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협동놀이가 위축성향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수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pla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ith withdrawal. The followings are the goals of this study: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pla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ith withdrawal. Second, to confirm if the effect of cooperative pla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ith withdrawal would continue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method. Having selected two children whose withdrawal behavior scale of the K-CBCL(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list) is over 70T, this study employed the multiple baselines across subjects design. Then, The cooperative play program was im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a peer relationship of these two children by promoting their peer-to-peer mutual action. Also, after the period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 was observed. Then, a week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whether this peer relationship had been main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e baseline period was observed. Visual analysis by graph was adopted to analyze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target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ve pla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 with withdrawal. Second, the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cooperative play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f teachers discover the withdrawn personality in children during the early stage and employ an intervention program using cooperative play, such children will be able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with other children spontaneously.

      •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 유형

        이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인지기능이 손상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에 대한 주관적 구조를 확인하여 간호사가 수행하는 치매환자 통증사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치매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통증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2008년 9월 30일부터 10월 24일까지 간호사 30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PC-QUANL program으로 Q-요인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Ⅰ은 언어적 표현에 근거한 탐색형으로, 유형 I은 치매 환자의 언어적인 통증호소에 공감하여 믿는 것과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의 단서와 여러 절차를 걸친 순차적 ·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지속적으로 탐색해 나가면서 통증확인을 하는 유형이다. 유형 Ⅱ는 신체적 증상에 근거한 추론형으로, 치매환자에게 확인되는 신체적 증상에 관한 근거자료를 통해 통증을 확인해 나가는 유형으로 아울러 주로 순차적 절차를 통한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유형 Ⅲ은 비언어적 표현과 기능상태를 통한 확인형으로, 얼굴표정의 직접적인 변화를 보고 통증을 확인한 후 몸의 기능을 살펴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로 삼아 순차적 절차를 통한 종합적인 방법으로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유형 Ⅳ는 음성적 표현 공감형으로, 환자의 통증에 공감하고 믿어주는 정서적 접근을 주요 방법으로 통증을 확인하고 있으며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와 순차적 절차를 통한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치매환자의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유형 V는 객관적 신체 지표의 순차적 비교 확인형으로, 통증관리 경험에 기반한 객관적 신체 지표 확인의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절차에 따라 치매환자의 통증확인을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통증을 나타내는 우선순위에 따라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를 비교해 나가면서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위 연구결과로부터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1) 간호사들이 통증확인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 근거한 통증확인에 대한 주관적 구조를 근거로 한 치매환자의 통증확인을 위한 통증사정도구 개발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 영아의 기질 및 애착과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

        이수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 2세반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와의 애착이 어린이집에서의행동문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기질과 애착이 행동문제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애착이 기질과 행동문제와의 관계를 중재하는지 분석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15곳에 재원중인 만 1, 2세반 영아 24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보육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Saslow(1993)의 걸음마기 기질 척도(TTS)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와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Waters와 Dean(1985)의 Q-set를 박은경(2004)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Larzelere, Amerson과 Martin(1989)이 제작한 걸음마기 아동행동평가척도(TBC)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연령에 따른 기질, 애착,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질 중「활동성」과 「접근-회피」는 성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나, 남아가 여아보다 활동량이 많고, 여아가 남아보다 새로운 상황에 회피하는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질 총점」과「적응성」,「반응강도」,「기분」은 연령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나, 만 1세반 영아가 만 2세반 영아에 비해 기질이 더 까다롭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반응표현이 격렬하고, 부정적 기분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은 성과 연령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 중「행동문제 총점」과「공격적 행동」,「미성숙 행동」은 연령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나, 만 1세반 영아가 만 2세반 영아에 비해 공격적 행동과 미성숙 행동의 행동문제를 더 많이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문제 총점」과 「정서불안 행동」,「미성숙 행동」,「위축 행동」은 성과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만 1세반은 남아에 비해 총 행동문제와 정서불안 행동, 미성숙 행동, 위축 행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만 2세반 때는 남아보다 낮게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만 1세반과 만 2세반 간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질 및 애착과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를 살펴본 결과, 만 1, 2세반 영아 모두 기질 중 「활동성」은 애착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기질 총점」과「반응강도」,「접근-회피」는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만 1세반 영아는 애착과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만 2세반 영아는 애착과「행동문제 총점」,「공격적 행동」,「위축 행동」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만 1, 2세반 영아 모두 기질 중 「반응강도」가 애착을 중재로 어린이집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만 1, 2세반 영아가 반응표현을 격렬하게 하더라도 어머니와의 애착수준이 높으면 어린이집에서 나타내는 행동문제의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만 1, 2세반 영아가 반응표현을 격렬하게 하더라도 어머니와의 애착수준이 높으면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가 적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변화로 인해 어린 영아의 보육시설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영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고 , 행동문제에 대한 조기개입과 예방적 차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단위학교 외부재원 유치에 대한 연구

        이수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towards the education conditions through fund raising and its status and problems in order to promote fund rai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owards education conditions of schools? Second, what is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owards the necessity of fund raising for schools? Third, what is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owards the status and problems of fund raising for schools? Fourth, what is the method of fund raising for school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randomly selected 230 education administrators in Jeonllabuk-do and total of 161 vali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test, F-test,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ducation administrators a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ditions in overall but they put emphasis on fund raising out of infinite potentials of education. The educations administrators working in schools think that level of school accounting and education⋅facility conditions are relatively high but they think fund raising is require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school budgets providing only the minimum expenses including fixed costs. That is, the results reflected the high level of expectation towards the education by parents of Korea. Second, fund raising is not being conducted voluntarily and proactively. Furthermore, systematic conditions and recognition are not prepared for fund raising to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Compared to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fund raising was carried out in rather passive ways or was excessively dependent on local authorities. In reality, fund raising is being conducted by depending on ability and intention of school principals but it is being carried out very carefully because of the regulations to prevent injustice. In high schools where alumni associations exist or gain attentions from the public, fund raising is relatively active compar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onating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schools of Korea like in advanced countries. Third, desirable method for fundraising is one that principals passionately devise appropriate measures. Bazaars and activities attracting fund from companies are inactive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where donation is well established in the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current situations, policies should be enacted and there should be changes in recognition. There are too many limitations in fund raising in schools of Korea and there are no positive incentives which are acting as regulations. That is, school principals are not motivated to attract funds from companies or corporations when there are no incentives when doing so. Also, the principals are public officials so they should just carry out fund raising passively when there are no rewards from the government. As mentioned above, fund raising in schools is institutionalized by implementation of school development fund policy but fund raising activities are not as active as expected due to lack of rewards and anxiety about negative comments. In addition, necessity of invest in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the public and donating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like in advanced countries while appropriate policies are enacted. When additional fund is secured, it should be operated efficiently. Also, in order for better education conditions to be created, principals, teachers, parents, local society and companies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expand funds to be invested in education.

      • 호텔 종사원의 역할스트레스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감성지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연구

        이수정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ole stresses, innovative behavi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of the hotel employe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between role stresses and innovative behaviors so as to propose the implications to lessen their role stresses. To do so,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subjects of hotel employe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ju City. A total of 500 copies of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and 470 copies collected were used for sampling. With 470 copies of the effective samples excluding insincere data among collected ones from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stablished hypothese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ole stresses of the hotel employees on innovative behaviors, role ambiguity showed negative impac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s, significantly, among role stresses. On the other hand, role conflict among role stress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s. Secon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ole stress of the hotel employees on emotional intelligence, bot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showed negative impa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Thir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ole stress of the hotel employees on job engagement, bot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showed negative impacts on job engagement, significantly. Fourth,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hotel employees on innovative behavio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s, significantly. Fifth,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job engagement of the hotel employees on innovative behaviors, job engagement showed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s, significantly. Sixth, with regard to th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hotel employees,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nd between role stresses including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innovative behaviors. Seventh, with regard to the mediated effects of job engagement of the hotel employees,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f job engagement were found between role stresses including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innovative behaviors. Some limitations to be potentially raised from the study process an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nd further study directions would be proposed to overcome these. First,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limited for the hotels only in the regions of Gwangju and Jeonju, and number of respondents was not consistent by functions in the hotels, which implicates the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Second,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the survey to determine the objective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however,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can be biased with stereotypes and subjective values of the respondents. Third, not only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factors are important as the factors to affect the innovative behaviors of the hotel employees.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focusing on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t meaning to propose the management plans with positive outcomes for human resources in the hotel organizations, suggesting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on th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between role stresses and innovative behaviors of the hotel employees.

      • 한국 성인학습자의 영작문과 원어민의 영작문에 나타난 Make 사용에 대한 비교연구 : Corpus-based Analysis

        이수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이 쓴 논쟁적인 영어 에세이로 구성된 두 개의 코퍼스를 조사해 봄으로써 두 코퍼스에 나타난 다빈도 동사 make의 사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과 영어 원어민은 논쟁적인 영어 에세이를 쓸 때 얼마나 자주 make 동사를 사용하는가? 둘째,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이 동사 make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들을 어떻게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가? 셋째,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make 동사를 사용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영어 원어민 에세이의 루베인 코퍼스에서 축출한 미국인 논쟁적 에세이와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의 토플 에세이 영작문 샘플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AntConc 3.2.4w.를 사용하여 make 동사 하위 의미들이 각 의미별로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 지를 살펴보고자 빈도수 조사 중심의 양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 양적 연구 방법을 보완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각각의 코퍼스에 나타난 make 사용의 예시 하나하나를 살펴봄으로써 두 코퍼스 간에 make 동사의 하위의미별 사용의 차이가 도출되었다. 두 코퍼스에서 make 동사 사용의 빈도수를 조사하고, make 동사의 하위 의미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 의미의 사용 패턴을 찾아보았다. 아울러, 두 코퍼스 간에 차이는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하여 유의미한 차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 영어학습자들은 영어 원어민에 비하여 make 동사를 더 빈번히 사용하였고, 이 동사의 하위 의며별 빈도수 조사를 통해 두 코퍼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세 가지 하위 의미(productive, causative, delexical)를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 영어학습자가 make 동사를 이 세 가지 의미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들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류들은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조차 make 동사가 가지는 기본적인 의미인 ‘만들다’라는 뜻을 지나치게 일반화 하여 사용함으로써 범하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더욱이 영어원어민에 비하여 한국 영어학습자들은 ‘~을 생산해내다(to produce)’ 의미 범주 안에 있는 세부 의미로 ‘돈을 벌다(to earn money)’라는 뜻으로 사용할 때와 ‘약어휘적(delexical)' 의미로 사용할 때 동사의 목적어로 다양항 명사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특히나 make 동사가 사역동사(causative verb) 의미를 지닐 때 make 동사를 더 오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한국 상황에서의 영어 학습과 관련된 영어교육학적인 이유와 모국어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make 동사를 가르칠 때 혹은 이 동사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별 사용에 대하여 가르칠 때 코퍼스 활용과 관련하여 이것이 지닌 교육학적 영향력의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영어 원어민간 실제 상호작용의 결과물로서 코퍼스에 근거한 유의미한 사실자료들을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져야 한다. 코퍼스에 축출된 유의미한 사실자료들은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있는 실제 상호작용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명시적인 원어민 코퍼스 활용지도 방법이 장려되어야 한다. 학습자들이 직접 코퍼스나 콘코던스 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줄 알게 되면 이를 통하여 코퍼스의 교육학적 혜택을 받게 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of the high frequency verb make in the argumentative essays of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adult EFL learners through a corpus-based analysis. This study is guided by three important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frequently do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FL adult learners use the verb make?; Secondly, how the categories of meaning differ between Korean adult EFL learner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And finally, what are the dominant errors made by Korean adult EFL learners when using the verb mak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comprised of American argumentative essays from the Louvain Corpus of Native English Essays (LOCNESS) and samples of Korean adult EFL learners’ TOEFL essay writings. The study adopts a frequency-driven quantitative approach in order to identify frequently used meaning categories of make with the aid of the computer software program AntConc 3.2.4w. The quantitative approach is also supported by furthe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stances of make as presented in each corpus, in which the differences will be delineated with reference to the various categories of meaning of the verb.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make and patterns of use in the most frequently used categories in the two corpora. These results are then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cedures and the chi-square test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ant findings show that Korean EFL learners overuse make compared with their native speaker counterpar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 three most frequently intended meanings of make shared by both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have been established. The top three meanings are productive, causative, and delexical uses. Following this,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rrors made in these three categories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EFL learners, even at an advanced proficiency level, produce many errors as they might overgeneralize the most basic meaning of make, which is to produce or creat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Korean EFL learners may be influenced by the Korean verb, ‘mandeulda’ (to make or to produce something). Moreover, they tend to use a limited range of noun complements when the meaning intended is, ‘to earn money’ in the productive category and ‘delexical’. Furthermore, make is misused more often in the causative category than in any of the other categories of meaning. Thus, the findings seem to be pedagogically relevant in a Korean EFL context and also related to L1. The research findings offer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 as an aid in the teaching of the verb make and its uses. Moreover, Korean EFL students need to be encouraged to utilize corpus-based evidence that has been derived from native speaker productions which they in turn serve as authentic and meaningful input. Further explicit native corpus-based instruction would also enable learners to benefit from the use of corpora and concordance tools.

      • 최근 15년간의 B형간염 표면항원 및 항체 양성률에 관한 연구

        이수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성인에서 B형간염 바이라스 표면항원(이하 HBsAg로 약함)의 양성률은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2-10% 정도로 알려져 있고, B형간염 예방접종이 1992년부터 기본 예방접종으로 시행된 후 HBV 표지자 보유양상에 상당한 변화가 있어왔다. HBsAg 양성률의 변화에 대한 몇몇 저자들의 보고는 있으나, 예방접종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나타내 주는 B형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체(이하 anti-HBs로 약함) 양성률의 변화 경향은 검사방법들 간의 차이로 인해 비교가 어려워 그 보고가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1998년부터 2년간 전남 지역 공무원 정기 신체검사 및 채용 신체검사를 받은 4771명(남자 3553명, 여자 1218명)을 대상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시행되었던 RPHA(reversed passive hemagglutination)법과 PHA(passive hemagglutination)법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HBV 표지자 보유 양상을 조사하였고, 같은 검사법을 이용했던 12편의 논문의 성적들과 비교해 15년간의 HBsAg과 anti-HBs의 양성률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나이는 28.3±9.4세이었고 HBsAg 양성률은 5.3%, anti-HBs 양성률은 47.5%이었다. 2. 남자에서 HBsAg 양성률이 더 높고, anti-HBs 양성률은 낮았다 (p<0.01). 3. 연령군 간에 HBsAg과 anti-HBs 양성률은 차이를 보였으나(p<0-01) 연령 증가에 따른 상관관계는 없었다. 4. HBsAg 양성이거나 anti-HBS 음성을 보일 경우에 비정상적으로 ALT가 증가함을 보이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5. 연도 경과에 따라 HBsAg 양성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r=-0.845, p<0.01), anti-HBs 양성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0.616, p<0.05). 이상의 결과로 1983년 중반부터 2000년 초까지 HBsAg 양성률은 점차로 감소하고 anti- HBs 양성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HBsAg positivity in normal population has been reported as 2-10% in Korea and has been decreasing since hepatitis vaccine was introduced to routine vaccination regimens in 1992. Reports on the changes of anti-HBs over years are hard to find since discrepancies in sensitivities of test methods used by different researches did not allow eqivalent comparisons. From one thousand nine hundred ninety eight to two thousands years, 4771 subjects in chonnam provinc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rum HBsAg and anti-HBs were detected by RPHA(reversed passive hemagglutination) and PHA(passive hemagglutination) respectively. Change in the HBsAg and anti-HBs positivities by the same test methods during recent 15years were analyzed by comparing our results with those of other 12 previous repor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positivities of HBsAg and anti-HBs were 5.3% and 47.5%. 2. The positivity of HBsA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while that of anti-HBs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p<0.0l).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HBsAg and anti-HBs positivities among age groups which arbitrarily devided by decade(p<0.0l).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m. 4. In HBsAg positive group and anti-HBs negative group, abnormality in ALT level(ALT>40) was significantly higher statistically(p<0.0l). 5. The positivity of HBsAg decreased with years (rㄴ=-0.845 p<0.01), while that of anti-HBs increased with years (rㄴ=0.616, p<0.05). We conclude that the positivity of HBsAg decreased and that of anti-HBs increased with years for recent 15years.

      •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이수정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안도 다다오의 사회공헌가적 측면과 더불어 그가 설계한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밝히고자하는 연구이다. 안도 다다오의 사고가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이해를 기본으로 두고, 사회공헌가로서 그의 활동과 공간디자인의 세부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사례의 해석은 공간의 일반적인 특성과 시퀀스 맵, 그리고 안도 다다오가 지닌 사고의 특성에서 나타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가 그 토대이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로 제목하고 제 1장 서론, 제 2,3장의 본론, 제 4장의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대하는 안도 다다오의 사고에 대한 고찰과 그로 인한 상호 관계적 표현 양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의 사고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사회공헌가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 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를 새롭게 조명하는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제 3장>은 2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그 내용으로 한다.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에서 선정한 안도 다다오의 9개 공간을 직접 조사하여 공간의 개요와 형태적 특성, 재료적 특성, 자연의 도입, 중심 공간이 나타난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경험하는 인간의 동선 변화 과정을 시퀀스맵을 통해 해석하였다. 또한 제 2장에서 논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를 통해 그것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소결에서는 각 사례 해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전장에서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사회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와 그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의의를 결론으로 맺음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for discovering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pace design. Tadao Ando's way of thinking is based on the harmony among human, space and nature. With this understanding, Tadao Ando's activities as a social contributor and his detail characteristics will be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is is done through case study about space experiences Tadao Ando designed. Practical case interpretations rely on the categoriz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sequence map, and characteristics of his thinking. For this interpretation focus, I titled this thesis "A study on space characteristics of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and 3 are body. Chapter 4 is conclusion.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s of research are discussed. In chapter 2, I summarized the fundamentals of this research such as contemplation about his way of thinking on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correlation in expressing them as a result. I review his aspect of a social contributor which reflects hi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At the end of chapter 2, Tadao Ando's idea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be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3, case studies are done with the content of chapter 2. The method of case study is to visit and survey 9 spaces that are selected by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 space overview, formal characterics, introduction of nature and general characterics of space core are surveyed and after, the flow of human movement is analyzed through sequence map.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s mentioned in chapter 2 is derived through correlational classification At the end of chapter 3, each case is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4, with overall conclusion, characterics and meanings from conclusion are iden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