictionnaires valenciels. Le concept de l'actant comprend les comple'ments ne'ccessaires a' la comstruction de la phrase. Les comple'ments valenciels se divisent en deux cate'gories: les comple'ments obligatoires et les comple'ments facultatisfs. Et puis, les chercheurs ont classifie' comme adjoints les comple'ments qui ne sont pas ne'cessaires a' la construction de la phrase. Du co^te' de l'anglais, les chercheurs tels que Fillmore, Anderson, Robinson, Emonds et Allerton ont fait leur travaux sur la valence, mais les chercheurs franc¸ais l'ont aborde'e dans une autre direction que celle du de'veloppement the'orique de la valence de Tesnie're. Il est cependant encourageant de constater que l'on continue de's les anne'es quartre-vingts a' faire des e'tudes sur la valence du franc¸ais en Europe (Danemark, Norve'ge, Belgique, etc.). Dans le 3^e^me chapitre, nous avons de'crit les principes constitutifs de la the'orie de valence. La syntaxe de Tesnie're se compose de trois parties : connexion, jonction, et translation, parmi lesquelles la connexion et la translation est implique'e dans la valence. Pour Tesnie'er, la distinction de l'actant et du circonstant de'pend principalement du degre' de cohe'sion que les composants de la phrase, a' savoir les mots, e'tablissent avec le verbe. Les actants et les circonstants sont les subordonne's imme'diats du verbes. Les actants sont les personnes ou choses qui participent, a' un degre' quelconque, au proce's. Ils sont toujours des substantifs ou des e'quivalents de substantifs. Leur nombre est limite' a' trois: sujet, complement d'objet direct et complernent d'objet indiect. A la fin, le nombre des actants que le verbe est susceptible de re'gir, constitue uniquement la valence du verbe. Re'cemment il y a tendance a' inclure dans la valence aussi les comple'ments adverbiaux du verbe(spe'cialement ceux qui expriment la location comme la situation(ubi), la direction(quo) et le de'part(unde)). Ils sont le groupe pre'positionnel, l'adverbe ou la relative, qui peuvent etre conside're's comme des comple'ments ne'cessaires du verbe. Selon Herslund & Sorensen, les participants a' la valence sont le sujet, l'objet et l'adjet, ce dernier comprend l'objet indirect datif, l'objet indirect prepositionnel neutre, le comple'ment d'attribution, l'attribut du sujet, l'attribut de l'objet et le comple'ment locatif, etc.. La valence peut e^tre analyse'e sur trois niveaux : la valence syntaxique, la valence logico-se'mantique et la valence pragmatique. La valence syntaxique porte sur le nombre de comple'ments obligatoires ou facultatifs ouverts logico-se'mantiquement. La valence logico-se'mantique correspond en ge'ne'ral au concept du cas profond de Fillmore. La valence pragmatique de'signe les comple'ments facultatifs ou les adjoints libres, qui correspondent aux circonstants de Tesnie're et qui deviennent comple'ments ne'cessaires dans la situation ou le contexte spe'cifie's. La notion de valence s'applique non seulement au verbe mais aussi a' des autres categories, a' savoir l'adjectif, le nom et l'adverbe. Pour ce qui est de la valence de l'adjectif, on peut parler de la valence logico-relative (sujet ou nom) et de la valence diffusive (comple'ment de l'adjectif). Il existe aussi des adjectifs avalents et des adjectifs trivalents. Ils ont leurs comple'ments obligatoires ou facultatifs. Quant a' la valence des noms, les noms de'rive's comportent leur valence des adjectifs ou des verbes. On peut concevoir cinq classes diffe'rentes de la valence des noms comme suit: 1. noms de'rivaux dont le sche'ma valentiel est identique a' celui du verbe. 2. noms de'rivaux dont le sche'ma velentiel est diffe'rent de celui du verbe. 3. noms pseudo-verbaux dont le sche'ma valentiel est identique a' celui d'une locution. 4. noms dont le sche'ma valentiel est identique a' celui de l'adjectif correspondant. 5. noms dont le sche'ma valentiel diffe're de celui de l'adjectif correspondant. Les substantifs noyaux du syntagme des noms complexes se re'partissent en trois sortes de derivation' nominalisation nucleaire(la transposition nominale du proces lui-me^me), nominalisation subjective(de'signant le sujet de l'action) et nominalisation objective(de'signant l'objet de l'action). Tout substantif valenciel implique un certain nombre d'actants qui demeurent a' l'e'tat latent jusqu'a' ce qu'ils soient actualise's comme comple'ments essentiels. Ainsi la valence nominale est une valence virtuelle et peut supposer l'expansion prepositionnelle. Quant a' la valence des adverbes, certains adverbes seuls peuvent avoir la valence logico-se'mantique et diffusive. Dans le 4^e^me chapitre, nous avons examine' plusieurs crite'res pour la distinction entre le complement obligatoire, le complement facultatif et l'adjoint sous un angle critique. Un chercheur propose la bipartition, un autre la tripartition, un autre me^me la six partitions suivant le degre' de cohe'sion des composants en cause avec le verbe. Cela suppose l'existence de l'e'le'ment du caractere interme'diaire entre le complement et l'adjoint. Il est ne'cessaire de distinguer les diffe'rents sortes de comple'ment et de les sous-classer selon le degre' de cohe'sion entre le verbe et leurs comple'ments comme ce qui suit: 1. les comple'ments requis et re'gis, 2. les comple'ments re'gis, 3. les adjets, c'-a'-d. les comple'ments non-re'gis, requis et cummulables. Pour ce qui est de la faiblesse the'orique de la syntaxe de Tesnie're, il n'a pas distingue' dans ses e'tudes les niveaux d'analyse linguistique. En plus, il a trop restreint la porte'e de la notion d'actant et, a' la fin, a exclu de la valence les e'le'ments ne'cessaires constitutifs de la phrase, tels la plupart de l'objet pre'positionnel, les comple'ments du verbe adverbiaux, etc. En outre, nous avons remarque' le manque de cohe'rence dans la distribution des comple'ments ne'cessaires, le traitement de l'attribut du sujet comme une partie du verbe copule, le placement de tous les circonstants sous la subordination imme'diate du verbe et la consideration du seul crite're se'mantique dans l'analyse des expressions impersonnelles. Dans le 5^e^me chapitre, nous avons tire' notre notion e'tendue de la valence par la reconside'ration des e'le'ments entrant dans la compostion valencielle. Dans les verbes avalents et les phrases impersonnelles, il y a une diffe'rence entre la valence syntaxique et se'mantique. Nous avons aussi inclu dans la construction e'tendue de valence l'attribut, l'adverbe interieur d'Happ, l'adverbe lie d'Herslund, l'adverbe actantialise de Franc-Math, l'infinitif et la proposition completive. Quand on parle de l'actant circonstantiel et du circonstant actantiel, on peut concevoir la hie'rarchie par la cohe'rence entre le verbe et le comple'ment. Nous avons e'tabli le sche'ma de la hie'rachie suivante: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On peut utiliser ce sche'ma en tant que critere permettant de juger l'agrammaticalite' dans la proposition interrogative de l'inversion finale. A la lumie're de ce qui pre'ce'de, nous avons fait le sche'ma line'aire des comple'ments valenciels de la phrase franqaise comme suit: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Dans le 6^e^me chapitre, nous avons essaye' d'analyser suivant le concept e'tendu valenciel la construction fondarnentale de la phrase franc¸aise, celle des syntagmes nominaux et la transformation de la phrase franc¸aise pour faire voir la construction valencielle de la langue franc¸aise. En terminant notre e'tude, nous espe'rons re'soudre dans les etudes a' venir les proble'mes suivants: la sous-classification du comple'ment d'objet indirect par son caracthre, le probleme pour l'adapter au mode'le de la phrase sur la base de son obligatoirite' et sa facultativite', et enfin la de'finition et la division exactes de chaque terme (l'objet indirect datif, l'objet pre'positionnel neutre, comple'ment d'attribution, etc.) au sujet du paradigme de l'adjet.

      • PMMA주입시 망상골의 골밀도와 영율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중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 압박골절은 뼈의 골절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을 치료하는 가장 각광받는 방법 중 하나가 척추 성형술이며, 이는 척추체의 장력 보완, 안정적 구조 유도, 및 동통의 완화를 목적으로 압박된 부위의 척추체내로 인공 생체물질인 골 강화제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술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고 그 개선안도 모색하고자 하며, 아울러 공학적 해석 기술을 기존의 임상학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활용분야를 개척하고자 하는 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뼈에 PMMA가 삽입시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는 PMMA와 망상골의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치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척추를 표현하는데 균일한 재료 물성치를 사용하거나 오직 두 개의 Young's modulus로 내부 뼈조직과 외부의 단단한 외피만을 할당하였는데 이 방법은 실제 구조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이에 실험치와 FEM을 통한 구조해석 사이에서 많은 값을 차이를 보였다. 이에 혼합부분의 정확한 기계적 물성치가 요구되고 있다. 해부학적 좌표를 고려하여 돼지의 대퇴골, 요추, 경골을 고정한 다음 SOMATOM Volume Zoom CT장비를 사용하여 0.5mm 간격으로 단층촬영을 실시하였으며, 각 영상으로부터 HU(CT수)를 구하였다. CT촬영 후 diamond saw를 사용하여 60개의 12×12mm 정방형 시편을 추출하였다. 골 강화제인 PMMA는 경화시 주변의 온도, MMA와 Powder의 혼합비율, 혼합정도에 따라 기계적 물성치가 크게 차이가 난다. 이를 위해 각 MMA와 Powder의 혼합량에 따라 시편을 제작하였고, 시편은 인체온도인 37℃의 5% Co2 incubator에서 응고 시켰고, 혼합비에 따른 영률과 항복강도를 구했다. 이를 이용하여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1.5g/ml와 2.3g/ml의 비율로 Powder와 MMA를 혼합하여 망상골에 주입하게 된다. 망상골에 PMMA를 주입 후, 망상골 초기의 겉보기 밀도와 PMMA가 주입된 후의 영율 사이에서 관계를 압축실험을 통해 유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척추성형술의 평가법과 이상적인 수술법을 제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척추뿐만 아니라 다른 인체골격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생체역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ompressed fracture of spine caused by osteoporosis is one of the most frequent diseases in bone fracture. Recently the vertebroplasty has drawn much attention as a medical treatment for the compressed fracture of spine, which strengthens the vertebral body and corrects deformity, and relieves pain in patients by injecting bone c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vertebroplasty by employing scientific methods and thus to find out the improvements of the conventional surgical method. By applying the engineering analysis tools to clinical study, new application fields can also be obtained. In order to verify the mechanism of combining PMMA onto bone, necessary to first study about the m 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of PMMA and cancellous bone. However, neither the use of the mechanical property of homogeneous material nor the use of only the two Young s modulus of inner bone tissue and outer compact bone is appropriat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spine. In this respect, there has been a huge gap between the values from experiment and FEM structural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realistic mechanical property value. Considering the anatomical coordination, the femur, lumber and tibia of a swine were fixed. Using SOMATOM Volume Zoom CT, the tomograms were captured by spacing of 0.5 mm, and HU (CT number) of each tomogram was achieved. After the CT capturing, sixty square specimens of 12mm x 12 mm were prepared using a diamond saw. As a bone cement, the PMMA shows very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i) the temperature of the environment during hardening, ii) the ratio between MMA and the powder, and iii) the mixing degrees. Therefore, the spe cimens were hardened in a 5% Co2 incubator at physiological temperature, 37℃ , and the experiments for Youngs modulus and yield stresses were performed for each mixing ratio. Using this, the mixture of powder and MMA at the ratio of 1.5 g/ml and 2.3 g/ml, the most universally-used ratio at clinic, was injected onto the cancellous bo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appearance density and the Youngs modulus after the injection of PMMA was induced by the compression test. With this research the ideal surgical methods for vertebroplasty can be developed. And The research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human skeletal body, and thus contribute the biomechanical study grea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