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지용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의 실존의식 연구

        이수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Jeong Jiyong’s later poems b y ‘the subject’ an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 tudy examine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subject’ with ‘Christianit y’ that can be involved in his later poems. Because Jeong Jiyong’s wor ld of poetry concerning religion is a basic factor in his later poems as well as his middle period poems. By elucidating the internal consciousn ess of the subject, Jeong Jiyong’s later poems have significance overco ming his middle period poems that was valued low as the notion poe m. Therefore the study of later poems needs an investigation by elucid ating ‘the subject’ that shows anxiety and pain.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can be explained by exami ning the aspect of feeling which is directly seen from the subject. The subject in later poems shows the allusion to his internal consciousness which is anxiety and pain. This is being contrary to the frontal appear ance of the object in his early poems. And the theme of nature which appeared in the later poems also shows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a nd pain like the subject. The theme of nature don’t appear as the repr esentation of the object. Thus both the subject and theme of nature ap pear an impression of anxiety and pain. To elucidate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tudy is assisted the concept of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from Søren Aabye Kierkegaard. Since Søren Aabye Kierkegaard’s concept of ‘religion exis tence’ i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religion, it is applied to study th e subject and the religion of Jeong Jiyong’s later poems. The aspect of subject expressing his internal consciousness could be explainable as a process of the existentia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ife’s limitednes s and eternity has caused by the subject owing to the religion existen ce. Thus the religion existence means the pursuit of the existence of God while the subject has the feeling of anxiety and pain. An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described through the matter of de ath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The fact that the death is immanen t in life enlarges the weight of the existential awareness to the subjec t. The matter of death in later poems appeared by another person’s de ath. Another person is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subject in later poems. And the subject is in existence as an observer. By showing th e death of another person who has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su bject, Jeong Jiyong’s later poems has questioned the existence of death over the biological death to existent. The significance of later poems could be investigated by seeking for meaning to Jeong Jiyong’s composition of poems. Jeong Jiyong’s later poems were composed at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mpoverished era of Japanese imperialism made Jeong Jiyong to have t he being way and to compose later poems as the existential awarenes s. It could be earnestly request to Jeong Jiyong who is a sincere religious man. As the existence comes into question concerning the life and actu ality, the significance of later poems in its day is soliciting the existen ce to Jeong Jiyong who had the thoroughgoing self consciousness as a poet. 이 논문의 목적은 정지용의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를 통해 ‘주체의 실존의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논의 진행에 있어 이 논문이 중점을 둔 것은 후기시에 내포되어 있을 시인의 ‘신앙’과 ‘주체의 실존의식’을 함께 밝히는 작업이었다. 정지용의 시에서 신앙과 관련된 시의식은 종교시편으로 분류되는 중기시에서만이 아니라, 후시기에서도 기본적 요소가 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주체의 내면 의식에 관한 해명은 정지용의 중기시를 신앙심을 표출하는 데 치중한 관념시로 평가한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 종교성에 관련된 후기시가 지니는 의의를 찾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후기시 연구에는 ‘주체’를 통해 불안과 고통의 의식이 드러난데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체의 내면의식은 시에서 주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양상을 살펴볼 때 해명될 수 있다. 후기시에서 주체는 직접 전면에 나타나 내면의 불안과 고통의 의식을 직접 발화하는 양태를 보인다. 이는 정지용의 초기시에서 대상들만이 시의 전면에 드러난 것과 상반된다. 또한, 후기시에서 대상 제재로 등장하는 산수 자연도 단순히 외부 대상에 대한 재현으로 시에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함께 불안과 고통의 의식을 나타낸다. 정지용의 후기시에서 주체의 내면의식을 해명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이 논문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 개념을 방법론으로 활용했다. 키에르케고르의 ‘종교적 실존’ 논의가 신앙 안에서 이루어지는 종교적 주체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기에, 정지용 후기시의 주체와 신앙 그리고 실존의식을 함께 고찰하는데 활용되었다. 주체가 신과의 절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증해 주듯 신성한 관계의 표현 방식으로서 주체에게 불안 의식과 고통은 자리한다는 것이 종교적 실존이다. 후기시의 주체가 일련의 고백과도 유사하게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양상은 종교적 실존 자각의 도정으로 해명될 수 있었다. 후기시의 주체가 유한성과 무한성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종교적 실존이 존재하는 양식을 문제시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종교적 실존은 해소되지 않는 불안과 고뇌를 지니는 동시에 자기 자신의 바깥에 초월하는 존재를 추구하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기시에서 실존의식은 죽음의 문제를 통해 형상화되기도 한다. 삶 속에 죽음이 언제나 내재한다는 사실은 주체의 실존 자각에 무게를 더한다. 후기시에서 죽음의 문제는 관찰자의 위치에 있는 주체가 타자의 죽음을 통해 ‘나’의 소멸을 예견해보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현존재에게 직접적인 경험 밖의 사건이 될 수밖에 없는 죽음의 문제를 주체의 자기반영적 타자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정지용의 후기시는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죽음의 존재 그 자체에 관해 질문하는 것이다. 후기시의 의의는 정지용이 후기시를 詩作할 당시에 가졌을 詩作의 의미를 찾아야 규명될 수 있었다. 시인이 詩作을 이루던 당시 일제 말의 피폐한 실제 현실은 더욱 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존재하는 양식을 문제시했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실존이 세상 속에 인간이 처해진 세상과 현실을 문제로 하듯 자신이 시인이라는 데 대한 투철한 자각을 지녀온 시인 정지용에게 있어 후기시의 詩作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시인에게 간구한 실존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위기청소년의 빗속의 사람 그림에 관한 반응특성 연구

        이수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은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다양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으며,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할 때 위기청소년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점차 증가하는 위기청소년에 대한 적절한 선도 및 치료를 위해서는 위기청소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기청소년의 위기수준과 빗속의 사람 그림에 관한 반응특성을 통해 위기행동의 근본원인이 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처능력을 살펴봄으로써 위기청소년을 위한 적절한 선도와 치료에 대한 지원을 하고자 한다. 또한 위기청소년을 선도하는 치료자 및 상담자와 관련 기관에 위기청소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상담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S센터의 사랑의 교실에 참여하는 절도범죄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기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위기 스크리닝 척도와 스트레스 및 대처능력을 살펴보기 위한 빗속의 사람 그림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스크리닝 척도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절도범죄 청소년은 대부분 위기 3수준에 속하여 위기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인에서는 또래 및 학교 영역과 개인영역이 높게 나타나 학교적응력이 떨어지고 또래와 개인 성향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고, 문제행동에서는 범법행위와 인터넷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척도 검사는 결과에 따른 외형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위기청소년을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위기청소년의 빗속의 사람 그림을 분석한 결과 위기청소년은 스트레스는 많으나 적절한 대처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비의 양이 많고 비와 바람의 세기가 강하며, 비와 사람의 접촉이 많고 스트로크가 불균형하여 스트레스가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대처자원 영역에서는 직접보호물의 수는 많으나 적절성이 부족하고, 인물의 크기가 작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비우호적인 표정과 불균형한 모습으로 신체부위가 생략되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었다. 이것으로 빗속의 사람 그림은 위기청소년의 스트레스를 나타내주며 내면적인 대처능력까지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위기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을 교차 분석한 결과 위기에 따른 스트레스는 비슷하나 대처능력은 직접보호물의 수와 적절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기 1수준은 직접보호물의 수와 적절성이 일치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하는 반면, 위기 3수준은 직접보호물의 수는 많으나 적절성이 부족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 사례를 통해 위기수준에 대한 빗속의 사람 그림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수준이 일치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도 나타나 자기보고식 척도의 단점을 빗속의 사람 그림이 보완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위기청소년의 상담 현장에서 사용되는 위기 스크리닝 척도뿐 아니라 빗속의 사람 그림을 활용하여 위기청소년의 외형적인 요소와 내면적인 요소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위기청소년 개인을 올바로 이해하고 적절한 선도와 치료를 위한 개입 및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아동의 권리의 헌법적 보장

        이수민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respect to the children, the traditionally dominant concept in Korea has been the one that they are one of parents' possessions under their absolute custody and control. Moreover, children have been regarded as the minors legally and the objects who shall be nurtured and obey their parents socio-conventionally.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objects for protection but never be recognized as the subjects with active rights at the state level. The children's rights as the object for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basic rights have been accepted as the adjuncts to those of their parents, and as long as the children are able to become the subjects of the basic rights as the adults, they have been accepted as independent subjects with rights by the constitutional order or state's legal order to the limited extent.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f the United Nations adopted in 1989 regards the children as the subjects with dignity and rights rather than the objects for protection and expressively stipulates the basic rights for their survival, development and protection. Korea ratified this convention in 1991, which is effective now.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mposed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in many fields under the name of protection in reality. Therefore,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children to the maximum extent, there is a need for clear criteria as well as the judgemental standards in restricting the rights of the children. The constitution is not only the highest standard for the state order but also the standards for the life of the people. Currently the constitution of Korea stipulates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ren as social minorities through various rules and regulations or derives out the guarantee of the rights of the children through stipulating the comprehensive rights to pursue one's dignity, value and happiness or the rights to pursue a humane life as the generic terms of social basic right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future constitution shall more clearly stipulate the rights of children to guarantee them more specifically and clearly. 아동에 대해서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부모의 절대적인 양육권과 통제권 하에 있는 부모의 소유물이라는 개념이 지배적이었고, 더구나 아동은 법률상 미성년자이고 사회관습적으로 부모에게 복종하며 양육되어지는 대상에 불과했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아동들은 보호의 대상으로만 파악되었을 뿐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권리의 주체로 인식되지 못했다. 헌법상의 기본권 보호의 객체로서 아동의 권리는 그 부모들의 기본권에 대한 부속물로 받아들여져 왔으며, 아동은 단지 그들이 성인과 같은 기본권 주체가 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제한적인 측면에서만 국가법질서 혹은 헌법질서에 의하여 독립적인 권리주체로서 인정받을 수 있을 따름이었다. 1989년에 채택된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는 아동을 단순한 보호대상이 아닌 존엄성과 권리를 지닌 주체로 보고 이들의 생존, 발달, 보호에 관한 기본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1년에 비준을 하여 현재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명목으로 많은 영역에서 아동의 권리의 제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동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권리를 제한 할 경우 그 판단 기준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그 명확한 준거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헌법은 국가질서에 있어서 최고규범인 동시에 국민의 생활규범이 된다. 현재 우리 헌법에서는 여러 규범을 통하여 특정 영역에서의 사회적 약자로서의 아동의 권리보호를 규정하고 있거나 포괄적 성격을 가지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혹은 사회적 기본권의 총칙적 성격을 가지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규정을 통하여 아동의 권리의 보장을 도출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헌법에 아동의 권리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정을 두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미국드라마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 실태 조사

        이수민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세계화 시대에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상당하며 이에 따른 영어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우리 한국도 영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한국 학습자들은 사설기관을 통해 영어에 많은 돈과 시간 그리고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사설을 통한 영어 학습은 암기와 독해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학습 방법은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어 학습의 효율성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보다 효과적으로 영어를 학습할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어 학습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시 되어야 하는 것은 영어권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제적인 언어 자료를 학습자들에게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적인 자료로는 영화, TV드라마 등을 들 수 있다. TV드라마는 미국인이 현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발음과 표현을 여과 없이 그대로 생생하게 전달하며, 다른 매체보다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의사전달을 알 수 있고, 비언어적 행동양식과 같은 현지 문화적 요인 또한 시각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그들의 문화나 관습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증진 시켜줄 수 있다. 또한 영어권에서 실제 사용하는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며 듣기 학습에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TV드라마 같은 실제적 언어 자료들은 일반적인 다른 영어 자료에 비해 영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장점이 무엇인지 살며보고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자료 중 미국드라마를 활용하여 영어 공부를 하면 어느 부분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4개 대학의 대학생들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이다. 첫째, 영어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영어 공부에 투자하는 시간이 많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미국드라마를 시청한 횟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미국드라마를 가지고 영어 공부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국드라마를 영어 학습에 활용한 학생의 경우에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미국드라마를 활용하여 영어 공부를 한 학생일수록 토익 LC점수의 상위 쪽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즉, 미국드라마를 활용한 영어공부와 영어 듣기 능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미국드라마를 활용하여 공부했을 때 토익 LC점수가 상승한 학생일수록 앞으로도 미국드라마로 공부할 의향을 가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미국드라마를 활용하여 영어 공부를 한 경우 본인에게 도움이 된 부분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미국드라마를 활용해 공부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에서 본인에게 도움이 된 부분에 따라서 계속해서 미국드라마를 활용할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현장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영어 실력 향상을 돕기 위해 미국드라마를 수업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틀에 박혀 있는 교과서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보다는 실제적 자료인 미국드라마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더욱더 수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미국드라마를 듣기 지도에 더욱 비중 있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미국드라마는 영화와 달리 일상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흔한 에피소드가 40분 내지 50분 동안에 보여 지기 때문에 길지 않은 내용으로 듣기 수업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상급자 뿐 아니라 초급자의 수준에서도 충분히 미국드라마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미국드라마는 의학 관련내용, 수사물, 시트콤 등 여러 장르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장르 중에서도 초급자의 같은 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내용을 갖고 있는 미국드라마를 선택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급자의 경우에는 보다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는 미국드라마를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급자부터 상급자까지 아울러 미국드라마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성인 초급 피아노 학습자를 위한 지도방안 : 실제 레슨을 중심으로

        이수민 호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성인 초급 피아노학습자를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안드라고지이론으로 살펴 본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동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피아노 학습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고, 성인을 위해 나온 기초 피아노 교재들을 살펴보고 아동교재와의 차이점을 알아보았고 지도방법을 연구하였다. 성인피아노 인식을 위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실제 피아노학습 무경험자 4명을 레슨하며 음악요소별 지도 방안을 살펴보았다. 독보, 리듬, 테크닉, 음악성 등의 음악요소별로 보다 성인학습자에게 쉽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성인이 되어 처음 피아노를 배우더라도 테크닉적 한계에 부딪쳐 쉽게 포기하지 않고 계속 피아노학습을 즐기면서 심미적 체험을 하고 정서적 안정감과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의 질문 양상

        이수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개별화 수업을 제공하고자하는 취지에서 제7차 교육 과정부터 초, 중등학교 과정에 본격적으로 수준별 수업을 도입하여 많은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성공적인 수준별 수업 시행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수준별 수업이 진행되는 중학교 교실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과정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발화, 그 중에서도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교사의 질문 전략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교사 발화가 학생들에게 유일한 입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교사 발화의 질이 수업의 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발화 중 교사의 질문은 상호 작용적인 교실 환경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주요 수단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교사가 각기 다른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질문을 다르게 하는지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질문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ong과 Sato(1983)의 질문 분석 기준에 맞춰 교사의 질문을 분류하였으며 교사의 질문의 빈도를 측정하여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상, 하급 학급에서 교사는 공통적으로 국어보다 영어 질문을 많이 하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질문은 전시형 질문으로 나타났다. 상급 학급과 비교해보면 교사는 하급 학급에서 보다 많은 질문을 하였고 특히 국어 질문이 많았다. 또한 교사의 높은 빈도의 영어 사용은 학생들의 상호 작용과 언어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역시 영어 발화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상급 학급과 하급 학급에서 동일하게 전시형 질문은 교과서 내용을 확인하거나 선행 학습을 확인할 때 사용되었으며 참조형 질문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선행 조직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참조형 질문의 활용 여부에 따라 학생의 발화 양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의 수업 목표에 따라 전시형 질문의 내용도 달라졌다. 이해 점검 질문은 학생들의 이해력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으며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전시형 질문이 함께 사용되기도 하였다. 확인 점검 질문은 학생들의 대답이 틀렸다는 암시를 주거나 학생들의 불완전한 발화를 이해 가능한 발화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명료화 요구 질문이 사용되지 않은 이유는 교사와 학생들의 동일한 모국어 사용과 중학교 1학년이라는 낮은 단계의 영어 사용 때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교사 질문의 문제점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영어 질문을 이해하는 못하는 학생들에게 교사는 똑같은 영어 질문만을 반복하였다. 둘째, 상, 하급 학급에서 사용된 교사의 질문 유형과 양상에 큰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질문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교사 주도적인 수업이 진행되었다. 교사는 자신의 발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업 전달을 위해 본인 스스로가 노력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노력은 교사 혼자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교사의 다양한 질문 전략 개발과 영어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질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해 보인다. 뿐만 아니라 중등학교 대상 교사의 발화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어 학교 현장과 이론을 전목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교사의 보다 효과적인 질문 전략 개발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is to provide the underprivileged with opportunities to be equal. As many students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it seems less likely to have the same learning experience. Consequently, students' levels are varied in a classroom. Taking this difference into consideration, the system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has been implemented to reduce the gap between able and less able students since 2004. To prove how effective the new system is, a lot of research has focused on its effects on either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r affective aspects, but very few has done to see what is really happening in the level-differentiated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questioning patterns in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eacher questions are of significance because they play a key role in creating interactive classroom environment as well as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goal, Long and Sato's question types (1983) are used to analyze patterns of a teacher's ques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One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he taught different classes- beginners and advanced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in both classes the teacher asked questions in English more than those in Korean and the most common question type was display questions. However, she asked more questions and Korean questions in beginners' class than those in the advanced class. Another finding is that the teacher used display questions to check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extbook and to remind the students of previous lessons while referential questions were commonly used to motivate students and activate their background knowledge. Though both question types function similarly in two different level classes, how the teacher used them seemed to contribute to creating communicative classroom environment. Comprehension check questions were used to check if the students followed the class and understood the teacher's English utterances and were sometimes followed by display questions in Korean to double-check their knowledge. Confirmation check questions were used to give students a clue that their answers were incorrect and make students' incomprehensible English output comprehensible. Interestingly enough, clarification request questions were rarely used. It was because both students and the teacher shared the same language. There seems to be several problems regarding teacher's questioning strategies. First, the teacher repeated the same English question rather than paraphrasing it when the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her question. Another problem is that teacher's questioning strategies did not seem to be different in both levels. Third, the large proportion of teacher's questions was display question resulting in teacher-centered classroom.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eacher questions. Therefore, they should do their best to develop their own questioning strategies. This cannot be done without the government's support. High quality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in dire need of improving both teachers' English skills and questioning strategies. In addition, more research on teacher questions in secondary schools should be done to forge a theory-practice connection.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사교육 실천의 장-아비투스 탐색

        이수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studies the structural reasons why the shadow education increases despite of political endeavors to reduce it in Korea. To reveal the structural reasons of shadow education, methodologically, I used qualitative meta-synthesis which synthesize the findings of qualitative research which analyze the discourses of practical subjects. A pilot study from 11 qualitative studies on shadow education reveals that the structures are structured in habitus of mother, the practical subject. Credentialism habitus is ungendered, motherhood habitus is gendered but unclassified and middle-class-full-time-mother habitus is gendered and classified. Each habitus explains particular practices of shadow education. The pilot study also reveal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mother and their children, mother and father. These relationships imply the shadow education ‘field’ which include habitus. Therefo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field were used theoretically based on results of the pilot study. Through a thematic synthesis from 30 qualitative reports, 6 main them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ⅰ) stakes, (ⅱ) doxa, (ⅲ) capitals, (ⅳ) positions, (ⅴ) relationships, (ⅵ) subjectivity. These themes construct the concept of the Bourdieu’s‘field’. Therefore the ‘shadow education field’ can be discussed based on the synthetic results. The synthet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kes of shadow education field were credentials(Hakbul). Second, the doxa of shadow educational field is mothers’practice of shadow education. That is from capitalism, credentialism, famlism, patriarchism. Third, the capitals of shadow educational field were unique and various. Shadow education field convert time into capital. Middle-class-full-time mother with time and money takes good position for their children’s Hakbul, the stakes of the shadow education field. Fourth, there are various positions depend on mothers’ capitals. The best position for Hakbul is taken by upper-class-full-time mother with time and economic capitals. Mothers are unlimitedly classified by their capitals. Daechi-dong-mother, Mok-dong-mother, Gangbuk-mother, Suseong-gu-mother is a new class in Korean Society. Fifth, Mother compete each other for their children’s Hakbul which alienate the children. But middle-class-full-time-mother spending money on education are subjected to father who makes the money. The present synthesis suggest the mother’s practice of shadow education in Korea is very structural. Mother’s practice of shadow education is restrained to shadow education field. The present synthesis explains reproduction of mothers’ practice of shadow education which is doxa of shadow education field. To resolve these structural problems, political endeavors cannot be restricted to the education policies.

      • 명화와 영화 속 그리스·로마 여신을 모티브로 한 창작 업스타일 연구

        이수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명화와 영화 속 그리스·로마 여신을 모티브로 한 창작 업스타일 연구 그리스·로마 신화는 서양 문화일 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온 하나의 문화이자 영감의 보고(寶庫)로서 예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명맥을 잇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연구는 복식, 건축물, 미술 등에 국한되어 있다. 헤어디자인 관련 연구 사례가 많지 않으며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의 헤어스타일을 응용한 창작 업스타일에 대한 연구 역시 미비한바 대중성과 접근성이 용이한 명화와 영화에 나타난 여신을 모티브로 하여 창작 업스타일을 연구․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그리스·로마 신화 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관련 서적, 선행연구 논문, 학술지, 지식 검색 등을 조사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실증적 연구에서는 그 당시의 헤어스타일을 명화와 영화 속 여신들의 역할과 상징물에 나타난 디자인을 토대로 각 여신들의 특징적인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5명의 여신을 선정하였는데 각 작품의 모티브 1은 형상물을, 모티브 2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각 모티브가 된 형상물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작방법을 사용하여 여신들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재해석된 창작 업스타일 디자인의 연구를 통해 여신들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품 1은 공작의 형상물, 여신들의 여왕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땋기, 롤, 매듭 기법으로 헤라를 표현하였다. 작품 2는 날개의 형상물, 칠흙 같은 어두움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바구니 땋기, 고리, 매듭 기법으로 페르세포네를 표현하였다. 작품 3은 바다의 파도소리를 떠올릴 수 있는 소라의 형상물, 깊은 바다 속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매듭, 롤, 고리 기법으로 테티스를 표현하였다. 작품 4는 투구의 형상물, 궁수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매듭, 롤, 겹치기 기법으로 아테나를 표현하였다. 작품 5는 장미의 형상물, 곡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아르누보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백콤, 반고리, 펼치기 기법으로 아프로디테를 표현하였다. 이처럼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을 모티브로 한 헤어작품 연구를 통해 창작 업스타일을 제작하면서 기존의 아름다움의 틀을 기초로 하되 현대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대와 현대를 자연스레 이어가는 헤어 디자인의 조형적 가치를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하며 다양한 미적개성과 독창성을 필요로 하는 니즈에 보다 더 다양한 메뉴로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여신이라는 특화된 인물이 갖고 있는 고정화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제한점이 있었으며 객관적인 데이터보다 주관적인 성향에 의해 5인의 여신을 한정지어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것이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다양한 콘텐츠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헤어 디자인의 새로운 트렌드 개발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