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로당 운영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강동구를 중심으로

        이용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경로당 운영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강동구를 중심으로 -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저 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 등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을 위한 여가시설이 별반 없는 상태에서 지역사회 내 가장 손쉽게 노인의 여가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경로당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로당은 기본적인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다. 시설이 협소하여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가선용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노인들이 화투 장기, 바둑, TV시청, 라디오 청취 등으로 여가를 보내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경로당이 친목도모와 여가를 보내는 장소로서의 기능은 물론 노인들의 다양한 여가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적합한 노인여가복지시설로 전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의 많은 노인들에게 경로당이 여가 선용에 기여하고, 바람직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기위해서 구시가지와 신개발지 혼합지역인 강동구 지역의 경로당 노인들을 대상으로 경로당 이용 및 여가프로그램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그 조사결과를 토대로 아래와 같이 경로당 활성화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경로당 활성화사업 운영주체를 다양하게 해야 한다. 현재 경로당활성화 사업의 운영주체가 노인종합복지관 2개소로 한정되어 있어 많은 경로당을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으로 종합사회복지관, 자원봉사단체 등으로 운영주체를 다양하게 하여 내실을 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동사무소 주민자치센터의 노인여가복지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 지역사회의 소외계층인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별반 없는 실정임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경로당 결연사업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웃과 함께 하는 1경로당 1단체 결연운동을 적극추진 지역사회자원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지역 내의 통·반장, 직능단체 대표, 지역유지, 부녀회원 등으로 노인복지후원회를 조직하여 경로당에 지원과 친선교류 등 관심도 필요하다. 넷째, 경로당 운영관리자에 대한 교육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경로당의 활성화는 결국 노인 스스로 해결해야할 과제이기 때문에 운영책임자들에 대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의식전환과 경로당 활성화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경로당은 단순히 사랑방의 역할에서 벗어나 명실상부한 지역사회 노인여가서비스시설로 변화되어야 한다. 보건소 및 노인종합복지관,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단체가 연계하는 서비스 전달체계로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경로당에 노인정보화교육을 위한 인터넷컴퓨터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의 노인들의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은 정보사회에서 살아가기에는 아주 미흡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모범경로당에 인센티브 부여시 우선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로당을 소규모의 노인복지관형태로서 시급히 발전시켜야 한다. 경로당은 향후 관내 재개발과 재건축사업이 완료되면 더욱 늘어나게 되어 이에 따른 제반 운영비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지역사회에서 경로당 외에는 별다른 노인복지시설이 없다는 것을 고려할 때에 앞으로 경로당의 이상적인 형태는 중소형 복지관의 형태밖에 없다고 본다. 이것만이 조만간에 도래할 노령사회를 대비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경로당을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유용한 노인여가복지시설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시설의 운영책임자나 이용하는 노인들 스스로가 활성화를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일 때 경로당의 활성화는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 은유적 성육신 이해가 다종교 상황에서 갖는 자기반성적 역할 연구 : 존 힉의 실재중심적 다원주의가 종교 간의 대화에서 드러내는 제국주의적 성향과 관련하여

        이용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그리스도교는 다종교 상황을 맞이하여 종교 간의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여기서 종교 간의 갈등이라고 하는 것은 대표적으로 이웃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이나 그로 인한 적대감, 그리고 거기서부터 나오는 폭력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존 힉(John Hick, 1922-2012)은 종교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종교 간의 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이웃종교를 바라보는 그리스도교의 기존 관점인 그리스도중심주의로부터 그리스도인들이 지녀야 할 이웃종교에 대한 올바른 관점으로서 실재중심적 다원주의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실재중심적 다원주의는 그리스도교와 이웃종교를 바라보는 관점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도모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사상의 제국주의적 성향의 잔재인 자기동일화와 타자규정의 습성을 떨쳐내지 못함으로써 종교 간의 대화에 있어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실재중심적 다원주의는 그것이 목적으로 했던 종교 간의 대화에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됨으로써 오늘날의 다종교 상황에서 아무런 가치를 지니지 못하는 것인가? 본 연구는 실재중심적 다원주의에 대한 이와 같은 비판들에 동의하면서도, 다종교 상황에서 힉의 사상이 여전히 의미 있는 제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논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재중심적 다원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그것이 담고 있던 은유적 성육신 이해에 보다 집중함으로써 다종교 상황에서 발생하는 종교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왜냐하면 실재중심적 다원주의는 종교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인들의 종교 관계에 대한 이해의 교정을 시도함으로써 제국주의적 성향을 드러냈지만, 은유적 성육신 이해는 다종교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자기교정을 시도함으로써 자기반성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과 동시에 실재중심적 다원주의가 드러냈던 한계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자기교정이라고 하는 것은 하나님의 유일한 성육신으로서의 예수라는 그리스도교적 진술을 전통적인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은유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은유적 성육신 이해는 다종교 상황에서 어떠한 자기반성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며, 또한 그것이 어떻게 다종교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인가? 본 연구는 이에 대해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은유적 성육신 이해는 하나님의 유일한 성육신으로서의 예수라는 진술을 담고 있는 성서를 문자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은유적인 고백들로 이해하도록 교정함으로써 하나님의 유일한 성육신으로서의 예수라는 진술에 대한 문자적인 이해를 근거로 이웃종교에 대해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편견을 걷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은유적 성육신 이해는 예수의 고유성을 예수의 신성에서 찾기보다는 예수가 지니고 있던 강한 하나님-의식에서 발견하도록 교정함으로써 예수의 신성을 빙자하여 이웃종교에 대해 품고 있는 적대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은유적 성육신 이해는 예수에 대한 믿음에 있어서 교리적인 신념체계들에 대한 믿음보다는 삶으로서의 믿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도록 교정함으로써 예수에 대한 믿음을 표방하여 이웃종교에게 행하는 폭력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 蔣生型 人物傳承의 形成과 變貌

        이용세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ng Sang character is indicated as the type like Chang Sang of Chang Sang Cheon(傳) written by Hue Kyun. The stories about Chang Sang were put on records by many different persons in different time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refore, the group of literatures that are characterized by Chang Sang came to appear.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he Chang Sang character transmission and appearance diachronically and to reveal the changes and the meanings in each work, based on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ke these: Hue kyun wrote Chang Sang Cheon, modeling after a real character Chang Sang. Then the story changed,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specially, it is remarkable that resistance was weaker in later works in character's attitude to the society. It is also notable that social conflict is found in Hue Kyun's work and ego conflict is found in Kim Lyeh's and surrealistic conflict is found in the version of historical tales. In theme, criticism toward corrupt society and will for reform are thought as the one of Hue Kyun's. And the pity of unavailable genius and the pity of not using talent are thought as the one of Kim Lyeh's and in the version of historical tales, the theme was changed to the karma the advocated goodness and virtue. In genre, genre movement that Cheon switched over to Novel appear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aspects that narrative came to involve Cheon. Moreover, in all the works that treated Chang Sang character, the heros of those were lower classes and were accepted as human being himself. And not only was human nature approved by identifying supernatural being with the character, but also value of human was to be reconized widely.

      • 高等學生의 體罰에 관한 硏究

        이용세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Objectives of the study This study is to seek the educational material on the physical punishment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related to the physical punishment, to provide it for teachers and, as the result of it,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B. Methods of the study 1. This study is done with the questionnairing research, and the whole questionnaires consist of 20 items covering such four items as the experience of the physical punishment, the feeling of the physical punishment, the behavioral change after the physical punishment and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of the physical punishment. 2.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research consists of 100 male and 98 female in the 1st and 2nd grade of the academic high school and 96 male and 100 female in the 1st and 2nd grad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in Cheong-ju province. 3. This study converted the consequences into percentage and calculated the positive meaningfulness among the answers devided into department, sex and grade through x^2 verification using SAS. C.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ings. 1. The experience of the physical punishment is most given in the middle school period, especially, more often to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more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academic high school ones. 2. The students' feelings after the physical punishment appear to be more negative to female students than male ones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grades or the vocational and the academic. 3. In the behavioral change after the physical punishmen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o not reflect on their mistakes but are careful about their conducts,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sexes or grades. 4. In conclusion, the physical punishment makes students be inclined to be careful about their conducts temporarily, however, there are many negative respects(the spirit of insubordination etc.) and strong responds that the physical punishment doesn't need to education, therefore the physical punishment is proved the problem which is to be banished in education.

      • 웹기반수업(WBI)에 의한 사회과 교육의 효과 분석

        이용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웹기반수업(WBI)과 전통적 수업을 각각 집단을 나누어 실시한 후 학생들의 설문 내용과 지필 평가지를 토대로 웹기반수업(WBI) 방법과 전통적수업 방법을 적용한 교육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의 측정은 15개 문항을 명제적 지식, 방법적 지식, 전략적 지식으로 구분하여 평가한 후 웹기반수업반과 전통적수업반으로 나누어 t검증하였다. 그 결과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은 두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략적 지식에 관한 학업성취도는 웹기반수업 집단이 전통적수업 집단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다. 학습목표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활동에 대한 흥미도, 용이도(容易度),수용도(受用度) 등은 167명의 학생들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은 내용을 t검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과 수업의 학습목표에 대한 만족도는 웹기반수업 집단의 경우가 전통적수업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학생들은 웹기반수업을 통하여 학습목표에 알맞게 사회과를 충분히 학습할 수 있었다. 둘째, 웹기반수업 집단의 경우 전통적수업 집단의 학생들보다 학습자료의 내용에 흥미를 많이 느끼고 있다. 즉, 웹기반 학습 자료는 교과서 형태의 자료보다 더 흥미있는 학습자료로 지각된다. 셋째, 사회과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도는 웹기반수업 집단이 전통적수업 집단보다 더 적극적인 긍정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웹기반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가 크고 높았으며, 웹기반수업을 적극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과 수업에 대한 용이도는 웹기반수업 집단이 전통적수업 집단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웹기반수업 집단의 경우 전통적수업 집단의 학생들보다 학습 내용에 대해 더 쉽게 이해되고 있었다. 다섯째, 학습목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회귀분석을 통하여학습자료의 용이도가 학습목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학습목표 수용도와 학생 개개인의 컴퓨터 활용 능력이 학습목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nalysis of Effects on WBI applied to the Soci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WBI method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students' survey and achivement tests after one group of the 4th graders were taught by the WBI method and the other group were taught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learning achivement, 15 Questions which were classified in the propositional knowledge, the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the strategic knowledge, were evaluated as an achivement test. And then, each result of the test of two groups were separately verified by T-verification As the result, two group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e methodological knowledge. But the WBI group was higher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group in the strategic knowledge of the achivement test. To know abo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a goal of study, the degree of interests, easiness and acceptance for learning activities, the contents of a survey, 167 students answered, were analyzed and verified using T- verific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social class was higher in the WBI group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wethod group. So. students in WBI Class could study enough in the social class which was appropriate to the goal of study. Second, student of the WBI group were more interested in teaching materials than students of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That is,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WBI group were much more interesting than that of shapes of text book.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in this study, the WBI group had more positive affirmation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in the degree of students' acceptance about the contents of social class. It means that student's anticipation for the WBI was high and they wanted to take the WBI strongly. too. Fourth, the WBI group were higher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in the degree of easiness about the social class Accordingly, the WBI group Could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ir learning easier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Fifth,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for effective factor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goals of stud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easiness effect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eptance. And also, the ability of usage of a computer affect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goals of study.

      • Biologische Bekampfung des Gerstenmehltaus : Erysiphe graminis DC f. sp. hordei Marchal : Isolierung, Charakterisierung, und Einsatz Antagonistischer Mikroorganismen und deren Antimykotischen Wirkstoffe

        이용세 Georg-August-Universitat Gottingen 1991 해외박사

        RANK : 247615

        작물병원진균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일환으로 보리흰가루병에 대한 길항균을 분 리동정하였다. 이를 이용한 보리흰가루병의 방제효과를 온실에서 검정하였으며 항생물 질을 길항균의 배영여액과 균체에서 순수분리하였다. 보리흰가루병에 대한 길항작용의 검색은 길항균을 배양기(TSB)에 3일 액체배양 후 배양여액과 균체를 7일간 자란 보리 잎에 처리 후 흰가루 병원균 포자를 접종하여 5일 후 형성된 병만 수에 의해 실시하였 다. 실험에 사용한 57개 Actinomycetes중 27개 균주의 배양액과 균체에 의해서 50% 이 상의 병발생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균주 중 13개 균주에 의해서는 100% 병발생이 억제되었다. 반면 본 실험에 사용한 Bacteria에 의해서는 50% 미만의 병발생억제효과 만 관찰되었다. 100% 병발생억제를 시키는 균주중 가장 효과가 있는 A171 균주를 선발 하여 항생작용기작과 범위를 구명하였다. 여러가지 진균에 대한 효과에서는 저농도(0. 1%)의 배양여액에서 효과가 차이가 있게 나타났으나 Bacteria에 대한 항균작용은 없었 다. A171 균주를 배양후 항생물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기초 조사로서 항생물질의 생성 에 가장 적합한 배양기와 배양기의 적정 pH 및 조성을 조사하였으며 항생물질의 특성 을 조사하였다. 배양기는 TSB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농도는 2. 0%, 배양기의 적정 pH는 6. 5∼7. 0에서 가장 높은 항생물질의 생성을 보였다. 배양 3일후 최대 항생물질의 생 성을 보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량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항생물질은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 넓은 범위의 pH (pH 3. 0∼pH12)에서도 안정성이 있었다.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작용기작에서는 예방 및 치료효과가 뚜렷하였으며 단자말아, Appress orium 형성 및 2차균사의 생장과 포자형성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A171 균주를 대량(30 0 liter) 배양후 균체와 배양여액에서 항생물질은 순수분리 동정하였다. 순수분리 정 제한 항생물질에 의한 식물병원진균에 대한 항생효과 검정 결과 많은 종류의 진균이 1. 0μg/ml 농도에서 100% 생장이 억제되었다. MS. IR. NMR등에 의한 분석결과 순수분 리 정제한 항생물질은 Oligomycin A와 B, C등의 복합체로 판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