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e2MAl(M=V, Ti)합금의 기계적 성질과 열전특성에 미치는 B의 영향

        이정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에너지절약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고 이를 위한 방안중의 하나로 에너지의 직접교환방식인 열전변환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 Heusler형 Fe-V-Al계 합금은 중․저온용으로서 원재료 비용이 저가이고, 원료가 풍부하며 내산화성이 우수한 이점 등 때문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하여 아크용해로 제조하기 어려운 화학량론 Fe2MAl(M = V, Ti)합금에 B을 첨가하여 아크용해를 통해 합금을 제조하고, B첨가가 합금의 열전특성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화학양론 Fe2VAl합금에 B이 첨가되었을 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립크기는 감소하였고, 0.3at% 이상이 첨가됐을 시에는 결정립크기는 더 이상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B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로크웰경도, 압축항복강도 및 충격흡수에너지가 모두 증가하였고, 0.5at%B이 첨가된 시편이 HRA 70, 324MPa 그리고 1.44×10-1kg-m이었다. Fe2TiAl합금은 XRD 분석결과 Fe2TiAl 및 Fe2Ti 2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고, B을 첨가한 경우 Fe2Ti 상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 압축항복강도 및 충격흡수에너지는 B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첨가량이 0.5at%일 때, 각각 HRA 71, 672MPa, 2.31×10-1kg-m이었다. Fe2VAl합금의 Seebeck 계수는 (+)부호를 나타내 p형 특성을 나타냈으나, B이 첨가된 시편은 모두 n형 특성을 나타냈으며, B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절대값이 증가하여 0.5at.%B이 첨가된 시편의 경우 Seebeck 계수는 실온에서 -84㎶/K이었다. Fe2TiAl합금의 경우는 모두 n형 특성을 나타냈으며, 0.3at.%B이 첨가된 합금이 720K부근에서 약 -50㎶/K이었다. 전기비저항은 Fe2VAl계 합금은 모두 반도체적인 거동을 나타냈으며, 0.5at.%B 이 첨가된 합금이 실온에서 5.3×10-4Ωcm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Fe2TiAl계 합금은 모두 금속적 거동을 보였으며, 0.3at.%B이 첨가된 합금이 320K부근에서 약 0.9×10-4Ωcm이었다. Seebeck계수와 전기전도도로부터 도출한 출력인자는 Fe2VAl계 합금에서는 0.5at.%B이 첨가된 시편이 315K에서 1.34mW/K2m, Fe2TiAl계 합금에서는 0.3at.%B이 첨가된 시편이 520K에서 1.36mW/K2m이었다.

      • 개별적인 발표학습이 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집합과 자연수 단원을 중심으로

        이정수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how different teaching methods could be used to allow student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opinions about a mathematics education in a modern world of globalization and the rapid information era. The study formulated three research questions to two individual groups, one an experimental teaching method, the second a controlled group using regular method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et and natural number uni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3. How does the experimental group's communication ability influence on both group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elected the two groups : one from my small school and the other from a neighboring D middle school, which are both located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group was 31 first grade students. With the help of the math teachers in D middle school, we established my school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D middle school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e unit of Set and natural number through individual presentation learning method in 7-Ga of the first grade textbook 6 times in 6 weeks from on March 1, 2006 to May 1, 2006.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6 times in 6 weeks. Through this study, we go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ean grad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approach to the presentation type teaching and the result showed of the presentation learning experi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better recall. Third, according to the students' response of the personal presentation learning, the presenter had confidence in presentation and the students did better in solving the problems. The individual teaching methods made the students more aggressive for mathematics increased their confidence in solving problems in front of the other studen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er grades are not affected by the teaching pattern. However the mathematical attitude and communicative ability could be promot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voluntary activity and the opportunity for personal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수학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시대의 흐름에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업 모형의 하나인 발표학습을 통하여 학교교육의 내실화를 다지면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자신감 있게 표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 그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3개의 연구문제를 정하였다. (1) 개별적인 발표학습을 활용한 지도활동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집합과 자연수단원의 개념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개별적인 발표학습을 활용한 지도활동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실험 전·후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3) 실험집단의 의사소통 활동이 개념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촌의 소규모 학교인 본교 중학생과 인근에 위치한 D중학교 수학지도교사의 협조를 받아 각각 30명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6년 3월에 실시한 진단평가 결과에 의해 본교를 실험집단으로 D중학교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2006년 3월 3일부터 5월 1일 까지 중학교 1학년 7-가 단계의 집합단원에 대한 수업을 실험집단은 개별적인 발표학습을 활용하여 6주 동안 6차시를 하였고, 비교집단을 대상으로는 교실에서의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을 6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전체에서는 실험처치 후 유의수준 0.05 에서 유의미 한 차이를 알아볼 수 있었으며 비교집단에 비해 실헙집단의 평균 성적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 전체의 수학적 태도 면에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수의 학생이 발표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고 발표학습 장면의 기억이 오랜 시간 기억에 남아서 수학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는 설문결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셋째, 발표학습 설문조사 결과 타인 앞에서 자신 있게 발표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으며 청취하는 학생은 발표내용과 자신의 문제풀이 방법을 비교하면서 다양한 문제풀이법을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개별적인 발표학습이 학생 개개인의 수학에 대한 적극성을 유도함으로써 타인 앞에서 문제를 풀어보고 발표해 보면서 자신감을 얻어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학습의 형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른 성적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발표학습이 경직될 수 있는 수학수업시간을 자발적인 활동과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 해결해 보면서 수학적 태도와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유기농 가공품 포장디자인의 시각이미지 차별화 방안 연구 : 유기농참기름 제품을 중심으로

        이정수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현재 웰빙 트렌드는 현대 사회 각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메가트렌드로서 사회의 단순하고 일시적인 흐름이 아니다. 우리 사회도 단순 일시적 현상이 아닌 건강을 지향하는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라이프 스타일로 굳혀 가고 있다. 그 중 건강한 먹거리에 관한 관심이 웰빙 문화의 중심 사업이며 가장 관심 있는 친환경 식품과 유기농 제품에 관한 선호도가 높아져만 가는 사회적 현상이다. 유기농 식품의 소비는 단순히 건강만을 위한 소비에 국한되는 것만이 아니라 미래의 환경을 생각하는 착한 소비 생활과 맞물려서 시장은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특히 참기름은 전통기름의 대표 제품이다. 참기름을 포함한 국내 전통기름 시장은 식품대기업 오뚜기, CJ제일제당, 사조, 대상, 샘표, 오복, 참고을, 유기농전문매장 초록마을, 헬로네이처, 올가, 이마트, 롯데마트 등이 진출해 있으며 참기름을 비롯한 식품기름류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참기름을 포함한 전통기름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13,734㎘가 생산되며 이중 내수량이 11,882㎘, 수출량이 141㎘로 99%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다. 시장규모 매출은 2015년 기준 1,331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이다. 전통기름내에서 참기름이 차지하는 비중은 90%이상이다. 그러나 2013년 92.6%에 비해 2015년 90.6%로 전통기름 시장내에서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유기농참기름 시장 상황 가운데 차별화된 포장디자인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미흡하나마 포장디자인 계획에 새로운 시각과 디자인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유기농참기름 브랜드와 포장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본으로 식품대기업 생산제품, 대형할인마트와 친환경전문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기농참기름 제품 중 샘표, 동원, 풀무원, 오복과 대형유통기업 롯데마트, 이마트, 유기농전문매장인 초록마을, 헬로네이처를 중심으로 총 9개의 유기농참기름 브랜드 제품 포장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각적 요소인 로고타입,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레이아웃의 포지셔닝 맵을 통해서 유기농참기름제품의 차별화를 모색하고 이미지에 맞는 디자인 방향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소비자의 소비태도를 바탕으로 포장디자인의 차별화 개선방안 근거로 삼고자 설문지 항목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하나. 인구통계학적 사항에 대한 질문 5문항, 둘. 유기농참기름의 제품구매활동에 대한 질문 7문항, 셋. 유기농참기름 브랜드 인지도, 선호도, 포장디자인에 대한 질문 9문항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의 대상 범위는 광주, 전남에 거주하는 20세 이상부터 70세 이하의 남녀를 대상으로 표본하였고,. 주로 참기름를 구매하는 30∼50세 주부층에 비중을 두고 유동인구가 많은 시내 권과 방앗간, 친환경전문매장 주변을 중심적으로 하였다. 설문통계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가치관과 니즈를 파악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각각 도출하였다. 유기농참기름 포장디자인은 디자인 자체만도 개선해야 할 문제를 많이 안고 있지만, 유기농참기름을 둘러싼 소비자의 환경 인식과 제도의 신뢰성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포장디자인이 구매만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없듯이, 선행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소비자의 감성과 사회적제도, 소비트렌드 등을 디자인 측면에서 문제해결 중심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시대의 흐름을 이해하고 브랜드이미지를 격상 시킬 수 있는 유기농참기름 포장디자인 개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 to Differentiate the Visual Image of Package Design for Organic Processed Products - Focused on the Organic Sesame Oil Products - by : Lee jeong soo Advisor : Prof. Kim, nam-hoon Major in Brand package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The well-being trend is the mega-trend which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very critical element in each field in the modern society. It’s not the trivial and temporal trend. It has been also securing its position as the mental, physical and social life style pursuing health not the simple and temporal phenomenon in the Korean society. It is the interest on healthy food in such a trend that is the key business in the well-being culture. The current social phenomenon is the increasing preference on eco-friendly food and organic goods drawing the most significant interest. The consumption of organic food is not limited to the consumption simply only for health but the organic food market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along with the good consumption life which thinks about the future environment. In particular, sesame oil is one of representative traditional oil products. The traditional oil market in Korea including sesame oil is operated by big food manufacturers including Ottogi, CJ Cheil Jedang, Sajo, Daesang, Saempyo and Obok and Chamgoeul, specialized organic stores including Chrocmaeul, Hello Nature and ORGA, emart and Lottemart which have been leading the oil market including sesame oil. In the traditional oil market including sesame oil, 13,734㎘ was produced as of 2015, of which 11,882㎘ was consumed in Korea and 141㎘ was exported. It means that 99% of oil manufactured in Korea is consumed in Korea. The market sales was 133.1 billion KRW as of 2015, 4.3% up as compared to the last year. Sesame oil accounts for over 90% in the traditional oil market. However, the market share of sesame oil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in the traditional oil market as falling down from 92.6% in 2013 to 90.6% in 2015. Since the organic sesame oil market in such status urgently requests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acking design, this paper was implemented to suggest the new viewpoint and design approach related to the packing design plan. Thu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approach to differentiate organic sesame oil products and the design approach suitable for the image of organic sesame oil through positioning map using logo type, color, illustration and layout, the visual elements,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cking design of total 9 brand products, including Saempyo, Dongwon, Pulmuwon, Obok, Lottemart and emart as the big distribution companies, and Chorocmaeul and Hello Nature as the specialized organic stores, among the organic sesame oil products from big food manufacturers and sold in big discount stores and specialized eco-friendly store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 review on the brands and packing designs of organic sesame oil. Moreover, the questionnaire was largely divided into 3 categories as the basis for the method to differentiate and improve the packing design on the basis of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sum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otal 21 questions, including 5 questions on the demographic matters, 7 questions on the purchase patterns of organic sesame oil products and 9 questions on brand awareness, preference and packing design of organic sesame oil products. The survey subjects were men and women from 20 to 70 years old living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survey focused on the housewives from 30 to 50 years old who generally purchased sesame oil products. Furthermore, the survey was executed around downtown areas, mills and specialized eco-friendly product stores with lots of floating popul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urvey results was implement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rough the survey analysis, this paper identified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method by recognizing the values and needs of consumers. While the organic sesame oil packing design had lots of issues to improve only in design itself, it wa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wareness of consumers and reliability of system related to organic sesame oil. Since the packing design can’t be the only purchase facto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se days and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organic sesame oil packing design which can enhance the brand image by analyzing consumers’ emotion, social institutions and consumption trends with the trouble-shooting approach focusing on desig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요인

        이정수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개인적 특성 및 문화관련 특성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단면적 서술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일 종합병원에서 지난 1년간 외국인환자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은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7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그리고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 평균은 7점 만점에 5.28±0.63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은 문화적 인식 5.97±0.58점, 문화적 지식 5.16±0.93점, 문화적 민감성 5.31±0.83점, 문화적 기술 4.79±0.86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은 연령(F=3.51, p=.032), 근무기간(F=5.20, p=.007), 근무부서 (F=7.84, p=.001), 직위 (F=5.01, p=.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문화관련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은 해외거주 경험(F=7.17, p=.001), 18세 이후 외국어 수강 경험 (F=24.31, p<.001), 수강한 외국어 (F=5.73, p=.004), 현재 외국어 수강 상태(t=9.40, p=.003), 영어 의사소통 수준(F=4.20, p=.017), 구사 가능한 외국어(F=3.62, p=.014), 외국인 친구 (t=14.29, p=.001), 외국인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경험(F=6.08, p=.003), 의료서비스를 제공한 외국인환자의 국적(F=3.58, p=.030), 문화관련 교육 경험(F=4.03, p=.01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v 4.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8세 이후 6개월 이상 외국어 수강경험이 있을수록 0.74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근무지가 특수부서일 때 문화적 역량이 0.20만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30), 외국인환자 전담부서일 때 0.35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26). 직위는 책임간호사일 때 0.37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20), 외국인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주 1~2회 이상 제공한 경험이 있을수록 문화적 역량이 0.24만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9). 본 연구 결과 다양한 문화권의 대상자들의 건강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사 대상으로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외국인환자 실무교육지침을 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실무교육과 조직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복의 형태를 응용한 혼례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정수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식(服飾)은 각 시대의 생활 풍습이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문화적 소산(所産)이며 그 중에서 혼례복은 가장 화려하고 여러 가지 함축적인 의미를 담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디자이너들은 한국적인 이미지가 담긴 디자인을 발표하고 있다. 이것은 전통 복식의 재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이며, 우리의 한복을 현대 복식에 도입하고 고유의 한국미를 실용화시킴으로써 국제적인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시도인 것이다. 오늘날 결혼식에서의 의상은 개화기 이후 서구 문물과 함께 도입된 서양의 웨딩드레스와 폐백을 위해 전통 혼례복을 착용하는 이원화(二元化)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폐백이라는 절차를 통해 전통혼례의 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으나 우리 복식 문화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는 재고의 여지가 남는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혼례복의 현대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이원화된 결혼의상을 일원화하고 전통혼례복의 특징을 살리면서 혼례복과 폐백복을 병행하고 약혼복도 겸할 수 있는 혼례복을 개발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랑·신부의 혼례복을 개발하였으며 더불어 혼례시의 의복이 약혼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동시에 화동의 의상을 개발함으로서 서구적 의식과 전통 복식 문화를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는 전통혼례복의 상징적 의미와 종류를 고찰하였으며, 개화기 이후 변화하게 된 혼례복의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시대별로 전개·분석하였으며 전통복식의 세계화를 위한 작품을 고안하기 위하여 현대복식에 전통한복의 형태를 도입한 복식을 문헌 및 사진자료를 분석·고찰하고 총 6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의 미적 특징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에서 표현되며 형태 면에서 전체적인 실루엣과 선이 한국적인 이미지를 가장 많이 표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작품에 적용된 곡선, 직선, 사선, 트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혼례복에 사용되는 문양을 사용함으로서 전통혼례복이 담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 할 수 있었고 색채에 변화를 주어 현대적인 재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재로는 전통 소재인 수직 실크와 노방을 사용하였으며 수직의 재질감과 염색기법, 중첩효과를 이용하여 전통미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제작된 화동의 복식을 통하여 전통미를 내재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정립 할 수 있고 서구적 의식과 전통 복식 문화의 접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제작된 약혼복을 혼례복안에 덧입음으로 혼례복 속에 포함되고 그것을 약혼식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점과 혼례복이 혼례와 폐백의 기능을 갖추어 경제성과 실용성을 도모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복의 형태를 현대복식에 도입하여 전통미를 살린 실용적인 혼례복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전통의 현대화로 국제적인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대복식에 있어 전통의 도입은 국제화 시대에 부응되는 생명력 있는 복식디자인의 창조인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한복의 형태를 응용함에 있어 전통의 재현이 아닌 현대적인 감각에 맞는 디자인 창출의 연구가 계속되길 바라며 신소재를 사용하여 신소재와 한복형태의 조화를 시도하는 연구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ress and its ornament are native products of culture that can reflect certain custom and emotion of each times, particularly wedding dress is most brilliant and has variety implications in general. Today, so many Korean designers are disclosing their productions which are reflected Korean image. This means not a reappearance of Korean traditional fashion style but an expression of Korean image, and a trial to grow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Han-Bok(Korean Folk Dress) to modernistic fashion style and practicalizing its inherent Korean beauty. In these days, bride and bridegroom have to put on two types of wedding dress, Han-Bok and wedding dress. Han-Bok is traditional wedding dress for Pye-Baek (greeting to parent-in-low) and wedding dress was introduced from western during Reform Period and have been using until these days. Such a situation is meaningful in the point of tieing the vein of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but it need to rethink in the aspects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style. So this study focused on the purpose to find the modernistic utilization alternatives of traditional wedding dress, to unity the dichotomize wedding dress in one and tried to develope wedding dress which can be used as wedding dress, Pye-Baek(Greeting) dress, as well as contracting marriage ceremonial dress with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as traditional wedding dress. To do this, I developed wedding dress for bride and bridegroom and which was designed to be used as contracting marriage dress. In the same time, I tried to graft western ceremony and traditional fashion culture by developing the children's dress who carry flowers for bride and bridegroom in wedding ceremony.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patterns of traditional wedding dress, collected photos of wedding dress which have changed since Reform Period and deployed and analyzed it chronologically. Also, I examine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and photos on the modern fashion style which introduced the patterns of traditional Han-Bok in order to design some works corresponding to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fashion style. On the basis of these analysis, I made six manufactured articles. The synthes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are expressed in form, color, pattern, materials, accessories, and I could confirm that the Korean images in pattern are mostly expressed in the curves, straight lines, oblique lines and cracks in the point of the total silhouette and line. Secondly, I found that the symbolic meaning can be expressed by using pattern which is used on traditional wedding dress and modernistic restructuring is possible by changing colors. Thirdly, dying technique and piling-up effect c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by utilizing hand-made silk and No-Bang in as materials. Fourthly, I could find that the produced children's fashion style who carry flowers for bride and bridegroom in wedding ceremony can be re-establish with modernistic design added traditional beauty and can contribute to graft western ceremony into the traditional fashion culture. Fifthly, I could confirm that the produced dresses can be used as contracting marriage dress as well as wedding dress and can plot the economization and practicality due to the functions of wedding ceremonial dress and contracting marriage dress.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toward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showing the possibilities for developing wedding ceremonial dress design which is added traditional beauty through the introduction the patterns of Han-Bok into the modernistic fashion style. The introduction in modernistic fashion style is a creation of vital fashion style desig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ization times. Therefore, even from today in the applying the patterns of Han-Bok I wish that the study should be the creation of design for the modernistic sense, not the simple reappearance of tradition. And I think that the study which is trying to harmonize new material and the patterns of Han-Bok should be foll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